KR20150024134A - 버튼을 이용하는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버튼을 이용하는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24134A KR20150024134A KR20130101209A KR20130101209A KR20150024134A KR 20150024134 A KR20150024134 A KR 20150024134A KR 20130101209 A KR20130101209 A KR 20130101209A KR 20130101209 A KR20130101209 A KR 20130101209A KR 20150024134 A KR20150024134 A KR 201500241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ttons
- piezoelectric element
- button
- electric signal
- contro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26 waste batte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4—Piezoelectric touch switches
- H03K17/9643—Piezoelectric touch switches using a plurality of detectors, e.g. keyboar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5—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 H03K17/967—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control members, e.g.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버튼을 이용하는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버튼을 이용하는 제어 장치는 압전 소자, 압전 소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압전 소자로 서로 다른 크기의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복수의 버튼, 압전 소자로부터 압력에 대응되는 크기의 전기 신호가 출력되면 전기 신호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버튼 중에서 선택된 버튼을 판단하는 제어부,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버튼을 이용하는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전 소자를 이용하는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전자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제품은 그 본체에 탑재된 제어 장치 또는 별도로 구비된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장치의 예로는 리모컨과 같은 원격 제어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제어 장치에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이 구비된다. 입력수단에는 터치 스크린, 휠 버튼, 마이크, 카메라 등과 같이 다양한 수단이 있을 수 있으나, 가장 일반적으로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버튼이 사용되고 있다. 제어 장치가 리모컨으로 구현된 경우, 사용자가 그 리모컨에 구비된 버튼을 누르면, 리모컨은 그 버튼에 대응되는 리모컨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외부 장치에서는 리모컨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이 수행된다.
이상과 같이 제어 장치는 버튼 선택에 따른 리모컨 신호를 전송하여야 하므로, 버튼 선택 여부를 인식하고, 리모컨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전원을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제어 장치에는 건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건전지는 주기적으로 교체해 주거나 충전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폐건전지로 인한 환경오염 또한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제어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버튼을 인식하고, 그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압전 소자, 상기 압전 소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압전 소자로 서로 다른 크기의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복수의 버튼, 상기 압전소자로부터 상기 압력에 대응되는 크기의 전기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전기 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버튼 중에서 선택된 버튼을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압전 소자로부터 상기 전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기 신호의 크기에 대응되는 레벨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인가하는 변압부, 상기 복수의 버튼 각각에 대해 기 저장된 전압 레벨이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압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활성화되어, 상기 복수의 버튼 각각에 대해 저장된 복수의 전압 레벨과 상기 변압부에서 인가되는 전압의 전압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버튼 중에서 상기 선택된 버튼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바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버튼은 상기 바디부의 제1 표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홀에 각각 탑재되고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바디부의 제2 표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홀에 대응되도록 탑재되며 상기 복수의 버튼 각각은 사용자 터치가 가능한 접촉부(contact part),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압전 소자로 연결 가능한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이 경우, 상기 복수의 홀 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버튼에 대해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버튼 각각에 구비된 접촉부는 상기 바디부의 제1 표면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며 각 버튼이 푸쉬될 때 상기 제1 표면에 접촉되어 각 버튼이 동일한 깊이로 푸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전 소자의 표면상에서 상기 복수의 홀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돌출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버튼 각각에 구비된 연장부와 터치되면 상기 압전 소자로 서로 다른 크기의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버튼 각각에 구비된 연장부는,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버튼 각각에 구비된 연장부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버튼 각각에 구비된 연장부 및 상기 압전 소자 사이에 배치된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버튼 조정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압전 소자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압전 소자로 서로 다른 크기의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복수의 버튼 중에서 하나의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압전소자가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되는 크기의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전기 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버튼 중에서 선택된 버튼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버튼의 선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 및 장치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블락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블락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소자 및 복수의 버튼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블락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소자 및 복수의 버튼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모식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블락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100)는 압전소자(110), 제어부(120), 출력부(130), 복수의 버튼(140-1, 140-2, 140-3, 140-n)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0)는 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100)는 TV나 에어컨, 오디오 시스템, PC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각 전자제품의 본체에 탑재되는 버튼 조작 패널로 구현될 수도 있다.
압전소자(110)는 외부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그 압력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복수의 버튼(140-1, 140-2, 140-3, 140-n)은 압전 소자(11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버튼(140-1, 140-2, 140-3, 140-n) 하측의 전면(Overall area)에 하나의 압전소자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버튼(140-1, 140-2, 140-3, 140-n)은 하나의 압전 소자를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140-1, 140-2, 140-3, 140-n) 각각은 압전 소자(110)로 서로 다른 크기의 압력을 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복수의 버튼(140-1, 140-2, 140-3, 140-n) 중에서 한 버튼을 선택하여 푸쉬하면, 선택된 버튼이 압전소자(110)를 누르면서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압전소자(110)에서는 그 외력에 비례하는 전기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전기 신호는 제어부(120)로 제공된다.
제어부(120)는 압전소자(110)로부터 압력에 대응되는 크기의 전기 신호가 출력되면 그 전기 신호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다. 활성화된 제어부(120)는 그 전기 신호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버튼(140-1, 140-2, 140-3, 140-n)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버튼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판단된 버튼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한다.
출력부(130)는 제어부(120)로부터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그 제공 신호를 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출력부(130)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타 장치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줄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장치(100)는 적외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압전소자(110)에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 축적이 충분하다면, 출력부(130)는 블루투스, 지그비, RF통신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 장치(100)가 제품의 본체에 탑재되는 형상인 경우, 출력부(130)는 해당 제품의 메인 컨트롤러(미도시)와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전자기기(미도시)는 출력부(13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서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4개의 버튼이 하나의 압전 소자를 공유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버튼의 개수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블락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는 압전 소자(210), 변압부(220), 제어부(230), 출력부(240), 저장부(250), 복수의 버튼(260-1,260-2,260-3,260-n)을 포함할 수 있다.
압전 소자(210), 출력부(240), 복수의 버튼(260-1,260-2,260-3,260-n)에 대해서는 도 1에서 설명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변압부(220)는 압전 소자로부터 전기 신호를 입력 받아서 전기 신호의 크기에 대응되는 레벨의 전압으로 변환한 후 변압된 전압을 제어부(230)로 인가한다.
그리고, 저장부(250)는 복수의 버튼(260-1,260-2,260-3,260-n) 각각이 압전 소자(210)에 압력을 가할 때 발생되는 전압 레벨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버튼(260-1,260-2,260-3,260-n) 각각에 해당하는 식별 정보 및 그에 대응되는 전압 레벨을 매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일련 번호, 버튼 위치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변압부(22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활성화되어 복수의 버튼 각각에 대해 저장부(250)에 저장된 복수의 전압 레벨과 변압부(220)에서 인가되는 전압 레벨을 비교하여 복수의 버튼(260-1,260-2,260-3,260-n)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버튼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230)는 압전 소자에 의해 발생된 전기 신호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배터리 없이도 제어 동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어부는 복수의 버튼(260-1,260-2,260-3,260-n)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부(240)을 통해 출력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버튼은 하나의 압전 소자에 대해 서로 다른 크기의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로 다른 크기의 압력을 가하기 위한 버튼의 형상에 대한 다양한 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버튼 및 압전 소자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3에서는 3개의 버튼(320, 330, 340)이 하나의 압전 소자(310)를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 3에 따르면, 제어 장치(100)는 복수의 홀(360-1, 360-2, 360-3)을 포함하는 바디부(350)를 포함한다. 바디부(350)는 복수의 버튼(320, 330, 340) 및 압전소자(31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복수의 홀(360-1, 360-2, 360-3)은 버튼의 개수와 동일하게, 버튼(320, 330, 340) 위치에 형성된다. 복수의 홀(360-1, 360-2, 360-3)은 바디부(350)를 관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320, 330, 340)이 탑재되는 제1 방향의 홀 입구(365-1, 365-2, 365-3)는, 압전 소자(310)가 탑재되는 제2 방향의 홀 입구(370-1, 370-2, 370-3)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가진다.
각 버튼(320, 330, 340)은 연장부(324, 334, 344)가 제2 방향의 홀입구((370-1, 370-2, 370-3)를 향하도록, 제1 방향의 홀 입구(365-1, 365-2, 365-3)로부터 각 홀(360-1, 360-2, 360-3)에 탑재된다. 반면, 압전 소자(310)는 바디부(350)의 제2 방향의 홀 입구(370-1, 370-2, 370-3)에서 복수의 홀(360-1, 360-2, 360-3) 전체에 대응되도록 탑재된다. 바디부(350)의 제 1 표면(366-1, 366-2, 366-3)은 제 1 방향의 홀 입구(365-1, 365-2, 365-3) 근방이고 제 2 표면(367-1, 367-2, 367-3)은 제2 방향의 홀 입구(370-1, 370-2, 370-3) 근방이다. 또한, 각 홀(360-1, 360-2, 360-3) 내에서 각 버튼(320, 330, 340)의 접촉부(322, 332, 342)와 하부 지지부(354-1, 354-2, 354-3) 사이에는 탄성체(380-1, 380-2, 380-3)가 배치된다. 각 탄성체(380-1, 380-2, 380-3)는 사용자가 버튼(320, 330, 340)을 눌렀다 뗄 때, 각 버튼(320, 330, 340)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버튼(320, 330, 340)이 원 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또한, 접촉부(322, 332, 342)는 사용자 터치가 가능하고 바디부(350)의 제 1 표면(366-1, 366-2, 366-3)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며 각 버튼(320, 330, 340)이 푸쉬될 때 바디부(350)의 제 1 표면(366-1, 366-2, 366-3)에 접촉한다. 그리고 연장부(324, 334, 344)는 접촉부(322, 332, 342)로부터 연장되어 각 홀(360-1, 360-2, 360-3)을 통해 압축소자로 연결이 가능해진다.
한편, 각 버튼(320, 330, 340)의 연장부(324, 334, 344)는 서로 다른 단면적을 가지는 기둥 형태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각 버튼(320, 330, 340)이 눌러지면, 대응되는 연장부(324, 334, 344)가 제2 방향의 홀 입구(370-1, 370-2, 370-3)를 지나서 하부의 압전 소자(310)를 누르게 된다. 각 연장부(324, 334, 344)의 단면적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가 동일한 힘으로 각 버튼(320, 330, 340)을 누르더라도, 압전 소자(310)에 가해지는 압력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압전소자(310)는 각 버튼(320, 330, 340)마다 상이한 크기의 전기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그 전기 신호의 크기에 기초하여, 어느 버튼(320, 330, 340)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버튼(320, 330, 340)의 접촉부(322, 332, 342)의 크기는 제1 홀 입구(365-1, 365-2, 365-3)의 크기보다 크다. 따라서, 사용자가 강한 힘으로 각 버튼을 누르면, 각 버튼의 접촉부(322, 332, 342)가 제1 홀 입구(365-1, 365-2, 365-3) 주변의 바디부(350)에 접촉하게 되어, 더 이상 눌러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하나의 버튼을 서로 다른 강도로 누르는 경우에도, 그 버튼에 대해서는 동일한 압력이 압전 소자(31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바디부(350)가 하나의 바디로 일체화된 경우에 대해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바디부(350)는 각 홀을 기준으로 복수 개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바디부는 사이드 월(352-1, 352-2, 352-3) 및 하부 지지부재(354-1, 354-2, 35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 따른 바디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그 도시를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버튼 및 압전 소자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3의 실시 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따르면, 각 버튼(320, 330, 340) 각각의 연장부(324, 334, 344)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각 버튼(320, 330, 340)의 연장부(324, 334, 344)의 길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각 버튼(320, 330, 340)의 연장부(324, 334, 344)가 압전 소자(310)에 가하는 압력에 차이를 둘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버튼(320, 330, 340)마다 압전 소자(310)에 가하는 압력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버튼(320, 330, 340)의 연장부(324, 334, 344) 말단은 바디부(350)의 제 2 표면(367-1, 367-2, 367-3)보다 아래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버튼 및 압전 소자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5에 따르면, 도 4의 실시 예와 유사한 면이 있다. 도 4의 실시 예와의 차이점은 각 버튼(320, 330, 340)의 연장부(324, 334, 344)와 압전 소자(310) 사이에 각 버튼(320, 330, 340)에 대응되는 탄성체(390-1, 390-2, 390-3)의 구성을 더 포함한다는 것이다.
이 경우, 탄성체(390-1, 390-2, 390-3)는 고무, 스프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체(390-1, 390-2, 390-3)는 각 버튼(320, 330, 340)의 연장부(324, 334, 344)가 효율적으로 압전 소자(310)에 압력을 가할 수 있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버튼 및 압전 소자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6에 따르면, 각 버튼(320, 330, 340)의 연장부(324, 334, 344)의 길이는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또한 각 버튼(320, 330, 340)의 연장부(324, 334, 344)의 면적 역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다만, 도 6에서는 각 버튼(320, 330, 340)의 연장부(324, 334, 344)가 길이나 면적이 서로 동일한 경우를 예를 들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전 소자(310)의 상면에 복수의 돌출부(395-1, 395-2, 395-3)가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395-1, 395-2, 395-3)는 압전 소자(31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압력을 잘 전달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돌출부(395-1, 395-2, 395-3)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압전 소자(310)의 상면에 돌출부(395-1, 395-2, 395-3)를 배치시키면 각 버튼(320, 330, 340)의 연장부(324, 334, 344)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구성한 것과 유사하게 압전 소자(310)에 대응되는 각 버튼(320, 330, 340)마다 서로 다른 압력이 압전 소자(310)에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버튼 및 압전 소자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7에 따르면, 각 버튼(320, 330, 340)의 연장부(324, 334, 344) 말단의 면적을 다르게 구성하여 각 버튼(320, 330, 340)마다 압전 소자에 서로 다른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 때 각 버튼(320, 330, 340)의 연장부(324, 334, 344)의 길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각 버튼(320, 330, 340)의 연장부(320, 330, 340)의 길이는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7에서 복수의 버튼 및 압전 소자의 형상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 상기에 기술한 형상적 특징들을서로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버튼(320, 330, 340)의 연장부(324, 334, 344)의 길이가 서로 다르면서 각 버튼(320, 330, 340)의 연장부(320, 330, 340)의 면적이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일 실시 예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 버튼이 푸쉬 되고(S810), 버튼이 푸쉬되면 압전 소자에 압력이 가해진다(S820), 이 경우, 압전 소자는 가해진 압력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한 후 제어부에서 선택된 버튼을 판단한다(S830), 판단된 결과에 따라 제어부는 출력부를 통해 제어 신호를 외부로 전송한다(S840).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9에 따르면, 복수의 버튼을 그룹화하여 하나의 그룹당 하나의 압전 소자가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 버튼 및 TV/외부입력 버튼 그룹(910)은 하나의 압전 소자에 대응되고 버튼 1, 2, 3 그룹(920) 역시 하나의 압전 소자에 대응된다. 버튼 1이 푸쉬되면 압력이 압전 소자에 가해지고 해당 압력에 대응되는 레벨의 전압이 발생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전기 신호를 전송한다. 버튼 2, 3 역시 마찬가지이다.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선택된 버튼 전기 신호를 통해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제어 신호를 전송 할 수 있다. 이 때 이미 전압 레벨이 저장된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어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 및 TV/외부입력 버튼 그룹(910) 및 버튼 1,2,3 그룹(920)으로 그룹된 경우처럼 나머지 복수의 버튼 그룹(930, 940, 950, 960)도 각각의 그룹당 하나의 압전소자에 대응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제어 장치 110 : 압전 소자
120 : 제어부 130 : 출력부
120 : 제어부 130 : 출력부
Claims (10)
- 압전 소자;
상기 압전 소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압전 소자로 서로 다른 크기의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복수의 버튼;
상기 압전소자로부터 상기 압력에 대응되는 크기의 전기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전기 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버튼 중에서 선택된 버튼을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소자로부터 상기 전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기 신호의 크기에 대응되는 레벨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인가하는 변압부;
상기 복수의 버튼 각각에 대해 기 저장된 전압 레벨이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압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활성화되어, 상기 복수의 버튼 각각에 대해 저장된 복수의 전압 레벨과 상기 변압부에서 인가되는 전압의 전압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버튼 중에서 상기 선택된 버튼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바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버튼은 상기 바디부의 제1 표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홀에 각각 탑재되고, 상기 압전 소자는 상기 바디부의 제2 표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홀에 대응되도록 탑재되며,
상기 복수의 버튼 각각은,
사용자 터치가 가능한 접촉부(contact part);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압전 소자로 연결 가능한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 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버튼에 대해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탄성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버튼 각각에 구비된 접촉부는, 상기 바디부의 제1 표면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며 각 버튼이 푸쉬될 때 상기 제1 표면에 접촉되어, 각 버튼이 동일한 깊이로 푸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튼 각각에 구비된 연장부는,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튼 각각에 구비된 연장부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압전 소자의 표면상에서 상기 복수의 홀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돌출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버튼 각각에 구비된 연장부와 터치되면, 상기 압전 소자로 서로 다른 크기의 압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튼 각각에 구비된 연장부 및 상기 압전 소자 사이에 배치된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압전 소자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압전 소자로 서로 다른 크기의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복수의 버튼 중에서 하나의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압전소자가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되는 크기의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전기 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버튼 중에서 선택된 버튼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01209A KR20150024134A (ko) | 2013-08-26 | 2013-08-26 | 버튼을 이용하는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US14/211,618 US20150054383A1 (en) | 2013-08-26 | 2014-03-14 | Control device using button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PCT/KR2014/007083 WO2015030378A1 (en) | 2013-08-26 | 2014-08-01 | Control device using button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01209A KR20150024134A (ko) | 2013-08-26 | 2013-08-26 | 버튼을 이용하는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4134A true KR20150024134A (ko) | 2015-03-06 |
Family
ID=52479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01209A KR20150024134A (ko) | 2013-08-26 | 2013-08-26 | 버튼을 이용하는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50054383A1 (ko) |
KR (1) | KR20150024134A (ko) |
WO (1) | WO2015030378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236012A1 (ko) * | 2017-06-22 | 2018-12-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입출력 장치 |
KR102138470B1 (ko) * | 2019-07-14 | 2020-07-27 | 이광희 | 에너지 하베스팅 리모콘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089947B2 (ja) * | 2013-05-13 | 2017-03-08 |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 無線装置および無線制御システム |
CN107046783B (zh) * | 2017-01-19 | 2023-04-18 | 广东易百珑智能科技有限公司 | 防水无源无线控制器和控制系统及其应用 |
CN106972780B (zh) * | 2017-04-01 | 2021-02-09 | 广东易百珑智能科技有限公司 | 可变更按键数目的无源回弹式开关 |
CN107395188B (zh) * | 2017-07-12 | 2020-01-17 | 华南农业大学 | 基于磁流变液的无人机遥控触觉按钮及控制方法 |
US11295604B2 (en) * | 2019-09-26 | 2022-04-05 | Guangdong Ebelong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 Passive rebound switch having variable number of buttons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633186A (en) * | 1923-06-25 | 1927-06-21 | Drahtlose Telegraphie Gmbh | Arrangement for converting acoustic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US3366808A (en) * | 1966-01-03 | 1968-01-30 | Friden Inc | Keyboard key transducer |
CA1026237A (en) * | 1973-09-17 | 1978-02-14 | Kureha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 Key board switch |
CH667763A5 (de) * | 1985-07-23 | 1988-10-31 | Schenk & Co | Folientastatur. |
US6060817A (en) * | 1998-04-06 | 2000-05-09 | Motorola, Inc. | Switching method using a frequency domain piezoelectric switch |
GB2381238A (en) * | 2001-09-05 | 2003-04-30 | Logitech Europ Sa | Pressure sensitive functionality for keyboard keys |
WO2004034730A1 (en) * | 2002-10-11 | 2004-04-22 | Domotion Ltd. | Remote controller |
DE102006041226B4 (de) * | 2006-09-02 | 2015-05-13 | Diehl Ako Stiftung & Co. Kg | Drucktastschalter |
US8288923B2 (en) * | 2009-09-10 | 2012-10-16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Piezoelectric based energy supply using independent piezoelectric components |
WO2011154930A1 (en) * | 2010-06-07 | 2011-12-15 | Baran Advanced Technologies (86) Ltd. | Touch pad controller |
-
2013
- 2013-08-26 KR KR20130101209A patent/KR2015002413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4
- 2014-03-14 US US14/211,618 patent/US2015005438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4-08-01 WO PCT/KR2014/007083 patent/WO2015030378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236012A1 (ko) * | 2017-06-22 | 2018-12-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입출력 장치 |
US10434879B2 (en) | 2017-06-22 | 2019-10-08 | Lg Electronics Inc. | Input/output device including sticks for forming one or more buttons |
KR102138470B1 (ko) * | 2019-07-14 | 2020-07-27 | 이광희 | 에너지 하베스팅 리모콘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5030378A1 (en) | 2015-03-05 |
US20150054383A1 (en) | 2015-0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024134A (ko) | 버튼을 이용하는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CN110914785B (zh) | 提供触觉反馈的装置和具有该装置的器件 | |
JP2019536621A (ja) | 触覚フィードバックを伝達する装置、及び、当該装置を備えるデバイス | |
US20080054327A1 (en) | Voltage controller | |
JP5458417B2 (ja) | 発電機能付き電気機器 | |
US20060289657A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r interaction with RFID cards | |
CN102483663A (zh) | 输入装置 | |
CN103765620A (zh) | 具有电活性层的层复合物 | |
MX2010010574A (es) | Reduccion de consumo de energia en electronica de control remoto. | |
JP2003224315A (ja) | 起電装置、電源装置、遠隔操作装置、及び電子機器 | |
US9524033B2 (en) | Wireless keyboard | |
US10103651B2 (en) |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 and wireless switch including the same | |
WO2006124972A3 (en) | Method of one key test function in a consumer network device | |
US20160065096A1 (en) |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 and wireless switch including the same | |
KR102718952B1 (ko) | 무선 전력 전송 및 통신 | |
CN102346431A (zh) | 具遥控功能的便携式电子装置 | |
US9871600B2 (en) | Wireless switch | |
US10078369B2 (en) | Tactile-sensation transmitting device, terminal device, and tactile-sensation transmitting method | |
KR101701032B1 (ko) | 무선 스위치 | |
US20160065097A1 (en) |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 and wireless switch including the same | |
KR101701031B1 (ko) | 무선 스위치 | |
US10050565B2 (en) |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 and wireless switch including the same | |
US20160066396A1 (en) | Wireless switch | |
KR102518047B1 (ko) | 쌍방향 통신 장치를 활용한 의료 및 미용용 패드의 식별 감응 장치의 작동 방법 | |
KR20170008635A (ko) | 무선 신호 전송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조명 제어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