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391U - 에어 슬래브 - Google Patents
에어 슬래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3391U KR20150003391U KR2020150004309U KR20150004309U KR20150003391U KR 20150003391 U KR20150003391 U KR 20150003391U KR 2020150004309 U KR2020150004309 U KR 2020150004309U KR 20150004309 U KR20150004309 U KR 20150004309U KR 20150003391 U KR20150003391 U KR 2015000339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low
- air
- slab
- air slab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04—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beams or slab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asbestos cement
- E04B5/043—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beams or slab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asbestos cement having elongated hollow co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08—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assembled of block-shaped elements, e.g. hollow st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 슬래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에어 슬래브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다수개의 중공을 포함하는 에어 슬래브에 있어서: 상기 중공은, 상기 에어 슬래브의 중앙부 및 양단부에 위치되는 제1중공; 및 상기 제1중공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에어 슬래브의 나머지에 위치되는 제2중공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슬레브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1중공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면과 상기 에어 슬레브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1중공에 인접하는 상기 제2중공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면 사이의 영역은, 상기 에어 슬레브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2중공의 중심을 각각 지나는 한쌍의 가상의 수직면 사이의 영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에어 슬래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내부 응력의 분포에 따라서 중공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추가적인 철근의 배근 없이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에어 슬래브에 관한 것이다.
중공 슬래브 또는, 에어 슬래브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것으로, 재료의 절감 및 자중의 감소를 위하여 그 내부에 장변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는 슬래브를 의미한다. 즉 에어 슬래브는 슬래브의 휨 성능에 영향을 적게 미치는 부분의 콘크리트를 삭제하여 중공을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의 물량을 감소시켜서 전체 구조물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에어 슬래브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에어 슬래브(10)는 기설정된 장변 길이, 단변 길이 및 높이를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에어 슬래브(10)는, 그 단변 길이(l)가 1200mm 또는 그 이하의 규격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은 상기 에어 슬래브(1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온도 철근(12)이 격자 형상으로 배근된다. 또한 상기 에어 슬래브(10)의 내부에는 장변 방향으로 다수개의 중공(11)이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에어 슬래브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있다.
먼저, 종래의 에어 슬래브(10)는, 그 단변 길이(l)가 1200mm 이하의 값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구조물의 크기에 맞춰서 다수개의 상기 에어 슬래브(10)를 그 단변 방향으로 배열하여야 하므로, 시공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불편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에어 슬래브(10)의 폭을 증가시키는 경우, 예를 들면, 2400mm의 단변 길이를 가지도록 상기 에어 슬래브(10)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그 설치 환경에 따라서 상기 에어 슬래브(10)의 단변 방향으로 작용하는 응력, 예를 들면, 휨모멘트 등에 저항하기 위하여 별도의 철근 등을 배근하거나 상기 에어 슬래브(10)의 두께를 증가시켜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에어 슬래브(10)의 단변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추가적인 재료의 사용을 필요로 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단변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에어 슬래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단변 길이의 증가를 위하여 소요되는 재료의 추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에어 슬래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에어 슬래브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다수개의 중공을 포함하는 에어 슬래브에 있어서: 상기 중공은, 상기 에어 슬래브의 중앙부 및 양단부에 위치되는 제1중공; 및 상기 제1중공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에어 슬래브의 나머지에 위치되는 제2중공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슬레브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1중공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면과 상기 에어 슬레브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1중공에 인접하는 상기 제2중공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면 사이의 영역은, 상기 에어 슬레브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2중공의 중심을 각각 지나는 한쌍의 가상의 수직면 사이의 영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제1중공의 단면은, 상기 제2중공의 단면의 1/2 이상 7/10 이하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제2중공의 단면의 크기는 상기 제1중공으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제2중공의 높이는, 상기 제1중공의 높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값으로 설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에어 슬래브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2000mm 이상의 단변 길이를 가진 에어 슬래브의 제작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시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에어 슬래브의 단변 길이의 증가에 따라서 작용하는 휨모멘트에 저항하기 위한 별도의 철근의 배근이나, 에어 슬래브의 두께의 증가 등이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단변 길이가 2000mm 이상인 에어 슬래브의 용이하고 경제적인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에어 슬래브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에어 슬래브의 제1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에어 슬래브의 제2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에어 슬래브의 제1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에어 슬래브의 제2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에어 슬래브의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에어 슬래브의 제1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에어 슬래브(100)는, 3개의 제1부분(101) 및 2개의 제2부분(102)을 포함한다. 상기 제1부분(101)은, 상기 에어 슬래브(100)의 중앙부 및 양단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부분(102)은, 상기 제1부분(101)을 제외한 상기 에어 슬래브(100)의 나머지에 위치된다. 다른 표현으로는, 상기 에어 슬래브(100)의 중앙부 및 양단부 일부가 상기 제1부분(101)을 정의하고, 상기 제1부분(101)을 제외한 상기 에어 슬래브(100)의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2부분(102)을 정의한다고도 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부분(101)(102)의 좌우폭, 즉 상기 에어 슬래브(100)의 단변 길이(L)는 적어도 2000mm 이상, 바람직하게는, 2400mm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부분(101)에는 각각 제1중공(110)이 형성된다. 상기 제1중공(110)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부분(101)의 길이 방향, 즉 상기 에어 슬래브(100)의 장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부분(102)에는 각각 다수개의 제2중공(120)이 형성된다. 상기 제2중공(120)도, 상기 제1중공(110)과 유사하게, 상기 제2부분(102)의 길이 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에어 슬래브(100)의 장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단면을 가지는 다수개의 상기 제2중공(120)은 상기 제2부분(102)의 폭방향, 즉 상기 에어 슬래브(100)의 단변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중공(110)이 상기 제2중공(1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에어 슬래브(100)가 구조물에 시공된 상태, 즉 상기 에어 슬래브(100)가 기둥이나 보 등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에어 슬래브(100)의 단변 방향으로 작용하는 휨모멘트에 저장하는 재료, 즉 콘크리트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중공(110)의 단면을 상기 제2중공(120)의 단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용하는 휨모멘트값이 큰 상기 에어 슬래브(100)의 중앙부 및 양단부, 즉 상기 제1부분(101)의 재료의 양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제1부분(101)의 재료의 양만 증가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상기 에어 슬래브(100)의 제작에 소요되는 재료의 양의 증가는 최소화하면서, 상기 에어 슬래브(100)의 단변 길이의 증가에 따른 휨모멘트의 증가에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중공(110)의 단면은, 상기 제2중공(120)의 단면의 1/2 이상 7/10 이하의 크기로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제1 및 제2중공(110)(120)의 크기 차이는, 상기 제1 및 제2부분(101)(102)의 밀도차로 설명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부분(101)은, 상기 제2부분(10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갖는다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에어 슬래브(100)에는 다수개의 온도 철근(130)이 배근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온도 철근(130)이 상기 에어 슬래브(100)의 장변 및 단변 방향, 즉 격자 형상으로 배근된다. 상기 온도 철근(130)은, 상기 중공 슬래브(100)의 온도 변화에 따른 응력에 저항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에어 슬래브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에어 슬래브의 제2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에어 슬래브(200)는, 제1 및 제2부분(201)(20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부분(201)(202)에는, 각각 제1 및 제2중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에어 슬래브()에는 다수개의 온도 철근(230)이 상기 에어 슬래브(200)의 격자 형상으로 배근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구성은, 상술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중공(220)의 단면 크기가, 상기 제1중공(210)또는 상기 제1부분(201)으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한다. 즉, 상기 제2중공(220) 중 상기 제1중공(210)과 가장 인접한 상기 제2중공(221)에 비하여 상기 제1중공(21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장 이격되는 상기 제2중공(223)이 상대적으로 더 큰 단면을 갖는다. 이는 실질적으로, 상기 에어 슬래브(220)의 단변 방향으로 작용하는 휨모멘트의 크기에 반비례하도록 상기 제2중공(220)의 크기를 결정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 에어 슬래브
101, 201: 제1부분
102, 202 : 제2부분 110, 210 : 제1중공
120, 220 : 제2중공 130, 230 : 철근
221, 222, 223, 224, 225 : 제2중공
102, 202 : 제2부분 110, 210 : 제1중공
120, 220 : 제2중공 130, 230 : 철근
221, 222, 223, 224, 225 : 제2중공
Claims (4)
- 다수개의 중공을 포함하는 에어 슬래브에 있어서:
상기 중공은,
상기 에어 슬래브의 중앙부 및 양단부에 위치되는 제1중공; 및
상기 제1중공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에어 슬래브의 나머지에 위치되는 제2중공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슬레브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1중공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면과 상기 에어 슬레브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1중공에 인접하는 상기 제2중공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면 사이의 영역은, 상기 에어 슬레브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2중공의 중심을 각각 지나는 한쌍의 가상의 수직면 사이의 영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밀도로 형성되는 에어 슬래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공의 단면은, 상기 제2중공의 단면의 1/2 이상 7/10 이하인 에어 슬래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공의 단면의 크기는 상기 제1중공으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는 에어 슬래브.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공의 높이는, 상기 제1중공의 높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값으로 설계되는 에어 슬래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4309U KR20150003391U (ko) | 2015-06-26 | 2015-06-26 | 에어 슬래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4309U KR20150003391U (ko) | 2015-06-26 | 2015-06-26 | 에어 슬래브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10919A Division KR20150032358A (ko) | 2013-09-16 | 2013-09-16 | 에어 슬래브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3391U true KR20150003391U (ko) | 2015-09-14 |
Family
ID=54341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4309U KR20150003391U (ko) | 2015-06-26 | 2015-06-26 | 에어 슬래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03391U (ko) |
-
2015
- 2015-06-26 KR KR2020150004309U patent/KR20150003391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10039B1 (ko) | 내하력이 향상된 파형강판 웨브 피에스씨 박스거더교의 연속지점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파형강판 피에스씨 박스거더교 | |
KR20080020067A (ko) | 층고 절감을 위한 철골 합성보 구조 | |
KR102632017B1 (ko) | 표준 보를 대체하기 위한 구조적 시스템 및 표준 보를 대체하기 위한 구조적 시스템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 |
JP2011184969A (ja) | 連続鉄筋コンクリート舗装用支持スペーサーの設置方法 | |
KR20110052101A (ko) | 케이블지지 교량의 초고성능 콘크리트 바닥판 구조물 | |
KR101518854B1 (ko) | 보강판-트러스부재로 이루어진 보강재와 콘크리트 빔의 합성에 의한 저형고 및 프리스트레스 보강 구성의 합성거더 | |
KR20150003391U (ko) | 에어 슬래브 | |
JP2006118162A (ja) | 耐震補強コンクリート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120135567A (ko) | 일체성 향상을 위해 가장자리 단차 접합부를 갖는 중공슬래브 | |
JP5722093B2 (ja) | 構造壁のひびわれ抑制構造 | |
KR20160101258A (ko) |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이용한 슬래브 일체형 아치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101051475B1 (ko) | 하부플랜지의 단면적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 |
JP2014227827A (ja) | 鉄筋コンクリート壁板の鉄筋構造及びその工法 | |
KR102061515B1 (ko) | 휨강성과 단면계수를 증가시킨 합성거더 및 그 합성거더를 이용한 가설구조물과 교량 | |
KR20140069752A (ko) | 철근매입에 의한 전단벽 등분포보강 및 단부보강 공법 | |
KR20150032358A (ko) | 에어 슬래브 | |
EP3161220B1 (en) | Building element suitable for forming a wall of a building | |
KR101300490B1 (ko) | 이종재료 상부플랜지를 갖는 중공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 |
JP6374712B2 (ja) | 鉄筋コンクリート造基礎梁の補強構造及び補強用ユニット | |
KR20120028198A (ko) | 벽면 타설용 폼 블록 구조물을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 |
JP7453837B2 (ja) |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配筋構造および鉄筋施工方法 | |
JP6449805B2 (ja) | 合成床版用デッキプレート | |
JP7092488B2 (ja) | 鉄筋部材、及び鉄筋部材を使用した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 | |
KR101532430B1 (ko) | 증가된 리브 높이를 갖는 복합 리브 슬래브의 제작 및 시공방법 | |
JP2006132137A (ja) | 法面安定化方法及び法面安定化構造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