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40073379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379A
KR20140073379A KR1020130015307A KR20130015307A KR20140073379A KR 20140073379 A KR20140073379 A KR 20140073379A KR 1020130015307 A KR1020130015307 A KR 1020130015307A KR 20130015307 A KR20130015307 A KR 20130015307A KR 20140073379 A KR20140073379 A KR 20140073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execution
subspace
window
space
execu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
김강태
김영진
김철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73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3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가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공간을 가지는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설정하는 단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가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공간을 가지는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층 및 제 2 층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의 각각의 서브 공간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윈도우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의 서브 공간 중 하나인 제 1 서브 공간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윈도우의 표시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스크톱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예, 모니터)를 가진다.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모바일 장치(예, 휴대폰,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진다.
데스크톱 컴퓨터의 사용자는 작업 환경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분할(예, 복수의 윈도우를 띄워놓고 작업하는 방식으로 가로분할 또는 세로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가 실행되는 경우, 키보드에 있는 페이지 업(page up) 버튼 또는 페이지 다운(page down) 버튼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의 위 방향 또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키보드 대신 마우스를 이용하는 경우, 마우스의 커서로 웹 페이지의 측면에 있는 스크롤 바(scroll bar)를 선택하여 웹 페이지의 위 방향 또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웹 페이지의 아래 부분에 있는 텍스트 또는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맨 위로(top) 버튼을 선택하여 웹 페이지의 맨 위 부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는 데스크톱 컴퓨터와 비교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크기가 작고, 입력에 제한을 가진다. 모바일 장치는 화면을 분할하여 사용하기가 어렵다.
또한, 모바일 장치에는 상기 장치의 제조사에 의해 제작되어 상기 장치에 설치되는 기본 어플리케이션들과, 인터넷의 어플리케이션 판매 사이트를 통하여 다운로드되는 추가 어플리케이션들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어플리케이션들은 일반 이용자들에 의해 개발되고, 상기 판매 사이트에 등록될 수 있다. 따라서, 누구든지 자신이 개발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판매 사이트를 통하여 자유롭게 상기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에게 판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모바일 장치에는 그 제품에 따라 수만에서 수십만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이 무료 또는 유료로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이, 소비자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모바일 장치에 제공되고 있으나, 모바일 장치는 휴대 가능한 크기로 제작되기 때문에 그 디스플레이의 크기 및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에 제한이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장치에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는데 사용자의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에서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경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전체에 표시된다. 그리고, 다른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먼저 종료시키고 나서, 다시 상기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키를 선택하여야 한다. 즉, 모바일 장치에서는 여러 가지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및 종료 과정들을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은 모바일 장치에서 동시에 실행시키기 위한 방법은 제공되지 않고 있다.
아울러, 종래의 모바일 장치는, 어플리케이션별로 지정된 실행 공간을 정의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다른 어플리케이션 화면으로 전환하는 것에 있어서,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 후, 홈 화면으로 복귀하고, 홈 화면에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해야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간 데이터를 공유하는 경우에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를 복사한 후, 다시 홈 화면으로 복귀하고,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데이터를 붙여넣어야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3차원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새롭게 정의하며, 새롭게 정의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상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가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공간을 가지는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설정하는 단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가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공간을 가지는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층 및 제 2 층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의 각각의 서브 공간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윈도우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의 서브 공간 중 하나인 제 1 서브 공간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가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공간을 가지는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설정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가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공간을 가지는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설정하고, 상기 제 1 층 및 제 2 층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의 각각의 서브 공간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윈도우를 배치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의 서브 공간 중 하나인 제 1 서브 공간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하여, 사용자는 용이하게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에서 원하는 페이지 및 원하는 위치에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어, 사용자 편의가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3차원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이 정의되어, 더욱 다양한 방식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윈도우 배치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가 극대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3차원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차원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에서의 페이지들 간의 전환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 내지 5c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페이지 단위가 아닌, 픽셀 단위로 이동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6a 내지 6f는 3차원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 사이를 이동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의 개념도이다.
도 10a 내지 10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1a 내지 11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2a 내지 12h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3a 내지 13g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및 커넥터(165)를 이용하여 외부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장치”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도시되지 아니함) 및 서버(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스크린(190)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부(110),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및 전원공급부(180)를 포함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CPU(11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제1 터치스크린(190a), 제2 터치스크린(190b)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통신 모듈(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AP(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화상형성장치(도시되지 아니함)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Zig-bee 방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재생 모듈(14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을 제외하고 오디오재생 모듈(142)과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40)의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00)에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151) 또는 제2 카메라(152)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예, 플래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51)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면에 배치되고, 제2 카메라(152)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달리 취한 방식으로,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는 인접(예,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의 간격이 1 cm 보다 크고, 8 cm 보다는 작은)하게 배치되어 3차원 정지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GPS 모듈(155)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복수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161)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볼륨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16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또는 카메라 모듈(150)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디스플레이 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모터(164)가 동작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터치스크린(190) 상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터치스크린(190) 상에서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16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장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원이 입력되거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센서 모듈(17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170)은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접근여부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센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모듈(170)의 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터치스크린(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내 롬(112), 램(113)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메모리, 휘발성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가능한 입력 수단(예,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는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 검출가능한 간격이 1 mm 이하)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에서 검출가능한 간격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0)에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된 단축 실행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이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단축 실행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우선,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스크린(190)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가상의 영역인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을 정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 전체에 대하여 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 전체에 대하여 900 x 900 크기의 좌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좌표값은 x축에 대하여 -300 내지 600의 값을 설정하고, y축에 대하여 -300 내지 600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을 9개의 서브 공간(201 내지 209)로 분할하여 정의할 수 있다. 서브 공간(201 내지 209)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하나의 서브 공간상에 하나의 윈도우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윈도우를 배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x축에 대하여 -300 내지 0의 값을 설정하고, y축에 대하여 0 내지 300의 값을 설정한 제 1 서브 공간(201)을 정의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각의 서브 공간에 대하여서도 좌표값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 결과는 하기의 표 1과 같을 수 있다.
서브 공간 인덱스 x 축 좌표값 범위 y 축 좌표값 범위
1 -300 ~ 0 300 ~ 600
2 0 ~ 300 300 ~ 600
3 300 ~ 600 300 ~ 600
4 -300 ~ 0 0 ~ 300
5 0 ~ 300 0 ~ 300
6 300 ~ 600 0 ~ 300
7 -300 ~ 0 -300 ~ 0
8 0 ~ 300 -300 ~ 0
9 300 ~ 600 -300 ~ 0
각각의 서브 공간(201 내지 209)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가 적어도 하나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서브 공간(202) 상에는 어플리케이션 B를 실행하는 제 1 윈도우(210)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 4 서브 공간(204) 상에는 어플리케이션 G를 실행하는 제 2 윈도우(211) 및 어플리케이션 H를 실행하는 제 3 윈도우(212)가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 5 서브 공간(205) 상에는 어플리케이션 A를 실행하는 제 4 윈도우(213)가 전체 화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6 서브 공간(206) 상에는 어플리케이션 C를 실행하는 제 5 윈도우(214) 및 어플리케이션 D를 실행하는 제 6 윈도우(215)가 스플릿 모드(split mode)로써 좌우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 8 서브 공간(207) 상에는 어플리케이션 E를 실행하는 제 7 윈도우(216) 및 어플리케이션 F를 실행하는 제 8 윈도우(217)가 스플릿 모드로써 상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브 공간(201 내지 209) 각각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배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브 공간(201 내지 209) 중 하나의 서브 공간, 예를 들어 제 5 서브 공간(205)을 터치스크린(190)에 물리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5 서브 공간(205) 상의 A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 4 윈도우(213)를 표시한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되는 표시 변경 제스처에 기초하여 제 5 서브 공간(205)이 아닌 다른 서브 공간을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90)에 우측으로의 드래그 제스처를 입력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6 서브 공간(206)을 터치스크린(190)에 물리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190)에 물리적으로 표시되는 영역의 x축 좌표값을 0 내지 300으로 재설정하고, y축 좌표값을 0 내지 300으로 재설정할 수 있으며, 재설정된 수치에 기초하여 나머지 서브 공간의 좌표도 재설정할 수 있다. 서브 공간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구성에 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10)는 각각의 서브 공간(201 내지 209)을 페이지 단위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 5 서브 공간(205)으로부터 제 6 서브 공간(206)으로의 표시 변경 제스처를 입력한 경우, 제어부(110)는 제 5 서브 공간(205)의 표시를 제 6 서브 공간(206)의 표시로 서브 공간 단위, 즉 페이지 단위로 변경한다. 제어부(110)는 제 5 서브 공간(205)으로부터 제 6 서브 공간(206)으로의 표시 변경을 애니메이션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표시 변경 중 제 5 서브 공간(205)의 일부 및 제 6 서브 공간(206)의 일부를 동시에 표시할 수는 있으나, 제 5 서브 공간(205)의 일부 및 제 6 서브 공간(206)의 일부가 혼합된 이미지를 확정적으로 표시할 수는 없다. 이에 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10)는 각각의 서브 공간(201 내지 209)을 페이지 단위로 관리하지 않고 픽셀 단위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5 서브 공간(205)으로부터 제 6 서브 공간(206)으로의 표시 변경 제스처를 입력한 경우, 제어부(110)는 제 5 서브 공간(205)의 표시를 제 6 서브 공간(206)의 표시로 픽셀 단위로 변경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제어부(110)는 물리적으로 표시하는 좌표의 x축 범위를 (0,300)에서부터 (1,301), (2,302) 순으로 1씩 변경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서, 터치스크린(190) 상에는 제 5 서브 공간(205)의 일부 및 제 6 서브 공간(206)의 일부가 혼합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서도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윈도우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타이틀 바와 제어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객체(object)들이 표시될 수 있다. 객체는 텍스트, 도형, 아이콘, 버튼, 체크박스, 사진, 동영상, 웹(web), 맵(map)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객체를 사용자가 터치할 경우, 상기 객체에 미리 정해진 기능 또는 이벤트가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객체는 운영체제에 따라 뷰(view)라고 불리울 수 있다. 타이틀 바는 윈도우의 표시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키는 윈도우 표시 최소화 버튼, 윈도우 표시 최대화 버튼 및 윈도우 종료 버튼일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들은 각각 디스플레이 장치(100) 제조사 또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자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된 프로그램이다. 이에 따라,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 위하여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실행되고 있을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또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더라도 다른 어플리케이션은 계속 실행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된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내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일부 기능들(메모 기능, 메시지 송수신 기능)이 추가된 복합 기능 어플리케이션(또는, 듀얼 어플리케이션)과 구별된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 기능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기능들을 갖도록 새롭게 제작되는 단일 어플리케이션으로서, 기존의 어플리케이션들과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기 복합 기능 어플리케이션은, 기존의 어플리케이션들과 같이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지 못하고, 제한적인 기능들은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이러한 새로운 복합 기능 어플리케이션을 별도로 구매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도 2a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 전체에 대하여 900 x 900 크기의 좌표가 설정되고, 좌표값은 x축에 대하여 -300 내지 600의 값을 설정하고, y축에 대하여 -300 내지 600의 값이 설정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의 좌표값은 얼마든지 다른 값으로 설정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은 물리적인 디스플레이 영역, 예컨대 터치 스크린(190)의 사이즈에 따라 각 서브 공간 예컨대 페이지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에서 물리적인 디스플레이 영역의 사이즈가 1024 x 640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하나의 페이지는 참조번호 250과 같이 최대 1024 x 640의 크기를 가지도록 포함될 수 있으며, 각 페이지는 (0,0)을 기준으로 x축 +방향 및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고, y축의 +방향 및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페이지의 크기가 최대 1024 x 640 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애플리케이션 실행 윈도우의 크기는 물리적인 디스플레이 영역의 사이즈에 따라 크거나 작을 수 있다. 페이지의 크기는 최대 사이즈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크기의 제한이 없으며, 각 페이지에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윈도우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3차원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스크린(190)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가상의 영역인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을 정의할 수 있다.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 및 배치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윈도우들은 도 2a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의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 이외에 제 2 및 제 3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20,240)을 더 정의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220,240)을 정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20)에도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과 동일하도록 9개의 서브 공간(221 내지 229)을 정의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일부 서브 공간(221,222,224,225)가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에 의하여 가려져 표시되지 않지만,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20)이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과 같이 9개의 서브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아울러, 제 3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40) 또한 9 개의 서브 공간(241 내지 249)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20) 및 제 3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40) 각각에 대하여 상이한 z 좌표를 더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의 z 좌표를 1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의 z 좌표를 2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제 3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의 z 좌표를 3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의 각각의 좌표값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 결과는 하기의 표 2와 같을 수 있다.
서브 공간 인덱스 x 축 좌표값 범위 y 축 좌표값 범위 z 축 좌표
1 -300 ~ 0 300 ~ 600 1
2 0 ~ 300 300 ~ 600 1
3 300 ~ 600 300 ~ 600 1
4 -300 ~ 0 0 ~ 300 1
5 0 ~ 300 0 ~ 300 1
6 300 ~ 600 0 ~ 300 1
7 -300 ~ 0 -300 ~ 0 1
8 0 ~ 300 -300 ~ 0 1
9 300 ~ 600 -300 ~ 0 1
각각의 서브 공간(201 내지 209)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가 적어도 하나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20)의 서브 공간(221 내지 229) 및 제 3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40)의 서브 공간(241 내지 249)의 좌표를 각각 표 3 및 표 4와 같이 설정할 수 있다.
서브 공간 인덱스 x 축 좌표값 범위 y 축 좌표값 범위 z 축 좌표
1 -300 ~ 0 300 ~ 600 2
2 0 ~ 300 300 ~ 600 2
3 300 ~ 600 300 ~ 600 2
4 -300 ~ 0 0 ~ 300 2
5 0 ~ 300 0 ~ 300 2
6 300 ~ 600 0 ~ 300 2
7 -300 ~ 0 -300 ~ 0 2
8 0 ~ 300 -300 ~ 0 2
9 300 ~ 600 -300 ~ 0 2
서브 공간 인덱스 x 축 좌표값 범위 y 축 좌표값 범위 z 축 좌표
1 -300 ~ 0 300 ~ 600 3
2 0 ~ 300 300 ~ 600 3
3 300 ~ 600 300 ~ 600 3
4 -300 ~ 0 0 ~ 300 3
5 0 ~ 300 0 ~ 300 3
6 300 ~ 600 0 ~ 300 3
7 -300 ~ 0 -300 ~ 0 3
8 0 ~ 300 -300 ~ 0 3
9 300 ~ 600 -300 ~ 0 3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20)의 서브 공간(221 내지 229) 각각 또는 제 3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40)의 서브 공간(241 내지 249) 상에도 어플리케이션 실행 윈도우를 배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브 공간(201 내지 209, 221 내지 229, 241 내지 249) 각각에 대하여 윈도우 표시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윈도우 표시 모드를 스플릿 모드(split mode) 또는 프리스타일 모드(freestyle mode)로 결정할 수 있다. 스플릿 모드는 실행 중인 윈도우가 서로 중첩되지 않으면서, 전체 화면을 분할하여 표시되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프리스타일 모드는 실행 중인 윈도우가 각각의 표시 순위에 기초하여 서로 중첩되어 표시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프리스타일 모드에서, 표시 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윈도우는 표시 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윈도우를 덮으면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윈도우들이 겹치는 부분에서는 표시 순위가 높은 윈도우가 표시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브 공간(201 내지 209, 221 내지 229, 241 내지 249) 각각에 대하여 다양한 윈도우 표시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서브 공간(201 내지 209, 221 내지 229, 241 내지 249) 각각에 배치되는 윈도우의 개수는 제한이 없다. 한편, 도 3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3개의 2차원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220,240)을 설정하였지만, 당업자는 차원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220,240)의 개수에 제한이 없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각의 2차원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220,240)이 9 개의 서브 공간을 포함하는 것과 같이 도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는 서브 공간의 개수에 제한이 없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차원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에서의 페이지들 간의 전환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을 이용하여 제1 내지 제4 어플리케이션(A1, A2, A3, A4)을 실행하고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제1 어플리케이션(A1)은 제1 페이지(P1)에서 실행되고, 제2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A2, A3)는 제2 페이지(P2)에서 실행되고, 제4 어플리케이션(A4)는 제3 페이지에서 실행되는 경우가 도시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4의 (b)와 같이 터치 스크린(190)상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의 제2 페이지(P2)를 표시하다가 사용자 제스쳐 입력 또는 미니맵 또는 최근 실행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이용한 페이지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2 페이지(P2)를 도 4의 (a)와 같이 제1 페이지(P1)로 전환하여 표시하거나, 도 4의 (c)와 같이 제2 페이지(P2)를 제3 페이지(P3)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한편, 도 4의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브 공간을 페이지 단위로 관리할 수 있다. 즉, 사용자로부터의 서브 공간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브 공간을 페이지 단위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브 공간이 페이지 단위로 전환되는 경우에 있어,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페이지가 전환되는 경우, 진동, 램프, 사운드 출력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페이지 전환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a 내지 5c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페이지 단위가 아닌, 픽셀 단위로 이동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A)을 실행하는 제 1 윈도우(510), 제 2 어플리케이션(B)을 실행하는 제 2 윈도우(521), 제 3 어플리케이션(C)을 실행하는 제 3 윈도우(522), 제 4 어플리케이션(D)을 실행하는 제 4 윈도우(531), 제 5 어플리케이션(E)을 실행하는 제 5 윈도우(532)를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상에 배치한다.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제 2 윈도우(521) 및 제 3 윈도우(522)를 스플릿 모드로써 좌우로 분할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상에 배치한다.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제 4 윈도우(531) 및 제 5 윈도우(532)를 스플릿 모드로써 상하로 분할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상에 배치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500) 제 1 어플리케이션(A)을 실행하는 제 1 윈도우(510)를 물리적으로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500)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제스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물리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제 1 윈도우(510)의 우측 일부 및 제 2 윈도우(521)가 혼합된 이미지를 도 5b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500)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제스처가 추가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가 등장할 때까지 드래그 제스처를 지속적으로 입력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스크롤(scroll)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우측으로 추가적으로 이동시켜 물리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제 2 윈도우(521)의 우측 일부, 제 3 윈도우(522), 제 4 윈도우(531)의 좌측 일부 및 제 5 윈도우(532)의 좌측 일부가 혼합된 이미지를 도 5c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페이지 단위로 이동시키지 않으면서, 연속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a 내지 6f는 3차원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 사이를 이동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스크린(190)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가상의 영역인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20) 및 제 3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40)을 정의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20) 및 제 3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40) 상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윈도우를 적어도 하나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도 6a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의 특정 공간을 물리적으로 표시한다. 한편, 사용자는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으로부터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공간 이동 명령(601)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공간 이동 명령(60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틸팅(tilting) 또는 회전(rotating)시키는 제스처일 수 있다. 공간 이동 명령(601)의 틸팅(601) 방향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부가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방향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을 응시하는 경우에, 틸팅(601) 방향은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부 화면이 멀어지도록 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는,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보다 하방에 설정된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20)으로의 진입하는 것과 같은 제스처로 사용자 직관에 부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입력된 공간 이동 명령(601)을 처리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 모듈(170)은 입력된 공간 이동 명령(601)을 센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0)은 공간 이동 명령(601)의 예를 들어 틸팅 방향 및 틸팅 정도의 공간 이동 명령 정보를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센서 모듈(170)로부터 입력된 공간 이동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포커스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a의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110)는 입력된 공간 이동 명령(601)이 현재 포커스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의 하방에 정의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으로의 이동하라는 것임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포커스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서브 공간이 전환되는 경우에 있어,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층이 전환되는 경우, 진동, 램프, 사운드 출력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층의 전환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b는 포커스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이 이동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포커스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으로부터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2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상에 물리적으로 표시되는 공간을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의 제 1 영역으로부터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20)의 제 2 영역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 2 어플리케이션 공간(220) 중 포커스되는 제 2 영역은 제 1 영역과 동일한 x 좌표 및 y 좌표를 가지는 영역일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20)에서 가장 최근에 표시하였던 영역을 제 2 영역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디폴트 영역을 제 2 영역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동일 평면상에서의 다른 영역으로의 공간 이동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서는 도 4와 관련하여 상술하였기 때문에,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 2 영역으로부터 우측으로 포커스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이동시키는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도 6c는 동일 평면상에서의 포커스되는 영역이 이동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제 2 영역(610)으로부터 우측으로, 즉 제 3 영역으로 포커스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d는 포커스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이 이동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입력된 공간 이동 명령(602)을 처리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 모듈(170)은 입력된 공간 이동 명령(602)을 센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0)은 공간 이동 명령(602)의 틸팅 방향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부가 상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방향임을 센싱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을 응시하는 경우에, 틸팅 방향은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부 화면이 가까워지도록 하는 방향일 수 있으며, 센서 모듈(170)은 방향을 센싱할 수 있다. 이는,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20)보다 상방에 설정된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으로의 진입하는 것과 같은 제스처로 사용자 직관에 부합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0)은 공간 이동 명령(602)의 틸팅 방향 및 틸팅 정도의 공간 이동 명령 정보를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센서 모듈(170)로부터 입력된 공간 이동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포커스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d의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110)는 입력된 공간 이동 명령(601)이 현재 포커스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의 상방에 정의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으로의 이동하라는 것임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포커스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e는 포커스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이 이동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포커스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20)으로부터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상에 물리적으로 표시되는 공간을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20)의 제 3 영역(620)으로부터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의 제 4 영역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 1 어플리케이션 공간(200) 중 포커스되는 제 4 영역은 제 3 영역(620)과 동일한 x 좌표 및 y 좌표를 가지는 영역일 수 있다.
도 6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포커스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이 이동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포커스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20)으로부터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상에 물리적으로 표시되는 공간을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20)의 제 3 영역(620)으로부터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의 제 1 영역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200)에서 가장 최근에 표시하였던 제 1 영역을 포커스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10)는 제 1 영역의 디폴트된 영역을 포커스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 및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 사이 또는 동일 평면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상에서 포커스하는 영역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도 6a와 같은 다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S701). 도 6a에서는 다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의 개수가 3개이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각층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은 2차원 좌표를 가질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다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과의 구분을 위한 예를 들어 z 좌표를 더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의 제 1 서브 공간을 화면상에 물리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S703).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른 층의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으로의 공간 이동 명령을 입력받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705). 공간 이동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S705-N),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층의 제 1 서브 공간의 표시를 유지한다(S703). 한편, 공간 이동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S705-Y), 디스플레이 장치는 물리적으로 표시하는 영역을 제 1 층의 제 1 서브 공간으로부터 제 2 층의 제 2 서브 공간으로 변경한다(S707).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서브 공간은 제 1 서브 공간과 동일한 x, y 좌표를 가지는 영역일 수 있다. 또는, 제 2 서브 공간은 디폴트된 영역이거나 또는 제 2 서브 공간 중 가장 최근에 표시된 영역일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윈도우가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공간을 포함하는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S801).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윈도우가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공간을 포함하는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S803).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를 생성할 수 있다(S805).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생성할 수 있으며, 윈도우의 표시를 제어하도록 하는 타이틀 바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생성된 윈도우를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 또는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S807). 디스플레이 장치는, 배치되는 서브 공간에서 설정된 윈도우 표시 모드에 기초하여 윈도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신규 실행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에는 윈도우가 배치될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의 서브 공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분석하여, 윈도우를 배치할 수 있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의 개념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9a와 같이,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910) 및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920)을 정의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910)에 A 윈도우(911), B 윈도우(912), C 윈도우(913) 및 D 윈도우(914)를 배치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920)에 E 윈도우(921), F 윈도우(922), G 윈도우(923) 및 H 윈도우(924)를 배치한다. 여기에서,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910) 및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920)은 서로 인접할 수 있다. 다만,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910)에 배치된 A 윈도우(911), B 윈도우(912), C 윈도우(913) 및 D 윈도우(914)는 제 2 층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920)에 배치된 E 윈도우(921), F 윈도우(922), G 윈도우(923) 및 H 윈도우(924)와 관련이 없다.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의 개념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9b와 같이,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930) 및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940)을 정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930)에 A 윈도우(931), B 윈도우(932), C 윈도우(933) 및 D 윈도우(934)를 배치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920)에 A1 윈도우(941), A2 윈도우(942), A3 윈도우(943), A4 윈도우(944), B1 윈도우(951), B2 윈도우(952), B3 윈도우(953), B4 윈도우(954), C1 윈도우(961), C2 윈도우(962), C3 윈도우(963), C4 윈도우(964), D1 윈도우(971), D2 윈도우(972), D3 윈도우(973) 및 D4 윈도우(974)를 배치한다.
여기에서 A1 윈도우(941), A2 윈도우(942), A3 윈도우(943), A4 윈도우(944)는 제 1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910)의 제 A 윈도우(931)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A1 윈도우(941), A2 윈도우(942), A3 윈도우(943), A4 윈도우(944)는 A 윈도우(911)의 하위 윈도우일 수 있다. 아울러, B1 윈도우(951), B2 윈도우(952), B3 윈도우(953), B4 윈도우(954)는 B 윈도우(932)의 하위 윈도우일 수 있다. C1 윈도우(961), C2 윈도우(962), C3 윈도우(963), C4 윈도우(964)는 C 윈도우(933)의 하위 윈도우일 수 있다. D1 윈도우(971), D2 윈도우(972), D3 윈도우(973) 및 D4 윈도우(974)는 D 윈도우(934)의 하위 윈도우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위 윈도우들이 배치된 제 1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930)을 표시하도록 조작하다가, 하위 윈도우들이 배치된 제 2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940)으로 전환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10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0a 내지 10d의 실시 예는 특히, 좌우 스플릿 모드로 설정된 경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0a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020)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020)의 좌측에,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1011 내지 1014)을 포함하는 트레이(1010)를 표시한다. 사용자(10)는 제 4 어플리케이션(A4)을 실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0)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0)는 제 4 어플리케이션(A4)의 아이콘(1014)을 터치하고, 도 10b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020)의 좌측 영역으로의 드래그 제스처(1025)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10)가 실행하고자하는 영역으로의 드래그 제스처(1025)를 입력하면, 제어부(미도시)는 이에 대응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는 영역(1030)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020)와 다른 컬러 또는 밝기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드래그 제스처(1025)의 입력이 종료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제 4 윈도우(1030)를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020)의 좌측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10c에서, 사용자(10)는 제 2 어플리케이션(A2)을 추가적으로 실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0)를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제 2 어플리케이션(A2)의 아이콘(1012)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020)의 우측 나머지 영역으로의 드래그 제스처(1035)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10)가 실행하고자하는 영역으로의 드래그 제스처(1035)를 입력하면, 제어부(미도시)는 이에 대응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는 영역(1040)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020)와 다른 컬러 또는 밝기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드래그 제스처(1035)의 입력이 종료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제 2 윈도우(1040)를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020)의 우측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도 10d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제 4 윈도우(1030)를 좌측 영역에 표시하고, 제 2 윈도우(1040)를 우측 영역에 각각 스플릿 모드로 표시한다.
도 11a 내지 11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1a 내지 11d의 실시 예는 특히, 프리스타일 모드로 설정된 경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1a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1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120)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1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120)의 좌측에,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1111 내지 1117)을 포함하는 트레이(1110)를 표시한다. 사용자(10)는 제 1 어플리케이션(A1)을 실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100)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b와 같이, 사용자(10)는 제 1 어플리케이션(A1)의 아이콘(1111)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120)의 제 1 지점으로의 드래그 제스처(1125)를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100)는 입력된 실행 명령, 즉 드래그 제스처(1125)에 기초하여 제 1 어플리케이션(A)을 실행하는 제 1 윈도우(1130)를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120)의 제 1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 1 윈도우(1130)의 크기 및 형상은 디폴트된 값이거나, 또는 종료 이전에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사용자(10)는 제 3 어플리케이션(A3)을 추가적으로 실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100)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c와 같이, 사용자(10)는 제 3 어플리케이션(A3)의 아이콘(1113)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120)의 제 2 지점으로의 드래그 제스처(1135)를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100)는 입력된 실행 명령, 즉 드래그 제스처(1135)에 기초하여 제 3 어플리케이션(A3)을 실행하는 제 3 윈도우(1140)를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120)의 제 2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 2 윈도우(1130)의 크기 및 형상 또한 디폴트된 값이거나, 또는 종료 이전에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10)가 더욱 최근에 제스처를 입력한 윈도우는 제 3 윈도우(1140)이기 때문에,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어플리케이션(A1)보다 제 3 어플리케이션(A3)에 더 높은 태스크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제 3 어플리케이션(A3)이 제 1 어플리케이션(A1)을 덮으면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12h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2a 내지 12h의 실시 예는 특히, 스플릿 모드로 설정되어 다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 페이지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2a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2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220)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2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220)의 좌측에,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1211 내지 1217)을 포함하는 트레이(1210)를 표시한다. 도 12b는 도 12a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의 개념도이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은 제 1 페이지(1201), 제 2 페이지(1202) 및 제 3 페이지(1203)를 포함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200)는 제 1 페이지(1201)를 표시한다.
사용자(10)는 제 7 어플리케이션(A7)을 실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200)를 조작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10)는 제 7 어플리케이션(A7)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 제 2 페이지(1202)에 실행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1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 전환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제 7 어플리케이션(A7)의 아이콘(1217)을 터치하고, 도 12c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220), 즉 터치스크린의 우측 경계선으로의 드래그 제스처(1215)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우측 경계선으로의 드래그 제스처(1215)를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 전환 제스처, 또는 페이지 전환 제스처, 또는 서브 공간 전환 제스처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물리적으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제 1 페이지(1201)로부터 제 2 페이지(1202)로 전환한다. 도 12d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에서도 제 1 페이지(1201) 및 제 2 페이지(1202)의 경계선으로의 드래그 제스처를 제 1 페이지(1201)로부터 제 2 페이지(1202)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 전환 제스처로 인식할 수 인식할 수 있다.
도 12e에서, 사용자는 제 7 어플리케이션(A7) 아이콘을 제 2 페이지의 상부(1240)까지 드래그한 후 도 12g와 같이 드롭(drop)할 수 있다. 사용자(10)가 실행하고자하는 영역으로의 드래그 앤 드롭 제스처(1225)를 입력하면, 제어부(미도시)는 이에 대응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는 영역(1240)을 어플리케이션 제 2 페이지의 실행 공간(1230)와 다른 컬러 또는 밝기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드래그 앤 드롭 제스처(1215)의 입력이 종료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제 7 윈도우(1240)를 제 2 페이지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202)의 상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도 12f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200)가 물리적으로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이 제 1 페이지(1201)에서 제 2 페이지(1202)로 변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2h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에서, 제 2 페이지(1202)의 상부에 제 7 윈도우(1204)가 배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페이지가 아닌 다른 페이지의 원하는 부분에 용이하게 실행시킬 수 있는 효과가 창출될 수 있다.
도 13a 내지 13g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3a 내지 13g의 실시 예는 특히, 스플릿 모드로 설정되어 다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 페이지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3a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3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341)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3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341)의 좌측에,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1311 내지 1317)을 포함하는 트레이(1310)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제 7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317)을 지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300)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할 제 1 서브 공간(1341)을 물리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3b는 도 13a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의 개념도이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300)는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340),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350) 및 제 3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360)을 정의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300)는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340) 상에 제 1 서브 공간(1341), 제 2 서브 공간(1342) 및 제 3 서브 공간(1343)을 정의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300)는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350) 상에 제 4 서브 공간(1351), 제 5 서브 공간(1352) 및 제 6 서브 공간(1353)을 정의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300)는 제 3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360) 상에 제 7 서브 공간(1361), 제 8 서브 공간(1362) 및 제 9 서브 공간(1363)을 정의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3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340)의 제 1 서브 공간(1341)을 물리적으로 표시한다.
사용자(10)는 제 7 어플리케이션(A7)의 아이콘(1317)을 터치하고, 도 13c와 같이 제 1 서브 공간(1341)으로 드래그(1318)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10)는 도 13d와 같이 제 7 어플리케이션(A7)의 아이콘(1317)을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300)를 틸팅(1390)할 수 있다. 여기에서, 틸팅(1390)은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340)으로부터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350)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공간 이동 명령일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틸팅(1390) 제스처를 처리하여,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340)으로부터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350)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서브 공간(1341)로부터 제 4 서브 공간(1351)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도 13e는 도 13d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의 개념도이다. 도 1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300)는 제 4 서브 공간(1351)을 물리적으로 표시한다.
도 13f에서, 사용자는 제 7 어플리케이션(A7) 아이콘을 제 4 서브 공간(1351)의 상부(1371)까지 드래그한 후 도 13f와 같이 드롭(drop)할 수 있다. 사용자(10)가 실행하고자하는 영역으로의 드래그 앤 드롭 제스처를 입력하면, 제어부(미도시)는 이에 대응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는 영역(1371)을 어플리케이션 제 4 서브 공간(1351)와 다른 컬러 또는 밝기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드래그 앤 드롭 제스처의 입력이 종료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제 7 윈도우(1371)를 제 4 서브 공간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372)의 상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도 13g에서, 제 4 서브 공간의 상부(1351)에 제 7 윈도우(1372)가 배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페이지가 아닌 다른 페이지의 원하는 부분에 용이하게 실행시킬 수 있는 효과가 창출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신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S1401). 신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은, 신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종류 및 윈도우가 배치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윈도우가 배치되는 위치는, 다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 중 윈도우가 배치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의 층과 해당 층에서의 서브 공간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신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은, 트레이 바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드래그하여 윈도우가 배치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의 서브 공간에 드롭하는 제스처일 수 있다. 신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의 층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틸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포커스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의 층이 변경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신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처리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의 층을 확인할 수 있다(S1403). 예를 들어, 도 13e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이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1350)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해당 층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서브 공간을 확인할 수 있다(S1405). 예를 들어, 도 13e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서브 공간이 제 4 서브 공간(1351)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3g와 같이, 해당 층 및 해당 서브 공간에 신규 어플리케이션 실행 윈도우를 배치하여 표시한다(S1407).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존에 표시하던 서브 공간의 표시를 중단하고, 신규 어플리케이션 실행 윈도우가 배치되는 서브 공간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래픽 화면 갱신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가 기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8)

  1.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가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공간을 가지는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설정하는 단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가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공간을 가지는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층 및 제 2 층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의 각각의 서브 공간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윈도우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의 서브 공간 중 하나인 제 1 서브 공간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에 배치되는 윈도우는 상기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에 배치되는 윈도우의 상위 윈도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으로의 공간 이동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이동 명령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틸팅하는 제스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이동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의 서브 공간 중 하나인 제 2 서브 공간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 공간의 x 축 좌표 및 y 축 좌표는, 상기 제 1 서브 공간의 x 축 좌표 및 y 축 좌표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 공간은, 상기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에서 가장 최근에 표시된 서브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 공간은, 디폴트(default)된 서브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이동 명령에 기초하여, 진동, 램프 및 사운드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피드백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신규 어플리케이션 종류 및 윈도우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공간 중 하나인 제 2 서브 공간에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신규 윈도우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신규 윈도우를 포함하는 제 2 서브 공간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은, 신규 실행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으로부터 상기 제 2 서브 공간 중 상기 신규 윈도우가 배치되는 위치까지의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제스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은 상기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으로 이동시켜 실행시키는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은, 신규 실행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틸팅하고, 상기 제 2 서브 공간 중 상기 신규 윈도우가 배치되는 위치까지의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제스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5.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가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공간을 가지는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설정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윈도우가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공간을 가지는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을 설정하고, 상기 제 1 층 및 제 2 층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의 각각의 서브 공간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윈도우를 배치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의 서브 공간 중 하나인 제 1 서브 공간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에 배치되는 윈도우는 상기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에 배치되는 윈도우의 상위 윈도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으로의 공간 이동 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이동 명령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틸팅하는 제스처이며,
    상기 틸팅하는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공간 이동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의 서브 공간 중 하나인 제 2 서브 공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 공간의 x 축 좌표 및 y 축 좌표는, 상기 제 1 서브 공간의 x 축 좌표 및 y 축 좌표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 공간은, 상기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에서 가장 최근에 표시된 서브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 공간은, 디폴트(default)된 서브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간 이동 명령에 기초하여, 진동, 램프 및 사운드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4.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신규 어플리케이션 종류 및 윈도우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공간 중 하나인 제 2 서브 공간에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신규 윈도우를 배치하고, 상기 신규 윈도우를 포함하는 제 2 서브 공간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은, 신규 실행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으로부터 상기 제 2 서브 공간 중 상기 신규 윈도우가 배치되는 위치까지의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제스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은 상기 제 1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 2 층 어플리케이션 실행 공간으로 이동시켜 실행시키는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은, 신규 실행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틸팅하고, 상기 제 2 서브 공간 중 상기 신규 윈도우가 배치되는 위치까지의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제스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015307A 2012-12-06 2013-02-1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733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34097P 2012-12-06 2012-12-06
US61/734,097 2012-12-06
US201261737540P 2012-12-14 2012-12-14
US61/737,540 2012-12-14
US201261740887P 2012-12-21 2012-12-21
US61/740,887 2012-1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379A true KR20140073379A (ko) 2014-06-16

Family

ID=5112694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077A KR102102438B1 (ko) 2012-12-06 2013-02-0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30015307A KR20140073379A (ko) 2012-12-06 2013-02-1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30022927A KR102143584B1 (ko) 2012-12-06 2013-03-04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00044797A KR20200043325A (ko) 2012-12-06 2020-04-1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077A KR102102438B1 (ko) 2012-12-06 2013-02-0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927A KR102143584B1 (ko) 2012-12-06 2013-03-04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00044797A KR20200043325A (ko) 2012-12-06 2020-04-1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99903B2 (ko)
JP (1) JP6643790B2 (ko)
KR (4) KR102102438B1 (ko)
CN (1) CN1111765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38640A (ja) * 2014-08-05 2016-03-22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
KR102383103B1 (ko) * 2014-08-13 2022-04-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화면 표시 방법
KR102391772B1 (ko) 2014-08-28 2022-04-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
KR102147214B1 (ko) * 2014-10-01 2020-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6391474B2 (ja) * 2015-01-13 2018-09-19 株式会社クボタ 運転支援情報表示装置
CN114201133A (zh) * 2016-10-31 2022-03-1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分屏显示方法及装置
JP7129248B2 (ja) 2018-07-05 2022-09-01 フォルシアクラリオン・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情報制御装置、及び表示変更方法
EP3929715B1 (en) * 2019-02-22 2024-02-07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2130715B (zh) * 2019-06-25 2022-09-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与电子设备
KR102671119B1 (ko) * 2019-12-31 2024-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3419648A (zh) * 2020-03-03 2021-09-21 华为技术有限公司 屏幕分区显示的方法、终端、计算机存储介质
KR20220033262A (ko) 2020-09-09 2022-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윈도우 레이아웃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0919A (ja) * 1988-12-01 1990-06-11 Fujitsu Ltd 分割表示時における状態表示行の表示方式
US5422993A (en) 1991-12-17 1995-06-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direct manipulation operations in a computer system
US5956030A (en) 1993-06-11 1999-09-21 Apple Computer, Inc. Computer system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including windows having an identifier within a control region on the display
US5487143A (en) 1994-04-06 1996-01-23 Altera Corporation Computer user interface having tiled and overlapped window areas
JPH0895439A (ja) * 1994-09-14 1996-04-12 Eastman Kodak Co 複写装置のオペレータ操作パネル
US5734380A (en) 1996-09-27 1998-03-31 Adams; James S. Method for controlling the presentation of displays in a multi-window computer environment
JPH10260784A (ja) 1997-03-17 1998-09-29 Hitachi Ltd カーソル制御方法及び装置
US6008809A (en) * 1997-09-22 1999-12-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viewing multiple windows within a dynamic window
US6832355B1 (en) 1998-07-28 2004-12-14 Microsoft Corporation Web page display system
US6686852B1 (en) 2000-09-15 2004-02-03 Motorola, Inc. Keypad layout for alphabetic character input
JP4102045B2 (ja) 2001-09-28 2008-06-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スクトップ上の隠蔽ウインドウ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処理装置
CN1458576A (zh) 2002-05-17 2003-11-26 张逶 一种微型电脑和手机显示和键盘方案
JP2004046796A (ja) 2002-07-15 2004-02-12 Seiko Epson Corp ディレクトリ管理プログラム、オブジェクト表示プログラム、ディレクトリ管理方法及びディレクトリ管理装置
KR100478920B1 (ko) 2002-11-07 2005-03-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면 분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4292379B2 (ja) 2003-04-17 2009-07-08 日本電気株式会社 画面分割表示システムおよび画面分割表示方法
US8276095B2 (en) * 2004-02-20 2012-09-25 Advanced Intellectual Property Group, Llc System for and method of generating and navigating within a workspace of a computer application
KR100652626B1 (ko) 2004-03-04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윈도우 전환 방법
KR100650257B1 (ko) 2004-08-19 2006-11-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화면분할 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6115213A (ja) 2004-10-14 2006-04-27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の表示方法
JP2006073015A (ja) 2005-09-05 2006-03-16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携帯端末
KR100700171B1 (ko) 2005-10-25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서브 디스플레이 표시장치 및 그제어방법
EP1969870B1 (en) 2005-12-29 2017-08-30 Ozmiz Pty. Ltd.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data on a mobile terminal
MY150138A (en) 2005-12-29 2013-11-29 Ozmiz Pty Ltd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data on a mobile terminal
US7509588B2 (en) 2005-12-30 2009-03-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KR100818918B1 (ko) 2006-02-14 2008-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윈도우의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4700539B2 (ja) * 2006-03-22 2011-06-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1356493A (zh) * 2006-09-06 2009-01-28 苹果公司 用于照片管理的便携式电子装置
KR100843077B1 (ko) 2006-09-28 2008-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상에서 가변적인 크기로 그룹화된 정보를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US8645853B2 (en) * 2006-11-03 2014-02-04 Business Objects Software Ltd. Displaying visualizations linked to one or more data source queries
JP4958517B2 (ja) * 2006-11-06 2012-06-20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携帯端末およびその表示制御方法
US20080115081A1 (en) 2006-11-09 2008-05-15 Microsoft Corporation Enhanced windows management feature
JP5242043B2 (ja) 2006-11-27 2013-07-24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および表示方法
US8214768B2 (en) 2007-01-05 2012-07-03 Apple Inc.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ewing multiple application windows
US20080172609A1 (en) 2007-01-11 2008-07-17 Nokia Corporation Multiple application handling
WO2008090902A1 (ja) 2007-01-25 2008-07-31 Sharp Kabushiki Kaisha マルチウィンドウ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並びに情報処理装置
JP2008211379A (ja) 2007-02-23 2008-09-11 Fujitsu Ltd 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4796017B2 (ja) 2007-07-30 2011-10-19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KR20090016044A (ko) 2007-08-10 2009-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태스킹 방법 및 장치
US8219936B2 (en) 2007-08-30 2012-07-10 Lg Electronics Inc. User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using a user's gesture in the proximity of an electronic device
KR101401169B1 (ko) 2007-09-04 2014-05-2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신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다중 윈도우 전환 방법 및 상기방법이 채용된 통신 단말기
KR101387527B1 (ko) * 2007-12-06 2014-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KR100900295B1 (ko) 2008-04-17 2009-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디바이스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US20090322690A1 (en) 2008-06-30 2009-12-31 Nokia Corporation Screen display
US8866840B2 (en) 2008-09-08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Sending a parameter based on screen size or screen resolution of a multi-panel electronic device to a server
KR20100030968A (ko) 2008-09-11 2010-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KR101548958B1 (ko) 2008-09-18 2015-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549553B1 (ko) 2008-10-20 2015-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1019335B1 (ko) * 2008-11-11 2011-03-07 주식회사 팬택 제스처를 이용한 이동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514460B1 (ko) 2008-11-13 2015-04-22 주식회사 케이티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
US8302026B2 (en) * 2008-11-28 2012-10-30 Microsoft Corporation Multi-panel user interface
KR101640460B1 (ko) * 2009-03-25 2016-07-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8832585B2 (en) * 2009-09-25 2014-09-0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workspace views
US9141260B2 (en) 2009-10-08 2015-09-22 Red Hat, Inc. Workspace management tool
US9152299B2 (en) 2009-10-08 2015-10-06 Red Hat, Inc. Activity management tool
KR101636570B1 (ko) * 2009-10-28 201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력표시영역 제어 장치 및 방법
US8208964B2 (en) * 2009-10-30 2012-06-26 Cellco Partnership Flexible home page layout for mobile devices
KR101693690B1 (ko) 2010-05-26 2017-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3907593A1 (en) * 2010-01-19 2021-11-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199299B2 (ja) * 2010-03-08 2013-05-1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表示装置及び画面表示方法
TW201133329A (en) * 2010-03-26 2011-10-01 Acer Inc Touch control electric apparatus and window operation method thereof
US8549438B2 (en) 2010-04-15 2013-10-01 Kabushiki Kaisha Toshiba Split mode command button
KR101688940B1 (ko) 2010-07-23 201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다중 작업 관리 방법
US8624960B2 (en) 2010-07-30 2014-01-07 Silicon Image, Inc. Multi-view display system
KR101774312B1 (ko) 2010-08-23 2017-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20303476A1 (en) 2010-11-09 2012-11-29 Openpeak Inc. Communication devices, networks, services and accompanying methods
KR101749612B1 (ko) 2010-12-23 2017-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788051B1 (ko) 2011-01-04 2017-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042546B2 (en) 2011-01-07 2018-08-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to present multiple frames on a touch screen
US9501217B2 (en) 2011-01-14 2016-11-22 Apple Inc. Target region for removing icons from dock
EP3336672B1 (en) 2011-02-11 2020-1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graphic user interface in a mobile terminal
KR101778045B1 (ko) * 2011-02-11 2017-09-14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화면 제어 방법
TWI475473B (zh) 2012-02-17 2015-03-01 Mitac Int Corp 根據觸控手勢產生分割畫面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29287A1 (en) 2023-07-20
KR102102438B1 (ko) 2020-04-20
JP6643790B2 (ja) 2020-02-12
KR20140073381A (ko) 2014-06-16
KR20140073378A (ko) 2014-06-16
JP2014116004A (ja) 2014-06-26
CN111176515A (zh) 2020-05-19
US11899903B2 (en) 2024-02-13
KR102143584B1 (ko) 2020-08-11
CN111176515B (zh) 2024-04-05
KR20200043325A (ko) 2020-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352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indicating an active region in a multi-window display
US10521110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button configured according to displayed window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6550515B2 (ja) 複数の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のための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28350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84673B1 (ko) 복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5964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7337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697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02157B1 (ko) 복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604580B2 (en)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spaces and sub-spaces for sharing data on a mobile touch screen device
KR102064836B1 (ko) 모바일 장치에서의 메뉴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230105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126428A (ko) 다중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및 방법
KR10208454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6024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40087480A (ko) 복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28352A (ko) 복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11709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76395A (ko)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