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40061952A - 크롤러 주행 장치 - Google Patents

크롤러 주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1952A
KR20140061952A KR1020130092475A KR20130092475A KR20140061952A KR 20140061952 A KR20140061952 A KR 20140061952A KR 1020130092475 A KR1020130092475 A KR 1020130092475A KR 20130092475 A KR20130092475 A KR 20130092475A KR 20140061952 A KR20140061952 A KR 20140061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wler
traveling device
pair
suppor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0841B1 (ko
Inventor
요오헤이 시모다
마사루 이케다
마코토 미야자키
히로야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40061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084Endless-track units or carriages mounted separably, adjustably or extensibly on vehicles, e.g. portable track units
    • B62D55/0847Track blocking devices mounted on the frame; Track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4Arrangement, location, or adaptation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크롤러 가이드의 제거를 용이하고 또한 쉽게 할 수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트랙 프레임(20)에 요동 축심(P)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체(60)에, 트랙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보스부(61)와, 요동 축심(P)에 대하여 주행 장치 전후측으로 나뉘어 위치하는 개소에서 전후 한 쌍의 접지 회전륜(23, 23)을 각각 따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후 한 쌍의 지지 보스부(62, 63)를 연결하는 지지체 본체(64)가 구비되어 있다. 크롤러 가이드(40)에, 크롤러 가이드 본체(41)로부터 주행 장치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지지체 본체(64)에 연결되는 연결부(42)가 구비되어 있다. 연결부(42)는, 지지체 본체(64)의 주행 장치 횡외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크롤러 주행 장치{CRAWLER TRAVEL DEVICE}
본 발명은, 트랙 프레임에 주행 장치 횡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지지되고, 상기 트랙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요동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한 전후 한 쌍의 접지 회전륜과, 상기 지지체에 지지되고, 상기 트랙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요동 축심 주위로 전후 한 쌍의 상기 접지 회전륜과 일체 요동 가능한 크롤러 가이드를 구비한 크롤러 주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크롤러 프레임에 요동축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좌우 2매의 요동 플레이트와, 요동 플레이트의 하부에 지지되고, 크롤러 프레임에 대하여 요동축 주위로 요동 가능한 전후 한 쌍의 접지 회전륜으로서의 회전륜과, 요동 플레이트의 하부에 지지되고, 크롤러 프레임에 대하여 요동축 주위로 전후 한 쌍의 회전륜과 일체 요동 가능한 크롤러 가이드로서의 안내체를 구비한 크롤러 주행 장치가 있었다. 안내체는, 중앙부에 설치된 장착 다리를 구비하고, 이 장착 다리가 좌우 2매의 요동 플레이트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요동 플레이트에 장착 볼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요동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119834호 공보
상기한 크롤러 주행 장치에서는, 크롤러 가이드에 크롤러 벨트와의 접촉에 의한 마멸이 발생하기 쉬워, 크롤러 가이드의 교환이 필요해지기 쉽다. 지지체를 트랙 프레임으로부터 제거하는 일 없이, 크롤러 가이드를 지지체(좌우 2매의 요동 플레이트)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 크롤러 가이드의 교환을 저렴하게 할 수 있어 유리하다. 지지체에 대한 크롤러 가이드의 탈착이 가능해지도록,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채용한 경우, 크롤러 가이드의 제거에 수고를 필요로 하기 쉬워진다.
즉, 종래의 기술을 채용한 경우, 지지체에 대한 연결을 가능하게 하도록 크롤러 가이드에 구비된 연결부가, 지지체의 내부에 들어가는 구성으로 인해, 크롤러 가이드의 크롤러 가이드 본체와 크롤러 벨트의 결합으로 인해, 연결부와 지지체의 연결을 해제해도, 연결부가 지지체로부터 주행 장치 횡방향으로도 주행 장치 상하 방향으로도 해제되지 않아, 크롤러 가이드를 취출할 수 없다. 따라서, 크롤러 벨트를 하방으로 이완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는 등의 조작을 행하고, 크롤러 가이드를 지지체에 대하여 하강시켜, 크롤러 가이드의 연결부를 지지체로부터 주행 장치 횡외측으로 취출하고, 이 후, 크롤러 가이드를 들어올려, 크롤러 가이드 본체를 크롤러 벨트로부터 주행 장치 횡외측으로 취출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크롤러 가이드의 제거를 용이하고 또한 쉽게 할 수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크롤러 주행 장치는,
트랙 프레임에 주행 장치 횡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지지되고, 상기 트랙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요동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한 전후 한 쌍의 접지 회전륜과, 상기 지지체에 지지되고, 상기 트랙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요동 축심 주위로 전후 한 쌍의 상기 접지 회전륜과 일체 요동 가능한 크롤러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에, 상기 트랙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보스부와, 상기 요동 축심에 대하여 주행 장치 전후측으로 나뉘어 위치하는 개소에서 전후 한 쌍의 상기 접지 회전륜을 각각 따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후 한 쌍의 지지 보스부와, 상기 연결 보스부와 전후 한 쌍의 상기 지지 보스부를 연결하는 지지체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크롤러 가이드에, 크롤러 가이드 본체와, 상기 크롤러 가이드 본체로부터 주행 장치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체 본체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가 상기 지지체 본체의 주행 장치 횡외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구성에 따르면, 크롤러 가이드의 연결부와 지지체 본체의 연결을 해제하면, 크롤러 가이드의 연결부가 지지체 본체로부터 주행 장치 횡외측으로 해제되어, 크롤러 가이드를 지지체에 대하여 상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크롤러 가이드의 연결부와 지지체 본체의 연결을 해제한 후, 크롤러 가이드를 들어올림으로써, 크롤러 가이드 본체와 크롤러 벨트의 결합이 해제되어 크롤러 가이드 본체가 크롤러 벨트로부터 주행 장치 횡외측으로 해제되어, 크롤러 가이드의 전체를 주행 장치 횡외측으로 취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체를 트랙 프레임으로부터 제거하는 일 없이, 크롤러 가이드만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부의 지지체 본체에 대한 연결을 해제한 상태의 크롤러 가이드를 들어올림 조작하는 것만으로 조작 간단하게 크롤러 가이드를 크롤러 주행 장치로부터 취출할 수 있는 것이며, 크롤러 가이드의 교환을 저렴하고 또한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본체 중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는 부위를, 상기 접지 회전륜의 주행 장치 횡방향에서의 중심에 대하여 주행 장치 횡내측에 치우치게 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지지체 본체 중 크롤러 가이드의 연결부가 연결하는 부위가 크롤러 가이드 본체에 대하여 주행 장치 횡내측에 치우치게 되므로, 크롤러 가이드의 연결부의 주행 장치 횡방향에서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서, 또한 크롤러 가이드의 연결부의 주행 장치 전후 방향에서 본 형상을, 굴곡이나 요철이 적은 상하로 간소한 형상으로 하면서, 연결부를 지지체 본체의 주행 장치 횡외측면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크롤러 가이드의 연결부를, 지지체 본체의 주행 장치 횡외측면에 연결하는 것이면서, 후육이고 또한 간소한 형상의 것으로 구성하여, 크롤러 가이드 본체의 지지체에 대한 연결을 견고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상기 지지체 본체 중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접촉하는 접촉부를 설치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지지체 본체가 연결부의 접촉부에 접촉하여 크롤러 가이드를 받아내어 지지하므로, 지지체에 의한 크롤러 가이드의 접지 반력에 저항한 지지를 견고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크롤러 가이드 본체에 강한 접지 반력이 가해져도, 지지체에 의한 크롤러 가이드의 지지가 견고하게 행해져, 크롤러 가이드의 파손이나 변형을 회피하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후 한 쌍의 상기 지지 보스부의 외주면의 각각에, 상기 크롤러 가이드 본체의 전후 방향의 단부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연결 시트부를 설치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크롤러 가이드 본체가 트랙 프레임에 대하여 경사지는 등에 의해 크롤러 가이드 본체의 전단부측이나 후단부측에 강한 접지 반력이 가해져도, 크롤러 가이드 본체의 전단부 및 후단부가 지지체에 연결되어 있어 견고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크롤러 가이드 본체의 전단부측 및 후단부측에 강한 접지 반력이 가해져도, 크롤러 가이드 본체가 변형이나 파손되기 어렵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시트부에 상기 크롤러 가이드 본체의 전후 방향의 단부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볼트를 구비하고, 전방측의 상기 지지 보스부에 설치한 상기 연결 시트부를, 상기 연결 볼트가 상기 지지 보스부의 전방 외측으로부터 주행 장치 전후 방향 자세로 체결되도록 구성하고, 후방측의 상기 지지 보스부에 설치한 상기 연결 시트부를, 상기 연결 볼트가 상기 지지 보스부의 후방 외측으로부터 주행 장치 전후 방향 자세로 체결되도록 구성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크롤러 가이드 본체의 전단부 및 후단부를 지지체에 대하여 탈착하는 연결 볼트를 지지 보스부의 전방 외측이나 후방 외측으로부터 주행 장치 전후 방향 자세로 조이거나 느슨하게 조작하면 되고, 연결 시트부에 대한 연결 볼트의 체결이나 제거를 조작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크롤러 가이드 본체의 전단부 및 후단부를 지지체에 대하여 탈착하는 데, 연결 볼트의 체결 및 제거를 조작 용이하게 행하여 쉽고 또한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후 한 쌍의 상기 지지 보스부의 외주면 중 상기 크롤러 가이드 본체의 전후 방향의 단부보다도 주행 장치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에, 상기 지지 보스부에 그리스 공급하는 주유구를 형성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가이드 레일 본체의 전단부 및 후단부와 주유구가 주행 장치 상하 방향으로 위치 어긋난 위치 관계에 있어, 가이드 레일 본체가 주유구에 대한 그리스 공급의 장해로 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보스부에 그리스 공급하는 데, 가이드 레일 본체가 장해로 되기 어려워, 그리스 공급 작업을 쉽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유구가 상기 접지 회전륜의 회전 축심보다도 주행 장치 상방에 위치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주유구가 접지 회전륜의 하측에 위치하는 크롤러 벨트로부터 주행 장치 상방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게 되어, 크롤러 벨트가 주유구에 대한 그리스 공급의 장해로 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보스부에 그리스 공급하는 데, 크롤러 벨트가 장해로 되기 어려워 쉽고 또한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후 한 쌍의 상기 지지 보스부의 외주면의 각각에, 상기 지지 보스부에 그리스 공급하는 주유구를 형성하는 주유 시트부를 설치하고, 상기 주유 시트부 중 그리스 니플이 장착되는 니플 장착 시트면과, 상기 연결 시트부 중 상기 크롤러 가이드 본체의 전후 방향의 단부가 연결되는 가이드 연결 시트면을 동일 높이의 면으로 형성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지지 보스부 중 주유 시트부 및 연결 시트부를 구비하는 부위의 형상이, 니플 장착면과 가이드 연결 시트면이 동일 높이의 면에 위치하는 간소한 형상으로 되는 상태에서, 주유 시트부 및 연결 시트부를 지지 보스부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보스부의 외주면에 크롤러 가이드 본체의 단부를 연결하고, 또한 주유구를 형성하는 것이면서, 지지 보스부 중 주유 시트부 및 연결 시트부를 구비하는 부위의 형상이 간소한 형상으로 되어, 그 부위의 진흙 저류가 발생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를 상기 지지체 본체에 연결하는 주행 장치 횡방향 자세의 연결 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볼트가 전후 한 쌍의 상기 접지 회전륜의 회전 축심의 사이에 위치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크롤러 가이드의 연결부가 지지체 중 전후 한 쌍의 지지 보스부의 사이의 부위에 들어가 연결하는 콤팩트한 상태에서 지지체, 접지 회전륜 및 크롤러 가이드를 크롤러 주행 장치에 장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체, 접지 회전륜 및 크롤러 가이드를 콤팩트하게 크롤러 주행 장치에 장비하여, 크롤러 주행 장치를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를 상기 지지체 본체에 연결하는 주행 장치 횡방향 자세의 연결 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볼트가 상기 요동 축심보다도 주행 장치 하방에 위치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크롤러 가이드의 연결부가 크롤러 가이드 본체로부터 주행 장치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짧게 하면서, 크롤러 가이드를 지지체 본체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부의 돌출 길이가 짧은 콤팩트한 상태에서 크롤러 가이드를 얻어, 경량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 볼트가, 전후 한 쌍의 상기 접지 회전륜의 회전 축심보다도 주행 장치 하방에 위치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크롤러 가이드의 연결부가 크롤러 가이드 본체로부터 주행 장치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보다 짧게 하면서, 크롤러 가이드를 지지체 본체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부의 돌출 길이가 보다 짧은 보다 콤팩트한 상태에서 크롤러 가이드를 얻어, 경량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 볼트가, 주행 장치 측면에서 볼 때 전후 한 쌍의 상기 접지 회전륜에 대하여 외주측으로 위치 어긋난 개소에 위치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연결 볼트의 주행 장치 횡외측에 접지 회전륜이 존재하지 않아, 접지 회전륜이 연결 볼트를 회전 조작할 때의 장해로 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크롤러 가이드의 교환 작업을 행하는 데, 접지 회전륜이 장해로 되기 어려워 연결 볼트의 탈착을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능률적으로 작업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방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요동 조작 아암과 승강 실린더의 연결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도 5의 VI―VI 단면 화살표도.
도 7은 도 5의 VII―VII 단면 화살표도.
도 8은 접지 회전륜 및 크롤러 가이드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9는 접지 회전륜 및 크롤러 가이드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지지체 및 크롤러 가이드를 도시하는 종단 정면도.
도 11은 지지체 및 크롤러 가이드를 도시하는 횡단 평면도.
도 12는 지지체 및 크롤러 가이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3은 지지체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4는 크롤러 가이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5는 전방측의 연결 시트부 및 주유 시트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6은 고정 상태의 크롤러 가이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7은 고정 상태의 크롤러 가이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8은 전방 지지부에 접근한 상태의 캔슬 링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9는 전방 지지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0은 캔슬 링크와 트랙 프레임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급유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1은 도 20의 XXI―XXI 단면 화살표도.
도 22는 도 20의 XXII―XXII 단면 화살표도.
도 23은 다른 실시 형태를 구비한 크롤러 가이드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크롤러 주행 장치가 장비된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 1)를 구비하고, 이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 1)를 운전 좌석(2)의 하방에 설치한 엔진(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하여 자주(自走)하도록 구성된 주행 기체와, 주행 기체의 기체 프레임(3)의 전방부에 연결된 예취부(4)와, 기체 프레임(3)의 후방부에 설치된 탈곡 장치(5) 및 곡립 탱크(6)를 구비하고 있다.
이 콤바인은, 예취부(4)를 유압 실린더(7)에 의해 하강 작업 위치와 상승 비작업 위치로 요동 승강 조작되는 상태로 구비하고, 예취부(4)를 하강 작업 위치로 하여 주행 기체를 주행시킴으로써, 벼, 보리 등의 수확 작업을 행한다.
즉, 예취부(4)는, 식립 곡물대를 일으킴 장치(4a)에 의해 일으키면서 클리퍼형의 예취 장치(4b)에 의해 예취하고, 예취 곡물대를 반송 장치(4c)에 의해 기체 후방측에 반송하여, 탈곡 장치(5)가 구비하는 탈곡 피드 체인(5a)에 공급한다. 탈곡 장치(5)는, 탈곡 피드 체인(5a)에 의해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을 끼움 지지하여 반송하고, 그 예취 곡물대의 이삭 끝측을 급실(扱室)(도시하지 않음)에 공급하여 회전하는 급동(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탈곡 처리한다. 곡립 탱크(6)는, 탈곡 장치(5)로부터 반송된 탈곡립을 회수하여 저류하고, 저류한 탈곡립을 오거(8)에 의해 반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크롤러 주행 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 1)는,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고, 우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 2는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의 전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롤러 주행 장치(1)는, 기체 프레임(3)에 전후 한 쌍의 지지 아암(10, 10)을 통해 지지되는 트랙 프레임(20)과, 트랙 프레임(20)의 전방 개소에서 기체 프레임(3)에 지지되는 크롤러 구동륜체(21)와, 트랙 프레임(20)의 후단부에 지지되는 크롤러 긴장륜체(22)와, 크롤러 구동륜체(21)와 크롤러 긴장륜체(22) 사이에서 주행 장치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트랙 프레임(20)에 지지되는 8개의 접지 회전륜(23, 24)과, 크롤러 구동륜체(21)와 크롤러 긴장륜체(22) 사이에서 기체 프레임(3)에 지지되는 전후 한 쌍의 상방 안내륜체(25, 25)와, 모든 륜체(21, 22, 25) 및 모든 접지 회전륜(23, 24)에 걸쳐 권회된 고무제의 크롤러 벨트(26)를 구비하고 있다.
크롤러 구동륜체(21)는, 기체 프레임(3)의 전방부에 설치한 미션 케이스(11)(도 1 참조)를 통해 기체 프레임(3)에 지지되어 있다. 상세하게 서술하면, 크롤러 구동륜체(21)는, 미션 케이스 본체의 횡측부로부터 기체 횡외측으로 연장되는 상태에서 미션 케이스(11)에 구비된 통 형상의 크롤러 구동 케이스부(11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크롤러 구동륜체(21)는, 엔진으로부터 미션 케이스(11)에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크롤러 긴장륜체(22)는, 트랙 프레임(20)의 후단부에 설치한 긴장 프레임부(27)에 지지되어 있다. 크롤러 긴장륜체(22)는, 긴장 프레임부(27)가 조절 나사(28)에 의해 신축 조절되는 동시에 조절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트랙 프레임(20)에 대하여 주행 장치 전후 방향으로 이동 조절되는 동시에 조절 위치에 고정되어, 크롤러 벨트(26)의 장력 조절을 행한다.
전방측 및 후방측의 상방 안내륜체(25)는, 기체 프레임(3)으로부터 기체 횡외측으로 연장된 지지축(29)(도 4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후 한 쌍의 지지 아암(10, 10)은, 지지 아암(10)의 기단부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 지지축(10a)을 통해 기체 프레임(3)의 지지부(3a)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측의 지지 아암(10)의 회전 지지축(10a)의 기체 내측의 단부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요동 조작 아암(12)과, 기체 프레임(3)에 설치한 실린더 지지부(도시하지 않음)에 걸쳐,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승강 실린더(13)가 연결되어 있다.
후방측의 지지 아암(10)의 선단측과 트랙 프레임(20)이 캔슬 링크(14)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측의 지지 아암(10)의 회전 지지축(10a)의 기체 내측의 단부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요동 조작 아암(12)과, 기체 프레임(3)에 설치한 실린더 지지부(3b)에 걸쳐,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승강 실린더(15)가 연결되어 있다.
즉, 승강 실린더(13)에 의한 전방측의 요동 조작 아암(12)의 요동 조작에 의해 전방측의 지지 아암(10)을 요동 승강 조작하고, 승강 실린더(15)에 의한 후방측의 요동 조작 아암(12)의 요동 조작에 의해 후방측의 지지 아암(10)을 요동 승강 조작함으로써, 트랙 프레임(20)의 기체 프레임(3)에 대한 연결 높이가 변화하고, 기체 프레임(3)의 좌측의 대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좌측 및 우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를 위한 승강 실린더(13, 15)를 적절하게 신축 조작함으로써, 좌측 및 우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있어서의 트랙 프레임(20)의 기체 프레임(3)에 대한 연결 높이를 동일한 연결 높이로 변경 조절하여, 기체 프레임(3)을 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승강 조절할 수 있거나, 혹은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있어서의 트랙 프레임(20)의 기체 프레임(3)에 대한 연결 높이와, 우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있어서의 트랙 프레임(20)의 기체 프레임(3)에 대한 연결 높이를 다른 연결 높이로 변경 조절하여, 기체 프레임(3)을 지면에 대하여 좌우로 경사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요동 조작 아암(12)과 승강 실린더(13) 및 승강 실린더(15)의 연결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 단면 화살표도이다. 도 7은 도 5의 VII―VII 단면 화살표도이다. 도 5, 6,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동 조작 아암(12)과 승강 실린더(13, 15)의 연결 구조는, 승강 실린더(13, 15)의 실린더 로드(13a, 15a)의 단부에 연결된 요크형의 연결구(31)를 구비하고, 연결구(31)에 설치한 한 쌍의 연결 아암부(31a, 31a)의 사이에 들어가게 한 요동 조작 아암(12)의 단부와 한 쌍의 연결 아암부(31a, 31a)에 걸쳐 삽입된 연결 핀(32)에 의해 연결구(31)와 요동 조작 아암(12)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결구(31)는, 일단부에 나사 부재를 장착하여 형성된 연결 나사부(31b)를 구비하고, 이 연결 나사부(31b)를 실린더 로드(13a, 15a)의 단부에 설치된 나사 축부에 나사 장착함으로써, 실린더 로드(13a, 15a)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구(31)의 일측면에, 연결 핀(32)을 위한 빠짐 방지체(33)가 장착 나사(34)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빠짐 방지체(33)는, 연결 핀(32)에 작용하는 빠짐 방지 변부(33a)와, 연결구(31)에 작용하는 한 쌍의 회전 방지 변부(33b, 33b)를 구비하고 있다. 빠짐 방지 변부(33a)에, 연결 핀(32)의 헤드부(32a)에 설치된 그리스 니플(35)이 삽입 관통하는 주유 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스 니플(35)은, 연결 핀(32)의 내부에 설치된 급유로(37)에 그리스를 주입함으로써, 급유로(37)로부터 연결 핀(32)과 요동 조작 아암(12) 사이에 그리스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빠짐 방지체(33)는, 하나의 장착 나사(34)에 의해 연결구(31)에 고착되는 것이다. 그러나 한 쌍의 회전 방지 변부(33b, 33b)가 연결구(31)의 연결 아암부(31a)의 상하측에 결합함으로써, 빠짐 방지체(33)가 연결구(31)에 대하여 장착 나사(34)의 주위에서 회전하는 것이 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빠짐 방지체(33)는, 요동 조작 아암(12) 및 연결구(31)에 대한 연결 핀(32)의 회전을 허용하면서, 빠짐 방지 변부(33a)를 연결 핀(32)의 헤드부(32a)에 접촉시킴으로써 연결 핀(32)의 빠짐 방지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 3,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8개의 접지 회전륜(23, 24)의 각각은, 크롤러 벨트(26)의 길이 방향에서의 복수 개소에 매설된 심봉(30)의 각각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심봉 돌기(30a, 30a)의 양 횡외측으로 나뉘어 크롤러 벨트(26)의 내주면에 지지 작용하는 좌우 한 쌍의 륜체(23a, 23a, 24a, 24a)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8개의 접지 회전륜(23, 24)의 각각은, 소위 외측 회전륜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 있어서, 8개의 접지 회전륜(23, 24) 중 주행 장치 전방측으로부터 1번째와 2번째의 2개의 접지 회전륜(23, 23)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륜쌍을 제1 회전륜쌍이라고 칭하고, 1번째와 2번째의 2개의 접지 회전륜(23, 23)을 제1 회전륜쌍에 있어서의 전후 한 쌍의 접지 회전륜(23, 23)이라고 칭하고, 3번째와 4번째의 2개의 접지 회전륜(23, 23)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륜쌍을 제2 회전륜쌍이라고 칭하고, 3번째와 4번째의 2개의 접지 회전륜(23, 23)을 제2 회전륜쌍에 있어서의 전후 한 쌍의 접지 회전륜(23, 23)이라고 칭하고, 5번째와 6번째의 2개의 접지 회전륜(23, 23)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륜쌍을 제3 회전륜쌍이라고 칭하고, 5번째와 6번째의 2개의 접지 회전륜(23, 23)을 제3 회전륜쌍에 있어서의 전후 한 쌍의 접지 회전륜(23, 23)이라고 칭하고, 7번째와 8번째의 2개의 접지 회전륜(24, 24)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륜쌍을 제4 회전륜쌍이라고 칭하고, 7번째와 8번째의 2개의 접지 회전륜(24, 24)을 제4 회전륜쌍에 있어서의 전후 한 쌍의 접지 회전륜(24, 24)이라고 칭하여 설명한다.
도 2,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회전륜쌍의 각각에 있어서의 전후 한 쌍의 접지 회전륜(23, 23)의 하방에 크롤러 가이드(40)를 배치하고, 제4 회전륜쌍에 있어서의 전후 한 쌍의 접지 회전륜(24, 24)의 하방에 크롤러 가이드(50)가 배치되어 있다.
도 2, 3,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회전륜쌍에 있어서의 전후 한 쌍의 접지 회전륜(23, 23)은, 트랙 프레임(20)에 주행 장치 횡방향의 요동 축심(P)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하나의 지지체(6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크롤러 벨트(26)의 내주면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 축심(X) 주위로 회전하면서, 또한 크롤러 벨트(26)에 가해지는 접지 반력에 의해 트랙 프레임(20)에 대하여 요동 축심(P) 주위로 승강하면서, 크롤러 벨트(26)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 회전륜쌍에 있어서의 전후 한 쌍의 접지 회전륜(23, 23)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크롤러 가이드(40)는, 상기 지지체(60)에 고정 상태로 지지되고, 트랙 프레임(20)에 대하여 요동 축심(P) 주위로 전후 한 쌍의 접지 회전륜(23, 23)과 일체 요동하면서, 크롤러 벨트(26)를 전후 한 쌍의 접지 회전륜(23, 23)과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하도록 안내한다.
제4 회전륜쌍에 있어서의 전후 한 쌍의 접지 회전륜(24, 24)은, 트랙 프레임(20)에 회전만 가능하게 지지되고, 크롤러 벨트(26)의 내주면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 축심(Y) 주위로 회전하면서, 트랙 프레임(20)에 대하여 승강하지 않고 크롤러 벨트(26)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4 회전륜쌍에 있어서의 전후 한 쌍의 접지 회전륜(24, 24)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크롤러 가이드(50)는, 트랙 프레임(20)에 고정 상태로 지지되고, 크롤러 벨트(26)를 전후 한 쌍의 접지 회전륜(24, 24)과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하도록 안내한다.
제1 내지 제3 회전륜쌍에 있어서의 지지체(60)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12,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체(60)는, 지지체(60)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앙부에 주행 장치 횡방향 자세로 위치하는 연결 보스부(61)와, 연결 보스부(61)의 축심으로 이루어지는 요동 축심(P)에 대하여 주행 장치 전후측으로 나뉘어 위치하는 전후 한 쌍의 주행 장치 횡방향 자세의 지지 보스부(62, 63)와, 연결 보스부(61)와 전후 한 쌍의 지지 보스부(62, 63)를 연결하는 지지체 본체(6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지지체 본체(64)는, 연결 보스부(61)의 전후측에 연결 보스부(61)의 외주면과 지지 보스부(62, 63)의 외주면에 걸쳐 연결된 상태로 위치하는 편평한 횡판부(65)와, 전방측의 횡판부(65)의 하방과 후방측의 횡판부(65)의 하방에 걸쳐, 연결 보스부(61) 및 전후의 지지 보스부(62, 63)의 외주면에 연결된 상태로 위치하는 종판부(66)를 구비하고 있다. 종판부(66)의 상단부는, 전후의 횡판부(65)의 하면에 연결되어 있다. 전후의 횡판부(65)는, 상면이 요동 축심(P)보다도 주행 장치 상방에 위치하고, 하면이 요동 축심(P)보다도 주행 장치 하방에 위치하는 배치로 구비되어 있다. 전후의 횡판부(65)의 상면에 보강 리브(67)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연결 보스부(61), 전후 한 쌍의 지지 보스부(62, 63), 지지체 본체(64) 및 전후의 보강 리브(67)는, 주조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지지체(60)는, 전체에 걸쳐 주조한 주조제로 되어 있다.
즉, 도 3, 4, 8,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체(60)는, 트랙 프레임(20)의 주행 장치 횡외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연결 보스부(61)로 트랙 프레임(20)에 연결축(80)을 통해 요동 축심(P)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지지체(60)는, 전방측의 지지 보스부(62)로 전방측의 접지 회전륜(23)을 지지축(81)을 통해 회전 축심(Y)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후방측의 지지 보스부(63)로 후방측의 접지 회전륜(23)을 지지축(81)을 통해 회전 축심(Y)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제1 내지 제3 회전륜쌍에 있어서의 전후 한 쌍의 접지 회전륜(23, 23)의 하방에 배치한 크롤러 가이드(40)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12,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회전륜쌍에 있어서의 전후 한 쌍의 접지 회전륜(23, 23)의 하방에 배치한 크롤러 가이드(40)는, 주행 장치 전후 방향으로 긴 바형으로 형성하여, 복수의 심봉(30)에 있어서의 좌우 한 쌍의 심봉 돌기(30a, 30a)의 사이에 들어가도록 구성한 크롤러 가이드 본체(41)와, 크롤러 가이드 본체(41)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부에 주행 장치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한 연결부(4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크롤러 가이드 본체(41)의 전단부(41a)에 주행 장치 상방향으로 돌출된 전방 연결부(43)를 구비하고, 크롤러 가이드 본체(41)의 후단부(41b)에 주행 장치 상방향으로 돌출된 후방 연결부(44)가 구비되어 있다. 크롤러 가이드 본체(41) 중 연결부(42)의 전후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주행 장치 상방향으로 돌출된 보강 리브(45)가 설치되어 있다. 전방측의 보강 리브(45)는, 연결부(42)의 전단부와 크롤러 가이드 본체(41)의 전단부에 걸쳐 연결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후방측의 보강 리브(45)는, 연결부(42)의 후단부와 크롤러 가이드 본체(41)의 후단부(41b)에 걸쳐 연결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크롤러 가이드 본체(41), 연결부(42), 전방 연결부(43), 후방 연결부(44) 및 전후의 보강 리브(45)는, 주조에 의해 일체 형성되어 있다. 크롤러 가이드(40)는, 전체에 걸쳐 주조한 주조제로 되어 있다.
즉, 도 8, 9, 11,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롤러 가이드(40)는, 지지체(60)에 있어서의 지지체 본체(64) 중 전후 한 쌍의 지지 보스부(62, 63)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64A)의 주행 장치 횡외측면에 연결부(42)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크롤러 가이드 본체(41)의 전단부(41a)가, 지지체(60)의 전단부에 설치한 연결 시트부(71)에 전방 연결부(43)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크롤러 가이드 본체(41)의 후단부(41b)가, 지지체(60)의 후단부에 설치한 연결 시트부(72)에 후방 연결부(44)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10,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체 본체(64)의 상기 부위(64A)는, 종판부(66)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부위(64A)는, 지지체(60)에 지지되는 접지 회전륜(23)의 주행 장치 횡방향에서의 중심(23CL)에 대하여 주행 장치 횡내측에 치우치는 상태의 배치로 구비되어 있다.
크롤러 가이드(40)의 연결부(42)가 지지체 본체(64)의 상기 부위(64A)에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 연결부(42) 중 주행 장치 횡내측의 측부에 단차부를 형성하여 설치한 주행 장치 상방향의 접촉부(42a)가 상기 부위(64A)에 있어서의 하단부(64t)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지지체(60)는, 접촉부(42a)에 대한 하단부(64t)의 받아냄 지지에 의해, 크롤러 가이드(40)를 접지 반력에 저항하여 견고하게 지지한다.
지지체 본체(64)에 있어서의 상기 부위(64A)에 전후 한 쌍의 주행 장치 횡방향 또한 암나사가 구비된 볼트 구멍(64b, 64b)을 형성하고, 크롤러 가이드(40)의 연결부(42)는, 이 연결부(42)에 형성한 전후 한 쌍의 볼트 구멍(42b, 42b)을 삽입 관통시켜 지지체 본체(64)의 볼트 구멍(64b)에 체결한 전후 한 쌍의 주행 장치 횡방향 자세의 연결 볼트(85, 85)에 의해, 지지체 본체(64)에 있어서의 부위(64A)에 체결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체 본체(64)의 한 쌍의 상기 볼트 구멍(64b, 64b)은, 체결된 연결 볼트(85)가 지지체(60)의 요동 축심(P)보다도 주행 장치 하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 본체(64)의 한 쌍의 상기 볼트 구멍(64b, 64b)은, 체결된 연결 볼트(85)가 지지체(60)에 지지되는 접지 회전륜(23)의 회전 축심(X)보다도 주행 장치 하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 본체(64)의 한 쌍의 상기 볼트 구멍(64b, 64b)은, 체결된 연결 볼트(85)가 지지체(60)에 지지되는 전후 한 쌍의 접지 회전륜(23, 23)의 회전 축심(X)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 본체(64)의 한 쌍의 상기 볼트 구멍(64b, 64b)은, 체결된 연결 볼트(85)가 지지체(60)에 지지되는 전후 한 쌍의 접지 회전륜(23, 23)에 대하여 외주측으로 위치 어긋난 개소에 위치하는 상태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지지체(60)의 전방측의 연결 시트부(71)는, 전방측의 지지 보스부(62)의 외주면에 지지 보스부(62)와의 일체 주조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전방측의 연결 시트부(71)에 암나사가 구비된 볼트 구멍(71b)을 형성하고, 크롤러 가이드 본체(41)의 전방 연결부(43)에 볼트 구멍(43b)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 구멍(43b)을 삽입 관통시킨 연결 볼트(86)를 볼트 구멍(71b)에 체결함으로써, 전방 연결부(43)를 연결 시트부(71)에 있어서의 가이드 연결 시트면(71a)에 체결 연결한다. 이에 의해, 크롤러 가이드 본체(41)의 전단부(41a)를 연결 시트부(71)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한다. 연결 시트부(71)의 볼트 구멍(71b)은, 연결 볼트(86)가 지지 보스부(62)의 전방 외측으로부터 주행 장치 전후 방향 자세로 체결되는 상태로 되도록 설정한 자세로 구비되어 있다.
지지체(60)의 후방측의 연결 시트부(72)는, 후방측의 지지 보스부(63)의 외주면에 지지 보스부(63)와의 일체 주조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후방측의 연결 시트부(72)에 암나사가 구비된 볼트 구멍(72b)을 형성하고, 크롤러 가이드 본체(41)의 후방 연결부(44)에 볼트 구멍(44b)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 구멍(44b)을 삽입 관통시킨 연결 볼트(86)를 볼트 구멍(72b)에 체결함으로써, 후방 연결부(44)를 연결 시트부(72)에 있어서의 가이드 연결 시트면(72a)에 체결 연결한다. 이에 의해, 크롤러 가이드 본체(41)의 후단부(41b)를 연결 시트부(7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한다. 연결 시트부(72)의 볼트 구멍(72b)은, 연결 볼트(86)가 지지 보스부(63)의 후방 외측으로부터 주행 장치 전후 방향 자세로 체결되는 상태로 되도록 설정한 자세로 구비되어 있다.
지지체(60)에 있어서의 전후의 지지 보스부(62, 63)의 외주면 중 상기 연결 시트부(71, 72)보다도 주행 장치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에 주유 시트부(73)가 설치되어 있다. 전후의 지지 보스부(62, 63)에 있어서의 주유 시트부(73)에, 지지 보스부(62, 63)와 지지축(81) 사이에 그리스 공급하는 주유구(74)를 형성하고, 전후의 지지 보스부(62, 63)에 있어서의 주유 시트부(73)에 설치한 니플 장착 시트면(73a)에, 상기 주유구(74)에 그리스 공급하는 그리스 니플(75)이 장착되어 있다.
전후의 지지 보스부(62)에 있어서의 주유 시트부(73)에 형성한 주유구(74)는, 지지 보스부(62, 63)에 지지되는 접지 회전륜(23)의 회전 축심(X)보다도 주행 장치 상방에 위치하는 배치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측의 지지 보스부(62)에 있어서의 주유 시트부(73)에 형성한 주유구(74)는, 연결 시트부(71)에 연결된 크롤러 가이드 본체(41)의 전단부(41a)보다도 주행 장치 상방에 위치하는 배치로 형성되어 있다. 후방측의 지지 보스부(63)에 있어서의 주유 시트부(73)에 형성한 주유구(74)는, 연결 시트부(72)에 연결된 크롤러 가이드 본체(41)의 후단부(41b)보다도 주행 장치 상방에 위치하는 배치로 형성되어 있다.
도 15는 전방측의 지지 보스부(62)에 설치한 연결 시트부(71) 및 주유 시트부(73)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후방측의 지지 보스부(63)에 설치한 연결 시트부(72) 및 주유 시트부(73)는, 전방측의 지지 보스부(62)에 설치한 연결 시트부(71) 및 주유 시트부(73)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고, 후방측의 지지 보스부(63)에 설치한 연결 시트부(72) 및 주유 시트부(73)의 정면도는 생략한다. 도 13,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측 및 후방측의 지지 보스부(62, 63)에 설치한 주유 시트부(73) 및 연결 시트부(71, 72)는, 주유 시트부(73)에 있어서의 니플 장착 시트면(73a)과, 연결 시트부(71, 72)에 있어서의 가이드 연결 시트면(71a, 72a)이 동일 높이의 면으로 되도록 형성한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제4 회전륜쌍에 있어서의 전후 한 쌍의 접지 회전륜(24, 24)의 하방에 배치한 크롤러 가이드(50)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4, 16,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4 회전륜쌍에 있어서의 전후 한 쌍의 접지 회전륜(24, 24)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크롤러 가이드(50)는, 주행 장치 전후 방향으로 긴 바형의 크롤러 가이드 본체(51), 크롤러 가이드 본체(51)의 전단부에 주행 장치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한 전방 연결부(52)와, 크롤러 가이드 본체(51) 중 후단부측에 주행 장치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한 후방 연결부(53)를 구비하고 있다. 크롤러 가이드 본체(51), 전방 연결부(52) 및 후방 연결부(53)는, 주조에 의해 일체 형성되어 있다.
크롤러 가이드(50)는, 크롤러 가이드 본체(51)의 전단부가 제6 접지 회전륜(23)과 제7 접지 회전륜(24) 사이에 위치하고, 후단부가 제8 접지 회전륜(24)과 동일한 전후 방향 개소에 위치하는 상태로 트랙 프레임(2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전방 연결부(52)를, 트랙 프레임(20) 중 제6 접지 회전륜(23)과 제7 접지 회전륜(24) 사이의 부위에 블록체를 부설하여 형성한 전방 지지부(55)에 2개의 연결 볼트(58)에 의해 체결 연결되어 있다. 후방 연결부(53)를, 트랙 프레임(20) 중 제7 접지 회전륜(24)과 제8 접지 회전륜(24) 사이의 부위에 블록체를 부설하여 형성한 후방 지지부(56)에 3개의 연결 볼트(59)에 의해 체결 연결되어 있다.
도 18은 전방 지지부(55)에 접근한 상태의 캔슬 링크(14)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전방 지지부(55)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 지지부(55) 중 연결 볼트(58)를 위한 볼트 구멍(55b)이 위치하는 부위로부터 전방 지지부(55)의 기단부측으로 어긋난 개소에, 전방 지지부(55)에 접근한 캔슬 링크(14)의 트랙 프레임측의 단부가 들어가는 절결부(55a)가 형성되어 있다.
도 20은 캔슬 링크(14)와 트랙 프레임(20)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급유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0,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캔슬 링크(14)와 트랙 프레임(20)이 연결되는 부위에 있어서의 급유 구조에는, 캔슬 링크(14)의 두갈래부(14a)와 트랙 프레임(20)의 보스부(20a)를 연결하는 연결축(90)의 외주면 중 각 두갈래부(14a)의 축 구멍에 면하는 개소에 연결축(90)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한 환 형상 급유 홈(91)과, 연결축(90)의 내부에 연결축(90)의 축심과 동 코어 형상으로 설치한 급유로(92)와, 이 급유로(92)를 각 환 형상 급유 홈(91)에 연통시키는 상태로 연결축(90)의 내부에 연결축(90)의 반경 방향으로 설치한 연통로(93)가 구비되어 있다. 각 환 형상 급유 홈(91)에 급유로(92)를 연통시키는 연통로(93)는, 연결축(90)의 둘레 방향에서의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도 20,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캔슬 링크(14)와 트랙 프레임(20)이 연결되는 부위에 있어서의 급유 구조에는, 연결축(90)과 보스부(20a) 사이에 설치한 그리스 저류부(94)와, 이 그리스 저류부(94)에 급유로(92)를 연통시키는 상태로 연결축(90)의 내부에 연결축(90)의 반경 방향으로 설치한 연통로(95)가 구비되어 있다.
즉, 연결축(90)의 주행 장치 횡외측의 단부면에 장착된 그리스 니플(96)로부터 그리스를 주입하면, 주입한 그리스는, 급유로(92)에 유입되어 급유로(92)로부터 각 연통로(93, 95)에 유입된다. 연통로(93)에 유입된 그리스는, 환 형상 급유 홈(91)에 유입되고, 환 형상 급유 홈(91)으로부터 연결축(90)과 두갈래부(14a) 사이에 들어간다. 연통로(95)에 유입된 그리스는, 그리스 저류부(94)에 유입되고, 그리스 저류부(94)로부터 부쉬(97)와 연결축(90) 및 보스부(20a) 사이에 들어간다.
〔다른 실시 형태〕
도 23은 다른 실시 형태를 구비한 크롤러 가이드(40)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 형태를 구비한 크롤러 가이드(40)의 지지 구조에서는, 크롤러 가이드(40)의 연결부(42)를 지지체(60)의 지지체 본체(64)에 연결하는 한 쌍의 주행 장치 횡방향 자세의 연결 볼트(85, 85)의 전방측의 연결 볼트(85)가, 지지체(60)에 지지되는 전방측의 접지 회전륜(23)에 대하여 주행 장치 측면에서 볼 때 접지 회전륜(23)과 겹치고, 한 쌍의 연결 볼트(85, 85) 중 후방측의 연결 볼트(85)가, 후방측의 접지 회전륜(23)에 대하여 주행 장치 측면에서 볼 때 접지 회전륜(23)과 겹치는 상태의 배치로 연결 볼트(85)를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
(1)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8개의 접지 회전륜(23, 24)을 설치하고, 8개의 접지 회전륜(23, 24) 중 6개의 접지 회전륜(23)의 2개씩이 지지체(60)를 통해 트랙 프레임(20)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8개보다 많거나 혹은 적은 복수의 접지 회전륜(23, 24)을 설치하고, 이 복수의 접지 회전륜(23, 24) 중 일부의 2개씩이 지지체(60)를 통해 트랙 프레임(20)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하여 실시해도 된다.
(2)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크롤러 가이드 본체(41)가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부 및 양단부에서 지지체(6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부에서 지지체(60)에 연결되고, 전후 방향에서의 양단부에서는 지지체(60)에 연결되지 않는 구성, 혹은,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부에서 지지체(60)에 연결되고, 전단부와 후단부 중 어느 한쪽에서 지지체(60)에 연결되는 구성을 채용하여 실시해도 된다.
(3)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크롤러 가이드 본체(41) 및 연결부(42)를 일체 형성한 크롤러 가이드(40)를 채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크롤러 가이드 본체(41)와 연결부(42)를 각각 형성한 후에 용접 등에 의해 연결하여 구성한 크롤러 가이드를 채용하여 실시해도 된다.
(4)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트랙 프레임(20)이 전후 한 쌍의 요동 조작 가능한 지지 아암(10, 10)을 통해 승강 조작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3)에 지지되도록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트랙 프레임(20)이 기체 프레임(3)에 승강 불가능하게 연결된 구성을 채용하여 실시해도 된다.
(1) 본 발명은, 자탈형의 탈곡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 외에,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도 이삭 끝측과 함께 급실에 투입되는 탈곡 장치를 구비한 보통형의 콤바인에 장비되는 크롤러 주행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2) 본 발명은, 콤바인 외에, 양파나 당근 등 곡물대 이외의 작물을 수확 대상으로 하는 수확기, 혹은 운반차 등 수확기 이외의 작업차에 장비되는 크롤러 주행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20 : 트랙 프레임
23 : 접지 회전륜
23CL : 중심
40 : 크롤러 가이드
41 : 크롤러 가이드 본체
41a : 단부(전방)
41b : 단부(후방)
42 : 연결부
42a : 접촉부
60 : 지지체
61 : 연결 보스부
62 : 지지 보스부(전방측)
63 : 지지 보스부(후방측)
64 : 지지체 본체
64A : 부위
71 : 연결 시트부(전방측)
71a : 가이드 연결 시트면
72 : 연결 시트부(후방측)
72a : 가이드 연결 시트면
73 : 주유 시트부
73a : 니플 장착 시트면
74 : 주유구
75 : 그리스 니플
85 : 연결 볼트
86 : 연결 볼트
P : 요동 축심
X : 회전 축심

Claims (12)

  1. 트랙 프레임에 주행 장치 횡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지지되고, 상기 트랙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요동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한 전후 한 쌍의 접지 회전륜과, 상기 지지체에 지지되고, 상기 트랙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요동 축심 주위로 전후 한 쌍의 상기 접지 회전륜과 일체 요동 가능한 크롤러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에, 상기 트랙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보스부와, 상기 요동 축심에 대하여 주행 장치 전후측으로 나뉘어 위치하는 개소에서 전후 한 쌍의 상기 접지 회전륜을 각각 따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후 한 쌍의 지지 보스부와, 상기 연결 보스부와 전후 한 쌍의 상기 지지 보스부를 연결하는 지지체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크롤러 가이드에, 크롤러 가이드 본체와, 상기 크롤러 가이드 본체로부터 주행 장치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체 본체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가 상기 지지체 본체의 주행 장치 횡외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크롤러 주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본체 중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는 부위를, 상기 접지 회전륜의 주행 장치 횡방향에서의 중심에 대하여 주행 장치 횡내측에 치우치게 하는, 크롤러 주행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상기 지지체 본체 중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접촉하는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후 한 쌍의 상기 지지 보스부의 외주면의 각각에, 상기 크롤러 가이드 본체의 전후 방향의 단부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연결 시트부가 설치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시트부에 상기 크롤러 가이드 본체의 전후 방향의 단부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볼트를 구비하고,
    전방측의 상기 지지 보스부에 설치한 상기 연결 시트부를, 상기 연결 볼트가 상기 지지 보스부의 전방 외측으로부터 주행 장치 전후 방향 자세로 체결되도록 구성하고,
    후방측의 상기 지지 보스부에 설치한 상기 연결 시트부를, 상기 연결 볼트가 상기 지지 보스부의 후방 외측으로부터 주행 장치 전후 방향 자세로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전후 한 쌍의 상기 지지 보스부의 외주면 중 상기 크롤러 가이드 본체의 전후 방향의 단부보다도 주행 장치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에, 상기 지지 보스부에 그리스 공급하는 주유구가 형성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구가 상기 접지 회전륜의 회전 축심보다도 주행 장치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후 한 쌍의 상기 지지 보스부의 외주면의 각각에, 상기 지지 보스부에 그리스 공급하는 주유구를 형성하는 주유 시트부를 설치하고,
    상기 주유 시트부 중 그리스 니플이 장착되는 니플 장착 시트면과, 상기 연결 시트부 중 상기 크롤러 가이드 본체의 전후 방향의 단부가 연결되는 가이드 연결 시트면이 동일 높이의 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를 상기 지지체 본체에 연결하는 주행 장치 횡방향 자세의 연결 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볼트가 전후 한 쌍의 상기 접지 회전륜의 회전 축심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를 상기 지지체 본체에 연결하는 주행 장치 횡방향 자세의 연결 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볼트가 상기 요동 축심보다도 주행 장치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볼트가, 전후 한 쌍의 상기 접지 회전륜의 회전 축심보다도 주행 장치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볼트가, 주행 장치 측면에서 볼 때 전후 한 쌍의 상기 접지 회전륜에 대하여 외주측으로 위치 어긋난 개소에 위치하고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KR1020130092475A 2012-11-14 2013-08-05 크롤러 주행 장치 KR1020608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50518 2012-11-14
JP2012250518A JP5951452B2 (ja) 2012-11-14 2012-11-14 クローラ走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952A true KR20140061952A (ko) 2014-05-22
KR102060841B1 KR102060841B1 (ko) 2019-12-30

Family

ID=50700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475A KR102060841B1 (ko) 2012-11-14 2013-08-05 크롤러 주행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951452B2 (ko)
KR (1) KR102060841B1 (ko)
CN (1) CN10380289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5527A (zh) * 2019-08-01 2019-12-03 徐工集团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三角履带轮及轮齿导向限位装置
WO2023037346A1 (en) * 2021-09-13 2023-03-16 Conterno & Bona S.R.L. Tracked undercarriage for a tracked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473B1 (ko) 2015-09-01 2024-02-23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및 작업차의 크롤러 주행 장치
JP6555988B2 (ja) * 2015-09-01 2019-08-0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クローラ走行装置
CN105216890A (zh) * 2015-10-27 2016-01-06 张学问 一种新型履带导轨
JP6895875B2 (ja) * 2016-12-19 2021-06-30 株式会社クボタ クローラ走行装置
US20220212735A1 (en) * 2021-01-06 2022-07-07 Shengmin YAN Crawler driving device
JP7449883B2 (ja) * 2021-02-04 2024-03-14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クローラ走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9834A (ja) * 1996-10-14 1998-05-12 Iseki & Co Ltd 走行クローラガイド
JP2002037148A (ja) * 2000-07-28 2002-02-06 Seirei Ind Co Ltd 乗用型作業車のクローラ走行装置
JP3431588B2 (ja) * 2000-09-25 2003-07-28 株式会社クボタ クローラ走行装置
JP2007099159A (ja) * 2005-10-06 2007-04-19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クローラ走行装置
JP4684243B2 (ja) * 2007-01-15 2011-05-18 株式会社クボタ クローラ走行装置
JP4597147B2 (ja) * 2007-01-18 2010-12-15 株式会社クボタ クローラ式走行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5527A (zh) * 2019-08-01 2019-12-03 徐工集团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三角履带轮及轮齿导向限位装置
CN110525527B (zh) * 2019-08-01 2024-03-01 江苏徐工工程机械研究院有限公司 一种三角履带轮及轮齿导向限位装置
WO2023037346A1 (en) * 2021-09-13 2023-03-16 Conterno & Bona S.R.L. Tracked undercarriage for a tracke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51452B2 (ja) 2016-07-13
KR102060841B1 (ko) 2019-12-30
JP2014097731A (ja) 2014-05-29
CN103802899B (zh) 2017-04-12
CN103802899A (zh)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1952A (ko) 크롤러 주행 장치
KR100830551B1 (ko) 이동농기
CN104470352B (zh) 切割机
RU2617332C2 (ru) Устройство в лесотехнической машине и лесотехническая машина, оборудованная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CN102523740A (zh) 作业车辆
CN108202776B (zh) 履带行驶装置
US9694862B2 (en) Work vehicle
US20100072813A1 (en) Crawler Tracks and Idlers for Crawler Tracks
JP5204798B2 (ja) 作業車
JP5006854B2 (ja) 作業機
JP5336960B2 (ja) 作業車
JP6162577B2 (ja) 乗用草刈機
JP5143519B2 (ja) クローラ走行装置のクローラ張力調整装置
JP2002096771A (ja) クローラ走行装置
JP2011020512A (ja) クローラ緊張輪支持部材
JP2003048574A (ja) 移動農機の走行クローラ装置
JP2014144759A (ja) クローラ走行装置
JP2022083575A (ja) 歩行型作業機
JP2004017922A (ja) 走行車
JP3938517B2 (ja) 走行車
JP2009078771A (ja) 作業機のクローラ走行装置
JP4934517B2 (ja) 走行型苗移植機
JP2010083159A (ja) クローラ走行装置
JPH0958539A (ja) 無限軌道帯式走行装置
JP2010095186A (ja) クローラ走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