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1666A - 램프 및 그를 이용한 차량 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램프 및 그를 이용한 차량 램프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61666A KR20140061666A KR1020120128567A KR20120128567A KR20140061666A KR 20140061666 A KR20140061666 A KR 20140061666A KR 1020120128567 A KR1020120128567 A KR 1020120128567A KR 20120128567 A KR20120128567 A KR 20120128567A KR 20140061666 A KR20140061666 A KR 201400616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tern
- plate
- light source
- source module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8—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both translucent and non-translucent layer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7—Electroluminescent displays f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표장(emblem) 표시가 가능한 램프 및 그를 이용한 차량 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원 모듈(light source module)과, 광원 모듈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광학 부재(optical member)를 포함하고, 광학 부재는, 광원 모듈에 인접하는 하부면과 하부면과 반대하는(opposite) 상부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plate)와,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소정의 표장(emblem)을 표시하는 제 1 패턴과, 제 1 패턴을 제외한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광원 모듈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집광하는 제 2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시예는 표장(emblem) 표시가 가능한 램프 및 그를 이용한 차량 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램프는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빛을 공급하거나 조절하는 장치를 말한다.
램프의 광원으로는 백열 전구, 형광등, 네온등과 같이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LED(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되고 있다.
LED는 화합물 반도체 특성을 이용하여 전기 신호를 적외선 또는 빛으로 변화시키는 소자로서, 형광등과 달리 수은 등의 유해 물질을 사용하지 않아 환경 오염 유발 원인이 적다.
또한, LED의 수명은 백열 전구, 형광등, 네온등의 수명보다 길다. 또한 백열 전구, 형광등, 네온등과 비교할 때, LED는 전력 소비가 적고, 높은 색온도로 인하여 시인성이 우수하고 눈부심이 적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램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는, 광원 모듈(1)과, 광원 모듈(1)에서 발광된 빛의 출사 지향각을 설정하는 리플렉터(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광원 모듈(1)은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1b) 위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광원(1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리플렉터(2)는 LED 광원(1a)에서 발광되는 광을 집속하여 일정 지향각을 가지고 개구부를 통하여 출사될 수 있도록 하며, 내측면에는 반사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램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LED 광원(1a)을 집속하여 빛을 얻는 램프로서, LED가 사용되는 램프는 그 용도에 따라 백라이트(backlight), 표시 장치, 조명등, 차량용 표시등, 또는 헤드 램프(head lamp) 등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차량에 사용되는 램프는 차량의 안전 운행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주행하는 차량에 인접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발광 상태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차량에 사용되는 램프는 안전 운행 기준에 적합한 광량을 확보해야 함과 동시에 차량 외관의 미적 기능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실시예는 다양한 패턴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를 이용하여, 표장(emblem) 표시가 가능하고, 광을 집광시킬 수 있는 램프 및 그를 이용한 차량 램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실시예는 다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를 이용하여, 입체적으로 표장을 표시할 수 있는 램프 및 그를 이용한 차량 램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어, 실시예는 광학 부재의 측부와 하부에 각각 광원 모듈을 배치하여, 밝은 환경에서 표장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는 램프 및 그를 이용한 차량 램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휠 수 있는 광학 부재와 광원 모듈을 이용하여, 곡률을 이루는 장착 대상물에 적용할 수 있는 램프 및 그를 이용한 차량 램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램프는, 광원 모듈(light source module)과, 광원 모듈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광학 부재(optical member)를 포함하고, 광학 부재는, 광원 모듈에 인접하는 하부면과 하부면과 반대하는(opposite) 상부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plate)와,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소정의 표장(emblem)을 표시하는 제 1 패턴과, 제 1 패턴을 제외한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광원 모듈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집광하는 제 2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학 부재는, 제 1 패턴과 제 2 패턴 사이에, 제 1 패턴의 주변을 둘러싸는 바탕 패턴(ground pattern)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바탕 패턴은 제 2 패턴과 다를 수 있거나 또는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패턴은, 양각 패턴(embossing pattern), 음각 패턴(engraving pattern), 프린팅 패턴(printing patter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어, 제 1 패턴은, 다수의 형광 입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제 1 패턴의 하부는, 제 2 패턴의 하부와 동일하고, 제 1 패턴의 상부는, 제 2 패턴의 상부와 다를 수 있다.
또한, 제 2 패턴은, 플레이트의 상부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물(projection)이고, 돌출물의 수직 단면은 서로 마주보는 제 1 면과 제 2 면으로 구성되며, 제 1 면과 제 2 면사이의 각도는 둔각 또는 예각일 수 있다.
그리고, 제 2 패턴은, 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다수의 돌출물들을 포함하고, 돌출물들은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돌출물들 사이의 간격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때, 서로 인접하는 돌출물들 사이의 간격은 제 1 패턴으로 근접할수록 좁아지고, 제 1 패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질 수 있다.
이어, 제 2 패턴은, 플레이트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제 2 패턴은 제 1 방향으로 배열되고,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제 2 패턴의 방향은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며,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은 서로 수직할 수 있다.
다음, 광학 부재는,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배치되고, 광원 모듈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확산하는 제 3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패턴은,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홈(groove)이고, 홈의 수직 단면은 오목한 곡면일 수 있다.
그리고, 광학 부재의 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원 모듈은 렌즈를 갖는 광원을 포함하고, 렌즈는 광원의 광 출사면의 중심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홈을 포함하며, 홈의 단면은 상부면이 넓고, 하부면이 좁은 원뿔 또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이어, 광학 부재와 광원 모듈 사이의 거리는 약 10mm 이상일 수 있다.
다음, 광학 부재의 플레이트와 광원 모듈 사이에는 입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확산판은 광학 부재의 플레이트에 접촉되고, 광원 모듈로부터 약 10mm 이상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확산판은 광학 부재의 플레이트으로부터 약 0.1mm ~ 10mm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고, 광원 모듈로부터 약 10mm 이상의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광원 모듈(light source module)과, 광원 모듈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광학 부재(optical member)를 포함하고, 광학 부재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 1 플레이트(plate)와, 제 2 플레이트을 포함하며, 제 1 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소정의 표장(emblem)을 표시하는 제 1 패턴이 배치되고, 제 2 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광원 모듈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집광하는 제 2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플레이트는, 제 2 플레이트와 광원 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플레이트는, 제 2 플레이트으로부터 약 0.1mm ~ 10mm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고, 광원 모듈로부터 약 10mm 이상의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플레이트는 제 1 플레이트의 제 1 패턴을 마주하는 영역의 상부면에 바탕 패턴(ground pattern)이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광원 모듈(light source module)과, 광원 모듈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광학 부재(optical member)를 포함하고, 광학 부재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 1 플레이트(plate)와, 제 2 플레이트을 포함하며, 제 1 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소정의 표장(emblem)을 표시하는 제 1 패턴과, 광원 모듈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집광하는 제 2 패턴이 배치되고, 제 2 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서로 다른 시점의 표장을 표시하는 다수개의 렌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렌즈는 반원통형 렌즈 또는 반구형 렌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플레이트는, 제 2 플레이트와 광원 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플레이트는, 제 2 플레이트으로부터 약 0.1mm ~ 10mm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고, 광원 모듈로부터 약 10mm 이상의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이어, 제 1 플레이트는, 제 1 패턴과 제 2 패턴 사이에, 제 1 패턴의 주변을 둘러싸는 바탕 패턴(ground pattern)이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제 1, 제 2 광원 모듈(light source module)과, 제 1, 제 2 광원 모듈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광학 부재(optical member)를 포함하고, 광학 부재는, 제 1 광원 모듈에 인접하는 하부면, 하부면과 반대하는(opposite) 상부면, 및 제 2 광원 모듈과 마주하는(facing) 측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plate)와,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소정의 표장(emblem)을 표시하는 제 1 패턴과, 제 1 패턴을 제외한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광원 모듈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집광하는 제 2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광원 모듈은 플레이트의 하부면으로부터 제 1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고, 제 2 광원 모듈은 플레이트의 측면으로부터 제 2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며, 제 1 간격과 제 2 간격은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제 1 광원 모듈은 제 1 기판과 제 1 기판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 1 광원을 포함하고, 제 2 광원 모듈은 제 2 기판과 제 2 기판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 2 광원을 포함하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어,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기판은 제 1 기판에 대해 경사지고,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의 각도는 둔각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광원의 개수는 제 2 광원의 개수보다 더 많을 수 있다.
이어, 플레이트의 측면은, 플레이트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이고, 플레이트의 측면과 플레이트의 상부면 사이의 각도는 예각이고, 플레이트의 측면과 플레이트의 하부면 사이의 각도는 둔각일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의 측면은, 제 2 광원 모듈로부터 약 0.1mm ~ 10mm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고, 플레이트의 하부면은, 제 1 광원 모듈로부터 약 10mm 이상의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는 다양한 패턴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표장(emblem) 표시가 가능하고, 광을 집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프리즘 시트(prism sheet) 등과 같은 추가적인 광학 부재를 제거할 수 있어, 무게가 가볍고, 제작 단가가 저렴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는 다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입체적으로 표장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광고 및 홍보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이어, 실시예는 광학 부재의 측부와 하부에 각각 광원 모듈을 배치함으로써, 야간 뿐만 아니라, 주간과 같은 밝은 환경에서도 표장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휠 수 있는 광학 부재와 광원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곡률을 이루는 장착 대상물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램프의 경제성 및 제품 디자인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램프를 보여주는 도면
도 2a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광학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a는 도 2a의 광학 부재와 광원 모듈의 배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Ⅰ-Ⅰ선상에 따른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2a의 광학 부재의 바탕 패턴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패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패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1 패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2 패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2 패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a 내지 도 10b는 제 2 패턴의 크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제 1 패턴의 위치에 따른 제 2 패턴의 꼭지각 변화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2 패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제 1 패턴의 위치에 따른 제 2 패턴들 사이의 거리 변화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4a 및 도 14b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 2 패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제 3 패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6은 곡면을 갖는 광학 부재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7a 내지 도 17d는 도 2a의 기판의 지지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8a 내지 도 18d는 도 2a의 기판의 연결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9a 및 도 19b는 기판의 지지부와 연결부의 연결 타입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0a 내지 도 20c는 기판의 지지부와 연결부의 두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1은 기판의 지지부 표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2는 기판의 지지부의 반사체 및 방열 핀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3a 및 도 23b는 기판의 연결부의 폭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24는 실시예에 따른 광원 모듈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5는 광원 모듈의 렌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6a 내지 도 26c는 광원 모듈에 적용되는 렌즈 타입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7a 내지 도 27c는 광원 모듈과 광학 부재 사이의 거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28a 및 도 28b는 확산판의 배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9a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램프의 광학 부재와 광원 모듈의 배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9b는 도 29a의 Ⅱ-Ⅱ선상에 따른 단면도
도 30a 및 도 30b는 도 29a의 광학 부재의 바탕 패턴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31a 및 도 31b는 도 29a의 광학 부재에 배치되는 확산판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2a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램프의 광학 부재와 광원 모듈의 배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2b는 도 32a의 Ⅲ-Ⅲ 선상에 따른 단면도
도 33a 및 도 33b는 도 32a의 제 2 플레이트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4a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램프의 광학 부재와 광원 모듈의 배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4b는 도 34a의 Ⅳ-Ⅳ 선상에 따른 단면도
도 35a 및 도 35b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램프의 광학 부재와 광원 모듈의 배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6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7은 실시예에 따른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용 후미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8은 실시예에 따른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2a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광학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a는 도 2a의 광학 부재와 광원 모듈의 배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Ⅰ-Ⅰ선상에 따른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2a의 광학 부재의 바탕 패턴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패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패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1 패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2 패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2 패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a 내지 도 10b는 제 2 패턴의 크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제 1 패턴의 위치에 따른 제 2 패턴의 꼭지각 변화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2 패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제 1 패턴의 위치에 따른 제 2 패턴들 사이의 거리 변화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4a 및 도 14b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 2 패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제 3 패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6은 곡면을 갖는 광학 부재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7a 내지 도 17d는 도 2a의 기판의 지지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8a 내지 도 18d는 도 2a의 기판의 연결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9a 및 도 19b는 기판의 지지부와 연결부의 연결 타입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0a 내지 도 20c는 기판의 지지부와 연결부의 두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1은 기판의 지지부 표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2는 기판의 지지부의 반사체 및 방열 핀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3a 및 도 23b는 기판의 연결부의 폭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24는 실시예에 따른 광원 모듈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5는 광원 모듈의 렌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6a 내지 도 26c는 광원 모듈에 적용되는 렌즈 타입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7a 내지 도 27c는 광원 모듈과 광학 부재 사이의 거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28a 및 도 28b는 확산판의 배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9a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램프의 광학 부재와 광원 모듈의 배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9b는 도 29a의 Ⅱ-Ⅱ선상에 따른 단면도
도 30a 및 도 30b는 도 29a의 광학 부재의 바탕 패턴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31a 및 도 31b는 도 29a의 광학 부재에 배치되는 확산판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2a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램프의 광학 부재와 광원 모듈의 배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2b는 도 32a의 Ⅲ-Ⅲ 선상에 따른 단면도
도 33a 및 도 33b는 도 32a의 제 2 플레이트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4a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램프의 광학 부재와 광원 모듈의 배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4b는 도 34a의 Ⅳ-Ⅳ 선상에 따른 단면도
도 35a 및 도 35b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램프의 광학 부재와 광원 모듈의 배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6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7은 실시예에 따른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용 후미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8은 실시예에 따른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을 보여주는 평면도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위(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위(on)"와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도 2a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광학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100), 방열 부재(400), 광학 부재(optical member)(600), 및 커버 부재(cover member)(7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100)은 전극 패턴을 갖는 기판(100b)과, 기판(100b)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광원(100a)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은, 각 광원(100a)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부(supporting portion)(120)들과, 서로 인접하는 지지부(120)들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connecting portion)(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은, 유연성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는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유리, 폴리카보네이트(PC), 실리콘(Si), 폴리이미드(polyimide), 에폭시(epoxy) 등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물질로 이루어진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일 수도 있고,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은 단층 PCB, 다층 PCB, 세라믹 기판, 메탈 코아 PCB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은 전체 영역이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기판(100b)의 전체 영역 중 일부분은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판(100b)의 지지부(120)와 연결부(130)는 서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일 예로, 기판(100b)의 지지부(120)와 연결부(130)는 베이스 부재와 베이스 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는 회로 패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베이스 부재의 재질은 유연성과 절연성을 갖는 필름, 예컨대,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에폭시(예컨대, FR-4)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기판(100b)의 지지부(120)와 기판(100b)의 연결부(130)는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 예로, 기판(100b)의 지지부(120)는 도체이고, 기판(100b)의 연결부(130)는 부도체일 수 있다.
또한, 기판(100b)의 지지부(120)는 광원(100a)을 지지하기 위해 휨이 없는 하드(hard)한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고, 기판(100b)의 연결부(130)는 휠 수 있는 연성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을 곡률을 갖는 장착 대상물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은 연성 재질을 적용함으로써, 휠 수도 있지만, 구조적 변형에 의해서도 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100b)의 지지부(120)는 제 1 두께를 가지고, 기판(100b)의 연결부(130)는 제 2 두께를 가질 수 있는데, 제 1 두께와 제 2 두께는 서로 다르게 제작함으로써, 기판(100b)을 휠 수도 있다.
일 예로, 기판(100b)의 연결부(130)의 제 2 두께가, 기판(100b)의 지지부(120)의 제 1 두께보다 더 얇다면, 기판(100b)의 연결부(130)에 의해 기판(100b)이 휘어질 수 있으므로,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을 곡률을 갖는 장착 대상물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은 반사 코팅 필름 및 반사 코팅 물질층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고, 광원(100a)에서 생성된 광을 광학 부재(600)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반사 코팅 필름 또는 반사 코팅 물질층은, 알루미늄(Al), 은(Ag), 금(Au), 이산화 티타늄(TiO2) 등과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은 광원(100a)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다수의 방열 핀(pin)들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다수의 방열 핀들은 기판(100b)의 지지부(120) 및 연결부(130)을 포함한 전체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광원(100a)을 지지하는 기판(100b)의 지지부(120)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은 광원(100a)을 구동시키기 위해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도전 패턴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전 패턴들은 기판(100b)의 지지부(120) 및 연결부(130)을 포함한 전체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광원(100a)을 지지하는 기판(100b)의 지지부(120)에만 배치될 수도 있고, 서로 인접한 지지부(120)들을 연결하는 기판(100b)의 연결부(130)에만 배치되어, 서로 인접하는 광원(100a)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다음, 광원 모듈(100)의 광원(100a)은 상면 발광형(top view type)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고, 경우에 따라, 광원 모듈(100)의 광원(100a)은 측면 발광형(side view type) 발광 다이오드일 수도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100)의 광원(100a)은 발광 다이오드 칩(LED chip)일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 칩은 레드 LED 칩, 블루 LED 칩 또는 자외선 LED 칩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레드 LED 칩, 그린 LED 칩, 블루 LED 칩, 엘로우 그린(Yellow green) LED 칩, 화이트 LED 칩 중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조합한 패키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화이트 LED는 블루 LED 상에 옐로우 형광체(Yellow phosphor)을 결합하거나, 블루 LED 상에 레드 형광체(Red phosphor)과 그린 형광체(Green phosphor)를 동시에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고, 블루 LED 상에 옐로우 형광체(Yellow phosphor), 레드 형광체(Red phosphor) 및 그린 형광체(Green phosphor)를 동시에 사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램프를 차량의 후미등에 적용할 경우, 광원 모듈의 광원(100a)은, 수직형 발광 칩, 예컨대, 적색 발광 칩일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 광원 모듈(100)의 광원(100a)은, 렌즈(200)를 포함할 수 있는데, 렌즈(200)는 광원(100a)의 광 출사면의 중심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광원(100a)과 대응하는 렌즈(200)의 하부면에 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홈의 단면은 상부면이 넓고, 하부면이 좁은 원뿔 또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렌즈(200)에 홈을 형성하는 이유는, 광원(100a)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지향각을 넓히기 위한 것으로, 실시예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렌즈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광학 부재(optical member)(600)는 기판(100b)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될 수 있는데, 기판(100b)과 광학 부재(600) 사이의 공간에는 광 혼합 영역(light mixing are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광학 부재(600)는, 커버 부재(700)가 생략되고, 커버 부재(700)의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광학 부재(600)는, 생략되고, 커버 부재(700)만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이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부재(600)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plate)(6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610)는 투광성 부재 또는 반투광성 부재일 수 있다.
예로서, 플레이트(610)는, 일반적으로 아크릴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폴리스티렌(PS),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환상 올레핀 코폴리(CO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레진(resin)과 같은 고투과성 플라스틱 등 광 확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610)는, 광원 모듈(100)에 인접하는 하부면(610b)과 하부면(610b)과 반대하는(opposite) 상부면(610a)을 포함할 수 있는데, 플레이트(610)의 상부면(610a)에는, 소정의 표장(emblem)을 표시하는 제 1 패턴(63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표장은 기호, 문자, 도형, 입체적 형상 또는 이들의 결합과 거기에 색체를 결합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어, 제 1 패턴(630)을 제외한 플레이트(610)의 상부면(610a)에는, 광원 모듈(100)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집광하는 제 2 패턴(62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패턴(630)과 제 2 패턴(620) 사이에는, 제 1 패턴(630)의 주변을 둘러싸는 바탕 패턴(ground pattern)(640)이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바탕 패턴(640)은 제 2 패턴(620)과 다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바탕 패턴(640)은 제 2 패턴(620)과 동일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패턴(630)은, 양각 패턴(embossing pattern), 음각 패턴(engraving pattern), 프린팅 패턴(printing patter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제 1 패턴(630)은, 다수의 형광 입자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어, 제 2 패턴(620)은, 플레이트(610)의 상부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물(projection)이고, 돌출물의 수직 단면은 서로 마주보는 제 1 면과 제 2 면으로 구성되며, 제 1 면과 제 2 면사이의 각도는 둔각 또는 예각일 수 있다.
여기서, 제 2 패턴(620)은, 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다수의 돌출물들을 포함하고, 돌출물들은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광학 부재(600)는, 플레이트(610)의 하부면(610b)에 배치되고, 광원 모듈(100)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확산하는 제 3 패턴(미도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3 패턴(미도시)은, 플레이트(610)의 하부면(610b)에 배치되는 홈(groove)일 수 있고, 홈의 수직 단면은 오목한 곡면일 수 있다.
그리고, 광학 부재(600)의 플레이트(610)는, 하나 이상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학 부재(600)의 플레이트(610)는, 커버 부재(700) 또는 장착 대상물의 외형에 따라, 오목한 곡면 , 볼록한 곡면, 편평한 평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갖는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광학 부재(600)와 광원 모듈(100) 사이의 거리는 약 10mm 이상일 수 있다.
만일, 광학 부재(600)와 광원 모듈(100) 사이의 거리가 약 10mm 이하일 경우, 램프는 균일한 휘도가 나타나지 않고, 광원(100a)이 위치한 영역에서 강한 휘도가 나타나는 핫 스팟(hot spot) 현상 또는 이와 반대로 상대적으로 약한 휘도가 나타나는 다크 스팟(dark spot)이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광학 부재(600)는, 플레이트(610), 제 1 패턴(630), 제 2 패턴(620), 제 3 패턴(미도시), 바탕 패턴(ground pattern)(640)이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그들의 각 조합별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어,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 하부에는 방열 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방열 부재(400)는 광원(100a)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방열 부재(400)는 열전도율이 높은 물질, 예컨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일 수 있다.
또는,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과 방열 부재(400)가 일체를 이루는 MCPCB(Metal Cor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으며, MCPCB 하면에 별도의 방열 부재(400)가 배치될 수도 있다.
별도의 방열 부재가 MCPCB의 하면에 부착될 경우, 아크릴계의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광원(100a)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광원(100a)의 온도가 상승할 경우, 광원(100a)의 광도가 감소하고, 발생하는 광의 파장 쉬프트(shift)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광원(100a)이 적색 발광 다이오드일 경우, 파장 쉬프트 및 광도 감소의 정도가 심하다.
하지만,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 하면에 방열 부재(400)를 배치하면, 광원(100a)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효율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으므로, 광원(100a)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광원(100a)의 광도가 감소하거나, 광원(100a)의 파장 쉬프트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 커버 부재(700)는 상면 커버(700a)와 측면 커버(700b)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면 커버(700a)는 광을 투과할 수 있는 투광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측면 커버(700b)는 광을 불투과하는 불투광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면 커버(700a)와 측면 커버(700b) 모두가 광을 투과할 수 있는 투광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커버 부재(700)는 기판(100b) 및 광원(100a)을 포함하는 광원 모듈(10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며, 광원 모듈(10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예컨대, 아크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700)는 디자인 측면에서 굴곡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은 유연성을 가지기 때문에, 굴곡진 커버 부재(700)에 용이하게 수납될 수 있다.
이어, 커버 부재(700)의 측면 커버(700b) 내측면에는 반사체(71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반사체(710)는 반사 코팅 필름 및 반사 코팅 물질층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고, 광원(100a)에서 생성된 광을 광학 부재(600)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이때, 반사체(710)는, 크롬(Cr), 알루미늄(Al), 은(Ag), 금(Au), 이산화 티타늄(TiO2) 등과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700)는 광학 부재(600)에 접촉되어 배치될 수 있는데, 일부만 접촉되고 나머지 일부는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커버 부재(700)는 광학 부재(600)를 마주하는 표면 전체가 광학 부재(600)에 접촉될 수도 있다.
또한, 커버 부재(700)는 광학 부재(600)를 마주하는 표면 전체가 광학 부재(60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커버 부재(700)와 광학 부재(600)의 배치 거리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휘도를 제공하기 위해, 장착 대상물에서 요구하는 광원 모듈의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700)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는 다양한 패턴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표장(emblem) 표시가 가능하고, 광을 집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는 프리즘 시트(prism sheet) 등과 같은 추가적인 광학 부재를 제거할 수 있어, 무게가 가볍고, 제작 단가가 저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휠 수 있는 광학 부재와 광원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곡률을 이루는 장착 대상물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램프의 경제성 및 제품 디자인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a는 도 2a의 광학 부재와 광원 모듈의 배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Ⅰ-Ⅰ선상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100)은, 기판(substrate)(100b)과, 기판(100b)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광원(light source)(100a)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100)의 광원(100a)은, 렌즈(200)를 포함할 수 있는데, 렌즈(200)는 광원(100a)의 광 출사면의 중심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광학 부재(optical member)(600)는 기판(100b)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광학 부재(600)는, 플레이트(plate)(610), 제 1 패턴(630), 제 2 패턴(620) 및 바탕 패턴(6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610)는 투광성 부재 또는 반투광성 부재일 수 있다.
예로서, 플레이트(610)는, 일반적으로 아크릴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폴리스티렌(PS),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환상 올레핀 코폴리(CO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레진(resin)과 같은 고투과성 플라스틱 등 광 확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610)의 상부면(610a)에는, 제 1 패턴(630)이 배치될 수 있는데, 제 1 패턴(630)은 소정의 표장(emblem)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표장은 기호, 문자, 도형, 입체적 형상 또는 이들의 결합과 거기에 색체를 결합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제 2 패턴(620)은, 플레이트(610)의 상부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물(projection)일 수 있는데, 돌출물의 수직 단면은 서로 마주보는 제 1 면과 제 2 면으로 구성되며, 제 1 면과 제 2 면사이의 각도는 둔각 또는 예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패턴(620)은, 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다수의 돌출물들을 포함하고, 돌출물들은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일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제 1 패턴(630)은, 양각 패턴(embossing pattern), 음각 패턴(engraving pattern), 프린팅 패턴(printing patter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제 1 패턴(630)은, 다수의 형광 입자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플레이트(610)의 상부면(610a)에는, 제 2 패턴(620)이 배치될 수 있는데, 제 2 패턴(620)은 플레이트(610)의 상부면(610a) 중에서, 제 1 패턴(630)을 제외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패턴(620)은, 광원 모듈(100)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집광할 수 있는 패턴으로서, 기설성된 기준 방향으로 많은 양의 광을 보낼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기준 방향이란, 다수의 광원(100a)들로부터 발생하는 광량 또는 광 세기를 측정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램프가 차량의 후미등에 적용될 경우, 차량의 후미등에 적용되는 램프의 안전 기준은, 등화(light)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차량 외축의 수평각 45도에서 볼때, 투영 면적이 약 12.5 제곱센티미터 이상이어야 하며, 예컨대 제동등의 밝기는 약 40 ~ 420 칸텔라(cd)이어야 한다.
또한, 플레이트(610)의 상부면(610a)에는, 바탕 패턴(ground pattern)(640)이 배치될 수 있는데, 바탕 패턴(640)은 제 1 패턴(630)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제 1 패턴(630)과 제 2 패턴(6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바탕 패턴(640)은 제 1 패턴(630)의 주변에 배치되어, 제 1 패턴(630)에 의해 표시되는 표장을 잘 보이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바탕 패턴(640)은 제 2 패턴(620)과 다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바탕 패턴(640)은 제 2 패턴(620)과 동일할 수도 있다.
그리고, 광학 부재(600)의 플레이트(610)는, 제 1, 제 2 패턴(630, 620)이 배치되는 상부면(610a)과,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을 마주하는 하부면(61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610)의 하부면(610b)과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 사이의 거리는 약 10mm 이상일 수 있다.
만일, 광학 부재(600)와 광원 모듈(100) 사이의 거리가 약 10mm 이하일 경우, 램프는 균일한 휘도가 나타나지 않고, 광원(100a)이 위치한 영역에서 강한 휘도가 나타나는 핫 스팟(hot spot) 현상 또는 이와 반대로 상대적으로 약한 휘도가 나타나는 다크 스팟(dark spot)이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광학 부재(600)는, 플레이트(610), 제 1 패턴(630), 제 2 패턴(620), 바탕 패턴(ground pattern)(640)이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그들의 각 조합별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는, 제 1, 제 2 패턴 및 바탕 패턴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표장(emblem)을 표시함과 동시에, 광을 집광시킬 수 있으므로 높은 휘도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실시예는 휘도가 높고, 광고 및 홍보 효과가 우수한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a의 광학 부재의 바탕 패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부재(600)는, 플레이트(plate)(610), 제 1 패턴(630), 제 2 패턴(620) 및 바탕 패턴(6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의 상부면(610a)에는, 제 1 패턴(630), 제 2 패턴(620), 바탕 패턴(64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패턴(630)은 소정의 표장(emblem)을 표시할 수 있고, 제 2 패턴(620)은 입사하는 광을 집광시킬 수 있다.
이때, 제 2 패턴(620)은, 제 1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다수의 돌출물들을 포함하고, 다수의 돌출물들은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바탕 패턴(640)은 제 1 패턴(630)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제 1 패턴(630)과 제 2 패턴(6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바탕 패턴(640)은 제 1 패턴(630)의 주변에 배치되어, 제 1 패턴(630)에 의해 표시되는 표장을 잘 보이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바탕 패턴(640)은 도 4a와 같이, 제 2 패턴(620)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패턴(620)은, 스트라이프 형상을 갖는 다수의 돌출물들이 제 1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고, 바탕 패턴(640)은 스트라이프 형상을 갖는 다수의 돌출물들이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바탕 패턴(640)은 도 4b와 같이, 제 2 패턴(620)과 동일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 2 패턴(620)은, 스트라이프 형상을 갖는 다수의 돌출물들이 제 1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고, 바탕 패턴(640)은 스트라이프 형상을 갖는 다수의 돌출물들이 제 2 패턴(620)과 동일한 제 2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바탕 패턴(640)이 제 2 패턴(620)과 동일한 제 2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경우, 바탕 패턴(640)의 돌출물들 사이의 간격이 제 2 패턴(620)의 돌출물들 사이의 간격보다 더 좁거나 또는 더 넓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바탕 패턴(640)을 배치하는 이유는, 제 2 패턴(620)으로부터 굴절되는 광에 의해, 표장의 선명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제 2 패턴(620)으로부터 굴절되는 광에 의해, 제 1 패턴(63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표장의 선명도가 낮으면, 제 1 패턴(630) 주변에 바탕 패턴(640)을 배치하여, 표장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바탕 패턴(640)으로부터 굴절되는 광의 방향은, 제 1 패턴(630)에 의해 굴절되는 광의 방향이 다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바탕 패턴(640)은 광학 부재(600)로부터 생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광학 부재(600)는, 제 1, 제 2 패턴 및 바탕 패턴을 포함하므로, 표장(emblem)을 선명하게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광을 집광시킬 수 있으므로, 높은 휘도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휘도가 높고, 광고 및 홍보 효과가 우수한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패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패턴(630)은 플레이트(610) 위에 배치될 수 있는데, 제 1 패턴(630)은 소정의 표장(emblem)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패턴(630)은, 양각 패턴(embossing pattern), 음각 패턴(engraving pattern), 프린팅 패턴(printing patter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양각 패턴은, 도 5a와 같이, 플레이트(610)의 표면을 가공하여, 플레이트(61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패턴을 의미하고, 음각 패턴은, 도 5b와 같이, 플레이트(610)의 표면을 가공하여, 플레이트(61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리세스(recess)되는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프린팅 패턴은, 도 5c와 같이, 플레이트(610)의 표면 위에 패턴 물질을 프린팅하는 패턴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610)는, 일반적으로 아크릴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폴리스티렌(PS),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환상 올레핀 코폴리(CO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레진(resin)과 같은 고투과성 플라스틱 등 광 확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패턴(630)은 플레이트(610)의 표면을 기계적 또는 화학적으로 가공하거나, 플레이트(610) 위에 패턴 물질을 프린팅하는 프린팅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린팅 공정시, 패턴 물질은, 플레이트(610)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패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패턴(630)은 플레이트(610) 위에 배치될 수 있는데, 제 1 패턴(630)은 소정의 표장(emblem)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패턴(630)은, 다수의 형광 입자(65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패턴(630)은, 도 6a와 같이, 다수의 형광 입자(650)들이 적층된 패턴일 수도 있고, 도 6b와 같이, 다수의 형광 입자(650)들이 포함된 형광체층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며, 형광체층은 투명 수지 및 형광 입자(650)를 포함할 수 있는데, 투명 수지와 형광 입자의 함량 비율이 약 1 : 1 ~ 1 : 3일 수 있다.
그리고, 형광 입자(650)는 약 550 ~ 750nm 범위의 파장을 갖는 형광 입자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형광 입자(650)는 약 580 ~ 600nm 범위의 파장을 갖는 형광 입자로서, 일 예로, (Br, Sr, Ca)2SiO4:Eu 등일 수 있다.
또한, 형광 입자(650)는 약 601 ~ 670nm 범위의 파장을 갖는 형광 입자로서, 일 예로, (Ca, Sr, Ba)2Si5N8:Eu, (Mg, Ca, Sr)AlSiN3:Eu, (Ca, Sr, Ba)Si7N10:Eu, (Ca, Sr, Ba)SiN2:Eu 등일 수 있다.
다음, 형광 입자(650)는, 다각형, 구형, 플레이크(flake)형 중 적어도 어느 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형광 입자(650)는 평균 입경이 약 100㎚ ~ 50㎛인 구형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패턴(630)에 형광 입자(650)를 포함시키는 이유는,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이 형광 입자(650)에 반사되어, 외부 환경이 밝은 주간에도 표장가 선명하게 표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시예는, 야간 뿐만 아니라, 주간과 같은 밝은 환경에서도 표장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다.
도 7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1 패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패턴(630)은 플레이트(610) 위에 배치될 수 있는데, 제 1 패턴(630)은 소정의 표장(emblem)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패턴(630)의 하부 단면의 형상은, 제 2 패턴(620)의 하부 단면 형상과 동일할 수 있고, 제 1 패턴(630)의 상부 단면의 형상은, 제 2 패턴(620)의 상부 단면 형상과 다를 수 있다.
즉, 제 1 패턴(630)은 제 2 패턴(620)을 가공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610)의 전체 영역을 제 2 패턴(620)들이 배치되도록 1차 가공한 다음, 제 2 패턴(620)의 일부를 2차 가공함으로써, 제 2 패턴(620)을 표장 표시가 가능한 제 1 패턴(630)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7과 같이, 다수의 제 2 패턴(620)들 중, 제 2 패턴(620)의 일부를 가공함으로써, 상부면(630a)이 편평한 형상을 갖는 제 1 패턴(630)을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패턴(630)들은 상부면(630a)의 가공으로 인하여, 표장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장 표시가 가능한 제 1 패턴(630)들은 제 2 패턴(620)들의 일부를 가공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공정이 간단하고,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2 패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패턴(620)은 플레이트(610) 위에 배치될 수 있는데, 입사되는 광을 집광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패턴(620)은 플레이트(610)의 상부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물(projection)(621)일 수 있다.
이때, 돌출물(621)의 수직 단면은 서로 마주보는 제 1 면(621a)과 제 2 면(621b)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제 1 면(621a)과 제 2 면(621b) 사이의 각도는 약 10 - 170도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a와 같이, 제 2 패턴(620)은 돌출물(621)의 제 1 면(621a)과 제 2 면(621b)사이의 각도 θ1가 예각일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도 8b와 같이, 제 2 패턴(620)은 돌출물(621)의 제 1 면(621a)과 제 2 면(621b)사이의 각도 θ2가 둔각일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도 8c와 같이, 제 2 패턴(620)은 돌출물(621)의 제 1 면(621a)과 제 2 면(621b)사이의 각도 θ3가 직각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2 패턴(620)에서, 돌출물(621)의 제 1 면(621a)과 제 2 면(621b)사이의 각도가 다양한 이유는, 적용하고자 하는 램프의 장착 대상물에 따라서, 요구되는 집광 정도 및 광의 확산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도 9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2 패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패턴(620)은 플레이트(610) 위에 배치될 수 있는데, 입사되는 광을 집광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패턴(620)은 플레이트(610)의 상부면(610a)으로 돌출되는 돌출물(projection)(621)일 수 있다.
이때, 제 2 패턴(620)은, 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다수의 돌출물(621)들을 포함하는데, 돌출물(621)들은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일 수 있다.
제 2 패턴(620)의 돌출물(621)들은, 연속적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서로 인접하는 돌출물(621)들은 일부가 서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돌출물(621)들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2 패턴(620)의 돌출물(621)들을 연속적으로 나란히 배치하는 이유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휘도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제 2 패턴의 크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패턴(620)은 플레이트(610) 위에 배치될 수 있는데, 입사되는 광을 집광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패턴(620)은 플레이트(610)의 상부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물(projection)일 수 있다.
이때, 돌출물의 수직 단면은 서로 마주보는 제 1 면과 제 2 면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각도는 약 10 - 170도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패턴(620)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제 1 돌출물(621-1), 제 2 돌출물(621-2), 제 3 돌출물(621-3), 제 4 돌출물(621-4)을 포함한다면, 서로 마주보는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각도는 서로 다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서로 동일할 수도 있다.
도 10a와 같이, 제 1 돌출물(621-1)은 서로 마주보는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각도가 θ11이고, 제 2 돌출물(621-2)은 서로 마주보는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각도가 θ12이며, 제 3 돌출물(621-3)은 서로 마주보는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각도가 θ13이고, 제 1 돌출물(621-4)은 서로 마주보는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각도가 θ14일 경우, θ11, θ12, θ13, θ14는 서로 다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10b와 같이, θ11, θ12, θ13, θ14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각도가 다른 돌출물(621)들을 포함하는 제 2 패턴(620)은, 곡률에 따라 다양한 집광도가 요구되는 곡률을 갖는 장착 대상물에 적용할 때, 적합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각도가 동일한 돌출물(621)들을 포함하는 제 2 패턴(620)은, 균일한 휘도 및 집광도가 요구되는 장착 대상물에 적용할 때, 적합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부재의 제 2 패턴(620)은 램프를 장착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할 수 있다.
도 11은 제 1 패턴의 위치에 따른 제 2 패턴의 꼭지각 변화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패턴(630)과 제 2 패턴(620)은 플레이트(610) 위에 배치될 수 있는데, 제 1 패턴(630)은 표장을 표시할 수 있고, 제 2 패턴(620)은 입사되는 광을 집광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패턴(620)은 플레이트(610)의 상부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물(projection)일 수 있다.
이때, 돌출물의 수직 단면은 서로 마주보는 제 1 면과 제 2 면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각도는 약 10 - 170도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패턴(620)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제 1 돌출물(621-1), 제 2 돌출물(621-2), 제 3 돌출물(621-3), 제 4 돌출물(621-4)을 포함할 경우, 제 1 돌출물(621-1), 제 2 돌출물(621-2), 제 3 돌출물(621-3), 제 4 돌출물(621-4)은, 제 1 패턴(630)에 인접할수록,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각도는 점차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즉, 도 11과 같이, 제 1 돌출물(621-1)은 제 1 패턴(630)으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되고, 제 4 돌출물(621-4)은 제 1 패턴(630)에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며, 제 1돌출물(621-1)과 제 4 돌출물(621-4) 사이에 제 2, 제 3 돌출물(621-2, 621-3)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경우, 제 1 돌출물(621-1)의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각도 θ11이 가장 크고, 제 4 돌출물(621-4)의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각도가 θ14가 가장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패턴(620)은 서로 다른 꼭지각(vertical angule)을 갖는 돌출물(621)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돌출물(621)의 꼭지각은 제 1 패턴(630)에 인접할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그 이유는, 표장을 표시하는 제 1 패턴(630) 주변에 입사되는 광의 집광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표장의 선명도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2 패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패턴(620)은 플레이트(610) 위에 배치될 수 있는데, 입사되는 광을 집광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패턴(620)은 플레이트(610)의 상부면(610a)으로 돌출되는 돌출물(projection)(621)일 수 있다.
이때, 제 2 패턴(620)은, 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다수의 돌출물(621)들을 포함하는데, 돌출물(621)들은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일 수 있다.
제 2 패턴(620)의 돌출물(621)들은, 일정 간격을 갖도록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즉, 서로 인접하는 돌출물(621)들은 일정 간격 떨어져서 배치되는데, 서로 인접하는 돌출물(621)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 2 패턴(620)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제 1 돌출물(621-1), 제 2 돌출물(621-2), 제 3 돌출물(621-3), 제 4 돌출물(621-4)을 포함할 경우, 제 1 돌출물(621-1)과 제 2 돌출물(621-2)은 간격 d11만큼 떨어져 배치되고, 제 2 돌출물(621-2)과 제 3 돌출물(621-3)은 간격 d12만큼 떨어져 배치되며, 제 3 돌출물(621-3)과 제 4 돌출물(621-4)은 간격 d13만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2a와 같이, 간격 d11, 간격 d12, 간격 d13은 서로 동일할 수 있고, 도 12b와 같이, 간격 d11, 간격 d12, 간격 d13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광학 부재의 제 2 패턴(620)은 램프를 장착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할 수 있다.
도 13은 제 1 패턴의 위치에 따른 제 2 패턴들 사이의 거리 변화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패턴(630)과 제 2 패턴(620)은 플레이트(610) 위에 배치될 수 있는데, 제 1 패턴(630)은 표장을 표시할 수 있고, 제 2 패턴(620)은 입사되는 광을 집광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패턴(620)은 플레이트(610)의 상부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물(projection)일 수 있다.
제 2 패턴(620)의 돌출물들은, 일정 간격을 갖도록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패턴(620)이 제 1 돌출물(621-1), 제 2 돌출물(621-2), 제 3 돌출물(621-3), 제 4 돌출물(621-4)을 포함할 경우, 제 1 돌출물(621-1)과 제 2 돌출물(621-2)은 간격 d11만큼 떨어져 배치되고, 제 2 돌출물(621-2)과 제 3 돌출물(621-3)은 간격 d12만큼 떨어져 배치되며, 제 3 돌출물(621-3)과 제 4 돌출물(621-4)은 간격 d13만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돌출물(621-1)은 제 1 패턴(630)으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되고, 제 4 돌출물(621-4)은 제 1 패턴(630)에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며, 제 1돌출물(621-1)과 제 4 돌출물(621-4) 사이에 제 2, 제 3 돌출물(621-2, 621-3)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경우, 제 1 돌출물(621-1)과 제 2 돌출물(621-2) 사이의 간격 d11이 가장 넓고, 제 3 돌출물(621-3)과 제 4 돌출물(621-4) 사이의 간격 d13이 가장 좁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패턴(620)은 서로 다른 간격을 갖는 돌출물(621)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돌출물(621)들 사이의 간격은 제 1 패턴(630)에 인접할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질 수 있다.
그 이유는, 표장을 표시하는 제 1 패턴(630) 주변에 입사되는 광의 집광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표장의 선명도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 2 패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패턴(620)은 플레이트(610)에 배치될 수 있는데, 입사되는 광을 집광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패턴(620)은 플레이트(610)의 상부면(610a)과 하부면(610b)으로 돌출되는 돌출물(projection)(621)일 수 있다.
이때, 제 2 패턴(620)은, 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다수의 돌출물(621)들을 포함하는데, 돌출물(621)들은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일 수 있다.
플레이트(610)의 상부면(610a)에 배치되는 제 2 패턴(620)의 돌출물(621)들은, 플레이트(610)의 하부면(610b)에 배치되는 제 2 패턴(620)의 돌출물(621)들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a와 같이, 플레이트(610)의 상부면(610a)에 배치되는 제 2 패턴(620)의 돌출물(621)들은, 제 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경우, 플레이트(610)의 하부면(610b)에 배치되는 제 2 패턴(620)의 돌출물(621)들도, 제 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14b와 같이, 플레이트(610)의 상부면(610a)에 배치되는 제 2 패턴(620)의 돌출물(621)들은, 제 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경우, 플레이트(610)의 하부면(610b)에 배치되는 제 2 패턴(620)의 돌출물(621)들도,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광학 부재의 제 2 패턴(620)은 램프를 장착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할 수 있다.
도 15는 제 3 패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부재는, 플레이트(610)의 상부면에 제 1 패턴(630)과 제 2 패턴(620)이 배치될 수 있고, 플레이트(610)의 하부면에 제 3 패턴(65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패턴(630)은 표장을 표시할 수 있고, 제 2 패턴(620)은 입사되는 광을 집광할 수 있으며, 제 3 패턴(650)은 입사되는 광을 확산할 수 있다.
이때, 제 3 패턴(650)은, 플레이트(610)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홈(groove)일 수 있고, 홈의 수직 단면은 오목한 곡면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광학 부재는 플레이트(610)의 하부면에도 광 확산을 위한 제 3 패턴을 배치함으로써, 광 확산을 위한 추가적인 시트들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전체적인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도 16은 곡면을 갖는 광학 부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부재는 플레이트(610)에 제 1 패턴(630)과 제 2 패턴(620)이 배치될 수 있는데, 제 1 패턴(630)은 표장을 표시할 수 있고, 제 2 패턴(620)은 입사되는 광을 집광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610)는,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 IP(Inflection Point)을 갖는 적어도 2개의 경사면(inclined surface)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610)는, 변곡점 IP를 중심으로,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610)의 제 1 영역의 경사면은 제 1 곡률 반경을 가지고, 플레이트(610)의 제 2 영역의 경사면은 제 2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으며, 제 1 곡률 반경과 제 2 곡률 반경은 서로 다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플레이트(610)는, 다수의 변곡점들을 가질 수 있으며, 각 변곡점 IP를 중심으로 인접하는 경사면들의 곡률 반경이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휠 수 있는 플레이트(610)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는 곡률을 이루는 장착 대상물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램프의 경제성 및 제품 디자인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d는 도 2a의 기판의 지지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은, 기판(substrate)(100b)과, 기판(100b)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광원(light source)(100a)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판(100b)은 다수의 지지부(supporting portion)(120) 및 연결부(connecting portion)(13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지지부(120)는, 각 광원(100a)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연결부(130)는 서로 인접하는 지지부(120)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7a와 같이, 광원(100a)을 마주하는 지지부(120)의 표면(120a)은 편평한 평면(flat surface)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17b와 같이, 광원(100a)을 마주하는 지지부(120)의 표면(120a)은 오목한 곡면(concave surface)일 수 있고, 도 17c와 같이, 광원(100a)을 마주하는 지지부(120)의 표면(120a)은 볼록한 곡면(convex surface)일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도 17d와 같이, 광원(100a)을 마주하는 지지부(120)의 표면(120a)은 요철 패턴을 갖는 표면일 수도 있다.
또한, 기판(100b)의 지지부(120)는 반사 코팅 필름 및 반사 코팅 물질층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고, 광원(100a)에서 생성된 광을 광학 부재(600)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반사 코팅 필름 또는 반사 코팅 물질층은, 크롬(Cr), 알루미늄(Al), 은(Ag), 금(Au), 이산화 티타늄(TiO2) 등과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판(100b)의 지지부(120) 표면 형상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휘도를 제공하기 위해, 장착 대상물에서 요구하는 광원 모듈의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도 18a 내지 도 18d는 도 2a의 기판의 연결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8a 내지 도 1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은, 기판(substrate)(100b)과, 기판(100b)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광원(light source)(100a)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판(100b)은 다수의 지지부(supporting portion)(120) 및 연결부(connecting portion)(13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지지부(120)는, 각 광원(100a)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연결부(130)는 서로 인접하는 지지부(120)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8a와 같이, 인접하는 지지부(120)들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130)의 표면(130a)은 편평한 평면(flat surface)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18b와 같이, 인접하는 지지부(120)들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130)의 표면(130a)은 오목한 곡면(concave surface)일 수 있고, 도 18c와 같이, 인접하는 지지부(120)들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130)의 표면(130a)은 볼록한 곡면(convex surface)일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도 18d와 같이, 인접하는 지지부(120)들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130)의 표면(130a)은 요철 패턴을 갖는 표면일 수도 있다.
또한, 기판(100b)의 연결부(130)는 반사 코팅 필름 및 반사 코팅 물질층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고, 광원(100a)에서 생성된 광을 광학 부재(600)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반사 코팅 필름 또는 반사 코팅 물질층은, 크롬(Cr), 알루미늄(Al), 은(Ag), 금(Au), 이산화 티타늄(TiO2) 등과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판(100b)의 연결부(130) 표면 형상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휘도를 제공하기 위해, 장착 대상물에서 요구하는 광원 모듈의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는 기판의 지지부와 연결부의 연결 타입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도 19a는 지지부와 연결부가 일체인 일체형 기판이고, 도 19b는 지지부와 연결부가 분리된 분리형 기판이다.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은, 기판(substrate)(100b)과, 기판(100b)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광원(light source)(100a)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판(100b)은 다수의 지지부(supporting portion)(120) 및 연결부(connecting portion)(13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지지부(120)는, 각 광원(100a)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연결부(130)는 서로 인접하는 지지부(120)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9a와 같이, 기판(100b)의 지지부(120)와 기판(100b)의 연결부(130)는 서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일체형일 수 있다.
일 예로, 기판(100b)의 지지부(120)와 연결부(130)는 베이스 부재와 베이스 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는 회로 패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베이스 부재의 재질은 유연성과 절연성을 갖는 필름, 예컨대,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에폭시(예컨대, FR-4)일 수 있다.
또한, 기판(100b)의 지지부(120)와 연결부(130)는 휠 수 있는 연성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곡률을 갖는 장착 대상물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9b와 같이, 기판(100b)의 지지부(120)와 기판(100b)의 연결부(130)는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지는 분리형일 수도 있다.
일 예로, 기판(100b)의 지지부(120)는 도체이고, 기판(100b)의 연결부(130)는 부도체일 수 있다.
또한, 기판(100b)의 지지부(120)는 광원(100a)을 지지하기 위해 휨이 없는 하드(hard)한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고, 기판(100b)의 연결부(130)는 휠 수 있는 연성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곡률을 갖는 장착 대상물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여기서, 분리형으로 제작되는 기판(100b)의 지지부(120)와 연결부(130) 사이에는 결합 부재(미도시)가 배치되어, 지지부(120)와 연결부(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작되는 기판(100b)의 지지부(120)와 연결부(130)는 반사 코팅 필름 및 반사 코팅 물질층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고, 광원(100a)에서 생성된 광을 광학 부재(600)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반사 코팅 필름 또는 반사 코팅 물질층은, 크롬(Cr), 알루미늄(Al), 은(Ag), 금(Au), 이산화 티타늄(TiO2) 등과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100b)의 지지부(120)와 연결부(130)는 광원(100a)을 구동시키기 위해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도전 패턴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전 패턴들은 기판(100b)의 지지부(120) 및 연결부(130)을 포함한 전체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광원(100a)을 지지하는 기판(100b)의 지지부(120)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서로 인접한 지지부(120)들을 연결하는 기판(100b)의 연결부(130)에만 배치되어, 서로 인접하는 광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기판(100b)의 지지부(120) 및 연결부(130)의 연결 타입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휘도를 제공하기 위해, 장착 대상물에서 요구하는 광원 모듈의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기판의 지지부와 연결부의 두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0a 내지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은, 기판(substrate)(100b)과, 기판(100b)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광원(light source)(100a)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판(100b)은 다수의 지지부(supporting portion)(120) 및 연결부(connecting portion)(13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지지부(120)는, 각 광원(100a)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연결부(130)는 서로 인접하는 지지부(120)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0a와 같이, 기판(100b)의 지지부(120)는 제 1 두께 t1를 가지고, 기판(100b)의 연결부(130)는 제 2 두께 t2를 가질 수 있는데, 제 1 두께 t1와 제 2 두께 t2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20b와 같이, 기판(100b)의 지지부(120)는 제 1 두께 t1를 가지고, 기판(100b)의 연결부(130)는 제 2 두께 t2를 가질 수 있는데, 제 1 두께 t1와 제 2 두께 t2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이때, 제 1 두께 t1는 제 2 두께 t2보다 더 두꺼울 수 있는데, 일 예로, 제 1 두께 t1와 제 2 두께 t2의 비율은, 약 1.1 : 1 ~ 30 : 1일 수 있다.
제 2 두께 t2가 제 1 두께 t1보다 더 얇은 이유는, 기판(100b)이 쉽게 휘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다른 경우로서, 도 20c와 같이, 기판(100b)의 연결부(130)는 기판(100b)의 지지부(120)로부터 먼 영역의 두께 t22가 기판(100b)의 지지부(120)에 인접한 영역의 두께 t21보다 더 얇을 수 있다.
즉, 기판(100b)의 연결부(130)는 기판(100b)의 지지부(120)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기판(100b)의 지지부(120)로부터 먼 영역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얇아질 수 있다.
여기서, 기판(100b)의 연결부(130)의 두께를 점차적으로 얇게 형성하는 이유는, 기판(100b)이 쉽게 휘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기판(100b)의 지지부(120) 및 연결부(130)의 두께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휘도를 제공하기 위해, 장착 대상물에서 요구하는 광원 모듈의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도 21은 기판의 지지부 표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은, 기판(substrate)(100b)과, 기판(100b)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광원(light source)(100a)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판(100b)은 다수의 지지부(supporting portion)(120) 및 연결부(connecting portion)(13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지지부(120)는, 각 광원(100a)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연결부(130)는 서로 인접하는 지지부(120)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기판(100b)의 지지부(120)는, 광원(100a)을 마주하는 제 1 표면(120a)과, 제 1 표면(120a)을 마주하는 제 2 표면(120b)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 1 표면(120a)은 편평한 평면이고, 제 2 표면(120b)은 요철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이처럼, 지지부(120)의 제 1 표면(120a)을 편평한 평면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광원(100a)에서 발생된 광을 상부 방향으로 반사시켜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부(120)의 제 2 표면(120b)에 요철 패턴을 형성하는 이유는, 광원(100a)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쉽게 방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기판(100b)의 지지부(120) 표면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휘도를 제공하기 위해, 장착 대상물에서 요구하는 광원 모듈의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도 22는 기판의 지지부의 반사체 및 방열 핀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은, 기판(substrate)(100b)과, 기판(100b)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광원(light source)(100a)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판(100b)은 다수의 지지부(supporting portion)(120) 및 연결부(connecting portion)(13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지지부(120)는, 각 광원(100a)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연결부(130)는 서로 인접하는 지지부(120)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기판(100b)의 지지부(120)는, 광원(100a)을 마주하는 제 1 표면(120a)과, 제 1 표면(120a)을 마주하는 제 2 표면(120b)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 1 표면(120a) 위에는 반사체(127)가 배치되고, 제 2 표면(120b) 위에는 다수의 방열 핀(129)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반사체(127)는, 크롬(Cr), 알루미늄(Al), 은(Ag), 금(Au), 이산화 티타늄(TiO2) 등과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방열 핀(129)는 열전도율이 높은 물질, 예컨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일 수 있다.
이처럼, 지지부(120)의 제 1 표면(120a)에 반사체(127)를 형성하는 이유는, 광원(100a)에서 발생된 광을 상부 방향으로 반사시켜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부(120)의 제 2 표면(120b)에 방열 핀(129)을 형성하는 이유는, 광원(100a)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쉽게 방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기판(100b)의 지지부(120)의 반사체(127) 및 방열 핀(129)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휘도를 제공하기 위해, 장착 대상물에서 요구하는 광원 모듈의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도 23a 및 도 23b는 기판의 연결부의 폭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은, 기판(substrate)(100b)과, 기판(100b)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광원(light source)(100a)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판(100b)은 다수의 지지부(supporting portion)(120) 및 연결부(connecting portion)(13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지지부(120)는, 각 광원(100a)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연결부(130)는 서로 인접하는 지지부(120)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기판(100b)의 연결부(130)는, 서로 인접하는 광원(100a)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 패턴(132)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23a와 같이, 기판(100b)의 연결부(130)의 폭 W2는, 기판(100b)의 지지부(120)의 폭 W1과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기판(100b)의 연결부(130)의 폭 W2가 기판(100b)의 지지부(120)의 폭 W1과 동일할 경우, 도전 패턴(132)를 다양한 형태로 설계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3b와 같이, 기판(100b)의 연결부(130)의 폭 W2는, 기판(100b)의 지지부(120)의 폭 W1보다 더 좁을 수도 있다.
기판(100b)의 연결부(130)의 폭 W2가 기판(100b)의 지지부(120)의 폭 W1보다 더 좁을 경우, 기판(100b)을 쉽게 휠 수 있으므로, 곡률을 갖는 장착 대상물에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판(100b)의 연결부(130)의 폭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휘도를 제공하기 위해, 장착 대상물에서 요구하는 광원 모듈의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도 24는 실시예에 따른 광원 모듈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은 기판(100b)과, 기판(100b) 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00a)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의 기판(100b)은, 광원(100a)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회로 패턴(152)이 배치되고, 회로 패턴(152)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유연성과 절연성을 갖는 필름(154)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기판(100b)의 필름(154)은 PSR(PhotoSolderResist), 폴리이미드(polyimide), 에폭시(예컨대, FR-4) 등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기판(100b)의 필름(154)이 회로 패턴(152)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 회로 패턴(152)의 상부에 배치되는 필름과 회로 패턴(152)의 하부에 배치되는 필름이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광원 모듈의 기판(100b)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유리, 폴리카보네이트(PC), 실리콘(Si), 폴리이미드(polyimide), 에폭시(epoxy) 등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물질로 이루어진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일 수 있는데, 일 예로, 단층 PCB, 다층 PCB, 세라믹 기판, 메탈 코아 PCB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 광원 모듈의 광원(100a)은 상면 발광형(top view type)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고, 경우에 따라, 광원 모듈의 광원(100a)은 측면 발광형(side view type) 발광 다이오드일 수도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의 광원(100a)은 발광 다이오드 칩(LED chip)일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 칩은 레드 LED 칩, 블루 LED 칩 또는 자외선 LED 칩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레드 LED 칩, 그린 LED 칩, 블루 LED 칩, 엘로우 그린(Yellow green) LED 칩, 화이트 LED 칩 중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조합한 패키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램프를 차량의 후미등에 적용할 경우, 광원 모듈의 광원(100a)은, 수직형 발광 칩, 예컨대, 적색 발광 칩일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5는 광원 모듈의 렌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은 전극 패턴을 갖는 기판(100b)과, 기판(100b) 위에 배치되는 광원(100a)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의 광원(100a)은, 렌즈(200)를 포함할 수 있는데, 렌즈(200)는 광원(100a)의 광 출사면(100a-1)의 중심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홈(200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홈(200a)의 단면은 상부면이 넓고, 하부면이 좁은 원뿔 또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렌즈(200)에 홈(200a)을 형성하는 이유는, 광원(100a)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지향각을 넓히기 위한 것으로, 실시예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렌즈(200)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6a 내지 도 26c는 광원 모듈에 적용되는 렌즈 타입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6a 내지 도 2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은 기판(100b), 광원(100a) 및 렌즈(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의 광원(100a)은 발광 다이오드 칩(LED chip)(117) 타입일 수 있으며, 패키지 몸체(118) 내에 발광 다이오드 칩(117)이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타입일 수도 있다.
그리고, 렌즈(200)는 광원(100a)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데, 광원 모듈의 광원(100a) 타입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렌즈(200)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6a와 같이, 광원 모듈의 광원(100a)이, 기판(100b) 위에 발광 다이오드 칩(LED chip)(117)이 배치되는 타입일 경우, 렌즈(200)는 발광 다이오드 칩(117)을 커버하도록 기판(100b)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6b와 같이, 광원 모듈의 광원(100a)이, 패키지 몸체(118) 내에 발광 다이오드 칩(117)이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타입일 경우, 렌즈(200)는 발광 다이오드 칩(117)을 커버하도록 패키지 몸체(118) 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어, 도 26c와 같이, 광원 모듈의 광원(100a)이, 패키지 몸체(118) 내에 발광 다이오드 칩(117)이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타입일 경우, 렌즈(200)는 발광 다이오드 칩(117)을 포함한 패키지 몸체(118) 전체를 커버하도록 기판(100b) 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렌즈(200)는 패키지 몸체(118)로부터 일정 공간을 두고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커버할 수 있다.
도 27a 내지 도 27c는 광원 모듈과 광학 부재 사이의 거리를 보여주는 도면로서, 도 27a는 단면도이고, 도 27b 및 도 27c는 광학 부재의 상부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100)은 전극 패턴을 갖는 기판(100b)과, 기판(100b)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광원(100a)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광학 부재(600)의 플레이트(610)는, 제 1, 제 2 패턴(630, 620)이 배치되는 상부면(610a)과,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을 마주하는 하부면(61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610)의 하부면(610b)과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 사이의 거리 d는 약 10mm 이상일 수 있다.
만일, 광학 부재(600)와 광원 모듈(100) 사이의 거리 d가 약 10mm 이하일 경우, 램프는 균일한 휘도가 나타나지 않고, 광원(100a)이 위치한 영역에서 강한 휘도가 나타나는 핫 스팟(hot spot) 현상 또는 이와 반대로 상대적으로 약한 휘도가 나타나는 다크 스팟(dark spot)이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7b와 같이, 광학 부재(600)와 광원 모듈(100) 사이의 거리 d가 약 10mm 이하일 경우, 광원(100a)이 위치한 영역에서 핫 스팟(hot spot)이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27c와 같이, 광학 부재(600)와 광원 모듈(100) 사이의 거리 d가 약 10mm 이상일 경우, 광원(100a)이 위치한 영역에서 핫 스팟(hot spot)이 나타나지 않고, 전체적으로 휘도가 균일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광학 부재(600)와 광원 모듈(100) 사이의 거리 d를 10mm 이상으로 배치함으로써, 균일한 휘도를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8a 및 도 28b는 확산판의 배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8a 및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부재(600)의 플레이트(610)과 광원 모듈(100) 사이에는 입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판(50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100)은 전극 패턴을 갖는 기판(100b)과, 기판(100b)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광원(100a)들 및 렌즈(2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광학 부재(600)의 플레이트(610)는, 제 1, 제 2 패턴(630, 620)이 배치되는 상부면(610a)과, 확산판(500)의 상부면(500a)을 마주하는 하부면(61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확산판(500)은, 광학 부재(600)의 플레이트(610)과 마주하는 상부면(500a)과,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을 마주하는 하부면(50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확산판(500)의 하부면(500b)과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 사이의 거리 d는 약 10mm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8a와 같이, 확산판(500)의 상부면(500a)이 광학 부재(600)의 플레이트(610)과 접촉할 때, 확산판(500)의 하부면(500b)과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 사이의 거리 d21은 약 10mm 이상일 수 있다.
만일, 확산판(500)과 광원 모듈(100) 사이의 거리 d21이 약 10mm 이하일 경우, 램프는 균일한 휘도가 나타나지 않고, 광원(100a)이 위치한 영역에서 강한 휘도가 나타나는 핫 스팟(hot spot) 현상 또는 이와 반대로 상대적으로 약한 휘도가 나타나는 다크 스팟(dark spot)이 나타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28b와 같이, 확산판(500)의 상부면(500a)은, 광학 부재(600)의 플레이트(610)으로부터 거리 d22만큼 떨어져 배치되고, 확산판(500)의 하부면(500b)은,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으로부터 거리 d21만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확산판(500)은 광학 부재(600)의 플레이트(610)으로부터 약 0.1mm ~ 10mm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고, 광원 모듈(100)로부터 약 10mm 이상의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확산판(500)이 광학 부재(600)의 플레이트(610)으로부터 약 10mm 이상의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면, 램프의 전체적인 두께가 너무 두꺼울 수 있고, 확산판(500)이 광원 모듈(100)로부터 약 10mm 이하의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면, 핫 스팟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도 29a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램프의 광학 부재와 광원 모듈의 배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9b는 도 29a의 Ⅱ-Ⅱ선상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9a 및 도 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100)은, 기판(100b)과, 기판(100b)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광원(100a)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100)의 광원(100a)은, 렌즈(200)를 포함할 수 있는데, 렌즈(200)는 광원(100a)의 광 출사면의 중심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광학 부재(optical member)(600)는 기판(100b)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광학 부재(600)는, 제 1 플레이트(610-1), 제 2 플레이트(610-2), 제 1 패턴(630), 제 2 패턴(620) 및 바탕 패턴(6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플레이트(610-1)과 제 2 플레이트(610-2)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플레이트(610-1)의 상부면(610-1a)에는, 소정의 표장(emblem)을 표시하는 제 1 패턴(630)이 배치되고, 제 2 플레이트(610-2)의 상부면(610-2a)에는, 광원 모듈(100)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집광하는 제 2 패턴(620) 및 바탕 패턴(64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제 2 플레이트(610-1, 610-2)는 투광성 부재 또는 반투광성 부재일 수 있다.
예로서, 제 1, 제 2 플레이트(610-1, 610-2)는, 일반적으로 아크릴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폴리스티렌(PS),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환상 올레핀 코폴리(CO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레진(resin)과 같은 고투과성 플라스틱 등 광 확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제 2 플레이트(610-1, 610-2)는, 서로 다른 물질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서로 동일한 물질일 수도 있다.
이어, 제 1 플레이트(610-1)의 상부면(610-1a)에는, 제 1 패턴(630)이 배치될 수 있는데, 제 1 패턴(630)은 소정의 표장(emblem)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패턴(630)은, 양각 패턴(embossing pattern), 음각 패턴(engraving pattern), 프린팅 패턴(printing patter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제 1 패턴(630)은, 다수의 형광 입자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패턴(620)은, 제 2 플레이트(610-2)의 상부면(610-2a)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물(projection)일 수 있는데, 돌출물의 수직 단면은 서로 마주보는 제 1 면과 제 2 면으로 구성되며, 제 1 면과 제 2 면사이의 각도는 둔각 또는 예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패턴(620)은, 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다수의 돌출물들을 포함하고, 돌출물들은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 플레이트(610-2)의 상부면(610-2a)에는, 바탕 패턴(ground pattern)(640)이 배치될 수 있는데, 바탕 패턴(640)은 제 1 플레이트(610-1)의 제 1 패턴(630)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바탕 패턴(640)은 제 1 패턴(630)에 의해 표시되는 표장을 잘 보이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바탕 패턴(640)은 제 2 패턴(620)과 다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바탕 패턴(640)은 제 2 패턴(620)과 동일할 수도 있다.
그리고, 광학 부재(600)의 제 1 플레이트(610-1)는, 제 1 패턴(630)이 배치되는 상부면(610-1a)과,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을 마주하는 하부면(6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플레이트(610-1)의 하부면(610-1b)과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 사이의 거리 d31는 약 10mm 이상일 수 있다.
이어, 광학 부재(600)의 제 2 플레이트(610-2)는, 제 2 패턴(630) 및 바탕 패턴(640)이 배치되는 상부면(610-2a)과, 제 1 플레이트(610-1)과 마주하는 하부면(610-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플레이트(610-2)의 하부면(610-2b)과 제 1 플레이트(610-1)의 상부면(610-1a) 사이의 거리 d32는 약 0.1mm ~ 10mm일 수 있다.
여기서, 제 2 플레이트(610-2)의 하부면(610-2b)과 제 1 플레이트(610-1)의 상부면(610-1a) 사이의 거리 d32가 약 10mm 이상이면, 표장의 선명도가 저하될 수 있고, 램프의 전체적인 두께가 너무 두꺼울 수 있다.
또한, 제 1 플레이트(610-1)의 하부면(610-1b)과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 사이의 거리 d31이 약 10mm 이하이면, 핫 스팟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패턴(630)을 갖는 제 1 플레이트(610-1)이, 제 2 패턴(620) 및 바탕 패턴(640)을 갖는 제 2 플레이트(610-2)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이유는, 제 1 패턴(630)에 의해 표시되는 표장가 입체적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시예는 광고 및 홍보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그리고, 광학 부재(600)는, 제 1 플레이트(610-1)와 제 1 패턴(630)이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도 있지만,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광학 부재(600)는, 제 2 플레이트(610-2), 제 2 패턴(620), 바탕 패턴(ground pattern)(640)이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그들의 각 조합별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30a 및 도 30b는 도 29a의 광학 부재의 바탕 패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0a 및 도 3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부재(600)는, 제 1 플레이트(도 29a의 610-1), 제 2 플레이트(610-2), 제 1 패턴(도 29a의 630), 제 2 패턴(620) 및 바탕 패턴(6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플레이트(도 29a의 610-1)의 상부면에는, 소정의 표장(emblem)을 표시하는 제 1 패턴이 배치되고, 제 2 플레이트(610-2)의 상부면(610-2a)에는, 광원 모듈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집광하는 제 2 패턴(620) 및 바탕 패턴(64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바탕 패턴(640)은 제 1 플레이트(610-1)의 제 1 패턴(630)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는데, 바탕 패턴(640)은 제 1 패턴(630)에 의해 표시되는 표장을 잘 보이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바탕 패턴(640)은 제 2 패턴(620)과 다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바탕 패턴(640)은 제 2 패턴(620)과 동일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30a와 같이, 제 2 패턴(620)은, 스트라이프 형상을 갖는 다수의 돌출물들이 제 1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고, 바탕 패턴(640)은 스트라이프 형상을 갖는 다수의 돌출물들이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30b와 같이, 제 2 패턴(620)은, 스트라이프 형상을 갖는 다수의 돌출물들이 제 1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고, 바탕 패턴(640)은 스트라이프 형상을 갖는 다수의 돌출물들이 제 2 패턴(620)과 동일한 제 1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바탕 패턴(640)이 제 2 패턴(620)과 동일한 제 1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경우, 바탕 패턴(640)의 돌출물들 사이의 간격이 제 2 패턴(620)의 돌출물들 사이의 간격보다 더 좁거나 또는 더 넓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바탕 패턴(640)을 배치하는 이유는, 제 2 패턴(620)으로부터 굴절되는 광에 의해, 표장의 선명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31a 및 도 31b는 도 29a의 광학 부재에 배치되는 확산판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1a 및 도 3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부재(600)의 제 1 플레이트(610-1)과 광원 모듈(100) 사이에는 입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판(50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100)은 전극 패턴을 갖는 기판(100b)과, 기판(100b)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광원(100a)들 및 렌즈(2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광학 부재(600)의 제 1 플레이트(610-1)는, 제 1 패턴(630)이 배치되는 상부면(610-1a)과, 확산판(500)의 상부면(500a)을 마주하는 하부면(6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광학 부재(600)의 제 2 플레이트(610-2)는, 제 2 패턴(630) 및 바탕 패턴(640)이 배치되는 상부면(610-2a)과, 제 1 플레이트(610-1)과 마주하는 하부면(610-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플레이트(610-2)의 하부면(610-2b)과 제 1 플레이트(610-1)의 상부면(610-1a) 사이의 거리 d32는 약 0.1mm ~ 10mm일 수 있다.
여기서, 제 2 플레이트(610-2)의 하부면(610-2b)과 제 1 플레이트(610-1)의 상부면(610-1a) 사이의 거리 d32가 약 10mm 이상이면, 표장의 선명도가 저하될 수 있고, 램프의 전체적인 두께가 너무 두꺼울 수 있다.
이어, 확산판(500)은, 광학 부재(600)의 제 1 플레이트(610-1)과 마주하는 상부면(500a)과,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을 마주하는 하부면(50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확산판(500)의 하부면(500b)과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 사이의 거리는 약 10mm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1a와 같이, 확산판(500)의 상부면(500a)이 광학 부재(600)의 제 1 플레이트(610-1)과 접촉할 때, 확산판(500)의 하부면(500b)과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 사이의 거리 d31은 약 10mm 이상일 수 있다.
만일, 확산판(500)과 광원 모듈(100) 사이의 거리 d31이 약 10mm 이하일 경우, 램프는 균일한 휘도가 나타나지 않고, 광원(100a)이 위치한 영역에서 강한 휘도가 나타나는 핫 스팟(hot spot) 현상 또는 이와 반대로 상대적으로 약한 휘도가 나타나는 다크 스팟(dark spot)이 나타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31b와 같이, 확산판(500)의 상부면(500a)은, 광학 부재(600)의 제 1 플레이트(610-1)으로부터 거리 d33만큼 떨어져 배치되고, 확산판(500)의 하부면(500b)은,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으로부터 거리 d31만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확산판(500)은 광학 부재(600)의 제 1 플레이트(610-1)으로부터 약 0.1mm ~ 10mm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고, 광원 모듈(100)로부터 약 10mm 이상의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확산판(500)이 광학 부재(600)의 제 1 플레이트(610-1)으로부터 약 10mm 이상의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면, 램프의 전체적인 두께가 너무 두꺼울 수 있고, 확산판(500)이 광원 모듈(100)로부터 약 10mm 이하의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면, 핫 스팟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광학 부재(600)는, 제 1 플레이트(610-1), 확산판(500), 제 1 패턴(630)이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그들의 각 조합별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광학 부재(600)는, 제 2 플레이트(610-2), 제 2 패턴(620), 바탕 패턴(ground pattern)(640)이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그들의 각 조합별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32a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램프의 광학 부재와 광원 모듈의 배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2b는 도 32a의 Ⅲ-Ⅲ 선상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2a 및 도 3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100)은, 기판(100b)과, 기판(100b)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광원(100a)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100)의 광원(100a)은, 렌즈(200)를 포함할 수 있는데, 렌즈(200)는 광원(100a)의 광 출사면의 중심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광학 부재(optical member)(600)는 기판(100b)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광학 부재(600)는, 제 1 플레이트(610-1), 제 2 플레이트(610-2), 제 1 패턴(630), 제 2 패턴(620) 및 바탕 패턴(6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플레이트(610-1)과 제 2 플레이트(610-2)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플레이트(610-1)의 상부면(610-1a)에는, 소정의 표장(emblem)을 표시하는 제 1 패턴(630)이 배치되고, 광원 모듈(100)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집광하는 제 2 패턴(620) 및 바탕 패턴(64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플레이트(610-1)는 투광성 부재 또는 반투과성 부재일 수 있다.
예로서, 제 1 플레이트(610-1)는, 일반적으로 아크릴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폴리스티렌(PS),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환상 올레핀 코폴리(CO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레진(resin)과 같은 고투과성 플라스틱 등 광 확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 제 1 플레이트(610-1)의 상부면(610-1a)에는, 제 1 패턴(630)이 배치될 수 있는데, 제 1 패턴(630)은 소정의 표장(emblem)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패턴(630)은, 양각 패턴(embossing pattern), 음각 패턴(engraving pattern), 프린팅 패턴(printing patter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제 1 패턴(630)은, 다수의 형광 입자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패턴(620)은, 제 2 플레이트(610-2)의 상부면(610-2a)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물(projection)일 수 있는데, 돌출물의 수직 단면은 서로 마주보는 제 1 면과 제 2 면으로 구성되며, 제 1 면과 제 2 면사이의 각도는 둔각 또는 예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패턴(620)은, 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다수의 돌출물들을 포함하고, 돌출물들은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일 수도 있다.
그리고, 바탕 패턴(640)은 제 1 패턴(630)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제 1 패턴(630)에 의해 표시되는 표장을 잘 보이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바탕 패턴(640)은 제 2 패턴(620)과 다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바탕 패턴(640)은 제 2 패턴(620)과 동일할 수도 있다.
이어, 제 2 플레이트(610-2)의 상부면에는, 서로 다른 시점의 표장을 표시하는 다수개의 렌즈(65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플레이트(610-2)의 렌즈(650)는, 반원통형 렌즈 또는 반구형 렌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데, 제 1 패턴(630)에 의해 표시되는 표장을 입체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즉, 제 2 플레이트(610-2)의 렌즈(650)는, 서로 다른 시점의 표장을 표시하므로, 표장가 입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광학 부재(600)의 제 1 플레이트(610-1)는, 제 1, 제 2 패턴(630, 620)이 배치되는 상부면(610-1a)과,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을 마주하는 하부면(6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플레이트(610-1)의 하부면(610-1b)과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 사이의 거리 d41는 약 10mm 이상일 수 있다.
이어, 광학 부재(600)의 제 2 플레이트(610-2)는, 다수의 렌즈(650)들이 배치되는 상부면(610-2a)과, 제 1 플레이트(610-1)과 마주하는 하부면(610-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플레이트(610-2)의 하부면(610-2b)과 제 1 플레이트(610-1)의 상부면(610-1a) 사이의 거리 d42는 약 0.1mm ~ 10mm일 수 있다.
여기서, 제 2 플레이트(610-2)의 하부면(610-2b)과 제 1 플레이트(610-1)의 상부면(610-1a) 사이의 거리 d42가 약 10mm 이상이면, 표장의 선명도가 저하될 수 있고, 램프의 전체적인 두께가 너무 두꺼울 수 있다.
또한, 제 1 플레이트(610-1)의 하부면(610-1b)과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 사이의 거리 d41이 약 10mm 이하이면, 핫 스팟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패턴(630)을 갖는 제 1 플레이트(610-1)이, 렌즈(650)를 갖는 제 2 플레이트(610-2)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이유는, 제 1 패턴(630)에 의해 표시되는 표장가 입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시예는 광고 및 홍보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그리고, 광학 부재(600)는, 제 1, 제 2 플레이트(610-1, 610-2), 제 1 패턴(630), 제 2 패턴(620), 바탕 패턴(ground pattern)(640), 렌즈(650)가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그들의 각 조합별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33a 및 도 33b는 도 32a의 제 2 플레이트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3a 및 도 3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플레이트(610-2)의 상부면에는, 서로 다른 시점의 표장을 표시하는 다수개의 렌즈(65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플레이트(610-2)의 렌즈(650)는, 도 33a와 같이, 반원통형 렌즈들이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 2 플레이트(610-2)의 렌즈(650)는, 도 33b와 같이, 다수개의 구형 렌즈들이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제 2 플레이트(610-2)의 렌즈(650)는, 서로 다른 시점의 표장을 표시하므로, 표장가 입체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34a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램프의 광학 부재와 광원 모듈의 배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4b는 도 34a의 Ⅳ-Ⅳ 선상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4a 및 도 3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부재(600)는, 제 1, 제 2 광원 모듈(100-1, 100-2)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광원 모듈(100-1)은 광학 부재(600)의 하부면에 배치되고, 제 2 광원 모듈(100-2)은 광학 부재(6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광원 모듈(100-1)은, 제 1 기판(100b)과, 제 1 기판(100b)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 1 광원(100a)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광원 모듈(100)의 제 1 광원(100a)은, 렌즈(200)를 포함할 수 있는데, 렌즈(200)는 제 1 광원(100a)의 광 출사면의 중심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제 2 광원 모듈(100-2)은, 제 2 기판(100d)과, 제 2 기판(100d)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 2 광원(100c)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광원 모듈(100)의 제 2 광원(100c)은, 렌즈(200)를 포함하지 않지만, 경우에 따라, 렌즈(2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 광학 부재(600)는, 플레이트(610), 제 1 패턴(630), 제 2 패턴(620) 및 바탕 패턴(6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610)의 상부면(610a)에는, 소정의 표장(emblem)을 표시하는 제 1 패턴(630)이 배치되고, 광원 모듈(100)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집광하는 제 2 패턴(620) 및 바탕 패턴(64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패턴(630)은, 양각 패턴(embossing pattern), 음각 패턴(engraving pattern), 프린팅 패턴(printing patter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제 1 패턴(630)은, 다수의 형광 입자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패턴(620)은, 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다수의 돌출물들을 포함하고, 돌출물들은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일 수도 있다.
그리고, 바탕 패턴(640)은 제 1 패턴(630)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제 1 패턴(630)에 의해 표시되는 표장을 잘 보이게 할 수 있다.
이어, 광학 부재(600)의 플레이트(610)는, 제 1, 제 2 패턴(630, 620) 및 바탕 패턴(640)이 배치되는 상부면(610a)과, 제 1 광원 모듈(100-1)의 제 1 기판(100b)을 마주하는 하부면(610b) 및 제 2 광원 모듈(100-2)의 제 2 기판(100d)을 마주하는 측면(610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610)의 하부면(610b)과 제 1 광원 모듈(100-1)의 제 1 기판(100b) 사이의 거리 d51과, 플레이트(610)의 측면(610c)과 제 2 광원 모듈(100-2)의 제 2 기판(100d) 사이의 거리 d52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610)의 하부면(610b)과 제 1 광원 모듈(100-1)의 제 1 기판(100b) 사이의 거리 d51는 약 10mm 이상일 수 있고, 플레이트(610)의 측면(610c)과 제 2 광원 모듈(100-2)의 제 2 기판(100d) 사이의 거리 d52는 약 0.1mm ~ 10mm일 수도 있다.
만일, 플레이트(610)의 하부면(610b)과 제 1 광원 모듈(100-1)의 제 1 기판(100b) 사이의 거리 d51이 약 10mm 이하이면, 핫 스팟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610)의 측면(610c)과 제 2 광원 모듈(100-2)의 제 2 기판(100d) 사이의 거리 d52는 약 10mm 이상이면, 표장의 선명도가 저하될 수 있고, 램프의 전체적인 두께가 너무 두꺼울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610)의 하부면(610b)뿐만 아니라, 플레이트(610)의 측면(610c)에도, 광원 모듈을 배치할 경우, 야간 뿐만 아니라, 주간과 같은 밝은 환경에서도 표장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플레이트(610)의 하부면(610b)과 제 1 광원 모듈(100-1)의 제 1 기판(100b) 사이의 거리 d51과, 플레이트(610)의 측면(610c)과 제 2 광원 모듈(100-2)의 제 2 기판(100d) 사이의 거리 d52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광원 모듈(100-1)의 제 1 광원(100a)의 개수와 제 2 광원 모듈(100-2)의 제 2 광원(100c)의 개수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 2 광원 모듈(100-2)의 제 2 광원(100c)의 개수는, 제 1 광원 모듈(100-1)의 제 1 광원(100a)의 개수보다 더 적을 수 있다.
제 2 광원 모듈(100-2)은, 주간과 같은 밝은 환경에서, 표장의 선명도가 낮아질 경우에, 구동되는 보조 광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야간과 같은 어두운 환경에서는, 제 1 광원 모듈(100-1)만을 구동시키고, 주간과 같은 밝은 환경에서는, 제 1 광원 모듈(100-1)과 제 2 광원 모듈(100-2)을 모두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광학 부재의 측부와 하부에 각각 광원 모듈을 배치함으로써, 야간 뿐만 아니라, 주간과 같은 밝은 환경에서도 표장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광학 부재(600)는, 플레이트(610), 제 1 패턴(630), 제 2 패턴(620), 바탕 패턴(ground pattern)(640)이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그들의 각 조합별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35a 및 도 35b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램프의 광학 부재와 광원 모듈의 배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5a 및 도 3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부재(600)는, 제 1, 제 2 광원 모듈(100-1, 100-2)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광원 모듈(100-1)은 광학 부재(600)의 하부면에 배치되고, 제 2 광원 모듈(100-2)은 광학 부재(6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광원 모듈(100-1)은, 제 1 기판(100b)과, 제 1 기판(100b)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 1 광원(100a)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제 2 광원 모듈(100-2)은, 제 2 기판(100d)과, 제 2 기판(100d)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 2 광원(100c)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광원 모듈(100-1)의 제 1 기판(100b)과 제 2 광원 모듈(100-2)의 제 2 기판(100d)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5a와 같이, 제 1 광원 모듈(100-1)의 제 1 기판(100b)과 제 2 광원 모듈(100-2)의 제 2 기판(100d)은 서로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35b와 같이, 제 2 광원 모듈(100-2)의 제 2 기판(100d)은 제 1 광원 모듈(100-1)의 제 1 기판(100b)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제 1 기판(100b)과 제 2 기판(100d) 사이의 각도 θ30은 둔각일 수 있다.
그리고, 제 2 기판(100d)와 플레이트(610)의 측면(600c)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도 35b와 같이, 제 2 기판(100d)이 제 1 기판(100b)에 대해 경사질 경우, 플레이트(610)의 측면(600c)도 플레이트(610)의 하부면(610b)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다음, 광학 부재(600)는, 플레이트(610), 제 1 패턴(630), 제 2 패턴(620) 및 바탕 패턴(6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610)의 상부면(610a)에는, 소정의 표장(emblem)을 표시하는 제 1 패턴(630)이 배치되고, 광원 모듈(100)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집광하는 제 2 패턴(620) 및 바탕 패턴(64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패턴(630)은, 양각 패턴(embossing pattern), 음각 패턴(engraving pattern), 프린팅 패턴(printing patter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제 1 패턴(630)은, 다수의 형광 입자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패턴(620)은, 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다수의 돌출물들을 포함하고, 돌출물들은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일 수도 있다.
그리고, 바탕 패턴(640)은 제 1 패턴(630)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제 1 패턴(630)에 의해 표시되는 표장을 잘 보이게 할 수 있다.
이어, 광학 부재(600)의 플레이트(610)는, 제 1, 제 2 패턴(630, 620) 및 바탕 패턴(640)이 배치되는 상부면(610a)과, 제 1 광원 모듈(100-1)의 기판(100b)을 마주하는 하부면(610b) 및 제 2 광원 모듈(100-2)의 기판(100d)을 마주하는 측면(610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610)의 하부면(610b)과 제 1 광원 모듈(100-1)의 기판(100b) 사이의 거리 d51과, 플레이트(610)의 측면(610c)과 제 2 광원 모듈(100-2)의 기판(100d) 사이의 거리 d52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610)의 하부면(610b)과 제 1 광원 모듈(100-1)의 기판(100b) 사이의 거리 d51는 약 10mm 이상일 수 있고, 플레이트(610)의 측면(610c)과 제 2 광원 모듈(100-2)의 기판(100d) 사이의 거리 d52는 약 0.1mm ~ 10mm일 수도 있다.
만일, 플레이트(610)의 하부면(610b)과 제 1 광원 모듈(100-1)의 기판(100b) 사이의 거리 d51이 약 10mm 이하이면, 핫 스팟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어, 플레이트(610)의 측면(610c)과 제 2 광원 모듈(100-2)의 기판(100d) 사이의 거리 d52는 약 10mm 이상이면, 표장의 선명도가 저하될 수 있고, 램프의 전체적인 두께가 너무 두꺼울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610)의 하부면(610b)뿐만 아니라, 플레이트(610)의 측면(610c)에도, 광원 모듈을 배치할 경우, 야간 뿐만 아니라, 주간과 같은 밝은 환경에서도 표장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플레이트(610)의 하부면(610b)과 제 1 광원 모듈(100-1)의 기판(100b) 사이의 거리 d51과, 플레이트(610)의 측면(610c)과 제 2 광원 모듈(100-2)의 기판(100d) 사이의 거리 d52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광원 모듈(100-1)의 광원(100a)의 개수와 제 2 광원 모듈(100-2)의 광원(100c)의 개수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 2 광원 모듈(100-2)의 광원(100c)의 개수는, 제 1 광원 모듈(100-1)의 광원(100a)의 개수보다 더 적을 수 있다.
제 2 광원 모듈(100-2)은, 주간과 같은 밝은 환경에서, 표장의 선명도가 낮아질 경우에, 구동되는 보조 광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야간과 같은 어두운 환경에서는, 제 1 광원 모듈(100-1)만을 구동시키고, 주간과 같은 밝은 환경에서는, 제 1 광원 모듈(100-1)과 제 2 광원 모듈(100-2)을 모두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광학 부재의 측부와 하부에 각각 광원 모듈을 배치함으로써, 야간 뿐만 아니라, 주간과 같은 밝은 환경에서도 표장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다.
도 36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램프는, 광원 모듈(100), 방열 부재(400), 광학 부재(optical member)(600), 및 커버 부재(cover member)(7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열 부재(400)의 상부면은 램프 내측을 향하고, 광원 모듈(100)과 접촉되며, 방열 부재(400)의 하부면은 램프 외측을 향하고, 다수개의 방열 핀(41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100)은 전극 패턴을 갖는 기판(100b)과, 기판(100b)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광원(100a)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은, 각 광원(100a)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부(supporting portion)(120)들과, 서로 인접하는 지지부(120)들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connecting portion)(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은, 유연성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는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유리, 폴리카보네이트(PC), 실리콘(Si), 폴리이미드(polyimide), 에폭시(epoxy) 등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물질로 이루어진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일 수도 있고,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은 단층 PCB, 다층 PCB, 세라믹 기판, 메탈 코아 PCB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은 전체 영역이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기판(100b)의 전체 영역 중 일부분은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판(100b)의 지지부(120)와 연결부(130)는 서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일 예로, 기판(100b)의 지지부(120)와 연결부(130)는 베이스 부재와 베이스 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는 회로 패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베이스 부재의 재질은 유연성과 절연성을 갖는 필름, 예컨대,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에폭시(예컨대, FR-4)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기판(100b)의 지지부(120)와 기판(100b)의 연결부(130)는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 예로, 기판(100b)의 지지부(120)는 도체이고, 기판(100b)의 연결부(130)는 부도체일 수 있다.
또한, 기판(100b)의 지지부(120)는 광원(100a)을 지지하기 위해 휨이 없는 하드(hard)한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고, 기판(100b)의 연결부(130)는 휠 수 있는 연성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을 곡률을 갖는 장착 대상물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은 연성 재질을 적용함으로써, 휠 수도 있지만, 구조적 변형에 의해서도 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100b)의 지지부(120)는 제 1 두께를 가지고, 기판(100b)의 연결부(130)는 제 2 두께를 가질 수 있는데, 제 1 두께와 제 2 두께는 서로 다르게 제작함으로써, 기판(100b)을 휠 수도 있다.
일 예로, 기판(100b)의 연결부(130)의 제 2 두께가, 기판(100b)의 지지부(120)의 제 1 두께보다 더 얇다면, 기판(100b)의 연결부(130)에 의해 기판(100b)이 휘어질 수 있으므로,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을 곡률을 갖는 장착 대상물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은 반사 코팅 필름 및 반사 코팅 물질층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고, 광원(100a)에서 생성된 광을 광학 부재(600)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반사 코팅 필름 또는 반사 코팅 물질층은, 알루미늄(Al), 은(Ag), 금(Au), 이산화 티타늄(TiO2) 등과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은 광원(100a)을 구동시키기 위해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도전 패턴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전 패턴들은 기판(100b)의 지지부(120) 및 연결부(130)을 포함한 전체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광원(100a)을 지지하는 기판(100b)의 지지부(120)에만 배치될 수도 있고, 서로 인접한 지지부(120)들을 연결하는 기판(100b)의 연결부(130)에만 배치되어, 서로 인접하는 광원(100a)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다음, 광원 모듈(100)의 광원(100a)은 상면 발광형(top view type)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고, 경우에 따라, 광원 모듈(100)의 광원(100a)은 측면 발광형(side view type) 발광 다이오드일 수도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100)의 광원(100a)은 발광 다이오드 칩(LED chip)일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 칩은 레드 LED 칩, 블루 LED 칩 또는 자외선 LED 칩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레드 LED 칩, 그린 LED 칩, 블루 LED 칩, 엘로우 그린(Yellow green) LED 칩, 화이트 LED 칩 중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조합한 패키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화이트 LED는 블루 LED 상에 옐로우 형광체(Yellow phosphor)을 결합하거나, 블루 LED 상에 레드 형광체(Red phosphor)과 그린 형광체(Green phosphor)를 동시에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고, 블루 LED 상에 옐로우 형광체(Yellow phosphor), 레드 형광체(Red phosphor) 및 그린 형광체(Green phosphor)를 동시에 사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램프를 차량의 후미등에 적용할 경우, 광원 모듈의 광원(100a)은, 수직형 발광 칩, 예컨대, 적색 발광 칩일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 광원 모듈(100)의 광원(100a)은, 렌즈(200)를 포함할 수 있는데, 렌즈(200)는 광원(100a)의 광 출사면의 중심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렌즈(200)에 홈을 형성하는 이유는, 광원(100a)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지향각을 넓히기 위한 것으로, 실시예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렌즈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광학 부재(optical member)(600)는 기판(100b)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될 수 있는데, 기판(100b)과 광학 부재(600) 사이의 공간에는 광 혼합 영역(light mixing are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광학 부재(600)는, 커버 부재(700)가 생략되고, 커버 부재(700)의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광학 부재(600)는, 생략되고, 커버 부재(700)만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이어, 광학 부재(600)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plate)(6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610)는, 광원 모듈(100)에 인접하는 하부면(610b)과 하부면(610b)과 반대하는(opposite) 상부면(610a)을 포함할 수 있는데, 플레이트(610)의 상부면(610a)에는, 소정의 표장(emblem)을 표시하는 제 1 패턴(63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어, 제 1 패턴(630)을 제외한 플레이트(610)의 상부면(610a)에는, 광원 모듈(100)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집광하는 제 2 패턴(62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패턴(630)과 제 2 패턴(620) 사이에는, 제 1 패턴(630)의 주변을 둘러싸는 바탕 패턴(ground pattern)(640)이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바탕 패턴(640)은 제 2 패턴(620)과 다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바탕 패턴(640)은 제 2 패턴(620)과 동일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패턴(630)은, 양각 패턴(embossing pattern), 음각 패턴(engraving pattern), 프린팅 패턴(printing patter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제 1 패턴(630)은, 다수의 형광 입자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어, 제 2 패턴(620)은, 플레이트(610)의 상부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물(projection)이고, 돌출물의 수직 단면은 서로 마주보는 제 1 면과 제 2 면으로 구성되며, 제 1 면과 제 2 면사이의 각도는 둔각 또는 예각일 수 있다.
여기서, 제 2 패턴(620)은, 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다수의 돌출물들을 포함하고, 돌출물들은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광학 부재(600)는, 플레이트(610)의 하부면(610b)에 배치되고, 광원 모듈(100)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확산하는 제 3 패턴(미도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3 패턴(미도시)은, 플레이트(610)의 하부면(610b)에 배치되는 홈(groove)일 수 있고, 홈의 수직 단면은 오목한 곡면일 수 있다.
그리고, 광학 부재(600)의 플레이트(610)는, 하나 이상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학 부재(600)의 플레이트(610)는, 커버 부재(700) 또는 장착 대상물의 외형에 따라, 오목한 곡면 , 볼록한 곡면, 편평한 평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갖는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광학 부재(600)와 광원 모듈(100) 사이의 거리는 약 10mm 이상일 수 있다.
만일, 광학 부재(600)와 광원 모듈(100) 사이의 거리가 약 10mm 이하일 경우, 램프는 균일한 휘도가 나타나지 않고, 광원(100a)이 위치한 영역에서 강한 휘도가 나타나는 핫 스팟(hot spot) 현상 또는 이와 반대로 상대적으로 약한 휘도가 나타나는 다크 스팟(dark spot)이 나타날 수 있다.
이어,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 하부에는 방열 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방열 부재(400)는 광원(100a)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방열 부재(400)는 열전도율이 높은 물질, 예컨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일 수 있다.
또는,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과 방열 부재(400)가 일체를 이루는 MCPCB(Metal Cor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으며, MCPCB 하면에 별도의 방열 부재(400)가 배치될 수도 있다.
별도의 방열 부재가 MCPCB의 하면에 부착될 경우, 아크릴계의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다음, 커버 부재(700)는 상면 커버(700a)와 측면 커버(700b)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면 커버(700a)는 광을 투과할 수 있는 투광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측면 커버(700b)는 광을 불투과하는 불투광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면 커버(700a)와 측면 커버(700b) 모두가 광을 투과할 수 있는 투광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커버 부재(700)는 기판(100b) 및 광원(100a)을 포함하는 광원 모듈(10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며, 광원 모듈(10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예컨대, 아크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700)는 디자인 측면에서 굴곡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광원 모듈(100)의 기판(100b)은 유연성을 가지기 때문에, 굴곡진 커버 부재(700)에 용이하게 수납될 수 있다.
이어, 커버 부재(700)의 측면 커버(700b) 내측면에는 반사체(71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700)는 광학 부재(600)에 접촉되어 배치될 수 있는데, 일부만 접촉되고 나머지 일부는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커버 부재(700)는 광학 부재(600)를 마주하는 표면 전체가 광학 부재(600)에 접촉될 수도 있다.
또한, 커버 부재(700)는 광학 부재(600)를 마주하는 표면 전체가 광학 부재(60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커버 부재(700)와 광학 부재(600)의 배치 거리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휘도를 제공하기 위해, 장착 대상물에서 요구하는 광원 모듈의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광학 부재(600)는, 플레이트(610), 제 1 패턴(630), 제 2 패턴(620), 바탕 패턴(ground pattern)(640)이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그들의 각 조합별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광학 부재(600)와 커버 부재(700)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는 다양한 패턴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표장(emblem) 표시가 가능하고, 광을 집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는 프리즘 시트(prism sheet) 등과 같은 추가적인 광학 부재를 제거할 수 있어, 무게가 가볍고, 제작 단가가 저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휠 수 있는 광학 부재와 광원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곡률을 이루는 장착 대상물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램프의 경제성 및 제품 디자인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7은 실시예에 따른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용 후미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후미등(800)은 제 1 램프(812), 제 2 램프(814), 제 3 램프(816), 및 하우징(8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램프(812)은 방향 지시등 역할을 위한 광원일 수 있고, 제 2 램프(814)은 차폭등의 역할을 위한 광원일 수 있고, 제 3 램프(816)은 정지등 역할을 위한 광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역할이 서로 바뀔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810)은 제 1 내지 제 3 램프(812, 814, 816)들을 수납하며, 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하우징(810)은 차량 몸체의 디자인에 따라 굴곡을 가질 수 있고, 제 1 내지 제 3 램프(812, 814, 816)은 하우징(810)의 형상에 따라, 휠 수 있는 면광원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는 다양한 패턴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표장(emblem) 표시가 가능하고, 광을 집광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 램프의 안전 기준에 적합한 광량 및 광 세기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램프의 경제성 및 제품 디자인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8은 실시예에 따른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이 차량의 후미등에 적용될 경우, 차량의 후미등에 적용되는 램프의 안전 기준은, 등화(light)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차량 외축의 수평각 45도에서 볼때, 투영 면적이 약 12.5 제곱센티미터 이상이어야 하며, 예컨대 제동등의 밝기는 약 40 ~ 420 칸텔라(cd)이어야 한다.
따라서, 차량 후미등은 광량 측정 방향에서 광량을 측정하였을 때, 기준치 이상의 광량이 제공되어야 한다.
실시예에 따른 램프는, 기설정된 기준 방향인 광량 측정 방향으로 기준치 이상의 광량이 제공될 수 있는 면광원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표장 표시가 가능함으로써, 광고 및 홍보 효과가 우수하고, 램프의 경제성 및 제품 디자인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실시예는, 첫째, 다양한 패턴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표장(emblem) 표시가 가능하고, 광을 집광시킬 수 있다.
둘째, 실시예는 프리즘 시트(prism sheet) 등과 같은 추가적인 광학 부재를 제거할 수 있어, 무게가 가볍고, 제작 단가가 저렴할 수 있다.
셋째, 실시예는 다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입체적으로 표장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광고 및 홍보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넷째, 실시예는 광학 부재의 측부와 하부에 각각 광원 모듈을 배치함으로써, 야간 뿐만 아니라, 주간과 같은 밝은 환경에서도 표장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다.
다섯째, 실시예는 휠 수 있는 광학 부재와 광원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곡률을 이루는 장착 대상물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램프의 경제성 및 제품 디자인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광원 모듈 120 : 지지부
130 : 연결부 200 : 렌즈
400 : 방열 부재 600 : 광학 부재
610 : 플레이트 620 : 제 2 패턴
630 : 제 1 패턴 640 : 바탕 패턴
700 : 커버 부재
130 : 연결부 200 : 렌즈
400 : 방열 부재 600 : 광학 부재
610 : 플레이트 620 : 제 2 패턴
630 : 제 1 패턴 640 : 바탕 패턴
700 : 커버 부재
Claims (34)
- 광원 모듈(light source module);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광학 부재(optical member)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광원 모듈에 인접하는 하부면과 상기 하부면과 반대하는(opposite) 상부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plate);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소정의 표장(emblem)을 표시하는 제 1 패턴; 그리고,
상기 제 1 패턴을 제외한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집광하는 제 2 패턴을 포함하는 램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제 1 패턴과 제 2 패턴 사이에, 상기 제 1 패턴의 주변을 둘러싸는 바탕 패턴(ground pattern)이 배치되는 램프.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 패턴은 상기 제 2 패턴과 다른 램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은, 양각 패턴(embossing pattern), 음각 패턴(engraving pattern), 프린팅 패턴(printing patter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램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은, 다수의 형광 입자들을 포함하는 램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의 하부는, 상기 제 2 패턴의 하부와 동일하고,
상기 제 1 패턴의 상부는, 상기 제 2 패턴의 상부와 다른 램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턴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물(projection)이고, 상기 돌출물의 수직 단면은 서로 마주보는 제 1 면과 제 2 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각도는 둔각 또는 예각인 램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턴은, 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다수의 돌출물들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물들은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인 램프.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인접하는 돌출물들 사이의 간격은 서로 다른 램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턴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동일하게 배치되는 램프.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제 2 패턴은 제 1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제 2 패턴의 방향은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은 서로 수직한 램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확산하는 제 3 패턴을 포함하는 램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의 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을 포함하는 램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와 상기 광원 모듈 사이의 거리는 10mm 이상인 램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의 플레이트와 상기 광원 모듈 사이에는 입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이 배치되는 램프.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은 상기 광학 부재의 플레이트에 접촉되고,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 10mm 이상 떨어져 배치되는 램프.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은 상기 광학 부재의 플레이트으로부터 0.1mm ~ 10mm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고,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 10mm 이상의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는 램프.
- 광원 모듈(light source module);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광학 부재(optical member)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 부재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 1 플레이트(plate)와, 제 2 플레이트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소정의 표장(emblem)을 표시하는 제 1 패턴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집광하는 제 2 패턴이 배치되는 램프.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는, 상기 제 2 플레이트와 상기 광원 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는, 상기 제 2 플레이트으로부터 0.1mm ~ 10mm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고,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 10mm 이상의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는 램프.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제 1 패턴을 마주하는 영역의 상부면에 바탕 패턴(ground pattern)이 배치되는 램프.
- 광원 모듈(light source module);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광학 부재(optical member)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 부재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 1 플레이트(plate)와, 제 2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소정의 표장(emblem)을 표시하는 제 1 패턴과,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집광하는 제 2 패턴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서로 다른 시점의 표장을 표시하는 다수개의 렌즈들이 배치되는 램프.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렌즈는 반원통형 렌즈 또는 반구형 렌즈 중 어느 하나인 램프.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는, 상기 제 2 플레이트와 상기 광원 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는, 상기 제 2 플레이트로부터 0.1mm ~ 10mm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고,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 10mm 이상의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는 램프.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패턴과 제 2 패턴 사이에, 상기 제 1 패턴의 주변을 둘러싸는 바탕 패턴(ground pattern)이 배치되는 램프. - 제 1, 제 2 광원 모듈(light source module);
상기 제 1, 제 2 광원 모듈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광학 부재(optical member)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제 1 광원 모듈에 인접하는 하부면, 상기 하부면과 반대하는(opposite) 상부면, 및 상기 제 2 광원 모듈과 마주하는(facing) 측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plate);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소정의 표장(emblem)을 표시하는 제 1 패턴; 그리고,
상기 제 1 패턴을 제외한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집광하는 제 2 패턴을 포함하는 램프. -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 모듈은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면으로부터 제 1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고,
상기 제 2 광원 모듈은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으로부터 제 2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며,
상기 제 1 간격과 제 2 간격은 서로 다른 램프. -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 모듈은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 1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광원 모듈은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 2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은 서로 연결되는 램프.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램프.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은 상기 제 1 기판에 대해 경사지고,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의 각도는 둔각인 배치되는 램프.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의 개수는 상기 2 광원의 개수보다 더 많은 램프.
-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이고,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과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면 사이의 각도는 예각이고,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과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면 사이의 각도는 둔각인 램프. -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은, 상기 제 2 광원 모듈로부터 0.1mm ~ 10mm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면은, 상기 제 1 광원 모듈로부터 10mm 이상의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는 램프.
-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패턴과 제 2 패턴 사이에, 상기 제 1 패턴의 주변을 둘러싸는 바탕 패턴(ground pattern)이 배치되는 램프. - 제 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램프를 이용하는 차량 램프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8567A KR102080610B1 (ko) | 2012-11-14 | 2012-11-14 | 램프 및 그를 이용한 차량 램프 장치 |
US13/739,188 US9299278B2 (en) | 2012-11-14 | 2013-01-11 | Lamp including a light source module and an optical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pattern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8567A KR102080610B1 (ko) | 2012-11-14 | 2012-11-14 | 램프 및 그를 이용한 차량 램프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1666A true KR20140061666A (ko) | 2014-05-22 |
KR102080610B1 KR102080610B1 (ko) | 2020-02-25 |
Family
ID=50681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8567A KR102080610B1 (ko) | 2012-11-14 | 2012-11-14 | 램프 및 그를 이용한 차량 램프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299278B2 (ko) |
KR (1) | KR102080610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1314A (ko) * | 2014-06-27 | 2016-01-06 | 현대아이에이치엘 주식회사 | 차량용 램프 장치 |
WO2018143714A1 (ko) * | 2017-02-02 | 2018-08-09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조명장치 |
KR20190012422A (ko) * | 2017-07-27 | 2019-02-1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KR20190064078A (ko) * | 2017-11-30 | 2019-06-10 | 에스엘 주식회사 | 발광표시 장치 |
KR20190090178A (ko) * | 2018-01-24 | 2019-08-0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조명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
WO2024128621A1 (ko) * | 2022-12-14 | 2024-06-20 | 에스엘 주식회사 | 발광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44427B1 (ko) | 2014-06-02 | 2021-04-2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조명 장치 |
TWI570483B (zh) * | 2014-07-21 | 2017-02-11 |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 顯示器 |
KR101684004B1 (ko) * | 2014-11-25 | 2016-12-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램프의 광원모듈 |
DE202015100150U1 (de) * | 2015-01-14 | 2016-04-17 | Remo Pleuser | Fahrzeugleuchte |
WO2016207045A1 (en) * | 2015-06-23 | 2016-12-29 | Koninklijke Philips N.V. | Lighting emitting surface |
US20180022274A1 (en) * | 2016-07-21 | 2018-01-25 | Sharpline Converting, Inc. | Illuminating emblem device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
US9945539B1 (en) * | 2016-10-19 | 2018-04-17 | Lu Su | Backlit display assembly |
KR101885656B1 (ko) | 2016-10-25 | 2018-08-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차량용 램프 |
FR3062454B1 (fr) * | 2017-01-27 | 2019-03-15 |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 Dispositif d’eclairage a masque a motifs 3d |
KR102084914B1 (ko) * | 2017-08-28 | 2020-03-06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차량용 램프 모듈 |
US10851962B2 (en) | 2017-12-12 | 2020-12-01 | Flex-N-Gate Advanced Product Development, Llc | Backlit 3D lamp |
US10753579B2 (en) | 2018-07-20 | 2020-08-25 | Flex-N-Gate Advanced Product Development, Llc | Animated 3D image multiplier |
US11002987B2 (en) | 2018-07-20 | 2021-05-11 | Flex-N-Gate Advanced Product Development, Llc | Floating image generation |
DE102019103172A1 (de) * | 2019-02-08 | 2020-08-13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Fahrzeugaußenhautanordnung |
WO2022013673A1 (en) * | 2020-07-17 | 2022-01-20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Optical light redirecting stack with truncated structures |
DE102021116099A1 (de) * | 2020-11-02 | 2022-05-05 | Olsa S.P.A. | Optische 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e, lampe für kraftfahrzeuge und umgebungslicht |
WO2022259939A1 (ja) * | 2021-06-09 | 2022-12-15 | 凸版印刷株式会社 | 表示装置、化粧シート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49104A (en) * | 1990-07-03 | 1993-09-28 | Tatsuji Mizobe | Optical display device |
JPH11202330A (ja) * | 1998-01-16 | 1999-07-30 | Sony Corp |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
KR20090116970A (ko) * | 2008-05-08 | 2009-11-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웨이퍼 레벨 렌즈부 및 이를 이용한 발광 소자 패키지 |
JP2010044941A (ja) * | 2008-08-12 | 2010-02-25 | Sony Corp |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
KR20100038840A (ko) * | 2008-10-07 | 2010-04-15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발광엠블럼 어셈블리 |
KR101012472B1 (ko) * | 2010-07-15 | 2011-02-08 | 양재성 | 집광 표지판 |
JP2011170180A (ja) * | 2010-02-19 | 2011-09-01 | Toppan Printing Co Ltd | 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80462A (en) * | 1972-10-20 | 1973-12-25 | Canrad Precision Ind | Luminous indicators involving phosphors |
US5099401A (en) | 1990-07-08 | 1992-03-24 | Stanley Electric Co., Ltd. | Signal lighting fixture for vehicles |
FR2697485B1 (fr) | 1992-11-02 | 1995-01-20 | Valeo Vision | Feu de signalisation à éléments lumineux modulaires, pour véhicule automobile. |
JPH0714407A (ja) | 1993-06-24 | 1995-01-17 | Koito Mfg Co Ltd | 車両用灯具 |
FR2707223B1 (fr) | 1993-07-07 | 1995-09-29 | Valeo Vision | Feu de signalisation perfectionné à diodes électroluminescentes. |
US5404282A (en) | 1993-09-17 | 1995-04-04 | Hewlett-Packard Company | Multiple light emitting diode module |
JPH07248494A (ja) | 1994-03-14 | 1995-09-26 | Hitachi Ltd | 液晶表示装置 |
US5519596A (en) | 1995-05-16 | 1996-05-21 | Hewlett-Packard Company | Moldable nesting frame for light emitting diode array |
DE19909399C1 (de) | 1999-03-04 | 2001-01-04 |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 Flexibles LED-Mehrfachmodul, insb. für ein Leuchtengehäuse eines Kraftfahrzeuges |
ES2168071B1 (es) | 2000-07-12 | 2003-07-16 | Barros Alejandro Rodriguez | Retrovisor modular con señales multiples intercambiables para vehiculos de 2, 3, 4 o mas ruedas. |
JP2002050207A (ja) | 2000-08-02 | 2002-02-15 | Koito Mfg Co Ltd | 車両用灯具 |
US20030147253A1 (en) | 2002-02-06 | 2003-08-07 | Jack Shy | Curved warning light device for attaching to vehicle |
US7128442B2 (en) | 2003-05-09 | 2006-10-31 | Kian Shin Lee | Illumination unit with a solid-state light generating source, a flexible substrate, and a flexible and optically transparent encapsulant |
US6860620B2 (en) | 2003-05-09 | 2005-03-01 | Agilent Technologies, Inc. | Light unit having light emitting diodes |
JP4286674B2 (ja) | 2004-01-14 | 2009-07-01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両用灯体制御装置 |
JP2005310584A (ja) | 2004-04-22 | 2005-11-04 | Koito Mfg Co Ltd | 車輌用灯具 |
DE102004053643A1 (de) | 2004-11-03 | 2006-05-04 |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 Fahrzeugleuchtenanordnung |
JP4428223B2 (ja) | 2004-12-07 | 2010-03-10 | 市光工業株式会社 | 車両用灯具および車両用前照灯装置 |
US20060262533A1 (en) | 2005-05-18 | 2006-11-23 | Para Light Electronics Co., Ltd. | Modular light emitting diode |
AU2007221100B2 (en) | 2006-02-27 | 2011-09-15 | Signify Holding B.V. | An improved LED device for wide beam generation |
DE102006031345A1 (de) | 2006-07-06 | 2008-01-10 |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 Formflexibles Beleuchtungssystem |
CN101118337B (zh) * | 2006-08-04 | 2010-04-07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光学板及其制备方法,以及采用该光学板的背光模组 |
TWI346813B (en) * | 2006-10-14 | 2011-08-11 | Au Optronics Corp | Diffuser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
JP4631838B2 (ja) | 2006-10-20 | 2011-02-16 | 市光工業株式会社 | 車両用灯具 |
US7478913B2 (en) * | 2006-11-15 | 2009-01-20 | 3M Innovative Properties | Back-lit displays with high illumination uniformity |
CN101299113B (zh) * | 2007-04-30 | 2011-06-29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背光模组及其光学板 |
DE102007023651A1 (de) | 2007-05-22 | 2008-11-27 |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 Beleuchtungseinrichtung, Hinterleuchtungsvorrichtung und Anzeigevorrichtung |
KR101110865B1 (ko) | 2007-11-27 | 2012-02-15 | 엘이디라이텍(주) | 램프유닛 |
CN101614368B (zh) * | 2008-06-27 | 2011-11-23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导光元件及具有该导光元件的光源组件 |
US8292480B2 (en) | 2008-07-10 | 2012-10-23 | Koito Manufacturing Co., Ltd. | Lamp including main reflector, sub-reflector and LED assembly |
TWI401788B (zh) | 2008-12-24 | 2013-07-11 | Ind Tech Res Inst | 發光二極體照明模組與封裝方法 |
JP5193091B2 (ja) | 2009-02-23 | 2013-05-08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車両用光源ユニット |
JP5406566B2 (ja) | 2009-03-11 | 2014-02-05 |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 車両用前照灯 |
BRPI1007601A2 (pt) | 2009-04-24 | 2016-02-16 | 3M Innovative Properties Co | "conjunto de luz" |
JP5442317B2 (ja) | 2009-05-14 | 2014-03-12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車両用灯具 |
CN102575822B (zh) | 2009-09-25 | 2014-11-12 | 欧司朗光电半导体有限公司 | 照明设备 |
JP5779340B2 (ja) | 2010-01-14 | 2015-09-16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車両用灯具 |
DE102011008474B4 (de) | 2011-01-13 | 2012-08-09 | Dräger Medical GmbH | Operationsleuchte mit LED-Ausrichtung mittels Formschluss |
US20130265791A1 (en) | 2012-04-10 | 2013-10-10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Vehicle light assembly with photon recycling |
-
2012
- 2012-11-14 KR KR1020120128567A patent/KR10208061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
- 2013-01-11 US US13/739,188 patent/US9299278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49104A (en) * | 1990-07-03 | 1993-09-28 | Tatsuji Mizobe | Optical display device |
JPH11202330A (ja) * | 1998-01-16 | 1999-07-30 | Sony Corp |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
KR20090116970A (ko) * | 2008-05-08 | 2009-11-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웨이퍼 레벨 렌즈부 및 이를 이용한 발광 소자 패키지 |
JP2010044941A (ja) * | 2008-08-12 | 2010-02-25 | Sony Corp |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
KR20100038840A (ko) * | 2008-10-07 | 2010-04-15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발광엠블럼 어셈블리 |
JP2011170180A (ja) * | 2010-02-19 | 2011-09-01 | Toppan Printing Co Ltd | 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
KR101012472B1 (ko) * | 2010-07-15 | 2011-02-08 | 양재성 | 집광 표지판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1314A (ko) * | 2014-06-27 | 2016-01-06 | 현대아이에이치엘 주식회사 | 차량용 램프 장치 |
WO2018143714A1 (ko) * | 2017-02-02 | 2018-08-09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조명장치 |
US20200011489A1 (en) * | 2017-02-02 | 2020-01-09 | Lg Innotek Co., Ltd. | Lighting device |
US10788169B2 (en) | 2017-02-02 | 2020-09-29 | Lg Innotek Co., Ltd. | Lighting device |
US11041593B2 (en) | 2017-02-02 | 2021-06-22 | Lg Innotek Co., Ltd. | Lighting device |
KR20190012422A (ko) * | 2017-07-27 | 2019-02-1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KR20190064078A (ko) * | 2017-11-30 | 2019-06-10 | 에스엘 주식회사 | 발광표시 장치 |
KR20190090178A (ko) * | 2018-01-24 | 2019-08-0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조명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
WO2024128621A1 (ko) * | 2022-12-14 | 2024-06-20 | 에스엘 주식회사 | 발광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299278B2 (en) | 2016-03-29 |
KR102080610B1 (ko) | 2020-02-25 |
US20140133128A1 (en) | 2014-05-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80610B1 (ko) | 램프 및 그를 이용한 차량 램프 장치 | |
KR102159090B1 (ko) | 램프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차량 | |
JP6166104B2 (ja) | ランプ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車両 | |
WO2012063759A1 (ja) | Led照明装置 | |
US7758212B2 (en) | Light emitting diode device including inclined reflecting plates | |
KR101227609B1 (ko) | 전광표시침과 도광체 | |
US8643041B2 (en) |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 |
KR101064076B1 (ko) | 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 |
US20240295302A1 (en) |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device provided with same | |
KR101646262B1 (ko) | 발광 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 | |
EP3032310B1 (en) | Light emitting module and light emitting apparatus | |
KR20140095913A (ko) | 발광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 |
KR20150108212A (ko) | 조명 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조명 장치 | |
KR101929256B1 (ko) | 조명 장치 | |
JP2023517557A (ja) | 照明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照明装置 | |
CN110249172B (zh) | 照明装置 | |
KR101997240B1 (ko) | 조명 소자 | |
KR101933188B1 (ko) | 발광유닛 어레이 및 그에 적합한 광 확산 렌즈 | |
KR20230041544A (ko) | 조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램프 | |
KR20220137416A (ko) | 조명 장치 | |
KR20220137406A (ko) | 조명 장치 | |
KR20140060754A (ko) | 램프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차량 램프 장치 | |
KR20150138711A (ko) | 조명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