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7729A -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27729A KR20140027729A KR1020120093672A KR20120093672A KR20140027729A KR 20140027729 A KR20140027729 A KR 20140027729A KR 1020120093672 A KR1020120093672 A KR 1020120093672A KR 20120093672 A KR20120093672 A KR 20120093672A KR 20140027729 A KR20140027729 A KR 201400277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terlocking
- electric bed
- bracket
- interlock
- backres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8—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djusting two or more rests simultaneousl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하나의 액츄에이터(100)에 의해서 등받이부(20)와 다리 지지부(30)를 모두 작동시킬 수 있으면서도 연동 작동이 선택적으로 적용되거나 해제될 수 있는 연동 기구(200,300)가 설치됨으로써, 부품의 개수 및 무게가 획기적으로 감소될 수 있고, 연동 작동시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으며, 연동 작동을 원하지 않을 경우 손쉽게 연동 작동을 해제할 수 있는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가 소개된다. 이러한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는 전동 침대의 상부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100)와, 상기 액츄에이터(100)의 작동 로드(120)에 연결되고, 전동 침대의 등받이부(20)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제1 연동 기구(200)와, 전동 침대의 다리 지지부(30)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제2 연동 기구(300)와, 상기 제1 연동 기구(200)와 제2 연동 기구(300)를 연결하는 연결 로드(400)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동 기구(300)에는 상기 제2 연동 기구(300)와 제1 연동 기구(200)와의 연동 작동이 적용되거나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연동 및 해제 전환 슬롯 홀(3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액츄에이터로 등받이부와 다리 지지부를 모두 작동시킬 수 있으면서 다리 지지부에 대한 연동 작동을 해제할 수 있는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 침대는 환자나 노인 등 거동이 불편한 사람과 간호하는 사람의 편의를 위해 침대의 작동이 전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침대의 높낮이와 등받이부의 각도 및 다리 지지부의 각도 등이 전동으로 작동되며, 이를 위해 침대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액츄에이터 및 작동 기구가 설치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전동 침대의 경우 상기 등받이부를 작동시킬 때 상기 다리 지지부도 같이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연동 작동은 등받이부의 각도 조절과 다리 지지부의 각도 조절을 위해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된 두 개의 액츄에이터를 별도의 제어기를 이용하여 동시에 작동시키거나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방식에 의해 구현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경우와 같이 등받이부와 다리 지지부의 연동 작동을 위해 독립된 별개의 액츄에이터와 작동 기구를 설치하고, 별도의 제어기를 설치할 경우 제조 비용과 제조 시간 및 제품의 무게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제어기의 고장으로 인해 연동 작동시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하나의 액츄에이터로 등받이부와 다리 지지부의 연동 작동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연동 장치를 전동 침대에 적용할 경우에도 상황에 따라 다리 지지부에 대한 연동 작동을 해제할 필요성이 있게 되며, 이러한 필요성을 위해 연동 작동을 선택적으로 적용하거나 해제할 수 있는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하나의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등받이부와 다리 지지부를 모두 작동시킬 수 있으면서도 연동 작동이 선택적으로 적용되거나 해제될 수 있는 연동 기구가 설치됨으로써, 부품의 개수 및 무게가 획기적으로 감소될 수 있고, 연동 작동시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으며, 연동 작동을 원하지 않을 경우 손쉽게 연동 작동을 해제할 수 있는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는 전동 침대의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 로드에 연결되고, 전동 침대의 등받이부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제1 연동 기구와, 전동 침대의 다리 지지부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제2 연동 기구와, 상기 제1 연동 기구와 제2 연동 기구를 연결하는 연결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동 기구에는 상기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적용되거나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연동 및 해제 전환 슬롯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동 및 해제 전환 슬롯 홀은 상기 연결 로드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연동 기구와 연결되는 힌지핀이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두 개의 연결 구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동 및 해제 전환 슬롯 홀은 상기 힌지핀이 위치될 때 상기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적용되도록 하는 연동 구역과, 상기 힌지핀이 위치될 때 상기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해제되도록 하는 연동 해제 구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동 및 해제 전환 슬롯 홀은 상기 연동 구역과 연동 해제 구역이 예각을 이루며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동 해제 구역은 상기 상부 프레임과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연동 구역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다리 지지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연동 기구는 일측이 상기 상부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다리 지지부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위치되며, 또 다른 일측은 상기 연결 로드의 힌지핀과 연결되며, 상기 일측과 다른 일측과 또 다른 일측은 삼각형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적용될 때, 상기 제1 연동 기구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 로드가 일정 길이 한도까지 신장 작동할 때까지는 상기 다리 지지부의 경사 각도만 높아지도록 상기 작동 로드로부터 전달받은 작동력을 상기 제2 연동 기구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연동 기구는 상기 작동 로드가 일정 길이 한도를 넘어 신장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작동 로드로부터 전달받은 작동력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의 경사 각도가 높아지게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연동 기구는 상기 작동 로드가 상기 일정 길이 한도를 넘는 다른 일정 길이 한도를 넘어 신장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작동 로드로부터 전달받은 작동력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의 경사 각도가 계속적으로 높아지게 작동하고, 상기 제2 연동 기구는 상기 제1 연동 기구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다리 지지부의 경사 각도가 낮아지게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연동 기구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축과, 이 회동축에 설치되어 회동축과 일체로 회동하는 제1 연동 브라켓과, 상기 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연동 브라켓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연동 브라켓과 일체로 회동하되, 일정 경로 범위 내에서는 상기 제1 연동 브라켓과는 독립적으로 회동하는 제2 연동 브라켓과, 상기 회동축에 설치되어 회동축과 일체로 회동하면서 상기 등받이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작동 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연동 브라켓에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동 브라켓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핀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연동 브라켓은 대략의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연동 브라켓의 어느 한 모서리부에는 상기 회동축이 위치되고, 다른 모서리부에는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핀이 설치되며, 또 다른 모서리부에는 상기 제2 연동 기구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 블록은 상기 회동축에 설치되는 한 쌍의 들어올림 암과, 이 한 쌍의 들어올림 암의 자유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 바와, 이 연결 바의 양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부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에 따르면, 하나의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등받이부와 다리 지지부를 모두 작동시킬 수 있으면서도 연동 작동이 선택적으로 적용되거나 해제될 수 있는 연동 기구가 설치됨으로써, 부품의 개수 및 무게가 획기적으로 감소될 수 있고, 연동 작동시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으며, 연동 작동을 원하지 않을 경우 손쉽게 연동 작동이 해제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에 적용된 제1 연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에 적용된 제2 연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에 적용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적용되도록 연동 및 해제 전환 슬롯 홀의 연동 구역에 힌지핀이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에 적용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해제되도록 연동 및 해제 전환 슬롯 홀의 연동 해제 구역에 힌지핀이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가 적용된 전동 침대의 부분 측면도로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적용되는 경우 연동 작동이 이루어지기 전 등받이부의 경사와 다리 지지부의 경사가 최대로 낮아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가 적용된 전동 침대의 부분 측면도로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적용되는 경우 연동 작동에 따라 다리 지지부의 경사만 높아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가 적용된 전동 침대의 부분 측면도로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적용되는 경우 연동 작동에 따라 다리 지지부의 경사가 최대로 높아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가 적용된 전동 침대의 부분 측면도로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적용되는 경우 연동 작동에 따라 등받이부의 경사가 높아지면서 이와 동시에 다리 지지부의 경사가 낮아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가 적용된 전동 침대의 부분 측면도로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적용되는 경우 연동 작동에 따라 등받이부의 경사가 최대로 높아지고 다리 지지부의 경사는 최대로 낮아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가 적용된 전동 침대의 부분 측면도로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해제되는 경우 액츄에이터의 작동 로드가 작동하기 전 등받이부의 경사와 다리 지지부의 경사가 최대로 낮아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가 적용된 전동 침대의 부분 측면도로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해제되는 경우 액츄에이터의 작동 로드가 일정 한도까지 작동할 때까지 다리 지지부 및 등받이부의 경사에 변화가 없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가 적용된 전동 침대의 부분 측면도로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해제되는 경우 다리 지지부의 경사에는 변화가 없고 등받이부의 경사만 높아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가 적용된 전동 침대의 부분 측면도로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해제되는 경우 다리 지지부의 경사에는 변화가 없고 등받이부의 경사가 최대로 높아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에 적용된 제1 연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에 적용된 제2 연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에 적용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적용되도록 연동 및 해제 전환 슬롯 홀의 연동 구역에 힌지핀이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에 적용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해제되도록 연동 및 해제 전환 슬롯 홀의 연동 해제 구역에 힌지핀이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가 적용된 전동 침대의 부분 측면도로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적용되는 경우 연동 작동이 이루어지기 전 등받이부의 경사와 다리 지지부의 경사가 최대로 낮아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가 적용된 전동 침대의 부분 측면도로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적용되는 경우 연동 작동에 따라 다리 지지부의 경사만 높아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가 적용된 전동 침대의 부분 측면도로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적용되는 경우 연동 작동에 따라 다리 지지부의 경사가 최대로 높아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가 적용된 전동 침대의 부분 측면도로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적용되는 경우 연동 작동에 따라 등받이부의 경사가 높아지면서 이와 동시에 다리 지지부의 경사가 낮아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가 적용된 전동 침대의 부분 측면도로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적용되는 경우 연동 작동에 따라 등받이부의 경사가 최대로 높아지고 다리 지지부의 경사는 최대로 낮아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가 적용된 전동 침대의 부분 측면도로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해제되는 경우 액츄에이터의 작동 로드가 작동하기 전 등받이부의 경사와 다리 지지부의 경사가 최대로 낮아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가 적용된 전동 침대의 부분 측면도로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해제되는 경우 액츄에이터의 작동 로드가 일정 한도까지 작동할 때까지 다리 지지부 및 등받이부의 경사에 변화가 없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가 적용된 전동 침대의 부분 측면도로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해제되는 경우 다리 지지부의 경사에는 변화가 없고 등받이부의 경사만 높아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가 적용된 전동 침대의 부분 측면도로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해제되는 경우 다리 지지부의 경사에는 변화가 없고 등받이부의 경사가 최대로 높아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에 적용된 제1 연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에 적용된 제2 연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에 적용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적용되도록 연동 및 해제 전환 슬롯 홀의 연동 구역에 힌지핀이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에 적용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해제되도록 연동 및 해제 전환 슬롯 홀의 연동 해제 구역에 힌지핀이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는 액츄에이터(100)와, 제1 연동 기구(200)와, 제2 연동 기구(300)와, 연결 로드(400)를 포함한다.
상기 액츄에이터(100)는 몸체(110)와 작동 로드(12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110)는 전동 침대의 상부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연결 브라켓(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연동 기구(200)는 상기 상부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액츄에이터(100)와 연결되어 액츄에이터(100)의 작동에 따라 회동하면서 전동 침대의 등받이부(20)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상기 제2 연동 기구(300)를 작동시켜 전동 침대의 다리 지지부(3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이러한 상기 제1 연동 기구(200)는 상기 상부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축(210)과, 이 회동축(210)에 설치되어 회동축(210)과 일체로 회동하며 한 쌍으로 구성되는 제1 연동 브라켓(220)과, 상기 회동축(2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연동 브라켓(220)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연동 브라켓(220)과 일체로 회동하되, 일정 경로 범위 내에서는 상기 제1 연동 브라켓(220)과는 독립적으로 회동하며, 한 쌍으로 구성되어 일체로 회동하는 제2 연동 브라켓(230)과, 상기 회동축(210)에 설치되어 회동축(210)과 일체로 회동하면서 상기 등받이부(20)의 각도를 조절하는 작동 블록(2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연동 브라켓(220)은 대략의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상기 제1 연동 브라켓(220)에는 상기 회동축(210)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 홀(2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연동 브라켓(230)은 대략의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상기 제2 연동 브라켓(230)의 어느 한 모서리부에는 상기 회동축(210)이 위치되고, 다른 모서리부에는 상기 가이드 홀(211)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핀(231)이 설치되며, 또 다른 모서리부에는 상기 제2 연동 기구(300)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 홀(23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연동 기구(200)를 구성하는 상기 작동 블록(240)은 상기 회동축(21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들어올림 암(241)과, 이 한 쌍의 들어올림 암(241)의 자유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 바(242)와, 이 연결 바(242)의 양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부(20)의 하측을 지지하는 부싱(243)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연동 기구(300)는 상기 연결 로드(400)를 매개로 상기 제1 연동 기구(200)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액츄에이터(100)의 작동시 상기 제1 연동 기구(200)와 연동하여 작동할 수도 있으며, 제1 연동 기구(200)와 연동하여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 만일 상기 제2 연동 기구(300)가 상기 제1 연동 기구(200)와 연동하여 작동할 경우 상기 제2 연동 기구(300)는 전동 침대의 다리 지지부(30)의 각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상기 제2 연동 기구(300)는 일측이 상기 상부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다리 지지부(30)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위치되며, 또 다른 일측은 상기 연결 로드(400)의 힌지핀(410)과 연결되며, 상기 일측과 다른 일측과 또 다른 일측은 삼각형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연동 기구(300)의 다른 일측의 단부에는 상기 다리 지지부(30)의 하측을 지지하는 부싱(32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 연동 기구(30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2 연동 기구(300)와 제1 연동 기구(200)와의 연동 작동이 적용되거나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연동 및 해제 전환 슬롯 홀(310)을 포함하며, 상기 연동 및 해제 전환 슬롯 홀(310)은 상기 작동 로드(400)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연동 기구(300)와 연결되는 힌지핀(410)이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두 개의 연결 구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두 개의 연결 구역은 상기 힌지핀(410)이 위치될 때 상기 제2 연동 기구(300)와 제1 연동 기구(200)와의 연동 작동이 적용되도록 하는 연동 구역(312)과, 상기 힌지핀(410)이 위치될 때 상기 제2 연동 기구(300)와 제1 연동 기구(200)와의 연동 작동이 해제되도록 하는 연동 해제 구역(311)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연동 및 해제 전환 슬롯 홀(310)은 상기 연동 구역(312)과 연동 해제 구역(311)이 예각을 이루며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연동 기구(300)가 상기 상부 프레임(10)에 설치된 상태일 때, 상기 연동 해제 구역(311)은 상기 상부 프레임(10)과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연동 구역(312)은 상기 상부 프레임(10)의 다리 지지부(30)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연동 기구(300)의 연동 및 해제 전환 슬롯 홀(310)의 연동 구역(312)에 힌지핀(410)이 위치되어 상기 제2 연동 기구(300)와 제1 연동 기구(200)와의 연동 작동이 적용될 경우, 상기 힌지핀(410)은 상기 연동 및 해제 전환 슬롯 홀(310)의 절곡된 형상으로 인하여 상기 연동 구역(312)에 머무르게 되고, 연동 해제 구역(311)으로는 이동되지 못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연동 기구(300)의 연동 및 해제 전환 슬롯 홀(310)의 연동 해제 구역(311)에 힌지핀(410)이 위치되어 상기 제2 연동 기구(300)와 제1 연동 기구(200)와의 연동 작동이 해제될 경우, 액츄에이터(100)의 작동에 따라 제1 연동 기구(200) 및 연결 로드(400)로부터 상기 힌지핀(410)으로 작동력이 전달되더라도 상기 힌지핀(410)은 상기 연동 해제 구역(311)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기에 힌지핀(410)에 전달된 액츄에이터(100)의 작동력은 제2 연동 기구(300)로는 전달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연동 기구(200)는 상기 제2 연동 기구(300)와 제1 연동 기구(200)와의 연동 작동이 적용될 때, 상기 액츄에이터(100)의 작동 로드(120)가 일정 길이 한도까지 신장 작동할 때까지는 상기 다리 지지부(30)의 경사 각도만 점점 높아지도록 상기 작동 로드(120)로부터 전달받은 작동력을 상기 제2 연동 기구(300)로만 전달하고, 상기 작동 로드(120)가 일정 길이 한도를 넘어 신장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작동 로드(120)로부터 전달받은 작동력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20)의 경사 각도가 높아지도록 작동한다.
또한, 상기 제1 연동 기구(200)는 상기 작동 로드(120)가 상기 일정 길이 한도를 넘는 다른 일정 길이 한도를 넘어 신장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작동 로드(120)로부터 전달받은 작동력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20)의 경사 각도가 계속적으로 높아지도록 작동하고, 상기 제2 연동 기구(300)는 상기 제1 연동 기구(20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다리 지지부(30)의 경사 각도가 점점 낮아지도록 작동한다.
이러한 상기 제1 연동 기구(200)와 제2 연동 기구(300)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액츄에이터(100)의 작동 로드(120)가 신장 작동하기 시작하면 상기 제2 연동 브라켓(230)은 상기 회동축(210) 상에서 회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2 연동 브라켓(230)은 상기 제2 연동 브라켓(230)에 설치된 가이드 핀(231)이 상기 제1 연동 브라켓(220)에 형성된 가이드 홀(211)의 단부에 걸림될 때까지는 상기 제1 연동 브라켓(220)과는 별도로 회동하고, 상기 제2 연동 브라켓(230)과 연결된 상기 제2 연동 기구(300)는 일정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다리 지지부(30)의 경사 각도가 점점 높아지도록 작용한다. 이때, 상기 회동축(210) 및 회동축(210)과 일체화된 상기 제1 연동 브라켓(220)은 회동하지 않게 된다.
이후, 상기 제2 연동 브라켓(230)에 설치된 가이드 핀(231)이 상기 제1 연동 브라켓(220)에 형성된 가이드 홀(211)의 단부에 걸림되면 상기 제2 연동 브라켓(230)은 상기 제1 연동 브라켓(220)을 회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1 연동 브라켓(220)과 일체화된 상기 회동축(210)도 더불어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동축(210)이 일정 각도 회전하는 경우 상기 회동축(210)에 설치된 작동 블록(240)도 더불어 회동하면서 상기 등받이부(20)의 경사 각도를 높이기 시작한다.
한편, 상기 작동 블록(240)에 의해 상기 등받이이부(20)의 경사 각도가 높아지기 시작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뒤, 상기 제1 연동 기구(200)와 제2 연동 기구(30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2 연동 기구(300)는 전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기 시작하며, 이에 따라, 상기 다리 지지부(30)의 경사 각도는 점점 낮아지게 되고, 상기 등받이부(20)의 경사 각도는 계속해서 점점 높아지게 되며, 상기 등받이부(20)의 경사 각도가 최대로 높아지게 될 경우 상기 다리 지지부(30)의 경사 각도는 최대로 낮아지게 된다.
한편, 상기 등받이부(20)의 경사 각도가 최대로 높아진 상태에서 등받이부(20)의 각도가 낮아지도록 작동시키면 상술한 과정의 반대로 작동된다. 즉, 상기 등받이부(20)의 각도가 최대로 높아진 상태에서 낮아지기 시작하면 상기 제1 연동 기구(200)와 제2 연동 기구(30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2 연동 기구(300)는 다시금 상기 다리 지지부(30)의 경사 각도가 높아지도록 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등받이부(20)의 경사 각도가 최대로 낮아진 이후, 상기 제1 연동 기구(200)와 제2 연동 기구(30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2 연동 기구(300)는 다시금 상기 다리 지지부(30)의 경사 각도가 낮아지도록 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후, 상기 다리 지지부(30)의 경사 각도는 점점 낮아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되, 앞서 설명된 도 1 내지 도 5를 부분적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의 작동을 단계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가 적용된 전동 침대의 부분 측면도로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적용되는 경우 연동 작동이 이루어지기 전 등받이부의 경사와 다리 지지부의 경사가 최대로 낮아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가 적용된 전동 침대의 부분 측면도로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적용되는 경우 연동 작동에 따라 다리 지지부의 경사만 높아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가 적용된 전동 침대의 부분 측면도로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적용되는 경우 연동 작동에 따라 다리 지지부의 경사가 최대로 높아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가 적용된 전동 침대의 부분 측면도로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적용되는 경우 연동 작동에 따라 등받이부의 경사가 높아지면서 이와 동시에 다리 지지부의 경사가 낮아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가 적용된 전동 침대의 부분 측면도로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적용되는 경우 연동 작동에 따라 등받이부의 경사가 최대로 높아지고 다리 지지부의 경사는 최대로 낮아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가 적용된 전동 침대의 부분 측면도로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해제되는 경우 액츄에이터의 작동 로드가 작동하기 전 등받이부의 경사와 다리 지지부의 경사가 최대로 낮아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가 적용된 전동 침대의 부분 측면도로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해제되는 경우 액츄에이터의 작동 로드가 일정 한도까지 작동할 때까지 다리 지지부 및 등받이부의 경사에 변화가 없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가 적용된 전동 침대의 부분 측면도로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해제되는 경우 다리 지지부의 경사에는 변화가 없고 등받이부의 경사만 높아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가 적용된 전동 침대의 부분 측면도로서,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해제되는 경우 다리 지지부의 경사에는 변화가 없고 등받이부의 경사가 최대로 높아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적용되는 경우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가 작동하여 액츄에이터(100)의 작동 로드(120)가 화살표(A) 방향으로 신장 작동하기 시작하면, 제1 연동 브라켓(220)은 회동하지 않고, 제2 연동 브라켓(230)만 화살표(B)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러면 연결 로드(400)와 제2 연동 기구(300)의 연결부분인 힌지핀(410)에 액츄에이터(100)의 작동력이 작용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연동 기구(300)는 상부 프레임(10)에 대한 회동축(Y)을 중심으로 화살표(C)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2 연동 기구(300)에 설치된 부싱(320)이 다리 지지부(30)의 하측에 접촉되어 있기에 상기 다리 지지부(30)는 상기 제2 연동 기구(300)가 화살표(C)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점점 경사 각도가 높아지게 되며, 도 7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가 계속적으로 작동하여 액츄에이터(100)의 작동 로드(120)가 화살표(A) 방향으로 더 신장 작동하게 되면, 계속해서 상기 제2 연동 브라켓(230)과 제2 연동 기구(300)만이 회동하면서 상기 다리 지지부(30)의 경사 각도를 점점 높인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연동 브라켓(230)이 제1 연동 브라켓(220)에 형성된 가이드 홀(221)에 걸림되게 되면, 이때부터는 상기 제2 연동 브라켓(230)과 제1 연동 브라켓(220)은 일체로 화살표(B)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연동 브라켓(220)은 회동축(210)과 일체화되어 회동축(210)과 일체로 회동하기 때문에 회동축(210)도 더불어 화살표(B)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동축(210)이 화살표(B)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는 경우 상기 회동축(210)과 일체로 회동하는 들어올림 암(241) 또한 상기 회동축(210)을 중심으로 화살표(B)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처럼 상기 들어올림 암(241)이 화살표(B)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20)의 경사 각도는 점점 높아지게 된다.
이후,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등받이부(20)의 경사 각도는 계속해서 점점 높아지게 되지만, 상기 등받이부(20)의 경사 각도가 높아지기 시작한 뒤 일정 시점이 경과한 이후에는 상기 제1 연동 기구(200)와 제2 연동 기구(30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연결 로드(400)와 제2 연동 기구(300)의 연결부분인 힌지핀(410)에 액츄에이터(100)의 작동력이 화살표(D) 방향으로 작용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연동 기구(300)는 상부 프레임(10)에 대한 회동축(Y)을 중심으로 화살표(D) 방향으로 회동하기 시작한다.
그러면 상기 다리 지지부(30)는 상기 제2 연동 기구(300)가 화살표(D)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경사 각도가 점점 낮아지게 된다. 이후, 최종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등받이부(20)의 경사 각도가 최대로 높아진 상태가 될 때 상기 다리 지지부(30)의 경사 각도는 최대로 낮아진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등받이부(20)의 경사 각도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최대로 높아진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부(20)의 경사 각도가 다시금 낮아지도록 작동시킬 경우 상술한 과정의 반대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제2 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와의 연동 작동이 해제되는 경우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서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가 작동하여 액츄에이터(100)의 작동 로드(120)가 화살표(A) 방향으로 신장 작동하기 시작하면, 제1 연동 브라켓(220)은 회동하지 않고, 제2 연동 브라켓(230)만 화살표(B)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러면 연결 로드(400)와 제2 연동 기구(300)의 연결부분인 힌지핀(410)에 액츄에이터(100)의 작동력이 작용하고, 이때, 상기 힌지핀(410)은 상기 제2 연동 기구(300)에 형성된 연동 및 해제 전환 슬롯 홀(310)의 연동 해제 구역(311) 상에서 화살표(E)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핀(410)에 전달된 액츄에이터(100)의 작동력은 제2 연동 기구(300)로는 전달되지 않기에 상기 제2 연동 기구(300)는 회동하지 않게 되며, 다리 지지부(30)의 경사 각도도 변화되지 않는다.
이후, 상기 액츄에이터(100)의 작동 로드(120)가 화살표(A) 방향으로 더 신장 작동하더라도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연동 브라켓(230)이 제1 연동 브라켓(220)에 형성된 가이드 홀(221)에 걸림되기 전까지는 전동 침대의 등받이부(20)나 다리 지지부(30) 중 어느 것도 경사 각도가 변화되지 않게 된다.
이후,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액츄에이터(100)의 작동 로드(120)가 화살표(A) 방향으로 더 작동하면 상기 제2 연동 브라켓(230)이 제1 연동 브라켓(220)에 형성된 가이드 홀(221)에 걸림되었기 때문에 이때부터는 상기 제2 연동 브라켓(230)과 제1 연동 브라켓(220)은 일체로 화살표(B)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연동 브라켓(220)은 회동축(210)과 일체화되어 회동축(210)과 일체로 회동하기 때문에 회동축(210)도 더불어 화살표(B)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이후, 도 13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액츄에이터(100)의 작동 로드(120)가 화살표(A) 방향으로 더 작동하면 상기 제2 연동 브라켓(230)과 제1 연동 브라켓(220)은 일체로 화살표(B) 방향으로 더 회동하게 되며, 상기 등받이부(20)의 경사 각도는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등받이부(20)의 경사 각도가 최대로 높아진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힌지핀(410)은 상기 제2 연동 기구(300)에 형성된 연동 및 해제 전환 슬롯 홀(310)의 연동 해제 구역(311) 상에서 화살표(F)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핀(410)에 전달된 액츄에이터(100)의 작동력은 제2 연동 기구(300)로는 전달되지 않게 되기에 상기 제2 연동 기구(300)는 회동하지 않게 되며, 다리 지지부(30)의 경사 각도도 변화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등받이부(20)의 경사 각도가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최대로 높아진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부(20)의 경사 각도가 다시금 낮아지도록 작동시킬 경우 상술한 과정의 반대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에 따르면, 하나의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등받이부와 다리 지지부를 모두 작동시킬 수 있으면서도 연동 작동이 선택적으로 적용되거나 해제될 수 있는 연동 기구가 설치됨으로써, 부품의 개수 및 무게가 획기적으로 감소될 수 있고, 연동 작동시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으며, 연동 작동을 원하지 않을 경우 손쉽게 연동 작동이 해제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20 : 등받이부 30 : 다리 지지부
100 : 액츄에이터 110 : 몸체
120 : 작동 로드 200 : 제1 연동 기구
210 : 회동축 220 : 제1 연동 브라켓
230 : 제2 연동 브라켓 240 : 작동 블록
241 : 들어올림 암 242 : 연결 바
243 : 부싱 300 : 제2 연동 기구
310 : 연동 및 해제 전환 슬롯 홀 311 : 연동 구역
312 : 연동 해제 구역 400 : 연결 로드
100 : 액츄에이터 110 : 몸체
120 : 작동 로드 200 : 제1 연동 기구
210 : 회동축 220 : 제1 연동 브라켓
230 : 제2 연동 브라켓 240 : 작동 블록
241 : 들어올림 암 242 : 연결 바
243 : 부싱 300 : 제2 연동 기구
310 : 연동 및 해제 전환 슬롯 홀 311 : 연동 구역
312 : 연동 해제 구역 400 : 연결 로드
Claims (14)
- 전동 침대의 상부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100);
상기 액츄에이터(100)의 작동 로드(120)에 연결되고, 전동 침대의 등받이부(20)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제1 연동 기구(200);
전동 침대의 다리 지지부(30)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제2 연동 기구(300);
상기 제1 연동 기구(200)와 제2 연동 기구(300)를 연결하는 연결 로드(400);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동 기구(300)에는 상기 제2 연동 기구(300)와 제1 연동 기구(200)와의 연동 작동이 적용되거나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연동 및 해제 전환 슬롯 홀(3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동 및 해제 전환 슬롯 홀(310)은 상기 연결 로드(400)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연동 기구(300)와 연결되는 힌지핀(410)이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두 개의 연결 구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동 및 해제 전환 슬롯 홀(310)은 상기 힌지핀(410)이 위치될 때 상기 제2 연동 기구(300)와 제1 연동 기구(200)와의 연동 작동이 적용되도록 하는 연동 구역(312)과, 상기 힌지핀(410)이 위치될 때 상기 제2 연동 기구(300)와 제1 연동 기구(200)와의 연동 작동이 해제되도록 하는 연동 해제 구역(3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연동 및 해제 전환 슬롯 홀(310)은 상기 연동 구역(312)과 연동 해제 구역(311)이 예각을 이루며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동 해제 구역(311)은 상기 상부 프레임(10)과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연동 구역(312)은 상기 상부 프레임(10)의 다리 지지부(30)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연동 기구(300)는 일측이 상기 상부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다리 지지부(30)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위치되며, 또 다른 일측은 상기 연결 로드(400)의 힌지핀(410)과 연결되며, 상기 일측과 다른 일측과 또 다른 일측은 삼각형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동 기구(300)와 제1 연동 기구(200)와의 연동 작동이 적용될 때, 상기 제1 연동 기구(200)는 상기 액츄에이터(100)의 작동 로드(120)가 일정 길이 한도까지 신장 작동할 때까지는 상기 다리 지지부(30)의 경사 각도만 높아지도록 상기 작동 로드(120)로부터 전달받은 작동력을 상기 제2 연동 기구(300)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동 기구(200)는 상기 작동 로드(120)가 일정 길이 한도를 넘어 신장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작동 로드(120)로부터 전달받은 작동력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20)의 경사 각도가 높아지게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동 기구(200)는 상기 작동 로드(120)가 상기 일정 길이 한도를 넘는 다른 일정 길이 한도를 넘어 신장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작동 로드(120)로부터 전달받은 작동력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20)의 경사 각도가 계속적으로 높아지게 작동하고, 상기 제2 연동 기구(300)는 상기 제1 연동 기구(20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다리 지지부(30)의 경사 각도가 점점 낮아지게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동 기구(200)는 상기 상부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축(210)과, 이 회동축(210)에 설치되어 회동축(210)과 일체로 회동하는 제1 연동 브라켓(220)과, 상기 회동축(2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연동 브라켓(220)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연동 브라켓(220)과 일체로 회동하되, 일정 경로 범위 내에서는 상기 제1 연동 브라켓(220)과는 독립적으로 회동하는 제2 연동 브라켓(230)과, 상기 회동축(210)에 설치되어 회동축(210)과 일체로 회동하면서 상기 등받이부(20)의 각도를 조절하는 작동 블록(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동 브라켓(220)에는 가이드 홀(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동 브라켓(230)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 홀(211)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핀(23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211)은 상기 회동축(210)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 연동 브라켓(230)은 대략의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연동 브라켓(230)의 어느 한 모서리부에는 상기 회동축(210)이 위치되고, 다른 모서리부에는 상기 가이드 홀(211)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핀(231)이 설치되며, 또 다른 모서리부에는 상기 제2 연동 기구(300)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 홀(2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작동 블록(240)은 상기 회동축(21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들어올림 암(241)과, 이 한 쌍의 들어올림 암(241)의 자유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 바(242)와, 이 연결 바(242)의 양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부(20)의 하측을 지지하는 부싱(2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3672A KR20140027729A (ko) | 2012-08-27 | 2012-08-27 |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3672A KR20140027729A (ko) | 2012-08-27 | 2012-08-27 |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27729A true KR20140027729A (ko) | 2014-03-07 |
Family
ID=50641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3672A KR20140027729A (ko) | 2012-08-27 | 2012-08-27 |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27729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797039A (zh) * | 2020-06-16 | 2021-12-17 | 美固龙金属制品(中国)有限公司 | 联动机构及包含其的护理床 |
KR102594010B1 (ko) * | 2023-05-16 | 2023-10-25 | 주식회사밀알 | 단일 모터를 활용하여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침대 프레임 구조 |
-
2012
- 2012-08-27 KR KR1020120093672A patent/KR20140027729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797039A (zh) * | 2020-06-16 | 2021-12-17 | 美固龙金属制品(中国)有限公司 | 联动机构及包含其的护理床 |
KR102594010B1 (ko) * | 2023-05-16 | 2023-10-25 | 주식회사밀알 | 단일 모터를 활용하여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침대 프레임 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79251B2 (en) | Leg-rest for vehicle | |
JP2004245025A (ja) | 重装備用操縦レバー安全装置 | |
JP2018508672A (ja) | 家具フラップ用の支持装置 | |
JP2019508155A (ja) | 医療用チェア | |
TW201531268A (zh) | 具有可調整式背墊之椅子 | |
JP2010508101A (ja) | 調節可能なヘッドレストを有する介護ベッド | |
KR20140027729A (ko) |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 | |
JP2006060773A (ja) | カメラのパン・チルト装置 | |
KR101444399B1 (ko) |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 | |
JP4324444B2 (ja) | 車両用シート | |
JP5970411B2 (ja) | ベッド装置 | |
WO2012128045A1 (ja) | リクライニングベッド | |
JP6162495B2 (ja) | 電動ベッドの背ボトムの動作機構 | |
KR20140027726A (ko) | 전동 침대용 높이 조절 장치 | |
JPS5949803B2 (ja) | 安楽椅子 | |
JP2001197952A (ja) | 起上がり補助部を有する椅子 | |
KR20170014915A (ko) | 의료용 침대 | |
TW201228652A (en) | Bed device and feet parts descending mechanism | |
JP2010207270A (ja) | 収納式多目的シート | |
KR101444400B1 (ko) | 전동 침대용 모드 변환 장치 | |
KR20140136800A (ko) | 수압식 안마기의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 |
KR20180092700A (ko) | 유압식 리프팅 장치를 구비하는 침대 | |
JP7437881B2 (ja) | 紡績機用のドラフト装置およびドラフト装置ユニット | |
JPH1119135A (ja) | ベッド | |
JP2005046302A (ja) | シート用足置きステッ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