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7841A - 측정 오차의 보정방법 및 전자부품 특성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측정 오차의 보정방법 및 전자부품 특성 측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17841A KR20130117841A KR1020137020224A KR20137020224A KR20130117841A KR 20130117841 A KR20130117841 A KR 20130117841A KR 1020137020224 A KR1020137020224 A KR 1020137020224A KR 20137020224 A KR20137020224 A KR 20137020224A KR 20130117841 A KR20130117841 A KR 201301178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ical characteristics
- ports
- electronic component
- state
- measur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5/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R35/005—Calibrating; Standards or reference devices, e.g. voltage or resistance standards, "golden" referen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28—Measuring attenuation, gain, phase shift or derived characteristics of electric four pole networks, i.e. two-port networks; Measuring transient respon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Abstract
서로 다른 전기 특성을 가지는 보정 데이터 취득 시료에 대해 기준 치구에 실장한 상태(40)와 시험 치구에 실장한 상태(50)에서 전기 특성(SD, ST)을 측정하고, 전기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기를 포함하는 측정계에 대해서 신호원 포트마다 기준 치구와 시험 치구 중 적어도 한쪽의 적어도 2개의 포트 사이를 직접 전달하는 누설 신호의 존재를 상정한 수식(52)을 결정한다. 임의의 전자부품에 대해 시험 치구에 실장한 상태(50)에서 전기 특성을 측정하고, 결정한 수식(52)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부품에 대해서 기준 치구에 실장한 상태(40)에서 측정했다면 얻어졌을 전기 특성을 산출한다.
Description
도 2는 2포트 측정 오차 모델을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실시예 1)
도 3은 2포트 측정 오차 모델을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실시예 1)
도 4는 2포트 측정 오차 모델을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종래예)
도 5는 2포트 측정 오차 모델을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실시예 1)
도 6은 2포트 측정 오차 모델을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실시예 1)
도 7은 측정 오차 모델을 나타내는 블록도면이다.(실시예 1)
도 8은 기준 치구로 측정할 때의 오차를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실시예 1)
도 9는 시험 치구로 측정할 때의 오차를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실시예 1)
도 10은 시험 치구로 측정할 때의 오차를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실시예 1)
도 11은 측정계의 설명도이다.(실시예 1)
도 12는 상대 보정법의 기본 원리를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설명예)
도 13은 상대 보정법의 기본 원리를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설명예)
10 VNA
22 신호원
26 스위치
30 레퍼런스 리시버
32 테스트 리시버
40 기준 치구에 실장한 상태에 상당하는 부분
50 시험 치구에 실장한 상태에 상당하는 부분
52 상대 보정 어댑터에 상당하는 부분
Claims (4)
- 전자부품의 2포트 이상의 임의의 n포트(n은 2 이상의 양의 정수)에 대해 시험 치구에 실장한 상태에서 전기 특성을 측정한 결과로부터, 상기 전자부품을 기준 치구에 실장한 상태에서 측정했다면 얻어졌을 전기 특성의 추정치를 산출하는 측정 오차의 보정방법으로서,
서로 다른 전기 특성을 가지는 적어도 3개의 제1 보정 데이터 취득 시료에 대해 상기 기준 치구에 실장한 상태에서 전기 특성을 측정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적어도 3개의 제1 보정 데이터 취득 시료, 상기 적어도 3개의 제1 보정 데이터 취득 시료와 동등한 전기 특성을 가진다고 간주되는 적어도 3개의 제2 보정 데이터 취득 시료, 또는 상기 적어도 3개의 제1 보정 데이터 취득 시료 중 일부와 동등한 전기 특성을 가진다고 간주되는 적어도 1개의 제3 보정 데이터 취득 시료 및 그 밖의 상기 제1 보정 데이터 취득 시료에 대해 상기 시험 치구에 실장한 상태에서 전기 특성을 측정하는 제2 단계와,
전기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기를 포함하는 측정계에 대해서 신호원 포트마다 상기 기준 치구와 상기 시험 치구 중 적어도 한쪽의 적어도 2개의 포트 사이에서 상기 2개의 포트에 접속된 전자부품에 전달되지 않고 상기 2개의 포트 사이를 직접 전달하는 누설 신호의 존재를 상정한 수식으로서, 동일한 전자부품에 대해서 상기 시험 치구에 실장한 상태에서 측정한 전기 특성의 측정치와 상기 기준 치구에 실장한 상태에서 측정한 전기 특성의 측정치를 관련시키는 수식을 상기 제1 및 제2 단계에서 측정한 결과로부터 결정하는 제3 단계와,
임의의 전자부품에 대해 상기 시험 치구에 실장한 상태에서 전기 특성을 측정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4 단계에서 측정한 결과로부터 상기 제3 단계에서 결정한 상기 수식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부품에 대해서 상기 기준 치구에 실장한 상태에서 측정했다면 얻어졌을 전기 특성을 산출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오차의 보정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결정하는 상기 수식은, 상기 기준 치구와 상기 시험 치구중 적어도 한쪽의 적어도 2개의 포트 사이에서 상기 2개의 포트에 접속된 전자부품에 전달되지 않고 상기 2개의 포트 사이를 직접 전달하는 누설 신호 중 일부만의 존재를 상정한 수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오차의 보정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정 데이터 취득 시료의 개수가 2n+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오차의 보정방법.
- 전자부품의 2포트 이상의 임의의 n포트(n은 2 이상의 양의 정수)에 대해 시험 치구에 실장한 상태에서 전기 특성을 측정한 결과로부터, 상기 전자부품을 기준 치구에 실장한 상태에서 측정했다면 얻어졌을 전기 특성을 산출하는 전자부품 특성 측정장치로서,
전기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기를 포함하는 측정계에 대해서 신호원 포트마다 상기 기준 치구와 상기 시험 치구 중 적어도 한쪽의 적어도 2개의 포트 사이에서 상기 2개의 포트에 접속된 전자부품에 전달되지 않고 상기 2개의 포트 사이를 직접 전달하는 누설 신호의 존재를 상정한 후에, 동일한 전자부품에 대해서 상기 시험 치구에 실장한 상태에서 측정한 전기 특성의 측정치와 상기 기준 치구에 실장한 상태에서 측정한 전기 특성의 측정치를 관련시키는 수식으로서, 서로 다른 전기 특성을 가지는 적어도 3개의 제1 보정 데이터 취득 시료에 대해, 상기 기준 치구에 실장한 상태에서 전기 특성을 측정한 제1 측정 결과와, 상기 적어도 3개의 제1 보정 데이터 취득 시료, 상기 적어도 3개의 제1 보정 데이터 취득 시료와 동등한 전기 특성을 가진다고 간주되는 적어도 3개의 제2 보정 데이터 취득 시료, 또는 상기 적어도 3개의 제1 보정 데이터 취득 시료 중 일부와 동등한 전기 특성을 가진다고 간주되는 적어도 1개의 제3 보정 데이터 취득 시료 및 그 밖의 상기 제1 보정 데이터 취득 시료에 대해 상기 시험 치구에 실장한 상태에서 전기 특성을 측정한 제2 측정 결과로부터 결정된 수식을 기억하는 수식 기억 수단과,
임의의 전자부품에 대해 상기 시험 치구에 실장한 상태에서 전기 특성을 측정한 결과로부터 상기 수식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수식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부품에 대해서 상기 기준 치구에 실장한 상태에서 측정했다면 얻어졌을 전기 특성을 산출하는 전기 특성 추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특성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1017814 | 2011-01-31 | ||
JPJP-P-2011-017814 | 2011-01-31 | ||
PCT/JP2011/078624 WO2012105127A1 (ja) | 2011-01-31 | 2011-12-10 | 測定誤差の補正方法及び電子部品特性測定装置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7841A true KR20130117841A (ko) | 2013-10-28 |
Family
ID=46602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20224A Ceased KR20130117841A (ko) | 2011-01-31 | 2011-12-10 | 측정 오차의 보정방법 및 전자부품 특성 측정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130317767A1 (ko) |
JP (1) | JPWO2012105127A1 (ko) |
KR (1) | KR20130117841A (ko) |
DE (1) | DE112011104803T5 (ko) |
WO (1) | WO201210512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067550B (zh) * | 2012-12-24 | 2015-05-20 |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 手机测试工装检测方法 |
DE102013014175B4 (de) | 2013-08-26 | 2018-01-11 |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 Verfahren zur Kalibrierung eines Messaufbaus |
CN106062571B (zh) * | 2014-03-04 | 2018-10-30 | 株式会社村田制作所 | 测定误差的校正方法以及电子器件特性测定装置 |
US9660621B1 (en) * | 2014-09-30 | 2017-05-23 | Technology For Energy Corporation | Large dynamic range analog signal conditioning method and device with active accuracy enhancement |
US9817046B2 (en) * | 2014-10-09 | 2017-11-14 | Keysight Technologies, Inc. | System and method for measurement of S-parameters and dispersion and providing a blended solution of both |
US10725138B2 (en) * | 2015-12-11 | 2020-07-28 | Infineon Technologies Ag | Scattering parameter calibration to a semiconductor layer |
US11184091B2 (en) * | 2018-03-29 | 2021-11-23 | Rohde & Schwarz Gmbh & Co. Kg | Signal generation device, spectrum analyzing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s with correction paramete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58074B2 (ja) * | 2001-12-10 | 2004-08-25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測定誤差の補正方法、電子部品の良否判定方法および電子部品特性測定装置 |
JP4363062B2 (ja) | 2003-02-17 | 2009-11-11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電気特性測定装置および電気測定装置の測定誤差校正方法 |
WO2006030547A1 (ja) * | 2004-09-16 | 2006-03-23 | Murata Manufacturing Co., Ltd. | 測定誤差の補正方法及び電子部品特性測定装置 |
KR101152046B1 (ko) | 2008-02-05 | 2012-07-03 |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 측정오차의 보정방법 및 전자부품특성 측정장치 |
-
2011
- 2011-12-10 DE DE112011104803T patent/DE112011104803T5/de not_active Ceased
- 2011-12-10 JP JP2012555702A patent/JPWO2012105127A1/ja active Pending
- 2011-12-10 WO PCT/JP2011/078624 patent/WO201210512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12-10 KR KR1020137020224A patent/KR20130117841A/ko not_active Ceased
-
2013
- 2013-07-31 US US13/956,053 patent/US20130317767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2105127A1 (ja) | 2012-08-09 |
JPWO2012105127A1 (ja) | 2014-07-03 |
US20130317767A1 (en) | 2013-11-28 |
DE112011104803T5 (de) | 2013-10-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99177B2 (ja) | 検査装置構成を校正する方法 | |
CN103399286B (zh) | 一种多特性阻抗网络的测量校准方法 | |
US8504315B2 (en) | Method for the secondary error correction of a multi-port network analyzer | |
KR20130117841A (ko) | 측정 오차의 보정방법 및 전자부품 특성 측정장치 | |
KR101152046B1 (ko) | 측정오차의 보정방법 및 전자부품특성 측정장치 | |
CN106771649A (zh) | 一种基于四端口矢量网络分析仪的多端口散射参数测试方法 | |
JP2016024197A (ja) | Sパラメータを求める方法及び試験測定システム | |
JP4009876B2 (ja) | 測定誤差の補正方法及び電子部品特性測定装置 | |
JP7153309B2 (ja) | ベクトルネットワークアナライザを用いた反射係数の測定方法 | |
JP2008014781A (ja) | ネットワーク・アナライザの校正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アナライザ | |
CN106324541B (zh) | 一种非插入式器件测量校准方法 | |
JP5458817B2 (ja) | 電子部品の電気特性測定誤差の補正方法及び電子部品特性測定装置 | |
KR101831824B1 (ko) | 측정 오차의 보정 방법 및 전자부품 특성 측정 장치 | |
JP4775575B2 (ja) | 測定誤差の補正方法及び電子部品特性測定装置 | |
JP4478879B2 (ja) | 測定誤差の補正方法及び電子部品特性測定装置 | |
JP6300048B2 (ja) | 電気回路網のsパラメータ導出方法 | |
JP4816173B2 (ja) | 測定誤差補正方法及び電子部品特性測定装置 | |
JP4449422B2 (ja) | 測定誤差の補正方法 | |
JP2014044205A (ja) | 測定方法 | |
JP4670549B2 (ja) | 測定誤差の補正方法 | |
JP2006242799A (ja) | 測定誤差の補正方法及び電子部品特性測定装置 | |
JPWO2006030547A1 (ja) | 測定誤差の補正方法及び電子部品特性測定装置 | |
JP5672710B2 (ja) | 高周波部品のsパラメータを補正する方法、及び高周波部品を搭載したモジュールの特性算出方法 | |
US20150346310A1 (en) | De-embedding and calibration of mirror symmetric reciprocal networks | |
JP2013117386A (ja) | 測定誤差の補正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7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503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9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