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4549A - 글래스 고정용 클램프조립체 - Google Patents
글래스 고정용 클램프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04549A KR20130104549A KR1020120026143A KR20120026143A KR20130104549A KR 20130104549 A KR20130104549 A KR 20130104549A KR 1020120026143 A KR1020120026143 A KR 1020120026143A KR 20120026143 A KR20120026143 A KR 20120026143A KR 20130104549 A KR20130104549 A KR 201301045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gnetic
- block
- glass
- hinge
- clamp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electrostatic or magnetic gripp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래스 이송프레임 상에 자력에 의해 글래스 고정 또는 고정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글래스 고정용 클램프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더롤의 타격 후 클램프조립체의 복원을 위해 힌지블럭에 고정결합되는 마그네틱홀더 및 이와 위치적으로 대응되는 마그네틱블럭에 각각 마그네틱을 수용결합함으로써 파티클 발생을 원천적으로 제거하고 파티클에 의한 수율 감소 및 글래스 불량을 대폭 개선할 수 있는 글래스 고정용 클램프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LCD 제조공정에서 LCD 용 글래스(glass)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프레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체결홈부 내로 다수개가 각각 배치되며, 체결홈부 전방측에 이송프레임과 결합되는 안착블럭에 글래스가 안착될 시에 안착블럭 상부에 위치하여 글래스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지지면을 가지는 클램프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조립체는 전방부에 위치하는 힌지결합부가 상기 이송프레임의 체결홈부 하부측에 배치되며, 후방부에 위치하고 내측에 마그네틱이 삽입되는 마그네틱수용부가 이송프레임의 하부측과 결합하는 마그네틱블럭과; 상기 체결홈부 상에 관통 수용되어 마그네틱블럭의 힌지결합부와 샤프트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하단부에 실린더롤충격부가 형성되어 외부 실린더롤의 타격에 따라 일정각도 상방향으로 회전하는 힌지블럭과; 상기 힌지블럭 하단 후방부에 결합되며 상기 마그네틱블럭의 마그네틱수용부와 접촉하는 제 2마그네틱수용부를 가지는 마그네틱홀더와; 상기 힌지블럭의 상부 전방측에 결합되며 이송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글래스를 안내 고정하기 위한 지지면이 상부측에 형성된 클램프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외부 실린더롤의 타격시에는 상기 힌지블럭이 일정각도 회전하게 되며, 외부 실린더롤이 해제되면 마그네틱블럭과 마그네틱홀더 내에 수용된 마그네틱 간의 인력에 의해 실린더롤 타격 전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마그네틱블럭의 마그네틱수용부와 마그네틱홀더의 제 2마그네틱수용부에는 각각 제 1마그네틱과 제 2마그네틱이 수용되며 상기 제 1마그네틱과 제 2마그네틱은 각각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N극과 S극으로 등분 구획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LCD 제조공정에서 LCD 용 글래스(glass)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프레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체결홈부 내로 다수개가 각각 배치되며, 체결홈부 전방측에 이송프레임과 결합되는 안착블럭에 글래스가 안착될 시에 안착블럭 상부에 위치하여 글래스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지지면을 가지는 클램프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조립체는 전방부에 위치하는 힌지결합부가 상기 이송프레임의 체결홈부 하부측에 배치되며, 후방부에 위치하고 내측에 마그네틱이 삽입되는 마그네틱수용부가 이송프레임의 하부측과 결합하는 마그네틱블럭과; 상기 체결홈부 상에 관통 수용되어 마그네틱블럭의 힌지결합부와 샤프트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하단부에 실린더롤충격부가 형성되어 외부 실린더롤의 타격에 따라 일정각도 상방향으로 회전하는 힌지블럭과; 상기 힌지블럭 하단 후방부에 결합되며 상기 마그네틱블럭의 마그네틱수용부와 접촉하는 제 2마그네틱수용부를 가지는 마그네틱홀더와; 상기 힌지블럭의 상부 전방측에 결합되며 이송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글래스를 안내 고정하기 위한 지지면이 상부측에 형성된 클램프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외부 실린더롤의 타격시에는 상기 힌지블럭이 일정각도 회전하게 되며, 외부 실린더롤이 해제되면 마그네틱블럭과 마그네틱홀더 내에 수용된 마그네틱 간의 인력에 의해 실린더롤 타격 전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마그네틱블럭의 마그네틱수용부와 마그네틱홀더의 제 2마그네틱수용부에는 각각 제 1마그네틱과 제 2마그네틱이 수용되며 상기 제 1마그네틱과 제 2마그네틱은 각각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N극과 S극으로 등분 구획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글래스 이송프레임 상에 자력에 의해 글래스 고정 또는 고정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글래스 고정용 클램프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더롤의 타격 후 클램프조립체의 복원을 위해 힌지블럭에 고정결합되는 마그네틱홀더 및 이와 위치적으로 대응되는 마그네틱블럭에 각각 마그네틱을 수용결합함으로써 파티클 발생을 원천적으로 제거하고 파티클에 의한 수율 감소 및 글래스 불량을 대폭 개선할 수 있는 글래스 고정용 클램프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LCD 기판은 2개의 유리기판(이하 글래스)사이에 액정이 배열된 상태의 기판을 의미한다. LCD 기판의 제조 공정 중 많은 공정에서 글래스(1)는 이송프레임(2)에 고정된 상태로 이송된다. 예를 들면, 글래스(1)상에 금속박막을 증착시키는 스퍼터링공정은 글래스(1)가 이송프레임(2)에 고정된 채로 특히 기립한 상태에서 스퍼터링챔버로 유입된다.
도 1은 종래의 글래스 이송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종래의 클램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송프레임(2)은 글래스(1)가 고정되도록 일정간격 이격 형성되는 체결홈부(12)를 가지며 외곽에 지지프레임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체결홈부(12) 측 지지프레임의 곳곳에 설치된 클램프 장치(3)를 이용하여 글래스(1)를 이송프레임(2)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3)는 프레임연결베이스(10)와, 회전막대부(20) 및 압축링크부(30), 압축코일스프링(40)로 구성된다.
이러한 클램프(3)의 글래스 고정 및 고정해제 원리를 살펴보면, 글래스(1)가 이송프레임(2)으로 다가오면, 수직방향의 외력에 의해 회전막대부(20)가 중공회전축(14)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수평부(22)는 압축링크부(30)를 당겨 압축코일스프링(40) 내에는 탄성력이 저장되게 된다.
그런 다음 글래스(1)가 그리퍼(23)의 하부에 놓여지면 설정에 따라 외력이 제거되어 압축코일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압축링크부(30)가 후방부로 이동하게 되고, 회전막대부(20)는 정위치로 다시 회전하게 되어 그리퍼(23)는 글래스(1)의 상부를 움켜쥐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클램프장치는 복원력 회복수단으로서 압축코일스프링(40)을 채택함에 따라 구조적 특성상 파티클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압축코일스프링(40)과 프레임연결베이스(10) 또는 압축링크부의 전단부(32) 간에 반복적인 마찰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마찰에 의해 압축코일스프링(40)을 이루는 금속분말의 발생 즉 파티클의 발생을 야기한다.
이러한 파티클 발생은 LCD 제조공정에서 수율감소의 원인이 되며, 이송되는 글래스가 파티클에 노출될 경우 열화될 위험이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클램프장치는 장기간 사용시 힌지 회전각이 미세하게 틀어져 클램프장치의 정확한 동작을 저해할 수 있으며, 압축코일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해 복원시 복원력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그리퍼(23)와 글래스 간의 접촉시 일정 정도 충격량이 발생된다.
이러한 충격량은 글래스의 파손을 가져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 이러한 파티클 발생과 충격량을 완화할 수 있는 글래스 고정용 클램프조립체의 개선이 시급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실린더롤의 타격 및 해제에 따른 클램프조립체의 회전 및 복원수단으로서 파티클 발생의 구조적 한계를 가지는 종래 코일스프링 방식을 벗어나 마그네틱의 자력을 채택함으로써 파티클 발생을 완전히 제거하게 되어 파티클 발생에 따른 수율감소와 글래스 열화 위험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인력을 부여하는 한 쌍의 마그네틱 각각에 N, S극을 등분 구획하여 장기간의 사용에도 마그네틱이 정확한 위치로 결합되도록 하며 제 1마그네틱 하부측의 이종 자성을 갖는 완충부 또는 완충체와 완충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완충수단을 통해 인력을 이용한 복원과정에서 충격량을 감소시켜 클램프조립체의 내구성 향상은 물론 복원시 클램프헤드와 글래스 간의 충격량도 줄여 글래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글래스 고정용 클램프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LCD 제조공정에서 LCD 용 글래스(glass)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프레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체결홈부 내로 다수개가 각각 배치되며, 체결홈부 전방측에 이송프레임과 결합되는 안착블럭에 글래스가 안착될 시에 안착블럭 상부에 위치하여 글래스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지지면을 가지는 클램프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조립체는 전방부에 위치하는 힌지결합부가 상기 이송프레임의 체결홈부 하부측에 배치되며, 후방부에 위치하고 내측에 마그네틱이 삽입되는 마그네틱수용부가 이송프레임의 하부측과 결합하는 마그네틱블럭과; 상기 체결홈부 상에 관통 수용되어 마그네틱블럭의 힌지결합부와 샤프트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하단부에 실린더롤충격부가 형성되어 외부 실린더롤의 타격에 따라 일정각도 상방향으로 회전하는 힌지블럭과; 상기 힌지블럭 하단 후방부에 결합되며 상기 마그네틱블럭의 마그네틱수용부와 접촉하는 제 2마그네틱수용부를 가지는 마그네틱홀더와; 상기 힌지블럭의 상부 전방측에 결합되며 이송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글래스를 안내 고정하기 위한 지지면이 상부측에 형성된 클램프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외부 실린더롤의 타격시에는 상기 힌지블럭이 일정각도 회전하게 되며, 외부 실린더롤이 해제되면 마그네틱블럭과 마그네틱홀더 내에 수용된 마그네틱 간의 인력에 의해 실린더롤 타격 전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마그네틱블럭의 마그네틱수용부와 마그네틱홀더의 제 2마그네틱수용부에는 각각 제 1마그네틱과 제 2마그네틱이 수용되며 상기 제 1마그네틱과 제 2마그네틱은 각각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N극과 S극으로 등분 구획된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틱블럭의 마그네틱수용부는 상부에 수평면상으로 연장돌출되는 결합면이 형성되어 결합면과 이송프레임의 저면 간에 결합부재를 통한 고정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마그네틱수용부와 제 2마그네틱수용부에 삽입되는 제 1마그네틱 및 제 2마그네틱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마그네틱과 제 2마그네틱의 N극과 S극 구획은 서로 마주할때 위치적으로 다른 극성과 마주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 1마그네틱의 하부측에는 일정 부분 상부측과 다른 극성으로 구획되어 배치되는 완충마그네틱부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 1마그네틱은 전, 후방이 개구된 중공을 가지며 중공 내에는 제 2마그네틱이 인력에 의해 제 1마그네틱과 접촉할 시에 접촉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수단이 수용되되, 상기 완충수단은 제 1마그네틱의 중공 내에 일정부분 수용되는 완충체와, 상기 제 1마그네틱의 중공 내에 배치되며 상기 완충체와 상기 마그네틱블럭의 마그네틱수용부 일측 내벽면간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완충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클램프헤드는 상부측에 수평면상의 전방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과 직교되며 후방측에 힌지블럭의 결합돌부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도록 결합요홈부를 가지는 결합바디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바디의 중앙부에는 힌지블럭과 결합부재를 통해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스크류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그네틱 방식으로 클램프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종래 코일스프링의 계속적 반복에 따라 한계적으로 발생될 수 밖에 없는 파티클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파티클 발생으로 인한 제조공정 상의 수율감소 및 글래스 불량으로 인한 생산효율저하를 방지하여 생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틱 방식의 복원수단을 통해 기존 코일스프링보다 훨씬 내구성이 증대되어 클램프조립체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코일스프링 방식에서 탄성계수를 조절하기 위한 작업의 높은 난이도가 필요 없게 되며, 장시간 사용 후 세정시에도 분해 요소가 감소되어 분해가 쉽고 세정작업이 훨씬 단순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력을 부여하는 한 쌍의 마그네틱 각각에 N, S극을 등분 구획하여 장기간의 사용에도 마그네틱이 정확한 위치로 결합되도록 하며, 제 1마그네틱 하부측의 이종 자성을 갖는 완충부 또는 완충체와 완충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완충수단을 통해 인력을 이용한 복원과정에서 충격량을 감소시켜 클램프조립체의 내구성 향상은 물론 복원시 클램프헤드와 글래스 간의 충격량도 줄여 글래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글래스 이송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클램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틱블럭의 수평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블럭과 클램프헤드의 결합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조립체의 실린더롤 가압전 및 가압후 모습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마그네틱과 제 2마그네틱의 자성 구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수단이 적용되는 클램프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완충수단이 결합된 제 1마그네틱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클램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틱블럭의 수평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블럭과 클램프헤드의 결합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조립체의 실린더롤 가압전 및 가압후 모습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마그네틱과 제 2마그네틱의 자성 구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수단이 적용되는 클램프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완충수단이 결합된 제 1마그네틱의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에 대해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틱블럭의 수평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블럭과 클램프헤드의 결합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조립체(200)는 크게 마그네틱블럭(110), 힌지블럭(120), 마그네틱홀더(130), 클램프헤드(14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조립체(200)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 스프링방식의 복원수단으로는 파티클 발생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없음에 따라 마그네틱블럭(110)과 마그네틱홀더(130)에 각각 다른 극성의 마그네틱(190)을 수용결합시켜 실린더롤(191)의 가압 해제가 이루어지면 마그네틱(190) 간의 자력에 의한 정위치로의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즉, 이러한 자력에 의해 힌지블럭(120)이 회전 또는 역회전함에 따라 클램프헤드(140)의 지지면(141)이 글래스를 고정하거나 고정해제됨으로써 코일스프링과 바디간의 마찰에 의해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 밖에 없던 파티클이 제거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조립체(200)의 구성요소를 자세히 살펴보면, 우선 상기 마그네틱블럭(110)은 전방부에 위치하는 힌지결합부(111)와 후방부에 위치하는 마그네틱수용부(11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힌지결합부(111)는 이송프레임(170)의 체결홈부(150) 하부측에 배치되어 후술할 힌지블럭(120)과 샤프트(180)에 의해 힌지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수용부(112)는 내측에 마그네틱(190)이 삽입되며 이송프레임(170)의 하부측과 결합하도록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마그네틱수용부(112)에는 이송프레임(170)과의 결합을 위해 상부 양측에 수평면상으로 연장돌출되는 결합면(112a)이 형성되어 결합면(112a)과 이송프레임의 저면 간에 결합부재를 통한 고정결합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는 볼트, 나사 또는 스크류와 같은 다양한 고정수단으로서 결합면에는 이와 같은 결합부재를 통한 이송프레임과의 결합을 위해 홀가공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힌지블럭(120)은 체결홈부(150) 상에 관통 수용되어 마그네틱블럭(110)의 힌지결합부(111)와 샤프트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하단부에 실린더롤이 타격하도록 타격면을 제공하는 실린더롤충격부(121)가 형성되어 외부 실린더롤(191)의 타격에 따라 일정각도 상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블럭(120)이 이송프레임(170)에 간섭되지 않고 충분히 회전할 수 있도록 이송프레임(170)과 일정간격 하향 이격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힌지블럭(120)이 25°내지 35°범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이격 거리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마그네틱홀더(130)는 상기 힌지블럭(120) 하단 후방부에 결합되며 상기 마그네틱블럭(110)의 마그네틱수용부(112)와 접촉하는 제 2마그네틱수용부(131)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틱수용부(112) 및 제 2마그네틱수용부(131)는 서로 자기 인력(磁氣 引力)이 작용할 수 있도록 각각 N극 또는 S극으로 대향되게 마그네틱(190)이 수용형성되며, 원활하게 자력이 작용하도록 마그네틱수용부(112)의 전방부측 및 제 2마그네틱수용부(131)의 후방부측 마그네틱(190)은 노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마그네틱수용부(112) 및 제 2마그네틱수용부(131)에 수용되는 마그네틱(190)은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제 1마그네틱(190a) 및 제 2마그네틱(190b)이나, 본 발명에서는 제 1마그네틱(190a) 및 제 2마그네틱(190b)이 각각 다른 하나의 극성만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각각 등분 구획된 N극, S극을 모두 가지는 것으로 형성하였다.
이러한 N극과 S극의 등분 구획은 제 1마그네틱(190a)과 제 2마그네틱(190b) 간의 인력에 의한 접촉시 미세한 비틀림도 없이 정확한 위치로 접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제 2마그네틱(190b)과 제 1마그네틱(190a)이 서로 인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배치시 마주하는 극성이 이종 극성이 되도록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또한 제 1마그네틱(190a)과 제 2마그네틱(190b) 간의 인력을 통해 힌지블럭(120)과 마그네틱블럭(110)이 서로 접촉할 시에 복원속도를 저하시켜 접촉 충격량을 줄이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N극, S극으로 등분 구획된 제 1마그네틱(190a)의 하부측에 각각 상부측과 상이한 반대극성의 완충부(192)가 구획 배치된다.
이러한 완충부(192)는 실린더롤이 타격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 1마그네틱과 제 2마그네틱 간의 간격이 멀어 자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지만, 실린더롤의 타격 해제시 상부측의 이종 극성간 인력에 의해 복원되는 과정에서 점차 간격이 좁혀져 마주하는 제 2마그네틱의 하부측과 척력이 작용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척력은 상부측의 인력에 비해 작은 힘이므로 종국에는 제 1마그네틱(190a)과 제 2마그네틱(190b)이 접촉하게 되나, 인력에 의해 접촉 속도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접촉 속도 저하는 제 1마그네틱(190a)과 제 2마그네틱(190b) 간의 충격량도 줄임과 동시에 클램프헤드(140)와 글래스 간의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량 또한 줄이게 된다.
한편 상기 클램프헤드(140)는 상기 힌지블럭(120)의 상부 전방측에 결합되며 이송프레임(170) 상에 배치되는 글래스를 안내 고정하기 위한 지지면(141)이 상부측에 형성되는데, 이러한 상기 클램프헤드(140)는 상부측에 수평면상의 전방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면(141)과, 상기 지지면(141)과 직교되며 후방측에 힌지블럭(120)의 결합돌부(122)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도록 결합요홈부(142a)를 가지는 결합바디(1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면(141)은 글래스를 고정지지하되 글래스와의 마찰시 글래스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과 같은 완충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LCD 기판의 제조 공정 환경 상 챔버 내부 온도가 150℃에 이르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이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가지는 재료로 채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결합바디(142)의 중앙부에는 힌지블럭(120)과 결합부재를 통해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스크류홀(142b)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조립체(200)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조립체의 실린더롤 가압전 및 가압후 모습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마그네틱과 제 2마그네틱의 자성 구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우선 고정하고 있는 글래스를 반출하기 위해 실린더롤(191)이 힌지블럭(120)의 실린더롤충격부(121)를 상방향으로 밀면 힌지블럭(120)은 일정각도 샤프트(180)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블럭(120)과 고정결합되어 있는 클램프헤드(140)의 지지면 또한 동반 회전하게 되어 이전 글래스 상단부에 위치한 지지면(141)이 제거되어 글래스의 반출이 가능해진다.
글래스가 반출되게 되면, 상기 실린더롤(191)은 하방향으로 이송되어 가압을 해제하고 상기 마그네틱홀더(130)와 마그네틱블럭(110) 간의 자력에 의해 마그네틱홀더(130)가 마그네틱블럭(110)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마그네틱홀더(130)와 결합된 힌지블럭(120)이 실린더롤(191) 가압 전으로 원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힌지블럭(120)과 고정결합된 클램프헤드(140)의 지지면(141)은 다시 글래스의 상단에 위치하여 글래스의 고정 지지하고 요동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실린더롤(191)의 가압해제는 글래스의 반출 및 반입이 모두 이루어진 후에 수행된다.
아울러 상기 글래스는 클램프조립체(200)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이송프레임(170) 상의 안착블럭(160) 위에 안착되며, 안착블럭(160)의 재질 또한 지지면(141)과 같이 완충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수단이 적용되는 클램프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완충수단이 결합된 제 1마그네틱의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수단은 전술한 제 1마그네틱(190a) 하부측의 완충부(192)와 같이 제 1마그네틱과 제 2마그네틱의 인력에 의한 접촉 속도를 저하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완충수단은 제 1마그네틱(190a)의 개구된 중공 내에 배치되는데, 제 1마그네틱(190a)의 중공 내에 일정부분 수용되는 완충체(193)와, 상기 제 1마그네틱(190a)의 중공 내에 배치되며 상기 완충체(193)와 상기 마그네틱블럭(110)의 마그네틱수용부(112) 일측 내벽면간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완충스프링(19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체(193)는 일정부분 제 1마그네틱(190a)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 2마그네틱(190b)이 제 1마그네틱(190a)과 접촉하려 근접할 때 먼저 제 2마그네틱(190b)과 접촉하여 제 1마그네틱(190a) 내측으로 완전히 수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2마그네틱(190b)의 접촉 속도를 저하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완충체(193)의 제 1마그네틱(190a) 돌출 부분이 너무 길 경우 접촉속도가 너무 저하되거나 제 1마그네틱(190a)과 제 2마그네틱(190b)이 접촉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돌출 길이를 채택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마그네틱블럭 111 : 힌지결합부
112 : 마그네틱수용부 112a : 결합면
120 : 힌지블럭 121 : 실린더롤충격부
122 : 결합돌부 130 : 마그네틱홀더
131 : 제 2마그네틱수용부 140 : 클램프헤드
141 : 지지면 142 : 결합바디
142a : 결합요홈부 142b : 스크류홀
150 : 체결홈부 160 : 안착블럭
170 : 이송프레임 180 : 샤프트
190 : 마그네틱 190a : 제 1마그네틱
190b : 제 2마그네틱 191 : 실린더롤
192 : 완충부 193 : 완충체
194 : 완충스프링 200 : 클램프조립체
112 : 마그네틱수용부 112a : 결합면
120 : 힌지블럭 121 : 실린더롤충격부
122 : 결합돌부 130 : 마그네틱홀더
131 : 제 2마그네틱수용부 140 : 클램프헤드
141 : 지지면 142 : 결합바디
142a : 결합요홈부 142b : 스크류홀
150 : 체결홈부 160 : 안착블럭
170 : 이송프레임 180 : 샤프트
190 : 마그네틱 190a : 제 1마그네틱
190b : 제 2마그네틱 191 : 실린더롤
192 : 완충부 193 : 완충체
194 : 완충스프링 200 : 클램프조립체
Claims (6)
- LCD 제조공정에서 LCD 용 글래스(glass)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프레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체결홈부 내로 다수개가 각각 배치되며, 체결홈부 전방측에 이송프레임과 결합되는 안착블럭에 글래스가 안착될 시에 안착블럭 상부에 위치하여 글래스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지지면을 가지는 클램프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조립체는
전방부에 위치하는 힌지결합부가 상기 이송프레임의 체결홈부 하부측에 배치되며, 후방부에 위치하고 내측에 마그네틱이 삽입되는 마그네틱수용부가 이송프레임의 하부측과 결합하는 마그네틱블럭과;
상기 체결홈부 상에 관통 수용되어 마그네틱블럭의 힌지결합부와 샤프트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하단부에 실린더롤충격부가 형성되어 외부 실린더롤의 타격에 따라 일정각도 상방향으로 회전하는 힌지블럭과;
상기 힌지블럭 하단 후방부에 결합되며 상기 마그네틱블럭의 마그네틱수용부와 접촉하는 제 2마그네틱수용부를 가지는 마그네틱홀더와;
상기 힌지블럭의 상부 전방측에 결합되며 이송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글래스를 안내 고정하기 위한 지지면이 상부측에 형성된 클램프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외부 실린더롤의 타격시에는 상기 힌지블럭이 일정각도 회전하게 되며, 외부 실린더롤이 해제되면 마그네틱블럭과 마그네틱홀더 내에 수용된 마그네틱 간의 인력에 의해 실린더롤 타격 전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마그네틱블럭의 마그네틱수용부와 마그네틱홀더의 제 2마그네틱수용부에는 각각 제 1마그네틱과 제 2마그네틱이 수용되며 상기 제 1마그네틱과 제 2마그네틱은 각각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N극과 S극으로 등분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고정용 클램프조립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블럭의 마그네틱수용부는
상부에 수평면상으로 연장돌출되는 결합면이 형성되어 결합면과 이송프레임의 저면 간에 결합부재를 통한 고정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고정용 클램프조립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수용부와 제 2마그네틱수용부에 삽입되는 제 1마그네틱 및 제 2마그네틱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고정용 클램프조립체.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마그네틱과 제 2마그네틱의 N극과 S극 구획은 서로 마주할때 위치적으로 다른 극성과 마주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 1마그네틱의 하부측에는 일정 부분 상부측과 다른 극성으로 구획되어 배치되는 완충마그네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고정용 클램프조립체.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마그네틱은 전, 후방이 개구된 중공을 가지며 중공 내에는 제 2마그네틱이 인력에 의해 제 1마그네틱과 접촉할 시에 접촉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수단이 수용되되,
상기 완충수단은 제 1마그네틱의 중공 내에 일정부분 수용되는 완충체와, 상기 제 1마그네틱의 중공 내에 배치되며 상기 완충체와 상기 마그네틱블럭의 마그네틱수용부 일측 내벽면간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완충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고정용 클램프조립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헤드는 상부측에 수평면상의 전방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과 직교되며 후방측에 힌지블럭의 결합돌부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도록 결합요홈부를 가지는 결합바디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바디의 중앙부에는 힌지블럭과 결합부재를 통해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스크류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고정용 클램프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6143A KR101371090B1 (ko) | 2012-03-14 | 2012-03-14 | 글래스 고정용 클램프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6143A KR101371090B1 (ko) | 2012-03-14 | 2012-03-14 | 글래스 고정용 클램프조립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4549A true KR20130104549A (ko) | 2013-09-25 |
KR101371090B1 KR101371090B1 (ko) | 2014-03-20 |
Family
ID=49453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6143A KR101371090B1 (ko) | 2012-03-14 | 2012-03-14 | 글래스 고정용 클램프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1090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14677A (ko) * | 2014-04-02 | 2015-10-13 | (주)가온솔루션 | 박막 기판 이송용 클램프 |
KR101591363B1 (ko) * | 2014-10-27 | 2016-02-03 | 한국알박(주) | 마그넷 슬라이딩 클램핑 장치 |
CN108326781A (zh) * | 2018-04-08 | 2018-07-27 | 东莞市沃德精密机械有限公司 | 缓冲弹片定位夹具及其承载机构 |
KR20180130350A (ko) * | 2017-05-29 | 2018-12-07 | 한국알박(주) | 회전 클램핑 장치 |
KR102435481B1 (ko) * | 2021-04-02 | 2022-08-23 | 주식회사 아바코 | 기판 클램핑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68066A (ja) * | 2001-06-06 | 2002-12-20 | Tokyo Electron Ltd | 処理装置 |
KR101117583B1 (ko) * | 2011-06-28 | 2012-02-24 | (주)거성 | Lcd용 글래스를 이송프레임에 고정하는 마그네틱 클램프 장치 |
-
2012
- 2012-03-14 KR KR1020120026143A patent/KR101371090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14677A (ko) * | 2014-04-02 | 2015-10-13 | (주)가온솔루션 | 박막 기판 이송용 클램프 |
KR101591363B1 (ko) * | 2014-10-27 | 2016-02-03 | 한국알박(주) | 마그넷 슬라이딩 클램핑 장치 |
KR20180130350A (ko) * | 2017-05-29 | 2018-12-07 | 한국알박(주) | 회전 클램핑 장치 |
CN109311605A (zh) * | 2017-05-29 | 2019-02-05 | Ulvac韩国股份有限公司 | 旋转夹持装置 |
CN108326781A (zh) * | 2018-04-08 | 2018-07-27 | 东莞市沃德精密机械有限公司 | 缓冲弹片定位夹具及其承载机构 |
CN108326781B (zh) * | 2018-04-08 | 2024-05-03 | 广东沃德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 缓冲弹片定位夹具及其承载机构 |
KR102435481B1 (ko) * | 2021-04-02 | 2022-08-23 | 주식회사 아바코 | 기판 클램핑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71090B1 (ko) | 2014-03-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71090B1 (ko) | 글래스 고정용 클램프조립체 | |
RU2565329C2 (ru) | Магнитный и/или электростатический шарнир | |
KR20080001626U (ko) | 블록완구용 고정핀 및 회전자석 | |
JP7250523B2 (ja) | スライドレール及び移動端末 | |
CN101380738A (zh) | 磁吸式夹瓶用机械手 | |
TWI615344B (zh) | 沉積源運送裝置 | |
JPWO2018096843A1 (ja) | 連結構造 | |
CN218647319U (zh) | 一种电磁摇表器 | |
JP7109439B2 (ja) | ノズルチェンジャ、システム、および関連の方法 | |
JP2013020116A (ja) | マグネットホルダ | |
KR20210042995A (ko) | 자기 부상 방식의 이송장치 | |
CN212556336U (zh) | 一种防眩玻璃生产用推送车 | |
JP2013095036A (ja) | マグネットホルダー | |
CN103662454B (zh) | 基板盒 | |
KR101327970B1 (ko) | 낚싯대 지지대용 홀더 | |
CN219018697U (zh) | 带轴向悬磁浮结构的磁稳定公仔 | |
CN212873146U (zh) | 一种提升安全性的液晶显示屏 | |
CN207365842U (zh) | 一种油箱检具翻转机构 | |
JP2004020617A (ja) | シート状基板の保持具 | |
CN212048715U (zh) | 一种陶瓷放置托盘 | |
CN211767612U (zh) | 一种具有减震效果的纸塑 | |
JP3154199U (ja) | 容器取り付け設置構造 | |
JP2008028168A (ja) | マグネットロール複合体 | |
KR20200111972A (ko) | 자기장을 이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 |
CN221522764U (zh) | 载板结构及真空镀膜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