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2421A - 코딩된 체결구 조립체 - Google Patents
코딩된 체결구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92421A KR20130092421A KR1020127030561A KR20127030561A KR20130092421A KR 20130092421 A KR20130092421 A KR 20130092421A KR 1020127030561 A KR1020127030561 A KR 1020127030561A KR 20127030561 A KR20127030561 A KR 20127030561A KR 20130092421 A KR20130092421 A KR 201300924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ssembly
- cartridge
- dose setting
- coding
- featur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5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5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295 pitch Substances 0.000 claims 1
- NOESYZHRGYRDHS-UHFFFAOYSA-N insulin Chemical compound N1C(=O)C(NC(=O)C(CCC(N)=O)NC(=O)C(CCC(O)=O)NC(=O)C(C(C)C)NC(=O)C(NC(=O)CN)C(C)CC)CSSCC(C(NC(CO)C(=O)NC(CC(C)C)C(=O)NC(CC=2C=CC(O)=CC=2)C(=O)NC(CCC(N)=O)C(=O)NC(CC(C)C)C(=O)NC(CCC(O)=O)C(=O)NC(CC(N)=O)C(=O)NC(CC=2C=CC(O)=CC=2)C(=O)NC(CSSCC(NC(=O)C(C(C)C)NC(=O)C(CC(C)C)NC(=O)C(CC=2C=CC(O)=CC=2)NC(=O)C(CC(C)C)NC(=O)C(C)NC(=O)C(CCC(O)=O)NC(=O)C(C(C)C)NC(=O)C(CC(C)C)NC(=O)C(CC=2NC=NC=2)NC(=O)C(CO)NC(=O)CNC2=O)C(=O)NCC(=O)NC(CCC(O)=O)C(=O)NC(CCCNC(N)=N)C(=O)NCC(=O)NC(CC=3C=CC=CC=3)C(=O)NC(CC=3C=CC=CC=3)C(=O)NC(CC=3C=CC(O)=CC=3)C(=O)NC(C(C)O)C(=O)N3C(CCC3)C(=O)NC(CCCCN)C(=O)NC(C)C(O)=O)C(=O)NC(CC(N)=O)C(O)=O)=O)NC(=O)C(C(C)CC)NC(=O)C(CO)NC(=O)C(C(C)O)NC(=O)C1CSSCC2NC(=O)C(CC(C)C)NC(=O)C(NC(=O)C(CCC(N)=O)NC(=O)C(CC(N)=O)NC(=O)C(NC(=O)C(N)CC=1C=CC=CC=1)C(C)C)CC1=CN=CN1 NOESYZHRGYRDH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4
- 238000012377 drug deli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PBGKTOXHQIOBKM-FHFVDXKLSA-N insulin (human) Chemical compound C([C@@H](C(=O)N[C@@H](CC(C)C)C(=O)N[C@H]1CSSC[C@H]2C(=O)N[C@H](C(=O)N[C@@H](CO)C(=O)N[C@H](C(=O)N[C@H](C(N[C@@H](CO)C(=O)N[C@@H](CC(C)C)C(=O)N[C@@H](CC=3C=CC(O)=CC=3)C(=O)N[C@@H](CCC(N)=O)C(=O)N[C@@H](CC(C)C)C(=O)N[C@@H](CCC(O)=O)C(=O)N[C@@H](CC(N)=O)C(=O)N[C@@H](CC=3C=CC(O)=CC=3)C(=O)N[C@@H](CSSC[C@H](NC(=O)[C@H](C(C)C)NC(=O)[C@H](CC(C)C)NC(=O)[C@H](CC=3C=CC(O)=CC=3)NC(=O)[C@H](CC(C)C)NC(=O)[C@H](C)NC(=O)[C@H](CCC(O)=O)NC(=O)[C@H](C(C)C)NC(=O)[C@H](CC(C)C)NC(=O)[C@H](CC=3NC=NC=3)NC(=O)[C@H](CO)NC(=O)CNC1=O)C(=O)NCC(=O)N[C@@H](CCC(O)=O)C(=O)N[C@@H](CCCNC(N)=N)C(=O)NCC(=O)N[C@@H](CC=1C=CC=CC=1)C(=O)N[C@@H](CC=1C=CC=CC=1)C(=O)N[C@@H](CC=1C=CC(O)=CC=1)C(=O)N[C@@H]([C@@H](C)O)C(=O)N1[C@@H](CCC1)C(=O)N[C@@H](CCCCN)C(=O)N[C@@H]([C@@H](C)O)C(O)=O)C(=O)N[C@@H](CC(N)=O)C(O)=O)=O)CSSC[C@@H](C(N2)=O)NC(=O)[C@H](CCC(N)=O)NC(=O)[C@H](CCC(O)=O)NC(=O)[C@H](C(C)C)NC(=O)[C@@H](NC(=O)CN)[C@@H](C)CC)[C@@H](C)CC)[C@@H](C)O)NC(=O)[C@H](CCC(N)=O)NC(=O)[C@H](CC(N)=O)NC(=O)[C@@H](NC(=O)[C@@H](N)CC=1C=CC=CC=1)C(C)C)C1=CN=CN1 PBGKTOXHQIOBKM-FHFVDXKLSA-N 0.000 description 23
- 101000976075 Homo sapiens Insu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2
- 102000004877 Insul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0
- 108090001061 Insu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0
- 229940125396 insulin Drug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7
- 101710198884 GATA-type zinc finger protein 1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102400000322 Glucagon-like peptide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DTHNMHAUYICORS-KTKZVXAJSA-N Glucagon-like peptide 1 Chemical compound C([C@@H](C(=O)N[C@@H]([C@@H](C)CC)C(=O)N[C@@H](C)C(=O)N[C@@H](CC=1C2=CC=CC=C2NC=1)C(=O)N[C@@H](CC(C)C)C(=O)N[C@@H](C(C)C)C(=O)N[C@@H](CCCCN)C(=O)NCC(=O)N[C@@H](CCCNC(N)=N)C(N)=O)NC(=O)[C@H](CCC(O)=O)NC(=O)[C@H](CCCCN)NC(=O)[C@H](C)NC(=O)[C@H](C)NC(=O)[C@H](CCC(N)=O)NC(=O)CNC(=O)[C@H](CCC(O)=O)NC(=O)[C@H](CC(C)C)NC(=O)[C@H](CC=1C=CC(O)=CC=1)NC(=O)[C@H](CO)NC(=O)[C@H](CO)NC(=O)[C@@H](NC(=O)[C@H](CC(O)=O)NC(=O)[C@H](CO)NC(=O)[C@@H](NC(=O)[C@H](CC=1C=CC=CC=1)NC(=O)[C@@H](NC(=O)CNC(=O)[C@H](CCC(O)=O)NC(=O)[C@H](C)NC(=O)[C@@H](N)CC=1N=CNC=1)[C@@H](C)O)[C@@H](C)O)C(C)C)C1=CC=CC=C1 DTHNMHAUYICORS-KTKZVXAJSA-N 0.000 description 4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483 med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VVOERDUTLJJHN-UHFFFAOYSA-N Lixisenatide Chemical compound C=1NC2=CC=CC=C2C=1CC(C(=O)NC(CC(C)C)C(=O)NC(CCCCN)C(=O)NC(CC(N)=O)C(=O)NCC(=O)NCC(=O)N1C(CCC1)C(=O)NC(CO)C(=O)NC(CO)C(=O)NCC(=O)NC(C)C(=O)N1C(CCC1)C(=O)N1C(CCC1)C(=O)NC(CO)C(=O)NC(CCCCN)C(=O)NC(CCCCN)C(=O)NC(CCCCN)C(=O)NC(CCCCN)C(=O)NC(CCCCN)C(=O)NC(CCCCN)C(N)=O)NC(=O)C(CCC(O)=O)NC(=O)C(C(C)CC)NC(=O)C(NC(=O)C(CC(C)C)NC(=O)C(CCCNC(N)=N)NC(=O)C(NC(=O)C(C)NC(=O)C(CCC(O)=O)NC(=O)C(CCC(O)=O)NC(=O)C(CCC(O)=O)NC(=O)C(CCSC)NC(=O)C(CCC(N)=O)NC(=O)C(CCCCN)NC(=O)C(CO)NC(=O)C(CC(C)C)NC(=O)C(CC(O)=O)NC(=O)C(CO)NC(=O)C(NC(=O)C(CC=1C=CC=CC=1)NC(=O)C(NC(=O)CNC(=O)C(CCC(O)=O)NC(=O)CNC(=O)C(N)CC=1NC=NC=1)C(C)O)C(C)O)C(C)C)CC1=CC=CC=C1 XVVOERDUTLJJH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1519 exenatide Drugs 0.000 description 2
- -1 lutropelin Chemical compound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765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0 trigge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WTYSIMOBUGWOL-UHFFFAOYSA-N (+-)-Terbutaline Chemical compound CC(C)(C)NCC(O)C1=CC(O)=CC(O)=C1 XWTYSIMOBUGWO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DAUXUAQIAJITI-LBPRGKRZSA-N (R)-salbutamol Chemical compound CC(C)(C)NC[C@H](O)C1=CC=C(O)C(CO)=C1 NDAUXUAQIAJITI-LBPRGKRZ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37003 Busere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OBMZMSLWNNWEJA-XNCRXQDQSA-N C1=CC=2C(C[C@@H]3NC(=O)[C@@H](NC(=O)[C@H](NC(=O)N(CC#CCN(CCCC[C@H](NC(=O)[C@@H](CC4=CC=CC=C4)NC3=O)C(=O)N)CC=C)NC(=O)[C@@H](N)C)CC3=CNC4=C3C=CC=C4)C)=CNC=2C=C1 Chemical compound C1=CC=2C(C[C@@H]3NC(=O)[C@@H](NC(=O)[C@H](NC(=O)N(CC#CCN(CCCC[C@H](NC(=O)[C@@H](CC4=CC=CC=C4)NC3=O)C(=O)N)CC=C)NC(=O)[C@@H](N)C)CC3=CNC4=C3C=CC=C4)C)=CNC=2C=C1 OBMZMSLWNNWEJA-XNCRXQDQ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992 Color Vision Defect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00437 Deamino Arginine Vasopress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TQBXNHDCUEHJF-XWLPCZSASA-N Exenatide Chemical compound C([C@@H](C(=O)N[C@@H]([C@@H](C)CC)C(=O)N[C@@H](CCC(O)=O)C(=O)N[C@@H](CC=1C2=CC=CC=C2NC=1)C(=O)N[C@@H](CC(C)C)C(=O)N[C@@H](CCCCN)C(=O)N[C@@H](CC(N)=O)C(=O)NCC(=O)NCC(=O)N1[C@@H](CCC1)C(=O)N[C@@H](CO)C(=O)N[C@@H](CO)C(=O)NCC(=O)N[C@@H](C)C(=O)N1[C@@H](CCC1)C(=O)N1[C@@H](CCC1)C(=O)N1[C@@H](CCC1)C(=O)N[C@@H](CO)C(N)=O)NC(=O)[C@H](CC(C)C)NC(=O)[C@H](CCCNC(N)=N)NC(=O)[C@@H](NC(=O)[C@H](C)NC(=O)[C@H](CCC(O)=O)NC(=O)[C@H](CCC(O)=O)NC(=O)[C@H](CCC(O)=O)NC(=O)[C@H](CCSC)NC(=O)[C@H](CCC(N)=O)NC(=O)[C@H](CCCCN)NC(=O)[C@H](CO)NC(=O)[C@H](CC(C)C)NC(=O)[C@H](CC(O)=O)NC(=O)[C@H](CO)NC(=O)[C@@H](NC(=O)[C@H](CC=1C=CC=CC=1)NC(=O)[C@@H](NC(=O)CNC(=O)[C@H](CCC(O)=O)NC(=O)CNC(=O)[C@@H](N)CC=1NC=NC=1)[C@@H](C)O)[C@@H](C)O)C(C)C)C1=CC=CC=C1 HTQBXNHDCUEHJF-XWLPCZSA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11459 Exenatid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9236 Gosere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BLCLNMBMMGCOAS-URPVMXJPSA-N Goserelin Chemical compound C([C@@H](C(=O)N[C@H](COC(C)(C)C)C(=O)N[C@@H](CC(C)C)C(=O)N[C@@H](CCCN=C(N)N)C(=O)N1[C@@H](CCC1)C(=O)NNC(N)=O)NC(=O)[C@H](CO)NC(=O)[C@H](CC=1C2=CC=CC=C2NC=1)NC(=O)[C@H](CC=1NC=NC=1)NC(=O)[C@H]1NC(=O)CC1)C1=CC=C(O)C=C1 BLCLNMBMMGCOAS-URPVMXJP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2265 Human Growth Hormon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00521 Human Growth Hormo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4 Human Growth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24118 Hypothalamic Hormo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5611 Hypothalamic Hormo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YSDQQAXHVYUZIW-QCIJIYAXSA-N Liraglutide Chemical compound C([C@@H](C(=O)N[C@@H](CC(C)C)C(=O)N[C@@H](CCC(O)=O)C(=O)NCC(=O)N[C@@H](CCC(N)=O)C(=O)N[C@@H](C)C(=O)N[C@@H](C)C(=O)N[C@@H](CCCCNC(=O)CC[C@H](NC(=O)CCCCCCCCCCCCCCC)C(O)=O)C(=O)N[C@@H](CCC(O)=O)C(=O)N[C@@H](CC=1C=CC=CC=1)C(=O)N[C@@H]([C@@H](C)CC)C(=O)N[C@@H](C)C(=O)N[C@@H](CC=1C2=CC=CC=C2NC=1)C(=O)N[C@@H](CC(C)C)C(=O)N[C@@H](C(C)C)C(=O)N[C@@H](CCCNC(N)=N)C(=O)NCC(=O)N[C@@H](CCCNC(N)=N)C(=O)NCC(O)=O)NC(=O)[C@H](CO)NC(=O)[C@H](CO)NC(=O)[C@@H](NC(=O)[C@H](CC(O)=O)NC(=O)[C@H](CO)NC(=O)[C@@H](NC(=O)[C@H](CC=1C=CC=CC=1)NC(=O)[C@@H](NC(=O)CNC(=O)[C@H](CCC(O)=O)NC(=O)[C@H](C)NC(=O)[C@@H](N)CC=1NC=NC=1)[C@@H](C)O)[C@@H](C)O)C(C)C)C1=CC=C(O)C=C1 YSDQQAXHVYUZIW-QCIJIYAX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19598 Liraglutid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92217 Long-Acting Insu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6261 Long-Acting Insul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0066 Long-acting insu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77 PBT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1710176384 Peptide 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VQDBNKDJNJQRDG-UHFFFAOYSA-N Pirbuterol Chemical compound CC(C)(C)NCC(O)C1=CC=C(O)C(CO)=N1 VQDBNKDJNJQRD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47386 Pituitary Hormo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6877 Pituitary Hormo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58003 Proglucago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ONIBWKKTOPOVIA-UHFFFAOYSA-N Proline Natural products OC(=O)C1CCCN1 ONIBWKKTOPOVI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IIZNNXWQWCKIB-UHFFFAOYSA-N Serevent Chemical compound C1=C(O)C(CO)=CC(C(O)CNCCCCCCOCCCCC=2C=CC=CC=2)=C1 GIIZNNXWQWCKI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26951 Short-Acting Insu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3958 Short-acting insu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NDAUXUAQIAJITI-UHFFFAOYSA-N albuterol Chemical compound CC(C)(C)NCC(O)C1=CC=C(O)C(CO)=C1 NDAUXUAQIAJIT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57 antagon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23 axial leng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060 bambut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ANZXOIAKUNOVQU-UHFFFAOYSA-N bambuterol Chemical compound CN(C)C(=O)OC1=CC(OC(=O)N(C)C)=CC(C(O)CNC(C)(C)C)=C1 ANZXOIAKUNOVQ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5388 beta agonist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585 bitolterol mesyl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HODFCFXCOMKRCG-UHFFFAOYSA-N bitolterol mesylate Chemical compound CS([O-])(=O)=O.C1=CC(C)=CC=C1C(=O)OC1=CC=C(C(O)C[NH2+]C(C)(C)C)C=C1OC(=O)C1=CC=C(C)C=C1 HODFCFXCOMKRC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UWODFFVMXJOKD-UVLQAERKSA-N buserelin Chemical compound CCNC(=O)[C@@H]1CCCN1C(=O)[C@H](CCCN=C(N)N)NC(=O)[C@H](CC(C)C)NC(=O)[C@@H](COC(C)(C)C)NC(=O)[C@@H](NC(=O)[C@H](CO)NC(=O)[C@H](CC=1C2=CC=CC=C2NC=1)NC(=O)[C@H](CC=1NC=NC=1)NC(=O)[C@H]1NC(=O)CC1)CC1=CC=C(O)C=C1 CUWODFFVMXJOKD-UVLQAERK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719 busere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117 clenbut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STJMRWALKKWQGH-UHFFFAOYSA-N clenbuterol Chemical compound CC(C)(C)NCC(O)C1=CC(Cl)=C(N)C(Cl)=C1 STJMRWALKKWQG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7254 color blind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281 desmopressin Drugs 0.000 description 1
- NFLWUMRGJYTJIN-NXBWRCJVSA-N desmopressin Chemical compound C([C@H]1C(=O)N[C@H](C(N[C@@H](CC(N)=O)C(=O)N[C@@H](CSSCCC(=O)N[C@@H](CC=2C=CC(O)=CC=2)C(=O)N1)C(=O)N1[C@@H](CCC1)C(=O)N[C@@H](CCCNC(N)=N)C(=O)NCC(N)=O)=O)CCC(=O)N)C1=CC=CC=C1 NFLWUMRGJYTJIN-NXBWRCJV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15174 exendin 3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LMHMJYMCGJNXRS-IOPUOMRJSA-N exendin-3 Chemical compound C([C@@H](C(=O)N[C@@H]([C@@H](C)CC)C(=O)N[C@@H](CCC(O)=O)C(=O)N[C@@H](CC=1C2=CC=CC=C2NC=1)C(=O)N[C@@H](CC(C)C)C(=O)N[C@@H](CCCCN)C(=O)N[C@@H](CC(N)=O)C(=O)NCC(=O)NCC(=O)N1[C@@H](CCC1)C(=O)N[C@@H](CO)C(=O)N[C@@H](CO)C(=O)NCC(=O)N[C@@H](C)C(=O)N1[C@@H](CCC1)C(=O)N1[C@@H](CCC1)C(=O)N1[C@@H](CCC1)C(=O)N[C@@H](CO)C(N)=O)NC(=O)[C@H](CC(C)C)NC(=O)[C@H](CCCNC(N)=N)NC(=O)[C@@H](NC(=O)[C@H](C)NC(=O)[C@H](CCC(O)=O)NC(=O)[C@H](CCC(O)=O)NC(=O)[C@H](CCC(O)=O)NC(=O)[C@H](CCSC)NC(=O)[C@H](CCC(N)=O)NC(=O)[C@H](CCCCN)NC(=O)[C@H](CO)NC(=O)[C@H](CC(C)C)NC(=O)[C@H](CC(O)=O)NC(=O)[C@H](CO)NC(=O)[C@@H](NC(=O)[C@H](CC=1C=CC=CC=1)NC(=O)[C@@H](NC(=O)CNC(=O)[C@H](CC(O)=O)NC(=O)[C@H](CO)NC(=O)[C@@H](N)CC=1N=CNC=1)[C@H](C)O)[C@H](C)O)C(C)C)C1=CC=CC=C1 LMHMJYMCGJNXRS-IOPUOMRJ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022 fenot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LSLYOANBFKQKPT-UHFFFAOYSA-N fenoterol Chemical compound C=1C(O)=CC(O)=CC=1C(O)CNC(C)CC1=CC=C(O)C=C1 LSLYOANBFKQKP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848 formot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BPZSYCZIITTYBL-UHFFFAOYSA-N formoterol Chemical compound C1=CC(OC)=CC=C1CC(C)NCC(O)C1=CC=C(O)C(NC=O)=C1 BPZSYCZIITTYB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29 gastrointestinal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913 gosere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03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00 high-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0 hypophysis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3650 hypothalamic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1 hypothalamic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078 indacat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QZZUEBNBZAPZLX-QFIPXVFZSA-N indacaterol Chemical compound N1C(=O)C=CC2=C1C(O)=CC=C2[C@@H](O)CNC1CC(C=C(C(=C2)CC)CC)=C2C1 QZZUEBNBZAPZLX-QFIPXVFZ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68 intest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50008204 levosalbutam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701 liraglut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108010004367 lixisenatid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093 lixisenat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9 long acting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84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02 low-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LMOINURANNBYCM-UHFFFAOYSA-N metaproterenol Chemical compound CC(C)NCC(O)C1=CC(O)=CC(O)=C1 LMOINURANNBYC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57 orciprenal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66 phys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414 pirbut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288 procat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FKNXQNWAXFXVNW-BLLLJJGKSA-N procaterol Chemical compound N1C(=O)C=CC2=C1C(O)=CC=C2[C@@H](O)[C@@H](NC(C)C)CC FKNXQNWAXFXVNW-BLLLJJGK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6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500 prolyl group Chemical group [H]N1C([H])(C(=O)[*])C([H])([H])C([H])([H])C1([H])[H]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052 salbutam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017 salmet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21 short acting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532 somatrop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195 terbutal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18 transcri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97 transcri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VXKHXGOKWPXYNA-PGBVPBMZSA-N triptorelin Chemical compound C([C@@H](C(=O)N[C@H](CC=1C2=CC=CC=C2NC=1)C(=O)N[C@@H](CC(C)C)C(=O)N[C@@H](CCCNC(N)=N)C(=O)N1[C@@H](CCC1)C(=O)NCC(N)=O)NC(=O)[C@H](CO)NC(=O)[C@H](CC=1C2=CC=CC=C2NC=1)NC(=O)[C@H](CC=1N=CNC=1)NC(=O)[C@H]1NC(=O)CC1)C1=CC=C(O)C=C1 VXKHXGOKWPXYNA-PGBVPBMZ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824 triptore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8—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61J1/062—Carpu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5/0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 A61J2205/4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by shape or form, e.g. by using shape recogni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03—Ampoule inserted into the ampoule holder
- A61M2005/2407—Ampoule inserted into the ampoule holder from the rea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85—Ampoule holder connected to rest of syringe
- A61M2005/2488—Ampoule holder connected to rest of syringe via rotation, e.g. threads or bayone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2005/3158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electrically drive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94—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at least partly incompatible with standard connectors, e.g. to prevent fatal mistakes in conne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6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means
- A61M2205/604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means having complementary physical shapes for indexing or registration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특정 주사 디바이스에 약물 저장조를 전용하는 것을 돕는 코딩 특징부(316, 328, 402 내지 428)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14, 20)용 체결 특징부가 개시된다. 예시적인 카트리지 조립체는 약물을 유지하기 위한 원통형 내부면 및 원통형 외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 1 코딩 요소를 갖는 체결 특징부를 포함하는 원통형 외부면을 포함한다. 코딩 요소는 약물을 분배하도록 특히 구성된 투여량 설정 부재(12) 상의 체결구 상의 예시적인 코딩 특징부에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이에 의해 단지 정확한 카트리지 조립체만이 정확한 투여량 설정 부재에 연결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본 특허 출원은 일반적으로 의료용 전달 디바이스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디바이스는 카트리지 조립체 및 투여량 설정 부재, 특히 적절한 카트리지 조립체가 적절한 투여량 설정 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코딩 특징부를 갖는 상보형 체결구를 갖는 투여량 설정 부재에 연결을 위한 코딩된 체결 조립체를 갖는 카트리지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앰풀(ampoule), 카트리지 또는 유리병(vial)과 같은 약물 저장조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저장조는 특히 환자에 의해 자가 투여될 수 있는 약물을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인슐린과 관련하여, 당뇨병을 겪고 있는 환자는 펜형 주사기를 경유하여 주사되거나 펌프를 경유하여 주입될 특정량의 인슐린을 필요로 할 수 있다. 특정의 공지의 재사용 가능한 펜형 약물 전달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환자는 인슐린을 수납하는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홀더 내에 장전한다. 카트리지와 홀더는 카트리지 조립체의 일 유형이다. 카트리지가 정확하게 장전된 후에, 사용자는 이어서 약물의 투여량을 선택하도록 요구될 수 있다. 다중 투여량이 카트리지로부터 투여될 수 있다. 일단 카트리지가 비워지면, 카트리지는 제거되어 새로운 카트리지로 교체되어야 한다. 이러한 카트리지의 대부분의 공급자들은 사용자가 비어 있는 카트리지를 적절하게 폐기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비어 있는 카트리지의 제거 및 재장전을 필요로 하는 이러한 공지의 자가 투여 시스템은 특정 제한을 갖는다. 예를 들어, 특정의 일반적으로 공지된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없이 또는 부정확한 카트리지의 교차 사용(cross use)을 방지하는 임의의 메커니즘을 갖는 카트리지 없이 전달 시스템 내에 새로운 카트리지를 간단히 장전한다. 즉,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카트리지 내에 수납된 약물이 실젤 환자에 의해 투여될 정확한 유형의 약물인지를 판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갖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카트리지 내의 정확한 유형의 약물이 이 특정 약물 전달 시스템과 함께 사용되어야 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하지 않는다. 이 잠재적인 문제점은 당뇨병을 겪고 있는 사람들과 같은 특정 노령 환자들이 제한된 손재주를 가질 수 있는 경우에 과장될 수 있다. 부정확한 약물을 식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이는 장기 작용 인슐린 대신에 단기 작용 인슐린과 같은 약물의 잠재적으로 부정확한 투여량의 투여가 상해 또는 심지어 사망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몇몇 약물 전달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은 사용자 또는 간병인이 정확한 약물 전달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될 정확한 카트리지를 선택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컬러 코딩 방안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컬러 코딩 방안은 특정 사용자, 특히 당뇨병을 겪고 있는 환자에게 상당히 만연할 수 있는 상황인 약한 시력 또는 색맹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난제를 제기한다.
1회용 교체 가능 카트리지로 발생할 수 있는 다른 문제점은 이들 카트리지가 본질적으로 표준 크기로 제조되고 특정 인식된 지역 표준 및 국제 표준에 합치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카트리지는 통상적으로 표준 크기 카트리지(예를 들어, 3 ml 카트리지)로 공급된다. 따라서, 다수의 상이한 공급자들에 의해 공급되고 상이한 약물을 수납하지만 단일 약물 전달 디바이스에 적합할 수 있는 다양한 카트리지가 존재할 수 있다. 단지 일 예로서, 제 1 공급자로부터 제 1 약물을 수납하는 제 1 카트리지는 제 2 공급자에 의해 제공된 제 2 약물 디바이스에 적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가 이러한 카트리지 및 따라서 이 카트리지 내에 수납된 약물과 함께 사용되도록 설계되거나 의도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부정확한 약물(초속효성 또는 기저성 인슐린과 같은)을 약물 전달 디바이스 내에 장전하고 이어서 분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약물 전달 디바이스 내로 부정확한 약물 유형을 장전하는 잠재적인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사용자, 건강 관리 제공자, 간병인, 조절 개체 및 의료 디바이스 공급자로부터의 증가하는 요구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약물 전달 디바이스로부터 부정확한 약물(또는 약물의 잘못된 농도)을 분배하는 위험을 감소시키는 요구가 또한 존재한다.
따라서, 카트리지 홀더이건 개별 홀더가 없는 성형 카트리지이건간에, 카트리지 조립체가 주사 디바이스의 투여량 설정부에 부착될 수 있게 하는 체결 특징부를 물리적으로 전용하거나 기계적으로 코딩하는 일반적인 요구가 존재한다. 이 방식으로, 특정 약물 유형 또는 유형들이 적절한 주사 디바이스(예를 들어, 투여량 설정 부재)에 연결된다. 유사하게, 약물 전달 디바이스가 단지 특정 약물을 수납하고 원하지 않는 카트리지 교차 사용을 방지하는 인증된 카트리지와만 함께 사용될 수 있게 하는 전용 카트리지를 위한 일반적인 요구가 또한 존재한다. 약물이 인증되지 않은 약물 또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점에서 카트리지 조립체가 손상되지 않을 수 있도록 무단 개봉되는 것이 어려운 전용 체결 특징부를 카트리지 조립체 상에 제공하기 위한 일반적인 요구가 또한 존재한다. 이러한 카트리지 조립체는 무단 개봉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은 또한 위조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즉 위조자가 미규제된 위조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더 어렵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량된 전달 디바이스의 제공을 용이하게 하는 신규한 전달 디바이스용 요소 또는 신규한 전달 디바이스용 요소의 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증가된 사용자 안전을 갖는 전달 디바이스의 제공을 용이하게 하는 요소 또는 요소의 집합체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 목적은 예를 들어 독립 청구항의 요지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 및 개선예는 종속 청구항의 요지이다.
청구범위에서 커버되는 요지와는 별개로, 본 명세서에 제공된 설명은 또한 다른 유리한 양태 또는 실시예를 형성하기 위해 심지어 상이한 양태 또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특징과 조합될 수 있는 다른 유리한 양태 및 특징을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주사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부정확한 약물을 잘못 사용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일체형 코딩 특징부를 갖는 체결 메커니즘 또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 양태에서, 홀더 내의 카트리지 또는 바람직하게는 약물의 저장조를 수납하기 위한 개별 홀더가 없는 성형된 카트리지로서 정의될 수 있는 카트리지 조립체가 개시되고, 이 카트리지 조립체는 투여량 설정 부재의 원위 단부에 위치된 체결구에 정합된 하나 이상의 코딩 특징부를 포함하는 체결구를 근위 단부(즉, 투여량 설정 디바이스 또는 투여량 설정 부재에 부착되는 단부)에 갖는다. 체결구/코딩 특징부는 카트리지 조립체를 투여량 설정 디바이스 상의 정합 체결구/코딩 특징부에 작동적으로 연결하여,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약물의 주사를 투여할 수 있게 한다.
일체형 코딩/체결구 특징부는 핀 및 리지, 핀 및 핀, 리지 및 한 쌍의 핀, 핀 및 홈 및 나사산과 같은 조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조립체를 투여량 설정 부재에 잠금하기 위한 멈춤쇠의 사용이 또한 유리하다. 카트리지 조립체는 원통형 내부면 및 투여량 설정 부재 상에 상보형 체결구 상의 상보형 코딩 특징부에 결합하도록 코딩된 제 1 코딩 특징부를 포함하는 체결구를 갖는 원통형 외부면을 갖는 관형 부재를 포함하여, 이에 의해 카트리지 조립체가 투여량 설정 부재에 작동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체결구는 카트리지 조립체의 내부면 상에 그리고 투여량 설정 부재의 외부면 상에 있을 수 있다. 투여량 설정 조립체 상의 카트리지 조립체 체결구 및 상보형 체결구와 일체인 코딩 특징부는 코딩 특징부가 정합되어 2개의 조립체가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하는, 즉 직소 퍼즐(jigsaw puzzle) 내의 잠금부 또는 부분 내의 키와 같은 것이면, 핀, 리지, 리브, 홈, 슬롯, 돌출부, 골 및 유사 구조체의 임의의 조합체일 수 있다.
일 양태는 복수의 전달 디바이스, 바람직하게는 주사 디바이스의 패밀리를 구성하기 위해 상이한 약물, 특히 상이한 약물의 저장조를 집합체의 특히 정합된 투여량 설정 부재에 연결하기 위한, 특히 작동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코딩된 체결구를 각각 갖는 복수의 카트리지 조립체를 포함하는 집합체를 제공한다. 약물은 약물을 투여하거나 분배하기 위한 전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투여량 설정 부재에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집합체는
2개 이상의 카트리지 조립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 1 카트리지 조립체는,
a) 제 1 약물, 및
b) 체결구를 포함한다.
체결구는 제 1 약물에 고유하고 제 1 약물을 분배하도록 구성된 제 1 투여량 설정 부재 상의 체결구 상의 상보형 코딩 특징부를 결합하도록 특정하게 코딩되는 제 1 코딩 특징부를 포함한다.
제 1 코딩 특징부는 제 2 약물을 수납하는 집합체 내의 제 2 카트리지 조립체 상의 체결구 상의 제 2 코딩 특징부와는 상이하다. 제 1 약물 및 제 2 약물은 서로 상이하다. 제 2 카트리지 조립체는 제 1 투여량 설정 부재에 작동적으로 연결 불가능하고, 작동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그리고/또는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방지되어, 이에 의해 제 1 투여량 설정 부재가 제 2 약물을 투여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방식으로, 상이한 약제 또는 약물을 투여하도록 설계될 수 있는 잘못된 투여량 설정 부재를 갖는 약제를 사용하는 것이 회피될 수 있고 사용자 안전은 이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카트리지 조립체의 체결구는 투여량 설정 부재 및 카트리지 조립체를 서로 작동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투여량 설정 부재의 체결구를 결합하도록 작동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후에, 체결구에 연결된 카트리지 조립체 내에 수납된 약물의 투여량은 투여량 설정 부재의 하나 이상의 요소를 작동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고 그후에 디바이스로부터 분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유한 코딩 특징부는 집합체 내의 모든 약물에 할당된다. 특히, 이 특정 약물을 수납하는 카트리지 조립체 또는 조립체들은 고유한 코딩 특징부를 구비할 수 있고, 이 약물을 분배하기 위한 연관 투여량 설정 부재는 고유한 상보형 코딩 특징부를 구비할 수 있다.
투여량 설정 부재 및 집합체의 카트리지 조립체의 체결구는 상보형 체결구를 갖는 투여량 설정 부재 및 카트리지 조립체의 연결은 허용되고, 반면에 비상보형 또는 비호환성 체결구를 갖는 투여량 설정 부재와 카트리지 조립체의 연결은 방지되도록 기계적으로 코딩될 수 있다.
각각의 카트리지 조립체는 카트리지 홀더 및/또는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카트리지 홀더는 카트리지 홀더 내에 연관 카트리지를 보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카트리지 조립체는 관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약물은 관형 부재 내에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카트리지 조립체의 체결구는 그 카트리지 조립체의 관형 부재의 근위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카트리지 조립체의 관형 부재는 원통형 내부면 및 원통형 외부면을 가질 수 있다. 체결구는 특히 근위 단부에서 또는 근위 단부 섹션에서 원통형 내부면 또는 원통형 외부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전달 디바이스는 전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연결된 집합체의 카트리지 조립체 중 하나 및 투여량 설정 부재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투여량 설정 부재의 하나 이상의 체결구 및 카트리지 조립체의 하나 이상의 체결구는 상보형 코딩 특징부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전달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펜형 주사기와 같은 주사 디바이스이다.
다른 양태는 복수의 전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달 디바이스의 시스템 또는 패밀리를 제공하고, 각각의 전달 디바이스는 전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연관 투여량 설정 부재에 연결된 약물을 수납하는 카트리지 조립체를 포함하고, 전달 디바이스의 투여량 설정 부재 및 카트리지 조립체는 전술된 바와 같이 집합체로부터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카트리지 조립체 및 투여량 설정 부재는 전달 디바이스들 중 하나의 카트리지 조립체가 전달 디바이스들 중 다른 하나의 투여량 설정 부재, 예를 들어 상이한 약물을 수납하는 전달 디바이스 중 임의의 것에 연결 불가능하고, 연결되지 않고 그리고/또는 연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그리고/또는 전달 디바이스들 중 하나의 투여량 설정 부재가 전달 디바이스들 중 다른 하나의 카트리지 조립체, 예를 들어 상이한 약물을 수납하는 전달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에 연결 불가능하고, 연결되지 않고 그리고/또는 연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태는 주사 디바이스의 패밀리를 구성하는 특정 정합된 투여량 설정 부재에 상이한 약물의 저장조를 연결하기 위한 코딩된 체결구를 갖는 카트리지 조립체의 집합체를 제공한다. 2개 이상의 카트리지 조립체는 집합체를 구성하고, 여기서 제 1 카트리지 조립체는 원통형 내부면 및 원통형 외부면을 갖는 관형 부재, 관형 부재 내부의 제 1 약물 및 원통형 외부면 또는 내부면 상의 체결부를 포함한다. 체결구는 제 1 약물에 고유한 제 1 코딩 특징부를 포함하고, 제 1 약물을 분배하도록 구성된 제 1 투여량 설정 부재 상의 체결구 상의 상보형 코딩 특징부를 결합하도록 특정하게 코딩된다. 제 1 코딩 특징부는 제 2 약물을 수납하는 집합체 내의 제 2 카트리지 조립체 상에 위치된 체결구 상의 제 2 코딩 특징부와는 상이하다. 이 제 2 약물은 제 1 약물과는 상이하다. 부가적으로, 제 2 카트리지 조립체는 제 1 투여량 설정 부재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지 않아, 이에 의해 제 1 투여량 설정 부재가 제 2 약물을 투여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조립체의 집합체는 제 1 및 제 2 약물과는 상이한 제 3 카트리지 조립체 내에 수납된 제 3 약물에 고유한 제 3 코딩 특징부를 포함하는 체결구를 갖는 제 3 카트리지 조립체를 가질 수 있고, 제 3 카트리지 조립체는 단지 주사 디바이스의 패밀리 내의 다른 투여량 설정 부재와는 상이한 제 3 투여량 설정 부재에만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가능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코딩 특징부는 (a) 리지 특징부 및 (b) 핀 특징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제 1 코딩은 카트리지 조립체의 원통형 외부면으로부터 돌출된 리지 특징부이고, 투여량 설정 부재의 체결구 상의 상보형 코딩 특징부는 핀 특징부를 포함한다. 이 리지 및 핀 조합체는 특정 약물에 고유하고, 카트리지 조립체와 투여량 설정 부재가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하도록 정합된다. 바람직하게는, 리지 특징부는, 핀 특징부의 축방향 표면을 따른 축방향에서 리지 특징부의 제 1 축방향 표면의 이동, 핀 특징부의 나선방향 표면을 따른 리지 특징부의 제 1 나선방향 표면의 이동 및 핀 특징부의 회전방향 표면을 따른 회전방향에서 리지 특징부의 제 1 회전방향 표면의 이동에 의해, 카트리지 홀더가 투여량 설정 부재에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카트리지 조립체는 체결구 조립체의 2개의 특징부(핀 및 리지)가 정합하면 디바이스(즉, 투여량 설정 부재)에만 연결될 수 있다. 대안 실시예에서, 핀 특징부는 카트리지 조립체 상에 위치될 수 있고, 리지 특징부는 투여량 설정 부재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원통형 외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 1 코딩 특징부는 제 1 핀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고, 투여량 설정 부재 상의 제 2 코딩 특징부는 제 2 핀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어, 따라서 핀 및 핀 조합체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코딩 특징부는 이하와 같이 체결구 또는 체결구 조립체 또는 그 특징부를 변경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a)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 그러나 더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인 체결구 조립체에 일체인 코딩 특징부의 수,
(b) 예를 들어 원위 단부로부터 축방향 길이와 같은 특히 표준 특징부에 대해, 예를 들어 축방향/원주방향/반경방향과 같은 코딩 특징부의 위치. 예를 들어, 상이한 약물의 집합체를 위한 코딩 시스템은 코딩 특징부가 배치될 수 있는 원주 주위의 고정된 위치를 포함할 수 있음. 각각의 약물에 대해, 코딩 특징부는 각각의 상이한 약물에 고유한 이들 위치의 일부에만 배치됨. 투여량 설정 부재 상의 체결구에 일체인 상보형 또는 정합 코딩 특징부는 패밀리 또는 복수의 전달 디바이스 내의 하나의 투여량 설정 부재가 비정합 또는 잘못된 약물을 분배할 수 없도록 특정 약물을 단지 분배하도록 구성됨,
(c) 예를 들어, 축방향/반경방향/원주방향 크기와 같은 코딩 특징부의 크기. 각각의 특징부의 크기는 예를 들어 상이한 반경방향 크기를 갖는 다수의 핀과 같은 다른 것들 중 적어도 하나와는 상이할 수 있음, 및/또는
(d) 예를 들어 나선에 횡방향/종방향/반경방향/수직인 임의의 평면 내의 코딩 특징부의 단면 형상 또는 정지 특징부의 단면 형상.
본 발명은 또한 상이한 약물의 범위를 위한 코딩 시스템을 포함하고, 여기서 각각의 약물을 위한 체결구에 일체인 코딩 특징부는 상이한 형상을 갖는다. 체결구가 포함할 수 있는 체결 특징부가 잘못된 정합부 내에 끼워지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약물을 위한 체결 특징부에 의해 덮여진 영역은 임의의 다른 약물을 위한 체결 특징부의 영역에 의해 완전히 덮여지지 않아야 한다. 달리 말하면, 각각의 특징부 형상은 코딩 시스템 내의 모든 다른 형상보다, 특히 모든 다른 특징부 형상보다 일 영역에서 더 작고 다른 영역에서 더 클 수 있다. 특징부의 형상은 형상 또는 특징부의 임의의 에지를 따라 오목부 또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복잡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코딩 특징부가 이동하는 정도는 가변적일 수 있고,
(a) 축방향 이동을 위한 길이,
(b) 나선방향 이동을 위해 회전된 피치 및/또는 각도, 및/또는
(c) 회전방향 이동을 위해 회전된 각도와 같은 임의의 방향의 조합일 수 있다.
카트리지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배향에서 특히 투여량 설정 부재에 끼워질 수 있다. 카트리지 조립체가 단지 일 방향에서만 끼워지면, 코딩 조합체의 수는 증가될 수 있다. 이는 체결구(예를 들어, 핀)에 일체인 하나 이상의 코딩 특징부가 축 주위에서 비대칭 위치 또는 크기를 가지면 또는 특징부들 중 하나가 고유하면, 예를 들어 모든 다른 것들보다 작은 오목부이면 성취될 수 있다. 코딩은 하나 초과의 차원에서 크기 또는 위치에 의존할 수 있다. 상이한 약물의 집합체를 위한 코딩 시스템은 그 각각이 시스템 내의 모든 다른 특징부보다 일 차원에서 더 소형일 수 있고 다른 차원에서 더 대형일 수 있는 각각의 약물을 위한 상이한 체결 특징부를 포함하거나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은 원주방향 크기를 갖는 핀은 더 넓은 핀을 위한 공간 내에 끼워질 수 있지만, 더 큰 축방향 크기를 가지면 이는 회전하지 않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작은 원주방향 크기를 갖는 핀은 큰 반경방향 크기를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카트리지 조립체는 잘못된 디바이스 내에 삽입될 수 없다. 각각의 특징부는 다른 것들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될 수 있어, 코딩 조합체의 수를 증가시키고, 게다가 체결 특징부는 종축을 따라 고려될 때 서로에 대해 비대칭 위치 또는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든 핀은 투여량 설정 부재 상에 있고, 핀은 카트리지 조립체 상에 동등하게 있을 수 있고 또는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핀은 카트리지 조립체 상에 있을 수 있고 나머지는 투여량 설정 부재 상에 있을 수 있다.
코딩은 모든 부정확한 약물을 차단할 수 있고 또는 단지 대부분의 위험한, 예를 들어 단기 작용 약물은 장기 작용 약물을 위해 의도된 디바이스 내에 또는 고농도를 위한 디바이스 내에 저농도 약물이 끼워질 수 있지만, 그 반대는 가능하지 않다. 모따기 또는 경사진/나선방향 표면은 사용자가 디바이스 상의 코딩과 카트리지 조립체 상의 코딩을 정렬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코딩 특징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스위치 또는 광학/자기 스위치와 같은 전자 기계 수단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프로그램 가능한 펜은 이어서 예를 들어 최대 투여량을 제한함으로써 약물 유형에 응답할 수 있다.
코딩은 체결구가 카트리지 조립체를 적소에 잠금하는 멈춤쇠에 대한 그 위치에 의해 코딩되는 멈춤쇠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조립체가 비호환성 디바이스에 연결되면, 이는 적소에 잠금되지 않을 수 있거나 그 이동이 차단될 것이다. 스프링은 디바이스의 외부로 부정확한 카트리지 조립체를 가압할 수 있다. 일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이한 사용자 작용은 상이한 약물들 사이를 구별할 수 있어, 이들이 디바이스의 체결을 방지하거나 사용자에 구성 요소가 호환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강조하게 된다. 예를 들어, 베이어닛 또는 다른 유형의 체결구 조립체의 핸드를 반전한다. 이하는 가능한 옵션 또는 수정이다.
(a) 유사한 체결구 조립체, 그러나 방향이 반대, 즉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결합;
(b) 유사한 체결구 조립체, 그러나 체결 특징부를 결합하기 위한 더 긴 또는 더 짧은 이동; 및/또는
(c) 예를 들어 회전 끼워맞춤(예를 들어, 베이어닛 또는 나사산) 대 축방향 끼워맞춤(예를 들어, 스냅 끼워맞춤)과 같은 약물 사이를 구별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상이한 체결 방법.
다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조립체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외부면과 같은 그 외부면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는 제 1 코딩 특징부는 한 쌍의 핀을 포함할 수 있고, 투여량 설정 부재 상의 정합 또는 상보형 코딩 특징부는 리지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핀 특징부는 서로로부터 축방향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홀더를 투여량 설정 부재에 연결하기 위해, 제 1 핀 특징부는 리지 특징부의 원위 에지에 결합될 수 있고, 제 2 핀 특징부는 리지 특징부의 근위 에지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투여량 설정 부재는 특히 외부 원통형 벽 또는 원통형 외부면의 직경을 가로질러 제 1 리지 특징부에 대칭일 수 있는 제 2 리지 특징부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리지 특징부(가능하게는 하나 이상의 부가의 코딩 특징과 함께)는 투여량 설정 부재 체결구의 근위 단부에 게이트를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는 정확한 카트리지 조립체 상에 핀 특징부를 수용하고, 투여량 설정 부재가 카트리지 홀더와 정합하지 않는다는 지시를 제공하거나 오정합된 투여량 설정 부재 및 카트리지 홀더가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카트리지 조립체 상의 핀은 원주방향 범위에서 형상이 타원형일 수 있다. 몇몇 경우에, 투여량 설정 부재 상에 핀 및 카트리지 조립체 상에 리지를 갖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카트리지 조립체는 홈을 따라 안내된 핀에 의해 투여량 설정 부재에 체결될 수 있고, 여기서 핀은 투여량 설정 부재 상의 카트리지 홀더 및 홈 상에 위치될 수 있고 또는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체결구 또는 체결구 조립체에서, 핀 및 홈은 정합하여 따라서 잘못된 카트리지 조립체를 잘못된 투여량 설정 부재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은 체결구에 일체인 코딩 특징부가 나사산이고 상이한 나사산 유형이 카트리지 조립체의 집합체 내의 각각의 상이한 약물을 위해 사용(또는 정합)될 수 있다. 나사산의 경우에, 코딩 특징부는 골(trough)에 대한 상이한 원주방향 크기를 각각 갖는 나사산의 마루(crest)일 수 있고 또는 나사산의 회전부(turn)는 원주 주위에 불균일하게 이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작은 원주 크기를 갖는 나사산이 더 넓은 나사산을 위한 공간 내에 끼워질 수 있지만, 더 큰 축방향 크기를 가지면 이는 회전하지 않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작은 원주방향 크기를 갖는 나사산은 큰 반경방향 크기를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카트리지 조립체는 디바이스 내에 삽입될 수 없다.
이하의 텍스트에서,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양태의 세트가 설명된다. 양태는 번호로 나타내고 있고, 이는 각각의 번호에 의한 특정 양태에 포함된 특징을 참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이들 양태는,
1. 전달 디바이스의 패밀리를 구성하기 위해 특정하게 정합된 투여량 설정 부재에 상이한 약물의 저장조를 연결하기 위한 코딩된 체결구를 각각 갖는 카트리지 조립체의 집합체로서,
2개 이상의 카트리지 조립체를 포함하고, 제 1 카트리지 조립체는
a) 원통형 내부면 및 원통형 외부면을 갖는 관형 부재,
b) 관형 부재 내부의 제 1 약물; 및
c) 제 1 약물에 고유하고 제 1 약물을 분배하도록 구성된 제 1 투여량 설정 부재 상의 체결구 상의 상보형 코딩 특징부에만 결합하도록 특정하게 코딩된 제 1 코딩 특징부를 근위 단부에 포함하는 원통형 외부면 또는 내부면 상의 체결구를 포함하고,
제 1 코딩 특징부는 제 2 약물을 수납하는 집합체 내의 제 2 카트리지 조립체 상의 체결구 상의 제 2 코딩 특징부와는 상이하고, 제 1 및 제 2 약물은 상이하고, 제 2 카트리지 조립체는 제 1 투여량 설정 부재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이에 의해 제 1 투여량 설정 부재가 제 2 약물을 투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집합체.
2. 양태 1의 집합체로서, 제 1 및 제 2 약물과는 상이한 제 3 카트리지 조립체 내에 수납된 제 3 약물에 고유한 제 3 코딩 특징부를 포함하는 체결구를 갖는 제 3 카트리지 조립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 3 카트리지 조립체는 주사 디바이스의 패밀리 내의 다른 투여량 설정 부재와는 상이한 제 3 투여량 설정 부재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집합체.
3. 양태 1의 집합체로서, 집합체 내의 카트리지 조립체의 모든 체결구는 나사산, 핀 및 홈, 핀 및 리지, 베이어닛, 스냅 끼워맞춤 및 멈춤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동일한 유형을 갖고, 각각의 체결구 상의 각각의 코딩 특징부는 집합체 내의 카트리지 조립체 상의 다른 체결구 상의 모든 다른 코딩 특징부와는 상이한 집합체.
4. 양태 1의 집합체로서, 집합체 내의 카트리지 조립체의 각각의 체결구는 상이한 유형이고, 나사산, 핀 및 홈, 핀 및 리지, 베이어닛, 스냅 끼워맞춤 및 멈춤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체결구 상의 각각의 코딩 특징부는 집합체 내의 카트리지 조립체 상의 다른 체결구 상의 모든 다른 코딩 특징부와는 상이한 집합체.
5. 양태 1의 집합체로서, 카트리지 조립체의 집합체 내의 각각의 체결구는 2개 이상의 코딩 특징부를 갖는 집합체.
6. 양태 1의 집합체로서, 카트리지 조립체의 집합체 내의 각각의 체결구의 각각의 코딩 특징부는 리지 특징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집합체 내의 모든 투여량 설정 부재 상의 모든 상보형 코딩 특징부는 리지 특징부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핀 특징부를 포함하는 집합체.
7. 양태 1의 집합체로서, 카트리지 조립체의 집합체 내의 각각의 체결구의 각각의 코딩 특징부는 집합체 내의 모든 투여량 설정 부재 상의 모든 상보형 코딩 특징부 상에 위치된 핀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집합체.
8. 양태 1의 집합체로서, 카트리지 조립체의 집합체 내의 각각의 체결구는 나사산을 포함하고, 각각의 체결구의 각각의 코딩 특징부는 특정 약물에 고유한 상이한 피치, 회전부의 수 또는 나사산의 각도를 갖는 집합체.
9. 양태 1의 집합체로서, 카트리지 조립체의 집합체 내의 각각의 체결구의 각각의 코딩 특징부는 적어도 하나의 핀을 포함하고, 집합체 내의 모든 투여량 설정 부재 상의 모든 상보형 코딩 특징부는 상보형 핀 특징부를 포함하는 집합체.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의 이들 뿐만 아니라 다른 장점은 첨부 도면을 적절히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숙독함으로써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펜형 약물 전달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펜형 약물 전달 디바이스의 카트리지 홀더 내에 장전될 수 있는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는 특정 투여량 설정 부재에 카트리지 조립체를 전용하는 것을 돕는 코딩 특징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의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3b는 특정 투여량 설정 부재에 카트리지 조립체를 전용하는 것을 돕는 코딩 특징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의 다른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3c는 특정 투여량 설정 부재에 카트리지 조립체를 전용하는 것을 돕는 코딩 특징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의 다른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4a는 횡방향 평면 상에 도시된 상이한 약물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상이한 체결 특징부의 단면도.
도 4b는 종방향 평면 상에 도시된 상이한 약물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상이한 체결 특징부의 단면도.
도 4c는 원주 주위의 투영도로서 도시된 상이한 약물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상이한 체결 특징부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다수의 핀 특징부를 갖는 투여량 설정 부재의 횡방향 평면 내의 단면도.
도 6은 특정 투여량 설정 부재에 카트리지 조립체를 전용하는 것을 돕는 코딩 특징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의 다른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서로로부터 축방향으로 오프셋되고 핀 특징부를 갖는 투여량 설정 부재에 카트리지 조립체를 전용하는 것을 돕는 코딩 특징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의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서로로부터 축방향으로 오프셋되고 핀 특징부를 갖는 투여량 설정 부재에 카트리지 조립체를 전용하는 것을 돕는 2개의 리지 특징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홀더의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투여량 설정 메커니즘에 카트리지 조립체를 전용하는 것을 돕는데 사용될 수 있는 멈춤쇠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코딩이 어떻게 하나 초과의 차원에서 크기 또는 위치, 구체적으로 하나 초과의 차원에서 코딩 특징부의 크기 또는 위치에 의존할 수 있는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코딩이 어떻게 하나 초과의 차원에서 크기 또는 위치에 의존할 수 있는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구체적으로 도 11a는 그 원주방향 크기 및 축방향 위치에 의해 코딩된 것을 도시하고, 도 11b는 작은 원주방향 크기 및 큰 반경방향 크기를 갖는 핀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카트리지 홀더의 체결구에 일체인 코딩 특징부가 관형 부재의 내부 원통형 표면 상에 위치되어 있는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카트리지 홀더의 체결구에 일체인 코딩 특징부가 관형 부재의 외부 원통형 표면 상에 위치되어 있고 나사산형의 체결구인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카트리지 홀더의 체결구에 일체인 코딩 특징부가 관형 부재의 외부 원통형 표면 상에 위치되어 있고 핀 및 홈형의 체결구인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펜형 약물 전달 디바이스의 카트리지 홀더 내에 장전될 수 있는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는 특정 투여량 설정 부재에 카트리지 조립체를 전용하는 것을 돕는 코딩 특징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의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3b는 특정 투여량 설정 부재에 카트리지 조립체를 전용하는 것을 돕는 코딩 특징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의 다른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3c는 특정 투여량 설정 부재에 카트리지 조립체를 전용하는 것을 돕는 코딩 특징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의 다른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4a는 횡방향 평면 상에 도시된 상이한 약물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상이한 체결 특징부의 단면도.
도 4b는 종방향 평면 상에 도시된 상이한 약물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상이한 체결 특징부의 단면도.
도 4c는 원주 주위의 투영도로서 도시된 상이한 약물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상이한 체결 특징부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다수의 핀 특징부를 갖는 투여량 설정 부재의 횡방향 평면 내의 단면도.
도 6은 특정 투여량 설정 부재에 카트리지 조립체를 전용하는 것을 돕는 코딩 특징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의 다른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서로로부터 축방향으로 오프셋되고 핀 특징부를 갖는 투여량 설정 부재에 카트리지 조립체를 전용하는 것을 돕는 코딩 특징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의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서로로부터 축방향으로 오프셋되고 핀 특징부를 갖는 투여량 설정 부재에 카트리지 조립체를 전용하는 것을 돕는 2개의 리지 특징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홀더의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투여량 설정 메커니즘에 카트리지 조립체를 전용하는 것을 돕는데 사용될 수 있는 멈춤쇠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코딩이 어떻게 하나 초과의 차원에서 크기 또는 위치, 구체적으로 하나 초과의 차원에서 코딩 특징부의 크기 또는 위치에 의존할 수 있는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코딩이 어떻게 하나 초과의 차원에서 크기 또는 위치에 의존할 수 있는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구체적으로 도 11a는 그 원주방향 크기 및 축방향 위치에 의해 코딩된 것을 도시하고, 도 11b는 작은 원주방향 크기 및 큰 반경방향 크기를 갖는 핀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카트리지 홀더의 체결구에 일체인 코딩 특징부가 관형 부재의 내부 원통형 표면 상에 위치되어 있는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카트리지 홀더의 체결구에 일체인 코딩 특징부가 관형 부재의 외부 원통형 표면 상에 위치되어 있고 나사산형의 체결구인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카트리지 홀더의 체결구에 일체인 코딩 특징부가 관형 부재의 외부 원통형 표면 상에 위치되어 있고 핀 및 홈형의 체결구인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에 기술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펜형 디바이스, 특히 펜형 주사기의 형태의 약물 전달 디바이스(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약물 전달 디바이스(10)는 투여량 설정 부재(12), 카트리지 홀더(14) 및 제거 가능 캡(16)을 포함한다. 카트리지 홀더(14)의 근위 단부(15) 및 투여량 설정 부재(12)의 원위 단부(13)는 제거 가능하게 또는 해제 가능하게 함께 고정된다. 펜형 주사기는 재사용 가능 또는 1회용 펜형 디바이스 또는 주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주사기가 재사용 가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경우에, 카트리지 홀더(14) 및 투여량 설정 메커니즘은 제거 가능하게 또는 해제 가능하게 함께 결합된다. 1회용 디바이스에서, 이들은 영구적으로 함께 결합된다. 약물 전달 디바이스가 사용중이지 않을 때, 제거 가능 캡(16)은 카트리지 홀더(14) 상에 해제 가능하게 보유될 수 있다.
카트리지 홀더는 약물(26)을 수납하는 바람직하게는 제거 가능한 카트리지(2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카트리지 홀더(14)는 제거 가능 카트리지(20)를 수용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약물 전달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카트리지(2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카트리지 홀더(14)에 의해 형성된 내부 카트리지 캐비티(11)는 카트리지(20)를 확실히 수용하고 보유하도록 치수 설정되고 구성된다. 카트리지(20)는 원위 단부(70)로부터 근위 단부(32)로 연장하는 일반적으로 관형 배럴(barrel;22)을 포함한다. 관통 가능 밀봉부 또는 격막(septum)(21)이 네크(neck)에 의해 형성된 개방 원위 단부(70)를 가로질러 고정 장착된다. 밀봉부(21)는 금속 슬리브(24)에 의해 적소에 유지될 수 있다. 이 슬리브(24)는 네크의 원위 단부에서 원주방향 비드 주위에 크림프될 수 있다. 약물(26)은 카트리지(20) 내에 사전 충전되고, 부분적으로 관통 가능한 밀봉부(21), 금속 슬리브(24) 및 스토퍼 또는 피스톤(28)에 의해 카트리지 내에 보유된다. 가동 스토퍼 또는 피스톤(28)은 카트리지(20)의 제 1 단부 또는 근위 단부에 보유된다. 스토퍼(28)는 배럴(22)의 내부 관형벽과 활주 유체 기밀 결합 상태에 있다. 투여량 투여 중에 스토퍼(28) 상에 원위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지향된 힘은 카트리지로부터 카트리지 홀더(14)의 원위 단부 상에 장착된 이중 단부 니들을 통해 약물(26)을 압박한다.
약물(26)의 다수의 투여량이 카트리지(20)로부터 분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20)는 1일 1회 또는 다수회와 같이 종종 투여되어야 하는 약물(26)의 유형을 수납한다. 하나의 이러한 약물은 인슐린이다.
본 발명의 목적으로, 카트리지 조립체의 집합체는 각각 다수의 상이한 약물을 수납할 수 있다. 이는 집합체가 인슐린과 같은 동일한 활성 성분을 수납하지만, 각각의 카트리지 조립체는 상이한 농도 또는 유형의 인슐린 또는 양자 모두를 수납하는 것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몇몇 카트리지 조립체는 상이한 활성 성분을 수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몇몇은 인슐린을 수납하고 몇몇은 GLP-1을 수납한다. 어느 경우든,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인슐린"은 인간 인슐린 또는 인간 인슐린 유사체 또는 유도체를 포함하는, 인슐린, 인슐린 유사체, 인슐린 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인슐린 유사체의 예는 비한정적으로, Gly(A21), Arg(B31), Arg(B32) 인간 인슐린, Lys(B3), Glu(B29) 인간 인슐린, Lys(B28), Pro(B29) 인간 인슐린, Asp(B28) 인간 인슐린, 위치 B28의 프롤린이 Asp, Lys, Leu, Val 또는 Ala로 치환되고 위치 B29에서 Lys가 Pro로 치환될 수 있는 인간 인슐린, Ala(B26) 인간 인슐린, Des(B28-B30) 인간 인슐린, Des(B27) 인간 인슐린 또는 Des(B30) 인간 인슐린이다. 인슐린 유도체는 비한정적으로, B29-N-미리스토일-des(B30) 인간 인슐린, B29-N-팔미토일-des(B30) 인간 인슐린, B29-N-미스토일 인간 인슐린, B29-N-팔미토일 인간 인슐린, B28-N-미스토일 LysB28ProB29 인간 인슐린, B28-N-팔미토일-LysB28ProB29 인간 인슐린, B30-N-미리스토일-ThrB29LysB30 인간 인슐린, B30-N-팔미토일-ThrB29LysB30 인간 인슐린, B29-N-(N-팔미토일-Y-글루타밀)-des(B30) 인간 인슐린, B29-N-(N-리토콜일-Y-글루타밀)-des(B30) 인간 인슐린, B29-N-(ω-카르복시헵타데카노일)-des(B30) 인간 인슐린 및 B29-N-(ω-카르복시헵타데카노일) 인간 인슐린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GLP-1"은 비한정적으로, 엑세나타이드[H-His-Gly-Glu-Gly-Thr-Phe-Thr-Ser-Asp-Leu-Ser-Lys-Gln-Met-Glu-Glu-Glu-Ala-Val-Arg-Leu-Phe-Ile-Glu-Trp-Leu-Lys-Asn-Gly-Gly-Pro-Ser-Ser-Gly-Ala-Pro-Pro-Pro-Ser-NH2의 시퀀스의 펩타이드인 엑센딘-4(1-39)], 엑센딘-3, 리라글루타이드 또는AVE0010(H-His-Gly-Glu-Gly-Thr-Phe-Thr-Ser-Asp-Leu-Ser-Lys-Gln-Met-Glu-Glu-Glu-Ala-Val-Arg-Leu-Phe-Ile-Glu-Trp-Leu-Lys-Asn-Gly-Gly-Pro-Ser-Ser-Gly-Ala-Pro-Pro-Ser-Lys-Lys-Lys-Lys-Lys-Lys-NH2)를 의미한다. GLP-1은 프로글루카곤 유전자의 전사 생성물로부터 유도되고 장 호르몬으로서 장 L에 의해 분비되는 신체 내에서 발견되는 글루카곤형 펩타이드-1이다. GLP-1은 이것(및 그 유사체)을 당뇨병의 잠재적인 치료로서 집중적인 조사의 주제가 되게 하는 다수의 생리학적 특성을 소유한다.
베타 작용제의 예는 비한정적으로, 살부타몰, 레보살부타몰, 테르부탈린, 피르부테롤, 프로카테롤, 메타프로테레놀, 페노테롤, 비톨테롤 메실레이트, 살메테롤, 포르모테롤, 밤부테롤, 클렌부테롤, 인다카테롤이다.
호르몬은 예를 들어 고나도프로파인(폴리트로핀, 루트로핀, 코리온고나도트로핀, 메노트로핀), 소마트로파인(소마트로핀), 데스모프레신, 테르리프레신, 고나도렐린, 트립토렐린, 루프로펠린, 부세렐린, 나파렐린, 고세렐린과 같은 뇌하수체 호르몬 또는 시상하부 호르몬 또는 규칙적인 활성 펩타이드 및 이들의 길항제이다.
카트리지 홀더(14)의 내부 원통형 벽에 의해 형성된 카트리지 홀더 캐비티(11)를 형성하는 카트리지 홀더(14)의 부분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직경을 갖고 도 2에 D1으로 표현된 카트리지(20)의 카트리지 직경보다 크다. 카트리지 홀더 캐비티는 적어도 단면에서 카트리지일 수 있는 관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카트리지 홀더의 내부는 카트리지(20)가 카트리지 홀더(14)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치수 설정된 내향 연장 환형부 또는 정지부(18)를 포함한다. 이 방식으로, 카트리지(20)가 카트리지 홀더(14)의 캐비티(11) 내에 장전되고 카트리지 홀더(14)가 이어서 투여량 설정 부재(12)에 연결될 때, 카트리지(20)는 카트리지 캐비티 내에 단단히 유지될 것이다.
투여량 설정 부재(12)는 투여량 설정 부재의 근위 단부에 투여량 설정기(17)를 포함한다. 투여량 설정기(17)는 투여량을 설정하기 위해 투여량 설정 부재(12)의 본체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일 바람직한 배열에서, 투여량 설정기(17)는 투여량을 설정하도록 회전된다. 이 설정 투여량을 투여하기 위해, 사용자는 카트리지 홀더의 원위 단부 상에 이중 단부 니들을 포함하는 니들 조립체(명시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음)를 부착한다. 이 방식으로, 니들 조립체는 카트리지(20)의 밀봉부(21)를 관통하고, 따라서 약물(26)과 액체 연통한다. 사용자는 투여량 설정기(17)를 압박하여 설정 투여량을 주사한다. 카트리지 내의 약물(26)이 팽창되고 이어서 새로운 카트리지가 디바이스 내에 장전되어야 할 때까지 동일한 투여량 설정 및 투여량 투여 절차가 이어진다. 비어 있는 카트리지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자는 투여량 설정 부재(12)로부터 카트리지 홀더(14)를 제거하도록 요구된다.
도 3a는 카트리지 홀더(300)가 카트리지 홀더(300)를 특정 투여량 설정 부재(302)에 전용하는 것을 돕는 코딩 특징부를 갖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배열을 도시한다. 카트리지 홀더 또는 조립체(300)는 약물 카트리지를 유지하도록 설계된 캐비티를 형성하는 원통형 내부면을 갖는 관형 본체를 갖는다. 이러한 약물 카트리지는 글래스 카트리지 또는 대안적으로 리지 커넥터를 합체할 수 있고 따라서 개별 카트리지 홀더를 위한 필요성을 배제할 수 있는 COC, COP, PBT, LDPE 또는 HDPE형 플라스틱과 같은 플라스틱으로부터 제조된 성형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관형 본체는 정지부(도시 생략)로부터 숄더(306)로 연장한다. 숄더(306)는 카트리지 홀더(300)가 투여량 설정 부재(302)에 연결될 때, 숄더(306)의 근위측이 투여량 설정 부재(302)의 원위 단부(308)에 대해 동일 높이에 위치되도록 배열된다.
카트리지 홀더(300)의 커넥터 또는 체결구부(309)는 카트리지 홀더(300)의 숄더(306)로부터 근위 단부(310)로 연장하고 하나 이상의 코딩 또는 리지 특징부(316)를 포함한다. 커넥터부(309)는 원통형 내부벽 및 원통형 외부벽(314)을 형성하고, 리지 특징부(316)는 원통형 외부벽(314)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한다.
리지 특징부(316)는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고, 숄더(306)로부터 근위 단부(310)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원위 에지와 근위 에지 사이의 상승된 또는 돌출된 영역에 의해 일반적으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리지 특징부"는 숄더(306)로부터 근위 단부(310)로 연장하는 영역의 부분을 커버하는 임의의 돌출부일 수 있다. 리지 특징부(316)의 원위 에지는 숄더(306)로부터 근위 단부(310)로 함께 연장하는 제 1 축방향 표면(320), 제 1 나선방향 표면(322), 회전방향 표면(324), 제 2 나선방향 표면(325) 및 제 2 축방향 표면(326)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는 도 3a에 도시된 표면의 정확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축방향 표면, 회전방향 표면에 이어서 축방향 표면들의 임의의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투여량 설정 부재(302)는 투여량 설정 부재(302)의 내부 원통형 벽으로부터 돌출하는 핀 특징부(328)와 정합된 체결구/코딩 장치를 포함한다. 핀 특징부(328) 및 리지 특징부(316)는 각각 투여량 설정 부재(302)로부터 내향으로 그리고 카트리지 홀더(300)로부터 외향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경방향 거리(D)로 돌출할 수 있다(즉, 동일한 반경방향 크기를 가짐). 대안적으로, 리지 특징부(316) 및 핀 특징부(328)는 상이한 반경방향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카트리지 홀더(300)의 원통형 외부벽(314)은 반경(R1)을 갖고, 투여량 설정 부재(302)의 내부 원통형 벽은 반경(R2)을 갖는다. 커넥터부(309)가 투여량 설정 부재(302) 내에 삽입될 때, R2 및 R1은 일반적으로 커넥터부(309)와 투여량 설정 부재(302)의 내부 원통형 벽 사이에 원통형 간극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원통형 간극은 통상적으로 D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단지 약간 상이한 반경방향 크기를 가져, 리지 특징부(316) 및 핀 특징부(328)가 간극의 폭을 실질적으로 충전하게 되고 따라서 커넥터부(309)가 투여량 설정 부재(302) 내에 삽입될 때 카트리지 홀더(300)를 고정하게 된다.
카트리지 전용을 제공하는 것을 돕기 위해 카트리지 홀더(300)의 리지 특징부(316)는 바람직하게는 투여량 설정 부재(302)의 핀 특징부(328)에 정합하도록 코딩된다. 일반적으로, "핀 특징부"는 투여량 설정 부재(302)의 내부 원통형 하우징의 근위 단부(308에 대향하는 단부)와 핀 특징부(328) 사이에 축방향 간극을 남겨두는 임의의 돌출부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특징부(328)는 축방향 표면(330), 나선방향 표면(332) 및 회전방향 표면(334)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카트리지 홀더(300)는 커넥터부(309)를 투여량 설정 부재(302)에 삽입하고, 리지 특징부(316)의 적절한 표면을 따라 핀 특징부(328)의 축방향, 회전방향 및 나선방향 표면을 안내함으로써 투여량 설정 부재(302)에 단단히 연결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카트리지 홀더(300)는 이하의 동작, (1) 리지 특징부(316)의 제 1 축방향 표면(320)을 핀 특징부(328)의 축방향 표면(330)에 접촉하고 핀 특징부(328)의 축방향 표면(330)을 따라 리지 특징부(316)의 제 1 축방향 표면(320)을 이동시키는 것과, (2) 핀 특징부(328)의 나선방향 표면(332)을 따라 리지 특징부(316)의 제 1 나선방향 표면(322)을 이동시키는 것과, (3) 리지 특징부(316)의 제 2 나선방향 표면(325) 및 제 2 축방향 표면(326)이 핀 특징부(328)의 나선방향 표면(332) 및 축방향 표면(330)에 각각 접촉하여, 이에 의해 회전방향 및 나선방향에서 추가의 이동을 방지할 때까지 핀 특징부(328)의 회전방향 표면(334)을 따라 리지 특징부(316)의 회전방향 표면(324)을 이동시키는 것을 수행함으로써 투여량 설정 부재(302)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이 연결될 때, 숄더(306)는 또한 투여량 설정 부재(302)의 원위 단부(308)에 접촉하고, 핀 특징부(328)로의 리지 특징부(316)의 접촉과 조합하여 축방향으로의 추가의 이동을 방지한다. 더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투여량 설정 부재(302)로의 카트리지 홀더(300)의 연결은 먼저 축방향으로, 이어서 회전방향으로 카트리지 홀더의 이동[핀 특징부(328)를 따른 리지 특징부(316)의 이동에 의해 안내된]을 수반한다. 도 3b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적절하게 연결될 때 리지 특징부(316) 및 핀 특징부(328)의 상대 위치를 도시한다. 이와 같이 연결될 때, 리지 특징부(316) 및 핀 특징부(328)는 투여량 설정 부재(302)에 카트리지 홀더(300)를 단단히 연결하는 것을 돕는다. 리지 특징부 및 핀 특징부가 정확하게 정합하지 않으면, 연결은 단단해지지 않을 것이고, 이는 이들이 정확한 카트리지 홀더 및/또는 투여량 설정 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사용자에게 지시한다.
도 3c에 도시된 다른 양태에서, 핀 특징부(328)는 사용자의 카트리지 홀더(300) 및/또는 투여량 설정 부재(302)의 초기 정렬을 돕는 나선방향 표면(340)을 포함할 수 있어, 카트리지 홀더(300)와 투여량 설정 부재(302)가 전술된 바와 같이 연결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투여량 설정 부재 내에 카트리지 홀더(300)를 삽입할 수 있어, 핀 특징부(328)의 나선방향 표면(340)이 리지 특징부의 나선방향 표면(342)에 접촉하게 된다. 이 접촉은 리지 및 핀이 전술된 바와 같이 연결을 위해 정확하게 정렬될 때, 리지가 핀의 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카트리지 홀더가 투여량 설정 메커니즘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도 3a를 다시 참조하면, 대안적으로 리지 특징부(316) 및/또는 핀 특징부(328)는 카트리지 홀더(300)가 축방향, 회전방향 또는 나선방향 및/또는 반경방향으로 이동되는 순서가 다양할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게다가, 리지 특징부 및/또는 핀 특징부의 다양한 표면의 길이는 다양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이한 핀 특징부에 정합하도록 상이한 리지 특징부를 코딩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투여량 설정 부재(302)에 카트리지 홀더(300)를 연결하는데 수반된 주어진 방향 또는 방향들에서의 이동량(예를 들어, 축방향, 나선방향 및/또는 반경방향 이동)은 다양한 표면의 길이에 비례하여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리지 특징부(316)를 구성하는 표면의 배열은 다양할 수 있고, 리지 특징부는 단일 축방향 표면 또는 다수의 축방향 표면, 단일 나선방향 표면 또는 다수의 나선방향 표면 및/또는 단일 회전방향 표면 또는 다수의 회전방향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가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 홀더(300)의 커넥터부(309)는 구조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하나의 리지 특징부(도시된 바와 같이) 또는 다수의 리지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투여량 설정 부재(302)는 구조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하나의 핀 특징부(도시된 바와 같이) 또는 다수의 핀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하나 초과의 차원에서 다양한, 예를 들어 축방향/반경방향/원주방향 크기가 다양한 코딩 특징부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의 특징부의 크기는 다른 것들 중 적어도 하나와 상이할 수 있다.
코딩 특징부의 단면 형상은 나선에 대해 횡방향, 종방향, 반경방향 또는 수직과 같이 임의의 평면에서 다양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정지 특징부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도 4a는 상이한 코딩 특징부(402, 404, 406, 408)의 다수의 예의 횡방향 평면을 통한 단면 슬라이스를 도시한다. 이들 형상의 다양성을 예시하기 위해, 단면 슬라이스가 도면 부호 400으로서 중첩된다. 이들 코딩 특징부의 각각은 상이한 약물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각각의 약물의 단면은 모든 다른 약물에 대해서보다 일 영역에서 더 크고 다른 영역에서 더 작고, 이는 스케치(400)의 모든 단면을 중첩함으로써 알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집합체 내의 잘못된 카트리지 홀더가 잘못된 투여량 설정 부재 내에 삽입되면, 부분은 완전히 조립될 수 없다. 도 4b는 단면과 동일한 코딩 특징부를 종방향 평면(즉, 코딩 특징부의 곡률에 표준화된 평면)을 통해 도시한다. 코딩 특징부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더 복잡할 수 있고, 임의의 에지를 따라 다양한 오목부 또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코딩 특징부는 형상 및 크기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코딩 특징부는 반경방향 크기 및/또는 원주방향 크기가 다양할 수 있다[예를 들어, 핀(402 내지 406)은 핀(408 내지 412)보다 반경방향으로 좁고 원주방향으로 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핀은 또한 축방향 크기가 다양할 수도 있다. 또한, 핀의 에지는 각도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핀(402)의 양 에지 및 핀(408)의 양 에지는 코딩 특징부의 원주에(따라서, 카트리지 홀더의 외부 원통형 벽의 원주에) 수직이고, 반면에 핀(404, 406, 410, 412)은 원주에 수직인 하나의 에지와, 원주에 대해 각형성된 하나의 에지를 각각 포함한다.
투여량 설정 부재 상의 핀 특징부는 크기 및/또는 형상이 또한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c는 원주 주위로 투영된 투여량 설정 부재 상에 위치된 코딩 특징부의 다양한 가능한 형상을 도시한다. 상이한 핀(420)을 중첩하는 것은 각각의 가능한 핀의 형상차를 도시한다. 부가적으로, 핀(422 내지 428)은 상이한 수의 축방향, 회전방향 및/또는 나선방향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핀(422 내지 428) 상의 축방향 표면(들), 회전방향 표면(들) 및/또는 나선방향 표면(들)의 길이는 또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핀(422 내지 428)의 에지는 종방향 평면(도시 생략)에 대한 각도가 다양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다른 양태도 다양할 수 있다. 핀 형상(422 내지 428)의 이들 편차의 각각은 예를 들어 투여량 설정 부재 상의 핀(422 내지 428)에 정합하도록 코딩된 코딩 특징부를 합체함으로써, 카트리지 홀더가 핀 특징부(420)의 특정 구조체에 코딩될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축방향, 나선방향 및/또는 회전방향의 특정의 일련의 이동이 투여량 설정 부재에 카트리지 홀더를 연결하는데 요구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홀더는 투여량 설정 부재 내의 다수의 핀 특징부에 정합하도록 코딩된 다수의 리지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횡방향 평면을 통해 다수의 핀 특징부(502 내지 506)를 갖는 투여량 설정 부재(5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바람직하게는, 핀 특징부(502 내지 506)는 핀 특징부(502 내지 506) 사이의 간격이 또한 비대칭이 되도록 비대칭으로 성형되고 그리고/또는 배열된다. 그 결과, 카트리지 홀더는 대응 투여량 설정 부재(또는 대응 투여량 설정 부재의 그룹 중 하나) 내에 초기에 삽입될 때, 실질적으로 간극(508 내지 512)을 충전하는(즉,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리지 특징부로 코딩될 수 있다. 이러한 리지 특징부로 카트리지 홀더를 코딩함으로써, 사용자는 투여량 설정 부재(500)에 카트리지 홀더를 연결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특정 위치에 카트리지 홀더 및 투여량 설정 부재(500)를 정렬하도록 요구될 수 있고, 이는 핀들이 원주 주위에 대칭으로 배열되는 시스템에 대해 코딩 조합의 수를 증가시킨다.
도 6은 특정 투여량 설정 부재(602)에 카트리지 홀더(600)를 전용하는 것을 돕기 위한 체결구 및 코딩 특징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홀더(6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카트리지 홀더(600)는 숄더(606) 및 근위 단부를 갖는다. 카트리지 홀더(600)는 카트리지 홀더(600)가 리지 특징부가 아닌 투여량 설정 부재(602) 상의 핀 특징부(628)에 정합하도록 코딩된 핀 특징부(616)를 이용하는 것 이외에, 카트리지 홀더(300)에 구조가 일반적으로 유사하다. 핀 특징부(616)는 카트리지 홀더(600)의 커넥터부의 원통형 외부벽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특징부(616)는 투여량 설정 부재(602)의 핀 특징부(628)에 정합하도록 코딩된다. 이 실시예에서, 핀 특징부(628)의 반경방향 크기는 핀 특징부(616)의 반경방향 크기에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연결될 때, 제 1 핀의 축방향 표면(630), 나선방향 표면(632) 및 회전방향 표면(634)은 핀 특징부(628)의 축방향 표면(640), 나선방향 표면(642) 및 회전방향 표면(644)과 각각 동일 높이로 위치되어, 카트리지 홀더(600)를 투여량 설정 부재(602)에 고정하는 것을 돕는다.
도 7은 카트리지 홀더(700)가 서로로부터 축방향으로 오프셋된 핀 특징부(728a, 728b)[더 구체적으로는, 핀 특징부(728a, 728b)는 나선방향으로 오프셋되는데, 즉 서로로부터 축방향으로 그리고 회전방향으로 오프셋됨]를 갖는 투여량 설정 부재(702)에 카트리지 홀더(700)를 전용하는 것을 돕기 위한 코딩 특징부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카트리지 홀더(700)는 리지 특징부(716a, 716b)를 포함한다. 리지 특징부(716a, 716b)는 카트리지 홀더의 직경을 가로질러 대칭이고, 따라서 실시예는 리지 특징부(716a)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리지 특징부(716a)의 설명은 리지 특징부(716b)에 동등하게 적용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리지 특징부(716a)는 원위 에지 및 근위 에지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근위 에지는 원위 에지의 제 1 축방향 표면(732)에 일반적으로 평행하지만 그보다 더 짧은 축방향 크기를 갖는 제 1 축방향 표면(722)을 포함한다. 근위 에지는 원위 에지의 나선방향 표면(734)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나선방향 표면(724)을 또한 포함한다. 원위 에지는 이어서 회전방향 표면(737)을 포함하지만, 회전방향 표면은 근위 에지 상에 필수적이지는 않다. 또한, 근위 에지는 원위 에지의 제 2 축방향 표면(736)에 일반적으로 평행하지만 그보다 더 긴 축방향 크기를 갖는 제 2 축방향 표면(726)을 포함한다.
리지 특징부(716a)는 투여량 설정 부재(702) 상의 핀 특징부(728a, 728b)의 쌍에 정합하도록 코딩된다. 투여량 설정 부재(702)의 핀 특징부의 쌍은 서로로부터 나선방향으로 오프셋된 원위 핀 특징부(728a) 및 근위 핀 특징부(728b)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홀더(700)는 연결부(709)의 근위 단부를 따라 위치된 코딩 특징부(738, 740)를 또한 포함한다. 코딩 특징부(738)는 원위 에지의 축방향 표면(732)과 코딩 특징부(738) 사이에 게이트(742)를 형성하도록 배열되고, 코딩 특징부(740)는 근위 에지의 축방향 표면(722)과 코딩 특징부(740) 사이에 게이트(744)를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각각의 게이트(742, 744)는 핀 특징부(728a, 728b)의 원주방향 크기에 적어도 동일한 원주방향 크기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홀더(700)는 따라서 이하의 동작, (1) 게이트(742, 744)가 핀 특징부(728a, 728b)와 정렬되도록 카트리지 홀더를 이동시키고 이어서 핀 특징부(728a)가 리지 특징부(716a)의 원위 에지의 제 1 축방향 표면(732)을 따라 축방향으로 안내되고 핀 특징부(728b)는 근위 에지의 제 1 축방향 표면(722)을 따라 축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축방향으로 카트리지 홀더(700)를 이동시키는 것과, (2) 핀 특징부(728a)가 원위 에지의 나선방향 표면(734)을 따라 나선방향으로 안내되고 핀 특징부(728b)는 근위 에지의 나선방향 표면(724)을 따라 나선방향으로 안내되도록 나선방향으로 카트리지 홀더(700)를 이동시키는 것을 수행함으로써 투여량 설정 부재(702)에 연결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원위 단부(750)가 카트리지 홀더의 근위 숄더(751)에 접촉할 때, 카트리지 홀더는 핀 특징부(728a)가 원위 에지의 제 2 축방향 표면(736)에 접촉할 때까지 회전되고, 이에 의해 추가의 이동 및 카트리지 홀더(700)를 투여량 설정 부재(702)에 고정하는 것을 방지한다.
게이트(742, 744)는 카트리지 홀더(700)를 투여량 설정 부재(702)에 연결하기 위해 이들 게이트가 핀 특징부(728a, 728b)를 각각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이와 같이, 리지 특징부(716a) 및 코딩 특징부(738, 740)는 카트리지 홀더 내의 약물과 함께 사용을 위해 의도된 투여량 설정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게이트를 생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핀 특징부(728a, 728b)는 동일한 크기이고, 따라서 게이트(742, 744)는 또한 동일한 크기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핀 특징부(728a, 728b)는 크기가 상이할 수 있고, 따라서 코딩 특징부(742, 744)는 핀 특징부에 정합하도록 크기가 또한 상이한 게이트를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리지(734)의 단면 크기 및/또는 형상은 변경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핀(728a)을 게이트(744)와 부주의하게 정렬하면, 카트리지 홀더를 조립하는 것이 불가능할 것이다. 이 에러를 방지하기 위해, 핀(728a)은 예를 들어 큰 원주방향 크기를 갖고 게이트(744)보다 크게 제조될 수 있다.
도 8은 2개의 리지 특징부(816a, 816b)를 갖는 카트리지 홀더(800)를 사용하여 조립 에러를 방지하기 위한 대안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커넥터부(809)의 외부 원통형 벽 상에서, 리지 특징부(816a)는 리지 특징부(816b)에 직접 대향한다[즉, 리지 특징부(816a, 816b)는 커넥터부(809)의 직경을 가로질러 대칭임]. 이와 같이, 리지 특징부(816a)의 원위 에지(812)와 리지 특징부(816b)의 근위 에지(814) 사이의 원주방향 크기(CE1)는 리지 특징부(816a)의 근위 에지와 리지 특징부(816b)의 원위 에지 사이의 원주방향 크기에 동일하다.
리지 특징부(816a, 816b)의 이 배열은 투여량 설정 부재(802) 상의 타원형 핀 특징부(828a, 828b, 828c)에 정합하도록 코딩된다. 핀의 길이는 리지 특징부가 핀(828a, 828c) 사이에 끼워지게 하는데 불충분한 공간이 존재하도록 이루어지는데, 핀(828a, 828c)은 또한 부정확한 조립을 방지하도록 함께 결합될 수도 있다. 핀(828a, 828b) 사이의 원주방향 크기는 리지 특징부(816a)의 근위 단부의 원주방향 크기에 유사하다. 따라서, 카트리지 홀더(800)가 초기에 투여량 설정 부재(802) 내에 삽입되고 핀 특징부(828a, 828b)가 리지 특징부(816a)에 결합될 때, 카트리지 홀더(800)의 회전 이동은 리지 특징부(816a)가 핀 특징부(828a, 828b) 사이에 단단히 고정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차단된다. 다른 한편으로, 사용자가 상이한 카트리지 홀더를 위해 의도된 투여량 설정 부재 내에 카트리지 홀더(800)(도 8에 도시됨)를 삽입하려고 시도하면, 코딩은 조립을 방지할 수 있고 또는 조립체는 정확하게 기능하기에는 너무 느슨해질 수 있다. 이는 이들이 정확한 투여량 설정 부재 또는 카트리지 홀더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사용자에게 지시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투여량 설정 부재에 대한 카트리지 홀더의 코딩은 리지 특징부 또는 핀 특징부(카트리지 홀더 또는 투여량 설정 부재 상의)를 배열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어, 카트리지 홀더 및 투여량 설정 부재가 적절하게 연결될 때 리지 또는 핀 특징부가 대응 멈춤쇠 내에 잠금되게 된다. 도 9는 투여량 설정 부재(900)가 연결 중에 카트리지 조립체(904)를 따른 경로(902)를 따르는 돌출 멈춤쇠(901)를 갖는 이러한 잠금 코딩 특징부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a는 3개의 상이한 약물을 각각 수납하는 집합체 내의 3개의 상이한 카트리지 조립체 상에서 사용을 위한 체결구 코딩 특징부를 도시한다. 도 9b는 체결 중에 카트리지 홀더 상의 돌출부의 경로를 도시한다. 멈춤쇠(901)는 최종적으로 카트리지 조립체 상의 멈춤쇠(903) 상에 스냅 연결되어, 2개의 부분을 함께 잠금한다. 따라서, 카트리지 홀더가 비호환성 투여량 설정 부재에 연결되면, 이는 적소에 잠금되지 않을 수 있고(즉, 느슨해질 수 있음) 또는 그 이동은 완전히 연결되기 전에 차단될 것이다(예를 들어, 카트리지 홀더의 숄더에 접촉하는 투여량 설정 부재의 원위 단부에 앞서). 또한, 스프링이 투여량 설정 부재 내에 합체될 수 있어 적절하게 연결되지 않을 때 투여량 설정 부재의 외부로 카트리지 홀더를 압박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카트리지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배향에서 특히 투여량 설정 부재에 끼워질 수 있다. 카트리지 조립체가 하나 이상의 배향으로 끼워지면, 코딩 조합의 수는 증가될 수 있다. 이는 체결구(예를 들어, 핀)에 일체인 하나 이상의 코딩 특징부가 축 주위에서 비대칭 위치 또는 크기를 갖거나, 특징부들 중 하나가 고유하면, 예를 들어 모든 다른 것들보다 작은 오목부이면 성취될 수 있다. 코딩은 하나 초과의 차원에서 크기 또는 위치에 의존할 수 있다. 이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도 10a 및 도 10b는 하나 초과의 차원에서 코딩 특징부의 크기 또는 위치의 편차를 도시한다. 도 11a는 그 원주방향 크기 및 축방향 위치에 의해 코딩된 핀을 도시하고, 도 11b는 큰 원주방향 크기 및 작은 반경방향 크기를 갖는 핀에 정합하도록 의도된 홈에 부정확하게 정합된 작은 원주방향 크기 및 큰 반경방향 크기를 갖는 핀을 도시한다. 상이한 약물의 집합체를 위한 코딩 시스템은 그 각각이 하나의 차원에서 더 작고 시스템 내의 모든 다른 특징부보다 다른 차원에서 큰 각각의 약물을 위한 상이한 체결 특징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은 원주방향 크기를 갖는 핀은 더 넓은 핀을 위한 공간에 적합될 것이지만, 더 큰 축방향 크기를 가지면, 이는 회전하지 않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작은 원주방향 크기를 갖는 핀은 큰 반경방향 크기를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카트리지 조립체는 잘못된 디바이스 내에 삽입될 수 없다. 각각의 특징부는 다른 것들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코딩 조합의 수를 증가시키고, 게다가 체결 특징부는 종축을 따라 볼 때 서로에 대해 비대칭 위치 또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모든 핀은 투여량 설정 부재 상에 있고, 핀은 카트리지 조립체 상에 동등하게 일 수 있고, 또는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핀은 카트리지 조립체 상에 있을 수 있고 나머지는 투여량 설정 부재 상에 있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카트리지 조립체는 홈을 따라 안내되는 핀에 의해 투여량 설정 부재에 체결될 수 있고, 여기서 핀은 투여량 설정 부재 상의 카트리지 홀더 및 홈 상에 위치될 수 있고 또는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체결구 조립체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핀 및 홈은 정합하도록 구성되고, 따라서 잘못된 카트리지 조립체를 잘못된 투여량 설정 부재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2는 카트리지 홀더의 체결구에 일체인 코딩 특징부가 관형 부재의 내부 원통형 표면 상에 위치되어 있는 배열을 도시한다.
또 다른 대안적인 또는 부가적인 방법은 체결구에 일체인 코딩 특징부가 나사산이고 상이한 나사산 유형이 카트리지 조립체의 집합체 내의 각각의 상이한 약물을 위해 사용될(또는 정합될) 수 있는 경우이다. 하나의 이러한 예는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나사산의 경우에, 코딩 특징부는 골에 대한 상이한 원주방향 크기를 각각 갖는 나사산의 마루일 수 있고 또는 나사산의 회전부는 원주 주위로 불균일하게 이격될 것이다. 다른 예에서, 작은 원주방향 크기를 갖는 나사산이 더 넓은 나사산을 위한 간격에 적합될 수 있지만, 더 큰 축방향 크기를 갖는 경우에 이는 회전하지 않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작은 원주방향 크기를 갖는 나사산은 큰 반경방향 크기를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카트리지 조립체는 디바이스 내에 삽입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코딩 특징부(예를 들어, 리지 특징부 및 핀 특징부)는 예를 들어 전기 센서 또는 광학 센서, 마이크로스위치, 광학 스위치, 자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검증 특징부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 홀더가 정확한 투여량 설정 부재에 연결될 때, 코딩 특징부의 에지 상의(카트리지 홀더 및/또는 투여량 설정 부재 상의) 스위치는 트리거링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투여량 설정 부재 상의 센서는 카트리지 홀더의 코딩 특징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는 적절하게 연결될 때 단지 카트리지 홀더 상의 코딩 특징부와 정렬되도록(따라서, 검출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그램 가능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스위치가 트리거링되거나 센서가 정렬될 때까지 불능화되어, 약물의 부정확한 투여를 방지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카트리지 홀더 및 투여량 설정 부재는 다수의 상이한 코딩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돕는다. 따라서, 제안된 코딩 특징부에 의해, 다수의 약물이 서로로부터 구별될 수 있다. 게다가, 제안된 코딩 특징부에 의해, 사용자가 상이한 카트리지를 위해 설계된 카트리지 홀더 내에 부정확한 저장조를 장전하려고 시도하면, 사용자는 조립 프로세스의 조기 스테이지에 경고될 것이다. 특히, 개별 카트리지 조립체 및 개별 투여량 설정 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제공된 카트리지 조립체와 투여량 설정 부재의 집합체에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조립체가 잘못된 투여량 설정 부재와 함께 조립되어 이것이 의도된 정확한 양 또는 약물 이외의 부정확한 양의 약물 또는 약물을 전달하는 전달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설명되었다. 일반적으로 카트리지 홀더 상의 리지 특징부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성 및 구조적 양태는 투여량 설정 부재 상의 리지 특징부와 관련하여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고, 카트리지 홀더 상의 핀 특징부에 대해 그 반대도 마찬가지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나,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변경 및 수정이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들 배열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약물 전달 디바이스 11: 카트리지 캐비티
12: 투여량 설정 부재 13: 원위 단부
14: 카트리지 홀더 15: 근위 단부
16: 캡 17: 투여량 설정기
18: 정지부 20: 카트리지
21: 밀봉부 22: 관형 배럴
24: 금속 슬리브 26: 약물
28: 스토퍼 32: 근위 단부
70: 원위 단부 300: 카트리지 홀더
302: 투여량 설정 부재 306: 숄더
308: 원위 단부 309: 부분
310: 근위 단부 314: 벽
316: 리지 특징부 320: 제 1 축방향 표면
322: 제 1 나선방향 표면 324: 회전방향 표면
325: 제 2 나선방향 표면 326: 제 2 축방향 표면
328: 핀 특징부 330: 축방향 표면
332: 나선방향 표면 334: 회전방향 표면
340, 342: 나선방향 표면
402, 404, 406, 408, 410, 412, 420, 422 내지 428: 코딩 특징부
500: 투여량 설정 부재 502 내지 506: 핀 특징부
508 내지 512: 간극 600: 카트리지 홀더
602: 투여량 설정 부재 606: 숄더
610: 근위 단부 616: 핀 특징부
628: 핀 특징부 630: 축방향 표면
632: 나선방향 표면 634: 회전방향 표면
640: 축방향 표면 642: 나선방향 표면
644: 회전방향 표면 700: 카트리지 홀더
702: 투여량 설정 부재 709: 연결부
716a, 716b: 리지 특징부 722: 제 1 축방향 표면
724: 나선방향 표면 726: 제 2 축방향 표면
728a, 728b: 핀 특징부 732: 제 1 축방향 표면
734: 나선방향 표면 736: 제 2 축방향 표면
737: 회전방향 표면 738, 740: 코딩 특징부
742, 744: 게이트 750: 원위 단부
751: 근위 숄더 800: 카트리지 홀더
802: 투여량 설정 부재 809: 커넥터부
812: 원위 에지 814: 근위 에지
816a, 816b: 리지 특징부 828a, 828b, 828c: 핀 특징부
900: 투여량 설정 부재 901: 돌출 멈춤쇠
902: 경로 903: 멈춤쇠
904: 카트리지 조립체
12: 투여량 설정 부재 13: 원위 단부
14: 카트리지 홀더 15: 근위 단부
16: 캡 17: 투여량 설정기
18: 정지부 20: 카트리지
21: 밀봉부 22: 관형 배럴
24: 금속 슬리브 26: 약물
28: 스토퍼 32: 근위 단부
70: 원위 단부 300: 카트리지 홀더
302: 투여량 설정 부재 306: 숄더
308: 원위 단부 309: 부분
310: 근위 단부 314: 벽
316: 리지 특징부 320: 제 1 축방향 표면
322: 제 1 나선방향 표면 324: 회전방향 표면
325: 제 2 나선방향 표면 326: 제 2 축방향 표면
328: 핀 특징부 330: 축방향 표면
332: 나선방향 표면 334: 회전방향 표면
340, 342: 나선방향 표면
402, 404, 406, 408, 410, 412, 420, 422 내지 428: 코딩 특징부
500: 투여량 설정 부재 502 내지 506: 핀 특징부
508 내지 512: 간극 600: 카트리지 홀더
602: 투여량 설정 부재 606: 숄더
610: 근위 단부 616: 핀 특징부
628: 핀 특징부 630: 축방향 표면
632: 나선방향 표면 634: 회전방향 표면
640: 축방향 표면 642: 나선방향 표면
644: 회전방향 표면 700: 카트리지 홀더
702: 투여량 설정 부재 709: 연결부
716a, 716b: 리지 특징부 722: 제 1 축방향 표면
724: 나선방향 표면 726: 제 2 축방향 표면
728a, 728b: 핀 특징부 732: 제 1 축방향 표면
734: 나선방향 표면 736: 제 2 축방향 표면
737: 회전방향 표면 738, 740: 코딩 특징부
742, 744: 게이트 750: 원위 단부
751: 근위 숄더 800: 카트리지 홀더
802: 투여량 설정 부재 809: 커넥터부
812: 원위 에지 814: 근위 에지
816a, 816b: 리지 특징부 828a, 828b, 828c: 핀 특징부
900: 투여량 설정 부재 901: 돌출 멈춤쇠
902: 경로 903: 멈춤쇠
904: 카트리지 조립체
Claims (16)
- 전달 디바이스(10)의 패밀리(family)를 구성하기 위해, 집합체의 특정하게 정합된 투여량 설정 부재(12)에 상이한 약물들(26)을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코딩된(coded) 체결구(316, 328, 402 내지 428)를 각각 갖는 복수의 카트리지 조립체들(14, 20)을 포함하는 집합체로서,
2개 이상의 카트리지 조립체들을 포함하고, 제 1 카트리지 조립체는
a) 제 1 약물, 및
b) 상기 제 1 약물에 고유하고 상기 제 1 약물을 분배하도록 구성된 제 1 투여량 설정 부재 상의 체결구 상의 상보형 코딩 특징부에 결합하도록 특정하게 코딩된 제 1 코딩 특징부를 포함하는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코딩 특징부는 제 2 약물을 수납하는 상기 집합체 내의 제 2 카트리지 조립체 상의 체결구 상의 제 2 코딩 특징부와는 상이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약물들은 상이하고, 상기 제 2 카트리지 조립체는 제 1 투여량 설정 부재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이에 의해 상기 제 1 투여량 설정 부재가 상기 제 2 약물을 투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집합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약물들과는 상이한 제 3 카트리지 조립체 내에 수납된 제 3 약물에 고유한 제 3 코딩 특징부를 포함하는 체결구(316, 328, 402 내지 428)를 갖는 제 3 카트리지 조립체(14, 2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3 카트리지 조립체는 전달 디바이스들의 패밀리 내의 다른 투여량 설정 부재들과는 상이한 제 3 투여량 설정 부재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집합체.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체 내의 카트리지 조립체들(14, 20)의 모든 체결구들(316, 328, 402 내지 428)은 나사산들, 핀들 및 홈들, 핀 및 리지(ridge)들, 베이어닛(bayonet), 스냅 끼워맞춤 및 멈춤쇠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동일한 유형을 갖고, 각각의 체결구 상의 각각의 코딩 특징부는 상기 집합체 내의 카트리지 조립체들 상의 다른 체결구들 상의 모든 다른 코딩 특징부들과는 상이한 집합체.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체 내의 카트리지 조립체들(14, 20)의 각각의 체결구(316, 328, 402 내지 428)는 상이한 유형이고, 나사산들, 핀 들 및 홈들, 핀들 및 리지들, 베이어닛, 스냅 끼워맞춤 및 멈춤쇠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체결구 상의 각각의 코딩 특징부는 상기 집합체 내의 카트리지 조립체들 상의 다른 체결구들 상의 모든 다른 코딩 특징부들과는 상이한 집합체.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조립체들(14, 20)의 집합체 내의 각각의 체결구(316, 328, 402 내지 428)는 2개 이상의 코딩 특징부들을 갖는 집합체.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조립체들(14, 20)의 집합체 내의 각각의 체결구(316, 328, 402 내지 428)의 각각의 코딩 특징부는 리지 특징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합체 내의 모든 상기 투여량 설정 부재들(12) 상의 모든 상보형 코딩 특징부들은 상기 리지 특징부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핀 특징부를 포함하는 집합체.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조립체들(14, 20)의 집합체 내의 각각의 체결구(316, 328, 402 내지 428)의 각각의 코딩 특징부는 상기 집합체 내의 모든 상기 투여량 설정 부재들(12) 상의 모든 상보형 코딩 특징부들 상에 위치된 핀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집합체.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조립체들(14, 20)의 집합체 내의 각각의 체결구(316, 328, 402 내지 428)의 각각의 코딩 특징부는 한 쌍의 핀들을 포함하고, 상기 투여량 설정 부재 상의 상보형 코딩 특징부는 리지 특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들은 서로로부터 축방향으로 오프셋되는 집합체.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조립체들(14, 20)의 집합체 내의 각각의 체결구(316, 328, 402 내지 428)는 나사산을 포함하고, 각각의 체결구의 각각의 코딩 특징부는 특정 약물(26)에 고유한 상이한 피치, 회전부(turn)들의 수 또는 나사산들의 각도를 갖는 집합체.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조립체들(14, 20)의 집합체 내의 각각의 체결구(316, 328, 402 내지 428)의 각각의 코딩 특징부는 적어도 하나의 핀을 포함하고, 상기 집합체 내의 모든 상기 투여량 설정 부재들 상의 모든 상보형 코딩 특징부들은 상보형 핀 특징부를 포함하는 집합체.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조립체들(14, 20)의 집합체 내의 각각의 체결구(316, 328, 402 내지 428)는 멈춤쇠에 대한 상기 체결구의 위치에 의해 코딩되는 집합체.
-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카트리지 조립체(14, 20)는 관형 부재(11, 22)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약물은 상기 관형 부재 내에 제공되어 있는 집합체.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트리지 조립체(14, 20)의 체결구는 상기 관형 부재(11, 22)의 근위 단부에 제공되는 집합체.
-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11, 22)는 원통형 내부면 및 원통형 외부면을 갖고, 상기 체결구(316, 328, 402 내지 428)는 상기 원통형 내부면 또는 상기 원통형 외부면 상에 제공되는 집합체.
-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전달 디바이스(10)는 주사(injection) 디바이스인 집합체.
- 복수의 전달 디바이스들(10)을 포함하고, 각각의 전달 디바이스는 약물(26)을 수납하는 카트리지 조립체(14, 20)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조립체는 상기 전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연관 투여량 설정 부재(12)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전달 디바이스들의 투여량 설정 부재들 및 카트리지 조립체들은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집합체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카트리지 조립체들 및 투여량 설정 부재들은 상기 전달 디바이스들 중 하나의 카트리지 조립체가 상기 복수의 전달 디바이스들 중 다른 하나의 투여량 설정 부재에 연결되지 않도록 그리고 상기 전달 디바이스들 중 하나의 투여량 설정 부재가 상기 전달 디바이스들 중 다른 하나의 카트리지 조립체에 연결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패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32728310P | 2010-04-23 | 2010-04-23 | |
US61/327,283 | 2010-04-23 | ||
EP10171169.5 | 2010-07-29 | ||
EP10171169 | 2010-07-29 | ||
PCT/EP2011/056481 WO2011131782A2 (en) | 2010-04-23 | 2011-04-21 | Coded fastener assembl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2421A true KR20130092421A (ko) | 2013-08-20 |
Family
ID=43216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30561A Withdrawn KR20130092421A (ko) | 2010-04-23 | 2011-04-21 | 코딩된 체결구 조립체 |
Country Status (15)
Country | Link |
---|---|
US (1) | US9180254B2 (ko) |
EP (1) | EP2560707B1 (ko) |
JP (1) | JP2013524908A (ko) |
KR (1) | KR20130092421A (ko) |
CN (1) | CN102946928B (ko) |
AU (1) | AU2011244236B2 (ko) |
BR (1) | BR112012027219A2 (ko) |
CA (1) | CA2796790A1 (ko) |
IL (1) | IL222528A0 (ko) |
MX (1) | MX2012012323A (ko) |
NZ (1) | NZ603119A (ko) |
RU (1) | RU2567591C2 (ko) |
SG (1) | SG184501A1 (ko) |
WO (1) | WO2011131782A2 (ko) |
ZA (1) | ZA201207321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476210B1 (en) | 2002-02-11 | 2008-09-24 | Antares Pharma, Inc. | Intradermal injector |
WO2006079064A1 (en) | 2005-01-24 | 2006-07-27 | Antares Pharma, Inc. | Prefilled needle assisted jet injector |
US9144648B2 (en) | 2006-05-03 | 2015-09-29 | Antares Pharma, Inc. | Injector with adjustable dosing |
US8251947B2 (en) | 2006-05-03 | 2012-08-28 | Antares Pharma, Inc. | Two-stage reconstituting injector |
ES2548447T3 (es) | 2008-03-10 | 2015-10-16 | Antares Pharma, Inc. |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inyector |
AU2009279719B2 (en) | 2008-08-05 | 2015-07-23 | Antares Pharma, Inc. | Multiple dosage injector |
JP5732039B2 (ja) | 2009-03-20 | 2015-06-10 | アンタレス・ファーマ・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危険有害性薬剤の注入システム |
USD823459S1 (en) * | 2009-12-15 | 2018-07-17 | Shl Group Ab | Medical injector |
HUE036604T2 (hu) * | 2011-03-25 | 2018-07-30 | Sanofi Aventis Deutschland | Gyógyszerbejuttató eszköz |
US8496619B2 (en) | 2011-07-15 | 2013-07-30 | Antares Pharma, Inc. | Injection device with cammed ram assembly |
US9220660B2 (en) | 2011-07-15 | 2015-12-29 | Antares Pharma, Inc. | Liquid-transfer adapter beveled spike |
EP2822618B1 (en) | 2012-03-06 | 2024-01-10 | Antares Pharma, Inc. | Prefilled syringe with breakaway force feature |
CA2868500C (en) | 2012-04-06 | 2020-04-21 | Antares Pharma, Inc. | Needle assisted jet injection administration of testosterone compositions |
US9364610B2 (en) | 2012-05-07 | 2016-06-14 | Antares Pharma, Inc. | Injection device with cammed ram assembly |
EP2750112A1 (de) * | 2012-12-27 | 2014-07-02 |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 Geldkassette und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Wertscheinen mit mechanischer Kodierung |
EP4349383A3 (en) | 2013-02-11 | 2024-06-19 | Antares Pharma, Inc. | Needle assisted jet injection device having reduced trigger force |
ES2742046T3 (es) | 2013-03-11 | 2020-02-12 | Antares Pharma Inc | Inyector de dosis con sistema de piñón |
WO2014165136A1 (en) | 2013-03-12 | 2014-10-09 | Antares Pharma, Inc. | Constant volume prefilled syringes and kits thereof |
CA2928557C (en) | 2013-10-24 | 2023-10-10 | Trustees Of Boston University | Infusion system for preventing mischanneling of multiple medicaments |
EP3747487A1 (en) * | 2014-10-15 | 2020-12-09 | Zealand Pharma A/S | Cartridge insertion mechanism for a fluid delivery device |
US11324886B2 (en) * | 2015-06-12 | 2022-05-10 | Carefusion 303, Inc. | Medical device with automated modality switching |
EP3319662B1 (en) | 2015-07-08 | 2023-09-13 | Trustees of Boston University | Infusion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
ES2712481T3 (es) * | 2015-07-13 | 2019-05-13 | Cti Vascular Ag | Sistema de catéter accionado hidráulica y funcionalmente integrable para tratamiento de enfermedades vasculares y no vasculares |
US10765348B2 (en) * | 2016-04-08 | 2020-09-08 | Medtronic Minimed, Inc. | Sensor and transmitter product |
BR112019013985A2 (pt) | 2017-01-06 | 2020-03-03 | Trustees Of Boston University | Sistema de infusão e componentes do mesmo |
WO2019002534A1 (en) * | 2017-06-29 | 2019-01-03 | Ascendis Pharma A/S | AUTO-INJECTOR WITH REPLENISHMENT EMPLOYMENT SUPPORT |
CA3146964A1 (en) | 2019-07-16 | 2021-01-21 | Beta Bionics, Inc. | Ambulatory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
WO2021069284A1 (en) * | 2019-10-08 | 2021-04-15 | Haselmeier Ag | Keyed connectors for medicament delivery devices |
USD1031975S1 (en) | 2020-03-10 | 2024-06-18 | Beta Bionics, Inc. | Medicament infusion pump device |
US11278661B2 (en) | 2020-03-10 | 2022-03-22 | Beta Bionics, Inc. | Infusion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
US11850402B2 (en) | 2020-07-09 | 2023-12-26 | Eli Lilly And Company | Automatic injection device with reusable portion |
EP4070832A1 (en) * | 2021-04-07 | 2022-10-12 | medmix Switzerland AG | Keyed connectors |
JP2024513256A (ja) * | 2021-04-07 | 2024-03-22 | メドミックス スウィツァランド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 薬物送達デバイス |
WO2022233756A1 (en) * | 2021-05-03 | 2022-11-10 | Sanofi | Housing components for an injection device |
US20240207523A1 (en) * | 2021-05-03 | 2024-06-27 | Sanofi | Housing Components for an Injection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U9202398A (en) | 1997-09-29 | 1999-04-23 | Becton Dickinson & Company | Injection device and drug cartridge for preventing cross-use of the device and drug cartridge |
SE0200760L (sv) * | 2002-03-14 | 2003-06-24 | Billy Nilson | Ambulatorisk membranpump |
DE602007011620D1 (de) | 2006-07-15 | 2011-02-10 | Novo Nordisk As | Medizinisches abgabesystem mit asymmetrischen kodiervorrichtungen |
EP2083888A1 (en) * | 2006-11-17 | 2009-08-05 | Novo Nordisk A/S | A medical delivery system comprising a coding mechanism between dosing assembly and medicament container |
JP5213875B2 (ja) | 2006-12-21 | 2013-06-19 | ノボ・ノルデイスク・エー/エス | 注射装置 |
SI2307079T1 (sl) * | 2008-07-15 | 2015-10-30 | Shl Group Ab, Ipr Department | Naprava za dajanje zdravila |
-
2011
- 2011-04-21 US US13/642,076 patent/US9180254B2/en active Active
- 2011-04-21 CA CA2796790A patent/CA279679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1-04-21 RU RU2012149836/14A patent/RU2567591C2/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04-21 WO PCT/EP2011/056481 patent/WO2011131782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4-21 KR KR1020127030561A patent/KR20130092421A/ko not_active Withdrawn
- 2011-04-21 MX MX2012012323A patent/MX2012012323A/es active IP Right Grant
- 2011-04-21 JP JP2013505496A patent/JP2013524908A/ja active Pending
- 2011-04-21 BR BR112012027219A patent/BR112012027219A2/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1-04-21 AU AU2011244236A patent/AU2011244236B2/en not_active Ceased
- 2011-04-21 NZ NZ603119A patent/NZ603119A/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04-21 EP EP11716249.5A patent/EP2560707B1/en active Active
- 2011-04-21 CN CN201180031063.8A patent/CN102946928B/zh active Active
- 2011-04-21 SG SG2012074688A patent/SG184501A1/en unknown
-
2012
- 2012-10-01 ZA ZA2012/07321A patent/ZA201207321B/en unknown
- 2012-10-18 IL IL222528A patent/IL222528A0/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MX2012012323A (es) | 2012-11-21 |
CN102946928B (zh) | 2015-08-26 |
CN102946928A (zh) | 2013-02-27 |
AU2011244236A1 (en) | 2012-11-08 |
EP2560707A2 (en) | 2013-02-27 |
IL222528A0 (en) | 2012-12-31 |
ZA201207321B (en) | 2013-06-26 |
RU2567591C2 (ru) | 2015-11-10 |
SG184501A1 (en) | 2012-11-29 |
JP2013524908A (ja) | 2013-06-20 |
RU2012149836A (ru) | 2014-05-27 |
US20130090602A1 (en) | 2013-04-11 |
NZ603119A (en) | 2014-08-29 |
AU2011244236B2 (en) | 2014-10-02 |
WO2011131782A3 (en) | 2011-12-29 |
EP2560707B1 (en) | 2019-11-27 |
US9180254B2 (en) | 2015-11-10 |
CA2796790A1 (en) | 2011-10-27 |
WO2011131782A2 (en) | 2011-10-27 |
BR112012027219A2 (pt) | 2016-07-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1244236B2 (en) | Coded fastener assembly | |
RU2573942C2 (ru) | Кодированный узел картриджа | |
JP6177686B2 (ja) | 共有の締結手段(fasteningmeans)を有するカートリッジアセンブリ及び薬物送達デバイス | |
JP5990535B2 (ja) | 専用カートリッジ | |
CN102917740B (zh) | 具有铰接凸缘的编码药物贮存器连接元件 | |
JP5784702B2 (ja) | 薬剤カートリッジ用のコード化キーイングインサート | |
JP6200326B2 (ja) | 用量の選択を防止するための機構 | |
JP2013524905A (ja) | カートリッジホルダ及びアラインメントインタフェース | |
JP2013524906A (ja) | 薬物送達デバイス用のコード化フェルール | |
WO2011131777A1 (en) | Coded cartridge assembly, dose setting mechanism, drug delivery system and coded drug reservoir | |
HK1182342B (en) | Coded fastener assembly | |
HK1182342A (en) | Coded fastener assembly | |
RU2575053C2 (ru) | Держатель картриджа и интерфейс совмещения | |
HK1182343A (en) | Coded cartridge assembly | |
HK1182343B (en) | Coded cartridge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2112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