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30052892A - 배터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배터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2892A
KR20130052892A KR1020110118226A KR20110118226A KR20130052892A KR 20130052892 A KR20130052892 A KR 20130052892A KR 1020110118226 A KR1020110118226 A KR 1020110118226A KR 20110118226 A KR20110118226 A KR 20110118226A KR 20130052892 A KR20130052892 A KR 20130052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battery
sealing
case
battery ce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찬
김상범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8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2892A/ko
Priority to US13/403,261 priority patent/US20130122335A1/en
Priority to JP2012040180A priority patent/JP2013105742A/ja
Publication of KR20130052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892A/ko
Priority to US15/070,764 priority patent/US10147912B2/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sea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케이스의 밀봉부 일정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접합되는 폭이 좁게 형성되는 벤트부가 형성됨으로서, 가스의 배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배터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터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BATTERY CELL, AND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직접 변환하기 위한 배터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전지내부의 가스의 배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배터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전자기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급속하게 진전됨에 따라 이들의 구동 전원으로서 사용되는 전지의 소형화 및 고용량화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 중 특히, 리튬 이차전지는 작동 전압이 3.6V 이상으로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수소 전지의 작동 전압보다 3배나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측면에서 급속하게 신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리튬 이차전지는 그것의 외형에 따라 크게 원통형 전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으로 구별되며, 전해액의 형태에 따라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그 중, 모바일 기기의 소형화 추세로 인해 두께가 얇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형태의 변형이 용이하고 제조단가가 저렴한 중량이 작은 파우치형 전지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일반적으로, 파우치형 전지는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케이스 내부에 전극조립체와 전해질이 밀봉되어 있는 전지를 말한다. 케이스에 수납되는 전극조립체는 젤리-롤형(권취형) 또는 적층형(stack형)의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파우치형 2차 전지는 전지의 작동 전위가 높기 때문에 고 에너지가 순간적으로 흐를 수 있고, 양극 물질들은 과충전 또는 단락에 의하여 화학적인 활성이 크게 증대되기 때문에 전해질과 급격히 반응하여 다량의 가스를 발생시키고, 그 결과 전지 내부의 압력이나 온도가 급격히 상승되어 전지가 폭발하는 경우에 주변 장치가 파손되거나 인체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문제점은 복수개의 전지셀들이 구비된 중대형 전지팩의 경우에 더욱 심각한 대형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중대형 전지팩은 일정 공간을 갖는 프레임 내부에 복수개의 배터리셀 또는 단위모듈들이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셀 또는 단위모듈들이 팽창됨에 따라 케이스 내부에 급격한 압력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차 전지 모듈의 안전성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별도의 부품이나 장치를 부착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전지 생산 시 추가 공정이나 설비가 필요하여 생산성 및 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떨어뜨리고 전지 생산 단가를 증가시켰다.
한국공개특허 2004-0081521은 젤리-롤형(권취형) 전극조립체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종래기술은 케이스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된 안전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종래기술은 내부의 압력이나 온도 상승에 의해 전지가 폭발하는 경우를 해결하기 위해, 압력이 증가하면 파열되어 가스가 배출되는 통로로 이용되는 안전판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내부압력이 증가하면, 케이스의 밀봉된 부분이 먼저 개방된 후, 안전판이 형성된 곳까지 응력이 전달되면서 파열되기 때문에, 파열되는 임계치의 내부압력을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파열되는 임계치의 내부압력을 집중할 수 없음으로써, 내부 압력을 견디지 못하는 상태에서도 안전판이 파열되지 않고, 전지셀이 폭발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배터리셀의 케이스가 안전하게 파열될 수 있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2004-0081521(2004.09.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배터리셀의 내부압력이 집중되는 부분을 형성하여, 전지 내부의 압력이나 온도가 급격히 상승되어 전지가 폭발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배터리셀은 제1전극부, 제2전극부분리막을 포함하는 전지부; 상기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에 각각 연장되는 제1전극탭 및 제2전극탭; 및 상기 제1전극탭 및 제2전극탭이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전극부, 제2전극부 및 분리막을 내부에 포함하여 밀봉되는 파우치 형태로, 실링부재가 도포되는 밀봉부와, 상기 밀봉부의 일정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접합되는 폭이 좁게 형성되는 벤트부를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벤트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접합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셀은 상기 케이스가 각각 상기 벤트부 형태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1홈 및 제2홈이 형성된 한 쌍의 압착부에 의해 열융착되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모듈은 상기 배터리셀이 다수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셀의 제조방법은 제1전극부, 제2전극부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지부를 제조하고, 상기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에 각각 제 1전극탭 및 제2전극탭을 용접하는 제조단계; 상기 제1전극탭 및 제2전극탭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전지부를 케이스에 수용하는 수용단계; 및 상기 케이스에서 실링부재가 도포되는 밀봉부가 제1홈 및 제2홈이 형성된 한 쌍의 압착부에 의해 열융착되어 접합되는 밀봉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밀봉단계는 상기 한 쌍의 압착부가 제1홈 및 제2홈이 서로마주보도록 상기 밀봉부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배치단계; 및 상기 한 쌍의 압착부와 상기 밀봉부가 맞닿는 부분을 열융착하여 상기 밀봉부의 일정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접합되는 폭이 좁은 벤트부를 형성하는 열융착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배터리셀은 케이스가 밀봉되는 영역에서 일정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접합되는 폭이 좁은 벤트부가 형성됨으로써, 전지 내부의 압력이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전지가 폭발하거나 발화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따른 배터리셀은 케이스의 밀봉부를 열융착하여 간편하게 벤트부를 형성함으로서,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셀은 케이스가 접합되는 영역에서 일정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접합되는 폭이 좁은 벤트부가 형성됨으로써, 전지 내부의 압력이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전지가 폭발하거나 발화하는 것에 의해 케이스가 열리는 압력을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의 제조방법에 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벤트부의 여러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부의 형성 면적에 의한 응력집
중도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1000)은 전지부(100), 제1전극탭(200) 및 제2전극탭(300), 케이스(4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전지부(100)는 케이스(4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제1전극부(110), 제2전극부(120) 및 분리막(13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 때, 분리막은 제1전극부(110), 제2전극부(120) 사이에 구비되며, 제1전극부(110), 제2전극부(120), 분리막(130)은 케이스(400)의 내부에 전해질 용액과 함께 구비된다.
제1전극탭(200) 및 제2전극탭(300)은 전원연결을 위해 케이스(4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으로서, 각각 제1전극부(110) 및 제2전극부(120)에 용접된다.
케이스(400)은 배터리셀(100)을 형성하는 기본 몸체로서, 파우치 형태로 밀봉되며, 밀봉부(410) 및 벤트부(4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밀봉부(410)는 케이스(400)의 실링부재가 도포되어 접착된 영역으로서, 밀봉부(410)에 의해 케이스(400)는 파우치 형태로 밀봉된다.
이 때, 밀봉부(410)는 실링부재의 도포에 의해 접합되거나, 실링부재가 도포된 영역을 열융착하여 접합될 수 있다.
벤트부(420)는 밀봉부(410) 영역의 폭(L410)보다 접합되는 폭(L420)이 좁게 형성되는 영역이다.
도 1에 도시된 확대도는 벤트부(420)가 형성된 영역의 측단면도로, 도 1을 참조하면, 밀봉부(410)의 일정 영역의 접합되는 폭(L410)의 길이보다 벤트부(420)가 형성된 영역의 폭(L420)이 좁게 형성된다.
즉, 벤트부(420)는 밀봉부(410)가 접합되는 영역의 폭(L410)보다 접합되는 폭(L420)이 좁은 영역으로서, 케이스(40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영역이 접합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 때, 예기치 않은 배터리 및 배터리모듈의 과충전 또는 내부 단락 등 과열에 의해 케이스(400)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면, 벤트부(420)에 응력이 집중되게 된다..
이렇게 벤트부(420)에 응력이 집중되게 되면, 벤트부(420)의 영역을 중심으로 케이스(400)가 내측에서 먼저 열리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배터리셀(1000)은 케이스(100)가 접합되는 영역에서 일정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접합되는 폭(L420)이 좁은 벤트부(420)가 형성됨으로써, 전지 내부의 압력이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전지가 폭발하거나 발화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의 제조방법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1000)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부(110), 제2전극부(120) 및 분리막(130)을 포함하는 전지부(100)를 제조하고, 제1전극부(110) 및 제2전극부(120)에 각각 제1전극탭(200) 및 제2전극탭(300)을 용접한다. 이는 전지제조단계에 해당된다.
다음으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외측으로 제1전극탭(200) 및 제2전극탭(300)을 돌출하여 전지부(100)를 케이스(400)에 수용한다. 이는 수용단계에 해당된다.
다음으로, 도 2(c)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400)의 실링부재가 도포되는 밀봉부(410)가 제1홈(510) 및 제2홈(520)이 각 일면에 형성된 한 쌍의 압착부(500)에 의해 열융착되어 접합된다. 이는 밀봉단계에 해당된다.
이 때, 밀봉단계는 배치단계와 열융착단계로 나눌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c)를 참조하면, 한 쌍의 압착부(500)의 제1홈(510) 및 제2홈(520)이 형성된 각 일면이 밀봉부(410)의 상측 및 하측에 서로 마주보며 각각 배치된다. 이는 배치단계에 해당된다.
다음으로, 도 2(d)를 참조하면, 한 쌍의 압착부(500)와 밀봉부(410)가 맞닿는 부분을 열융착하여 밀봉부(410)의 다른 영역에 비해 접합되는 일정 영역의 폭이 좁은 벤트부(420)를 형성한다. 이는 열융착단계에 해당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1000)은 케이스(400)의 밀봉부를 열융착하여 간편하게 벤트부(420)를 형성함으로서,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1000)이 다수개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벤트부의 여러 실시예이다.
도 3은 벤트부(420)가 형성된 밀봉부(410)의 측단면을 기준으로 도시된 벤트부(420)의 여러 실시예로서, 벤트부(420)는 밀봉부(410)의 일정영역에 형성되되, 밀봉부(410)의 측면을 자른 단면도를 기준으로 삼각형, 반원, 사각형, 타원형, 사다리꼴 형태로 다양하게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에서 벤트부의 형성 면적에 의한 응력집중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1000)의 벤트부(420)의 형상과 형성되는 면적의 크기에 따라, 벤트부(420)에 전달되는 응력 집중도가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벤트부(420)가 형성된 면적이 넓을수록, 응력 집중도가 높게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 면적에서 응력집중도가 높게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배터리셀(1000)은 케이스(400)가 접합되는 영역에서 일정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접합되는 폭이 좁은 벤트부(420)가 형성됨으로써, 전지 내부의 압력이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전지가 폭발하거나 발화하는 것에 의해 케이스가 열리는 압력을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본 발명의 배터리셀
100 : 전지부
110 : 제1전극부 120 : 제2전극부
130 : 분리막 200 : 제1전극탭
300 : 제2전극탭 400 : 케이스
410 : 밀봉부 420 : 벤트부
500 : 한 쌍의 압착부 510 : 제1홀
520 : 제2홀
L410 : 밀봉부의 폭 L420 : 벤트부의 폭

Claims (6)

  1. 제1전극부, 제2전극부분리막을 포함하는 전지부;
    상기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에 각각 용접되는 제1전극탭 및 제2전극탭; 및
    상기 제1전극탭 및 제2전극탭이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전극부, 제2전극부 및 분리막을 내부에 포함하여 밀봉되는 파우치 형태로, 실링부재가 도포되는 밀봉부와, 상기 밀봉부의 일정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접합되는 폭이 좁게 형성되는 벤트부를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배터리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접합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셀은
    상기 케이스가 각각 상기 벤트부 형태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1홈 및 제2홈이 형성된 한 쌍의 압착부에 의해 열융착되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셀.
  4. 제 3항에 의한, 상기 배터리셀이 다수개 적층된 배터리 모듈.
  5. 제1전극부, 제2전극부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지부를 제조하고, 상기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에 각각 제 1전극탭 및 제2전극탭을 용접하는 제조단계;
    상기 제1전극탭 및 제2전극탭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전지부를 케이스에 수용하는 수용단계; 및
    상기 케이스에서 실링부재가 도포되는 밀봉부가 제1홈 및 제2홈이 형성된 한 쌍의 압착부에 의해 열융착되어 접합되는 밀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셀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단계는
    상기 한 쌍의 압착부가 제1홈 및 제2홈이 서로마주보도록 상기 밀봉부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배치단계; 및
    상기 한 쌍의 압착부와 상기 밀봉부가 맞닿는 부분을 열융착하여 상기 밀봉부의 일정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접합되는 폭이 좁은 벤트부를 형성하는 열융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셀 제조방법
KR1020110118226A 2011-11-14 2011-11-14 배터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eased KR2013005289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226A KR20130052892A (ko) 2011-11-14 2011-11-14 배터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US13/403,261 US20130122335A1 (en) 2011-11-14 2012-02-23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JP2012040180A JP2013105742A (ja) 2011-11-14 2012-02-27 バッテリーセル、及びこれを含む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US15/070,764 US10147912B2 (en) 2011-11-14 2016-03-15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226A KR20130052892A (ko) 2011-11-14 2011-11-14 배터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892A true KR20130052892A (ko) 2013-05-23

Family

ID=48280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226A Ceased KR20130052892A (ko) 2011-11-14 2011-11-14 배터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20130122335A1 (ko)
JP (1) JP2013105742A (ko)
KR (1) KR2013005289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2537A (ko) 2014-10-10 2016-04-2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160046477A (ko) 2014-10-21 2016-04-2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160046469A (ko) 2014-10-21 2016-04-2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170107249A (ko) * 2016-03-15 2017-09-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446B1 (ko) * 2015-01-14 2021-11-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 팩
JP6376273B2 (ja) 2015-02-16 2018-08-22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
KR102593580B1 (ko) * 2015-10-23 2023-10-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6835505B2 (ja) * 2016-08-30 2021-02-24 太陽誘電株式会社 蓄電セル、外装フィルム及び蓄電モジュール
DE102021102523A1 (de) 2020-02-07 2021-08-12 Sk Innovation Co., Ltd. Batteriepack-untereinheit und batteriemodul enthaltend diese
CN113826275A (zh) * 2020-03-31 2021-12-21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封装结构
KR102779619B1 (ko) * 2020-11-09 2025-03-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 전지
CN113013545B (zh) * 2021-03-01 2023-10-27 苏州清陶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软包电池及电池模组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3483A (ja) * 1999-09-28 2001-04-06 Tokai Rubber Ind Ltd 薄型電池用袋体
JP2003132868A (ja) * 2001-10-25 2003-05-09 Mitsubishi Cable Ind Ltd シート状電池
US20030232236A1 (en) * 2002-06-14 2003-12-18 Mitchell Porter H. Battery package vent
US20050147873A1 (en) * 2004-01-07 2005-07-07 Truelove & Maclean Inc. Battery can with rupturable safety vent and method of forming
KR100684724B1 (ko) * 2005-04-26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안전장치
JP5205790B2 (ja) * 2007-04-17 2013-06-05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および電池の製造法
KR100944987B1 (ko) * 2007-12-14 2010-03-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실링부 구조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US20110123844A1 (en) * 2009-11-20 2011-05-26 Apple Inc. Pressure-relief mechanism to improve safety in lithium-polymer battery cells
KR101082196B1 (ko) * 2009-12-23 2011-11-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
JP2012069497A (ja) * 2010-09-27 2012-04-05 Fdk Corp 電気化学デバイス、および蓄電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2537A (ko) 2014-10-10 2016-04-2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160046477A (ko) 2014-10-21 2016-04-2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160046469A (ko) 2014-10-21 2016-04-2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170107249A (ko) * 2016-03-15 2017-09-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05742A (ja) 2013-05-30
US10147912B2 (en) 2018-12-04
US20130122335A1 (en) 2013-05-16
US20160197316A1 (en) 201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2892A (ko) 배터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EP3624214B1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producing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module
EP2602840B1 (en) Secondary battery pouch having improved stability, pouch-type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and medium- or large-sized battery pack
US7935436B2 (en) Rechargeable battery with gas release safety vent
KR100882915B1 (ko) 이차 전지
US8895181B2 (en) Battery module
US20230079811A1 (en) Pouch-Type Battery Cell Including Venting Member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1424003B1 (ko) 스웰링 현상을 방지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40087773A (ko) 안정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40033585A (ko) 이차전지
JP7292658B2 (ja) バスバーモジュールとその製造方法
KR102258286B1 (ko) 배터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JP5114063B2 (ja) 密閉型電池
JP7551999B2 (ja) 二次電池およびこれを含むデバイス
KR20150072236A (ko) 테라스 실링부를 포함하는 파우치의 패키징 구조 및 그 방법
KR20190032019A (ko) 벤팅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2216744B1 (ko) 배터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JP6235422B2 (ja) 二次電池
JP7673999B2 (ja) 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13132A (ko) 이차전지
KR20060111841A (ko) 원통형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58276B1 (ko) 배터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2821618B1 (ko)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13134A (ko) 이차전지
KR20220069392A (ko)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6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1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3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7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