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504A -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처리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2504A KR20130002504A KR1020110063488A KR20110063488A KR20130002504A KR 20130002504 A KR20130002504 A KR 20130002504A KR 1020110063488 A KR1020110063488 A KR 1020110063488A KR 20110063488 A KR20110063488 A KR 20110063488A KR 20130002504 A KR20130002504 A KR 201300025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premises
- load
- amount
- distribut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3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3748 Device issu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ZZUFCTLCJUWOSV-UHFFFAOYSA-N furosemide Chemical compound C1=C(Cl)C(S(=O)(=O)N)=CC(C(O)=O)=C1NCC1=CC=CO1 ZZUFCTLCJUWOS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14—Balancing the load in a network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02J3/32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the battery being on-board an electric or hybrid vehicle, e.g. vehicle to grid arrangements [V2G], power aggregation, use of the battery for network load balancing, coordinated or cooperative battery charg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5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 H02J2310/56—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 upon which the selective controlling is based
- H02J2310/58—The condition being electrica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을 포함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배전반의 내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전력 처리 방법에서 전력변환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전력 처리 방법에서 제1 차단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제1 차단기가 개방된 이후에 독립운전 모드로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제어 장치가 상위 계통 장치의 수전 전력량 감소 요청을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제어 장치가 상위 계통 장치의 전력거래 요금 단가에 따라 수전 전력량을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제어 장치가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Claims (20)
- 교류전력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거나 직류전력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변환기;
상기 교류전력 공급원 및 상기 전력변환기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력을 구내 교류전력 부하에 분배하는 교류부스;
상기 직류전력 공급원 및 상기 전력변환기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력을 구내 직류전력 부하에 분배하는 직류부스; 및
상기 구내 직류전력 부하의 요구전력량과 상기 직류전력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력량을 비교하여 상기 교류부스로 공급되는 교류전력과 상기 직류부스로 공급되는 직류전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전력변환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력 공급원은,
상위 계통 장치, 분산 교류전력 발전 장치 및 비상 발전 장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위 계통 장치의 고장여부를 판단하여 고장 발생시 개방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상위 계통 장치를 전기적으로 차단하고, 고장 복구시 투입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상위 계통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투입하는 제1 차단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차단기로부터 개방 정보를 수신하여 독립운전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차단기로부터 투입 정보를 수신하여 계통연계운전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위 계통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을 상기 구내 교류전력 부하가 사용가능한 전압으로 낮추는 변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의 제어를 받아 상기 변압기 2차측의 고장여부를 판단하여 고장 발생시 개방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상위 계통 장치를 전기적으로 차단하고, 고장 복구시 투입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상위 계통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투입하는 제2 차단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류전력 공급원은,
분산 직류전력 발전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내 직류전력 부하의 요구 전력량과 상기 분산 직류전력 발전 장치의 발전 전력을 비교하여, 상기 구내 직류전력 부하의 요구 전력량이 상기 분산 직류전력 발전 장치의 발전 전력량보다 적으면 남는 직류전력을 저장하고, 상기 구내 직류전력 부하의 요구 전력량이 상기 분산 직류전력 발전 장치의 발전 전력량보다 많으면 저장된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저장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직류전력 공급원은 상기 전력저장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투입 또는 개방 명령을 전달받아 투입 또는 개방 명령을 수행하여 상기 구내 교류전력 부하 또는 상기 구내 직류전력 부하로의 전력을 차단하거나 투입하는 제3 차단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구내 교류전력 부하는 복수의 구내 비중요 교류전력 부하를 포함하고 상기 구내 직류전력 부하는 복수의 구내 비중요 직류전력 부하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차단기는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개방 명령을 받으면 상기 복수의 구내 비중요 교류전력 부하 및 상기 복수의 구내 비중요 직류전력 부하로 공급되는 전력을 중요도가 낮은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류부스는,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전기자동차 충전단자와 연결되되,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단자를 통한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감지하면 미리 설정된 최대 수전전력량에서 현재 수전전력량을 뺀 충전 가능량을 계산하여 상기 전기자동차가 충전 가능량만큼만 충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 전력변환기, 교류부스, 직류부스 및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의 전력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가 구내 직류전력 부하의 요구전력량과 직류전력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력량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구내 직류전력 부하의 요구전력량이 상기 직류전력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력량보다 더 크면 상기 전력변환기를 통해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고 상기 구내 직류전력 부하의 요구전력량이 상기 직류전력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력량보다 더 작으면 상기 전력변환기를 통해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교류전력 공급원 및 상기 전력변환기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력을 상기 교류부스를 통해 구내 교류전력 부하에 분배하고, 상기 직류전력 공급원 및 상기 전력변환기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력을 상기 직류부스를 통해 상기 구내 직류전력 부하에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처리 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위 계통 장치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고장 발생시 제1 차단기의 개방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상위 계통 장치를 전기적으로 차단하는 단계; 및
고장 복구시 상기 제1 차단기의 투입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상위 계통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처리 방법.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고장 발생시 제1 차단기의 개방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상위 계통 장치를 전기적으로 차단하는 단계 이후에,
독립운전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장 복구시 상기 제1 차단기의 투입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상위 계통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투입하는 단계 이후에,
계통연계운전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처리 방법.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독립운전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차단기의 2차측의 주파수를 기준 주파수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 차단기의 2차측 주파수가 기준 주파수보다 크면 전력저장 장치가 전력저장 가능한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저장 장치가 전력저장이 가능하면 전력저장 장치에 전력 저장 명령을 내리고, 상기 전력저장 장치가 전력저장이 불가능하면 분산 전원 발전 장치에 출력 감소 명령을 내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처리 방법.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기의 2차측의 주파수를 기준 주파수와 비교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차단기의 2차측 주파수가 기준 주파수보다 작으면 전력저장 장치의 출력 증가가 가능한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력저장 장치의 출력 증가가 가능하면 전력저장 장치의 출력 증가 명령을 내리고 상기 전력저장 장치의 출력 증가가 불가능하면 상기 분산 전원 발전 장치의 출력 증가가 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분산 전원 발전 장치의 출력 증가가 가능하면 상기 분산 전원 발전 장치의 출력 증가 명령을 내리고, 상기 분산 전원 발전 장치의 출력 증가가 불가능하면 구내 비중요 전력 부하를 중요도가 낮은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처리 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가 상위 계통 장치로부터 수전 전력량 감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차단 가능한 구내 비중요 전력 부하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차단 가능한 구내 비중요 전력 부하가 존재하면 상기 구내 비중요 전력 부하를 차단 순서에 따라 차단하고, 차단 가능한 구내 비중요 전력 부하가 존재하지 않으면 분산 전원 발전 장치를 출력 증가 순서에 따라 출력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처리 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가 상위 계통 장치로부터 전력거래 요금 단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력거래 요금 단가에 근거하여 수전 전력량 감소가 필요한지 판단하는 단계;
수전 전력량 감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요구되는 차단 부하량을 계산하는 단계;
차단 가능한 구내 비중요 전력 부하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차단 가능한 구내 비중요 전력 부하가 존재하면 상기 요구되는 차단 부하량만큼 상기 구내 비중요 전력 부하를 차단 순서에 따라 차단하고, 차단 가능한 구내 비중요 전력 부하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요구되는 차단 부하량만큼 분산 전원 발전 장치를 출력 증가 순서에 따라 출력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처리 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직류부스를 전기자동차 충전단자와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직류부스의 전기자동차 충전단자를 통한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감지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최대 수전전력량에서 현재 수전전력량을 뺀 충전 가능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자동차가 충전 가능량만큼만 충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처리 방법. - 청구항 12 내지 19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하여 수배전반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이 구현되어 수배전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1/004766 WO2013002438A1 (ko) | 2011-06-29 | 2011-06-29 |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처리 방법 |
KR1020110063488A KR20130002504A (ko) | 2011-06-29 | 2011-06-29 |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처리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3488A KR20130002504A (ko) | 2011-06-29 | 2011-06-29 |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처리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2504A true KR20130002504A (ko) | 2013-01-08 |
Family
ID=47424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63488A Ceased KR20130002504A (ko) | 2011-06-29 | 2011-06-29 |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처리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02504A (ko) |
WO (1) | WO2013002438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74589A1 (ko) * | 2014-05-16 | 2015-11-19 | 케이씨코트렐 주식회사 |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용 배전반 |
KR102472189B1 (ko) | 2022-05-31 | 2022-11-29 | 주식회사 근우 | 딥러닝 기반의 전력관리가 가능한 수배전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092350B (zh) * | 2016-11-23 | 2021-02-23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移动电站及其控制方法和控制系统 |
KR102185020B1 (ko) * | 2018-03-09 | 2020-12-02 | 엘에스일렉트릭(주) |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배전반 내 차단기의 계통 분석 시스템 |
KR102336317B1 (ko) * | 2018-09-13 | 2021-12-07 | 엘에스일렉트릭 (주) | 전원 공급 시스템 |
EP4216391A1 (en) * | 2022-01-24 | 2023-07-26 | Abb Schweiz Ag | Power conversion system |
EP4216392A1 (en) * | 2022-01-24 | 2023-07-26 | Abb Schweiz Ag | Power conversion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64658A (ja) * | 1993-08-26 | 1995-03-10 | Hitachi Ltd | 電力変換システム |
JP3929913B2 (ja) * | 2003-03-03 | 2007-06-13 |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 電力供給システム |
JP4683091B2 (ja) * | 2008-08-07 | 2011-05-11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配電システム |
JP5360888B2 (ja) * | 2009-04-15 | 2013-12-04 | Nec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直流電源システムおよび出力制御方法 |
-
2011
- 2011-06-29 KR KR1020110063488A patent/KR20130002504A/ko not_active Ceased
- 2011-06-29 WO PCT/KR2011/004766 patent/WO2013002438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74589A1 (ko) * | 2014-05-16 | 2015-11-19 | 케이씨코트렐 주식회사 |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용 배전반 |
KR102472189B1 (ko) | 2022-05-31 | 2022-11-29 | 주식회사 근우 | 딥러닝 기반의 전력관리가 가능한 수배전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3002438A1 (ko) | 2013-0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halid et al. | Overview of technical specifications for grid-connected microgrid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s | |
Kumar et al. | DC microgrid technology: system architectures, AC grid interfaces, grounding schemes, power quality, communication networks, applications, and standardizations aspects | |
US11241975B2 (en) | Electric vehicle home microgrid power system | |
US20120019203A1 (en) | Energy storage and vehicle charg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 |
KR20130002504A (ko) |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처리 방법 | |
JP2014212659A (ja) | 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 |
Gabbar et al. | Risk-based performance analysis of microgrid topology with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 |
EP4277070A1 (en) | Microgrid | |
JP5971716B2 (ja) | 分電盤及び分散電源システム | |
CN110932350A (zh) | 一种蓄电池组在线放电系统及控制方法 | |
Gellings | Power to the people | |
Suwanapingkarl et al. | Reviews: the impacts of Electric Vehicles (EVs) and Renewable Energy Resources (REs) on the distribution power network | |
Makkieh et al. | DC Networks on the distribution level–New trend or Vision? | |
KR20240134295A (ko) | 전력 공급 조절 가능한 분산형 확장 가능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 |
JP6082610B2 (ja) | 電源システムおよび蓄電型電源装置 | |
JP2014050292A (ja) | 分散電源システム及び自立運転制御装置 | |
Emhemed et al. | Protection analysis for plant rating and power quality issues in LVDC distribution power systems | |
Gandolfi et al. | MISSION Project: Design of MV/LV hybrid AC/DC smart-energy grid | |
Lai et al. | A MILP optimization model for siting isolation devices in distribution systems with DERs to enhance reliability | |
KR20230099352A (ko) | 분산형 직류 나노그리드에서 에너지 흐름 제어 및 전압 유지 방법 | |
JP2022190765A (ja) | 充放電装置および分散電源システム | |
CN104065064B (zh) | 110千伏变电站微网控制方法 | |
Sato et al. | Mobile Vehicle to Microgrid for Emergency Distribution System Operation Considering EV SOCs | |
Wang | Feasibility and challenges in microgrids for marine vessels | |
Sato et al. | Distribution Sysem Emergency Operation using a Mobile Vehicle-to-Grid Microgri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5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115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207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