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20067445A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7445A
KR20120067445A KR1020100128832A KR20100128832A KR20120067445A KR 20120067445 A KR20120067445 A KR 20120067445A KR 1020100128832 A KR1020100128832 A KR 1020100128832A KR 20100128832 A KR20100128832 A KR 20100128832A KR 20120067445 A KR20120067445 A KR 20120067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put
touch
display unit
area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래훈
이지연
장형태
장석진
이춘재
이민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8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7445A/ko
Priority to US13/174,435 priority patent/US20120154301A1/en
Priority to EP11009739A priority patent/EP2466439A3/en
Priority to CN2011104246172A priority patent/CN102566914A/zh
Publication of KR20120067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4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터치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을 통한 제1 터치 입력과 제2 영역을 통한 제2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멀티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제1 및 제2 터치 입력이 터치한 지점을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이동시켜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터치 조작에 의해 여러 가지 동작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터치 조작에 의해 다양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양면에서 보이는 양면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전면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 변화도 요구되고 있다.
한편, 타블렛 타입(Tablet type)과 같은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의 경우, 터치스크린의 크기가 커지게 되면, 휴대 단말기를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터치스크린의 모두 영역을 터치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한 손으로 휴대 단말기를 들고 다른 손을 이용하여 터치 조작을 해야 하지만, 휴대 단말기의 크기나 무게가 커지게 되면 이와 같은 조작도 쉽지 않게 된다.
따라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양손으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터치 조작에 의해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입출력 방식과 다른 새로운 입출력 방식을 통해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양손으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터치 조작에 의해 다양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터치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을 통한 제1 터치 입력과 제2 영역을 통한 제2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멀티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터치 입력이 터치한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동작 모드를 잠금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부에서 잠금 해제를 위한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는 제1 영역을 통한 제1 터치 입력과 제2 영역을 통한 제2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멀티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기설정된 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터치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동작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을 통한 제1 터치 입력과 제2 영역을 통한 제2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멀티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및 제2 터치 입력이 터치한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및 동작 모드가 잠금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잠금 해제를 위한 영역으로 설정되는 있는 제1 영역을 통한 제1 터치 입력과 제2 영역을 통한 제2 터치 입력이 있으면, 상기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기설정된 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를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터치 조작에 의해 조작이 가능하도록 터치가능한 객체를 손가락 주변으로 이동시켜 표시하거나, 휴대 단말기를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터치 가능한 영역을 멀티터치하는 입력에 따라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터치 조작에 의해 여러 가지 동작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터치 가능한 영역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터치 가능한 객체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 그리고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잠금 상태를 해제와 관련된 과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네비게이션,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감지센서(141), 압력센서(143), 및 모션 센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141)는 휴대 단말기(100)로 접근하는 물체나, 휴대 단말기(1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감지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감지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휴대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사용환경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43)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1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145)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 특히 타블렛 컴퓨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0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모듈(153), 카메라(121), 및 사용자 입력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 측면에서 다른 사용자 입력부(미도시), 마이크(미도시), 및 인터페이스부(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사용자 입력부(13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의 입력, 문자 또는 숫자, 특수 기호 등의 입력, 동작 모드의 선택, 휴대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 등으로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0-2)의 후면에는 다른 카메라(미도시)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는데, 이때 장착되는 다른 카메라는 전면에 배치된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에 배치는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후면에 배치는 카메라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어 케이스(100-2)에는 다른 음향출력 모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100-2)에 배치되는 음향출력 모듈은 전면에 배치된 음향출력 모듈(153)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톤 케이스(100-1) 및 리어 케이스(100-2)의 일 영역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100-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0-2) 측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터치 가능한 영역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를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 등으로 화면(200)에서 터치할 수 있는 좌우 영역을 제1 및 제2 터치 가능한 영역(203, 205)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터치 가능한 영역(203) 통한 제1 및 터치 입력(207)과 제2 터치 가능한 영역(205)을 통한 제2 터치 입력(209)을 포함하는 멀티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화면(200)에 표시된 아이콘 등을 터치 가능한 영역(203, 205)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잠금 상태가 설정된 후, 제1 터치 가능한 영역(203) 통한 제1 및 터치 입력(207)과 제2 터치 가능한 영역(205)을 통한 제2 터치 입력(209)을 포함하는 멀티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터치 가능한 영역(203, 205)은 사용자에 의해 크기나 형태 등을 변경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를 회전시켜 화면의 표시 방향의 변경된 경우, 변경된 화면의 표시 방향에 따라 터치 가능한 영역(203, 205)의 위치도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메뉴나 동작 등에 대응하는 동작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300). 이때, 표시되는 동작 화면의 예로는 대기화면, 메인 메뉴 화면, 이미지나 동영상 뷰어 화면, 메시지 수신화면, 메시지 송신화면, 방송 화면, 지도화면, 웹페이지 화면 등이 있다.
동작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제1 터치 가능한 영역을 통한 제1 터치 입력과 제1 터치 가능한 영역을 통한 제2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멀티터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5).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터치 가능영역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을 위해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 등으로 터치할 수 있는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터치 입력이 동시에 입력된 경우에만 멀티터치 입력으로 인식하거나, 혹은 제1 터치 입력 후 제2 터치 입력이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경우에도 멀티터치 입력으로 인식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S305 단계의 판단 결과, 멀티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멀티터치된 지점을 중심으로 터치 가능한 객체를 이동시켜 표시한다(S310).
즉, 양손으로 휴대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으로 모든 터치 조작이 가능하도록 엄지 손가락으로 터치할 수 있는 영역으로 터치 가능한 객체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이다. 이때, 터치 가능한 객체는, 아이콘, 썸네일, 리스트에서 특정 항목 등과 같이 터치 입력에 의해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객체를 의미한다.
그리고, 터치 가능한 객체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된 경우(S315), 제어부(180)는 터치된 객체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S320).
또한, 원래 위치로 이동시키는 입력이 있는 경우(S325), 제어부(180)는 터치 가능한 객체를 원래 위치로 이동시켜 표시한다(S330). 이때, 원래 위치로 이동시키는 입력으로, 제1 터치 및 제2 터치 입력이 모두 없는 상태가 되거나, 제1 및 제2 터치 입력 중 어느 하나가 없는 상태로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동작 종료가 선택되는 경우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S335). 또한,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양손으로 휴대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로 엄지 손가락 등을 이용한 터치 조작으로 여러 가지 동작 제어를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터치 입력이나 키 입력 등이 소정 시간 동안 없거나, 혹은 사용자의 잠금 명령 등에 따라, 제어부(180)는 터치 입력이나 일반적인 키 입력에 대해 아무런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보호 상태 혹은 잠금 상태를 설정한다(S350).
잠금 상태는 일반적인 터치 입력이나 키 입력 등에 대해 아무런 동작도 수행하지 않는 상태이며, 이와 같은 잠금 상태는 전체 동작 메뉴에 대해 설정하거나 특정 동작 메뉴에 대해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전화발신, 인터넷 사용, 사생활 보호 등과 같은 특정 동작 메뉴에 대해서만 잠금 상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잠금 태가 설정되는 경우, 잠금 상태가 설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거나, 효과음이나 촉각 효과 등과 같은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잠금 상태가 설정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제1 터치 가능한 영역을 통한 제1 터치 입력과 제1 터치 가능한 영역을 통한 제2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멀티터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55).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터치 가능영역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을 위해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으로 터치할 수 있는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S355 단계의 판단 결과, 멀티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잠금상태를 해제한다(S360). 잠금 상태의 해제하는 경우에도, 잠금 상태의 해제에 대응하는 효과음이나 촉각 효과 등과 같은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잠금 상태를 해제한 후, 제어부(180)는 멀티터치 입력시 선택된 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S365).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양손으로 휴대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로 엄지 손가락 등을 이용한 멀티터치 입력으로 잠금 상태의 해제와 동시에 지정된 동작 모드로 곧바로 진입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터치 가능한 객체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메뉴 아이콘(410)이 포함된 동작 화면(400)의 표시된 상태에서, 제1 터치 가능한 영역(403)을 통한 제1 터치 입력(411) 및 제2 터치 가능한 영역(405)을 통한 제2 터치 입력(413)을 포함하는 멀티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멀티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뉴 아이콘(410)은 제1 터치 입력(411)이 입력된 지점과 제2 터치 입력(413)이 입력된 지점을 중심한 새로운 영역(417, 419)으로 이동하여 표시된다.
이와 같은 메뉴 아이콘의 이동으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메뉴 아이콘을 터치할 수 있다.
만일, 터치한 두 손가락을 모두 동작 화면(400)에서 떼면, 메뉴 아이콘들은 다시 원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한 손가락을 동작 화면(400)에서 뗀 상태로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도 메뉴 아이콘들이 다시 원래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두 손가락 중 한 손가락을 동작 화면(400)에서 떼고, 동작 화면(400)을 플리킹하는 경우 다른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메뉴 아이콘은 이동하지 않고 고정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뉴 아이콘은 다른 메뉴 아이콘과 상이한 색상이나 형태 등으로 표시하거나, 혹은 음영색이나 테두리 등을 다르게 표시하여, 다른 메뉴 아이콘과 식별가능하게 표시할 수도 있다.
도 7은 스크랩한 항목들이 펼쳐져 있는 동작 화면(420)에서 왼손 손가락으로 특정 스크랩 항목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입력(421)이 있는 상태로, 오른손 손가락으로 빈 영역을 터치하는 제2 터치 입력(423)에 따라, 제1 터치 입력된 스크랩 항목과 동일한 태그(tag)가 달린 스크랩들이 제2 터치 입력(423)이 터치된 지점으로 이동하여 표시된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터치 입력에 선택된 항목과 동일한 속성을 갖는 항목들을 다른 터치 입력에 의해 한 곳에 모아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스크랩 항목 외에 썸네일이나 아이콘, 메시지나 이메일 수신 목록이나 기타 검색이 필요한 경우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잠금 상태를 해제와 관련된 과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은 잠금 상태가 설정된 화면(500)에서 제1 터치 가능한 영역(503)을 통한 제1 터치 입력(507) 및 제2 터치 가능한 영역(505)을 통한 제2 터치 입력(509)을 포함하는 멀티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멀티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별도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을 위해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양 손가락을 제1 및 제2 터치 가능한 영역(503, 505)을 터치한 경우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터치 가능한 영역(503, 505)은 의도하지 않은 잠금 상태의 해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화면(500)의 좌우 경계 영역에서 특정 위치에 작은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가 되면, 화면(500)에서 터치 가능한 영역(503, 505)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라이트닝(lightening)과 같은 화면 효과를 터치 가능한 영역(503, 505)에 부여할 수도 있다.
도 9는 양손의 손가락으로 화면(510)에서 임의의 위치를 멀티터치하는 입력(513, 515)이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화면(510)에서 터치된 지점을 중심으로 일정 크기로 라이트닝과 같은 화면 효과(517, 519)를 표시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이러한 화면 효과(517, 519)가 표시된 영역의 크기가 점차 줄어들면서 일정 크기 이하가 되는 경우,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손의 손가락으로 화면(520)에서 임의의 위치를 멀티터치하는 입력(523, 535)이 있는 경우, 터치된 지점을 중심으로 일정 높이로 라이트닝과 같은 화면 효과(527, 529)를 표시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이러한 화면 효과(517, 519)의 높이가 작아지면서 일정 높이 이하가 되는 경우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콘이 표시된 잠금 상태의 화면(530)에서 왼손 손가락으로 특정 아이콘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입력(533) 함께 임의의 지점을 터치하는 제2 터치 입력(535)이 있는 경우에도, 터치된 지점을 중심으로 일정 높이로 라이트닝과 같은 화면 효과(537, 529)를 표시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이러한 화면 효과(537, 539)가 높이가 작아지면서 일정 높이 이하가 되는 경우 잠금 상태의 해제와 동시에 제1 터치 입력(533)에 의해 터치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로 곧바로 진입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 상태가 설정된 화면(540)에서 양손 손가락으로 화면을 터치한 후, 안쪽으로 드래그하는 입력(545, 547)에 따라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콘(560)이 표시된 잠금 상태의 화면(550)에서 왼손 손가락으로 특정 아이콘을 터치하는 제1 터치 입력(563)이 있는 경우, 터치된 아이콘에 포함되는 하위 아이콘(565)을 표시하고, 하위 아이콘(565)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는 제2 터치 입력(567)이 있는 경우, 잠금 상태의 해제와 동시에 제2 터치 입력(567)에 의해 터치된 하위 아이콘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로 곧바로 진입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4는 잠금 상태가 해제된 화면(600)을 나타낸 것이다.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자주 사용하는 메뉴나 기능에 대응하는 아이콘 등을 손가락 주변에 배치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나 기능 등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아이콘의 배치는 잠금 상태의 해제 외에 매너 모드나 비행 모드에서 해제되는 경우에도 활용할 수 있다.
도 15는 자물쇠 아이콘을 원형 밖으로 이동시키면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이 닿은 지점에서 원(623)과 자물쇠 아이콘(621)이 배치된다. 그리고, 자물쇠 아이콘(623)을 터치하는 입력(625)이 있으면,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에 아이콘들이 배치된다. 도 1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자물쇠 아이콘(621)을 특정 아이콘(627)으로 이동시키면, 잠금 상태의 해제와 함께 그 특정 아이콘(627)에 대응하는 기능을 곧바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설정된 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Claims (20)

  1. 터치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을 통한 제1 터치 입력과 제2 영역을 통한 제2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멀티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터치 입력이 터치한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메뉴 아이콘, 썸네일, 리스트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는 입력에 따라, 터치된 객체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터치 입력이 모두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원래 위치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터치 입력 중 어느 하나가 수신되지 않는 상태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원래 위치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을 통한 플리킹 입력이 있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다른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미리 설정된 객체는 표시 위치가 고정되는 곳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객체는 다른 객체와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9. 터치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동작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을 통한 제1 터치 입력과 제2 영역을 통한 제2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멀티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및 제2 터치 입력이 터치한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는 입력에 따라, 터치된 객체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메뉴 아이콘, 썸네일, 리스트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터치 입력이 모두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원래 위치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및 제2 터치 입력 중 어느 하나가 수신되지 않는 상태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원래 위치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동작 모드를 잠금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부에서 잠금 해제를 위한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는 제1 영역을 통한 제1 터치 입력과 제2 영역을 통한 제2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멀티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기설정된 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을 식별가능하게 나타내는 화면 효과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동작은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의해 터치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상태를 해제한 경우, 미리 설정된 터치 가능한 객체를 상기 제1 및 제2 터치 입력이 터치한 지점을 중심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상태의 설정 및 해제에 대응하는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9. 디스플레이부; 및
    동작 모드가 잠금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잠금 해제를 위한 영역으로 설정되는 있는 제1 영역을 통한 제1 터치 입력과 제2 영역을 통한 제2 터치 입력이 있으면, 상기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기설정된 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상태의 해제 후, 미리 설정된 터치 가능한 객체를 상기 제1 및 제2 터치 입력이 터치한 지점을 중심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00128832A 2010-12-16 2010-12-16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2006744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832A KR20120067445A (ko) 2010-12-16 2010-12-16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13/174,435 US20120154301A1 (en) 2010-12-16 2011-06-30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EP11009739A EP2466439A3 (en) 2010-12-16 2011-12-09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CN2011104246172A CN102566914A (zh) 2010-12-16 2011-12-16 移动终端及其操作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832A KR20120067445A (ko) 2010-12-16 2010-12-16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445A true KR20120067445A (ko) 2012-06-26

Family

ID=45372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832A KR20120067445A (ko) 2010-12-16 2010-12-16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154301A1 (ko)
EP (1) EP2466439A3 (ko)
KR (1) KR20120067445A (ko)
CN (1) CN10256691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1870A (ko) * 2013-01-14 2014-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아이콘 편집 방법
KR20150034236A (ko) * 2012-08-02 2015-04-02 지티이 코포레이션 스크린 해제 방법, 장치 및 단말기
KR20160027668A (ko) * 2014-09-02 201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870086B2 (en) 2013-04-18 2018-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nlocking in the electronic device
KR20230080935A (ko) * 2021-11-30 2023-06-07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터치패널 위치에 따른 터치의 편리함을 감지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99628B2 (ja) * 2011-07-15 2015-10-2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417754B2 (en) *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5816516B2 (ja) * 2011-10-24 2015-11-18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プログラム及び処理実行方法
KR101340703B1 (ko) 2011-11-25 2013-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키패드 배치장치 및 방법
CN103186750B (zh) * 2011-12-28 2017-04-12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可防盗的触摸型便携式装置及防盗方法
KR101425443B1 (ko) * 2012-05-09 2014-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파우치 및 이에 수납되는 휴대 전자기기
KR101979666B1 (ko) 2012-05-15 2019-05-17 삼성전자 주식회사 표시부에 출력되는 입력 영역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1887061B1 (ko) * 2012-06-27 2018-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196219B1 (en) 2012-07-18 2015-11-24 Amazon Technologies, Inc. Custom color spectrum for skin detection
US9697649B1 (en) * 2012-09-04 2017-07-04 Amazon Technologies, Inc. Controlling access to a device
US9218114B1 (en) 2012-09-04 2015-12-22 Amazon Technologies, Inc. Providing time-dependent items
CN102929525B (zh) * 2012-09-24 2016-03-3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屏幕解锁单元及其屏幕解锁方法以及移动通讯设备
US9167404B1 (en) 2012-09-25 2015-10-20 Amazon Technologies, Inc. Anticipating data use in a wireless device
US10114536B2 (en) * 2013-03-29 2018-10-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ctions for users from a locked device
US9444926B2 (en) 2013-04-27 2016-09-1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4125328B (zh) * 2013-04-28 2017-01-25 北京壹人壹本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消息处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9201589B2 (en) 2013-05-21 2015-12-01 Georges Antoine NASRAOUI Selection and display of map data and location attribute data by touch input
KR20150024247A (ko) * 2013-08-26 2015-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에서 다수의 입력기구를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및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WO2015029239A1 (ja) * 2013-08-30 2015-03-05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5049861A (ja) * 2013-09-04 2015-03-16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046020A4 (en) * 2013-09-11 2017-04-26 Yulong Computer Telecommunication Scientific (Shenzhen) Co. Ltd. Display method for touchscreen and terminal
USD754184S1 (en) * 2014-06-23 2016-04-19 Google Inc. Portion of a display panel with an animated computer icon
US9600177B2 (en) * 2014-07-17 2017-03-2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Electronic device with gesture display control and corresponding methods
USD795916S1 (en) 2014-08-19 2017-08-29 Google In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60132181A1 (en) * 2014-11-12 2016-05-12 Kobo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exception operation during touch screen display suspend mode
USD788788S1 (en) 2014-11-18 2017-06-06 Google In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4615365B (zh) * 2014-12-29 2017-10-31 深圳市魔眼科技有限公司 一种三维交互装置及方法
USD797786S1 (en) * 2016-02-19 2017-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9154764B (zh) * 2016-06-10 2020-11-17 富士胶片株式会社 设定装置及相机
WO2017217082A1 (ja) * 2016-06-14 2017-12-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設定装置、設定方法、設定プログラム及びカメラ
EP3671420A4 (en) 2017-09-11 2020-08-0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DEVICE FOR RESPONDING TO TOUCH OPERATIONS
WO2019047226A1 (zh) 2017-09-11 2019-03-1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触摸操作响应方法及装置
TWI809617B (zh) * 2020-12-22 2023-07-21 禾瑞亞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紙觸控板的控制方法與整合裝置及電子系統

Family Cites Families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1636A (en) * 1991-10-23 1999-10-26 Mensick; John Ergonomically improved standard keyboard
US7800592B2 (en) * 2005-03-04 2010-09-21 Apple Inc.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multiple touch sensing devices
US6909424B2 (en) * 1999-09-29 2005-06-21 Gateway Inc. Digital information appliance input device
JP4828826B2 (ja) * 2002-07-04 2011-11-3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自動的に適応可能な仮想キーボード
US7124433B2 (en) * 2002-12-10 2006-10-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assword that associates screen position information with sequentially entered characters
JP4179085B2 (ja) * 2003-07-16 2008-11-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機器
US7296233B2 (en) * 2004-05-10 2007-11-13 Microsoft Corporation Spy-resistant keyboard
US8185169B2 (en) * 2005-05-31 2012-05-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Rotarily configur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US7657849B2 (en) * 2005-12-23 2010-02-02 Apple Inc.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
KR100833862B1 (ko) * 2006-03-30 2008-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객체 표시 방법
WO2007121557A1 (en) * 2006-04-21 2007-11-01 Anand Agarawala System for organizing and visualizing display objects
US8452978B2 (en) * 2006-09-15 2013-05-28 Identity Metr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and dynamic usability of touch-screen devices
KR101144423B1 (ko) * 2006-11-16 201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US8125456B2 (en) * 2007-01-03 2012-02-28 Apple Inc. Multi-touch auto scanning
US8619038B2 (en) * 2007-09-04 2013-12-31 Apple Inc. Editing interface
US11126321B2 (en) * 2007-09-04 2021-09-21 Apple Inc. Application menu user interface
US9110590B2 (en) * 2007-09-19 2015-08-18 Typesoft Technologies, Inc. Dynamically located onscreen keyboard
KR20090036877A (ko) * 2007-10-10 2009-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프로젝션 윈도우 환경에서 기준자 기반으로오브젝트를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52994B1 (ko) * 2007-12-10 2014-01-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적응형 온 스크린 키보드 제공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TWI416399B (zh) * 2007-12-28 2013-11-21 Htc Corp 手持式電子裝置及其操作方法
KR101517967B1 (ko) * 2008-07-07 2015-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4632102B2 (ja) * 2008-07-17 2011-02-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001824B1 (ko) * 2008-10-16 2010-12-15 주식회사 팬택 터치 입력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및 휴대용 단말기
US8368658B2 (en) * 2008-12-02 2013-02-05 At&T Mobility Ii Llc Automatic soft key adaptation with left-right hand edge sensing
US20100169828A1 (en) * 2008-12-29 2010-07-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uter desktop organization via magnet icons
KR101549556B1 (ko) * 2009-03-06 2015-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37706B1 (ko) * 2009-04-16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53842B1 (ko) * 2009-04-21 2015-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햅틱 효과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23108A (ko) * 2009-05-14 2010-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아이콘 위치 이동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76292B1 (ko) * 2009-05-21 2015-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597553B1 (ko) * 2009-05-25 2016-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능 실행 방법 및 그 장치
KR101055924B1 (ko) * 2009-05-26 2011-08-09 주식회사 팬택 터치 기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US9405456B2 (en) * 2009-06-08 2016-08-02 Xerox Corporation Manipulation of displayed objects by virtual magnetism
US8451238B2 (en) * 2009-09-02 2013-05-28 Amazon Technologies, Inc. Touch-screen user interface
US20110074692A1 (en) * 2009-09-30 2011-03-31 At&T Mobility Ii Llc Devices and Methods for Conforming a Virtual Keyboard
US10101898B2 (en) * 2009-10-23 2018-10-16 Autodesk, Inc. Multi-touc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menus on a handheld device
KR101608673B1 (ko) * 2009-10-30 2016-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락 상태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EP2498172A4 (en) * 2009-11-04 2015-01-28 Nec Corp MOBI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KR101660842B1 (ko) * 2009-11-05 2016-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US8487888B2 (en) * 2009-12-04 2013-07-16 Microsoft Corporation Multi-modal interaction on multi-touch display
KR101626621B1 (ko) * 2009-12-30 2016-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20110187647A1 (en) * 2010-02-04 2011-08-04 Charles Howard Woloszynski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keyboard interactions from secondary surfaces
TWI401591B (zh) * 2010-02-11 2013-07-11 Asustek Comp Inc 可攜式電子裝置
WO2011102656A2 (en) * 2010-02-17 2011-08-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20110283241A1 (en) * 2010-05-14 2011-11-17 Google Inc. Touch Gesture Actions From A Device's Lock Screen
US20110316888A1 (en) * 2010-06-28 2011-12-29 Invensense, Inc. Mobile device user interface combining input from motion sensors and other controls
US8698764B1 (en) * 2010-06-30 2014-04-15 Amazon Technologies, Inc. Dorsal touch input
JP2012033058A (ja) * 2010-07-30 2012-02-1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120032891A1 (en) * 2010-08-03 2012-02-09 Nima Parivar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Enhanced Touch Targeting
US8402533B2 (en) * 2010-08-06 2013-03-19 Google Inc. Input to locked computing device
US8854318B2 (en) * 2010-09-01 2014-10-07 Nokia Corporation Mode switching
US20120060123A1 (en) * 2010-09-03 2012-03-08 Hugh Smith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stic control of instant-on mobile devices with touch screens
TWI441072B (zh) * 2010-09-21 2014-06-11 Altek Corp 觸控螢幕解鎖方法及其具有攝像功能之電子裝置
US8754860B2 (en) * 2010-11-05 2014-06-1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soft keyboards
US20120127069A1 (en) * 2010-11-24 2012-05-24 Soma Sundaram Santhiveeran Input Panel on a Display Device
KR101740439B1 (ko) * 2010-12-23 2017-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519418B2 (en) * 2011-01-18 2016-12-13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ulti-stage device transition mechanism initiated based on a touch gesture
US20120194457A1 (en) * 2011-01-28 2012-08-02 Bruce Cannon Identifiable Object and a System for Identifying an Object by an Electronic Device
US20120274585A1 (en) * 2011-03-16 2012-11-01 Xmg Studio, Inc. Systems and methods of multi-touch interaction with virtual objects
US8719719B2 (en) * 2011-06-17 2014-05-06 Google Inc. Graphical icon presentatio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4236A (ko) * 2012-08-02 2015-04-02 지티이 코포레이션 스크린 해제 방법, 장치 및 단말기
US9380148B2 (en) 2012-08-02 2016-06-28 Zte Corporation Screen unlocking method, device and terminal
KR20140091870A (ko) * 2013-01-14 2014-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아이콘 편집 방법
US9870086B2 (en) 2013-04-18 2018-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nlocking in the electronic device
KR20160027668A (ko) * 2014-09-02 201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733754B2 (en) 2014-09-02 2017-08-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30080935A (ko) * 2021-11-30 2023-06-07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터치패널 위치에 따른 터치의 편리함을 감지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54301A1 (en) 2012-06-21
EP2466439A2 (en) 2012-06-20
CN102566914A (zh) 2012-07-11
EP2466439A3 (en)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1302B1 (ko) 제스쳐 입력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67445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3561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2630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6824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9415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5754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3385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8971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5754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2049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10008939A (ko) 원형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0577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31643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4455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3999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8971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05175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34835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71613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3681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90363B1 (ko) 멀티뷰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5817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0864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80114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