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00131234A -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1234A
KR20100131234A KR1020090050028A KR20090050028A KR20100131234A KR 20100131234 A KR20100131234 A KR 20100131234A KR 1020090050028 A KR1020090050028 A KR 1020090050028A KR 20090050028 A KR20090050028 A KR 20090050028A KR 20100131234 A KR20100131234 A KR 20100131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hield member
terminal
housing
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재형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0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1234A/ko
Publication of KR20100131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2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01R13/6583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with separate conductive resilient members between mating shield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7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contact of th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내부에 제1터미널(30)이 구비되는 제1커넥터(S)와, 상기 제1커넥터(S)와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1터미널(30)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터미널(70)이 구비되는 제2커넥터(P)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커넥터(S)와 제2커넥터(P)에는 각각 상기 제1터미널(30) 및 제2터미널(70)을 감싸는 금속재질의 제1쉴드부재(40) 및 제2쉴드부재(80)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쉴드부재(40),(80)는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S,P)의 결합과정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쉴드부재(40)의 일단은 상기 회로기판에 접지됨으로써, 커넥터의 동작과정에서 전자방해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LVDS커넥터, 전자방해, 쉴드부재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판 디스플레이 등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LVDS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커넥터하우징과 터미널로 구성되며, 세탁기, 냉장고 또는 자동차 등의 전원회로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전기 전자 기기에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면 복수의 부품을 개별로 조립하여 그 후 최종 제품에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기기 제조뿐 아니라, 유지보수작업을 대폭 간소화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최근에는 자동차의 전자장치를 비롯한 전기제품의 회로가 복잡해지면서, 커넥터를 이용한 신호의 전송량 역시 커지게 되고, 전송 속도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평판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는 동일한 시간 동안의 영상 재생 빈도 수(hz)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고, 이에 따라 커넥터를 통한 충분한 전송속도 및 전송량이 확보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서, 최근에는 저전압차분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ling, LVDS)를 이용한 커넥터가 개발되고 있다. 저전압차분신호라 함은 표준 전압인 5V 대신에 3.3V나 또는 1.5V를 사용한 신호전달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드와 패널 사이에서 보다 적은 수의 전선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컴퓨터나 평판디스플레이에서 기존의 FPC나 FFC커넥터를 대체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LVDS기술은 데이터 출력 횟수를 줄여 커넥터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최근에 개발되는 전자장치의 경우에는 고속/고용량의 전기신호로 인해 전자방해(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가 많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전자장치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 어셈블리에 서로 대응되는 쉴드부재가 구비되어 작동 중에 발생되는 전자방해가 줄어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내부에 제1터미널이 구비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와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1터미널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터미널이 구비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에는 각각 상기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을 감싸는 금속재질의 제1쉴드부재 및 제2쉴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쉴드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의 결합과정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쉴드부재의 일단은 상기 회로기판에 접지되어 전자방해를 방지한다.
상기 제1쉴드부재에는 상기 제1터미널이 삽입되는 쉴드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쉴드부재의 외면에는 상기 쉴드공간을 향해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는 탄성변형가능한 접속편이 구비되어, 상기 제2쉴드부재가 상기 쉴드공간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쉴드부재의 외면에는 상기 접속편이 접한다.
상기 제1커넥터는 내부에 제1수납공간이 형성되고 걸림턱이 형성되는 제1하 우징과, 상기 제1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일단은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제1터미널과, 상기 제1터미널을 감싸는 쉴드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쉴드공간을 향해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는 탄성변형가능한 접속편이 구비되며 상기 회로기판에 접하는 접지레그가 구비되는 제1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터미널은 블록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블록하우징이 상기 제1쉴드부재에 조립된 상태로 상기 제1하우징에 수납된다.
상기 제2커넥터는 내부에 제2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걸림턱에 걸어지는 걸이편이 구비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일단은 와이어에 연결되는 제2터미널과, 상기 제2터미널을 감싸는 쉴드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수납공간을 통과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수납공간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터미널은 조립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조립하우징은 상기 제2쉴드부재에 조립된 상태로 상기 제2하우징에 수납된다.
상기 제2쉴드부재의 외면에는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하우징에는 조립클립이 삽입되어 상기 플랜지부를 걸어 고정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서로 연결되는 두 터미널이 각각 제1쉴드부재와 제2쉴드부재 에 의해 감싸지고, 제1쉴드부재와 제2쉴드부재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접지가 이루어지므로, 커넥터의 동작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전자방해가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각각의 터미널이 제1쉴드부재와 제2쉴드부재에 완전히 감싸진 상태에서 서로 통전되고, 제1쉴드부재에는 탄성변형 가능한 접속편이 구비되어 커넥터 사이의 결합과정에서 두 쉴드부재 사이의 연결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조작 없이도 전자방해의 방지가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조립된 모습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의 구성이 각각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LVDS커넥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커넥터(S)는 회로기판(미도시)에 실장되는 부분으로, 제2커넥터(P)가 결합되는 일종의 소켓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제1커넥터(S)는 후술할 제1터미널(30)이 노출되도록 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제2커넥터(P)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1커넥터(S)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보듯이 상기 제1커넥터(S)의 골격은 제1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10)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그 내부에는 제1수납공간(11)이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10)에는 결합공간(12)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간(12) 내부에는 걸림턱(13)이 구비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제2하우징(50)의 걸이편(53)이 삽입되어 걸어지게 된다.
상기 제1하우징(10)의 제1수납공간(11) 가장자리에는 안착면(15)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착면(1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쉴드부재(40)의 절곡부(45)가 절곡되어 안착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총 4개의 안착면(15)이 구비된다.
상기 제1하우징(10)의 외면 양측에는 레그안착요입단(17)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레그안착요입단(17)은 아래에서 설명될 접지레그(48)가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레그안착요입단(17)은 상기 제1하우징(10)의 양측면의 다른 부분들보다 상대적으로 더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10)에는 블록하우징(20)과 제1터미널(30)의 조립체가 수납된다. 상기 블록하우징(20)은 상기 제1터미널(30)과 결합하여 제1터미널(30)이 정렬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터미널(30)의 일부가 삽입되는 통공(21)이 구비된다.
상기 블록하우징(20)의 외면에는 걸림홈(22)이 구비되는데, 상기 걸림홈(22) 에는 후술할 제1쉴드부재(40)의 걸림편(42)이 걸어진다.
상기 제1터미널(30)은 상기 블록하우징(20)의 통공(21)을 통과하여 적어도 그 일부가 통공(21)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부(31)와, 상기 연결부(31)로부터 직교하게 연장되어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32)로 구성된다. 상기 실장부(32)가 연결부(31)로부터 직교하게 연장되는 이유는 상기 제1커넥터(S)가 수직타입이기 때문으로, 제2커넥터(P)과 결합되는 방향과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방향이 서로 직교를 이룬다.
한편, 상기 블록하우징(20)과 제1터미널(30)의 조립체는 제1쉴드부재(40)에 의해 감싸진다. 상기 제1쉴드부재(4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P)의 제2쉴드부재(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커넥터의 작동 중에 발생되는 전자방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쉴드부재(40)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지고, 대략 속이 빈 육면체 형상이다. 즉, 상기 제1쉴드부재(40)의 내부에는 제1쉴드공간(41)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걸림편(42)이 외팔보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블록하우징(20)의 걸림홈(22)에 걸어져 결합된다. 상기 걸림편(42)은 상기 제1쉴드공간(41) 내부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제1쉴드부재(40)에는 절곡부(45)가 구비된다. 상기 절곡부(45)는 상기 제1쉴드부재(40)가 상기 제1하우징(10)에 완전히 조립된 후 가공을 통해 절곡되는 부분으로, 상기 제1하우징(10)의 안착면(15)에 안착된다. 도 3에는 이미 절곡된 형상의 절곡부(45)가 도시되어 있고, 도 1에는 상기 안착면(15)에 절곡부(45)가 안착 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쉴드부재(40)에는 접속편(46)이 구비된다. 상기 접속편(46)은 외팔보 형상으로 구비되고, 후술할 제2쉴드부재(80)에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제1쉴드부재(40)가 제2쉴드부재(80)와 연결되고, 동시에 제1쉴드부재(40)가 접지됨으로써 전자방해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접속편(46)은 상기 제1쉴드공간(41)을 향해 그 선단이 연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쉴드공간(41) 내부로 제2쉴드부재(8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2쉴드부재(80)의 외면에 상기 접속편(46)이 자연스럽게 접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편(46)은 상기 제1쉴드부재(40)의 양측에 쌍을 이루어 구비되나, 상기 접속편(46)은 1개 또는 3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고, 제1쉴드부재(40)의 상측이나 하측에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쉴드부재(40)에는 접지레그(48)가 구비된다. 상기 접지레그(48)는 제1쉴드부재(40)로부터 상기 회로기판을 향해 연장되게 형성되어, 회로기판의 접지부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커넥터의 전자방해가 줄어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커넥터(S)는 수직타입이므로, 상기 접지레그(48)는 상기 제1쉴드부재(4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쉴드부재(40)는 프레스금형을 통해 제조된다. 이는 상기 제1쉴드부재(40)의 형상의 특성상, 절삭가공을 이용하지 않고, 프레스 금형을 통하여 모재를 타발 절곡하여 제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제2커넥터(P)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제2커넥터(P)는 상기 제1커넥터(S)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일종의 플러그로서, 이와 동시에 와이어와 연결되어 회로기판에 상대되는 전자부품과 회로기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커넥터(P)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2커넥터(P)의 골격은 제2하우징(50)이 형성한다. 상기 제2하우징(50)은 상기 제1하우징(10)과 마찬가지로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대략 속이 빈 6면체 형상이다.
상기 제2하우징(50)의 내부에는 제2수납공간(51)이 관통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제2수납공간(51)은 후술할 조립하우징(60) 및 제2터미널(70)의 조립체와, 제2쉴드부재(80)가 수납된다.
상기 제2하우징(50)의 일측에는 개구부(52)가 구비된다. 상기 개구부(52)는 상기 제2하우징(50)의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 후술할 조립클립(57)이 삽입된다.
상기 제2하우징(50)의 일측에는 걸이편(53)이 구비된다. 상기 걸이편(53)은 상기 제1하우징(10)의 결합공간(12)에 삽입되는 부분을,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편(53)의 외면에는 걸이턱(53')이 구비되어, 상기 결합공간(12) 내부의 걸림턱(13)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걸이턱(53')의 모습은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하우징(50)에는 조립클립(57)이 결합된다. 상기 조립클립(57) 은 상기 개구부(52)를 통해 조립되어 제2쉴드부재(80)를 걸어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조립클립(57)의 걸이레그(58)가 상기 개구부(52)를 통해 삽입되면, 제2쉴드부재(80)의 플랜지부(85)를 걸어 제2쉴드부재(8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모습은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하우징(50)의 제2수납공간(51)에는 조립하우징(60) 및 제2터미널(70)로 구성되는 조립체가 삽입된다. 상기 조립하우징(60)은 대략 원기둥형상으로, 그 내부를 관통하여 통공(61)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61)은 상기 제1터미널(30)의 연결부(31)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그 내부에는 제2터미널(70)의 스프링부(72)가 수납된다.
상기 조립하우징(60)의 외부에는 요입부(62)가 구비되는데, 상기 요입부(62)는 상기 조립하우징(60)이 제2쉴드부재(80)의 내부에 형성된 체결턱(미도시)에 걸어지도록 하는 부분으로, 조립하우징(60)의 외면이 일부 요입되어 형성된다. 도면부호 63은 회전방지리브로서, 상기 조립하우징(60)이 제2쉴드공간(81)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터미널(70)은 상기 제1터미널(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그 일단에는 바렐부(71)가 구비되어 와이어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스프링부(72)가 구비되어 상기 제1터미널(30)의 연결부(31)와 결합된다.
상기 제2터미널(70)에는 랜스(75)가 구비된다. 상기 랜스(75)는 상기 조립하우징(60)의 내부에 형성된 조립턱(미도시)에 걸어져, 상기 제2터미널(70)이 상기 조립하우징(60)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2터미널(70)에는 와이어가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는 피복(76)과 심선(77)으로 구성되고, 그 외면에는 케이블쉴드(78)가 결합되어 심선(77)이 돌출되는 부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전자방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2터미널(70)과 조립하우징(60)의 조립체는 제2쉴드부재(80)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제2하우징(50)에 결합된다. 상기 제2쉴드부재(80)는 상기 제2수납공간(51)에 수납되고, 상기 제1쉴드부재(40)와 접하여 커넥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전자방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쉴드부재(80)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지고, 그 내부에는 상기 제2터미널(70) 및 조립하우징(60)이 삽입될 수 있는 제2쉴드공간(81)이 형성된다.
상기 제2쉴드부재(80)는 플랜지부(85)를 중심으로 각각 제1몸체(82)와 제2몸체(83)로 나뉘어진다. 상기 제1몸체(82)는 상기 제2수납공간(51)을 통과하여 적어도 그 일부가 돌출되고, 상기 제2몸체(83)는 제2하우징(50)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터미널(70)과 와이어의 연결부분을 감싸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몸체(82)는 사각기둥 형상인데,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 제2쉴드부재(80)에는 키홈(87)이 형성된다. 상기 키홈(87)은 상기 제2쉴드부재(80)가 상기 제2수납공간(51)에 삽입될 때, 작업자가 삽입방향을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의 모습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제1커넥터는 수평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제1터미널(30)이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고 연결부(31)와 실장부(32)가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1쉴드부재(40)의 접지레그(48) 역시 제1쉴드부재(40)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1커넥터(S)와 제2커넥터(P)의 조립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제1커넥터(S)의 조립을 위해서, 작업자는 먼저 상기 제1터미널(30)을 상기 블록하우징(20)의 통공(21)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제1터미널(30)의 연결부(31)는 상기 통공(21)을 통과하여 적어도 그 일부가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1터미널(30)은 상기 통공(21)에 압입을 통해 고정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블록하우징(20)과 제1터미널(30)의 조립체를 제1쉴드부재(40)의 제1쉴드공간(41) 내부로 삽입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블록하우징(20)의 걸림홈(22)에는 상기 제1쉴드부재(40)의 걸림편(42)이 안착되어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블록하우징(20) 및 제1터미널(30) 그리고 제1쉴드부재(40)로 구성되는 조립체를 상기 제1하우징(10)의 제1수납공간(11) 내부로 삽입한다. 그리고, 완전히 삽입되면 작업자는 상기 제1쉴드부재(40)의 절곡부(45)를 절곡시켜 상기 제1하우징(10)의 안착면(15)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쉴드부재(40)는 제1하우징(10)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고, 제1터미널(30)의 실장부(32)와 상기 제1쉴드부재(40)의 접지레그(48)는 적어도 그 일부가 제1수납공간(1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제1커넥터(S)를 회로기판에 안착시키고 솔더링을 통해 상기 제1커넥터(S)를 실장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제2커넥터(P)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작업자는 상기 제2터미널(70)에 상기 와이어의 심선(77)을 연결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터미널(70)의 바렐부(71)에 상기 와이어의 심선(77)을 끼운 상태로 바렐부(71)를 절곡하여 심선(77)이 압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터미널(70)을 조립하우징(60)의 통공(61)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터미널의 랜스(75)가 상기 통공(61) 내부에 걸어져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2터미널(70)과 조립하우징(60)으로 구성되는 조립체를 상기 제2쉴드부재(80)의 제2쉴드공간(81) 내부로 삽입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조립하우징(60)의 선단은 상기 제2쉴드공간(81)의 개구된 일측으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제2터미널(70) 및 조립하우징(60) 그리고 상기 제2쉴드부재(80)로 구성되는 조립체를 상기 제2하우징(50)의 제2수납공간(51)으로 삽입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제2쉴드부재(80)의 키홈(87)을 통해 제2쉴드부재(80)의 삽입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쉴드부재(80)가 상기 제2수납공간(51)에 완전히 삽입되면, 작업자는 상기 조립클립(57)을 개구부(52)로 밀어 넣어, 상기 제2쉴드부재(80)의 플랜지부(85)를 걸어준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2쉴드부재(80)가 상기 제2수납공간(5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커넥터(S)와 제2커넥터(P)를 조립하는 것을 설명하면, 작업자는 상기 제2커넥터(P)를 파지하고, 상기 제1커넥터(S)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2커넥터(P)의 걸이편(53)이 제1하우징(10)의 결합공간(12) 내부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제2커넥터(P)가 상기 제1커넥터(S)와 결합되면, 상기 걸이편(53)의 걸이턱(53')이 상기 결합공간(12) 내부의 걸림턱(13)에 걸어져, 제1커넥터(S)와 제2커넥터(P)가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쉴드부재(80)의 돌출된 일부가 상기 제1쉴드부재(40)의 제1쉴드공간(41) 내부로 삽입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제1터미널(30)의 연결부(31)가 제2터미널(70)의 스프링부(72)에 삽입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2쉴드부재(80)가 상기 제1쉴드공간(41)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쉴드부재(40)의 접속편(46)이 상기 제2쉴드부재(80)의 외면에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는 상기 접속편(46)이 제1쉴드공간(41) 내부로 어느 정도 돌출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쉴드부재(40)는 접지레그(48)가 접지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제1커넥터(S)와 제2커넥터(P) 사이로 전기신호나 전원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전자방해가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터미널(30)과 제2터미널(70)은 각각 상기 제1쉴드부재(40)와 제2쉴드부재(80)에 감싸진 상태이고, 이들 제1쉴드부재(40)와 제2쉴드부재(8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접지되므로, 전자방해가 보다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제1터미널(30)과 제2터미널(70)이 각각 블록하우징(20)과 조립하우징(60)에 결합되고, 이들 블록하우징(20)과 조립하우징(60)이 다시 제1쉴드부재(40)와 제2쉴드부재(80)에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상기 블록하우징(20)과 조립하우징(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생략되고, 제1터미널(30)과 제2터미널(70)이 각각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50)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조립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1하우징 11: 제1수납공간
12: 결합공간 13: 걸림턱
15: 안착면 20: 블록하우징
21: 통공 22: 걸림홈
30: 제1터미널 31: 연결부
32: 실장부 40: 제1쉴드부재
41: 제1쉴드공간 42: 걸림편
45: 절곡부 46: 접속편
48: 접지레그 50: 제2하우징
51: 제1수납공간 52: 개구부
53: 걸이편 57: 조립클립
60: 조립하우징 61: 통공
70: 제2터미널 71: 바렐부
72: 스프링부 80: 제2쉴드부재
81: 제2쉴드공간 85: 플랜지부

Claims (8)

  1.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내부에 제1터미널이 구비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와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1터미널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터미널이 구비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에는 각각 상기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을 감싸는 금속재질의 제1쉴드부재 및 제2쉴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쉴드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의 결합과정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쉴드부재의 일단은 상기 회로기판에 접지되어 전자방해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쉴드부재에는 상기 제1터미널이 삽입되는 쉴드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쉴드부재의 외면에는 상기 쉴드공간을 향해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는 탄성변형가능한 접속편이 구비되어, 상기 제2쉴드부재가 상기 쉴드공간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쉴드부재의 외면에는 상기 접속편이 접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내부에 제1수납공간이 형성되고 걸림턱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일단은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제1터미널과,
    상기 제1터미널을 감싸는 쉴드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쉴드공간을 향해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는 탄성변형가능한 접속편이 구비되며 상기 회로기판에 접하는 접지레그가 구비되는 제1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미널은 블록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블록하우징이 상기 제1쉴드부재에 조립된 상태로 상기 제1하우징에 수납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는
    내부에 제2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걸림턱에 걸어지는 걸이편이 구비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일단은 와이어에 연결되는 제2터미널과,
    상기 제2터미널을 감싸는 쉴드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수납공간을 통과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수납공간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터미널은 조립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조립하우징은 상기 제2쉴드부재에 조립된 상태로 상기 제2하우징에 수납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쉴드부재의 외면에는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하우징에는 조립클립이 삽입되어 상기 플랜지부를 걸어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쉴드부재와 상기 제2쉴드부재는 판상의 금속모재를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여 가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090050028A 2009-06-05 2009-06-05 커넥터 어셈블리 KR201001312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028A KR20100131234A (ko) 2009-06-05 2009-06-05 커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028A KR20100131234A (ko) 2009-06-05 2009-06-05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234A true KR20100131234A (ko) 2010-12-15

Family

ID=43507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028A KR20100131234A (ko) 2009-06-05 2009-06-05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12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36384A1 (ko) * 2022-12-21 2024-06-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36384A1 (ko) * 2022-12-21 2024-06-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05740B1 (en) Electrical connector
CN104505642B (zh) 插头电连接器
US20050048846A1 (en) Plug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and joint-type connector
US20080139041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Blade Terminals
KR20170010000A (ko) 전기 커넥터
JP5437498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8006183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WO2017104311A1 (ja) コネクタ
JP2007525808A (ja) コネクタ装置
TWM456012U (zh) 連接器結構
WO2017199756A1 (ja) 信号端子とグランド端子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装置
JP5284150B2 (ja) 一対のロック機構付きコネクタ
JP2021518646A (ja) 高密度電気コネクタ
KR20130067308A (ko) 전방 배치된 접촉 단자를 구비한 전기 플러그 커넥터
KR101301625B1 (ko) 전자기기용 커넥터의 터미널
US20100304601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connecting element thereof
KR20100131234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094394B1 (ko) 커넥터
US7824229B1 (en) Audio plug connector
CN213816642U (zh) 一种电连接器
KR100549788B1 (ko)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KR200467964Y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90009562U (ko) 전선연결구
CN107425356B (zh) 一种车用电连接器组件
JP2003229212A (ja) 電気コネクタ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