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8384A - Burner and aftertreating device of exhaust gas - Google Patents
Burner and aftertreating device of exhaust ga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28384A KR20100128384A KR1020090046752A KR20090046752A KR20100128384A KR 20100128384 A KR20100128384 A KR 20100128384A KR 1020090046752 A KR1020090046752 A KR 1020090046752A KR 20090046752 A KR20090046752 A KR 20090046752A KR 20100128384 A KR20100128384 A KR 201001283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haust gas
- flame
- burner
- pipe
- combustion cha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 F01N3/02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using fuel burner or by adding fuel to exhaus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14—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 fuel burn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02—Tubes being perfo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용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배기가스와 화염의 혼합도를 높여 배기가스의 온도를 적절하게 승온할 수 있으며, 촉매필터의 연소 효율을 높임으로써 배기가스를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용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rner for the exhaust gas toxic substance reduction apparatus and an exhaust gas toxic substance reduc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appropriately by increasing the mixing ratio of the exhaust gas and the flame, and the catalys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rner for an exhaust gas toxic substance reducing apparatus capable of efficiently reducing exhaust gas by increasing a combustion efficiency of a filter, and an exhaust gas toxic substance reduc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디젤엔진은 가솔린 엔진보다 큰 힘을 얻을 수 있는 특징과 저렴한 연료비 등의 장점을 가져 승용차, 건설장비, 선박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Diesel engines are widely used in passenger cars, construction equipment, ships, etc. because of the advantages that can get greater power than gasoline engines and low fuel costs.
그러나 상기 디젤엔진은 엔진 내부에 연료를 분사하고 압축착화방식으로 연소하는 4-행정기관으로, 상기 연료의 자기 착화 과정에서 연료와 공기의 불균일화로 인해 불완전연소가 일어남에 따라 유해 미립자(배기가스)가 발생된다. However, the diesel engine is a four-stroke engine that injects fuel into an engine and burns it by compression ignition. As a result of incomplete combustion due to inhomogeneity of fuel and air during self-ignition of the fuel, harmful particulates (exhaust gas) are generated. Is generated.
특히, 상기 유해 미립자는 주로 질소산화물(NOx)과 입자상 물질(PM, Particulate Matter), 및 수트(Soot, 재)로, 상기 디젤자동차에 의한 유해 미립자 가 총 대기오염의 40%를 차지한다는 보고가 있으며, 이에 따라, 여러 나라들은 매연의 배출을 규제하고 있으며 이를 만족하기 위해 배기관에 삽입되어 매연을 저감시키는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In particular, the harmful particles are mainly nitrogen oxides (NOx), particulate matter (PM, Particulate Matter), and soot (soot, ash), reports that 40% of the total air pollution harmful particulates by the diesel vehicle. Accordingly, various countries have regulated the emission of soot, and in order to satisfy the above, there has been disclosed an exhaust gas toxic substance reduction device inserted into the exhaust pipe to reduce the soot.
이러한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의 대부분은 디젤엔진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가 촉매를 가지는 필터로 유입되어 배기가스가 필터에서 연소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중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Most of the exhaust gas harmful substance reduction device is to reduce the exhaust gas discharged into the air by the exhaust gas generated from the diesel engine flows into the filter having a catalyst and the exhaust gas is combusted in the filter.
그런데 단순히 배기가스가 필터로 유입되도록 할 경우 연소률이 낮기 때문에 필터로 유입되기 전 배기가스의 온도를 상승시켜 연소률이 향상되도록 하는 기술이 안출되었다. However, simply by allowing the exhaust gas to flow into the filter, since the combustion rate is low, a technology for improving the combustion rate by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before entering the filter has been devised.
한국 특허출원 제10-1997-007901호(매연 정화장치 연소기) 및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 제0548451호(디젤엔진매연 여과장치 재생용 내염버너) 등에는 버너를 통해 배기가스(매연)의 온도를 상승시켜 매연의 연소률이 향상되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In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1997-007901 (Soot Purifier Combustor) and Kore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0548451 (Inflammation Burner for Diesel Engine Soot Filter Regeneration), the temperature of exhaust gas (soot) is increased through the burner. To improve the combustion rate of soot.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은 단지 버너를 통해 배기가스의 온도를 상승할 수 는 있으나 각 영역에 따라 가열되는 정도에 차이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However, the above technology can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through only the burner, but there is a problem that a difference may occur in the degree of heating according to each area.
즉, 필터로 유입되기 전 모든 배기가스가 균일하게 가열되는 것이 아니라 배기가스의 일부는 온도가 크게 상승되지만 일부 배기가스는 온도의 상승이 원활하지 못하여 기대하는 것만큼 배기가스의 연소율을 향상시키지 못한다. In other words, not all the exhaust gas is uniformly heated before entering the filter, but some of the exhaust gas temperature is greatly increased, but some exhaust gas temperature is not smooth, so the combustion rate of the exhaust gas is not improved as expected. .
이에 따라, 배기가스와 화염의 혼합율을 증대시켜 배기가스의 온도를 고르게 상승시키기 위하여 연소실 내부에 화염 또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배플, 타공판 등과 같은 혼합수단이 더 구비된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용 버너가 제안된 바 있다. Accordingly, in order to increase the mixing ratio of the exhaust gas and the flame to evenly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the exhaust gas harmful substance further includes a mixing means such as a baffle, a perforated plate, etc.,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flame or the exhaust gas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Burners for devices have been proposed.
그런데, 상기 혼합수단은 배기가스 및 화염이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 형성되어 배압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배압이 상승될 경우에는 차량 출력이 저하되어 승차감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mixing means may be formed inside the space where the exhaust gas and the flame are formed, which may cause the back pressure to increase, and when the back pressure is increased, the vehicle output may be lowered to reduce the riding comfort.
또한, 상기 혼합수단은 화염 형성을 방해할 수 있는 요소로 작용될 수 있어 버너가 불완전 연소될 경우에는 버너에 의해 또 다른 유해 미립자(배기가스)를 발생시켜 배기가스 저감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mixing means may act as an element that can interfere with the formation of flame, when the burner is incompletely burned, there is a problem of generating another harmful particulates (exhaust gas) by the burner to reduce the exhaust gas reduction efficiency. .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염을 안정적으로 형성하고, 배기가스와 화염의 혼합도를 높여 배기가스의 온도를 균일하게 승온할 수 있으며, 촉매필터의 연소 효율을 높임으로써 배기가스를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용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flame stably, increase the mixing of the exhaust gas and the flame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uniformly, the catalyst To improve the combustion efficiency of the filter to provide an exhaust gas harmful substance reduction apparatus burner that can efficiently reduce the exhaust gas and to reduce the exhaust gas harmful substances comprising the same.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용 버너(100)는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용 버너(100)에 있어서, 상기 버너(100)는 일측에 배기관(400)과 연결되어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배기가스 유입부(111)와 화염형성을 위한 연료분사 노즐(113) 및 점화수단(114)을 포함하는 화염형성부(112)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기관(400)과 연결되어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부(115)가 형성되는 연소실(100); 상기 연소실(100) 내부에 상기 배기가스 유입부(111)와 연통되는 관형태로 형성되어 배기가스가 유동되며, 외주면에 배기가스가 유출되는 제1중공부(121)가 복수개 형성되는 배기가스 유동관(120); 및 상기 연소실(100) 내부에 상기 화염형성부(112)와 연통되는 관형태로 형성되어 화염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화염이 유출되는 제2중공부(131)가 복수개 형성되는 화염보호관(130); 을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배기가스 유동관(120) 및 화염보호 관(130)은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중공부(121) 및 제2중공부(131)는 상기 연소실(10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또한, 상기 유동관(120)의 제1중공부(121)는 상기 배기가스 유입부(111)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화염보호관(130)의 제2중공부(131)는 상기 배출부(115)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irst
아울러, 상기 화염보호관(130)의 단부는 화염막음판(132)이 형성될 수 있는 데, 이 때, 상기 화염막음판(132)은 상기 화염보호관(130)을 수직방향으로 차단하여 상기 화염보호관(130)의 단부를 폐쇄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화염막음판(132)은 상기 배출부(115)와 화염보호관(130)이 연통되도록 연통부(133)가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n end portion of the
또한,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용 버너(100)는 상기 유입부(111)와 연결된 배기관(400)과 상기 배출부(115)와 연결된 배기관(400)이 서로 단차지도록, 상기 배출부(115)는 상기 화염보호관(130)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한편, 본 발명의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1000)는 디젤엔진(200)으로부터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저감시키는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1000)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1000)는 상기 디젤엔진(200)으로부터 발생되는 배기가스 유동관(120)에 형성되어 배기가스를 승온시키되, 제1항 내지 제8항 중 한 항에 의한 버너(100); 및 상기 버너(100)의 후단에 형성되어 배기가스 내의 유기물 또는 입자상 물질(PM, Particulate Matters)을 연소시키는 촉매필터(300)(DPF, Disel Particulate Fil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exhaust gas toxic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용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는 화염을 안정적으로 형성하고, 배기가스와 화염의 혼합도를 높여 배기가스의 온도를 균일하게 승온할 수 있으며, 촉매필터의 연소 효율을 높임으로써 배기가스를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ly, the burner for the exhaust gas toxic substance re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xhaust gas toxic substance reduc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an stably form the flame, increase the degree of mixing of the exhaust gas and the flame, and evenly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And, by increasing the combustion efficiency of the catalyst filt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exhaust gas efficiently.
특히, 본 발명의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용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는 화염이 화염보호관에 의해 보호되면서도 배기가스와 화염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혼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 배압의 증가없이 균일하게 배기가스를 승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the burner for the exhaust gas toxic substance red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xhaust gas toxic substance reduc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increase the internal back pressure by allowing the exhaust gas and the flame to be mixed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the flame is protected by the flame protection tub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ncrease the exhaust gas uniformly without.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용 버너(100)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10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exhaust gas harmful substance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용 버너(100)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AA' 방향 단면도, 및 BB' 방향단면도이다. 1 to 4 are a perspective view,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AA 'direction, and a BB' direction cross-sectional view of the
본 발명의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용 버너(100)는 연소실(100), 배기가 스 유동관(120), 및 화염보호관(13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The
먼저, 상기 연소실(100)은 본 발명의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용 버너(100)가 형성되는 기본 몸체로서, 배기관(400)에 형성되는데, 더욱 상세하게 일측에는 배기관(400)과 연결되어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배기가스 유입부(111) 및 화염형성을 위한 화염형성부(112)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기관(400)과 연결되어 승온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부(115)가 형성된다. First, the
즉, 상기 연소실(100)은 좌·우 양측에 배기관(400)과 연결되어 배기가스가 유동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내부에 화염이 형성되도록 노즐(113) 및 점화수단(114)을 포함하는 화염형성부(112)가 형성된다. That is, the
상기 노즐(113)은 화염을 형성하기 위해 연료를 분사하는 수단으로서, 필요에 따라 공기를 함께 분사하는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The
상기 배기가스 유입부(111)와 화염형성부(112)는 상기 연소실(10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111) 및 화염형성부(112)는 각각 유동관(120)과 화염보호관(130)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The
도면에서 상기 유입부(111) 및 유동관(120)이 상기 화염형성부(112) 및 화염보호관(130)의 상측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유동관(120)과 화염보호관(130)이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도면에 도시한 것과 상·하방향으로 반대이거나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형태 등을 포함하여 더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Although the
상기 배기가스 유동관(120)과 화염보호관(130)은 모두 연소실(100) 내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먼저, 상기 배기가스 유동관(120)은 배기가스가 유동되는 관형태로 상기 배기가스 유입부(111)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외주면에 배기가스가 관 내부에서 외부(이 때, '외부'란 연소실(100) 내부의 상기 배기가스 유동관(120) 외부 공간을 의미한다.)로 유출될 수 있는 제1중공부(121)가 복수개 형성된다. The exhaust
상기 화염보호관(130)은 상기 화염형성부(112)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화염형성부(112)를 통해 형성된 화염을 보호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화염보호관(130) 역시 상기 배기가스 유동관(120)의 제1중공부(121)와 마찬가지로 화염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제2중공부(131)가 복수개 형성된다. The
본 발명의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용 버너(100)는 상기 배기가스 유동관(120)의 제1중공부(121)와 상기 화염보호관(130)의 제2중공부(131)가 연소실(10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다. In the
이는 상기 배기가스와 화염이 고르게 혼합되어 배기가스를 전체적으로 승온되도록 함으로써 버너(100)의 배기가스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버너(10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1000)는 배기가스 저감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xhaust gas heating efficiency of the
상기 제1중공부(121)와 제2중공부(131)의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형태는 상기 배기가스 유동관(120)의 제1중공부(121)는 상기 배기가스 유입부(111)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화염보호관(130)의 제2중공부(131)는 상기 배출부(115)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상기 배기가스 유동관(120)의 제1중공부(121)는 상기 유입부(111)에 인접하 여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배기관(400)을 유동하던 배기가스가 상기 배기가스 유동관(120)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1중공부(121)를 통해 상기 연소실(100) 전체로 고르게 퍼질 수 있다. When the first
또한, 상기 화염보호관(130)의 제2중공부(131)가 상기 배출부(115)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화염형성부(112) 부분에 배기가스가 직접 공급될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불완전 연소의 가능성을 차단함으로써 안정적으로 화염을 형성할 수 있으면서도, 후단부에서 화염이 유출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용 버너(100)는 배기가스를 적절하게 승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econd
아울러, 본 발명의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용 버너(100)는 버너(100)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화염보호관(130)에 의해 노즐(113)이 보호되어 배기가스 내부의 입자에 의한 노즐(113) 막힘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이 후, 화염을 원활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화염보호관(130)은 그 단부가 개방될 수 있으며, 화염막음판(132)이 형성되어 배출부(115) 및 배기관(400)의 구성을 화염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화염을 연소실(100) 측으로 안내하여 화염에 의한 배기가스의 가열이 연소실(100) 내부에서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The
상기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용 버너(100)의 BB' 방향의 단면도로서, 도 4 (a) 및 (b) 각각은 서로 다른 화염막음판(132)이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BB 'direction of the
상기 도 4 (a)에 도시한 화염막음판(132)은 배출부(115)와 화염보호관(130)이 서로 연통되도록 연통부(133)가 형성된 예로서, 판 자체에도 중공된 연통부(133)가 형성되며, 상기 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의 구성이 복수개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판 주변부에도 연통부(133)가 복수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As shown in FIG. 4A, the
즉, 상기 연통부(133)가 형성된 화염막음판(132)은 상기 화염보호관(130)의 단부를 일정 영역만 폐쇄하고, 일정 영역은 상기 배출부(115)와 연통되는 구조이다.That is, the
도 4 (b)에 도시한 화염막음판(132)은 연통부(133)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화염보호관(130)을 폐쇄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차단된 형태를 도시하였다.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화염막음판(132)은 더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shown in the drawings, the
아울러, 본 발명의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는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가스 유동관(120)의 단부에도 상기 화염보호관(130)의 화염막음판(132)와 같이 배기가스막음판(122)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xhaust gas harmful substance re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exhaust gas blocking plate like the
상기 배기가스막음판(122)은 상기 배기가스 유동관(120)의 단부를 수직방향으로 폐쇄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 영역이 배출부(115)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exhaust
본 발명의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1000)는 상기 화염막음판(132) 또는 배기가스막음판(122)만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화염막음판(132)과 배기가스막음판(122)이 함께 형성될 수 있으나, 이 때에는 배기가스가 외부로 원활히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화염막음판(132) 및 배기가스막음판(122) 중 하나는 상기 배출부(115)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Exhaust gas harmful
상기 배출부(115)는 상기 연소실(100)의 타측에 형성되어 연소실(100) 타측을 모두 포함하여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The
이 때, 상기 연소실(100)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연소실(100)과 인접한 영역 일부를 제외하고 상기 배출부(115)는 상기 배기가스 유동관(120)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111)와 연결된 배기관(400)과 상기 배출부(115)와 연결된 배기관(400)이 서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except for a part of the region adjacent to the
도 5 를 제외한 나머지 도면에서, 본 발명의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용 버너(100)는 상기 연소실(100)에 유입되기 이전의 배기관(400)(상기 유입부(111)와 연결된 배기관(400))이 상기 연소실(100)을 통과한 이후의 배기관(400)(상기 배출부(115)와 연결된 배기관(400))보다 상측에 형성되어 단차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화염막음판(132) 부분에서도 이동되는 배기가스가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가열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e remaining drawings except FIG. 5, the
상기 도 5는 상기 연소실(100)에 유입되기 이전에 연결된 배기관(400)이 상기 연소실(100)을 통과한 이후의 배기관(400)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단차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배기가스 유동관(120)과 화염보호관(130)이 나란하게 형성된 형태라면 더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n
또한, 본 발명에서 단차란,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높이방향으로 차이가 있는 것 뿐만 아니라, 상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폭방향으로 차이가 있는 것을 의미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means that not only the difference in the height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but also the difference in the width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upper sid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1000)의 개략도로, 본 발명의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1000)는 디젤엔진(200)으로부터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저감시키는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1000)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1000)는 상기 디젤엔진(200)으로부터 발생되는 배기가스 유동관(120)에 형성되어 배기가스를 승온시키되, 상술한 바와 같은 버너(100); 및 상기 버너(100)의 후단에 형성되어 배기가스 내의 유기물 또는 입자상 물질(PM, Particulate Matters)을 연소시키는 촉매필터(300)(DPF, Disel Particulate Fil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xhaust gas toxic
본 발명의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10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기가스와 화염의 혼합도를 높여 배기가스를 균일하게 승온할 수 있는 버너(100)를 이용함으로써 촉매필터(300)의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전체적으로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Exhaust gas harmful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ich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용 버너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AA'방향 단면도, 및 BB' 방향 단면도.1 to 4 are a perspective view,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 AA 'direction cross section, and a BB' direction cross section of a burner for reducing exhaust gas harmful substan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의 다른 단면도.5 is another cross-sectional view of the exhaust gas harmful substanc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의 개략도. 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evice for reducing exhaust gas harmful substan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0 :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1000: Exhaust gas harmful substance reduction device
100 : 버너100: burner
110 : 연소실 111 : 유입부110: combustion chamber 111: inlet
112 : 화염형성부 113 : 노즐112: flame forming unit 113: nozzle
114 : 점화수단 115 : 배출부114: ignition means 115: discharge portion
120 : 배기가스 유동관 121 : 제1중공부120: exhaust gas flow pipe 121: first hollow portion
122 : 배기가스막음판122: exhaust gas blocking plate
130 : 화염보호관 131 : 제2중공부130: flame protection pipe 131: second hollow
132 : 화염막음판 133 : 연통부132: flame shield plate 133: communication part
200 : 디젤엔진200: diesel engine
300 : 촉매필터300: catalyst filter
400 : 배기관400: exhaust pipe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6752A KR101533243B1 (en) | 2009-05-28 | 2009-05-28 | Burner and aftertreating device of exhaust gas |
PCT/KR2010/003238 WO2010137829A2 (en) | 2009-05-28 | 2010-05-24 | Burner and aftertreating device of exhaust ga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6752A KR101533243B1 (en) | 2009-05-28 | 2009-05-28 | Burner and aftertreating device of exhaust ga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8384A true KR20100128384A (en) | 2010-12-08 |
KR101533243B1 KR101533243B1 (en) | 2015-07-02 |
Family
ID=43223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6752A KR101533243B1 (en) | 2009-05-28 | 2009-05-28 | Burner and aftertreating device of exhaust gas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533243B1 (en) |
WO (1) | WO2010137829A2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6194B1 (en) * | 2011-08-19 | 2014-01-06 | 송일환 | Bunner for dpf apparatu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344646B2 (en) * | 2018-08-21 | 2019-07-09 |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 Exhaust gas burner assembly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4009201A1 (en) * | 1990-01-25 | 1991-08-01 | Man Technologie Gmbh | EXHAUST SYSTEM WITH A PARTICLE FILTER AND A REGENERATION BURNER |
KR19980072893A (en) * | 1997-03-10 | 1998-11-05 | 김욱한 | Exhaust gas purifier combustor |
KR19990061845A (en) * | 1997-12-31 | 1999-07-26 | 정몽규 | Vehicle Exhaust System |
GB0030749D0 (en) * | 2000-12-15 | 2001-01-31 | Aea Technology Plc | Plasma reactor gas processing |
KR20030023276A (en) * | 2001-09-13 | 2003-03-19 | 한국델파이주식회사 | Catalytic converter apparatus for exhaust gas in vehicle using diesel fuel |
KR100534737B1 (en) * | 2003-10-24 | 2005-12-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particulate matters for diesel engines |
KR20060118746A (en) * | 2005-05-17 | 2006-11-24 | 주식회사 엔토피아하이텍 | Device for diesel smoke decreasing of light oil burner style by using hollow filter |
KR100548451B1 (en) * | 2005-07-22 | 2006-01-31 | 한국기계연구원 | Inner flame burner for regeneration of diesel particulate filter |
-
2009
- 2009-05-28 KR KR1020090046752A patent/KR101533243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0
- 2010-05-24 WO PCT/KR2010/003238 patent/WO2010137829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6194B1 (en) * | 2011-08-19 | 2014-01-06 | 송일환 | Bunner for dpf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33243B1 (en) | 2015-07-02 |
WO2010137829A2 (en) | 2010-12-02 |
WO2010137829A3 (en) | 2011-03-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713022B1 (en) | Burner for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 |
US8789363B2 (en) | Emission abatement assembly having a mixing baffle and associated method | |
US8209971B2 (en) | Burner for heating a stream of gas | |
KR101138251B1 (en) | Exhaust gas reduction apparatus using exhaust gas as air source of burner | |
KR101266619B1 (en) | Burner for regeneration of diesel particulate filter | |
WO2014050375A1 (en) | Burner | |
KR101430061B1 (en) | Burner system for smoke and white smoke reducing apparatus using high-pressure excess air by force and smoke and white smoke reducing apparatus of diesel engine having the same | |
KR20100128384A (en) | Burner and aftertreating device of exhaust gas | |
KR101587217B1 (en) | Burner and aftertreating device of exhaust gas | |
JP6123191B2 (en) | Exhaust system | |
KR101553558B1 (en) | The apparatus reducing soot of diesel engine using burner | |
KR102130371B1 (en) | Burner device for smoke reduction device of active regeneration | |
KR101166229B1 (en) | Apparatus for reducing exhaust gas | |
KR20120013170A (en) | Burner of exhaust gas reduction apparatus for diesel engine with air pocket | |
JP6036017B2 (en) | Burner equipment | |
KR101279544B1 (en) | Exhaust Gas Reduction Apparatus Using Exhaust Gas as Air Source of Burner | |
CN102985646B (en) | Vehicle exhaust system | |
JP2018066587A (en) | Particulate substance generator | |
KR102710888B1 (en) | Exhaust Gas Treatment Apparatus For Vehicle With Dispersion Induction Member | |
CN112963225B (en) | Tail gas heating device and tail gas treatment system | |
TWI609129B (en) | Microparticle capture device that improves safety and regeneration performance | |
JP6151078B2 (en) | burner | |
KR19980072893A (en) | Exhaust gas purifier combustor | |
JP6179079B2 (en) | Exhaust system | |
CA2693688A1 (en) | Burner for heating a stream of ga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