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00112367A -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2367A
KR20100112367A KR20090030839A KR20090030839A KR20100112367A KR 20100112367 A KR20100112367 A KR 20100112367A KR 20090030839 A KR20090030839 A KR 20090030839A KR 20090030839 A KR20090030839 A KR 20090030839A KR 20100112367 A KR20100112367 A KR 20100112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waste
conveyor
unit
processing container
larva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30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6684B1 (ko
Inventor
이상훈
윤인숙
이상철
김문경
김인덕
백송이
Original Assignee
그린테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테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린테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0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6684B1/ko
Publication of KR20100112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 유기성 폐기물을 수용하며, 동애등에 유충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처리 용기, 처리 용기의 일면에 마련되며, 유기성 폐기물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부 및 컨베이어부의 양단에 구비되어 컨베이어부의 구동시 개방되고, 컨베이어부의 정지시 차단되는 제1 차단부를 포함하는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는 유기성 폐기물을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대량으로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고,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가능한 동애등에 유충을 대량 증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유기성 폐기물, 동애등에, 컨베이어, 벨트.

Description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Conveyor type apparatus for treatment of organic waste}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정, 식당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유기성 폐기물, 축사에서 발생하는 축분 및 인분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은 처리없이 배출되는 경우 토양과 하천 등에 심각한 환경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종래 방식에 따르면, 특정 처리 과정을 통해서 유기성 폐기물을 가축의 사료 또는 퇴비로 재활용하는 방법, 일정 지역에 매립하거나 해양 투기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이 경우 처리 장치의 설치비용과 유지비용면에서 경제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출물을 그대로 사료로 사용하는 경우는 괴질 발생 등 부작용이 크고, 퇴비화의 경우도 재발열 및 비효성 불균형과 같은 문제가 있다.
또한, 현재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렁이, 집파리 유충과 같은 생물을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이 경우 배출된 분변토는 비효성이 탁월하여 농경지, 원예, 과수원 등의 경작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고, 식물의 성장과 생산물의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졌다.
이 중에서 동애등에는 알에서 성충까지 크는 기간은 37∼41일이며, 분해자 역할을 하는 유충의 기간은 14일 정도이다. 동애등에 유충은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기간(약 14일)이 지나면 번데기가 되기 위해 건조한 장소를 찾으러 바깥으로 기어나오는 습성이 있다. 음식물 쓰레기 10kg에 동애등에 유충 5000마리를 투입하면 5일 만에 음식물 쓰레기의 80% 이상이 분해되고,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는 유충 투입 전보다 부피는 약 42%, 무게는 약 70% 정도로 줄어들었다. 동애등에 유충은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기간이 지렁이나 집파리 보다 길기 때문에 동애등에를 사육해서 활용하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현재 이러한 동애등에 유충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 능력을 이용하여 다량으로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고, 동애등에 유충을 다량을 생육시킬 수 있는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동애등에 유충이 유기성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효율적으로 생육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시하는 이외의 기술적 과제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유기성 폐기물을 수용하며, 동애등에 유충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처리 용기, 처리 용기의 일면에 마련되며, 유기성 폐기물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부 및 컨베이어부의 양단에 구비되어 컨베이어부의 구동시 개방되고, 컨베이어부의 정지시 차단되는 제1 차단부를 포함하는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는 처리 용기의 타면에 위치하며,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 용기에 배출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기성 폐기물을 이동시키며,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컨베이어부, 컨베이어부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유기성 폐기물을 수용하며, 동애등에 유충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처리 용기 및 각 층의 컨베이어부의 양단에 구비되어 컨베이어부의 구동시 개방되고, 컨베이어부의 정지 시 차단되는 제1 차단부를 포함하는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는 컨베이어부의 각 층의 상부에 위치하며, 유기성 폐기물을 컨베이어부에 배출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는 배출부가 유기성 폐기물을 배출하는 경우 배출부의 폐기물 배출 신호에 상응하여 제1 차단부를 차단시키는 차단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출부는 이동하면서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 용기에 배출하거나, 배출부는 고정되며 배출부가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 용기에 배출하는 동안 컨베이어부가 구동되어 유기성 폐기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는 컨베이어부의 하단에 구비되며, 컨베이어부의 구동시 컨베이어부에 결착한 유기성 폐기물을 차단하는 제2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는 처리 용기의 상면을 덮어서 그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높일 수 있는 용기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는 처리 용기의 일측에 부착되어 처리 용기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처리 용기의 측면은 컨베이어부에 인접하며, 소정 길이만큼 컨베이 어부에 수직한 수직면 및 수직면과 연결되며, 컨베이어부에 경사지며 연장된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면이 컨베이어부와 형성하는 각도는 10도 내지 80도 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는 경사면과 연결되며, 경사면을 통해 이동한 동애등에 유충이 수집되는 유충 수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는 처리 용기 내부에 마련되며, 다수의 공기 유출홀이 형성되어 배열되는 공기 순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공기 유출홀은 공기 순환부의 하부에 천공될 수 있다.
또한, 처리 용기는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측면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본 실시예는 처리 용기를 소정의 간격으로 나누는 차단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잇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는 유기성 폐기물을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대량으로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고,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가능한 동애등에 유충을 대량 증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a는 도 1을 A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며, 도 2b는 도 1을 B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처리 용기(100), 유기성 폐기물(102), 용기 덮개(104), 덮개 손잡이(106a, 106b), 배출부(108), 연결관(109), 덮개 받침부(110), 유충 수집부(115a, 115b), 롤러(120), 롤러 구동부(125), 벨트(130), 제1 차단부(132a, 132b), 제2 차단부(134a, 134b), 히터(135a, 135b, 135c), 다리부(140)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는 유기성 폐기물(102)을 컨베이어부에 연동하여 연속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컨베이어부를 이용하여 처리 용기(100)에 유기성 폐기물(102)을 분배시키고, 처리 용기(100)에서 동애등에 유충이 서식함으로써 유기성 폐기물(102)을 미리 설정한 시간동안 분해시키며, 분해 처리된 유기성 폐기물(102)을 배출하기 위해 컨베이어부를 이용하는데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유기성 폐기물(102)은 가정, 식당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유기성 폐기물, 축사에서 발생하는 축분 및 인분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을 포함한다.
처리 용기(110)는 내부에 유기성 폐기물(102)을 수용하며 동애등에 유충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용기이다. 그 넓이와 깊이는 전체적인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의 크기, 처리가능한 유기성 폐기물의 양 및 동애등에 유충의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처리 용기(110)는 다리부(140)에 의해 지지된다.
처리 용기(110)는 컨베이어부에 인접하여 소정 길이만큼 수직한 수직면 및 수직면과 연결되며, 컨베이어부에 경사지도록 연장된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유기성 폐기물(102)의 높이가 수직면의 길이보다 작은 경우 동애등에 유충이 수직면을 따라 이동 및 탈출할 수 없으므로, 유기성 폐기물(102)을 충분히 섭취하여 분변토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분변토는 동애등에 유충이 유기성 폐기물(102)을 섭취하여 생성한 배출물이며, 퇴비로 사용가능하다.
경사면이 컨베이어부와 형성하는 경사각은 동애등에 유충이 올라갈 수 있도록 가파르지 않으면서 효율적인 수집이 가능하도록 10도(°) 내지 80도가 될 수 있다. 경사면과 컨베이어부 및 처리 용기(110)의 밑면간에 형성된 각에 따른 동애등에 유충의 수집량, 장점 및 단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각도가 작으면 많은 양의 유충을 수집할 수 있으나 큰 용기가 필요하기 때문에 장소를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번호 각도
(°)
수집량(%) 장점 단점 기타
1 10 98 노숙유충
자동수집이 쉽다
노숙유충 수집부가
넓다(넓은 공간 차지)
적용가능
2 20 96 노숙유충
자동수집이 쉽다
노숙유충 수집부가 넓다
(넓은 공간 차지)
적용가능
3 30 95 노숙유충
자동수집이 쉽다
노숙유충 수집부가 넓다
(넓은 공간 차지)
적용가능
4 40 95 노숙유충
자동수집이 쉽다
노숙유충 수집부가
적당하다
적용가능
5 50 94 노숙유충
자동수집이 쉽다
노숙유충 수집부가
적당하다
적용가능
6 60 92 노숙유충
자동수집이 쉽다
노숙유충 수집부가
적당하다
적용가능
7 70 90 노숙유충
자동수집이 쉽다
노숙유충 수집부가 작다
(작은 공간)
적용가능
8 80 88 노숙유충
자동수집이 쉽다
노숙유충 수집부가 작다
(작은 공간)
적용가능
9 90 30 노숙유충 수집부가 작다 (작은 공간) 노숙유충
자동수집이 어렵다
실효성 없음
표 1. 경사 각도에 따른 유충 수집량, 장점 및 단점
표 1을 참조하면, 각도가 80도 이하가 되는 경우 수집량이 88%이상으로 급상승하며, 수집량이 70도 이하가 되는 경우 90%이상이 된다. 따라서 경사면의 각도를 10도 내지 80도 로 설정하는 경우 수집량과 부피면에서 효율적으로 유충 수집이 가능하다.
유충 수집부(115a, 115b)는 처리 용기(110)의 경사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유기성 폐기물(102)을 충분히 섭취한 동애등에 유충을 수집한다. 유충 수집부(115a, 115b)는 처리 용기(110)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한 동애등에 유충이 모이는 경우 탈출할 수 없도록 수직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처리 용기(110)의 내부 일면에 유기성 폐기물(102)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부가 마련된다. 컨베이어부는 롤러(120), 롤러 구동부(125) 및 벨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롤러(120)는 상부에 유기성 폐기물(102)을 싣고 있는 벨트(130)와 물 리적으로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벨트(130)를 이송한다. 롤러 구동부(125)는 롤러(120)의 양단에 구비되어 롤러(120)를 회전시킨다. 롤러(120)의 크기, 개수는 처리 용기(110)의 크기 또는 컨베이어부의 구성에 상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120)가 횡방향으로 서로 접하여 회전하며, 별도의 벨트(130)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복수의 롤러(120)가 처리 용기(110)의 하면에 위치하여 유기성 폐기물(102)이 아래로 떨어지거나 흐르지 않을 정도로 서로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되는 컨베이어부가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용기 덮개(104)는 처리 용기(100)의 상면을 덮어서 그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높일 수 있다. 용기 덮개(104)는 그 내부에 램프, 히터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처리 용기(100)의 상면을 덮는 경우 이를 이용하여 그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용기 덮개(104)는 처리 용기(100)로부터 동애등에 유충만을 선별하여 수집할 수 있다.
즉, 동애등에 유충은 번데기가 되기 전에 서늘하고 건조한 조건을 찾아서 이동하는 습성이 있다. 따라서 처리 용기(100)의 온도와 습도를 높여서 동애등에 유충을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처리 용기(100)로부터 동애등에 유충만을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를 35℃ 내지 45℃로 조절하는 경우 동애등에 유충의 이동과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덮개 손잡이(106a, 106b)는 용기 덮개(104)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직접 집거나 기계식 작동시 접촉점이 되어 용기 덮개(104)를 덮거나 개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용기 덮개(104)는 처리 용기(100)의 일단 또는 양단에 돌출 형성된 덮개 끼움부(110)에 삽입되어 처리 용기(100)에 고정될 수 있다. 용기 덮개(104)는 고정된 덮개 끼움부(110)의 일측에서 삽입되어 처리 용기(100)를 덮을 수 있다. 또는, 한 벌의 덮개 끼움부(110)는 서로 거리가 벌어진 후 용기 덮개(104)가 그 사이에 위치한 경우 서로 거리를 좁혀서 용기 덮개(104)가 삽입되도록 이동할 수도 있다. 이외에 용기 덮개(104)가 처리 용기(100)의 개방면을 덮는 다양한 방식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배출부(108)는 처리 용기(100)의 타면, 즉 개방면에 위치하며, 유기성 폐기물(102)을 처리 용기(100)에 배출하는데 사용한다. 배출부(108)는 후술할 유기성 폐기물 투입 장치와 연결된 연결관(109)으로부터 전달받은 유기성 폐기물(102)을 처리 용기(100)에 투입하기 위한 장치이다. 배출부(108)는 고정된 상태로 유기성 폐기물(102)을 처리 용기(100)에 배출하거나 또는 이동하면서 유기성 폐기물(102)을 처리 용기(100)에 배출한다.
전자의 경우 배출부(108)가 유기성 폐기물(102)을 처리 용기(100)에 배출하는 동안 컨베이어부가 구동되어 유기성 폐기물(102)을 이동시킴으로써 유기성 폐기물(102)을 처리 용기(100)에 고르게 분배시킬 수 있다. 또한, 후자의 경우 배출부(108)는 유기성 폐기물(102)을 처리 용기(100)에 고르게 분배시키면서 유기성 폐기물(102)을 배출할 수 있다.
배출부(108)는 동애등에 유충의 성장 주기에 상응하여 유기성 폐기물(102)을 배출하도록 프로그램된 배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배출이 제어될 수 있다. 동애 등에는 일반적으로 알 상태로 4일 내지 5일, 유충 상태로 14일, 번데기 상태로 14일, 성충 상태로 5일 내지 8일 정도 산다. 따라서 배출 제어부는 동애등에 유충이 투입된지 14일 전후로 새로운 유기성 폐기물(102)을 투입하도록 배출부(108)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1 차단부(132a, 132b)는 컨베이어부의 양단에 구비되어 컨베이어부의 구동시 개방되고, 컨베이어부의 정지시 차단되어 유기성 폐기물(102)이 처리 용기(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차폐시킨다. 제1 차단부(132a, 132b)는 벨트(130)의 상단에 위치하여 유기성 폐기물(102)이 이동하는 방향 및 그 역방향, 즉, 벨트(130)가 움직이는 방향 및 그 역방향(도 2b의 좌우측 방향)에서 유기성 폐기물(102)이 처리 용기(100)를 벗어나지 않고 동애등에 유충에 의해 충분히 섭취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처리 용기(100)의 좌우 방향은 상술한 수직면 및 경사면에 의해 유기성 폐기물(102)이 차단되어 있으나, 도 1의 지면을 나오는 방향과 들어가는 방향은 개방되어 있으므로, 제1 차단부(132a, 132b)가 이러한 방향에 구비되어 유기성 폐기물(102)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차단부(132a, 132b)가 하강하면 유기성 폐기물(102)이 차단되어 동애등에 유충에 의해 분해되고, 제1 차단부(132a, 132b)가 상승하면 유기성 폐기물(102)이 개방되어 컨베이어부의 작동시 처리된 유기성 폐기물(102)을 이동시켜서 별도의 폐기물 수집통(미도시)에 모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서 제1 차단부(132a, 132b)를 작동하는 지지대 (미도시), 차단 제어부(미도시)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차단부(132a, 132b)는 도 1의 지면을 나오는 방향과 들어가는 방향의 양단에서 처리 용기(100)에 결합한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며, 그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은 사용자의 수동적 조작에 의하거나 전기적 신호에 의한 모터의 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차단 제어부는 배출부(108)가 유기성 폐기물(102)을 배출하는 경우 배출부(108)의 폐기물 배출 신호에 상응하여 제1 차단부(132a, 132b)를 벨트(130) 방향으로 밀착시킴으로써 유기성 폐기물(102)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폐기물 배출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 제어부가 동애등에 유충이 투입된지 14일 전후로 새로운 유기성 폐기물(102)을 투입하도록 배출부(108)를 제어하는 신호가 될 수 있다.
제2 차단부(134a, 134b)는 컨베이어부의 하단에 구비되며, 컨베이어부의 구동시 컨베이어부에 결착한 유기성 폐기물(102)을 차단하는 부재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2 차단부(134a, 134b)는 벨트(130)가 이동하는 경우 벨트(130)에 밀착되어 벨트(130)에 결착한 유기성 폐기물(102)을 긁어냄으로써 유기성 폐기물(102)이 이동을 차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서 제2 차단부(134a, 134b)를 작동하는 지지대(미도시)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차단부(134a, 134b)는 도 1의 지면을 나오는 방향과 들어가는 방향의 양단 및 컨베이어부의 하단에서 처리 용기(100)에 결합한 지지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히터(135a, 135b, 135c)는 처리 용기(100)의 하면에 부착되어 온도를 높이는 기능을 한다. 즉, 동애등에 유충은 50℃ 내지 60℃도에서도 활동을 하지만 35℃ 내 지 45℃ 전 또는 후에서 가장 활발히 서식한다. 따라서 히터(135a, 135b, 135c)는 겨울에도 동애등에 유충이 활발히 활동할 수 있도록 처리 용기(10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히터(135a, 135b, 135c)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 용기(100)의 내부 온도를 높임으로써 동애등에 유충을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처리 용기(100)로부터 동애등에 유충만을 수집할 수도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히터(135a, 135b, 135c)는 처리 용기(100)의 하면에서 복수의 열로 배열된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배열 외에 다양한 배열 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 용기(100)의 상부 및 측면에 램프를 구비하여 밝은 조명을 비춤으로써 빛을 피하려는 특징을 가진 동애등에 유충이 처리 용기(100) 외부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중 상단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처리 용기(100), 롤러 구동부(125), 벨트(130), 길이 차단막(150), 차단막 삽입부(155), 측면 돌출부(160)가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처리 용기(100)가 긴 경우 전체 처리 용기(100)를 분할할 수 있도록 차단막(150)을 설치하며, 처리 용기(100)의 측면에는 동애등에 유충이 모서리를 따라 이동하는 습성을 반영하는 측면 돌출부(160)를 설치하는 특징이 있다.
차단막(150)은 처리 용기(100)가 긴 경우 소정의 간격(길이)에 따라 처리 용 기(100)를 나누며, 동애등에 유충 및 유기성 폐기물을 분류한다. 예를 들면, 처리 용기(100)가 10m인 경우 1m를 간격으로 차단막(150)을 설치하여 인접한 차단막(150) 간의 공간에 수용되는 동애등에 유충 및 유기성 폐기물을 각각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처리 용기(100)의 측면에는 차단막(150)을 삽입하기 위한 차단막 삽입부(155)가 마련될 수 있다. 차단막 삽입부(155)는 판 형상의 차단막(150)을 수용하기 위해 홈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차단막(150)을 손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측면 돌출부(160)는 동애등에 유충이 이동하는 처리 용기(100)의 측면에 돌출형성되어 동애등에 유충의 이동을 장려할 수 있다. 즉, 동애등에 유충은 모서에 모이거나 이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습성이 있으므로, 처리 용기(100)의 측면에 측면 돌출부(160)를 형성하면 다수의 모서리가 형성되어, 동애등에 유충의 이동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다. 측면 돌출부(1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 예를 들면, 다각형, 반원형, 곡선형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중 유기성 폐기물 투입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연결관(109), 투입부(400), 이송부(410), 이송 구동부(420), 투입 본체부(430)가 도시된다.
유기성 폐기물(102)이 투입부(400)에 투입되면 이송부(410)에 의해 이송 및 분쇄되어 연결관(109)에 전달된다. 이송부(410)는 회전하면서 유기성 폐기물(102) 을 블레이드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헬리컬 블레이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블레이드가 날카로운 경우 유기성 폐기물(102)을 분쇄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는 유기성 폐기물(102)을 분쇄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송 구동부(420)는 이송부(410)를 구동하여 유기성 폐기물(102)을 투입하는 장치이다. 이송 구동부(420)는 유기성 폐기물(102)의 투입 시기, 주기,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송 구동부(420)는 미리 설정된 타이머에 따라 이송부(41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유기성 폐기물(102)의 양이 달리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송 구동부(420)는 상술한 배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이송부(410)를 구동할 수 있다. 즉, 배출 제어부가 투입될 유기성 폐기물(102)의 투입 시기, 주기, 양을 미리 저장하여 특정 시기 및 양을 투입하도록 프로그램된 경우 이송 구동부(420)는 이러한 프로그램에 상응하여 이송부(410)를 구동할 수 있다. 연결관(109), 투입부(400), 이송부(410) 및 이송 구동부(420)는 투입 본체부(430)에 의해 지지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출부(508a 내지 508f), 투입부(510a, 510b), 투입 조절부(515a, 515b), 롤러 구동부(525a 내지 525f), 벨트(530a 내지 530f), 제1 차단부(532), 제2 차단부(534), 다리부(540), 폐기물 수집통(550)이 도시된다. 상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컨베이어부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어 유기성 폐기물(102)을 처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유기성 폐기물(102)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부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며, 하단에는 상술한 처리 용기(100)가 구비되어 동애등에 유충을 수집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컨베이어부의 각 층에는 상술한 배출부(508a 내지 508f), 롤러 구동부(525a 내지 525f), 벨트(530a 내지 530f), 제1 차단부(532), 제2 차단부(534)가 마련된다. 다리부(540)는 처리 용기(100)를 지지하며, 폐기물 수집통(550)은 처리 용기(100)에서 배출되는 유기성 폐기물(102)을 수집한다.
투입부(510a, 510b) 및/또는 배출부(508a 내지 508f)에는 컨베이어부의 각 층에 서식하는 동애등에 유충의 성장 일수에 상응하여 컨베이어부의 각 층에 투입되는 유기성 폐기물(102)의 양을 조절하는 투입 조절부(515a, 515b)가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컨베이어부의 각 층마다 투입된 동애등에 유충 마리수 및 성장 일수, 유기성 폐기물(102) 투입 시간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동애등에 유충을 각 처리 용기(100)에 투입하는 유충 투입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유충 투입부는 투입부(510a, 510b) 또는 별도의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유충 투입부를 통하여, 컨베이어부의 각 층에 그 부피 또는 면적에 상응하여 직접 유충을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대신 유충 투입 제어부가 컨베이어부의 각 층의 부피 또는 면적에 상응하는 양의 유충을 준비하여 컨베이어부의 각 층에 투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충 투입부는 유 충을 수용하는 유충 수용부, 수용된 유충을 컨베이어부의 각 층에 배출하는 유충 배출부 및 유충 배출부를 제어하는 유충 투입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는 내부에서 발생한 냄새를 외부로 방출하여 제거하기 위한 팬과 팬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 경로에 위치한 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동애등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알 상태로 4 내지 5일, 유충 상태로 14일, 번데기 상태로 14일, 성충 상태로 5일 내지 8일 정도 산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애등에 유충이 유기성 폐기물(102)을 처리하고, 성장 일수별로 다른 처리 능력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러한 사실을 이용하는 특징이 있다.
동애등에 유충이 알에서 부화된 후 성장 일수와 크기의 관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일수 1~4 5 6 7 8 9 10 11 12 13 14
크기 수 mm 5mm 8mm 11mm 14mm 17mm 20mm 21mm 21mm 21mm 21mm
표 2. 동애등에 유충의 성장 일수와 크기
이러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투입 조절부(515a, 515b)는 알에서 부화된 후 3일 내지 6일 중 어느 한 일 이후인 동애등에 유충이 서식하는 컨베이어부의 층에 유기성 폐기물(102)을 투입할 수 있다. 또한, 투입 조절부(515a, 515b)는 동애등에 유충이 알에서 부화된 후 9일 내지 13일 중 어느 일 전까지 컨베이어부의 각 층에 투입하는 유기성 폐기물(102)의 양을 성장 일수별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공기 순환부(610), 공기 유출부(615), 공기 유입부(620)가 도시된다. 상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동애등에 유충이 유기성 폐기물(102)을 분해하는데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 처리 용기(100) 내부에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구조를 더 포함한다. 즉, 유기성 폐기물(102)이 분해되는 경우 발생하는 가스, 액체 등에 의해 분해가 효율적으로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 유출부(615)를 통해 처리 용기(100) 내부에 공기를 제공한다.
공기 유입부(620)는 처리 용기(100) 내부에 제공할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구성 요소이다. 공기 유입부(620)는 유입량, 유입 시간, 유입 주기 등을 결정하는 유입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공기 순환부(610)는 처리 용기(100) 내에 소정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예를 들면, 공기 순환부(610)는 처리 용기(100) 내에 소정의 길이 및 간격을 가지는 배관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공기 유출부(615)는 공기 순환부(610)에 천공된 다수의 홀이 될 수 있다. 공기 유출부(615)가 공기 순환부(610)에 형성되는 위치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공기 유출부(615)는 처리 용기(100)의 하면 방향, 즉, 도 6의 지면에 들어가는 방향을 향하도록 공기 순환부(610)의 하부에 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유기성 폐기물(102)에 의해 공기 유출부(615)가 막히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유출부(615)는 공기 순환부(610)의 하부에서 처리 용기(100)의 하면 방향과 비스듬한 방향을 향해 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기 유출부(615)에서 유출되는 공기는 처리 용기(100)의 하면 방향과 비스듬한 방향으로 나오므로, 효율적으로 처리 용기(100)에 유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의 실험예를 구체적인 데이터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험예는 각 처리 용기에서 동애등에 유충에 의해 처리되는 유기성 폐기물 중 음식물 쓰레기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동애등에 유충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되는 효과 및 동애등에 유충의 유용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대조구와 처리구에 대해 음식물 쓰레기 분해시 발생하는 암모니아 가스의 농도를 비교하여 살펴보면 다음 표 3과 같다.
(단위 : ppm)
구분 1일째 3일째
대조구 처리구1 처리구2 대조구 처리구1 처리구2
암모니아 1.4 100.7 113.9 203.4 424.9 386.7
표 3. 암모니아 발생농도
대조구는 음식물 쓰레기와 톱밥의 조합, 처리구1은 음식물 쓰레기, 톱밥 및 동애등에 유충의 조합, 처리구2는 음식물 쓰레기, 톱밥, 동애등에 유충 및 미생물의 조합이다. 여기서, 투입된 미생물은 효모(yeast)이고, 투입된 동애등에 유충의 개수는 5000마리이며, 사용한 음식물 쓰레기는 1일당 10kg이고, 톱밥은 수분조절 및 발효를 도와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대조구와 처리구에 사용된 용기의 크기는 1,200mm*600mm*200mm이다.
초기 음식물 쓰레기의 암모니아 농도를 조사한 결과 1일째에는 대조구에서 1.4ppm, 처리구1에서 100.7ppm 및 처리2구에서 113.9ppm으로 대조구를 제외하고 매우 높은 농도를 보였다. 또한, 3일째에는 대조구에서 203.4ppm, 처리구1에서 424.9ppm 및 처리2구에서 386.7ppm의 암모니아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농도의 차이는 대조구보다 처리구1, 2의 음식물이 빠르게 분해되고 있으며, 이는 동애등에의 유충에 의한 영향임을 나타낸다. 동애등에 유충에 의해 분해될 때 발효 및 음식물의 물성변성으로 인한 암모니아의 발생은 처리과정 중 초기에 상대적으로 높게 발생하였다.
특히, 동애등에는 겨울에 유충이 서식할 수 없으므로 4계절 온, 습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조를 만들고, 암모니아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살균정화 및 전기전자의 화학반응 또는 내부와 외부의 공기를 교환하는 열교환 공조시스템 등 암모니아 발생을 억제 완화할 수 있는 보편화된 시스템을 추가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배출된 분변토는 비효성이 탁월하여 농경지, 작물(원예, 과수, 특용 작물 등)의 경작지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얻은 변환 산물의 성분을 분석하면 다음 표 4와 같다.
시료명 N
(ppm)
pH T-N
(ppm)
T-P
(ppm)
K
(mg/L)
Cr
(mg/L)
Cu
(mg/L)
Ni
(mg/L)
Cd
(mg/L)
Pb
(mg/L)
Zn
(mg/L)
대조구1 3.640 5.68 30,591 2988 7645.1 17.410 6.32 1.602 0.047 0.756 47.02
대조구2 2.149 5.95 16,091 1708 4663.7 14.660 4.93 1.480 0.114 1.779 26.38
T1-1 1.276 7.88 8,204 2032 4390.1 15.020 7.93 1.765 0.135 0.690 29.09
T1-2 1.129 7.99 7,421 2079 4830.7 14.520 11.09 2.191 0.112 -0.032 26.40
T2-1 1.319 7.89 8,106 1772 5295.9 14.810 6.05 2.551 0.052 -1.970 23.58
T2-2 1.136 7.96 7,813 1499 5247.5 23.470 11.61 2.865 0.128 -0.356 30.04
표 4. 음식물 쓰레기 분해산물의 퇴비 성분 분석
대조구1은 음식물 쓰레기, 대조구2는 음식물 쓰레기와 톱밥의 조합, T1은 음식물 쓰레기, 톱밥 및 동애등에 유충의 조합, T2는 음식물 쓰레기, 톱밥, 동애등에 유충 및 미생물의 조합이다. T1-1과 T1-2는 T1의 실험예이며, T2-1과 T2-2는 T2의 실험예이다.
동애등에 유충이 분해한 음식물 쓰레기 분해 산물인 분변토의 성분 분석 결과, 질소 함량과 질소 총량(T-N) 함량 모두 동애등에를 처리한 경우가 대조구1, 2에 비해 월등히 낮아졌다. T1에서 발생하는 분변토의 질소(N) 함량과 질소 총량(T-N)의 함량은 대조구1에서 발생하는 분변토의 질소(N) 함량과 질소 총량(T-N)의 함량에 비해 각각 30% ~ 40%, 20% ~ 30% 정도로 낮아졌으며, 이는 비료로서 더욱 좋은 성분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동애등에 유충과 미생물 처리를 동시에 한 경우도 같은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pH를 살펴보면,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산물이 대조구1, 2에서 산성인데 비해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하여 분해한 경우 중성 또는 약 알칼리성으로 변화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산물의 퇴비화에 적합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분해산물은 버섯 배지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후 생산된 동애등에 유충 및 번데기의 성분을 분석하면 다음 표 5와 같다.
구 분 수분
(%)
회분
(%)
조지방
(%)
조단백
(%)
조섬유
(%)
에너지
(kcal/kg)
유 충 5.77 6.13 16.71 43.42 5.74 6,119.4
번데기 6.14 6.55 26.93 46.42 10.62 6,163.7
표 5. 유충 및 번데기의 일반성분
수분함량은 동결건조 후 분석단계에서 함량이다. 동애등에 유충의 사료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일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조단백질이 43.42%로 대두박과 비슷한 수준의 높은 단백질 값을 보였으며 에너지도 매우 높은 결과를 보였다. 동애등에 번데기의 경우 유충과 유사한 결과값을 보였으며, 조지방, 조단백, 조섬유 등에서 유충의 경우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동애등에 유충과 번데기는 사육 동물(돼지, 소, 닭 등), 파충류(개구리 등), 어류의 사료로 사용될 수 있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의 정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의 평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중 상단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중 상단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중 유기성 폐기물 투입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처리 용기 102 : 유기성 폐기물
104 : 용기 덮개 106a, 106b : 덮개 손잡이
108 : 배출부 109 : 연결관
110 : 덮개 끼움부 115a, 115b : 유충 수집부
120 : 롤러 125 : 롤러 구동부
130 : 벨트 132a, 132b : 제1 차단부
134a, 134b : 제2 차단부 135a, 135b, 135c : 히터
140 : 다리부 400 : 투입부
410 : 이송부 420 : 이송 구동부
430 : 투입 본체부 508a 내지 508f : 배출부
510a, 510b : 투입부 515a, 515b : 투입 조절부
525a 내지 525f : 롤러 구동부 530a 내지 530f : 벨트
532 : 제1 차단부 534 : 제2 차단부
540 : 다리부 550 : 폐기물 수집통
610 : 공기 순환부 615 : 공기 유출부
620 : 공기 유입부

Claims (17)

  1. 내부에 유기성 폐기물을 수용하며, 동애등에 유충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처리 용기;
    상기 처리 용기의 일면에 마련되며,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부; 및
    상기 컨베이어부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의 구동시 개방되고, 상기 컨베이어부의 정지시 차단되는 제1 차단부를 포함하는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용기의 타면에 위치하며,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상기 처리 용기에 배출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3. 유기성 폐기물을 이동시키며,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컨베이어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수용하며, 동애등에 유충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처리 용기; 및
    상기 각 층의 컨베이어부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의 구동시 개방 되고, 상기 컨베이어부의 정지시 차단되는 제1 차단부를 포함하는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의 각 층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상기 컨베이어부에 배출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가 유기성 폐기물을 배출하는 경우 상기 배출부의 폐기물 배출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차단부를 차단시키는 차단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6.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이동하면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상기 처리 용기에 배출하는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7.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고정되며, 상기 배출부가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상기 처리 용기에 배출하는 동안 상기 컨베이어부가 구동되어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컨베이어부의 구동시 상기 컨베이어부에 결착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차단하는 제2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용기의 상면을 덮어서 그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높일 수 있는 용기 덮개를 더 포함하는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용기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처리 용기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11.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용기의 측면은
    상기 컨베이어부에 인접하며, 소정 길이만큼 상기 컨베이어부에 수직한 수직면; 및
    상기 수직면과 연결되며, 상기 컨베이어부에 경사지며 연장된 경사면을 포함하는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이 상기 컨베이어부와 형성하는 각도는 10도 내지 80도인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과 연결되며, 상기 경사면을 통해 이동한 동애등에 유충이 수집되는 유충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1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용기 내부에 마련되며, 다수의 공기 유출홀이 형성되어 배열되는 공기 순환부를 더 포함하는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출홀은 상기 공기 순환부의 하부에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1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용기는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측면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1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용기를 소정의 간격으로 나누는 차단막을 더 포함하는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1020090030839A 2009-04-09 2009-04-09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101076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839A KR101076684B1 (ko) 2009-04-09 2009-04-09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839A KR101076684B1 (ko) 2009-04-09 2009-04-09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367A true KR20100112367A (ko) 2010-10-19
KR101076684B1 KR101076684B1 (ko) 2011-10-26

Family

ID=43132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839A KR101076684B1 (ko) 2009-04-09 2009-04-09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66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705B1 (ko) * 2012-04-06 2014-06-11 그린테코 주식회사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922B1 (ko) * 2013-03-07 2013-08-02 유형종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2114645B1 (ko) 2018-03-20 2020-05-25 농업회사법인 푸디웜㈜ 유충 사육 자동화 장치
KR102153252B1 (ko) * 2020-01-22 2020-09-0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인성산업 동애등에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자동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977B1 (ko) * 2004-10-06 2007-01-04 양창옥 파리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705B1 (ko) * 2012-04-06 2014-06-11 그린테코 주식회사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6684B1 (ko)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3089B1 (ko)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회전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및 그 방법
KR101010316B1 (ko)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JP5913044B2 (ja) 有機肥料及び飼料製造システム
KR101503853B1 (ko) 유기 비료 제조 시스템
KR101432560B1 (ko)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US4262633A (en) Means and methods of reclaiming and processing biodegradable waste into poultry products and humus-like substances
US201200554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tion of ammonia and bacteria in chicken houses and other poultry houses
US201100616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tion of ammonia, carbon dioxide and pathogens in chicken houses
KR20100003710A (ko) 동애등에 생산 방법
KR100937154B1 (ko) 흰점박이꽃무지 대량 계대 증식 사육 방법
KR101405889B1 (ko) 동애등에 사육 장치
KR20120097205A (ko) 컨베이어를 이용한 동애등에 대량 사육 보호커버장치
KR101076684B1 (ko)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20140146298A (ko) 공간절약형 3차원 동애등에 연속처리장치 및 방법
KR20130141144A (ko) 이동 및 조립이 용이한 지렁이 사육장치
KR101003088B1 (ko)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연속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100654253B1 (ko) 파리 사육 장치
KR101404705B1 (ko)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CN215302341U (zh) 一种黑水虻与鸡联合养殖的生态循环养鸡房
JP2001275511A (ja) 生ごみの処理方法及び生ごみ処理用鶏舎
CN210641946U (zh) 一种移动格板畜牧自动养殖系统
JP2003190920A (ja) 有機廃棄物の処理用トレー
CN108207156B (zh) 一种免施农药的土壤处理装置
TWM580075U (zh) Circulating device for treating kitchen waste with black water bottle
KR101902440B1 (ko) 개량된 통기구조를 갖는 꽃무지 풍뎅이 유충 사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