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00065418A -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5418A
KR20100065418A KR20080123738A KR20080123738A KR20100065418A KR 20100065418 A KR20100065418 A KR 20100065418A KR 20080123738 A KR20080123738 A KR 20080123738A KR 20080123738 A KR20080123738 A KR 20080123738A KR 20100065418 A KR20100065418 A KR 20100065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event
display unit
terminal
touch ev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080123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영
함경운
김현진
성주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123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5418A/ko
Priority to US12/632,243 priority patent/US8654087B2/en
Publication of KR20100065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418A/ko
Priority to US13/737,417 priority patent/US8638311B2/en
Priority to US14/013,810 priority patent/US9013432B2/en
Priority to US14/013,841 priority patent/US9013433B2/en
Priority to US14/165,453 priority patent/US9268368B2/en
Priority to US14/301,042 priority patent/US9671870B2/en
Priority to US15/601,219 priority patent/US9946358B2/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the force sensing means being located peripherally, e.g. disposed at the corners or at the side of a touch sensing pl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에 있어서, 터치에 따른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터치 센서, 단말기의 일측이 구부러짐에 따라 발생하는 휨 이벤트를 생성하는 굴곡 센서, 상기 터치 이벤트와 상기 휨 이벤트를 기반으로 현재 출력 중인 컨텐츠의 재생 제어를 수행하도록 정의한 기능 테이블을 저장한 저장부 및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가요성, 휨, 굴곡 센서, 터치 센서

Description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Flexible Display Device And Data outpu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요성 단말기에 굴곡 센서와 터치 센서를 마련하여, 다양한 입력 신호 체계를 정의하고, 상기 정의된 입력 신호에 따라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 표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을 기반으로 폭넓은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 휴대 단말기는 파일 재생 기능에 대응하는 MP3 기능을 가지기도 하고, 영상을 수집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에 대응하는 영상 수집 기능을 가지기도 한다. 또한, 종래 휴대 단말기의 경우, 모바일 게임이나 아케이드 게임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지원하고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 지원을 위하여 표시부를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표시부는 단말기 제조 시 휴대성 및 기타 장치 배열에 따른 공간적 제약에 따라 일정 크기 이상의 표시부를 가지기 힘들다. 그러나 이러한 공간적 제약 및 휴대성을 만족할 수 있는 표시부의 개발에 힘입어 근래에는 휘어짐이 가능한 표시부 를 가지는 단말기가 제안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종래의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는 신호 입력이 단순하고,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단순히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 단말기의 가요성 특성을 이용한 다양한 응용 사례의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요성 표시부의 특징을 기반으로 입력 신호를 정의하고, 상기 입력 신호에 따른 데이터 표시 방법을 다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는, 터치에 따라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터치 센서; 일정 영역의 구부러짐에 따라 휨 이벤트를 생성하는 굴곡 센서; 상기 터치 이벤트와 상기 휨 이벤트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기능 수행을 정의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기능 테이블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기능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이벤트 및 휨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컨텐츠 재생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히는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은,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에 있어서, 터치 이벤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터치 이벤트 수신에 따라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 상기 컨텐츠 재생 중에 단말기의 일측이 구부러짐에 따라 휨 이벤트가 발생하는 과정; 상기 휨 이벤트 발생 시 상기 터치 이벤트와 상기 휨 이벤트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기능 수 행을 정의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기능 테이블을 로딩하는 과정; 상기 기능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이벤트 및 휨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제어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에 따르면, 다양한 방식의 입력 신호 생성이 가능하며, 해당 입력 신호 생성에 따른 적절한 데이터 표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인터페이스(110), 전원부(120), 표시부(130), 터치 센서(140), 굴곡 센서(150), 저장부(17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터치 센서(140)와 굴곡 센서(150)를 운용하여 표시부(130)의 일측에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서 일정 각도 이상으로 휘어지는 휨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가 휨 이벤트가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휨 이벤트가 발생한 영역에 설정된 입력 신호를 생성함과 아울러, 해당 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저장부(170)에 저장된 컨텐츠(177)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휨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의 변화에 따라 표시부(130)에 출력 중인 컨텐츠(177)를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110)는 타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110)는 단말기(100)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무선주파수부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가 직렬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110)는 USB 인터페이스 또는 UART 인터페이스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인터페이스(110)는 타 단말기 또는 이동통신 시스템이나 인터넷 네트웍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하여 컨텐츠(177)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20)는 상기 단말기(100)의 각 구성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필요한 구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부(120)는 배터리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재사용을 고려하여 2차 전지 타입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부(130)는 단말기(100)의 기능에 따라 활성화되는 화면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30)는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및 컨텐츠 활성화에 따른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30)는 전자 잉크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FLCD(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 가요성 OLED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부(130)는 패널 구동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프레임 메모리 및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외부에서 작용하는 물리력에 의하여 일정 부분이 구부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140)는 상기 표시부(130) 전면에 배치되어 단말기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기타 스타일러스 펜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터치를 인식하고, 인식된 터치를 기반으로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상기 터치 센서(140)는 멀티 터치 지원을 위하여 매트릭스 형태로 분포하는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센서(140)는 표시부(130) 전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표시부(130) 휘어짐에 따라 일정 각도 이상 휘어질 수 있다. 터치 센서(140)는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면, 해당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 이벤트는 터치 다운, 터치 업, 드래그, 플릭, 멀티 터치 등과 같이 터치의 종류에 관한 정보와 해당 터치가 발생하는 지점의 터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굴곡 센서(150)는 표시부(130) 전면에 광섬유와 같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물질을 도포한 후, 표시부(130)의 구부러짐에 의해 발생하는 광섬유의 구부러짐을 센싱한다. 이때, 굴곡 센서(150)는 표시부(130) 전면에서 어떠한 지점에서 구부러짐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센서 소자들을 분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굴곡 센서(150)는 표시부(130)의 일정 부분이 구부러질 경우, 어떠한 지점이 어떠한 각도로 구부러지고 있는지에 대한 휨 이벤트를 생성한다. 그리고 굴곡 센서(150)는 상기 휨 이벤트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휨 이벤트는 휨 방향, 휨 각도, 휨 영역 등과 같이 휨의 형태와 휨 이벤트가 발생한 휨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170)는 단말기(100)의 동작 수행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타 휴대 단말기나 서버 등 외부로부터 전달된 컨텐츠(177)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7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기를 부팅 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 지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예를 들면, 통화 기능, 파일 재생 기능, 메뉴 선택 기능, 사진 등의 리스트 검색 기능, 메시지 작성 기능, 웹 서핑 기능 지원을 위한 웹 브라우저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그리고 프로그램 영역은 상기 터치 센서(140) 운용을 위한 터치 센서 운용 프로그램(터치.App) 및 굴곡 센서(150) 운용을 위한 굴곡 센서 운용 프로그램(굴곡.App)을 저 장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운용 프로그램(터치.App) 및 상기 굴곡 센서 운용 프로그램(굴곡.App)은 상기 단말기(100)가 활성화되면 설정된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다양한 옵션 기능과 관련한 사용자 데이터들 예컨대, 휴대 단말기가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카메라 기능에 의한 촬영 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폰 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데이터 영역은 상기 인터페이스(110)를 통하여 외부 시스템이나 타 단말기로부터 전달된 복수개의 컨텐츠(177)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컨텐츠(177)는 복수개의 이미지, 복수개의 텍스트, 복수개의 파일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 컨텐츠(177)를 책에 해당하는 복수개의 텍스트 페이지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데이터 영역은 기능 테이블(171)을 저장한다. 상기 기능 테이블(171)은 터치 센서(140) 및 상기 굴곡 센서(150)로부터 전달되는 터치 이벤트 및 상기 휨 이벤트에 따라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를 정의한 테이블이다. 예를 들어, 상기 기능 테이블(171)은 상기 표시부(130)의 일측 모서리가 구부러짐에 따라 굴곡 센서(150)로부터 휨 이벤트가 전달될 경우, 기 설정된 컨텐츠(177)를 출력하도록 정의한 명령어들 또는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컨텐츠(177)를 출력하도록 정의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테이블이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 및 각 장치들의 활성화와, 각 장치들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터치 센서(140) 및 굴곡 센서(150)를 선택적으로 운용하도록 제어하며, 기능 테이블(171)을 기반으로 상기 터치 센서(140) 및 상기 굴곡 센서(150)들로부터 전달되는 터치 이벤트 및 휨 이벤트에 따른 기능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인식부(161) 및 기능 적용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인식부(161)는 상기 터치 센서(140) 및 상기 굴곡 센서(150)로부터 전달된 터치 이벤트 및 휨 이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터치 이벤트 및 휨 이벤트를 기능 적용부(163)에 전달한다. 이러한 센서 인식부(161)는 터치 센서(140) 및 굴곡 센서(150)의 활성화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센서 인식부(161)는 부팅이 완료된 이후, 저장부(170)에 저장된 터치 센서 운용 프로그램(터치.App)을 로딩하여 터치 센서(140)를 초기화 하고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 인식부(161)는 터치 센서(140)로부터 터치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저장부(170)에 저장된 굴곡 센서 운용 프로그램(굴곡.App)을 로딩하여 상기 굴곡 센서(150)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인식부(161)는 상기 터치 센서(140)와 상기 굴곡 센서(150)를 동일한 시점에 초기화하고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센서 인식부(161)는 표시부(130)에 전원이 공급되기 시작하면 저장부(170)에 저장된 상기 터치 센서 운용 프로그램(터치.App) 및 상기 굴곡 센서 운용 프로그램(굴곡.App)을 로딩하여 터치 센서(140)와 굴곡 센서(150)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표시부(130)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거나 슬립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터치 센서(140) 및 상기 굴곡 센서(150)를 비활성화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센서 인식부(161)는 터치 센서(140) 및 굴곡 센서(150)에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과 차단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능 적용부(163)는 상기 센서 인식부(161)로부터 터치 이벤트 및 휨 이벤트를 수신하면, 저장부(170)에 저장된 기능 테이블(171)을 로딩하고, 기능 테이블(171)을 참조하여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기능 적용부(163)는 터치 이벤트 및 휨 이벤트 발생에 따라 저장부(170)에 저장된 컨텐츠(177)를 표시부(130)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즉, 기능 적용부(163)는 상기 표시부(130)에 출력 중인 컨텐츠(177)들을 단말기 사용자가 보다 쉽고 빠르게 볼 수 있도록 적절한 표시 환경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미 출력된 컨텐츠(177)들을 터치 이벤트 및 휨 이벤트 발생에 따라 변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컨텐츠(177)들의 출력 형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능 적용부(163)는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 및 휨 이벤트에 따라 출력된 컨텐츠(177)들의 환경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능 적용부(163)의 적용 사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는 터치 센서와 굴곡 센서로부터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와 휨 이벤트를 기반으로 표시부에 출력 중인 컨텐츠의 종류와 컨텐츠의 출력 형태, 컨텐츠의 변형 등을 제어하여 정보 검색을 보다 유연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최초 단말기 사용자는 201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부의 양측을 양손으로 파지함에 따라, 양손의 각 엄지손가락이 표시부 일측을 터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단말기에 마련된 터치 센서는 엄지손가락 터치에 따른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 설정된 컨텐츠를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능 설명을 위하여 책에 대응하는 텍스트 페이지가 표시부에 출력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203 화면에서와 같이 단말기 사용자는 단말기를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오른손 검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우상측 모서리(A0)를 일정 각도 이상 구부릴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에 마련된 터치 센서는 양 측부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에 지속적으로 전달하게 되며, 굴곡 센서는 우상측 모서리(A0)가 일정 각도 이상 구부러짐에 따른 휨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의 우상측 모서리(A0)가 구부러짐에 따라 표시부는 현재 출력 중인 텍스트 페이지의 우상측 모서리(A0) 부분을 구부러지게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이전에 굴곡 센서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터치 센서와 굴곡 센서로부터 터치 이벤트와 휨 이벤트를 수신하면, 205 화면에서와 같이 휨 이벤트가 발생한 우상측 모서리(A0) 영역에 접기 이미지(B0)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기능 테이블을 로딩하고, 우상측 모서리(A0)로부터 발생한 휨 이벤트와 터치 이벤트를 기 준으로 그에 상응하는 기능인 접기 이미지(B0)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는 접기 이미지(B0)가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현재 출력 중인 컨텐츠를 사용자가 북마크 한 것으로 인식하고, 그에 따른 속성정보를 컨텐츠의 파일 정보에 기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기 이미지(B0)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는 북마크 속성을 가지는 컨텐츠들의 리스트를 표시부 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터치 이벤트는 단말기의 양 측부에서 사용자의 양 엄지손가락으로부터 발생하는 터치다운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접기 이미지(B0) 표시와 접기 이미지(B0) 표시에 따른 컨텐츠 파일 정보의 속성 변경 기능은 표시부 일측으로부터 발생한 터치 이벤트와 기 설정된 위치에서 발생하는 휨 이벤트를 기준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능 수행은 기능 테이블의 설정 또는 사용자의 기능 테이블 변경에 따라서 한 지점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와 기 설정된 위치에서 발생하는 휨 이벤트를 기준으로 수행될 수 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터치 센서의 초기화는 터치 센서 전체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메뉴 이미지(B1)가 출력되고 있는 영역에서만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 사용자는 211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부의 양측을 양손으로 파지함에 따라, 양손의 각 엄지손가락이 표시부 일측을 터치하게 된 다. 상기 단말기에 마련된 터치 센서는 엄지손가락 터치에 따른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 설정된 컨텐츠를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 중 책에 대응하는 텍스트 페이지가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이전에 굴곡 센서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213 화면에서와 같이 단말기 사용자는 단말기의 좌측부를 한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오른손을 사용하여 우하측 모서리(A1)를 일정 각도 이상 구부릴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에 마련된 터치 센서는 좌측부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에 지속적으로 전달하게 되며, 굴곡 센서는 우하측 모서리(A1)가 일정 각도 이상 구부러짐에 따른 휨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의 우하측 모서리(A1)가 구부러짐에 따라 표시부는 현재 출력 중인 텍스트 페이지의 우하측 모서리(A1) 부분을 구부러지게 출력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는 터치 센서와 굴곡 센서로부터 터치 이벤트와 휨 이벤트를 수신하면, 저장부에 저장된 기능 테이블을 로딩하고, 우하측 모서리(A1)로부터 발생한 휨 이벤트와 좌측부로부터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기준으로 그에 상응하는 기능인 메뉴 이미지(B1)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215 화면에서와 같이 휨 이벤트가 발생한 우하측 모서리(A1) 영역에 메뉴 이미지(B1)가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는 메뉴 이미지(B1)가 출력되는 우하측 모서리 영역에 대하여 올바른 기능 수행이 진행될 수 있도록, 메뉴 이미지(B1)에 따른 터치 센서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메뉴 이미지(B1)에 포함된 항목들에 대하여 터치 이벤트가 정상적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초기화가 이루어진다.
상술한 설명에서 메뉴 이미지(B1)가 우하측 모서리에 출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메뉴 이미지(B1)는 표시부의 중앙이나 사용자가 터치가 용이하도록 터치 이벤트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좌측부 영역 또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했었던 우측부 영역에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 사용자는 221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부의 양측을 양손으로 파지함에 따라, 양손의 각 엄지손가락이 표시부 일측을 터치하게 된다. 상기 단말기에 마련된 터치 센서는 엄지손가락 터치에 따른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 설정된 컨텐츠를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 중 복수개의 텍스트 페이지를 포함하는 문서 파일 중 하나의 텍스트 페이지를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이전에 굴곡 센서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223 화면에서와 같이 단말기 사용자는 단말기를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왼손 검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좌상측 모서리(A2)를 일정 각도 이상 구부릴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에 마련된 터치 센서는 사용자의 손이 표시부의 양 측부를 파지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에 지속적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활성화된 굴곡 센서는 좌상측 모서리(A2)가 일정 각도 이상 구부러짐에 따른 휨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휨 이벤트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단말기의 좌상측 모서리(A2)가 구부러짐에 따라 표시부는 현재 출력 중인 텍스트 페이지의 좌상측 모서리(A2) 부분을 구부러지게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이전에 굴곡 센서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터치 센서와 굴곡 센서로부터 터치 이벤트와 휨 이벤트를 수신하면, 저장부에 저장된 기능 테이블을 로딩하고, 좌상측 모서리(A2)로부터 발생한 휨 이벤트와 양 측부로부터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기준으로 그에 상응하는 기능인 슬라이드 뷰 이미지(B2)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225 화면에서와 같이 휨 이벤트가 발생한 좌측부 영역에 슬라이드 뷰 이미지(B2)가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는 슬라이드 뷰 이미지(B2)가 출력되는 좌측부 영역에 대하여 해당 영역에서 다른 텍스트 페이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뷰 이미지(B2)에 따른 터치 센서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슬라이드 뷰 이미지(B2)에 포함된 항목들에 대하여 터치 이벤트가 정상적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터치 센서 초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슬라이드 뷰 이미지(B2)가 좌측부 영역에 출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슬라이드 뷰 이미지(B2)는 표시부의 중앙이나 사용자의 터치가 용이하도록 우측부 영역이나, 상측 가장자리 영역 또는 하측 가장자리 영역에 각각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터치 센서 전체를 초기화하기 보다는 상기 슬라이드 뷰 이미지(B2)가 출력된 영역에 대하여 부분적인 터치 센서 초기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슬라이드 뷰 이미지(B2)가 출력된 영역은 터치 센서의 다양한 터치 형태 예를 들면, 플릭, 드래그 터치, 더블 터치 등에 따라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단말기 사용자는 231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부의 양측을 양손으로 파지함에 따라, 양손의 각 엄지손가락이 표시부 일측을 터치하게 된다. 상기 단말기에 마련된 터치 센서는 엄지손가락 터치에 따른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 설정된 컨텐츠를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이전에 굴곡 센서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233 화면에서와 같이 단말기 사용자는 단말기의 우측부를 한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왼손을 사용하여 좌하측 모서리(A3)를 일정 각도 이상 구부릴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에 마련된 터치 센서는 우측부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에 지속적으로 전달하게 되며, 굴곡 센서는 좌하측 모서리(A3)가 일정 각 도 이상 구부러짐에 따른 휨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의 우하측 모서리(A1)가 구부러짐에 따라 표시부는 현재 출력 중인 텍스트 페이지의 좌하측 모서리(A3) 부분을 구부러지게 출력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는 터치 센서와 굴곡 센서로부터 터치 이벤트와 휨 이벤트를 수신하면, 저장부에 저장된 기능 테이블을 로딩하고, 좌하측 모서리(A3)로부터 발생한 휨 이벤트와 우측부로부터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기준으로 그에 상응하는 기능인 멀티 뷰 이미지(B3)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235 화면에서와 같이 휨 이벤트가 발생한 좌측부 영역(B3)에 멀티 뷰 이미지(B3)가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는 멀티 뷰 이미지(B3)가 출력되는 좌측부 영역(B3)에 대하여 해당 영역에서 다른 컨텐츠가 선택될 수 있도록 멀티 뷰 이미지(B3)에 따른 터치 센서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멀티 뷰 이미지(B3)에 포함된 각 컨텐츠들에 대하여 터치 이벤트가 정상적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터치 센서 초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멀티 뷰 이미지(B3)가 좌측부 영역(B3)에 출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멀티 뷰 이미지(B3)는 표시부의 중앙이나 사용자의 터치가 용이하도록 우측부 영역이나, 상측 가장자리 영역 또는 하측 가장자리 영역에 각각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터치 센서 전체를 초기화하기 보다는 상기 멀티 뷰 이미지(B3)가 출력된 영역에 대하여 부분적인 터치 센서 초기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멀티 뷰 이미지(B3)가 출력된 영역은 터치 센서의 다양한 터치 형태 예를 들면, 플릭, 드래그 터치, 더블 터치 등에 따라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멀티 뷰 이미지(B3)에서 다른 컨텐츠 예를 들면 오디오 파일이 선택되면 제어부는 현재 수행 중인 컨텐츠를 종료하고, 선택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는 71a 도면에서와 같이 축을 중심으로 구부러짐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73a 도면에서와 같이 표시부의 양측부(A, B)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를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의 출력은 표시부의 일측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양측부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른 수행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단말기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굴곡 센서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터치 센서 활성화 시, 굴곡 센서를 함께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다음으로, 도 7b를 참조하면, 단말기는 71b 도면에서와 같이 축을 중심으로 우측부가 좌측부에 비하여 구부러짐이 보다 심하게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비대칭 구부러짐이 발생하면, 구부러짐이 심하게 발생하는 측부 쪽에 73b 도면에서와 같이 다른 컨텐츠들의 일부 영역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단말기는 구부러짐에 따라 굴곡 센서로부터 휨 이벤트를 수신하게 되는데, 우측부로부터의 휨 이벤트 내에 포함된 휨 각도 정보와 좌측부로부터의 휨 이벤트 내에 포함된 휨 각도 정보를 서로 비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 는 우측부가 좌측부에 비하여 보다 큰 휨 각도를 가지는 것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기는 우측부에 다른 컨텐츠들의 가장자리 영역을 일정 간격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7c를 참조하면, 단말기는 7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부에서 전달되는 터치 이벤트(B)와 휨 각도에 따라 다른 컨텐츠들의 일부 영역을 표시하는 폭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단말기는 도 7b의 7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부의 휨 각도가 작을수록 7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폭의 크기를 작게 표시하도록 하며, 7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휨 각도가 클수록, 7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폭의 크기를 크게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75c 및 7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이벤트(A, B)에 따라 컨텐츠들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측부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B)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우측 가장자리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다른 컨텐츠들의 일부 영역을 표시하는 일정 폭 상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B)가 우측 가장자리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다수개의 컨텐츠들의 일부 영역에서 터치 이벤트(B)가 지나간 컨텐츠는 우에서 좌측 방향 페이지 넘기기 형태로 이동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를 책과 비교하여 설명하면, 최초 도 7a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텍스트 페이지에 대응하는 면지를 가지는 책이 일정 텍스트 페이지 즉 특정 면지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책의 좌측부 및 우측부를 각각 손가락으로 이용하여 파지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페이지 넘기기를 하고자 할 경우, 책의 우측부 즉, 면지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개방된 측면을 오른손을 이용하여 파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을 책의 우측 전면에 배치하고, 나머지 4개의 손가락을 책의 우측 배면에 배치하여 책의 측면을 파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아래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책의 우측부가 휘어지게 되면 이에 따라 책의 측면에 배치된 면지들이 일정 각도를 가지며 뒤틀리게 된다. 이때, 엄지손가락은 책의 특정 면지 즉, 텍스트 페이지에 해당하는 가장자리를 누르고 있으며, 휘어짐이 커질수록 도 73b 및 도 7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책의 면지들의 뒤틀림 폭이 커지게 된다. 한편, 도 7c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면지들을 누르고 있는 엄지손가락을 우측 가장자리로 이동시키게 되면, 엄지손가락에 의하여 지지받지 못하는 면지는 휘어져 있는 상태의 탄성에 의하여 우측에서 좌측으로 면지가 넘어가게 된다. 본 발명의 단말기는 상술한 면지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텍스트 페이지가 상술한 설명에서와 같이 면지가 페이지 넘기기 방식으로 이동되는 바와 같이, 텍스트 페이지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말기는 터치 이벤트를 지속적으로 감지하며, 휘어짐 각도에 따라 다른 텍스트 페이지들의 일부 영역을 일정 폭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터치가 우측 가장자리로 이동하면서, 터치 이벤트가 해제된 텍스트 페이지들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다음 텍스트 페이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터치 이벤트가 우측 가장자리에서 발생한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텍스트 페이지는 표시부에 출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출력 중인 텍스트 페이지는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따라 터치 이벤트가 해제되면, 터치 이벤트가 유지되고 있는 다른 텍스트 페이지로 교체된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텍스트 페이지들의 뒤틀림 영역 내에서 터치 이벤트가 이동함에 따라 텍스트 페이지들의 페이지 넘기기 기능을 구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터치 이벤트가 고정된 상태에서 휨 이벤트의 변화에 따라 페이지 넘기기 기능이 구현될 수 도 있다. 즉, 상술한 설명에서와 같이, 휨 이벤트의 휨 각도에 따라 상기 뒤틀림 영역의 폭이 결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는데, 휨 각도가 커짐에 따라 튀틀림 영역의 폭이 커져서 터치 이벤트(B)가 유지되고 있는 지점보다 상기 폭이 커질 경우, 텍스트 페이지들 중 일부 페이지들은 터치 이벤트(B) 지점을 넘어서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는 터치 이벤트(B) 해제가 발생하는 텍스트 페이지들을 기반으로 페이지 넘기기 기능 구현과 함께 현재 터치 이벤트(B)가 유지되고 있는 다른 텍스트 페이지로 교체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는 터치 센서를 활성화하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 예를 들면 텍스트 페이지를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텍스트 페이지가 표시부에 출력되면 단말기는 설정된 조건에 따라 굴곡 센서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단말기는 좌측부(A) 및 우측하부(B)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는 우측하부(B)에서 휨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우측하부(B)에서 터치 이벤트와 휨 이벤트가 발생하는 다른 컨텐츠들 즉, 다른 텍스트 페이지들의 모서리 영역을 일정 부분씩 겹쳐지면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의 표시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페이지의 우측 가장자리 영역과 하부 가장자리 영역이 일정부분씩 겹쳐져 표시된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표시 상태에서, 우측하부(B)에서 발생하고 있는 터치 이벤트가 단말기의 모서리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텍스트 페이지들의 터치 이벤트 발생이 변화되면, 단말기는 그에 따라 페이지 넘기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 이벤트가 모서리 방향이 아닌 우측 방향이나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텍스트 페이지들의 터치 이벤트 발생이 변화되더라도 동일한 방식으로 페이지 넘기기 기능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단말기는 터치 센서를 활성화하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 예를 들면 텍스트 페이지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텍스트 페이지가 표시부에 출력되면 단말기는 설정된 조건에 따라 굴곡 센서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단말기의 제어부는 사용자가 우측부에서 가하는 물리력에 의하여 우측부가 일정 각도로 구부러짐에 따른 휨 이벤트를 굴곡 센서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의 제어부는 91에서와 같이 휨 이벤트 발생 시, 축을 중심으로 우측부에서 발생한 휨 이벤트가 비대칭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의 표시부는 93에서와 같이 우측부에서 다른 텍스트 페이지들의 일부 영역들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의 제어부는 특정 텍스트 페이지가 북 마크되어 있는 경우, 해당 북마크를 상술한 일정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단말기의 제어부는 비대칭 휨 이벤트가 발생하면,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들 즉, 텍스트 페이지들의 파일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이전에 북 마크로 설정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텍스트 페이지를 북 마크로 설정한 경우, 단말기의 제어부는 비대칭 휨 이벤트 발생에 따라 텍스트 페이지들의 일부 영역들을 보여주면서, 북 마크로 설정된 텍스트 페이지는 다른 텍스트 페이지들과 구별될 수 있도록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93에서와 같이 북 마크로 설정된 텍스트 페이지의 출력 영역을 다른 텍스트 페이지의 출력 영역보다 크게 설정하거나, 텍스트 페이지의 출력 영역 일측에 북 마크 표시(M)를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북 마크로 설정되어 있는 텍스트 페이지가 있는 경우, 단말기 제어부는 95에서와 같이, 북 마크 설정 텍스트 페이지의 페이지 넘기기 기능을 다른 텍스트 페이지와 구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제어부는 다수개의 텍스트 페이지의 일정 영역들이 출력된 일정 폭 내에서 터치 이벤트가 변화됨에 따라 텍스트 페이지들의 터치 이벤트 해제가 발생하면, 터치 이벤트가 해제된 텍스트 페이지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우에서 좌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터치 이벤트가 유지된 다른 텍스트 페이지를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 과정에서 단말기 제어부는 텍스트 페이지들의 터치 이벤트가 해제된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간격을 가지며 해당 이미지가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 제어부는 북 마크로 설정된 텍스트 페이지의 경우 다른 텍스트 페이지들의 출력 시간 간격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페이지 넘기기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일정 시간 간격으로 텍스트 페이지들이 좌에서 우로 이동할 수 있는데, 북 마크로 설정되어 있는 텍스트 페이지는 다른 텍스트 페이지들에 비하여 오랜 시간 동안 표시부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페이지 넘기기 기능에 따라 이동한 텍스트 페이지들 중 터치 이벤트로 재 지정함으로써, 페이지가 넘어가지 않고 표시부에 출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북 마크로 설정되어 있는 텍스트 페이지가 표시되는 경우, 다른 텍스트 페이지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출력되기 때문에 해당 페이지를 보다 쉽게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페이지 넘기기 기능에서, 터치 이벤트 변화에 따라 일정 시간 간격으로 텍스트 페이지가 변화되는데, 단말기 제어부는 터치 이벤트가 해제된 상태여도, 상기 텍스트 페이지가 표시부에 출력되어 있는 상태 즉, 이동되고 있는 상태라 하더라도 터치 이벤트로 다시 지정하면 이동 멈춤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이벤트 중 드래그 또는 플릭이 발생하면, 단말기 제어부는 지정된 텍스트 페이지를 표시부 전체에 다시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해당 텍스트 페이지를 표시부 상에서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페이지 넘기기 기능은 터치 이벤트가 해당 텍스트 페이지의 터치 이벤트 해제된 이후 일정 시간 간격으로 텍스트 페이지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페이지가 터치 이벤트가 해제된 시점에 별도의 시간 지연 없이 바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10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는 101a에서와 같이 축을 중심으로 구부러짐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103a에서와 같이 표시부의 양측부(A, B)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를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의 출력은 표시부의 일측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양측부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른 수행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단말기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굴곡 센서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터치 센서 활성화 시, 굴곡 센서를 함께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다음으로, 도 10b를 참조하면, 단말기는 101b에서와 같이 축을 중심으로 우측부가 좌측부에 비하여 구부러짐이 보다 심하게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비대칭 구부러짐이 발생하면, 구부러짐이 심하게 발생하는 측부 쪽에 103b 도면에서와 같이 다른 컨텐츠들의 일부 영역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단말기는 구부러짐에 따라 굴곡 센서로부터 휨 이벤트를 수신하게 되는데, 우측부로부터의 휨 이벤트 내에 포함된 휨 각도 정보와 좌측부로부터의 휨 이벤트 내에 포함된 휨 각도 정보를 서로 비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는 우측부가 좌측부에 비하여 보다 큰 휨 각도를 가지는 것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기는 우측부에 다른 컨텐츠들의 가장자리 영역을 일정 간격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이벤트(A)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단말기 제어부는 103b의 좌측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재 화면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정하기 위한 페이지 잠금바(Lock bar)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잠금바는 잠금바 기능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터치 이벤트(A)가 발생한 지점과 일부 영역이 겹쳐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바는 터치 이벤트(A)가 해제되면 표시부 상에서 제거될 수 있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이벤트(A)를 이동시켜서 잠금바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단말기 제어부는 잠금바 기능의 활성화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잠금바 상부 일측 또는 해당 텍스트 페이지의 일측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d를 참조하면, 단말기 제어부는 101d에서와 같이 별도의 휨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라 하더라도, 잠금바 기능에 따라 우측부에 다른 텍스트 페이지들의 일정 영역들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 제어부는 다른 잠금바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북 마크로 설정된 텍스트 페이지들을 구별할 수 있도록, 103d에서와 같이 상기 일정 영역들 내에서 북 마크로 설정된 텍스트 페이지를 나타낸 표식들(B1, B2, B3)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단말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표식들 중 어느 하나를 터치 하는 것에 따라, 해당 텍스트 페이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부의 형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이 접히는 표시부 형태를 가질 수 도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 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1 표시부는 왼손으로 제2 표시부는 오른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사용자가 오른손을 이용하여 제2 표시부를 일정 각도 이상으로 구부리게 되면, 단말기의 제어부는 굴곡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휨 이벤트를 기준으로 앞서 설명한 페이지 넘기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 제어부는 제2 표시부에 출력 중인 텍스트 페이지를 제1 표시부로 이동하면서 제거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는 구부러짐에 의해 발생하는 봉우리가 복수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단말기에 마련된 굴곡 센서는 방향이 다른 제1 및 제2 휨 이벤트를 생성하여 단말기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제1 휨 이벤트는 표시부의 중앙을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이 상측 방향으로 구부러짐을 나타낸 정보를 포함하며, 제2 휨 이벤트는 표시부의 중앙을 중심으로 우측 또는 좌측이 하측 방향으로 구부러짐을 나타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는 굴곡 센서로부터 방향 값이 다른 복수개의 휨 이벤트를 수신하게 되면, 각 휨 이벤트가 발생한 지역에 배치된 컨텐츠를 확대하거나 축소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의 중앙을 중심으로 단말기의 좌측에 위치한 영역이 상 방향으로 구부러지며, 단말기의 우측에 위치한 영역이 하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경우, 굴곡센서는 각각에 대응하는 제1 휨 이벤트 및 제2 휨 이벤트를 생성하여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터치 센서는 각각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한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단말기는 터치 센서 및 굴곡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터치 이벤트 및 휨 이벤트를 기준으로 단말기의 좌측 영역에 배치된 컨텐츠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단말기는 좌측 영역에 배치된 컨텐츠 중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지점을 중심으로 줌 인 기능을 적용하여 해당 컨텐츠를 확대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는 터치 센서 및 굴곡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터치 이벤트 및 휨 이벤트를 기준으로 단말기의 우측 영역에 배치된 컨텐츠를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단말기는 우측 영역에 배치된 컨텐츠 중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지점을 중심으로 줌 아웃 기능을 적용하여 해당 컨텐츠를 축소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2b를 참조하면, 표시부의 중앙을 중심으로 단말기의 좌측에 위치한 영역이 하 방향으로 구부러지며, 단말기의 우측에 위치한 영역이 상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경우, 굴곡센서는 각각에 대응하는 방향이 다른 제1 휨 이벤트 및 제2 휨 이벤트를 생성하여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터치 센서는 각각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한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단말기는 터치 센서 및 굴곡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터치 이벤트 및 휨 이벤트를 기준으로 단말기의 좌측 영역에 배치된 컨텐츠를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단말기는 좌측 영역에 배치된 컨텐츠 중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지점을 중심으로 줌 아웃 기 능을 적용하여 해당 컨텐츠를 축소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는 터치 센서 및 굴곡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터치 이벤트 및 휨 이벤트를 기준으로 단말기의 우측 영역에 배치된 컨텐츠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단말기는 우측 영역에 배치된 컨텐츠 중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지점을 중심으로 줌 인 기능을 적용하여 해당 컨텐츠를 확대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표시부의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측 대비 방향이 다른 두개의 휨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표시부를 3등분하여 좌우측이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중앙분이 좌우측과 다른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경우, 굴곡 센서는 각각 3개의 휨 이벤트를 생성하고, 이를 단말기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는 굴곡 센서로부터 3개의 휨 이벤트를 수신할 경우, 아래 방향으로 구부러진 영역에 표시된 컨텐츠는 축소하여 표시하도록 조정하고, 윗 방향으로 구부러진 영역에 표시된 컨텐츠는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에 마련된 터치 센서와 굴곡 센서로부터 발생된 터치 이벤트와 휨 이벤트를 기반으로 단말기의 사용자 기능을 운용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S101 단계에서 단말기 제어부는 전원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부팅 과정을 수행하고, 부팅이 완료되면 기 설정된 대기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한편, S101 단계에서와 같이, 터치 센서를 활성화하여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이후, 단말기 제어부는 S103 단계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S101 단계로 분기하여 터치 센서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 제어부는 S103 단계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터치 이벤트에 따른 기능 수행을 진행하는 한편, S105 단계로 분기하여 굴곡 센서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105 단계에서 굴곡 센서 활성화 과정을 수행하는 단말기는 실질적으로 터치 센서를 활성화하는 S101 단계에서 굴곡 센서를 함게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다음으로, 단말기 제어부는 S107 단계에서 휨 즉, 구부러짐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구부러짐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S105 단계로 분기하여 굴곡 센서를 활성화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발생한 터치 이벤트에 따른 기능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S107 단계에서 단말기의 일측으로부터 휨이 발생하면, 단말기 제어부는 휨 이벤트를 생성하여 제어부에 전달함과 아울러, S109 단계로 분기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기능 테이블을 로딩한다. 기능 테이블은 터치 이벤트 및 휨 이벤트에 따른 기능 수행을 위한 명령어들을 기재한 테이블이다.
이에 따라, 단말기 제어부는 S111 단계에서 기능 테이블을 기초하여 터치 이벤트와 휨 이벤트 기반의 기능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단말기 제어부는 휨 이벤트가 모서리 구부리기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모서리 구부리기에 해당하는 휨 이벤트 인 경우, 각 모서리에 할당된 기능들 예를 들면, 접기 기능, 메뉴 기능, 슬라이드 뷰 기능 및 멀티 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접기 기능은 접기 이미지를 표시부에 출력 중인 컨텐츠에 적용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컨텐츠의 속성 예를 들면 북 마크 속성을 추가하도록 하는 기능이 될 수 있다. 메뉴 기능은 표시부에 메뉴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하는 한편, 메뉴 이미지에 출력된 항목들을 실행할 수 있도록, 메뉴 이미지가 출력된 영역의 터치 센서를 초기화하여 항목들을 선택할 수 있는 상태로 활성화하는 기능이다. 슬라이드 뷰 기능은 현재 출력 중인 컨텐츠의 다른 슬라이드들을 표시부 일측에 일정 크기로 출력하도록 하며, 해당 슬라이드 이미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해당 영역의 터치 센서를 초기화하도록 기능이다. 멀티 뷰 기능은 표시부 일측에 저장부에 저장된 다른 컨텐츠들에 대응하는 이미지들을 출력하도록 하며, 출력 영역에서의 이미지들을 사용자가 활성화할 수 있도록 터치 센서를 초기화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이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는 표시부의 중앙을 중심으로 비대칭 휨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고, 비대칭 휨 이벤트가 발생하면, 페이지 넘기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페이지 넘기기 기능은, 다수개의 텍스트 페이지를 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으로, 휨 이벤트의 휨 각도에 따라 표시부 일측에 다른 텍스트 이미지들의 일부 영역들을 일정 폭 내에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이다. 이때, 상기 일정 폭은 휨 각도에 따라 그 크기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일정 폭 내에 일정 간격을 가지며 출력되는 텍스트 페이지의 일부 영역들에 있어서, 상기 일정 간격은 일정 폭의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즉, 일정 폭이 늘어나면 상기 일정 간격이 커지며, 상기 일정 폭이 줄어들면 상기 일정 간격이 줄어들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일정 폭 내에서 터치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경우, 단말기 제어부는 터치 이벤트가 해제된 텍스트 페이지를 일정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거함과 아울러, 터치 이벤트가 유지되고 있는 텍스트 페이지를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이다. 이때, 단말기 제어부는 터치 이벤트가 다수개의 텍스트 페이지들의 일정 영역들에서 발생하였다가 해제된 경우, 일정 시간 간격으로 텍스트 페이지들을 일정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북 마크로 설정한 텍스트 페이지의 경우에는 다른 텍스트 페이지들과 구별될 수 있도록, 일정 이미지를 부여하거나, 상기 일정 폭 내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다른 텍스트 페이지들보다 크게 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가 해제된 경우, 다른 텍스트 페이지들보다 오랜 시간 동안 표신 이후 일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거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는 잠금바 기능을 제공하여, 특정 텍스트 페이지를 사용자가 잠금바 기능을 설정할 경우, 휨 이벤트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지 않더라도, 상기 일정 폭이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일정 폭 내에서 상기 북 마크로 설정된 페이지들을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북 마크 표시를 일정 폭 내에서 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북 마크가 터치 되면 해당 텍스트 페이지로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휨 이벤트 발생 시, 방향이 다른 복수개의 휨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개의 휨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 방향으로 또는 하 방향으로 구부러진 영역에서의 컨텐츠는 확대 또는 축소하도록 제어하며, 하 방향 또는 상 방향으로 구부러진 다른 영역에서의 컨텐츠는 축소 또는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은 단말기의 구부러짐 영역 및 구부러짐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컨텐츠들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동일 컨텐츠라 하더라도, 표시 방법에 차이를 두어 표시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컨텐츠들을 열람할 때, 보다 역동적이며 손쉽게 열람할 수 있도록 기능 지원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모서리 구부러짐에 의한 단말기의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모서리 구부러짐에 의한 단말기의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모서리 구부러짐에 의한 단말기의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모서리 구부러짐에 의한 단말기의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페이지 넘기기 기능 지원을 위한 단말기의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페이지 넘기기 기능 지원을 위한 단말기의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페이지 넘기기 기능 지원을 위한 단말기의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페이지 넘기기 기능 지원을 위한 단말기의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확대 및 축소 기능 지원을 위한 단말기의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Claims (46)

  1. 터치에 따라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터치 센서;
    단말기 일정 영역의 구부러짐에 따라 휨 이벤트를 생성하는 굴곡 센서;
    상기 터치 이벤트와 상기 휨 이벤트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기능 수행을 정의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기능 테이블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기능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이벤트 및 휨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컨텐츠 재생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모서리 영역 구부러짐에 따른 휨 이벤트 발생 시, 상기 기능 테이블에 따라 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모서리 영역이 구부러짐에 따른 제1 휨 이벤트가 발생하면, 현재 표시부 상에 출력 중인 컨텐츠의 일정 영역이 접히는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접히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컨텐츠의 속성에 북 마크 속성을 추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접히는 이미지에서 터치 이벤트 발생 시, 북 마크 속성을 가지는 컨텐츠들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 모서리 영역이 구부러짐에 따른 제2 휨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표시부 상에 메뉴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3 모서리 영역이 구부러짐에 따른 제3 휨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표시부 상에 출력 중인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들을 상기 표시부 일측에 슬라이드 뷰 이미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출력 중인 컨텐츠가 리사이징되어 출력되는 제1 영역;
    상기 슬라이드 뷰 이미지들을 출력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4 모서리 영역이 구부러짐에 따른 제4 휨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다른 컨텐츠들을 멀티 뷰 이미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4 휨 이벤트가 발생하기 이전에 출력 중인 컨텐츠가 리사이징되어 출력되는 제1 영역;
    상기 멀티 뷰 이미지들을 출력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중앙을 중심으로 비대칭 구부러짐에 따른 휨 이벤트가 발생하면, 다수개의 텍스트 페이지 일부 영역들을 일정 폭 내에 일정 간격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비대칭 구부러짐의 휨 각도에 따라 상기 일정 폭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일정 폭의 크기 조절에 따라 상기 일정 간격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휨 이벤트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가 상기 일정 폭 내에서 발생하는 경우, 터치 이벤트가 발생했다가 해제된 텍스트 페이지를 상기 표시부 상 에서 일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제거하며, 터치 이벤트가 유지되고 있는 텍스트 페이지를 상기 제거되는 텍스트 페이지와 교체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휨 이벤트 발생 시,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 지점부터 상기 표시부의 가장자리 영역까지를 상기 일정 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이벤트가 고정된 상태에서 휨 이벤트의 휨 각도가 증가하여, 상기 일정 폭 내에 위치한 텍스트 페이지들의 일정 간격이 상기 터치 이벤트 지점을 통과하는 경우, 통과한 텍스트 페이지를 상기 표시부 상에서 일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제거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가 유지된 지점에서의 텍스트 페이지를 상기 표시부 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표시부 상에서 일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제거되는 텍스트 페이지들 중 북 마크된 텍스트 페이지는 다른 텍스트 페이지들에 비하여 느린 속도로 이동하거나, 다른 텍스트 페이지들이 이동되는 시점보다 늦게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 상에서 이동 중인 텍스트 페이지에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동을 멈추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휨 이벤트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가 일정 시간 동안 발생하는 경우, 상기 휨 이벤트가 제거된 상태에서도 현재 상태를 표시하도록 하는 페이지 잠금바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일정 폭 내에 북 마크된 텍스트 페이지를 선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의 표식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방향이 다른 복수개의 휨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방향에 따라 현재 출력 중인 컨텐츠를 축소 또는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제1 방향으로 구부러짐이 발생하는 영역에서의 컨텐츠는 확대하여 표시하고, 제2 방향으로 구부러짐이 발생하는 영역에서의 컨텐츠는 축소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가 감지한 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컨텐츠의 축소 또는 확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23.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에 있어서,
    터치 이벤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터치 이벤트 수신에 따라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
    상기 컨텐츠 재생 중에 단말기의 일측이 구부러짐에 따라 휨 이벤트가 발생하는 과정;
    상기 휨 이벤트 발생 시 상기 터치 이벤트와 상기 휨 이벤트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기능 수행을 정의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기능 테이블을 로딩하는 과정;
    상기 기능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이벤트 및 휨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제어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휨 이벤트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기의 모서리 영역이 구부러지는 과정;
    상기 모서리 영역 구부러짐에 따른 휨 이벤트를 발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제1 모서리 영역이 구부러짐에 따른 제1 휨 이벤트가 발생하는 과정;
    현재 표시부 상에 출력 중인 컨텐츠의 일정 영역이 접히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접히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컨텐츠의 속성에 북 마크 속성을 추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히는 이미지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과정;
    상기 북 마크 속성을 가지는 컨텐츠들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제2 모서리 영역이 구부러짐에 따른 제2 휨 이벤트가 발생하는 과정;
    상기 표시부 상에 메뉴 이미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제3 모서리 영역이 구부러짐에 따른 제3 휨 이벤트가 발생하는 과정;
    상기 표시부 상에 출력 중인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들을 상기 표시부 일측에 슬라이드 뷰 이미지로 출력하는 출력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출력 중인 컨텐츠를 리사이징하는 과정;
    상기 리사이징 된 컨텐츠를 제1 영역에 출력하는 과정;
    상기 슬라이드 뷰 이미지들을 제2 영역에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30.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제4 모서리 영역이 구부러짐에 따른 제4 휨 이벤트가 발생하는 과정;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다른 컨텐츠들을 멀티 뷰 이미지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제4 휨 이벤트가 발생하기 이전에 출력 중인 컨텐츠를 리사이징하는 과정;
    상기 리사이징된 컨텐츠를 제1 영역에 출력하는 과정;
    상기 멀티 뷰 이미지들을 제2 영역에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32.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휨 이벤트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기의 중앙을 중심으로 비대칭 구부러짐이 발생하는 과정;
    상기 비대칭 부러짐에 따른 휨 이벤트를 발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텍스트 페이지 일부 영역들을 일정 폭 내에 일정 간격으로 출력하는 출력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과정은
    상기 비대칭 구부러짐의 휨 각도에 따라 상기 일정 폭의 크기를 조절하는 과정;
    상기 조절된 일정 폭에 따라 상기 텍스트 페이지 일부 영역들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과정은
    상기 일정 폭의 크기 조절에 따라 상기 일정 간격의 크기를 조절하는 과정;
    상기 조절된 일정 간격에 따라 상기 일부 영역들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휨 이벤트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가 상기 일정 폭 내에서 발생하는 과정;
    상기 터치 이벤트가 발생했다가 해제된 텍스트 페이지를 상기 표시부 상에서 일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제거하는 과정;
    상기 터치 이벤트가 유지되고 있는 텍스트 페이지를 상기 제거되는 텍스트 페이지와 교체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 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37.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휨 이벤트 발생 시,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 지점부터 상기 표시부의 가장자리 영역까지를 상기 일정 폭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38.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터치 이벤트가 고정된 상태에서 휨 이벤트의 휨 각도가 증가하는 과정;
    상기 일정 폭 내에 위치한 텍스트 페이지들의 일정 간격이 상기 터치 이벤트 지점을 통과하는 과정;
    상기 통과한 텍스트 페이지를 상기 표시부 상에서 일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제거하는 과정;
    상기 터치 이벤트가 유지된 지점에서의 텍스트 페이지를 상기 표시부 상에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39.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표시부 상에서 일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제거되는 텍스트 페이지들 중 북 마크된 텍스트 페이지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북 마크된 텍스트 페이지를 다른 텍스트 페이지들에 비하여 느린 속도로 이동시키거나, 다른 텍스트 페이지들이 이동되는 시점보다 늦게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40. 제 38항 또는 제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표시부 상에서 이동 중인 텍스트 페이지에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동을 멈추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41.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휨 이벤트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가 일정 시간 동안 발생하는 과정;
    상기 휨 이벤트가 제거되는 과정;
    상기 휨 이벤트가 제거되기 이전 상태를 표시하도록 하는 페이지 잠금바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과정;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페이지 잠금바를 활성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43.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일정 폭 내에 북 마크된 텍스트 페이지를 선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표식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4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휨 이벤트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기가 복수의 방향으로 구부러짐이 발생하는 가정;
    상기 구부러짐에 따른 복수개의 휨 이벤트가 발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제1 방향으로 구부러짐이 발생하는 영역에서의 컨텐츠는 확대하여 표시하는 과정;
    제2 방향으로 구부러짐이 발생하는 영역에서의 컨텐츠는 축소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
    상기 터치 이벤트가 감지한 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컨텐츠의 축소 또는 확대를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KR20080123738A 2008-12-08 2008-12-08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Ceased KR20100065418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23738A KR20100065418A (ko) 2008-12-08 2008-12-08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US12/632,243 US8654087B2 (en) 2008-12-08 2009-12-07 Flexible display device and data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3/737,417 US8638311B2 (en) 2008-12-08 2013-01-09 Display device and data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4/013,810 US9013432B2 (en) 2008-12-08 2013-08-29 Flexible display device and data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4/013,841 US9013433B2 (en) 2008-12-08 2013-08-29 Flexible display device and data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4/165,453 US9268368B2 (en) 2008-12-08 2014-01-27 Flexible display device and data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4/301,042 US9671870B2 (en) 2008-12-08 2014-06-10 Flexible display device and data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5/601,219 US9946358B2 (en) 2008-12-08 2017-05-22 Flexible display device and data display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23738A KR20100065418A (ko) 2008-12-08 2008-12-08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308A Division KR101920407B1 (ko) 2015-07-29 2015-07-29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418A true KR20100065418A (ko) 2010-06-17

Family

ID=42230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23738A Ceased KR20100065418A (ko) 2008-12-08 2008-12-08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5) US8654087B2 (ko)
KR (1) KR20100065418A (ko)

Cited B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3901A (ko) * 2012-04-08 2013-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13154317A1 (en) * 2012-04-08 2013-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i thereof
CN103389865A (zh) * 2012-05-09 2013-11-13 Lg电子株式会社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20130135648A (ko) * 2012-06-01 2013-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40008177A (ko) * 2012-07-11 2014-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40016073A (ko) * 2012-07-30 2014-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WO2014030812A1 (en) * 2012-08-23 201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24145A (ko) * 2012-08-20 2014-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25926A (ko) * 2012-08-23 201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31679A (ko) * 2012-09-05 2014-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40032767A (ko) * 2012-09-07 2014-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콘텐트 공유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75335B1 (ko) * 2012-05-15 2014-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54746A (ko) * 2012-10-29 2014-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화면 제어 방법
KR20140064259A (ko) * 2012-11-20 2014-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WO2014107079A1 (en) * 2013-01-07 2014-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zooming method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20140093576A (ko) * 2013-01-17 2014-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표시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US9007315B2 (en) 2012-05-08 2015-04-14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sensing warpage of the same
KR20150125615A (ko) * 2014-04-30 2015-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45583A (ko) * 2014-06-20 2015-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9389776B2 (en) 2012-12-20 2016-07-12 Samsung Display Co., Ltd. Switching complex, flexibl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generating input signal using the same
KR20160127281A (ko) * 2015-04-24 2016-1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70071194A (ko) * 2015-12-15 2017-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전자장치 및 동작 방법
KR20170138869A (ko) * 2016-06-08 2017-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장치 및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장치의 제어방법
US9886187B2 (en) 2012-04-08 2018-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form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80041650A (ko) * 2018-04-16 2018-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114476B2 (en) 2012-07-30 2018-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10133373B2 (en) 2014-10-20 2018-1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transparency and rendering state of each of a plurality of areas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20190077272A (ko) * 2019-06-21 2019-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90114945A (ko) * 2019-09-26 2019-10-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200018801A (ko) * 2020-02-13 2020-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20200022410A (ko) * 2020-02-21 2020-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200043361A (ko) * 2020-04-20 2020-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58358A (ko) * 2020-02-13 2020-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20200060322A (ko) * 2020-05-22 2020-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937346B2 (en) 2012-08-23 2021-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63840B2 (en) 2010-10-01 2015-02-24 Z124 Smartpad split screen desktop
US9182937B2 (en) 2010-10-01 2015-11-10 Z124 Desktop reveal by moving a logical display stack with gestures
US7953462B2 (en) 2008-08-04 2011-05-31 Vartanian Harr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daptively responsive flexible display device
KR101472021B1 (ko) * 2008-09-02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866500B2 (en) 2009-03-26 2014-10-21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Multi-functional capacitance sensing circuit with a current conveyor
US8654524B2 (en) 2009-08-17 2014-02-18 Apple Inc. Housing as an I/O device
JP5493707B2 (ja) * 2009-10-28 2014-05-1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AU2009251135B2 (en) * 2009-12-23 2013-03-21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of interfacing with multi-point display device
US9665258B2 (en) * 2010-02-05 2017-05-30 Smart Technologies Ulc Interactive input system displaying an e-book graphic object and method of manipulating a e-book graphic object
BR112012024359A2 (pt) 2010-03-25 2016-05-24 Nokia Corp contorção de um aparelho eletrônico
JP5663916B2 (ja) * 2010-03-26 2015-02-04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30038303A (ko) * 2010-05-21 2013-04-17 노키아 코포레이션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8990727B2 (en) * 2010-07-21 2015-03-24 Sybase, Inc. Fisheye-based presentation of information for mobile devices
TWI431363B (zh) * 2010-07-21 2014-03-21 E Ink Holdings Inc 可撓式顯示裝置及其防誤觸方法
US20120032877A1 (en) * 2010-08-09 2012-02-09 XMG Studio Motion Driven Gestures For Customization In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EP2609494A4 (en) 2010-08-23 2016-04-27 Parade Technologies Ltd COUNTER-CAPACITY CHANNELS AND METHOD AND SYSTEMS THEREFOR
US9013441B2 (en) 2010-08-24 2015-04-21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Smart scanning for a capacitive sensing array
US9046992B2 (en) * 2010-10-01 2015-06-02 Z124 Gesture controls for multi-screen user interface
CN102455846A (zh) * 2010-10-15 2012-05-16 国际商业机器公司 具有双稳态显示器的设备的处理方法和装置
EP2463848A1 (en) * 2010-11-09 2012-06-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Image magnification based on display flexing
US8462106B2 (en) 2010-11-09 2013-06-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Image magnification based on display flexing
KR20120059823A (ko) * 2010-12-01 2012-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20159373A1 (en) * 2010-12-15 2012-06-2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 for and method of generating dog ear bookmarks on a touch screen device
US8994646B2 (en) 2010-12-17 2015-03-31 Microsoft Corporation Detecting gestures involving intentional movement of a computing device
US20120169609A1 (en) * 2010-12-29 2012-07-05 Nokia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content navigation
EP2500898B1 (en) * 2011-03-18 2023-01-18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foldable display
US9812074B2 (en) * 2011-03-18 2017-11-07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foldable display
US9117384B2 (en) 2011-03-18 2015-08-25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bendable display
DE112011100087T5 (de) * 2011-04-06 2013-01-31 Research In Motion Limited Gestenerkennung auf einer tragbaren Vorrichtung mit einem kraftempfindlichen Gehäuse
US8958201B2 (en) * 2011-04-15 2015-02-17 Blackberry Limited Flexible mobile computing devices
US11320946B2 (en) 2011-04-19 2022-05-03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Capacitive panel scanning with reduced number of sensing circuits
US10684765B2 (en) 2011-06-17 2020-06-16 Nokia Technologies Oy Causing transmission of a message
KR101789625B1 (ko) * 2011-06-23 2017-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30009892A1 (en) * 2011-07-07 2013-01-10 Nokia,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US9110580B2 (en) * 2011-08-05 2015-08-18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comprising a display and a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1306287B1 (ko) * 2011-08-16 2013-09-09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 인지 장치
US8754961B2 (en) 2011-08-17 2014-06-17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image data from overlapping regions of images
KR101881865B1 (ko) * 2011-08-30 2018-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장치 및 방법
US8963895B2 (en) * 2011-09-22 2015-02-24 Nano Lumens Acquisition Inc. Ubiquitously mountable image display system
CN103019427B (zh) * 2011-09-28 2017-06-27 联想(北京)有限公司 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20130040547A (ko) * 2011-10-14 2013-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화면제어 장치 및 방법
US9007300B2 (en) 2011-10-14 2015-04-14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to control a process with bend movements
WO2013068791A1 (en) * 2011-11-11 2013-05-16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eformation-sensitive input
JP2013105310A (ja) * 2011-11-14 2013-05-3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056674A (ko) * 2011-11-22 2013-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CN102522049B (zh) * 2011-11-22 2013-10-30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可挠显示装置
KR20130073621A (ko) * 2011-12-23 2013-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TWI502403B (zh) 2011-12-27 2015-10-01 Ind Tech Res Inst 軟性顯示器的控制方法與軟性顯示器
JP6102748B2 (ja) * 2011-12-28 2017-03-29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プログラム
US8669956B2 (en) 2011-12-30 2014-03-11 Lg Electronics Inc. Bending threshold and release for a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30080937A (ko) * 2012-01-06 2013-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랙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단말장치의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US9823707B2 (en) * 2012-01-25 2017-11-21 Nokia Technologies Oy Contortion of an electronic apparatus
US8610663B2 (en) 2012-02-06 2013-12-17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411423B2 (en) * 2012-02-08 2016-08-09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ptic flex gesturing
US9672796B2 (en) 2012-02-17 2017-06-06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US9804734B2 (en) 2012-02-24 2017-10-3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displaying content
US9767605B2 (en) 2012-02-24 2017-09-1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multi-dimensional representations of an image dependent upon the shape of a display
US20130222416A1 (en) * 2012-02-29 2013-08-29 Pan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ing flexible display
US8866770B2 (en) * 2012-03-19 2014-10-21 Mediatek Inc.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hanging size of touch permissible region of touch screen
US9024909B2 (en) 2012-04-02 2015-05-05 Nokia Corporation Sensing
US8682248B2 (en) * 2012-04-07 2014-03-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9338517B2 (en) 2012-04-07 2016-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AU2016238947B2 (en) * 2012-04-08 2018-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692252B1 (ko) 2012-04-08 201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30118032A (ko) * 2012-04-19 2013-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다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US9823696B2 (en) 2012-04-27 2017-11-21 Nokia Technologies Oy Limiting movement
KR102013587B1 (ko) * 2012-05-03 2019-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30123606A (ko) * 2012-05-03 2013-11-13 한국과학기술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정보 동기화 방법
KR101864620B1 (ko) * 2012-05-09 2018-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337520B1 (ko) * 2012-05-17 2013-1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314492B2 (en) 2013-05-23 2019-06-11 Medibotics Llc Wearable spectroscopic sensor to measure food consumption based on interaction between light and the human body
KR102052370B1 (ko) 2012-06-14 2020-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포터블 디바이스
US9582035B2 (en) 2014-02-25 2017-02-28 Medibotics Llc Wearable computing devices and methods for the wrist and/or forearm
KR101420330B1 (ko) * 2012-06-22 2014-07-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표시 장치
KR20140004863A (ko) * 2012-07-03 2014-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랙시블 표시 패널을 가지는 단말에서 표시 방법 및 장치
JP2014016519A (ja) * 2012-07-10 2014-01-30 Nikon Corp 表示装置
US8893565B2 (en) * 2012-07-13 2014-11-25 Nokia Corporation Apparatus for sensing
CN103544676B (zh) * 2012-07-16 2016-12-28 联想(北京)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20140029190A1 (en) * 2012-07-25 2014-01-30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device
KR102028175B1 (ko) * 2012-07-30 2019-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제공하는 플렉서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6119B1 (ko) * 2012-08-01 2019-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42211B1 (ko) 2012-08-20 2019-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딩 상태에 따라 오브젝트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1919848B1 (ko) * 2012-08-23 2018-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 및 플렉서블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40026843A (ko) * 2012-08-23 2014-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링크 형성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36499A (ko) 2012-09-17 2014-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28717B1 (ko) * 2012-09-18 2019-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40044237A (ko) * 2012-10-04 2014-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40044227A (ko) 2012-10-04 2014-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9158332B2 (en) 2012-10-22 2015-10-13 Nokia Technologies Oy Limiting movement
US9158334B2 (en) 2012-10-22 2015-10-13 Nokia Technologies Oy Electronic device controlled by flexing
KR102086715B1 (ko) * 2012-11-01 202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표시부의 화면 출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GB2509517B (en) * 2013-01-04 2021-03-10 Vertegaal Roel Computing apparatus
EP3608767A3 (en) * 2013-01-17 2020-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application
CN105378622B (zh) * 2013-01-31 2019-12-10 日本电气株式会社 文档阅读器和文档页面翻转方法
TWI566134B (zh) 2013-02-05 2017-01-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摺疊式顯示器、可撓式顯示器及電腦圖像之控制方法
US9366708B2 (en) 2013-02-06 2016-06-14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comprising a flexible substrate and a component supported by the flexible substrate
KR20140116672A (ko) * 2013-03-25 2014-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장치
US8860682B1 (en) 2013-04-22 2014-10-14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Hardware de-convolution block for multi-phase scanning
KR20140133034A (ko) * 2013-05-09 2014-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35404A (ko) 2013-05-16 2014-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40407A (ko) * 2013-05-29 2014-12-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 및 상기 단말에서의 멀티 터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US9536456B2 (en) * 2013-07-02 2017-01-03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device
KR20150010516A (ko) * 2013-07-19 2015-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객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38508B1 (ko) * 2013-08-13 2020-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310925B2 (en) * 2013-08-16 2016-04-12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terface based on bending
US9910521B2 (en) * 2013-10-01 2018-03-06 Lg Electronics Inc. Control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91030B1 (ko) * 2013-10-18 2020-03-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192035B1 (ko) 2013-12-02 2020-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촉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TWI514219B (zh) * 2013-12-17 2015-12-21 Ind Tech Res Inst 運用於軟性顯示面板的撓曲感測器及相關感測方法與系統
JP2015118560A (ja) * 2013-12-18 2015-06-25 株式会社リコー 入力装置、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81110A (ko) * 2014-01-03 2015-07-13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패널의 터치 압력 감지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센싱 장치
TWI524259B (zh) * 2014-01-24 2016-03-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觸控面板之控制系統及控制方法
KR102255274B1 (ko) 2014-02-21 2021-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플렉시블 디바이스
US10429888B2 (en) 2014-02-25 2019-10-01 Medibotics Llc Wearable computer display devices for the forearm, wrist, and/or hand
CN104951050B (zh) * 2014-03-24 2019-01-1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电子设备的方法及电子设备
KR102224478B1 (ko) 2014-04-15 202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티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575512B2 (en) 2014-04-15 2017-02-21 Lg Electronics Inc. Flexible touch sensitiv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93921B1 (ko) * 2014-04-23 2020-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US10656799B2 (en) 2014-05-02 2020-05-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262721B1 (ko) 2014-05-12 2021-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JP6464576B2 (ja) * 2014-06-04 2019-02-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210632B1 (ko) 2014-06-09 2021-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벤딩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46554B1 (ko) 2014-06-18 2021-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52733B1 (ko) * 2014-06-24 2020-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55326B1 (ko) 2014-07-24 2022-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13748A (ko) * 2014-07-28 2016-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785066B1 (ko) * 2014-07-31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싱 방법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
WO2016017948A1 (en) 2014-07-31 2016-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evice and interfacing method thereof
US10739817B2 (en) * 2014-08-06 2020-08-11 Gregory A. Piccionelli Flexible display screen systems and methods
WO2016027999A1 (en) * 2014-08-20 2016-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690381B2 (en) 2014-08-21 2017-06-27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hape input and output for a haptically-enabled deformable surface
KR102243655B1 (ko) 2014-09-02 2021-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338003B1 (ko) * 2014-10-07 2021-1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60110097A1 (en) * 2014-10-16 2016-04-21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US9535550B2 (en) 2014-11-25 2017-01-03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eformation-based haptic effects
KR20160080851A (ko) 2014-12-29 2016-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277260B1 (ko) 2014-12-29 2021-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CN105988593B (zh) * 2015-02-17 2019-01-08 和鑫光电股份有限公司 可挠性键盘覆盖膜及其控制流程
KR20160123620A (ko) 2015-04-16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9830030B2 (en) 2015-05-07 2017-11-2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Flexible touch panel, touch control device and op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JP6259789B2 (ja) 2015-05-28 2018-01-10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有機el表示モジュール
KR102372335B1 (ko) * 2015-07-27 2022-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880641B2 (en) 2015-08-27 2018-0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displayed content on a reshaped flexible display
US10013060B2 (en) 2015-09-18 2018-07-03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haptic effects in response to deformation of a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2370169B1 (ko) * 2015-10-13 2022-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D822633S1 (en) 2015-11-04 2018-07-10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electronic device
USD820801S1 (en) 2015-11-04 2018-06-19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electronic device
EP3181724A3 (en) * 2015-12-14 2017-08-16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LLC Environmentally friendly stable catalysts for electroless metallization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rough-holes
CN106873814B (zh) * 2015-12-14 2020-02-2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102459831B1 (ko) 2015-12-28 2022-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6935145B (zh) * 2015-12-31 2019-10-0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提高柔性屏使用寿命的方法及装置
US10345954B2 (en) * 2016-03-09 2019-07-09 Lenovo (Singapore) Pte. Ltd.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splay of electronic information
US9898130B2 (en) * 2016-03-31 2018-02-20 Synaptics Incorporated Grip management
CN105892664B (zh) * 2016-03-31 2021-05-1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2423145B1 (ko) 2016-04-12 2022-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바이스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TWI619103B (zh) * 2016-09-23 2018-03-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可撓式顯示器
US20180329871A1 (en) * 2017-05-15 2018-11-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age-Based Navigation for a Dual-Display Device
US20180329597A1 (en) 2017-05-15 2018-11-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k Anchoring
CN109213355A (zh) * 2017-07-04 2019-01-1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触控按键组件、反馈振动方法及家用烹饪器
CN109213354A (zh) * 2017-07-04 2019-01-1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触控按键组件、反馈振动控制方法及家用烹饪器
US10610865B2 (en) * 2017-08-22 2020-04-07 10X Genomics, Inc. Droplet forming devices and system with differential surface properties
JP7119338B2 (ja) * 2017-10-30 2022-08-17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657894B (zh) * 2017-11-02 2019-06-18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8228049A (zh) * 2017-11-30 2018-06-2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自适应形变控制方法、柔性屏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KR102453147B1 (ko) * 2017-12-11 2022-10-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08037879B (zh) * 2017-12-29 2021-01-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564885B (zh) * 2018-01-11 2020-08-25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和柔性显示装置
US11057553B2 (en) 2018-07-06 2021-07-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apturing media using a bendable display and method thereof
CN109189265B (zh) * 2018-08-28 2021-10-08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可拉伸面板和柔性显示装置
US11561683B2 (en) 2018-09-25 2023-01-24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 region of a flexible screen and controlling video playback
US10867535B2 (en) * 2018-09-25 2020-12-15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 region of a flexible screen and controlling video playback
US10635288B2 (en) * 2018-09-25 2020-04-28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 region of a flexible screen and controlling video playback
US11921987B2 (en) * 2018-09-30 2024-03-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navigation bar display method, system navigation bar control method,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KR102739759B1 (ko) 2019-01-16 2024-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감겨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0189860A1 (en) * 2019-03-18 2020-09-2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1562549B2 (en) * 2019-12-20 2023-01-24 Shenzhen Jingtai Technology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user interaction in complex web 3D scenes
WO2021158038A1 (en) 2020-02-04 2021-08-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method and a flexible apparatus managing a folding thereof
US11481035B2 (en) * 2020-05-15 2022-10-2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gestures detected on a display screen of a foldable device
CN114442829B (zh) * 2020-10-30 2025-01-24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触控面板操作方法
KR20220160818A (ko) * 2021-05-28 202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4578898B (zh) * 2022-02-18 2024-07-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230172795A (ko) * 2022-06-16 2023-12-2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언더 드라이브 제어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US12307057B2 (en) * 2022-10-28 2025-05-20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keyboard with four dimensional control pad
US12332822B2 (en) 2022-10-28 2025-06-17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high bandwidth GPU hub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7928A (en) 1994-10-07 1998-05-05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Flexible panel display having thin film transistors driving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JP3267282B2 (ja) 1996-12-03 2002-03-18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
US6157372A (en) * 1997-08-27 2000-12-05 Trw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controllable devices
JP2000122807A (ja) 1998-10-16 2000-04-28 Fuji Xerox Co Ltd 入出力装置
JP2001265481A (ja) * 2000-03-21 2001-09-28 Nec Corp ページ情報表示方法及び装置並びにページ情報表示用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US8089423B1 (en) 2000-05-12 2012-01-03 Harris Scott C Automatic configuration of multiple monitor systems
JP4560974B2 (ja) 2001-03-15 2010-10-1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2003015795A (ja) 2001-07-04 2003-01-17 Minolta Co Ltd 情報表示装置
JP4434609B2 (ja) 2002-03-29 2010-03-17 株式会社東芝 表示入力システム
KR100769783B1 (ko) 2002-03-29 2007-10-2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표시 입력 장치 및 표시 입력 시스템
US7456823B2 (en) * 2002-06-14 2008-11-25 Sony Corporation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apparatus
US7196689B2 (en) 2003-03-31 2007-03-27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device
US7853895B2 (en) * 2004-05-11 2010-12-1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Control of background media when foreground graphical user interface is invoked
JP3911515B2 (ja) * 2005-10-13 2007-05-0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方法、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7880718B2 (en) * 2006-04-18 2011-02-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paper flex input
KR100774927B1 (ko) * 2006-09-27 200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메뉴 및 아이템 선택방법
US9823833B2 (en) 2007-06-05 2017-11-21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ptic enabled flexible touch sensitive surface
KR101456047B1 (ko) * 2007-08-31 2014-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JP2010157060A (ja) 2008-12-26 2010-07-15 Sony Corp 表示装置

Cited B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3901A (ko) * 2012-04-08 2013-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13154317A1 (en) * 2012-04-08 2013-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i thereof
US9886187B2 (en) 2012-04-08 2018-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form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0019052B2 (en) 2012-04-08 2018-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I thereof
US10152153B2 (en) 2012-04-08 2018-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007315B2 (en) 2012-05-08 2015-04-14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sensing warpage of the same
KR20130125653A (ko) * 2012-05-09 2013-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3389865A (zh) * 2012-05-09 2013-11-13 Lg电子株式会社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9710079B2 (en) 2012-05-09 2017-07-1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KR101375335B1 (ko) * 2012-05-15 2014-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239594B2 (en) 2012-05-15 2016-01-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30135648A (ko) * 2012-06-01 2013-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0514727B2 (en) 2012-07-11 2019-1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40008177A (ko) * 2012-07-11 2014-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503274B2 (en) 2012-07-30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10876832B2 (en) 2012-07-30 2020-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KR20140016073A (ko) * 2012-07-30 2014-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US10458782B2 (en) 2012-07-30 2019-10-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US11036310B2 (en) 2012-07-30 2021-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10275045B2 (en) 2012-07-30 2019-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10114476B2 (en) 2012-07-30 2018-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20140024145A (ko) * 2012-08-20 2014-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120458B2 (en) 2012-08-20 2018-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983628B2 (en) 2012-08-23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937346B2 (en) 2012-08-23 2021-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4030812A1 (en) * 2012-08-23 201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25926A (ko) * 2012-08-23 201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31679A (ko) * 2012-09-05 2014-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40032767A (ko) * 2012-09-07 2014-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콘텐트 공유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54746A (ko) * 2012-10-29 2014-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화면 제어 방법
KR20140064259A (ko) * 2012-11-20 2014-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US9389776B2 (en) 2012-12-20 2016-07-12 Samsung Display Co., Ltd. Switching complex, flexibl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generating input signal using the same
WO2014107079A1 (en) * 2013-01-07 2014-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zooming method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CN104919411A (zh) * 2013-01-07 2015-09-16 三星电子株式会社 内容缩放方法及实施该方法的终端
KR20140093576A (ko) * 2013-01-17 2014-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표시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KR20150125615A (ko) * 2014-04-30 2015-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152088B2 (en) 2014-04-30 2018-12-1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50145583A (ko) * 2014-06-20 2015-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949003B2 (en) 2014-10-20 2021-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transparency and rendering state of each of a plurality of areas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10133373B2 (en) 2014-10-20 2018-1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transparency and rendering state of each of a plurality of areas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20160127281A (ko) * 2015-04-24 2016-1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11169642B2 (en) 2015-04-24 2021-11-09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11886670B2 (en) 2015-04-24 2024-01-30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170071194A (ko) * 2015-12-15 2017-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전자장치 및 동작 방법
KR20170138869A (ko) * 2016-06-08 2017-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장치 및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장치의 제어방법
KR20180041650A (ko) * 2018-04-16 2018-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77272A (ko) * 2019-06-21 2019-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90114945A (ko) * 2019-09-26 2019-10-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200058358A (ko) * 2020-02-13 2020-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20200018801A (ko) * 2020-02-13 2020-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20200022410A (ko) * 2020-02-21 2020-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200043361A (ko) * 2020-04-20 2020-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60322A (ko) * 2020-05-22 2020-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46358B2 (en) 2018-04-17
US8654087B2 (en) 2014-02-18
US20140292717A1 (en) 2014-10-02
US20140002402A1 (en) 2014-01-02
US9671870B2 (en) 2017-06-06
US20170255271A1 (en) 2017-09-07
US9013432B2 (en) 2015-04-21
US20100141605A1 (en) 2010-06-10
US9013433B2 (en) 2015-04-21
US20130342509A1 (en) 201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5418A (ko)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US9268368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data displaying method thereof
US9785232B2 (en) Method of displaying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the same
US10013098B2 (en) Operating method of portable terminal based on touch and movement inputs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9152185B2 (en) Dorsal touch input
JP5531133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US2009010918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launcher, activ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100082451A (ko) 접히는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140098904A (ko)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N102508592A (zh) 多维自动滚动
EP27599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 playback
KR20130045781A (ko) 전자책 리더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전자책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297903B1 (ko)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KR101920407B1 (ko)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KR101903561B1 (ko)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KR101857567B1 (ko)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JP5777915B2 (ja) 電子機器及びその表示方法
JP5815071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2017167846A (ja) 表示装置、表示方法、表示プログラム
KR20130088695A (ko) 단말기에서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장치
JP201420315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12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12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5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11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5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5101004359

Request date: 20150728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729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507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501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port of Result of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5091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728

Effective date: 20160523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60523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50728

Decision date: 20160523

Appeal identifier: 2015101004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