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028175B1 -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제공하는 플렉서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제공하는 플렉서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175B1
KR102028175B1 KR1020120083241A KR20120083241A KR102028175B1 KR 102028175 B1 KR102028175 B1 KR 102028175B1 KR 1020120083241 A KR1020120083241 A KR 1020120083241A KR 20120083241 A KR20120083241 A KR 20120083241A KR 102028175 B1 KR102028175 B1 KR 102028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display
guide
flexibl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075A (ko
Inventor
조시연
이창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3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175B1/ko
Priority to TW102126035A priority patent/TWI604348B/zh
Priority to EP13178611.3A priority patent/EP2693320B1/en
Priority to CN201310325770.9A priority patent/CN103576979B/zh
Priority to PCT/KR2013/006849 priority patent/WO2014021615A1/en
Priority to AU2013297228A priority patent/AU2013297228C1/en
Priority to US13/954,322 priority patent/US9952706B2/en
Priority to RU2015106548A priority patent/RU2617600C2/ru
Priority to JP2013157856A priority patent/JP6307229B2/ja
Priority to SG11201408796WA priority patent/SG11201408796WA/en
Priority to BR112015001826A priority patent/BR112015001826A2/pt
Priority to IN1395DEN2015 priority patent/IN2015DN01395A/en
Publication of KR20140016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075A/ko
Priority to AU2016206346A priority patent/AU201620634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5Guidance during keyboard input operation, e.g. promp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3Help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Endoscope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플렉서블 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벤딩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미리 설정된 벤딩이 감지되면, 벤딩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객체 별로 설정된 벤딩에 대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부가하여 제공한다. 이에 따라, 벤딩의 종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제공하는 플렉서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FLEXIBLE DEVICE FOR PROVIDING BENDING INTERACTION GUID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플렉서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벤딩에 대응되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제공하는 플렉서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TV, PC,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대부분의 일반 가정으로까지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더 새롭고 다양한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부합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좀 더 새로운 형태로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른바 차세대 디스플레이라고 불리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란 휘어지는 특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달리 유연하다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기존에 사용되는 터치 이외에 벤딩을 이용한 다양한 입력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벤딩 입력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부분을 구부려서 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모서리 부분을 벤딩시키면, 화면을 다음 페이지로 전환하는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벤딩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벤딩의 종류 및 그에 대응되는 동작에 대하여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어린이나 노인과 같이 벤딩 입력에 서툰 사용자일 경우에는 그 내용을 숙지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벤딩에 매칭된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사용자라 할지라도 벤딩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벤딩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제공하여 지원 가능한 벤딩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플렉서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장치는, 상기 플렉서블 장치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벤딩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미리 설정된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벤딩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객체 별로 설정된 벤딩에 대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부가하여 제공한다.
일 예로, 플렉서블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 및 상기 객체에 대해 부가되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벤딩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플렉서블 장치는, 상기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각각 부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구성하는 그래픽 처리부 및 상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는 각 객체 별로 고유하게 설정된 벤딩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는 상기 화면 상에서의 각 객체의 표시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된 벤딩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화면 전환이 이루어지면 전환 전 화면에서 각 객체의 표시 위치 별로 설정된 벤딩을 전환 후 화면에서 새로이 표시되는 신규 객체의 표시 위치에 따라 동일하게 설정하고, 상기 신규 객체에 대해 설정된 벤딩에 대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상기 신규 객체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체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에 설정된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객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면은 문자 또는 기호 입력을 위한 입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객체는 상기 문자 또는 상기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선택 버튼을 표시하는 객체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에 대해 설정된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객체에 대응되는 문자 또는 기호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는 상기 벤딩의 특성에 따라 라인 폭, 라인 개수, 라인 형태, 라인 방향, 라인 위치, 라인 각도, 라인 색상, 라인 크기, 라인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된 라인 이미지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는 상기 라인 이미지 가이드와 함께 표시되는 문자 가이드 및 기호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장치의 제어 방법은, 벤딩에 대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부가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플렉서블 장치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벤딩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된 객체에 대해 설정된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객체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 및 상기 객체에 대해 부가되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플렉서블 장치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상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각각 부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플렉서블 장치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는 각 객체 별로 고유하게 설정된 벤딩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는 상기 화면 상에서의 각 객체의 표시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된 벤딩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방법은, 화면 전환이 이루어지면 전환 전 화면에서 각 객체의 표시 위치 별로 설정된 벤딩을 전환 후 화면에서 새로이 표시되는 신규 객체의 표시 위치에 따라 동일하게 설정하고, 상기 신규 객체에 대해 설정된 벤딩에 대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상기 신규 객체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객체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고,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에 설정된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객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은 문자 또는 기호 입력을 위한 입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객체는 상기 문자 또는 상기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선택 버튼을 표시하는 객체이며,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에 대해 설정된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객체에 대응되는 문자 또는 기호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는 상기 벤딩의 특성에 따라 라인 폭, 라인 개수, 라인 형태, 라인 방향, 라인 위치, 라인 각도, 라인 색상, 라인 크기, 라인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된 라인 이미지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는 상기 라인 이미지 가이드와 함께 표시되는 문자 가이드 및 기호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부가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벤딩 가능한 플렉서블 장치로부터 벤딩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는 객체 별로 설정된 벤딩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가이드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통해 벤딩 및 그에 따라 수행될 동작에 대해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장치를 보다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2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5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26은 플렉서블 장치에서 벤딩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구조 및 그 감지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은 도 2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도 2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화면 전환 과정에서의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 표시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0은 화면 전환 과정에서의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 표시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1 내지 도 38은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에 대한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플렉서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0은 도 39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43은 도 42의 플렉서블 장치에서 사용 가능한 소프트웨어의 구성도,
도 44는 플렉서블 장치의 외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5는 플렉서블 장치에 연결되는 전원부의 형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6은 잘못된 벤딩에 대한 피드백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47은 사용자 파지 여부에 따라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표시하는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의 플렉서블 장치(100)는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면, 그 힘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 휘어지는 특성을 가진다.
도 1에 따르면, 플렉서블 장치(100)는 감지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감지부(110)는 플렉서블 장치(100)를 휘게 하는 벤딩을 감지한다. 벤딩이란 플렉서블 장치(100)의 본체를 특정 형태로 휘게 하는 사용자의 행위 또는 그 형태를 의미한다.
제어부(120)는 미리 설정된 벤딩이 감지되면, 벤딩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 동작은 플렉서블 장치(1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정해 질 수 있다. 가령, 플렉서블 장치(100)가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구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 제어부(120)는 턴 온 동작에 대응되는 벤딩이 감지되면 플렉서블 장치(100)를 턴 온 시키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반면, 플렉서블 장치(100)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으로 구현된 경우라면, 턴 온 동작에 대응되는 벤딩이 감지되면 제어부(120)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턴 온 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한다.
제어부(120)는 벤딩을 표현하기 위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제공한다.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란 플렉서블 장치(100)를 어떠한 형태로 벤딩시킬 수 있는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표시하기 위한 시각적인 가이드 이미지를 의미한다.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는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객체에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나, 메뉴, 각종 버튼 등과 같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각종 객체들 위에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매핑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단순 플렉서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장치로 구현된 경우에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에서 객체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명세서 후반부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이하에서는 먼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된 경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여타 디스플레이 장치가 가지는 디스플레이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지거나, 구부려지거나, 접혀지거나, 또는 말릴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도 2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감지부(110), 제어부(120), 그래픽 처리부(130), 저장부(140),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한다.
감지부(1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부리는 벤딩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벤딩으로는 구부렸다가 펴는 벤딩 앤 플랫(bending & flat), 구부린 상태로 유지하는 벤딩 앤 홀드(bending & hol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비트는 트위스트(twist), 장치가 접히는 폴딩(folding), 한쪽 방향으로 마는 롤링(rolling),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흔드는 쉐이킹(shaking), 양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흔드는 스윙(swing) 등이 있을 수 있다. 감지부(1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면(overal area)에 배치된 각종 센서들을 이용하여 벤딩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인 감지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설명한다.
제어부(120)는 감지부(110)에 의해 벤딩이 감지되면, 기 설정된 형태의 벤딩인지를 판단한다. 기 설정된 형태의 벤딩이라면, 제어부(120)는 그 벤딩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저장부(140)에는 벤딩에 대한 정보 및 그 벤딩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130)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각각 부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구성한다. 여기서, 객체란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뿐만 아니라, 메뉴, 버튼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130)는 객체의 종류에 따라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의 표시 상태 값을 산출한다. 표시 상태 값이란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표시될 위치,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다양한 속성값이 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130)는 표시 상태 값이 계산되면, 그 값에 기초하여 렌더링을 수행하여,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생성한다.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는 각 객체별로 고유하게 정해지거나, 화면 상의 표시 위치 별로 고유하게 정해질 수 있다. 객체 및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의 표시 방법 및 종류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그래픽 처리부(130)에서 구성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front surface)에 배치되어, 각종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플렉서블한 특성의 재질로 구성되어,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도 3은 디스플레이부(150)의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50)는 기판(151), 구동부(152), 디스플레이 패널(153) 및 보호층(154)을 포함한다.
기판(151)은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플라스틱 기판(가령, 고분자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은 기초 소재(base film)에 배리어 코팅(barrier coating)이 양면으로 처리된 구조를 갖는다. 기초 소재의 경우, PI(Polyimide), PC(Polycarbonite),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ES(Polyethersulfone), PEN(Polythylenenaphthalate), FRP(Fiber Reinforced Plastic) 등의 다양한 수지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배리어 코팅은 기초 소재에서 서로 대향되는 면에 수행되며,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유기막 또는 무기막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기판(151)은 플라스틱 기판 외에도 유리 박막(thin glass) 또는 금속 박막(metal foil) 등과 같이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구동부(152)는 디스플레이 패널(153)을 구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52)는 디스플레이 패널(153)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며,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부(152)는 디스플레이 패널(153)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153)은 복수의 화소 셀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체 및 그 유기 발광체의 양면을 덮는 전극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152)는 디스플레이 패널(153)의 각 화소 셀에 대응되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 셀을 발광시킨다. 이에 따라,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53)은 유기발광다이오드 외에도 EL, EPD(electrophoretic display), ECD(electrochromic display), LCD(liquid crystal disply), AMLCD,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LCD의 경우,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없다는 점에서 별도의 백라이트가 요구된다. 백라이트가 사용되지 않는 LCD의 경우에는 주변 광을 이용한다. 따라서, 백라이트 없이 LCD 디스플레이 패널(153)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광량이 많은 야외 환경과 같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보호층(154)은 디스플레이 패널(153)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보호층(154)에는 ZrO, CeO2, Th O2 등의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보호층(154)은 투명한 필름 형태로 제작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53) 표면 전체를 덮을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달리 디스플레이부(150)는 전자 종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자 종이는 종이에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일반 평판 디스플레이와는 다른 점이다. 한편,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을 이용하여 그림 또는 문자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0)는 벤딩이 가능하면서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도 구현될 수 있다. 가령, 기판(151)은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플라스틱과 같은 폴리머 재료로 구현되고, 구동부(152)가 투명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53)이 투명 유기 발광층 및 투명 전극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 투명 트랜지스터란 기존 박막 트랜지스터의 불투명한 실리콘을 투명한 아연산화물, 산화 티타늄 등과 같은 투명 물질로 대체하여 제작한 트랜지스터를 의미한다. 또한, 투명 전극은 ITO(indium tin oxide)나 그래핀과 같은 신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래핀이란 탄소원자가 서로 연결돼 벌집 모양의 평면 구조를 이루며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물질을 의미한다. 그 밖에, 투명 유기 발광 층도 다양한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110)는 디스플레이부(150)의 가장 자리나 하부 등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의 벤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감지부(110)에서 벤딩 상태를 감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벤딩 감지 방법에 대한 다양한 예 >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형태 변형, 즉, 벤딩을 감지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압력에 의해 벤딩되어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벤딩에는 일반 벤딩, 폴딩, 롤링, 특수 벤딩 등이 있을 수 있다. 일반 벤딩(normal bending)이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부러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벤딩 앤 플랫이나 벤딩 앤 홀드 등이 일반 벤딩에 포함될 수 있다.
폴딩(Folding)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혀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여기서, 폴딩 및 일반 벤딩은 벤딩되는 정도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가령, 일정한 벤딩 각도 이상으로 벤딩이 이루어지면 폴딩된 상태로 정의하고, 그 벤딩 각도 미만으로 벤딩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일반 벤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롤링(Rolling)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말려진 상태를 의미한다. 롤링 역시 벤딩 각도를 기준으로 판단될 수 있다. 가령, 일정 벤딩 각도 이상의 벤딩이 일정 영역에 걸쳐 감지되는 상태를 롤링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반면, 일정 벤딩 각도 미만의 벤딩이 롤링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영역에서 감지되는 상태를 폴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상술한 일반 벤딩, 폴딩, 롤링 등은 벤딩 각도 이외에 곡률 반경을 기초로 하여 판정될 수도 있다.
또한, 곡률 반경과 상관 없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말려진 단면이 거의(substantially) 원이나 타원에 가까운 형상을 갖는 상태를 롤링이라고 정의할 수도 있다.
그 밖에, 특수 벤딩이란 기타 다양한 형태의 벤딩, 가령, 트위스트(twist), 쉐이킹(shaking), 스윙(swing) 등을 의미할 수 있다. 특수 벤딩은 벤딩 각도나, 벤딩 영역의 개수, 벤딩 영역의 분포도, 곡률 반경 등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다만, 이상과 같은 다양한 형태 변형 예들에 대한 정의는 일 예에 불과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나 크기, 무게, 특징 등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도 있다. 가령,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면이 서로 맞닿을 수 있을 정도로 벤딩이 가능하다면, 폴딩은 벤딩과 동시에 장치 표면이 서로 접촉하는 상태로 정의될 수도 있다. 반면, 롤링은 벤딩으로 인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앞면과 뒷면이 서로 접촉하는 상태로 정의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본 명세서는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벤딩 및 그 밖의 벤딩 형태를 총괄하여 벤딩이라 칭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벤딩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감지부(110)는 디스플레이부(150) 앞면이나 뒷면과 같은 하나의 표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bend sensor)나 또는 양면 모두에 배치된 벤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감지부(110)의 벤드 센서에서 센싱되는 값을 이용하여 벤딩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벤드 센서란, 그 자체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구부러지는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는 특성을 가지는 센서를 의미한다. 벤드 센서는 광섬유 벤딩 센서나, 압력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110)는 벤드 센서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 또는 벤드 센서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벤드 센서의 저항 값을 감지하고, 그 저항 값의 크기에 따라 해당 벤드 센서의 위치에서의 벤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벤드 센서가 디스플레이부(150)의 앞면에 내장된 상태를 나타내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벤드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0)의 뒷면에 내장될 수도 있고, 양면 모두에 내장될 수도 있다. 또한, 벤드 센서의 형태, 개수 및 배치 위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0)에는 하나의 벤드 센서 또는 복수 개의 벤드 센서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벤드 센서는 하나의 벤딩 데이터를 감지하는 것일 수도 있으나, 하나의 벤드 센서가 복수의 벤딩 데이터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싱 채널을 갖는 것일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복수 개의 바 형태의 벤드 센서들이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격자 형태를 이룬 예를 도시하였다.
도 4에 따르면, 벤드 센서는 제1 방향으로 나열된 벤드 센서(21-1 내지 21-5) 및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나열된 벤드 센서(22-1 내지 22-5)를 포함한다. 각 벤드 센서들은 서로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가로 및 세로 방향 각각으로 5 개씩 벤드 센서(21-1 내지 21-5, 22-1 내지 22-5)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등에 따라 벤드 센서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벤드 센서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역에서 이루어지는 벤딩을 감지하기 위해서이므로, 일부분만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거나, 일부분에 대해서만 벤딩을 감지할 필요가 있는 장치인 경우에는, 해당 부분에만 벤드 센서가 배치될 수도 있다.
각 벤드 센서(21-1 내지 21-5, 22-1 내지 22-5)는 전기 저항을 이용하는 전기 저항식 센서 또는, 광섬유의 변형률을 이용하는 마이크로 광섬유 센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벤드 센서가 전기 저항식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5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그 중심에 위치한 중심 영역이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벤딩된 경우, 벤딩에 의한 장력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들(21-1 내지 21-5)에 가해진다. 이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각 벤드 센서(21-1 내지 21-5)의 저항값이 달라지게 된다. 감지부(110)는 각 벤드 센서(21-1 내지 21-5)로부터 출력되는 출력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표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벤딩이 이루어진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중심 영역이 디스플레이 표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아래 방향(이하에서는, Z- 방향이라 함)으로 벤딩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 표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윗 방향(이하에서는 Z+ 방향이라 함)으로 벤딩된 경우에도 가로 방향의 벤드 센서(21-1 내지 21-5)의 출력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형태가 상하측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그 중심에 위치한 중심 영역이 윗 방향을 향하도록 벤딩된 경우, 장력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들(22-1 내지 22-5)에 가해지게 된다. 감지부(110)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22-1 내지 22-5)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세로 방향의 형태 변형을 감지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Z+ 방향의 벤딩을 도시하였으나, Z-방향의 벤딩도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22-1 내지 22-5)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대각선 방향의 형태 변형인 경우, 장력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들에 모두에 가해지므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대각선 방향의 형태 변형도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벤드 센서를 이용하여 일반 벤딩, 폴딩 및 롤링 등의 각 변형 형태를 감지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벤드 센서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벤딩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7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되었을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벤딩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면 또는 양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도 함께 구부러지며 가해지는 장력의 세기에 대응되는 저항값을 가지며, 이에 대응되는 출력값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벤딩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뒷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31-1) 또한 구부러지고, 가해지는 장력의 크기에 따른 저항값을 출력한다.
이 경우, 장력의 세기는 벤딩 정도에 비례하여 커지게 된다. 가령, 도 7과 같이 벤딩이 이루어지게 되면, 중심 영역의 벤딩 정도가 가장 크게 된다. 따라서, 중심 영역인 a3 지점에 배치된 벤드 센서(31-1)에 가장 큰 장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벤드 센서(31-1)이 가장 큰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반면, 바깥 방향으로 갈수록 벤딩 정도가 약해진다. 이에 따라, 벤드 센서(31-1)는 a3 지점을 기준으로 a2, a1 지점으로 갈수록, 또는 a4, a5 지점으로 갈수록 a3 지점보다 작은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감지부(110)는 벤드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이 특정 지점에서 최대값을 갖고 양쪽 방향으로 갈수록 출력되는 저항값이 점차 작아지면, 최대 저항값이 검출된 영역이 제일 큰 벤딩이 이루어진 영역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10)는 저항값이 변하지 않은 영역은 벤딩이 이루어지지 않은 플랫(flat) 영역으로 판단하고, 저항값이 일정 크기 이상 변한 영역은 벤딩이 조금이라도 이루어진 벤딩 영역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벤딩 영역을 정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의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앞면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벤딩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벤드 센서들은 도시하지 않았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벤드 센서들에 대한 도면 부호는 도면마다 상이하게 부여하였으나, 실제로는 도 4에 도시된 구조와 같은 벤드 센서들이 그대로 이용될 수도 있다.
벤딩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휘어져서 구부러진 영역을 의미한다. 벤딩에 의해 벤드 센서가 함께 구부러지게 되므로, 벤딩 영역은, 원 상태에서와는 다른 저항값을 출력하는 벤드 센서가 배치된 모든 지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감지부(110)는 저항값 변화가 감지된 지점들간의 관계를 기초로 하여, 벤딩 라인의 크기, 벤딩 라인의 방향, 벤딩 라인의 위치, 벤딩 라인의 개수, 벤딩의 횟수, 형태가 변화되는 벤딩 속도, 벤딩 영역의 크기, 벤딩 영역의 위치, 벤딩 영역의 개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항값 변화가 감지된 지점들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내이면 저항값을 출력하는 지점들을 하나의 벤딩 영역으로 감지한다. 반면, 저항값 변화가 감지된 지점들 중 그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격된 지점이 존재하면, 이들 지점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벤딩 영역으로 구분하여 정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8 및 도 9를 참조한다.
도 8은 하나의 벤딩 영역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서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벤딩되면, 벤드 센서(31-1)의 a1 지점부터 a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2)의 b1 지점부터 b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3)의 c1 지점부터 c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4)의 d1 지점부터 d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5)의 e1 지점부터 e5 지점까지 원 상태에서와는 다른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이 경우, 각 벤드 센서(31-1 내지 31-5)에서 저항값 변화가 감지된 지점들은 서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여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감지부(110)는 벤드 센서(31-1)에서 a1 지점부터 a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2)에서 b1 지점부터 b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3)에서 c1 지점부터 c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4)에서 d1 지점부터 d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5)에서 e1 지점부터 e5 지점까지를 모두 포함하는 영역(32)을 하나의 벤딩 영역으로 감지한다.
도 9는 복수의 벤딩 영역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에 따라, 벤드 센서(31-1)의 a1 지점부터 a2 지점까지 및 a4 지점부터 a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2)의 b1 지점부터 b2 지점까지 및 b4 지점부터 b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3)의 c1 지점부터 c2 지점까지 및 c4 지점부터 c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4)의 d1 지점부터 d2 지점까지 및 d4 지점부터 d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5)의 e1 지점부터 e2 지점까지 및 e4 지점부터 e5 지점까지 원 상태에서와는 다른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벤드 센서(31-1)에서 a1 지점부터 a2 지점까지 및 a4 지점부터 a5 지점까지는 각 지점을 기준으로 보면 각각 연속되지만 a2 지점 및 a4 지점 사이에는 a3 지점이 존재하므로 a2 지점부터 a4 지점까지는 연속적이지 않다. 따라서, a2 지점부터 a4 지점까지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것으로 보면 a1 지점부터 a2 지점까지와 a4 지점부터 a5 지점까지는 서로 다른 벤딩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벤드 센서들(31-2 내지 31-5)의 각 지점 역시 이와 마찬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드 센서(31-1)에서 a1 지점부터 a2 지점까지, 벤드 센서(31-2)에서 b1 지점부터 b2 지점까지, 벤드 센서(31-3)에서 c1 지점부터 c2 지점까지, 벤드 센서(31-4)에서 d1 지점부터 d2 지점까지, 벤드 센서(31-5)에서 e1 지점부터 e2 지점까지를 모두 포함하는 영역(34)을 하나의 벤딩 영역으로 정의하고, 벤드 센서(31-1)에서 a4 지점부터 a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2)에서 b4 지점부터 b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3)에서 c4 지점부터 c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4)에서 d4 지점부터 d5 지점까지, 벤드 센서(31-5)에서 e4 지점부터 e5 지점까지를 모두 포함하는 영역(35)을 다른 하나의 벤딩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벤딩 영역은 벤딩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라인이란 각 벤딩 영역에서 가장 큰 저항값이 검출된 지점들을 연결하는 라인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가령, 도 8의 경우 벤딩 영역(33)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a3 지점, 벤드 센서(31-2)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b3 지점, 벤드 센서(31-3)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c3 지점, 벤드 센서(31-4)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d3 지점, 벤드 센서(31-5)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e3 지점을 연결하는 라인(33)을 벤딩 라인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벤딩 라인이 디스플레이 표면의 중앙 영역에서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9의 경우, 벤딩 영역(34)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a1 지점, 벤드 센서(31-2)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b1 지점, 벤드 센서(31-3)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c1 지점, 벤드 센서(31-4)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d1 지점, 벤드 센서(31-5)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e1 지점을 연결하는 라인(36)을 하나의 벤딩 라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벤딩 영역(35)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a5 지점, 벤드 센서(31-2)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b5 지점, 벤드 센서(31-3)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c5 지점, 벤드 센서(31-4)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d5 지점, 벤드 센서(31-5)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e5 지점을 연결하는 라인(36)을 다른 하나의 벤딩 라인이 될 수 있다. 즉, 도 9에서는 디스플레이 표면의 좌우측 가장자리 부근에서 두 개의 세로 방향 벤딩 라인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 및 도 11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folding)된 상태를 감지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폴딩되었을 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면 또는 양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도 함께 구부러지며 가해지는 장력의 세기에 대응되는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우측 가장자리 영역이 중앙을 향하는 형태로 폴딩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뒷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41-1) 또한 구부러지고, 가해지는 장력의 크기에 따른 저항값을 출력한다.
즉, 벤딩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벤드 센서(41-1)는 가해지는 장력의 세기가 가장 큰 a3 지점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가지게 되고, 양쪽 방향으로 갈수록 작은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즉, 벤드 센서(41-1)는 a3 지점을 기준으로 a2, a1 지점으로 갈수록, 또는 a4, a5 지점으로 갈수록 a3 지점보다 작은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일정 벤딩 각도 이상으로 벤딩되는 폴딩이 이루어지면, 벤딩 라인에 해당하는 지점에서는 저항 값이 일정 크기 이상의 크기로 센싱된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저항값의 크기에 따라 폴딩인지 일반 벤딩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면이 서로 맞닿을 수 있을 정도로 벤딩이 가능하다면, 제어부(120)는 터치가 이루어지는지까지 고려하여 폴딩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도 10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우측 가장자리가 Z+ 방향으로 벤딩되어 앞면으로 폴딩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앞면에서 서로 이격된 영역이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표면의 일 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되며, 저항 값의 변화 정도도 일반 벤딩의 경우보다 더 크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벤딩이 이루어진 가장자리 경계로부터 벤딩 라인까지의 거리를 산출한 후, 벤딩 라인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으로 산출된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폴딩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폴딩 영역을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의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앞면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폴딩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벤드 센서들은 도시하지 않았다.
폴딩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됨에 따라 형성되는 구부러진 영역으로, 벤딩의 경우와 같이 벤드 센서가 구부러짐에 따라 원 상태에서와는 다른 저항값을 출력하는 벤드 센서의 모든 지점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폴딩 영역을 정의 및 구분하는 방식은 벤딩 영역에서와 동일하다는 점에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출력되는 저항값이 원 상태에서와 다른 지점들 즉, 벤드 센서(41-1)에서 a1 지점부터 a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2)에서 b1 지점부터 b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3)에서 c1 지점부터 c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4)에서 d1 지점부터 d5 지점까지, 벤드 센서(41-5)에서 e1 지점부터 e5 지점까지를 모두 포함하는 영역(42)을 하나의 폴딩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폴딩 영역은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두 개로 구분된다. 폴딩 라인은 각 폴딩 영역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지점들을 연결한 라인으로 정의될 수 있다. 폴딩 라인은 벤딩 라인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의 경우, 폴딩 영역(42)에서 벤드 센서(41-2)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a3 지점, 벤드 센서(41-2)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b3 지점, 벤드 센서(41-3)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c3 지점, 벤드 센서(41-4)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d3 지점, 벤드 센서(41-5)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e3 지점을 연결하는 라인(43)이 폴딩 라인이 된다.
폴딩이 감지되었을 경우, 제어부(120)는 일반 벤딩 시의 동작과 상이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각 폴딩 영역에 대해 서로 다른 컨텐츠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종이처럼 롤링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롤링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롤링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롤링되었을 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롤링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면 또는 양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에 장력이 작용한다.
이 경우, 벤드 센서에 가해지는 장력의 세기는 일정 범위 내에서 서로 근사하다고 볼 수 있으므로, 벤드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 역시 일정 범위 내에서 서로 근사하게 된다.
롤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벤딩이 일정 곡률 이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롤링이 이루어지면, 일반 벤딩이나 폴딩의 경우보다 벤딩 영역이 더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일정 벤딩 각도 이상의 벤딩이 일정 크기 이상의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졌다고 감지되면, 롤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롤링 상태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앞면과 뒷면이 서로 접촉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2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0)의 일측 가장자리가 Z+ 방향으로 벤딩되어 디스플레이 표면 내측으로 롤링되면, 디스플레이 표면, 즉, 앞면과 벤드 센서(50-1)가 배치된 뒷면은 서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다른 예에서는, 제어부(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앞면 및 뒷면이 서로 접촉하는지 여부에 따라 롤링 상태인지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감지부(110)는 터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벤드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이 일정 범위 내에서 서로 근사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앞면 및 뒷면에 배치된 터치 센서들에서 각각 터치가 감지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롤링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터치 센서 대신 마그네틱과 자기장 센서, 광센서 또는 근접 센서 등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부러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영역들 간의 접촉 또는 근접하게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롤링 영역을 정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롤링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되어 롤링 상태가 되는 영역 전체를 의미한다. 롤링 영역도, 일반 벤딩 및 폴딩의 경우와 같이 원 상태에서와 다른 저항값을 출력하는 벤드 센서의 모든 지점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롤링 영역을 정의 및 구분하는 방식은 벤딩 및 폴딩 영역에서와 동일하다는 점에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체적으로 롤링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영역(51)이 롤링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고, 도 14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부분적으로 롤링되고 원 상태에서와 다른 저항값을 출력하는 지점이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경우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영역(52, 53)이 서로 다른 롤링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로 벤딩될 수 있으며, 제어부(120)는 감지부(11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각 벤딩 형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감지부(11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벤딩이 어느 정도 이루어졌는지, 즉, 벤딩 각도도 검출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벤딩 정도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드 센서에서 일정한 간격마다 출력되는 저항값의 크기 변화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된 정도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벤드 센서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지점의 저항값과 그 지점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출력된 저항값 사이의 차이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산출된 저항값 차이를 이용하여 벤딩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딩된 정도를 복수의 레벨로 구분하고, 각 레벨마다 일정한 범위를 갖는 저항값을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산출된 저항값 차이가 벤딩된 정도에 따라 구분된 복수의 레벨 중에서 속하는 레벨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뒷면에 구비된 벤드 센서(61)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출력하는 지점 a5 에서 출력된 저항값 및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 a4에서 출력된 저항값 차이에 기초하여 벤딩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 저장된 복수의 레벨 중에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산출된 저항값 차이가 속하는 레벨을 확인하고, 확인된 레벨에 대응되는 벤딩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벤딩 정도는 벤딩 각도 또는 벤딩 강도로 표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실시 예가 도 15에 도시된 실시 예의 경우보다 벤딩 정도가 크게 되므로, 도 16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벤딩 센서 a5 지점에서 출력된 저항값 및 a4 지점에서 출력된 저항값의 차이는 도 1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벤딩 센서 a5 지점에서 출력된 저항값 및 a4 지점에서 출력된 저항값의 차이에 비해 크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도 16과 같이 벤딩된 경우, 벤딩 정도가 더 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벤딩 정도에 따라 적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채널 재핑(zapping)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벤딩 정도가 크다면 채널 재핑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채널 재핑 범위를 더 크게 할 수 있다. 반면, 벤딩 정도가 낮다면 더 느리게, 더 작은 채널 개수 단위로 채널 재핑을 수행할 수 있다. 볼륨 조절이나 컨텐츠 전환 등의 동작 시에도 벤딩 정도에 따라 상이하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방향은 Z+ 방향 또는 Z- 방향과 같이 달라질 수 있다.
벤딩 방향 역시 다양한 방식으로 센싱될 수 있다. 일 예로는, 벤드 센서를 두 개로 중첩시켜 배치하여, 각 벤드 센서의 저항값의 크기 변화의 차이에 따라 벤딩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에서, 중첩된 벤드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7 내지 도 19에서는, 일반 벤딩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하지만, 폴딩 및 롤링의 경우에도 벤딩과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7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50)의 일 측에는 두 개의 벤드 센서(71, 72)가 서로 중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한쪽 방향으로 벤딩이 이루어지게 되면, 벤딩이 이루어진 지점에서 상위 벤드 센서(71) 및 하위 벤드 센서(72)의 저항 값이 다르게 검출된다. 따라서, 동일 지점에서의 두 벤드 센서(71, 72)의 저항 값을 비교하면, 벤딩 방향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8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Z+ 방향으로 벤딩되면, 벤딩 라인에 해당하는 A 지점에서, 위쪽 벤드 센서(71)보다 아래쪽 벤드 센서(72)에 더 큰 세기의 장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도 19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뒷면 방향으로 벤딩되면, 위쪽 벤드 센서(71)에서 아래쪽 벤드 센서(72)보다 더 큰 세기의 장력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두 벤드 센서(71, 72)에서 A 지점에 해당하는 저항값을 비교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에서는 두 벤드 센서가 디스플레이부(150)의 일측에서 서로 중첩되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벤드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0)의 양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0은 두 벤드 센서(71, 72)가 디스플레이부(150)의 양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화면으로부터 수직한 제1 방향(이하, Z+ 방향)으로 벤딩될 때는, 디스플레이부(150)의 양면 중에서 제1 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는 압축력을 받게 되는 반면, 제2 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는 장력을 받게 된다. 반면,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이하, Z- 방향이라 함)으로 벤딩될 때는 제2 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는 압축력을 받게 되는 반면, 제1 면에 배치된 벤드 센서는 장력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이, 벤딩 방향에 따라 두 벤드 센서에서 감지되는 값은 서로 다르게 검출되며, 제어부(120)는 그 값의 검출 특성에 따라 벤딩 방향을 구분할 수 있다.
한편, 도 17 내지 도 20에서는 두 개의 벤드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디스플레이부(150)의 일 면에 배치된 스트레임 게이지 만으로도 벤딩 방향을 구분할 수도 있다. 즉, 일 면에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는 그 벤딩 방향에 따라 압축력 또는 인장력이 가해지므로, 그 출력 값의 특성을 확인하면 벤딩 방향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21은 하나의 벤드 센서를 디스플레이부(150)의 일 면에 배치하여 벤딩을 감지하는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1에 따르면, 벤드 센서 (71)는 원형이나 사각형 기타 다각형을 이루는 폐곡선 형태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부(150)의 가장 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폐곡선 상에서 출력값 변화가 감지되는 지점을 벤딩 영역이라 판단할 수 있다. 이 밖에, 벤드 센서는 S자나 Z자, 기타 지그재그(zigzag)와 같은 개곡선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10)와 결합될 수도 있다.
도 22는 두 개의 벤드 센서가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2에 따르면, 제1 벤드 센서(71)는 디스플레이부(150)의 제1 면에 배치되고, 제2 벤드 센서(72)는 디스플레이부(150)의 제2 면에 배치된다. 제1 벤드 센서(71)는 디스플레이부(150)의 제1 면 상에서 제1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 벤드 센서(72)는 제2 면에서 제2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각 모서리 영역이 벤딩되는 경우, 각 가장자리 영역이 벤딩되는 경우, 중앙부가 벤딩되는 경우, 폴딩 또는 롤링이 이루어지는 경우 등과 같은 다양한 벤딩 조건 별로 제1 및 제2 벤드 센서(71,72)의 출력값 및 출력 지점이 달라지게 되는 바, 제어부(120)는 이러한 출력값 특성에 따라 어떠한 유형의 벤딩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라인 형태의 벤드 센서들이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단편적인 스트레인 게이지를 복수 개 사용하여 벤딩을 감지할 수도 있다.
도 23 및 도 24는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사용하여 벤딩을 감지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트레인 게이지는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따라 저항이 크게 변하는 금속 또는 반도체를 이용하여, 그 저항치 변화에 따라 측정 대상물의 표면의 변형을 감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과 같은 재료는 외부로부터의 힘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면 저항치가 증가하고, 길이가 줄어들면 저항치가 감소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저항치 변화를 감지하면 벤딩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3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50)의 가장 자리 영역에는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들이 배치된다. 스트레인 게이지의 개수는 디스플레이부(150)의 사이즈나, 형태, 기 설정된 벤딩 감지 해상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3과 같이 스트레인 게이지들이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임의의 지점을 임의의 방향으로 벤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4와 같이 일 모서리 영역이 벤딩되게 되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들(80-1 ~ 80-n) 중에서 벤딩 라인에 겹치는 스트레인 게이지(80-x)에 힘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해당 스트레인 게이지(80-x)의 출력값이 타 스트레인 게이지들의 출력값보다 커지게 된다. 또한,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들(80-n, 80-n+1, ~~ 80-m) 중에서도 벤딩 라인에 겹치는 스트레인 게이지(80-y)에 힘이 작용하여, 출력값이 변하게 된다. 제어부(120)는 출력값이 변한 두 스트레인 게이지(80-x, 80-y)를 연결하는 라인을 벤딩 라인이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또는, 도 18 내지 도 24에서 설명한 바와 달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도 있다.
도 25 및 도 26은 이러한 센서들의 일 예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 및 도 26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가속도 센서(81-1, 81-2)를 포함한다.
가속도 센서(81-1, 81-2)는 움직임 발생시 가속도 및 가속도의 방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다. 구체적으로는, 가속도 센서(81-1, 81-2)는 그 센서가 부착된 장치의 기울기에 따라 변화되는 중력 가속도에 대응되는 센싱 값을 출력한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측 가장 자리 영역에 가속도 센서(81-1, 81-2)를 각각 배치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될 때 각 가속도 센서(81-1, 81-2)에서 센싱되는 출력값이 변화된다. 제어부(120)는 각 가속도 센서(81-1, 81-2)에서 센싱되는 출력값을 이용하여 피치각(pitch angle) 및 롤각(role angle)을 연산한다. 이에 따라, 각 가속도 센서(81-1, 81-2)에서 감지된 피치각 및 롤각의 변화 정도에 기초하여 벤딩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25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앞면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의 양 측 가장자리에 가속도 센서(81-1, 81-2)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도 26에서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세로 방향으로 벤딩되면, 세로 방향의 각 가속도 센서(81-3, 81-4)에서 감지한 측정값에 따라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우측 가장자리 또는 상하측 가장자리에 가속도 센서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가속도 센서는 상하좌우측 가장자리 모두에 배치될 수도 있고, 모서리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 이외에 자이로 센서나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도 있다. 자이로 센서는 회전 운동이 일어나면, 그 속도 방향으로 작용하는 코리올리의 힘을 측정하여, 각속도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자이로 센서의 측정 값에 따르면, 어느 방향으로 회전되었는지를 검출할 수 있게 되므로, 벤딩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는 2축 또는 3축 플럭스게이트를 이용하여 방위각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지자기 센서로 구현된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가장 자리 부분에 배치된 지자기 센서는 그 가장자리 부분이 벤딩되면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그로 인한 지자기 변화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120)는 지자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값을 이용하여 요우 각(yaw angle)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산출된 요우각의 변화에 따라 벤딩 영역 및 벤딩 방향 등과 같은 다양한 벤딩 특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유형의 센서를 이용하여 벤딩을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의 구성 및 센싱 방법은 개별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적용될 수도 있고, 서로 조합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감지부(110)는 벤딩 이외에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0)의 화면을 터치하는 조작도 감지할 수 있다.
가령, 감지부(110)는 디스플레이부(150) 내의 기판(151) 상에 증착된 ITO(indium-tin oxide)와 같은 투명 전도막 및 그 상측에 형성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면 터치된 지점의 상하판이 접촉되어 전기 신호가 제어부(120)로 전달된다. 제어부(120)는 전기 신호가 전달된 전극의 좌표를 이용하여, 터치 지점을 인식한다. 터치 감지 방식에 대해서는 다양한 선행 문헌에서 공지된 바 있으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20)는 터치나 벤딩 등이 감지되었을 경우, 그 터치나 벤딩에 따라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종류의 벤딩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벤딩들이 전부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이러한 벤딩들을 전부 기억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각 벤딩의 형태 또는 그 벤딩 방식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객체에 중첩시켜 디스플레이하도록 그래픽 처리부(13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부가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에 대한 다양한 예를 나타낸다.
<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포함하는 화면 및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에 대한 다양한 예 >
도 27은 각종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및 메뉴들이 표시된 메인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에 따르면, 메인 화면(270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페이지가 변화되는 아이콘 표시 영역 및 그 아이콘 표시 영역의 하단에서 디폴트 메뉴를 고정적으로 표시하는 메뉴 표시 영역으로 구분된다.
아이콘 표시 영역에는 객체(2710) 및 그 객체에 부가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2711)가 표시된다. 아이콘 표시 영역 내에서 객체(2710)는 4x4 행렬 형태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객체의 정렬 형태는 n x m 형태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가령, 3x3, 3x4, 3x5, 4x3, 4x4, 4x5, 5x3, 5x4, 5x5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7은 플렉서블 장치(100)가 휴대폰으로 구현되었을 때의 화면 구성 예를 도시하였으나, 태블릿 PC와 같이 가로 세로 비율이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었을 때에는 객체의 정렬 형태는 그 화면 비율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2711)는 각 객체에 대응되는 벤딩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 생성된다. 도 27에서는 좌측 최상단의 객체 및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에 대해서만 참조부호 2710, 2711를 부가하였으나, 이는 도시의 간편화를 위한 것일 뿐이며, 나머지 객체들에 대해서는 전부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부가되어 표시될 수 있다.
객체(2710)에는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기 생성된 폴더를 오픈시키기 위한 폴더 아이콘, 그 밖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기능 아이콘 등이 포함된다. 이들 아이콘들에 대해서는 각각 소정 형태의 벤딩이 설정된다. 각 객체에는 설정된 벤딩의 특성에 따라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매칭된다.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는 벤딩 라인의 위치 및 형태에 따라 상이하게 표시되는 라인 이미지 가이드로 표현될 수도 있고, 그 라인 이미지에 문자 가이드 및 기호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가 추가되는 형태로 표현될 수도 있다. 가령, 좌상단 모서리를 구부렸다 펴는 벤딩의 경우 벤딩 라인이 좌상단 모서리 부분에서 대각선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해당 벤딩이 설정된 객체에 대해서는, 좌상단 모서리 부분에서 대각선 형태로 표시되는 라인 가이드 이미지가 부가된다. 사용자가 그 가이드에 따라 좌상단 모서리를 구부렸다 펴는 벤딩을 취하게 되면, 해당 객체가 선택되고 그 객체에 대응되는 동작이 수행된다.
한편, 메인 화면(2700) 내의 메뉴 표시 영역에서는 자주 사용하는 각종 메뉴(2720, 2730, 2740, 2750)가 표시된다. 각 메뉴(2720, 2730, 2740, 2750)들에 대해서도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2721, 2731, 2741, 2751)가 부가되어 표시된다.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는 도 27과 같은 메인 화면 이외에도 다양한 화면에서 표시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그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그 실행 화면에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8은 메시지 전송 기능을 실행시켰을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에 따르면, 메시지 전송 화면(2800)은 문자 또는 기호 입력을 위한 각종 입력 영역(2810, 2820, 2830)과, 그 입력 영역에 표시될 문자나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선택 버튼 영역(2840)을 포함한다.
입력 영역(2810, 2820, 2830)에는 받는 사람, 제목, 편지 내용 등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들이 마련될 수 있다.
선택 버튼 영역(2840)에는 문자 또는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각종 선택 버튼이 표시된다. 각 선택 버튼(2841)에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2842)가 부가되어 표시된다.
제어부(120)는 각 선택 버튼(2841)에 표시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2842)에 대응되는 벤딩이 감지되면, 그 선택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또는 기호를 입력 영역에 표시한다. 가령, 받는 사람을 입력하기 위한 제1 입력 영역(2810)이 선택된 후 선택 버튼 영역(2840)에 표시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에 따른 벤딩이 입력되면, 그 벤딩에 대응되는 문자 또는 기호를 제1 입력 영역(2810)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제2 또는 제3 입력 영역(2820, 2830)이 선택되고 다시 벤딩이 입력되면, 그 벤딩에 대응되는 문자 또는 기호를 제2 또는 제3 입력 영역(2820, 2830)에 표시한다.
도 27 및 도 28에서는 객체 별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부가되는 실시 예들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화면 내에서 벤딩 라인이 형성될 위치에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표시될 수도 있다. 가령, 전자 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전자책 컨텐츠가 화면 상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벤딩에 대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화면 상에 부가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오른쪽 가장자리를 벤딩시키면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되었다면, 오른쪽 가장자리 부분에 직선 형태의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오른쪽 모서리 부분을 벤딩시키면 해당 페이지를 기억하는 책갈피 기능이 실행되도록 설정되었다면, 오른쪽 모서리 부분에 직선 형태의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표시될 수 있다.
그 밖에도,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화면 상에 표시되는 키들의 위치에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웹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고 있거나, 기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그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에도 해당 프로그램에 대해 설정된 벤딩에 대응되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표시될 수 있다. 그 밖에 스크롤이나 기타 입력 객체가 정의되는 모든 곳에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표시되고 사용될 수 있다.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는 객체마다 고유하게 설정될 수도 있고, 화면상의 표시 위치에 대해 고유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플렉서블 장치(100)의 운영 체제 또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객체에 대해 고유하게 매핑시키거나, 화면 상의 위치에 대해 자동으로 매핑시킬 수 있다. 위치에 대해 매핑시키는 경우에는 객체의 위치 이동이 있으면 이동된 위치에 대응되는 벤딩 및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해당 객체에 매핑시킬 수 있다.
또는, 벤딩 및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는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매핑될 수도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자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에 최적화된 벤딩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정보 내에 벤딩에 대한 정보 및 그 벤딩의 형태나 방식을 표현하기 위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에 대한 정보가 마련될 수 있다. 플렉서블 장치(100)의 운영체제 또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정보 내에 저장된 벤딩 정보 및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해 벤딩 및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설정한다. 이러한 벤딩 정보 및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표준 포맷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내의 어떤 영역에 벤딩 및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에 대한 정보가 배치될 지, 몇 바이트의 코드로 표현되는 정보인지 등이 표준으로 규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자는 자신이 원하는 벤딩 및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고유하게 제작하여 플렉서블 장치에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장치(100)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본 벤딩 및 그에 대한 가이드 이외에 새로운 벤딩 및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지원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객체에 대해 별도의 벤딩을 매핑시킬 수도 있다. 가령, 설정 메뉴를 누르면 플렉서블 장치(100)에서 감지 가능한 벤딩의 종류 및 그 벤딩에 매핑될 객체를 선택할 수 있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UI 화면을 통해 벤딩과 객체를 매핑시킬 수 있다.
한편, 벤딩과 객체를 매핑시키는 과정에서 우선 순위가 요청될 수도 있다. 즉, 플렉서블 장치(100)에서 위치 별로 벤딩이 설정되도록 설계된 경우, 사용자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한 벤딩이 해당 객체가 표시된 위치의 벤딩과 다르다면 두 벤딩 간의 우선 순위를 비교하여 우선적인 벤딩을 해당 객체에 매핑시킬 수 있다. 우선 순위는 사용자가 요청한 벤딩이 최우선 순위를 가지고, 어플리케이션이 요청한 벤딩이 그 다음 순위, 위치에 대해 지정된 벤딩이 마지막 순위를 가지도록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우선 순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29는 화면상의 표시 위치에 대해 고유하게 설정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표시하는 실시 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29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페이지로 구분되는 메인 화면(2910, 2920)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화면을 터치하여 한쪽 방향으로 플릭(flick)시키거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벤딩시키는 방식으로 메인 화면(2910, 2920)을 전환할 수 있다.
메인 화면의 각 페이지에는 사용자가 배치한 각종 아이콘들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9에 따르면, 제1 페이지 화면(2910)에는 아이콘 1 내지 8(2911)이 표시되고, 제2 페이지 화면(2920)에는 아이콘 9 내지 12가 표시된다.
제어부(120)는, 화면 전환이 이루어지면 전환 전 화면에서 각 객체의 표시 위치 별로 설정된 벤딩을, 전환 후 화면에서 새로이 표시되는 신규 객체의 표시 위치에 따라 동일하게 설정한다. 즉, 제1 페이지 화면(2910)의 아이콘 1에 대응되는 제1 벤딩이 제2 페이지 화면(2920)의 아이콘 9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설정된다. 제어부(120)는 제1 페이지 화면(2910)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벤딩이 감지되면, 아이콘 1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반면, 제어부(120)는 제2 페이지 화면(2920)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벤딩이 감지되면, 아이콘 9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아이콘 2 내지 4에 대응되는 벤딩들은 아이콘 10 내지 12에 대해 동일하게 설정된다. 도 29에서는 제2 페이지 화면(2920)에서도 4개의 아이콘만이 표시되었으나, 만약 8개의 아이콘이 표시되었다면 아이콘 5 내지 8에 대응되는 벤딩들도 제2 페이지 화면(2920)상의 아이콘들에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전환 후 화면에서 새로이 표시되는 신규 객체에 대해 벤딩이 새로이 설정되면, 새로이 설정된 벤딩에 대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2912)를 신규 객체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9에 따르면 아이콘 1 내지 4에 부가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들을 아이콘 9 내지 12에 대해 동일하게 부가한다. 결과적으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2912)는 화면 전환이 이루어지게 되면, 그 화면 상의 객체 표시 위치에 따라 이전 화면과 동일한 패턴으로 표시된다.
도 30은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객체 별로 고유하게 설정되는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을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화면 구성, 화면 상에 표시되는 객체의 개수, 객체 표시 위치 등은 도 29와 동일하게 도시하였다.
도 30에 따르면, 제1 페이지 화면(29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2 페이지 화면(2920)이 디스플레이되면, 제2 페이지 화면(2920)에는 제1 페이지 화면(2910)에 표시되어 있던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들과 상이한 새로운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들이 표시된다. 즉,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는 각 객체 별로 고유하게 설정된 벤딩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 될 수 있다.
도 30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3 페이지 화면으로 전환된다면, 제3 페이지 화면에서 새로이 표시되는 아이콘들에 대해서도 고유한 벤딩이 설정되고, 그에 대응되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들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30에서는 라인 형태로 표시되는 다양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들에 대해서 도시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에는 문자나 기호 가이드가 추가될 수 있고, 그 밖에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의 종류 및 그에 대응되는 벤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도면들에서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화면 내의 모든 객체들에 대해 부가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의 표시 여부는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가령, 사용자는 설정 메뉴를 통해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의 사용 여부를 전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 표시 기능이 ON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제공된다. 반면,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 표시 기능이 OFF되면,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제외한 객체들만이 디스플레이된다.
또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의 사용 여부는 객체 별로 설정될 수도 있다. 가령 도 30을 예로 들면, 1, 2번 객체에 대해서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표시하도록 설정하고, 3-12번 객체에 대해서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설정 상태에 따라, 객체 별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표시 또는 미표시된다.
또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의 사용 여부는 페이지 별로 설정될 수도 있다. 가령, 도 30을 예로 들면 첫 번째 페이지(2910)에 대해서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표시하도록 설정하고, 두 번째 페이지(2920)에 대해서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두 번째 페이지(2920)에서는 객체들(9-12)만 표시되고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는 부가되지 않는다.
또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의 사용 여부는 어플리케이션 별로 설정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도 27과 같은 메인 화면에 대해서만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표시하도록 설정하고, 도 28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해서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8과 같이 메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도 28과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더라도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는 표시되지 않게 된다.
이 밖에도,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의 표시 여부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 벤딩 및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의 종류 >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는 벤딩의 특성에 따라 라인 폭, 라인 개수, 라인 형태, 라인 방향, 라인 위치, 라인 각도, 라인 색상, 라인 크기, 라인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된 라인 이미지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1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1 방향으로 구부리는 벤딩들에 대응되는 벤딩 인터렉션 이미지(a ~ l)를 나타낸다. 제1 방향이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위치한 쪽 방향을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각 형태인 경우, 벤딩은 좌상단, 우상단, 좌하단, 우하단, 좌측 가장자리, 상측 가장자리, 우측 가장자리, 하측 가장자리를 접었다 펴는 벤딩 앤 플랫, 좌 또는 우측 방향으로 중심 부분을 접는 가로 방향 폴딩, 상 또는 하측 방향으로 중심 부분을 접는 세로 방향 폴딩, 모서리 또는 가장 자리 부분을 접고 유지하는 벤딩 앤 홀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상단 모서리 부분에 라인이 표시되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a), 우상단 모서리 부분에 라인이 표시되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b), 좌하단 모서리 부분에 라인이 표시되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c), 우하단 모서리 부분에 라인이 표시되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d)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좌측 가장 자리 부분에 라인이 표시되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e), 상측 가장자리 부분에 라인이 표시되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f), 우측 가장자리 부분에 라인이 표시되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g), 하측 가장자리 부분에 라인이 표시되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h)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가로 방향 폴딩이 이루어졌을 때의 벤딩 라인을 표시하기 위한 세로 라인을 나타내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i), 세로 방향 폴딩이 이루어졌을 때의 벤딩 라인을 표시하기 위한 가로 라인을 나타내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j)도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a ~ j)들은 실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벤딩 앤 홀드에 대해서는 굵은 실선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31에 따르면, 좌상단 모서리 부분을 벤딩시킨 후 유지하는 벤딩 앤 홀드를 의미하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k), 우측 가장자리 부분을 벤딩시킨 후 유지하는 벤딩 앤 홀드를 의미하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l)가 표시될 수 있다. 도 31에서는 좌상단 모서리 부분과, 우측 가장자리 부분에 대한 벤딩 앤 홀드에 대해서만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k, l)가 표시되었으나, 다른 영역들에서 벤딩 앤 홀드가 설정되어 있다면 그 동작에 대응되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k, l)가 표시될 수도 있다. 즉, 도 31의 다른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a ~ j)가 굵은 실선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31은 제1 방향으로 벤딩되는 경우에 대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들을 설명하였으나, 제2 방향으로 벤딩되는 경우에도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들이 표시될 수 있다.
도 32는 제2 방향으로 벤딩되는 경우에 대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에 따르면, 제2 방향으로 벤딩되는 경우에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들은 점선으로 표현된다. 즉, 도 32의 각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들(a ~ l)은 도 31과 동일한 벤딩들이 제1 방향의 반대, 즉, 뒤쪽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표현하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들이다.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들은 그 벤딩 방향에 따라 라인의 속성을 실선 또는 점선으로 설정하여 표시될 수 있고, 벤딩 앤 플랫 동작인지 벤딩 앤 홀드 동작인지 여부에 따라 얇은 실선 또는 굵은 실선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점선 이외에도 일점 쇄선, 이점 쇄선 등과 같이 다양한 속성의 라인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31 및 32에서는 제1 방향인지 제2 방향인지 여부에 따라 라인의 속성이 달라지지만, 이와 달리 벤딩 방향은 문자 가이드 또는 기호 가이드를 이용하여 표시하여 줄 수도 있다.
도 33은 제1 방향으로 벤딩되는 동작을 표현하기 위해 U라는 문자 가이드가 부가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a), 제2 방향으로 벤딩되는 동작을 표현하기 위해 D라는 문자 가이드가 부가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b), 제1 방향으로 벤딩되는 동작을 표현하기 위해 +라는 기호 가이드가 부가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c), 제2 방향으로 벤딩되는 동작을 표현하기 위해 -라는 기호 가이드가 부가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d)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벤딩 위치, 벤딩 형태, 벤딩 방향 등은 라인 위치, 라인 속성, 라인 두께, 문자 가이드, 기호 가이드 등을 이용하여 직관적으로 알려 줄 수 있다.
한편, 동일한 영역에 대해 동일한 형태로 복수 회 벤딩시키는 경우, 1회 벤딩시키는 경우와 상이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벤딩 횟수를 나타내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요구될 수 있다.
도 34는 벤딩 횟수를 표현하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에 따르면, 벤딩 횟수는 라인 상에 추가된 점의 개수로 표현될 수도 있고(a, b), 숫자로 표현될 수도 있으며(c, d), 라인의 개수로 표현(e, f)될 수도 있다. 가령, 점이 두 개인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a), 2라는 숫자를 포함하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c), 두 개의 라인으로 표현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e)는 2회 벤딩시켜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점이 세 개인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b), 3이라는 숫자를 포함하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d), 세 개의 라인으로 표현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e)는 2회 벤딩시켜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4에서는 숫자가 라인 주변에 표시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라인 상에 중첩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그 밖에, 벤딩 각도(angle)나 벤딩 정도(degree)에 따라서 다양한 제어 동작이 설정될 수 있다. 가령, 전자 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전자 책 컨텐츠가 표시된 상태에서 30도만 벤딩된 경우에는 한 페이지 단위로 다음 페이지로 넘기는 제1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60도 벤딩시킨 경우에는 다수의 페이지를 한꺼번에 넘기는 제2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벤딩 각도나 벤딩 정도에 대해서도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통해 알려줄 필요가 있다.
도 35는 벤딩 각도 또는 벤딩 정도를 표현하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들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다. 도 35에 따르면, 벤딩 각도를 숫자로 표현하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a, b), 그래픽 기호로 표현하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c, d)가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35에서 라인 이미지 가이드는 벤딩 위치를 나타내고, 숫자 또는 기호들은 벤딩 각도 또는 벤딩 정도를 나타낸다. 도 35의 숫자 또는 기호 역시 라인 상에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 밖에, 벤딩 유지 시간에 따라서도 다양한 제어 동작이 설정될 수 있다. 가령,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전자 책 컨텐츠가 표시된 상태를 예로 들면, 1초만 벤딩된 경우에는 한 페이지 단위로 다음 페이지로 넘기는 제1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3초 정도 벤딩시킨 경우에는 다수의 페이지를 한꺼번에 넘기는 제2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벤딩 유지 시간에 대해서도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통해 알려줄 수 있다.
도 36은 벤딩 유지 시간을 나타내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의 예를 나타낸다. 도 36에 따르면,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a, b)에는 벤딩 위치를 나타내는 라인 이미지 가이드와, 그 벤딩 유지 시간을 나타내는 문자(1s, 3s)가 함께 표시된다. 사용자는 도 36의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a, b)를 보고 직관적으로 벤딩 방식을 인식할 수 있다.
그 밖에, 서로 다른 영역을 여러 번 구부리는 멀티 벤딩에 매칭된 기능이 지원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벤딩 순서를 알 수 있도록 벤딩 순서를 표현하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표시될 수 있다.
도 37은 벤딩 순서를 표현하기 위한 각종 숫자가 부가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다. 도 37에 따르면, 제2 방향으로 1차 벤딩이 이루어진 후, 제1 방향으로 2차 벤딩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점선과 함께 1이라는 숫자가 표현되고, 실선과 함께 2라는 숫자가 표현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a)가 표시될 수 있다. 그 밖에도, 벤딩 방향, 벤딩 영역을 나타내는 복수의 라인 가이드 이미지와 그 벤딩 순서를 나타내는 숫자가 부가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b, c, d)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트위스트나, 롤링, 스윙, 쉐이킹 등과 같은 특수한 형태의 벤딩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벤딩을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8은 특수 벤딩을 표현하기 위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들의 다양한 예에 대하여 나타낸다. 도 38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비트는 트위스트 동작에 대해서는 그 트위스트 특성에 따라 서로 엇갈리는 실선 및 점선으로 표현되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a, b)가 표시된다.
또한, 롤링 동작을 표현하기 위하여, 롤링이 이루어지는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라인 가이드 이미지와 롤링 동작임을 나타내는 화살표 이미지를 포함하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c, d)가 표시된다.
이상에서는 라인 가이드 이미지, 문자 가이드, 기호 가이드 등이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되어 벤딩의 형태 또는 방식을 표현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라인 가이드 이미지 없이 텍스트로만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플렉서블 장치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된 경우를 기준으로 각종 화면들을 도시하였으나, 플렉서블 장치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어 그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플렉서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에 따르면, 플렉서블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플렉서블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한 재질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임의로 구부릴 수 있는 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플렉서블하지 않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TV, 전자 액자, 모니터, 광고판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부가된 각종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부가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은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자체적으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각 제어 동작에 대해 매칭된 벤딩 정보와,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미리 저장한다. 벤딩 정보는 다르게는 벤딩 형태 정보 또는 벤딩 방식 정보라고 칭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턴 온 되어 메인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각종 어플리케이션, 기능 등을 수행하여 그 수행 결과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때, 벤딩이 매칭된 객체가 존재하면 그 객체에 대해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벤딩 가능한 플렉서블 장치로부터 벤딩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그 제어 신호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 신호는 IR(Infra Red) 신호로 구현될 수도 있고, 블루투스나 NFC, 와이파이, 지그비, 시리얼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통신 신호일 수도 있다.
또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객체 별로 설정된 벤딩의 형태나 방식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가이드 이미지를 의미한다.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의 종류 및 형태, 벤딩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 등에 대해서는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자체적으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플렉서블 장치(100)는 단순 리모콘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 때는, 플렉서블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50), 그래픽 처리부(130)를 제외하고, 감지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40)를 포함하며, 이와 별도로 리모콘 신호 전송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는 벤딩에 대응되는 각종 코맨드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감지부(110)에 의해 벤딩이 감지되면, 감지된 벤딩에 대응되는 코맨드를 저장부(140)로부터 검출한 후, 그 코맨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 즉, 리모콘 신호를 생성하여 리모콘 신호 전송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코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지원하는 벤딩 별로 할당되어 미리 저장된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서는, 플렉서블 장치(100)가 자체적으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거나,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부가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에 대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시킬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플렉서블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부가된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벤딩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그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40은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표현하는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40에 따르면, 플렉서블 장치(100)는 감지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40), 인터페이스부(160)를 포함한다.
감지부(110) 및 저장부(140)에 대해서는 상술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결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인터페이스부(160)는 USB 인터페이스, 와이파이, 지그비, IEEE, 블루투스 등과 같은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객체 및 객체에 대해 부가되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그 객체 및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감지부(110)에 의해 벤딩이 감지되면 감지된 벤딩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플렉서블 장치(100)를 벤딩시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0의 실시 예에서 그래픽 처리부가 더 추가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객체 및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포함하는 화면 자체를 렌더링하여, 렌더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여 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1에 따르면, 플렉서블 장치는 벤딩에 대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부가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한다(S4110).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는 각 객체 별로 고유하게 또는 화면 상의 표시 위치 별로 고유하게 설정된 가이드일 수 있다.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에 대해서는 상술한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도시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플렉서블 장치가 자체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지 않고,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라면, 플렉서블 장치는 객체 및 객체에 대해 부가되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에 대한 정보를 플렉서블 장치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플렉서블 장치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라면, 플렉서블 장치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각각 부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직접 구성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보고 다양한 벤딩을 입력할 수 있다. 플렉서블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벤딩을 감지할 수 있다(S4120).
플렉서블 장치는 화면 상에 표시된 객체에 대해 설정된 벤딩이 감지되면, 객체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S4130). 플렉서블 장치가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된 장치인 경우, 벤딩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줄 수 있고, 자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에는 벤딩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벤딩이 이루어지면, 그 벤딩이 설정된 객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게임 아이콘에 대응되는 벤딩이 이루어지면 대응되는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전화 아이콘에 대응되는 벤딩이 이루어지면 숫자 패드를 포함하는 전화 연결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그 밖에 연락처 메뉴에 대응되는 벤딩이 이루어지면 기 저장된 연락처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이 객체에 설정된 벤딩이 이루어지면, 그 객체에 대응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한편, 객체로 표현되지 않은 기본 기능들에 대해 설정된 벤딩이 이루어지면 그 벤딩에 따라 기본 기능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가령, 턴 온, 턴 오프, 채널 전환, 볼륨 조정, 크기 조정, 페이지 전환, 컨텐츠 전환, 어플리케이션 실행, 실행 종료, 바탕 화면으로 가기, 위젯 표시, 위젯 표시 삭제, 컨텐츠 재생 개시, 재생 종료, 일시 정지, 되감기, 빨리 감기 등과 같은 다양한 제어 동작이 벤딩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41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플렉서블 장치는, 화면 전환이 이루어지면 전환 전 화면에서 각 객체의 표시 위치 별로 설정된 벤딩을 전환 후 화면에서 새로이 표시되는 신규 객체의 표시 위치에 따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신규 객체에 대해 설정된 벤딩에 대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신규 객체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장치는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플렉서블 장치는 휴대폰, PDA, 리모콘, 태블릿 PC, 전자 수첩, 노트북 PC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구성 요소 이외에 추가적인 구성 요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42는 휴대폰으로 구현된 플렉서블 장치의 세부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2에 따르면, 플렉서블 장치는 감지부(110), 제어부(120), 그래픽 처리부(130), 저장부(140), 디스플레이부(150), 통신부(160), GPS 수신부(165), DMB 수신부(166), 오디오 처리부(170), 비디오 처리부(175), 전원부(180), 스피커(185), 버튼(191), USB 포트(192), 카메라(193), 마이크(194)를 포함한다.
감지부(110)는 지자기 센서(111), 자이로 센서(112), 가속도 센서(113), 터치 센서(114), 벤드 센서(115), 압력 센서(116), 근접 센서(117), 그립 센서(118)를 포함한다. 감지부(110)는 상술한 벤딩 이외에 플렉서블 장치에 대한 터치, 회전, 기울기, 압력, 접근 등과 같은 다양한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111)는 플렉서블 장치(100)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자이로 센서(112)는 플렉서블 장치(100)의 회전각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지자기 센서(111) 및 자이로 센서(112)는 둘 다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 중 하나만 구비되어 있더라도 플렉서블 장치(100)는 회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13)는 플렉서블 장치(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그 밖에, 가속도 센서(113)는 각각 플렉서블 장치(100)의 벤딩 방향이나 벤딩 영역 등과 같은 벤딩 특성을 검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터치 센서(114)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은 디스플레이부(150)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디스플레이부(110)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이상과 같이 터치 센서(114)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벤드 센서(115)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 및 개수로 구현되어, 플렉서블 장치(100)의 벤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벤드 센서(115)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다양한 예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압력 센서(116)는 사용자가 터치 또는 벤딩 조작을 할 때 플렉서블 장치(10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감지하여 제어부(120)로 제공한다. 압력 센서(116)는 디스플레이부(150)에 내장되어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압전 필름(piezo film)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2에서는 터치 센서(114) 및 압력 센서(116)가 별개의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터치 센서(114)가 감압식 터치 센서로 구현된 경우, 그 감압식 터치 센서가 압력 센서(116)의 역할도 함께 할 수도 있다.
근접 센서(117)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접근하는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근접 센서(117)는 고주파 자계를 형성하여, 물체 접근 시에 변화되는 자계특성에 의해 유도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고주파 발진 형, 자석을 이용하는 자기 형, 대상체의 접근으로 인해 변화되는 정전 용량을 감지하는 정전 용량 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립 센서(118)는 압력 센서(116)와 별개로 플렉서블 장치(100)의 테두리나 손잡이 부분에서 배치되어, 사용자의 그립(grip)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그립 센서(118)는 압력 센서나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각종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그 의도에 부합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120)는 벤딩 이외의 터치 조작, 모션 입력, 음성 입력, 버튼 입력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 방식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 조작에는 단순 터치, 탭, 터치앤홀드, 무브, 플릭, 드래그앤드랍, 핀치 인, 핀치 아웃 등과 같은 다양한 조작이 있을 수 있다.
가령, 제어부(12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그 실행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컨텐츠를 재생하여 줄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통신부(160)를 통해서 외부 기기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16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60)는 와이파이칩(161), 블루투스 칩(162), NFC칩(163), 무선 통신 칩(164)을 포함한다.
와이파이 칩(161), 블루투스 칩(162), NFC 칩(163)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 중 NFC 칩(163)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칩(111)이나 블루투스 칩(11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164)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GPS 수신부(165)는 GPS(Gr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플렉서블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DMB 수신부(166)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구성요소이다.
그래픽 처리부(130)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객체에 추가될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생성한다. 연산부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 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그래픽 객체를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는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화면 상에서 각종 아이콘에 부가되어 표시된다.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는 벤딩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라인 폭, 라인 개수, 라인 형태, 라인 방향, 라인 위치, 라인 각도, 라인 색상, 라인 크기, 라인 길이를 가지는 라인 가이드 이미지와, 그 밖의 다양한 문자 또는 기호 가이드를 포함하는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전원부(180)는 플렉서블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전원부(180)는 양극 집전체, 양극 전극, 전해질부, 음극 전극, 음극 집전체 및 이를 감싸는 피복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부(180)는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구현된다. 전원부(180)는 플렉서블 장치(100)와 함께 벤딩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집전체, 전극, 전해질, 피복 등은 유연한 특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부(180)의 구체적인 형상 및 재질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별도로 설명한다.
오디오 처리부(17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7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75)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75)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비디오 처리부(175)에서 처리한 비디오 데이터, 그래픽 처리부(130)에서 생성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 등과 같은 다양한 화면 및 객체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50)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한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스피커(185)는 오디오 처리부(17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버튼(191)은 플렉서블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USB 포트(192)는 USB 케이블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비롯한 각종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193)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193)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194)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120)는 마이크(194)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통화(call) 과정에서 이용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카메라(193) 및 마이크(194)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120)는 마이크(194)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나 카메라(193)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모션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플렉서블 장치(100)는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카메라(193)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를 촬상하고, 사용자의 모션 변화를 추적하여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그 밖에,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들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술한 제어부(120)의 동작은 저장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140)에는 플렉서블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각종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입력되거나 설정되는 각종 데이터, 컨텐츠, 벤딩 정보,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 정보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도 함께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RAM(121), ROM(122), 메인 CPU(123),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 125-n), 버스(126)를 포함한다.
RAM(121), ROM(122), 메인 CPU(123),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 125-n) 등은 버스(12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내지 12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23)는 저장부(14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2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23)는 ROM(12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RAM(12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23)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21)에 복사하고, RAM(12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도 42는 플렉서블 장치가 휴대폰으로 구현되었을 경우에 탑재 가능한 각종 구성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42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3은 저장부(14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계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3에 따르면, 저장부(140)에는 커널(141), 미들웨어(142), 플렉서블 UI 프레임 워크(143), 어플리케이션(144)이 저장된다.
커널(141)은 감지부(110)에 포함된 각종 센서들의 센싱 신호들을 미들웨어(142)나 플렉서블 UI 프레임워크(143)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미들웨어(142)는 플렉서블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도 43에 따르면, 미들웨어(142)는 X11 모듈(142-1), APP 매니저 (142-2), 연결 매니저(142-3), 보안 모듈(142-4), 시스템 매니저(142-5),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42-6), UI 프레임워크(142-7), 윈도우 매니저(142-8), 플렉서블 윈도우 매니저(142-9)를 포함한다.
X11 모듈(142-1)은 플렉서블 장치(10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들로부터 하드웨어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는 모듈이다. 여기서 이벤트란, 터치나 벤딩 기타 사용자 조작이 감지되는 이벤트 뿐만 아니라, 시스템 알람이 발생하는 이벤트, 특정 프로그램의 실행이 개시 또는 종료되는 이벤트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APP 매니저(142-2)는 저장부(140)에 설치(install)된 각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APP 매니저(142-2)는 X11 모듈(142-2)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입력된 이벤트가 감지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연결 매니저(142-3)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이다. 연결 매니저(142-3)는 DNET 모듈, UPnP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세부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안 모듈(142-4)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모듈이다.
시스템 매니저(142-5)는 플렉서블 장치 내의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모니터링 결과를 타 모듈들에게 제공한다. 가령,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거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통신 연결 상태가 끊어지는 경우 등이 발생하면 시스템 매니저(142-5)그 그 모니터링 결과를 UI 프레임워크(142-7)로 제공하여 알림 메시지나 알림 음을 출력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42-6)는 플렉서블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듈이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42-6)는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UI 프레임워크(142-7)는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다. UI 프레임워크(142-7)는 각종 이미지 객체를 구성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이미지 객체가 표시될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 합성기, 구성된 이미지 객체를 산출된 좌표에 렌더링하는 렌더링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142-8)는 터치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거나, 기타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윈도우 관리 모듈(147-1)은 이러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UI 프레임워크(142-7)로 이벤트를 전달하여, 이벤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플렉서블 윈도우 매니저(142-9)는 벤딩이 감지되었을 때 벤딩에 따라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이다. 플렉서블 윈도우 매니저(142-9)는 벤딩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면, 플렉서블 UI 프레임워크(143)로 벤딩 이벤트를 전송한다.
플렉서블 UI 프레임워크(143)는 플러그인 모듈(143-1), 벤딩 코어(143-2), 이벤트 핸들러 모듈(143-3)을 포함한다. 플러그인 모듈(143-1)이란 미들웨어(142)로 플렉서블 UI 프레임워크(143)를 연결하여 로딩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43에서 커널(141), 미들웨어(142), 어플리케이션(144) 등은 기존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를 그대로 사용하고, 플러그인 모듈(143-1)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UI 프레임워크(143)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 시스템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벤딩에 따른 제어 동작까지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이벤트 핸들러(143-3)는 벤딩이 일어났을 때 그 벤딩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모듈이다. 이벤트 핸들러(143-3)는 플러그인 모듈(143-1)을 통해 플렉서블 윈도우 매니저(142-9)로부터 각종 벤딩 이벤트를 전달받고, 이벤트 별 우선 순위에 따라 이벤트를 분류한다. 여기서, 벤딩 이벤트란 특정 형태의 벤딩이 감지되는 이벤트를 의미한다.
벤딩 코어(143-2)는 이벤트 핸들러(143-3)에 의해 분류된 벤딩 이벤트를 큐잉하고, 벤딩 이벤트와 해당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위젯 등)을 매칭시킨다. 이에 따라, 벤딩 이벤트에 매칭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한편, 벤딩 코어(143-2)는 각 벤딩 형태에 대응되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객체 상에 부가적으로 렌더링하기 위한 렌더링 이벤트 신호를 플러그 인 모듈(143-1)을 통해 UI 프레임워크(142-7)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면 상의 각 객체에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벤딩 코어(143-2)는 특정 벤딩이 발생하여 화면이 전환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전환될 화면을 렌더링하기 위한 렌더링 이벤트 신호를 플러그인 모듈(143-1)을 통해 UI 프레임워크(142-7)로 전달하여 줄 수도 있다.
그 밖에, 어플리케이션 모듈(144)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모듈, 게임 모듈, 전자 책 모듈, 달력 모듈, 알람 관리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저장부(140)에는 각종 센서들에서 센싱된 신호들을 분석하기 위한 센싱 모듈이나,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도 43에 따르면 벤딩을 제외한 기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시스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미들웨어(142)와 벤딩에 따라 시스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레임워크(143)가 서로 연결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구성과 호환성을 이룰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조로 프로그래밍될 필요는 없으며, 단일 프레임워크에서 일반 사용자 조작 및 벤딩 조작을 모두 관리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메인 CPU(122)는 플렉서블 장치(100)가 턴온되거나, 잠금 해제 상태가 되면, 메인 화면을 표시한다. 메인 화면에는 각종 아이콘이 표시된다. 메인 CPU(122)는 플렉서블 UI 프레임워크(143) 및 UI 프레임워크(142-7)를 이용하여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의 표시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각종 기초 데이터를 그래픽 처리부(130)로 제공한다. 기초 데이터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의 형태, 위치, 크기, 색상, 표시 시간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그래픽 처리부(123)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50)의 객체 상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도 43에 도시된 각종 프로그램 모듈들은 플렉서블 장치(1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플렉서블 장치(100)가 평판 형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플렉서블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가령, 플렉서블하지 않은 재질로 제작된 본체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내장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4는 본체에 내장된 플렉서블 장치의 형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4에 따르면, 플렉서블 장치(100)는 본체(4400), 디스플레이부(150), 그립부(44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4400)는 디스플레이부(150)를 담는 일종의 케이스 역할을 한다. 플렉서블 장치(100)가 도 44과 같이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0) 및 일부 센서들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본체(4400)에 탑재될 수 있다. 본체(4400)는 디스플레이부(150)를 롤링시키는 회전롤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미사용시에는 디스플레이부(150)는 회전 롤러를 중심으로 롤링되어 본체(4400) 내부에 내장될 수 있다.
사용자가 그립부(4410)를 파지하여 잡아 당기게 되면, 회전 롤러가 롤링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롤링이 해제되고, 디스플레이부(150)가 본체(4400) 외부로 나오게 된다. 회전 롤러에는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그립부(4410)를 일정 거리 이상으로 당기면, 스토퍼에 의해 회전 롤러의 회전이 정지되고, 디스플레이부(150)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부(150)를 이용하여 각종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스토퍼를 해제하기 위한 버튼을 누르면, 스토퍼가 해제되면서 회전 롤러가 역 방향으로 회전하고,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부(150)가 본체(4400) 내로 다시 롤링될 수 있다. 스토퍼는 회전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스위치 형상이 될 수 있다. 회전 롤러 및 스토퍼에 대해서는 통상의 롤링 구조체에서 사용되는 구조가 그대로 이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체(4400)에는 전원부(180)가 포함된다. 전원부(180)는 1회용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 연결부, 사용자가 복수 횟수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2차 전지, 태양 열을 이용하여 발전을 수행하는 태양 전지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2차 전지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는 본체(4400)와 외부 전원을 유선으로 연결하여 전원부(180)를 충전시킬 수 있다.
도 44에서는 원통형 구조의 본체(4400)가 도시되었으나, 본체(4400)의 형상은 사각형이나 기타 다각형과 같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0)가 본체(4400)에 내장된 상태에서 풀링(pulling)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가 아니라, 본체 외부를 감싸는 형태나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도 45는 전원부(180)가 탈부착될 수 있는 형태의 플렉서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5에 따르면, 전원부(180)는 플렉서블 장치의 일측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탈부착될 수 있다.
전원부(18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부(150)와 함께 벤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원부(180)는 음극 집전체, 음극 전극, 전해질부, 양극 전극, 양극 집전체 및 이들을 덮는 피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집전체는 탄성 특성이 좋은 TiNi계와 같은 합금류, 구리 알루미늄 등과 같은 순금속류, 탄소가 코팅된 순금속, 탄소, 탄소 섬유 등과 같은 도전성 물질, 폴리피롤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음극 전극은 리튬, 나트륨, 아연, 마그네슘, 카드늄, 수소저장합금, 납 등의 금속류와 탄소 등의 비금속류 그리고 유기황과 같은 고분자 전극 물질과 같은 음 전극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양극 전극은 황 및 금속 황화물, LiCoO2 등 리튬천이금속산화물, SOCl2, MnO2, Ag2O, Cl2, NiCl2, NiOOH, 고분자 전극 등의 양 전극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전해질부는 PEO, PVdF, PMMA, PVAC 등을 이용한 겔(gel) 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피복부는 통상의 고분자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VC, HDPE나 에폭시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 밖에, 실 형태 전지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자유롭게 휘거나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이라면, 피복부로 사용될 수 있다.
전원부(180) 내의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은 각각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5에 따르면, 커넥터가 전원부(180)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디스플레이부(150)에는 커넥터의 위치, 크기, 형상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 및 홈의 결합에 의해 전원부(180)가 디스플레이부(150)와 결합될 수 있다. 전원부(180)의 커넥터는 플렉서블 장치(100) 내부의 전원 연결 패드(미도시)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45에서는 전원부(180)가 플렉서블 장치(100)의 일 측 가장자리에서 탈부착될 수 있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전원부(180)의 위치 및 형태는 제품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다. 가령, 플렉서블 장치(100)가 어느 정도 두께를 가지는 제품인 경우에는, 플렉서블 장치(100)의 후면에 전원부(180)가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까지 제공하여 주더라도 사용자가 실수로 잘못 벤딩시키거나, 의도치 않은 벤딩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플렉서블 장치(100)에서는 피드백을 제공하여 줄 수도 있다. 이러한 피드백은 시각, 청각, 촉각 등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46은 시각적 메시지를 이용하여 피드백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46에 따르면 잘못된 벤딩임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E)가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다. 도 46과 같은 시각적 피드백이 아니라 음성 피드백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음성 피드백의 예로는 경고음, 잘못된 입력임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 바른 벤딩 입력 방법을 설명해주는 음성 메시지 등과 같이 다양한 메시지가 있을 수 있다. 그 밖에 촉각 피드백의 예로는, 플렉서블 장치(100) 전체에 대한 진동,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어 있는 표면에서의 국부적인 진동, 잘못된 벤딩 라인을 볼록하게 변형시키는 엑츄에이팅 동작, 바른 벤딩 형태로 플렉서블 장치(100)를 자동으로 변형시키는 엑츄에이팅 동작,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어 있는 부분에 정전기를 발생시켜 잘못 입력된 상태임을 알리는 동작,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어 있는 부분에 열을 발생시켜 잘못 입력된 상태임을 알리는 동작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사용자는 피드백에 따라 자신이 의도하지 않았던 벤딩 조작이 이루어졌는지, 또는, 정확하지 않은 벤딩 조작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바로 확인하고, 그에 대응되는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의도하지 않았거나 잘못된 벤딩 조작에 대한 피드백을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피드백 동작은 잘못된 터치 조작이나, 모션 조작, 음성 조작 등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확장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사용자가 의도한 벤딩 조작으로 판단되어 동작을 수행할 경우에도 긍정적인 내용의 피드백이 제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다양한 종류의 객체에 항상 표시되는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장치(100)의 화면 상에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본체에 별도의 기능 키(function key)를 마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메뉴 또는 기능 키를 선택하면, 그 선택에 따라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부가되어 표시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이 밖에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의 온/오프 제어도 별도로 설정된 벤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폴딩 동작이 매칭된 경우 한번 폴딩하면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표시되고, 한번 더 폴딩하면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삭제될 수 있다.
한편,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는 평상시에는 표시되지 않다가, 사용자가 벤딩을 하기 위하여 플렉서블 장치(100)를 파지하였을 때 일정 시간 동안 표시될 수 있다.
도 47은 이러한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장치(100)의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7에 따르면, 플렉서블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50)의 가장자리 영역에 베젤(4710)이 형성된다.
플렉서블 장치(1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그 실행 화면(4700)을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47에서는 웹 브라우저가 실행되어 웹 서버로부터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한 후, 그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에도 벤딩이 이루어지면 그 벤딩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이 수행된다. 하지만,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는 표시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플렉서블 장치(100)를 벤딩시키기 위해서 베젤(4710)을 잡을 수 있다. 플렉서블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상술한 그립 센서나 압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베젤(4710)을 파지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베젤(4710)을 한 손 또는 양 손으로 잡았다고 판단되면,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4721 ~ 4727)를 디스플레이한다.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4721 ~ 4727)는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에 매핑되는 가이드들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7에 따르면, 좌상단 모서리를 구부렸다 펴는 벤딩을 나타내는 제1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4721), 좌하단 모서리를 구부렸다 펴는 벤딩을 나타내는 제2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4722), 우하단 모서리를 구부렸다 펴는 벤딩을 나타내는 제3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4723), 우상단 모서리를 구부렸다 펴는 벤딩을 나타내는 제4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4724), 좌측 가장자리 부분을 구부렸다 펴는 벤딩을 나타내는 제5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4725), 중심부분을 접는 폴딩을 나타내는 제6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4726), 우측 가장자리 부분을 구부렸다 펴는 벤딩을 나타내는 제7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4727)가 화면(470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각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4721 ~ 4727)를 보고 그 중 하나를 보고 특정 형태의 벤딩을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 벤딩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이 이루어진다.
가령, 제1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4721)를 따라 우상단 모서리를 접었다 펴면 화면(4700)이 오른쪽 하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밖에 제2 내지 4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4722, 4723, 4724) 등에 따라 다른 모서리 부분을 벤딩 앤 플랫시키면 그 벤딩 영역에 따라 화면 상에 표시되는 웹 페이지의 영역이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제5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4725)에 따라 좌측 가장 자리를 벤딩 앤 플랫시키면 이전 페이지로 전환하고, 제7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4727)에 따라 우측 가장 자리를 벤딩 앤 플랫시키면 다음 페이지로 전환할 수 있다. 반면, 제6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4726)에 따라 폴딩이 이루어지면, 웹 브라우징이 종료되고 웹 페이지(4700)가 사라질 수 있다.
도 47에서는 라인 형태의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4721 ~ 4727)만이 도시되었으나, 그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4721 ~ 4727)의 주변 또는 그 라인 상에는 해당 벤딩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의미하는 기호나 이미지, 텍스트 등이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객체 및 벤딩 사이의 매핑 방법, 벤딩에 대응되는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 표시 방법, 벤딩에 대응되는 제어 방법 등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플렉서블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벤딩에 대한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가 부가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플렉서블 장치의 벤딩을 감지하는 단계, 화면 상에 표시된 객체에 대해 설정된 벤딩이 감지되면, 객체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그 밖에,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 표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될 수도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감지부 120 : 제어부
130 : 그래픽 처리부 140 : 저장부
150 : 디스플레이부

Claims (21)

  1. 플렉서블 장치에 있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플렉서블 장치의 형상에 대한 변형을 감지하는 감지부;
    복수의 객체 및 복수의 인터렉션 가이드를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인터렉션 가이드 각각은 상기 복수의 객체 각각에 대응되고, 상기 복수의 객체 중 대응되는 객체 내에 표시되는 라인 이미지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라인 이미지 가이드 중 하나에 대응되는 상기 플렉서블 장치의 변형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변형에 대응되는 객체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렉션 가이드는 대응되는 객체를 실행시키기 위한 벤딩 위치 및 벤딩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해 부가되는 복수의 인터렉션 가이드 중 하나의 인터렉션 가이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벤딩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터렉션 가이드 중 하나의 인터렉션 가이드가 부가된 복수의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구성하는 그래픽 처리부;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플렉서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션 가이드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 별로 고유하게 설정된 벤딩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션 가이드는 상기 화면 상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표시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된 벤딩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면 전환이 이루어지면 전환 전 화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표시 위치 별로 설정된 벤딩을 전환 후 화면에서 새로이 표시되는 신규 객체의 표시 각각의 위치에 따라 동일하게 설정하고,
    상기 신규 객체에 대해 설정된 벤딩에 대한 인터렉션 가이드를 상기 신규 객체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설정된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문자 또는 기호 입력을 위한 입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는 상기 문자 또는 상기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선택 버튼을 표시하는 객체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에 대해 설정된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되는 문자 또는 기호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션 가이드는 상기 벤딩의 특성에 따라 라인 폭, 라인 개수, 라인 형태, 라인 방향, 라인 위치, 라인 각도, 라인 색상, 라인 크기, 라인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된 라인 이미지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션 가이드는 상기 라인 이미지 가이드와 함께 표시되는 문자 가이드 및 기호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장치.
  11. 플렉서블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 및 인터렉션 가이드를 포함하는 화면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플렉서블 장치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벤딩을 감지하는 단계;
    복수의 객체 및 복수의 인터렉션 가이드를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인터렉션 가이드 각각은 상기 복수의 객체 각각에 대응되고, 상기 복수의 객체 중 대응되는 객체 내에 표시되는 라인 이미지 가이드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라인 이미지 가이드 중 하나에 대응되는 상기 플렉서블 장치의 변형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변형에 대응되는 객체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렉션 가이드는 대응되는 객체를 실행시키기 위한 벤딩 위치 및 벤딩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해 부가되는 복수의 인터렉션 가이드 중 하나의 인터렉션 가이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플렉서블 장치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상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인터렉션 가이드 중 하나의 인터렉션 가이드가 부가된 복수의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통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션 가이드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 별로 고유하게 설정된 벤딩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션 가이드는 상기 화면 상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표시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된 벤딩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화면 전환이 이루어지면 전환 전 화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각각 표시 위치 별로 설정된 벤딩을 전환 후 화면에서 새로이 표시되는 신규 객체의 표시 위치에 따라 동일하게 설정하고, 상기 신규 객체에 대해 설정된 벤딩에 대한 인터렉션 가이드를 상기 신규 객체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고,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설정된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문자 또는 기호 입력을 위한 입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는 상기 문자 또는 상기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선택 버튼을 표시하는 객체이며,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해 설정된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되는 문자 또는 기호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션 가이드는 상기 벤딩의 특성에 따라 라인 폭, 라인 개수, 라인 형태, 라인 방향, 라인 위치, 라인 각도, 라인 색상, 라인 크기, 라인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된 라인 이미지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션 가이드는 상기 라인 이미지 가이드와 함께 표시되는 문자 가이드 및 기호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1.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인터렉션 가이드가 부가된 객체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벤딩 가능한 플렉서블 장치로부터 벤딩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객체 및 복수의 인터렉션 가이드를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인터렉션 가이드 각각은 상기 복수의 객체 각각에 대응되고, 상기 복수의 객체 중 대응되는 객체 내에 표시되는 라인 이미지 가이드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라인 이미지 가이드 중 하나에 대응되는 상기 플렉서블 장치의 변형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변형에 대응되는 객체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렉션 가이드는 대응되는 객체를 실행시키기 위한 벤딩 위치 및 벤딩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KR1020120083241A 2012-07-30 2012-07-30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제공하는 플렉서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8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241A KR102028175B1 (ko) 2012-07-30 2012-07-30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제공하는 플렉서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102126035A TWI604348B (zh) 2012-07-30 2013-07-22 提供彎曲互動引導之可撓性元件及其控制方法
SG11201408796WA SG11201408796WA (en) 2012-07-30 2013-07-30 Flexible device for providing bending interaction guid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3/006849 WO2014021615A1 (en) 2012-07-30 2013-07-30 Flexible device for providing bending interaction guid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U2013297228A AU2013297228C1 (en) 2012-07-30 2013-07-30 Flexible device for providing bending interaction guid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3/954,322 US9952706B2 (en) 2012-07-30 2013-07-30 Flexible device for providing bending interaction guid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3178611.3A EP2693320B1 (en) 2012-07-30 2013-07-30 Flexible device for providing bending interaction guid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157856A JP6307229B2 (ja) 2012-07-30 2013-07-30 ベンディングインタラクションガイドを提供するフレキシブ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201310325770.9A CN103576979B (zh) 2012-07-30 2013-07-30 提供弯曲互动指导的柔性设备及其控制方法
BR112015001826A BR112015001826A2 (pt) 2012-07-30 2013-07-30 aparelho flexível, e método de controle de um aparelho flexível
IN1395DEN2015 IN2015DN01395A (ko) 2012-07-30 2013-07-30
RU2015106548A RU2617600C2 (ru) 2012-07-30 2013-07-30 Гиб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интерактивного руководства по изгибу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AU2016206346A AU2016206346B2 (en) 2012-07-30 2016-07-21 Flexible device for providing bending interaction guid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241A KR102028175B1 (ko) 2012-07-30 2012-07-30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제공하는 플렉서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075A KR20140016075A (ko) 2014-02-07
KR102028175B1 true KR102028175B1 (ko) 2019-10-04

Family

ID=48917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241A KR102028175B1 (ko) 2012-07-30 2012-07-30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제공하는 플렉서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952706B2 (ko)
EP (1) EP2693320B1 (ko)
JP (1) JP6307229B2 (ko)
KR (1) KR102028175B1 (ko)
CN (1) CN103576979B (ko)
AU (2) AU2013297228C1 (ko)
BR (1) BR112015001826A2 (ko)
IN (1) IN2015DN01395A (ko)
RU (1) RU2617600C2 (ko)
SG (1) SG11201408796WA (ko)
TW (1) TWI604348B (ko)
WO (1) WO20140216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0401A1 (ko) * 2021-04-16 2022-10-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9656B2 (en) 2008-10-12 2016-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JP2010153813A (ja) * 2008-11-18 2010-07-08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並びに、携帯電話機
TWD161258S (zh) * 2013-01-03 2014-06-21 宏碁股份有限公司 螢幕之圖形化使用者介面
KR102256677B1 (ko) * 2013-12-02 2021-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방법
JP2016013958A (ja) 2013-12-02 2016-01-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素子、膜の作製方法
KR102255274B1 (ko) * 2014-02-21 2021-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플렉시블 디바이스
US10168732B2 (en) 2014-02-27 2019-01-0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Touch panel and sensing method thereof
TWI552041B (zh) * 2014-02-27 2016-10-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觸控面板及其感測方法
KR102243680B1 (ko) 2014-04-07 2021-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WO2015156128A1 (ja) * 2014-04-07 2015-10-15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511325B1 (ko) * 2014-04-18 2023-03-2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81236B1 (ko) * 2014-04-18 2020-1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어 방법
KR101632008B1 (ko) * 2014-04-30 2016-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656799B2 (en) 2014-05-02 2020-05-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30175342A (ko) 2014-05-06 2023-12-2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전자 장치
JPWO2015181680A1 (ja) * 2014-05-30 2017-04-2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情報処理装置
US9791892B2 (en) 2014-06-27 2017-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KR101776262B1 (ko) 2014-06-27 201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CN104079980B (zh) * 2014-07-18 2017-03-15 冠捷显示科技(厦门)有限公司 一种配合可弯曲屏电视的交互系统和交互方法
KR101785066B1 (ko) * 2014-07-31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싱 방법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
US9690381B2 (en) * 2014-08-21 2017-06-27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hape input and output for a haptically-enabled deformable surface
KR102273026B1 (ko) * 2014-08-28 2021-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전자 기기
KR102190140B1 (ko) * 2014-09-15 2020-1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쳐블 표시 장치 및 이의 휘도 보상 방법
KR102338003B1 (ko) * 2014-10-07 2021-1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19543B1 (ko) * 2014-10-22 2021-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롤러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160050689A (ko) * 2014-10-30 201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05677006B (zh) * 2014-11-20 2019-01-15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柔性显示设备操作控制方法
CN105653162B (zh) * 2014-11-13 2019-05-17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柔性显示设备操作控制方法
JP2017534123A (ja) * 2014-11-13 2017-11-16 昆山工研院新型平板顕示技術中心有限公司Kunshan New Flat Panel Display Technology Center Co., Ltd. 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の操作制御方法
CN105761617A (zh) * 2014-12-17 2016-07-13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柔性显示屏的变形控制方法和系统
CN104461010B (zh) * 2014-12-23 2018-03-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指令信号生成装置、柔性设备及弯曲监测方法
CN104464540B (zh) * 2014-12-25 2016-04-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面板组件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KR102308645B1 (ko) 2014-12-29 2021-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0276773B2 (en) * 2015-01-13 2019-04-30 Sony Corporation Wearable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the wearable device
US9552097B2 (en) * 2015-01-28 2017-01-2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discerning between intended and unintended gestures on wearable touch-sensitive fabric
CN104571534B (zh) 2015-02-10 2019-03-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震动提示方法及电子设备
CN104751744B (zh) * 2015-03-02 2017-07-2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调整方法及电子设备
KR102368689B1 (ko) * 2015-03-20 2022-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및 그 제어방법
CN106156554B (zh) * 2015-03-25 2019-03-15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交互方法、交互装置以及用户设备
CN104731436B (zh) 2015-04-15 2017-11-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04915057A (zh) * 2015-05-25 2015-09-1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JP2016222526A (ja) 2015-05-29 2016-12-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膜の作製方法および素子
CN104848798B (zh) 2015-06-08 2018-09-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器及柔性显示屏的弯曲状态检测方法
KR20170011557A (ko) * 2015-07-23 201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전자 장치
CN105138076B (zh) * 2015-08-03 2020-01-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102425835B1 (ko) * 2015-09-02 2022-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마트 워치 및 스마트 워치의 부품 교체 방법
US20170083110A1 (en) * 2015-09-22 2017-03-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input device
CN106873814B (zh) * 2015-12-14 2020-02-2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05373364A (zh) * 2015-12-17 2016-03-02 英业达科技有限公司 可穿戴的手持式装置及其显示方法
CN105892664B (zh) * 2016-03-31 2021-05-1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2475589B1 (ko) 2016-04-29 2022-1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06201291B (zh) * 2016-07-25 2019-05-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延时拍摄的方法及移动终端
CN107168629A (zh) * 2017-03-22 2017-09-15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一种柔性屏设备的控制方法、控制系统及设备
CN107144216B (zh) * 2017-04-28 2019-11-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角度值的检测方法及移动终端
EP3549007A4 (en) * 2017-05-23 2020-0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FLEXIBLE COMPUTING DEVICE
TWI676065B (zh) 2017-08-11 2019-11-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具有可調曲率的顯示裝置
CN108227833A (zh) * 2017-11-30 2018-06-2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柔性屏终端的控制方法、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295886A (zh) * 2017-12-07 2020-06-16 索尼公司 显示装置和便携式终端
CN108228060A (zh) * 2017-12-29 2018-06-2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全局操作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TWI652529B (zh) 2018-03-07 2019-03-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可撓式顯示裝置與劃分可撓式顯示器的方法
KR102484880B1 (ko) * 2018-06-08 2023-0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 패널 구동회로 및 구동방법
KR102719933B1 (ko) 2018-07-10 2024-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딩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CN109120850B (zh) * 2018-09-20 2021-10-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及移动终端
US11015991B2 (en) * 2018-12-13 2021-05-25 Intel Corporation Bending sensor for flexible display panel
JP7034060B2 (ja) * 2018-12-26 2022-03-11 Line株式会社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表示装置
CN109918006A (zh) * 2019-01-28 2019-06-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屏幕控制方法及移动终端
BR122023023789A2 (pt) 2019-05-31 2023-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ositivo eletrônico dobrável incluindo estrutura de proteção de exibidor
US11150082B2 (en) * 2019-06-18 2021-10-19 Sharp Kabushiki Kaisha Optical shape sensor for determining shape of a flexible substrate
CN110673697B (zh) * 2019-09-23 2021-08-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142767B (zh) * 2019-12-16 2021-06-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折叠设备的自定义按键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2987957A (zh) * 2019-12-17 2021-06-18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US11079797B1 (en) 2020-05-14 2021-08-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adjustable display windows
JP7264311B2 (ja) * 2020-05-28 2023-04-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機器
CN113778867A (zh) * 2021-09-03 2021-12-10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测试数据生成方法及装置
CN114880239B (zh) * 2022-05-31 2024-05-24 成都秦川物联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数据驱动的接口自动化测试框架及方法
CN116932414B (zh) * 2023-09-14 2024-01-05 深圳市智慧城市科技发展集团有限公司 界面测试用例的生成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3348B2 (en) * 2004-06-30 2010-06-22 Microsoft Corporation Using physical objects to adjust attributes of an interactive display application
JP3823996B2 (ja) 2004-10-25 2006-09-2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ならびに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20060238494A1 (en) * 2005-04-22 2006-10-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exible displays as an input device
JP3911515B2 (ja) 2005-10-13 2007-05-0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方法、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00045705A1 (en) * 2006-03-30 2010-02-25 Roel Vertegaal Interaction techniques for flexible displays
US20070247422A1 (en) * 2006-03-30 2007-10-25 Xuuk, Inc. Interaction techniques for flexible displays
KR20080104858A (ko) * 2007-05-29 2008-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기반의 제스쳐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그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단말 기기
US8745514B1 (en) * 2008-04-11 2014-06-03 Perceptive Pixel, Inc. Pressure-sensitive layering of displayed objects
US20100011291A1 (en) * 2008-07-10 2010-01-14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a physically flexible device
KR101525160B1 (ko) * 2008-08-08 2015-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랙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US9459656B2 (en) * 2008-10-12 2016-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KR101521219B1 (ko) * 2008-11-10 2015-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17082B1 (ko) * 2008-11-10 2015-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65418A (ko) * 2008-12-08 201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JP2010157060A (ja) 2008-12-26 2010-07-15 Sony Corp 表示装置
KR101078899B1 (ko) 2010-01-29 2011-11-01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영상 출력 위치 제어 장치
KR101660746B1 (ko) * 2010-08-24 2016-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 설정 방법
US9164542B2 (en) * 2010-08-31 2015-10-20 Symbol Technologies, Llc Automated controls for sensor enabled user interface
KR101708821B1 (ko) * 2010-09-30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462106B2 (en) * 2010-11-09 2013-06-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Image magnification based on display flexing
KR101664418B1 (ko) * 2010-11-25 2016-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20059823A (ko) * 2010-12-01 2012-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 제어 장치 및 방법
EP2469389B1 (en) * 2010-12-24 2018-10-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hanging page thereof
KR20120080069A (ko) 2011-01-06 2012-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음성 제어 방법
US20130016129A1 (en) * 2011-07-14 2013-01-17 Google Inc. Region-Specific User Input
KR101271996B1 (ko) * 2011-09-02 2013-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기기 리스트 제공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US9007300B2 (en) * 2011-10-14 2015-04-14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to control a process with bend movements
US9823707B2 (en) * 2012-01-25 2017-11-21 Nokia Technologies Oy Contortion of an electronic apparatus
KR102013587B1 (ko) * 2012-05-03 2019-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916416B1 (ko) * 2012-07-30 2018-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88382B1 (ko) * 2012-09-07 2020-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콘텐트 공유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24478B1 (ko) * 2014-04-15 202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티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0401A1 (ko) * 2021-04-16 2022-10-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09321A (zh) 2014-03-01
JP6307229B2 (ja) 2018-04-04
AU2016206346A1 (en) 2016-08-11
WO2014021615A1 (en) 2014-02-06
JP2014029690A (ja) 2014-02-13
SG11201408796WA (en) 2015-03-30
EP2693320A2 (en) 2014-02-05
EP2693320B1 (en) 2020-02-26
RU2015106548A (ru) 2016-09-20
BR112015001826A2 (pt) 2019-12-31
US9952706B2 (en) 2018-04-24
CN103576979B (zh) 2018-09-18
RU2617600C2 (ru) 2017-04-25
US20140028597A1 (en) 2014-01-30
EP2693320A3 (en) 2016-12-07
KR20140016075A (ko) 2014-02-07
IN2015DN01395A (ko) 2015-07-03
AU2013297228C1 (en) 2016-11-10
AU2013297228A1 (en) 2015-01-29
CN103576979A (zh) 2014-02-12
AU2016206346B2 (en) 2017-12-07
AU2013297228B2 (en) 2016-04-21
TWI604348B (zh) 201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8175B1 (ko)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제공하는 플렉서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019052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I thereof
KR10194343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69225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01611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16416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4381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69959B1 (ko) 플렉서블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25931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541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36366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197116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22233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08533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763898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08237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2237296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