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9105A -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청소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89105A KR20090089105A KR1020080014474A KR20080014474A KR20090089105A KR 20090089105 A KR20090089105 A KR 20090089105A KR 1020080014474 A KR1020080014474 A KR 1020080014474A KR 20080014474 A KR20080014474 A KR 20080014474A KR 20090089105 A KR20090089105 A KR 200900891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ction nozzle
- suction
- cleaning device
- housing
- impell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09—Rigid filtering recepta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 Y10S43/90—Liquid insecticide spr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노즐; 상기 흡입노즐이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흡입노즐과 연결유로를 통해 연통되는 공기흡입유닛; 및 상기 공기흡입유닛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출구에 각각 연통되는 적어도 2개의 수거부를 갖는 오물수거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소기, 바이패스, 출구, 임펠러, 흡입노즐, 선회, 회전, 가요성 호스, 자발라, 오물수거통, 스틱 핸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소기 본체와 흡입노즐 사이의 유로가 최단거리로 형성된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먼지 또는 오물(이하 '오물'이라 함)을 함유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입모터를 사용한다. 진공청소기의 흡입모터는 통상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여 수거하는 집진장치의 하류에 배치된다. 따라서, 흡입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오물은 집진장치를 통과하면서 공기로부터 제거되고, 오물이 제거된 공기는 흡입모터를 통과하여 진공청소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흡입모터가 집진장치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피청소면에 인접한 흡입노즐과 흡입모터 간의 유로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흡입모터의 흡입력이 직접적으로 피청소면의 오물에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일반 진공청소기의 단점을 고려하여, 청소기 본체와 흡입노즐 사이의 흡입유로를 최단거리로 형성함으로써 압력손실을 최소화하는 파워헤드형 청소기가 개발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파워헤드형 청소기는 흡입노즐이 청소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구석진 부분 등을 청소할 때 청소기 전체를 회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더욱이 청소 구역이 좁은 곳은 청소기를 회전시키는 것도 쉽지 않게 때문에 이런 곳은 청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 발명은 구석이나 좁은 청소구역에서도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전력으로 피청소면의 오물 흡입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흡입노즐이 다양한 청소각도를 가지면서 흡입노즐의 각도변경 시에도 유로의 면적을 일정하기 유지하여 압력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흡입노즐; 상기 흡입노즐이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흡입노즐과 연결유로를 통해 연통되는 공기흡입유닛; 및 상기 공기흡입유닛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출구에 각각 연통되는 적어도 2개의 수거부를 갖는 오물수거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흡입노즐은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 진공청소기의 진행방향으로 정렬된다.
상기 공기흡입유닛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안착되어 상기 연결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임펠러;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임펠러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노즐은 후단과 상기 베이스 및 하우징의 중앙 선단은 탄성부재를 통해 탄력적으로 상호 힌지되고,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탄력부재는 토션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흡입노즐의 선회 시 동일한 유로 단면을 갖는 가요성 호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요성 호스는 주름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노즐은 오물 흡입구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 브러시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브러시는 상기 흡입노즐에 배치된 브러시 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은, 흡입노즐; 상기 흡입노즐과 연결유로를 통해 연통되는 오물수거통; 및, 상기 오물수거통의 배기구와 연통되는 공기흡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노즐은 상기 공기흡입유닛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유로는 가요성 호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요성 호스는 주름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입노즐은 상기 공기흡입유닛은 탄성부재를 통해 상호 탄력적으로 힌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흡입노즐은 오물 흡입구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 브러시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브러시는 상기 흡입노즐에 배치된 브러시 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된 스틱 핸들; 및 상 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청소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스틱 핸들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1단 절첩되거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흡입노즐이 탄력적으로 선회 가능하므로 구석이나 좁은 청소구역에서 용이하게 청소를 행할 수 있으며, 흡입노즐의 각도변경 시에도 흡입유로의 면적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압력손실에 따른 흡입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전력으로 피청소면의 오물 흡입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를 나타내는 조립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표시된 Ⅲ-Ⅲ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100)는 흡입노즐(110), 연결유로(130), 공기흡입유닛(150), 오물수거통(170)을 포함한다.
흡입노즐(110)은 피청소면으로부터 오물을 흡입하는 것으로, 피청소면과 마 주하는 오물흡입구(111)가 형성되고, 흡입노즐(110)을 공기흡입유닛(150)에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부(119)가 돌출 형성된다. 오물 흡입구(111)에는 회전브러시(11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또한 회전브러시(113)를 직접 구동시키기 위한 브러시 모터(115)가 함께 설치된다.
회전브러시(113)는 회전드럼(113a)과 회전드럼(113a)의 표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브러시 리브(113b)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회전브러시(113)가 회전하면 브러시 리브(113b)가 피청소면과 접촉하여 피청소면의 오물을 비산시켜 줌에 따라 인입유로(112) 측으로 상승시킨다. 또한 흡입노즐(110)은 저면의 전방 양측으로 피청소면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쌍의 바퀴(118)가 설치된다.
제1 연결부(119)는 흡입노즐(110)의 후방 중앙에 배치되며, 내측에 탄성부재 예를 들면 토션스프링(120)이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베이스(151)의 힌지축(152a)이 결합되는 관통구멍(119a)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연결부(119)의 내측에는 하방향으로 토션스프링(120)의 일측(121)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돌기(119b)가 형성된다.
연결유로(130)는 흡입노즐(110)과 공기흡입유닛(150)을 상호 연결한다. 구체적으로는, 연결유로(130)의 일단이 흡입노즐(110)의 인입유로(112)에 연결되고, 연결유로(130)의 타단이 하우징(153)의 원통형 결합돌기(153a)에 각각 연결된다. 이 경우, 연결유로(130)는 임펠러 모터(157)의 회전축(157a)에 대응하도록 공기흡입유닛(150)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흡입노즐(110)의 선회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결유로(130)는 가요성 호스로써 대략 주름관 형상 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연결유로(130)는 흡입노즐(110)이 외력에 의해 공기흡입유닛(150)에 대하여 소정 각도록 선회하는 경우 유로 단면이 좁아지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압력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공기흡입유닛(150)은 흡입노즐(110)의 길이방향으로 흡입노즐(110)의 대략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즉, 공기흡입유닛(150)은 흡입노즐(110)의 후방에 설치되며, 이 경우 흡입노즐(110)에 외력에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임펠러 모터(157)의 중심축(157a)이 회전브러시(113)의 회전축(113c)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공기흡입유닛(150)은 베이스(151), 하우징(153), 임펠러(155) 및 임펠러 모터(157)을 포함한다.
베이스(151)는 상면에 하우징(153)이 안착되는 요홈(151a)이 형성되고 저면 후방으로는 양측으로 한쌍의 바퀴(151b)이 설치된다. 또한 베이스(151)는 선단 중앙에 상방향으로 힌지축(152a)이 돌출되며, 힌지축(152a)은 상단에 힌지홈(152b)이 형성된다. 또한, 힌지축(152a)에 인접한 베이스(151)는 선단에는 토션스프링(120)의 타단(123)을 지지하기 위한 제2 지지돌기(152c)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힌지축(152a)은 흡입노즐(110)의 회전 중심이 된다.
하우징(153)은 내측으로 임펠러(155)가 회전하는 공간(153b)을 형성하며, 이 공간(153b)은 피청소면으로부터 인입된 오물과 공기가 통과하는 이동경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하우징(153)은 임펠러(155)가 입구(153c)를 통해 공간(153b)으로 인입된 오물과 공기를 제1 및 제2 배출구(154a,154b)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설 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및 제2 배출구(154a,154b)는 임펠러 모터(157)의 회전축(157a)을 중심으로 대칭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하우징(153)에 2개의 배출구(154a,154b)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하우징(153)에 2개 이상의 배출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2개 이상의 배출구는 2개 이상이 대응하는 오물수거통(170)에 연통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153)은 전방 중앙에 제2 연결부(153e)가 돌출 형성된다. 제2 연결부(153e)는 저면에 힌지축(152a)의 힌지홈(152b)에 힌지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돌기(153f)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흡입노즐(110)과 공기흡입유닛(150)은 제1 연결부(119), 힌지축(152a) 및 제2 연결부(153e)를 통해 소정 각도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임펠러(155)는 임펠러 모터(157)의 회전축(157a)에 연결되며, 회전 구동 시 피청소면의 오물과 공기를 오물수거통(170)으로 배출한다. 이 경우 임펠러(155)는 임펠러 모터(157)의 회전축(157a)에 연결되는 회전판(155a)과 회전판(155a)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날개(155b)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날개(155b)는 회전판(155a)에 소정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임펠러(155)는 날개(155b)의 개수에 따라 임펠러(155)의 소음, 임펠러(155)가 흡입하는 공기의 유량 등이 변화하므로, 이러한 조건을 고려하여 4개 내지 6개의 날개(155b)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펠러 모터(157)는 하우징(153)의 공간(153b)과 격리되도록 하우징(153)의 외부, 즉 하우징(153)의 후면(153d)에 설치된다. 임펠러 모터(157)의 회전축(157a) 은 하우징(153)의 공간(153b)으로 돌출되며, 끝단에는 임펠러(155)가 설치된다. 따라서 임펠러 모터(157)가 회전하면, 임펠러(155)가 회전하여 흡입력이 발생한다. 이 흡입력에 의해 피청소면의 오물이 공기와 함께 하우징(153)의 공간(153b)으로 흡입된다. 임펠러 모터(157)는 하우징(153)의 후면(153d)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임펠러(155)에 의해 흡입되는 오물과 공기는 임펠러 모터(157)를 통과하지 않는다. 즉, 임펠러(155)에 의해 흡입되는 오물과 공기는 임펠러 모터(157)를 우회(bypass)하여 오물수거통(170)으로 수거된다.
오물수거통(170)은 임펠러 모터(157)의 후방을 감쌀 수 있도록 중앙에 하우징(153)을 수용하는 수용홈(171)이 형성되고, 수용홈(171) 양측으로는 제1 및 제2 수거부(173a,173b)가 대칭으로 배치된다. 제1 및 제2 수거부(173a,173b)는 수용홈(171) 측으로 각각 하우징(153)의 제1 및 제2 배출구(154a,154b)와 연통되는 유입구(175a,175b)가 형성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수거부(173a,173b) 내측에는 하우징(153)의 제1 및 제2 배출구(154a,154b)에서 배출된 오물이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쌓이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수거부(173a,173b)는 후방에 각각 제1 및 제2 필터(177a,177b)가 설치된다. 따라서, 하우징(153)의 제1 및 제2 배출구(154a,154b)에서 오물과 함께 배출된 공기는 제1 및 제2 필터(177a,177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자중에 의해 제1 및 제2 수거부(173a,173b)에 낙하하지 않고 공기 속에 남아있는 먼지와 같은 작은 오물은 제1 및 제2 필터(177a,177b)에 의해 공기로부터 분리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청소장치(100)는 브러시 모터(115)와 임펠러 모터(157)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브러시 모터(115)와 임펠러 모터(157)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전원부로는 청소장치(100)에 장착되는 배터리(미도시)를 사용하거나, 청소장치(100)와 별도로 설치된 상용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상용전원을 사용하는 경우 청소장치(100)에는 상용전원에 연결할 수 있는 전원코드(미도시)가 설치된다. 제어부는 종래 기술에 의한 청소기에 사용되는 제어부와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제1 실시예에 의한 청소장치(100)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브러시 모터(115)와 임펠러 모터(157)에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브러시(113)와 임펠러(155)가 회전한다. 회전브러시(113)가 회전하면, 피청소면과 접하고 있는 회전브러시(113)의 브러시 리브(113b)에 의해 피청소면의 오물이 비산되어 인입유로(112) 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임펠러(155)가 회전하면, 회전브러시(113)에 의해 피청소면에서 분리된 오물이 공기와 함께 인입유로(112) 및 연결유로(13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하우징(153)의 입구(153c)로 인입된다.입구(153c)를 통해 하우징(153)의 공간(153b)으로 인입된 오물과 공기는 임펠러(155)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하우징(153)의 제1 및 제2 배출구(154a,154b)로 배출된다. 이때, 일부의 오물은 임펠러(155)의 복수의 날개(155b)에 부딪혀 그 충격력에 의해 제1 및 제2 배출구(154a,154b)로 배출된다. 이 경우, 하우징(153)이 2개의 배출구(154a,154b)를 구 비하고 있으므로, 오물과 공기가 분산되어 2개의 배출구(154a,154b)로 배출됨에 따라 한 개의 출구를 갖는 하우징(153)에 비해 소음이 저감된다.
제1 및 제2 배출구(154a,154b)로 각각 배출된 오물과 공기는 제1 및 제2 수거부(173a,173b)의 유입구(175a,175b)로 인입된다. 제1 및 제2 수거부(173a,173b)로 인입된 오물은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제1 및 제2 수거부(173a,173b)의 바닥에 쌓이게 되고, 공기는 제1 및 제2 필터(177a,177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100)는 흡입된 오물과 공기가 임펠러 모터(157)를 거치지 않고, 임펠러(155)가 설치된 하우징(153)의 공간(153b)을 통과하여 배출된다. 이에 따라 임펠러 모터(157)에 의해 발생하는 흡입력이 직접적으로 피청소면의 오물에 작용하게 되므로, 임펠러 모터(157)를 통해 통상의 진공청소기에 사용하는 흡입모터보다 용량이 작은 모터를 사용하더라도 효율적으로 오물을 흡입할 수 있고 아울러, 종래의 진공청소기 보다 전력 소모도 작게 된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100)는 청소 시, 도 4와 같이 흡입노즐(110)이 벽체(W)와 바닥 경계가 되는 구석을 청소하는 경우, 청소장치(100)를 벽체(W)를 향해 전진시키면 도 5와 같이, 벽체(W) 등에 의해 흡입노즐(110)의 일측에 외력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흡입노즐(110)은 힌지축(152a, 도 2 참고)을 중심으로 하여 외력이 가해지는 측이 공기흡입유닛(150)에 인접하도록 소정 각도 선회한다. 이 경우 흡입노즐(110)은 토션스프링(120)에 의해 탄력적으로 선회한다.
반대로 청소장치(100)를 도 6과 같이, 벽체(W)로부터 후퇴시키면, 흡입노즐(110)은 벽체(W)에 의해 가압되었던 측이 토션스프링(120)의 복원력에 의해 힌지 축(152a)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원위치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흡입노즐(110)이 공기흡입유닛(150)에 대하여 힌지축(152a)을 중심으로 좌우로 선회 가능하므로, 청소 시 벽체(W)나 식탁의 다리와 같은 장애물을 만나거나 좁은 구역을 청소할 때, 청소장치(100) 전체를 선회시키지 않아도 탄력적으로 선회하는 흡입노즐(110)을 통해 청소를 손쉽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의 청소장치(100)는 흡입노즐(110)이 선회할 경우, 연결유로(130)가 주름관 형상의 가요성 호스로 이루어져 있어 유로의 면적이 줄어들지 않고 동일하게 유지됨으로써, 압력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고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200)는 흡입노즐(210)의 구성이 제1 실시예의 청소장치(10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200)의 흡입노즐(210)과 공기흡입유닛(250)간의 힌지 연결구조가 대부분 동일하며 다만, 상이한 점은 제1 실시예의 청소장치(100)의 제2 연결부(153e)에 대응하는 구성이 생략된다.
도 7을 참고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200)는 흡입노즐(210), 연결유로(230), 공기흡입유닛(250) 및 오물수거통(270)을 포함한다.
공기흡입유닛(250)은 베이스(251),하우징(253), 흡입모터(257)를 포함한다.
베이스(251)는 상면 전방에 오물수거통(270)이 배치되고, 상면 후방으로는 하우징(253)이 안착된다. 또한 베이스(251)는 선단 중앙에 상방향으로 힌지축(252a)이 돌출되며, 힌지축(252a)에 인접한 베이스(251)의 선단에는 토션스프 링(220)의 타측을 지지하기 위한 제2 지지돌기(252c)가 형성된다. 이 경우, 토션스프링(220)의 일측은 제1 지지돌기(219b)에 의해 지지된다.
하우징(253)은 내측에 흡입모터(257)가 설치되며, 이 흡입모터(257)는 오물수거통(270)의 배출구(279)로부터 배출되는 필터링된 공기를 흡입하여 하우징(253) 일면에 형성된 배기그릴(253g)로 배출한다.
오물수거통(270)은 흡입노즐(210)의 인입유로(212)를 통해 유입되는 오물 및 공기를 인입하기 위한 입구(275a)가 형성되고, 이 입구(275a) 주변에는 연결유로(230)의 일측과 연결되는 결합돌기(278)가 형성된다. 이 경우 연결유로(230)는 주름관 형상의 가요성 호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연결유로(230)의 위치는 흡입노즐(210)의 원활한 선회동작을 위해 흡입노즐(210)과 공기흡입유닛(250)의 힌지 연결구조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물수거통(270)은 흡입모터(257)의 선단 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출구(279)가 형성되며, 이 배출구(279)에는 흡입모터(257)를 보호하기 위해 먼지와 같은 미세한 오물을 걸러내는 필터(277)가 설치된다. 더욱이 오물수거통(270)은 상측에 사용자가 오물수거통(270)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파지부(27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200)는 제1 실시예의 청소장치(100)와 달리 오물을 흡입하기 위해 흡입모터(255)를 채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의 흡입유로는 흡입노즐(210) 및 연결유로(230)를 순차적으로 거친 후, 오물수거통(270)을 통과하여 흡입모터(257)로 이어진다.
한편, 제2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200)는 제1 실시예의 청소장치(100)와 마 찬가지로 흡입노즐(210)이 공기흡입유닛(250)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도록 탄력적으로 힌지 연결됨에 따라, 구석이나 좁은 청소구역에서의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100,200)를 사용한 스틱형 청소기(30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스틱형 청소기(300)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100,200)가 설치되는 청소기 본체(310)와 청소기 본체(310)를 조작하기 위한 스틱 핸들(320)을 포함한다. 청소기 본체(310) 양측에는 청소기 본체(310)가 원활하게 피청소면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한쌍의 바퀴(330)가 설치된다.
이 경우, 스틱 핸들(320)은 중앙에 힌지부(32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스틱형 청소기(300)를 보관하는 경우, 힌지부(321)를 중심으로 절첩하여 보관함으로써, 보관이 용이하다.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틱 핸들(320)은 텔레스코픽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를 나타내는 조립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표시된 Ⅲ-Ⅲ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흡입노즐이 선회 및 복귀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청소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 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200: 청소장치 110, 210: 흡입노즐
130, 230: 연결유로 150, 250: 공기흡입유로
155: 임펠러 157: 임펠러 모터
170, 270: 오물수거통 255: 흡입모터
300; 스틱형 청소기 310: 청소기 본체
320: 스틱 핸들
Claims (17)
- 흡입노즐;상기 흡입노즐이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흡입노즐과 연결유로를 통해 연통되는 공기흡입유닛; 및상기 공기흡입유닛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출구에 각각 연통되는 적어도 2개의 수거부를 갖는 오물수거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흡입노즐은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 진공청소기의 진행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공기흡입유닛은베이스;상기 베이스에 안착되어 상기 연결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출구가 형성된 하우징;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임펠러; 및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임펠러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흡입노즐은 후단과 상기 베이스 및 하우징의 중앙 선단은 탄성부재를 통해 탄력적으로 상호 힌지되고,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탄력부재는 토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흡입노즐의 선회 시 동일한 유로 단면을 갖는 가요성 호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가요성 호스는 주름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흡입노즐은 오물 흡입구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 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장치.
- 제8항에 있어서,상기 회전 브러시는 상기 흡입노즐에 배치된 브러시 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장치.
- 흡입노즐;상기 흡입노즐과 연결유로를 통해 연통되는 오물수거통; 및,상기 오물수거통의 배기구와 연통되는 공기흡입유닛;을 포함하며,상기 흡입노즐은 상기 공기흡입유닛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유로는 가요성 호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장치.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가요성 호스는 주름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장치.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흡입노즐은 상기 공기흡입유닛은 탄성부재를 통해 상호 탄력적으로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장치.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흡입노즐은 오물 흡입구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 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장치.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회전 브러시는 상기 흡입노즐에 배치된 브러시 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장치.
- 청소기 본체;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된 스틱 핸들; 및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진공청소기.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스틱 핸들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1단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진공청소기.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스틱 핸들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진공청소기.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4474A KR101472770B1 (ko) | 2008-02-18 | 2008-02-18 | 청소장치 |
US12/186,678 US8220108B2 (en) | 2008-02-18 | 2008-08-06 | Cleaner apparatus |
RU2008135758/12A RU2008135758A (ru) | 2008-02-18 | 2008-09-04 | Чист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
EP08163700.1A EP2095752A3 (en) | 2008-02-18 | 2008-09-04 | Cleaner apparatus |
JP2008243069A JP2009189795A (ja) | 2008-02-18 | 2008-09-22 | 掃除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4474A KR101472770B1 (ko) | 2008-02-18 | 2008-02-18 | 청소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9105A true KR20090089105A (ko) | 2009-08-21 |
KR101472770B1 KR101472770B1 (ko) | 2014-12-17 |
Family
ID=40717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14474A KR101472770B1 (ko) | 2008-02-18 | 2008-02-18 | 청소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220108B2 (ko) |
EP (1) | EP2095752A3 (ko) |
JP (1) | JP2009189795A (ko) |
KR (1) | KR101472770B1 (ko) |
RU (1) | RU2008135758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43209A (ko) * | 2014-06-13 | 2015-12-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로봇청소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0423B1 (ko) * | 2007-08-28 | 2013-12-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스틱형 진공청소기 |
US20100206336A1 (en) * | 2009-02-18 | 2010-08-19 | Sami Souid | Extendable vacuum cleaner |
WO2012002797A1 (en) * | 2010-07-02 | 2012-01-05 | Stephen Manasseh | Vacuum cleaner for cleaning high and hard to reach areas |
DE102015105228B4 (de) * | 2015-04-07 | 2019-08-22 |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 Vorrichtung für ein ein saugendes Gebläse aufweisendes Reinigungsgerät |
DE202016103041U1 (de) * | 2016-06-08 | 2017-09-13 |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 Vorrichtung für ein ein Sauggebläse aufweisendes Reinigungsgerät |
CN106943079B (zh) * | 2017-05-15 | 2018-11-30 | 苏州市春菊电器有限公司 | 一种滚刷快速拆装装置及其清洁器具 |
KR20210090435A (ko) * | 2020-01-10 | 2021-07-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 청소기 |
CN114747350B (zh) * | 2022-04-02 | 2024-03-19 | 南京古城园林工程有限公司 | 一种园林空间工程的储水浇灌系统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9318460U1 (de) * | 1993-12-02 | 1995-03-30 |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42275 Wuppertal | Elektromotorisch betriebenes Staubsauggerät mit einem teleskopierbaren Gerätestiel |
US5671499A (en) | 1996-01-11 | 1997-09-30 | Black & Decker Inc. | Vacuum cleaner with all components in floor traveling head |
JP2000037331A (ja) | 1998-07-24 | 2000-02-08 | Hitachi Ltd | 電気掃除機 |
JP2000166826A (ja) | 1998-12-10 | 2000-06-20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電気掃除機 |
US6348106B1 (en) * | 1999-04-06 | 2002-02-19 | Oreck Holdings, Llc |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a flow of air and particulate through a vacuum cleaner |
JP2001198053A (ja) * | 2000-01-24 | 2001-07-24 | Sharp Corp | アップライト型電気掃除機 |
DE10144129A1 (de) | 2000-12-13 | 2002-06-20 | Vorwerk Co Interholding | Düse für einen Staubsauger |
KR100670595B1 (ko) * | 2004-03-24 | 2007-01-17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업라이트 청소기 |
AU2006206657A1 (en) * | 2005-01-18 | 2006-07-27 | Electrolux Homecare Products, Inc. | Vacuum cleaner with collapsible handle |
KR100768860B1 (ko) | 2006-01-26 | 2007-10-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 청소기의 소음 저감 흡입부 |
-
2008
- 2008-02-18 KR KR1020080014474A patent/KR10147277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08-06 US US12/186,678 patent/US8220108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09-04 EP EP08163700.1A patent/EP2095752A3/en not_active Withdrawn
- 2008-09-04 RU RU2008135758/12A patent/RU2008135758A/ru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8-09-22 JP JP2008243069A patent/JP2009189795A/ja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43209A (ko) * | 2014-06-13 | 2015-12-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로봇청소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72770B1 (ko) | 2014-12-17 |
JP2009189795A (ja) | 2009-08-27 |
RU2008135758A (ru) | 2010-03-10 |
EP2095752A2 (en) | 2009-09-02 |
EP2095752A3 (en) | 2015-08-12 |
US20090205156A1 (en) | 2009-08-20 |
US8220108B2 (en) | 2012-07-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90089105A (ko) | 청소장치 | |
US6311366B1 (en) | Battery power combination vacuum cleaner | |
JP5618972B2 (ja) | 表面処理機器 | |
US8918952B2 (en) | Vacuum cleaner | |
JP5042350B2 (ja) | 表面処理電気器具 | |
EP1985215A2 (en) | Vacuum cleaner for using as both canister form and stick form | |
KR102308483B1 (ko) | 청소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 |
JP2008178615A (ja) | 電気掃除機 | |
KR20060128387A (ko) | 진공청소기 | |
CN108135411B (zh) | 真空吸尘器用吸尘器头及真空吸尘器 | |
KR100504891B1 (ko) | 업라이트 청소기의 회전브러쉬구조 | |
KR101292537B1 (ko) | 로봇청소기 | |
KR20050108551A (ko) |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 |
CN219089121U (zh) | 清洁设备 | |
CN218899331U (zh) | 清洁底座及表面清洁设备 | |
KR200364056Y1 (ko) | 진공청소기 | |
CN116211187A (zh) | 清洁设备 | |
KR20230012904A (ko) | 청소기 스테이션 | |
KR100583976B1 (ko) |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 |
JP2022177593A (ja) |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 |
JP2004147691A (ja) |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 |
KR20040080089A (ko) |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