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9007A -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59007A KR20090059007A KR1020070125836A KR20070125836A KR20090059007A KR 20090059007 A KR20090059007 A KR 20090059007A KR 1020070125836 A KR1020070125836 A KR 1020070125836A KR 20070125836 A KR20070125836 A KR 20070125836A KR 20090059007 A KR20090059007 A KR 200900590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rner
- combustion
- gas
- assembly
- cabin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 F24C3/047—Ra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 F24C3/06—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without any visible flame
- F24C3/067—Ra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가스를 연소키는 버너어셈블리가 가스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의 배출을 하는 밴기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버너어셈블리의 구성이 보다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조리기기, 버너어셈블리. 점화부, 연소부, 배기부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가스나 전기 등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가전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를 이용하는 조리기기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버너부가 구비되고, 상기 버너부에서 가스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화염에 의하여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를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직접 가열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조리기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먼저 종래의 조리기기에서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화염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조리기기의 사용과정에서 사용자가 화염에 의하여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한편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의 외부로 넘쳐흐를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조리기기는 화염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넘쳐흐르는 음식 물에 의하여 화염이 소화됨으로써, 음식물의 조리가 중단되거나 가스가 외부로 누설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조리기기에서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버너나 삼발이와 같이 상면의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조리기기의 상면이 음식물에 의하여 오염되면, 이를 청소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작신뢰성이 증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가스를 공급받는 버너포트; 상기 버너포트에 공급된 가스가 연소되는 연소매트; 및 상기 연소매트에서 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안내하는 버너밴트;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고, 가스를 공급받는 버너포트, 상기 버너포트에 공급된 가스가 연소되는 연소매트 및 상기 연소매트에서 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안내하는 버너밴트를 포함하는 버너어셈블리; 및 상기 연소매트의 상방에 구비되고, 상기 연소매트에서 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가열물에 전달하는 열전달매체;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고, 혼합가스를 공급받는 버너포트, 상기 버너포트에 공급된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연소매트 및 상기 연소매트에서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안내하는 버너밴트를 포함하는 버너어셈블리; 상기 연소매트에서 연소되는 혼합가스를 형성하는 가스를 공급하는 노즐어셈블리; 및 상기 노즐어셈블리에서 공급되는 가스와 공기를 혼합하여 형성되는 혼합가스를 상기 버너포트에 공급하는 튜브어셈블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고, 혼합가스를 공급받는 버너포트, 상기 버너포트에 공급된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연소매트 및 상기 연소매트에서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안내하는 버너밴트를 포함하는 버너어셈블리; 상기 연소매트에서 연소되는 혼합가스를 형성하는 가스를 공급하는 노즐어셈블리; 상기 노즐어셈블리에서 공급되는 가스와 공기를 혼합하여 형성되는 혼합가스를 상기 버너포트에 공급하는 튜브어셈블리; 및 상기 혼합가스를 형성하는 공기를 상기 캐비닛의 내부로 흡입하고, 상기 버너밴트에 의하여 안내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밴트그릴;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면이 개구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구비되는 열전달매체;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고, 혼합가스를 공급받는 버너포트, 상기 버너포트에 공급된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연소매트 및 상기 연소매트에서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열전달매 체에 전달하는 버너밴트를 포함하는 버너어셈블리;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과 상기 버너밴트의 저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연소매트에서 연소되는 혼합가스를 형성하는 공기가 유동되는 흡기유로; 및 상기 열전달매체의 저면과 상기 버너밴트의 상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연소매트에서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하여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되는 연소가스가 유동되는 배기유로; 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 의하면, 보다 안전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동작신뢰성이 증진되고, 보다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조리기기(10)의 외관을 캐비닛(100)이 형성한다. 상기 캐비닛(100)은 상면이 개구되는 육면체와 같은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0)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냉각공(110)이 형성된다. 상기 냉각공(110)은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부품의 냉각을 위한 공기의 입출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에는 상기 냉각공(110)을 통하여 입출 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냉각유로(Pc)(도 14참조)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리기기(10)가 가구장(1)에 설치되는 빌트인 타입의 경우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캐비닛(100)은 주방에 구비되는 가구장(1)의 설치공간(3)의 상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구장(1)의 전면에는 상기 설치공간(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한쌍의 도어(5)(7)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5)(7)는 상기 가구장(1)의 전면에 그 일단을 중심으로 상기 가구장(1)의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에는 가스와 공기의 혼합 및 혼합가스의 연소를 위한 버너어셈블리(200)(200')(200"), 노즐어셈블리(300) 및 상기 버너어셈블리(200)(200')(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부(400)가 구비된다. 상기 버너어셈블리(200)(200')(200")는 혼합가스를 연소시키는 동시에 혼합가스의 형성을 위한 공기 및 혼합가스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안내한다. 상기 노즐어셈블리(300)는 상기 버너어셈블리(200)(200')(200")에서 연소되는 혼합가스의 형성을 위하여 가스를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부(400)는 상기 버너어셈블리(200)(200')(200") 및 노즐어셈블리(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버너어셈블리(200)(200')(200")는 3개의 버너어셈블리, 즉 제1 내지 제3버너어셈블리(200)(200')(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버너어셈블리(200)(200')는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의 도면상 우측과 좌측부분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3버너어셈블리(200")는 상기 제1 및 제2버너어셈블리(200)(200')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의 중앙부분에 설치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버너어셈블리(200)(200')(200")는 그 크기에 따른 구분이다. 즉 상기 제1버너어셈블리(200)가 가장 큰 크기이고, 상기 제2버너어셈블리(200')는 그 다음 크기, 그리고 상기 제3버너어셈블리(200")가 가장 작은 크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너어셈블리(200)(200')(200")가 3개의 버너어셈블리를 포함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상기 버너어셈블리가 설치되면 된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버너어셈블리(200)(200')(200")는 그 후단부가 연결브라켓(700)에 각각 고정되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연결브라켓(700)은, 좌우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고정부(710)(도 11참조) 및 상기 고정부(710)의 후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720)(도 11참조)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71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버너어셈블리(200)(200')(200")가 고정되는 곳이다. 상기 가이드부(720)는 아래에서 설명할 밴트그릴(600)을 통하여 흡배기되는 공기와 연소가스를 구획하는 동시에 이를 전방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부(720)의 선단에는 경사가이드부(730)(도 11참조)가 구비된다. 상기 경사가이드부(730)는 전방을 향하여 상향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노즐어셈블리(300)는 상기 버너어셈블리(200)(200')(200")의 개수에 대응하여 3개로 구성된다. 상기 노즐어셈블리(300)는, 외부의 가스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은 가스를 상기 제1 내지 제3버너어셈블리(200)(200')(200")로 각각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노즐어셈블리(300)는,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3 버너어셈블리(200)(200')(200")의 직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 후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부(400)는 상기 제1 내지 제3버너어셈블리(200)(200')(200")의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 전단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부(400)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버너어셈블리(200)(200')(200")에 가스의 공급여부 및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3개의 밸브어셈블리(410)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어셈블리(410)는 상기 제1 내지 제3버너어셈블리(200)(200')(200")에 대응하여 모두 3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밸브어셈블리(410)에는 노브(420)가 각각 결합된다. 상기 노브(420)는 사용자가 상기 밸브어셈블리(410)를 조작하기 위하여 파지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밸브어셈블리(410)에는 표시램프(43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표시램프(430)는 상기 밸브어셈블리(410)에 의하여 온/오프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버너어셈블리(200)(200')(200")의 점화여부를 외부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조리기기(10)의 상면 외관을 탑커버(500)가 형성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탑커버(500)는 실질적으로 상기 캐비닛(100)의 상면을 차폐한다. 상기 탑커버(500)는 탑프레임(510) 및 탑글래스(520)를 포함한다.
상기 탑프레임(510)은 상기 캐비닛(100)에 대응하는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탑프레임(510)의 전단부에는 상기 밸브어셈블리(410)의 노브(420)가 관통하는 3개의 노브관통홀(51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탑프레임(510)의 전단부에는 상기 노브관통홀(511)에 각각 인접되도록 3개의 램프홀(513)이 구비된다. 상기 램프홀(513)은 상기 밸브어셈블리(410)의 표시램프(430)가 관통하는 곳이다. 또한 상기 탑프레임(510)의 후단부에는 다수개의 흡배기개구(515)가 구비된다. 상기 흡배기개구(515)는, 상기 버너어셈블리(200)(200')(200")에서 가스를 연소하기 위한 공기가 흡입되고 가스를 연소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가 배기되는 입출구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너어셈블리(200)(200')(200")에 대응하여 3개의 상기 흡배기개구(515)가 구비된다.
상기 탑글래스(520)는 상기 탑프레임(5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탑글래스(520)는 상기 버너어셈블리(200)(200')(200")에서 혼합가스를 연소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음식물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탑글래스(520)의 상면에는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가 안착된다. 또한 상기 탑글래스(520)에는, 상기 버너어셈블리(200)(200')(200")의 직상방에 해당하는 용기가 안착될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용기안착부(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흡배기개구(515)에는 밴트그릴(600)이 구비된다. 상기 밴트그릴(600)은 상기 버너어셈블리(200)(200')(200")에서 연소되는 가스와 혼합되는 공기의 흡입 및 상기 버너어셈블리(200)(200')(200")에서 공기와 혼합된 가스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의 배출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너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너어셈블리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너어셈블리의 상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너어셈블리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연소방해부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플러그어셈블리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서머커플 및 보호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버너어셈블리(200)(200')(200")는 그 크기를 제외하고 모두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상기 제1 내지 제3버너어셈블리(200)(200')(200") 중 제1버너어셈블리(200)(이하에서는 '버너어셈블리'라 칭함)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버너어셈블리(200)는 연소부, 점화부, 혼합부 및 배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소부는 혼합가스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곳으로, 버너포트(210), 포트커버(220) 및 연소매트(230)를 포함한다. 상기 점화부는 상기 연소부에서 혼합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러그어셈블리(240)가 점화부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혼합부는 가스와 공기를 혼합하여 상기 연소부에서 연소되는 혼합가스의 형태로 연소부에 공급한다. 상기 혼합부는 튜브어셈블리(250) 및 연장튜브(259)를 포함한다. 상기 배기부는 상기 연소부에서 가스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의 배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부는 버너밴트(260), 상부베리어(270) 및 하부베리어(280)를 포함한다.
상기 버너포트(210)는 상면이 개구되는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너포트(210)가, 그 전후단부가 각각 납작한 원통형상과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버너포트(210)의 내부에는 혼합가스가 공급된다.
상기 버너포트(210)의 후면에는 경사면(211)이 구비된다. 상기 경사면(211)은 상기 버너포트(210)의 후면이 전방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211)에는 5개의 혼합가스공급공(212)이 형성된다.
상기 포트커버(220)는 상기 버너포트(2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한다. 그리고 상기 포트커버(220)에는 상기 버너포트(210)의 내부에 공급된 혼합가스를 상기 연소매트(230)로 안내하는 혼합가스안내공(221)이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혼합가스안내공(221)은, 상기 포트커버(220)의 중앙부분이 대략 원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포트커버(220)에는 매트안착부(222)가 구비된다. 상기 포트커버(220)의 매트안착부(222)는 상기 혼합가스안내공(221)의 외주연에 인접하는 상기 포트커버(220)의 일부가 하방으로 단차짐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연소매트(230)는 실질적으로 혼합가스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소매트(230)는 상기 혼합가스안내공(221)을 차폐하도록 상기 포트커버(220)의 상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소매트(230)의 저면 내주연이 상기 매트안착부(222)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연소매트(230)의 상면은 대략 상기 포트커버(220)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소매트(230)는 세라믹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너포트(210)의 내부에는 연소방해부재(231)가 구비된다. 상기 연소방해부재(231)는 상기 연소매트(230)의 중앙부분에서의 혼합가스의 연소를 방해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연소방해부재(231)에 의한 연소의 방지는, 뚝배기와 같이 저면 중앙부분이 상방으로 요입되는 용기에 담겨진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에 상기 연소매트(230)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탑글래스(520)와 용기의 저면 사이의 공간에 열이 집중되어 상기 탑글래스(520) 또는/및 용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소방해부재(231)는, 상기 연소매트(230)의 중앙부분에서의 혼합가스의 연소를 방지하도록 연소매트(230)의 저면 중앙부분에 밀착되거나 적어도 혼합가스의 연소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연소매트(230)의 저면 중앙부분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연소방해부재(231)는, 방해부(232), 지지부(233) 및 고정부(234)를 포함한다. 상기 방해부(232)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방해부(232)는 실질적으로 상기 연소매트(230)의 저면 중앙부에 밀착 또는 상기 연소매트(230)의 저면 중앙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즉 상기 방해부(232)는 실질적으로 상기 연소매트(230)의 중앙부에서의 혼합가스의 연소를 방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233)는 상기 방해부(232)의 서로 마주되는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방해부(232)를 소정의 높이에서 지지한다. 즉 상기 지지부(233)의 길이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상기 방해부(232)가 상기 버너포트(2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버너포트(210)의 내부로 공급되는 혼합가스의 유동이 상기 연소방해부재(231)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게 된다. 상기 고정부(234)는 상기 지지부(233)의 하단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234)는 별개의 체결구 또는 용접 등에 의하여 상기 버너포트(210)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소방해부재(231)가 전체적으로 원 형의 상면을 가지는 브릿지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상기 연소방해부재(23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연소매트(230)의 상방에는 다수개의 열선(235)이 구비된다. 상기 열선(235)은 상기 버너어셈블리(200)에서 혼합가스가 연소되는지 여부를 외부에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열선(235)은, 상기 연소매트(230)에서 혼합가스가 연소되어 온도가 증가되면 변색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버너어셈블리(200)에서의 연소가스가 연소되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열선(235)의 양단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버너밴트(261)의 상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열선(235)은 기인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1버너밴트(261)에 고정된다. 이는 상기 열선(235)이 온도의 증가에 의하여 길이가 증가되더라도 하방으로 처지지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플러그어셈블리(240)는, 점화플러그(241), 플러그타깃(242) 및 플러그홀더(243)를 포함한다. 상기 점화플러그(241)와 플러그타깃(242)은 혼합가스의 점화를 위한 스파크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점화플러그(241)에는 선택적으로 전원이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타깃(242)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점화플러그(241)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점화플러그(241)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점화플러그(241)와 플러그타깃(242) 사이에 스파크가 발생된다.
상기 플러그홀더(243)는 상기 점화플러그(241) 및 플러그타깃(242)을 상기 제1버너밴트(261)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점화플러그(241) 및 플러그 타깃(242)은, 상기 플러그홀더(243)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버너밴트(261)를 관통하여 상기 제1버너밴트(261)의 내부, 실질적으로는 상기 연소매트(230)의 상방에 위치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플러그홀더(243)는 홀더본체(244) 및 홀더커버(247)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본체(244)에는, 상기 점화플러그(241)의 일측이 안착되는 플러그안착홈(245) 및 상기 플러그타깃(242)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타깃삽입공(24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커버(247)는, 상기 점화플러그(241)가 상기 플러그안착홈(245)에 안착되고 상기 플러그타깃(242)이 상기 타깃삽입공(246)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점화플러그(241) 및 플러그타깃(242)을 포함하는 상기 홀더본체(244)의 상면을 차폐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홀더커버(247) 및 홀더본체(244)를 관통하는 체결구가 상기 제1버너밴트(261)의 일측에 체결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점화플러그(241) 및 플러그타깃(242)이 상기 제1버너밴트(261)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러그홀더(243)가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별도의 접지선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플러그타깃(242)이 삽입된 상기 플러그홀더(243)가 상기 제1버너밴트(261)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플러그어셈블리(240)의 접지가 가능해진다.
상기 튜브어셈블리(250)는, 다수개의 혼합튜브(251), 에어베리어(252) 및 밀착부(253)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튜브(251)는 실질적으로 가스와 공기의 혼합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버너포트(210)의 내부에 혼합가스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혼합튜브(251)는, 수직면에 대한 상기 혼합가스공급공(212)의 사영(射 影)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혼합튜브(251)는, 상기 혼합가스공급공(212)에 대응하여 상기 튜브어셈블리(250)마다 5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튜브(251)의 전단부는 상기 경사면(211)의 경사에 대응하는 경사로 절개된다. 상기 에어베리어(252)는 상기 혼합튜브(251)의 후단부에 좌우로 길게 구비된다. 상기 에어베리어(252)는 전후방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는 한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베리어(252)는 상기 냉각공(110)을 통하여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에 흡입되는 공기가 노즐어셈블리(300)를 향하여 유동되어 상기 혼합튜브(251)로의 가스와 공기의 공급이 방해받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가구장(1)의 도어(5)(7)를 여닫는 과정에서, 상기 설치공간(3)으로 다량의 공기가 고압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설치공간(3)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냉각공(110)을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상기 에어베리어(252)에 의하여 노즐어셈블리(300)를 향하여 유동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에어베리어(252)는 실질적으로 상기 혼합튜브(251)를 연결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밀착부(253)는 상기 혼합튜브(251)의 전단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밀착부(253)는 상기 경사면(211)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게 되고, 상기 경사면(211)에 밀착되어 상기 혼합튜브(251)를 통하여 혼합되어 상기 버너포트(210)의 내부로 공급되는 혼합가스가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밀착부(253)도, 상기 에어베리어(252)와 동일하게 상기 혼합튜브(251)를 연결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밀착부(253)은 상기 경사면(211)에 밀착된 상태에서 체결구(미도시)에 의하여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어셈블 리(250)에는 체결리브(244)가 구비된다. 상기 튜브어셈블리(250)의 체결리브(244)는 상기 에어베리어(252)의 후면 상단에 2개가 구비된다. 상기 튜브어셈블리(250)의 체결리브(254)에는 각각 체결공(255)이 형성된다. 상기 튜브어셈블리(250)의 체결공(255)에 인접하는 상기 튜브어셈블리(250)의 체결리브(254)의 상면에는 각각 가이드돌기(256)가 구비된다. 상기 튜브어셈블리(250)의 체결공(255) 및 가이드돌기(256)는 상기 튜브어셈블리(250)와 노즐어셈블리(30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버너포트(210)와 튜브어셈블리(250)가 서로 밀착되는 부분, 즉 상기 경사면(211)과 밀착부(253) 사이에는 가스켓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가스켓은 상기 튜브어셈블리(250)를 통하여 상기 버너어셈블리(200)로 공급되는 혼합가스가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경사면(211)과 밀착부(253) 사이를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장튜브(259)는 실질적으로 상기 버너포트(210)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연장튜브(259)는 상기 혼합튜브(251)의 길이를 연장시킴으로써 가스와 공기의 혼합효율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연장튜브(259)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가스와 공기가 혼합될 수 있는 유동거리가 증가됨으로써, 가스와 공기의 혼합효율이 증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장튜브(259)의 후단은 상기 혼합튜브(251)의 전단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튜브(259)는 상기 연소매트(230)와 상하로 중첩되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한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연장튜브(259)는 상기 연소매트(230)의 수평면에 대한 사영에 해당하는 위치를 제외한 상기 버너포트(210)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는 상기 연 장튜브(259)에 의하여 상기 연소매트(230)에서의 혼합가스의 연소가 간섭받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가스와 공기가 혼합될 수 있는 거리를 최대한 연장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버너밴트(260)는 상기 연소매트(230)의 상방에 구비된다. 상기 버너밴트(260)는 제1버너밴트(261) 및 제2버너밴트(265)를 포함한다. 상기 제1버너밴트(261)는 상기 연소매트(230)에서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상기 제2버너밴트(265)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버너밴트(265)는 상기 제1버너밴트(261)에서 전달받은 연소가스를 밴트그릴(60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버너밴트(261)는 상기 포트커버(22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연소매트(230)를 고정시키는 역할도 한다.
상기 제1버너밴트(261)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연소매트(230)에서 혼합가스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탑글래스(520)로 전달하기 위한 열전달공(262)이 형성된다. 상기 열전달공(262)은 상기 혼합가스안내공(221)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버너밴트(261)에는 가이드리브(263)가 구비된다. 상기 제1버너밴트(261)의 가이드리브(263)는, 실질적으로 상기 연소매트(230)에서 혼합가스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분산되지 않고, 상기 제2버너밴트(265)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버너밴트(261)의 가이드리브(263)는 상기 연소매트(230)에서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이 분산되지 않고 연소매트(230)에 직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탑글래스(520)로 집중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버너밴트(261)의 가이드리브(263)는 상기 제1버너밴트(261)의 후단을 제외한 제1버너밴트(261)의 상면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버너밴트(261)에는 글래스지지리브(264)가 구비된다. 상기 제1버너밴트(261)의 글래스지지리브(264)는 상기 탑글래스(520)의 이면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버너밴트(261)의 글래스지지리브(264)는 상기 제1버너밴트(261)의 가이드리브(263)의 상단에서 상기 제1버너밴트(261)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버너밴트(265)는 상기 제1버너밴트(261)에서 전달받은 연소가스를 상기 밴트그릴(60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버너밴트(265)는 상기 제1버너밴트(261)의 가이드리브(263)가 구비되지 않는 상기 제1버너밴트(261)의 후단에 연결된다. 상기 제2버너밴트(265)는 전후방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버너밴트(265)는 상기 제1버너밴트(26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형성되어 상기 제2버너밴트(265)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버너밴트(265)의 양측단부에는 각각 가이드리브(266)가 구비된다. 상기 제2버너밴트(265)의 가이드리브(266)는 상기 제2버너밴트(265)의 양측단부에서 상기 제1버너밴트(261)의 가이드리브(263)와 동일한 높이만큼 소정의 높이만큼 상방으로 연장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2버너밴트(265)의 가이드리브(266)는 상기 연소매트(230)에서 혼합가스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외부로 분산되지 않고 상기 밴트그릴(60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버너밴트(265)에는 글래스지지리브(267)가 구비된다. 상기 제2버너밴트(267)의 글래스지지리브(267)는 상기 제2버너밴트(265)의 가이드리브(266)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버너밴트(265)의 글래스지지리브(267)는, 상기 제1버너밴트(261)의 글래스지지리브(264)와 동일하게, 상기 탑글래스(5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2버너밴트(265)의 가이드리브(266)의 후단부에는 구획리브(268)가 구비된다. 상기 제2버너밴트(265)의 구획리브(268)는 상기 제2버너밴트(265)의 가이드리브(266)에 비하여 상방으로 더 연장된다. 상기 제2버너밴트(265)의 구획리브(268)는, 상기 버너어셈블리(200)의 연소매트(230)에서 각각 혼합가스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서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버너밴트(26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버너밴트(265)의 하방에는 흡기유로(Pi)(도 11참조)가 구비된다. 상기 흡기유로(Pi)에는 가스와 혼합되어 상기 연소매트(230)에서 연소되는 혼합가스를 형성하기 위한 공기가 유동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기유로(Pi)가 실질적으로 상기 캐비닛(100)의 바닥면과 상기 제2버너밴트(265)의 저면에 의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베리어(270)는 상기 제2버너밴트(265)의 상부에 결합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탑글래스(520)와 제2버너밴트(265)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상부베리어(270)는 그 양측면 외측이 각각 상기 제2버너밴트(265)의 가이드리브(266)의 내측에 각각 밀착되도록 대략 하방으로 개구되는 ㄷ자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버너밴트(265) 및 상부베리어(270)에 의하여 상기 연소매트(230)에서 혼합 가스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배기유로(Po)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상부베리어(270)가 삭제되고, 상기 제2버너밴트(265) 및 탑글래스(520)에 의하여 상기 배기유로(Po)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부베리어(270)는 상기 배기유로(Po)를 유동하는 연소가스의 열의 일부,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의 데우기에 사용될 수 있을 정도만큼의 열만이 상기 탑글래스(520)로 전달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배기유로(Po)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탑글래스(520)의 상면에는, 상기 배기유로(Po)를 유동하는 연소가스의 열에 의하여 음식물을 데울 수 있도록 하는 웜존(warm zone)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베리어(280)는, 상기 버너밴트(26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버너밴트(265)의 하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베리어(28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2버너밴트(265)와 튜브어셈블리(250)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하부베리어(280)는 상기 배기유로(Po)를 유동하는 연소가스의 열이 상기 튜브어셈블리(250) 및 노즐어셈블리(3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튜브어셈블리(250)는 그 양측면 내측이 상기 제2버너밴트(265)의 가이드리브(266)의 외측에 각각 밀착되도록 대략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ㄷ자형상으로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포트커버(220)와 제1버너밴트(261) 사이 및 상기 제2버너밴트(265)와 하부베리어(280) 사이에는 각각 가스켓(G1)(G2)이 구비된다. 상기 가스켓(G1)(G2)은 상기 포트커버(220)와 제1버너밴트(261) 사이의 열교환 및 상기 제2버너밴트(265)와 하부베리어(280) 사이의 열교환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너포트(210), 포트커버(220), 연소매트(230), 가스 켓(G1) 및 버너밴트(260)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버너포트(210)와 버너밴트(260)가 체결구(미도시)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상기 버너어셈블리(20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상부베리어(270)는 상기 버너밴트(260)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하부베리어(280)는 상기 버너밴트(260)의 저면에 체결구(미도시)에 의하여 고정된다. 물론 상기 버너밴트(260)와 하부베리어(280) 사이에는 상기 가스켓(G2)이 구비된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버너밴트(261)에는 써머커플(291)이 구비된다. 상기 써머커플(291)은, 상기 제1버너밴트(261)를 관통하여 그 선단부는 상기 제1버너밴트(261)의 내부,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1버너밴트(261)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써머커플(291)은 상기 연소매트(230)에서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중에는, 상기 제1버너밴트(261)의 내부에 위치되는 선단부와 상기 제1버너밴트(261)의 외부에 위치되는 나머지 부분 사이의 온도차에 의하여 소정의 기전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기 써머커플(291)의 기전력 유무에 따라서 상기 연소매트(230)에서 연소되는 혼합가스를 형성하는 가스를 공급하는 밸브어셈블리(41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 또는 개방된 밸브어셈블리(410)를 차폐시킨다.
그리고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써머커플(291)는 보호부재(293)에 의하여 둘러싸인다. 상기 보호부재(293)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버너밴트(261)의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써머커플(291)의 일부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보호부재(293)는 상기 연소매트(230)에서 연소가스를 연소화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상기 써머커플(291)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 시예에서는, 상기 보호부재(293)로 상기 써머커플(291)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하여 세라믹재질로 형성되는 애자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293)는 대략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부재(293)에는 상기 써머커플(291)이 관통하는 관통홀(294)이 형성된다. 상기 제1버너밴트(261)의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써머커플(291)의 선단부에 인접하는 상기 보호부재(293)의 일단부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보호부재(293)의 일단부에는, 상기 관통홀(294)을 관통한 상기 써머커플(291) 및 상기 보호부재(293)를 상기 제1버너밴트(261)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295)이 안착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노즐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노즐어셈블리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노즐어셈블리(300)는 연소되는 혼합가스의 형성을 위하여 버너어셈블리(200)(200')(200")에 각각 가스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노즐어셈블리(300)는 모두 3개로 구성되지만, 상기 버너어셈블리(200)(200')(200")에 가스를 공급하는 상기 노즐어셈블리(300)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하나의 노즐어셈블리(30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노즐어셈블리(300)는 노즐본체(310), 노즐커버(320), 다수개의 분사노즐(330) 및 노즐가스켓(340)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본체(310)는 상기 노즐어셈블리(3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노 즐본체(310)는 대략 상기 버너어셈블리(200)(200')(200")의 좌우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그 상면은 개구된다. 상기 노즐본체(310)에는 가스의 공급을 위하여 밸브어셈블리(410)와의 연결을 위한 가스호스(미도시)의 일단이 연결되는 공급공(311) 및 상기 분사노즐(330)이 결합되는 다수개의 분사공(312)이 형성된다. 상기 공급공(311)은 상기 노즐본체(310)의 일측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공(312)은 상기 버너어셈블리(200)(200')(200")의 후단과 마주보는 상기 노즐본체(310)의 전면에 구비된다. 상기 분사공(312)은 각각 상기 분사노즐(330)과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공(311) 및 분사공(312)의 내주연에는 상기 가스호스 및 분사노즐(330)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노즐본체(310)는 상기 분사공(31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상기 분사공(312)을 통하여 가스가 분사되는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의 두께가 최소화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분사노즐(330)에서 분사되는 가스와 흡기유로(Pi)를 유동하는 공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혼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분사공(312)을 제외한 상기 노즐본체(310)의 나머지 부분의 두께가 감소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분사노즐(330)을 향하여 보다 다량의 공기가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분사노즐(330)에서 분사되는 가스와 공기의 혼합, 즉 혼합가스의 형성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즐본체(310)가 알루미늄을 다이캐스팅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공(311) 및 분사공(312)은 텝가공에 의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본체(310)를 압출성형에 의하여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 로 사용되는 재료의 양 및 작업공수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노즐커버(320)는 상기 노즐본체(310)의 개구되는 상면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노즐본체(310)와 노즐커버(32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공간은 상기 공급공(311) 및 분사공(312)과 연통된다.
상기 분사노즐(330)은 상기 분사공(312)을 통하여 전달되는 가스를 상기 튜브어셈블리(25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혼합튜브(251)를 향하여 고압으로 분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분사노즐(330)은 각각 상기 분사공(312)에 결합되고, 상기 분사공(3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분사노즐(330)은 상기 혼합튜브(251)의 후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상기 분사노즐(330)은 상기 분사공(312)에 나사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분사노즐(330)의 외주면에는 상기 분사공(312)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어셈블리(300)에는 체결리브(313)가 구비된다. 상기 노즐어셈블리(300)의 체결리브(313)는 상기 노즐본체(310)의 전면 상단에 구비된다. 상기 노즐어셈블리(300)의 체결리브(313)는, 상기 튜브어셈블리(250)와 노즐어셈블리(30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노즐어셈블리(300)의 체결리브(313)에는 관통공(314)과 가이드홀(315)이 구비된다. 상기 노즐어셈블리(300)의 관통공(314)은 상기 튜브어셈블리(250)의 체결공(255)에 체결되는 체결구(미도시)가 관통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노즐어셈블리(300)의 가이드홀(315)은 상기 튜브어셈블리(250)의 가이드돌기(256)가 삽입되는 곳이다. 따라서 상기 튜브어셈블 리(250)와 노즐어셈블리(300)는, 상기 튜브어셈블리(250)의 가이드돌기(256)가 상기 노즐어셈블리(300)의 가이드홀(315)에 삽입됨으로써 양자의 상대위치가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노즐어셈블리(300)의 관통공(314)을 관통한 상기 체결구가 상기 튜브어셈블리(250)의 체결홀(255)에 체결됨으로써 고정된다.
상기 노즐가스켓(340)은 상기 노즐본체(310)와 노즐커버(32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노즐가스켓(340)은 상기 노즐본체(310)와 노즐커버(320)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노즐가스켓(340)에 의하여 상기 공급공(311)을 통하여 공급되어 상기 노즐공(312)을 통하여 분사되는 가스가 상기 노즐본체(310)와 노즐커버(32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누설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노즐가스켓(340)에는 식별리브(341)가 구비된다. 상기 식별리브(341)는 상기 노즐가스켓(340)의 설치여부를 상기 노즐본체(310)와 노즐커버(3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식별리브(341)는, 상기 노즐가스켓(340)이 상기 노즐본체(310)와 노즐커버(320)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노즐본체(310)와 노즐커버(3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외부로 노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밸브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밸브어셈블리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밸브어셈블리(410)는 노즐어셈블리(300), 실질적으로는 제1 내지 제3버너어셈블리(200)(200')(200")에 가스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동시에 표시램프(430)를 선택적으로 점멸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밸브어셈블리(410)는 밸브(411), 제1 및 제2구동레버(415)(416), 점화스위치(417) 및 점멸스위치(418)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411)는 노즐어셈블리(300)로 전달되는 가스의 공급여부 및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밸브(411)는, 밸브본체(412), 밸브샤프트(413) 및 탄성부재(414)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본체(412)의 내부에는 소정의 유로(미도시) 및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한쌍의 연결공(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공 중 어느 하나에는 외부의 가스공급원(미도시)과의 연결을 위한 가스호스(미도시)가 연결되고, 상기 연결공 중 나머지 하나에는 노즐어셈블리(300)과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노즐어셈블리(300)의 공급공(411)에 그 일단이 연결되는 가스호스(미도시)의 타단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본체(412)의 내부에는 상기 밸브(411)의 개폐 및 개방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플러그(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플러그에 의한 상기 밸브(411)의 개폐 및 개방정도의 조절을 위한 구성은 주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밸브샤프트(413)는 상기 밸브본체(412)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샤프트(413)의 양단에는 각각 노브(420)와 상기 플러그가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노브(420)를 누르면, 상기 플러그가 상기 밸브샤프트(41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밸브(411)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노브(420)를 상기 밸브샤프트(413)를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플러그가 상기 밸브본체(412)의 유동의 개방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브(4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플 러그에 의한 상기 밸브(411)의 개방정도가 증가되고, 상기 노브(4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플러그에 의한 상기 밸브(411)의 개방정도가 감소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414)는 상기 플러그가 상기 밸브(411)를 차폐하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상기 밸브샤프트(413)에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노브(420)를 상기 밸브샤프트(413)의 길이방향으로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밸브샤프트(413)가 상기 탄성부재(414)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동하여 상기 밸브(411)가 상기 플러그에 의하여 차폐된다.
상기 제1 및 제2구동레버(415)(416)는 상기 밸브샤프트(413)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상기 제1 및 제2구동레버(415)(416)는 각각 상기 점화스위치(417)와 점멸스위치(418)를 온/오프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밸브샤프트(413)가 회전하면, 이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구동레버(415)(416)가 회전하여 각각 상기 점화스위치(417)와 점멸스위치(418)를 온 또는 오프동작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밸브샤프트(413)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플러그에 의하여 상기 밸브본체(412)의 유로의 개방이 최대가 된 상태에서 상기 점화스위치(417)와 점멸스위치(418)가 온동작된다.
상기 점화스위치(417)는 점화플러그(241)에서의 스파크의 발생을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다. 즉 상기 점화스위치(417)가 상기 제1구동레버(415)에 의하여 고정단자(미도시)와 이동단자(417')가 서로 접촉하여 온동작되면, 상기 점화플러그(241)에 전류가 인가되어 제1 내지 제3버너어셈블리(200)(200')(200")에 공급된 혼합가스의 연소를 위한 스파크가 발생된다.
상기 점멸스위치(418)는 표시램프(430)의 점멸을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점멸스위치(418)에는 고정단자(미도시)와 이동단자(418')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점멸스위치(418)는 상기 제2구동레버(416)에 의하여 상기 고정단자와 이동단자(418')가 서로 이격되어 오프동작되면, 상기 표시램프(430)를 점등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점멸스위치(418)은 상기 제2구동레버(416)에 의하여 상기 고정단자와 이동단자(418')가 서로 접촉되어 온동작되면, 상기 표시램프(430)를 멸등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밴트그릴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밴트그릴을 포함하는 일부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밴트그릴(600)은 좌우로 길고 납작한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밴트그릴(600)의 상면은 전방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밴트그릴(600)의 후면은 전방을 향하여 상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밴트그릴(60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흡기공(610) 및 배기공(620)이 형성된다. 상기 흡기공(610)은 가스와 혼합되어 상기 버너어셈블리(200)(200')(200")에서 연소되는 혼합가스를 형성하는 공기가 캐비닛(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곳이다. 상기 배기공(620)은 상기 버너어셈블리(200)(200')(200")에서의 혼합가스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에서 외부, 즉 실내로 배출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기공(610)이 상기 밴트그릴(600)의 상면 후단부에 구비되 고, 상기 배기공(620)은 상기 밴트그릴(600)의 상면 전단부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상기 흡기공(610)과 배기공(620)의 구분은 연결브라켓(700)의 가이드부(72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가이드부(720)를 기준으로 그 후방 또는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밴트그릴(600)의 상면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형성되는 구멍이 각각 상기 흡기공(610) 또는 배기공(620)이 된다. 또한 상기 흡기공(610)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배기공(620)을 통하여 배출되는 연소가스에 대하여 일종의 에어커튼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공(620)을 통하여 배출되는 연소가스에 의하여 조리기기(10)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가구장(1)의 일면 또는 주방의 벽면이 오염되는 현상이 최소화된다. 그리고 상기 흡기공(610)과 배기공(620)은 각각 흡기유로(Pi) 또는 배기유로(Po)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밴트그릴(600)의 후면 상단에는 보조흡기공(630)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흡기공(630)도 가스와 혼합되어 상기 버너어셈블리(200)(200')(200")에서 연소되는 혼합가스를 형성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곳이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흡기공(610) 및 보조흡기공(630)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흡기유로(Pi)를 통하여 유동되어 가스와 혼합되어 혼합가스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에서 밸브어셈블리의 온/오프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에서의 공기의 유동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내지 제3 버너어셈블리(200)(200')(200") 중 제1버너어셈블리(200)에서의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3을 참조하면, 밸브어셈블리(410)의 밸브(411)가 차폐된 상태에서는, 점화스위치(417)가 제1구동레버(416)에 의하여 오프동작된다. 그리고 점멸스위치(418)는 제2구동레버(417)에 의하여 온동작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노즐어셈블리(300)(도 10참조)에 가스가 공급되지 않고, 점화플러그(241)(도 3참조)에서 스파크가 발생되지 않는 동시에 표시램프(430)(도 1참조)도 멸등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밸브(411)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노브(420)(도 1참조)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노브(420)가 결합된 상기 밸브샤프트(413)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밸브(411)가 개방되어 상기 노즐어셈블리(300)에 가스가 공급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노즐어셈블리(300)에 공급되는 가스는 캐비닛(100)의 내부의 공기와 혼합되어 혼합가스의 형태로 튜브어셈블리(250)를 통하여 제1버너어셈블리(200)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노브(420)가 계속하여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밸브샤프트(413)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계속하여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노브(420)의 도면상 시계방향으로의 회동 및 이에 따른 상기 밸브샤프트(413)의 도면상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밸브(411)의 개방정도가 최대가 되면, 상기 제1구동레버(415)에 의하여 상기 점화스위치(417)가 온동작된다. 따라서 점화플러그(241)에 전류가 인가되어 스파크가 발생되어 제1버너어셈블리(200)에 공급된 혼합가스가 발화되어 연소된다. 또한 상기 밸브(411)의 개방정도가 최대가 되면, 상기 점멸스위치(418)가 오프동작된다. 따라서 상기 표시램프(430)가 점등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1버너어셈블리(200)에서 혼합가스의 연소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점화플러그(241)에서 발생되는 스파크에 의하여 상기 제1버너어셈블리(200)에 공급된 혼합가스가 점화되면, 상기 노브(420)를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상기 밸브(411)의 개방정도를 조절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1버너어셈블리(200)에 공급되는 혼합가스의 양이 조절되어 상기 제1버너어셈블리(200)에서 연소되는 혼합가스의 화력이 조절된다.
도 14을 참조하면, 상기 제1버너어셈블리(200), 실질적으로 연소매트(230)에서 혼합가스가 점화되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이 탑글래스(520)를 통하여 상기 탑글래스(520)의 상면에 안착된 용기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가 가열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용기에 담겨진 음식물이 조리된다.
이때 상기 연소매트(230)의 중앙부에서는 연소방해부재(231)에 의하여 혼합가스의 연소가 방해된다. 따라서 상기 탑글래스(520)의 상면에 뚝배기와 같은 용기가 안착되더라도, 상기 탑글래스(520)의 상면과 상기 용기의 저면 사이의 공간으로 열이 전달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상기 탑글래스(520)의 상면과 상기 용기의 저면 사이의 공간에 열이 집중되어 상기 탑글래스(520)가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연소매트(230)에서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고온의 연소가 스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연소가스는 제2버너밴트(265) 및 상부베리어(27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 즉 배기유로(Po)를 통하여 유동된다. 그리고 연소가스는 상기 배기유로(Po)와 연통되는 밴트그릴(600)의 배기공(620)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 이때 연소가스는 상대적으로 고온이므로, 대류에 의하여 상기 배기유로(Po)를 유동하여 상기 배기공(620)을 통하여 캐비닛(100)의 외부, 즉 실내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공(620)을 통하여 상기 캐비닛(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연소가스는, 연결브라켓(700)의 가이드부(720)에 의하여 전방을 향하도록 안내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공(620)을 통하여 배출되는 연소가스가 후방의 벽면, 즉 주방의 벽면을 오염시키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상부베리어(270)는 상기 배기유로(Po)를 유동하는 연소가스의 열의 일부, 즉 음식물을 데울 수 있는 정도의 열만 상기 배기유로(Po)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탑글래스(520)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유로(Po)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탑글래스(520)의 일부에 형성되는 웜존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데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부베리어(280)에 의하여 상기 배기유로(Po)를 유동하는 연소가스의 열이 상기 튜브어셈블리(250)로 전달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배기공(620)을 통하여 연소가스가 실내로 배출되면, 상대적으로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의 압력이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밴트그릴(600)의 흡기공(610) 및 보조 흡기공(610)을 통하여 실내의 공기가 상기 캐비닛(100)의 바닥면과 상기 제2버너밴트(265)의 저면 사이에 형성되는 흡기유로(Pi)를 통하여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로 유입 되는 공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노즐어셈블리(300)에서 분사되는 가스와 혼합되어 혼합가스의 형태로 상기 제1버너어셈블리(200)로 공급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버너어셈블리(200)에서의 가스의 연소를 위한 공기의 공급 및 연소가스의 배출이 온도차에 따른 대류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100)이 설치되는 가구장(1)의 설치공간(3)의 내부의 공기는 상기 캐비닛(100)의 냉각공(110)을 통하여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어 냉각유로(Pc)를 유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냉각유로(Pc)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컨트롤부(400)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을 냉각시키고, 상기 냉각공(110)을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가구장(1)의 도어(5)(7)를 여닫는 과정에서 상기 설치공간(3)의 내부로 고압으로 다량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치공간(3)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냉각공(110)을 통하여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에어베리어(252)에 의하여 상기 노즐어셈블리(300)를 향하여 유동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어셈블리(300)에서 분사되는 가스가 상기 냉각공(110)을 통하여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튜브어셈블리(250)를 향하여 정확하게 유동되지 못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리기기가 가구장에 설치되는 빌트인 타입으로 설명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조리기기가 셀프-스탠딩타입의 경우에도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전장부품의 냉각을 위한 별도의 냉각팬이 구비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전장부품의 보다 효율적인 냉각을 위하여 냉각팬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혼합가스의 형성을 위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흡기유로 및 혼합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되어 배출되는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배기유로가 캐비닛과 버너어셈블리 사이 및 버너어셈블리와 탑글래스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혼합가스의 연소, 공기의 흡입 및 연소가스의 배출이 보다 간단한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버너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부품이 체결구에 의하여 체결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보다 간단하게 버너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버너어셈블리는, 연소부, 점화부, 혼합부 및 배기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의 버너어셈블리에 의하여 혼합가스의 혼합, 연소, 점화 및 배기가 이루어짐으로써 제품의 구성이 보다 간단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연소방해부재에 의하여 연소매트의 중앙부에서의 가스의 연소가 방해된다. 따라서 뚝배기와 같이 저면 중앙부분이 상방으로 요입되는 용기에 담겨진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에 탑글래스와 용기의 저면 사이의 공간에 열이 집중되는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제품 또는/및 용기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가스와 공기를 혼합하여 혼합가스를 형성하는 혼합튜브의 길이가 연장튜브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증가된다. 따라서 혼합가스의 혼합효율을 유지한 상태로 전체적인 제품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버너어셈블리와 튜브어셈블리의 밀착부분에 가스켓이 추가된다. 따라서 상기 버너어셈블리로 공급되는 혼합가스가 상기 버너어셈블리와 튜브어셈블리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제품의 안전성이 증진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어셈블리를 접지하기 위한 접지선과 같은 별도의 부품이 삭제된다. 따라서 제품이 보다 간단하게 구성됨으로써, 제품의 제조코스트가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밸브어셈블리에 의하여, 가스의 공급여부 및 공급되는 양의 조절, 점화플러그의 동작 및 표시램프의 점멸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의 개수가 절감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노즐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노즐본체가 다이캐스팅가공에 의하여 형성되고, 공급공 및 분사공은 상기 노즐본체를 텝가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제품의 제작을 위하여 소요되는 재료의 양 및 작업공수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분사노즐이 결합되는 분사공을 제외한 노즐본체의 두께가 최소화된다. 따라서 상기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가스와 캐비닛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혼합, 즉 혼합가스의 형성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버너어셈블리에서의 혼합가스의 연소여부에 따라서 밸브어셈블리의 개방상태를 유지 또는 개방된 상기 밸브어셈블리를 차폐시키기 위한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써머커플이 보호부재에 의하여 보호된다. 따라서 제품의 내구성 및 동작신뢰성이 증진된다.
본 발명에서는, 혼합가스의 형성을 위한 공기의 흡입 및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의 배출이 공기와 연소가스의 온도차에 의한 대류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혼합가스의 형성 또는/및 연소가스의 배출을 위한 별도의 팬과 같은 구성이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제품이 보다 간단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밴트그릴의 배기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연소가스가 전방을 향하여 상향경사지게 배출된다. 또한 밴트그릴의 흡기공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배기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연소가스가 조리기기의 후방에 구비되는 가구장 또는 주방의 벽체와 접촉되지 못하도록 하는 에어커튼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실내가 오염되는 현상이 최소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너어셈블리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너어셈블리의 상면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너어셈블리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연소방해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플러그어셈블리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서머커플 및 보호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노즐어셈블리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밸브어셈블리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밴트그릴을 포함하는 일부를 보인 종단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에서 밸브어셈블리의 온/오프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에서의 공기의 유동을 보인 종단면도.
Claims (22)
- 가스를 공급받는 버너포트;상기 버너포트에 공급된 가스가 연소되는 연소매트; 및상기 연소매트에서 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안내하는 버너밴트; 를 포함하는 버너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버너포트, 연소매트 및 버너밴트는 상하로 적층되는 버너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버너포트와 연소매트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연소매트를 지지하는 포트커버를 더 포함하는 버너어셈블리.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버너포트에 공급되는 가스는 상기 포트커버에 구비되는 가스안내공을 통하여 상기 연소매트에 전달되는 버너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버너포트와 버너밴트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버너포트로 공급되는 가스 의 누설을 방지하는 가스켓을 더 포함하는 버너어셈블리.
- 캐비닛;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고, 가스를 공급받는 버너포트, 상기 버너포트에 공급된 가스가 연소되는 연소매트 및 상기 연소매트에서 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안내하는 버너밴트를 포함하는 버너어셈블리; 및상기 연소매트의 상방에 구비되고, 상기 연소매트에서 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가열물에 전달하는 열전달매체;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열전달매체는 글래스재질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연소매트에서 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버너밴트에 의하여 상기 열전달매체로 안내되는 조리기기.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연소매트에서 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버너밴트에 구비되는 열전달공을 통하여 상기 열전달매체에 전달되는 버너어셈블리.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연소매트에서 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는 상기 버너밴트와 열전달매체 사이의 공간을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조리기기.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버너어셈블리는, 상기 버너밴트에 의하여 외부로 안내되는 연소가스의 열이 상기 열전달매체로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베리어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버너어셈블리는, 상기 연소매트와 상하로 중첩되는 부분을 제외한 상기 버너밴트와 열전달매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버너밴트에 의하여 외부로 안내되는 연소가스의 열이 상기 열전달매체로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베리어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 캐비닛;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고, 혼합가스를 공급받는 버너포트, 상기 버너포트에 공급된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연소매트 및 상기 연소매트에서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안내하는 버너밴트를 포함하는 버너어셈블리;상기 연소매트에서 연소되는 혼합가스를 형성하는 가스를 공급하는 노즐어셈블리; 및상기 노즐어셈블리에서 공급되는 가스와 공기를 혼합하여 형성되는 혼합가스를 상기 버너포트에 공급하는 튜브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버너어셈블리는, 상기 버너밴트에 의하여 안내되는 연소가스의 열이 상기 튜브어셈블리 및 노즐어셈블리로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베리어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버너어셈블리는, 상기 버너밴트와 상기 튜브어셈블리 및 노즐어셈블리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버너밴트에 의하여 안내되는 연소가스의 열이 상기 튜브어셈블리 및 노즐어셈블리로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베리어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 캐비닛;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고, 혼합가스를 공급받는 버너포트, 상기 버너포트에 공급된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연소매트 및 상기 연소매트에서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안내하는 버너밴트를 포함하는 버너 어셈블리;상기 연소매트에서 연소되는 혼합가스를 형성하는 가스를 공급하는 노즐어셈블리;상기 노즐어셈블리에서 공급되는 가스와 공기를 혼합하여 형성되는 혼합가스를 상기 버너포트에 공급하는 튜브어셈블리; 및상기 혼합가스를 형성하는 공기를 상기 캐비닛의 내부로 흡입하고, 상기 버너밴트에 의하여 안내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밴트그릴; 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밴트그릴은,상기 연소매트에서 연소되는 가스와 혼합되는 공기가 상기 캐비닛의 내부로 흡입되는 흡기공; 및상기 버너밴트에 의하여 안내되는 연소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공; 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버너어셈블리는 상기 캐비닛에 다수개가 설치되고,상기 버너어셈블리는 연결브라켓에 의하여 연결되는 조리기기.
- 제 18 항에 있어서,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밴트그릴을 통하여 상기 캐비닛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와 상기 밴트그릴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연소가스를 구획하는 조리기기.
- 제 19 항에 있어서,상기 연결브라켓에는, 상기 밴트그릴을 통하여 상기 캐비닛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와 상기 밴트그릴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연소가스를 전방을 향하여 상향경사지게 안내하는 경사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 상면이 개구되는 캐비닛;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구비되는 열전달매체;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고, 혼합가스를 공급받는 버너포트, 상기 버너포트에 공급된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연소매트 및 상기 연소매트에서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열전달매체에 전달하는 버너밴트를 포함하는 버너어셈블리;상기 캐비닛의 바닥면과 상기 버너밴트의 저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연소매트에서 연소되는 혼합가스를 형성하는 공기가 유동되는 흡기유로; 및상기 열전달매체의 저면과 상기 버너밴트의 상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연 소매트에서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하여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되는 연소가스가 유동되는 배기유로;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 21 항에 있어서,상기 흡기유로 및 배기유로는 상기 열전달매체의 후방에 구비되는 밴트그릴에 형성되는 흡기공 및 배기공과 각각 연통되는 조리기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5836A KR20090059007A (ko) | 2007-12-05 | 2007-12-05 |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US12/328,475 US8813739B2 (en) | 2007-12-05 | 2008-12-04 | Burner assembly and cooking applian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5836A KR20090059007A (ko) | 2007-12-05 | 2007-12-05 |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9007A true KR20090059007A (ko) | 2009-06-10 |
Family
ID=40843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25836A KR20090059007A (ko) | 2007-12-05 | 2007-12-05 |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8813739B2 (ko) |
KR (1) | KR20090059007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82653A (ko) * | 2010-01-12 | 2011-07-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6446B1 (ko) * | 2006-12-20 | 2007-11-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가열조리기기 및 그 가열조리기기의 버너 시스템 |
US8065997B2 (en) * | 2006-12-20 | 2011-11-29 | Lg Electronics Inc. | Heating cooking appliance |
DE102012217058A1 (de) * | 2012-09-21 | 2014-05-28 | E.G.O. Elektro-Gerätebau GmbH | Thermogeneratoreinrichtung und Gasbrenner mit einer solchen Thermogeneratoreinrichtung |
ES2538286B1 (es) * | 2013-12-18 | 2016-04-26 |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 Quemador de gas, disposición de quemador de gas, y punto de cocción |
KR101573989B1 (ko) * | 2013-12-26 | 2015-12-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조리기기 및 버너 유닛 |
KR101617499B1 (ko) | 2013-12-26 | 2016-05-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조리기기 및 버너 유닛 |
KR101705462B1 (ko) * | 2015-09-03 | 2017-02-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가스 조리기기 |
US10309657B2 (en) * | 2016-06-30 | 2019-06-04 | Midea Group Co., Ltd. | Cooking grate with integrated venting |
CN106705139B (zh) * | 2017-02-11 | 2018-07-17 | 余凯凯 | 触摸式智能燃烧机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299938A (en) * | 1965-03-29 | 1967-01-24 | Corning Glass Works | Gas-fired radiant burner |
US4067681A (en) * | 1975-03-10 | 1978-01-10 | Columbia Gas System Service Corporation | Gas-fired smooth top range |
EP0124022B1 (de) * | 1983-04-30 | 1989-06-07 | Schott Glaswerke | Kochfeld mit gasbeheizten Brennstellen und einer durchgehenden Kochfläche aus Glaskeramik oder vergleichbarem Material |
US4639213A (en) * | 1984-12-17 | 1987-01-27 | Solaronics, Inc. | Confined spaced infrared burne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
US5601062A (en) * | 1994-09-01 | 1997-02-11 | Hyundai Motor Company | Intake system for engine |
JP3766927B2 (ja) | 2000-07-28 | 2006-04-19 | 三菱電機ホーム機器株式会社 | 加熱調理器 |
US7757685B2 (en) * | 2003-11-27 | 2010-07-20 | Lg Electronics Inc. | Radiation burner |
-
2007
- 2007-12-05 KR KR1020070125836A patent/KR2009005900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8
- 2008-12-04 US US12/328,475 patent/US8813739B2/en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82653A (ko) * | 2010-01-12 | 2011-07-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90173333A1 (en) | 2009-07-09 |
US8813739B2 (en) | 2014-08-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36155B1 (ko) | 노즐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
KR20090059007A (ko) |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
KR101064050B1 (ko) |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
KR101816308B1 (ko) | 조리기기 | |
KR101789826B1 (ko) | 조리기기 | |
KR100918929B1 (ko) | 조리기기 | |
WO2008091057A1 (en) | Heating cooking appliance | |
KR100938387B1 (ko) | 조리기기 | |
KR101672634B1 (ko) | 조리기기 | |
KR100938386B1 (ko) |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
KR20090059004A (ko) | 플러그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
KR101304610B1 (ko) | 조리기기 | |
KR100926443B1 (ko) | 밴트그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
KR20090059012A (ko) | 튜브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
KR20090059010A (ko) | 조리기기 | |
KR20090059013A (ko) | 조리기기 | |
KR20090059201A (ko) | 밸브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
KR101706779B1 (ko) | 조리기기의 가열장치 | |
KR100829624B1 (ko) | 가열조리기기 | |
KR101864493B1 (ko) |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 |
CN217978936U (zh) | 电气两用的组合灶具 | |
KR101623588B1 (ko) | 조리기기 | |
US20220268449A1 (en) | Cooking appliance | |
JP5841911B2 (ja) | 温風暖房装置 | |
CN217978937U (zh) | 气电两用的组合灶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731 Effective date: 2011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