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826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9826B1 KR101789826B1 KR1020110038144A KR20110038144A KR101789826B1 KR 101789826 B1 KR101789826 B1 KR 101789826B1 KR 1020110038144 A KR1020110038144 A KR 1020110038144A KR 20110038144 A KR20110038144 A KR 20110038144A KR 101789826 B1 KR101789826 B1 KR 1017898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vity
- partition member
- burner
- cooking
- cooking cha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6—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rad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24C3/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in baking ove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24C3/12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in baking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버너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조리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설치되고, 공기와 가스가 혼합된 혼합 가스를 연소시켜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에너지를 제공하는 버너; 상기 조리실의 내부를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영역과 혼합 가스의 형성을 위한 공기와 가스를 공급받는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 및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에 의하면, 조리실의 용적의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고, 조리기기의 오염 및 이를 구성하는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용이한 부품의 수리나 교체가 가능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란, 가스나 전기를 사용하여 조리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가전기기이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 중 가스를 사용하는 조리기기에는,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버너가 구비된다. 한편 버너의 일 종류인 적열 버너의 경우에는, 연소 부재의 표면에서 공기와 가스가 혼합된 혼합 가스를 연소시켜서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상기 적열 버너는, 일반적으로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실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적열 버너에는, 공기와 가스의 혼합 및 양자가 혼합된 혼합 가스의 공급을 위한 믹싱 튜브가 구비된다. 상기 믹싱 튜브는, 조리실의 내부에서 조리기기의 내부로 연장되어 공기를 공급받는다.
종래 기술에 의한 조리기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먼저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믹싱 튜브가 상기 조리실의 외부로 연장되므로, 실질적으로 상기 조리실의 후방에 상기 믹싱 튜브의 길이만큼의 거리가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믹싱 튜브의 길이 만큼 상기 조리실의 용적이 감소되는 단점이 발생된다.
한편 상기 연소 부재는, 혼합 가스의 배출을 위하여 중공의 재질로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서 상기 적열 버너가 아닌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다른 가열원에 의하여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연소 부재를 통하여 상기 적열 버너의 내부로 배기 가스가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적열 버너의 내부로 유입된 배기 가스는 상기 믹싱 튜브를 통하여 역류되어 조리기기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조리기기의 내부를 오염시키거나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믹싱 튜브로 가스를 공급하는 노즐도 상기 조리실의 외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의 수리나 교체를 위해서는, 조리기기의 후방에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상기 노즐의 수리나 교체에 조리기기의 이동 등이 요구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비티의 용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실의 내부의 배기 가스가 버너를 통하여 역류되어 내부를 오염시키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용이하게 버너의 수리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버너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조리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설치되고, 공기와 가스가 혼합된 혼합 가스를 연소시켜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에너지를 제공하는 버너; 상기 조리실의 내부를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영역과 혼합 가스의 형성을 위한 공기와 가스를 공급받는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 및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조리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설치되고, 공기와 가스가 혼합된 혼합 가스를 연소시켜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에너지를 제공하는 브로일 버너; 상기 캐비티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캐비티의 저면과 그 내면 사이에 버너 챔버를 정의하는 버너 커버; 상기 버너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는 베이크 버너;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부터, 상기 브로일 버너로 공급되는 혼합 가스의 형성을 위한 공기와 가스에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베리어 부재; 및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양태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조리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 공기와 가스를 혼합하는 믹싱 튜브가 구비되고, 혼합 가스를 연소시켜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에너지를 제공하는 버너; 상기 조리실의 내부를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 영역과 혼합 가스의 형성을 위한 공기와 가스를 공급받는 가스 혼합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 상기 가스 혼합 영역으로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 및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버너에 혼합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믹싱 튜브가 실질적으로 조리실의 내부에 상하로 길게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믹싱 튜브의 설치를 위한 공간의 확보를 최소화함으로써, 캐비티의 용적, 즉 조리실의 용적의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조리실의 내부의 배기 가스가 버너의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실질적으로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유동된다. 따라서 상기 버너를 통하여 역류되는 배기 가스에 의한 조리기기의 오염 및 이를 구성하는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베리어 부재를 조리실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조리실의 전방에서 노즐 등의 수리나 교체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보다 용이한 부품의 수리나 교체가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 브로일 버너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에서 상부 오븐부의 내부에서의 공기의 유동을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3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4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 브로일 버너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에서 상부 오븐부의 내부에서의 공기의 유동을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3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4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 브로일 버너를 보인 평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조리기기의 외관을 케이싱(10)이 형성한다. 상기 케이싱(10)은 대략 전면이 개구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10)의 상면은 탑 플레이트(11)가 형성한다. 상기 탑 플레이트(11)의 후단부는, 상기 탑 플레이트(11)의 나머지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 예를 들면, 직각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의 양측면은 사이드 패널(13)이 형성하고, 상기 케이싱(10)의 후면은 백 커버(15)가 형성한다. 상기 케이싱(10)의 저면은 바텀 플레이트(17)가 형성된다. 상기 바텀 플레이트(17)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케이싱(1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구(미도시)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는 유로(P)가 구비된다. 상기 유로(P)는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유동되는 곳이다. 실질적으로 상기 유로(P)는, 상기 백 커버(15)와 후술할 상부 캐비티(100) 및 하부 캐비티(41)의 후면 사이, 및 상기 사이드 패널(13)과 상부 캐비티(100) 및 하부 캐비티(41)의 양측면 사이에 각각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에는, 쿡탑부(20), 상부 오븐부(30), 하부 오븐부(40) 및 컨트롤부(50)가 구비된다. 상기 쿡탑부(20)는, 상기 케이싱(10)의 상면에 위치된다. 상기 상부 오븐부(30) 및 하부 오븐부(40)는, 각각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부(50)는 상기 케이싱(10)의 상면 후단에 위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쿡탑부(20)는, 다수개의 쿡탑 버너(21)를 포함한다. 상기 쿡탑 버너(21)는, 상기 케이싱(10)의 상면, 즉 상기 탑 플레이트(11)의 상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쿡탑 버너(21)는, 배출되는 혼합 가스를 연소시켜서 발생되는 화염으로 조리물이 담겨진 용기를 가열한다.
상기 상부 오븐부(30)는, 상기 쿡탑부(2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상부 오븐부(30)는, 상부 오븐실(101)이 구비되는 상부 캐비티(100), 상기 상부 캐비티(100)의 저면에 설치되는 버너 커버(150), 상기 상부 오븐실(10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상부 도어(160), 상기 상부 오븐실(101)의 내부에서 조리물을 가열을 위한 에너지를 제공하는 상부 가열원, 및 상기 상부 오븐실(101)의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상부 배기 덕트(51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캐비티(100)는, 대략 전면이 개구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 캐비티(100)는 실질적으로 상기 탑 플레이트(11)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상부 캐비티(100)의 상면, 저면, 후면 및 양측면을 각각, 어퍼 플레이트(110), 베이스 플레이트(120), 리어 플레이트(130) 및 사이드 플레이트(140)가 각각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어퍼 플레이트(110)에는 상부 배기구(111)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배기구(111)는 상기 상부 오븐실(101)의 내부의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 배기구(111)는 상기 어퍼 플레이트(11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에는, 열공급 개구(121)가 형성된다. 상기 열공급 개구(121)는, 후술할 버너 챔버(151)의 내부의 고온의 공기를 상기 상부 오븐실(101)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열공급 개구(121)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양측 단부에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실질적으로 상기 열공급 개구(121)를 통하여 후술할 상부 브로일 버너(200)에 2차 공기가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열공급 개구(121)는 2차 공기 공급 개구라고 명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에는 공기 공급 개구(123)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 공급 개구(123)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후단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공기 공급 개구(123)는, 버너 챔버(151)의 내부의 공기를 상부 브로일 버너(200)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실질적으로 상기 공기 공급 개구(123)는, 상부 브로일 버너(200)로 1차 공기를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공기 공급 개구(123)는 1차 공기 공급 개구라고 명명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가 상기 상부 캐비티(100)와 별개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캐비티(100)에 고정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캐비티(100)가, 전면 및 저면이 개구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가 상기 상부 캐비티(100)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캐비티(100)의 저면을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상기 상부 캐비티(100)에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버너 커버(15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와 버너 챔버(151)를 정의한다. 상기 버너 챔버(151)는, 후술할 상부 베이크 버너(300)가 설치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버너 커버(150)는, 상기 공기 공급 개구(123)를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캐비티(100)의 저면, 즉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설치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공기 공급 개구(123)에 의하여 상기 상부 오븐실(101) 및 버너 챔버(151)가 서로 연통된다. 또한 상기 버너 커버(150)에는 다수개의 공기 공급공(153)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 공급공(153)은, 상기 케이싱(1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버너 챔버(151)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공기 공급공(153)을 통하여 상기 버너 챔버(151)의 내부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가열원은, 상부 브로일 버너(200) 및 상부 베이크 버너(30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브로일 버너(200)는 상기 상부 오븐실(101)의 내부의 조리물을 복사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 베이크 버너(300)는, 상기 상부 캐비티(100)의 내부로 전달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브로일 버너(200) 및 상부 베이크 버너(300)가 서로 교호되게 동작된다. 즉, 상기 상부 오븐실(101)의 내부에서는, 상기 상부 브로일 버너(200) 또는 상부 베이크 버너(300)에 의해서 조리물이 조리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 브로일 버너(200)는 상기 상부 오븐실(101)의 상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브로일 버너(200)로 적열 버너가 사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 브로일 버너(200)가, 버너 포트(210), 연소 부재(220), 포트 커버(230), 믹싱 튜브(240), 점화 유닛(250) 및 가스 안내 부재(260)를 포함한다.
상기 버너 포트(210)는, 대략 저면이 개구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버너 포트(210)의 내부에는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 가스가 공급된다. 상기 버너 포트(210)의 측면 내측에는 안착단(211)이 구비된다. 상기 안착단(211)은, 상기 연소 부재(220)의 상면 테두리가 안착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버너 포트(210)의 저면, 실질적으로 상기 버너 포트(210)의 테두리면 하단에는 지지 플랜지(213)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 플랜지(213)는 상기 포트 커버(230)의 상면 테두리가 지지되는 곳이다.
상기 연소 부재(220)는, 상기 버너 포트(210)의 저면에 위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연소 부재(220)는 그 상면 테두리가 상기 안착단(211)에 안착된다. 상기 연소 부재(220)는, 다공성의 재질, 예를 들면, 세라믹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너 포트(210)의 내부로 공급된 혼합 가스는, 상기 연소 부재(220)를 통과하여 그 표면에 연소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연소 부재(220)는 상기 버너 포트(2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유로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소 부재(220)의 표면에서 혼합 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상기 열공급 개구(121)를 통하여 2차 공기가 공급된다.
상기 포트 커버(230)는, 상기 버너 포트(210)의 저면에 위치되는 상기 연소 부재(22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포트 커버(230)는, 상기 버너 포트(210)의 저면에 상기 연소 부재(220)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버너 포트(210)에 고정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포트 커버(230)는, 상기 지지 플랜지(213)의 저면에 그 상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체결구 또는 용접에 의하여 상기 버너 포트(210)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믹싱 튜브(240)는, 가스 및 공기를 혼합하고, 생성된 혼합 가스를 상기 버너 포트(21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믹싱 튜브(240)가 상기 버너 포트(210)의 저면 후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2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믹싱 튜브(240)는 상기 버너 포트(210)의 저면에 용접이나 체결구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브로일 버너(200)가 상기 상부 오븐실(101)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믹싱 튜브(240)의 하단은 실질적으로 상기 공기 공급 개구(123)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즉, 상기 믹싱 튜브(240)에는 상기 공기 공급 개구(123)를 통하여 1차 공기가 공급된다.
상기 점화 유닛(250)은, 상기 연소 부재(220)의 표면에서 혼합 가스를 점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점화 유닛(250)은, 상기 포트 커버(230)의 일측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점화 유닛(250)은, 상기 연소 부재(22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하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점화 유닛(250)이, 고정 홀더(251) 및 가열부(25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홀더(251)는, 상기 가열부(253)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버너 포트(210)의 일측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 홀더(251)는, 용접 등에 의하여 상기 버너 포트(21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253)는, 고온으로 가열되어 상기 연소 부재(220)의 표면으로 배출되는 혼합 가스를 점화시킨다. 실질적으로 상기 가열부(253)는, 상기 고정 홀더(251)에 고정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연소 부재(220)와 상하로 중첩되게 위치된다.
상기 가스 안내 부재(260)는, 상기 연소 부재(220)의 일부의 표면으로 배출되는 혼합 가스를 상기 점화 유닛(250)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스 안내 부재(260)는, 상기 점화 유닛(250)에 인접하는 상기 버너 포트(210)의 일측에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스 안내 부재(260)가, 상기 연소 부재(220) 및 점화 유닛(250), 실질적으로 상기 가열부(253)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 안내 부재(260)는, 상기 연소 부재(220)의 표면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열부(253)와 중첩된다. 이때 상기 가스 안내 부재(260)는, 상대적으로 상기 고정 홀더(251)에 인접하는 상기 가열부(253)의 일부와 중첩된다. 이를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연소 부재(220)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소 부재의 표면에 형성되는, 상기 가스 안내 부재(260)의 사영(projection, 射影)은, 상기 가열부(253)의 사영의 내부에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스 안내 부재(260)의 사영에 해당하는 상기 연소 부재(220)의 표면 일부에서 배출되는 혼합 가스는, 상기 가열부(253)로 직접 유동되지 못하고, 상기 가스 안내 부재(260)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기 가열부(253)로 유동된다. 따라서 상기 연소 부재(220)의 표면에서 배출되는 혼합 가스는, 실질적으로 상기 연소 부재(220)의 표면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스 안내 부재(260)와 중첩되지 않는 상기 가열부(253)의 일부를 향하도록 상기 가스 안내 부재(260)에 의하여 안내되는 것이다.
상기 노즐(270)은, 상기 믹싱 튜브(240)를 향하여 가스를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노즐(270)에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130)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 오븐실(101)의 내부로 연장되는 가스 파이프(271)가 결합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즐(270)이 노즐 홀더(273)에 의하여 상기 믹싱 튜브(24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노즐(270)은, 상기 믹싱 튜브(240)의 하단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다. 상기 노즐(270)에서 분사되는 가스는, 상기 공기 공급 개구(123)를 통하여 공급되는 1차 공기와 함께 상기 믹싱 튜브(240)로 공급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베이크 버너(300)는 상기 버너 챔버(151)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상부 베이크 버너(300)로는, 혼합 가스의 배출을 위한 다수개의 염공이 구비되는 일반적인 가스 버너가 사용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상부 베이크 버너(300)는, 상기 버너 챔버(151)의 내부의 공기를 가열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오븐실(101)의 내부에 베리어 부재(410)가 설치된다. 상기 베리어 부재(410)는, 상기 상부 브로일 버너(200)로 공급되는 혼합 가스를 형성하는 공기 및 가스가 상기 상부 오븐실(101)의 내부의 열에 의하여 가열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베리어 부재(410)는, 실질적으로 상기 상부 오븐실(101)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믹싱 튜브(240)를 향하여 유동되는 못하도록 차단한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베리어 부재(410)는, 상기 상부 오븐실(101)의 내부를,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영역과, 공기 및 가스가 공급되는 영역으로 구획된다. 따라서 상기 베리어 부재(410)는, 구획 부재라고 명명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베리어 부재(410)에 의하여 구획되어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상기 상부 오븐실(101)의 일부를 조리 영역, 공기 및 가스가 공급되는 상기 상부 오븐실(101)의 나머지를 혼합 영역이라 칭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혼합 영역에는 상기 믹싱 튜브(240) 및 노즐(270)이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리어 부재(410)가 후면이 개구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 부재(410)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130)의 전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베리어 부재(410)의 상하면은, 각각 상기 상부 브로일 버너(200)의 저면, 즉 상기 버너 포트(230)의 저면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상면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 부재(410)의 상하면에는 각각 상부 연통 개구(411) 및 하부 연통 개구(413)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연통 개구(411)는 상기 믹싱 튜브(240)가 관통하는 곳이다. 상기 상부 연통 개구(411)는, 상기 베리어 부재(410)의 상면 일부가 그 후단까지 절개됨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브로일 버너(200)가 상기 상부 오븐실(101)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리어 부재(410)가 상기 리어 플레이트(130)의 전면에 고정되면, 상기 상부 연통 개구(411) 상에 상기 믹싱 튜브(240)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연통 개구(413)는 상기 공기 공급 개구(123)와 연통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리어 플레이트(130)의 전면 및 상기 베리어 부재(410)의 내면에 의하여 정의되는 공간은, 조리물이 조리되는 상기 상부 오븐실(101)과는 구획되고, 상기 공기 공급 개구(123)를 통하여 상기 버너 챔버(151)와는 연통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믹싱 튜브(240)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130)와 베리어 부재(410)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브로일 버너(200)가 상기 상부 오븐실(101)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리어 부재(410)가 상기 리어 플레이트(130)의 전면에 고정된다. 상기 노즐(270)은, 상기 베리어 부재(410)가 상기 리어 플레이트(130)의 전면에 고정되기 전에, 상기 노즐 홀더(273)에 의하여 상기 믹싱 튜브(240)에 설치된다.
상기 상부 배기 덕트(510)는, 상기 상부 오븐실(101)의 내부의 배기 가스를 상기 케이싱(10)의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상부 오븐실(101)의 배기 가스는 상기 상부 배기 덕트(510)를 유동하여 상기 케이싱(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상부 배기 덕트(510)는, 하단 및 상단이 각각 상기 상부 배기구(111) 및 후술할 배기 슬롯(53)과 연통된다.
한편 상기 하부 오븐부(40)는, 상기 상부 오븐부(3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위치된다. 즉, 상기 상부 오븐부(30) 및 하부 오븐부(40)는 상하로 적층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오븐부(40)는, 하부 오븐실(42)이 구비되는 하부 캐비티(41), 상기 하부 캐비티(41)의 저면에 설치되는 버너 커버(44), 상기 하부 오븐실(4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하부 도어(45), 상기 하부 오븐실(42)의 내부에서의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설치되는 하부 가열원, 상기 하부 오븐실(42)의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하부 배기 덕트(49)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캐비티(41)는, 실질적으로 상기 상부 캐비티(100)의 하방에 위치된다. 상기 하부 캐비티(41)도, 상기 상부 캐비티(100)와 동일하게, 전면이 개구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 캐비티(41)의 높이가 상기 상부 캐비티(100)의 그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캐비티(41)의 후면에는 하부 배기구(43)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 배기구(43)는, 상기 하부 오븐실(42)의 내부의 배기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출구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가열원은, 예를 들면, 하부 베이크 버너(47) 및 컨벡션 장치(4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하부 베이크 버너(47) 및 컨벡션 장치(48)는, 일반적인 오븐에 사용되는 그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하부 배기 덕트(49)는, 상기 하부 오븐실(42)의 내부의 배기 가스를 상기 케이싱(10)의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부 배기 덕트(49)의 하단은 상기 하부 배기구(43)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배기 덕트(49)의 상단은 상기 상부 배기 덕트(510)의 일측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오븐실(42)의 배기 가스는, 상기 하부 배기 덕트(49) 및 상부 배기 덕트(510)을 차례로 유동한 후 상기 배기 슬롯(53)을 통하여 상기 케이싱(1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부(50)는 상기 탑 플레이트(11)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10)의 상면 후단에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부(50)는, 상기 상부 오븐부(30) 및 하부 오븐부(40)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상부 오븐부(30) 및 하부 오븐부(4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컨트롤부(50)의 전면 및 양측면 외관을 컨트롤 패널(51)이 형성한다. 상기 컨트롤 패널(51)의 전면 하단은, 상기 탑 플레이트(11)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탑 플레이트(11)의 상단 및 상기 컨트롤 패널(51)의 전면 하단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탑 플레이트(11) 및 컨트롤 패널(51) 사이의 틈새를 배기 슬롯(53)이라 칭한다. 상기 배기 슬롯(53)은, 상기 상부 오븐실(101) 및 하부 오븐실(42)의 내부의 배기 가스가 상기 케이싱(10)의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에서 상부 오븐부의 내부에서의 공기의 유동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브로일 버너(200)를 사용하여 상부 오븐실(101)의 내부에서 조리물을 조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 브로일 버너(200)만 동작하고, 상부 베이크 버너(300)는 동작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상부 브로일 버너(200)의 동작, 즉 연소 부재(220)의 표면에서의 혼합 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되는 에너지에 의하여 상기 상부 오븐실(101)의 내부에서의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상부 브로일 버너(200)에서의 혼합 가스의 연소를 위한 공기는, 흡기구를 통하여 케이싱(10)의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는, 1차 공기로써 공기 공급공(153)을 통하여 버너 챔버(151)의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버너 챔버(151)의 내부로 공급된 1차 공기는 공기 공급 개구(123)를 통하여 믹싱 튜브(240)를 향하여 전달된다. 이때 상기 공기 공급 개구(123)를 통하여 공급되는 1차 공기는, 노즐(270)에서 분사되는 가스와 함께 상기 믹싱 튜브(240)로 공급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믹싱 튜브(240)로 공급되는 가스와 1차 공기는, 상기 믹싱 튜브(240)를 유동하면서 혼합되어 혼합 가스의 형태로 상기 상부 브로일 버너(200)로 공급된다.
다음으로 상기 믹싱 튜브(240)를 통하여 상기 상부 브로일 버너(200)의 내부로 공급된 혼합 가스는, 버너 포트(210)의 내부를 유동한다. 그리고 상기 버너 챔버(210)의 내부를 유동하는 혼합 가스는, 연소 부재(220)의 표면을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연소 부재(220)의 표면을 통하여 배출되는 혼합 가스가 점화 유닛(250)에 의하여 점화된다. 또한 이와 같이 점화된 혼합 가스에 의하여 형성되는 화염이 전달됨으로써, 상기 연소 부재(220) 전체에서의 혼합 가스의 연소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버너 챔버(151)를 유동하는 나머지 공기는, 열공급 개구(121)를 통하여 2차 공기로써 상기 상부 오븐실(101)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오븐실(101)의 내부에 제1베리어 부재(420) 및 제2베리어 부재(43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베리어 부재(420)(43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베리어 부재(410)와 동일한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베리어 부재(420)(430)는, 상기 상부 오븐실(101)의 내부의 공기가 믹싱 튜브(240)를 향하여 유동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베리어 부재(420)(430)는, 상기 상부 오븐실(101)의 내부의 열이 상기 상부 브로일 버너(200)로 공급되는 혼합 가스로 전달되는 현상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제1베리어 부재(420)는 제1구획 부재라 칭할 수 있고, 상기 제2베리어 부재(430)는 제2구획 부재라 칭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베리어 부재(420)는, 저면이 개구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베리어 부재(420)는, 상기 상부 오븐실(101)의 후면, 즉 리어 플레이트(130)의 전면에 그 후면이 접촉되어 체결구나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베리어 부재(420)의 저면은 베이스 플레이트(120), 실질적으로는 공기 공급 개구(123)의 상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베리어 부재(420)의 상면에는 제1연통 개구(421)가 형성된다. 상기 제1연통 개구(421)는, 상기 믹싱 튜브(240)가 관통하는 곳이다. 상기 제1연통 개구(421)는 상기 제1베리어 부재(420)의 상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리어 부재(410)의 전면에는 제1접촉 브라켓(423)이 구비된다. 상기 제1접촉 브라켓(423)은 상기 제2베리어 부재(430)의 전면 내측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접촉 브라켓(423)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베리어 부재(420)(430)가 면접촉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기 제1접촉 브라켓(423) 및 제2베리어 부재(430)의 접촉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베리어 부재(420)(430) 사이의 틈새를 보다 효율적으로 차폐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접촉 브라켓(423)이 상기 믹싱 튜브(240)로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270)의 상방에 위치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노즐(270)은 상기 제1접촉 브라켓(423)에 의하여 차폐되지 않고 전방으로 노출된다고 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베리어 부재(420)의 전면 일부가 상기 노즐(270)이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을 정도로 절개됨으로써, 상기 제1베리어 부재(420)의 전면 나머지가 상기 제1접촉 브라켓(423)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베리어 부재(430)는, 상면 및 후면이 개구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베리어 부재(430)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130)의 전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베리어 부재(420)를 차폐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리어 플레이트(130) 및 제1 및 제2베리어 부재(420)(430)에 의하여 상기 믹싱 튜브(240)가 위치되는 영역이 정의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베리어 부재(430)의 저면에는 제2연통 개구(4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베리어 부재(430)의 저면에는 제2접촉 브라켓(433)이 구비된다. 상기 제2연통 개구(431)는 상기 공기 공급 개구(123)와 연통된다. 상기 제2접촉 브라켓(433)은, 상기 공기 공급 개구(123)에 인접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상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제2접촉 브라켓(433)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 및 제2베리어 부재(430) 사이의 틈새를 보다 효율적으로 차폐할 수 있게 된다. 실질적으로는, 상기 제2베리어 부재(430)의 저면 후단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2연통 개구(431)가 형성되고, 상기 제2베리어 부재(430)의 저면 나머지가 상기 제2접촉 브라켓(433)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베리어 부재(430)의 양측면 후단에는 고정 플랜지(435)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 플랜지(435)는 상기 제2베리어 부재(430)의 양측면 후단에서 양측으로 각각 연장된다. 상기 고정 플랜지(435)는, 상기 제2베리어 부재(430)를 상기 리어 플레이트(13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 플랜지(435)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130)의 전면에 접촉된 상태로 체결구나 용접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베리어 부재(430)를 상부 캐비티(100)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노즐(270)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부 브로일 버너(200)를 완전하게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노즐(270)에 대한 수리 및 교체가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접촉 브라켓(423)(433)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베리어 부재(420)(430) 사이의 틈새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 및 제2베리어 부재(430) 사이의 틈새가 보다 효율적으로 차폐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오븐실(101)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믹싱 튜브(240)로 전달되는 현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상기 제1베리어 부재(420)는 상기 제2베리어 부재(430)의 내부에 위치된다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베리어 부재(420)(430)는, 각각 이너 구획 부재 및 아웃터 구획 부재로 명명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3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3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브로일 버너(200)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부 캐비티(100)의 후면, 즉 리어 플레이트(130)의 일측에 공기 공급 개구(131)가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상이하게, 상기 공기 공급 개구(131)가 베이스 플레이트(120)가 아닌 상기 리어 플레이트(130)에 형성되는 것이다.
실질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믹싱 튜브(240)가 리어 플레이트(130), 베이스 플레이트(120) 및 베리어 부재(410)에 의하여 정의되는 영역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공급 개구(131)는, 실질적으로 상기 리어 플레이트(130), 베이스 플레이트(120) 및 베리어 부재(410)에 의하여 정의되는 영역과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리어 플레이트(130)의 일측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싱(1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 실질적으로 유로(P)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공기 공급 개구(131)를 통하여 상기 믹싱 튜브(240)로 공급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비하여 상기 상부 브로일 버너(200)로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구성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상부 브로일 버너(200)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4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4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브로일 버너(200)로의 공기의 공급을 위한 공기 공급 개구(123)(131)가 베이스 플레이트(120) 및 리어 플레이트(130)에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에는 제1공기 공급 개구(123)가 형성되고, 상기 리어 플레이트(130)에는 제2공기 공급 개구(131)가 형성된다.
상기 제1공기 공급 개구(123)를 통하여 버너 챔버(151)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상부 브로일 버너(200)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공기 공급 개구(131)를 통하여 케이싱(10)의 내부, 즉 유로(P)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상부 브로일 버너(200)로 공급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브로일 버너(200)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증가됨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적열 버너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공기의 비율이 높은 혼합 가스를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다량의 공기가 상기 상부 브로일 버너(200)로 공급되므로, 상기 상부 브로일 버너(200)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혼합 가스가 연소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각각 상기 상부 오븐실 및 하부 오븐실이라고 명명하였으나, 상기 상부 오븐실 및 하부 오븐실은 각각 상부 조리실 및 하부 조리실로 명명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가열원이 상기 상부 브로일 버너 및 상부 베이크 버너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상부 가열원이 컨벡션 장치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하게, 상기 하부 가열원이 하부 브로일 버너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하부 가열원으로 상기 하부 베이크 버너 및 컨벡션 장치 중 어느 하나가 삭제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 베이크 버너, 하부 브로일 버너, 및 하부 베이크 버너로도, 상기 상부 브로일 버너와 동일하게 적열 버너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배기구가 상기 상부 캐비티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었다. 그러나 상기 상부 배기구는, 상기 상부 캐비티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상부 캐비티의 후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Claims (20)
-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조리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조리실의 상부에 설치되고, 공기와 가스가 혼합된 혼합 가스를 연소시켜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에너지를 제공하는 버너; 및
상기 조리실 내부의 일면에 고정되는 제1구획 부재와, 상기 제1구획 부재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조리실 내부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조리실의 내부를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영역과 혼합 가스의 형성을 위한 공기와 가스를 공급받는 영역으로 구획하는 제2구획 부재를 구비하는 구획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구획 부재의 상면은, 상기 버너의 저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2구획 부재의 저면은, 상기 조리실의 저면에 접촉되며,
상기 제1구획 부재는, 상기 제2구획 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제2구획 부재와 상기 제1구획 부재의 사이를 차폐하기 위한 제1접촉 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제2구획 부재는, 상기 조리실의 저면에 접촉되어 상기 조리실의 저면과 상기 제2구획 부재의 사이를 차폐하기 위한 제2접촉 브라켓을 구비하는 조리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구획 부재는, 각각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캐비티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구획 부재의 저면을 통하여 상기 캐비티의 후면 및 상기 제1 및 제2구획 부재의 내면에 의하여 정의되는 영역으로 공기가 공급되는 조리기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저면에는,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는 가열원이 설치되는 버너 챔버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티의 저면을 통하여 상기 캐비티의 후면 및 상기 제1 및 제2구획 부재의 내면에 의하여 정의되는 영역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버너 챔버를 경유하는 조리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구획 부재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캐비티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캐비티의 후면을 통하여 상기 캐비티의 후면 및 상기 제1 및 제2구획 부재의 내면에 의하여 정의되는 영역으로 공기가 공급되는 조리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획 부재는, 상기 캐비티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구획 부재는, 상기 캐비티의 후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구획 부재를 차폐하고,
상기 캐비티 및 상기 제1구획 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1 및 제2구획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 서로 면접촉하는 조리기기.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저면에는,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가열원이 설치되는 버너 챔버가 구비되고,
상기 제2구획 부재의 저면을 통하여 상기 캐비티의 후면 및 상기 제1 및 제2구획 부재의 내면에 의하여 정의되는 영역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버너 챔버를 경유하는 조리기기.
-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조리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조리실의 상부에 설치되고, 공기와 가스가 혼합된 혼합 가스를 연소시켜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에너지를 제공하는 브로일 버너;
상기 캐비티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캐비티의 저면과 그 내면 사이에 버너 챔버를 정의하는 버너 커버;
상기 버너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는 베이크 버너; 및
상기 조리실 내부의 일면에 고정되는 제1베리어 부재와, 상기 제1베리어 부재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조리실 내부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부터, 상기 브로일 버너로 공급되는 혼합 가스의 형성을 위한 공기와 가스에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제2베리어 부재를 구비하는 베리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베리어 부재의 상면은, 상기 브로일 버너의 저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2베리어 부재의 저면은, 상기 조리실의 저면에 접촉되며,
상기 제1베리어 부재는, 상기 제2베리어 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제2베리어 부재와 상기 제1베리어 부재의 사이를 차폐하기 위한 제1접촉 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제2베리어 부재는, 상기 조리실의 저면에 접촉되어 상기 조리실의 저면과 상기 제2베리어 부재의 사이를 차폐하기 위한 제2접촉 브라켓을 구비하는 조리기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리어 부재는, 전면이 개구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캐비티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베리어 부재는, 후면이 개구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베리어 부재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캐비티의 저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일면을 통하여 상기 캐비티의 후면 및 상기 제1 및 제2베리어 부재의 내면에 의하여 정의되는 영역으로 공기가 공급되는 조리기기.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저면을 통하여 상기 캐비티의 후면 및 상기 제1 및 제2베리어 부재의 내면에 의하여 정의되는 영역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버너 챔버를 경유하는 조리기기.
- 삭제
- 삭제
-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조리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위치하고, 공기와 가스를 혼합하는 믹싱 튜브;
상기 믹싱 튜브로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
상기 조리실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믹싱 튜브에서 혼합된 혼합 가스를 연소시켜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에너지를 제공하는 버너; 및
상기 조리실 내부의 일면에 고정되는 이너 구획 부재와, 상기 이너 구획 부재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조리실 내부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조리실의 내부를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 영역과 혼합 가스를 형성하는 믹싱 튜브가 위치되는 가스 혼합 영역으로 구획하는 아웃터 구획 부재를 구비하는 구획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및 아웃터 구획 부재의 상면은, 상기 버너의 저면에 접촉되고,
상기 아웃터 구획 부재의 저면은, 상기 조리실의 저면에 접촉되며,
상기 이너 구획 부재는, 상기 아웃터 구획 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아웃터 구획 부재와 상기 이너 구획 부재의 사이를 차폐하기 위한 제1접촉 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아웃터 구획 부재는, 상기 조리실의 저면에 접촉되어 상기 조리실의 저면과 상기 아웃터 구획 부재의 사이를 차폐하기 위한 제2접촉 브라켓을 구비하는 조리기기.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구획 부재는, 전면이 개구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캐비티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아웃터 구획 부재는, 후면이 개구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너 구획 부재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가스 혼합 영역은, 상기 캐비티의 후면 및 상기 이너 및 아웃터 구획 부재의 내면에 의하여 정의되는 조리기기.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구획 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가스 혼합 영역에 위치되는 상기 믹싱 튜브가 관통하는 제1 연통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아웃터 구획 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캐비티의 하방에 위치되는 버너 챔버로부터 상기 가스 혼합 영역으로 공기가 공급되는 제2 연통 개구가 형성되는 조리기기.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구획 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캐비티의 하방에 위치되는 버너 챔버로부터 상기 가스 혼합 영역으로 공기가 공급되는 연통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의 후면에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부터 상기 가스 혼합 영역으로 공기가 공급되는 연통 개구가 형성되는 조리기기.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구획 부재는, 저면이 개구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아웃터 구획 부재는, 후면이 개구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너 구획 부재를 차폐하고,
상기 가스 혼합 영역은, 상기 캐비티의 후면, 상기 이너 구획 부재의 내면 및 상기 아웃터 구획 부재의 내면에 의하여 정의되는 조리기기.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구획 부재는, 저면이 개구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아웃터 구획 부재는, 후면이 개구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너 구획 부재를 차폐하고,
상기 캐비티의 후면과 상기 이너 구획 부재의 후면, 및 상기 이너 구획 부재의 전면과 상기 아웃터 구획 부재의 후면은, 각각 면접촉되는 조리기기.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구획 부재는, 저면이 개구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아웃터 구획 부재는, 후면이 개구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너 구획 부재를 차폐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이너 구획 부재의 전면이 아닌 상기 아웃터 구획 부재의 전면에 의해서만 전방으로 차폐되는 조리기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8144A KR101789826B1 (ko) | 2011-04-25 | 2011-04-25 | 조리기기 |
US13/446,936 US9702564B2 (en) | 2011-04-25 | 2012-04-13 | Cook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8144A KR101789826B1 (ko) | 2011-04-25 | 2011-04-25 | 조리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0535A KR20120120535A (ko) | 2012-11-02 |
KR101789826B1 true KR101789826B1 (ko) | 2017-11-20 |
Family
ID=47020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8144A KR101789826B1 (ko) | 2011-04-25 | 2011-04-25 | 조리기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702564B2 (ko) |
KR (1) | KR10178982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261386A1 (en) * | 2013-03-18 | 2014-09-18 |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 Broil burner of a household cooking appliance |
US9504351B2 (en) * | 2013-10-11 | 2016-11-29 | Hal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Double oven appliance |
KR101564503B1 (ko) | 2014-04-03 | 2015-10-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조리기기 |
CN104296173A (zh) * | 2014-10-13 | 2015-01-21 | 昆山富凌能源利用有限公司 | 一种安全节能燃气灶灶膛 |
US10101038B2 (en) * | 2015-01-05 | 2018-10-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Gas ov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109044120A (zh) * | 2018-10-19 | 2018-12-21 | 江门市丰品五金电子有限公司 | 一种双工位烤炉 |
KR20220031696A (ko) | 2019-07-15 | 2022-03-11 | 샤크닌자 오퍼레이팅 엘엘씨 | 조리 장치 및 이의 구성 요소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590805A (en) | 1969-04-14 | 1971-07-06 | Tappan Co The | Gas range burner assembly |
US4802459A (en) | 1987-12-21 | 1989-02-07 | Gas Research Institute | Improved gas oven using flame switching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422810A (en) * | 1967-09-08 | 1969-01-21 | Roper Corp Geo D | Broiler for gas range |
US4375213A (en) * | 1978-11-24 | 1983-03-01 | Raytheon Company | Self-clean oven |
-
2011
- 2011-04-25 KR KR1020110038144A patent/KR10178982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
- 2012-04-13 US US13/446,936 patent/US9702564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590805A (en) | 1969-04-14 | 1971-07-06 | Tappan Co The | Gas range burner assembly |
US4802459A (en) | 1987-12-21 | 1989-02-07 | Gas Research Institute | Improved gas oven using flame switch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20266859A1 (en) | 2012-10-25 |
US9702564B2 (en) | 2017-07-11 |
KR20120120535A (ko) | 2012-1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6308B1 (ko) | 조리기기 | |
KR101789826B1 (ko) | 조리기기 | |
KR20120119842A (ko) | 조리기기 | |
KR101816309B1 (ko) |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
KR19990087889A (ko) | 적외선가스브로일러를구비한전기조리오븐 | |
KR20090059007A (ko) |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
KR101064050B1 (ko) |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
KR101824736B1 (ko) |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
KR101789823B1 (ko) |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
KR101789824B1 (ko) | 조리기기 | |
KR101864493B1 (ko) |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706779B1 (ko) | 조리기기의 가열장치 | |
KR20100069016A (ko) |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
US20220268449A1 (en) | Cooking appliance | |
KR20140073897A (ko) | 조리기기 | |
KR20100069017A (ko) |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
KR101710202B1 (ko) | 가스 오븐레인지 | |
KR101665708B1 (ko) | 가스 오븐레인지 | |
KR20100069015A (ko) |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
KR101774055B1 (ko) | 버너 | |
KR20110050828A (ko) | 조리기기 | |
US9897323B2 (en) | Gas oven | |
KR101650577B1 (ko) | 가스 오븐 | |
KR20100069013A (ko) |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
KR20100069018A (ko) |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