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90046925A -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6925A
KR20090046925A KR1020097004720A KR20097004720A KR20090046925A KR 20090046925 A KR20090046925 A KR 20090046925A KR 1020097004720 A KR1020097004720 A KR 1020097004720A KR 20097004720 A KR20097004720 A KR 20097004720A KR 20090046925 A KR20090046925 A KR 20090046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signal
keys
finger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4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니후미 스케하라
Original Assignee
위즈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즈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위즈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6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9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1/00Coding in connection with keyboards or like devices, i.e. coding of the position of operated keys
    • H03M11/02Details
    • H03M11/04Coding of multifunction keys
    • H03M11/06Coding of multifunction keys by operating the multifunction key itself in different ways
    • H03M11/08Coding of multifunction keys by operating the multifunction key itself in different ways by operating selected combinations of multifunction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전화기나 휴대단말 등의 휴대기기의 숫자와 문자의 입력장치로서 이미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는 누름 버튼에 붙여진 숫자 및 문자의 그룹 구성을 바꾸지 않고, 게다가 조작이 간단하며, 입력 문자의 선택 확정을 신속히 행하는 것이 가능한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복수의 문자 데이터가 할당된 키(11~20)가 좌우 2열로 배치된 키 그룹과, 키(11~20)에 의해 제1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이 키에 할당된 복수의 문자 데이터를 좌우 반대측의 키 그룹의 키의 배열에 대응시켜 세로 1열로 표시하는 보조 디스플레이(21)와, 키(11~20)의 어느 1개에 의해 제1 신호가 입력된 후, 좌우 반대측의 키 그룹의 키의 어느 1개에 의해 제2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보조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는 복수의 문자 데이터의 배열에 따라서 이 제2 신호가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 하는 제어부(30)를 가진다.
문자 데이터, 키 그룹, 디스플레이, 제어부, 입력장치.

Description

입력장치{INPUT DEVICE}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나 휴대단말 등의 휴대기기에 문자나 기호 등의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전화기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입력장치로서, 1부터 0까지의 누름 버튼이 사용되고 있다. 또 휴대전화기에 의한 문자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이 전화번호 입력용의 누름 버튼에 문자 기호를 할당하여 입력 가능하게 하고 있다. 애당초 휴대전화기가 고정전화기로부터 발달한 역사로부터, 전화번호의 1부터 0까지의 숫자 및 문자나 기호 등을 입력하는 누름 버튼의 배열은 3열 4행의 것이 세계적으로 보급되어 있고, 0부터 1의 숫자와 A부터 Z 등의 문자 등의 조합은 대체로 동일한 숫자 및 문자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숫자 및 문자 그룹에 일본어 문자 배열을 조합시킨 키보드(2)를 채용한 휴대전화기(1)가 대다수이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전화기의 키보드에서는, 문자 입력 방식으로서, 소위 「키 연타 방식」이 주류이다. 이 키 연타 방식에서는, 1개의 누름 버튼(이하, 「키」와 동의)에 복수의 문자 기호를 할당하고 있기 때문에, 유일한 문자 기호를 확정시키기 위해서는 알파벳 문자에서는 1회에서 4회, 일본어 문자에서는 1회에서 5회 키를 눌러야 한다. 또 동일한 키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를 계속해서 입력하기 위해서는, 방향키로 1글자 앞으로 보내야 하여, 번잡함과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이 결점으로서 지적되고 있다.
이 결점을 극복하는 발명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1개의 키를 누르면, 미리 정해진 제2 키 문자군이 이 눌린 키에 인접하는 키 부분에 표시되어, 이 중에서 원하는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1열 또는 2열로 배치한 숫자키에 알파벳 문자 등을 할당하여, 이 숫자키와, 알파벳 문자 등의 숫자키 상에서의 배치순서에 의해 결정되는 숫자키의 조합에 의한 2타로 문자 기호를 입력 가능하게 한 텐키보드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케이스에 구비한 1개의 주 디스플레이의 좌우에 각각 복수의 키를 구비한 디바이스 인터페이스가 기재되어 있다. 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에서는 주 디스플레이의 좌우의 키를 누르면, 눌린 키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 기호가 이 주 디스플레이의 좌우의 키를 따라 표시된다. 유저는 이 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문자 중에서 입력할 문자에 대응하는 키를 선택하여 누름으로써 원하는 문자를 입력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표 2004-534318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제3440236호 공보
[특허문헌 3] :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5/0043063호 명세서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눌린 키에 인접하는 키 부분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은, 구조적 및 시각적으로 실용적이지 않고, 매우 구조가 복잡하며 비용이 들기 때문에 현실적이지 않다. 또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텐키보드에서는, 각각의 숫자키에 할당되어 있는 알파벳 문자 등의 배치순서를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디바이스 인터페이스에서는, 넓은 주 디스플레이의 좌우에 키가 배치되어 있어, 케이스를 한 손에 잡은 채, 그 손으로 조작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 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에서는, 1개의 키에 의해 입력했을 때에, 그 다음에 좌우의 키에 의해 입력할 수 있는 문자 기호를 주 디스플레이 상에 줄지어 표시하기 때문에, 입력된 문장을 표시할 주 디스플레이 상의 스페이스가 얼마 남지 않게 되어 버려, 긴 문장을 입력할 때에는 입력된 문장을 보면서 입력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래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휴대전화기나 휴대단말 등의 휴대기기의 숫자와 문자의 입력장치로서 이미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는 누름 버튼에 붙여진 숫자 및 문자의 그룹 구성을 바꾸지 않고, 게다가 조작이 간단하며, 입력 문자의 선택 확정을 신속히 행하는 것이 가능한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입력장치는,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키로서, 각각 1개의 키에 대해서 복수의 문자 데이터가 할당된 키가 좌우 2열로 배치된 키 그룹과, 좌우 2열로 배치된 키 그룹의 키의 어느 1개에 의해 제1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이 제1 신호가 입력된 키에 할당된 복수의 문자 데이터를 이 제1 신호가 입력된 키가 배치된 측과 좌우 반대측의 키 그룹의 키의 배열에 대응시켜 세로 1열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좌우 2열로 배치된 키 그룹의 키의 어느 1개에 의해 제1 신호가 입력된 후, 이 제1 신호가 입력된 키가 배치된 측과 좌우 반대측의 키 그룹의 키의 어느 1개에 의해 제2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복수의 문자 데이터의 배열에 따라서 이 제2 신호가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 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입력장치에 의하면, 좌우 2열로 배치된 키 그룹의 키의 어느 1개에 의해 1차 선택이 행해지면, 제1 신호가 입력되고, 이 제1 신호가 입력된 키에 할당된 복수의 문자 데이터로서, 이 제1 신호가 입력된 키가 배치된 측과 좌우 반대측의 키 그룹의 키에 의해 입력 가능한 문자 데이터가, 그 키 그룹의 키의 배열에 대응시켜 세로 1열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그리고 이 1차 선택이 행해진 키가 배치된 측과 좌우 반대측의 키 그룹의 키의 어느 1개에 의해 2차 선택이 행해지면, 제2 신호가 입력되고,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문자 데이터의 배열에 따라서 이 제2 신호가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가 입력 데이터로서 입력된다.
여기서, 키는 m행 n열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에 각각 1개씩 할당된 복수의 문자 데이터가 매트릭스의 행 또는 열마다 할당된 것이며, 제어부는 제1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매트릭스의 행 또는 열의 어느 하나의 그룹을 결정하고, 제2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이 결정된 그룹 내에서 열 또 행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함으로써 입력 데이터로 할 문자 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문자 데이터를 매트릭스에 할당하여, 제1 신호 및 제2 신호에 의해 입력하는 문자 데이터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입력장치는 좌우 2열의 키 그룹 사이에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좌우 2열로 배치된 키 그룹의 키의 어느 1개에 의해 1차 선택이 행해지면, 2차 선택 후보의 문자 데이터가 그 키 그룹의 키의 배열에 대응시켜 각 키의 근방에 표시되므로, 원하는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키를 용이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디스플레이는 입력 데이터를 표시하는 주 디스플레이와는 별도로 구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입력된 문자 데이터가 표시되는 주 디스플레이의 스페이스를 줄이지 않고, 주 디스플레이와는 별도로 구성된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보면서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여 2차 선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디스플레이는 좌우 2열의 키 그룹의 행마다 독립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2차 선택을 행하는 키마다 디스플레이를 색별 표시시키거나, 문자가 표시되지 않는 디스플레이를 암전 표시시키거나 할 수 있다.
또 좌우 2열의 키 그룹은 디스플레이의 하방에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주 디스플레이와 선택 문자 후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공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 때, 선택 문자 후보는 좌우 2열의 키 그룹과 동일한 측의 세로 1열로 표시되기 때문에, 표시된 선택 문자 후보와 키의 대응은 파악하기 쉽다.
또 키는 가로로 가늘고 길고, 또한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폭 정도의 길이, 혹은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폭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고, 각 열에서의 키끼리의 상하의 간격이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두께 정도, 혹은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두께보다 넓게 되도록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가 계속해서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신호의 연속적인 입력에 의해, 이 제2 신호가 연속적으로 입력된 키에 각각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 함으로써 복수의 문자 데이터의 연속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1차 선택한 키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2차 선택을 행하면, 동일한 문자 그룹에 속하는 문자를 연속해서 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발명의 효과)
(1) 본 발명에 의하면, 좌우 2열의 어느 하나의 키 그룹의 키로 1차 선택이 행해지면 복수의 문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문자 그룹이 결정되고, 그 다음에 이 1차 선택이 행해진 키가 배치된 측과 좌우 반대측의 키 그룹의 키로 2차 선택이 행해짐으로써, 이 문자 그룹 내의 문자가 결정되고 입력되므로, 서로 테니스의 볼을 치듯이 리듬감있게, 간단한 조작에 의해 입력 문자의 선택 확정을 신속히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2차 선택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문자에 대응하는 좌우 어느 하나의 키로서, 1차 선택을 행한 키와 반대측의 키를 사용하므로, 조작이 대단히 간단하다. 또 양손을 사용하여 조작하는 경우, 좌우의 손가락이 교착되지 않고 교대로 사용하여 조작하게 되므로 입력 효율이 좋다.
(2) 좌우 2열의 키 그룹 사이에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구성에 의해, 좌우 2열의 어느 하나의 키 그룹의 키로 1차 선택이 행해지면, 2차 선택 후보의 문자 데이터가 그 키 그룹의 키의 배열에 대응시켜 각 키의 근방에 표시되므로, 원하는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키를 용이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져, 입력 문자의 선택 확정을 더욱 간단히 또한 신속히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3) 디스플레이가 입력 데이터를 표시하는 주 디스플레이와는 별도로 구성됨으로써, 입력된 문자 데이터가 표시되는 주 디스플레이의 스페이스를 줄이지 않고, 주 디스플레이와는 별도로 구성된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보면서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여 2차 선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디스플레이가 좌우 2열의 키 그룹의 행마다 독립적으로 구성된 구성에 의하면, 2차 선택을 행하는 키마다 디스플레이를 색별 표시시키거나, 문자가 표시되지 않는 디스플레이를 암전 표시시키거나 할 수 있으므로, 2차 선택하는 문자에 대응하는 키의 위치 관계가 명확해져, 선택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5) 좌우 2열의 키 그룹이 디스플레이의 하방에 배치된 구성에 의하면, 주 디스플레이와 선택 문자 후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공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비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6) 키가 가로로 가늘고 길고, 또한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폭 정도의 길이, 혹은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폭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고, 각 열에서의 키끼리의 상하의 간격이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두께 정도, 혹은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두께보다 넓게 되도록 배치된 구성에 의하면, 행수가 늘어나도 키를 누르기 어려워지지 않고, 또 키탑 표시도 휴대전화 본체에 인쇄하는 것이 가능해져, 제조 비용의 저감에도 기여한다.
(7) 제어부가 제1 신호가 계속해서 입력된 상태에서, 제2 신호의 연속적인 입력에 의해, 이 제2 신호가 연속적으로 입력된 키에 각각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 함으로써 복수의 문자 데이터의 연속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인 것에 의해, 1차 선택한 키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2차 선택을 행하면, 동일한 문자 그룹에 속하는 문자를 연속해서 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져, 종래의 1글자 앞으로 보내기 조작이 불필요해져서, 기본적으로 2타 입력임에도 불구하고 1타 입력과 동등한 고속 입력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전화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휴대전화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휴대전화기의 보조 디스플레이의 배치를 바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휴대전화기의 보조 디스플레이의 배치를 바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휴대전화기의 조작예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휴대전화기의 조작예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휴대전화기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휴대전화기의 조작예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휴대전화기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휴대전화기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휴대전화기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종래예의 입력 비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과 종래예의 입력 비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종래예의 입력 비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종래예의 입력 비교를 도시한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1…1번 키
12…2번 키
13…3번 키
14…4번 키
15…5번 키
16…6번 키
17…7번 키
18…8번 키
19…9번 키
20…0번 키
21…주 디스플레이
22…문자 모드 전환 키
23, 211, 212, 213, 214, 215…선택 디스플레이
24…휴대전화 본체
26…손가락
30…제어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기기로서의 휴대전화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전화 본체(24)에, 제어부(30), 주 디스플레이(23), 문자 모드 전환 키(22), 선택 디스플레이(21), 숫자의 1번 키(11)부터 5번 키(15)까지의 좌열 키 그룹, 6번 키(16)부터 0번 키(20)까지의 우열 키 그룹이나, 「*(애스터리스크)」, 「기호」, 「# (샵)」 키 등으로 구성되는 입력장치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전화기에서는, 1번 키(11)부터 0번 키(20)까지의 키 그룹을,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일반적인 휴대전화기의 누름 버튼 배열과 같은 좌상측의 숫자키 "1"부터 시작되는 3열 4행의 키보드(2)의 배열이 아니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열의 1번 키(11)부터 시작되어 5번 키(15)까지 하방 세로열로 5행, 또한 우열의 6번 키(16)부터 0번 키(20)까지 하방 세로열로 5행을 배치한 2열 5행의 배열로 하고 있다.
또 이 입력장치에서는, 10개의 키(11~20)에 의해 숫자, 문자 및 기호의 각 데이터를 입력 가능하게 하기 위해, 키(11~20)에 10개의 숫자와, 적어도 26문자의 알파벳과, 적어도 10개의 일본어 문자를 이하와 같이 할당하고 있다. 즉, 1번 키(11)에 「1 @(앳마크) あ」를, 2번 키(12)에 「2 ABC か」를, 3번 키(13)에 「3 DEF さ」를, 4번 키(14)에 「4 GHI た」를, 5번 키(15)에 「5 JKL な」를, 6번 키(16)에 「6 MN0 は」를, 7번 키(17)에 「7 PQRS ま」를, 8번 키(18)에 「8 TUV や」를, 9번 키(19)에 「9 WXYZ ら」를, 0번의 키(20)에 「0 .(피리어드) ,(콤마) わをん」을 각각 조합시켜서 할당하고 있다.
또 표 1에 5열 10행으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에 각각 1개씩 일본어 문자를 할당한 5열 10행 일본어 문자표를 나타낸다. 이 5열 10행 일본어 문자표는 세로열에 10의 행수, 가로열에 5의 열수의 매트릭스에 50음을 배치한 대단히 일반적으로 주지된 표이다. 또 표 2의 5열 10행 영자표는 표 1의 일본어 문자표를 본떠서 작성한 것이다. 10개의 키(11~20)에는 각각 표 1 및 표 2의 각 행의 문자 그룹이 할당되어 있다. 또한 표의 공란에 임의의 문자 기호를 추가 보충하는 것도 가능하다.
Figure 112009013718474-PCT00001
Figure 112009013718474-PCT00002
또한 도시예에서는, 1번 키(11)부터 5번 키(15)를 좌열에, 6번 키(16)부터 0번 키(20)를 우열에 각각 세로 1열로 배치하고 있지만, 좌열과 우열을 전환하여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본질을 해치지 않으므로 지장없다. 또 탁점, 반탁점, 촉음 등을 「*」,「기호」, 「#」 등의 키에 할당하는 것은 주지된 방법이므로 특별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할당한 알파벳의 조합은 전세계에서 가장 보급되어 있는 조합이며, 유럽에서 보급되어 있는 T9 방식 등의 애매 입력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일본어 문자를 사용하지 않는 언어권에서는 일본어 문자의 할당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이외의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권에서는 임의의 문자나 기호 등을 할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선택 디스플레이(21)는 키(11~20)의 어느 1개를 누름으로써 제1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이 제1 신호가 입력된 키에 할당된 복수의 문자 데이터를, 이 제1 신호가 입력된 키가 배치된 측과 좌우 반대측의 키 그룹의 키의 배열에 대응시켜 세로 1열로 표시하는 것이다. 선택 디스플레이(21)는 좌열 키 그룹과 우열 키 그룹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선택 디스플레이(21)는 키(11~20) 등에 의해 입력된 문자 데이터를 표시하는 주 디스플레이(23)와는 별도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선택 디스플레이(21)를 배치하는 위치에 대해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그룹의 좌단 배치나,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우단 배치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들 배치여도, 도 2에 도시한 중간 배치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도 2에 도시한 중간 배치가 시인성 및 조작성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배치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키 배열을 2열 5행으로 한 이유는, 전화번호의 입력에 필요한 1번에서 0번까지의 숫자를 1번에서 5번과 6번에서 0번의 5개씩의 2그룹으로 나눌 수 있는 점, 3열 구성과 같이 중앙열이 없어, 편측의 열의 키가 다른 열의 키에 간섭되지 않는 점, 기존에 보급되어 있는 누름 버튼식 전화기의 알파벳의 문자 그룹이 최대 4문자까지인 점, 일본어 문자의 기준이 되는 일본어 문자 50음표는 5열 10행으로 구성된 매트릭스 배열이어서, 일반 공통의 지식을 이용할 수 있는 점 등에 의한 것이다. 또 5행 5열의 단위로 정보를 배치함으로써 기억 및 숙련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입력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2에서, 1번 키(11)부터 5번 키(15)까지의 좌열의 키 그룹의 1개의 키를 누름으로써 1차 선택하면, 이 키 누름이 제1 신호로서 제어부(30)에 입력되고, 선택된 키에 미리 할당된 복수의 문자로 이루어지는 문자 그룹의 정보(문자 데이터)가 좌열의 키 그룹과 우열의 키 그룹의 중간 위치에 배치된 선택 디스플레이(21)에 세로 1열로 표시된다. 이 때, 당해 문자 그룹의 문자수는 행수 이내로 설정되어 있고, 표시되는 각 문자는 반드시 1차 선택된 키의 반대측, 즉, 좌열의 키 그룹에 의해 1차 선택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우열의 바로 옆의 키에 각각 1대 1로 붙여진다. 그리하여 선택하고자 하는 문자에 대응하는 우열의 바로 옆의 키를 누름으로써 2차 선택을 행하면, 이 키 누름이 제2 신호로서 제어부(30)에 입력된다. 이것에 의해 제어부(30)는 선택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는 복수의 문자 데이터의 배열에 따라서 이 제2 신호가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서 확정한다.
한편, 도 2에서, 6번 키(16)부터 0번 키(20)까지의 우열의 키 그룹의 1개의 키를 누름으로써 1차 선택하면, 이 키 누름이 제1 신호로서 제어부(30)에 입력되고, 선택된 키에 미리 할당된 복수의 문자로 이루어지는 문자 그룹의 정보가 우열의 키 그룹과 좌열의 키 그룹의 중간 위치에 배치된 선택 디스플레이(21)에 세로 1열로 표시된다. 이 때, 당해 문자 그룹의 문자수는 행수 이내로 설정되어 있고, 표시되는 각 문자는 반드시 1차 선택된 키의 반대측, 즉, 이 경우에는 좌열의 바로 옆의 키에 각각 1대 1로 붙여진다. 그리하여 선택하고자 하는 문자에 대응하는 좌열의 바로 옆의 키를 누름으로써 2차 선택을 행하면, 이 키 누름이 제2 신호로서 제어부(30)에 입력되어,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이 제2 신호가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가 입력 데이터로서 확정된다.
예를 들어 문자 모드 전환 키(22)가 조작되어 영자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우열 7번 키(17)가 눌리면, 제어부(30)는 이 7번의 키(17)에 할당되어 있는 알파벳, 즉 표 2의 7행째의 문자 그룹 「PQRS」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보 문자로서 선택 디스플레이(21) 상에 표시한다. 이들 후보 문자 「PQRS」는 좌열의 바로 옆의 각 키(11~15)에 각각 대응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좌열의 3번 키(13)가 눌리면, 제어부(30)는 이 3번의 키(13)에 대응하는 문자 「R」을 입력 데이터로서 확정하고, 주 디스플레이(23)에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문자 모드 전환 키(22)가 조작되어, 일본어 문자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좌열 2번 키(12)가 눌리면, 제어부(30)는 이 2번 키(12)에 할당되어 있는 일본어 문자, 즉 표 1의 2행째의 문자 그룹 「かきくけこ」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보 문자로서 선택 디스플레이(21) 상에 표시한다. 이들 후보 문자 「 かきくけこ」는 우열의 바로 옆의 각 키(16~20)에 각각 대응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우열의 9번 키(19)가 눌리면, 제어부(30)는 이 9번 키(19)에 대응하는 문자 「け」를 입력 데이터로서 확정하고, 주 디스플레이(23)에 표시한다. 또한 문자 모드 전환 키(22)가 조작되어, 숫자 모드로 전환된 상태이면, 대응하는 각 키(11~20)의 숫자가 주 디스플레이(23)에 입력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입력장치에서는, 일본어 문자의 탁음, 반탁음이나 소문자 등을 입력할 때에는, 1차 선택시에 동일한 키를 연속해서 누르는 것으로 선택 가능하게 하고 있다. 예를 들어 が행의 탁음을 입력할 때에는, 키(12)를 2회 연속해서 누르면, 표 1의 2행째의 문자 그룹 「かきくけこ」의 탁음인 「がぎぐげご」가 후보 문자로서 선택 디스플레이(21) 상에 표시된다. ざ행, だ행, ば행의 탁음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각각 키(13, 14, 16)를 2회 연속해서 누르면 된다. 또 ぱ행의 반탁음을 입력할 때에는, 키(16)를 3회 연속해서 누르면, 표 1의 6행째의 문자 그룹 「はひふへほ」의 반탁음인 「ぱぴぷぺぽ」가 후보 문자로서 선택 디스플레이(21) 상에 표시된다. 소문자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소정 횟수 연속해서 누르는 것으로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입력장치에서는, 1차 선택한 키를 누르고 있는 상태, 즉 제1 신호가 계속해서 입력된 상태에서, 2차 선택을 행하면, 동일한 문자 그룹에 속하는 문자를 연속해서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 제어부(30)는 제1 신호가 계속해서 입력된 상태에서, 제2 신호의 연속적인 입력에 의해, 이 제2 신호가 연속적으로 입력된 키에 각각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서 처리한다. 따라서, 종래라면 동일한 키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를 계속해서 입력하기 위해서 방향키로 1글자 앞으로 보내야 했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입력장치에서는, 이 1글자 앞으로 보내기 조작이 불필요하여, 기본적으로 2타 입력임에도 불구하고, 1타 입력과 동등한 고속 입력이 가능하다.
종래에도, 1차 선택으로 후보를 표시하고, 2차 선택으로 확정하는 방법은 사용된 예는 있지만, 2차 선택의 방법으로서는, 키탑에 표시된 정보를 따르거나, 또는 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정보를 따르는 것이며, 2차 선택 입력의 직감적 판단에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특히 휴대전화기나 휴대단말에 탑재하는 장치로서는 실용적으로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좌우열의 어느 하나의 키로 1차 선택을 하여 복수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그룹을 결정하고, 그 다음에 이 1차 선택을 한 키의 반대측의 열의 키로 2차 선택을 하여 이 문자 그룹 내의 문자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2차 선택은 선택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된 문자에 대응하는 근방의 좌우 어느 하나의 키로서, 1차 선택을 행한 키와 반대측의 키를 사용하므로, 손가락이 교착되지 않아 조작이 대단히 간단하다.
또 중앙부에 1열을 포함하는 종래의 3열 4행의 배열에 비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2열 5행의 배열의 경우에는, 키를 누르는 손가락이 다른 키에 간섭하는 일이 적어, 인간 공학적으로도 무리 없는 배열이다. 특히, 좌열의 키(11~15)를 왼손의 엄지손가락으로 누르면서, 우열의 키(16~20)를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조작하는 사용 방법에 의하면, 한 쪽의 손가락으로 누른 상태를 제1타로 하고 다른 쪽의 손가락으로 2타째를 연속 입력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입력 방법이 기본적으로 2타 입력임에도 불구하고, 1타 입력과 동등한 고속 입력 효율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입력장치는, 종래 일반적인 3열 4행의 배열이 아니라, 2열 5행의 배열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데, 2열 5행의 배열에서는 행수가 세로로 늘어나, 키가 근접하여 누르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의 개량 실시예로서, 각각의 키(11~20)를 가로로 가늘고 길고, 또한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폭 정도의 길이, 혹은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폭 이상의 길이로 형성하고, 각 열에서의 키끼리의 상하의 간격을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두께 정도, 혹은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두께보다 넓게 배치한 입력장치를 도 7에 도시한다. 이 입력장치에 의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번 키(12)를 누르는 손가락(26)이 1번 키(11)에도, 3번 키(13)에도 닿기 어려운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행수가 늘어나도 키를 누르기 어려운 일은 없고, 또 키탑 표시도 휴대전화 본체에 인쇄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제조 비용의 저감에도 기여한다.
또 이와 같이 가로로 가늘고 긴 키의 효과로서, 통상적으로 한 손으로 키를 조작할 때에는 중앙부에 근접한 쪽이 효율이 좋고, 한편, 양손 엄지손가락으로 조작하는 경우에는 양단부에 있는 편이 좋지만, 그 양쪽의 사용 방법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도 9는 일본어 문자가 불필요한 언어권에서 사용하는 도 7의 휴대전화기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일본어 문자를 생략하고 1번부터 0번 키(11~20)의 문자 그룹의 구성을 바꾼 것이다. 이와 같이 일본어 문자를 생략함으로써 1개의 키 당 할당하는 알파벳 문자 등을 늘릴 수 있으므로, 상기 서술한 1차 선택한 키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2차 선택을 행하는 연속 입력을 효과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0은, 도 7의 선택 디스플레이(21) 대신에, 각각 좌우 2열의 키 그룹의 행마다 독립적인 선택 디스플레이(211, 212, 213, 214, 215)를 구비한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좌우 2열의 키 그룹에 의해 1차 선택이 행해지면, 선택된 키에 할당된 문자 그룹의 정보가 각각의 선택 디스플레이(211, 212, 213, 214, 215)에 1문자씩 표시된다. 이 경우, 2차 선택을 행하는 키마다 각 선택 디스플레이(211~215)를 색별 표시시키거나, 선택 디스플레이(211~215) 중 선택할 문자가 없어, 문자가 표시되지 않는 것에 대해서 암전 표시시키거나 할 수 있으므로, 2차 선택할 문자에 대응하는 키의 위치 관계가 명확해져, 선택이 더욱 용이해진다.
또 도 11은, 도 7의 선택 디스플레이(21)를 생략하고, 주 디스플레이(23)의 일부를 선택 디스플레이로서 사용하는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좌우 2열의 키 그룹에 의해 1차 선택이 행해지면, 선택된 키에 할당된 문자 그룹의 정보가 주 디스플레이(23) 상에 표시된다. 여기서, 주 디스플레이(23)의 좌우에는 각각 1번부터 5번 키(11~15)와, 6번부터 0번 키(16~20)로 나타내는 번호가 기록되어 있고, 선택된 키에 할당된 문자 그룹의 정보는 각각 대응하는 키의 번호가 기록된 위치의 근방에 1대 1로 표시된다. 따라서, 이 예에서도, 주 디스플레이(23)의 표시를 보면서, 각각 대응하는 키에 의해 2차 선택을 행할 수 있어, 문자 입력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예)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2열 5행의 배열에 의한 입력과,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3열 4행의 배열에 의한 입력의 입력 비교를 행했다. 도 12는 「あいおい」를 입력한 경우의 입력 횟수를 비교한 예를, 도 13은 「えいぎょう」를 입력한 경우의 입력 횟수를 비교한 예를, 도 14는 「SIGHT」를 입력한 경우의 입력 횟수를 비교한 예를, 도 15는 「LIVE」를 입력한 경우의 입력 횟수를 비교한 예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본어 문자 모드에서 「あいおい」를 연속 입력하는 경우, 종래의 3열 4행의 배열에 의한 입력에서는, 「あ」 「い」 「お」 「い」의 문자 모두가 1번 키에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1번 키를 1회 눌러 「あ」를 입력한 후, 방향키로 1글자 앞으로 보내기를 행하고, 1번 키를 2회 눌러 「い」를 입력한다. 「お」「い」의 문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방향키로 1글자 앞으로 보내기와 1번 키의 연속 누름을 행하므로, 최종적으로 12회 키를 누르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2열 5행의 배열에 의한 입력에서는, 1번 키(11)를 왼손의 손가락으로 누른 상태에서, 오른손의 손가락으로 6번 키(16), 7번 키(17), 0번 키(20), 7번 키(17)를 연속 누르기만 하면 되어, 최종적으로 5회 키를 누르게 된다. 결과적으로, 종래와 비교하여 키의 누름 횟수가 7회 적어, 누름 횟수를 58% 줄일 수 있었다.
또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えいぎょう」를 연속 입력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3열 4행의 배열에 의한 입력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え」「い」의 문자를 입력한 후, 2번 키를 2회 눌러 「き」의 문자를 입력하고, 추가로 탁음점을 입력하기 위해서 「*」키를 누른다. 그리고 「ょ」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8번 키를 3회 눌러 「소문자」키를 누르거나 또는 8번 키를 6회 누르고, 1번 키를 3회 눌러 「う」의 문자를 입력한다. 이 경우, 최종적으로 17회 또는 19회 키를 누르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2열 5행의 배열에 의한 입력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え」「い」의 문자를 입력한 후, 2번 키(12)를 2회 눌러 탁점 모드로 하여 7번 키(17)를 누름으로써 「ぎ」의 문자를 입력한다. 그리고 「ょ」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8번 키(18)를 2회 눌러 반탁음 모드로 하여 3번 키(13)를 누르고, 1번 키(11)를 누르고 8번 키(18)를 눌러 「う」의 문자를 입력한다. 이 경우, 최종적으로 12회 키를 누르게 된다. 결과적으로, 종래와 비교하여 키의 누름 횟수가 5~7회 적어, 누름 횟수를 29%~36% 줄일 수 있었다.
또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자 모드에서 「SIGHT」를 연속 입력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3열 4행의 배열에 의한 입력에서는, 7번 키를 4회 눌러 「S」의 문자를 입력하고, 4번 키를 3회 눌러 「I」의 문자를 입력한다. 여기서, 그 다음에 입력할 「G」의 문자는 전에 입력한 「I」의 문자와 동일한 4번 키에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방향키로 1글자 앞으로 보내기를 행한 후, 4번 키를 1회 눌러 「G」의 문자를 입력한다. 그 다음의 「H」의 문자에 대해서도 전에 입력한 「G」의 문자와 동일한 4번 키에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방향키로 1글자 앞으로 보내기를 행한 후, 4번 키를 2회 눌러 「H」의 문자를 입력한다. 그리고 8번 키를 1회 눌러 「T」의 문자를 입력한다. 이 경우, 최종적으로 13회 키를 누르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2열 5행의 배열에 의한 입력에서는, 7번 키(17)를 오른손의 손가락으로 1회 누른 후, 4번 키(14)를 왼손의 손가락으로 눌러 「S」의 문자를 입력한다. 그리고 그 다음의 「I」「G」「H」의 문자는 모두 4번 키(14)에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4번 키(14)를 왼손으로 누른 상태에서, 오른손의 손가락으로 8번 키(18), 6번 키(16), 7번 키(17)를 연속으로 누르기만 하면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8번 키(18)를 오른손의 손가락으로 1회 누른 후, 1번 키(11)를 왼손의 손가락으로 눌러 그 다음의 「T」의 문자를 입력한다. 이 경우, 최종적으로 8회 키를 누르게 된다. 결과적으로, 종래와 비교하여 키의 누름 횟수가 5회 적어, 누름 횟수를 38% 줄일 수 있었다.
또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자 모드에서 「LIVE」를 연속 입력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3열 4행의 배열에 의한 입력에서는, 5번 키를 3회 눌러 「L」의 문자를 입력하고, 4번 키를 3회 눌러 「I」의 문자를 입력한다. 그 다음에 8번 키를 3회 눌러 「V」의 문자를 입력하고, 3번 키를 2회 눌러 「E」의 문자를 입력한다. 이 경우, 최종적으로 11회 키를 누르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2열 5행의 배열에 의한 입력에서는, 5번 키(15)를 왼손의 손가락으로 1회 누른 후 8번 키(18)를 오른손의 손가락으로 1회 눌러 「L」의 문자를 입력한다. 그 다음에 「I」의 문자는 4번 키(14)를 왼손의 손가락으로 1회 누른 후 8번 키(18)를 오른손의 손가락으로 1회 눌러 입력한다. 「V」의 문자는 8번 키(18)를 오른손으로 1회 누른 후 3번 키(13)를 왼손의 손가락으로 1회 눌러 입력한다. 「E」의 문자는 3번 키(13)를 왼손의 손가락으로 1회 누른 후 7번 키(17)를 오른손의 손가락으로 1회 눌러 입력한다. 이 경우, 최종적으로 8회 키를 누르게 된다. 결과적으로, 종래와 비교하여 키의 누름 횟수가 3회 적어, 누름 횟수를 27% 줄일 수 있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2열 5행의 배열에 의한 입력의 방법과, 종래의 3열 4행의 배열에 의한 입력의 방법을 입력 효율로 비교한다. 알파벳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 알파벳 문자의 일반적 출현 빈도에 각각의 키 타수를 곱하여 등가 키 타수를 나타낸 것을 표 3에 나타낸다. 계산값에 의하면, 2열 5행의 배열의 경우의 등가 키 타수가 200인 것에 반해, 3열 4행의 배열의 경우에는 214가 된다. 단, 3열 4행의 배열의 경우에는, 동일한 키 내의 그룹 문자의 경우, 방향키로 1글자 앞으로 보낼 확률이 26문자분의 3 내지 4이기 때문에, 발생 확률 상당분인 12%를 곱하여 등가 키 타수를 240으로 한다. 이 비교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입력 방법이 종래의 방법보다 17%의 입력 효율을 향상시키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표 3에서는 QWERTY식의 등가 키 타수는 100이며, 2열 5행의 배열의 등가 키 타수 200과 비교하면 1대 2가 되지만, 각 키보드의 사용키 수를 비교하면 약 3대 1이 되고, 키 배치의 기억이나 키 누름 숙련도 및 운지(運指) 효율을 조건에 넣으면, 오히려 QWERTY식 키보드보다 본 발명의 2열 5행의 배열 키 쪽이 조작하기 쉬운 경우도 있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했다.
Figure 112009013718474-PCT00003
그 다음에 일본어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를 비교한다. 일본어 문자의 일반적 출현 빈도에 각각의 키 타수를 곱하여 등가 키 타수를 나타낸 것을 표 4 및 표 5에 나타낸다. 단, 탁음, 반탁음, 소문자(촉음 등)는 생략하고 있기 때문에, 키 타수를 1로서 계산해도 합계 100은 되지 않는다. 계산값에 의하면, 2열 5행의 배열의 경우의 등가 키 타수가 155인 것에 반해, 3열 4행의 배열의 경우에는 211이 된다. 단, 3열 4행의 배열의 경우에는, 동일한 키 내의 그룹 문자의 경우, 방향키로 1글자 앞으로 보낼 확률이 50문자분의 5이기 때문에, 발생 확률 상당분인 10%을 곱하여 등가 키 타수를 232로 한다. 이 비교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입력 방법이 종래의 방법보다 33%의 입력 효율을 향상시키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 2의 비교에서, 본 발명에 의한 입력의 방법이 종래의 방법보다 간단하며, 신속히 입력할 수 있는 것을 예증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13718474-PCT00004
Figure 112009013718474-PCT00005
또 2열 5행 배열의 이점을 추기하면, 일본어 문자 배열에서, 「あかさたな」의 그룹은 「はまやらわ」의 그룹에 대해서, 68% 대 32%의 출현 빈도 비율로 되어 있어, 출현 빈도가 높은 그룹을 편측에 모음으로써 누르는 키의 위치의 숙련이 용이해져, 배치가 다소 혼연하게 되어 있는 3열 4행 배열의 방법과 비교해도, 본 발명의 입력 방법에 숙련될수록 효율이 향상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표 1 및 표 2와, 표 6에 나타내는 소위 「포켓벨 방식」이라고 알려져 있는 2타 입력의 방법을 비교하면,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행과 열로부터 문자 결정을 행하는 본 발명의 방법이, 표 6에 나타내는 10열 10행의 배치표를 기억, 또는 참조하여 행하는 소위 「포켓벨 방식」보다 문자 결정이 대단히 용이한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09013718474-PCT00006
본 발명의 입력장치는 휴대전화기나 휴대단말 등의 휴대기기에 문자나 기호 등의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는 장치로서 유용하다.

Claims (19)

  1.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키로서, 각각 1개의 키에 대해서 복수의 문자 데이터가 할당된 키가 좌우 2열로 배치된 키 그룹과,
    상기 좌우 2열로 배치된 키 그룹의 키의 어느 1개에 의해 제1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이 제1 신호가 입력된 키에 할당된 복수의 문자 데이터를 이 제1 신호가 입력된 키가 배치된 측과 좌우 반대측의 키 그룹의 키의 배열에 대응시켜 세로 1열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좌우 2열로 배치된 키 그룹의 키의 어느 1개에 의해 제1 신호가 입력된 후, 이 제1 신호가 입력된 키가 배치된 측과 좌우 반대측의 키 그룹의 키의 어느 1개에 의해 제2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복수의 문자 데이터의 배열에 따라서 이 제2 신호가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 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m행 n열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에 각각 하나씩 할당된 복수의 문자 데이터가 상기 매트릭스의 행 또는 열마다 할당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상기 매트릭스의 행 또는 열의 어느 하나의 그룹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이 결정된 그룹 내에서 열 또 행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입력 데이터로 할 문자 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2열의 키 그룹 사이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입력 데이터를 표시하는 주 디스플레이와는 별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좌우 2열의 키 그룹의 행마다 독립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2열의 키 그룹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방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가로로 가늘고 길고, 또한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폭 정도의 길이, 혹은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폭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고, 각 열에서의 키 사이의 상하 간격이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두께 정도, 혹은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두께보다 넓게 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가로로 가늘고 길고, 또한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폭 정도의 길이, 혹은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폭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고, 각 열에 서의 키 사이의 상하 간격이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두께 정도, 혹은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두께보다 넓게 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가로로 가늘고 길고, 또한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폭 정도의 길이, 혹은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폭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고, 각 열에서의 키 사이의 상하 간격이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두께 정도, 혹은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두께보다 넓게 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가로로 가늘고 길고, 또한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폭 정도의 길이, 혹은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폭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고, 각 열에서의 키 사이의 상하 간격이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두께 정도, 혹은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두께보다 넓게 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가로로 가늘고 길고, 또한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폭 정도의 길이, 혹은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폭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고, 각 열에서의 키 사이의 상하 간격이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두께 정도, 혹은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두께보다 넓게 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가로로 가늘고 길고, 또한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폭 정도의 길이, 혹은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폭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고, 각 열에 서의 키 사이의 상하 간격이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두께 정도, 혹은 평균적인 손가락 끝의 두께보다 넓게 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가 계속해서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신호의 연속적인 입력에 의해, 이 제2 신호가 연속적으로 입력된 키에 각각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 함으로써 복수의 문자 데이터의 연속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가 계속해서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신호의 연속적인 입력에 의해, 이 제2 신호가 연속적으로 입력된 키에 각각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 함으로써 복수의 문자 데이터의 연속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가 계속해서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신호의 연속적인 입력에 의해, 이 제2 신호가 연속적으로 입력된 키에 각각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 함으로써 복수의 문자 데이터의 연속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가 계속해서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신호의 연속적인 입력에 의해, 이 제2 신호가 연속적으로 입력된 키에 각 각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 함으로써 복수의 문자 데이터의 연속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가 계속해서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신호의 연속적인 입력에 의해, 이 제2 신호가 연속적으로 입력된 키에 각각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 함으로써 복수의 문자 데이터의 연속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가 계속해서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신호의 연속적인 입력에 의해, 이 제2 신호가 연속적으로 입력된 키에 각각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 함으로써 복수의 문자 데이터의 연속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가 계속해서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신호의 연속적인 입력에 의해, 이 제2 신호가 연속적으로 입력된 키에 각각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 함으로써 복수의 문자 데이터의 연속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KR1020097004720A 2006-09-06 2006-10-23 입력장치 KR200900469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41691 2006-09-06
JP2006241691 2006-09-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925A true KR20090046925A (ko) 2009-05-11

Family

ID=39156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720A KR20090046925A (ko) 2006-09-06 2006-10-23 입력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08029492A1 (ko)
KR (1) KR20090046925A (ko)
CN (1) CN101542418A (ko)
TW (1) TW200823725A (ko)
WO (1) WO20080294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179B1 (ko) 2009-12-17 2011-11-30 한국과학기술원 멀티탭 방식의 키패드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JP6080401B2 (ja) * 2012-06-27 2017-02-15 京セラ株式会社 装置
US9298275B2 (en) 2013-02-04 2016-03-29 Blackberry Limited Hybrid keyboard for mobile device
EP2763382B1 (en) * 2013-02-04 2019-10-09 BlackBerry Limited Hybrid Keyboard For Mobile Device
JP6615706B2 (ja) * 2016-06-30 2019-12-04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36892B2 (ja) * 2016-06-30 2021-09-22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006988A (ja) * 2016-06-30 2018-01-11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文字入力制御方法、及び文字入力制御プログラム
JP6886249B2 (ja) * 2016-07-21 2021-06-16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213240A (ja) * 2019-09-20 2019-12-12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111304A (ja) * 2020-01-14 2021-08-02 済 飛田 濁音・半濁点・小文字の連続入力での切り替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0236B2 (ja) * 2000-10-20 2003-08-25 株式会社パナス・データべース テンキーボード
JP2002328765A (ja) * 2001-04-26 2002-11-15 Denso Corp キー入力装置及び携帯電話機
US7113172B2 (en) * 2001-11-09 2006-09-26 Lifescan, Inc. Alphanumeric keypad and display system and method
JP3826774B2 (ja) * 2001-11-26 2006-09-27 ヤマハ株式会社 文字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装置
JP2003289370A (ja) * 2002-01-28 2003-10-10 Nobuhiro Matsuura 十字キー文字入力式小型キーボードと専用文字入力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42418A (zh) 2009-09-23
TW200823725A (en) 2008-06-01
WO2008029492A1 (en) 2008-03-13
JPWO2008029492A1 (ja) 201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46925A (ko) 입력장치
US7362243B2 (en) Apparatus and method using color-coded or pattern-coded keys in two-key input per character text entry
KR100464115B1 (ko) 키입력장치
CN101174190B (zh) 电子设备屏幕上实现复合按键的软件键盘输入的方法
US200201363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phanumeric data entry using a keypad
US20080304892A1 (en) Keyboard for a Handheld Computer Device
JP2005301322A (ja) 入力装置、携帯電話機及び携帯情報機器
US201103044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data input with an alphanumeric keypad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0201363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phanumeric data entry using a keypad
KR2011000313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US20060116135A1 (en) Morphology-based text entry system
KR20010059872A (ko)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US7454237B1 (en) Pressure sensitive alphanumeric telephone keys
KR100860837B1 (ko) 디스플레이 변환형 키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이동통신단말기
JP2005509202A (ja) 形態ベース・テキストエントリーシステム
KR100637745B1 (ko) 한글 키패드
KR20070082777A (ko) 문자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방법
JP2007323541A (ja) 5キー入力装置
WO2012038775A1 (en) Space efficient text entry method
JP2011227586A (ja) 入力装置
KR20080064258A (ko) 디지털단말기 한글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01918A (ko) 전화기와 상기 전화기를 이용한 한글입력방법
KR1011116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8665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및 문자 입력 방법
KR100919086B1 (ko) 투 버튼식 한글 모음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