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2838A -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32838A KR20090032838A KR1020070098391A KR20070098391A KR20090032838A KR 20090032838 A KR20090032838 A KR 20090032838A KR 1020070098391 A KR1020070098391 A KR 1020070098391A KR 20070098391 A KR20070098391 A KR 20070098391A KR 20090032838 A KR20090032838 A KR 200900328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edge
- photographing apparatus
- edge data
- digital photograph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13075 data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3—Deblurring; Sharpe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2—Edging; Contour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172—Image enhancement details
- G06T2207/20192—Edge enhancement; Edge preserv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거리의 피사체가 선명하면서도 근거리의 피사체가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위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는 거리 판단부와, 입력된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와,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의 가장자리 부분에 관한 데이터인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되 상기 거리 판단부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상이하게 하여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는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와, 상기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한 가장자리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는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원거리의 피사체가 선명하면서도 근거리의 피사체가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영모드에서 촬영동작에 의하여 얻어진 이미지 파일을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이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플레이백 모드에서 재생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 물론 촬영모드에서도 촬영동작에 의하여 얻어진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할 시,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에 관계없이 촬상소자에서 얻어진 이미지 데이터를 언제나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하였다. 따라서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상이함에 따라 얻어지는 이미지의 선명도 또는 자연스러움 등이 적절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거리의 피사체가 선명하면서도 근거리의 피사체가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a)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는 단계와, (b) 디지털 촬영장치의 촬상소자에 입력된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c)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의 가장자리 부분에 관한 데이터인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되,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상이하게 하여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는 단계와, (d) 가장자리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a) 단계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오토포커싱 렌즈의 오토포커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a) 단계는 디지털 촬영장치에 부착된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로부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c) 단계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크게 하여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는 단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c) 단계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추출된 가장자리 데이터에 있어서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화소들의 개수가 많도록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는 단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c) 단계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추출된 가장자리 데이터에 있어서 높은 휘도를 갖는 화소들의 개수가 많도록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는 단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c) 단계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인접한 화소들 사이의 휘도 차이가 작더라도 가장자리로 인식하도록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는 단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c) 단계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이미지 데이터에 있어서 인접한 화소들 사이의 휘도 차이가 작더라도 추출된 가장자리 데이터에 있어서 높은 휘도를 갖도록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는 단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d) 단계는 이미지 데이터 중 가장자리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정하는 단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가장자리 데이터는 휘도 정보를 갖는 데이터이고, 상기 (d) 단계는 각 화소에 있어서,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에 가장자리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부가하는 단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가장자리 데이터는 휘도 정보를 갖는 데이터이고, 상기 (d) 단계는 각 화소에 있어서, (d-1)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와 가장자리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더한 값이 최대 휘도값 이하이면,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와 가장자리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더한 값으로 수정하는 단계와, (d-2)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와 가장자리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더한 값이 최대 휘도값보다 크면,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최대 휘도값으로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주 피사체는 디지털 촬영장치가 초점을 맞추는 대상물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는 거리 판단부와, 입력된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와,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의 가장자리 부분에 관한 데이터인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되 상기 거리 판단부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상이하게 하여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는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와, 상기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한 가장자리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는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거리 판단부는, 상기 디지털 촬 영장치의 오토포커싱 렌즈의 오토포커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거리 판단부는, 상기 거리 측정부로부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크게 하여 가장자리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추출된 가장자리 데이터에 있어서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화소들의 개수가 많도록 가장자리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추출된 가장자리 데이터에 있어서 높은 휘도를 갖는 화소들의 개수가 많도록 가장자리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인접한 화소들 사이의 휘도 차이가 작더라도 가장자리로 인식하도록 가장자리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이미지 데이터에 있어서 인접한 화소들 사이의 휘도 차이가 작더라도 추출된 가장자리 데이터에 있어서 높은 휘도를 갖도록 가장자리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는 이미지 데이터 중 가장자리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정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가장자리 데이터는 휘도 정보를 갖는 데이터이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는, 각 화소에 있어서,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에 가장자리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부가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가장자리 데이터는 휘도 정보를 갖는 데이터이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는, 단계는 각 화소에 있어서,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와 가장자리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더한 값이 최대 휘도값 이하이면,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와 가장자리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더한 값으로 수정하고,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와 가장자리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더한 값이 최대 휘도값보다 크면,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최대 휘도값으로 수정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주 피사체는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가 초점을 맞추는 대상물인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 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따르면, 원거리의 피사체가 선명하면서도 근거리의 피사체가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디지털 촬영장치의 전체 동작은 CPU(100)에 의해 통괄된다. 그리고 디지털 촬영장치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200)가 구비된다. 이 조작부(200)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는 CPU(100)에 전달되어, CPU(100)가 전기적 신호에 따라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촬영 모드일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가 CPU(100)에 인가됨에 따라 CPU(100)는 그 신호를 파악하여 렌즈 구동부(11), 조리개 구동부(21) 및 촬상소자 제어부(31)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오토포커싱을 위한 렌즈(10)의 위치, 조리개(20)의 개방 정도 및 촬상소자(30)의 감도 등이 제어된다. 거리 판단부(120)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는데, 이 과정에서 렌즈 구동부(11)에 의해 제어되는 오토포커싱을 위한 렌즈(10)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촬상소자(30)는 입력된 광으로부터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신호(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촬상소자(3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가 출력되면 이는 아날로그/디 지털 변환부(40)에 의해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되어, CPU(100) 및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52)에 입력된다.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52)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의 가장자리 부분에 관한 데이터인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는다. 이때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52)는 거리 판단부(120)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상이하게 하여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어 이를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54)로 보낸다.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54)는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52)에서 획득한 가장자리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한다.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54)에서 출력된 (수정된) 이미지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56)에 입력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6)는 감마(gamma) 보정, 화이트 밸런스 조정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한다.
물론 도 1에서는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52),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54)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56)가 별도로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일 뿐이며,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52)와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54)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56)의 일부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나아가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52)와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54)는 CPU(100)의 일부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전기적 신호(데이터)의 흐름 방향 및 전달 관계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6)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디스플레이 제어부(91)에 전달된다. 여기서 메모리(60)는 ROM 또는 RAM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디스플레이 제어부(91)는 디스플레이부(9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90)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저장/판독 제어부(70)에 입력될 수 있는데, 이 저장/판독 제어부(70)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80)에 저장한다. 물론 저장/판독 제어부(70)는 저장매체(80)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메모리(60)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부(91)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부(90)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에 관계없이 촬상소자에서 얻어진 이미지 데이터를 언제나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하였다. 따라서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상이함에 따라 얻어지는 이미지의 선명도 또는 자연스러움 등이 적절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거리 판독부(120)에서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고,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52)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의 가장자리 부분에 관한 데이터인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되 거리 판단부(120)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상이하게 하여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어 이를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54)로 보낸다. 그리고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54)는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52)에서 획득한 가장자리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촬상소자에서 얻어진 이미지 데이터를 상이한 방식으로 처리함으로써,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상이하더라도 언제나 선명하면서도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촬영된 이미지의 선명도를 높이기 위해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의 가장자리에 관한 데이터인 가장자리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가장자리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 이미지의 선명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가장자리 데이터를 추출할 시 더 많은 가장자리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함으로써 이미지의 선명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의 이미지를 선명하게 하기 위한 이미지 처리방식을 채택할 경우, 그러한 이미지 처리방식 하에서 얻어진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의 이미지는 자연스러움이 저하될 수 있다. 즉,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이미지 내에서 피사체의 크기가 커지며, 또한 피사체에서 밝게 빛나는 부분(하이라이트 부분)이 이미지 내에서 크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가장자리 데이터를 추출할 시 더 많은 가장자리 데이터를 추출한다면, 이미지 내에서 더 많은 부분이 밝게 빛나는 부분(하이라이트 부분)으로 더욱 강조되어 두드러지는 등 전체적인 이미지의 자연스러움이 저하된다. 가장자리 데이터는 피사체의 정확한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데이터뿐만 아니라, 의도적이든 비의도적이든 하이라이트 부분 또는 다른 부분에 대한 데이터까지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반대로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의 이미지의 자연스러움을 높일 시에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의 이미지의 선명도가 저하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촬상소자에서 얻어진 이미지 데이터를 상이한 방식으로 처리함으로써,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상이하더라도 언제나 선명하면서도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는 거리 판단부(120)는 다양한 방법으로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는데, 예컨대 디지털 촬영장치의 오토포커싱 렌즈(10)의 오토포커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할 시 얻어지는 이미지이고, 도 2b는 도 2a의 이미지의 가장자리 이미지이며, 도 2c는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가 오토포커싱을 위한 렌즈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a 내지 도 2c와 관련하여 이미지라고 함은 디지털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된 (최종) 이미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촬영 전 촬상소자(30, 도 1 참조)에서 획득한 이미지를 의 미한다. 또한 가장자리 이미지는 정확하게 가장자리만 나타난 이미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의 전체적인 윤곽만이 나타난 이미지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가장자리 이미지는 다음과 같이 얻는다. 물론 이하에서 설명하는 것은 일 실시예일 뿐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먼저 이미지를 흑백으로 전환한 후, 각 화소에 있어서 그 화소의 휘도값과 인접한 화소의 휘도값의 차이가 소정 값, 예컨대 그 화소의 휘도값의 3% 이상이면 그 화소에 1의 값을 부여하고, 소정 값 미만이면 그 화소에 0의 값을 부여한다. 물론 이미지의 각 화소는 휘도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미지를 흑백으로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의 휘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처리를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처리를 통해 전체 이미지의 각 화소가 1 또는 0의 값을 갖게 한 후 1의 값을 갖는 화소는 밝게 나타내고 0의 값을 갖는 화소를 어둡게 나타내면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가장자리 이미지가 된다. 물론 이와 다른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각 화소에 있어서 그 화소의 휘도값과 임의의 화소의 휘도값이 차이가 소정 값, 예컨대 그 화소의 휘도값의 3% 이상이면 그 화소에 1의 값을 부여하고, 소정 값 미만이면 그 화소에 0의 값을 부여함으로써 가장자리 이미지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이한 방식으로 가장자리 이미지를 얻을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렌즈(10, 도 1 참조)의 위치를 조금씩 이동시켜가며 렌즈의 각 위치에 있어서 이와 같이 가장자리 이미지를 얻은 후, 가장자리 이미지들로부터 오토포커 싱 데이터를 획득한다. 여기서 렌즈는 복수개의 렌즈들을 갖는 렌즈 시스템을 의미할 수도 있고, 복수개의 렌즈들을 갖는 렌즈 시스템의 일 렌즈를 의미할 수도 있다. 렌즈의 특정 위치에서 얻어진 가장자리 이미지에 있어서 주 피사체에 해당하는 영역 내에서 1의 값을 갖는 화소들의 개수를 포커스 값(focus value)라 하고, 렌즈의 위치 변화에 따른 포커스 값의 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오토포커싱 데이터라 한다. 여기서 주 피사체라고 함은 다양한 피사체들 중 디지털 촬영장치가 초점을 맞추는 대상물(초점을 맞추는 영역 내의 피사체)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 2a 및 도 2b에 있어서는 사람의 얼굴 부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렌즈의 각 위치에서 얻은 가장자리 이미지에 있어서 주 피사체 영역 내의 1의 값을 갖는 화소들의 개수를 카운팅한 후, 가로축을 렌즈의 위치, 세로축을 카운팅된 화소들의 개수로 나타내면 도 2c에 도시된 것과 같은 그래프가 된다. 이와 같은 그래프에 있어서 가장 뾰족한 점에 대응하는 렌즈의 위치가 포커싱이 이루어지는 렌즈의 위치이다. 참고로 도 2c에 있어는 도 2b의 가장자리 이미지에 있어서 얼굴 부분에 대한 포커스 값을 나타낸 것으로, 얼굴 부분에 있어서 가장 뾰족한 부분에서의 포커스 값은 34483이다. 참고로 도 2c에서 세로축의 최하단은 0의 값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도시의 편의를 위해 그래프의 하측 부분을 생략하였다. 이와 같이 도 2c에 도시된 것과 같은 그래프의 기초 자료가 오토포커싱 데이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주 피사체에 대한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데, 그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오토포커싱 데이터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에 따른 렌즈의 위치 조정을 위한 데이터라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오토포커싱 데이터는 결국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에 관한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는 거리 판단부(120)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오토포커싱 렌즈(10)의 오토포커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물론,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와 같이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110)를 별도로 더 구비하고, 거리 판단부(120)는, 거리 측정부(110)로부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도록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거리 측정부(110)는 예컨대 적외선 센서 등을 이용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거리 판독부(120)에서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고,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52)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의 가장자리 부분에 관한 데이터인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되 거리 판단부(120)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상이하게 하여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어 이를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54)로 보내며,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54)는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52)에서 획득한 가장자리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한다.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52)가 거리 판단부(120)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 이의 거리에 따라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상이하게 하여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는 원거리에 위치한 피사체의 최종 이미지로서,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크게 하여 (원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가장자리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가장자리 데이터를 기초로 (원본)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한 결과물의 이미지이다. 도 4b는 도 4a 처리과정에서의 가장자리 이미지이다. 도 5a는 도 4a에서와 동일한 (원본) 이미지를 상이하게 처리한 최종 이미지로서,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작게 하여 (원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가장자리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가장자리 데이터를 기초로 (원본)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한 결과물의 이미지이다. 도 5b는 도 5a 처리과정에서의 가장자리 이미지이다. 도 4a 및 도 5a에서의 주 피사체의 크기를 고려하면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짧은 것으로 여길 수 있으나, 도 4a 및 도 5a에서의 이미지는 전체 이미지가 아닌 크롭 이미지이기에 그와 같이 나타난 것일 뿐이며 실제로 도 4a와 도 5a 이미지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먼 원거리 경우이다.
도 4b와 도 5b를 참조하면, 도 4b에서 밝게 나타난 화소들의 개수가 도 5b에서 밝게 나타난 화소들의 개수보다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크게 하여 (원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가장자리 데이터를 획득한다는 것은 가장자리 이미지에서 밝게 나타나는 화소들의 개수가 많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도 4b의 가장자리 이미지가 도 5b의 가장자리 이미지보다 (원본) 이미지 내의 피사체들의 가장자리에 관한 정보를 더욱 많이 포함한다는 것이며, 따라서 도 4b와 같은 가장자리 데이터로 (원본)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할 경우 도 5b와 같은 가장자리 데이터로 (원본)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는 경우보다 수정된 최종 이미지에 있어서 피사체의 선명도가 더 높게 된다. 피사체의 선명도는 피사체의 가장자리에 관한 데이터의 양에 관계되기 때문이다. 가장자리 데이터로 (원본)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실제로 도 4a 이미지가 도 5a 이미지보다 더 선명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크게 하여 가장자리 데이터를 획득한다. 또는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추출된 가장자리 데이터에 있어서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화소들의 개수가 많도록 가장자리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피사체의 가장자리에 관한 데이터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도 2b를 참조하여 전술한 가장자리 이미지에 있어서는 모든 화소는 1 또는 0의 값을 갖는 화소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장자리 이미지에 있어서도 예컨대 0 내지 255의 다양한 휘도값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추출된 가장자리 데이터에 있어서 높은 휘도를 갖는 화소들의 개수가 많도록 가장자리 데이터를 획득하게 할 수도 있다. 또는,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인접한 화소 들 사이의 휘도 차이가 작더라도 가장자리로 인식하도록 가장자리 데이터를 획득함으로써, 피사체의 가장자리에 관한 데이터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이미지 데이터에 있어서 인접한 화소들 사이의 휘도 차이가 작더라도 추출된 가장자리 데이터에 있어서 높은 휘도를 갖도록 가장자리 데이터를 획득함으로써, 피사체의 가장자리에 관한 데이터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a는 근거리에 위치한 피사체의 최종 이미지로서,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크게 하여 (원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가장자리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가장자리 데이터를 기초로 (원본)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한 결과물의 이미지이다. 도 6b는 도 6a 처리과정에서의 가장자리 이미지이다. 도 7a는 도 6a에서와 동일한 (원본) 이미지를 상이하게 처리한 최종 이미지로서,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작게 하여 (원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가장자리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가장자리 데이터를 기초로 (원본)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한 결과물의 이미지이다. 도 7b는 도 7a 처리과정에서의 가장자리 이미지이다.
도 6b와 도 7b를 참조하면, 도 6b에서 밝게 나타난 화소들의 개수가 도 7b에서 밝게 나타난 화소들의 개수보다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크게 하여 (원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가장자리 데이터를 획득한다는 것은 가장자리 이미지에서 밝게 나타나는 화소들의 개수가 많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인 근거리 이미지의 경우 도 6a 및 도 7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미지 내에서 피사체의 크기가 커지며, 또한 피사체에서 밝게 빛나는 부분(하이라이트 부분)이 이미지 내에서 크게 나타난다. 가장자리 데이터는 피사체의 가장자리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부분의 데이터뿐만 아니라 하이라이트 부분 등과 같은 타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의 데이터까지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가장자리 데이터를 추출할 시 더 많은 가장자리 데이터를 추출한다면, 이미지 내에서 더 많은 부분이 밝게 빛나는 부분(하이라이트 부분) 등으로 더욱 강조되어, 오히려 전체적인 이미지의 자연스러움이 저하된다. 하이라이트 부분이 증가하게 되면 색상에 관한 정보가 상대적으로 줄어들거나 관찰자에게 인지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6b와 같은 가장자리 데이터로 (원본)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할 경우보다 도 7b와 같은 가장자리 데이터로 (원본)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는 경우가 수정된 최종 이미지에 있어서 이미지가 더욱 자연스럽게 된다. 실제로 도 6a 이미지보다 도 7a 이미지가 더 자연스러움을 알 수 있다. 예컨대 도 6a의 이미지와 도 7a의 이미지를 비교하면 하이라이트 부분의 표면이 매끄러운 피사체임에도 불구하고 도 6a의 이미지의 경우 도 7a의 이미지의 경우보다 하이라이트 부분에 더 많은 흠집이 있는 것과 같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고려하여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 정도를 상이하게 조절함으로써,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에는 피사체가 더욱 선명한 최종 이미지 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촬상소자에서 얻어진 이미지 데이터를 상이한 방식으로 처리함으로써,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상이하더라도 언제나 선명하면서도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가장자리 이미지를 얻는 과정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2b를 참조하여 전술한 가장자리 이미지에 있어서는 모든 화소는 1 또는 0의 값을 갖는 화소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가장자리 이미지에 있어서도 예컨대 0 내지 255의 다양한 휘도값을 가질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는 가로방향으로 10개의 화소들과 세로방향으로 10개의 화소들을 가져 총 100개의 화소들을 갖는 이미지(Im)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8b는 도 4b, 도 5b, 도 6b 및 도 7b와 같은 가장자리 이미지를 얻기 위한 가장자리 필터(Filter)로서 가로방향으로 5개의 서브필터들과 세로방향으로 5개의 서브필터들을 가져 총 25개의 서브필터들을 갖는 가장자리 필터(Filter)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은 100개의 화소들 각각의 휘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100개의 화소들 각각에 대한 가장자리 데이터를 계산함으로써 100개의 화소들을 갖는 가장자리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도 8c는 도 8b의 가장자리 필터를 이용하여 도 8a의 총 100개의 화소들에 있 어서 (3,3)의 일 화소의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3,3)의 화소의 휘도값을 P3,3이라 하고 (3,3)의 화소의 가장자리 데이터를 P'3,3이라 한다. (3,3)의 화소의 가장자리 데이터 P'3,3을 얻기 위해서는,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전체 이미지(Im)에서, 도 8c에 도시된 것과 같이, (3,3)의 화소를 중심으로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가장자리 필터(Filter)와 동일한 크기의 서브이미지(SubIm3,3)를 선택하고, 이 서브이미지(SubIm3,3)와 가장자리 필터(Filter)의 조합에 의해 (3,3)의 화소의 가장자리 데이터인 P'3,3을 얻는다. P'3,3은 다음 수학식 1에 따라 얻을 수 있다.
+ (P2 ,1 × F2,1) + (P2 ,2 × F2,2) + … + (P2 ,5 × F2,5)
…
+ (P5 ,1 × F5,1) + (P5 ,2 × F5,2) + … + (P5 ,5 × F5,5)
상기 수학식1에서 Fi,j는 (i,j)의 서브필터의 값으로서, 가중치를 의미한다. 예컨대, 가장질 필터(Filter)의 중심에 해당하는 (3,3)의 서브필터의 값 F3,3은 다른 위치의 서브필터들의 값보다 크고, 다른 위치의 서브필터들은 (3,3)의 서브필터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서브필터의 값이 작아지도록 함으로써, 이미지(Im)의 (3,3) 의 화소와 인접 화소와의 관계에 따른 (3,3)의 화소의 가장자리 데이터 P'3,3을 결정할 수 있다.
도 8d는 도 8b의 가장자리 필터를 이용하여 도 8a의 총 100개의 화소들에 있어서 (3,4)의 화소의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3,4)의 화소의 가장자리 데이터 P'3,4를 얻기 위해서는,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전체 이미지(Im)에서, 도 8d에 도시된 것과 같이, (3,4)의 화소를 중심으로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가장자리 필터(Filter)와 동일한 크기의 서브이미지(SubIm3,4)를 선택하고, 이 서브이미지(SubIm3,4)와 가장자리 필터(Filter)의 조합에 의해 (3,4)의 화소의 가장자리 데이터인 P'3,4를 얻는다. P'3,4는 다음 수학식 2에 따라 얻을 수 있다.
+ (P2 ,2 × F2,1) + (P2 ,3 × F2,2) + … + (P2 ,6 × F2,5)
…
+ (P5 ,2 × F5,1) + (P5 ,3 × F5,2) + … + (P5 ,6 × F5,5)
동일한 방식으로 도 8a의 이미지(Im)의 100개의 화소들 각각에 대해 가장자리 데이터를 계산하면, 도 8e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가장자리 이미지(EdgeIm)를 얻을 수 있다. 도 4b, 도 5b, 도 6b 및 도 7b의 가장자리 이미지는 이와 같은 방법을 통 해 얻은 가장자리 이미지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에 있어서 가장자리 필터(Filter)의 (i,j) 서브필터의 값인 Fi,j의 조합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상이하게 하여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예컨대 (3,3)의 화소의 가장자리 데이터인 P'3,3을 계산함에 있어서 서브필터 (3,3)의 주변 서브필터들의 값인 F2,2, F2,3, F2,4, F3,2, F3,4, F4,2, F4,3 및 F4,4의 값이 음수일 경우, F2,2, F2,3, F2,4, F3,2, F3,4, F4,2, F4,3 및 F4,4의 절대값을 크게 할수록, (3,3)의 화소의 가장자리 데이터인 P'3,3의 값이 작아지게 된다. 물론 수학식 1에 따른 계산결과가 0보다 작게 되면 P'3,3은 0의 값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휘도는 0 이상의 값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가장자리 필터(Filter)의 서브필터들의 값(Fi,j)을 조정함으로써 (3,3)의 화소의 가장자리 데이터인 P'3,3의 값이 작아진다는 것은 도 8e의 가장자리 이미지(EdgeIm)에서 밝게 나타나는 화소들의 개수가 적어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약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가장자리 필터(Filter)의 (i,j) 서브필터의 값인 Fi,j의 조합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상이하게 하여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물론 도 8b에서의 가장자리 필터(Filter)는 예시적인 것이며 그 크기와 형태 등은 도 8b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는 방법 또한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최종 이미지에 있어서 피사체의 선명도는 피사체의 가장자리에 관한 데이터의 양에 관계되는 바, 가장자리 데이터로 (원본)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여 최종 이미지를 얻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54)는 가장자리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한다. 이때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54)는 (원본) 이미지 데이터 중 가장자리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정함으로써 피사체의 선명도 및 자연스러움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장자리 데이터는 휘도 정보를 갖는 데이터이므로,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54), 각 화소에 있어서, (원본)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에 가장자리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부가할 수 있다. 여기서 각 화소에 있어서 (원본)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에 가장자리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부가한다는 것은, (원본)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와 가장자리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더한 값이 최대 휘도값 이하이면,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와 가장자리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더한 값으로 수정하고,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와 가장자리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더한 값이 최대 휘도값보다 크면,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최대 휘도값으로 수정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최대 휘도값이라 함은, 예컨대 8비트 정보로 각 화소의 휘도를 표시한다면 각 화소의 휘도는 0 내지 255(=28-1)의 값을 가질 수 있으므로 255가 최대 휘도값이 된다.
이와 같이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54)가 가장자리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이미 지 데이터를 수정한다. 이때 (원본) 이미지 데이터에 부가되는 가장자리 데이터가 도 5b와 같이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가 낮은 가장자리 데이터가 아니라 도 4b와 같이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가 큰 가장자리 데이터라면, 결과적으로 최종 이미지 데이터에 있어서 피사체의 가장자리 휘도가 더욱 강조되기 때문에, 도 5a와 같은 피사체의 선명도가 낮은 최종 이미지가 아닌 도 4a와 같은 피사체의 선명도가 높은 최종 이미지가 된다. 한편 (원본) 이미지 데이터에 부가되는 가장자리 데이터가 도 6b와 같이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가 높은 가장자리 데이터가 아니라 도 7b와 같이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가 낮은 가장자리 데이터라면, 결과적으로 최종 이미지 데이터에 있어서 피사체의 하이라이트 등의 강조가 줄어들기 때문에, 도 6a와 같은 부자연스러운 최종 이미지가 아닌 도 7a와 같은 자연스러운 최종 이미지가 된다.
이와 같이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54)가 가장자리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되,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는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52)가, 거리 판단부(120)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상이하게 하여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하면,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에는 선명한 최종 이미지를 얻으면서도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는 단계(S10)와, 디지털 촬영장치의 촬상소자에 입력된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20)를 거친다. 주 피사체는 디지털 촬영장치가 초점을 맞추는 대상물을 의미한다.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는 단계(S10)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오토포커싱 렌즈의 오토포커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고, 디지털 촬영장치에 구비된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로부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에서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는 단계(S10)를 거친 후 디지털 촬영장치의 촬상소자에 입력된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20)를 거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디지털 촬영장치의 촬상소자에 입력된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20)를 먼저 거친 후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는 단계(S10)를 거칠 수도 있으며,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는 단계(S10)와 디지털 촬영장치의 촬상소자에 입력된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20)를 병렬적으로 진행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 및 후술하는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편의상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는 단계(S10)를 거친 후 디지털 촬영장치의 촬상소자에 입력된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20)를 거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 후,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는 단계(S30)를 거친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의 가장자리 부분에 관한 데이터인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되,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상이하게 하여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는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크게 하여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을 수도 있고, 추출된 가장자리 데이터에 있어서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화소들의 개수가 많도록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을 수도 있으며, 추출된 가장자리 데이터에 있어서 높은 휘도를 갖는 화소들의 개수가 많도록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을 수도 있고, 인접한 화소들 사이의 휘도 차이가 작더라도 가장자리로 인식하도록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을 수도 있으며, 이미지 데이터에 있어서 인접한 화소들 사이의 휘도 차이가 작더라도 추출된 가장자리 데이터에 있어서 높은 휘도를 갖도록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는 단계(S30)를 거친 후, 가장자리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는 단계(S40)를 거친다. 이는 이미지 데이터 중 가장자리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정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는, 가장자리 데이터는 휘도 정보를 갖는 데이터이고, 이 단계(S40)는 각 화소에 있어서,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에 가장자리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부가하는 단계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와 가장자리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더한 값이 최대 휘도값 이하이면,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와 가장자리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더한 값으로 수정하고,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와 가장자리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더한 값이 최대 휘도값보다 크면, 이미 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최대 휘도값으로 수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이 도 9를 참조하여 전술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과 상이한 점은,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 과정이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은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원거리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2)를 거치고, 이에 따라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원거리일 경우에는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크게 하여 가장자리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34)를 거치며,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원거리가 아닐 경우에는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작게 하여 가장자리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36)를 거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획득한 가장자리 데이터를 기초로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는 단계(S40)를 거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이 도 9 또는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들과 상이한 점은,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 과정이다.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은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장자리 필터를 변경하는 단계(S38)를 거친다. 그리고 이 변경된 가장자리 필터를 이용하여 가장자리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39)를 거친다.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장자리 필터를 변경하는 방식은 수학식 1 및 수학식 2 를 참조하여 전술한 방식 및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어떤 경우이던지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획득되는 가장자리 데이터의 추출 정도를 수정하는 것이면 족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가장자리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되, 가장자리 데이터를 획득할 시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상이하게 하여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이용하면,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에는 선명한 최종 이미지를 얻으면서도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된 본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라 함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저장매체(80)일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메모리(60)일 수도 있으며, 이와 다른 별도의 기록매체일 수도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컨대,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물론 예컨대 도 1에서의 CPU(100)일 수도 있고 그 일부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a는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할 시 얻어지는 이미지이고, 도 2b는 도 2a의 이미지의 가장자리 이미지이며, 도 2c는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가 오토포커싱을 위한 렌즈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a는 원거리에 위치한 피사체의 최종 이미지로서,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크게 하여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가장자리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가장자리 데이터를 기초로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한 결과물의 이미지이다.
도 4b는 도 4a 처리과정에서의 가장자리 이미지이다.
도 5a는 원거리에 위치한 피사체의 최종 이미지로서,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작게 하여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가장자리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가장자리 데이터를 기초로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한 결과물의 이미지이다.
도 5b는 도 5a 처리과정에서의 가장자리 이미지이다.
도 6a는 근거리에 위치한 피사체의 최종 이미지로서,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크게 하여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가장자리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가장자리 데이터를 기초로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한 결과물의 이미지이다.
도 6b는 도 6a 처리과정에서의 가장자리 이미지이다.
도 7a는 근거리에 위치한 피사체의 최종 이미지로서,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작게 하여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가장자리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가장자리 데이터를 기초로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한 결과물의 이미지이다.
도 7b는 도 7a 처리과정에서의 가장자리 이미지이다.
도 8a는 가로방향으로 10개의 화소들과 세로방향으로 10개의 화소들을 가져 총 100개의 화소들을 갖는 이미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8b는 도 4b, 도 5b, 도 6b 및 도 7b와 같은 가장자리 이미지를 얻기 위한 가장자리 필터로서 가로방향으로 5개의 서브필터들과 세로방향으로 5개의 서브필터들을 가져 총 25개의 서브필터들을 갖는 가장자리 필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8c는 도 8b의 가장자리 필터를 이용하여 도 8a의 총 100개의 화소들에 있어서 (3,3)의 화소의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8d는 도 8b의 가장자리 필터를 이용하여 도 8a의 총 100개의 화소들에 있어서 (3,4)의 화소의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8e는 도 8a의 이미지로부터 얻은 가장자리 이미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렌즈 20: 조리개
30: 촬상소자 40: A/D 변환부
52: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 54: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
56: 디지털 신호 처리부 60: 메모리
70: 저장/판독 제어부 80: 저장매체
90: 디스플레이부 100: CPU
110: 거리 측정부 120: 거리 판단부
Claims (25)
- (a)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는 단계;(b) 디지털 촬영장치의 촬상소자에 입력된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c)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의 가장자리 부분에 관한 데이터인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되,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상이하게 하여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는 단계; 및(d) 가장자리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a) 단계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오토포커싱 렌즈의 오토포커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a) 단계는 디지털 촬영장치에 부착된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로부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c) 단계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크게 하여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c) 단계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추출된 가장자리 데이터에 있어서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화소들의 개수가 많도록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c) 단계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추출된 가장자리 데이터에 있어서 높은 휘도를 갖는 화소들의 개수가 많도록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c) 단계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인접한 화소들 사이의 휘도 차이가 작더라도 가장자리로 인식하도록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c) 단계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이미지 데이터에 있어서 인접한 화소들 사이의 휘도 차이가 작더라도 추출된 가장자리 데이터에 있어서 높은 휘도를 갖도록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d) 단계는 이미지 데이터 중 가장자리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 제9항에 있어서,가장자리 데이터는 휘도 정보를 갖는 데이터이고, 상기 (d) 단계는 각 화소에 있어서,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에 가장자리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부가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 제9항에 있어서,가장자리 데이터는 휘도 정보를 갖는 데이터이고, 상기 (d) 단계는 각 화소에 있어서(d-1)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와 가장자리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더한 값이 최대 휘도값 이하이면,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 보와 가장자리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더한 값으로 수정하는 단계; 및(d-2)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와 가장자리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더한 값이 최대 휘도값보다 크면,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최대 휘도값으로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주 피사체는 디지털 촬영장치가 초점을 맞추는 대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는 거리 판단부;입력된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의 가장자리 부분에 관한 데이터인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되, 상기 거리 판단부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상이하게 하여 가장자리 데이터를 얻는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상기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에서 획득한 가장자리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수정하는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 지털 촬영장치.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거리 판단부는,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오토포커싱 렌즈의 오토포커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 제14항에 있어서,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거리 판단부는, 상기 거리 측정부로부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가장자리 데이터 추출 정도를 크게 하여 가장자리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 가 멀수록 추출된 가장자리 데이터에 있어서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화소들의 개수가 많도록 가장자리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추출된 가장자리 데이터에 있어서 높은 휘도를 갖는 화소들의 개수가 많도록 가장자리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인접한 화소들 사이의 휘도 차이가 작더라도 가장자리로 인식하도록 가장자리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가장자리 데이터 획득부는, 디지털 촬영장치와 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이미지 데이터에 있어서 인접한 화소들 사이의 휘도 차이가 작더라도 추출된 가장자리 데이터에 있어서 높은 휘도를 갖도록 가장자리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는 이미지 데이터 중 가장자리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 제14항에 있어서,가장자리 데이터는 휘도 정보를 갖는 데이터이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는, 각 화소에 있어서,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에 가장자리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 제22항에 있어서,가장자리 데이터는 휘도 정보를 갖는 데이터이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 수정부는, 단계는 각 화소에 있어서,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와 가장자리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더한 값이 최대 휘도값 이하이면,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와 가장자리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더한 값으로 수정하고,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와 가장자리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더한 값이 최대 휘도값보다 크면,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최대 휘도값으로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 제14항에 있어서,주 피사체는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가 초점을 맞추는 대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98391A KR101378329B1 (ko) | 2007-09-28 | 2007-09-28 |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
US12/284,101 US7956911B2 (en) | 2007-09-28 | 2008-09-18 |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98391A KR101378329B1 (ko) | 2007-09-28 | 2007-09-28 |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32838A true KR20090032838A (ko) | 2009-04-01 |
KR101378329B1 KR101378329B1 (ko) | 2014-03-27 |
Family
ID=40507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98391A KR101378329B1 (ko) | 2007-09-28 | 2007-09-28 |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7956911B2 (ko) |
KR (1) | KR10137832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715064A (zh) * | 2008-10-06 | 2010-05-26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影像撷取装置及其影像拍摄方法 |
JP5966535B2 (ja) * | 2012-04-05 | 2016-08-10 | ソニー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08216A (ja) | 1999-06-21 | 2001-01-1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画像処理装置 |
JP2005020061A (ja) | 2003-06-23 | 2005-01-20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方法 |
KR20060035271A (ko) * | 2004-10-22 | 2006-04-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포커스 수동 조절 상태를 표시하는 촬상장치 및 그 방법 |
-
2007
- 2007-09-28 KR KR1020070098391A patent/KR10137832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
- 2008-09-18 US US12/284,101 patent/US795691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78329B1 (ko) | 2014-03-27 |
US20090086053A1 (en) | 2009-04-02 |
US7956911B2 (en) | 2011-06-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29915B2 (en) |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
KR101692401B1 (ko) |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 |
JP4582423B2 (ja) |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撮像方法、及び画像処理方法 | |
US9723208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 |
US9992478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ickup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synthesizing images | |
CN108337450B (zh) |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方法以及记录介质 | |
US11184524B2 (en) | Focus control device, focus control method, program, and imaging device | |
JP2007233247A (ja) | 焦点調節量決定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撮像装置 | |
CN104702824A (zh) | 摄像装置及摄像装置的控制方法 | |
US9600871B2 (en) | Image correcting apparatus, image correct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eon | |
KR101323735B1 (ko) |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 |
KR20100013171A (ko) | 오토 포커스 영역의 움직임 보상 방법 및 장치, 이를이용한 오토 포커스 방법 및 장치 | |
JP2011228807A (ja) | 画像処理プログラム、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 |
JP2007329619A (ja) | 映像信号処理装置と映像信号処理方法、および映像信号処理プログラム。 | |
KR102446812B1 (ko) | 이미지 보정 장치, 이미지 보정 방법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 |
US11513315B2 (en) | Focus control device, focus control method, program, and imaging device | |
JP2010279054A (ja) |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撮像方法、及び画像処理方法 | |
JP2017003832A (ja) | 自動焦点調節装置および光学機器 | |
JP6423668B2 (ja) |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 |
KR101378329B1 (ko) |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 |
US8514305B2 (en) | Imaging apparatus | |
US20230353880A1 (en) | Imag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
JP6541835B2 (ja) |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 |
US20190094656A1 (en) |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JP5561389B2 (ja) | 画像処理プログラム、画像処理装置、電子カメラ、および画像処理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