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9627A - 중계 장치를 이용한 이동 단말의 통신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중계 장치를 이용한 이동 단말의 통신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99627A KR20080099627A KR1020070045421A KR20070045421A KR20080099627A KR 20080099627 A KR20080099627 A KR 20080099627A KR 1020070045421 A KR1020070045421 A KR 1020070045421A KR 20070045421 A KR20070045421 A KR 20070045421A KR 20080099627 A KR20080099627 A KR 200800996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relay device
- base station
- communication environment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6855 networ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계 장치를 이용한 이동 단말의 통신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지국과 상기 중계 장치 사이의 통신 환경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판단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경된 통신 환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중계 장치와 상기 단말간의 통신 환경을 제어함으로써, 중계 장치와 기지국간의 외부 네트워크에 관한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 네트워크 환경 변화에 대해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중계 장치, 종속 연결, 핸드오버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중계 장치를 이용한 통신 장치에 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장치가 기지국과 단말을 중계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이 중계 장치를 이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장치가 기지국과 단말을 중계하는 장치에 관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이 중계 장치를 이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는 장치에 관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계 장치를 이용한 이동 단말의 통신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단순히 이동 단말로 통신을 하는 것 외에도 차를 타고 가는 도중이나 걸어가면서 계속적으로 통신을 할 필요성이 생기게 되었다. 이렇게 이동 중 통신을 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술적인 고려 사항은 바로 끊임없는 인터넷 연결이다.
특히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킹 장치간의 끊임없는 연결로 인터넷을 지속적으로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데이터 통신 중인 이동 단말이 동종망은 물론 이종망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핸드오버(handover)'기술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끊김없이 계속적으로 통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핸드오버 기술 연구의 핵심인 빠른 핸드오버 기술의 구현을 위해서는 레이어(layer)2 정보 혹은 L2 트리거(trigger) 정보라고 불리는 정보를 네트워킹 장치로부터 얻어내야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무선 네트워킹 장치의 종류가 많아지고 단말의 소형화가 지속되면서, 하나의 단말에 모든 네트워크 장치를 탑재하는게 어려워지고 있다.
또한, 각종 차량에 네트워킹 장비를 탑재하고 이를 통해 단말이 네트워킹 서 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해짐에 따라 차량의 네트워킹 장비와 단말간의 재연결 즉 중계 장치를 통한 종속 연결의 사례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의 네트워킹 장비와 유선이나 무선으로 종속 연결된 단말에는 기본적으로 무선 네트워킹 장비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단말은 중계 장치를 통한 연결 뿐만 아니라 단말에 탑재된 무선 네트워킹 장비를 통한 연결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들간의 핸드오버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러나 중계 장치와 단말이 유선으로 연결된 경우에 유선 네트워킹 장비에는 L2 트리거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이 없으므로 빠른 핸드오버가 불가능하다. 또한 중계 장치와 단말이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단말이 중계 장치와 기지국간의 통신 환경의 변경여부를 알 수 없으므로 역시 빠른 핸드오버가 불가능하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중계 장치를 이용한 통신 장치에 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중계 장치를 이용한 통신 장치의 일 실시예는 기지국(112), 중계 장치(114) 및 중계 장치(114)와 유선으로 연결된 단말(116)로 구성된다.
기지국(112)은 중계 장치(114)를 경유하여 단말(116)과 통신을 수행한다.
중계 장치(114)는 기지국(112)으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단말(116)에 전송한다. 중계 장치는 자동차, 항공기, 선박등 여러 가지 형태의 이동 가능한 플랫폼(119)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중계 장치(114)는 차량의 특정 공간에 설치되며 기지국(112)과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며, 단말(116)과는 유선으로 통 신을 수행한다.
중계 장치(114)는 기지국(112)과 통신하기 위하여 일측에 무선 네트워크 모듈 및 안테나를 구비하며, 단말(116)과 통신하기 위하여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선 네트워크는 이더넷(Ethernet)을 통한 네트워크이다.
단말(116)은 중계 장치(114)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중계 장치(114)의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연결된다. 단말(116)은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이외에 무선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및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탑재되어 있다.
단말(116)이 이더넷(ethernet)을 이용하여 네트워킹을 사용하려면 이더넷 망의 한 부분인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의 끝단에 연결된 인터페이스용 커넥터를 단말(116)의 단자에 연결한다. 만일 UTP 케이블의 커넥터가 단말(116)의 단자에서 분리되면 단말(116)은 더 이상 이더넷의 네트워킹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중계 장치(114)와 유선으로 연결된 단말(116)에 포함된 이더넷 모듈은 커넥터의 접속 유무에 따라 이더넷의 사용 가능 여부만을 알 수 있다.
유선 네트워킹은 원래 고정식으로 동작하므로, 무선 네트워킹처럼 기지국(112)과 단말(114)간의 거리에 따라 신호의 세기가 약해지는 문제점에 대한 대응 책이 고려되어 있지 않다. 고정식으로 동작하는 유선 네트워킹의 경우 중계 장치(114)와 단말(116)간의 거리가 너무 멀어지면 신호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으나, 이는 다른 중계 장치를 둠으로써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차량이 이동함에 따라 중계 장치(114)가 기지국(112)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남으로써 중계 장치(114)와 기지국(112)사이의 무선 네트워킹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이 경우 중계 장치(114)와 유선으로 연결된 단말(116)에서도 더 이상 인터넷을 이용할 수 없다.
중계 장치(114)와 단말(116)간의 통신은 유선 네트워킹으로 수행되며, 이는 앞서 살핀데로 케이블이 단말(116)로부터 끊어지지 않는 이상 중계 장치(114)와 기지국(112)간의 무선 네트워킹 상황이 좋지 않음을 알 수 없다. 따라서 단말(116)이 이더넷으로부터 HSDPA, CDMA등과 같은 다른 통신 환경으로 빠른 핸드오버(handover)를 수행할 수 없게 된다.
핸드 오버는 각각의 서비스 제공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이동했을 때, 끊김없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여러 가지 무슨 네트워크 장치(무선랜, CDMA, HSDPA)가 모두 탑재된 단말 장치에서 네트워킹 서비스를 받고 있다고 가정한다. 무선랜 서비스가 제공되는 영역에서는 무선랜으로 서비스를 받다가 단말이 무선랜 서비스 제공영역을 벗어나면 좀더 서비스 제공 영역이 넓지만 전송 속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이용가격이 비싼 HSDPA나 CDMA를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끊김없이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을 핸드오버라고 한다.
핸드오버 과정에서 끊김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단말이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정보를 제공받아야 하는데 이를 레이어 2정보 또는 L2 트리거라고 한다.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하나의 형태는 기지국과 단말간의 직접 연결이 아닌 중계기를 통한 재연결 방법이다. 같은 무선 기술을 통한 무선 통신이라 하더라도 직접 기지국과 연결하는 것과 차량용 안테나와 같은 중계기를 통해 연결하는 것과는 품질 차이가 있다. 특히 선박과 항공기 같은 경우는 직접 연결을 통한 무선 인터넷은 불가능 하므로, 중계기를 통한 재연결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 자동차 같은 이동 플랫폼에 중계기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동 플f랫폼이 이동함에 따라 중계기가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더 이상 단말이 당해 통신 환경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으므로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다른 통신 환경으로 핸드 오버를 수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중계기를 통한 네트워킹의 경우 단말까지 중계기의 L2 트리거 정보가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패스트 핸드오버(fast handover)를 수행할 수 없다.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중계 장치를 이용한 통신 장치에 관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중계 장치를 이용한 통신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기지국(122), 중계 장치(124) 및 중계 장치(124)와 무선으로 연결된 단말(126)로 구성된다.
기지국(122)는 중계 장치(124)를 경유하여 단말(126)과 통신을 수행한다.
중계 장치(124)는 기지국(122)과 통신하기 위하여 일측에 무선 네트워크 모듈 및 안테나를 구비하며, 단말(126)과 통신하기 위하여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단말(126)은 중계 장치(124)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및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 적어도 두개 이상의 무선 인터페이스가 탑재되어 있다.
도 1b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중계 장치를 이용한 통신 장치는 중계 장치(124)와 단말(126)의 연결이 유선 네트워크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무선 네트워크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중계 장치를 이용한 통신 장치와 동일하다.
단말(126)이 중계 장치(124)와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에도 중계 장치(124)와 기지국(122)간의 통신이 원활하게 수행되는 지에 관계없이 항상 양호하다. 이는 단말(126)은 중계 장치(124)에서 전달되는 비콘(beacon)신호 등에 따라 통신 환경을 판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말(126)은 중계 장치(124)와 기지국(122)과의 통신 상황을 파악할 수 없다.
결국 패스트 핸드오버를 적용할 수 없어, 중계 장치(124)와 기지국(122)간의 통신이 완전히 단절된 후에야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하게 되고, 따라서 단말(126)은 매우 긴 시간동안 통신이 단절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중계 장치를 이용한 통신 장치는 중계 장치와 기지국간의 통신 환경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단말이 알지 못하여 패스트 핸드오버 등을 수행할 수 없어 문제가 되었다.
본 발명은 중계 장치와 기지국간의 통신 환경 변경 정보를 이용하여 중계 장치와 단말간의 통신 환경을 제어함으로써 단말이 끊김없이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을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은 중계 장치가 기지국과 단말간 통신을 중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중계 장치 사이의 통신 환경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경된 통신 환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중계 장치와 상기 단말간의 통신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다른 통신 환경으로 핸드 오버(handover)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성된 정보는, IEEE 802.11 규격의 레이어(layer)2 파라미터(parameter) 값이 변경되었음을 의미하는 L2 트리거(trigger) 정보인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또는 단위 시간당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비콘(beacon)신호의 개수에 기초하여 수행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정보가 L2 트리거 정보인 경우로써 상기 중계 장치와 상기 단말이 유선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중계 장치와 상기 단말간의 연결을 차단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정보가 L2 트리거 정보인 경우로써 상기 중계 장치와 상기 단말이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에 전송되는 신호의 세기를 약화시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정보가 L2 트리거 정보인 경우로써 상기 중계 장치와 상기 단말이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무선 채널의 상태가 양호한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소정 주기마다 상기 단말에 전송되는 무선 신호의 전송 주기를 상기 소정 주기보다 길게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 채널의 상태가 양호한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에 전송되는 무선 신호는 비콘(beacon)신호 인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중계 장치가 기지국과 단말간 통신을 중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중계 장치 사이의 통신 환경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경된 통신 환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과 상기 중계 장치 사이의 통신 환경 변경에 기초하여 상기 중계 장치와 상기 단말 사이의 통신 환경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생성된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단말이 중계 장치를 이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중계 장치 사이의 통신 환경이 변경됨에 따라,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상기 변경된 통신 환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중계 장치와 상기 단말간의 통신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된 정보가 상기 기지국과 상기 중계 장치 사이에 IEEE 802.11 규격의 레이어(layer)2 파라미터(parameter) 값이 변경되었음을 의미하는 제 1 L2 트리거(trigger) 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장치와 상기 단말 사이에 IEEE 802.11 규격의 레이어(layer)2 파라미터(parameter) 값이 변경되었음을 의미하는 제 2 L2 트리거(trigger)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다른 통신 환경으로 핸드오버(handover)를 수행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장치가 기지국과 단말을 중계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 210 에서는 기지국과 중계 장치 사이의 통신 환경이 변경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 예로 IEEE 802.11 규격상의 제 2 계층이 가지는 파라미터(parameter) 값 이 변경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IEEE 802.11 규격상의 제 2 계층이 가지는 파라미터 값이 변경하였는지 여부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또는 단위 시간당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비콘(beacon) 신호의 개수등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단계 220은 단계 21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경된 통신 환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한다. 일 예로 단계 210에서 기지국과 중계 장치 사이의 통신 환경이 변경되어 IEEE 802.11 규격의 레이어(layer) 2 파라미터 값이 변경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L2 트리거(trigger) 정보를 생성한다.
IEEE 802.11 규격상의 제 2 계층이 가지는 파라미터 값은 수신되는 비콘 신호나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등에 따라 변경되므로, 중계 장치가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는 시점을 파악할 수 있다.
단계 230에서는 단계 220에서 생성된 정보에 기초하여 중계 장치와 단말간의 통신 환경을 제어한다.
일 예로 단계 230에서는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다른 통신 환경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빠른 핸드 오버를 위해서는 기지국과 중계 장치 사이의 통신이 완전히 끊기기 전에 핸드 오버를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기지국과 중계 장치 사이의 통신 환경이 변경되어 L2 트리거 정보가 생성된 경우에는 단말이 핸드 오버를 수행할 수 있도록 단말과 중계 장치 사이의 통신 환경을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성된 정보에 기초하여 중계 장치와 단말간의 통신 환경을 제어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이하에서는 중계 장치가 기지국의 서비스 범위를 벗어남으로써 L2 트리거 정보가 생성된 경우에 있어서,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다른 통신 환경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중계 장치와 단말간의 통신 환경을 제어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일 예로, 중계 장치와 단말이 유선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중계 장치와 단말간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중계 장치와 단말이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중계 장치로부터 단말에 전송되는 신호의 세기를 약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중계 장치와 단말이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무선 채널의 상태가 양호한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일정 주기마다 단말에 전송되는 무선 신호의 전송 주기를 길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채널의 상태가 양호한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단말에 전송되는 무선 신호의 일 예로 비콘(beacon) 신호를 들 수 있다. 비콘 신호는 통신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단위 시간당 수신되는 비콘 신호의 개수에 기초하여 무선 채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계 장치와 단말 사이의 통신 환경을 제어하면, 단말은 수신 상태가 악화되었음을 파악하여 L2 트리거 정보를 생성한다. 단말은 생성된 L2 트리거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handover)을 수행함으로써 끊김 현상을 줄이고 계속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단계 230은 단계 220에서 생성된 정보를 이용하여 중계 장치와 단말을 제어하지 않고, 단순히 생성된 정보를 단말에 전달하게 설계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정 보를 전달받은 단말측에서 전달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중계 장치와 단말간의 통신 환경을 제어한다. 이는 도 3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이 중계 장치를 이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 310에서는 기지국과 중계 장치 사이의 통신 환경이 변경됨에 따라, 기지국과 중계 장치 사이의 변경된 통신 환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 기지국과 중계 장치 사이의 변경된 통신 환경을 나타내는 정보는 다양하다. 일 예로 제 1 L2 트리거 정보는 기지국과 중계 장치간에 IEEE 802.11 규격의 레이어(layer)2 패러미터(parameter) 값이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단계 320에서는 단계 310에서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중계 장치와 단말의 통신 환경을 제어한다.
단계 320에서는 단계 310에서 수신된 정보가 기지국과 중계 장치 사이에 IEEE 802.11 규격의 레이어(layer)2 패러미터(parameter) 값이 변경되었음을 의미하는 제 1 L2 트리거(trigger) 정보인 경우에는, 중계 장치와 단말 사이에 IEEE 802.11 규격의 레이어(layer)2 패러미터(parameter) 값이 변경되었음을 의미하는 제 2 L2 트리거(trigger)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 2 L2 트리거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다른 통신 환경으로 핸드오버(handover)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일 예로, 단계 310에서 중계 장치는 수신되는 비콘(beacon) 신호 및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등에 비추어 통신 환경이 악화되는 경우 L2 트리거 정보가 생성되 고, 단말이 중계 장치로부터 제 1 L2 트리거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320에서는 제 2 L2 트리거 정보를 생성한다. 제 2 L2 트리거 정보가 생성되면 중계 장치와 단말간 통신 환경이 악화되었다고 판단하여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다른 통신 환경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중계 장치와 단말간 네트워크의 형태가 LAN이라면,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다른 네트워크 형태, 즉 HSDPA등으로 핸드오버한다.
이로써 상술한바와 같이 기지국과 중계 장치 사이의 통신 환경이 악화되었음에도 중계 장치와 단말 사이의 통신 환경은 여전히 양호하기 때문에 빠른 핸드오버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장치가 기지국과 단말을 중계하는 장치에 관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장치(400)는 판단부(410), 정보 생성부(420) 및 제어부(430)를 포함한다.
판단부(410)는 기지국과 중계 장치(400)간의 통신 환경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부(410)는 중계 장치(400)에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또는 단위 시간당 수신되는 비콘(beacon)신호의 개수 등에 기초하여 판단한다.
정보 생성부(420)는 판단부(41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경된 통신 환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한다. 만일 판단부(410)가 IEEE 802.11 규격의 레이어(layer)2 파라미터(parameter) 값이 변경되었다고 판단하면 정보 생성부(420)는 L2 트리거 정보를 생성한다.
제어부(430)는 정보 생성부(420)에서 생성된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과 단말간 통신 환경을 제어한다. 일 예로 제어부(430)는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다른 통신 환경으로 핸드 오버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이 중계 장치를 이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는 장치에 관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510)은 정보 수신부(510) 및 제어부(520)를 포함한다.
정보 수신부(510)는 기지국과 중계 장치 사이의 통신 환경이 변경됨에 따라 중계 장치로부터 변경된 통신 환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520)는 정보 수신부(510)에서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중계 장치와 단말간의 통신 환경을 제어한다.
수신된 정보가 기지국과 중계 장치 사이에 IEEE 802.11 규격의 레이어(layer)2 파라미터(parameter) 값이 변경되었음을 의미하는 제 1 L2 트리거(trigger) 정보인 경우에, 제어부(520)는 중계 장치와 단말 사이에 IEEE 802.11 규격의 레이어(layer)2 파라미터(parameter) 값이 변경되었음을 의미하는 제 2 L2 트리거(trigger)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다른 통신 환경으로 핸드오버(handover)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520)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기지 국(610), 중계 장치(620) 및 단말(630)을 포함한다.
기지국(610)은 중계 장치(620)와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필요한 정보 및 신호를 송신한다.
중계 장치(620)는 제 1 통신 모듈(622), 라이팅 모듈(624) 및 제 2 통신 모듈(626)을 포함한다.
제 1 통신 모듈(622)은 L2 트리거 정보 생성부(621)를 포함한다. 제 1 통신 모듈(622)은 기지국(610)과 통신하며, 기지국(610)과 중계 장치(620) 사이의 레이어 2 파라미터 값이 변경되면 L2 트리거 정보 생성부(621)는 L2 트리거 정보를 생성한다.
라우팅 모듈(624)은 모바일 라우터가 가지는 라우팅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중계기는 모바일 라우터를 채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제 2 통신 모듈(626)은 제어부(625)를 포함한다. 제 2 통신 모듈(626)은 단말(630)과 통신하며, 제어부(625)는 중계 장치(620)와 단말(630)간의 통신 환경을 제어한다.
제어부(625)는 L2 트리거 정보 생성부(621)로부터 L2 트리거 정보를 전송받으면, 중계 장치(620)와 단말(630)간의 L2 트리거 파라미터를 제어하여 통신 환경을 변경한다.
단말(630)은 제 1 네트워크 장비(631), 제 2 네트워크 장비(639) 및 핸드오버 모듈(635)을 포함한다.
제 1 네트워크 장비(631)는 중계 장치(62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비이다. 제 1 네트워크 장비(63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32), 네트워크 드라이브(634)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32)는 중계 장치(620)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32)는 L2 트리거 정보 생성부(633)를 포함한다.
L2 트리거 정보 생성부(633)는 중계 장치(620)와 단말(630)간의 통신 환경이 변경되어, IEEE 802.11 규격의 레이어(layer)2 파라미터(parameter) 값이 변경되면 L2 트리거 정보를 생성한다.
네트워크 드라이브(634)는 중계 장치(620)와 단말(630)이 통신 할 수 있도록 드라이브를 제공한다.
제 2 네트워크 장치(639)는 단말(630)이 다른 통신 환경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제 2 네트워크 장치(639)는 제 1 네트워크 장치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핸드 오버 모듈(635)은 제 1 네트워크 장치(631)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전송받아 제 1 네트워크 장치(631)를 이용한 네트워킹을 제 2 네트워크 장치(639)를 이용한 네트워킹으로 변경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서 중계 장치(620)는 이동이 가능한 플랫폼에 탑재 되어 통신을 수행한다. 중계 장치(620)가 이동하여 기지국(610)과의 통신 품질이 악화되는 경우에 는 중계 장치(620)내의 L2 트리거 정보 생성부(621)는 L2 트리거 정보를 생성한다.
중계 장치(620)내의 제어부(625)는 L2 트리거 정보를 전달받아 단말(630)과 중계 장치(620)간의 통신 환경을 제어한다.
일 예로, 제어부(625)는 단말(630)이 중계 장치(620)와 유선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연결을 끊어버린다. 단말(630)이 중계 장치(620)와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단말(630)에 전송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를 약하게 하거나, 비콘 신호의 전송 주기를 길게 한다.
제어부(625)의 제어 동작에 따라 단말(630)은 중계 장치(620)에서 전송되는 무선 신호가 약해졌음을 인식하거나, 단위 시간당 전송되는 비콘 신호의 개수가 줄어들었음을 인식한다. 이는 중계 장치(620)와 단말(630)간의 통신 품질이 악화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단말(630)내의 L2 트리거 정보 생성부(632)는 L2 트리거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L2 트리거 정보는 핸드 오버 모듈(635)에 전달되고, 핸드 오버 모듈(635)은 단말(630)이 이용할 수 있는 통신 환경으로 핸드 오버를 수행한다. 따라서, 단말(630)은 중계 장치(620)와의 연결을 끊고, 제 2 네트워크 장치를 이용하여 다른 통신 환경으로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일 예로, 단말(630)이 중계 장치(620)와 WLAN에 의한 통신을 수행하고 있었다면, 핸드 오버 모듈(635)은 중계 장치(620)와의 연결을 끊고, 제 2 네트워크 장치(639)를 이용하여 HSDPA 통신 환경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이로써 단말(630)은 빠른 핸드 오버를 통하여 끊김없이 계속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는 기지국(710), 중계 장치(720) 및 단말(730)을 포함한다.
기지국(710), 중계 장치(720)내의 L2 트리거 정보 생성부(721), 제 1 통신 모듈(722), 라우팅 모듈(724)은 도 6에서 상술한바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통신 모듈(726)은 L2 트리거 정보 전송부(725)를 포함한다. L2 트리거 정보 전송부(725)는 L2 트리거 정보 생성부(721)로부터 L2 트리거 정보를 전송받아 단말(730)이 수신할 수 있는 형태로 바꾸어 전송한다. 이 때의 전송되는 정보는 LLC(Logical Link Control) 메시지나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등과 같은 L2 이하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단말(730)은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인터페이스(732) 및 제 2 인터페이스(734)를 제외하면 동일하다.
제 1 인터페이스(732)는 중계 장치(720)의 L2 트리거 정보 전송부(725)로부터 정보를 전송받아 제 2 인터페이스(734)에 전달한다.
제 2 인터페이스(734)는 L2 트리거 정보 수신부(735) 및 L2 트리거 정보 생성부(73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인터페이스(734)를 추가하였으나, 제 2 인터페이스(734)의 추가 없이 제 1 인터페이스(732)를 수정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L2 트리거 정보 수신부(735)는 제 1 인터페이스(732)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해독하여 단말(730)내의 L2 트리거 정보 생성부(736)에 전달한다.
L2 트리거 정보 생성부(736)는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중계 장치(720)와 단말(730)간의 IEEE 802.11 규격의 레이어(layer)2 파라미터(parameter) 값이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L2 트리거 정보를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중계 장치(720)가 이동하여 기지국(710)과의 통신 품질이 악화되는 경우에는 중계 장치(720)내의 L2 트리거 정보 생성부(721)는 L2 트리거 정보를 생성한다.
중계 장치(720)내의 L2 트리거 정보 전송부(725)는 L2 트리거 정보를 전달받아 LLC 메시지등과 같은 형태로 단말(730)에 전송한다.
단말(730)의 L2 트리거 정보 수신부(735)는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여 L2 트리거 정보 생성부(736)에 전달한다.
L2 트리거 정보 생성부(736)는 L2 트리거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생성된 L2 트리거 정보는 핸드 오버 모듈(738)에 전달된다.
핸드 오버 모듈(738)은 단말(730)이 이용할 수 있는 통신 환경으로 핸드 오버를 수행한다. 따라서, 단말(730)은 중계 장치(720)와의 연결을 끊고, 제 2 네트워크 장치(739)를 이용하여 다른 통신 환경으로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7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는 하나만 구비한 체 서브 네트워크 드라이브(835)를 더 구비한다. 서브 네트워크 드라이브(835)는 소프트웨어로 설계할 수 있으므로, 물리적인 구조의 변경없이 본 발명이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서브 네트워크 드라이브(835)는 L2 트리거 정보 감지부(836) 및 L2 트리거 정보 생성부(837)을 포함한다.
L2 트리거 정보 감지부(836)는 기지국(810) 중계 장치(820)간의 통신 환경의 변화에 따라 발생한 L2 트리거 정보를 수신한다. 즉 중계 장치(820)내의 L2 트리거 정보 생성부(821)에서 생성된 L2 트리거 정보가 별도의 처리 없이 네트워크 드라이브(835)까지 전달되므로, L2 트리거 정보 감지부(836)은 중계 장치(820)에서 발생한 L2 트리거 정보를 감지한다. 전달되는 정보는 예를 들면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와 같은 L3 이상의 메시지나 LLC메세지 등과 같은 L2 이하의 메시지도 가능하다.
L2 트리거 정보 감지부(836)는 감지한 중계 장치(820)에서 발생한 L2 트리거 정보를 서브 네트워크 드라이브(835) 내의 L2 트리거 정보 생성부(837)에 전달한다.
서브 네트워크 드라이브(835) 내의 L2 트리거 정보 생성부(837)는 L2 트리거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L2 트리거 정보는 네트워크 드라이브(834)를 거쳐 핸드오버 모듈(838)에 전달된다.
핸드 오버 모듈(838)은 단말(830)이 이용할 수 있는 통신 환경으로 핸드 오버를 수행한다. 따라서, 단말(830)은 중계 장치(820)와의 연결을 끊고, 제 2 네트 워크 장치(839)를 이용하여 다른 통신 환경으로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동 단말이 중계 장치와 기지국간의 외부 네트워크에 관한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 네트워크 환경 변화에 대해 적적히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동 단말이 중계 장치와 기지국간의 외부 네트워크에 관한 상태를 알 수 없어, 빠른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없었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5)
- 중계 장치가 기지국과 단말간 통신을 중계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기지국과 상기 중계 장치 사이의 통신 환경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경된 통신 환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상기 생성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중계 장치와 상기 단말간의 통신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상기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다른 통신 환경으로 핸드 오버(handover)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정보는, IEEE 802.11 규격의 레이어(layer)2 파라미터(parameter) 값이 변경되었음을 의미하는 L2 트리거(trigger)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또는 단위 시간당 상기 기지국으 로부터 수신되는 비콘(beacon)신호의 개수에 기초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상기 생성된 정보가 L2 트리거 정보인 경우로써 상기 중계 장치와 상기 단말이 유선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중계 장치와 상기 단말간의 연결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상기 생성된 정보가 L2 트리거 정보인 경우로써 상기 중계 장치와 상기 단말이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에 전송되는 신호의 세기를 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상기 생성된 정보가 L2 트리거 정보인 경우로써 상기 중계 장치와 상기 단말이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무선 채널의 상태가 양호한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소정 주기마다 상기 단말에 전송되는 무선 신호의 전송 주기를 상기 소정 주기보다 길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채널의 상태가 양호한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 기 단말에 전송되는 무선 신호는 비콘(beacon)신호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중계 장치가 기지국과 단말간 통신을 중계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기지국과 상기 중계 장치 사이의 통신 환경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경된 통신 환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상기 기지국과 상기 중계 장치 사이의 통신 환경 변경에 기초하여 상기 중계 장치와 상기 단말 사이의 통신 환경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생성된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단말이 중계 장치를 이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기지국과 상기 중계 장치 사이의 통신 환경이 변경됨에 따라,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상기 변경된 통신 환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중계 장치와 상기 단말간의 통신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상기 수신된 정보가 상기 기지국과 상기 중계 장치 사이에 IEEE 802.11 규격 의 레이어(layer)2 파라미터(parameter) 값이 변경되었음을 의미하는 제 1 L2 트리거(trigger) 정보인 경우에는,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장치와 상기 단말 사이에 IEEE 802.11 규격의 레이어(layer)2 파라미터(parameter) 값이 변경되었음을 의미하는 제 2 L2 트리거(trigger)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다른 통신 환경으로 핸드오버(handover)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중계 장치가 기지국과 단말간 통신을 중계하는 장치에 있어서,상기 기지국과 상기 중계 장치 사이의 통신 환경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경된 통신 환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및상기 생성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간의 통신 환경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다른 통신 환경으로 핸드 오버(handover)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제 13항에 있어서, 생성된 정보는IEEE 802.11 규격의 레이어(layer)2 파라미터(parameter) 값이 변경되었음을 의미하는 L2 트리거(trigger)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또는 단위 시간당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비콘(beacon)신호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과 상기 중계 장치의 통신 환경이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생성된 정보가 L2 트리거 정보인 경우로써 상기 중계 장치와 상기 단말이 유선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중계 장치와 상기 단말간의 연결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생성된 정보가 L2 트리거 정보인 경우로써 상기 중계 장치와 상기 단말이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에 전송되는 신호의 세기를 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생성된 정보가 L2 트리거 정보인 경우로써 상기 중계 장치와 상기 단말이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무선 채널의 상태가 양호한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소정 주기마다 상기 단말에 전송되는 무선 신호의 전송 주기를 길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채널의 상태가 양호한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에 전송되는 무선 신호는 비콘(beacon)신호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중계 장치가 기지국과 단말간 통신을 중계하는 장치에 있어서,상기 기지국과 상기 중계 장치 사이의 통신 환경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경된 통신 환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및상기 기지국과 상기 중계 장치 사이의 통신 환경 변경에 기초하여 상기 중계 장치와 상기 단말 사이의 통신 환경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생성된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단말이 중계 장치를 이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는 장치에 있어서,상기 기지국과 상기 중계 장치 사이의 통신 환경이 변경됨에 따라,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상기 변경된 통신 환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및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중계 장치와 상기 단말간의 통신 환경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제 22항에 있어서,상기 수신된 정보가 상기 기지국과 상기 중계 장치 사이에 IEEE 802.11 규격의 레이어(layer)2 파라미터(parameter) 값이 변경되었음을 의미하는 제 1 L2 트리거(trigger) 정보인 경우에,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계 장치와 상기 단말 사이에 IEEE 802.11 규격의 레이어(layer)2 파라미터(parameter) 값이 변경되었음을 의미하는 제 2 L2 트리거(trigger)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다른 통신 환경으로 핸드오버(handover)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5421A KR101373021B1 (ko) | 2007-05-10 | 2007-05-10 | 중계 장치를 이용한 이동 단말의 통신 방법 및 그 장치 |
US12/049,636 US8265001B2 (en) | 2007-05-10 | 2008-03-17 |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of mobile terminal using re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5421A KR101373021B1 (ko) | 2007-05-10 | 2007-05-10 | 중계 장치를 이용한 이동 단말의 통신 방법 및 그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99627A true KR20080099627A (ko) | 2008-11-13 |
KR101373021B1 KR101373021B1 (ko) | 2014-03-13 |
Family
ID=39969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45421A KR101373021B1 (ko) | 2007-05-10 | 2007-05-10 | 중계 장치를 이용한 이동 단말의 통신 방법 및 그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8265001B2 (ko) |
KR (1) | KR10137302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102793B2 (en) * | 2008-04-28 | 2012-01-24 | Grondzik James T | Mobile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er system |
EP2445258A4 (en) * | 2009-06-16 | 2014-06-18 | Fujitsu Ltd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9510256B2 (en) * | 2011-09-20 | 2016-11-29 | Wildfire.Exchange, Inc. | Seamless handoff, offload, and load balancing in integrated Wi-Fi/small cell systems |
US9078055B2 (en) | 2012-09-17 | 2015-07-07 | Blackberry Limited | Localization of a wireless user equipment (UE) device based on single beep per channel signatures |
US9286879B2 (en) | 2012-09-17 | 2016-03-15 | Blackberry Limited | Localization of a wireless user equipment (UE) device based on out-of-hearing band audio signatures for ranging |
US9165547B2 (en) | 2012-09-17 | 2015-10-20 | Blackberry Limited | Localization of a wireless user equipment (UE) device based on audio masking |
US9337914B2 (en) | 2012-11-27 | 2016-05-10 | Blackberry Limited |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EP2887732B1 (en) * | 2013-12-19 | 2017-06-14 | Sony Corporation | Method for operating a user equipment in a wireless radio network |
CN107395759B (zh) * | 2017-08-28 | 2020-04-21 | 常熟理工学院 | 一种可靠的智能车联网数据通信实现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77667A (ja) * | 1999-12-20 | 2001-06-29 | Canon Inc | 通信装置 |
US7092363B1 (en) * | 2000-06-26 | 2006-08-15 | Aperto Networks, Inc. | High-capacity scalable integrated wireless backhaul for broadband access networks |
KR100551755B1 (ko) * | 2000-11-16 | 2006-02-13 |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 이동 통신 단말의 일괄 호출 방법, 및 이동 통신 시스템 |
US6832087B2 (en) * | 2001-11-30 | 2004-12-14 | Ntt Docomo Inc. | Low latency mobile initiated tunneling handoff |
US7702280B2 (en) * | 2002-05-27 | 2010-04-20 | Ntt Docomo, Inc. |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ransmission station, reception station, relay station, communication path deciding method, and communication path deciding program |
US8555352B2 (en) * | 2003-06-20 | 2013-10-08 | Juniper Networks, Inc. | Controlling access nodes with network transport devices within wireless mobile networks |
GR1004638B (el) * | 2003-07-08 | 2004-07-23 | ATMELCorporation | Μεθοδοσακαιασυστηματαααδιαλειπτησακινητικοτητασακινητωνατερματικωναεντοσαασυρματουαδικτυουαα |
US7860067B2 (en) * | 2004-02-02 | 2010-12-28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Method for dynamic address allocation using mobile IP in wireless portable Internet system |
JP4248420B2 (ja) * | 2004-02-06 | 2009-04-02 |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 移動体通信用ネットワークの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 |
EP1758305A1 (en) * | 2004-05-18 | 2007-02-28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Access network system, connection station device, radio base station device, and packet loss reducing method |
JP2006217077A (ja) * | 2005-02-01 | 2006-08-17 | Ntt Docomo Inc | 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中継装置及び転送経路学習方法 |
EP1775983A1 (en) * | 2005-10-17 | 2007-04-18 | Samsung Electronics Co.,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relay stations |
US7620003B2 (en) * | 2006-06-28 | 2009-11-17 | Motorola, Inc. |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of a communication network |
CN101523943A (zh) * | 2006-10-13 | 2009-09-02 | 富士通株式会社 | 无线基站、中继站和通信控制方法 |
RU2419981C2 (ru) * | 2006-10-25 | 2011-05-27 | Фудзицу Лимитед | Базовая радиостанция, ретрансляционная станция, система радиосвязи и способ радиосвязи |
US8249628B2 (en) * | 2006-11-06 | 2012-08-21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lternate data service provisioning |
KR20080041576A (ko) * | 2006-11-07 | 2008-05-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
KR100935099B1 (ko) * | 2006-11-14 | 2010-01-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다중 홉 중계 방식의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
JP5512656B2 (ja) * | 2008-04-21 | 2014-06-04 |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中継局 |
-
2007
- 2007-05-10 KR KR1020070045421A patent/KR10137302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
- 2008-03-17 US US12/049,636 patent/US826500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73021B1 (ko) | 2014-03-13 |
US20080279134A1 (en) | 2008-11-13 |
US8265001B2 (en) | 2012-09-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73021B1 (ko) | 중계 장치를 이용한 이동 단말의 통신 방법 및 그 장치 | |
US7912010B2 (en) | Wireless connection terminal and roaming method for providing stable wireless connection to access point | |
US2023004071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wlan system | |
US782244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 station | |
US8254928B2 (en) |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 |
US8599807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wireless communication route | |
JP5012799B2 (ja) | 通信装置、通信装置による無線通信装置の接続先切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US8681703B2 (en) |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 |
US20090147697A1 (en) | Associating a wireless computing device with a different access point | |
CN102100108A (zh) | 用于支持对等通信系统中多跳通信的方法和装置 | |
JP4000122B2 (ja) |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 |
KR101246774B1 (ko) | 무선 랜 메쉬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
JP4767210B2 (ja) | 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構築方法 | |
JP2009005240A (ja) | 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無線ネットワーク通信方法 | |
EP2014123A1 (en) | Method and device for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
US9078171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ntinuously performing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 |
US20040185782A1 (en) | Technique for selecting a signal path in an antenna system | |
US20210143848A1 (en) |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 |
US20230403666A1 (en) |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
JP2005130010A (ja) | 無線lanシステムおよびその通信制御方法 | |
JP4594401B2 (ja) | 音声移動通信装置 | |
JP5964804B2 (ja) | 移動式無線機器、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 |
KR20060029001A (ko) | 이동중계 시스템에서 다수의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한무선링크 구성 방법 | |
JP4199139B2 (ja) | 無線通信装置およびシステム間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 | |
JP2017092824A (ja) | 中継局およびその制御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