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0951A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80951A KR20080080951A KR1020080019312A KR20080019312A KR20080080951A KR 20080080951 A KR20080080951 A KR 20080080951A KR 1020080019312 A KR1020080019312 A KR 1020080019312A KR 20080019312 A KR20080019312 A KR 20080019312A KR 20080080951 A KR20080080951 A KR 200800809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ll
- insulating film
- gate electrode
- electrode
- semiconductor substrat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0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0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29910052581 Si3N4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HQVNEWCFYHHQES-UHFFFAOYSA-N silic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12[Si]34N5[Si]62N3[Si]51N64 HQVNEWCFYHHQES-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5669 field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9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0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8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29910021332 silic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FVBUAEGBCNSCDD-UHFFFAOYSA-N silicide(4-) Chemical compound [Si-4] FVBUAEGBCNSCD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1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0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9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QJGQUHMNIGDVPM-UHFFFAOYSA-N nitrogen group Chemical group [N] QJGQUHMNIGDVPM-UHFFFAOYSA-N 0.000 abstract 2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7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01459 lith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5468 ion im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229 chemical vapou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85 arseni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RQNWIZPPADIBDY-UHFFFAOYSA-N arsenic atom Chemical compound [As] RQNWIZPPADIBD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ZOXJGFHDIHLPTG-UHFFFAOYSA-N Boron Chemical compound [B] ZOXJGFHDIHLPT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96 bo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3642 nega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641 posi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966 trim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02000000582 Retinoblastoma-Like Protein p107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02342 Retinoblastoma-Like Protein p107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1 cob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7052 cob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GUTLYIVDDKVIGB-UHFFFAOYSA-N cobalt atom Chemical compound [Co] GUTLYIVDDKVIG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2447 hat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9001 CoSi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973 Ficus microcarp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12 dry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06 photolith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20 photoresistant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8 plasma chemical vapou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7 tungst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4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493—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wells or tubs, e.g. twin tubs, high energy well implants, buried implanted layers for lateral isolation [BILLI]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4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10B41/41—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of a memory region comprising a cell select transistor, e.g. NAND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10B63/80—Arrangements comprising multiple bistable or multi-stable switching components of the same type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e.g. cross-point arra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33—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lightly doped drain or source extension, e.g. LDD MOSFET's; DDD MOSF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불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 유지 특성을 향상시킨다. 반도체 기판(1S)의 주면에는, 주회로 영역 N과, 플래시 메모리의 메모리 셀 어레이 MR이 배치되어 있다. 메모리 셀 어레이 MR에는 정보 전하 축적용의 부유 게이트 전극 FG가 배치되고, 주회로 영역 N에는 주회로를 구성하는 MIS·FET의 게이트 전극 G가 배치되어 있다. 주회로 영역 N에는 질화 실리콘막으로 이루어지는 절연막(2a)이 게이트 전극 G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주회로 영역 N에서의 소자의 미세화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 셀 어레이 MR에는 상기 절연막(2a)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부유 게이트 전극 FG의 상면은 절연막(2a)에 접촉하지 않고 층간 절연막(2b)에 의해 직접 덮여져 있다. 이에 의해, 메모리 셀 어레이 MR에서의 부유 게이트 전극 FG의 전하 e의 리크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어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유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 회로부, 폴리 EEPROM 디바이스, 실리사이드층, 캡 절연막, 반도체 장치, 부유 게이트 전극, 메모리 셀 어레이, 용량 절연막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불휘발성 메모리를 갖는 반도체 장치에 적용하기에 유효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 중에는, 그 내부에, 예를 들면 트리밍 시, 구제 시 및 LCD(Liquid Crystal Device)의 화상 조정 시에 사용하는 정보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번호 등과 같이 비교적 소용량의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불휘발성 메모리 회로부를 갖는 것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불휘발성 메모리 회로부를 갖는 반도체 장치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1-185633호 공보(특허 문헌1)에 기재가 있다. 이 문헌에는, 반도체 기판 상에 절연막에 의해 절연하여 배치된 단일 도전층 상에 구성되는 EEPROM(Electric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디바이스에서, 비트당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는 단일 레벨·폴리 EEPROM 디바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1-257324호 공보(특허 문헌 2)에는, 단층 폴리 플래시 기술로 형성된 불휘발성 기억 소자에서, 장기간의 정보 유지 성능을 향 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USP6788574(특허 문헌 3)의 도 7에는, 용량부, 기입 트랜지스터, 읽어내기 트랜지스터가, 각각 n웰로 분리되어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의 도 4A-도 4C, 6-7행에는, 기입/소거는 FN 터널 전류로 행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0-311992호 공보(특허 문헌 4)의 도 1 및 그 설명 개소에는, 2층 게이트 전극 구성의 메모리 셀이 배치된 메모리 셀 영역에는, 질화 실리콘막으로 이루어지는 제1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지만, 주변 회로 영역에는, 질화 실리콘막으로 이루어지는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0-183313호 공보(특허 문헌 5)의 단락 0065∼0067 및 도 8에는, 반도체 기판 상에 질화 실리콘막을 퇴적한 후, 2층 게이트 전극 구성의 메모리 셀이 배치된 메모리 어레이 영역의 질화 실리콘막은 레지스트막으로 덮고, 로직 LSI 형성 영역의 질화 실리콘막은 에칭하여 게이트 전극의 측면에 사이드월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1-185633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01-257324호 공보
[특허 문헌 3] USP6788574의 도 7, 도 4A-도 4C
[특허 문헌 4] 일본 특개 2000-311992호 공보(도 1)
[특허 문헌 5] 일본 특개 2000-183313호 공보(단락 0065∼0067 및 도 8)
그런데, 반도체 장치의 컨택트 홀의 형성 기술로서, L-SAC(Self Aligned Contact hole) 기술이 있다.
이 기술에서는, 산화 실리콘막에 의해 형성된 층간 절연막과 반도체 기판 사이에 게이트 전극이나 하층의 배선을 덮도록 에칭 스토퍼로서 기능하는 질화 실리콘막을 미리 형성해 두고, 층간 절연막에 컨택트 홀을 형성할 때에, 산화 실리콘막과 질화 실리콘막의 에칭 선택비를 크게 취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층간 절연막에 컨택트 홀을 형성하기 위한 리소그래피 공정에서의 치수나 오정렬의 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를 갖는 반도체 장치에 L-SAC 기술을 이용한 경우에, 에칭 스토퍼로서 기능하는 질화 실리콘막이, 불휘발성 메모리의 부유 게이트 전극에 직접 접한 상태에서 반도체 기판 상에 퇴적되어 있으면, 불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 유지 특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이하의 이유 때문이다. 상기 질화 실리콘막을 플라즈마 화학 기상 성장(Chemical Vapor Deposition: CVD)법 등에 의해 퇴적한 경우, 질화 실리콘막은, 그 퇴적의 초기 단계에서 실리콘 리치한 막으로 되기 쉽다. 이 때문에, 그 질화 실리콘막이 부유 게이트 전극의 상면에 직접 접하고 있으면, 부유 게이트 전극 내의 전하가 질화 실리콘막의 실리콘 리치한 부분을 통하여 반도체 기판 측에 흐르고, 상기 컨택트 홀 내의 플러그를 통하여 방출되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도체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며, 특히, 불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 유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신규의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의 개요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불휘발성 메모리를 갖는 제1 회로 영역과,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 이외의 회로를 갖는 제2 회로 영역을 갖고, 상기 제2 회로 영역에서는,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1 주면 상에 형성된 산소를 함유하는 절연막과 상기 반도체 기판 사이에 질소를 함유하는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회로 영역에서는, 상기 산소를 함유하는 절연막과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1 주면 사이에 질소를 함유하는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반도체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불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 유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그 필요가 있을 때에는, 복수의 섹션 또는 실시예로 분할하여 설명하지만, 특별히 명시한 경우를 제외하고, 그들은 서로 무관계한 것은 아니고, 한쪽은 다른쪽의 일부 또는 전부의 변형예, 상세, 보충 설명 등의 관계에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 요소의 수 등(개수, 수치, 양, 범위 등을 포함함)으로 언급하는 경우, 특별히 명시한 경우 및 원리적으로 명확하게 특정한 수에 한정되는 경우 등을 제외하고, 그 특정한 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정한 수 이상이어도 이하이어도 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 그 구성 요소(요소 스텝 등도 포함함)는, 특별히 명시한 경우 및 원리적으로 명확하게 필수라고 생각되는 경우 등을 제외하고,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닌 것은 물론이다. 마찬가지로, 이하의 실시예에서, 구성 요소 등의 형상, 위치 관계 등으로 언급할 때에는, 특별히 명시한 경우 및 원리적으로 명확하게 그렇지 않다고 생각되는 경우 등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그 형상 등에 근사 또는 유사한 것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는, 상기 수치 및 범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에서 동일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도록 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가능한 한 생략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우선, 본 발명자가 검토한 불휘발성 메모리로서, 플래시 메모리를 갖는 반도체 장치의 과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자가 검토한 플래시 메모리를 갖는 반도체 장치의 주요부 단 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참조 부호 MR은 플래시 메모리의 메모리 셀 어레이(제1 회로 영역), 부호 N은 주회로 영역(제2 회로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제2 회로 영역으로서 주회로 영역 N을 예시하고 있지만, 여기서 말하는 제2 회로 영역은, 주회로 영역 N 외에, 플래시 메모리의 주변 회로의 배치 영역 등, 플래시 메모리 이외의 회로가 배치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다.
반도체 칩을 구성하는 반도체 기판(이하, 기판이라고 함)(1S)은, 예를 들면 p형(제2 도전형)의 실리콘(Si) 단결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기판(1S)은, 두께 방향을 따라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주면(제1 주면) 및 이면(제2 주면)을 갖고 있다. 이 기판(1S)의 주면에는 분리부 TI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분리부 TI는, 활성 영역을 규정하는 부분이다. 여기서는 분리부 TI가, 예를 들면 기판(1S)의 주면에 파인 얕은 홈 내에 산화 실리콘막 등으로 이루어지는 절연막을 매립함으로써 형성된, 소위 SGI(Shallow Groove Isolation) 또는 STI(Shallow Trench Isolation)라고 칭하는 홈형의 분리부로 되어 있다.
메모리 셀 어레이 MR의 부유 게이트 전극 FG는, 정보의 기억에 기여하는 전하를 축적하는 부분이다. 이 부유 게이트 전극 FG는, 예를 들면 저저항인 다결정 실리콘막과 같은 도전체막으로 이루어지고, 전기적으로 부유 상태(다른 도체와 절연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메모리 셀 어레이 MR의 부유 게이트 전극 FG의 폭 방향 좌우의 기판(1S)(채널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는, 반도체 영역 MS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반도체 영역 MS는, 저불순물 농도의 반도체 영역 MS1과, 그보다도 불순물 농도가 높은 고불 순물 농도의 반도체 영역 MS2를 갖고 있다.
저불순물 농도의 반도체 영역 MS1은, 고불순물 농도의 반도체 영역 MS2보다도 채널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저불순물 농도의 반도체 영역 MS1과 고불순물 농도의 반도체 영역 MS2는 동일 도전형으로 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주회로 영역 N의 게이트 전극 G는, 주회로 형성용의 MIS·FETQ의 게이트 전극이다. 이 게이트 전극 G는, 예를 들면 저저항인 다결정 실리콘막과 같은 도전체막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주회로 영역 N의 게이트 전극 G의 폭 방향 좌우의 기판(1S)(채널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는, 반도체 영역 NS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반도체 영역 NS는, 저불순물 농도의 반도체 영역 NS1과, 그보다도 불순물 농도가 높은 고불순물 농도의 반도체 영역 NS2를 갖고 있다.
저불순물 농도의 반도체 영역 NS1은, 고불순물 농도의 반도체 영역 NS2보다도 채널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저불순물 농도의 반도체 영역 NS1과 고불순물 농도의 반도체 영역 NS2는 동일 도전형으로 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기판(1S)의 주면 상에는, 상기 부유 게이트 전극 FG 및 게이트 전극 G를 덮도록 절연막(2a)이 퇴적되고, 또한 그 위에는 층간 절연막(절연막)(2b)이, 하층의 절연막(2a)보다도 두껍게 퇴적되어 있다.
절연막(2a)은, 예를 들면 질화 실리콘막에 의해 형성되며, 층간 절연막(2b) 은, 예를 들면 산화 실리콘막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절연막(2a) 및 층간 절연막(2b)은, 각각의 에칭 시에 서로 에칭 선택비를 크게 취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즉, 하층의 절연막(2a)은, L-SAC(Self Aligned Contact)용의 절연막이며, 컨택트 홀 CT를 형성하기 위한 에칭 시에 에칭 스토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절연막(2a)을 형성함으로써, 주로 주회로 영역 N의 소자의 치수를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부유 게이트 전극 FG 및 게이트 전극 G의 상면, 고불순물 농도의 반도체 영역 MS2, NS2의 상면에는, 예를 들면 코발트 실리사이드(CoSi2)와 같은 실리사이드층(5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유 게이트 전극 FG 및 게이트 전극 G의 측면에는, 예를 들면 산화 실리콘막에 의해 형성된 사이드월 SW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자가 검토한 구성에서는, 부유 게이트 전극 FG의 상면이 절연막(2a)에 직접 접하고 있다. 그러나, 이 절연막(2a)이, 부유 게이트 전극 FG에 직접 접하고 있으면,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유지 특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상기 절연막(2a)을 플라즈마 CVD법 등에 의해 퇴적한 경우, 절연막(2a)은, 그 퇴적의 초기 단계에서 실리콘 리치한 막으로 되기 쉽기 때문에, 그 절연막(2a)이 부유 게이트 전극 FG의 상면에 직접 접하고 있으면, 부유 게이트 전극 FG 내의 전하 e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막(2a)의 실리콘 리치한 부분을 통하여 기판(1S) 측에 흐르고, 상기 컨택트 홀 CT 내의 플러그 PLG를 통하여 방출되게 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도 2는 본 발명자가 검토한 플래시 메모리를 갖는 반도체 장치의 다른 구성의 주요부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 도 1과 서로 다른 점은, 부유 게이트 전극 FG와 절연막(2a) 사이에, 예를 들면 산화 실리콘막에 의해 형성된 캡 절연막(절연막)(3a)이 개재되어 있고, 부유 게이트 전극 FG 상에 실리사이드층(5a)을 형성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절연막(2a)이 부유 게이트 전극 FG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구조로 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도 1의 구성과 비교하면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유지 특성은 개선되지만, 도 2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전히 부유 게이트 전극 FG의 전하 e가 절연막(2a)을 통하여 방출되게 되므로,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유지 특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 1의 반도체 장치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회로 영역 N에는, 질소를 함유하는 절연막(2a)을 형성하지만, 플래시 메모리의 메모리 셀 어레이 MR에는, 질소를 함유하는 절연막(2a)을 형성하지 않도록 한다.
도 3은, 상기 도 1의 구성의 경우에서 메모리 셀 어레이 MR에 절연막(2a)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도 4는, 상기 도 2의 구성의 경우에서 메모리 셀 어레이 MR에 절연막(2a)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5는, 도 1 및 도 2의 구조의 경우와 본 실시예 1의 구성의 경우에서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유지 특성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부호 VT1은 도 1의 구성의 경우, 부호 VT2는 도 2의 경우, 부호 VT3은 도 3 및 도 4의 경우의 데이터 유지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4의 구성의 어떠한 경우도 주회로 영역 N에는 절연막(2a)을 형성하므로 미세화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의 구성의 경우(부호 VT3), 메모리 셀 어레이 MR에는 절연막(2a)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의 구성(부호 VT1, VT2)에 비하여, 부유 게이트 전극 FG로부터의 전하 e의 리크를 저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유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게이트 길이 방향에서, 메모리 셀 어레이 MR의 부유 게이트 전극 FG의 측면으로부터 이에 대향하는 플러그 PLG까지의 거리 D1은, 주회로 영역 N의 게이트 전극 G의 측면으로부터 이에 대향하는 플러그 PLG까지의 거리 D2보다도 길다. 즉, 그 게이트 길이 방향에서, 메모리 어레이 MR측의 반도체 영역 MS는, 주회로 영역 N의 반도체 영역 NS보다도 넓다. 이 때문에, 메모리 셀 어레이 MR에 절연막(2a)을 형성하지 않아도 메모리 셀 어레이 MR에서의 미세화 상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도 4의 구성에서는, 부유 게이트 전극 FG의 상면을 덮도록 캡 절연막(3a)을 형성함으로써, 메모리 셀 어레이 MR의 절연막(2a)을 에칭 제거할 때에, 캡 절연막(3a)이 부유 게이트 전극 FG의 상면을 보호하도록 기능한다. 이에 의해, 반도체 장치의 수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의 구성에서는, 캡 절연막(3a)이 부유 게이트 전극 FG의 상면 및 부유 게이트 전극 FG의 측면의 사이드월 SW의 표면을 덮고, 또한 기판(1S)의 주면 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캡 절연막(3a)에 정합한 위치에 실리사이드층(5a)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기판(1S)의 주면에 형성되는 실리사이드층(5a)의 단부를 부유 게이트 전극 FG의 측면, 즉, 저불순물 농도의 반도체 영역 MS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실리사이드층(5a)이 저불순물 농도의 반도체 영역 MS1 내까지 성장하게 되면, 실리사이드층(5a)과 기판(1S) 사이에서 접합 리크 전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특히, 저불순물 농도의 반도체 영역 MS1을, 주회로 영역의 저내압의 MIS·FET의 저불순물 농도의 반도체 영역과 동시에(동일한 불순물 농도로) 형성한 경우에는, 그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 1에서는, 기판(1S)의 주면에 형성되는 실리사이드층(5a)의 단부를, 저불순물 농도의 반도체 영역 MS1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상기한 실리사이드층(5a)과 기판(1S) 사이에서의 접합 리크의 발생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 1의 반도체 장치의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 1의 반도체 장치를 구성하는 반도체 칩에는, 주회로의 영역(제2 회로 영역)과, 그 주회로에 관한 비교적 소용량의 원하는 정보를 기억하는 플래시 메모리의 영역(불휘발성 메모리, 제1 회로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회로에는, 예를 들면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이나 SRAM(Static RAM) 등과 같은 메모리 회로가 있다. 또한, 주회로에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MPU(Micro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논리 회로가 있다. 또한, 주회로에는, 상기 메모리 회로 및 논리 회로의 혼재 회로 혹은 LCD(Liquid Crystal Device) 드라이버 회로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원하는 정보에는, 예를 들면 반도체 칩 내의 트리밍 시에 사용하는 유효(사용) 소자의 배치 어드레스 정보, 메모리나 LCD의 구제 시에 사용하는 유효 메모리 셀(불량이 없는 메모리 셀)이나 유효 LCD 소자의 배치 어드레스 정보, LCD 화상 조정 시에 사용하는 조정 전압의 트리밍 탭 정보 혹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 번호 등이 있다.
이러한 반도체 장치(반도체 칩, 반도체 기판)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부 전원은, 단일 전원으로 되어 있다. 단일 전원의 전원 전압은, 예를 들면 3.3V 정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 1의 반도체 장치에서의 플래시 메모리의 주요부 회로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플래시 메모리는, 메모리 셀 어레이 MR과 주변 회로 영역 PR을 갖고 있다. 메모리 셀 어레이 MR에는, 제1 방향 Y로 연장하는 복수의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비트선 WBL(WBL0, WBL1…)과,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비트선 RBL(RBL0, RBL1…)이 제2 방향 X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 셀 어레이 MR에는, 상기 비트선 WBL, RBL에 대하여 직교하는 제2 방향 X를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제어 게이트 배선(워드선) CG(CG0, CG1…)와, 복수의 소스선 SL과, 복수의 선택선 GS가 제1 방향 Y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각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비트선 WBL은, 상기 주변 회로 영역 PR에 배치된 데이터(0/1) 입력용의 인버터 회로 INV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비트선 RBL은, 상기 주변 회로 영역 PR에 배치된 센스 앰프 회 로 S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센스 앰프 회로 SA는, 예를 들면 커런트 미러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비트선 WBL, RBL과, 제어 게이트 배선 CG, 소스선 SL 및 선택선 GS의 격자 형상 교점의 근방에, 1비트분의 메모리 셀 MC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는, 1비트가 2개의 메모리 셀 MC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각 메모리 셀 MC는,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용량부(전하 주입 방출부) CWE와,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MIS·FETQR과, 용량부 C와, 선택 MIS·FETQS를 갖고 있다. 각 비트의 2개의 메모리 셀 MC의 각각의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용량부 CWE, CWE는, 서로 병렬로 되도록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 각각의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용량부 CWE의 한쪽의 전극은,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비트선 WBL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그 각각의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용량부 CWE의 다른쪽의 전극(부유 게이트 전극 FG)은, 각각 따로 따로의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MIS·FETQR, QR의 게이트 전극(부유 게이트 전극 FG)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용량부 C, C의 한쪽의 전극(부유 게이트 전극 FG)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그 용량부 C, C는 다른쪽의 전극(제어 게이트 전극 CGW)은 제어 게이트 배선 CG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각 비트의 2개의 메모리 셀 MC의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MIS·FETQR, QR은, 서로 직렬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그 드레인은, 선택 MIS·FETQS를 통하여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비트선 RBL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소스는 소스선 SL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선택 MIS·FETQS의 게이트 전극은, 선택선 GS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플래시 메모리에서의 데이터 기입 동작예를 도 7∼도 10에 의해 설명한다. 도 7은 도 6의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기입 동작 시에서의 각 부에의 인가 전압을 도시하고 있다. 파선 S1은 데이터 기입 대상의 메모리 셀 MC(이하, 선택 메모리 셀 MCs라고 함)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전자를 부유 게이트 전극에 주입하는 것을 데이터 기입이라고 정의하지만, 그 반대로 부유 게이트 전극의 전자를 빼내는 것을 데이터 기입이라고 정의할 수도 있다.
데이터의 기입 시에는, 상기 선택 메모리 셀 MCs의 상기 용량부 C의 다른쪽의 전극이 접속되어 있는 제어 게이트 배선 CG0(CG)에, 예를 들면 9V 정도의 플러스의 제어 전압을 인가한다. 그 이외의 제어 게이트 배선 CG1(CG)에는, 예를 들면 0V의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선택 메모리 셀 MCs의 상기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용량부 CWE의 한쪽의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비트선 WBL0(WBL)에, 예를 들면 -9V 정도의 마이너스의 전압을 인가한다. 그 이외의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비트선 WBL1(WBL)에는, 예를 들면 0V의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선택선 GS, 소스선 SL 및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비트선 RBL에, 예를 들면 0V를 인가한다. 이에 의해, 선택 메모리 셀 MCs의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용량부 CWE, CWE의 부유 게이트 전극에 채널 전체면의 FN 터널 전류에 의해 전자를 주입하고, 데이터를 기입한다.
다음으로, 도 8은 도 6의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일괄 소거 동작 시에서의 각 부에의 인가 전압을 도시하고 있다. 파선 S2는 데이터 일괄 소거 대상의 복수의 메모리 셀 MC(이하, 선택 메모리 셀 MCse1이라고 함)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부유 게이트 전극의 전자를 뽑아내는 것을 데이터 소거라고 정의하지만, 그 반대로 부유 게이트 전극에 전자를 주입하는 것을 데이터 소거라고 정의할 수도 있다.
데이터 일괄 소거 시에는, 상기 복수의 선택 메모리 셀 MCse1의 상기 용량부 C의 다른쪽의 전극이 접속되어 있는 제어 게이트 배선 CG0, CG1(CG)에, 예를 들면 -9V 정도의 마이너스의 제어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선택 메모리 셀 MCse1의 상기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용량부 CWE의 한쪽의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비트선 WBL0, WBL1(WBL)에, 예를 들면 9V 정도의 플러스의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선택선 GS, 소스선 SL 및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비트선 RBL에, 예를 들면 0V를 인가한다. 이에 의해, 데이터 일괄 소거를 행하는 복수의 선택 메모리 셀 MCse1의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용량부 CWE, CWE의 부유 게이트 전극에 축적된 전자를 채널 전체면의 FN 터널 전류에 의해 방출하고, 복수의 선택 메모리 셀 MCse1의 데이터를 일괄 소거한다.
다음으로, 도 9는 도 6의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비트 단위 소거 동작 시에서의 각 부에의 인가 전압을 도시하고 있다. 파선 S3은 데이터 일괄 소거 대상의 메모리 셀 MC(이하, 선택 메모리 셀 MCse2라고 함)를 나타내고 있다.
데이터·비트 단위 소거 시에는, 상기 선택 메모리 셀 MCse2의 상기 용량부 C의 다른쪽의 전극이 접속되어 있는 제어 게이트 배선 CG0(CG)에, 예를 들면 -9V 정도의 마이너스의 제어 전압을 인가한다. 그 이외의 제어 게이트 배선 CG1(CG)에는, 예를 들면 0V의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선택 메모리 셀 MCse2의 상기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용량부 CWE의 한쪽의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비트선 WBL0(WBL)에, 예를 들면 9V 정도의 플러스의 전압을 인가한다. 그 이외의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비트선 WBL1(WBL)에는, 예를 들면 0V의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선택선 GS, 소스선 SL 및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비트선 RBL에, 예를 들면 0V를 인가한다. 이에 의해, 데이터 소거 대상의 선택 메모리 셀 MCse2의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용량부 CWE, CWE의 부유 게이트 전극에 축적된 전자를 채널 전체면의 FN 터널 전류에 의해 방출하고, 데이터 소거 대상의 선택 메모리 셀 MCse2의 데이터를 소거한다.
다음으로, 도 10은 도 6의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읽어내기 동작 시에서의 각 부에의 인가 전압을 도시하고 있다. 파선 S4는 데이터 읽어내기 대상의 메모리 셀 MC(이하, 선택 메모리 셀 MCr이라고 함)를 나타내고 있다.
데이터 읽어내기 시에는, 상기 선택 메모리 셀 MCr의 상기 용량부 C의 다른쪽의 전극이 접속되어 있는 제어 게이트 배선 CG0(CG)에, 예를 들면 3V 정도의 제어 전압을 인가한다. 그 이외의 제어 게이트 배선 CG1(CG)에는, 예를 들면 0V의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선택 메모리 셀 MCr의 상기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용량부 CWE의 한쪽의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비트선 WBL0, WBL1(WBL)에, 예를 들면 0V 정도의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상기 선택 메모리 셀 MCr의 상기 선택 MIS·FETQS의 게이트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선택선 GS에, 예를 들면 3V 정도의 전압을 인가한다. 그리고,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비트선 RBL에, 예를 들면 1V 정도의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소스선 SL에, 예를 들면 0V를 인가한다. 이에 의해, 데이터 읽어내기 대상의 선택 메모리 셀 MCr의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MIS·FETQR을 온 조건으로 하고, 그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MIS·FETQR의 채널에 드레인 전류가 흐르는지의 여부에 의해, 선택 메모리 셀 MCr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가 0/1 중 어느 쪽인지를 읽어낸다.
다음으로, 도 11은 본 실시예 1의 반도체 장치에서의 플래시 메모리의 1비트분의 메모리 셀 MC의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Y2-Y2선의 단면도, 도 13은 본 실시예 1의 반도체 장치의 주회로 영역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또한, 도 11에서는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일부에 해칭을 붙였다.
본 실시예 1의 반도체 장치는, 예를 들면 LCD 드라이버 회로(주회로)이다. 이 LCD 드라이버 회로가 형성된 반도체 칩에는, 그 LCD 드라이버 회로 등에 관한 비교적 소용량의 원하는 정보를 기억하는 플래시 메모리가 형성되어 있다.
우선, 플래시 메모리의 구성예를 도 11 및 도 12에 의해 설명한다.
p형의 기판(1S)의 주면(제1 주면)에는, 활성 영역 L(L1, L2, L3, L4, L5)을 규정하는 상기 홈형의 분리부 TI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판(1S)에 형성된 n형(제1 도전형)의 매립 웰(제1 웰) DNW에는, p형(제2 도전형)의 웰 HPW1, HPW2, HPW3 및 n형의 웰 HNW가 형성되어 있다. p형의 웰 HPW1, HPW2, HPW3은, 매립 웰 DNW 및 n형의 웰 HNW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매립 웰 DNW에 내포되어 있다.
이 p형의 웰 HPW1∼HPW3에는, 예를 들면 붕소(B) 등과 같은 p형을 나타내는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다. p형의 웰 HPW3의 상층 일부에는, p+형의 반도체 영역(6a) 이 형성되어 있다. p+형의 반도체 영역(6a)에는, p형의 웰 HPW3과 동일한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지만, p+형의 반도체 영역(6a)의 불순물 농도 쪽이, p형의 웰 HPW3의 불순물 농도보다도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p+형의 반도체 영역(6a)은, 기판(1S)의 주면 상의 층간 절연막(절연막)(2b)에 형성된 컨택트 홀 CT 내의 도체부(7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도체부(7a)가 접하는 p+형의 반도체 영역(6a)의 표층 일부에는, 예를 들면 코발트 실리사이드와 같은 실리사이드층(5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n형의 웰 HNW에는, 예를 들면 인(P) 또는 비소(As) 등과 같은 n형을 나타내는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다. 이 n형의 웰 HNW의 상층 일부에는, n+형의 반도체 영역(8a)이 형성되어 있다. n+형의 반도체 영역(8a)에는, n형의 웰 HNW와 동일한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지만, n+형의 반도체 영역(8a)의 불순물 농도 쪽이, n형의 웰 HNW의 불순물 농도보다도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n+형의 반도체 영역(8a)은, 상기 p형의 웰 HPW1∼HPW3에 접촉하지 않도록, p형의 웰 HPW1∼HPW3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즉, n+형의 반도체 영역(8a)과 p형의 웰 HPW1∼HPW3 사이에는 n형의 매립 웰 DNW의 일부가 개재되어 있다. 이러한 n+형의 반도체 영역(8a)은, 상기 층간 절연막(2b)에 형성된 컨택트 홀 CT 내의 도체부(7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 어 있다. 이 도체부(7b)가 접하는 n+형의 반도체 영역(8a)의 표층 일부에는 실리사이드층(5a)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 1의 플래시 메모리의 메모리 셀 어레이 MR에 형성된 메모리 셀 MC는, 부유 게이트 전극 FG와,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용량부 CWE(전하 주입 방출부 CWE)와,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MIS·FETQR과, 용량부 C를 갖고 있다.
부유 게이트 전극 FG는, 정보의 기억에 기여하는 전하를 축적하는 부분이다. 이 부유 게이트 전극 FG는, 예를 들면 저저항인 다결정 실리콘 등과 같은 도전체막으로 이루어지고, 전기적으로 부유 상태(다른 도체와 절연된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다. 부유 게이트 전극 FG의 상면에는, 실리사이드층(5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부유 게이트 전극 FG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상기 p형의 웰 HPW1, HPW2, HPW3에 평면적으로 겹치도록 제1 방향 Y를 따라 연장한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다.
이 부유 게이트 전극 FG가 p형의 웰(제2 웰) HPW2의 활성 영역 L2에 평면적으로 겹치는 제1 위치에는, 상기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용량부 CWE가 배치되어 있다.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용량부 CWE는, 용량 전극(제1 전극) FGC1과, 용량 절연막(제1 절연막)(10d)과, p형의 반도체 영역(15)과, n형의 반도체 영역(16)과, p형의 웰 HPW2를 갖고 있다.
용량 전극 FGC1은, 상기 부유 게이트 전극 FG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용량부 CWE의 상기 다른쪽의 전극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상기 용량 절연막(10d) 은, 예를 들면 산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용량 전극 FGC1과 기판(1S)(p형의 웰 HPW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용량 절연막(10d)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 이상, 20㎚ 이하로 되어 있다. 단, 본 실시예 1의 용량부 CWE에서는, 데이터의 재기입에서, 전자를 p형의 웰 HPW2로부터 용량 절연막(10d)을 통하여 용량 전극 FGC1에 주입하거나, 용량 전극 FGC1의 전자를 용량 절연막(10d)을 통하여 p형의 웰 HPW2에 방출하거나 하므로, 용량 절연막(10d)의 두께는 얇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13.5㎚ 정도의 두께로 설정되어 있다. 용량 절연막(10d)의 두께를 10㎚ 이상으로 하는 이유는, 그보다 얇으면 용량 절연막(10d)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용량 절연막(10d)의 두께를 20㎚ 이하로 하는 이유는, 그보다 두꺼우면 전자를 통과시키는 것이 어렵게 되어, 데이터의 재기입을 잘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용량부 CWE의 p형의 반도체 영역(15) 및 n형의 반도체 영역(16)은, p형의 웰 HPW2 내에서 용량 전극 FGC1을 끼워 넣는 위치에 용량 전극 FGC1에 대하여 자기 정합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반도체 영역(15)은, 채널측의 p-형의 반도체 영역(15a)과, 그에 접속된 p+형의 반도체 영역(15b)을 갖고 있다. 이 p-형의 반도체 영역(15a) 및 p+형의 반도체 영역(15b)에는, 예를 들면 붕소(B) 등과 같은 동일 도전형의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지만, p+형의 반도체 영역(15b)의 불순물 농도 쪽이, p-형의 반도체 영역(15a)의 불순물 농도보다도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반도체 영역(16)은, 채널측의 n-형의 반도체 영역(16a)과, 그에 접속된 n+형의 반도체 영역(16b)을 갖고 있다. 이 n-형의 반도체 영역(16a) 및 n+형의 반도체 영역(16b)에는, 예를 들면 비소(As) 또는 인(P) 등과 같은 동일 도전형의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지만, n+형의 반도체 영역(16b)의 불순물 농도 쪽이, n-형의 반도체 영역(16a)의 불순물 농도보다도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p형의 반도체 영역(15), n형의 반도체 영역(16) 및 p형의 웰 HPW2는, 용량부 CWE의 상기 한쪽의 전극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이 p형의 반도체 영역(15) 및 n형의 반도체 영역(16)은, 상기 층간 절연막(2b)에 형성된 컨택트 홀 CT 내의 도체부(7c)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도체부(7c)는, 상기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비트선 WBL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도체부(7c)가 접하는 p+형의 반도체 영역(15b) 및 n+형의 반도체 영역(16b)의 표층 일부에는, 실리사이드층(5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n형의 반도체 영역(16)을 형성하고 있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n형의 반도체 영역(16)을 추가함으로써, 데이터의 기입 동작 시에, 용량 전극 FGC1 아래에 반전층의 형성이 촉진된다. 전자는, p형 반도체에서는 소수 캐리어인 것에 대하여 n형 반도체에서는 다수 캐리어이다. 이 때문에, n+형의 반도체 영역(16)을 형성함으로써, 주입 전자를 용량 전극 FGC1의 바로 아래의 반전층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그 결과, 실효적인 커플링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용량 전극 FGC1의 전위를 효율적으로 컨트롤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의 기입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기입 속도의 변동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 게이트 전극 FG가 p형의 웰(제3 웰) HPW3의 활성 영역 L1에 평면적으로 겹치는 제2 위치에는, 상기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MIS·FETQR이 배치되어 있다.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MIS·FETQR은, 게이트 전극(제2 전극) FGR과, 게이트 절연막(제2 절연막)(10b)과, 한쌍의 n형의 반도체 영역(12, 12)을 갖고 있다.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MIS·FETQR의 채널은, 상기 게이트 전극 FGR과 활성 영역 L1이 평면적으로 겹치는 상기 p형의 웰 HPW3의 상층에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 FGR은, 상기 부유 게이트 전극 FG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0b)은, 예를 들면 산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게이트 전극 FGR과 기판(1S)(p형의 웰 HPW3)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10b)의 두께는, 예를 들면 13.5㎚ 정도이다. 상기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MIS·FETQR의 한쌍의 n형의 반도체 영역(12, 12)은, p형의 웰 HPW3 내에서 게이트 전극 FGR을 끼워 넣는 위치에 게이트 전극 FGR에 대하여 자기 정합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MIS·FETQR의 한쌍의 n형의 반도체 영역(12, 12)은, 각각 채널측의 n-형의 반도체 영역(12a)과, 그 각각에 접속된 n+형의 반도체 영역(12b)을 갖고 있다. 이 n-의 반도체 영역(12a) 및 n+형의 반도체 영역(12b)에는, 예를 들면 인(P) 또는 비소(As) 등과 같은 동일 도전형의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지만, n+형의 반도체 영역(12b)의 불순물 농도 쪽이, n-형의 반도체 영역(12a)의 불순물 농도보다 도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MIS·FETQR의 반도체 영역(12, 12)의 한쪽은, 상기 층간 절연막(2b)에 형성된 컨택트 홀 CT 내의 도체부(7d)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도체부(7d)는, 상기 소스선 SL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도체부(7d)가 접하는 n+형의 반도체 영역(12b)의 표층 일부에는, 실리사이드층(5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MIS·FETQR의 반도체 영역(12, 12)의 다른쪽은, 상기 선택 MIS·FETQS의 소스 및 드레인용의 n형의 반도체 영역(12)의 한쪽과 공유로 되어 있다.
선택 MIS·FETQS는, 게이트 전극 FGS와, 게이트 절연막(10e)과, 소스 드레인용의 한쌍의 n형의 반도체 영역(12, 12)을 갖고 있다. 선택 MIS·FETQS의 채널은, 상기 게이트 전극 FGS와 활성 영역 L1이 평면적으로 겹치는 상기 p형의 웰 HPW3의 상층에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 FGS는, 예를 들면 저저항인 다결정 실리콘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에는 실리사이드층(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게이트 전극 FGS는, 상기 층간 절연막(2b)에 형성된 컨택트 홀 CT 내의 도체부(7f)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도체부(7f)는, 상기 선택선 GS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0e)은, 예를 들면 산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게이트 전극 FGS와 기판(1S)(p형의 웰 HPW3)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게이트 절연막(10e)의 두께는, 예를 들면 13.5㎚ 정도이다. 선택 MIS·FETQS의 한쌍의 n형의 반도체 영역(12, 12)의 구성은, 상기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MIS·FETQR의 n형의 반도체 영 역(12)과 동일하다. 선택 MIS·FETQS의 다른쪽의 n형의 반도체 영역(12)은, 상기 층간 절연막(2b)에 형성된 컨택트 홀 CT 내의 도체부(7g)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도체부(7g)에는, 상기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비트선 RBL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도체부(7g)가 접하는 n+형의 반도체 영역(12b)의 표층 일부에는 실리사이드층(5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유 게이트 전극 FG가 상기 p형의 웰(제4 웰) HPW1에 평면적으로 겹치는 위치에는, 상기 용량부 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용량부 C는, 제어 게이트 전극 CGW와, 용량 전극(제3 전극) FGC2와, 용량 절연막(제3 절연막)(10c)과, p형의 반도체 영역(13)과, n형의 반도체 영역(14)과, p형의 웰 HPW1을 갖고 있다.
용량 전극 FGC2는,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 CGW에 대향하는 부유 게이트 전극 FG 부분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량부 C의 한쪽의 전극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메모리 셀 MC의 게이트 구성을 단층 구성으로 함으로써, 플래시 메모리의 메모리 셀 MC와 주회로의 소자의 제조상의 정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반도체 장치의 제조 시간의 단축이나 제조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용량 전극 FGC2의 제2 방향 X의 길이는, 상기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용량부 CWE의 용량 전극 FGC1이나 상기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MIS·FETQR의 게이트 전극 FGR의 제2 방향 X의 길이보다도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용량 전극 FGC2의 평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커플링비를 높일 수 있어, 제어 게이트 전극 CGW로부터의 전압 공급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용량 절연막(10c)은, 예를 들면 산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용량 전극 FGC2와 기판(1S)(p형의 웰 HPW1)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용량 절연막(10c)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10b, 10e), 용량 절연막(10d)을 형성하기 위한 열산화 공정에 의해 동시에 형성되어 있고, 그 두께는, 예를 들면 13.5㎚ 정도이다.
용량부 C의 p형의 반도체 영역(13) 및 n형의 반도체 영역(14)은, p형의 웰 HPW1 내에서 용량 전극 FGC2를 끼워 넣는 위치에 용량 전극 FGC2에 대하여 자기 정합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반도체 영역(13)은, 채널측의 p-형의 반도체 영역(13b)과, 그에 접속된 p+형의 반도체 영역(13a)을 갖고 있다. 이 p-형의 반도체 영역(13b) 및 p+형의 반도체 영역(13a)에는, 예를 들면 붕소(B) 등과 같은 동일 도전형의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지만, p+형의 반도체 영역(13a)의 불순물 농도 쪽이, p-형의 반도체 영역(13b)의 불순물 농도보다도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반도체 영역(14)은, 채널측의 n-형의 반도체 영역(14b)과, 그에 접속된 n+형의 반도체 영역(14a)을 갖고 있다. 이 n-형의 반도체 영역(14b) 및 n+형의 반도체 영역(14a)에는, 예를 들면 비소(As), 인(P) 등과 같은 동일 도전형의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지만, n+형의 반도체 영역(14a)의 불순물 농도 쪽이, n-형의 반도체 영역(14b)의 불순물 농도보다도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p형의 반도체 영역(13), n형의 반도체 영역(14) 및 p형의 웰 HPW1은, 용량부 C의 제어 게이트 전극 CGW(상기 다른쪽의 전 극)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이 p형의 반도체 영역(13) 및 n형의 반도체 영역(14)은, 상기 층간 절연막(2b)에 형성된 컨택트 홀 CT 내의 도체부(7e)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도체부(7e)는, 상기 제어 게이트 배선 CG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도체부(7e)가 접하는 p+형의 반도체 영역(13a) 및 n+형의 반도체 영역(14a)의 표층 일부에는, 실리사이드층(5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n형의 반도체 영역(14)을 형성하고 있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n형의 반도체 영역(14)을 추가함으로써, 데이터의 소거 동작 시에, 전자를 용량 절연막(10c)의 바로 아래에 스무스하게 공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용량 전극 FGC2 아래에 반전층을 신속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p형의 웰 HPW1을 신속하게 -9V로 고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실효적인 커플링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용량 전극 FGC2의 전위를 효율적으로 컨트롤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소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소거 속도의 변동도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1에 따르면, 용량부(전하 주입 방출부) CWE 및 용량부 C에, p형의 반도체 영역(15, 13) 및 n형의 반도체 영역(16, 14)의 양방을 형성함으로써, 용량부(전하 주입 방출부) CWE에서는 n형의 반도체 영역(16)이 전하 주입 시의 전자의 공급원으로서 작용하고, 용량부 C에서는 n형의 반도체 영역(14)이 반전층에의 전자의 공급원으로서 작용하므로, 메모리 셀 MC의 데이터의 기입 속도 및 소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LCD 드라이버 회로의 소자의 구성예를 도 13에 의해 설명한다.
고내압부 및 저내압부는, LCD 드라이버 회로를 구성하는 MIS·FET의 형성 영역이다.
고내압부의 분리부 TI에 둘러싸인 활성 영역에는, 고내압의 p채널형의 MIS·FETQPH 및 n채널형의 MIS·FETQNH가 배치되어 있다. 고내압부의 MIS·FETQPH, QNH의 동작 전압은, 예를 들면 25V 정도이다.
고내압의 p채널형의 MIS·FETQPH는, 게이트 전극 FGH와, 게이트 절연막(10f)과, 한쌍의 p형의 반도체 영역(21, 21)을 갖고 있다. 이 MIS·FETQPH의 채널은, 상기 게이트 전극 FGH와 활성 영역이 평면적으로 겹치는 n형의 매립 웰 DNW의 상층에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 FGH는, 예를 들면 저저항인 다결정 실리콘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에는 실리사이드층(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0f)은, 예를 들면 산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게이트 전극 FGH와 기판(1S)(n형의 매립 웰 DNW)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고내압의 p채널형의 MIS·FETQPH의 한쌍의 p형의 반도체 영역(21, 21)은, n형의 매립 웰 DNW 내에서 게이트 전극 FGH를 끼워 넣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 한쌍의 p형의 반도체 영역(21, 21)의 한쪽은, 채널측의 p-형의 반도체 영역(21a)과, 그에 접속된 p+형의 반도체 영역(21b)을 갖고 있다. 이 p-형의 반도체 영역(21a) 및 p+형의 반도체 영역(21b)에는, 예를 들면 붕소(B) 등과 같은 동일 도 전형의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지만, p+형의 반도체 영역(21b)의 불순물 농도 쪽이, p-형의 반도체 영역(21a)의 불순물 농도보다도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p형의 반도체 영역(21, 21)의 다른쪽은, 채널측의 p형의 반도체 영역 PV와, 그에 접속된 p+형의 반도체 영역(21b)을 갖고 있다. p형의 반도체 영역 PV의 불순물 농도는, p형의 매립 웰 DPW보다도 높고, p+형의 반도체 영역(21b)의 불순물 농도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고내압의 MIS·FETQPH의 반도체 영역(21, 21)은, 상기 층간 절연막(2b) 및 절연막(2a)에 형성된 컨택트 홀 CT 내의 도체부(7h)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도체부(7h)가 접하는 p+형의 반도체 영역(21b)의 표층 일부에는, 실리사이드층(5a)이 형성되어 있다.
고내압의 n채널형의 MIS·FETQNH는, 게이트 전극 FGH와, 게이트 절연막(10f)과, 한쌍의 n형의 반도체 영역(22, 22)을 갖고 있다. 이 MIS·FETQNH의 채널은, 상기 게이트 전극 FGH와 활성 영역이 평면적으로 겹치는 p형의 매립 웰 DPW의 상층에 형성된다.
고내압의 MIS·FETQNH의 게이트 전극 FGH는, 예를 들면 저저항인 다결정 실리콘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에는 실리사이드층(5a)이 형성되어 있다. 고내압의 MIS·FETQNH의 게이트 절연막(10f)은, 예를 들면 산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게이트 전극 FGH와 기판(1S)(p형의 매립 웰 DPW)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고내압의 MIS·FETQNH의 한쌍의 n형의 반도체 영역(22, 22)은, p형의 매립 웰 DPW 내에서 게이트 전극 FGH를 끼워 넣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 한쌍의 n형의 반도체 영역(22, 22)의 한쪽은, 채널측의 n-형의 반도체 영역(22a)과, 그에 접속된 n+형의 반도체 영역(22b)을 갖고 있다. 이 n-형의 반도체 영역(22a) 및 n+형의 반도체 영역(22b)에는, 예를 들면 인 또는 비소(As) 등과 같은 동일 도전형의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지만, n+형의 반도체 영역(22b)의 불순물 농도 쪽이, n-형의 반도체 영역(22a)의 불순물 농도보다도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n형의 반도체 영역(22, 22)의 다른쪽은, 채널측의 n형의 반도체 영역 NV와, 그에 접속된 n+형의 반도체 영역(22b)을 갖고 있다. n형의 반도체 영역 NV의 불순물 농도는, n형의 매립 웰 DNW보다도 높고, n+형의 반도체 영역(22b)의 불순물 농도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고내압의 MIS·FETQNH의 반도체 영역(22, 22)은, 상기 층간 절연막(2b) 및 절연막(2a)에 형성된 컨택트 홀 CT 내의 도체부(7i)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도체부(7i)가 접하는 n+형의 반도체 영역(22b)의 표층 일부에는, 실리사이드층(5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저내압부의 분리부 TI에 둘러싸인 활성 영역에는, p채널형의 MIS·FETQPL 및 n채널형의 MIS·FETQNL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저내압부의 MIS·FETQPL, QNL의 동작 전압은, 예를 들면 6.0V 정도이다. 저내압부의 MIS·FETQPL, QNL의 게이트 절연막은, 고내압의 MIS·FETQNH, QPH와 비교하여, 그 막 두께는 얇게 형성되고, 게이트 길이 방향의 게이트 전극 길이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내압부의 MIS·FETQPL, QNL 중에는, 상기한 동작 전압이 6.0V인 것 이외에, 동작 전압이 1.5V인 MIS·FET가 있다. 이 동작 전압이 1.5V인 MIS·FET는, 동작 전압이 6.0V인 MIS·FET보다도 고속으로 동작할 목적으로 설정되고, 다른 MIS·FET와 함께 상기한 LCD 드라이버 회로를 구성한다. 또한, 동작 전압이 1.5V인 MIS·FET는, 그 게이트 절연막이, 동작 전압이 6.0V인 MIS·FET의 게이트 절연막보다도 얇고, 그 막 두께가 1∼3㎚ 정도로 구성되어 있다. 이후의 도면 및 명세서문 중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주로 동작 전압이 25V인 고내압부의 MIS·FET와, 동작 전압이 6.0V인 저내압부의 MIS·FET를 도시하고, 동작 전압이 1.5V인 MIS·FET는 도시하지 않는다.
저내압의 p채널형의 MIS·FETQPL은, 게이트 전극 FGL과, 게이트 절연막(10g)과, 한쌍의 p형의 반도체 영역(23, 23)을 갖고 있다. 이 MIS·FETQPL의 채널은, 상기 게이트 전극 FGL과 활성 영역이 평면적으로 겹치는 n형의 웰 NW의 상층에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 FGL은, 예를 들면 저저항인 다결정 실리콘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에는 실리사이드층(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0g)은, 예를 들면 산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게이트 전극 FGL과 기판(1S)(n형의 웰 NW)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저내압의 p채널형의 MIS·FETQPL의 한쌍의 p형의 반도체 영역(23, 23)은, n형의 웰 NW 내에서 게이트 전극 FGL을 끼워 넣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 한쌍의 p형의 반도체 영역(23, 23)의 각각은, 채널측의 p-형의 반도체 영역(23a)과, 그에 접속된 p+형의 반도체 영역(23b)을 갖고 있다. 이 p-형의 반도체 영역(23a) 및 p+형의 반도체 영역(23b)에는, 예를 들면 붕소(B) 등과 같은 동일 도전형의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지만, p+형의 반도체 영역(23b)의 불순물 농도 쪽이, p-형의 반도체 영역(23a)의 불순물 농도보다도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저내압의 MIS·FETQPL의 반도체 영역(23, 23)은, 상기 층간 절연막(2b) 및 절연막(2a)에 형성된 컨택트 홀 CT 내의 도체부(7j)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도체부(7j)가 접하는 p+형의 반도체 영역(23b)의 표층 일부에는, 실리사이드층(5a)이 형성되어 있다.
저내압의 n채널형의 MIS·FETQNL은, 게이트 전극 FGL과, 게이트 절연막(10g)과, 한쌍의 n형의 반도체 영역(24, 24)을 갖고 있다. 이 MIS·FETQNL의 채널은, 상기 게이트 전극 FGL과 활성 영역이 평면적으로 겹치는 p형의 웰 PW의 상층에 형성된다.
저내압의 MIS·FETQNL의 게이트 전극 FGL은, 예를 들면 저저항인 다결정 실리콘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에는 실리사이드층(5a)이 형성되어 있다. 저 내압의 MIS·FETQNL의 게이트 절연막(10g)은, 예를 들면 산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게이트 전극 FGL과 기판(1S)(p형의 웰 PW)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저내압의 MIS·FETQNL의 한쌍의 n형의 반도체 영역(24, 24)은, p형의 웰 PW 내에서 게이트 전극 FGL을 끼워 넣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 한쌍의 n형의 반도체 영역(24, 24)의 각각은, 채널측의 n-형의 반도체 영역(24a)과, 그에 접속된 n+형의 반도체 영역(24b)을 갖고 있다. 이 n-형의 반도체 영역(24a) 및 n+형의 반도체 영역(24b)에는, 예를 들면 인 또는 비소(As) 등과 같은 동일 도전형의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지만, n+형의 반도체 영역(24b)의 불순물 농도 쪽이, n-형의 반도체 영역(24a)의 불순물 농도보다도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저내압의 MIS·FETQNL의 반도체 영역(24, 24)은, 상기 층간 절연막(2b) 및 절연막(2a)에 형성된 컨택트 홀 CT 내의 도체부(7k)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도체부(7k)가 접하는 n+형의 반도체 영역(24b)의 표층 일부에는, 실리사이드층(5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 1에서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CD 드라이버 회로 영역이나 플래시 메모리의 주변 회로 영역 등과 같은 플래시 메모리 이외의 회로 영역에서는, 절연막(2a)을 형성하고,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래시 메모리의 메모리 셀 어레이 MR에서는, 절연막(2a)을 형성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LCD 드라이버 회로 영역, 플래시 메모리의 주변 회로 영역 등과 같은 플래시 메모리 이외의 회로 영역에서의 소자의 미세화를 유지한 그대로, 메모리 셀 어레이 MR에서의 부유 게이트 전극 FG의 전하 e의 리크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어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유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반도체 장치(반도체 칩, 기판(1S))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단일 전원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 1에서는, 반도체 장치의 외부 단일 전원 전압(예를 들면 3.3V)을 LCD 드라이버 회로용의 부전압 승압 회로(내부 승압 회로)에 의해, 메모리 셀 MC의 데이터 기입 시에 사용하는 전압(예를 들면 -9V)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단일 전원 전압(예를 들면 3.3V)을 LCD 드라이버 회로용의 정전압 승압 회로(내부 승압 회로)에 의해, 메모리 셀 MC의 데이터 소거 시에 사용하는 전압(예를 들면 9V)으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플래시 메모리용에 새롭게 내부 승압 회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반도체 장치의 내부의 회로 규모를 작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반도체 장치의 소형화를 추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는 본 실시예 1의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기입 동작 시의 상기 선택 메모리 셀 MCs에서의 각 부에의 인가 전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 11의 Y2-Y2선의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도체부(7b)를 통하여 n형의 웰 HNW 및 n형의 매립 웰 DNW에, 예를 들면 9V 정도의 전압을 인가하여 기판(1S)과 p형의 웰 HPW1∼HPW3의 전기적인 분리를 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 게이트 배선 CG로부터 도체부(7e)를 통하여 용량부 C 의 제어 게이트 전극 CGW에, 예를 들면 9V 정도의 플러스의 제어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비트선 WBL로부터 도체부(7c)를 통하여 용량부 CWE의 한쪽의 전극(p형의 반도체 영역(15) 및 p형의 웰 HPW2)에, 예를 들면 -9V 정도의 마이너스의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도체부(7a)를 통하여, p형의 웰 HPW3에, 예를 들면 0V를 인가한다. 또한, 상기 선택선 GS로부터 도체부(7f)를 통하여 선택 MIS·FETQS의 게이트 전극 FGS에, 예를 들면 0V를 인가한다. 또한, 상기 소스선 SL로부터 도체부(7d)를 통하여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MIS·FETQR의 한쪽의 n형의 반도체 영역(12)에, 예를 들면 0V를 인가한다. 또한,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비트선 RBL로부터 도체부(7g)를 통하여, 선택 MIS·FETQS의 한쪽의 n형의 반도체 영역(12)에, 예를 들면 0V를 인가한다. 이에 의해, 선택 메모리 셀 MCs의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용량부 CWE의 p형의 웰 HPW2의 전자 e를, 채널 전체면의 FN 터널 전류에 의해 용량 절연막(10d)을 통하여 용량 전극 FGC1(부유 게이트 전극 FG)에 주입하고, 데이터를 기입한다.
다음으로, 도 15는 본 실시예 1의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소거 동작 시에서의 각 부에의 인가 전압을 도시하는 도 11의 Y2-Y2선의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도체부(7b)를 통하여 n형의 웰 HNW 및 n형의 매립 웰 DNW에, 예를 들면 9V 정도의 전압을 인가하여 기판(1S)과 p형의 웰 HPW1∼HPW3의 전기적인 분리를 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 게이트 배선 CG로부터 도체부(7e)를 통하여 용량부 C의 제어 게이트 전극 CGW에, 예를 들면 -9V 정도의 마이너스의 제어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비트선 WBL로부터 도체부(7c)를 통하여 용 량부 CWE의 한쪽의 전극(p형의 반도체 영역(15) 및 p형의 웰 HPW2)에, 예를 들면 9V 정도의 플러스의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도체부(7a)를 통하여, p형의 웰 HPW3에, 예를 들면 0V를 인가한다. 또한, 상기 선택선 GS로부터 도체부(7f)를 통하여 선택 MIS·FETQS의 게이트 전극 FGS에, 예를 들면 0V를 인가한다. 또한, 상기 소스선 SL로부터 도체부(7d)를 통하여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MIS·FETQR의 한쪽의 n형의 반도체 영역(12)에, 예를 들면 0V를 인가한다. 또한,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비트선 RBL로부터 도체부(7g)를 통하여, 선택 MIS·FETQS의 한쪽의 n형의 반도체 영역(12)에, 예를 들면 0V를 인가한다. 이에 의해, 선택 메모리 셀 MCse1(MCse2)의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용량부 CWE의 용량 전극 FGC1(부유 게이트 전극 FG)에 축적된 전자 e를, 채널 전체면의 FN 터널 전류에 의해 용량 절연막(10d)을 통하여 p형의 웰 HPW2에 방출하고, 데이터를 소거한다.
다음으로, 도 16은 본 실시예 1의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읽어내기 동작 시에서의 각 부에의 인가 전압을 도시하는 도 11의 Y2-Y2선의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도체부(7b)를 통하여 n형의 웰 HNW 및 n형의 매립 웰 DNW에, 예를 들면 3V 정도의 전압을 인가하여 기판(1S)과 p형의 웰 HPW1∼HPW3의 전기적인 분리를 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 게이트 배선 CG로부터 도체부(7e)를 통하여 용량부 C의 제어 게이트 전극 CGW에, 예를 들면 3V 정도의 플러스의 제어 전압을 인가한다. 이에 의해,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MIS·FETQR의 게이트 전극 FGR에 플러스의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도체부(7a)를 통하여, p형의 웰 HPW3에, 예를 들면 0V를 인가한다. 또한, 상기 선택선 GS로부터 도체부(7f)를 통하여 선택 MIS·FETQS의 게이트 전극 FGS에, 예를 들면 3V를 인가한다. 또한, 상기 소스선 SL로부터 도체부(7d)를 통하여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MIS·FETQR의 한쪽의 n형의 반도체 영역(12)에, 예를 들면 0V를 인가한다. 또한,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비트선 RBL로부터 도체부(7g)를 통하여, 선택 MIS·FETQS의 한쪽의 n형의 반도체 영역(12)에, 예를 들면 1V를 인가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비트선 WBL로부터 도체부(7c)를 통하여 용량부 CWE의 한쪽의 전극(p형의 반도체 영역(15) 및 p형의 웰 HPW2)에, 예를 들면 0V의 전압을 인가한다. 이에 의해, 선택 메모리 셀 MCr의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MIS·FETQR을 온 조건으로 하고, 그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MIS·FETQR의 채널에 드레인 전류가 흐르는지의 여부에 의해, 선택 메모리 셀 MCr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가 0/1 중 어느 것인지를 읽어낸다.
이러한 본 실시예 1에 따르면, 데이터 재기입 영역(용량부 CWE), 데이터 읽어내기 영역(데이터 읽어내기용의 MIS·FETQR) 및 용량 결합 영역(용량부 C)을 각각 따로 따로의 p형의 웰 HPW1∼HPW3 내에 형성하고, 각각을 n형의 웰 HNW 및 n형의 매립 웰 DNW에 의해 분리한다.
데이터 재기입 영역(용량부 CWE)과, 데이터 읽어내기 영역(데이터 읽어내기용의 MIS·FETQR)을 각각 따로 따로의 p형의 웰 HPW2, HPW3 내에 형성함으로써, 데이터 재기입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플래시 메모리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 1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 17∼도 32에 의해 설명한다. 도 17∼도 32는, 본 실시예 1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 중에서 의 동일한 기판(1S)(여기서는, 반도체 웨이퍼라고 칭하는 평면 원 형상의 반도체 박판)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우선,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형의 기판(1S)(반도체 웨이퍼)을 준비하고, 그 고내압부에, p형의 매립 웰 DPW를 포토리소그래피(이하, 간단히 리소그래피라고 함) 공정 및 이온 주입 공정 등에 의해 형성한다. 리소그래피 공정은, 포토레지스트(이하, 간단히 레지스트라고 함)막의 도포, 노광 및 현상 등에 의해 원하는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일련의 공정이다. 이온 주입 공정에서는, 리소그래피 공정을 거쳐 기판(1S)의 주면 상에 형성된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기판(1S)의 원하는 부분에 원하는 불순물을 선택적으로 도입한다. 여기서의 레지스트 패턴은, 불순물의 도입 영역이 노출되고, 그 이외의 영역이 덮여지는 패턴으로 되어 있다.
계속해서, 고내압부, 저내압부 및 플래시 메모리의 메모리 셀 어레이에, n형의 매립 웰 DNW를 리소그래피 공정 및 이온 주입 공정 등에 의해 동시에 형성한다. 그 후, 기판(1S)의 주면의 분리 영역에 분리 홈을 형성한 후, 그 분리 홈 내에 절연막을 매립함으로써, 홈형의 분리부 TI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활성 영역을 규정한다.
다음으로,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내압부의 n채널형의 MIS·FET 형성 영역에, n형의 반도체 영역 NV를 리소그래피 공정 및 이온 주입 공정 등에 의해 형성한다. 이 n형의 반도체 영역 NV는 n형의 매립 웰 DNW보다도 높은 불순물 농도를 갖는 영역이다. 계속해서, 고내압부의 p채널형의 MIS·FET 형성 영 역에, p형의 반도체 영역 PV를 리소그래피 공정 및 이온 주입 공정 등에 의해 형성한다. 이 p형의 반도체 영역 PV는 p형의 매립 웰 DPW보다도 높은 불순물 농도를 갖는 영역이다.
계속해서, 저내압부의 n채널형의 MIS·FET 형성 영역에, p형의 웰 PW를 리소그래피 공정 및 이온 주입 공정 등에 의해 형성한다. 이 p형의 웰 PW는 p형의 매립 웰 DPW보다도 높은 불순물 농도를 갖는 영역이며, p형의 반도체 영역 PV보다도 높은 불순물 농도를 갖는 영역이다. 계속해서, 저내압부의 p채널형의 MIS·FET 형성 영역에, n형의 웰 NW를 리소그래피 공정 및 이온 주입 공정 등에 의해 형성한다. 이 n형의 웰 NW는 n형의 매립 웰 DNW보다도 높은 불순물 농도를 갖는 영역이며, n형의 반도체 영역 NV보다도 높은 불순물 농도를 갖는 영역이다.
계속해서, 플래시 메모리의 메모리 셀 어레이에, p형의 웰 HPW1∼HPW3을 리소그래피 공정 및 이온 주입 공정 등에 의해 동시에 형성한다. 이 p형의 웰 HPW1∼HPW3은 p형의 매립 웰 DPW보다도 높은 불순물 농도를 갖는 영역이며, p형의 반도체 영역 PV와 동일 정도의 불순물 농도를 갖는 영역이다.
또한, 이들 n형의 매립 웰 DNW, p형의 매립 웰 DPW, n형의 반도체 영역 NV, p형의 반도체 영역 PV, n형의 웰 NW, p형의 웰 PW, p형의 웰 HPW1∼HPW3의 불순물 농도의 대소 관계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 후, 게이트 절연막(10b, 10e, 10f, 10g) 및 용량 절연막(10c, 10d)을 열산화법 등에 의해 형성한 후, 기판(1S)(반도체 웨이퍼)의 주면(제1 주면) 상에, 예를 들면 저저항인 다결정 실리콘막으로 이루어지는 도체막(20)을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법 등에 의해 형성한다. 이 때, 고내압부의 MIS·FET의 게이트 절연막(10f)은, 25V의 내압에 견딜 수 있도록, 저내압부의 MIS·FET의 게이트 절연막(10g)보다도 두꺼운 막 두께의 게이트 절연막으로 형성한다. 고내압의 MIS·FET의 게이트 절연막(10f)의 두께는, 예를 들면 50∼100㎚이다. 상기한 열산화법에 의한 산화막 외에, CVD법 등에 의해 퇴적한 절연막을 적층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불휘발성 메모리의 게이트 절연막(10b, 10e) 및 용량 절연막(10c, 10d)은, 저내압부의 MIS·FET(여기서는 동작 전압이, 예를 들면 6.0V의 MIS·FET)의 게이트 절연막(10g)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래시 메모리의 게이트 절연막(10b, 10e) 및 용량 절연막(10c, 10d)의 두께는, 상기 저내압부의 MIS·FET의 게이트 절연막(10g)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절연막(10a) 등과 마찬가지의 이유로부터, 게이트 절연막(10b, 10e, 10g) 및 용량 절연막(10c, 10d)의 막 두께는 10㎚ 이상으로서 20㎚ 이하가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13.5㎚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도체막(20)을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소그래피 공정 및 에칭 공정에 의해 패터닝함으로써, 게이트 전극 FGH, FGL, FGS 및 부유 게이트 FG(게이트 전극 FGR 및 용량 전극 FGC1, FGC2)를 동시에 형성한다. 계속해서, 고내압부의 p채널형의 MIS·FET 형성 영역, 용량부 C의 형성 영역 및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용량부 CWE의 형성 영역에, p-형의 반도체 영역(21a, 13b, 15a)을 리소그래피 공정 및 이온 주입법 등에 의해 동시에 형성한다. 계속해서, 고내압부의 n채널형의 MIS·FET 형성 영역,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MIS·FETQR의 형성 영역, 용량부 C의 형성 영역,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용량부 CWE의 형성 영역 및 선택 MIS·FETQS의 형성 영역에, n-형의 반도체 영역(22a, 12a, 14b, 16a)을 리소그래피 공정 및 이온 주입법 등에 의해 동시에 형성한다. 계속해서, 저내압부의 p채널형의 MIS·FET 형성 영역에, p-형의 반도체 영역(23a)을 리소그래피 공정 및 이온 주입법 등에 의해 형성한다. 계속해서, 저내압부의 n채널형의 MIS·FET 형성 영역에, n-형의 반도체 영역(24a)을 리소그래피 공정 및 이온 주입법 등에 의해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1S)(반도체 웨이퍼)의 주면 상에, 예를 들면 산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절연막을 CVD법 등에 의해 퇴적한 후, 그를 이방성의 드라이 에칭에 의해 에치백함으로써, 게이트 전극 FGH, FGL, FGR, FGS 및 용량 전극 FGC1, FGC2의 측면에 사이드월 SW를 형성한다.
계속해서, 고내압부 및 저내압부의 p채널형의 MIS·FET 형성 영역과, 용량부 및 기입·소거용 용량부 형성 영역과, p형의 웰 HPW3의 인출 영역에, p+형의 반도체 영역(21b, 23b, 13a, 15b, 6a)을 리소그래피 공정 및 이온 주입법 등에 의해 동시에 형성한다. 이에 의해, 고내압부에, 소스 및 드레인용의 p형의 반도체 영역(21)을 형성하고, p채널형의 MIS·FETQPH를 형성한다. 또한, 저내압부에, 소스 및 드레인용의 p형의 반도체 영역(23)을 형성하고, p채널형의 MIS·FETQPL을 형성한다. 또한, 용량부 형성 영역에, p형의 반도체 영역(13)을 형성한다. 또한, 기입·소거용 용량부 형성 영역에, p형의 반도체 영역(15)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고내압부, 저내압부, 읽어내기부, 용량부, 기입·소거용 용량부 형성 영역 및 선택부의 n채널형의 MIS·FET 형성 영역에, n+형의 반도체 영역(22b, 24b, 12b, 14a, 16b)을 리소그래피 공정 및 이온 주입법 등에 의해 동시에 형성한다. 이에 의해, 고내압부에, 소스 및 드레인용의 n형의 반도체 영역(22)을 형성하고, n채널형의 MIS·FETQNH를 형성한다. 또한, 저내압부에, 소스 및 드레인용의 n형의 반도체 영역(24)을 형성하고, n채널형의 MIS·FETQNL을 형성한다. 또한, 읽어내기부 및 선택부에, n형의 반도체 영역(12)을 형성하고,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MIS·FETQR 및 선택 MIS·FETQS를 형성한다. 또한, 용량부 형성 영역에, n형의 반도체 영역(14)을 형성한다. 또한, 기입·소거용 용량부 형성 영역에, n형의 반도체 영역(16)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리사이드층(5a)을 선택적으로 형성한다. 계속해서,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1S)(반도체 웨이퍼)의 주면 상에, 예를 들면 질화 실리콘막으로 이루어지는 절연막(2a)을 부유 게이트 전극 FG 및 게이트 전극 FGH, FGL을 덮도록 CVD법 등에 의해 퇴적한다. 이 단계에서는, 메모리 셀 어레이 및 LCD 드라이버 회로 영역의 양쪽 모두에 절연막(2a)이 퇴적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9 및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연막(2a) 상에 레지스트 패턴 RP를 리소그래피 공정을 거쳐서 형성한다. 이 레지스트 패턴 RP는, LCD 드라이버 회로 영역 및 플래시 메모리의 주변 회로 영역 등과 같은 메모리 셀 어레이 이외의 영역을 덮고, 메모리 셀 어레이를 노출하는 패턴으로 되어 있다. 계속해서, 그 레지스트 패턴 RP를 에칭 마스크로 하여, 메모리 셀 어레이의 절연막(2a)을 제거한다. 그 후, 레지스트 패턴 RP를 제거한다.
다음으로,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1S)의 주면 상에, 예를 들면 산화 실리콘막으로 이루어지는 층간 절연막(2b)을, 하층의 절연막(2a)보다도 두껍게 CVD법 등에 의해 퇴적하고, 또한 층간 절연막(2b)의 상면에 대하여 화학적 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처리를 실시하여 층간 절연막(2b)의 상면을 평탄화한다.
계속해서, 메모리 셀 어레이의 층간 절연막(2b) 및 LCD 드라이버 회로 영역의 절연막(2a, 2b)에 컨택트 홀 CT를 리소그래피 공정 및 에칭 공정에 의해 형성한다. 그 후, 기판(1S)(반도체 웨이퍼)의 주면 상에, 예를 들면 텅스텐(W)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체막을 CVD법 등에 의해 퇴적한 후, 그를 CMP법 등에 의해 연마함으로써 컨택트 홀 CT 내에 도체부(7a, 7c∼7k)를 형성한다.
이 때, 절연막(2a)은, 컨택트 홀 CT를 형성하기 위한 에칭 시에 에칭 스토퍼로서 기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절연막(2a)을 형성함으로써, 주로 주회로 영역 N의 소자의 치수를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메모리 셀 어레이 MR 측의 반도체 영역(12, 13, 14, 15, 16)은, 주회로 영역 N의 반도체 영역(23, 24)보다도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컨택트 홀 CT의 위치 정렬에 여유가 있으므로, 메모리 셀 어레이 MR에 절연막(2a)을 형성하지 않아도 컨택트 홀 CT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이후에는 통상의 배선 형성 공정, 검사 공정 및 조립 공정을 거쳐 반도체 장치를 제조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 1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LCD 드라이버 회로용의 MIS·FETQPH, QNH, QPL, QNL의 구성부와, 메모리 셀 MC의 용량부 C, CWE 및 MIS·FETQR, QS의 구성부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반도체 장치의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장치의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 2에서는, 상기 도 4의 구성의 반도체 장치의 구체예를 도 33∼도 35에 의해 설명한다.
도 33은 본 실시예 2의 반도체 장치에서의 플래시 메모리의 메모리 셀 MC의 일례의 평면도, 도 34는 도 33의 Y3-Y3선의 단면도, 도 35는 본 실시예 2의 반도체 장치의 주회로 영역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또한, 도 33에서는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일부에 해칭을 붙였다.
본 실시예 2에서는, 메모리 셀 어레이 MR에 캡 절연막(절연막)(3a)이 형성되어 있다. 캡 절연막(3a)은, 예를 들면 산화 실리콘막으로 이루어지고, 부유 게이트 전극 FG(용량 전극 FGC1, FGC2, 게이트 전극 FGR 등)의 상면, 사이드월 SW의 표면 전체 및 그 외주의 기판(1S)의 주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 메모리 셀 어레이 MR에는 상기 절연막(2a)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캡 절연막(3a)은 층간 절연막(2b)에 접한 상태로 덮여져 있다. 즉, 본 실시예 2에서도,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CD 드라이버 회로 영역 및 플래시 메모리의 주변 회로 영역 등과 같은 플래시 메모리 이외의 회로 영역에서는 절연막(2a)을 형성하고,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래시 메모리의 메모리 셀 어레이 MR에서는 절연막(2a)을 형성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LCD 드라이버 회로 영역, 플래시 메모리의 주변 회로 영역 등과 같은 플래시 메모리 이외의 회로 영역에서의 소자의 미세화를 유지한 그대로, 플래시 메모리의 메모리 셀 어레이 MR에서의 부유 게이트 전극 FG의 전하 e의 리크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어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유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캡 절연막(3a)을 형성함으로써, 메모리 셀 어레이 MR의 절연막(2a)을 제거할 때에, 부유 게이트 전극 FG의 상면을 캡 절연막(3a)에 의해 보호할 수 있으므로, 반도체 장치의 수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캡 절연막(3a)은, 상기 실리사이드층(5a)의 형성 공정 전에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도 1∼도 24의 공정을 거친 후, 캡 절연막(3a)을 기판(1S)의 주면에 퇴적하고, 이를 리소그래피 공정 및 에칭 공정을 거쳐 패터닝한다. 그 후, 실리사이드층(5a)을 형성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절연막(2a)을 퇴적하고, 이를 패터닝한다. 이 이후의 공정은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생략한다.
이 때문에, 캡 절연막(3a)은, 실리사이드층(5a)을 선택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캡 절연막(3a)은, 기판(1S)의 주면의 다른 영역에 설치된 저항 소자(도시 생략) 상에도 형성되어 있다. 이 저항 소자는, 예를 들면 다결정 실리콘막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전술한 용량 전극 FGC1, FGC2 및 게이트 전극 FGR, FGS, FGS2 등과 동일 공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저항 소자 상에 캡 절연막(3a)을 형성함으로써, 저항 소자 상에 실리사이드층(5a)이 형성되는 영역과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선택적으로 구분하여 만들 수 있으므로, 저항 소자의 저항값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리사이드층(5a)을 구분하여 만들기 위한 절연막을 형성할 때에 동시에 캡 절연막(3a)을 형성함으로써, 캡 절연막(3a)을 형성하였다고 하여,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이 증가하는 일도 없다.
또한, 예를 들면 캡 절연막(3a)은, p+형의 반도체 영역(13a, 15b), n+형의 반도체 영역(14a, 16b) 및 n+형의 반도체 영역(12b)의 채널측의 상면의 채널측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캡 절연막(3a)을 형성함으로써, p+형의 반도체 영역(13a, 15b), n+형의 반도체 영역(14a, 16b) 및 n+형의 반도체 영역(12b) 상의 채널측 일부에 실리사이드층(5a)이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이하의 이유 때문이다.
즉, 실리사이드층(5a)이 저불순물 농도의 p-형의 반도체 영역(13b, 15a), n-형의 반도체 영역(14b, 16a) 및 n-형의 반도체 영역(12a) 내에까지 성장하게 되면, 실리사이드층(5a)과 기판(1S) 사이에 접합 리크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저불순물 농도의 p-형의 반도체 영역(13b, 15a), n-형의 반도체 영역(14b, 16a) 및 n-형의 반도체 영역(12a)을, 상기한 동작 전압이 1.5V인 저내압의 MIS·FET의 소스, 드레인용의 반도체 영역(특히 저불순물 농도의 반도체 영역)과 동시에(동일한 도입 농도로) 형성한 경우에, 상기 접합 리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 2에서는, 실리사이드층(5a)이 캡 절연막(3a)에 의해 저불순물 농도의 p-형의 반도체 영역(13b, 15a) 및 n-형의 반도체 영역(12a)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접합 리크의 발생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사이드층(5a)은, 캡 절연막(3a)을 패터닝한 후에 형성되므로, 부유 게이트 전극 FG의 상면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실시예 3]
본 실시예 3에서는, 상기 캡 절연막(3a)의 변형예를 도 36 및 도 37에 의해 설명한다.
도 36은 본 실시예 3의 반도체 장치에서의 플래시 메모리의 메모리 셀 MC의 일례로서 도 11의 Y2-Y2선의 단면도, 도 37은 본 실시예 3의 반도체 장치의 주회로 영역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의 메모리 셀 MC의 평면도는 상기한 도 11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 3에서는, 플래시 메모리의 메모리 셀 어레이 MR에, 상기한 캡 절연막(3a) 대신에 캡 절연막(3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캡 절연막(3b)은, 상기 캡 절연막(3a)과 마찬가지로 산화 실리콘막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단, 캡 절연막(3b)은, 부유 게이트 전극 FG(용량 전극 FGC1, FGC2, 게이트 전극 FGR 등)의 상면 및 선택 MIS·FETQS의 게이트 전극 FGS의 상면만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캡 절연막(3b)은, 절연막(2a)을 퇴적하기 전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메모리 셀 어레이 MR의 절연막(2a)을 제거할 때에, 부유 게이트 전극 FG의 상면 및 선택 MIS·FETQS의 게이트 전극 FGS의 상면을 캡 절연막(3b)에 의해 보호할 수 있으므로, 반도체 장치의 수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4]
도 38은 본 실시예 4의 반도체 장치의 플래시 메모리의 메모리 셀 어레이 MR의 주요부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 4의 반도체 장치의 단면 구성은 상기 실시예 1∼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절연막(2a) 및 캡 절연막(3a, 3b)의 배치 구성도 상기 실시예 1∼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 4에서는, 반도체 칩을 구성하는 기판(1S)의 주면(제1 주면)의 플래시 메모리의 메모리 셀 어레이 MR에, 예를 들면 8×2비트 구성의 복수의 상기 메모리 셀 MC가 어레이 형상(행렬 형상)으로 규칙적으로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p형의 웰 HPW1∼HPW3은, 제2 방향 X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p형의 웰 HPW1에는, 복수의 비트분의 용량부 C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p형의 웰 HPW2에는, 복수의 비트분의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용량부 CWE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p형의 웰 HPW3에는, 복수의 비트분의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MIS·FETQR 및 선택 MIS· FETQS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어레이 구성으로 함으로써, 플래시 메모리의 점유 영역을 축소할 수 있으므로, 반도체 칩의 사이즈 증대를 초래하지 않고, 반도체 장치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5]
도 39는 본 실시예 5의 반도체 장치에서의 플래시 메모리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 5에서는, 전술한 실시예 4의 메모리 셀 어레이 MR의 기판(1S)의 빈 영역에 더미 게이트 전극 DG가 배치되어 있다. 이 더미 게이트 DG 전극은, 층간 절연막(2b)의 평탄성이나 패턴의 반복 배치를 고려한 것으로, 다른 부분과는 특별히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일이 없는 패턴이다.
이러한 더미 게이트 전극 DG를 설치함으로써, 층간 절연막(2b)의 평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층간 절연막(2b) 상에 형성되는 배선이나 층간 절연막(2b)에 형성되는 컨택트 홀 CT의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미 게이트 전극 DG의 구성은, 상기 부유 게이트 전극 FG의 구성과 동일하며, 동일 공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특히 제조 공정의 추가없이, 메모리 셀 어레이 MR 내에 더미 게이트 전극 DG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5에서는, 전술한 실시예 4의 메모리 셀 어레이 MR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전술한 실시예 1∼3의 메모리 셀 MC에 적용한 경우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6]
도 40은 본 실시예 6의 반도체 장치에서의 플래시 메모리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 6에서는, 전술한 실시예 4의 메모리 셀 어레이 MR의 기판(1S)의 빈 영역에 더미 활성 영역 DL이 배치되어 있다. 이 더미 활성 영역 DL은, 분리부 TI의 평탄성을 고려한 것으로, 반도체 소자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이다.
이러한 더미 활성 영역 DL을 형성함으로써, 분리부 TI의 상면의 평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분리부 TI 상에 형성되는 층간 절연막(2b)이나 배선의 평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미 활성 영역 DL의 구성은, 상기 활성 영역 L과 동일하다. 또한, 더미 활성 영역 DL은, 활성 영역 L과 동시에 형성된다. 이에 의해, 더미 활성 영역 DL을 형성하였다고 하여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이 증대하는 일도 없다.
또한, 여기서는, 평면 정방 형상의 복수의 더미 활성 영역 DL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더미 활성 영역 DL의 평면 형상을 장방 형상이나 띠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 6에서는, 전술한 실시예 4의 메모리 셀 어레이 MR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전술한 실시예 1∼3의 메모리 셀 MC에 적용한 경우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더미 활성 영역 DL과, 전술한 실시예 5의 더미 게이트 전극 DG를 조합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층간 절연막(2b)의 평탄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 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1비트를 2개의 메모리 셀 MC로 구성(1비트/2셀 구성)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1비트를 1개의 메모리 셀 MC로 구성(1비트/1셀 구성)하여도 된다. 상기 실시예와 같이, 1비트를 2개의 메모리 셀 MC로 구성한 경우에는, 한쪽의 메모리 셀 MC에 문제점이 발생하고, 데이터를 유지할 수 없게 된 경우라도, 다른쪽의 메모리 셀 MC에 의해 보상되기 때문에, 데이터 유지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1비트를 1개의 메모리 셀 MC로 구성한 경우에는, 1비트를 2개의 메모리 셀 MC로 구성한 경우에 비하여, 1비트당의 메모리 셀의 점유 면적을 줄일 수 있으므로, 반도체 장치의 미세화를 촉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주로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그 배경으로 된 이용 분야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로 적용 가능하며, 예를 들면 마이크로 머신의 제조 방법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이크로 머신이 형성된 기판에 상기 플래시 메모리를 형성함으로써 마이크로 머신의 간단한 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불휘발성 메모리를 갖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업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자가 검토한 불휘발성 메모리를 갖는 반도체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자가 검토한 불휘발성 메모리를 갖는 반도체 장치의 다른 구성의 주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
도 5는 도 1∼도 4의 반도체 장치의 불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 유지 특성을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에서의 불휘발성 메모리의 주요부 회로도.
도 7은 도 6의 불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 기입 동작 시에서의 각 부에의 인가 전압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8은 도 6의 불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 일괄 소거 동작 시에서의 각 부에의 인가 전압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9는 도 6의 불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비트 단위 소거 동작 시에서의 각 부에의 인가 전압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10은 도 6의 불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 읽어내기 동작 시에서의 각 부에의 인가 전압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에서의 불휘발성 메모리의 1비트 분의 메모리 셀의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Y2-Y2선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에서의 주회로 영역의 주요부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에서의 불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 기입 동작 시의 메모리 셀에서의 각 부에의 인가 전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 11의 Y2-Y2선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의 불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 소거 동작 시에서의 각 부에의 인가 전압을 도시하는 도 11의 Y2-Y2선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의 불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 읽어내기 동작 시에서의 각 부에의 인가 전압을 도시하는 도 11의 Y2-Y2선의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 중의 주회로 형성 영역의 반도체 기판의 주요부 단면도.
도 18은 도 17과 동일 공정 시의 불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반도체 기판의 주요부 단면도.
도 19는 도 17 및 도 18에 후속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 중의 주회로 형성 영역의 반도체 기판의 주요부 단면도.
도 20은 도 19와 동일 공정 시의 불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반도체 기판의 주요부 단면도.
도 21은 도 19 및 도 20에 후속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 중의 주회로 형성 영역의 반도체 기판의 주요부 단면도.
도 22는 도 21과 동일 공정 시의 불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반도체 기판의 주요부 단면도.
도 23은 도 21 및 도 22에 후속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 중의 주회로 형성 영역의 반도체 기판의 주요부 단면도.
도 24는 도 23과 동일 공정 시의 불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반도체 기판의 주요부 단면도.
도 25는 도 23 및 도 24에 후속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 중의 주회로 형성 영역의 반도체 기판의 주요부 단면도.
도 26은 도 25과 동일 공정 시의 불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반도체 기판의 주요부 단면도.
도 27은 도 25 및 도 26에 후속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 중의 주회로 형성 영역의 반도체 기판의 주요부 단면도.
도 28은 도 27과 동일 공정 시의 불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반도체 기판의 주요부 단면도.
도 29는 도 27 및 도 28에 후속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 중의 주회로 형성 영역의 반도체 기판의 주요부 단면도.
도 30은 도 29와 동일 공정 시의 불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반도체 기판의 주요부 단면도.
도 31은 도 29 및 도 30에 후속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 중의 주회로 형성 영역의 반도체 기판의 주요부 단면도.
도 32는 도 31과 동일 공정 시의 불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반도체 기판의 주요부 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실시예 2)의 반도체 장치에서의 불휘발성 메모리의 메모리 셀의 일례의 평면도.
도 34는 도 33의 Y3-Y3선의 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실시예 2)의 반도체 장치의 주회로 영역의 주요부 단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실시예 3)의 반도체 장치에서의 불휘발성 메모리의 메모리 셀의 일례로서 도 11의 Y2-Y2선의 단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실시예 3)의 반도체 장치의 주회로 영역의 주요부 단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실시예 4)의 반도체 장치의 불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주요부 평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실시예 5)의 반도체 장치에서의 불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평면도.
도 4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실시예 6)의 반도체 장치에서의 불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S : 반도체 기판
2a : 절연막
2b : 층간절연막
3a : 캡 절연막
3b : 캡 절연막
5a : 실리사이드층
6a : p+형의 반도체 영역
7a∼7k : 도체부
8a : n+형의 반도체 영역
10a : 게이트 절연막
10b : 게이트 절연막(제2 절연막)
10c : 용량 절연막(제3 절연막)
10d : 용량 절연막(제1 절연막)
10e, 10f, 10g : 게이트 절연막
12 : n형의 반도체 영역
12a : n-형의 반도체 영역
12b : n+형의 반도체 영역
13 : p형의 반도체 영역
13a : p+형의 반도체 영역
13b : p-형의 반도체 영역
14 : n형의 반도체 영역
14a : n+형의 반도체 영역
14b : n-형의 반도체 영역
15 : p형의 반도체 영역
15a : p-형의 반도체 영역
15b : p+형의 반도체 영역
16 : n형의 반도체 영역
16a : n-형의 반도체 영역
16b : n+형의 반도체 영역
20 : 도체막
21 : p형의 반도체 영역
21a : p-형의 반도체 영역
21b : p+형의 반도체 영역
22 : n형의 반도체 영역
22a : n-형의 반도체 영역
22b : n+형의 반도체 영역
23 : p형의 반도체 영역
23a : p-형의 반도체 영역
23b : p+형의 반도체 영역
24 : n형의 반도체 영역
24a : n-형의 반도체 영역
24b : n+형의 반도체 영역
TI : 분리부
DNW : n형의 매립 웰(제1 웰)
HPW1 : p형의 웰(제4 웰)
HPW2 : p형의 웰(제2 웰)
HPW3 : p형의 웰(제3 웰)
HNW : n형의 웰
CT : 컨택트 홀
L, L1∼L5 : 활성 영역
QR :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MIS·FET
FGR : 게이트 전극(제2 전극)
C : 용량부
CGW : 제어 게이트 전극
FGC1 : 용량 전극(제1 전극)
FGC2 : 용량 전극(제3 전극)
MR : 메모리 셀 어레이(제1 회로 영역)
PR : 주변 회로 영역
WBL, WBL0, WBL1 :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비트선
RBL, RBL0, RBL1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비트선
CG, CG0, CG1 : 제어 게이트 배선
SL : 소스선
GS : 선택선
MC : 메모리 셀
CWE : 데이터 기입·소거용의 용량부
QS : 선택 MIS·FET
FGS : 게이트 전극
DPW : p형의 매립 웰
PV : p형의 반도체 영역
NV : n형의 반도체 영역
PW : p형의 웰
NW : n형의 웰
FGH : 게이트 전극
FGL : 게이트 전극
QPH : p채널형의 MIS·FET
QPL : p채널형의 MIS·FET
QNH : n채널형의 MIS·FET
QNL : n채널형의 MIS·FET
SW : 사이드월
FG : 부유 게이트 전극
MS : 반도체 영역
MS1 : 저불순물 농도의 반도체 영역
MS2 : 고불순물 농도의 반도체 영역
N : 주회로 영역(제2 회로 영역)
G : 게이트 전극
NS : 반도체 영역
NS1 : 저불순물 농도의 반도체 영역
NS2 : 고불순물 농도의 반도체 영역
Q : MIS·FET
PLG : 플러그
RP : 레지스트 패턴
DG : 더미 게이트 전극
DL : 더미 활성 영역
Claims (14)
- 두께 방향을 따라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 주면 및 제2 주면을 갖는 반도체 기판을 포함하고,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1 주면에는, 불휘발성 메모리가 배치된 제1 회로 영역과,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 이외의 회로가 배치된 제2 회로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상기 제1 회로 영역에는,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1 주면에 형성된 제1 도전형의 제1 웰과, 상기 제1 도전형과는 반대인 도전형을 갖는 제2 도전형의 웰로서, 상기 제1 웰에 내포되도록 배치된 제2 웰과, 상기 제2 도전형의 웰로서, 상기 제2 웰과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웰에 대하여 따르도록, 상기 제1 웰에 내포되도록 배치된 제3 웰과, 상기 제2 도전형의 웰로서, 상기 제2 웰 및 상기 제3 웰과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웰에 대하여 따르도록, 상기 제1 웰에 내포되도록 배치된 제4 웰과, 상기 제2 웰, 상기 제3 웰 및 상기 제4 웰에 평면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된 불휘발성 메모리 셀이 형성되어 있고,상기 불휘발성 메모리 셀은, 상기 제2 웰, 상기 제3 웰 및 상기 제4 웰에 평면적으로 겹치도록 제1 방향으로 연장하여 배치된 부유 게이트 전극과, 상기 부유 게이트 전극이 상기 제2 웰에 평면적으로 겹치는 제1 위치에 형성된 데이터 기입 및 소거용의 소자와, 상기 부유 게이트 전극이 상기 제3 웰에 평면적으로 겹치는 제2 위치에 형성된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상기 부유 게이트 전극이 상기 제4 웰에 평면적으로 겹치는 제3 위치에 형성된 용량 소자를 갖고 있고,상기 데이터 기입 및 소거용의 소자는, 상기 부유 게이트 전극의 상기 제1 위치에 형성되는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반도체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막과, 상기 제2 웰 내에서 상기 제1 전극을 끼워넣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도전형의 한쌍의 반도체 영역과, 상기 제2 웰을 갖고 있고,상기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는, 상기 부유 게이트 전극의 상기 제2 위치에 형성되는 제2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반도체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막과, 상기 제3 웰 내에서 상기 제2 전극을 끼워넣는 위치에 형성된 제1 도전형의 한쌍의 반도체 영역을 갖고 있고,상기 용량 소자는, 상기 부유 게이트 전극의 상기 제3 위치에 형성되는 제3 전극과, 상기 제3 전극 및 상기 반도체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막과, 상기 제4 웰 내에서 상기 제3 전극을 끼워넣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도전형의 한쌍의 반도체 영역과, 상기 제4 웰을 갖고 있고,상기 제2 회로 영역에는, 게이트 전극이 형성되어 있고,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1 주면 상에는, 상기 부유 게이트 전극 및 상기 게이트 전극을 덮도록, 산소를 함유하는 절연막이 퇴적되어 있고,상기 제2 회로 영역에서, 상기 산소를 함유하는 절연막과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1 주면 사이에는, 상기 게이트 전극을 덮도록, 질소를 함유하는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고,상기 제1 회로 영역에서, 상기 산소를 함유하는 절연막과 상기 반도체 기판 의 제1 주면 사이에는, 상기 질소를 함유하는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 기입 및 소거용의 소자에서의 데이터의 재기입은, 채널 전체면의 FN 터널 전류에 의해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3 전극의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상기 제2 방향의 길이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회로 영역에서, 상기 산소를 함유하는 절연막과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1 주면 사이에는, 상기 부유 게이트 전극의 상면을 덮도록, 산소를 함유하는 캡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산소를 함유하는 캡 절연막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1 주면에 형성되는 실리사이드층을 상기 부유 게이트 전극의 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상기 반 도체 기판의 제1 주면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2 회로 영역에는, 제1 동작 전압으로 구동하는 저내압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동작 전압보다도 높은 제2 동작 전압으로 구동하는 고내압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데이터 기입 및 소거용의 소자, 상기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상기 용량 소자의 상기 반도체 영역은, 상기 저내압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반도체 영역과 동시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산소를 함유하는 절연막은, 산화 실리콘막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상기 질소를 함유하는 절연막은, 질화 실리콘막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 두께 방향을 따라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 주면 및 제2 주면을 갖는 반도체 기판을 포함하고,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1 주면에는, 불휘발성 메모리가 배치된 제1 회로 영역과,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 이외의 회로가 배치된 제2 회로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상기 제1 회로 영역의 상기 반도체 기판의 주면 상에는 절연막을 개재하여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의 부유 게이트 전극이 형성되어 있고,상기 제2 회로 영역의 상기 반도체 기판의 주면 상에는 절연막을 개재하여 게이트 전극이 형성되어 있고,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1 주면 상에는, 상기 부유 게이트 전극 및 상기 게이트 전극을 덮도록, 산소를 함유하는 절연막이 퇴적되어 있고,상기 제2 회로 영역에서, 상기 산소를 함유하는 절연막과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1 주면 사이에는, 상기 게이트 전극을 덮도록, 질소를 함유하는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고,상기 제1 회로 영역에서, 상기 산소를 함유하는 절연막과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1 주면 사이에는, 상기 질소를 함유하는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 (a) 두께 방향을 따라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 주면 및 제2 주면을 갖는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는 공정과,(b)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1 주면 상에 절연막을 개재하여 도체막을 퇴적하는 공정과,(c) 상기 도체막을 패터닝함으로써,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1 주면의 제1 회로 영역에 불휘발성 메모리용의 부유 게이트 전극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1 주면의 상기 제1 회로 영역 이외의 제2 회로 영역에 게이트 전극을 형 성하는 공정과,(d)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1 주면 상에, 상기 부유 게이트 전극 및 상기 게이트 전극을 덮도록, 질소를 함유하는 절연막을 퇴적하는 공정과,(e) 상기 (d) 공정 후, 상기 질소를 함유하는 절연막에 대하여 에칭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제1 회로 영역의 상기 질소를 함유하는 절연막을 제거하고, 상기 제2 회로 영역에 상기 질소를 함유하는 절연막의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f) 상기 (e) 공정 후, 상기 질소를 함유하는 절연막의 패턴이 덮여지도록,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1 주면 상에, 산소를 함유하는 절연막을 퇴적하는 공정과,(g) 상기 (f) 공정 후, 상기 제1 회로 영역 및 상기 제2 회로 영역의 상기 산소를 함유하는 절연막에 접속 구멍을 동시에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제1 회로 영역에는,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1 주면에 형성된 제1 도전형의 제1 웰과, 상기 제1 도전형과는 반대인 도전형을 갖는 제2 도전형의 웰로서, 상기 제1 웰에 내포되도록 배치된 제2 웰과, 상기 제2 도전형의 웰로서, 상기 제2 웰과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웰에 대하여 따르도록, 상기 제1 웰에 내포되도록 배치된 제3 웰과, 상기 제2 도전형의 웰로서, 상기 제2 웰 및 상기 제3 웰과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웰에 대하여 따르도록, 상기 제1 웰에 내포되도록 배치된 제4 웰과, 상기 제2 웰, 상기 제3 웰 및 상기 제4 웰에 평면 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된 불휘발성 메모리 셀이 형성되어 있고,상기 불휘발성 메모리 셀은, 상기 제2 웰, 상기 제3 웰 및 상기 제4 웰에 평면적으로 겹치도록 제1 방향으로 연장하여 배치된 상기 부유 게이트 전극과, 상기 부유 게이트 전극이 상기 제2 웰에 평면적으로 겹치는 제1 위치에 형성된 데이터 기입 및 소거용의 소자와, 상기 부유 게이트 전극이 상기 제3 웰에 평면적으로 겹치는 제2 위치에 형성된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상기 부유 게이트 전극이 상기 제4 웰에 평면적으로 겹치는 제3 위치에 형성된 용량 소자를 갖고 있고,상기 데이터 기입 및 소거용의 소자는, 상기 부유 게이트 전극의 상기 제1 위치에 형성되는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반도체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막과, 상기 제2 웰 내에서 상기 제1 전극을 끼워넣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도전형의 한쌍의 반도체 영역과, 상기 제2 웰을 갖고,상기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는, 상기 부유 게이트 전극의 상기 제2 위치에 형성되는 제2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반도체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막과, 상기 제3 웰 내에서 상기 제2 전극을 끼워넣는 위치에 형성된 제1 도전형의 한쌍의 반도체 영역을 갖고,상기 용량 소자는, 상기 부유 게이트 전극의 상기 제3 위치에 형성되는 제3 전극과, 상기 제3 전극 및 상기 반도체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막과, 상기 제4 웰 내에서 상기 제3 전극을 끼워넣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도전형의 한쌍의 반도체 영역과, 상기 제4 웰을 갖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c) 공정 후, 상기 (d) 공정 전에, 상기 부유 게이트 전극의 상면을 덮도록, 산소를 함유하는 캡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산소를 함유하는 캡 절연막을 형성한 후,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1 주면에 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고,상기 산소를 함유하는 캡 절연막의 형성 공정에서는, 상기 실리사이드층이 상기 부유 게이트 전극의 측면으로부터 이격하도록, 상기 산소를 함유하는 캡 절연막의 일부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1 주면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산소를 함유하는 캡 절연막을 형성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제2 회로 영역에는, 제1 동작 전압으로 구동하는 저내압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동작 전압보다도 높은 제2 동작 전압으로 구동하는 고내압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가 배치되어 있고,상기 데이터 기입 및 소거용의 소자, 상기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상기 용량 소자의 상기 반도체 영역을, 상기 저내압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반도체 영역과 동시에 형성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질소를 함유하는 절연막은 질화 실리콘막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상기 산소를 함유하는 절연막은 산화 실리콘막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7-00052529 | 2007-03-02 | ||
JP2007052529A JP2008218625A (ja) | 2007-03-02 | 2007-03-02 |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0951A true KR20080080951A (ko) | 2008-09-05 |
Family
ID=39732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19312A KR20080080951A (ko) | 2007-03-02 | 2008-02-29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080211001A1 (ko) |
JP (1) | JP2008218625A (ko) |
KR (1) | KR20080080951A (ko) |
CN (1) | CN101257026A (ko) |
TW (1) | TW200840027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16462A (ja) * | 2007-07-03 | 2009-01-22 | Renesas Technology Corp |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20100071211A (ko) * | 2008-12-19 | 2010-06-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셀 어레이로 인가되는 리키지 커런트를 막는 더미 셀 비트 라인 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
JP2014112745A (ja) * | 2014-03-27 | 2014-06-19 | Renesas Electronics Corp | 半導体装置 |
CN105633086B (zh) * | 2014-11-03 | 2019-05-24 | 力旺电子股份有限公司 | 非挥发性存储器 |
CN111599812B (zh) * | 2015-04-30 | 2023-07-04 | 联华电子股份有限公司 | 静态随机存取存储器 |
KR102143260B1 (ko) | 2016-01-15 | 2020-08-11 |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 싱글 폴리 비휘발성 기억소자, 이의 제조 방법 및 싱글 폴리 비휘발성 기억소자 어레이 |
JP7007013B2 (ja) * | 2017-09-26 | 2022-01-24 |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TWI693766B (zh) | 2018-04-18 | 2020-05-11 | 力旺電子股份有限公司 | 靜電放電防護裝置 |
US11901004B2 (en) * | 2022-04-08 | 2024-02-13 |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 Memory array, memory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 of memory array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83313A (ja) * | 1998-12-21 | 2000-06-30 | Hitachi Ltd |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2000311992A (ja) * | 1999-04-26 | 2000-11-07 | Toshiba Corp |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4530464B2 (ja) * | 2000-03-09 | 2010-08-25 |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半導体集積回路 |
US6788574B1 (en) * | 2001-12-06 | 2004-09-07 | Virage Logic Corporation | Electrically-alterable non-volatile memory cell |
-
2007
- 2007-03-02 JP JP2007052529A patent/JP2008218625A/ja active Pending
- 2007-12-06 TW TW096146569A patent/TW200840027A/zh unknown
-
2008
- 2008-01-13 US US12/013,470 patent/US2008021100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8-02-05 CN CN200810006290.5A patent/CN101257026A/zh active Pending
- 2008-02-29 KR KR1020080019312A patent/KR2008008095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0840027A (en) | 2008-10-01 |
CN101257026A (zh) | 2008-09-03 |
JP2008218625A (ja) | 2008-09-18 |
US20080211001A1 (en) | 2008-09-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901325B2 (ja) | 半導体装置 | |
JP4800109B2 (ja) | 半導体装置 | |
US9196363B2 (en) | Semiconductor device | |
TWI458079B (zh) | Semiconductor device | |
US8084303B2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5259081B2 (ja) | 単一ゲート構造を有するeeprom、該eepromの動作方法及び該eepromの製造方法 | |
KR101240720B1 (ko) | 반도체 기억 장치의 제조 방법 | |
KR20080080951A (ko)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US20080112231A1 (en) |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 |
US8236679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ing insulating film as charge storage layer | |
US20060035435A1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emiconductor device to reduce the lithography masks | |
JP5467809B2 (ja) | 半導体装置 | |
JP6457829B2 (ja) | 半導体装置 | |
JP5374546B2 (ja) | 半導体装置 | |
KR20070030711A (ko) | 반도체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