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9227A - 엘리베이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49227A KR20070049227A KR1020077007017A KR20077007017A KR20070049227A KR 20070049227 A KR20070049227 A KR 20070049227A KR 1020077007017 A KR1020077007017 A KR 1020077007017A KR 20077007017 A KR20077007017 A KR 20077007017A KR 20070049227 A KR20070049227 A KR 200700492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
- elevator
- fork
- safety
- cab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66B5/0056—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crushing
- B66B5/0068—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crushing by activating the safety brakes when the elevator car exceeds a certain upper or lower position in the elevator shaf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특히 기계실을 갖지 않고 정상 동작시에 통로의 상부(4) 및/또는 바닥(6)에 작은 자유 공간을 갖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3)의 안전한 정지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는 카 과속 안전 장치의 속도 제한 케이블(5)과 나란하게 통로에 대해 장착되고, 관절 결합된 포크 요소(15, 15')가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박스(9, 9')를 포함하고, 포크 요소는 상기 장치의 서비스 위치에서 카 과속 안전 장치(7)의 상기 속도 제한 케이블(5)에 묶인 적어도 하나의 부착 요소(21, 23)와 맞물려 케이블을 억류함으로써 엘이베이터 카(3)의 안전한 정지를 유발하고, 비동작 위치에서는 상기 부착 요소(21, 23)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는 단부를 구비하며, 서비스 위치에 있는 상기 포크 요소(15) 및 케이블 부착 요소(21, 23)는 부착 요소(21, 23)가 포크 요소(15)와 맞물려 엘리베이터 카를 통로 내의 적절한 높이에 억류함으로써 적어도 케빈 지붕(37) 또는 통로 바닥(6)의 조작자를 위한 안전 공간을 남기도록 엘리베이터 통로 내에서 서로 조합된 적절한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특히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한 정지를 위한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기계실을 갖지 않으며 통로의 상부에 그리고 가능하면 통로의 바닥에 감소된 공간을 갖는 엘리베이터는 특히 캐빈 지붕 위에서 일하는 정비 기술자를 위해 카 위의 안전 공간을 유지하는데 추가적인 수단을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기계식 카 억류 장치가 알려져 있으며, 이것은 캐빈 지붕 위의 정비 기술자를 위한 안전 공간을 한정하면서 정해진 높이에서 멈춤쇠(stop)를 향해 수동으로 연장되는 로드를 갖는 장치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장치는 엘리베이터 구조에 크고 위험한 접촉 응력을 발생시킨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개략도이다.
도2는 비작동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박스를 도시한다.
도3은 서비스 위치에 있는 박스를 도시한다.
도4는 엘리베이터가 멈추어 있을 때, 그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인 장치의 박스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특히 기계실을 갖지 않으며 정상 운전시에 통로의 상부 및/또는 바닥에 작은 자유 공간을 갖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한 정지를 위한 장치를 제안하며, 이것은 통로에 대해 장착되고 카 과속 안전 장치의 속도 제한 케이블과 나란한 적어도 하나의 박스를 포함하고, 박스에는 장치의 서비스 위치에서 카 과속 안전 장치의 상기 속도 제한 케이블에 묶인 적어도 하나의 부착 요소와 맞물려 케이블을 구속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한 정지를 유발하고, 비작동 위치에서 상기 부착 요소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는 단부를 갖는 관절 결합된 포크 요소가 제공되며, 서비스 위치의 상기 포크 요소와 케이블 부착 요소는 통로 내의 적절한 높이에 엘리베이터 카를 억류하여 적어도 캐빈 지붕 또는 통로 바닥의 작업자를 위한 안전 공간을 남기도록 부착 요소와 포크 요소를 맞물림시키기 위해 엘리베이터 통로 내에서 서로 조합된 적절한 높이에 위치된다.
상기 부착 요소는 유리하게는 올리브의 형상을 갖지만, 포크 요소의 단부와 맞물릴 수 있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어떠한 강성 요소도 적절할 수 있다.
상기 박스는 통로 내의 기준 높이에서 스프링에 의해 복귀되면서 작은 높이로 통로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도록 장착될 수 있지만, 포크 요소는 카의 정지 거리 차이 및 그에 따른 그에 부착된 속도 제한 케이블의 정지 거리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2개의 수직방향 포스트에 대해 박스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기준 높이에 스프링에 의해 복귀되도록 장착된다. 박스의 이러한 미끄럼 이동 높이 또는 포크 요소의 지지 요소의 이러한 미끄럼 이동 높이는 카의 가장 긴 안전 정지 거리보다 약간 길다. 캐빈 지붕의 작업자를 위한 안전 공간은 카의 이러한 더 긴 정지 거리를 고려한다. 따라서, 통로 내의 안전 공간의 높이는 케이블 상의 부착 요소와 포크 요소의 맞물림 높이에 가장 긴 카 정지 거리를 더한 것에 대응한다.
장치의 서비스 위치는, 작업자가 캐빈 루프에 진입하자마자, 엘리베이터를 검사하기 위해 작동 스위치를 직접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또는 랜딩 도어가 개방되자마자 도어가 개방될 때 작동되거나 그 잠금장치에 매설된 안전 서비스 스위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얻어진다.
상기 포크 요소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일 수 있는 종방향 플레이트이고, 모터 드라이브와 함께 박스의 면에 힌지 결합되며, 작은 간극을 두고 상기 속도 제한 케이블을 수용하고 상기 부착 요소와 맞물리도록, 바람직하게는 외측으로 벌어진 슬릿 단부를 갖는다.
상기 박스는 구조 벽의 적절한 절결부에 의해 형성된 속도 제한 케이블을 위한 수직방향 통로를 포함한다.
상기 포크 요소는 적절한 전력원을 가진 전자석에 의해 서비스 위치로 옮겨켜서, 포크 요소를 속도 제한 케이블을 향해 이동시키고 포크 또는 벌어진 슬롯 형상의 그 단부에 케이블을 수용하게 하고, 장치의 비작동 위치에서 케이블과 분리되게 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포크 요소는 포크 단부와 대향하는 후방 질량체와 함께 그것의 관절 축에 대해 힌지 결합되어, 작동시에 속도 제한 케이블과의 본래의 맞물림 위치인 수평 위치로 와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전자석의 작동 요소와 접촉하고, 비작동시에 안전 구역보다 약간 하류에 위치된, 예를 들어 검사용 제한 스위치와 같은 스위치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전자석의 작동 요소의 추력 하에 속도 제한 케이블로부터 경사진 위치로 분리되며, 상기 전자석은 정상 운전시에 카가 통로의 안전 구역 안으로 들어옴에 따라 작동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전자석에는 상부 안전 코스 동안을 제외하고는 전력이 공급될 필요가 없으며, 전자석은 작동될 수 있고 어떠한 차단도 회피될 수 있으며, 전력 고장의 경우에 장치는 당연히 안전 위치로 복귀한다.
물론, 장치는 주어진 규격에 따라 캐빈 지붕으로부터 통로 천정까지 더 긴 안전 거리를 가지면서, 예를 들어 제1 부착 요소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된 제2 부착 요소인 다른 부착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장치는 이중의 상부 안전책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장치에는 바닥에서 통로의 하부 안전 구역에 적어도 하나의 부착 요소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통로 바닥에서 과속의 엘리베이터 카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카 안전 정지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설명된다.
도면 중 특히 도1을 참조하면, 도시된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3)를 위한 안전 정지 장치(1)는 통로의 상부와 바닥에 작은 여유 공간을 갖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된다. 이 장치는 통로의 상부(4)와 바닥(6) 양쪽에서 정비 기술자를 위한 안전 공간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 장치는 카의 상승 및 하강 동안 모두 작동하는 카 과속 안전 장치(7)의 속도 제한 케이블(5)을 수반한다.
이 장치는 카의 안전한 정지를 제어하기 위한 2개의 박스를 포함하는데, 하나의 박스(9)는 샤트프의 상부를 위한 것이며, 다른 하나의 박스(9')는 통로의 바닥을 위한 것이다. 이들 박스(9, 9')는 동일하며, 그들의 상부 및 하부 벽의 적절한 절결부에 의해 형성된 케이블 통로(11)에 수용되는 카 안전 장치의 속도 제한 케이블(5)과 나란히 배열된다. 그들은 가능하게는 크로스 부재에 의해 통로의 벽(13)에, 또는 적절한 지지 요소에 의해 카 안내 레일에 직접 부착된다.
각각의 박스(9, 9')에는 박스의 내측에 그 평면에 힌지 결합된 포크(fork) 요소(15, 15')가 제공된다. 이 포크 요소(15, 15')는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형상이며, 박스의 내부를 향하는 외측으로 벌어진 슬롯을 가진 포크형 단부(17)를 갖는다. 이 포크 단부는 포크 요소가 수평 서비스 위치(도3)에 올 때 간극을 두고 속도 제한 케이블(5)을 수용하고, 포크 요소가 박스에 장착된 바닥 전자석(19)에 의해 기울어진 비작동 위치(도2)로 구동될 때 케이블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속도 제한 케이블(5)에는, 포크 요소가 수평 서비스 위치에 있을 때 포크 요소의 포크 형상 단부(17)와 맞물리도록 되어 있으면서 케이블(5) 상에 돌출된 2개의 올리브 형상 부착 요소(21, 23)가 제공된다. 올리브와 포크의 이러한 맞물림은 케이블(5)의 예인(tug), 과속 안전 장치(7)의 작동 및 그에 따른 카(5)의 안전한 정지를 유발한다.
박스의 각 포크 요소(15, 15')에는 포크 형상 단부(17)와 대향하여 질량체가 제공되며, 이것은 자연적으로 포크 요소를 수평 위치로 오게 하여, 상부 접촉 요소(27)에 포크 형상 단부(17)를 접촉시키고, 그 대향 단부를 바닥 전자석(19)의 푸셔(pusher) 요소(29) 위에 놓이게 한다. 상기 전자석(19)은 전력이 공급되면 그 푸셔 요소(29)를 이용하여 포크 요소(15)를 경사진 위치로 밀어서 속도 제한 케이블(5)로부터 멀리 이동시킨다. 포크 요소(15) 및 전자석(19)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박스에 부착된 2개의 측방향 수직 포스트(33)를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지지체(31) 상에 장착된다. 이 지지체(31)는 박스의 상부 벽과 지지체의 적절한 폴드(fold) 사이에서 포스트(33)의 상부 부분 위로 삽입되는 2개의 동일한 헬리컬 스프링(35)에 의한 탄성 복원에 의해 하부 위치에 유지된다.
박스 내에서의 지지체(31)의 미끄럼 이동은 최대 값이 50 ㎝로 설계되며, 이것은 안전 장치(7)에 의한 속도 제한 케이블(5)의, 그리고 그에 따라 연결 레버(34)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카(3)의 가장 긴 정지 거리에 대응한다. 검사 모드에서, 카가 저속(약 0.3 m/s)으로 이동할 때, 박스 내에서의 지지체(31)의 약 2 내지 3 ㎝의 짧은 이동 및 그에 따른 복귀 스프링(35)의 적은 압축에 의해 카는 동일한 거리를 지나 정지한다(도4).
속도 제한 케이블은 서로 이격된 상기 2개의 올리브를 가지며, 상부 올리브(23)는 카 지붕(37)과 통로 천정(4) 사이에 적어도 1 m 높이의 최소 안전 공간을 두고 카의 정지를 제어하고, 하부 올리브(21)는 조작자가 캐빈 지붕(37) 위에 똑바로 설 수 있고, 그에 따라 카 지붕(37)과 통로 천정(4) 사이에 약 2 m의 자유 높이가 존재하는 보다 큰 안전 공간을 갖도록 카의 정지를 제어한다.
상부 안전 정지 제어 박스(9)는 속도 제한 케이블(5)에 대하여 상기 올리브(21, 23)에 대해 통로 내의 규정된 높이에 배치되며, 그리하여 각각의 올리브에 의한 포크 요소(15)의 정지 제어는 박스 내에서의 미끄럼 이동 변위를 고려한 상기 안전 공간을 제공한다.
하부 박스(9')는 통로 내의 적절한 높이에 있을 때 카 바닥(39)과 통로 바닥(6) 사이에 예를 들어 0.50 m의 높이로 통로 바닥(6)에 있는 조작자에게 안전 공간을 제공하도록 하부 올리브(21)와 연계하여 작동한다.
상부 박스(9)와 하부 박스(9')는 각각 캐빈 지붕에 장착되는 상부 스위치(41)와 캐빈 바닥(39)에 장착되는 하부 스위치(43)인 검사용 제한 스위치와 연계하여 각각 작동한다. 상부 스위치(41)는 가동 레버(45)를 포함하고, 이것은 캐빈 지붕(37)에 부착되고 엘리베이터 통로에 부착된 수직 종방향 캠(47)에 스프링에 의해 기대는 측방향 휠을 가진다. 캠(47)에 기대는 레버(45)는 전자석이 정상 운전시에 전력을 공급받아 포크 요소(15)를 경사지게 하여 속도 제한 케이블(5)로부터 포크 요소(15)를 분리시키는 폐쇄 회로 위치에 대응한다. 스위치가 캠(47)과 접촉하지 않을 때, 회로는 개방되며, 그런 다음 포크 요소(15)는 장치의 수평 서비스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 스위치(43)는 하부 휠 레버(49)를 포함하고, 이것은 캠에 기댈 때 전자석 회로를 폐쇄하고 접촉하지 않을 때 전자석 회로를 개방하도록 통로 상의 하부 수직 종방향 캠(51)과 협동한다.
박스의 기능은 또한 검사 전에는 조작자에 의해 작동되는 주 검사 스위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되고, 그리고 엘리베이터의 임의의 랜딩 도어가 개방되자마자 안전 장치를 작동시키는 엘리베이터 내의 일련의 랜딩 도어 개방 안전 스위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된다. 스위치는 박스 제어 회로에 직렬로 장착될 수 있다.
장치의 작동이 이제 설명될 것이며, 이하의 설명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정비 작업자는 주 검사 스위치를 누른다. 그러면 안전 장치(1)가 작동되어 카(3)의 이동 거리 전체에 걸쳐 상부 및 하부 박스(9, 9') 각각에서 전자석(19)의 작동을 멈추고, 포크 요소(15)가 속도 제한 케이블(5)과 맞물린다. 카는 저속(약 0.3 m/s)으로 이동한다. 검사 이동의 종료점에서, 제한 스위치(41 또는 43)가 엘리베이터 제어 회로를 개방하고, 카는 정지한다. 안전 장치(1)는 이 과정이 비정상적으로 실행될 때만 기동하는데, 카가 예를 들어 상방으로 계속 이동하면, 상부 박스의 포크 요소(15)가 안전 장치 케이블의 하부 올리브(21)를 캐치하여 안전 장치를 작동시키고 장치의 제1 안전 장벽에 카를 억류함으로써, 캐빈 지붕(37)과 통로 천정(4) 사이에 약 2 m 높이의 공간을 제공한다. 사고로 하부 올리브(21)를 놓치면, 상부 올리브(23)가 포크 요소(15)에 의해 캐치되어 제2 안전 장벽이 조작자에 대한 최소의 안전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보장한다.
정비 작업이 수행된 후에, 그리고 주 검사 스위치가 동작을 멈추고 모든 엘리베이터 랜딩 도어가 폐쇄되자마자, 장치(1)는 상술한 정상 엘리베이터 운전으로 복귀하고, 포크 요소(15)를 구동하는 전자석(19)은 엘리베이터 카가 통로의 상부 및 하부 부분으로 진입할 때에만 전력을 공급받는다.
장치의 포크 요소는 또한 과속 안전 장치의 레버와 직접 맞물려 엘리베이터 카를 억류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Claims (16)
- 특히 기계실이 없고 정상 운전시 통로의 상부(4) 및/또는 바닥(6)에 작은 여유 공간을 갖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3)의 안전한 정지를 위한 장치(1)이며,카 과속 안전 장치의 속도 제한 케이블(5)과 나란하게 통로에 대해 장착되고, 관절 결합된 포크 요소(15, 15')가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박스(9, 9')를 포함하고, 포크 요소는 상기 장치의 서비스 위치에서 카 과속 안전 장치(7)의 상기 속도 제한 케이블(5)에 묶인 적어도 하나의 부착 요소(21, 23)와 맞물려 케이블을 억류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3)의 안전한 정지를 유발하고, 비동작 위치에서는 상기 부착 요소(21, 23)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는 단부(17)를 구비하며, 서비스 위치에 있는 상기 포크 요소(15) 및 케이블 부착 요소(21, 23)는 부착 요소(21, 23)가 포크 요소(15)와 맞물려 엘리베이터 카를 통로 내의 적절한 높이에서 억류하여 적어도 케빈 지붕(37) 또는 통로 바닥(6)의 조작자를 위한 안전 공간을 남기도록 엘리베이터 통로 내에서 서로 조합된 적절한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한 정지를 위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요소(21, 23)는 올리브의 형상이거나 또는 포크 요소(15)의 단부(17)와 맞물릴 수 있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임의의 강성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한 정지를 위한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카(3)와 그에 부착된 속도 제한 케이블(5)의 정지 거리에 있어서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박스(9, 9')는 통로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도록 장착되어, 통로 내의 기준 높이에서 스프링(35)에 의해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한 정지를 위한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카(3)와 그에 부착된 속도 제한 케이블(5)의 정지 거리에 있어서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포크 요소(15, 15')의 지지체(31)는 박스(9, 9') 내에서 수직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도록 장착되어, 통로 내의 기준 높이에서 스프링(35)에 의해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한 정지를 위한 장치.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박스(9, 9')의 미끄럼 이동 높이 또는 포크 요소의 지지체(31)의 미끄럼 이동 높이는 카(3)의 가장 긴 안전 정지 거리보다 약간 길고, 캐빈 지붕 상의 작업자를 위한 안전 공간은 이와 같이 더 긴 카(3)의 정지 거리를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한 정지를 위한 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서비스 위치는 작업자가 캐빈 지붕(37)에 진입하자마자 엘리베이터를 검사하기 위해 작동 스위치를 직접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또는 랜딩 도어가 개방되자마자 그것의 잠금장치에 매설된 안전 서비스 스위치 또는 도어가 개방될 때 작동되는 안전 서비스 스위치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한 정지를 위한 장치.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 요소(15, 15')는 박스(9, 9')의 면에 모터 드라이브(19)와 함께 힌지 결합된 종방향 직사각형 플레이트이며, 작은 간극을 두고 상기 속도 제안 케이블(5)을 수용하고 상기 부착 요소(21, 23)와 맞물리도록 외측으로 벌어진 것이 바람직한 슬릿 단부(1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한 정지를 위한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 요소(15, 15')는 적절한 전원을 갖는 전자석(19)에 의해 서비스 위치로 옮겨지며, 전자석은 포크 요소(15)를 속도 제한 케이블(5)을 향해 이동시켜 포크 형상 단부(17)에 의해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게 하고, 상기 장치의 비작동 위치에서 상기 케이블을 분리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한 정지를 위한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 요소(15, 15')는 포크 단부(17)와 대향하는 후방 질량체(25)와 함께 관절 축에 대해 힌지 결합되어, 운전시에 속도 제한 케이블(5)과의 본래의 맞물림 위치인 수평 위치로 와서, 전력이 공급되지 않은 전자석(19)의 작동 요소(29) 위에 놓이며, 비작동시에 안전 구역의 약간 하류에 위치된, 예를 들어 검사용 제한 스위치와 같은 스위치(41, 43)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전자석(19)의 작동 요소(29)의 추력 하에 속도 제한 케이블(5)로부터 경사진 위치로 분리되며, 상기 전자석(19)은 정상 운전시에 카(3)가 통로의 안전 구역 안으로 들어옴에 따라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한 정지를 위한 장치.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9, 9')는 구조 벽의 적절한 절결부에 의해 형성된 속도 제한 케이블(5)을 위한 수직 통로(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한 정지를 위한 장치.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어진 규격에 따라 캐빈 지붕(37)으로부터 통로 천정(4)까지 더 긴 안전 거리를 가지면서 제1 부착 요소(23)보다 약간 낮게 위치한 제2 부착 요소(21)를 포함하고, 이 경우에 상기 장치는 이중의 안전책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한 정지를 위한 장치.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로 바닥(6)의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카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에서 통로의 하부 안전 구역에 적어도 하나의 부착 요소가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한 정지를 위한 장치.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승 및 하강 동안에 모두 엘리베이터 카를 정지시키기 위해 카 과속 안전 장치의 양방향 속도 제한 케이블(5)을 포함하고, 카의 안전 정지를 제어하기 위한 2개의 박스(9, 9,')를 포함하고, 하나의 박스(9)는 통로의 상부를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의 박스(9')는 통로의 바닥을 위한 것이며, 각각의 박스는 적어도 통로의 상부(4)와 바닥(6)에서 각각 작업자에게 안전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한 정지를 위한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부 박스(9)와 하부 박스(9')는 검사용 제한 스위치와 연계하여 작동하며, 상부 스위치(41)는 캐빈 지붕(37)에 장착되고, 하부 스위치(43)는 캐빈 바닥(39)에 장착되며, 상부 스위치(41)는 캐빈 지붕(37)에 부착된 가동 레버(45)를 포함하고, 가동 레버는 정상 엘리베이터 위치에서 전자석(19)에 전력을 공급하여 포크 요소(15)를 경사시킴으로써 속도 제한 케이블(5)로부터 포크 요소를 분리하기 위해 폐쇄 회로 위치에서 통로에 부착된 수직 종방향 캠(47)에 스프링에 의해 기대고, 회로를 개방하여 포크 요소(15)가 장치의 수평 서비스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캠(47)과의 접촉을 중단하며, 마찬가지로, 하부 스위치(43)는 캠에 기댈 때 통로 상의 하부 수직 종방향 캠(51)과 협동하여 전자석 회로(19)를 폐쇄하고, 접촉 상태가 아닐 때 전자석 회로(19)를 개방하는 하부 휠 레버(4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한 정지를 위한 장치.
-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크 요소(15, 15')는 과속 안전 장치(7)의 레버와 맞물려 엘리베이터 카(3)를 억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한 정지를 위한 장치.
-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카 안전 정지 제어 장치(1)가 설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7007017A KR100904945B1 (ko) | 2007-03-28 | 2004-09-29 | 엘리베이터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7007017A KR100904945B1 (ko) | 2007-03-28 | 2004-09-29 | 엘리베이터 조립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49227A true KR20070049227A (ko) | 2007-05-10 |
KR100904945B1 KR100904945B1 (ko) | 2009-06-29 |
Family
ID=38273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07017A KR100904945B1 (ko) | 2007-03-28 | 2004-09-29 | 엘리베이터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0494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551305A (zh) * | 2020-12-03 | 2021-03-26 | 刘涛 | 一种高层电梯运行安全保护系统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050370B (zh) * | 2011-01-11 | 2012-10-10 | 上海微频莱机电科技有限公司 | 风机塔筒专用升降梯的上限位和防撞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28189B2 (ko) * | 1973-07-26 | 1977-07-25 | ||
JP4107728B2 (ja) * | 1998-09-07 | 2008-06-25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エレベータ装置 |
-
2004
- 2004-09-29 KR KR1020077007017A patent/KR10090494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551305A (zh) * | 2020-12-03 | 2021-03-26 | 刘涛 | 一种高层电梯运行安全保护系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04945B1 (ko) | 2009-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664370B2 (ja) | エレベータかごの安全停止装置 | |
US8136637B2 (en) | Safety device for securing minimum spaces at the top or bottom of an elevator shaft being inspected, and elevator having such safety devices | |
US8365870B2 (en) | Foldable handrail and safety switch arrangement on top of an elevator car | |
RU2478556C2 (ru) | Схема возврата в исходное состояние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й цепи лифта | |
FI110771B (fi) | Väliaikainen työtilan suojaus | |
CN107848754B (zh) | 电梯轿厢 | |
KR101412790B1 (ko) | 카 도어 록 | |
TWI383944B (zh) | 使升降設備運作之方法,可藉由此方式運作之升降設備及此升降設備之安全裝置 | |
CN103079983B (zh) | 升降机竖井门解锁机构 | |
EP1663839B1 (en) | Elevator inspection safety devices | |
JP6388418B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CN100445192C (zh) | 在电梯竖井内建立临时安全空间的装置和方法 | |
JP5600778B1 (ja) |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 |
KR100904945B1 (ko) | 엘리베이터 조립체 | |
US11136222B2 (en) | Elevator car apron | |
KR100616017B1 (ko) | 덤웨이터의 카 고정장치 | |
JP4038067B2 (ja) | ロック装置を有するエレベーターのかご室ドア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