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60119389A -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9389A
KR20060119389A KR1020050042366A KR20050042366A KR20060119389A KR 20060119389 A KR20060119389 A KR 20060119389A KR 1020050042366 A KR1020050042366 A KR 1020050042366A KR 20050042366 A KR20050042366 A KR 20050042366A KR 20060119389 A KR20060119389 A KR 20060119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er
compressor
time
water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2530B1 (ko
Inventor
공연준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2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2530B1/ko
Publication of KR20060119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매, 수조, 정수기, 교반기

Description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agitator control method of refrigerants water tank type purifi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 차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20: 필터 340 : 전해조솔레노이드밸브
400 : 전해조 501 : 냉매수조
502 : 냉매코일 520 : 온수탱크어셈블리
540 : 온수안전솔레노이드밸브 560 : 알칼리냉수관
580 : 알칼리온수관 620 : 코크
970 : 압력스위치 980 : 알칼리수관
800 :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 900 : 산성수솔레노이드밸브
910 : 냉매수조솔레노이드밸브 930 : 냉매수조관
940 : 냉수솔레노이드밸브 950 : 상온수솔레노이드밸브
960 : 온수솔레노이드밸브 990 : 상온수관
본 발명은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매 수조형 정수기와 일반 정수기의 큰 차이점은 냉매 수조 내 얼음 생성에 있으며, 얼음의 형태, 생성과정 및 위치 등이 중요하기 때문에, 일정한 형태, 위치, 모양 등을 구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종래 냉매 수조형 정수기에서 교반기를 사용하는 경우, 물을 휘저어 썩어주는 교반기의 적절한 제어 방법이 없어서,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뿐 아니라 수조 내 형성되는 얼음의 두께, 모양 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 온도의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물을 교반하여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뿐 아니라 수조 내 형성되는 얼음의 두께, 모양 등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은 컴프레서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컴프레서가 작동하는 경우 냉매수조의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작동하지 않는 경우 적어도 일정시간 상기 교반기 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은 컴프레서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컴프레서가 작동하는 경우 냉매수조의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작동하지 않는 경우 그 시점부터 누적된 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설정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초과하는 경우 적어도 일정시간 상기 교반기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른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은 냉수출수모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냉수출수모드인 경우 냉매수조의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아닌 경우 적어도 일정시간 상기 교반기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은 냉수출수모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냉수출수모드인 경우 냉매수조의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아닌 경우 냉수 출수 정지 후의 시점부터 누적된 시간이 동작유지시간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동작유지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초과하는 경우 적어도 일정시간 상기 교반기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른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은 컴프레서의 작동 여부와 냉수출수모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컴프레서가 작동하거나 상기 냉수출수모드인 경우 냉매수조의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 적어도 일정시간 상기 교반기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은 컴프레서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컴프레서가 작동하는 경우 냉매수조의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작동하지 않는 경우 그 시점부터 누적된 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설정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초과하는 경우 냉수출수모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냉수출수모드인 경우 상기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아닌 경우 냉수출수 정지 후의 시점부터 누적된 시간이 동작유지시간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동작유지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초과하는 경우 적어도 일정시간 상기 교반기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들 구성에 의하면, 물을 교반하여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뿐 아니라 수조 내 형성되는 얼음의 두께, 모양 등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냉매 수조형 정수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정수기는, 크게 원수를 여과, 정제하는 필터(220)와, 상기 필터(220)를 통과한 정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통과한 정수가 출수되는 코크(620)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코크(620) 사이의 유로에 배치된 압력스위치(970)와, 상기 압력스위치(970)의 신호를 솔레노이드밸브로 보내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이온수를 출수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이상을 전해조(400)의 전 극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 극판에 스케일이 고착되어 자동 세정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서 전해조(400)에는 각 실에 연결되는 출수관에 180°의 위상각으로 유로를 변경시켜주는 유로변경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로변경모터에 대한 구동방법은 한국특허공개 제2004-0108296호의 공보를 참고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더욱이, 냉매수조어셈블리가 구비되어 전해조(400)로부터 생성된 알칼리 이온수를 냉각하여 알칼리 냉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매수조어셈블리는 냉매수조(501)에 알칼리수가 들어있는 알칼리냉수관(560)이 통과하게 되고, 냉매수조(501) 내에는 냉매수조(501)에 삽입된 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매코일(502)이 삽입된다. 이러한 냉매코일(502)의 양 끝단은 냉각수단에 연결되게 된다.
한편, 교반기(Agitator)(미도시)를 구비하여 냉매수조(501) 내의 물을 휘저어줌으로써, 냉매수조(501) 내의 얼음 현상 방지 및 배관 내에 있는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냉매수조(501)에 삽입되는 물은 냉매수조급수솔레노이드밸브(910)를 열게 되면 냉매수조관(930)을 통해 급수되게 된다.
이로써, 냉매수조(501)를 통과하는 알칼리냉수관(560)의 알칼리수는 냉각되게 된다.
전해조(400)에서 생성된 알칼리 상온수는, 전해조(400)에 이어 설치된 알칼리급수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그 흐름이 제어되며, 알칼리 상온수는 냉수솔레노이 드밸브(940)가 열리면 알칼리냉수관(560)을 통해 냉매수조어셈블리로 이송되어, 냉각된 후 출수되게 된다.
전해조(400)에서 형성된 알칼리 상온수 및 상온 정수는 상온수솔레노이드밸브(950)에 의해 그 흐름이 제어된다.
상온수를 이송하는 상온수관(990)은 압력스위치(970)와 냉매수조어셈블리 사이에서 합류되어, 하나의 코크(620)를 통해 알칼리 상온수와 알칼리 냉수 및 상온정수가 제공된다.
또한, 전해조(400)로부터 생성된 알칼리 이온수를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탱크어셈블리(520)가 구비되어 알칼리 온수를 제공할 수 있다.
알칼리 상온수는 알칼리 온수관(580)을 통해 이송된 후 온수탱크어셈블리(520)에서 가온된 후 저장되었다가 알칼리 온수로 출수된다.
각 기능수의 출수를 선택적이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정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각 유로 상에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기능수가 출수될 수 있는 코크(620)가 구비된다.
압력스위치(970)는, 상온수관(990)이 합류되는 지점에 이어 형성되어 알칼리 상온수 및 상온 정수 및 알칼리 냉수가 이송되는 알칼리수관(98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압력스위치(970)의 신호를 솔레노이드밸브로 보내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압력스위치(970)는 저압차단스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압차단스위치 에 대한 구체적인 작동 메커니즘은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294986호의 공보를 참조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저압차단스위치는 액체의 낮은 압력을 이용하여 스위칭을 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가 흐르는 중간에 설치되어 흐르는 액체의 압력을 이용하고 스위치를 조작하여 솔레노이드밸브와 같은 유로 관련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저압차단스위치에 설정된 압력에 따라 액체의 유동을 자동으로 조절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수의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에서 관련되는 솔레노이드밸브의 온/오프를 준비 대기한다.
이때, 코크(620)가 열려 관 내의 압력이 낮아지면, 압력스위치(970)에 신호가 들어와 제어부를 통해 그 신호는 대기중인 관련 솔레노이드에 전달되어, 솔레노이드를 오픈시키면서 그에 따른 기능수가 출수된다.
한편, 코크(620)가 닫혀 고압이 감지되어 압력스위치(970)의 신호가 끊어지면 열려있던 관련 솔레노이드밸브는 닫히면서 기능수의 공급은 중단된다.
이와 같이, 정수기는 코크(620)의 열리고 닫힘에 따라, 각 기능수에 관련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열리고 닫힘으로써, 기능수가 필요할 때 바로 생성하여 출수하게 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교반기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 차트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은 먼저, 컴프레서의 작동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컴프레서가 작동하는 경우(Y), 냉매수조(501)의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상기 컴프레서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N), 그 시점부터 누적된 시간이 설정시간(예컨대 60분)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설정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Y), 상기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상기 설정시간을 초과하는 경우(N), 냉수출수모드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냉수출수모드인 경우(Y), 상기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상기 냉수출수모드가 아닌 경우(N), 냉수출수 정지 후의 시점부터 누적된 시간이 동작유지시간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동작유지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Y), 상기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상기 동작유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N), 적어도 일정시간 상기 교반기를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컴프레서의 작동 여부, 컴프레서 오픈 시점부터의 누적시간의 비교 판단, 냉수출수모드 여부, 냉수출수 정지 후의 시점부터의 누적시간의 비교 판단 등을 통해 교반기를 제어함으로써, 물의 온도나 얼음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뿐 아니라, 물의 온도가 급변하는 것을 막아주어 마이컴에서 받은 입력값의 변화가 느려서 제어하기 쉽다.
한편, 전술한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방법으로는, 컴프레서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컴프레서가 작동하는 경우 냉매수조의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작동하지 않는 경우 적어도 일정시간 상기 교반기를 정지시키는 단계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방법으로는, 컴프레서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컴프레서가 작동하는 경우 냉매수조의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작동하지 않는 경우 그 시점부터 누적된 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설정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초과하는 경우 적어도 일정시간 상기 교반기를 정지시키는 단계로 구현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으로는 냉수출수모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냉수출수모드인 경우 냉매수조의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아닌 경우 적어도 일정시간 상기 교반기를 정지시키는 단계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으로는 냉수출수모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냉수출수모드인 경우 냉매수조의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아닌 경우 냉수 출수 정지 후의 시점부터 누적된 시간이 동작유지시간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동작유지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초과하는 경우 적어도 일정시간 상기 교반기를 정지시키는 단계로 구현할 수 있다.
또다른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으로는 컴프레서의 작동 여부와 냉수출수모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컴프레서가 작동하거나 상기 냉수출수모드인 경우 냉매수조의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 적어도 일정시간 상기 교반기를 정지시키는 단계로 구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에 따르면, 컴프레서의 작동 여부, 컴프레서 오픈 시점부터의 누적시간의 비교 판단, 냉수출수모드 여부, 냉수출수 정지 후의 시점부터의 누적시간의 비교 판단 등을 통해 교반기를 제어함으로써, 물의 온도나 얼음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 온도의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도와줄 뿐 아니라, 물의 온도가 급변하는 것을 막아주어 마이컴에서 받은 입력값의 변화가 느려서 제어하기 쉽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컴프레서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컴프레서가 작동하는 경우 냉매수조의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작동하지 않는 경우 적어도 일정시간 상기 교반기를 정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
  2. 컴프레서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컴프레서가 작동하는 경우 냉매수조의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작동하지 않는 경우 그 시점부터 누적된 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설정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초과하는 경우 적어도 일정시간 상기 교반기를 정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
  3. 냉수출수모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냉수출수모드인 경우 냉매수조의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아닌 경우 적어도 일정시간 상기 교반기를 정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
  4. 냉수출수모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냉수출수모드인 경우 냉매수조의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아닌 경우 냉수 출수 정지 후의 시점부터 누적된 시간이 동작유지시간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동작유지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초과하는 경우 적어도 일정시간 상기 교반기를 정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
  5. 컴프레서의 작동 여부와 냉수출수모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컴프레서가 작동하거나 상기 냉수출수모드인 경우 냉매수조의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 적어도 일정시간 상기 교반기를 정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
  6. 컴프레서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컴프레서가 작동하는 경우 냉매수조의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작동하지 않는 경우 그 시점부터 누적된 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설정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초과하는 경우 냉수출수모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냉수출수모드인 경우 상기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아닌 경우 냉수출수 정지 후의 시점부터 누적된 시간이 동작유지시간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동작유지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교반기를 동작시키고, 초과하는 경우 적어도 일정시간 상기 교반기를 정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
KR1020050042366A 2005-05-20 2005-05-20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 KR100692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366A KR100692530B1 (ko) 2005-05-20 2005-05-20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366A KR100692530B1 (ko) 2005-05-20 2005-05-20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389A true KR20060119389A (ko) 2006-11-24
KR100692530B1 KR100692530B1 (ko) 2007-03-09

Family

ID=37706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366A KR100692530B1 (ko) 2005-05-20 2005-05-20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25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651B1 (ko) * 2010-01-11 2013-01-2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이온정수기의 냉각수 급수 제어방법
KR101259621B1 (ko) * 2011-06-21 2013-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운전방법
KR20190111614A (ko) * 2018-03-23 2019-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596B1 (ko) * 2009-07-16 2011-12-1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수조 교반기 모터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569B1 (ko) * 2001-02-07 2005-06-13 코모텍 주식회사 비방사 유전체 도파관을 이용한 서큘레이터
KR20040099983A (ko) * 2003-05-21 2004-12-02 그린바이오 주식회사 정수기 및 냉온수기의 물탱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651B1 (ko) * 2010-01-11 2013-01-2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이온정수기의 냉각수 급수 제어방법
KR101259621B1 (ko) * 2011-06-21 2013-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운전방법
KR20190111614A (ko) * 2018-03-23 2019-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2530B1 (ko) 200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9563A (ja) 冷却装置
KR101402470B1 (ko) 자동온도 추출기능이 있는 냉온수 공급장치
WO2003064935A1 (fr) Chauffe-eau du type a pompe a chaleur
JP2009023695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100692530B1 (ko)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
AU4373100A (en) Device for automatically notifying user of reaching of filter replacement time for water purify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2001041573A (ja) 給湯機
JP2012510362A (ja) 液体を殺菌する方法と液体殺菌装置
JP2009052798A (ja) 風呂注湯機能付き貯湯式温水器
KR101174035B1 (ko) 정수기의 제어 방법
KR100620579B1 (ko) 정수기 제어방법
JP2009228980A (ja) 貯湯式温水器
JP2002039616A (ja) 給湯装置
JP2001041570A5 (ko)
KR100590003B1 (ko) 정수기
KR100668059B1 (ko) 이온수기 및 이온수기 제어방법
KR20060118654A (ko) 수조의 수위 감지방법 및 정수기 제어방법
JP2007333325A (ja) 製氷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冷蔵庫
KR100623671B1 (ko) 정수기 및 정수기 제어방법
JP2005156053A (ja) 給湯装置
JPH1024289A (ja) 冷水器付浄水器
KR20070105650A (ko) 냉장고
KR100692531B1 (ko) 이온정수기의 수소이온농도 보상장치 및 방법
JP2006234368A (ja) 自動製氷機の制御方法
JP4428524B2 (ja) ディスペ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