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60118654A - 수조의 수위 감지방법 및 정수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수조의 수위 감지방법 및 정수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8654A
KR20060118654A KR1020050040777A KR20050040777A KR20060118654A KR 20060118654 A KR20060118654 A KR 20060118654A KR 1020050040777 A KR1020050040777 A KR 1020050040777A KR 20050040777 A KR20050040777 A KR 20050040777A KR 20060118654 A KR20060118654 A KR 20060118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water
level
tank
delay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6557B1 (ko
Inventor
공연준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0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6557B1/ko
Publication of KR20060118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조의 수위 감지방법 및 정수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수위 감지시 딜레이타임을 주어 환경적인 영향을 최소화하여 정확한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는 수조의 수위 감지방법 및 정수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lay time, 냉수조, 수위, 센서

Description

수조의 수위 감지방법 및 정수기 제어방법{water level sensing method and control method of purifi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스위치가 구비된 정수기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위감지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D CONERSION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20: 필터 340 : 전해조솔레노이드밸브
400 : 전해조 501 : 냉매수조
502 : 냉매코일 520 : 온수탱크어셈블리
540 : 온수안전솔레노이드밸브 560 : 알칼리냉수관
580 : 알칼리온수관 620 : 코크
970 : 압력스위치 980 : 알칼리수관
800 :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 900 : 산성수솔레노이드밸브
910 : 냉매수조솔레노이드밸브 930 : 냉매수조관
940 : 냉수솔레노이드밸브 950 : 상온수솔레노이드밸브
960 : 온수솔레노이드밸브 990 : 상온수관
본 발명은 수조의 수위 감지방법 및 정수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수위 감지시 딜레이타임을 주어 환경적인 영향을 최소화하여 정확한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는 수조의 수위 감지방법 및 정수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발전에 따른 수질, 대기, 토양등 날로 심각해지는 환경오염의 문제로 인해,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등에서는 좀더 깨끗한 식수를 제공받기위한 수단으로 필터에 의해 물을 정화하고, 이와같이 정화된 물을 선택에 따라 냉각 또는 가열하여 냉, 온수로 공급되도록 한 냉,온 정수기가 널리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정수기로서,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04-0110319호에 제시된 것과 같은 것이 있다.
이러한 정수기 등의 수조에는 수위를 감지하여 정수기의 각 작동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수위감지센서가 장착된다.
이러한 수위감지센서로서,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2000-0030618호의 공보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수위를 감지할 경우 잘못된 데이터를 감지하게 되면, 잘못된 데이터로 인해 정수기가 오작동을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위 감지시 딜레 이타임을 주어 환경적인 영향을 최소화하여 정확한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는 수조의 수위 감지방법 및 정수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조의 수위 감지방법 및 정수기 제어방법은 수조의 감지된 수위를 입력받는 감지단계와, 상기 수위가 딜레이타임 동안 유지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상기 수위가 유지되면 상기 수위를 수위값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위 감지시 딜레이타임을 주어 환경적인 영향을 최소화하여 정확한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압력스위치가 구비된 정수기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압력스위치가 구비된 정수기는, 크게 원수를 여과, 정제하는 필터(220)와, 상기 필터(220)를 통과한 정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통과한 정수가 출수되는 코크(620)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코크(620) 사이의 유로에 배치된 압력스위치(970)와, 상기 압력스위치(970)의 신호를 솔레노이드밸브로 보내는 제어부으로 이루어진다.
종래 이온수기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온수를 출수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이상을 전해조(400) 전극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 극판에 스케일이 고착되어 자동 세정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서 전해조(400)에는 각실에 연결되는 출수관에 180도의 위상각으로 유로를 변경시켜주는 유로변경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변경모터에 대한 구동방법은 한국 특허 공개공보 제2004-0108296호를 참고하기로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나아가, 냉매수조어셈블리가 구비되어 전해조(400)로부터 생성된 알칼리 이온수를 냉각하여 알칼리 냉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매수조어셈블리는 냉매수조(501)에 알칼리수가 들어 있는 알칼리냉수관(92)이 통과하게 되고, 냉매수조(501) 내에는 냉매수조(501)에 삽입된 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매코일(502)이 삽입된다. 이러한 냉매코일(502)의 양 끝단은 냉각수단에 연결되게 된다.
한편, 교반기(Agitator)(미도시)를 구비하여 냉매수조(501) 내의 물을 휘저어줌으로서, 냉매수조(501)내의 얼음 현상 방지 및 배관 내에 있는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냉매수조(501)에 삽입되는 물은 냉매수조급수솔레노이드밸브(910)를 열게 되면 냉매수조관(930)을 통해 급수되게 된다.
이로써, 냉매수조(501)를 통과하는 알칼리냉수관(560)속의 알칼리수는 냉각되게 된다.
전해조(400)에서 생성된 알칼리 상온수는, 전해조(400)에 이어 설치된 알칼리급수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그 흐름이 제어되며, 알칼리 상온수는 냉수솔레노이드밸브(940)가 열리면 알칼리냉수관(560)을 통해 냉매수조어셈블리로 이송되어, 냉각된 후 출수되게 된다.
전해조(400)에서 형성된 알칼리 상온수 및 필터(220)필터(220) 상온 정수는 상온수솔레노이드밸브(950)에 의해 그 흐름이 제어된다.
상온수를 이송하는 상온수관(990)은 압력스위치(970)와 냉매수조어셈블리 사이에서 합류되어, 하나의 코크(620)를 통해 알칼리 상온수와 알칼리 냉수 및 상온정수가 제공된다.
또한, 전해조(400)로부터 생성된 알칼리 이온수를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탱크어셈블리(520)가 구비되어 알칼리 온수를 제공할 수 있다.
알칼리 상온수는 알칼리 온수관(580)을 통해 이송된 후 온수탱크어셈블리(520)에서 가온된 후 저장되었다가 알칼리 온수로 출수된다.
각 기능수의 출수를 선택적이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정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각 유로상에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기능수가 출수될 수 있는 코크(620)가 구비된다.
압력스위치(970)는, 상온수관(990)이 합류되는 지점에 이어 형성되어 알칼리 상온수 및 상온 정수 및 알칼리 냉수가 이송되는 알칼리수관(98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압력스위치(970)의 신호를 솔레노이드밸브로 보내는 제어부(미도시) 가 구비된다.
압력스위치(970)는 저압차단스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압차단스위치에 대한 구체적인 작동 메커니즘은 등록번호 제20-0294986호의 공보를 참조하기로하고, 본 발명의 특징적인 작용효과만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저압차단스위치는 액체의 낮은 압력을 이용하여 스위칭을 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가 흐르는 중간에 설치되어 흐르는 액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스위치를 조작하여 솔레노이드밸브와 같은 유로 관련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저압차단스위치에 설정된 압력에 따라 액체의 유동을 자동으로 조절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수의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에서 관련되는 솔레노이드밸브의 온,오프를 준비대기한다.
이때, 코크(620)가 열려 관내의 압력이 낮아지면, 압력스위치(970)에 신호가 들어와 제어부을 통해 그 신호는 대기중인 관련 솔레노이드에 전달되어, 솔레노이드를 오픈시키면서 그에 따른 기능수가 출수된다.
한편, 코크(620)가 닫혀 고압이 감지되어 압력스위치(970)의 신호가 끊어지면 열려있던 관련 솔레노이드밸브는 닫히면서 기능수의 공급은 중단된다.
이와 같이 정수기는, 코크(620)의 열리고 닫힘에 따라, 각 기능수에 관련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열리고 닫힘으로써, 기능수가 필요할 때 바로 생성하여 출수하게 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조의 수위 감지방법 플로우 차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조의 수위 감지방법 및 정수기 제어방법은 수조의 감지된 수위를 입력받는 감지단계와(S11), 상기 수위가 딜레이타임 동안 유지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단계와(S17, S27, S37), 상기 수위가 유지되면 상기 수위를 수위값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하여 3개의 전극 봉을 통해 수조의 저수, 고수, 만수를 감지하고, 감지된 수위를 입력받는다.(S11)
상기 수조로는 교반기가 설치된 냉매수조(501)가 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적용되는 A/D변환 플로우차트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D변환 완료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S1)와, A/D를 읽는 단계(S3)와, A/D데이터의 누적횟수가 일정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5)와, 일정값 이상이면 누적된 A/D데이터를 평균내고(S7), 일정값 이하이면 읽은 A/D를 A/D데이터에 누적하는 단계(S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상기 감지단계에서는 일정 횟수 이상 감지된 A/D값들의 평균값을 입력받게 된다.
상기 수위를 적어도 두개 이상의 레벨을 정하여 상기 레벨 중 어느 레벨에 속하는지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위를 3개의 전극 봉을 통해 저수, 고수, 만수로 감지하여 별도로 레벨을 정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고 감지된 수위가 저수, 고수, 만수 중 어 느 것인지 판단하면 된다.(S13, S23, S33)
이어서, 상기 판단된 레벨을 제외한 각 레벨의 딜레이타임을 재설정한다.(S15, S25, S35)예를 들어, 저수로 판단되면 고수 및 만수 딜레이시간을 재설정 한다.
냉매수조(501) 내에 교반기(Agitator)(미도시)를 사용함으로써 냉매수조(501) 내 물의 흐름이 많아 수위가 많이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정확한 수위 데이터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냉매수조(501)의 수위를 감지하여 바로 감지된 데이터를 수위데이터로 산출하면 잘못된 수위데이터가 나오게 되므로, 상기 수위가 딜레이타임 동안 유지되는지 판단한다.(S17, S27, S37)
여기서, 수위가 유지되는지 판단하는 것은, 상기 딜레이타임이 지난 후에 수위를 감지하여 그때의 수위가 감지된 수위와 같은 값인지 판단하거나, 딜레이타임 동안 지속적으로 수위를 감지하여 처음 감지된 수위 값이 그대로 유지되는지 판단하여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딜레이타임은 각 레벨 별로 설정하여 적절히 다르게 주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딜레이타임은 수조의 크기 및 교반기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저수, 고수, 만수일 경우에 실험을 통해 산출된 값에 따라 레벨별로 적용된다.
상기 수위가 유지되면 상기 수위를 수위값으로 산출해서 수위데이터로 저장한다.(S41)
상기 수위가 유지되지 않으면 다시 처음 단계로 돌아와 상기 단계를 반복한다.
나아가, 냉매수조(501)의 수위값이 저수위일 경우에는 컴프레셔 기동 정지 명령을 내리도록 정수기를 제어하여 효율적으로 시스템을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정확한 수위 데이터를 산출하여 잘못된 데이터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수조의 수위 감지 및 정수기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수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데이터를 산출할 때 딜레이타임을 줌으로써, 정확한 수위데이터를 산출하여 정수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수조의 감지된 수위를 입력받는 감지단계;
    상기 수위가 딜레이타임 동안 유지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단계;
    상기 수위가 유지되면 상기 수위를 수위값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의 수위 감지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 이전에, 상기 수위를 적어도 두개 이상의 레벨을 정하여 상기 레벨 중 어느 레벨인지 판단하는 레벨판단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딜레이타임을 상기 각 레벨 별로 다르게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의 수위 감지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 이전에, 상기 판단된 레벨을 제외한 각 레벨의 딜레이타임을 재설정하는 재설정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의 수위 감지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에서 입력받는 수위는, 일정 횟수 이상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값들의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의 수위 감지방법.
  5. 교반기가 설치된 냉매수조의 감지된 수위를 입력받는 감지단계;
    상기 수위가 딜레이타임 동안 유지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단계;
    상기 수위가 유지되면 상기 수위를 수위값으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수위값이 저수위로 산출되었을 경우에는 컴프레셔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제어방법.
KR1020050040777A 2005-05-16 2005-05-16 수조의 수위 감지방법 및 정수기 제어방법 KR100666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777A KR100666557B1 (ko) 2005-05-16 2005-05-16 수조의 수위 감지방법 및 정수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777A KR100666557B1 (ko) 2005-05-16 2005-05-16 수조의 수위 감지방법 및 정수기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654A true KR20060118654A (ko) 2006-11-24
KR100666557B1 KR100666557B1 (ko) 2007-01-09

Family

ID=37705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777A KR100666557B1 (ko) 2005-05-16 2005-05-16 수조의 수위 감지방법 및 정수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65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058B1 (ko) * 2008-10-06 2011-04-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
WO2015156512A1 (ko) * 2014-04-11 2015-10-15 코웨이 주식회사 물저장탱크 및 이의 만수위 조정방법
KR20170124217A (ko) * 2016-05-02 2017-11-10 코웨이 주식회사 살균수 배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US10152066B2 (en) 2014-04-11 2018-12-11 Coway Co., Ltd Water storage tank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ll water level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724B1 (ko) 2007-03-15 2008-06-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의 수위 감지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058B1 (ko) * 2008-10-06 2011-04-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
WO2015156512A1 (ko) * 2014-04-11 2015-10-15 코웨이 주식회사 물저장탱크 및 이의 만수위 조정방법
US10152066B2 (en) 2014-04-11 2018-12-11 Coway Co., Ltd Water storage tank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ll water level thereof
KR20170124217A (ko) * 2016-05-02 2017-11-10 코웨이 주식회사 살균수 배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6557B1 (ko) 200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81509B2 (en) Retrofittable control unit for a softening apparatus
US200600272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eliminating leaks in water delivery systems for use with appliances
CA2660551A1 (en) Beverage maker flow detection logic
EP1801507A2 (en) Device for dispensing a heated fluid and heating device therefore
KR100666557B1 (ko) 수조의 수위 감지방법 및 정수기 제어방법
JP5705332B2 (ja) 瞬間湯沸器
JP4310856B2 (ja) 水栓装置
JP2007255769A (ja) 給湯機の異常検出装置
KR20120038142A (ko) 취수량 조절기능이 구비된 정수기
KR100623671B1 (ko) 정수기 및 정수기 제어방법
JP2012013301A (ja) 給湯システム
KR100620579B1 (ko) 정수기 제어방법
KR100644949B1 (ko)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만수위 확인방법, 냉매수조형이온수기 자동배수 방법,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제어방법,정수기 만수위 확인방법, 정수기 자동배수 방법, 정수기제어방법
JP2001263819A (ja) 浄水器付き電気湯沸かし器
JP3838197B2 (ja) 給湯装置
KR100692530B1 (ko)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
KR20120096825A (ko) 정수기의 온수 제어 장치
KR101114764B1 (ko) 물 공급 장치
JP4143233B2 (ja) 燃焼異常検出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燃焼装置
JP4254598B2 (ja) 飲料供給装置
KR101135819B1 (ko) 물 공급 장치
JP2006145048A (ja) 貯湯式温水器
KR100340843B1 (ko) 수도수 직결형 정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92531B1 (ko) 이온정수기의 수소이온농도 보상장치 및 방법
JP2001041579A (ja) 給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