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4609A - 요동 의자 및 육아 의자 - Google Patents
요동 의자 및 육아 의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114609A KR20050114609A KR1020057013338A KR20057013338A KR20050114609A KR 20050114609 A KR20050114609 A KR 20050114609A KR 1020057013338 A KR1020057013338 A KR 1020057013338A KR 20057013338 A KR20057013338 A KR 20057013338A KR 20050114609 A KR20050114609 A KR 200501146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member
- seat body
- supported
- base member
- horizontal frame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1364 upper extremity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87 long-term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2—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 A47D9/04—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with disconnectable rock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 A47D13/105—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pivotally mounted in a fram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2—Children's chairs adjustable
- A47D1/004—Children's chairs adjustable in heigh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6—Children's chairs dismountab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2—Foldable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8—Children's chairs convertible to a rocking chai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10—Children's chairs capable of being suspended from, or attached to, tables or other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12—Cradles ; Bassinets with adjustable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16—Cradles ; Bassinets capable of being suspended from, or attached to, other articles or structures, e.g. adult's be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2—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착탈식 요동 의자(1)는 베이스 부재(10)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요동 로드(21, 22)와, 요동 로드(21, 22)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된 좌석 본체(30)를 구비한다. 좌석 본체(30)는 베이스 부재(10)로부터 떼어내져 단독으로 상면 상에 자립할 수 있다. 이러한 자립 수단은 좌석 본체의 저부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다리부(35)와, 저부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다리부(3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 발명은 특히 유아용의 의자 또는 침대로서 이용되는 요동 의자 및 육아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요동 의자의 한 예가 특개평 11-8968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요동 의자는 4개의 차륜을 가지는 베이스(base)와, 베이스의 상부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좌석을 구비한다. 좌석은 상면으로부터 떨어진 높은 위치에서 요동 운동을 행한다.
상기의 요동 의자는 생후 얼마 되지 않는 유아를 어르기 위해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유아가 성장하여 잡고 일어서거나 혼자 걸음걸이 할 수 있도록 된 단계에서는 요동 의자는 불필요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종래의 요동 의자의 사용 기간은 짧다.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착탈식 요동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베이스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좌석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좌석 본체의 저면도이다.
도 6은 요동 부재와 좌석 본체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전후의 슬라이더를 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좌석 본체와 요동 부재를 연결하는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좌석 본체와 요동 부재를 연결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하의 세로 프레임 부재의 상대 이동을 금지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레버(lever)를 회동(turn)시킨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좌석 본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좌석 본체의 배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등받이부를 침대 형상의 형태로 될 때까지 뒤로 기울인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발명의 목적은, 유아기에 사용하고 있던 의자를 성장 후에도 계속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요동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자인적으로 깔끔하다는 인상을 줄 수 있는 요동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자인적으로도 깔끔하다는 인상을 주고, 주위의 상황에 따라 사용 형태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육아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착탈식 요동 의자는 베이스 부재와, 베이스 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요동 부재와, 요동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된 좌석 본체를 구비한다. 좌석 본체는 단독으로의 자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자립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유아가 성장하여 예를 들면 잡고 일어서거나 혼자 걸음걸이 할 수 있도록 된 단계에서, 좌석 본체를 베이스 부재로부터 떼어내고, 상면 상에 자립시킨다. 따라서, 아이는 상면 상에 자립하고 있는 좌석 본체에 착석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의자를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가 있다. 유아기에 사용한 의자를 성장 후에도 계속하여 사용하는 것은 유아기에 받은 부모의 애정의 기억을 장기간에 걸쳐 지속하게도 되어 아이의 뇌의 성장에 좋은 영향을 가져온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서 이용하는 「의자」란 의자 형상의 형태와 침대 형상의 형태로 전환 가능한 의자를 포함한 개념이다.
상기의 자립 수단은, 예를 들면, 좌석 본체의 저부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front) 다리부(leg part)와, 저부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rear) 다리부(leg part)를 포함한다.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요동 의자는 요동 부재와 좌석 본체의 연결 상태를 락(lock) 하는 연결 상태 락 수단을 구비한다.
한 실시 형태에서는, 요동 부재는, 간격을 벌린 전후의 위치에서 폭 방향으로 뻗고 한편 베이스 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1쌍의 요동 로드(rod)를 포함한다. 좌석 본체는 그 저면에 상기 1쌍의 요동 로드를 받아들이는 1쌍의 놋치(notch)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이면, 좌석 본체를 상방으로 들어 올리도록 하면, 용이하게 베이스 부재로부터 떼어낼 수가 있다. 이 경우,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좌석 본체는 각 놋치(notch)를 폐쇄하는 위치와 개방하는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부재와, 이동 부재를 폐쇄 위치로 가져오도록 힘을 가하는 힘 가함 부재(forcing member)와, 이동 부재를 이동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를 포함한다.
한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 부재는 하방에 위치하는 하부 프레임체(frame body)와, 하부 프레임체에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된 상부 프레임체를 포함한다. 요동 부재는, 상부 프레임체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인 구조로서 하부 프레임체는, 4개 이상의 차륜을 가지고 거의 수평으로 뻗어있는 구형(rectangular) 프레임 부재와, 구형 프레임 부재의 한 변으로부터 상방으로 입상하여 뻗어있는 하부 세로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상부 프레임체는, 하부 세로 프레임 부재에 정렬하고 한편 이 하부 세로 프레임 부재에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된 상부 세로 프레임 부재와, 상부 세로 프레임 부재의 상방 끝(end) 부분부터 수평 방향으로 뻗은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를 포함한다. 요동 부재는,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형 프레임 부재가 4개 이상의 차륜을 가지도록 하는 것은, 보다 안정된 움직임을 실현하기 위해서 이다. 또, 본 명세서 중에서 이용하는 용어로서의 「구형 프레임」이란, 4개가 모난 코너부(corner part)를 가지는 사각형의 형상만이 아니고, 둥근(round) 형상이나, 반원형에 가까운 형상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둥근(round) 형상의 구형 프레임의 경우, 차륜의 수를 6개로 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움직임을 실현할 수 있다.
이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자립 수단은 좌석 본체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된 슬라이드 다리를 포함한다. 좌석 본체는, 예를 들면, 침대 형상의 형태로 될 때까지 뒤로 기울임 가능한 등받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침대 형상 형태의 자세를 안정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의 슬라이드 다리(slide leg)는, 좌석 본체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드 다리는, 수납 상태에 있어서, 그 배면이 좌석 본체의 배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발명의 다른 국면에 있어서, 요동 의자는 베이스 부재와, 이 베이스 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좌석 본체를 구비한다. 베이스 부재는 거의 수평으로 뻗어있는 수평 프레임 부재와, 이 수평 프레임 부재의 한쪽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입상하여 뻗어있는 세로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전체로서 거의 L자형 형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의 요동 의자이면, 디자인적으로 깔끔하다는 인상을 줄 수가 있다. 세로 프레임 부재는, 예를 들면, 수평 프레임 부재의 전방 단부로부터 입상하여 뻗어있다.
상기의 요동 의자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좌석 본체는 베이스 부재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좌석 본체를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주위의 상황에 따라 좌석 본체를 최적 높이로 유지할 수가 있다. 또, 좌석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좌석 본체 단독으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보다 편리하게 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좌석 본체는 단독으로의 자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자립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수평 프레임 부재와 세로 프레임 부재라는 것은, 서로에 대해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해 두면, 베이스 부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베이스 부재를 컴팩트(compact) 하게 절첩할 수 있으므로, 절첩 상태의 베이스 부재의 팽창을 작게 할 수가 있다.
한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 부재는 세로 프레임 부재의 상방 단부로부터 거의 수평으로 뻗어있는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좌석 본체는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와 세로 프레임 부재를, 서로에 대해 절첩 가능하게 설치해도 좋다.
좌석 본체는, 예를 들면, 좌부와 침대 형상의 형태로 될 때까지 뒤로 기울임 가능한 등받이부를 포함한다.
이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있어서, 육아 의자는 베이스 부재와, 이 베이스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된 좌석 본체를 구비한다. 베이스 부재는 거의 수평으로 뻗어있는 수평 프레임 부재와, 이 수평 프레임 부재의 한쪽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입상하여 뻗어있는 세로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전체로서 거의 L자형 형상을 나타낸다.
좌석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단독으로의 자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자립 수단을 포함한다. 또, 보다 다양한 사용 형태를 실현하기 위해서, 좌석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좌부와 침대 형상의 형태로 될 때까지 뒤로 기울임 가능한 등받이부를 포함한다.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좌석 본체는 베이스 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좌석 본체를,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해도 좋다.
한 실시 형태에서는, 수평 프레임 부재와 세로 프레임 부재를, 서로에 대해 절첩 가능하게 마련하고 있다. 베이스 부재는, 예를 들면, 세로 프레임 부재의 상방 단부로부터 거의 수평으로 뻗어있는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좌석 본체는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와 세로 프레임 부재라는 것은, 서로에 대해 절첩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 및 도 2는 이 발명의 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는 요동 의자(1)는 베이스 부재(10)와, 베이스 부재(10)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요동 부재(20)와, 요동 부재(20)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된 좌석 본체(30)를 구비한다. 좌석 본체(30)는 베이스 부재(20)로부터 떼어내져 단독으로 상면 상에 자립할 수 있는 것 같은 형상으로 된다.
도 3은 베이스 부재(10)를 나타내고, 도 4는 좌석 본체(30)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베이스 부재(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베이스 부재(10)는 하방에 위치하는 하부 프레임체(11)와, 이 하부 프레임체(11)에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된 상부 프레임체(15)를 포함한다. 하부 프레임체(11)는 4개의 차륜(13)을 가지고 거의 수평으로 뻗어있는 구형 프레임 부재(12)와, 이 구형 프레임 부재(12)의 전방 끝(end)에 위치하는 한 변으로부터 상방으로 입상하여 뻗어있는 하부 세로 프레임 부재(14)를 포함한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하부 세로 프레임 부재(14)는 2개의 파이프(pipe)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10)의 상부 프레임체(15)는, 하부 세로 프레임 부재(14)에 정렬하고 한편 이 하부 세로 프레임 부재(14)에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된 상부 세로 프레임 부재(16)와, 상부 세로 프레임 부재(16)의 상방 끝(end) 부분부터 후방을 향해 거의 수평 방향으로 뻗은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17)를 포함한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세로 프레임 부재(16)는 2개의 파이프로 구성되고,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17)는 2개의 막대 모양 플레이트(plate)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파이프로 구성되어 있는 상부 세로 프레임 부재 사이에는 폭 방향 연결 부재(18)가 가로질러져 있다.
요동 부재(20)는 간격을 벌린 전후의 위치에서 폭 방향으로 뻗어 베이스 부재(10)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1쌍의 요동 로드(21, 2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요동 로드(21, 22)는, 받아들이는 놋치(notch) 모양의 형태를 가지고 있고, 그 양단이 베이스 부재(10)의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17)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방의 요동 로드(21)와 후방의 요동 로드(22)라는 것은, 중앙 연결 부재(23)에 의해 연결되어 일정한 간격을 유지 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1쌍의 요동 로드(21, 22)를 수동으로 움직이게 되어 있지만, 모터 등의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전동으로 움직이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주로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좌석 본체(30)를 설명한다. 좌석 본체(30)는, 좌부(31)(seat part)와, 등받이부(32)와, 좌부(31)의 양측부에서 상방으로 입상하여 뻗어있는 1쌍의 측벽부(side wall part)(33)와, 측벽부(33) 상에 장착된 테이블(34)과, 좌부(31)의 전방 끝 가장자리(edge)로부터 하부로 뻗어있는 발얹음부(footrest part)(전방 다리부(front leg part))(35)와, 저부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다리부(36)(rear leg part)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좌석 본체(30)의 저면에는, 전방 요동 로드(21) 및 후방 요동 로드(22)를 받아들이는 전방 놋치(notch)(37) 및 후방 놋치(38)가 설치되어 있다. 좌석 본체(30)는 1쌍의 요동 로드(21, 22) 상에 지지되어 요동 운동을 행한다. 좌석 본체(30)의 각 측벽부(33)는, 베이스 부재(10)의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17) 및 요동 로드(21, 22)의 세로의 막대 부분을 받아들이는 역 U자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듯이, 베이스 부재(10)로부터 떼어내진 좌석 본체(30)는, 상면 상에서 자립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단독으로의 자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자립 수단은,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발얹음부(35)와 후방 다리부(36)로 이루어진다. 발얹음부(35)의 저면과 후방 다리부(36)의 저면이 상면에 접촉하고, 좌석 본체(30)를 자립한 자세에 유지한다. 따라서, 아이는 상면 상에 직접 놓여진 좌석 본체(30)에 착석할 수가 있다.
좌석 본체의 단독으로의 자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도시한 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좌석 본체가 접철식의 다리부(leg part)를 가지고 있고, 필요에 따라서 그 다리부를 세워 좌석 본체를 자립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다음에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좌석 본체(30)와 요동 부재(20)의 연결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좌석 본체(30)의 저면의 양측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뻗은 1쌍의 레일 부재(40)가 고정되어 장착되어 있다. 각 레일 부재(40)는, 전방 요동 로드(21) 및 후방 요동 로드(22)를 받아들이는 전방 놋치(notch)(37) 및 후방 놋치(38)를 가진다.
도 6에 나타내듯이, 각 레일 부재(40) 내에는, 전방 놋치(37) 및 후방 놋치(38)를 폐쇄하는 위치와 개방하는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기 전방 슬라이더(41) 및 후방 슬라이더(42)가 수납되어 있다. 전방 슬라이더(41)는, 전방 놋치(37) 내에 받아들인 전방 요동 로드(21)를 포착하는 계지부(41a)를 가지고, 후방 슬라이더(42)는, 후방 놋치(38) 내에 받아들인 후방 요동 로드(22)를 포착하는 계지부(42a)를 가지고 있다.
전방 슬라이더(41)는, 그 후단에 머리부를 갖는 연결 핀(44)을 가진다. 전방 슬라이더(41)와 후방 슬라이더(42)의 사이에 연결 부재(43)가 위치한다. 연결 부재(43)의 전방 끝은 연결 핀(44)의 축부 상에 위치하고, 후방 끝은 후방 슬라이더(42)에 맞닿아 있다. 연결 핀(44)의 축부에 감입(fit)된 스프링(45)은, 전방 슬라이더(41)를 항상 폐쇄 위치로 가져오도록 힘을 가한다.
좌우에 위치하는 1쌍의 후방 슬라이더(42)는, 고정 나사(49) 및 조작봉(48)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각 레일 부재(40)는, 고정 나사(49)를 통과시키는 긴 구멍(47)을 가진다. 폭 방향으로 뻗은 조작봉(48)은, 고정 나사(49)가 긴 구멍(47) 내를 이동할 수 있는 길이만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가 있다. 후방 슬라이더(42)의 후단에 맞닿는 스프링(46)은, 후방 슬라이더(42)를 항상 폐쇄 위치로 가져오도록 힘을 가한다.
좌석 본체(30)와 전후의 요동 로드(21, 22)의 연결 상태는, 전후의 슬라이더(41, 42)의 계지부(41a, 42a)가 요동 로드(21, 22) 하에 위치함으로써 안정되게 유지된다.
좌석 본체(30)를 베이스 부재(10)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는, 폭 방향으로 뻗어있는 조작봉(48)을 손으로 잡아 후방으로 당긴다. 그렇게 하면, 도 7에 나타내듯이, 전후의 슬라이더(41, 42)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놋치(37, 38)를 개방한다. 이 상태에서, 좌석 본체(3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베이스 부재(10)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놓을 수가 있다.
좌석 본체(30)를 베이스 부재(10) 상에 연결하는 경우의 조작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도 8에 나타내듯이, 후방 슬라이더(42)의 계지부(42a)와 후방 요동 로드(22)를 맞닿게 하고, 그 상태에서 좌석 본체(30)의 후방 부분을 하로 이동시킨다. 그렇게 하면, 후방 슬라이더(42)가 스프링(46)을 압축시키도록 후방으로 이동하고 후방 요동 로드(22)를 후방 놋치(38) 내에 도입한다. 다음에 도 9에 나타내듯이, 전방 슬라이더(41)의 계지부(41a)와 전방 요동 로드(21)를 맞닿게 하고, 그 상태에서 좌석 본체(30)의 전방 부분을 하로 이동시킨다. 그렇게 하면, 전방 슬라이더(41)가 스프링(45)을 압축시키도록 후방으로 이동하고 전방 요동 로드(21)를 전방 놋치(37) 내에 도입한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 부재(10) 상에 지지된 좌석 본체(30)의 높이를 바꿀 수가 있다. 이를 위한 구조를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것처럼, 베이스 부재(10)는, 파이프의 형태로 되어 있는 하부 세로 프레임 부재(14) 및 상부 세로 프레임 부재(16)를 가진다. 하부 세로 프레임 부재(14)는 상부 세로 프레임 부재(16) 내에 삽입된다.
상부 세로 프레임 부재(16)의 하단부에는 수지 브래킷(50)이 고정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듯이, 수지 브래킷(50)에는, 축(52)을 통해 레버(51)가 회동(turn)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레버(51)의 후방 끝은 조작 버튼(58)을 형성하고, 전방 끝에는 연결축(55) 및 구멍(56)을 통해 락 핀(54)이 장착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락 핀(54)의 선단은, 수지 브래킷(50) 및 상부 세로 프레임 부재(16)의 구멍(57)을 통과하여 하부 세로 프레임 부재(14)의 구멍(14a)에 계합하고, 상하의 세로 프레임 부재(14, 16)의 상대 이동을 금지하고 있다. 이 상태는 스프링(53)의 가하는 힘에 의해 안정하게 유지된다.
좌석 본체(30)의 높이를 바꾸려고 하는 경우에는, 도 11에 나타내듯이, 조작 버튼(58)을 상으로 밀어 올려 레버(5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turn)시킨다. 이 레버(51)의 회동(turn)에 의해, 락 핀(54)이 도중 우방향으로 이동하고, 하부 세로 프레임 부재(14)의 구멍(14a)으로부터 벗어난다. 따라서, 상부 세로 프레임 부재(16)를 좌석 본체(30)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도 12~도 14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좌석 본체(100)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는 좌석 본체(100)는, 좌부(101)와, 이 좌부(101)에 뒤로 기울임 조절 가능하게 보유된 등받이부(102)와, 등받이부(backrest)(102)의 상방 끝에 회동(turn) 가능하게 설치된 머리 보호부(head guard part)(103)를 구비한다. 등받이부(102)는, 도 14에 나타내듯이, 침대 형상의 형태로 될 때까지 뒤로 기울임 가능하다. 머리 보호부(head guard part)(103)는, 좌석 본체(100)가 도 12에 나타내는 것 같은 의자 형상의 형태일 때에는, 등받이부(102)의 상방 영역을 개방하도록 등받이부(102)의 등받이 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이 되든지, 등받이 면에 대해서 약간 경사 각도가 되도록 유지된다. 한편, 좌석 본체(100)가 도 14에 나타내는 것 같은 침대 형상의 형태일 때에는, 머리 보호부(103)는, 아이의 머리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서, 등받이 면에 대해서 굴곡한 각도를 이루도록 유지된다.
좌부(101)의 저면에는 전방 놋치(137) 및 후방 놋치(13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전방 놋치(137) 및 후방 놋치(138)는 전술의 실시 형태의 전방 및 후방 녹치(37, 38)과 같은 작용을 하는 것이다. 즉, 전방 놋치(137) 및 후방 놋치(138)는, 베이스 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전방 요동 로드(21) 및 후방 요동 로드(22)를 받아들인다.
좌부(101)는 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수납된 슬라이드 다리(110)를 포함한다. 이 슬라이드 다리(110)는, 도 13에서 명료하게 나타나 있는 역 U자형 부재(111)와, 전후 방향으로 뻗은 2개의 슬라이드 막대(112)을 포함한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듯이, 슬라이드 다리(110)의 수납 상태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다리(110)의 배면, 즉 역 U자형 부재(111)의 배면은 좌부(101)의 배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내듯이, 좌석 본체(100)를 침대 형상의 형태로 하여 상면 상에 두는 경우에는, 크게 뒤로 기울임 한 등받이부(102)에 아이의 체중이 작용했을 때 좌부(101)가 불안정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슬라이드 다리(110)를 도시하듯이 후방에 인출 좌석 본체(100)의 침대 형상 형태를 안정하게 지지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이 발명의 한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이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 있어서, 혹은 이 발명과 균등의 범위 내에 있어 여러 가지의 수정이나 변형을 더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요동 부재의 형태는 로드 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의 형태의 것이 생각된다. 마찬가지로 좌석 본체를 단독으로 자립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자립 수단에 관해서도 여러 가지의 형태의 것이 생각된다.
또한,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좌석 본체가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요동 가능한 동시에 착탈 가능이고, 또한 단독으로의 자립이 가능한 것이었지만, 다음과 같은 실시 형태이어도 좋다. 그 몇 가지를 예시적으로 열거한다.
(1) 요동 의자는 베이스 부재와, 이 베이스 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좌석 본체를 구비한다. 베이스 부재는 거의 수평으로 뻗어있는 수평 프레임 부재와, 이 수평 프레임 부재의 한쪽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입상하여 뻗어있는 세로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전체로서 거의 L자형 형상을 나타낸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좌석 본체는 베이스 부재로부터 제외할 수 없는 것이어도 좋고, 착탈 가능한 것이어도 좋다. 주위가 상황에 따라 최적인 사용 형태를 선택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좌석 본체는 베이스 부재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되어 또 착탈 가능한 좌석 본체이면 단독으로의 자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2) L자형 형상의 베이스 부재의 경우, 수평 프레임 부재와 세로 프레임 부재를 서로에 대해 절첩 가능하게 설치해도 좋다. 또, 베이스 부재는 세로 프레임 부재의 상방 단부로부터 거의 수평으로 뻗어있는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 좌석 본체는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와 세로 프레임 부재를 서로에 대해 절첩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수평 프레임 부재 및/또는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를 세로 프레임 부재에 대해서 절첩 가능하게 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의 것이 생각되지만, 그 일례는, 교차하는 2개의 프레임 부재의 연결부에 있어서 축을 통해 회동(turn)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다. 이 경우, 절첩 상태에 있어서, 수평 프레임 부재 및/또는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를 세로 프레임 부재과 겹쳐지도록 근접시킬 수가 있다.
(3) 좌석 본체가 요동 하지 않는 것 같은 육아 의자이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육아 의자는 베이스 부재와, 이 베이스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된 좌석 본체를 구비한다. 베이스 부재는 거의 수평으로 뻗어있는 수평 프레임 부재와, 이 수평 프레임 부재의 한쪽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입상하여 뻗어있는 세로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전체로서 거의 L자형 형상을 나타낸다. 좌석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부재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좌석 본체는 단독으로의 자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자립 수단을 포함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침대 형상의 형태로 될 때까지 뒤로 기울임 가능한 등받이부를 포함한다.
이 발명은 특히 유아용의 의자 또는 침대로서 이용되는 요동 의자 및/또는 육아 의자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6)
- 베이스 부재와,상기 베이스 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요동 부재와,상기 요동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된 좌석 본체를 구비하고,상기 좌석 본체는 단독으로의 자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자립 수단을 포함하는 착탈식 요동 의자.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자립 수단은 상기 좌석 본체의 저부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다리부와, 저부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다리부를 포함하는 착탈식 요동 의자.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요동 부재와 상기 좌석 본체의 연결 상태를 락 하는 연결 상태 락 수단을 구비하는 착탈식 요동 의자.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요동 부재는, 간격을 벌린 전후의 위치에서 폭 방향으로 뻗고 한편 상기 베이스 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1쌍의 요동 로드를 포함하고,상기 좌석 본체는 그 저면에 상기 1쌍의 요동 로드를 받아들이는 1쌍의 놋치(notch)를 포함하는 착탈식 요동 의자.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좌석 본체는,상기 각 놋치(notch)를 폐쇄하는 위치와 개방하는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부재와,상기 이동 부재를 상기 폐쇄 위치로 가져오도록 힘을 가하는 힘 가함 부재와,상기 이동 부재를 이동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착탈식 요동 의자.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베이스 부재는 하방에 위치하는 하부 프레임체와, 상기 하부 프레임체에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된 상부 프레임체를 포함하고,상기 요동 부재는 상기 상부 프레임체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착탈식 요동 의자.
- 제6항에 있어서,상기 하부 프레임체는, 4개 이상의 차륜을 가지고 거의 수평으로 뻗어있는 구형 프레임 부재와, 상기 구형 프레임 부재의 한 변으로부터 상방으로 입상하여 뻗어있는 하부 세로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상기 상부 프레임체는 상기 하부 세로 프레임 부재에 정렬하고 한편 이 하부 세로 프레임 부재에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된 상부 세로 프레임 부재와, 상기 상부 세로 프레임 부재의 상방 끝(end) 부분부터 수평 방향으로 뻗은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상기 요동 부재는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착탈식 요동 의자.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자립 수단은 상기 좌석 본체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된 슬라이드 다리를 포함하는 착탈식 요동 의자.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좌석 본체는 침대 형상의 형태로 될 때까지 뒤로 기울임 가능한 등받이부를 포함하고,상기 슬라이드 다리는 상기 좌석 본체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착탈식 요동 의자.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슬라이드 다리는, 수납 상태에 있어서, 그 배면이 상기 좌석 본체의 배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이 되도록 설치되고 있는 착탈식 요동 의자.
- 거의 수평으로 뻗어있는 수평 프레임 부재와, 이 수평 프레임 부재의 한쪽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입상하여 뻗어있는 세로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전체로서 거의 L자형 형상을 나타내는 베이스 부재와,상기 베이스 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좌석 본체를 구비하는 요동 의자.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좌석 본체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요동 의자.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좌석 본체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요동 의자.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좌석 본체는 단독으로의 자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자립 수단을 포함하는 요동 의자.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수평 프레임 부재와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라는 것은, 서로에 대해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요동 의자.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의 상방 단부로부터 거의 수평으로 뻗어있는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상기 좌석 본체는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요동 의자.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와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라는 것은, 서로에 대해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요동 의자.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좌석 본체는 좌부와 침대 형상의 형태로 될 때까지 뒤로 기울임 가능한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요동 의자.
- 거의 수평으로 뻗어있는 수평 프레임 부재와, 이 수평 프레임 부재의 한쪽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입상하여 뻗어있는 세로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전체로서 거의 L자형 형상을 나타내는 베이스 부재와,상기 베이스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된 좌석 본체를 구비하는 육아 의자.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좌석 본체는 단독으로의 자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자립 수단을 포함하는 육아 의자.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좌석 본체는 좌부와 침대 형상의 형태로 될 때까지 뒤로 기울임 가능한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육아 의자.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좌석 본체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육아 의자.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좌석 본체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육아 의자.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수평 프레임 부재와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라는 것은, 서로에 대해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육아 의자.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의 상방 단부로부터 거의 수평으로 뻗어있는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상기 좌석 본체는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육아 의자.
- 제25항에 있어서,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와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라는 것은, 서로에 대해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육아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3045904 | 2003-02-24 | ||
JPJP-P-2003-00045904 | 2003-02-24 | ||
JPJP-P-2004-00017601 | 2004-01-26 | ||
JP2004017601 | 2004-01-2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14609A true KR20050114609A (ko) | 2005-12-06 |
Family
ID=32911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13338A KR20050114609A (ko) | 2003-02-24 | 2004-02-20 | 요동 의자 및 육아 의자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060138827A1 (ko) |
EP (1) | EP1593323A1 (ko) |
JP (1) | JPWO2004073458A1 (ko) |
KR (1) | KR20050114609A (ko) |
RU (1) | RU2005129733A (ko) |
TW (1) | TWI243662B (ko) |
WO (1) | WO2004073458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131433A1 (en) * | 2007-04-23 | 2008-10-30 | Learning Curve Brands, Inc. | Child exercise sea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156442B (zh) * | 2011-12-19 | 2016-04-27 |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 儿童座椅 |
US11723477B2 (en) | 2015-04-25 | 2023-08-15 | Kids2, Inc. | Convertible highchair |
US11877671B2 (en) | 2015-04-25 | 2024-01-23 | Kids2, Inc. | Convertible high chair |
US10588424B2 (en) | 2015-04-25 | 2020-03-17 | Kids2, Inc. | Convertible high chair |
USD859861S1 (en) | 2017-09-12 | 2019-09-17 | Kids Ii, Inc. | Swing |
USD979259S1 (en) | 2020-09-17 | 2023-02-28 | Kids2, Inc. | Modular swing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61261A (en) * | 1960-09-28 | 1962-10-30 | Berlin Daniel | Child's jumper seat |
SE356430B (ko) * | 1968-05-21 | 1973-05-28 | Mcdonald O | |
JPS5330407Y2 (ko) * | 1975-08-07 | 1978-07-29 | ||
JPS5159354U (ko) * | 1975-08-29 | 1976-05-11 | ||
US4394046A (en) * | 1981-06-26 | 1983-07-19 | Irwin Warren W | Convertible rocker and high chair |
JPS5893261U (ja) * | 1981-12-21 | 1983-06-24 | チトセ株式会社 | 椅子の座体フレ−ム |
JPH0321644Y2 (ko) * | 1985-08-26 | 1991-05-10 | ||
JPH0235251Y2 (ko) * | 1985-11-05 | 1990-09-25 | ||
JPH0519000Y2 (ko) * | 1988-04-08 | 1993-05-19 | ||
US5230523A (en) * | 1991-07-31 | 1993-07-27 | Wilhelm James E | Multi-functional child carrier device |
JP2537647Y2 (ja) * | 1992-10-16 | 1997-06-04 | コンビ株式会社 | 幼児用椅子における脚杆の高さ調節構造 |
US5489138A (en) * | 1993-10-01 | 1996-02-06 | Lisco, Inc. | Height adjustable high chair |
US5564724A (en) * | 1995-07-19 | 1996-10-15 | Huang; Li-Chu C. | Height adjustable baby walker with a base attached positioning device |
JPH09327350A (ja) * | 1996-06-11 | 1997-12-22 | Koizumi Sangyo Kk | 学習机用椅子 |
US5951102A (en) * | 1996-12-27 | 1999-09-14 | Evenflo Company, Inc. | High chair |
US6050643A (en) * | 1997-06-06 | 2000-04-18 | Cosco, Inc. | Juvenile chair |
KR100516641B1 (ko) * | 1999-10-27 | 2005-09-22 |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 육아기구 |
JP4896310B2 (ja) * | 2001-07-16 | 2012-03-14 | コンビ株式会社 | 幼児用椅子 |
US6715827B1 (en) * | 2002-10-01 | 2004-04-06 | Kenny Cheng | Backrest adjusting mechanism used in high chair for infants, toddlers, and small children |
-
2004
- 2004-02-20 KR KR1020057013338A patent/KR2005011460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4-02-20 WO PCT/JP2004/002037 patent/WO2004073458A1/ja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4-02-20 EP EP04713237A patent/EP1593323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4-02-20 JP JP2005502799A patent/JPWO2004073458A1/ja not_active Withdrawn
- 2004-02-20 RU RU2005129733/12A patent/RU2005129733A/ru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4-02-20 US US10/546,878 patent/US2006013882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4-02-24 TW TW093104541A patent/TWI243662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131433A1 (en) * | 2007-04-23 | 2008-10-30 | Learning Curve Brands, Inc. | Child exercise seat |
US7963896B2 (en) | 2007-04-23 | 2011-06-21 | Learning Curve Brands, Inc. | Child exercise sea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4073458A1 (ja) | 2004-09-02 |
EP1593323A1 (en) | 2005-11-09 |
TW200420253A (en) | 2004-10-16 |
JPWO2004073458A1 (ja) | 2006-06-01 |
RU2005129733A (ru) | 2006-02-10 |
TWI243662B (en) | 2005-11-21 |
US20060138827A1 (en) | 2006-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383103B2 (ja) | 2つの機能を兼ねる子供用椅子 | |
JP2003024189A (ja) | 幼児用椅子 | |
US6594840B2 (en) | Baby bouncer/bassinet | |
US7201445B1 (en) | Feeding seat | |
US7104603B2 (en) | Booster seat | |
CN107334317B (zh) | 儿童高脚椅 | |
US4886289A (en) | Tandem baby carriage with facing seats | |
US5833261A (en) | Footrest movable between two positions | |
US20070145790A1 (en) | Juvenile high chair | |
GB2391801A (en) | Multi-function foldable highchair | |
JP2003259939A (ja) | 折りたたみ椅子兼用ベッド | |
JPH1059034A (ja) | 座面高さ可変の車両用シート | |
KR20050114609A (ko) | 요동 의자 및 육아 의자 | |
KR101214498B1 (ko) | 유아용 시트 | |
JP2592766B2 (ja) | 椅 子 | |
JPH0224527B2 (ko) | ||
US20040084941A1 (en) | Adjustable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
CN112998480A (zh) | 收折机构 | |
CN212220347U (zh) | 一种可折叠的儿童推车 | |
JP3236514B2 (ja) | 幼児用着座装置 | |
JP3631164B2 (ja) | 幼児用着座装置 | |
JP2509547Y2 (ja) | 幼児用椅子のリクライニング機構 | |
JPH0727890Y2 (ja) | 幼児用椅子 | |
KR200282586Y1 (ko) | 유모차 겸용 요람 | |
JP3086095U (ja) | 椅 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