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519Y1 - 디지털 도어락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5519Y1 KR200495519Y1 KR2020180001151U KR20180001151U KR200495519Y1 KR 200495519 Y1 KR200495519 Y1 KR 200495519Y1 KR 2020180001151 U KR2020180001151 U KR 2020180001151U KR 20180001151 U KR20180001151 U KR 20180001151U KR 200495519 Y1 KR200495519 Y1 KR 20049551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mergency
- latch
- door lock
- unit
- rot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4—Arrangements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s which engage one another are mounted respectively on the wing and the frame and are both movable, e.g. for release by moving either of them
- E05B63/244—Arrangements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s which engage one another are mounted respectively on the wing and the frame and are both movable, e.g. for release by moving either of them the striker being movable for latching, the bolt for unlatching, or vice versa
- E05B63/246—Emergency release from inside by releasing the strike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사용자 인증을 통해 래치볼트 잠금을 자동으로 해제 가능하고, 상기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 잠금 해제를 위한 비상 개폐수단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회전됨에 따라 상기 래치볼트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래치 회전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래치 회전부를 회전 가능한 비상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 조작부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에 따라 상기 래치볼트를 해제하는,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도어락은 도어 내측에 설치되어 실내외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모티스와 모티스 동작을 위해 도어의 실내외의 실내기 및 실외기 각각에 설치되어 모티스의 동작을 조작하는 레버를 포함한다.
종래의 경우 외부에서 비밀번호나 기 등록되어 있는 카드 등으로 인증하여 데드볼트가 해제되면 이후 사용자의 핸들 동작에 따라 샤프트를 회전시켜 모티스의 래치볼트 잠금을 해제하여 문이 열리는 구조였다.
하지만, 디지털 도어락의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외부 비밀번호 나 카드 등의 인증을 통해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함께 해제되는 구조의 디지털 도어락이 개발되었고, 사용자는 도어 개방을 위해 핸들을 돌리거나 미는 동작 없이 단순히 비밀번호 등의 외부 인증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이 경우, 래치볼트가 핸들에 기계적 구조로 연결되어 수동 조작될 수 있던 종래와 달리, 비밀번호 등의 외부 인증에 의해서만 잠금 해제가 가능하였는 바, 디지털 도어락 설치 과정에서 전기적 연결이 완료되지 않은 채 도어가 잠기는 경우, 래치볼트를 해제하기 어려운 문제가 존재하였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를 해제 가능한 비상 개폐수단과 별개로, 래치볼트만을 해제 가능한 비상 조작부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도어락 설치 등의 과정에서 도어가 잠기는 경우, 간단한 조작만으로 래치볼트를 해제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증을 통해 래치볼트 잠금을 자동으로 해제 가능하고, 상기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 잠금 해제를 위한 비상 개폐수단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회전됨에 따라 상기 래치볼트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래치 회전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래치 회전부를 회전 가능한 비상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 조작부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에 따라 상기 래치볼트를 해제하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비상 조작부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이 상기 래치 회전부 측에 위치된 조작부재; 및 상기 조작부재 상에 위치되어 상기 조작부재에 반력을 제공 가능한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 회전부는, 상기 비상 조작부와 접촉 가능한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래치볼트를 조작 가능한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1 회전부와 동축으로 배치되고, 상기 비상 개폐수단과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2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상 조작부가 조작됨에 따라, 상기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2 회전부 중 상기 제1 회전부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비상 개폐수단이 조작됨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를 해제 가능한 비상 개폐수단과 별개로, 래치볼트만을 해제 가능한 비상 조작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도어락 설치 등의 과정에서 래치볼트가 잠금 상태로 되는 경우, 간단한 조작으로 래치볼트를 해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내부 구성의 정면측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내부 구성의 배면측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하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내부 구성의 평소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상 조작부가 조작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래치 회전부가 동작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비상키에 의해 비상 개폐수단이 조작되는 경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내부 구성이 동작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내부 구성의 정면측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내부 구성의 배면측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하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내부 구성의 평소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상 조작부가 조작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래치 회전부가 동작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비상키에 의해 비상 개폐수단이 조작되는 경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내부 구성이 동작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 내부 구성의 정면측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 내부 구성의 배면측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은 사용자 인증을 통해 래치볼트 잠금을 자동으로 해제 가능하고, 하우징(10) 및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어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비상 개폐수단(2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은 상술한 비상 개폐수단(20)과는 별개로 래치볼트만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우징(10) 내에 배치되고, 회전됨에 따라 래치볼트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래치 회전부(100) 및 하우징(10) 내에 배치되고 래치 회전부(100)를 회전 가능한 비상 조작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비상 조작부(200)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경우, 데드볼트는 조작되지 않은 채 래치볼트만 해제될 수 있다. 비상 조작부(200) 조작 및 래치볼트 해제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래치 회전부(100)는 비상 조작부(200)와 접촉 가능한 걸림부(111)가 형성되고 래치볼트를 조작할 수 있는 제1 회전부(110)를 포함할 수 있고, 비상 개폐수단(20)과 제1 기어(13), 제2 기어(14), 제3 기어(15)를 통해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2 회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회전부(110)는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지지축(113)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회전부(120)는 제1 회전부(110)의 지지축(113)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부(120)의 내주면 및 제1 회전부(110) 지지축(113)의 외주면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바, 제1 회전부(110) 및 제2 회전부(120)는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제2 회전부(120)는 기어로 형성되어 비상 개폐수단(20)과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상키(2)를 통해 비상 개폐수단(20)이 조작되는 경우, 비상 개폐수단(20)의 단부에 형성된 베벨기어(미도시 됨)를 통해 제1 기어(13)가 구동될 수 있고, 제1 기어(13)와 치합된 제2 기어(14) 및 제2 기어(14)와 치합된 제3 기어(15)의 기계 구동을 통해 제2 회전부(120)는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제2 기어(14)는 도어 내부의 도어락 모티스(미도시 됨)의 데드볼트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기어(14)가 동작됨에 따라 데드볼트는 해제될 수 있다.
한편, 래치 회전부(100)는 제1 회전부(110)에 삽입된 래치 샤프트(1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래치 샤프트(130)는 제1 회전부(110)의 회전에 구속되는 바, 제1 회전부(110)가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래치 샤프트(130)의 단면이 사각형 등의 각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회전부(110)의 내주면 역시 래치 샤프트(13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는 바, 래치 샤프트(130)는 제1 회전부(110)의 회전에 구속되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1 회전부(110)가 회전됨에 따라 래치 샤프트(130) 역시 회전될 수 있고, 래치 샤프트(130)에 연결된 도어락 모티스 내부의 연결구조를 통해 래치볼트가 해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은 래치볼트 해제를 위한 회전레버 또는 푸쉬풀 핸들이 불필요한 바, 래치볼트와 연결된 래치 샤프트(130)가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고, 그에 따라, 하우징(10)은 래치 샤프트(130)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구 등이 형성되지 않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래치 회전부(100)의 제1 회전부(110)는 적어도 일부가 함입되어 형성된 가이드홈(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회전부(110)의 가이드홈(112)은 외주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후술할 제2 회전부(120)의 가이드부(121)는 가이드홈(112)에 삽입된 상태로 가이드홈(11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회전부(100)의 제2 회전부(120)는 제1 회전부(110) 측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회전부(120)의 가이드부(1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홈(112)에 삽입 될 수 있고, 가이드홈(11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부(121)는 가이드홈(112)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제2 회전부(120)의 외주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가이드부(121)의 길이는 가이드홈(11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가이드홈(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홈(11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의 하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의 하측면에는 비상키(2)가 삽입될 수 있는 비상키 삽입구(21) 및 사용자 조작에 따라 하우징(10) 내측으로 이동되는 비상 조작부(200)의 일단이 위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 이용 간 배터리가 방전되어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의 해제가 어려운 경우, 상술한 비상키 삽입구(21)에 비상키(2)를 삽입 및 조작함으로써 도어를 개방할 수 있고,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 설치 간 비상 조작부(200)의 일단을 하우징(10) 내측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래치볼트를 해제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 내부 구성의 평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상 조작부(200)가 조작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래치 회전부(100)가 동작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의 비상 조작부(200)는 조작부재(210) 및 탄성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조작부재(210)는 일단이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되며, 타단이 래치 회전부(100) 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10) 내에서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따라 승하강 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탄성부재(220)는 조작부재(210) 상에 위치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재(210)가 조작되는 경우, 조작부재(210) 이동 방향의 반대 측으로 탄성 반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은 조작부재(210)의 타단 인근에 조작부재(210)가 승하강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는 디스크(11) 및 조작부재(210)가 탄성부재(220)에 의해 하우징(10)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조작부재(210)의 적어도 일부에는 조작부재(2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탄성부재(220)가 구속될 수 있는 단턱부재(21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단턱부재(211)의 일측은 지지부(12)에 의해 지지되어 조작부재(210)가 하우징(1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타측에는 탄성부재(220)가 위치되어 탄성부재(220)의 탄성력을 조작부재(21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래치볼트가 해제되는 과정을 서술하면,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볼펜, 젓가락 등의 뾰족한 외부 물체(3)로 하우징(10) 하단의 조작부재(210)를 가압하는 경우, 조작부재(210)는 승강될 수 있고, 조작부재(210)의 타단은 제1 회전부(110)의 걸림부(111)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나아가, 조작부재(210)가 더 승강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재(210)의 타단이 걸림부(111)를 가압함으로써 제1 회전부(110)가 회전(도면상 반시계 방향)될 수 있고, 제1 회전부(110)의 회전에 따라 래치 샤프트(130)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즉, 래치볼트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이, 비상 조작부(200)의 조작부재(210)에 의해 제1 회전부(110)가 회전되는 경우에도, 제2 회전부(120)는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제2 회전부(120)의 가이드부(121)는 최초 위치(도 5 상태)에서 제1 회전부(110)의 가이드홈(112) 우측단에 위치될 수 있고, 도 7과 같이 조작부재(210)에 의해 제1 회전부(110)가 회전되는 경우, 제1 회전부(110)는 제2 회전부(120)와 독립적으로 회전됨으로써 제1 회전부(110)의 가이드홈(112)이 이동하게 되고, 제2 회전부(120)의 가이드부(121)는 가이드홈(112)의 좌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외부 조작을 통해 조작부재(210)를 조작하는 경우, 제1 회전부(110)만을 회전시켜 래치볼트를 해제할 수 있고, 제1 회전부(110)가 회전되는 동안 제2 회전부(120)는 회전되지 않는 바, 제2 회전부(120)와 제3 기어(15)를 통해 치합된 제2 기어(14) 역시 회전되지 않고, 데드볼트는 해제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조작부재(210)를 가압하는 외부 물체(3)가 제거된 경우, 상술한 조작부재(210)는 탄성부재(220)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되어 도 5에 도시된 최초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고, 조작부재(210)에 의해 회전되었던 제1 회전부(110)는 제1 회전부(110)를 감싸도록 위치된 와이어 탄성체(16)에 의해 다시 최초 위치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이 경우, 제2 회전부(120)는 제1 회전부(110)와 독립 회전되는 바, 제1 회전부(110)가 다시 원위치로 돌아가는 경우(도면상 시계 방향)에도 제2 회전부(120)는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 회전부(120)의 가이드부(121)는 다시 제1 회전부(110)의 가이드홈(112) 우측단에 위치될 수 있다.
도 8은 비상키(2)에 의해 비상 개폐수단(20)이 조작되는 경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의 내부 구성이 동작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비상키(2)를 비상키 삽입구(21)에 삽입 후 조작함으로써 비상 걔페수단을 조작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비상 개폐수단(20)이 조작됨에 따라 제1 기어(13), 제2 기어(14) 및 제3 기어(15)가 순차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기어(14)와 연결된 도어락 모티스의 데드볼트가 해제될 수 있다.
한편, 비상 개폐수단(20)이 조작되는 경우, 제3 기어(15)와 치합된 제2 회전부(120) 역시 회전(도면상 반시계 방향)될 수 있고, 제2 회전부(120)의 가이드부(121)에 의해 제1 회전부(110) 역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최초 위치(도 5 상태)에서 제2 회전부(120)의 가이드부(121)는 제1 회전부(110)의 가이드홈(112)의 우측단에 위치되는 바, 제2 회전부(1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1 회전부(110)는 제2 회전부(120)의 가이드부(121)에 의해 구속되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회전부(110) 및 래치 샤프트(130)를 통해 연결된 도어락 모티스의 래치볼트는 해제될 수 있다.
즉, 비상 개폐수단(20)이 조작됨에 따라 제1 회전부(110) 및 제2 회전부(120)는 함께 회전될 수 있고,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는 동시에 해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디지털 도어락
2 : 비상키
3 : 외부 물체
10 : 하우징
11 : 디스크
12 : 지지부
13 : 제1 기어
14 : 제2 기어
15 : 제3 기어
16 : 와이어 탄성체
20 : 비상 개폐수단
21 : 비상키 삽입구
100 : 래치 회전부
110 : 제1 회전부
111 : 걸림부
112 : 가이드홈
113 : 지지축
120 : 제2 회전부
121 : 가이드부
130 : 래치 샤프트
200 : 비상 조작부
210 : 조작부재
211 : 단턱부재
220 : 탄성부재
2 : 비상키
3 : 외부 물체
10 : 하우징
11 : 디스크
12 : 지지부
13 : 제1 기어
14 : 제2 기어
15 : 제3 기어
16 : 와이어 탄성체
20 : 비상 개폐수단
21 : 비상키 삽입구
100 : 래치 회전부
110 : 제1 회전부
111 : 걸림부
112 : 가이드홈
113 : 지지축
120 : 제2 회전부
121 : 가이드부
130 : 래치 샤프트
200 : 비상 조작부
210 : 조작부재
211 : 단턱부재
220 : 탄성부재
Claims (5)
-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 및 상기 데드볼트를 잠금 해제하기 위한 비상 개폐수단;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를 잠금 해제하기 위한 비상 조작부;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비상 조작부와 접촉 가능한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비상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작동됨으로써 상기 래치볼트를 잠금 해제하는 제1 회전부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회전부와 동축으로 배치되고 상기 비상 개폐수단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비상 개폐수단의 조작에 의해 작동됨으로써 상기 래치볼트 및 상기 데드볼트를 함께 잠금 해제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는 래치 회전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상 조작부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이 상기 래치 회전부 측에 위치된 조작부재; 및
상기 조작부재 상에 위치되어 상기 조작부재에 반력을 제공 가능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상 조작부가 조작됨에 따라, 상기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2 회전부 중 상기 제1 회전부만 회전되는, 디지털 도어락.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비상 개폐수단이 조작됨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디지털 도어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1151U KR200495519Y1 (ko) | 2018-03-16 | 2018-03-16 | 디지털 도어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1151U KR200495519Y1 (ko) | 2018-03-16 | 2018-03-16 | 디지털 도어락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2388U KR20190002388U (ko) | 2019-09-25 |
KR200495519Y1 true KR200495519Y1 (ko) | 2022-06-10 |
Family
ID=68066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1151U KR200495519Y1 (ko) | 2018-03-16 | 2018-03-16 | 디지털 도어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5519Y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1244B1 (ko) * | 2006-09-20 | 2008-03-07 | 주식회사 아이리스 | 보조키형 디지털도어록 |
KR200465834Y1 (ko) * | 2011-10-14 | 2013-03-12 |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 디지털도어락의 비상키실린더 결합구조 |
CN204983969U (zh) * | 2015-05-13 | 2016-01-20 | 丽水智恒安防科技有限公司 | 嵌入式直舌斜舌双电机锁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8212B1 (ko) * | 2000-11-02 | 2004-02-11 | 주식회사 뉴웰 | 도어록의 열쇠구멍 개폐장치 |
KR20110058032A (ko) | 2009-11-25 | 2011-06-01 | 우창정기 주식회사 |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 |
-
2018
- 2018-03-16 KR KR2020180001151U patent/KR200495519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1244B1 (ko) * | 2006-09-20 | 2008-03-07 | 주식회사 아이리스 | 보조키형 디지털도어록 |
KR200465834Y1 (ko) * | 2011-10-14 | 2013-03-12 |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 디지털도어락의 비상키실린더 결합구조 |
CN204983969U (zh) * | 2015-05-13 | 2016-01-20 | 丽水智恒安防科技有限公司 | 嵌入式直舌斜舌双电机锁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2388U (ko) | 2019-09-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97022B1 (ko) |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 |
US11220836B2 (en) | Door lock mortise | |
US6418765B1 (en) | Motor-driven lock | |
KR101436602B1 (ko) | 트리거에 의한 록킹볼트의 즉시 잠금 기능을 갖는 모티스 잠금 장치 | |
KR20110052832A (ko) | 도어록 해정장치 | |
KR101086261B1 (ko) | 디지털 도어록 | |
KR200495519Y1 (ko) | 디지털 도어락 | |
KR100674684B1 (ko) | 이중잠금 자동해제기능을 갖는 전자도어락 | |
KR20170007038A (ko) | 레버캠 직접 구동형 푸쉬풀 핸들을 갖는 도어락 | |
KR20160087699A (ko) | 양방향 열림 동작이 가능한 안티패닉 모티스락 | |
KR102159312B1 (ko) | 도어락용 손잡이 조립체 | |
KR101410865B1 (ko) | 실내측, 실외측 손잡이 각각의 회전 상태에 상관없이 도어의 개방이 가능한 모티스 잠금 장치 | |
KR101876476B1 (ko) | 안전장치가 구비된 전자 도어락 장치 | |
KR101777640B1 (ko) | 개선된 내부구조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 |
KR101887640B1 (ko) |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 |
KR101695847B1 (ko) | 일시 열림 조작 기능을 겸한 트리거 레버를 이용한 래치볼트의 좌, 우수 전환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용 모티스 | |
KR102253117B1 (ko) | 카드 키를 이용해 수동으로 잠금 해제가 가능한 도어락 장치 | |
KR20160073810A (ko) | 안티패닉 도어락의 모티스 구조체 | |
KR200378846Y1 (ko) | 도어록의 모티스 | |
KR100834212B1 (ko) | 연결 구조가 개선된 슬라이딩 도어의 도어 래치 | |
KR102060741B1 (ko) | 구동 모듈에 의해 자동으로 해정되는 도어락의 자동 해정 조립체 | |
KR102702846B1 (ko) | 래치 볼트의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고정형 도어락 장치 | |
KR200393226Y1 (ko) | 모티스 록 장치 | |
KR20210065375A (ko) | 도어락 모티스 | |
KR102670960B1 (ko) | 도어락 모티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