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8032A -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58032A KR20110058032A KR1020090114688A KR20090114688A KR20110058032A KR 20110058032 A KR20110058032 A KR 20110058032A KR 1020090114688 A KR1020090114688 A KR 1020090114688A KR 20090114688 A KR20090114688 A KR 20090114688A KR 20110058032 A KR20110058032 A KR 201100580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r
- door
- unit
- lock
- dead bol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패닉 해소를 위한 패닉 작동시는 물론, 일반 사용시 실내 측에 배치된 이너 도어 핸들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락 구동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함으로써 제품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패닉 현상, 락 구동부, 포토 센서부, 제어부, 레버 리브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패닉 작동시 락 구동부로 역방향 힘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이너 도어 핸들의 작동시 이를 감지하여 상기 락 구동부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제품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 어셈블리는 보안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최근 기술의 발달로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는 사용자가 실내를 출입하도록 배치된 도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에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서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된 데드 볼트 및 래치 볼트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비밀번호 등의 소정의 인증키를 입력하면 상기 데드 볼트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되는 동작으로 상기 도어 프레임과 걸림 또는 그 걸림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도어가 잠김 또는 해정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 볼트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이너 핸들 레버 또는 아우터 핸들 레버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데드 볼트와 마찬가지로 상기 도어 프레임과 걸림 또는 그 걸림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도어가 잠김 또는 해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는, 실내의 화재 등 위급한 상황 발생시 갑작스럽게 사용자가 상기 이너 핸들 레버를 회전시켜 실내로부터 탈출하고자 할 경우,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상기 데드 볼트의 작동과 물리적으로 사용자가 외력을 제공하여야만 작동되는 상기 래치 볼트의 작동간 간섭 때문에 사용자의 패닉 현상 발생시 작동 불량을 초래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패닉 현상시 상기 이너 핸들 레버의 급격한 동작은 상기 데드 볼트가 중간 동력 전달부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구동 모터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원활한 패닉 작동을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각 연결부간 일반적인 작동과는 역행하는 외력 부여가 필요하므로 각 부품간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비단 패닉 현상 발생시 뿐만 아니라, 비정상적으로 실내에서 상기 데드 볼트를 해정시키지 아니하고 상기 이너 핸들 레버를 작동시키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여 발생하는 문제인 바, 제품의 내구성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패닉 해소를 위하여 비정상 작동시에 대처할 수 있고, 제품의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는, 도어의 실내 측에 배치된 실내부 케이스와, 상기 실내부 케이스의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이너 도어 핸들과, 상기 실내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너 도어 핸들의 회전시 연동하여 회전되는 홀딩 레버와, 상기 실내부 케이스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도어를 도어 프레임에 잠금 또는 해정시키는 데드 볼트와, 상기 데드 볼트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락 구동부와, 상기 실내부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너 핸들 레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포토 센서부와, 상기 락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토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 결과 값에 따라 상기 락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실내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입력한 소정의 인증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포토 센서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 도어 핸들과 연동되도록 상기 홀딩 레버에 배치된 이너 핸들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 핸들 레버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향하여 소 정 길이 돌출된 레버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포토 센서부는 상기 레버 리브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토 센서부는, 소정의 신호를 송출하는 송출부와, 상기 송출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송출부와의 사이에 간섭 물체가 없으면 상기 송출부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리브는 상기 송출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상기 이너 도어 핸들 회전시 상기 송출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에서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버 리브가 상기 송출부와 상기 수신부 사잇 공간으로부터 이탈됨으로 인하여 상기 포토 센서부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인가받으면, 상기 락 구동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패닉 작동시 락 구동부와 액션 기어의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는, 액션 기어를 비간섭 구간인 프리 이동 홈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사용 전 미리 이동시켜 둠으로써 사용자의 이너 도어 핸들의 동작으로 인한 제품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는, 패닉 작동시는 물론 일반 사용시 포토 센서부에 의한 별도의 이너 도어 핸들의 감지부를 마련하고, 상기 포 토 센서부에 의하여 이너 도어 핸들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락 구동부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를 이용한 도어의 잠금 상태를 나타낸 내부 조립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아우터 도어 핸들의 작동에 따른 데드 볼트를 이용한 도어의 언락 과정을 나타낸 내부 조립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아우터 도어 핸들의 작동에 따른 래치 볼트를 이용한 도어의 언락 과정을 나타낸 내부 조립도이며, 도 5는 도 1의 구성 중 이너 도어 핸들의 작동에 따른 데드 볼트 및 래치 볼트에 의한 도어의 언락 과정을 나타낸 내부 조립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어의 언락 과정 동안 액션 기어의 움직임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도어의 락 과정 동안 액션 기어의 움직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구성 중 액션 기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도어(미도시)를 중심으로 실내 측에 설치된 실내부 케이스(10)와, 상기 도어를 중심으로 실외 측에 설치된 미도시의 실외부 케이스를 포함 한다.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에는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잠금시키거나, 상기 도어를 사용자가 일정한 해정(언락) 행위 없이는 개방시키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각종 보안 부품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부 케이스에는 사용자가 실외 측에서 실내 측으로 들어가기 위하여 필요한 상기 도어의 일정한 해정(언락) 행위를 할 수 있도록 수동 또는 자동으로 소정의 인증 신호를 입력하는 인증 패널 등 각종 보안 부품이 설치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에 설치되는 각종 보안 부품의 조립체를 실내 측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라고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측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는,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된 데드 볼트(20)와 래치 볼트(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데드 볼트(20)와 상기 래치 볼트(30)는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내부에서 각각 상하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측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실외 측인 상기 실외부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되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아우터 도어 핸들(미도시)과, 실내 측인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내부로 노출되되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이너 도어 핸들(도 9 및 도 10의 도면부호 210 참조)을 더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 도어 핸들과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은 실내 측에서 실외 측 으로 나가려는 사용자 또는 실외 측에서 실내 측으로 진입하려는 사용자가 각각 손으로 잡아서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실외 측과 실내 측에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상기 아우터 도어 핸들 또는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과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홀딩 레버(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딩 레버(40)는, 사용자가 실내 측 또는 실외 측에서 상기 아우터 도어 핸들 또는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손으로 잡아 회전시킬 경우 연동하여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데드 볼트(20) 또는 상기 래치 볼트(30)를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내부에서 도면상 좌우 수평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홀딩 레버(40)는,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후술하는 액션 레버(50)를 매개로 외력을 제공하여 상기 데드 볼트(20)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키도록 상기 데드 볼트(20) 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1홀더(42)와, 실질적으로 후술하는 회전 레그(70)를 매개로 외력을 제공하여 상기 래치 볼트(30)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키도록 상기 래치 볼트(30) 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2홀더(44)를 포함한다.
상기 제1홀더(42) 및 상기 제2홀더(44)는 상기 아우터 도어 핸들 및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것이기는 하나, 외부 침입자로부터의 침입 방지를 위하여, 상기 아우터 도어 핸들만을 회전시킨 경우에는 상기 래치 볼트(30)만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홀더(44)만이 상기 홀딩 레버(40)의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아우터 도어 핸들이 회전될 때 상기 래치 볼 트(30)만이 이동되는 반면, 상기 데드 볼트(20)는 이동되지 않는 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데드 볼트(20)에 따른 상기 도어의 해정(언락)이 이루어지지 않는 바, 실내 측으로 들어가려는 사용자는 추가적으로 필요한 해정(언락) 행위를 할 필요가 있다.
반면,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이 회전된다는 의미는 사용자가 실내 측에서 실외 측으로 나가기 위한 것인 바,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회전시키면 상기 데드 볼트(20) 및 상기 래치 볼트(30)가 모두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홀더(42) 및 상기 제2홀더(44)가 동시에 상기 홀딩 레버(40)의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이너 도어 핸들이 회전될 때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래치 볼트(30)를 이동시켜 상기 도어의 상기 래치 볼트(30)에 따른 해정(언락)을 원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회전시키면 잠금 상태에 있는 상기 데드 볼트(20)까지 동시에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패닉 현상 발생시 적절한 패닉 작동을 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이후 계속 사용되어질 용어의 정의로써, "사용자들의 패닉 현상"이란, 실내 측에 화재 등의 긴급한 사고가 발생하여 사용자들이 느끼는 공포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기로 하고, "패닉 작동"이란 이와 같은 사용자들의 패닉 현상 발생시 그 패닉 현상 해소를 위하여 사용자들이 신속히 실내로부터 탈출할 수 있도록 작동되는 일련의 작동부의 작동 과정을 모두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데드 볼트(20)에 의한 상기 도어의 잠금 및 해정(언락) 과정을 보다 상 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데드 볼트(20)는 상기 홀딩 레버(40), 특히 상기 제1홀더(42)에 의하여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내부 상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소정 거리 왕복 이동된다. 이때, 상기 데드 볼트(20)의 일부가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외부로 돌출되는데,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외부로 돌출된 상기 데드 볼트(20)의 일부가 상기 도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도어 프레임(100)에 형성된 제1삽입부(102a)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동작으로 상기 도어를 잠금 및 해정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데드 볼트(20)는, 전자적으로 작동되는 전자식 도어락 어셈블리가 아닌 제품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구성으로서, 실내 측에 노출되게 구비되어 사용자가 누름시키는 동작으로 상기 데드 볼트(20)에 의한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정(언락)하도록 배치된 개방 작동버튼(미도시) 또는 실외 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소정의 비밀번호를 직접 입력하거나, 사용자가 카드키 또는 반도체 키 등을 가지고 소정의 인증 신호를 입력하도록 배치된 상기 인증 패널로부터 상기 도어의 개방을 명령하는 소정의 인증 신호가 입력되면, 전자식으로 작동되는 락 구동부(60)(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에 의하여 소정의 외력을 전달받는 일종의 보안 부품이다.
한편, 상기 래치 볼트(30)에 의한 상기 도어의 잠금 및 해정(언락)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래치 볼트(30)는 대략 상기 데드 볼트(20)와 평행하도록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내부 하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홀딩 레버(40), 특히 상기 제2홀더(44)에 의하여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내부 하측 에서 좌우 수평 방향으로 소정 거리 왕복 이동된다. 이때, 상기 래치 볼트(30) 또한 그 일부가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외부로 돌출되는데,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외부로 돌출된 상기 래치 볼트(30)의 일부가 상기 도어 프레임(100)에 형성된 제2삽입부(102b)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동작으로 상기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정(언락)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데드 볼트(20)와 상기 래치 볼트(30) 모두 상기 도어 프레임(100)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1삽입부(102a) 및 상기 제2삽입부(102b)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동작으로 상기 도어를 잠금 및 해정(언락)하는 역할을 하는 점에 있어서는 동일하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래치 볼트(30)는 전기적으로 작동되지 않고 반드시 사용자가 제공하는 외력에 의해서만 작동되는 반면, 상기 데드 볼트(20)는 전기력에 의하여 제공되는 외력 또는 사용자가 제공하는 외력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다는데 그 차이가 있다. 여기서, 상기 데드 볼트(20)가 사용자가 제공하는 외력에 의해서 작동되는 과정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측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의 기술적 특징과 구체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데드 볼트(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력에 의하여 제공되는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좌우 수평 방향으로 소정 거리 왕복 이동된다. 이와 같은, 상기 데드 볼트(20)의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측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내부에 어느 일점의 회전 중심을 가지는 회전축(C2)을 기준으로 소 정 각도 회전되게 배치되고, 회전시 상기 데드 볼트(20)와 접촉되어 상기 데드 볼트(20)를 좌우 수평 방향 중 어느 한 쪽으로 이동시키는 액션 레버(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드 볼트(20)에는 회전되는 상기 액션 레버(50)가 걸림 접촉되도록 걸림홈(25)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25)은 상기 액션 레버(50)의 회전 경로 상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데드 볼트(20)에 상기 액션 레버(50)가 걸림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액션 레버(50)가 소정 각도 회전될 때 상기 데드 볼트(20)가 상기 액션 레버(50)에 걸림되어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액션 레버(50)는 후술하는 락 구동부(6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홀딩 레버(40)의 구성 중 상기 제1홀더(42)에 의하여 소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홀더(42)가 상기 액션 레버(50)에 회전력을 전달하면 상기 데드 볼트(20) 또한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액션 레버(50)의 회전축(C2)에는 도 6a 내지 도 7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외측 테두리 부분에 또 다른 기어가 물림되도록 기어치(53)가 형성된 액션 기어(52)가 배치된다. 상기 액션 기어(52)는,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대략 상기 액션 레버(50)의 회전축(C2)에 삽입되도록 가운데 중공부(5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액션 기어(52)의 중공부(52') 내주면 사이와 상기 액션 레버(50)의 회전축(C2) 외주면 사이에는 소정의 틈이 형성되도록 상기 액션 기어(52)의 중공부(52') 내경이 상기 액션 레버(50)의 회전축(C2)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액션 기어(52)는 후술하는 락 구동부(6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액션 레버(50)의 회전축(C2)에서 회전되는 동시에 상기 액션 레버(50)에 상기 락 구동부(60)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다시 전달해야 하는 바, 상기 액션 레버(50)의 회전축(C2)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일부에 걸림되도록 상기 액션 레버(50)의 회전축(C2)을 향하여 돌출된 제1걸림단(54)이 형성된다. 상기 제1걸림단(54)은 상기 액션 기어(52)의 내주면 중심을 기준으로 대략 180°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2개소에 이격되게 형성/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액션 레버(50)에는, 상기 락 구동부(60)에 의하여 회전되는 상기 액션 기어(52)의 상기 제1걸림단(54)이 걸림된 경우 상기 액션 기어(52)와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그 회전축(C2)에 제2걸림단(5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걸림단(55)은 상기 액션 레버(50)의 외주면이 회전 중심인 회전축(C2) 방향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도록 가공 형성된 프리 이동 홈부(57)의 양단(55a)(55b)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상기 프리 이동 홈부(57)는 2개소에 구비된 상기 제1걸림단(54) 각각이 상기 액션 기어(52)가 회전될 때 끼워져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액션 레버(50)의 회전축(C2)에 2군데 형성된다. 상기 프리 이동 홈부(57)의 하나당 길이는 대략 상기 액션 레버(50)의 회전축(C2) 중심을 기준으로 100°의 외주면 길이를 가지도록 서로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션 기어(52)의 상기 제1걸림단(54)은 상기 액션 레버(50)의 회전축(C2)에 형성된 상기 제2걸림단(55)에 항상 걸림되어 있는 것은 아님에 주의하여야 한다. 즉, 상기 액션 기어(52)는 상기 락 구동부(6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될 때 상기 프리 이동 홈부(57)의 길이만큼 상기 제1걸림단(54)이 상기 제2걸림단(55)에 간섭없이 단독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는, 상기 액션 레버(50)의 회전축(C2)에 상기 액션 기어(52)가 소정 거리, 즉 상기 프리 이동 홈부(57)의 길이만큼 단독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너 도어 핸들에 의한 상기 액션 레버(50)의 회전시 상기 액션 레버(50)로부터 상기 락 구동부(60)로 외력이 역행되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락 구동부(6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만약 제품의 구성 중 실내 측에 개방 작동버튼이 배치된 경우 사용자가 실내 측으로부터 실외 측으로 나가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개방 작동버튼을 누른다. 이는, 상기 데드 볼트(20)에 의하여 잠금 상태에 있는 상기 도어를 해정(언락)시키기 위한 단계로써, 상기 개방 작동버튼을 작동시키면 상기 락 구동부(60)가 작동되어 상기 데드 볼트(20)를 해정(언락)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상기 액션 레버(50)로 전달하게 된다.
한편, 제품의 구성 중 상기 개방 작동버튼이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곧바로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상기 홀딩 레버(40)를 이용하여 상기 데드 볼트(20)를 상기 도어를 해정(언락)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도 6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데드 볼트(20)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이 완료된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액션 레버(50)의 구체적인 위치를 살펴보면, 상기 제1걸림단(54)이 상기 프리 이동 홈부의 일단에 해당하는 상기 제2걸림단(55a)에 걸림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술한 바 와 같이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회전시킬 경우 상기 홀딩 레버(40) 중 상기 제1홀더(42)가 상기 액션 레버(50)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회전력을 전달받은 상기 액션 레버(50)는 회전되면서 상기 락 구동부(60)로 그 회전력을 그대로 전달하여 상기 락 구동부(60)를 파손시킬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락 구동부(60)의 파손 방지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측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는 상기 액션 기어(52)가 단독으로 회전될 수 있는 상기 프리 이동 홈부(57)가 형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측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는, 상기 데드 볼트(20)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를 잠금 상태로 전환시킨 경우, 미도시된 제어부로 하여금 상기 락 구동부(60)를 소정 시간 작동시켜 상기 프리 이동 홈부(57)의 일단에 해당하는 상기 제2걸림단(55a)에 걸림된 상기 제1걸림단(54)을 상기 프리 이동 홈부(57)의 타단에 해당하는 상기 제2걸림단(55b)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사용자의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통한 외력 전달에 따른 상기 락 구동부(60)의 파손 방지를 위해 미리 상기 락 구동부(60)를 작동시켜 상기 제1걸림단(54)을 상기 액션 레버(50)가 예기치 않게 회전되는 경우 상기 액션 레버(50)만이 단독으로 회전되는 비간섭구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프리 이동 홈부(57)의 타단에 해당하는 상기 제2걸림단(55b)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상기 액션 레버(50)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걸림단(54)은 정지된 상태이고, 상기 락 구동부(60)가 작동되면 상기 액션 기어(52)가 회전되면서 상대적으로 상기 제1걸림단(54)이 상기 프리 이동 홈부(57)의 일단에 해당하는 상기 제2 걸림단(55a) 측에 걸림되어 있다가 상기 프리 이동 홈부(57)의 타단에 해당하는 상기 제2걸림단(55b) 측에 걸림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술한 바와 같은 순서를 지키지 않고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회전시키는 경우라도, 상기 액션 레버(50)의 제1걸림단(54)은 상기 액션 기어(52)와 간섭되지 않는 상기 프리 이동 홈부(57)의 타단에 해당되는 상기 제2걸림단(55b)에 걸림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홀더(42)에 의하여 상기 액션 레버(50)만이 상기 프리 이동 홈부(57)의 길이만큼 단독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락 구동부(60)로 외력을 역 전달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데드 볼트(20)가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내부에서 이동됨으로써 상기 도어가 해정(언락)된 경우,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에 의하여 상기 액션 레버(50)만이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걸림단(54)이 다시 상기 프리 이동 홈부(57)의 일단에 해당하는 상기 제2걸림단(55a)에 걸림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도어가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도어 프레임(100) 측으로 이동되는 동작으로 상기 도어의 폐쇄가 감지되면(이를 감지하는 부품은 후술하는 센서 볼트(90)의 이동을 감지하는 도어 언락 감지부를 나타낸 도 2의 도면부호 83 참조) 상기 락 구동부(60)가 상기 데드 볼트(20)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을 하는데, 상기 제1걸림단(54)이 상기 프리 이동 홈부(57)의 일단에 해당하는 상기 제2걸림단(55a)에 걸림된 상태이기 때문에 곧바로 상기 액션 레버(5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데드 볼트(20)에 의하여 상기 도어가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 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락 구동부(60)의 파손 방지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의 작동 과정은, 사용자가 실내 측에서 패닉 현상 발생시 오히려 유용하다. 즉, 패닉 현상 발생시에는 신속하게 실내 측으로부터 실외 측으로 사용자들이 탈출하여야 하는 바, 당황한 나머지 상기 개방 작동버튼이 구비된 경우 이를 누르지 않고 곧바로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회전시키는 경우 또는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과도한 힘으로 회전시키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때 상기 락 구동부(60)의 파손이 잦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액션 레버(50)를 회전시키도록 소정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락 구동부(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락 구동부(6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일단부 회전축(C4)이 힌지(C4)에 의하여 결합되고 타단부가 힌지(C4) 결합된 상기 일단부 회전축(C4)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 모터 기어 박스(61)와, 상기 모터 기어 박스(61)에 설치되고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구동 모터(미도시)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모터 기어(6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액션 기어(52)와 상기 모터 기어(63)가 서로 치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구동 모터의 작동시 상기 모터 기어(63)가 회전될 때 상기 액션 기어(52)가 회전하면서 상기 액션 레버(50)를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 다.
한편, 상기 래치 볼트(30)는,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내부에 일단부가 힌지(C3) 결합되고 타단부가 외력에 의하여 힌지 결합된 상기 일단부 힌지 결합부(C3)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배치된 회전 레그(7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레그(70)의 회전과 연동되어 그 일부가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래치 볼트(30)의 일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삽입부(102b)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동작으로 상기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정(언락)시키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상기 래치 볼트(30)의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아우터 도어 핸들 및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의 회전 작동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상기 홀딩 레버(40)의 구성 중 상기 제2홀더(44)가 상기 회전 레그(70)의 타단부와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홀더(44)가 회전되면 상기 회전 레그(70)는 힌지 결합된 상기 일단부(C3)를 중심으로 그 타단부가 회전되면서 상기 래치 볼트(30)를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내부에서 도면상 우측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었던 상기 래치 볼트(30)의 일부가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2삽입부(102b)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도어의 해정(언락)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1홀더(42) 및 상기 제2홀더(44)가 상기 액션 레버(50) 및 상기 회전 레그(70)를 동시에 회전시키면서, 상기 데드 볼트(20) 및 상기 래치 볼트(30)를 동시에 잠금 상태에서 해정(언락)시키게 된다.
반면, 사용자가 상기 아우터 도어 핸들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1홀더(42)는 회전되지 않고 상기 제2홀더(44)만 회전됨으로써 그에 연동되게 상기 회전 레그(70)만이 회전되어 상기 래치 볼트(30)만을 잠금 상태에서 해정시키게 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상기 아우터 도어 핸들을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제1홀더(42)가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크게 문제되지 않으나,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회전시키는 경우 사용자의 패닉 현상 발생시 안전하고 신속하게 사용자들이 실내 측으로부터 실외 측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홀더(44)는 물론 상기 제1홀더(42)도 회전되는 바, 이때 상기 데드 볼트(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락 구동부(60)가 상기 액션 레버(50)와 연결되어 있어 패닉 작동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제1홀더(42)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반면, 상기 락 구동부(60)는 미 작동시 정지 상태에 있기 때문에 그 정지시 외부로부터 소정의 외력을 전달받으면 비정상적인 반대 부하가 걸려 제품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락 구동부(60)의 구성 중 상기 모터 기어 박스(61)를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내부에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모터 기어 박스(6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기 실내부 케이스(10) 내부에 일단부가 힌지(C4)에 의하여 결합되고, 외력이 작용하면 그 타단부가 상기 힌지(C4)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내부에는 회전된 상기 모터 기어 박스(61)의 외측면을 탄성지지하여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65)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딩 레버(40)의 외주면 및 상기 모터 기어 박스(61)에는 사용자 및 실내 거주자들(이하, "사용자들"이라 약칭함)의 패닉 현상 발생시 상기 액션 기어(52)와 상기 모터 기어(63)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는 패닉 작동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패닉 작동부(110)는 사용자들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의 구성 중 상기 이너 핸들 도어를 회전시킬 경우 어떠한 작동 불량 없이 상기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어 신속히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패닉 작동부(110)는, 상기 홀딩 레버(40)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모터 기어 박스(61)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 리브(4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패닉 작동부(110)는, 상기 모터 기어 박스(61)의 일측에 상기 홀딩 레버(40)의 외주면에 연접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돌출 리브(46)의 일측에 해당하는 상기 홀딩 레버(40)의 외주면과 소정의 틈새만을 형성한 채 연접 배치되도록 라운딩지게 형성된 라운딩부(64)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라운딩부(64)와 상기 홀딩 레버(40)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는 상기 돌출 리브(46)의 돌출 두께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홀딩 레버(40)에 형성된 상기 돌출 리브(46)는, 사용자들이 실내 측에서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회전시키면 상기 홀딩 레버(40)가 회전되면서 상기 돌출 리브(46)가 상기 모터 기어 박스(61)와 상기 홀딩 레버(40)의 외주면이 형성하는 틈새 사이로 들어가면서 계속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모터 기어 박스(61)를 힌지(C4) 결합된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소정 각도 밀어낸다.
이와 같이, 상기 모터 기어 박스(61)가 전체적으로 힌지(C4) 결합된 일단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소정 각도 밀리면 상기 액션 기어(52)와 상기 모터 기어(63) 사이의 물림(치합)이 해제되어 서로 연결이 끊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 기어 박스(61)의 타단부가 상기 힌지(C4)를 중심으로 밀리는 각도는 대략 상기 액션 기어(52)와 상기 모터 기어(63) 사이의 물림이 해제되는 각도 이상 되어야 한다. 즉, 상기 모터 기어 박스(61)의 타단부는 상기 힌지(C4)를 중심으로 대략 3°이상 밀림되는 것이 좋다.
이를 다른 말로 표현하면, 상기 돌출 리브(46)의 돌출 두께는, 상기 라운딩부(64)와 상기 홀딩 레버(4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상기 틈새로 상기 돌출 리브(46)가 들어갈 경우 상기 모터 기어 박스(61)의 상기 타단부가 상기 일다부를 중심으로 대략 3°이상 밀림될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계속하여 회전시키면, 계속되는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홀딩 레버(40)가 회전될 때 그 회전력이 상기 데드 볼트(20) 및 상기 래치 볼트(30)까지 전달되어 상기 데드 볼트(20) 및 상기 래치 볼트(30)가 동시에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즉, 해정)로 전환 되어 사용자들이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고 신속히 탈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데드 볼트(20)의 이동 경로 상에는 상기 데드 볼트(20)에 의한 상기 도어의 잠금 및 해정 상태를 감지하는 데드 락 감지부(81)와 데드 언락 감지부(82)가 각각 배치된다. 상기 데드 락 감지부(81)와 상기 데드 언락 감지부(82)는, 접점 방식의 스위치 조립체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데드 락 감지부(81)는 상기 데드 볼트(20)가 상기 도어를 잠금하는 위치에서 상기 데드 볼트(20)와 접점되는 동작으로 잠금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데드 언락 감지부(82)는 상기 데드 볼트(20)가 상기 도어를 해정하는 위치에서 상기 데드 볼트(20)와 접점되는 동작으로 해정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내부에는 상기 도어가 잠금 상태인 경우 상기 도어 프레임(100)에 밀려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가 상기 도어가 해정 상태인 경우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센서 볼트(90)가 배치된다.
상기 센서 볼트(90)의 이동 경로 상에는 상기 데드 락 감지부(81) 및 상기 데드 언락 감지부(82)와 같은 접점 방식의 스위치 조립체로 구비된 도어 언락 감지부(8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의 작동 과정을 도어의 언락 과정(특히, 실외 측에서의 언락 과정 및 실내 측에서의 언락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외 측에서 상기 도어를 해정(언락)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3 및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데드 볼트(20) 및 상기 래치 볼트(30)가 상기 도어 프레임(100)에 형성된 제1삽입부(102a) 및 제2삽입부(102b)에 삽입된 상태, 즉 상기 도어가 잠금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내 측으로 들어서기 위하여 상기 실외부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된 비밀번호 키, 카드 키, 반도체 키 및 FOB KEY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 패널에 소정의 인증 신호를 입력시킨다.
그러면, 상기 락 구동부(60)의 구성 중 상기 구동 모터가 작동되면서 상기 모터 기어(63) 및 상기 액션 기어(52)를 매개로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액션 레버(50)로 전달되고, 이와 같은 회전력을 전달받은 상기 액션 레버(50)는 상기 데드 볼트(20)에 형성된 상기 걸림홈(25)에 걸림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데드 볼트(20)를 해정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데드 언락 감지부(82)가 상기 데드 볼트(20)의 해정 위치를 감지하면 상기 구동 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외 측에서 상기 아우터 도어 핸들을 회전시키면 상기 홀딩 레버(40) 중 상기 제2홀더(44)가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 레그(70)를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상기 래치 볼트(30)를 소정 거리 이동시켜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완전히 해정(언락) 상태로 전환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실내 측에서 상기 도어를 해정(언락)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데드 볼트(20) 및 상기 래치 볼트(30)가 상기 도어 프레임(100)에 형성된 제1삽입부(102a) 및 제2삽입부(102b)에 삽입된 상태, 즉 상기 도어가 잠금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내에서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회전시키 면, 상기 홀딩 레버(40)의 상기 제1홀더(42) 및 제2홀더(44)가 동시에 연동하여 회전된다. 이 때에는, 사용자가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회전시키는 경우인 바, 상기 패닉 작동부(110)가 작동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회전시켜 상기 홀딩 레버(40)가 회전되면, 상기 홀딩 레버(40) 중 상기 제1홀더(42)에 형성된 상기 돌출 리브(46)가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모터 기어 박스(61)와 상기 홀딩 레버(40) 사이의 틈새로 삽입되어 상기 모터 기어 박스(61)를 외측으로 밀어내는 동작으로 상기 액션 기어(52)와 상기 모터 기어(63) 사이의 물림(치합)을 해제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1홀더(42)가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액션 레버(50)를 회전시킬 경우 상기 액션 기어(52)와 상기 모터 기어(63) 사이의 연결이 해제됨으로써 별다른 간섭없이 상기 데드 볼트(20)를 좌우 수평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켜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정(언락)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2홀더(44)가 회전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레그(70)를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상기 래치 볼트(30)를 소정 거리 이동시켜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완전히 해정(언락) 상태로 전환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와 같은 보안 장치는, 상기 도어를 중심으로 실내 측 또는 실외 측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일측에 발생된 화재로 인하여 타측으로 불이 옮겨 붙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져야 한다. 즉, 일반적으로 상기 도어를 중심으로 어느 일측에 화재가 발생되면, 상기 도어가 개방되기까지는 화재가 발생된 어느 일측 부분에만 화재가 진행이 되지만, 상기 도어가 개 방되면 타측의 산소가 공급되면서 갑자기 타측으로 불이 급격하게 번지게 되는 위험이 있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같은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는 제조 과정에서, 화재가 실내/외 어느 일측에서 1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라도 상기 데드 볼트(20)와 같은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품이 고열로 녹아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화형 시험" 규정을 만족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는 상술한 바와 같은 내화형 시험 규정을 만족하고자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의 구성 중 상기 실내부 케이스(10)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대략 상기 도어 측으로 개구된 두께가 얇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데드 볼트(20), 상기 래치 볼트(30), 상기 액션 레버(50) 및 상기 홀딩 레버(40) 등의 구성 모두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일측으로는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된 상기 데드 볼트(20)와 상기 래치 볼트(30) 및 상기 센서 볼트(90)가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외부로 노출되는 제1가이드 홀(13a) 및 제2가이드 홀(13b)이 형성된 케이스 홀 커버(12)가 부착된다.
상기 케이스 홀 커버(12)의 외측으로는 상기 제1가이드 홀(13a) 및 상기 제2가이드 홀(13b)에 대응되는 구멍(15a)(15b)이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15)가 덧대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 홀 커버(12)는, 내화형 시험을 만족하기 위하여 고열에 강한 SPCC 재질로 다이 캐스팅 가공 형성될 수 있다. 1t 이상의 냉연 강판으로 평판용 또는 간단한 가공용으로 사용하며 가장 경제적인 일반 냉연 강판이다.
상기 SPCC 재질은 1t 이상의 냉간압연강제로써, 일반적으로 JIS 규격으로 통용되는데, 성분 구성이 C:0.12, Mn:0.5, P:0.04, S:0.45, 이하로 구성되고, 나머지는 철 (Fe)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SPCC 재질은 냉간압연강판인 바, 두께가 얇으며 치수의 정도가 높고 미려한 표면을 가지고 있어 우수한 평탄도와 광범위한 가공성을 가지고 있음은 물론, 고열에 강한 이점이 있다.
상기 케이스 홀 커버(12)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5)와 더불어 상기 데드 볼트(20)와 상기 래치 볼트(30) 및 상기 센서 볼트(90)의 좌우 수평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므로, 실질적으로 고열에 의하여 녹거나 망실되면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 및 상기 아우터 도어 핸들을 작동시키기 전에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정(언락)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상기 케이스 홀 커버(12)의 재질을 SPCC 재질로 구비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케이스 홀 커버(12)의 양면 중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내부를 향하는 면에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내측면 중 상부면과 하부면에 밀착 설치되는 가이드부(14a)(14b)가 2군데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14a)(14b)는 실질적으로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일측으로 상기 케이스 홀 커버(12)를 결합시킬 때, 결합되는 정위치를 확보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지만, 비교적 고열에 약한 재질인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내측면 중 상부면과 하부면에 일부 덧대도록 배치되어 내화성 시험시 적어도 상기 래치 볼트(30)가 위치된 부분만큼은 내화형 시험 규정을 만족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는, 상기 케이스 홀 커버(12) 및 상기 가이드부(14a)(14b)를 구성하는 재질을 상기 SPCC 재질로 선택함으로써 내화형 시험 규정을 어느 정도 만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래치 볼트(30)는 경도와 내화성이 좋은 소결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래치 볼트(30)는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외부로 일부가 직접 노출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경도 및 내화성에 우수한 소결합금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래치 볼트(30) 및 상기 케이스 홀 커버(12)의 재질을 내화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비함으로써 최근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의 가장 큰 문제점이 내화형 시험 규정을 모두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9는 도 1의 구성 중 실내부 케이스(201)의 배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실내부 케이스(201)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품을 나타낸 분해도이 다.
도 9 및 도 10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는,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와,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외측에 해당하는 실내 측에 설치된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과,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된 상기 홀딩 레버(40)가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의 작동에 따라 회전될 때 이와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홀딩 레버(40)에 배치된 이너 핸들 레버(23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실내부 케이스(201) 내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실외부 케이스에 설치된 상기 인증 패널을 통하여 비밀번호 등의 인증 신호를 입력하면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인쇄회로기판(205)이 배치된다.
상기 실내부 케이스(201) 내부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05) 및 각종 전장 부품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60)가 배치되고, 상기 전원부(260)가 배치되는 전원부 설치부(2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핸들 레버(230)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05)을 향하여 소정 길이 돌출된 레버 리브(231)가 형성되어, 상기 이너 핸들 레버(230)의 회전시 이와 연동하여 회전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05)에 설치되고,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이 회전되면 이에 따라 연동되는 상기 이너 핸들 레버(230)에 형성된 상기 레버 리브(231)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포토 센서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포토 센서부(240)는,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버 리브(231)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데드 볼트(20)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방한 후(즉, 상기 데드 볼트(20)에 의한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킨 후) 다시 폐쇄되면, 이를 상기 도어 언락 감지부(83)가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상기 도어가 폐쇄되었다는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 시간(대략 3초 정도) 경과 후 상기 락 구동부(60)로 하여금 상기 데드 볼트(20)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도록 이동시키는 작동 제어를 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도어를 잠금시키기 위한 과정으로 상기 락 구동부(60)가 작동 중일 때, 사용자가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회전시키는 우발적인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상기 락 구동부(60)의 정지시보다 더 큰 반대 부하가 상기 락 구동부(60)로 그대로 전달되어 상기 락 구동부(60)의 파손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락 구동부(60)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작동 중일 때 사용자가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회전시킬 경우, 이와 같은 현상도 패닉 현상으로 간주함과 아울러 상기 락 구동부(6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포토 센서부(240)에 의하여 사용자에 의한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의 작동이 감지되면 곧바로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상기 락 구동부(60)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한다.
상기 포토 센서부(240)는 소정의 신호를 송출하는 송출부(241)와, 상기 송출부(241)와의 사이에 소정의 사잇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사잇 공간에 간섭 물체가 없으면 상기 송출부(241)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42)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 리브(231)의 존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신호를 송출하는 송출부(241)와, 상기 송출부(241)로부터 송출된 신호의 수신여부를 감지하는 수신부(242)를 포함한다.
상기 송출부(241)와 상기 수신부(242)는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되, 상기 레버 리브(231)가 이격된 사잇 공간에 정확하게 위치된 경우 상기 포토 센서부(240)는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이 작동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레버 리브(231)가 이격된 사잇 공간으로부터 이탈된 경우 상기 수신부(242)가 상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이 작동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는,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에 설치된 상기 레버 리브(231)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205)에 설치된 상기 포토 센서부(240)를 구비함으로써, 패닉 현상 발생시는 물론 일상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비정상적인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의 작동으로 인한 상기 락 구동부(6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를 이용한 도어의 잠금 상태를 나타낸 내부 조립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아우터 도어 핸들의 작동에 따른 데드 볼트를 이용한 도어의 언락 과정을 나타낸 내부 조립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아우터 도어 핸들의 작동에 따른 래치 볼트를 이용한 도어의 언락 과정을 나타낸 내부 조립도이며,
도 5는 도 1의 구성 중 이너 도어 핸들의 작동에 따른 데드 볼트 및 래치 볼트에 의한 도어의 언락 과정을 나타낸 내부 조립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어의 언락 과정 동안 액션 기어의 움직임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도어의 락 과정 동안 액션 기어의 움직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구성 중 액션 기어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9는 도 1의 구성 중 실내부 케이스(201)의 배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실내부 케이스(201)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품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실내 측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 10: 실내부 케이스
20: 데드 볼트 30: 래치 볼트
40: 홀딩 레버 42: 제1홀더
44: 제2홀더 46: 돌출 리브
50: 액션 레버 52: 액션 기어
60: 락 구동부 61: 모터 기어 박스
63: 모터 기어 64: 라운딩부
65: 탄성부재 70: 회전 레그
81: 데드 락 감지부 82: 데드 언락 감지부
83: 도어 언락 감지부 90: 센서 볼트
110: 패닉 작동부 205: 인쇄회로기판
210: 이너 도어 핸들 230: 이너 핸들 레버
231: 레버 리브 240: 포토 센서부
Claims (5)
- 도어의 실내 측에 배치된 실내부 케이스와;상기 실내부 케이스의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이너 도어 핸들과;상기 실내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너 도어 핸들의 회전시 연동하여 회전되는 홀딩 레버와;상기 실내부 케이스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도어를 도어 프레임에 잠금 또는 해정시키는 데드 볼트와;상기 데드 볼트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락 구동부와;상기 실내부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너 핸들 레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포토 센서부와;상기 락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토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 결과 값에 따라 상기 락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실내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입력한 소정의 인증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상기 포토 센서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이너 도어 핸들과 연동되도록 상기 홀딩 레버에 배치된 이너 핸들 레버를 더 포함하고,상기 이너 핸들 레버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향하여 소정 길이 돌출된 레버 리브가 형성되며,상기 포토 센서부는 상기 레버 리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
-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포토 센서부는,소정의 신호를 송출하는 송출부와;상기 송출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송출부와의 사이에 간섭 물체가 없으면 상기 송출부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상기 레버 리브는 상기 송출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상기 이너 도어 핸들 회전시 상기 송출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에서 이탈되는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
-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레버 리브가 상기 송출부와 상기 수신부 사잇 공간으로부터 이탈됨으로 인하여 상기 포토 센서부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인가받으면, 상기 락 구동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하는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4688A KR20110058032A (ko) | 2009-11-25 | 2009-11-25 |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4688A KR20110058032A (ko) | 2009-11-25 | 2009-11-25 |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58032A true KR20110058032A (ko) | 2011-06-01 |
Family
ID=44393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14688A KR20110058032A (ko) | 2009-11-25 | 2009-11-25 |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58032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14671A (ko) | 2014-04-02 | 2015-10-13 | 주식회사 공진 | 전동 및 수동 겸용 모티스락 |
KR20190041244A (ko) | 2017-10-12 | 2019-04-22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
KR20190002388U (ko) | 2018-03-16 | 2019-09-25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디지털 도어락 |
-
2009
- 2009-11-25 KR KR1020090114688A patent/KR20110058032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14671A (ko) | 2014-04-02 | 2015-10-13 | 주식회사 공진 | 전동 및 수동 겸용 모티스락 |
KR20190041244A (ko) | 2017-10-12 | 2019-04-22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
KR20190002388U (ko) | 2018-03-16 | 2019-09-25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디지털 도어락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07381B2 (en) | Electronic door lock with a monitoring unit | |
CN104685141A (zh) | 数字门锁装置 | |
JP2007319536A (ja) | 遊技機 | |
KR20110058032A (ko) |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 | |
KR20110058033A (ko) |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 | |
KR101212591B1 (ko) |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 |
JP4381889B2 (ja) | ドア装置 | |
KR20080092064A (ko) | 전자식 내화 도어락 | |
KR200459911Y1 (ko) | 도어록의 래치 볼트 방향전환 구조 | |
KR20180060394A (ko) | 푸시풀 전환이 용이한 푸시풀 도어락 | |
KR20110058034A (ko) |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 | |
JP5007198B2 (ja) | 扉用錠装置 | |
KR101912381B1 (ko) | 디지털 도어락 | |
KR20100138217A (ko) | 방화문 개방 고정장치 | |
JP3946204B2 (ja) | ドアロック装置 | |
KR200442949Y1 (ko) | 패닉 릴리스 감지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 |
KR100856743B1 (ko) |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 |
KR101242164B1 (ko) | 도어 잠금장치 | |
KR200224925Y1 (ko) | 자동잠금기능과 침입탐지 경보기능을 가진 도어잠금장치 | |
JP3152637U (ja) | 産業機械の安全装置 | |
JP4850590B2 (ja) | 錠装置 | |
JP6853672B2 (ja) | ラッ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ドア装置 | |
JP5511413B2 (ja) | キャビネットハンドル用ロック機構 | |
JP5965623B2 (ja) | ドアロック装置 | |
JP2005139853A (ja) | 電子式ドアロック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