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486578Y1 - 도로 경계석 커버 - Google Patents

도로 경계석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578Y1
KR200486578Y1 KR2020170004167U KR20170004167U KR200486578Y1 KR 200486578 Y1 KR200486578 Y1 KR 200486578Y1 KR 2020170004167 U KR2020170004167 U KR 2020170004167U KR 20170004167 U KR20170004167 U KR 20170004167U KR 200486578 Y1 KR200486578 Y1 KR 2004865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upper cover
reflector
road
co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1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주석
공서윤
Original Assignee
공주석
공서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석, 공서윤 filed Critical 공주석
Priority to KR20201700041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578Y1/ko
Priority to PCT/KR2018/000800 priority patent/WO201816919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5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578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24Refl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ncorporation in or application to road surface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1Ker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 경계석에 점자 블럭을 형성하기 위하여 부착하는 도로 경계석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 경계석 상부면을 커버하기 위하여, 상기 도로 경계석 상부면에 상응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 커버부와, 상기 상부 커버부 상에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점자 블럭부와, 상기 상부 커버부의 일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도로 경계석의 측벽을 커버하기 위하여, 상기 도로 경계석 측벽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측벽 커버부 및 상기 측벽 커버부 상에 형성되며, 빛에 반사될 수 있는 반사체로 구성되는 제1 반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로 경계석 커버 {Boundary stone cover}
본 고안은 도로 경계석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교체 작업 없이 기존에 설치된 도로 경계석에 부착하여,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블록을 형성하고, 야간에 차량 운전자에게 도로 경계석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반사체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도로 경계석 커버에 관한 것이다.
도로 경계석은 보도 및 차도 또는 도로의 경계부에 사용하는 콘크리트 및 화강석 경계블록을 의미하며, 이러한 도로 경계석은 보도블록과 차도 사이에 하중이 집중되기 쉬운 차도와의 경계 부분에 있는 보도블록이 조경수의 뿌리압 및 외적 요인으로 차도쪽으로 밀러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시설물을 보존하고, 차도와 보도를 구분하여 차량 등이 보도로 근접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다.
인도의 보도 블럭에는 도로경계석과 접하는 부분까지 점자 블럭이 형성되어 시각 장애인의 보행을 안내하고 있다. 이러한 점자 블럭은 시각장애인 보행의 특성인 직선이동, 방향전환, 목적지 발견의 3요소를 고려하여 특정지점의 위치를 확인하기 쉽게 하고 이동해야 할 방향을 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점자 블럭은 시각 장애인을 위해서 설치되는데, 도로경계석까지는 점자 블럭이 형성되지 않아 시각 장애인이 도로경계석 위에 위치한 경우에 불안감을 느끼는 문제와 도로쪽으로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존에 설치된 도로 경계석 대신에 상부에 점자 블록이 형성된 도로 경계석을 교체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기존 도로 경계석을 활용하지 못하고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신규 도로 경계석을 제작해서 설치해야 하므로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등록실용 제20-0432255호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별도의 교체 작업 없이 기존에 설치된 도로 경계석에 부착하여,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블록을 형성하여 사고를 방지하고, 차량에 도로 경계석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반사체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도로 경계석 커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점자 블록이 마모되거나 훼손되는 경우, 도로 경계석 커버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점자 블록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점자 블록부를 삽입 탈부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한 도로 경계석 커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 경계석에 점자 블럭을 형성하기 위하여 부착하는 도로 경계석 커버에 있어서, 상기 도로 경계석 상부면을 커버하기 위하여, 상기 도로 경계석 상부면에 상응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 커버부; 상기 상부 커버부 상에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점자 블럭부; 상기 상부 커버부의 일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도로 경계석의 측벽을 커버하기 위하여, 상기 도로 경계석 측벽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측벽 커버부; 및 상기 측벽 커버부 상에 형성되며, 빛에 반사될 수 있는 반사체로 구성되는 제1 반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반사부는 상기 측벽 커버부 반사체가 형성되는 영역과 그 이외의 영역을 구분하기 위하여 형성된 반사 구획부; 및 상기 반사 구획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빛에 반사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된 반사체를 포함한다.
상기 도로 경계석 커버는 상기 제1 반사부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반사부의 반사 각도를 크게 함과 동시에, 빛의 반사 각도를 상기 제1 반사부의 반사 각도와 달리하기 위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2 반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로 경계석 커버는 상기 상부 커버부와 측벽 커버부를 상기 도로 경계석의 상부면과 측벽에 체결하기 위하여 돌출 형성된 체결 돌기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로 경계석 커버는 상기 측벽 커버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LED 조명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LED 조명부는 바(bar) 형태의 PCB 기판에 다수의 LED가 배치된 형태로 형성된 LED 모듈; 및 상기 측벽 커버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LED 모듈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또는 탈착되도록 양측에 가이드 삽입홈이 형성된 LED 모듈 삽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커버부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가능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상부 커버 플레이트 가이브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 바디와,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 바디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레일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된 가이드 돌출부재로 구성된 상부 커버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 가이드 부재는 가이드 부재 바디와, 상기 가이드 부재 바디의 일 측 및 타 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출부재가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삽입홈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커버부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를 안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상부 커버 플레이트 안착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 점자 블럭부가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2 점자 블럭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 안착부의 하부면은 상기 도로 경계석 상부면에 상응하는 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 안착부의 상부면은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별도의 교체 작업 없이 기존에 설치된 도로 경계석에 부착하여,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블록을 형성하거나 차량에 도로 경계석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반사체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설치 비용의 절감은 물론 기존 도로 경계석을 폐기하지않고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점자 블록이 마모되거나 훼손된 경우 도로 경계석 커버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점자 블록만을 교체할 수 있게 되어, 관리 유지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점자 블록을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형성함으로써, 어느 일 면의 점자 블록이 마모나 훼손된 경우 상부면과 하부면을 뒤집어서 설치하여 관리 유지비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커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도로 경계석 커버의 단면도이며, 도 2b는 도 1의 도로 경계선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로 경계석 커버가 도로 경계석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커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커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커버의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커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a는 도 1의 도로 경계석 커버의 단면도이며, 도 2b는 도 1의 도로 경계선 커버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로 경계석 커버가 도로 경계석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커버는 상부 커버부(100), 점자 블럭부(200), 측벽 커버부(300) 및 제1 반사부(400)를 포함한다.
상부 커버부(100)는 도로 경계석 상부면을 커버하기 위하여, 도로 경계석 상부면에 상응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장방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고무 재료 또는 플라스틱 수지 재료로 형성된다. 고무 재료나 플라스틱 수지 재료에 야광 형광도료가 첨가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로 경계석 상부면 전체와 도로 경계석의 일 측벽의 상단 일부를 감싸는 형태 즉'ㄱ'자 형태 형성될 수도 있다.
점자 블럭부(200)는 상부 커버부(100)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반구 형태의 돌기가 다수개 돌출되게 형성되나, 돌기의 형태나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점자 블록부(200)는 시각 장애인에게 특정지점의 위치(도로와 인도의 경계)를 확인하기 쉽게 하고 이동해야 할 방향을 정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점자 블록부(200)는 일반 보행자에게도 도로와 인도의 경계부분임을 보다 명확하게 알려주며, 미끄럼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측벽 커버부(300)는 상부 커버부(100)의 일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도로 경계석의 측벽을 커버하기 위하여 도로 경계석 측벽에 상응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측벽 커버부(300) 역시 장방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고무 재료 또는 플라스틱 수지 재료로 형성된다. 이때, 고무 재료 또는 플라스틱 수지 재료에 야광 형광도료가 첨가될 수 있다.
측벽 커버부(300)와 상부 커버부(100)는 일체로 형성되며, 그 단면은 전체적으로 '┌' 형태로 형성된다. 측벽 커버부(300)는 도로 경계석의 전면 측벽을 커버하며, 상부 커버부(100)는 도로 경계석의 상부면을 커버하게 된다.
제1 반사부(400)는 측벽 커버부(300) 상에 형성되며, 빛에 반사될 수 있는 반사체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반사부(400)는 제1 반사 구획부(410) 및 제1 반사체(420)를 포함한다.
제1 반사 구획부(410)는 측벽 커버부(300) 상에 제1 반사체(420)가 형성될 영역을 구분하며, 제1 반사체가 형성되는 영역과 그 이외의 영역을 구분하기 위하여 돌출형성된 라인으로 미리 설정된 형태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일단과 타단이 만곡지게 형성된 장방형의 형태로 제1 반사 구획부가 형성되나, 제1 반사 구획부의 형태 및 크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1 반사체(420)는 제1 반사 구획부(410)의 내부에 형성되며, 빛에 반사될 수 있는 재료가 이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야광 물질이 포함된 도료가 제1 반사 구획부 내에 도포하여 제1 반사체를 형성하였다.
한편, 제1 반사체는 야광 물질이 포함된 도료 이외에 다른 재료가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반사 미러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다수의 유리 비즈를 부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반사부를 측벽 커버부 상에 형성함으로써, 야간 또는 악천후시 운전자에게 도로와 인도의 구분을 보다 명확히 알려줌으로써, 대인 사고 및 차량충돌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도 3에서와 같이, 별도의 교체 작업 없이 기존에 설치된 도로 경계석 상에 본 고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커버를 부착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블록을 형성하거나 차량에 도로 경계석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반사체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기존 도로 경계석을 폐기하지않고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로 경계석 커버를 기존에 설치된 도로 경계석에 부착할 때, 접착제 또는 접착수지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커버는 상부 커버부(100), 점자 블럭부(200), 측벽 커버부(300), 제1 반사부(400) 및 제2 반사부(500)를 포함한다.
상부 커버부(100)는 도로 경계석 상부면에 상응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도로 경계석 상부면을 커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점자 블럭부(200)는 상부 커버부(100)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측벽 커버부(300)는 상부 커버부(100)의 일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도로 경계석의 측벽을 커버하기 위하여 도로 경계석 측벽에 상응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제1 반사부(400)는 제1 반사 구획부(410) 및 제1 반사체(420)를 포함하며, 측벽 커버부(300) 상에 형성되며, 빛에 반사될 수 있는 반사체로 구성된다.
제2 반사부(500)는 제1 반사부(400) 상에 설치되며, 제1 반사부의 반사 각도를 크게 함과 동시에, 제2 반사부의 반사 각도를 제1 반사부의 반사 각도와 달리하기 위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반사부(500)는 그 단면이 반구 형태가 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 반사부(500)는 투명 수지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빛에 반사될 수 있는 야광 비즈가 혼합된 형태로 형성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커버는 상부 커버부(100), 점자 블럭부(200), 측벽 커버부(300), 제1 반사부(400) 및 체결 돌기부(600)를 포함한다. 위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상부 커버부, 점자 블럭부, 측벽 커버부 및 제1 반사부의 구성은 동일한 바,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구성요소를 위주로 상술한다.
체결 돌기부(600)는 상부 커버부(100)와 측벽 커버부(300)를 도로 경계석의 상부면과 측벽에 체결하기 위하여 돌출 형성된다. 체결 돌기부(600)는 제1 체결부재(610)와 제2 체결부재(620)를 포함한다.
제1 체결부재(610)는 상부 커버부(100)의 내측면상에 형성되며, 도로 경계석의 상부면 방향 즉,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체결부재는 도로 경계석 상부면에 형성된 체결홈(미도시)에 삽입 체결된다.
제2 체결부재(620)는 측벽 커버부(300)의 내측면상에 형성되며, 도로 경계석의 측벽 방향 즉, 도로 경계석 커버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체결부재는 도로 경계석 측벽에 형성된 체결홈(미도시)에 삽입 체결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체결 돌기부와 체결홈을 통하여 도로 경계석과 도로 경계석 커버를 체결함으로써, 도로 경계석 커버가 도로 경계석에서 분리되거나 떨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로 경계석 커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체결 돌기부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것 이외에 접착제 또는 접착 수지도 같이 이용하여 도로 경계석 커버를 도로 경계석에 부착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커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커버는 상부 커버부(100), 점자 블럭부(200), 측벽 커버부(300) 및 LED 조명부(700)를 포함한다.
LED 조명부(700)는 측벽 커버부(30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야간 또는 악천후시 점등되어 운전자에게 도로와 인도의 경계를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LED 조명부(700)는 LED 모듈(710)과 LED 모듈 삽입부(720)를 포함한다. LED 모듈(710)은 전체적으로 바(bar) 형태의 PCB 기판에 다수의 LED가 배치된 형태로 형성된다.
LED 모듈 삽입부(720)는 측벽 커버부(300) 상에 형성되며, LED 모듈(710)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또는 탈착되도록 양측에 가이드 삽입홈이 형성된다. 가이드 삽입홈은 LED 모듈의 너비에 상응하여 이격되어 배치되며, 높이는 LED 모듈의 두께보다 높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LED 모듈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체결하거나 분리함으로써, LED 모듈을 교체하거나 수리해야 할 경우, 용이한 방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커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커버는 상부 커버부(150), 점자 블럭부(200), 측벽 커버부(300) 및 제1 반사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부 커버부(150)는 도로 경계석 상부면에 상응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도로 경계석 상부면을 커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커버부(150)는 교체 또는 교환이 용이하도록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체결하거나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부 커버부(150)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160)와 상부 커버 플레이트 가이드부재(170)로 구성된다.
상부 커버 플레이트(160)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 바디(161)와 가이드 돌출부재(163)로 구성된다. 상부 커버 플레이트 바디(161)는 전체적으로 평판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그 상부면에 점자 블럭부가 형성된다. 가이드 돌출부재(163)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 바디(161)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레일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부 커버 플레이트 가이드 부재(170)는 측벽 커버부(300)와 수직되게 연장되며, 상부 커버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부 커버 플레이트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부 커버 플레이트 가이드 부재(170)는 가이드 부재 바디(171)와 가이드 부재 바디의 일 측 및 타 측에 형성되어, 가이드 돌출부재(163)가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삽입홈(173)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상부 커버부를 구성하면, 점자 블럭부가 마모되거나 파손되었을 경우, 상부 커버 플레이트만을 교환하면 나머지 구성요소는 그대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비용이 절감되고, 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커버의 개략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커버는 상부 커버부(180), 점자 블럭부(250), 측벽 커버부(300) 및 제1 반사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커버부(180)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181)와 상부 커버 플레이트를 안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상부 커버 플레이트 안착부(185)로 구성된다.
상부 커버 플레이트(181)는 전체적으로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그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 점자 블럭부(260)를 형성하며, 그 하부면에도 역시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2 점자 블럭부(270)를 형성한다.
상부 커버 플레이트 안착부(185)의 하부면은 도로 경계석 상부면에 상응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도로 경계석 상부면을 커버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부 커버 플레이트 안착부(185)의 상부면은 상부 커버 플레이트(181)의 하부면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커버 플레이트(181)를 안착시킨다. 즉, 상부 커버 플레이트(181)의 하부면에 상응하는 형태 및 크기로 홈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점자 블럭부(250)를 상부 커버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하부면에 각각 형성하면, 어느 하나의 점자 블럭부가 마모되거나 훼손되었을 경우, 상부 커버 플레이트를 뒤집어서 설치하면 양호한 상태의 점자 블럭부로 보수가 가능하여, 비용 절감은 물론 보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커버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상부 커버부 200 : 점자 블럭부
300 : 측벽 커버부 400 : 제1 반사부
500 : 제2 반사부 600 : 체결 돌기부
700 : LED 조명부

Claims (6)

  1. 도로 경계석에 점자 블럭을 형성하기 위하여 부착하는 도로 경계석 커버에 있어서,
    상기 도로 경계석 상부면을 커버하기 위하여, 상기 도로 경계석 상부면에 상응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 커버부;
    상기 상부 커버부 상에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점자 블럭부;
    상기 상부 커버부의 일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도로 경계석의 측벽을 커버하기 위하여, 상기 도로 경계석 측벽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측벽 커버부;
    상기 측벽 커버부 상에 형성되며, 빛에 반사될 수 있는 반사체로 구성되는 제1 반사부; 및
    상기 제1 반사부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반사부의 반사 각도를 크게 함과 동시에, 빛의 반사 각도를 상기 제1 반사부의 반사 각도와 달리하기 위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2 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커버부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를 안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상부 커버 플레이트 안착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 점자 블럭부가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2 점자 블럭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 안착부의 하부면은 상기 도로 경계석 상부면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 안착부의 상부면은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반사부는,
    상기 측벽 커버부 반사체가 형성되는 영역과 그 이외의 영역을 구분하기 위하여 형성된 반사 구획부; 및 상기 반사 구획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빛에 반사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된 반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반사부는 단면이 반구 형태가 되도록 돌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야광 비즈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커버.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로 경계석 커버는,
    상기 상부 커버부와 측벽 커버부를 상기 도로 경계석의 상부면과 측벽에 체결하기 위하여 돌출 형성된 체결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커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로 경계석 커버는 상기 측벽 커버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LED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커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LED 조명부는,
    바(bar) 형태의 PCB 기판에 다수의 LED가 배치된 형태로 형성된 LED 모듈; 및
    상기 측벽 커버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LED 모듈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또는 탈착되도록 양측에 가이드 삽입홈이 형성된 LED 모듈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커버.
KR2020170004167U 2017-03-17 2017-08-07 도로 경계석 커버 Active KR2004865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167U KR200486578Y1 (ko) 2017-08-07 2017-08-07 도로 경계석 커버
PCT/KR2018/000800 WO2018169197A1 (ko) 2017-03-17 2018-01-17 도로경계석 및 도로경계석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167U KR200486578Y1 (ko) 2017-08-07 2017-08-07 도로 경계석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578Y1 true KR200486578Y1 (ko) 2018-06-08

Family

ID=62598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167U Active KR200486578Y1 (ko) 2017-03-17 2017-08-07 도로 경계석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578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043B1 (ko) 2019-08-08 2020-05-29 주식회사 안전한도로 사고예방을 위한 도로 경계석 커버
KR200492536Y1 (ko) * 2020-04-22 2020-11-02 주식회사 안전한도로 도로 경계석 커버
KR102225255B1 (ko) 2020-08-11 2021-03-08 김정 경계석 커버
KR102507553B1 (ko) 2022-09-02 2023-03-09 주식회사 부경디엔씨 어린이 보호구역 내 도로교통 안전표시 시스템
KR102509788B1 (ko) 2022-05-11 2023-03-14 (주)우연시스템 난연성 스마트 터널 경계석 커버
KR20250027008A (ko) 2023-08-18 2025-02-25 주식회사 홍우비앤티 도로 경계석 커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194A (ko) * 1999-06-28 2000-03-06 김상배 통합관리시스템과보안시스템을통합하기위한시스템
KR20040032255A (ko) 2002-10-08 2004-04-1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배기가스 덕트의 암모니아 혼합장치
KR20090004819U (ko) * 2007-11-16 2009-05-20 주식회사 세기텍 도로 경계석용 커버
KR20110072502A (ko) * 2009-12-23 2011-06-29 심명숙 경계석용 도로 표지병
KR20120005073A (ko) * 2010-07-08 2012-01-16 영신산업 주식회사 경계석 장착용 안전유도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194A (ko) * 1999-06-28 2000-03-06 김상배 통합관리시스템과보안시스템을통합하기위한시스템
KR20040032255A (ko) 2002-10-08 2004-04-1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배기가스 덕트의 암모니아 혼합장치
KR20090004819U (ko) * 2007-11-16 2009-05-20 주식회사 세기텍 도로 경계석용 커버
KR20110072502A (ko) * 2009-12-23 2011-06-29 심명숙 경계석용 도로 표지병
KR20120005073A (ko) * 2010-07-08 2012-01-16 영신산업 주식회사 경계석 장착용 안전유도기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043B1 (ko) 2019-08-08 2020-05-29 주식회사 안전한도로 사고예방을 위한 도로 경계석 커버
KR200492536Y1 (ko) * 2020-04-22 2020-11-02 주식회사 안전한도로 도로 경계석 커버
KR102225255B1 (ko) 2020-08-11 2021-03-08 김정 경계석 커버
KR102509788B1 (ko) 2022-05-11 2023-03-14 (주)우연시스템 난연성 스마트 터널 경계석 커버
KR102507553B1 (ko) 2022-09-02 2023-03-09 주식회사 부경디엔씨 어린이 보호구역 내 도로교통 안전표시 시스템
KR20250027008A (ko) 2023-08-18 2025-02-25 주식회사 홍우비앤티 도로 경계석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578Y1 (ko) 도로 경계석 커버
KR102210147B1 (ko) 바닥형 보행신호등
KR101131851B1 (ko) 횡단보도의 야간 조명 및 보조 신호등 기능을 구비한 볼라드
KR102331250B1 (ko) Led 및 빔프로젝터를 이용한 교차로 교통안전 경고 시스템
KR101406782B1 (ko) 도로경계석
KR101919981B1 (ko) 주간 식별이 용이한 면발광 횡단보도
KR100969925B1 (ko) 자전거 및 조깅전용 도로용 시선안내 유도램프
KR101885882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시인장치
KR101210690B1 (ko) 보차도용 안전표시판
CA2584245A1 (en) Device and method of optical signaling for road or traffic lanes, specifically in low visibility conditions
KR200299276Y1 (ko) 볼라드
KR101281728B1 (ko) 자전거 및 조깅전용 도로용 시선안내 유도램프
KR101607276B1 (ko) Led 모듈이 구비되는 도로용 경계석
KR101183030B1 (ko) 경계석 장착용 안전유도기구
KR200423327Y1 (ko) 도로용 경계석 식별기
KR102699860B1 (ko) 4방향으로 빛의 투사가 가능한 표지병
CN216789945U (zh) 一种抗压发光结构及地面光源
KR200393989Y1 (ko) 엘이디를 이용한 시선안내 유도램프용 통신 제어장치
KR101313265B1 (ko) 자전거 및 조깅전용 도로용 시선안내 유도램프
KR200410537Y1 (ko) 도로 경계블럭
KR200307803Y1 (ko) 횡단보도 및 정지선용 안전 표지병
KR200367225Y1 (ko) 보행자신호등
KR200332866Y1 (ko) 난간, 조형물, 안내판 및 광고판에 조명의 조합에 대한설치구조
KR200393732Y1 (ko) 도로경계석
KR200180323Y1 (ko) 도로 경계석용 표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7080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07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71011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2D

Patent event date: 2018022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3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806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