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473314Y1 - 슬러지 수집기의 롤러를 이용한 체인긴장용 테이크업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수집기의 롤러를 이용한 체인긴장용 테이크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314Y1
KR200473314Y1 KR2020140002464U KR20140002464U KR200473314Y1 KR 200473314 Y1 KR200473314 Y1 KR 200473314Y1 KR 2020140002464 U KR2020140002464 U KR 2020140002464U KR 20140002464 U KR20140002464 U KR 20140002464U KR 200473314 Y1 KR200473314 Y1 KR 2004733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le
roller
chain
side w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4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근
Original Assignee
제이케이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케이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케이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24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3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3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31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01D21/06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with rotat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183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with multiple scrap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러지 수집기의 롤러를 이용한 체인긴장용 테이크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테이크업장치는, 침전지(5)에 설치된 복수개의 축(1)과, 상기 축에 장착된 스프라켓 휠(2)과, 상기 스프라켓 휠(2)에 감겨진 체인(3)과, 상기 체인(3)에 연결된 플레이트(4)로 구성된 슬러지 수집기(6)의 어느 하나의 축(1)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진 이동축(1a)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축(1a)의 전방에 가이드휠(1b)이 설치되어 있고, 일측은 상기 이동축(1a)에 연결되고, 중간은 상기 가이드휠(1b)을 감싼 채 상부는 상기 침전지(5) 외측 상부로 돌출된 로프(1c)가 설치되어 상기 로프(1c)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이동축(1a)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체인을 긴장시키는,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긴장용 테이크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5) 외측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좌우 양측에 측벽(11)이 형성되어 있어 두 측벽(11) 사이로 롤러삽입공간(12)이 형성되어 있고, 측벽(11)에는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홀(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의 측벽(11) 상단을 연결하는 천정부(14)가 형성되어 있되, 천정부(14)에는 축관통홀(15)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케이스(10)와; 외주면에 제1나사산(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나사산(21) 하부가 상기 축관통홀(15)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축관통홀(15)을 축으로 하여 수평 회전하도록 이루어진 핸들(20)과; 상기 고정케이스(10)를 감싸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상기 고정케이스(10)의 천정부(14) 상측으로 천정부(14)와 이격된 채 위치한 상부천정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천정부(31)에는 상기 축관통홀(15)과 일직선을 이루는 상부축관통홀(32)이 형성되어 있되, 상부축관통홀(32) 내주면에는 상기 제1나사산(21)과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산(33)이 형성되어 있어 핸들(20)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천정부(31) 양단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측벽(34)이 상기 측벽(11)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두 외부측벽(34)에는 수평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롤러축관통홀(35)이 형성되어 있는 이동케이스(30)와; 양측이 상기 롤러축관통홀(35) 및 가이드홀(13)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롤러축(41)과, 상기 롤러축(41)과 연결된 채 상기 롤러삽입공간(12)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로프(1c) 일측이 감겨 있는 롤러부재(4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케이스(30)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롤러축(41)이 상기 가이드홀(13)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견인롤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해, 보다 적은 힘으로 핸들을 돌리더라도 로프가 용이하게 상승하여 체인을 긴장시킬 수 있게 되고, 체인의 긴장을 위한 조작시 회전핀과 스토퍼에 의해 체인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체인을 느슨하게 하고자 할 때 원할하게 체인을 느슨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슬러지 수집기의 롤러를 이용한 체인긴장용 테이크업장치{Chain take up apparatus using roller for sludge collection}
본 고안은 정수장, 하수처리장, 오폐수 처리장 등의 침전지에서 침전물을 제거하는 슬러지수집기 중 체인 플라이트형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을 긴장시키는 테이크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인플라이트형 슬러지 수집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침전지(5)에 설치된 복수개의 축(1)과, 상기 축에 장착된 스프라켓 휠(2)과, 상기 스프라켓 휠(2)에 감겨진 체인(3)과, 상기 체인(3)에 연결된 플레이트(4)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체인(3)은 사용 시간이 길어지면 점점 늘어나게 되어 체인의 장력이 떨어져 떨림 현상이 일어나며 축이나 베어링이 편 마모를 유발하여 파손되고, 체인을 구동시키는 헤드스프라켓의 피치를 이탈하여 체인이 파손되어 슬러지 수집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슬러지 수집기의 종동축 양측에 체인긴장용 테이크업 장치를 설치하여 체인이 늘어나는 양만큼 종동축의 체인을 긴장시켜 원할한 운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테이크업 장치는 이동하는 축을 이동시키는 방식에 따라 로프를 이용한 방식과, 기어를 이용한 방식으로 구분된다.
로프를 이용한 방식의 테이크업 장치와 관련된 기술로 "유압식 체인 장력 긴장장치"(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9906호, 특허문헌 1)에는 체이 일측에 유압 실린더를 연결하고, 유압을 유지하기 위해 질소 충진 탱크, 역류 방지 체크 밸브 등을 구비한 구성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한 특허문헌 1은 유압 실린더로 체인을 당긴 상태에서 유압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질소 충진 탱크, 체크 밸브 등을 구비해야 하는데, 질소 충진 탱크는 위험물로써 그 관리 조건이 까다롭고, 체크 밸브 역시 고가의 제품이며, 슬러지 침전 환경의 경우 유해 물질이 로프에 달라붙는 경우가 많아 체크 밸브의 오작동 가능성이 높아지는 바, 상기와 같은 방법은 유지, 관리에 어려움이 많이 따르게 된다.
또,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 파단검출 및 인장장치"(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58788호, 특허문헌 2)에는 핸들의 축과 연결된 부분과, 로프와 연결된 부분이 나사 결합되어 있어 핸들을 돌리게 되면 로프와 연결된 축이 수직 상승하게 됨에 따라 로프가 상향 이동하면서 체인이 긴장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경우 작업자가 핸들을 돌리는 힘이 직접적으로 로프와 연결된 축을 당기는 힘이 되므로 로프와 연결된 축을 상향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힘을 주어야 되며, 시설이 대형화된 경우에는 수작업으로 로프를 상향 이동시키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하부 장치들의 자중, 텐션 등에 의해 원래의 잡아당겨진 로프가 다시 하향하려는 힘을 갖게 되는 바, 로프가 하향 이동하는 것을 막아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특허문헌 2에서는 승강부재의 프레임에 연결되고 로프를 압착하도록 된 스프링이 달린 압착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장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허문헌 2의 구성은 특허문헌 1에 비해서는 상승 이동한 로프의 하향 이동을 보다 저렴하고 안전한 방식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은 스프링에 지속적으로 장력을 유지토록 하는 힘이 부여되어야 하는 바 스프링의 복원력이 쉽게 떨어지게 되는 바, 성능 저하가 손쉽게 발생해버리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에 따라 감지판,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경보를 울리고 운전을 중지하도록 하였다.
KR 20-0239906 (2001.07.13) KR 10-0358788 (2002.10.16)
본 고안의 슬러지 수집기의 롤러를 이용한 체인긴장용 테이크업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적은 힘으로 핸들을 돌리더라도 로프가 용이하게 상승하여 체인을 긴장시킬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핸들의 회전에 의해 로프가 감긴 롤러가 설치된 이동케이스를 상향 이동시키고, 롤러는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로프를 상향으로 당겨 체인 긴장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핸들 하부와 고정케이스 일측에 서로 맞물리는 한 쌍의 베벨기어를 설치하고, 고정케이스 외측에는 베벨기어와 연통되는 원통기어 및 회전핀과 스토퍼를 설치함으로써 나사결합이 느슨해지거나 하중에 의해 로프가 하향 이동하려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회전핀이 스토퍼에 걸리게 되어 긴장된 체인이 다시 풀리는 것을 원할하게 방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고정케이스에 설치된 베벨기어가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핸들의 역방향 회전시 로프의 하향 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즉, 체인의 긴장을 위한 조작시 회전핀과 스토퍼에 의해 체인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체인을 느슨하게 하고자 할 때 원할하게 체인을 느슨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침전지(5)에 설치된 복수개의 축(1)과, 상기 축에 장착된 스프라켓 휠(2)과, 상기 스프라켓 휠(2)에 감겨진 체인(3)과, 상기 체인(3)에 연결된 플레이트(4)로 구성된 슬러지 수집기(6)의 어느 하나의 축(1)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진 이동축(1a)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축(1a)의 전방에 가이드휠(1b)이 설치되어 있고, 일측은 상기 이동축(1a)에 연결되고, 중간은 상기 가이드휠(1b)을 감싼 채 상부는 상기 침전지(5) 외측 상부로 돌출된 로프(1c)가 설치되어 상기 로프(1c)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이동축(1a)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체인을 긴장시키는,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긴장용 테이크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5) 외측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좌우 양측에 측벽(11)이 형성되어 있어 두 측벽(11) 사이로 롤러삽입공간(12)이 형성되어 있고, 측벽(11)에는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홀(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의 측벽(11) 상단을 연결하는 천정부(14)가 형성되어 있되, 천정부(14)에는 축관통홀(15)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케이스(10)와; 외주면에 제1나사산(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나사산(21) 하부가 상기 축관통홀(15)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축관통홀(15)을 축으로 하여 수평 회전하도록 이루어진 핸들(20)과; 상기 고정케이스(10)를 감싸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상기 고정케이스(10)의 천정부(14) 상측으로 천정부(14)와 이격된 채 위치한 상부천정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천정부(31)에는 상기 축관통홀(15)과 일직선을 이루는 상부축관통홀(32)이 형성되어 있되, 상부축관통홀(32) 내주면에는 상기 제1나사산(21)과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산(33)이 형성되어 있어 핸들(20)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천정부(31) 양단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측벽(34)이 상기 측벽(11)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두 외부측벽(34)에는 수평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롤러축관통홀(35)이 형성되어 있는 이동케이스(30)와; 양측이 상기 롤러축관통홀(35) 및 가이드홀(13)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롤러축(41)과, 상기 롤러축(41)과 연결된 채 상기 롤러삽입공간(12)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로프(1c) 일측이 감겨 있는 롤러부재(4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케이스(30)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롤러축(41)이 상기 가이드홀(13)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견인롤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핸들(20)은 상기 고정케이스(10)의 축관통홀(15)을 관통한 하부에 핸들(20)과 일체로 수평 회전하는 제1베벨기어(5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케이스(10)의 측벽(11)에는 상기 제1베벨기어(50)와 맞물려 수직 회전하는 제2베벨기어(6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베벨기어(60)와 축으로 연결된 채 상기 고정케이스(10) 외측으로 돌출되어 수직 회전하는 원통기어(7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상기 고정케이스(10) 측벽(11)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타측 단부는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원통기어(70)에 걸리도록 되어 있는 회전핀(8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핀(80)과 인접한 측벽(11)면에는 회전핀(80)의 일측 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90)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스토퍼(90)는 상기 이동케이스(30)의 하향 이동에 대응되는 원통기어(70)의 회전을 방지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제2베벨기어(60)과 원통기어(70)는 연결축(100)에 의해 연결되어 있되, 상기 연결축(100)은 일측이 원통기어(70)에 고정되어 있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장치로 이루어져 있어, 제2베벨기어(60)와 제1베벨기어(50)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롤러부재(42)는 롤러축(41)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관통홀(15) 내주면에는 베어링(15a)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해, 보다 적은 힘으로 핸들을 돌리더라도 로프가 용이하게 상승하여 체인을 긴장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핸들의 회전에 의해 로프가 감긴 롤러가 설치된 이동케이스를 상향 이동시키고, 롤러는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로프를 상향으로 당겨 체인 긴장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핸들 하부와 고정케이스 일측에 서로 맞물리는 한 쌍의 베벨기어를 설치하고, 고정케이스 외측에는 베벨기어와 연통되는 원통기어 및 회전핀과 스토퍼를 설치함으로써 나사결합이 느슨해지거나 하중에 의해 로프가 하향 이동하려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회전핀이 스토퍼에 걸리게 되어 긴장된 체인이 다시 풀리는 것을 원할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케이스에 설치된 베벨기어가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핸들의 역방향 회전시 로프의 하향 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체인의 긴장을 위한 조작시 회전핀과 스토퍼에 의해 체인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체인을 느슨하게 하고자 할 때 원할하게 체인을 느슨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슬러지 수집기의 롤러를 이용한 체인긴장용 테이크업장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슬러지 수집기의 롤러를 이용한 체인긴장용 테이크업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슬러지 수집기의 롤러를 이용한 체인긴장용 테이크업장치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회전핀과 스토퍼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서 제2베벨기어와 원통기어가 유압 실린더를 축으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고안의 슬러지 수집기의 롤러를 이용한 체인긴장용 테이크업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긴장용 테이크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이 적용되는 슬러지 수집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침전지(5)에 설치된 복수개의 축(1)과, 상기 축에 장착된 스프라켓 휠(2)과, 상기 스프라켓 휠(2)에 감겨진 체인(3)과, 상기 체인(3)에 연결된 플레이트(4)로 구성된다.
이때, 복수 개의 축(1) 중 어느 하나의 축(1)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진 이동축(1a)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축(1a)의 전방에 가이드휠(1b)이 설치되어 있다.
더불어, 일측은 상기 이동축(1a)에 연결되고, 중간은 상기 가이드휠(1b)을 감싼 채 상부는 상기 침전지(5) 외측 상부로 돌출된 로프(1c)가 설치되어 상기 로프(1c)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이동축(1a)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체인을 긴장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침전지(5) 일측에는 체인(3)의 파단이나 이완을 검지하는 다양한 공지의 검출장치(7)가 설치된다.
본 고안은 크게 고정케이스(10), 핸들(20), 이동케이스(30) 및 견인롤러(40)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고정케이스(1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침전지(5) 외측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케이스(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에 측벽(11)이 형성되어 있어 두 측벽(11) 사이로 롤러삽입공간(12)이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양측의 측벽(11)에는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홀(13)이 형성되어 있어 이동케이스(3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양측의 측벽(11) 상단을 연결하는 천정부(14)가 형성되어 있되, 천정부(14)에는 축관통홀(1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축관통홀(15)에는 내주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15a)이 설치되어 핸들(20)이 축관통홀(15)에 끼워진 채 자유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핸들(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부분이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꺾인 형상을 취하며, 그 하부에는 외주면에 제1나사산(21)이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제1나사산(21)이 형성된 부분의 하부는 상기 축관통홀(15)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축관통홀(15)을 축으로 하여 수평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제1나사산(21)이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은 고정케이스(10)의 축관통홀(15)을 관통하고, 그 상부는 이동케이스(30)와 나사 결합되어 이동케이스(30)만이 핸들(20) 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핸들(20)은 도시된 것처럼 축관통홀(15)을 관통한 부분의 상부와 하부는 축관통홀(15) 직경보다 큰 직경을 이루어 고정케이스(10)와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하 두 부분의 직경이 큰 부분은 서로 조립식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됨이 좋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이동케이스(30)는 상기 고정케이스(10)를 감싸 설치되어 있으며, 핸들(20)과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이동케이스(30)는 상부에 상기 고정케이스(10)의 천정부(14) 상측으로 천정부(14)와 이격된 채 위치한 상부천정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천정부(31)에는 상기 축관통홀(15)과 일직선을 이루는 상부축관통홀(32)이 형성되어 있되, 상부축관통홀(32) 내주면에는 상기 제1나사산(21)과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산(33)이 형성되어 있다.
즉, 핸들(20)의 회전에 따라 고정케이스(10)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지 않는 핸들(20)의 제1나사산(21)과 제2나사산(33)이 맞물림에 따라 이동케이스(30)가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동케이스(30)는 상기 상부천정부(31) 양단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측벽(34)이 상기 측벽(11)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두 외부측벽(34)에는 수평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롤러축관통홀(35)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견인롤러(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이 상기 롤러축관통홀(35) 및 가이드홀(13)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롤러축(41)과, 상기 롤러축(41)과 연결된 채 상기 롤러삽입공간(12)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로프(1c) 일측이 감겨 있는 롤러부재(42)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로프(1c)의 선단은 도시된 것처럼 롤러부재(42)를 감싼 상태에서 침전지(5) 상부의 케이스 바닥 등에 견인고리 등에 의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롤러축(41) 일측이 롤러축관통홀(35)에 관통 설치되어, 이동케이스(30)의 이동에 의해 롤러축(41)이 함께 이동하게 되는 구성이며, 돌출된 부분의 중간 부분은 상하로 장방형으로 형성된 가이드홀(13)을 관통하고 있어, 이동케이스(30)와 함께 이동하면서 롤러축(41)의 중간 부분이 가이드홀(13)을 관통하여 막힘 없이 원할하게 가이드되어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작업자가 핸들(20)을 조작함에 따라 도 3의 상태에서 제1나사산(21)과 제2나사산(33)이 서로 맞물리면서 이동케이스(30) 및 이에 연결된 견인롤러(40)가 도 4와 같이 상향 이동하게 되고, 견인롤러(40)가 이동함에 따라 로프(1c)가 상부로 당겨지게 되며, 이에 따라 가이드휠(1b)을 감싼 다음 이동축(1a)과 연결된 로프(1c)가 이동하면서 이동축(1a)이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스프라켓 휠에 감긴 체인이 당겨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롤러부재(42)는 롤러축(41)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롤러부재(42)가 단순히 롤러축(41)에 연결된 채 상향 이동하기만 할 경우 롤러부재(42)와 로프(1c)가 마찰되어 핸들(20) 조작에 많은 힘이 필요하게 되는 것을 감안하여 롤러부재(42)가 상향 이동하면서 롤러축(41)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마찰을 줄여 사용자가 핸들(20) 조작이 용이해지게 해준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침전지(5) 내부에 위치한 체인, 슬러지 등의 하중에 의하거나, 테이크업 직후 반작용에 의해 체인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려는 힘이 작용함에 따라 상향 이동한 로프(1c)가 다시 하향 이동하려는 힘이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힘이 작용하는 것은 다시 긴장시킨 체인(3)이 이완되는 것이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 원치 않는 작용이다.
그런데, 상기한 구성으로만 이루어질 경우 로프(1c)를 하향시키는 힘이 작용함에 의해 제1나사산(21)과 제2나사산(33)이 핸들(20) 조작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풀려, 결국 이동케이스(30)가 하향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베벨기어, 원통기어, 회전핀 및 스토퍼를 구비하여 로프(1c)의 하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특허문헌 1의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방식이나, 특허문헌 2의 스프링을 이용한 방식에 비해 훨씬 더 안정적으로 로프(1c)의 하향 이동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높여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핸들(20)은 상기 고정케이스(10)의 축관통홀(15)을 관통한 하부에 핸들(20)과 일체로 수평 회전하는 제1베벨기어(50)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케이스(10)의 측벽(11)에는 상기 제1베벨기어(50)와 맞물려 수직 회전하는 제2베벨기어(60)가 설치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제2베벨기어(60)와 축으로 연결된 채 상기 고정케이스(10) 외측으로 돌출되어 수직 회전하는 원통기어(7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일측이 상기 고정케이스(10) 측벽(11)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타측 단부는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원통기어(70)에 걸리도록 되어 있는 회전핀(8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핀(80)과 인접한 측벽(11)면에는 회전핀(80)의 일측 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90)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스토퍼(90)는 상기 이동케이스(30)의 하향 이동에 대응되는 원통기어(70)의 회전을 방지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핸들(20)을 조작하는 중간마다 원통기어(70)의 기어 이빨 사이로 회전핀(80) 선단이 "탁탁"거리면서 끼워지고, 반대 방향으로는 스토퍼(90)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어 기어 이빨 사이에 끼워져 원통기어(70)의 회전을 방지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제2베벨기어(60), 제1베벨기어(50) 순으로 회전을 방지시켜, 결국에는 핸들(20)의 역방향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는 작업자가 핸들(20)을 조작하는 중간 과정에서 핸들(20)의 풀림까지 방지할 수 있게 되며, 핸들(20)의 조작에 의해 지정된 위치까지 로프(1c)를 상향 이동시킨 상태에서 하향 이동하지 않게 되는 구성이다.
이처럼 베벨기어들과 원통기어(70), 회전핀(80) 및 스토퍼(90)를 통한 역방향 회전 방지 기능은 제1나사산(21)과 제2나사산(33)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체인이 긴장된 상태를 유지시켜 주게 된다.
그런데, 체인(3)이 파단되어 재설치하는 등 초기 상태로 되돌리고자 할 때는 체인(3)을 다시 느슨해지도록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베벨기어(60)와 원통기어(70)는 연결축(100)에 의해 연결되어 있되, 상기 연결축(100)은 일측이 원통기어(70)에 고정되어 있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실린더몸체(101)는 원통기어(70)에 고정하고, 실린더로드(102)는 제2베벨기어(60)와 연결하여, 실린더로드(102)를 실린더몸체(101) 측으로 이동할 때, 제1베벨기어(50)와 연결된 제2베벨기어(60)가 연결 해제된 상태가 되도록, 즉 제2베벨기어(60)와 제1베벨기어(50)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긴장되어 있던 체인(3)을 이완시키거나, 핸들(20)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이동케이스(30)를 하향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 축 1a : 이동축
1b : 가이드 휠 1c : 로프
2 : 스프라켓 휠 3 : 체인
4 : 플레이트 5 : 침전지
6 : 수집기 7 : 검출장치
10 : 고정케이스
11 : 측벽 12 : 롤러삽입공간
13 : 가이드홀 14 : 천정부
15 : 축관통홀 15a : 베어링
20 : 핸들 21 : 제1나사산
30 : 이동케이스 31 : 상부천정부
32 : 상부축관통홀 33 : 제2나사산
34 : 외부측벽 35 : 롤러축관통홀
40 : 견인롤러 41 : 롤러축
42 : 롤러부재 50 : 제1베벨기어
60 : 제2베벨기어 70 : 원통기어
80 : 회전핀 90 : 스토퍼
100 : 연결축 101 : 실린더몸체
102 : 실린더로드

Claims (5)

  1. 침전지(5)에 설치된 복수개의 축(1)과, 상기 축에 장착된 스프라켓 휠(2)과, 상기 스프라켓 휠(2)에 감겨진 체인(3)과, 상기 체인(3)에 연결된 플레이트(4)로 구성된 슬러지 수집기(6)의 어느 하나의 축(1)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진 이동축(1a)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축(1a)의 전방에 가이드휠(1b)이 설치되어 있고, 일측은 상기 이동축(1a)에 연결되고, 중간은 상기 가이드휠(1b)을 감싼 채 상부는 상기 침전지(5) 외측 상부로 돌출된 로프(1c)가 설치되어 상기 로프(1c)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이동축(1a)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체인을 긴장시키는,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긴장용 테이크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5) 외측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좌우 양측에 측벽(11)이 형성되어 있어 두 측벽(11) 사이로 롤러삽입공간(12)이 형성되어 있고, 측벽(11)에는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홀(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의 측벽(11) 상단을 연결하는 천정부(14)가 형성되어 있되, 천정부(14)에는 축관통홀(15)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케이스(10)와;
    외주면에 제1나사산(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나사산(21) 하부가 상기 축관통홀(15)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축관통홀(15)을 축으로 하여 수평 회전하도록 이루어진 핸들(20)과;
    상기 고정케이스(10)를 감싸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상기 고정케이스(10)의 천정부(14) 상측으로 천정부(14)와 이격된 채 위치한 상부천정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천정부(31)에는 상기 축관통홀(15)과 일직선을 이루는 상부축관통홀(32)이 형성되어 있되, 상부축관통홀(32) 내주면에는 상기 제1나사산(21)과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산(33)이 형성되어 있어 핸들(20)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천정부(31) 양단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측벽(34)이 상기 측벽(11)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두 외부측벽(34)에는 수평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롤러축관통홀(35)이 형성되어 있는 이동케이스(30)와;
    양측이 상기 롤러축관통홀(35) 및 가이드홀(13)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롤러축(41)과, 상기 롤러축(41)과 연결된 채 상기 롤러삽입공간(12)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로프(1c) 일측이 감겨 있는 롤러부재(4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케이스(30)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롤러축(41)이 상기 가이드홀(13)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견인롤러(40);를 포함하여 구성된,
    슬러지 수집기의 롤러를 이용한 체인긴장용 테이크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20)은 상기 고정케이스(10)의 축관통홀(15)을 관통한 하부에 핸들(20)과 일체로 수평 회전하는 제1베벨기어(5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케이스(10)의 측벽(11)에는 상기 제1베벨기어(50)와 맞물려 수직 회전하는 제2베벨기어(6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베벨기어(60)와 축으로 연결된 채 상기 고정케이스(10) 외측으로 돌출되어 수직 회전하는 원통기어(7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상기 고정케이스(10) 측벽(11)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타측 단부는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원통기어(70)에 걸리도록 되어 있는 회전핀(8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핀(80)과 인접한 측벽(11)면에는 회전핀(80)의 일측 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90)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스토퍼(90)는 상기 이동케이스(30)의 하향 이동에 대응되는 원통기어(70)의 회전을 방지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수집기의 롤러를 이용한 체인긴장용 테이크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벨기어(60)과 원통기어(70)는 연결축(100)에 의해 연결되어 있되,
    상기 연결축(100)은 일측이 원통기어(70)에 고정되어 있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장치로 이루어져 있어, 제2베벨기어(60)와 제1베벨기어(50)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수집기의 롤러를 이용한 체인긴장용 테이크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42)는 롤러축(41)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수집기의 롤러를 이용한 체인긴장용 테이크업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축관통홀(15) 내주면에는 베어링(15a)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수집기의 롤러를 이용한 체인긴장용 테이크업장치.
KR2020140002464U 2014-03-27 2014-03-27 슬러지 수집기의 롤러를 이용한 체인긴장용 테이크업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4733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464U KR200473314Y1 (ko) 2014-03-27 2014-03-27 슬러지 수집기의 롤러를 이용한 체인긴장용 테이크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464U KR200473314Y1 (ko) 2014-03-27 2014-03-27 슬러지 수집기의 롤러를 이용한 체인긴장용 테이크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314Y1 true KR200473314Y1 (ko) 2014-06-25

Family

ID=51490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464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3314Y1 (ko) 2014-03-27 2014-03-27 슬러지 수집기의 롤러를 이용한 체인긴장용 테이크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31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174Y1 (ko) * 1991-03-12 1994-05-13 삼양정수공업 주식회사 체인 후라이트식 오니 제거장치
KR200171166Y1 (ko) 1999-09-27 2000-03-15 효림산업주식회사 체인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 긴장장치
KR100796370B1 (ko) 2007-10-02 2008-01-21 (주)덕성산업기계 자동 텐션 조절 및 체인 파단 검출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
JP2010088959A (ja) 2008-10-03 2010-04-22 Hazama Kisetsu Kogyo Kk 汚泥等回収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174Y1 (ko) * 1991-03-12 1994-05-13 삼양정수공업 주식회사 체인 후라이트식 오니 제거장치
KR200171166Y1 (ko) 1999-09-27 2000-03-15 효림산업주식회사 체인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 긴장장치
KR100796370B1 (ko) 2007-10-02 2008-01-21 (주)덕성산업기계 자동 텐션 조절 및 체인 파단 검출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
JP2010088959A (ja) 2008-10-03 2010-04-22 Hazama Kisetsu Kogyo Kk 汚泥等回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066482A1 (ja) ロープ緊締装置
WO2012045749A1 (de) Hebezeug mit einem zahnriemen als tragmittel
WO2014015948A2 (de) Biogasanlage
DE102017207246A1 (de) Teleskopsäule
KR200473314Y1 (ko) 슬러지 수집기의 롤러를 이용한 체인긴장용 테이크업장치
DE102011001886B4 (de) Schlauchhaspelmaschine
KR200474651Y1 (ko) 슬러지 수집기의 기어를 이용한 체인긴장용 테이크업장치
DE10300960B4 (de) Vorrichtung zum Auf- und Abwickeln von strangartigem Wickelgut
KR101286383B1 (ko) 텔레스코픽 마스트의 낙하방지장치 및 이를 갖는 텔레스코픽 마스트
EP4341195B1 (de) Antriebsanordnung mit einer welle, einer seiltrommel, einem haltemittel, einem getriebemotor und einem greifkorb
DE10356736B4 (de) Kabeltrommel
CH689390A5 (de) Tragbare Seilzugmaschine.
DE102011100508B4 (de) Filter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Süßwasser- und Seewasserbecken
DE816012C (de) Getriebe, insbesondere fuer Hebezeuge
DE2427250B2 (de) Vorrichtung zum Auf- und Abwickeln bahnenf örmiger Ware, z.B. Fußbodenbeläge
KR20160118733A (ko) 호스 권취용 호스 안내장치 및 이를 구비한 호스 권취기
DE2532957A1 (de) Vorrichtung zum drehen von profileisen, insbesondere von schienen um ihre laengsachse
DE20221032U1 (de) Aufroller
CH458668A (de) Seilführungs-Einrichtung an Trommel-Seilwinden
AT143418B (de) Drehbohrvorrichtung.
CN211203140U (zh) 一种管线道路跨越装置
DE4327860C1 (de) Vorrichtung zur drehenden Lagerung einer Kabeltrommel
DE10446C (de) Vorrichtung zum Aufhängen von Hängelampen bei Uebertragung der Bewegung der Kettenrollen auf das Federgehäuse durch konische Getriebe
DE1434514A1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Umwickeln von Betonbehaeltern od.dgl. mit Draht
DE102014116246A1 (de) Höhenverstell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Rühreinricht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4032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7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0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6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4061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3032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