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796370B1 - 자동 텐션 조절 및 체인 파단 검출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 - Google Patents

자동 텐션 조절 및 체인 파단 검출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370B1
KR100796370B1 KR1020070099079A KR20070099079A KR100796370B1 KR 100796370 B1 KR100796370 B1 KR 100796370B1 KR 1020070099079 A KR1020070099079 A KR 1020070099079A KR 20070099079 A KR20070099079 A KR 20070099079A KR 100796370 B1 KR100796370 B1 KR 100796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guide rail
tension
connection member
sh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덕호
Original Assignee
(주)덕성산업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덕성산업기계 filed Critical (주)덕성산업기계
Priority to KR1020070099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3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37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텐션 조절 및 체인 파단 검출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에 관한 것으로, 플라이트를 무한궤도형으로 회전시키는 체인의 텐션을 자동으로 조절함과 체인 파단 검출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텐션 조절 및 체인 파단 검출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는, 구동부(3)와; 상기 구동부와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스프로켓과; 침전조에 샤프트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종동스프로켓과; 상기 구동스프로켓과 종동스프로켓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겨 회전하는 체인(5)과; 상기 체인에 등간격으로 장착되어 상기 체인에 의해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침전조 바닥에 쌓인 슬러지를 일측으로 밀어 수집하는 다수의 플라이트와; 상기 체인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텐션조절수단은, 상기 다수의 종동스프로켓 중 어느 하나의 종동스프로켓이 형성된 테일 샤프트(10)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2)과; 일측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된 샤프트에 고정되는 연결부재(20,40)와;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된 샤프트를 당기는 방향의 복원력을 갖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샤프트를 잡아 당겨 상기 체인이 팽팽하도록 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침전조, 체인, 플라이트, 텐션

Description

자동 텐션 조절 및 체인 파단 검출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A SLUDGE COLLECTOR}
본 발명은 자동 텐션 조절 및 체인 파단 검출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이트를 무한궤도형으로 회전시켜 슬러지를 수집하도록 하는 체인의 텐션이 작아지더라도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 자동으로 체인을 지지하는 테일 샤프트를 이동시켜 체인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자동 텐션 조절이 가능하며 이 물질이 체인에 끼어 구동이 원활하지 않을 때 자동으로 텐션 조절이 가능하며 체인이 파단 되었을 때 자동으로 검출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장 및 하수 처리장에는 침전지를 구비하여 정수장 및 하수 리장으로 유입되는 원수에 함유되어 있는 슬러지를 침전시키고 있다. 그 후 침전지의 상등수는 정수장인 경우 월류웨어를 통하여 여과지로 공급되고, 하수처리장인 경우는 유기물 정화과정 등을 거친 후 하천으로 방류된다.
한편, 침전지에 침전된 슬러지는 침전지 내부에 설치된 슬러지 수집기에 의해 상등수 배출용 월류웨어의 반대측에 위치한 슬러지 호퍼로 수집된 후 밸브의 구동에 의해 배관을 통하여 정수장인 경우는 배출수조로, 하수 처리장인 경우는 농축조로 배출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슬러지 수집기로 예컨대,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체인이 구동하면서 플라이트가 천천히 이동하면서 침전조 바닥면에 쌓이게 되는 슬러지를 제거하는 체인플라이트식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체인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의 구성도로서, 슬러지 수집기는 침전조(1)에 침전된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한쌍의 체인(5)이 다수의 종동스프로켓(4)에 걸어져 구동부(3)의 회전력이 구동스프로켓(2)을 거쳐 체인(5)이 무한궤도로 구동되도록 하여 체인에 적정간격으로 설치된 플라이트(6)가 바닥을 통과하면서 침전조(1) 바닥에 쌓이게 되는 슬러지를 호퍼(7)로 밀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의한 슬러지 수집기에 따르면 경시적으로 체인(5)의 텐션이 작아지며, 이렇게 되면 슬러지를 수집할 수 없기 때문에 체인(5)의 처짐 등을 감지하여 작업자가 조작하여 체인(5)의 텐션을 팽팽하게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하면, 작업자가 체인(5)의 텐션을 조절하기 전까지는 체인(5)이 느슨한 상태로 회전하기 때문에 슬러지의 수집이 어렵고 체인(5)이 빠질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는 체인(5)의 파단을 감지하여 체인(5)의 파단시 슬러지 수집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있지만, 체인(5)의 파단 감지와 텐션 조절을 위한 장치가 별개로 구성되어 유지 보수가 불편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체인의 텐션이 항상 적정 수준을 유지하도록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기기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유지가 용이한 자동 텐션 조절 및 체인 파단 검출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인의 텐션 조절과 파단을 동시에 감지 및 조치하려는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텐션 조절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는, 체인이 무한궤도형으로 회전하도록 안내하는 스프로켓 중 어느 하나의 스프로켓이 형성된 샤프트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일측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된 샤프트에 고정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된 샤프트를 당기는 방향의 복원력을 갖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된 샤프트를 잡아 당겨 상기 체인이 팽팽하도록 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텐션 조절 및 체인 파단 검출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에 의하면, 체인의 텐션 변화에 따라 체인이 감긴 테일 샤프트가 자동으로 이동하여 체인이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체인의 텐션 조절을 위한 수작업이 불필요하므로 기기의 오동작을 막을 수 있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그리고, 체인의 텐션을 조절 기능과 체인의 파단 감지 기능을 겸하여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텐션 조절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는, 구동부(3)와; 구동부(3)에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스프로켓(2)과; 침전조(1)에 샤프트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종동스프로켓(4)과; 구동스프로켓(3)과 종동스프로켓(4)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겨 회전하는 체인(5)과; 체인(5)에 등간격으로 장착되어 체인(5)에 의해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면서 침전조(1) 바닥에 쌓인 슬러지를 일측의 호퍼(7)로 밀어 수집하는 다수의 플라이트(6)로 이루어지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며, 본 발명은 체인의 텐션이 약해지더라도 자동으로 체인의 텐션을 팽팽하게 유지할 수 있는 텐션조절수단이 포함된다.
텐션조절수단은, 탄성부재(예컨대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어느 하나의 종동스프로켓이 형성된 샤프트(10)(이하에서는 테일 샤프트라 함)를 체인(5)의 텐 션을 유지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체인(5)의 텐션이 항상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도 4에서와 같이, 테일 샤프트(10)는 침전조(1)의 양 측벽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2)의 가이드홈(12a)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3에서처럼, 상기 텐션조절수단은 일측이 테일 샤프트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20), 침전조(1)의 지상에 구축되며 내부에 공간을 갖는 고정블록(30), 일측이 고정블록(30)에 지지되는 제2연결부재(40), 제1,2연결부재(20,40)의 사이에 개재되며 자체 탄성력에 의해 테일 샤프트(10)를 이동시키는 탄성수단(50)으로 구성된다.
제1,2연결부재(20,40)는 와이어 등이 사용 가능하며, 여기서 제1연결부재(20)는 일측 단부가 테일 샤프트(10)에 꼬이지 않도록 연결된다.
도 3과 도 5에서와 같이, 탄성수단(50)은 고정블록(30) 내부에 배치되는 제1,2플레이트(51,52), 제1,2플레이트(51,52)가 자유 이동 가능하도록 제1,2플레이트(51,52)에 관통되면서 단부에 너트(53a,54a)가 체결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되며 제1,2연결부재(20,40)가 각각 연결되는 제1,2유볼트(53,54), 제1,2플레이트(51,52)의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개재되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제1연결부재(20)가 연결된 제2플레이트(52)를 통해 테일 샤프트(10)를 이동시키는 탄성부재(55)(예컨대 코일스프링)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탄성부재(55)의 압축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봉(56)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조절봉(56)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고정블록(30)에 나사 체결되면서 제2연결부재(40)가 연결(조절봉(56)의 회전에 의한 승강시 꼬이지 않도록 베어 링으로 연결)되어 제2연결부재(40)에 연결된 제1플레이트(52)의 높이를 조절하여 탄성부재(55)의 탄성력을 조절한다.
고정블록(30) 내부에 제2플레이트(52)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제2플레이트(52)가 일정 위치로 상승하면 구동부(3)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리미트 센서(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침전조(1)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테일샤프트(10)의 상부측에 텐션조절수단이 갖추어지며, 즉, 제1,2연결부재(20,40)의 상승과 하강에 의해 테일 샤프트(10)가 직선이동(도 3기준 좌우)할 수 있도록 제1연결부재(20)는 하나 이상의 아이들풀리(13)를 통해 방향이 전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텐션 조절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6a에서와 같이, 상기 텐션조절수단은 초기 설치시 탄성부재(55)가 압축되어 펼쳐지는 복원력을 갖도록 설치된다. 이는 제1,2플레이트(51,52)간의 거리 조절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2플레이트(51,52)의 거리조절은 조절봉(56)의 조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테일 샤프트(10)에는 체인(5)과 제1연결부재(20) 양자 모두가 연결된 것으로, 체인(5)의 장력과 제1연결부재(20)의 당김력은 그 크기가 동일하여 체인(5)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6b와 같이, 체인(5)의 텐션이 줄어들게 되면 체인(5)으로부터 가해지는 힘보다 제1연결부재(20)의 당김력이 더 커지기 때문에 탄성부재(55)의 복원력에 의해 탄성부재(55)가 팽창되면서 제2플레이트(52)가 상승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연결부재(20)가 연결된 제1플레이트(51)가 상승하게 되고 결국 제1유볼트(53)와 함께 제1연결부재(20)가 상승하여 테일 샤프트(10)가 가이드레일(12)을 따라 도 6b 기준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체인(5)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자동으로 체인(5)의 텐션을 팽팽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체인(5)이 파단된다면 순간적으로 체인(5)을 통해 가해지는 힘이 없어짐에 따라 테일 샤프트(10)가 빠른 속도로 도 6b 기준 우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1플레이트(51)가 리미트 센서(60)에 접촉되며, 리미트 센서(60)에 신호가 발생되면 구동부(3)를 정지시킨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침전지용 슬러지 수집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텐션 조절 및 체인 파단 검출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텐션 조절 및 체인 파단 검출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텐션 조절 및 체인 파단 검출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에 적용된 테일 샤프트의 설치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텐션 조절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에 적용된 탄성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6a와 도 6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자동 텐션 조절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 설명>
1 : 침전조, 3 : 구동부
5 : 체인, 10 : 테일 샤프트
12 : 가이드레일, 20,40 : 연결부재
30 : 고정블록, 50 : 탄성부재
51,52 : 플레이트, 53,54 : 유볼트
55 : 탄성부재, 56 : 조절봉

Claims (4)

  1. 구동부(3)와; 상기 구동부와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스프로켓(2)과; 침전조에 샤프트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종동스프로켓(4)과; 상기 구동스프로켓과 종동스프로켓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겨 회전하는 체인(5)과; 상기 체인에 등간격으로 장착되어 상기 체인에 의해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침전조 바닥에 쌓인 슬러지를 일측으로 밀어 수집하는 다수의 플라이트(6)와; 상기 체인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텐션조절수단은,
    상기 다수의 종동스프로켓 중 어느 하나의 종동스프로켓(11)이 형성된 테일 샤프트(10)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2)과;
    일측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된 샤프트에 고정되는 연결부재(20,40)와;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된 샤프트를 당기는 방향의 복원력을 갖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된 샤프트를 잡아 당겨 상기 체인이 팽팽하도록 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텐션 조절 및 체인 파단 검출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일측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된 샤프트에 연결되는 제1연 결부재(20)와 일측이 상기 침전조에 지지되는 제2연결부재(40)로 구분되며,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침전조의 지상에 구축되며 내부에 공간을 갖는 고정블록(30), 상기 고정블록 내부에 배치되는 제1,2플레이트(51,52), 상기 제1,2플레이트가 자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2플레이트에 관통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되며 상기 제1,2연결부재가 각각 연결되는 제1,2유볼트(53,54), 상기 제1,2플레이트의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개재되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연결부재가 연결된 제2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된 샤프트를 이동시키는 탄성부재(5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텐션 조절 및 체인 파단 검출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고정블록에 나사 체결되면서 상기 제2연결부재가 연결되어 상기 제2연결부재에 연결된 상기 제1플레이트를 상기 제2플레이트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봉(56)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텐션 조절 및 체인 파단 검출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 내부에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플레이트가 일정 위치로 상승하면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리미트 센서(6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텐션 조절 및 체인 파단 검출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
KR1020070099079A 2007-10-02 2007-10-02 자동 텐션 조절 및 체인 파단 검출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 Active KR100796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079A KR100796370B1 (ko) 2007-10-02 2007-10-02 자동 텐션 조절 및 체인 파단 검출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079A KR100796370B1 (ko) 2007-10-02 2007-10-02 자동 텐션 조절 및 체인 파단 검출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6370B1 true KR100796370B1 (ko) 2008-01-21

Family

ID=39218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079A Active KR100796370B1 (ko) 2007-10-02 2007-10-02 자동 텐션 조절 및 체인 파단 검출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37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404B1 (ko) * 2010-06-23 2011-03-07 윤팔석 체인 인장 감지장치가 구비된 슬러지 수집기
KR101039701B1 (ko) * 2010-11-29 2011-06-08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슬러지 수집장치
KR200473314Y1 (ko) 2014-03-27 2014-06-25 제이케이이앤씨 주식회사 슬러지 수집기의 롤러를 이용한 체인긴장용 테이크업장치
KR200474651Y1 (ko) 2014-03-27 2014-10-06 진정희 슬러지 수집기의 기어를 이용한 체인긴장용 테이크업장치
KR102329941B1 (ko) * 2021-06-21 2021-11-22 윤팔석 체인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슬러지 수집기
KR102449215B1 (ko) 2022-07-19 2022-09-30 주식회사 가온텍 밀폐형 장력조절장치
KR102772442B1 (ko) * 2024-11-27 2025-02-26 주식회사 타 셋 자동적으로 장력이 조절되는 수중대차견인형 슬러지수집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2046A (ko) * 1998-08-18 1998-11-25 강준 체인 이상 정렬 및 파단 방지장치
KR200298690Y1 (ko) 2002-09-14 2002-12-27 주식회사성우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 이상정렬 및 파단 방지장치
KR200315838Y1 (ko) 2003-03-11 2003-06-11 이화자 부하에 따라 운전이 제어되는 슬러지 수집기
KR20040100762A (ko) * 2003-05-24 2004-12-02 권순정 하수처리 침전지의 슬러지 수집기의 테이크업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2046A (ko) * 1998-08-18 1998-11-25 강준 체인 이상 정렬 및 파단 방지장치
KR200298690Y1 (ko) 2002-09-14 2002-12-27 주식회사성우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 이상정렬 및 파단 방지장치
KR200315838Y1 (ko) 2003-03-11 2003-06-11 이화자 부하에 따라 운전이 제어되는 슬러지 수집기
KR20040100762A (ko) * 2003-05-24 2004-12-02 권순정 하수처리 침전지의 슬러지 수집기의 테이크업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404B1 (ko) * 2010-06-23 2011-03-07 윤팔석 체인 인장 감지장치가 구비된 슬러지 수집기
KR101039701B1 (ko) * 2010-11-29 2011-06-08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슬러지 수집장치
KR200473314Y1 (ko) 2014-03-27 2014-06-25 제이케이이앤씨 주식회사 슬러지 수집기의 롤러를 이용한 체인긴장용 테이크업장치
KR200474651Y1 (ko) 2014-03-27 2014-10-06 진정희 슬러지 수집기의 기어를 이용한 체인긴장용 테이크업장치
KR102329941B1 (ko) * 2021-06-21 2021-11-22 윤팔석 체인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슬러지 수집기
KR102449215B1 (ko) 2022-07-19 2022-09-30 주식회사 가온텍 밀폐형 장력조절장치
KR102772442B1 (ko) * 2024-11-27 2025-02-26 주식회사 타 셋 자동적으로 장력이 조절되는 수중대차견인형 슬러지수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370B1 (ko) 자동 텐션 조절 및 체인 파단 검출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
KR102017160B1 (ko)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 장력 자동 조절 장치
KR101909238B1 (ko) 슬러지 유도배출부를 가진 슬러지 수집 시스템
KR20140003480U (ko) 슬러지 수집장치의 안전 운전을 위한 테이크업장치
KR101390257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899721B1 (ko) 고효율 침사 수집 및 인양장치
KR100808469B1 (ko) 수직 슬라이드식 오니 수집장치
KR101019404B1 (ko) 체인 인장 감지장치가 구비된 슬러지 수집기
JP2010088959A (ja) 汚泥等回収装置
KR100767769B1 (ko) 하수 처리조의 침사물 수집 배출 장치
CA2894319A1 (en) Automatic scraper chain tensioning apparatus
KR101648763B1 (ko) 구동체인 단락 감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슬러지 수집 시스템
US3018893A (en) Mechanical trash rake
KR101970106B1 (ko)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
KR200436015Y1 (ko) 스컴스키머장치
KR101978601B1 (ko) 조합형 바 스크린용 협잡물 제진기
KR101740376B1 (ko) 와이어로프 견인식 사이폰 슬러지 수집기
KR102350147B1 (ko) 슬러지 부하량 감지기능을 구비한 원형 슬러지 수집기
KR200315838Y1 (ko) 부하에 따라 운전이 제어되는 슬러지 수집기
KR100737416B1 (ko) 폐수 가압부상조의 부유물 제거장치
KR200346273Y1 (ko) 하수 처리 장치
KR101539377B1 (ko) 슬러지 수집장치
KR20040105180A (ko) 로프견인식 슬러지 제거시스템의 대차위치검출장치
KR200327273Y1 (ko) 로타리식 제진기의 하부 보조 레이크 및 압축형 로드셀에 의한 장력 조정장치
KR100808608B1 (ko) 하수 처리기의 침전조 부유물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