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472043Y1 -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043Y1
KR200472043Y1 KR2020110008103U KR20110008103U KR200472043Y1 KR 200472043 Y1 KR200472043 Y1 KR 200472043Y1 KR 2020110008103 U KR2020110008103 U KR 2020110008103U KR 20110008103 U KR20110008103 U KR 20110008103U KR 200472043 Y1 KR200472043 Y1 KR 2004720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pressure
container body
elastic pressing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1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774U (ko
Inventor
이도훈
Original Assignee
펌텍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펌텍코리아 (주) filed Critical 펌텍코리아 (주)
Priority to KR20201100081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043Y1/ko
Publication of KR201300017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7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0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04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원고안은 구조를 단순화시킨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원고안에 의하면, 상부에 개구부가 구비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 내의 화장품 내용물을 스포이딩(Spuiting)하는 스포이드관;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 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지지대가 구비된 가압지지부; 상기 가압지지부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양방향에 압력조절공간이 형성된 회전가압부; 상기 회전가압부의 회전 시 탄성반응하여 상기 스포이드관 내/외부로 화장품 내용물을 흡입하거나 토출시키는 탄성가압편이 구비된 탄성가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SPUIT TYPE COSMETICS CONTAINER}
본원고안은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압지지부 상에서 회전되어 탄성가압부의 탄성가압편을 압력조절공간 내/외부로 들락날락되게 하는 회전가압부를 구비하여 화장품 내용물을 스포이딩함과 아울러 원하는 피부에 도포하여 화장(Make-Up)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센스 또는 아이크림이나 노화 및 주름살방지제 등과 같은 고기능성 화장품은 단순히 용기와 마개로 구성된 콤팩트한 사이즈의 화장품 용기에 수용되어 공급된다.
이러한 형태의 화장품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기의 유출공을 통해 내용물을 손에 묻혀 해당 피부에 바르기 때문에 토출량의 조절이 어렵고, 손에 묻어 낭비되는 양만큼 고가의 내용물이 손실되는 폐단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버튼의 누름조작을 통해 용기본체 내의 화장품 내용물을 정량 추출하여 해당 피부에 바를 수 있도록 한 화장품 용기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상기 화장품 용기는 상부에 구비된 버튼이 사용자의 누름조작에 의해 가압되면 버튼과 함께 에어리스 펌프 실린더가 연동되어 상승하고, 실린더의 상승에 의해 용기본체 내의 압력이 저하되어 화장품 내용물이 실린더 및 버튼 측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토출되는 구조로 마련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실린더 및 피스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비교적 그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스포이드(spuit) 방식으로 내용물을 추출하여 피부에 바를 수 있도록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상기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059884호에는 요입면(21)과 끼움돌부(22) 및 걸림홈(23)이 형성된 외통체(2)와, 요홈(31) 및 걸림턱(32)을 가진 고무튜브(3)와, 칸막이판(41)과 끼움관(42) 및 끼움홈(43)과 돌출턱(44)을 가진 내통체(4)와, 플랜지(51)를 가진 흡입관(5) 및 밀착판(6)을 조립하여 구성된 화장품용기 뚜껑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화장품용기는 사용시 사용자가 뚜껑(1)을 용기(7)에 결합하여 고무튜브(3)를 한번 눌러서 흡입관(5) 내로 내용물을 흡입한 후, 상기 뚜껑(1)을 돌려서 용기(7)에서 분리한 뒤 다시 상기 고무튜브(3)를 눌러주어 상기 흡입관(5) 내부의 내용물을 토출하므로 사용이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사용자가 고무튜브(3)를 누르는 정도에 따라 내용물이 흡입관(5)으로 흡입되므로 토출되는 양이 일정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원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압지지부 상에서 회전되어 탄성가압부의 탄성가압편을 압력조절공간 내/외부로 들락날락되게 하는 회전가압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회전가압부를 회전시켜 화장품 내용물을 스포이딩함과 아울러 원하는 피부에 도포할 수 있으므로, 사용조작이 간편해지고 내용물이 일정하게 토출될 수 있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은, 용기본체의 개구부 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지지부 상에서 회전되어 탄성가압부의 탄성가압편을 압력조절공간 내/외부로 들락날락되게 하는 회전가압부를 구비하되, 상기 회전가압부의 회전 시 상기 압력조절공간 내/외로 들락날락거리는 탄성가압편의 탄성반응에 의해 화장품 내용물을 스포이딩함과 아울러 원하는 피부에 도포하여 화장(Make-Up)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의 목적은, 상부에 개구부가 구비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 내의 화장품 내용물을 스포이딩(Spuiting)하는 스포이드관;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 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지지대가 구비된 가압지지부; 상기 가압지지부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양방향에 압력조절공간이 형성된 회전가압부; 상기 회전가압부의 회전 시 탄성반응하여 상기 스포이드관 내/외부로 화장품 내용물을 흡입하거나 토출시키는 탄성가압편이 구비된 탄성가압부; 를 포함하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가압지지부는 중공형을 이루어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 측에 나사식 결합되되, 상기 회전가압부의 회전 시 상기 탄성가압편의 탄성반응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 내로 공기를 배출하거나 상기 스포이드관 내로 화장품 내용물이 흡입되게 하는 압력조절공과, 상기 스포이드관 상단을 고정하는 고정홈과, 상기 탄성가압부를 결합하는 결합홈과, 상기 회전가압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링형상의 회전안내돌기를 갖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 상단에 일정 높이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탄성가압부의 탄성가압편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지지대;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가압부는 모자형태를 이루어 상기 가압지지부상에서 반원(180°) 범위 내에서 좌우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하부 내주연에 상기 회전안내돌기와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홈이 형성된 회전지지부; 상기 회전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된 요철형상의 파지부; 상기 파지부 사이에 개방형성된 한 쌍의 압력조절공간; 및 상단 내측에 함몰 형성되어 반원 범위내로 회전을 제한하는 한 쌍의 회전방지홈;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가압부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되, 외측 둘레에 상기 회전가압부의 회전 시 탄성반응하여 상기 압력조절공간 내/외부로 들락날락하면서 상기 스포이드관 내/외부로 화장품 내용물을 흡입하거나 토출시키는 플렉시블(Flexible)한 한 쌍의 탄성가압편; 및 상기 탄성가압편의 상부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회전가압부의 회전시 상기 회전방지홈을 간섭하여 회전을 제어하는 한 쌍의 회전방지돌기;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원고안에 따른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에 의하면, 가압지지부 상에서 회전되어 탄성가압부의 탄성가압편을 압력조절공간 내/외부로 들락날락되게 하는 회전가압부를 구비하여 화장품 내용물을 스포이딩함과 아울러 원하는 피부에 도포하여 화장(Make-Up)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원고안에 따른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원고안에 따른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원고안에 따른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절개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 분해단면도,
도 5는 도 4의 'B'의 분해단면도,
도 6은 본원고안에 따른 탄성가압부의 내적이 줄어든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원고안에 따른 탄성가압부의 탄성가압편이 회전가압부 내로 들어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원고안에 따른 탄성가압부의 내적이 늘어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원고안에 따른 탄성가압부의 탄성가압편이 압력조절공간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원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고안에 따른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원고안에 따른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100)는, 용기본체(110)와, 스포이드관(120)과, 가압지지부(130)와, 회전가압부(140)와, 탄성가압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기본체(110)는, 도 3, 도 4,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화장품 내용물이 수납되는 일정크기의 화장품 내용물 수납공간(114)이 마련된다. 용기본체(110)의 상부에는 상하 관통형성된 개구부(112)가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부(112)의 외측에는 후술할 가압지지부(130)가 탈착가능하게 나사식 결합된다.
스포이드관(120)은 용기본체(110) 내의 화장품 내용물을 스포이딩(Spuiting)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스포이드관(120)은 상하로 일정길이를 이루어 연장형성되고 용기본체(110)의 개구부(112)를 통해 용기본체(110)의 내/외부로 출입가능하게 구비된다.
가압지지부(130)는 중공형을 이루어 용기본체(110)의 개구부(112) 측에 탈착가능하게 나사식 결합되고, 후술할 탄성가압부(150)가 가압되는 것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가압지지부(130)는 압력조절공(132a), 고정홈(132b), 결합홈(132c) 및 회전안내돌기(132d)를 갖는 고정부(132) 및 지지대(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부(132)를 구성하는 압력조절공(132a)은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하 관통형성된다. 압력조절공(132a)은 회전가압부(140)의 회전 시 탄성가압편(152)이 압력조절공간(146) 내/외부로 들락날락거림에 의해 내적이 가감될 때, 용기본체(110) 내로 공기를 배출하거나 스포이드관(120) 내로 화장품 내용물이 흡입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고정홈(132b)은 압력조절공(132a)의 하부에 위치하고, 외향으로 함몰형성되어 스포이드관(120) 상단을 고정한다.
결합홈(132c)은 압력조절공(132a)의 외측 둘레에 위치하고, 내향으로 함몰형성되어 탄성가압부(150)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지대(134)는 고정부(132) 상단에 일정 높이로 연장형성되고, 수평으로 개방되어 탄성가압부(150)의 탄성가압편(152)을 수용하는 일정크기의 탄성가압편 수용공간(134a)이 형성된다. 지지대(134)의 상단에는 '링'형상의 지지환테(134b)가 구비된다.
회전가압부(140)는 가압지지부(130) 상에 반원(180°) 범위 내에서 좌우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도 1의 화살표 ⓐ참조).
회전가압부(140)는 회전홈(142a)이 형성된 회전지지부(142)와, 파지부(144)와, 압력조절공간(146) 및 회전방지홈(14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지지부(14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가압부(140) 하부에 형성되며, 내주연에 회전안내돌기(132d)와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회전홈(142a)이 마련된다.
파지부(144)는 회전지지부(142)의 상부에 회전 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요철(凹凸)형상으로 형성된다.
압력조절공간(146)은 파지부(144) 사이에 한 쌍을 이루어 개방형성된다.
회전방지홈(148)은 파지부(144) 내측 상단에 함몰 형성되고, 회전방지돌기(154)와 접촉되어 회전가압부(140)가 반원(180°)범위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탄성가압부(150)는 중공형을 이루어 가압지지부(130)와 회전가압부(140) 사이에 고정된다. 탄성가압부(150)에는 회전가압부(140)의 회전 시 탄성반응하여 스포이드관(120) 내/외부로 화장품 내용물을 흡입하거나 토출시키는 탄성가압편(152)이 형성된다.
회전방지돌기(154)는 탄성가압편(152) 상부에 한 쌍을 이루어 돌출형성된다. 회전방지돌기(154)는 회전가압부(140)의 회전 시 회전방지홈(148)을 간섭하여 회전가압부(140)가 반원(180°)범위내에서 회전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본원고안에 따른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1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용기본체(110) 내부에 수납된 화장품 내용물을 스포이드관(120) 내부로 흡입하기 위하여 스포이드관(120)이 결합된 가압지지부(130)를 용기본체(110)의 개구부(112) 측에 나사식 결합한다.
이후, 한 손으로는 용기본체(11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회전가압부(140)의 파지부(144)를 잡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회전가압부(1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탄성가압부(150)의 탄성가압편(152)이 탄성반응하여 회전가압부(140)의 압력조절공간(146) 내측으로 찌그러지면서 파지부(144) 내측으로 들어가는 상태가 된다(도 6 또는 도 7의 화살표 ⓑ방향 참조).
이 과정에서, 탄성가압부(150) 내의 내적이 줄어들면서 그 안의 공기가 가압지지부(130)의 압력조절공(132a)을 통과하게 되고, 그로 인해, 스포이드관(120) 내부의 공기를 용기본체(110) 내로 배출하게 된다.
다음, 회전가압부(1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탄성가압부(150)의 탄성가압편(152)이 점진적으로 압력조절공간(146)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탄성가압편(152)이 압력조절공간(146) 외부로 노출되는 과정에서, 탄성가압부(150)의 내적이 늘어나게 되면서 스포이드관(120) 내로 용기본체(110) 내의 화장품 내용물이 흡입된다(도 8 또는 도 9의 화살표 ⓒ방향 참조).
그 후, 가압지지부(130)를 용기본체(110)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스포이드관(120) 내에 화장품 내용물이 흡입된 상태를 이루어 외부로 노출된다.
다시, 한 손으로는 가압지지부(13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회전가압부(140)의 파지부(144)를 잡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탄성가압부(150)의 탄성가압편(152)이 탄성반응하여 회전가압부(140)의 압력조절공간(146) 내측으로 찌그러지면서 파지부(144) 내측으로 들어가는 상태가 된다.
이 과정에서, 탄성가압부(150) 내의 내적이 줄어들면서 스포이드관(120) 내부에 흡입된 화장품 내용물을 피부의 원하는 부위에 토출하여 도포함으로서 화장(Make-Up)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원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원고안의 권리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원고안이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는 본원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110 : 용기본체,
112 : 개구부, 114 : 화장품 내용물 수용공간,
120 : 스포이드관, 130 : 가압지지부,
132 : 고정부, 132a : 압력조절공,
132b : 고정홈, 132c : 결합홈,
132d : 회전안내돌기, 134 : 지지대,
134a : 탄성가압편 수용공간, 134b : 지지환테,
140 : 회전가압부, 142 : 회전지지부,
142a : 회전홈, 144 : 파지부,
146 : 압력조절공간, 148 : 회전방지홈,
150 : 탄성가압부, 152 : 탄성가압편,
154 : 회전방지돌기.

Claims (6)

  1. 삭제
  2. 상부에 개구부가 구비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 내의 화장품 내용물을 스포이딩(Spuiting)하는 스포이드관;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 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탄성가압부의 탄성가압편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지지대가 구비된 가압지지부;
    상기 가압지지부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양방향에 압력조절공간이 형성된 회전가압부;
    상기 회전가압부의 회전 시 탄성반응하여 상기 스포이드관 내/외부로 화장품 내용물을 흡입하거나 토출시키는 탄성가압편이 구비된 탄성가압부; 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지지부는 중공형을 이루어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 측에 나사식 결합되고,
    상기 회전가압부의 회전 시 상기 탄성가압편의 탄성반응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 내로 공기를 배출하거나 상기 스포이드관 내로 화장품 내용물이 흡입되게 하는 압력조절공과, 상기 스포이드관 상단을 고정하는 고정홈과, 상기 탄성가압부를 결합하는 결합홈과, 상기 회전가압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링형상의 회전안내돌기를 갖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 상단에 일정 높이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탄성가압부의 탄성가압편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지지대;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3. 삭제
  4. 상부에 개구부가 구비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 내의 화장품 내용물을 스포이딩(Spuiting)하는 스포이드관;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 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탄성가압부의 탄성가압편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지지대가 구비된 가압지지부;
    상기 가압지지부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양방향에 압력조절공간이 형성된 회전가압부;
    상기 회전가압부의 회전 시 탄성반응하여 상기 스포이드관 내/외부로 화장품 내용물을 흡입하거나 토출시키는 탄성가압편이 구비된 탄성가압부; 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가압부는 상기 가압지지부 상에서 반원(180°) 범위 내에서 좌우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회전가압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회전안내돌기와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홈이 형성된 회전지지부;
    상기 회전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된 요철형상의 파지부;
    상기 파지부 사이에 개방형성된 한 쌍의 압력조절공간; 및
    상단 내측에 함몰 형성되어 반원 범위내로 회전을 제한하는 한 쌍의 회전방지홈;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5. 상부에 개구부가 구비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 내의 화장품 내용물을 스포이딩(Spuiting)하는 스포이드관;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 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탄성가압부의 탄성가압편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지지대가 구비된 가압지지부;
    상기 가압지지부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양방향에 압력조절공간이 형성된 회전가압부;
    상기 회전가압부의 회전 시 탄성반응하여 상기 스포이드관 내/외부로 화장품 내용물을 흡입하거나 토출시키는 탄성가압편이 구비된 탄성가압부; 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가압부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되,
    외측 둘레에 상기 회전가압부의 회전 시 탄성반응하여 상기 압력조절공간 내/외부로 들락날락하면서 상기 스포이드관 내/외부로 화장품 내용물을 흡입하거나 토출시키는 플렉시블(Flexible)한 한 쌍의 탄성가압편; 및
    상기 탄성가압편의 상부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회전가압부의 회전시 상기 회전가압부에 형성된 회전방지홈을 간섭하여 회전을 제어하는 한 쌍의 회전방지돌기;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6. 제2항 또는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 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지지부 상에서 회전되어 탄성가압부의 탄성가압편을 압력조절공간 내/외부로 들락날락되게 하는 회전가압부를 구비하되,
    상기 회전가압부의 회전 시 상기 압력조절공간 내/외로 들락날락거리는 탄성가압편의 탄성반응에 의해 화장품 내용물을 스포이딩함과 아울러 원하는 피부에 도포하여 화장(Make-Up)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20110008103U 2011-09-06 2011-09-06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Expired - Lifetime KR2004720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103U KR200472043Y1 (ko) 2011-09-06 2011-09-06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103U KR200472043Y1 (ko) 2011-09-06 2011-09-06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774U KR20130001774U (ko) 2013-03-14
KR200472043Y1 true KR200472043Y1 (ko) 2014-04-02

Family

ID=51485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103U Expired - Lifetime KR200472043Y1 (ko) 2011-09-06 2011-09-06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0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12314A1 (en) * 2010-07-23 2013-05-09 F.S Korea Industries Inc Spuit type cosmetic contai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7894B1 (ko) * 2022-10-11 2022-12-16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스포이드형 오토 드롭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483Y1 (ko) * 1989-04-15 1991-06-29 태평양화학 주식회사 화장품용기 뚜껑
JPH0717757U (ja) * 1993-08-31 1995-03-3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スポイト付き容器
KR200438535Y1 (ko) 2007-05-15 2008-02-26 (주)아모레퍼시픽 승하강버튼에 의한 정량 토출이 이루어지는 스포이드형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483Y1 (ko) * 1989-04-15 1991-06-29 태평양화학 주식회사 화장품용기 뚜껑
JPH0717757U (ja) * 1993-08-31 1995-03-3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スポイト付き容器
KR200438535Y1 (ko) 2007-05-15 2008-02-26 (주)아모레퍼시픽 승하강버튼에 의한 정량 토출이 이루어지는 스포이드형화장품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12314A1 (en) * 2010-07-23 2013-05-09 F.S Korea Industries Inc Spuit type cosmetic container
US9089868B2 (en) * 2010-07-23 2015-07-28 Pum-Tech Korea Co., Ltd Spuit type cosmetic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774U (ko)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4844B2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application member detachably attached to side of button member
JP2016537051A (ja) 回転吐出式化粧品容器
JP2017512719A (ja) 回転開閉式チューブ容器
JP2015526237A (ja) 二重排出手段を備えるチューブ型化粧品容器
CN206079476U (zh) 具有内部容器和内部容器盖密封结构的化妆品容器
KR20170079303A (ko) 어플리케이터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US8602671B2 (en) Cosmetics container with a puff rotatably mounted on a container body
KR101729072B1 (ko) 자동으로 개방되는 뚜껑을 구비한 펌핑 파운데이션 용기
KR200469110Y1 (ko) 화장품 실리콘 브러쉬
EP3047753B1 (en) Liquid content container comprising tension member
KR101794511B1 (ko) 하부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KR200480195Y1 (ko) 액상화장품과 고형화장품이 분리 사용되는 화장품 용기
KR200472043Y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1380166B1 (ko) 파우더 토출용 튜브용기
KR20130003770U (ko) 화장액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KR101733122B1 (ko) 듀얼 타입의 화장료 도포구
KR101661740B1 (ko) 도포부재를 구비한 튜브용기
KR20100007680U (ko) 기능성 화장품용기
KR200471503Y1 (ko) 마사지볼 캡 장착형의 회전 펌핑식 용기
CN114727695B (zh) 容器
KR20130005050A (ko) 도포부재가 구비된 에어리스 화장품 용기
KR20100006908U (ko) 기능성 화장품용기
KR101806530B1 (ko)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KR20160000760U (ko) 화장도구를 가지는 펌프식 스틱 화장품용기
KR20230102162A (ko) 내용물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090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0125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082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4032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2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