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270Y1 - Cooking container lid - Google Patents
Cooking container li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1270Y1 KR200451270Y1 KR2020100006321U KR20100006321U KR200451270Y1 KR 200451270 Y1 KR200451270 Y1 KR 200451270Y1 KR 2020100006321 U KR2020100006321 U KR 2020100006321U KR 20100006321 U KR20100006321 U KR 20100006321U KR 200451270 Y1 KR200451270 Y1 KR 20045127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oking vessel
- lid
- hole
- cooking
- ope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64 season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주요구성은, 상협하광의 형태를 이루고,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부에 통공이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 내면에서 흘러내리는 물방울을 받아 모으는 물받이부가 구비된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몸체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수단; 상기 몸체의 통공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통공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몸체의 내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방울이 상기 하부프레임의 물받이부에 모이게 되어, 상기 뚜껑의 내면에서 흘러내리는 물방울이 조리용기 안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몸체 상부의 통공을 상기 개폐구가 개방 또는 폐쇄하며 개방시 조미료나 기타 조리용 재료를 간편하게 조리용기 안으로 넣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d for a cooking vessel.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m of the upper and lower light, the handle is provided on one side, the body is provided with a through-hole; A lower fram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having a drip tray configured to collect water droplets flow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Fixing means for detachably coupling the lower frame and the body; An opening and clos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through hole by detachably coupl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droplets flowing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is collected in the drip tray portion of the lower frame, to prevent the water droplets flow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falling into the cooking vessel, the opening of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through the opening Is open or closed, and when opened, it has the effect of simply putting seasonings or other cooking ingredients into the cooking vessel.
Description
본 고안은 조리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한 물방울이 뚜껑의 내면에서 다시 조리용기 안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조미료나 기타 조리용 재료를 뚜껑을 완전히 열지 않고도 조리용기에 간편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d for a cooking vessel,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water droplets caused by steam generated when cooking food from falling back into the cooking vessel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and the seasoning or other cooking materials to completely cover the li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d for a cooking vessel which can be easily put into the cooking vessel without opening.
일반적으로 조리용기용 뚜껑은, 조리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때 조리용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짧은 시간에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조리용기 내부의 음식물이 외부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In general, a cooking container lid prevents the steam generated inside the cooking container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cooking the food by heating the cooking container so that the food can be cooked for a short time and at the same time the food inside the cooking container. It is used to prevent it from overflowing outside.
이때 상기 수증기의 압력이 계속 상승하면, 뚜껑이 조리용기의 상부로 들려지면서 달그락 소리를 내고, 음식물이 조리용기 외부로 흘러 넘치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pressure of the water vapor continues to rise, the lid is hear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oking vessel sounding sweet, food flows outside the cooking vessel overflows.
이에 따라 근래에는 뚜껑의 상부에 다수개의 작은 구멍을 형성하여, 조리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Accordingly, in recent years, a plurality of small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to prevent the pressure inside the cooking vessel from rising.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리용기용 뚜껑은, 장시간 조리용기를 가열하게 되면 조리용기 내부의 압력에 의해 수증기가 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음식물이 조리용기 외부로 끓어 넘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lid of the cooking vessel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oking vessel is heated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ood is boiled out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vessel without steam discharged through the hole by the pressure inside the cooking vessel.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리용기 내부의 음식물이 조리용기 외부로 넘치면 조리기구가 지저분해지고, 수증기와 음식물 냄새가 실내로 유출되어 장시간 음식물 냄새를 맡을 경우 음식의 맛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ood inside the cooking container overflows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container, the cooking utensils become dirt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aste of food is degraded when smelling the food for a long time due to leakage of water vapor and food smell into the room.
또한, 조리시 조리용기 안에 조미료나 조리용 재료를 넣기 위해서는 뚜껑을 완전히 열은 후에 투입하게 되어, 조리용기 안의 압력과 열이 떨어지게 되므로 조리하는 시간이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put seasoning or cooking material into the cooking vessel during cooking, the lid is completely opened, and then, the pressure and heat in the cooking vessel are dropped, thereby causing an increase in the cooking time.
그리고 기름을 이용한 조리시에는, 기름을 먼저 가열한 후 조리용 재료를 넣게 되어 뜨거운 기름이 튀면서 피부에 닿아 화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이때 상기 기름이 튀면서 옷에 묻어 옷을 더럽히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In addition, when cooking with oil, the oil is first heated, and then a cooking material is put in, causing hot oil to splash and get burned by touching the skin. At this tim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oil splashed on the clothes and dirty the clothes.
한편, 조리시에는 상기 뚜껑의 내면에 조리용기 안에서 발생한 수증기가 묻으며 물방울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물방울은 뚜껑의 내면을 따라 아래로 흐르다가 조리용기 안에 떨어져 음식 고유의 맛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during cooking, water vapor generated in the cooking vessel is buri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and water droplets are generated, and the water droplets flow dow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and fall into the cooking vessel, thereby degrading the taste of food. .
또한, 상기 물방울이 뚜껑의 하부 내주연에 모여있다가 뚜껑을 여는 동작에 의해 조리용기 안으로 주르륵 떨어져, 간을 맞춘 음식의 맛이 변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고, 물기가 적어야 하는 음식물에 떨어지면 그 맛을 잃게 되는 문제점도 야기하게 된다.In addition, the water droplets are collected in the lower inner periphery of the lid and then squeezed into the cooking vessel by the operation of opening the lid, thereby changing the taste of the seasoned food, and losing the taste when the water drips into the food. It also causes problems.
그리고 상기 물이 조리기구에 떨어져 불이 꺼지는 문제점을 가져옴은 물론, 조리기구의 주변 또는 주방의 가구나 기구 및 주방 바닥에 떨어져 이를 깨끗이 닦아야 하는 일이 발생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막대한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falls on the cooking utensils and the problem of turning off the fire, as well as on the furniture or utensils and the kitchen floor of the cooking utensils or the kitchen floor to clean the teeth occurs, which has a huge adverse effect on cooking food.
상기와 같은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뚜껑의 내면에서 흘러내리는 물방울이 조리용기 안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뚜껑을 열지 않고도 상부에서 조미료나 기타 조리용 재료를 간편하게 조리용기 안으로 넣을 수 있도록 하는 조리용기용 뚜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water droplets flow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to fall into the cooking vessel, so that the seasoning or other cooking material can be easily put into the cooking vessel from the top without opening the li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lid for a cooking vessel.
또한, 상기 물방울을 모아 간편하게 버릴 수 있도록 하고,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lso an object to collect the water droplets to be easily discarded, and to facilitate the washing.
그리고 상기 조리용기 안으로 조리용 재료를 투입할 때 뜨거운 물이나 기름이 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안전 및 조리용 복장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lso an object to prevent the hot water or oil splashing when the cooking material is put into the cooking vessel to keep the user's safety and cooking clothing clean.
이때 하나의 뚜껑으로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기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리시나 보관시 간단하고 편리함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combine the cooking vessels of various sizes with a single lid so that they can be used simply and conveniently when cooking or storing.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 조리용기용 뚜껑은, 상협하광의 형태를 이루고,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부에 통공이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 내면에서 흘러내리는 물방울을 받아 모으는 물받이부가 구비된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몸체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수단; 상기 몸체의 통공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통공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d for a cooking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forms a form of upper and lower light, the handle is provided on one side, the body is provided with a through-hole; A lower fram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having a drip tray configured to collect water droplets flow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Fixing means for detachably coupling the lower frame and the body; An opening and clos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through hole by detachably coupl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이때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의 하부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돌부; 하부가 상기 하부프레임에 고정되되, 상기 고정된 부분에서 외측으로 경사지며 탄성을 발휘하는 탄성부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의 상부에 상기 결합돌부와 대응하는 고정부가 구비된 3개 이상의 고정부재; 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fixing means, the engag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outward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Three or more fixing members having a lower portion fixed to the lower frame and having an elastic portion inclined outwardly from the fixed portion and exerting elasticity, and having a fix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astic portion; .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부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고정부재를 외측으로 밀거나 당길 수 있는 동작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d the fixing member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extension to the outside on the top, the user can push or pull the fixing member to the outside by hand; It further comprises.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동작부의 사이에, 상기 결합돌부가 하강하며 고정부와 결합하기 전에 상기 결합돌부와 상기 고정부재를 가 결합하는 가고정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between the fixing portion and the operating portion, the coupling protrusion is lowered and temporarily attaching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fixing member before engaging with the fixing portion; It further comprises.
한편, 상기 하부프레임은, 내주연에 상기 몸체의 하부 내주연보다 작은 외주연을 갖으며 상협하광의 형태를 이루는 경사부; 가 형성되되, 하면에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기와 대응하도록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는 계단형의 다수의 결합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frame, the inner periphery having a smaller outer periphery than the lower inner periphery of the body and inclined to form the upper and lower light; Is formed, a plurality of coupling portion of the step-type gradually increasing toward the outside to correspond to the cooking vessel of various sizes on the lower surface; It is made, including.
그리고 상기 몸체는, 상부 내주연에 내부 하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몸체의 내면을 따라 올라오던 뜨거운 열기가 다시 조리용기 안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리턴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body may include: a return part configured to protrude and extend downward in the upper inner circumference to supply hot heat, which has been rais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into the cooking vessel; It further comprises.
또한, 상기 개폐구는, 하부에 상기 몸체의 통공 내주연과 대응 접촉하는 외주연을 갖는 폐쇄돌부; 상기 폐쇄돌부의 상부에 외주연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상면과 접촉하는 플랜지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the closing protrusion having an outer periphery corresponding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of the body; A flange portion protruding to an outer circumference at an upper portion of the closing protrusion to contact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It is made, including.
그리고 상기 손잡이는, 상측에 힌지공;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구는, 일측에 상기 힌지공과 대응 결합하여 상기 힌지공을 중심으로 상기 개폐구를 회동 가능하게 하는 힌지축;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nd the handle, the hinge hole on the upper side; It further comprises, The opening and closing, the hinge shaft on the side corresponding to the hinge hole to rotate the opening and closing around the hinge hole; It is made to include more.
따라서 본 고안 조리용기용 뚜껑은, 상기 몸체의 내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방울이 상기 하부프레임의 물받이부에 모이게 되어, 상기 뚜껑의 내면에서 흘러내리는 물방울이 조리용기 안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몸체 상부의 통공을 상기 개폐구가 개방 또는 폐쇄하며 개방시 조미료나 기타 조리용 재료를 간편하게 조리용기 안으로 넣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lid for the cooking vesse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droplets flowing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is collected in the drip tray of the lower frame, to prevent the water droplets flow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falling into the cooking vessel, the top of the body Opening or closing the opening is closed or the opening has the effect of simply putting seasonings or other cooking materials into the cooking vessel when opening.
그리고 상기 물받이부에 모인 물을 간편하게 버릴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몸체와 하부프레임이 착탈되므로, 몸체 및 하부프레임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And it is possible to simply discard the water collected in the drip tray, as well as the body and the lower frame detachable by the fixing mean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wash the body and the lower frame.
또한, 상기 통공을 통해 조리용기 안으로 조리용 재료를 투입하게 됨으로써, 뜨거운 물이나 기름이 튀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자의 안전 및 조리용 복장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by inserting the cooking material into the cooking vessel through the through-holes, hot water or oil is prevented from splash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aintain the safety of the user and cooking clothes clean.
그리고 상기 몸체 상부의 통공이 개방된 상태라도, 상기 몸체 상부에 구비된 리턴부에 의해 상기 몸체의 내면을 타고 올라오던 뜨거운 열기가 리턴부에서 리턴되어 조리용기 방향으로 되돌아감에 따라 열손실이 작아져, 짧은 시간 안에 조리를 마칠 수 있고, 이에 조리재료의 신선도를 유지하여 음식 본연의 참맛을 느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And even when the through-hole of the upper part of the body is open, the heat dissipation is small as the hot heat that has been rai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by the return part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is returned from the return part and returns to the cooking vesse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finish cooking in a short time, thereby maintaining the freshness of the cooking ingredients, and there is an effect of feeling the true taste of food.
이때 상기 하부프레임에 구비된 다수의 결합부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기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조리시나 보관시 간단하고 편리함을 얻을 수 있는 효과도 있어, 제품의 만족도를 증가시켜 제품의 구매욕구를 늘일 수 있고, 조리의 즐거움으로 인해 음식의 맛을 한층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this case, since a plurality of coupling parts provided in the lower frame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various sizes of cooking vessels,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be obtained simply and conveniently during cooking or storage, thereby increasing the satisfaction of the product and the desire to purchase the product. You can increase, and due to the enjoyment of cook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further enhance the taste of food.
도 1은 본 고안 조리용기용 뚜껑과 조리용기의 결합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조리용기용 뚜껑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조리용기용 뚜껑의 단면도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 조리용기용 뚜껑의 개폐구와 고정부재의 동작을 각각 보인 요부 단면도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 조리용기용 뚜껑을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bination of the cooking vessel lid and cooking vesse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id for a cooking vessel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d for a cooking vessel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id for the cooking vessel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the operation of the fixing member
5a and 5b is a view showing a state using the lid for the cooking vessel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조리용기용 뚜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lid for the subject innovation cooking container in detail as follows.
도 1은 본 고안 조리용기용 뚜껑과 조리용기의 결합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the lid and a cooking vessel of the present invention cooking vessel.
도면과 같이, 본 고안 조리용기용 뚜껑은,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원통 형상의 조리용기(1) 상부에 결합하는 뚜껑(100)으로, 상기 조리용기(1) 내의 음식을 고열로 익히고, 상기 조리용기(1) 내의 음식물이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lid for cooking vess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d (10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cooking vessel (1) capable of cooking food, cooks the food in the cooking vessel (1) at high heat, The food in the
도 2는 본 고안 조리용기용 뚜껑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조리용기용 뚜껑의 단면도이며,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 조리용기용 뚜껑의 개폐구와 고정부재의 동작을 각각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id for the cooking vesse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d for the cooking vessel of the invention, Figure 4a and Figure 4b is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id for the cooking vessel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of main part, respectively.
도면과 같이, 본 고안 조리용기용 뚜껑은, 크게 손잡이(111)가 구비된 몸체(110)와 하부프레임(120) 및 개폐구(140)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110)와 하부프레임(120)은 고정수단에 의해 부착 또는 탈착하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lid for the cooking vess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상기 몸체(110)는, 투명한 유리재질로 이루어져 조리용기(1) 안을 보며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되, 상협하광(上狹下廣)의 사다리꼴 단면 형태를 이루어 조리용기(1)의 뜨거운 열기를 상측으로 안내하고 몸체(110) 내면에 묻어 흐르는 물방울을 하부로 흘러내리도록 한다.The
이때 상기 몸체(110)의 상협하광에 대한 각도는 45°로 하여, 가장 안정적이며 튼튼한 구조를 이룸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angle to the upper and lower light of the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상부 끝부분에는 관통된 통공(112)이 구비되고, 상기 통공(112)의 내부 즉, 상기 몸체(110)의 상부 내주연에는 내부 하측으로 돌출 연장된 리턴부(114)가 구비되어, 상기 몸체(110) 내면을 따라 올라오던 뜨거운 열기가 다시 조리용기(1) 방향으로 되돌아가 열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A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따라서, 상기 리턴부(114)에 의해 짧은 시간 안에 조리를 마칠 수 있고, 이에 조리재료의 신선도가 유지되어 음식 본연의 참맛을 느낄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cooking can be finished in a short time by the
한편,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는 ")"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110)의 상, 하부에 각각 상, 하부가 고정된 손잡이(111)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즉, 상기 손잡이(111)의 상부는 상기 몸체(110)의 상부 외면에, 상기 손잡이(111)의 하부는 상기 몸체(110)의 하부 외면에 각각 결합된다.That is, the upper portion of the
이때 상기 손잡이(111)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므로, 상기 유리재질로 이루어지는 몸체(110)와는 걸이구 또는 볼트와 너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도록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즉, 상기 손잡이(11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와 하부로 돌출된 걸이구를 구비하여, 상기 걸이구로 상기 몸체(110)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걸어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또한, 상기 손잡이(111)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공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과 대응하는 몸체(110)에 각각의 위치에 각각 체결공을 형성하여, 상기 대응하는 결합공과 체결공을 관통하며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손잡이(111)를 상기 몸체(110)에 결합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upling hole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이때 상기 손잡이(111)와 몸체(110) 사이에 플랙시블한 실리콘을 결합하여 더욱 안전한 결합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combine the flexible silicon between the
상기와 같이 유리재질의 몸체(110)에 플라스틱 재질의 손잡이(111)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것은, 기 설명한 방법 외에 현재 다양한 방법들이 시중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바, 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면 되고, 이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Bonding and fixing the
상기 하부프레임(120)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내측에는, 상기 몸체(110)의 하부 내주연보다 작은 외주연을 가지며 상협하광의 단면을 갖는 경사부(121)가 구비되고, 상기 경사부(121)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에 "┗┛" 형상의 물받이부(122)가 구비되어, 상기 몸체(110)의 내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방울은 상기 물받이부(122)에 바로 떨어지거나 상기 경사부(121)에 떨어져 상기 경사부(121)를 따라 흐르다가 상기 물받이부(122)에 모이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물받이부(122)의 외측에는, 계단형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는 결합부(123)가 다수 개 구비된다.In addition, the outer side of the
이때 상기 결합부(123)는, 상기 조리용기의 다양한 크기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가정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조리용기(1)의 크기인 24㎝, 26㎝, 28㎝로 계단형으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즉, 상기 각 결합부(123) 중 조리용기(1)의 크기와 대응하는 결합부(123)가 조리용기(1)의 상부와 대응 결합하며 음식을 조리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상기 조리용기(1)의 크기가 24㎝이면 상기 결합부(123) 중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결합부(123)와 결합되고, 상기 조리용기(1)의 크기가 28㎝이면 상기 결합부(123)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결합부(123)와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따라서, 상기 결합부(123)의 각 크기도 24㎝, 26㎝, 28㎝로 형성해야 함은 물론이다.
Therefore, each size of the
한편, 상기 뚜껑(100)을 조리용기(1)의 상부에 결합하기 위해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놓으면, 상기 뚜껑(100)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조리용기(1)의 크기와 대응하는 결합부(123)에 조리용기(1)의 상부가 대응 접촉하며 결합하므로, 사용자는 크기에 크게 관여하지 않고 뚜껑(100)을 조리용기(1)에 결합하게 되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1개의 결합부(123)만을 형성하여 1개의 조리용기(1) 크기와 대응하는 1개의 뚜껑(100)으로 제작할 수도 있고,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2개의 결합부(123)를 형성하여 크기가 다른 2개의 조리용기(1)와 각각 대응하는 1개의 뚜껑(100)으로 제작할 수도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3개의 결합부(123)가 아닌 4개 이상의 결합부(123)를 형성할 수도 있는 등,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구비되는 결합부(123)의 개수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이는 모두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In addition, only one
또한, 상기 경사부(121)의 외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계단형의 다수의 결합부(123)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경사부(121)의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다수의 결합부(123)로 형성할 수도 있고, 외측으로 갈수록 높아졌다가 다시 낮아지는 계단형의 다수의 결합부(123)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졌다가 다시 높아지는 계단형의 다수의 결합부(123)로 형성할 수도 있는바, 이와 같은 변형은 모두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In addition, although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a plurality of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110)의 하부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돌부(113)와, 하부가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고정되어 상기 결합돌부(113)와 대응 결합하는 고정부(132)가 구비된 3개 이상의 고정부재(130)로 이루어진다.The fixing means may include a
이때 상기 고정부재(130)는,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상부에 동일간격으로 구비해야함은 물론이며, 이는 상기 하부프레임(120)과 몸체(110)를 결합하되 그 중심을 일치시켜 안전하게 결합하기 위함이다.In this case, the fixing
또한, 상기 고정부재(130)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몸체(110)의 결합돌부(113)와 결합하여 상기 몸체(110)와 하부프레임(120)을 고정해야 하므로, 고정부재(130)가 2개 이하이면 몸체(110)와 하부프레임(120)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아 불안전하게 고정되므로 최소 3개가 되어야 하며, 4개 이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상기 결합돌부(113)는, 상기 몸체(110)의 하부 끝단에서 상기 몸체(110)의 외면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시켜 상기 고정부재(130)와의 결합력을 높여 몸체(110)와 하부프레임(12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한다.The
상기 고정부재(130)는,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고정된 부분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며 굴곡되어, 상기 굴곡된 부분에서 탄성을 발휘하는 탄성부(131)가 구비된다.The fixing
또한, 상기 탄성부(131)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돌부(113)와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며 내측으로 상향 절곡된 고정부(132)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따라서, 상기 고정부(132)에 상기 결합돌부(113)가 상부에서 삽입하며 끼워지게 되고, 모든 고정부재(130)의 고정부(132)에 상기 결합돌부(113)가 끼워지면, 상기 몸체(110)와 하부프레임(120)이 안전하게 고정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이때 상기 고정부(132)의 상부는 후방으로 절곡되었다가 다시 전방으로 절곡된 가고정부(133)가 구비되고, 상기 가고정부(133)의 상부는 외측으로 절곡된 동작부(134)가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상기 동작부(134)는, 사용자가 손으로 눌러 상기 결합돌부(113)와 고정부(132)의 결합력을 해제하는 것으로, 도면과 같이 수평 상으로 절곡되어 구비될 수도 있으나, 사용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외측으로 경사지게 절곡하여 형성할 수도 있는 등, 상기 동작부(134)의 형성각도에 대한 변형은 모두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The
한편, 도면과 같이 상기 고정부재(130)의 탄성부(131)에서 고정부(132)를 지나 가고정부(133)까지 수직 상 관통된 구멍을 형성하여, 탄성부(131)의 탄성력을 높임은 물론, 동작부(134)의 동작에 따라 탄성부(131)가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drawing, through the
상기와 같은 구멍은, 원형의 결합돌부(113)에 고정부(132)의 2개의 지점이 접촉하게 되어 접촉점의 개수의 증가에 따라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In the hole as described above, two points of the fixing
즉, 상기 결합돌부(113)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130)는 직선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132)에 결합돌부(113)가 결합하면 1개의 지점만이 접촉하게 되므로 그 결합력이 약하다 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그러나 상기 구멍을 형성함에 따라 고정부(132)가 양측으로 나누어지며, 각 부분에서 결합돌부(113)와 접촉하는 지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1개의 고정부(132)에 2개의 고정지점이 발생하게 되어 결합력이 높아지는 것이며, 상기 구멍으로 원형의 결합돌부(113)가 돌출되므로 높은 결합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However, as the hole is formed, the fixing
한편, 상기 고정부재(130)를 상기 결합돌부(113)와 대응하는 라운드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는 모두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fixing
상기와 같은 고정부재(130)에 상기 결합돌부(113)가 삽입하며 끼워지는 과정은, 먼저 결합돌부(113)가 각 고정부재(13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몸체(110)를 위치시킨 후 상기 몸체(110)를 하강하게 되면, 상기 결합돌부(113)가 동작부(134)의 내측면을 따라 가고정부(133)로 하강하며 1차적으로 가 고정된 상태가 된다.The process of inserting the
이때 상기 하부프레임(120)과 몸체(110)가 그 중심이 맞은 상태가 되므로, 다시 몸체(110)를 하강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131)에 의해 고정부재(130)가 뒤로 밀렸다가 앞으로 다시 당겨지며 상기 결합돌부(113)가 고정부(132)에 삽입된다.At this time, since the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몸체(110)의 결합돌부(113)를 우선 각 고정부재(130)의 각 가고정부(133)에 삽입한 후, 하부로 강하게 밀어 넣어 고정부(132)에 결합돌부(113)를 삽입하여 몸체(110)와 하부프레임(120)을 견고하게 결합하게 된다.Therefore, the user first inserts the engaging
상기 고정부재(130)는 요구하는 탄성을 갖는 금속재질의 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리재질 몸체(110)의 결합돌부(113)가 삽입하면 '딸각' 하는 소리가 나서 사용자는 몸체(110)와 하부프레임(120)이 견고하게 결합하였음을 알 수 있다.The fixing
한편, 상기 가고정부(133) 없이 한번에 상기 결합돌부(113)가 고정부(132)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바, 이와 같은 단순 설계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ithout the
따라서,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몸체(110)를 부착하는 방법은, 우선 몸체(110)의 결합돌부(113)를 2개의 고정부재(130)의 가고정부(133) 또는 고정부(132)에 삽입하며 이들을 외측으로 밀고, 상기 이들을 중심으로 나머지 1개의 고정부재(130) 방향으로 몸체(110)를 하강시켜 나머지 1개의 고정부재(130)의 가고정부(133) 또는 고정부(132)에 결합돌부(113)를 삽입한다.Therefore, in the method of attaching the
이때 상기 가고정부(133)에 결합돌부(113)를 결합하였을 경우에는, 기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게 상기 몸체(110)를 하부로 강하게 눌러 '딸각' 소리를 내며 결합돌부(113)가 3개의 각 고정부(132)에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하면 된다.In this case, when the
그리고 상기 몸체(110)와 하부프레임(120)을 탈착하려면, 사용자가 1개의 동작부(134)를 손으로 밀거나 당겨 후방 측으로 하강시켜 대응하는 결합돌부(113) 부분을 들어올리고, 나머지 중 1개의 동작부(134)도 후방 측으로 하강시켜 대응하는 결합돌부(113) 부분을 들어올리면 나머지 1개의 고정부(132)와 결합돌부(113)의 결합력이 약화되어 자연스럽게 몸체(110)를 들어올려 몸체(110)와 하부프레임(120)을 탈착할 수 있게 된다.And to remove the
상기와 같이 몸체(110)와 하부프레임(120)을 부착 또는 탈착하는 방법은 기 설명한 방법 이외에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사용자의 성향이나 주변여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attaching or detaching the
상기 개폐구(140)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되, 하부에 상기 몸체(110)의 통공 내주연과 대응 밀착하는 외주연을 갖는 폐쇄돌부(141)가 구비되고, 상기 폐쇄돌부(141)의 상부에 외주연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몸체(110)의 상면과 접촉하는 플랜지부(142)로 이루어진다.The opening and
즉, 상기 개폐구(140)의 폐쇄돌부(141)를 통공(112)에 삽입하면 상기 몸체(110)의 통공(112)이 폐쇄되는 것이고, 상기 개폐구(140)의 폐쇄돌부(141)를 통공(112)에서 분리하면 상기 몸체(110)의 통공(112)이 개방된 상태가 되는 것이며, 상기 개폐구(140)가 플랙시블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폐쇄시 그 폐쇄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closing
따라서, 상기 조리용기(1)에 뚜껑(100)을 결합하여 음식을 조리할 때에는, 상기 개폐구(140)를 이용하여 통공(112)을 폐쇄시켜 조리가 짧은 시간 안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Therefore, when cooking the food by combining the
한편, 상기 개폐구(140)를 통공(112)에서 분리한 후에 별도로 보관하게 되면 개폐구(140)가 분실되거나 기타 이물질이 묻을 수 있으므로, 상기 개폐구(140)가 상기 손잡이(111)의 상부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통공(112)에서 분리시에도 손잡이(111)에 붙어 있도록 하고, 상기 통공(112)을 개폐구(140)로 더욱 간편하게 폐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f the separate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140 in the through
즉, 상기 손잡이(111)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관통 또는 양측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힌지공(111a)을 형성하고, 상기 개폐구(140)의 일측인 손잡이(111) 방향에는 상기 힌지공(111a)에 대응 삽입하는 힌지축(143)을 구비하여, 상기 힌지축(143)을 중심으로 개폐구(140)가 회동 가능하게 한다.That is, the hinge hole (111a) is formed in the upper side of the
상기 힌지축(143)은, 상기 개폐구(140)의 일측에서 양측으로 돌출되고, 후방이 상기 힌지공(111a)과 대응하도록 마주보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힌지축(143)을 중심으로 개폐구(140)가 회동하며 통공(112)을 개방 또는 폐쇄한다.The
이때 상기 손잡이(111) 부분을 중심으로 개폐구(140)를 회동 가능하게 하는 구성은, 도면에 도시하고 이를 설명한 것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더욱 다양한 구성으로 개폐구(140)를 회동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는바, 이와 같은 단순 설계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for enabling the opening and closing 140 to be rotated around the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 조리용기용 뚜껑을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면과 같이 상기 음식을 조리시 조리용기(1)에 조미료나 기타 조리용 재료를 넣을 때에는, 상기 통공(112)에서 개폐구(140)를 분리하여 개방된 통공(112)을 통해 상기 조미료나 기타 조리용 재료를 조리용기(1)에 투입하고, 상기 조리용기(1) 내부를 국자 또는 주걱 등으로 저을 때에도 상기 개방된 통공(112)을 통해 국자 또는 주걱 등을 넣어 저으면 된다.5A and 5B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of using the lid for a cooking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seasoning or other cooking material is put into the
따라서, 상기 뚜껑(100)을 완전히 열지 않고 상기 뚜껑(100) 상부의 개폐구(140)만을 분리하여 통공(112)을 개방한 상태에서 조리가 이루어져 열을 많이 빼앗기지 않는 상태로 조리를 할 수 있게 되고, 이에 짧은 시간 안에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by opening only the opening and
한편, 조리시에 발생하는 수증기는 몸체(110)의 내면에 묻은 후 모여져 물방울이 되고, 상기 물방울은 몸체(110)의 내면을 따라 아래로 흐르다가 물받이부(122)에 모이게 되어, 상기 수증기에 의해 발생한 물방울이 상기 조리용기(1) 내의 음식물에 다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vapor generated during cooking is buri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그리고 조리가 완료시 또는 조리중 물받이부(122)에 물이 많이 모였을 경우에는, 사용자는 손잡이(111)를 잡고 뚜껑(100)을 들어 물을 버릴 수 있는 장소에 상기 물받이부(122)에 모인 물을 버리면 된다.When the cooking is completed or when a lot of water is collected in the
종래에는, 뚜껑에 구비된 손잡이를 잡고 뚜껑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뚜껑의 하부 내면에 고여있던 물이 조리용기 내부나 가열기구 등에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물이 조리용기(1) 내부나 가열기구 등에 떨어지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어, 조리용기(1) 내의 음식에 대한 본연의 맛을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청결한 조리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Conventionally, in the process of lifting the lid by holding the handle provided on the lid, there was a problem that water accumulated i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lid falls inside the cooking vessel or a heating mechanism,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is inside the
또한, 상기 통공(112)을 통해 조리용 재료를 투입할 수 있으므로, 기름에 튀기는 요리를 할 때 재료를 투입함에 따라 뜨거운 기름이 많이 튀지만,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몸체(110)에 의해 대부분의 튀는 뜨거운 기름은 몸체(110)의 내면에 묻게 되고, 설령 통공(112)을 통해 외부로 뜨거운 기름이 튄다 하여도 뜨거운 기름이 사용자에게까지 튀기는 매우 어려우므로,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며 기름에 튀기는 요리를 여유롭게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oking material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
그리고 뜨거운 물에 조리용 재료를 투입할 때에도, 기 설명한 바와 같이 튀는 뜨거운 물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기가 어려우므로, 이 또한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when the cooking material is put into the hot water,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be burned by the splashing hot water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user can also be safe.
한편, 상기 굴뚝과 같은 몸체(110)의 형상으로 인해, 생선을 굽는다거나 기타 냄새가 많이 나는 음식을 조리할 때에도 냄새들이 모두 통공(112)을 통해 배출되는 현상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 통상 가정의 가열기구인 가스레인지의 직 상부에는 레인지 후드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통공(112)을 통해 모여 배출되는 냄새가 모두 레인지 후드에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due to the shape of the
즉, 상기 몸체(110)의 하부와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상부는 밀착된 상태가 아니고, 상기 3개의 고정부재(130)에 의해 부착된 상태이므로, 상기 조리용기(1)의 열기가 경사부(121)를 따라 몸체(110)의 상부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조리용기(1) 외부의 공기가 상기 몸체(110)의 하부와 하부프레임(120)의 상부 사이로 유입되어 조리용기(1)의 열기와 합해져 통공(112)으로 배출되므로, 조리시 발생하는 모든 잡냄새가 통공(112)을 통해서만 배출되는 것이다.
That is, since the lower part of the
이와 같이 본 고안 조리용기용 뚜껑에 관하여, 본 고안의 범주 내에서 각 부품들의 여러 가지 설계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Thus, with respect to the lid for the cooking vessel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design changes of each par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l b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조리용기
100 - 뚜껑
110 - 몸체 111 - 손잡이 111a - 힌지공
112 - 통공 113 - 결합돌부 114 - 리턴부
120 - 하부프레임 121 - 경사부 122 - 물받이부
123 - 결합부
130 - 고정부재 131 - 탄성부 132 - 고정부
133 - 가고정부 134 - 동작부
140 - 개폐구 141 - 폐쇄돌부 142 - 플랜지부
143 - 힌지축1-cooking vessel
100-lid
110-Body 111-Handle 111a-Hinges
112-through hole 113-engagement protrusion 114-return part
120-Lower frame 121-Slope 122-Drip tray
123-coupling
130-fixing member 131-elastic part 132-fixing part
133-Kago Government 134-Operation Division
140-Opening and closing port 141-Closed protrusion 142-Flange
143-Hinge Shaft
Claims (8)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110)의 하부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돌부(113);
하부가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고정되되, 상기 고정된 부분에서 외측으로 경사지며 탄성을 발휘하는 탄성부(131)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131)의 상부에 상기 결합돌부(113)와 대응하는 고정부(132)가 구비된 3개 이상의 고정부재(13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뚜껑.Formed in the form of upper and lower light, the handle 111 is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body 110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112 on the upper side, and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10 flows down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10 A lower frame 120 having a water collecting part 122 collecting water droplets, fixing means for detachably coupling the lower frame 120 and the body 110, and a through hole 112 of the body 110. Removably coupl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port 140 for opening or closing the through hole 112; In the lid for a normal cooking vessel comprising a,
The fixing means,
A coupling protrusion 113 protruding out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body 110;
A lower portion is fixed to the lower frame 120, and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ortion 131 which is inclined outward from the fixed portion and exerts elasticity,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13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astic portion 131. Three or more fixing members 130 having corresponding fixing parts 132; Lid for a cook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상기 고정부재(130)는, 상부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고정부재(130)를 외측으로 밀거나 당길 수 있는 동작부(134);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뚜껑.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member 130 is provided to be inclined to extend outward on the upper portion, the operation unit 134 that the user can push or pull the fixing member 130 to the outside by hand; Lid for a cook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상기 고정부재(130)는, 상기 고정부(132)와 상기 동작부(134)의 사이에, 상기 결합돌부(113)가 하강하며 고정부(132)와 결합하기 전에, 상기 결합돌부(113)와 상기 고정부재(130)를 가 결합하는 가고정부(133);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뚜껑.The method of claim 3,
The fixing member 130, between the fixing portion 132 and the operation unit 134, before the coupling protrusion 113 descends and engages with the fixing portion 132, the coupling protrusion 113 A temporary part 133 for coupling the fixing member 130 with the temporary part; Lid for a cook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상기 하부프레임(120)은,
내주연에 상기 몸체(110)의 하부 내주연보다 작은 외주연을 갖으며 상협하광의 형태를 이루는 경사부(121); 가 형성되되,
하면에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기(1)와 대응하도록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는 계단형의 다수의 결합부(123);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뚜껑.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frame 120,
An inclined portion 121 having an outer circumference smaller than the lower inner circumference of the body 110 at an inner circumference and forming a lower side light; Is formed,
A plurality of couplers 123 having a stepped shape that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outside to correspond to cooking vessels 1 having various sizes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Lid for a cook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상기 몸체(110)는, 상부 내주연에 내부 하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몸체(110)의 내면을 따라 올라오던 뜨거운 열기가 다시 조리용기(1) 방향으로 되돌아가도록 하는 리턴부(114);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뚜껑.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110 has a return portion 114 to protrude and extend to the inner lower side in the upper inner circumference, so that the hot heat rais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10 is returned back to the cooking vessel (1) direction; Lid for a cook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상기 개폐구(140)는,
하부에 상기 몸체(110)의 통공(112) 내주연과 대응 접촉하는 외주연을 갖는 폐쇄돌부(141);
상기 폐쇄돌부(141)의 상부에 외주연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몸체(110)의 상면과 접촉하는 플랜지부(14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뚜껑.The method of claim 1,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140,
A closed protrusion 141 having an outer circumferen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hrough-hole 112 of the body 110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flange portion 142 formed to protrude to an outer circumference of an upper portion of the closing protrusion 141 to be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Lid for a cook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상기 손잡이(111)는, 상측에 힌지공(111a);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구(140)는, 일측에 상기 힌지공(111a)과 대응 결합하여 상기 힌지공(111a)을 중심으로 상기 개폐구(140)를 회동 가능하게 하는 힌지축(143);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The method of claim 1,
The handle 111, the hinge hole (111a) on the upper side; More,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140, the hinge shaft (143) for correspondingly coupled to the hinge hole (111a) on one side to rotate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140 around the hinge hole (111a); Lid for a cook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6321U KR200451270Y1 (en) | 2010-06-16 | 2010-06-16 | Cooking container li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6321U KR200451270Y1 (en) | 2010-06-16 | 2010-06-16 | Cooking container li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51270Y1 true KR200451270Y1 (en) | 2010-12-06 |
Family
ID=44478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6321U Expired - Fee Related KR200451270Y1 (en) | 2010-06-16 | 2010-06-16 | Cooking container li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1270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3800B1 (en) * | 2019-10-07 | 2020-10-08 | 김종문 | Multifunctional Cooking Lid |
WO2024151084A1 (en) * | 2023-01-10 | 2024-07-18 | (주)홍산경금속 | Multi-purpose cookware having pressing plat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46263A (en) | 1974-10-14 | 1976-04-20 | Takanobu Kawasaki | Nabebutano jokisuiuke |
JPS58171640U (en) * | 1982-05-12 | 1983-11-16 | 飯塚 孝司 | Nabebuta |
-
2010
- 2010-06-16 KR KR2020100006321U patent/KR200451270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46263A (en) | 1974-10-14 | 1976-04-20 | Takanobu Kawasaki | Nabebutano jokisuiuke |
JPS58171640U (en) * | 1982-05-12 | 1983-11-16 | 飯塚 孝司 | Nabebuta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3800B1 (en) * | 2019-10-07 | 2020-10-08 | 김종문 | Multifunctional Cooking Lid |
WO2024151084A1 (en) * | 2023-01-10 | 2024-07-18 | (주)홍산경금속 | Multi-purpose cookware having pressing plat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5215045U (en) | Baking tray and cooking cooker with same | |
CN106175477B (en) | Oil-free air fryer | |
KR100767797B1 (en) | Oil Spill Reduction Double Sided Fan | |
KR200451270Y1 (en) | Cooking container lid | |
US2590942A (en) | Cooking stove | |
US20080072768A1 (en) | Food steamer | |
CN110495788B (en) | Pot cover assembly and cooking utensils | |
CN211022273U (en) | Pot lid subassembly and cooking utensil | |
JP5630762B2 (en) | Cooking container and its lid | |
FR2682273A3 (en) | Utensil for performing a variety of cooking tasks | |
KR200166317Y1 (en) | A pan for boiling and roasting food | |
CN205041234U (en) | Anti -oil -spatter cooker -cover | |
KR200166413Y1 (en) | Oil frying prevention plate for frying pan | |
KR20200129941A (en) | Device of a waterspout using silicon for frying pan | |
KR200391164Y1 (en) | Steamed and Barbecue combined pot | |
KR200352899Y1 (en) | multi-purpose heat-collecting cooker | |
JP2005034646A (en) | Batter coat fry, heat cooking accessory especially for frying tempura | |
KR101516771B1 (en) | Inner Cover Having Fried Food Making Apparatus | |
KR200335328Y1 (en) | Double-faced Cookware | |
CN202234860U (en) | Household cover | |
CN203369744U (en) | Water backflow-preventing pot | |
KR101266767B1 (en) | Frying pan | |
KR200185661Y1 (en) | Cover of kettle type roast plate | |
KR20240086483A (en) | Frying pan with lid on for oil removal and cooking | |
KR20150059526A (en) | Frypan whit flip guide pla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0616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16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0819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2D Patent event date: 20101008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011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011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01130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90911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