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485Y1 - Automatic welding machine - Google Patents
Automatic weld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9485Y1 KR200459485Y1 KR2020100001719U KR20100001719U KR200459485Y1 KR 200459485 Y1 KR200459485 Y1 KR 200459485Y1 KR 2020100001719 U KR2020100001719 U KR 2020100001719U KR 20100001719 U KR20100001719 U KR 20100001719U KR 200459485 Y1 KR200459485 Y1 KR 20045948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lding
- torch
- driving unit
- automatic
- fixing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47—Driv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58—Electric supply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94—Transport carriages or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6—Arrangements or circuits for starting the arc, e.g. by generating ignition voltage, or for stabilising the arc
- B23K9/067—Starting the ar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5—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 B23K9/0956—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using sensing means, e.g. optic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27—Means for tracking lines during 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72—Geometry oriented, e.g. beam optical trading
- B23K9/1278—Using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ometry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접토치가 장착된 홀딩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므로써 각도가 심한 곳의 용접부분에서도 토치 프레임이 슬라이딩되어 용접토치의 각도를 기울일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각도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동용접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구동부에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므로써 구동부와 용접대상물 사이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용접 후 용접부분의 굴곡이 없어 외관상 깔끔함을 제공하고, 클램프를 토치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하므로써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된 구간 사이를 줄여 비 용접구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자동용접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는 용접구간을 이동하기 위한 구동부(20)와, 구동부(20) 상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40)와, 고정부재(40)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용접토치를 고정시키고 용접토치의 용접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홀딩부재(50)와, 구동부(20)상에 설치되고, 구동부(20)의 이송속도 및 이송방향을 제어하고, 용접토치의 점화 및 소화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be able to perform the operation at various angles because the torch frame can be slid in the welding part of the severe angle by tilting the holding member equipped with the welding torch. Provide a welding device. In addition, the guide member is installed in the driving unit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unit and the welding object, thereby providing a clean appearance without the bending of the welding part after welding, and reduc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ections where the limit switch is installed by coupling the clamp to both sides of the torch frame. An automatic welding device is provided to reduce the non-welding section. The automatic we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ive unit 20 for moving a welding section, a fixing member 40 fixedly installed on the drive unit 20, is installed to be slidable on the fixing member 40, the welding torch And a holding member 50 for adjusting the welding angle of the welding torch and installed on the driving unit 20, controlling the feeding speed and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20, and controlling the ignition and extinguishing of the welding torch.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60 for.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용접토치가 장착된 홀딩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므로써 각도가 심한 곳의 용접부분에서도 토치 프레임이 슬라이딩되어 용접토치의 각도를 기울일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각도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동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weld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by installing a holding member equipped with a welding torch so that the torch frame can be slid in the welding part of a severe angle, so that the angle of the welding torch can be til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welding device for performing work at various angles.
또한, 구동부에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므로써 구동부와 용접대상물 사이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용접 후 용접부분의 굴곡이 없어 외관상 깔끔함을 제공하고, 클램프를 토치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하므로써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된 구간 사이를 줄여 비 용접구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자동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guide member is installed in the driving unit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unit and the welding object, thereby providing a clean appearance without the bending of the welding part after welding, and reduc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ections where the limit switch is installed by coupling the clamp to both sides of the torch frame. It relates to an automatic welding device that can reduce the non-welding section.
일반적으로 용접은 철재의 모재와 모재를 결합시키기 위해 전극심재 및 모재에 고압의 전압을 공급하고, 심재 또는 모재의 일부를 녹여 비드를 형성하며 모재와 모재가 견고히 결합되도록 하는 작업이다. 상기된 용접 중 특히, 선박이나 건축물 등의 대형 구조물 용접은, 용접 작업되어야 할 구간이 대단히 길기 때문에 작업자가 긴 구간을 유동하며 용접작업을 수행하기가 대단히 어려워 자동화된 용접장치에 의한 작업이 요구된다.
In general, welding is an operation of supplying a high voltage to the electrode core and the base material to combine the base metal and the base material of the iron, melt the core material or a portion of the base material to form beads, and the base material and the base material to be firmly combined. Among the above-mentioned welding, especially for welding of large structures such as ships or buildings, the length of the welding work is very long, so that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operator to carry out the welding work while moving in a long section, which requires work by an automated welding device. .
이와 같은 용접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작업구간(L)을 따라 이동하기 위한 주행대차(1)와, 주행대차(1)에 탑재되어 용접작될 라인에 비드를 형성하며 모재를 접합하는 용접토치(T)가 장착된 토치부(2)로 구성된다. 상기 주행대차(1)는 몸체(3)의 내부에 동력발생수단 및 동력전달수단으로 된 동력기구(4)가 설치되며, 이 동력전달수단은 외부의 바퀴(5)(또는, 작업구간에 레일이 있을 경우 롤러가 설치됨)와 결합되어 주행대차(1)가 작업구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토치부(2)는 몸체(3)의 상측에 탑재되고, 탑재된 위치는 용접작업이 수행될 때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주로 몸체(3)의 중앙에 설치된다.
Such a welding device is a welding torch (1) for moving along the work section (L), as shown in Figure 1, and a welding torch to form a bead in the line to be mounted on the traveling cart (1) to be welded to join the base material It consists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용접장치는 작업구간(L)에 구비되어 토치(T)의 끝단부가 용접선상(L)에 일치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주행대차(1) 내부의 동력기구(4)가 구동됨에 의해 바퀴(5)가 회전되어 몸체(3)가 진행되고, 이와 동시에 토치(T)에서는 아크를 발생시켜 자동용접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자동용접작업을 수행하던 도중, 주행대차(1)의 몸체(3) 일측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6)가 벽체(L')에 접촉되면 용접장치의 일련의 작업이 완료된다.
The weld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in the work section L, and the wheel is driven by driving the power mechanism 4 inside the
이와 같은 종래의 용접장치는 용접토치의 작업반경이 한정되어 있어 지면보다 낮은 곳을 용접하기 위해서는 용접토치의 각도를 기울려야 하는데 각도가 높아질수록 용접토치와 주행대차간의 사이가 좁아져 용접시 그 열에 의해 주행대차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Such a conventional welding device has a limited working radius of the welding torch, so in order to weld the lower part of the ground, the angle of the welding torch must be inclined. The higher the angle, the narrower the gap between the welding torch and the traveling bogi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running cart is damaged.
또한, 주행대차가 작업구간을 따라 이동시 작업구간과 주행대차간 사이에 가이드가 없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고,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토치부가 주행대차 몸체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토치가 설치된 지점과, 주행대차의 끝단부에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된 구간까지의 용접구간이 비 용접구간으로 잔류하게 되며, 이 비 용접구간을 용접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위치를 확인한 후 수작업에 의한 용접을 수행하여 작업을 완료하게 되므로, 인건비의 지출과 더불어 인력의 낭비가 발생되고, 작업자가 비 용접구간을 직접 확인한 후 용접수행하게 되어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작업자에 의한 작업이 용접장치에 의해 수행된 작업과 동일한 작업상태로 유지되기는 대단히 어려운 것으로, 이는 작업완료 후에 각 모재가 갖는 고정력의 차이에 의한 접합부의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when the travel truck moves along the work section, there is no guide between the work section and the travel cart, so that it does not remain constant, and there is a problem of moving closer or farther away, and the torch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travel cart body. The welding section up to the point where the is installed and the section where the limit switch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traveling cart remains as the non-welding section. To weld the non-welding section, the operator checks the position and then performs the welding by hand. Since the work is completed, waste of manpower is generated along with the labor cost, and the worker performs the welding after checking the non-welding section directly, which causes a problem of delaying the working time. In addition, it is very difficult to maintain the work by the worker in the same working state as the work performed by the welding apparatus, which has a problem that the crack of the joint occur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fixing force of each base material after the work is completed.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용접토치가 장착된 홀딩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므로써 각도가 심한 곳의 용접부분에서도 토치 프레임이 슬라이딩되어 용접토치의 각도를 기울일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각도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자동용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by installing the holding member equipped with a welding torch to be slidable, the torch frame can be slid in the welded part of a severe angle, so that the angle of the welding torch can be tilted. Therefore, to provide a new type of automatic welding device to be able to perform the work from various angles.
또한, 구동부에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므로써 구동부와 용접대상물 사이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용접 후 용접부분의 굴곡이 없어 외관상 깔끔함을 제공하고, 클램프를 토치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하므로써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된 구간 사이를 줄여 비 용접구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자동용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member is installed in the driving unit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unit and the welding object, thereby providing a clean appearance without the bending of the welding part after welding, and reduc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ections where the limit switch is installed by coupling the clamp to both sides of the torch frame. It is to provide a new type of automatic welding device to reduce the non-welding sec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용접구간을 이동하기 위한 구동부(20)와; 상기 구동부(20) 상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40)와; 상기 고정부재(40)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용접토치를 고정시키고 상기 용접토치의 용접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홀딩부재(50)와; 상기 구동부(20)상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20)의 이송속도 및 이송방향을 제어하고, 상기 용접토치의 점화 및 소화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에서 상기 구동부(20)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바퀴가 전후측에 설치되는 몸체(22)와; 상기 몸체(22)에 설치되어 용접대상물과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용접대상물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automatic we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에서상기 가이드 부재(30)는 상기 구동부(20)의 몸체(22)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바(32)와; 상기 결합바(32)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용접대상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롤러(34) 및; 상기 결합바(32)와 상기 롤러(34)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롤러(34)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판(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automatic we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에서 상기 고정부재(40)는 양측면이 'ㄷ'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슬라이딩턱(42)이 형성되고, 일측 측면 상에 장방향의 슬라이딩홀(4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automatic we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에서 상기 홀딩부재(50)는 측면이 상기 고정부재(40)의 슬라이딩턱(4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토치 프레임(52)과; 상기 토치 프레임(52)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용접토치를 고정시키고, 용접토치의 용접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클램프(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automatic we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에서 상기 홀딩부재(50)의 클램프(54)는 비 용접구간을 줄이기 위해 상기 토치 프레임(52) 상에 양측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automatic we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에 의하면, 용접토치가 장착된 홀딩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므로써 각도가 심한 곳의 용접부분에서도 토치 프레임이 슬라이딩되어 용접토치의 각도를 기울일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각도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automatic we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installing the holding member equipped with the welding torch slidably, the torch frame can be slid even in the welding part of the severe angle, so that the angle of the welding torch can be inclined at various angles.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do things in.
또한, 구동부에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므로써 구동부와 용접대상물 사이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용접 후 용접부분의 굴곡이 없어 외관상 깔끔함을 제공하고, 클램프를 토치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하므로써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된 구간 사이를 줄여 비 용접구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member is installed in the driving unit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unit and the welding object, thereby providing a clean appearance without the bending of the welding part after welding, and reduc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ections where the limit switch is installed by coupling the clamp to both sides of the torch frame. There is an effect to reduce the non-welding section.
도 1은 종래 용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에서 가이드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에서 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에서 홀딩부재의 토치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에서 고정부재에 홀딩부재의 토치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welding apparatus,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weld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uide member in the automatic weld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xing member in the automatic weld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torch frame of the holding member in the automatic wel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torch frame of the holding member is coupled to the holding member in the automatic wel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of use of the automatic we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2 내지 도 7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S. 2 to 7,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elements for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in FIGS. 2 to 7.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에서 가이드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에서 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에서 홀딩부재의 토치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에서 고정부재에 홀딩부재의 토치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weld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guide member in the automatic weld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는 구동부(20), 고정부재(40), 홀딩부재(50) 및 제어부(60)를 구비하고, 제어부(60)는 용접토치의 방향으로 설치되는 빛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용접토치가 점화되었을 때 구동부(20)가 자동으로 이송되도록 하고, 용접토치가 소화되거나 구동부(20)가 용접구간의 끝단부에 다다랐을 때 상기 구동부(20)가 자동으로 멈추도록 한다. 이때, 구동부(20)는 용접구간을 이동하도록 하는 구성을 갖고, 고정부재(40)는 정해진 형상을 가지고 구동부(20) 상에 고정설치되고, 홀딩부재(50)는 고정부재(40) 상에 설치되어 용접토치를 고정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제어부(60)는 구동부(20)상에 설치되고, 구동부(20)의 이송 속도 및 이송방향을 제어하고, 용접토치의 점화 및 소화를 제어한다.
2 to 7, the automatic we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10)에서 구동부(20)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바퀴가 전후측에 설치되는 몸체(22)와 몸체(22)에 설치되어 용접대상물과의 거리를 조절하여 용접대상물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30)를 포함한다. 이때, 몸체(22)의 측면에는 가이드 부재(40)가 삽입 설치되도록 장방향의 홀이 형성된 결합구(24)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구(24)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제어부(60)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리미트 스위치(26)를 구비하여, 리미트 스위치(26)로부터 전기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구동부(20)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한다. 즉, 작업구간의 끝에 다다랐을 때 장애물에 닿으면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In the
한편, 가이드 부재(30)는 몸체(22)의 측면에 결합되는 결합구(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바(32)와, 결합바(32)의 끝단에 결합되어 용접대상물과 맞닿아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롤러(34) 및 결합바(32)와 롤러(34) 사이에 위치되어 롤러(34)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판(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롤러(34)와 구동부(20) 앞측의 바퀴에는 커버(38)를 씌워 용접시 발생되는 열로부터 보호하도록 한다. 여기서, 롤러(34)의 직경은 70mm로 형성하여 통상의 롤러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하므로써 용접시 롤러(34)를 고정하는 고정볼트가 용접대상물에 간섭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Meanwhile, the
한편, 조절판(36)은 상하로 장방향의 홀(35)이 형성되어 결합구(32)의 끝단에 결합되어 롤러(3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10)에서 조절판(36)을 통해 롤러(34)의 높이를 조절하므로써 용접대상물의 끝단부 높이가 낮아도 용접이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Thus,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고정부재(40)는 구동부(20) 상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면이 'ㄷ'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슬라이딩턱(42)이 형성되고, 일측 측면 상에 장방향의 슬라이딩홀(44)이 형성된다.
As the
홀딩부재(50)는 고정부재(40)의 슬라이딩턱(42)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토치 프레임(52)과 토치 프레임(52)의 상측에 결합되어 용접토치를 고정시키고 용접토치의 용접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클램프(5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토치 프레임(52)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이 고정부재(40)의 슬라이딩턱(4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턱(42)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일측 측면에 나사홀(53)이 형성되어 슬라이딩턱(42)의 장방향의 슬라이딩홀(44)을 통해 결합되는 조임볼트(46)에 의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토치 프레임(52)은 고정부재(40)에 고정된다. 한편, 용접토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54)는 토치 프레임(52) 상에 양측에 이격되어 2개 설치되어 구동부(20)의 리미트 스위치(26)에 의해 구동부(20)의 동작이 멈추었을 시 비 용접구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The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는 용접토치가 장착된 홀딩부재를 고정부재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므로써 각도가 심한 곳의 용접부분에서 용접토치의 각도를 기울일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각도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we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ilt the welding torch at the welding part in a severe angle by slidably installing the holding member equipped with the welding torch on the fixing member. It has the effect of doing the job.
또한, 구동부에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므로써 구동부와 용접대상물 사이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용접 후 용접부분의 굴곡이 없어 외관상 깔끔함을 제공하고, 2개의 클램프를 토치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하므로써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된 구간 사이를 줄여 비 용접구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member is installed in the driving unit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unit and the welding object, and there is no bending of the welded part after welding, thereby providing a clean appearance, and between the sections where the limit switch is installed by combining two clamps on both sides of the torch frame. It is effective to reduce the non-welding section by reducing the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1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접대상물의 각도에 따라 다양하게 용접토치의 각도를 조절하여 용접할 수 있다. 즉, (a)는 대략 30°, (b)는 45°, (c)는 70°, (d)는 90°의 각도에서 용접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용접되는 각도에 따라 토치 프레임(52)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위치를 조절하고, 이후, 클램프(54)로 용접토치의 각도를 조절하여 용접대상물을 용접할 수 있도록 한다.
As such,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weld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merely described, for exampl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is is possible.
10 : 자동용접장치 20 : 구동부
22 : 몸체 30 : 가이드 부재
32 : 결합바 34 : 롤러
36 : 조절판 40 : 고정부재
42 : 슬라이딩턱 44 : 슬라이딩홀
50 : 홀딩부재 52 : 토치 프레임
54 : 클램프 60 : 제어부10: automatic welding device 20: drive unit
22: body 30: guide member
32: bonding bar 34: roller
36: adjustment plate 40: fixing member
42: sliding jaw 44: sliding hole
50: holding member 52: torch frame
54
Claims (6)
용접구간을 이동하기 위한 구동부(20)와;
상기 구동부(20) 상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40)와;
상기 고정부재(40)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용접토치를 고정시키고 상기 용접토치의 용접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홀딩부재(50)와;
상기 구동부(20)상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20)의 이송속도 및 이송방향을 제어하고, 상기 용접토치의 점화 및 소화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구동부(20)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바퀴가 전후측에 설치되는 몸체(22)를 갖고, 상기 몸체(22)에 설치되어 용접대상물과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용접대상물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30)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부재(30)는 상기 구동부(20)의 몸체(22)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바(32)와;
상기 결합바(32)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용접대상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롤러(34) 및;
상기 결합바(32)와 상기 롤러(34)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롤러(34)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판(36)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40)는 양측면이 'ㄷ'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슬라이딩턱(42)이 형성되고, 일측 측면 상에 장방향의 슬라이딩홀(4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용접장치.
In the automatic weld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 transfer,
A driving unit 20 for moving the welding section;
A fixing member 40 fixedly installed on the driving unit 20;
A holding member (50) installed slidably on the fixing member (40) for fixing a welding torch and adjusting a welding angle of the welding torch;
It is installed on the drive unit 20, and comprises a control unit 60 for controlling the feed speed and the direction of the drive unit 20, and controls the ignition and extinguishing of the welding torch;
The drive unit 20 has a body 22, the wheel driven by the motor is installed in the front and rear side, is installed to the body 22 is formed to move along the welding object by adjusting the distance to the welding object Including a guide member 30;
The guide member 30 includes a coupling bar 32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ody 22 of the drive unit 20;
A roller 34 coupled to an end of the coupling bar 32 to be movable along the welding object;
Located between the coupling bar 32 and the roller 34 includes a control plate 36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roller 34,
The fixing member 40 is a sliding jaw 42 is formed so that both sides have a cross-section ''', automatic wel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hole 4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on one side.
상기 홀딩부재(50)는 측면이 상기 고정부재(40)의 슬라이딩턱(4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토치 프레임(52)과;
상기 토치 프레임(52)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용접토치를 고정시키고, 용접토치의 용접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클램프(54)를 포함하되;
상기 클램프(54)는 비 용접구간을 줄이기 위해 상기 토치 프레임(52) 상에 양측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용접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holding member 50 includes a torch frame 52 having a side surfac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jaw 42 of the fixing member 40 to be slidable;
A clamp 54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torch frame 52 to fix the welding torch and to adjust a welding angle of the welding torch;
The clamp (54) is automatic wel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both sides on the torch frame (52) to reduce the non-welding interv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1719U KR200459485Y1 (en) | 2010-02-18 | 2010-02-18 | Automatic welding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1719U KR200459485Y1 (en) | 2010-02-18 | 2010-02-18 | Automatic welding mach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8270U KR20110008270U (en) | 2011-08-24 |
KR200459485Y1 true KR200459485Y1 (en) | 2012-03-27 |
Family
ID=45597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1719U Expired - Lifetime KR200459485Y1 (en) | 2010-02-18 | 2010-02-18 | Automatic welding mach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9485Y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548981B (en) * | 2024-01-11 | 2024-03-22 | 陕西建工泾渭钢结构有限公司 | Intelligent welding equipment for steel structure and application method of intelligent welding equipmen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7850B1 (en) * | 2007-10-05 | 2008-03-31 |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 Automatic brazing device for heat exchanger |
KR100879545B1 (en) * | 2007-10-22 | 2009-03-03 | 우영산업 주식회사 | Combined Bar Clinching Device |
-
2010
- 2010-02-18 KR KR2020100001719U patent/KR200459485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7850B1 (en) * | 2007-10-05 | 2008-03-31 |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 Automatic brazing device for heat exchanger |
KR100879545B1 (en) * | 2007-10-22 | 2009-03-03 | 우영산업 주식회사 | Combined Bar Clinch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8270U (en) | 2011-08-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517798B2 (en) | Steel slab welding equipment | |
US20160368084A1 (en) | Working apparatus | |
WO2020000108A1 (en) | Trackless welding carriage with guide wheel | |
JP4632431B2 (en) | Arc welding equipment | |
KR200459485Y1 (en) | Automatic welding machine | |
KR101925186B1 (en) | Apparatus for steel plate butt submerged arc welding | |
KR100924720B1 (en) | Welding carriage | |
KR20090068558A (en) | Vertical welding device | |
KR20160037322A (en) | Welding servo carriage | |
US20230081560A1 (en) | Gas shield arc welding meth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eel pipe | |
KR20130025160A (en) | A welding automation welding device high-speed carbonic acid gas and mixed gas | |
KR101273169B1 (en) | Plasma automatic welding machine for butt welding to panel plate | |
CN108723647A (en) | A kind of high duty metal pipe welder | |
KR102094104B1 (en) | Automatic welding apparatus for pipe inside using strip electrode | |
JP5752828B1 (en) | Welding equipment for large structures | |
JP4434066B2 (en) | Backing support device and arc welding device | |
KR101820769B1 (en) | Both-way welding automated apparatus | |
KR101379060B1 (en) | submerged arc welding device built in controller at the carrige and controlling method | |
JP2004098124A (en) | Welding method and welding system | |
KR101186114B1 (en) | a hand filet welding carriage | |
KR20090012547U (en) | Portable weld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 transfer | |
KR20180077488A (en) | Submerged arc welding device | |
JP7020858B2 (en) | Seam welder and its welding method | |
KR101925187B1 (en) | Apparatus for steel plate butt submerged arc welding | |
JP6876222B2 (en) | Welding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0218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1017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2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203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0320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3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