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456756Y1 - 기능성 난간지주 - Google Patents

기능성 난간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756Y1
KR200456756Y1 KR2020090016194U KR20090016194U KR200456756Y1 KR 200456756 Y1 KR200456756 Y1 KR 200456756Y1 KR 2020090016194 U KR2020090016194 U KR 2020090016194U KR 20090016194 U KR20090016194 U KR 20090016194U KR 200456756 Y1 KR200456756 Y1 KR 2004567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screw
reinforcement
functional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1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146U (ko
Inventor
유은상
Original Assignee
유은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은상 filed Critical 유은상
Priority to KR20200900161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756Y1/ko
Publication of KR201100061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1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7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75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 Y10S256/05Metal po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능성 난간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이나 도로 등 다양한 시설물에 시공되는 난간 지주를 호환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 시공장소에 기설치된 기초철근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기능성 난간지주에 관한 것이다.
기초철근, 시공편리성, 호환성이 뛰어남

Description

기능성 난간지주{FUNCTIONAL PARAPET SUPPORT}
본 고안은 기능성 난간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이나 도로 등 다양한 시설물에 시공되는 난간 지주를 호환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 시공장소에 기설치된 기초철근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기능성 난간지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도로 등을 비롯한 다양한 시설물에 왕래하는 차량이나 사
람의 낙하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이 설치된다. 이러한 난간은 수직방향으
로 세워 설치되는 지주와 이 지주에 수평 또는 교차방향으로 결합된 난간대로 이루
어지며, 통상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다수의 지주를 소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이 지
주에 난간대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시공된다.
도 1에 상기한 방식으로 시공되는 종래 난간의 지주 설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시공면에 고정되어 있는 볼트(20)의 측방에 지주(10)를 세워 배치한 다음, 지주(10)의 일측을 클램프(30)를 이용하여 볼트(20)에 밀착되도록 체결하고, 이 클램프(30)가 체결된 부분보다 위쪽부분을 별도의 체결구(40)를 이용하여 상기 볼트(20)와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의 다른 볼트(20')에 연결하여 지주(10)를 고정시켰다. 상기 클램프(30)는 비계 설치에 사용되는 통상의 것으로 힌지결합된 두 개의 부재가 볼트(31) 및 너트(32)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이고, 상기 체결구(40)는 지지바아(43)의 양측에 각각 상기 지주(10)에 볼트(47) 및 너트(48)로 체결되는 결합부재(15) 및 상기 볼트(20')의 헤드에 걸어 체결되는 고리형 결합부재(41)가 힌지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종래의 지주(10)는 볼트(20)에 외접한 상태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구조였기 때문에, 상기 클램프(30)에 의한 일점 체결만으로는 지주(10)의 고정이 불안정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체결구(40)를 지주(10)의 다른 위치에 추가로 체결해야만 했다. 이에 따라, 지주(10)의 설치에 많은 자재비용이 소요되며, 설치작업도 불편하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지주(10)와 인접한 볼트(20)가 전체적으로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볼
트(20)의 헤드(21) 형태에 따라 지주(10)에 함몰부(11)를 형성하고, 시공면 상의 돌부(22) 형태에 따라 지주(10)에 절개홈(30)을 형성해야 하며, 특히 상기 함몰부(11)를 현장에서 타격 또는 가압하여 형성함으로 인해 지주(10)의 손상 및 구조적 약화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한 본원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한 실용신안등록20-0439600호(2008.04.21) 난간지주는 시공면에 세워진 상태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볼트(20)에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된 난간 지주에 있어서, 상기 볼 트(20)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된 관체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삽입된 볼트(20)의 헤드(21)가 외부로 돌출되는 관통공(10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삽입공(103)이 형성된 지주본체(100); 및 상기 지주본체(100)의 외부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공(103)을 향하는 방향으로 결합공(111)이 형성된 지지부재(110)와, 상기 삽입공(103)을 통해 왕복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재(110)의 결합공(111)에 나사결합되어 그 회전에 따라 상기 볼트(20)를 지주본체(100)의 내면에 가압 고정하는 고정스크류(122)로 이루어진 체결구(120)를 포함하는 난간 지주를 구성하였으나, 본원실용신안은 기초철근중에 "
Figure 112009076876096-utm00001
" 철근을 고정하기 어려워 다목적으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공면에 세워진 상태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돌출 기초철근(볼트철근, 일자형철근,
Figure 112009076876096-utm00002
철근)에 적용하여 체결할 수 있는 기능성 난간지주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해결 수단은 시공면에 세워진 상태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돌출 기초철근(볼트철근, 일자형철근,
Figure 112009076876096-utm00003
철근에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된 난간 지주에 있어서, 상기 기초철근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외부에서 안쪽으로 형성한 안착홈을 상기 안착홈의 상부에는 기초철근중에 머리가 있는 볼트를 장착시 머리가 외부에서 안쪽으로 장착되도록 관통구가 형성된 관체로 형성되며 측면에 제1체결너트가 용접고정된 지주본체; 상기 제1체결너트에 공구취부가 형성된 이송스크류를 장착하고, 상기 이송스크류를 고정하도록 후면에 락너트를 구성하고, 이송스크류의 전방에는 기초철근을 고정할 수 있도록 제1가로지지대와 제2가로지지대의 사이에 다수개의 밀착홈이 형성된 밀착판과 이송스크류와 맞물리는 제2체결너트를 포함한 갈고리형 브라켓; 및 상기 지주본체의 이송스크류를 회전하여 느슨하게 한후에 기초철근위에 끼워 장착한 후에 이송스크류를 회전하여 고정하고 풀리지 않도록 락너트를 고정하여 결합하여 달성하였다.
본 고안은 기초철근과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기초철근에 고정하기 위한 갈고리형 브라켓의 하부면인 지주본체의 외부측면에 축핀과 T자형 볼트와 걸이홈이 형성된 좌우측브라켓을 포함한 클램프부를 더 구성하여 달성하였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지주본체 내부에 삽입된 볼트를 체결구에 구비된 고정스크류를 통해 측방에서 가압하여 지주본체의 내주면에 볼트 전체가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추가적인 체결부재 없이도 견고하고 신속하게 지주를 설치할 수 있어 난간 시공에 소요되는 부자재 비용과 인력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를 필요에 따라 지주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해지고 공간 소요도 줄일 수 있으며, 설치 장소의 여건에 따라 체결구의 위치를 조절하여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고정스크류의 선단부에 볼트 외주면에 대응되는 가압면이 형성된 푸셔를 구비하여 고정스크류에 의한 가압력이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고정스크류에 의한 가압 및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고 시공 후 지주의 설치 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내지 도 9에 도시한 본 고안의 기능성 지주난간은 시공면에 세워진 상태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돌출된 볼트철근, 일자형철근,
Figure 112009076876096-utm00004
철근 등에 호환이 가능하도록 설계한 것을 요지로 하고 있다.
본 고안은
Figure 112009076876096-utm00005
철근(350)에 장착하거난 머리부분이 있는 볼트철근(310) 등에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지주본체(110)에 안착홈(120)을 형성하고 갈고리브라켓(240)을 구성하여 기초철근을 견고하게 물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본 고안의 기능성 난간지주에 장착된 갈고리부라켓(240)은 제1체결너트(190)에 공구취부(230)가 형성된 이송스크류(210)를 장착하고, 상기 이송스크류(210)를 고정하도록 후면에 락너트(220)를 구성하고, 이송스크류의 전방에는 기초철근을 고정할 수 있도록 제1가로지지대(150)와 제2가로지지대(160)의 사이에 다수개의 밀착홈(170)이 형성된 밀착판(180)과 이송스크류(210)와 맞물리는 제2체결너트(200)로 구성된다.
상기 제1,2가로지지대(150,160)의 사이에는 철근을 고정할 수 있도록 밀착홈(170)이 일정한 간격(철근의 돌기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하여 구성한 밀착판(180)을 구성하였다.
철근의 돌기에 맞물려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지주본체의 안착홈(120)에 안착되어 고정하여 밀착할 수 있는 면적을 높이도록 구성하였다.
지주본체(110)에 제1체결너트(190)를 용접하여 고정하고 상기 제1체결너트에 공구취구(230)가 형성된 이송스크류에 락너트(220)를 조립하여 제2체결너트(200)와 결합하였다. 상기 제2체결너트는 제1,2가로지지대의 사이에 밀착판을 구성하여 결합하였다.
공구취부(230)에 공구를 끼워 이송스크류를 회전시켜 느슨하게 한 후에 철근에 장착한 후에 다시 이송스크류를 견고하게 조이면 갈고리부라켓(240)이 철근을 밀착하여 고정된다.
도 5과 내지 9에 도시한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의 가능성 난간지주는 본 고안은 기초철근과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기초철근에 고정하기 위한 갈고리형 브라켓(240)의 하부면인 지주본체(110)의 외부측면에 축핀(290)과 T자형 볼트(270)와 걸이홈(280)이 형성된 좌우측브라켓(250,260)을 포함한 클램프부(320)를 더 구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좌우측브라켓을 고정하도록 축핀으로 고정하고 우측클램프가 열리도록 하여 철근에 끼운후 닫아 T자형 볼트로 고정하도록 하였다.
시공면에 세워진 상태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돌출 기초철근(볼트철근, 일자형철근,
Figure 112009076876096-utm00006
철근에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된 난간 지주에 있어서, 상기 기초철근(20)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외부에서 안쪽으로 형성한 안착홈(120)을 상기 안착홈의 상부에는 기초철근중에 머리가 있는 볼트철근(310)을 장착시 머리가 외부에서 안쪽으로 장착되도록 관통구(140)가 형성된 관체로 형성되며 측면에 제1체결너트(200)가 용접고정된 지주본체(110); 상기 제1체결너트(190)에 공구취부(230)가 형성된 이송스크류(210)를 장착하고, 상기 이송스크류를 고정하도록 후면에 락너 트(220)를 구성하고, 이송스크류의 전방에는 기초철근을 고정할 수 있도록 제1가로지지대(150)와 제2가로지지대(160)의 사이에 다수개의 밀착홈(170)이 형성된 밀착판(180)과 이송스크류와 맞물리는 제2체결너트(200)를 포함한 갈고리형 브라켓(240); 및 상기 지주본체의 이송스크류를 회전하여 느슨하게 한 후에 기초철근위에 끼워 장착한 후에 이송스크류를 회전하여 고정하고 풀리지 않도록 락너트를 고정하여 결합하고, 기초철근에 고정하기 위한 갈고리형 브라켓의 하부면인 지추본체의 외부측면에 축핀(290)과 T자형 볼트(310)와 걸이홈(280)이 형성된 좌우측브라켓(250,260)을 포함한 클램프부(320)를 더 구성한 특징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철근에 고정시에는 지주본체에 관통구를 형성하여 볼트의 머리가 외부에서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도 9에 도시한 본 고안의 기능성 지주난간은
Figure 112009076876096-utm00007
철근은 고정하도록 갈고리브라켓(240)과 클램프부(320)로 견고히 고정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모양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지주난간을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종래의 지주난간을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능성 지주난간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능성 지주난간의 작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디른 실시예의 기능성 지주난간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능성 지주난간의 작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기능성 지주난간을 철근에 장착한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기능성 지주난간을 볼트철근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기능성 지주난간을
Figure 112009076876096-utm00009
철근에 장착한 상태도.
* 도면을 주요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
100 : 고리 110 : 지주본체
120 : 안착홈 130 : 고정스크류
140 : 관통구 150 : 제1가로지지대
160 : 제2가로지지대 170 : 밀착홈
180 : 밀착한 190 : 제1체결구
200 : 제2체결구 210 : 고정스크류
220 : 고정너트 230 : 공구취부
240 : 갈고리형 브라켓 250 : 좌측브라켓
260 : 우측브라켓 270 : T형 볼트
280 : 걸이홈 290 : 축
300 : 너트 310 : 볼트철근
320 : 클램프부

Claims (2)

  1. 시공면에 세워진 상태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돌출 기초철근(볼트철근, 일자형철근,
    Figure 112009076876096-utm00008
    철근에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된 난간 지주에 있어서,
    상기 기초철근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외부에서 안쪽으로 형성한 안착홈을 상기 안착홈의 상부에는 기초철근중에 머리가 있는 볼트를 장착시 머리가 외부에서 안쪽으로 장착되도록 관통구가 형성된 관체로 형성되며 측면에 제1체결너트가 용접된 지주본체;
    상기 제1체결너트에 공구취부가 형성된 이송스크류를 장착하고, 상기 이송스크류를 고정하도록 후면에 락너트를 구성하고, 이송스크류의 전방에는 기초철근을 고정할 수 있도록 제1가로지지대와 제2가로지지대의 사이에 다수개의 밀착홈이 형성된 밀착판과 이송스크류와 맞물리는 제2체결너트를 포함한 갈고리형 브라켓; 및 상기 지주본체의 이송스크류를 회전하여 느슨하게 한후에 기초철근위에 끼워 장착한 후에 이송스크류를 회전하여 고정하고 풀리지 않도록 락너트를 고정하여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난간지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본체는
    기초철근에 고정하기 위한 갈고리형 브라켓의 하부면인 지추본체의 외부측면 에 축핀과 T자형 볼트와 걸이홈이 형성된 좌우측브라켓을 포함한 클램프부를 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난간지주.
KR2020090016194U 2009-12-14 2009-12-14 기능성 난간지주 Expired - Lifetime KR2004567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194U KR200456756Y1 (ko) 2009-12-14 2009-12-14 기능성 난간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194U KR200456756Y1 (ko) 2009-12-14 2009-12-14 기능성 난간지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146U KR20110006146U (ko) 2011-06-22
KR200456756Y1 true KR200456756Y1 (ko) 2011-11-21

Family

ID=45569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194U Expired - Lifetime KR200456756Y1 (ko) 2009-12-14 2009-12-14 기능성 난간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75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06865A (zh) * 2021-03-04 2021-07-13 广东联天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的桥梁施工支撑托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057Y1 (ko) 2006-06-08 2006-09-19 주식회사 엠코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 설치용 노출철근 파지식 하부연결구
KR200426056Y1 (ko) 2006-06-08 2006-09-19 주식회사 엠코 노출철근을 이용한 직접 착탈식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
KR200439600Y1 (ko) 2007-05-31 2008-04-21 유은상 난간 지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057Y1 (ko) 2006-06-08 2006-09-19 주식회사 엠코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 설치용 노출철근 파지식 하부연결구
KR200426056Y1 (ko) 2006-06-08 2006-09-19 주식회사 엠코 노출철근을 이용한 직접 착탈식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
KR200439600Y1 (ko) 2007-05-31 2008-04-21 유은상 난간 지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146U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8846B2 (ja) コンクリート壁高欄の取付け構造
EP0711889A2 (en) Form panel
KR101387296B1 (ko) 교량의 점검 및 보수 유지관리를 위한 레일 걸이식 점검통로
US8245816B2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KR20120003729U (ko) 시스템서포트 헤드
KR101599748B1 (ko) 건식 벽돌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456756Y1 (ko) 기능성 난간지주
KR100737841B1 (ko)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고정 클램프
KR200460577Y1 (ko) 난간 지주
KR100499978B1 (ko) 강판을 이용한 단위 교량승상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교량승상 시공방법
KR100688149B1 (ko) 강교용 안전 난간의 지지 구조물
ES2385022T3 (es) Balaustrada para andamio modular
KR20030000991A (ko) 교량 시공을 위한 까치발 설치장치
KR200314568Y1 (ko) 건축용 갱폼의 안전난간 체결용 클램핑 구조
KR200430532Y1 (ko) 난간지지봉 결합구조
KR102289940B1 (ko)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JPH0738724Y2 (ja) 柵柱用ポール取付具
ES2229895B1 (es) Sistema de encofrado recuperable para forjados y el procedimiento de montaje y recuperacion.
KR100685440B1 (ko) 거푸집용 지지구
KR200439600Y1 (ko) 난간 지주
JP4321779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締付金具
CN217631722U (zh) 一种建筑井道防护栏
KR200247460Y1 (ko) 교량 시공을 위한 까치발 설치장치
CN221168798U (zh) 一种护栏柱组件与护栏装置及建筑平台
JP3772116B2 (ja) 土留め擁壁ブロック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121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111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0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