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940B1 -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 Google Patents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89940B1 KR102289940B1 KR1020190111051A KR20190111051A KR102289940B1 KR 102289940 B1 KR102289940 B1 KR 102289940B1 KR 1020190111051 A KR1020190111051 A KR 1020190111051A KR 20190111051 A KR20190111051 A KR 20190111051A KR 102289940 B1 KR102289940 B1 KR 1022899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pin
- formwork
- vertical
- horizont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04G5/046—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for fastening scaffoldings on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체(1300)에 돌출되거나 상기 콘크리트 벽체 형성을 위해 설치된 거푸집(1200)의 프레임에 돌출되거나, 상기 거푸집 프레임에 끼워지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에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1100);와, 상기 결합부(1100)에 장착되어 발판으로 활용되는 가설발판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1100)는 상기 고정수단에 고정되되, 상기 콘크리트 벽이나 상기 거푸집면에 접하면서,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프레임(1110);과 상기 수직프레임(1110)의 소정부위에 결합되되 상기 콘크리트 벽이나 상기 거푸집면에 돌출되면서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수평프레임(1120)과, 상기 수직프레임(1110)의 소정부위와 상기 수평프레임(1120) 소정부위를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110)과 상기 수평프레임(1120)을 결합하는 경사프레임(11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프레임(1110)과 수평프레임(1120)과 경사프레임(1130)은 각각 제작되어 결합되거나, 일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 공사 형틀 작업자가 일할 수 있도록 공사장에 시설하는 공사용 가설 적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것은 거푸집 체결구나, 콘크리트 벽체에 돌출되거나 상기 콘크리트 벽체 형성을 위해 설치된 거푸집의 프레임에 돌출되거나, 상기 거푸집 프레임에 끼워지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에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여,
타설된 콘크리트 벽면 또는 콘크리트 벽체 형성을 위해 설치된 거푸집의 프레임에 돌출되거나, 상기 거푸집 프레임에 끼워지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에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와 결합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과 결합하며, 지면과 평행하게 결합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사이를 결합하는 경사프레임 등을 이용하여 발판으로 연결할 수 있게 구성하여 결합 구조를 간결하게 하며 조립이 견고하게 되고 설치와 해체가 편리하도록 개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사다리, 우마, 비티, 아시바, 비계등은 전도의 위험과 설치공간 확보가 안 되는 구간이 존재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으며, 종래의 건축용 비계는 첨부된 도면 도1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4개의 비계기둥(A)을 두 개의 가로대(B1)와 두 개의 세로대(B2)로 연결하고, 전도 방지를 위하여 지면과 기둥을 연결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프레임을 설치하며,
양측 세로대(B2) 사이에 양측 단에 걸고리가 구비된 직4각형의 발판(C)을 설치하여 발판의 양측 걸고리가 비계기둥과 비계기둥을 연결하는 세로대(B2)위에 포개어져 고정되게 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조립과정을 보면 4개의 비계기둥을 가로대와 세로대를 사용하여 가설한 다음, 전도 방지를 위하여 지면과 기둥을 연결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프레임을 설치하고, 세로대 사이에 발판을 설치하여 발판의 양측 걸고리가 세로대 위에 포개어져 고정되게 하는 구성이므로, 전도방지 경사프레임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의 확보가 필요하며, 발판이 세로대 위에서 아래로 작용하는 중량에 의하여 지지가 되기 때문에 체결력이 부실하여 진동이나, 충격에 발판이 쉽게 흔들리고 밑에서 위로 작용하는 힘을 받으면 이완되어 붕괴되므로 안전사고가 유발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등록특허 10-1654483호의 비계장치는 비계프레임의 하단을 지면에 고정하기 위해서 각각의 앵커 볼트를 지면에 정착시키고, 이 각각의 앵커 볼트와 비계프레임의 하단을 브래킷으로 고정해야 하는 작업을 해야 하므로 시공시간이 많이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형틀 거푸집 조립시 거푸집과 거푸집사이 구비된 체결구를 이용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콘크리트 벽체에 돌출되거나 상기 콘크리트 벽체 형성을 위해 설치된 거푸집의 프레임에 돌출되거나, 상기 거푸집 프레임에 끼워지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에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여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체에 돌출되거나 상기 콘크리트 벽체 형성을 위해 설치된 거푸집의 프레임에 돌출되거나, 상기 거푸집 프레임에 끼워지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에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와 결합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과 결합되며, 지면과 평행하게 결합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사이를 결합하는 경사프레임을 구비하여 콘크리트 벽체에 공사용 가설발판을 고정시키므로 진동이나, 충격에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체에 돌출되거나 상기 콘크리트 벽체 형성을 위해 설치된 거푸집의 프레임에 돌출되거나, 상기 거푸집 프레임에 끼워지는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므로 전도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고 간편하게 설치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은 콘크리트 벽체(1300)에 돌출되거나 상기 콘크리트 벽체 형성을 위해 설치된 거푸집(1200)의 프레임에 돌출되거나, 상기 거푸집 프레임에 끼워지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에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1100)와, 상기 결합부(1100)에 장착되어 발판으로 활용되는 가설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1100)는 상기 고정수단에 고정되되, 상기 콘크리트 벽이나 상기 거푸집면에 접하면서,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프레임(1110);과 상기 수직프레임(1110)의 소정부위에 결합되되 상기 콘크리트 벽이나 상기 거푸집면에 돌출되면서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수평프레임(1120)과 상기 수직프레임(1110)의 소정부위와 상기 수평프레임(1120) 소정부위를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110)과 상기 수평프레임(1120)을 결합하는 경사프레임(11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프레임(1110)과 수평프레임(1120)과 경사프레임(1130)은 각각 제작되어 결합되거나, 일체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벽체(1300)에 돌출된 고정수단은 상기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301)와 상기 돌출부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용 핀을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홈(1302);이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벽체 형성을 위해 설치된 거푸집(1200)의 프레임에 돌출된 고정수단은 상기 거푸집(1200)의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301)와 상기 돌출부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용 핀을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홈(130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1301)의 삽입홈(1302)에는 웨지핀(1116)이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거푸집의 프레임에 끼워지는 고정수단은 상기 거푸집(1200)의 프레임에 고정용 핀을 삽입할 수 있도록 고정구 삽입홈(1210)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 삽입홈(1210)은 상기 거푸집(1200)과 인접 거푸집(1200)을 연결하는 거푸집 프레임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상부 고정구 삽입구(1220)와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서 상기 상부 고정구 삽입구(1220)와 통공되도록 형성되는 측면 고정구 삽입구(1230)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고정구 삽입구(1220)와 측면 고정구 삽입구(1230)를 이용하여 거푸집 프레임에 상부면에 수직프레임(111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 프레임의 상부면에 수직프레임(1110)의 결합은 상기 상부 고정구 삽입구(1220)와 상기 수직프레임(1110)의 체결핀 결합홈(1114)이 일치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체결핀 결합홈(1114)에서 상기 상부 고정구 삽입구(1220)로 제1 체결핀(1116-1)을 삽입하고, 상기 측면 고정구 삽입구(1230)에 제2 체결핀(1116-2)을 삽입하되, 상기 제2 체결핀(1116-2)은 거푸집(1200) 측면에 형성된 측면 고정구 삽입구(1230)를 통과한 후 상기 상부 고정구 삽입구(1220)에 삽입된 제1 체결핀(1116-1)에 형성된 고정핀 삽입홈(1116c)과 인접한 거푸집(1200) 측면에 형성된 측면 고정구 삽입구(1230)를 통과하여 고정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1110)과 수평프레임(1120), 경사프레임(1130)에는 고정구와 결합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상이 상이한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삽입홈은 거푸집 고정용 플랫타이가 삽입되는 고정구 삽입홈(1113), 체결핀(1500)이 삽입되는 체결핀 결합홈(1114), 웨지핀(1116)이 삽입되는 웨지핀 결합홈(111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구 삽입홈(1113)과 웨지핀 결합홈(1115)은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핀(1500)의 걸림턱이 있는 단부를 체결핀 걸림턱 단부(1501)와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부를 가진 단부를 체결핀 뽀족단부(1502)와, 상기 웨지핀(1116)의 걸림턱이 있는 단부를 웨지핀 걸림턱 단부(1116a)라하고,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부를 가진 단부를 웨지핀 뽀족단부(1502, 1116b)라 할 때, 상기 체결핀(1500)의 뽀족단부와 웨지핀(1116)의 뽀족단부에는 체결핀(1500)과 웨지핀(1116)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는 각각의 고정핀 삽입홈(1503, 1116c)이 더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110)과 수평프레임(1120), 경사프레임(1130)의 단면부의 형상은 기억("ㄱ")자, 디긋("ㄷ")자, 일("ㅡ")자, 미음자("ㅁ") 형상 중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1110)과 수평프레임(1120), 경사프레임(1130)에는 고정구 삽입홈(1113)과 체결핀 결합홈(1114), 웨지핀 결합홈(1115)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단면이 기억("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직프레임(1110)은 상기 콘크리트(1300)의 벽면과 맞닿는 면을 수평면(1111)으로 하고, 상기 수평면(1111)에 수직으로 돌출된 면을 수직면(1112)로 구분했을 때, 상기 수평면(1111)과 수직면(1112)에는 고정구 삽입홈(1113)이 형성되되, 동일한 높이에서 수평면에는 고정구 삽입홈(1113)이 형성되면, 수직면에는 웨지핀 결합홈(1115)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 삽입홈(1113)과 웨지핀 결합홈(1115)은 교차되게 다수개의 층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디긋("ㄷ")자 단면 형상의 고정구 결합부(1100)에서 디긋("ㄷ")자 단면을 기준으로 상부면과 수직면, 하부면으로 칭하고, 일("ㅡ")자단면 형상의 지지편에서 단면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디긋("ㄷ")자 단면 형상의 고정구의 상부면 및 하부면과 일("ㅡ")자 단면 형상의 고정구의 상부면에는 고정구 삽입홈(1113)이 수평형과 수직형의 삽입홈이 교차되면서 다수개 층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 삽입홈(1113)와 웨지핀 결합홈(1115)이 교차되도록 형성된 다수 개 층 사이에 체결핀이 삽입되는 체결핀 결합홈(1114)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110)과 수평프레임(1120), 경사프레임(1130)의 결합은 상호 교차되는 위치에 형성된 체결핀 결합홈(1114) 또는 웨지핀 결합홈(1115)에 체결핀 또는 웨치핀을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1110)과 수평프레임(1120) 또는 경사프레임(1130) 결합에 사용되는 웨지핀(1500)은 결합간극을 조절할 수 있도록 웨지핀 뽀족단부에 형성된 고정핀 삽입홈(1503, 1116c)에 삽입하여 상기 웨지핀(1500)의 두께에 의하여 결합간극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1110)의 길이이음은 이음 연결되는 수직프레임(1110)의 단부와 단부 사이에 별도로 제작된 수직프레임(1110)에 형성된 삽입홈이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된 이음부(1400)를 겹치도록 형성하여 겹친 부분에 형성된 체결핀 결합홈(1114) 또는 웨지핀 결합홈(1115)에 체결핀 또는 웨치핀을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벽체(1300) 혹은 거푸집(1200)에 일정한 간격으로 매립된 고정구(1310)와 결합되는 수직프레임(1110)과, 상기 수직프레임(1110)과 결합되며, 지면과 평행하게 결합되는 수평프레임(1120)과, 상기 수직프레임(1110)과 수평프레임(1120) 사이를 경사프레임(1130)으로 결합하며,
상기 수평프레임(1120)의 상부면에 통상의 아시바클램프(1720)를 이용하여 수평용 파이프(1710)를 설치하되, 상기 수평용 파이프(1710)의 일단부는 상기 콘크리트 벽체(1300) 혹은 거푸집(1200)에 매립된 고정구(1310)와 결합되는 수직프레임(1110)에서 일정한 간격 띠우고, 타단부에는 지면에 받침판으로 지지되는 수직용 파이프(1730)를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여 교차하도록 하여, 상기 수직용 파이프(1730)와 수평용 파이프(1710)의 교차 지점에는 통상의 아시바클램프를 이용하여 체결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통상의 거푸집용 앵글을 상기 수평프레임 측면 체결구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벽체(1300) 혹은 거푸집(1200)에 일정한 간격으로 매립된 고정구(1310)와 결합되는 수직프레임(1110)과 결합된 수평프레임(1120)의 상부면에 설치된 수평용 파이프(1710)의 타단부에 체결된 수직용 파이프(1730)와 수평용 파이프(1710)의 교차 지점에는 상기 일정한 간격의 교차지점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2수평 파이프(1740)를 결합하며, 상기 수직용 파이프(1730)와 수평용 파이프(1710), 제2수평 파이프(1740)의 결합은 통상의 아시바 고정 클램프(1750)를 이용하며, 상기 지지대(1800)와 제2 지지대(1810) 상부에 결합되어 평행하게 설치된 수평용 파이프(1710)를 이용하는 걸이부로 사용하는 발판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거푸집(1200)의 프레임에 고정용 핀을 삽입할 수 있도록 고정구 삽입홈(1210)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 삽입홈(1210)은 상기 거푸집(1200)과 인접 거푸집(1200)을 연결하는 거푸집 프레임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상부 고정구 삽입구(1220)와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서 상기 상부 고정구 삽입구(1220)와 통공되도록 형성되는 측면 고정구 삽입구(1230)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고정구 삽입구(1220)와 측면 고정구 삽입구(1230)를 이용하여 거푸집 프레임에 상부면에 수직프레임(1110)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거푸집 프레임의 상부면에 수직프레임(1110)의 결합은 상기 상부 고정구 삽입구(1220)와 상기 수직프레임(1110)의 체결핀 결합홈(1114)이 일치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체결핀 결합홈(1114)에서 상기 상부 고정구 삽입구(1220)로 제1 체결핀(1116-1)을 삽입하고, 상기 측면 고정구 삽입구(1230)에 제2 체결핀(1116-2)을 삽입하되, 상기 제2 체결핀(1116-2)은 거푸집(1200) 측면에 형성된 측면 고정구 삽입구(1230)를 통과한 후 상기 상부 고정구 삽입구(1220)에 삽입된 제1 체결핀(1116-1)에 형성된 고정핀 삽입홈(1116c)과 인접한 거푸집(1200) 측면에 형성된 측면 고정구 삽입구(1230)를 통과하여 고정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은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된 고정구를 이용하여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고정구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서 돌출된 고정구의 끝단부에는 고정용 핀을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됨으로서 콘크리트 벽면에 매설된 고정구와 결합되는 수직프레임을 결합하여 고정구의 끝단부의 삽입홈에 고정용 핀을 삽입하여 고정하므로 진동이나, 충격에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의 길이의 연장은 별도로 제작된 이음부를 겹치도록 형성하고 겹친부분에 형성된 체결핀 결합홈 또는 웨지핀 결합홈에 체결핀 또는 웨치핀을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어 지형 및 공간에 따라 다양하게 최적의 조건을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경사프레임의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된 고정구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수직프레임, 웨지핀 및 체결핀 및 결합에 사용되는 이음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a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된 고정구를 이용하여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경사프레임을 이용하여 가설발편을 설치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b는 도 5 a의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된 고정구를 이용하여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경사프레임을 이용하여 가설발편을 상부에서 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웨지핀을 이용하여 결합간극을 조절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경사프레임을 이용하며, 수직파이프와 수평파이프를 클램프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B)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경사프레임을 이용하며, 수직파이프와 수평파이프를 클램프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로 거푸집에 매립된 고정구를 이용하여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경사프레임의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는 거푸집의 프레임에 형성된 고정구 삽입홈을 나타내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로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는 거푸집의 프레임에 형성된 고정구 삽입홈에 웨치핀이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로 거푸집의 프레임 상부면에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경사프레임으로 형성된 고정구 결합부가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로 거푸집의 프레임 상부면에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경사프레임으로 형성된 고정구 결합부가 조립된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로 거푸집의 프레임 상부면에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경사프레임으로 형성된 고정구 결합부가 조립된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경사프레임의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된 고정구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수직프레임, 웨지핀 및 체결핀 및 결합에 사용되는 이음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a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된 고정구를 이용하여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경사프레임을 이용하여 가설발편을 설치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b는 도 5 a의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된 고정구를 이용하여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경사프레임을 이용하여 가설발편을 상부에서 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웨지핀을 이용하여 결합간극을 조절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경사프레임을 이용하며, 수직파이프와 수평파이프를 클램프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B)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경사프레임을 이용하며, 수직파이프와 수평파이프를 클램프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로 거푸집에 매립된 고정구를 이용하여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경사프레임의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는 거푸집의 프레임에 형성된 고정구 삽입홈을 나타내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로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는 거푸집의 프레임에 형성된 고정구 삽입홈에 웨치핀이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로 거푸집의 프레임 상부면에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경사프레임으로 형성된 고정구 결합부가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로 거푸집의 프레임 상부면에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경사프레임으로 형성된 고정구 결합부가 조립된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로 거푸집의 프레임 상부면에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경사프레임으로 형성된 고정구 결합부가 조립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 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 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의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은 공사 시에 작업자가 일할 수 있도록 공사장에 시설하는 임시 가설물인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의 새로운 구성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것은 건축물의 외측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을 기준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수평프레임의 결합부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된 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므로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킨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에 대해 설명한다.
본원 발명의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은 콘크리트 벽체(1300)에 돌출되거나 상기 콘크리트 벽체 형성을 위해 설치된 거푸집(1200)의 프레임에 돌출되거나, 상기 거푸집 프레임에 끼워지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에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1100)와, 상기 결합부(1100)에 장착되어 발판으로 활용되는 가설발판이 설치되는 구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1100)는 상기 고정수단에 고정되되, 상기 콘크리트 벽이나 상기 거푸집면에 접하면서,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프레임(1110);과 상기 수직프레임(1110)의 소정부위에 결합되되 상기 콘크리트 벽이나 상기 거푸집면에 돌출되면서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수평프레임(1120)과 상기 수직프레임(1110)의 소정부위와 상기 수평프레임(1120) 소정부위를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110)과 상기 수평프레임(1120)을 결합하는 경사프레임(11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프레임(1110)과 수평프레임(1120)과 경사프레임(1130)은 각각 제작되어 결합되거나, 일체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벽체(1300)에 돌출된 고정수단은 상기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301)와 상기 돌출부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용 핀을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홈(1302);이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벽체 형성을 위해 설치된 거푸집(1200)의 프레임에 돌출된 고정수단은 상기 거푸집(1200)의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301)와 상기 돌출부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용 핀을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홈(130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1301)의 삽입홈(1302)에는 웨지핀(1116)이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핀(1500)의 걸림턱이 있는 단부를 체결핀 걸림턱 단부(1501)와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부를 가진 단부를 체결핀 뽀족단부(1502)와, 상기 웨지핀(1116)의 걸림턱이 있는 단부를 웨지핀 걸림턱 단부(1116a)라하고,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부를 가진 단부를 웨지핀 뽀족단부(1502, 1116b)라 할 때, 상기 체결핀(1500)의 뽀족단부와 웨지핀(1116)의 뽀족단부에는 체결핀(1500)과 웨지핀(1116)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는 각각의 고정핀 삽입홈(1503, 1116c)이 더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110)과 수평프레임(1120), 경사프레임(1130)의 단면부의 형상은 기억("ㄱ")자, 디긋("ㄷ")자, 일("ㅡ")자, 미음자("ㅁ") 형상 중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1110)과 수평프레임(1120), 경사프레임(1130)에는 고정구 삽입홈(1113)과 체결핀 결합홈(1114), 웨지핀 결합홈(1115)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단면이 기억("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직프레임(1110)은 상기 콘크리트(1300)의 벽면과 맞닿는 면을 수평면(1111)으로 하고, 상기 수평면(1111)에 수직으로 돌출된 면을 수직면(1112)로 구분했을 때, 상기 수평면(1111)과 수직면(1112)에는 고정구 삽입홈(1113)이 형성되되, 동일한 높이에서 수평면에는 고정구 삽입홈(1113)이 형성되면, 수직면에는 웨지핀 결합홈(1115)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 삽입홈(1113)과 웨지핀 결합홈(1115)은 교차되게 다수개의 층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은 콘크리트 벽체(1300)에 돌출되거나 상기 콘크리트 벽체 형성을 위해 설치된 거푸집(1200)의 프레임에 돌출된 고정수단인 고정구와 결합되며, 지면과 수직되는 수직프레임(1110)과, 상기 수직프레임(1110)과 결합되며, 지면과 평행하게 결합되는 수평프레임(1120)과, 상기 수직프레임(1110)과 수평프레임(1120) 사이를 경사지게 결합하여 보강하는 경사프레임(1130)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형틀 사이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경사프레임(1130)은 수평프레임(1120)의 상부와 수직프레임(1110)의 하부를 연결하되, 경사지게 연결하여 수평프레임(1120)강도를 더욱 보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경사프레임(1130)은 수평프레임(1120)의 상부와 하부에서 수직프레임(1110) 또는 콘크리트 벽체(1300) 또는 거푸집(1200)에 매설된 고정구(1310)를 이용하여 경사지게 연결하여 수평프레임(1120)강도를 더욱 보강할 수 도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수직프레임(1110)과 연결된 수평프레임(1120)의 타단부에는 상기 수직프레임(1110)과 평행하게 제2 수직프레임을 설치할 수 있으면 이러한 경우 제2의 수직프레임의 지면부분에는 제2 수직프레임의 단면보다 넓고 큰 받침판을 고정하여 지면에 지지시킴으로써 제2 수직 프레임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면에 지지하며 수평프레임(1120)을 지지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복수의 제2 수직 프레임의 사이에는 제2 수평프레임을 연결하여 보강할 수 도 있다.
상기 형상은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형상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외 통상의 범주내에서 사각 파이프 단면, 다각 파이프 단면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1110)과 수평프레임(1120), 경사프레임(1130)에는 고정구 삽입홈(1113)과 체결핀 결합홈(1114), 웨지핀 결합홈(1115)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단면이 기억("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직프레임(1110)은 상기 콘크리트(1300)의 벽면과 맞닿는 면을 수평면(1111)으로 하고, 상기 수평면(1111)에 수직으로 돌출된 면을 수직면(1112 )으로 구분했을 때, 상기 수평면(1111)과 수직면(1112)에는 고정구 삽입홈(1113)이 형성되되, 동일한 높이에서 수평면에는 고정구 삽입홈(1113)이 형성되면, 수직면에는 웨지핀 결합홈(1115)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 삽입홈(1113)과 웨지핀 결합홈(1115)은 교차되게 다수개의 층으로 형성됨으로서 동일한 높이에서도 다양하게 선택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긋("ㄷ")자 단면 형상의 지지편에서 디긋("ㄷ")자 단면을 기준으로 상부면과 수직면, 하부면으로 칭하고, 일("ㅡ")자 단면 형상의 지지편에서 단면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디긋("ㄷ")자 단면 형상의 지지편의 상부면 및 하부면과 일("ㅡ")자 단면 형상의 지지편의 상부면에는 고정구 삽입홈(1113)이 수평형과 수직형의 삽입홈이 교차되면서 다수개 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형과 수직형의 삽입홈이 교차되도록 형성된 다수 개 층 사이에 체결핀이 삽입되는 체결핀 결합홈이 형성함으로써 체결핀과 웨치핀을 선택하여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1110)과 수평프레임(1120), 경사프레임(1130)의 결합은 상호 교차되는 위치에 형성된 체결핀 결합홈(1114) 또는 웨지핀 결합홈(1115)에 체결핀 또는 웨치핀을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며, 상기 체결핀 또는 웨치핀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핀 삽입홈에는 고정용 핀을 삽입시켜 고정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1110)과 수평프레임(1120) 또는 경사프레임(1130) 결합에 사용되는 웨지핀(1500)은 결합간극을 조절할 수 있도록 웨지핀 뽀족단부에 형성된 고정핀 삽입홈(1503, 1116c)에 삽입하여 상기 웨지핀(1500)의 두께에 의하여 결합간극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1110)의 길이이음은 이음 연결되는 수직프레임(1110)의 단부와 단부 사이에 별도로 제작된 수직프레임(1110)에 형성된 삽입홈이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된 이음부(1403)를 겹치도록 형성하여 겹친부분에 형성된 체결핀 결합홈(1114) 또는 웨지핀 결합홈(1115)에 체결핀 또는 웨치핀을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1300)에 돌출된 고정수단인 고정구(1301)에 결합하여 수직하게 세워지는 복수의 수직프레임(1110)과; 상기 수직프레임(1110)을 연결하며, 수평 배치되는 수평프레임(1120)과; 나란히 배치된 상기 수평프레임(1120)을 서로 연결하며, 안전발판의 하중을 지지하는 수평프레임(1140)과; 상기 수직프레임(1110)과 수평프레임(1120)을 연결하도록 경사지게 설치 고정되는 경사프레임(1130)을 이용하여 고정부를 형성하고; 양측의 고정부 단부에 상기 수평프레임(1140)에 걸어주는 고리부가 형성된 안전발판을 이용하여 상기 양측의 고정부에 안전발판의 고리부를 걸어주므로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이 형성되며, 상기 다층으로 형성된 수평프레임(1120)의 층간 사이에는 동바바리 파이프를 이용하여 받침 보강하는 것으로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7(A) 및 도 7(B)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본원 발명의 제1 실시예서와 같이 타설된 콘크리트 벽체(1300) 혹은 거푸집(1200)에 일정한 간격으로 매립된 고정구(1310)와 결합되는 수직프레임(1110)을 체결핀 또는 웨치핀을 삽입하여 결합하여 고정한 다음, 상기 수직프레임(1110)에 지면과 평행하게 수평프레임(1120)을 결합하며, 상기 수직프레임(1110)과 수평프레임(1120) 사이에는 경사프레임(1130)을 경사지게 결합하여 보강한다.
이러한 형식으로 콘크리트 벽면에 매설된 고정구를 이용하여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수직프레임(1110)과 수평프레임(1120), 경사프레임(1130)을 이용하여 지지대(1800)를 확보할 수 있고, 상기 수평프레임(1120)의 상부면에 통상의 아시바클램프(1720)를 이용하여 수평용 파이프(1710)를 설치하되, 상기 수평용 파이프(1710)의 일단부은 상기 콘크리트 벽체(1300) 혹은 거푸집(1200)에 매립된 고정구(1310)와 결합되는 수직프레임(1110)에서 일정한 간격 띠우고, 타단부에는 지면에 받침판으로 지지되는 수직용 파이프(1730)를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여 교차하도록 하여, 상기 수직용 파이프(1730)와 수평용 파이프(1710)의 교차 지점에는 통상의 아시바클램프를 이용하여 체결하여 고정함으로, 상기 수평용 파이프(1710)의 한쪽 단부는 본원 발명의 벽면에 고정된 지지대(1800)와 결합되며, 타단부는 수직용 파이프(1730)에 고정되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벽체(1300) 혹은 거푸집(1200)에 일정한 간격으로 매립된 고정구(1310)와 결합되는 수직프레임(1110)과 결합된 수평프레임(1120)의 상부면에 설치된 수평용 파이프(1710)의 타단부에 체결된 수직용 파이프(1730)와 수평용 파이프(1710)의 교차 지점에는 상기 일정한 간격의 교차지점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2수평 파이프(1740)를 결합하며, 상기 수직용 파이프(1730)와 수평용 파이프(1710), 제2수평 파이프(1740)의 결합은 통상의 아시바 고정 클램프(1750)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결합한다.
상기와 같은 결합에 의하여 일정간격으로 수평용 파이프(1710)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용 파이프(1710)를 이용하여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통상의 걸이부를 가진 발판을 조립한다.
또한, 상기 본원 발명의 벽면에 고정된 지지대는 콘크리트 벽면에 매설된 고정구외에 거푸집의 체결구, 또는 유로폼 거푸집의 결합에서 돌출되어 있는 지지부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원 발명의 벽면에 고정된 지지대(1800)는 설치되는 장소와 면적에 따라 단독 또는 복수개로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다양하게 설치 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본원 발명의 건축물의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설치된 거푸집의 프레임에 도출된 고정수단인 고정구를 이용하는 예로서, 지면과 수직되는 수직프레임(1110)과, 상기 수직프레임(1110)과 결합되며, 지면과 평행하게 결합되는 수평프레임(1120)과, 상기 수직프레임(1110)과 수평프레임(1120) 사이를 경사지게 결합하여 보강하는 경사프레임(1130)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형틀 사이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경사프레임(1130)은 지면과 평행하게 결합되는 수평프레임(1120)과 결합되지만, 타단 쪽은 상기 수직프레임(1110)의 상부 또는 상기 거푸집 조립에 매설된 고정구등 다양한 각도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10 을 참조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1300)를 형성하는 거푸집(1200)의 프레임에 끼워지는 고정수단인 고정용 핀을 삽입할 수 있도록 고정구 삽입홈(1210)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 삽입홈(1210)은 상기 거푸집(1200)과 인접 거푸집(1200)을 연결하는 거푸집 프레임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상부 고정구 삽입구(1220)와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서 상기 상부 고정구 삽입구(1220)와 통공되도록 형성되는 측면 고정구 삽입구(1230)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고정구 삽입구(1220)와 측면 고정구 삽입구(1230)를 이용하여 거푸집 프레임에 상부면에 수직프레임(1110)이 결합되는 것이다.
도10 및 도11은 제4 실시예로서 거푸집의 프레임에 끼워지는 고정수단은 상기 거푸집(1200)의 프레임에 고정용 핀을 삽입할 수 있도록 고정구 삽입홈(1210)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 삽입홈(1210)은 상기 거푸집(1200)과 인접 거푸집(1200)을 연결하는 거푸집 프레임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상부 고정구 삽입구(1220)와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서 상기 상부 고정구 삽입구(1220)와 통공되도록 형성되는 측면 고정구 삽입구(1230)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고정구 삽입구(1220)와 측면 고정구 삽입구(1230)를 이용하여 거푸집 프레임에 상부면에 수직프레임(1110)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1110)과 수평프레임(1120), 경사프레임(1130)에는 고정구와 결합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상이 상이한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삽입홈은 거푸집 고정용 플랫타이가 삽입되는 고정구 삽입홈(1113), 체결핀(1500)이 삽입되는 체결핀 결합홈(1114), 웨지핀(1116)이 삽입되는 웨지핀 결합홈(111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구 삽입홈(1113)과 웨지핀 결합홈(1115)은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10에는 거푸집(1200)의 프레임에 형성된 측면 고정구 삽입구에 제1 체결핀이 삽입되고, 측면 고정구 삽입구에 삽입된 제1 체결핀에 고정용 체결핀을 상부에서 삽입된 상태를 도시된 것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이용하여, 도 11에서 상기 거푸집 프레임의 상부면에 수직프레임(1110)을 결합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거푸집 프레임에 형성된 상부 고정구 삽입구(1220)와 상기 수직프레임(1110)의 체결핀 결합홈(1114)이 일치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체결핀 결합홈(1114)에서 상기 상부 고정구 삽입구(1220)로 제1 체결핀(1116-1)을 삽입한 후에 상기 측면 고정구 삽입구(1230)에 제2 체결핀(1116-2)을 삽입하되, 상기 제2 체결핀(1116-2)은 거푸집(1200) 측면에 형성된 측면 고정구 삽입구(1230)를 통과한 후 상기 상부 고정구 삽입구(1220)에 삽입된 제1 체결핀(1116-1)에 형성된 고정핀 삽입홈(1116c)와 인접한 거푸집(1200) 측면에 형성된 측면 고정구 삽입구(1230)를 통과하여 고정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12 , 도13에는 거푸집 프레임의 상부면에 수직프레임(111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거푸집 프레임의 상부면에 수직프레임(1110)이 위치되고, 상부 고정구 삽입구(1220) 제1 체결핀(1116-1)을 삽입되되, 상기 제1 체결핀(1116-1)은 상기 수직프레임(1110)의 체결핀 결합홈(1114)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고정구 삽입구(1220)에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정구 삽입구(1210)에 제1 체결핀(1116-1)이 삽입된 후에 상기 거푸집(1200) 측면에 형성된 측면 고정구 삽입구(1230)에 제2 체결핀(1116-2)을 삽입하되, 상기 제2 체결핀(1116-2)은 거푸집(1200) 측면에 형성된 측면 고정구 삽입구(1230)를 통과한 후 상기 상부 고정구 삽입구(1220)에 삽입된 제1 체결핀(1116-1)에 형성된 고정핀 삽입홈(1116c)과 인접한 거푸집(1200) 측면에 형성된 측면 고정구 삽입구(1230)를 통과하여 고정되며, 상기 제2 체결핀(1116-2)에 형성된 고정핀 삽입홈에 상부에서 제3 체결핀으로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거푸집(1200)의 연결부 상부면에 수직프레임(1110)이 고정되면, 지면과 평행하게 결합되는 수평프레임(1120)과, 상기 수직프레임(1110)과 수평프레임(1120) 사이를 경사지게 결합하여 보강하는 경사프레임(1130)으로 이루어지는 가설발판의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를 도13에서 도시되어 나타내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100: 고정구 결합부 1110 : 수직프레임
1111: 수직프레임의 수평면 1112 : 수직프레임의 수직면
1113: 고정구 삽입홈 1114 : 체결핀 결합홈
1115: 웨지핀 결합홈 1116 : 웨지핀
1120: 수평프레임 1130 : 경사프레임
1200: 거푸집 1300 : 콘크리트 벽체
1220: 상부 고정구 삽입구 1230 : 측면 고정구 삽입구
1400: 이음부 1500: 체결핀
1600 : 동바리 파이프 1710: 수평용 파이프
1720: 아시바클램프 1730: 수직용 파이프
1740: 제2수평 파이프 1750: 아시바 고정클램프
1800: 지지대
1111: 수직프레임의 수평면 1112 : 수직프레임의 수직면
1113: 고정구 삽입홈 1114 : 체결핀 결합홈
1115: 웨지핀 결합홈 1116 : 웨지핀
1120: 수평프레임 1130 : 경사프레임
1200: 거푸집 1300 : 콘크리트 벽체
1220: 상부 고정구 삽입구 1230 : 측면 고정구 삽입구
1400: 이음부 1500: 체결핀
1600 : 동바리 파이프 1710: 수평용 파이프
1720: 아시바클램프 1730: 수직용 파이프
1740: 제2수평 파이프 1750: 아시바 고정클램프
1800: 지지대
Claims (9)
- 콘크리트 벽체(1300)에 돌출되거나, 상기 콘크리트 벽체 형성을 위해 설치된 거푸집(1200)의 프레임에 돌출되거나, 상기 거푸집 프레임에 끼워지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에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1100);와
상기 결합부(1100)에 장착되어 발판으로 활용되는 가설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1100)는 상기 고정수단에 고정되되,
상기 콘크리트 벽이나 상기 거푸집면에 접하면서,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프레임(1110);과
상기 수직프레임(1110)의 소정부위에 결합되되 상기 콘크리트 벽이나 상기 거푸집면에 돌출되면서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수평프레임(1120)과
상기 수직프레임(1110)의 소정부위와 상기 수평프레임(1120) 소정부위를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110)과 상기 수평프레임(1120)을 결합하는 경사프레임(11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콘크리트 벽체(1300)에 돌출된 고정수단은 상기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301)와 상기 돌출부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용 핀을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홈(1302);이 형성되고,
콘크리트 벽체 형성을 위해 설치된 거푸집(1200)의 프레임에 돌출된 고정수단은 상기 거푸집(1200)의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301)와 상기 돌출부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용 핀을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홈(1302);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110)과 수평프레임(1120), 경사프레임(1130)에는 고정구와 결합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상이 상이한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삽입홈은 거푸집 고정용 플랫타이가 삽입되는 고정구 삽입홈(1113), 체결핀(1500)이 삽입되는 체결핀 결합홈(1114), 웨지핀(1116)이 삽입되는 웨지핀 결합홈(1115)중의 하나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구 삽입홈(1113)과 웨지핀 결합홈(1115)은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핀(1500)의 걸림턱이 있는 단부를 체결핀 걸림턱 단부(1501)와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부를 가진 단부를 체결핀 뽀족단부(1502)와
상기 웨지핀(1116)의 걸림턱이 있는 단부를 웨지핀 걸림턱 단부(1116a)라하고,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부를 가진 단부를 웨지핀 뽀족단부(1502, 1116b)라 할 때, 상기 체결핀(1500)의 뽀족단부와 웨지핀(1116)의 뽀족단부에는 체결핀(1500)과 웨지핀(1116)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는 각각의 고정핀 삽입홈(1503, 1116c)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1110)과 수평프레임(1120), 경사프레임(1130)의 단면부의 형상은 기억("ㄱ")자, 디긋("ㄷ")자, 일("ㅡ")자, 미음자("ㅁ") 형상 중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1110)과 수평프레임(1120), 경사프레임(1130)에는 고정구 삽입홈(1113)과 체결핀 결합홈(1114), 웨지핀 결합홈(1115)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단면이 기억("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직프레임(1110)은 상기 콘크리트(1300)의 벽면과 맞닿는 면을 수평면(1111)으로 하고, 상기 수평면(1111)에 수직으로 돌출된 면을 수직면(1112)로 구분했을 때, 상기 수평면(1111)과 수직면(1112)에는 고정구 삽입홈(1113)이 형성되되,
동일한 높이에서 수평면에는 고정구 삽입홈(1113)이 형성되면, 수직면에는 웨지핀 결합홈(1115)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 삽입홈(1113)과 웨지핀 결합홈(1115)은 교차되게 다수개의 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0038968 | 2019-04-03 | ||
KR1020190038968 | 2019-04-0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7824A KR20200117824A (ko) | 2020-10-14 |
KR102289940B1 true KR102289940B1 (ko) | 2021-08-13 |
Family
ID=72847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1051A KR102289940B1 (ko) | 2019-04-03 | 2019-09-06 |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8994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822227A (zh) * | 2022-12-21 | 2023-03-21 | 江苏速捷模架科技有限公司 | 一种模板操作平台及该平台的安装工艺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4416Y1 (ko) | 2006-01-10 | 2006-08-28 | 주식회사 신영 | 건축용 비계 |
KR101156568B1 (ko) * | 2010-05-19 | 2012-06-20 | 조용월 | 벽체축조방법 |
KR101775656B1 (ko) | 2016-03-31 | 2017-09-06 | (주)영진산업 | 무볼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 |
KR20170124311A (ko) * | 2016-05-02 | 2017-11-10 | 윤성민 | 거푸집용 발판브라켓 |
KR101761730B1 (ko) | 2016-09-29 | 2017-08-04 | 주식회사 신영스틸 |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 |
KR101823021B1 (ko) | 2017-06-19 | 2018-01-31 | 백종균 | 건축용 비계장치 |
-
2019
- 2019-09-06 KR KR1020190111051A patent/KR102289940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7824A (ko) | 2020-10-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329364C2 (ru) | Система опалубки для бетонных плит | |
US11970873B2 (en) | Bearing plate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 |
KR100809886B1 (ko) | 교각 코핑 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교각을 시공하는방법 | |
US20080202064A1 (en) | Bracket and method for supoprting a platform from concrete form tabs | |
US20160319558A1 (en) |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 |
KR102289940B1 (ko) |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 |
KR200445310Y1 (ko) | 상승식 가설대 발판 고정용 클램프 | |
US2916245A (en) | Adjustable scaffold bracket | |
KR100737841B1 (ko) |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고정 클램프 | |
KR200424416Y1 (ko) | 건축용 비계 | |
EP2080853A1 (en) | Stabilizing receiving member for temporary structures | |
KR200413590Y1 (ko) | 고하중 비계 및 이의 조립구조 | |
KR102102214B1 (ko) |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 |
KR102370425B1 (ko) | 보거푸집의 안전난간대 | |
KR200491378Y1 (ko) | 안전 발판의 지지대 및 비계 | |
KR200298061Y1 (ko) |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 |
JP2013129961A (ja) | 鉄骨階段の仮止め固定方法と、鉄骨階段支持用のパイプサポート | |
KR102217613B1 (ko) | 데크 난간대 | |
JP5812554B1 (ja) | 親綱係留用支柱の取付金具及び取付構造 | |
KR102374870B1 (ko) | 보조수직재 결합형 수평 선행 안전난간대 | |
KR102198600B1 (ko) | 슬라브 거푸집 지지장치 | |
KR200326093Y1 (ko) |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 | |
WO2019126187A1 (en) |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 |
KR200276904Y1 (ko) | 교량 점검용 교각 점검대 구조 | |
KR100668457B1 (ko) | 건축물의 슬래브 거푸집 지지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