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417114Y1 - 극세사가 포함된 마스크 - Google Patents

극세사가 포함된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114Y1
KR200417114Y1 KR2020060006089U KR20060006089U KR200417114Y1 KR 200417114 Y1 KR200417114 Y1 KR 200417114Y1 KR 2020060006089 U KR2020060006089 U KR 2020060006089U KR 20060006089 U KR20060006089 U KR 20060006089U KR 200417114 Y1 KR200417114 Y1 KR 2004171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microfiber
mask
present
filter clo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0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철
Original Assignee
조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철 filed Critical 조현철
Priority to KR20200600060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1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1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11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3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vertical fold or wel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극세사를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포함한 유해물질을 걸러줌과 동시에 호흡이 용이토록 한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착용자의 코와 입을 가릴 수 있는 면적을 갖고 안면과 접촉되는 내측 부직포(12)와; 상기 내피(12)와 동일한 형상으로 내피(12)에 포개져 둘레가 박음질로 연결된 외측 부직포(14)와; 상기 내측 부직포(12)와 외측 부직포(14)의 사이에 개재되어 둘레가 박음질로 상호 연결되고, PP 극세사로 제작된 극세사 여과포(16)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스크, 부직포, 극세사, 유해물질

Description

극세사가 포함된 마스크{A Mask with micro-fiber}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서 본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의 일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마스크에 적용되는 내외측 부직포 및 극세사 여과포의 분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내측 부직포
14: 외측 부직포
16: 극세사 여과포
20: 은사
30: 볼록라인
본 고안은 안면에 착용하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극세사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와 유해물질을 걸러줌과 동시에 호흡이 용이토록 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마개용으로 착용하는 마스크는 보온유지 기능과 먼지를 걸러주는 용도로 주로 사용한다. 따라서 마스크는 착용 환경에 따라 미세 먼지는 물론 유해물질까지 걸러주기 위해 새로운 제품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마스크 중에 이물질을 흡착시켜 여과시켜 주는 것으로 마스크 내부에 활성탄으로 처리된 부직포를 채택한 것이 있다. 즉 부직포의 표면에 활성탄으로 코팅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활성탄 처리된 부분에서만 효과가 있을 뿐 실질적으로 직조된 실과 실 사이에는 틈새가 그대로 존재하게 되어 미세한 먼지를 걸래내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적인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극세사를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포함한 유해물질을 걸러줌과 동시에 호흡이 용이토록 한 마스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안면에 착용되는 마스크(10)에 있어서,
착용자의 코와 입을 가릴 수 있는 면적을 갖고 안면과 접촉되는 내측 부직포(12)와;
상기 내피(12)와 동일한 형상으로 내피(12)에 포개져 둘레가 박음질로 연결된 외측 부직포(14)와;
상기 내측 부직포(12)와 외측 부직포(14)의 사이에 개재되어 둘레가 박음질로 상호 연결되고, PP 극세사로 제작된 극세사 여과포(16)가 포함되어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PP 극세사의 굵기는 0.5데니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내측 부직포(12)와 외측 부직포(14) 및 극세사 여과포(16)는 중앙을 기준으로 2조각으로 분할 박음질로 연결되어 마스크를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시켜 주는 종방향의 볼록라인(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외측 부직포(14)에는 항균 작용을 위해 일정 간격으로 은사(20)가 더 직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서 본 부분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의 일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마스크에 적용되는 내외측 부직포 및 극세사 여과포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마스크(10)는 착용자의 안면과 접촉되는 내측 부직포(12)와, 상기 내피(12)와 동일한 형상으로 내피(12)에 포개져 둘레가 박음질로 연결된 외측 부직포(14)와, 상기 내측 부직포(12)와 외측 부직포(14)의 사이에 개재된 극세사 여과포(1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극세사 여과포(16)는 PP(폴리프로필렌) 극세사(microfiber)로 제작된 것으로 굵기는 0.5데니아 이하를 만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내측 부직포(12)와 외측 부직포(14) 및 극세사 여과포(16)는 중앙을 기준으로 2조각으로 분할 박음질로 연결되어 마스크를 도 3 및 도 4와 같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시켜 주는 종방향의 볼록라인(30)이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외측 부직포(14)에 항균 작용을 위해 일정 간격으로 은사(20)가 직조된 것을 채택할 수 있다.
마스크(10)에는 마스크를 귀에 걸기 위해 신축기능을 갖는 귀걸이끈(40)이 구비되고, 본 실시예에서 귀걸이끈(40)은 마스크의 둘레에 박음질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마스크(10)는 중간에 개재된 극세사 여과포(16)가 개재되어 있어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얻게 된다.
극세사 여과포(16)는 0.5데니아 이하의 극세사로 짜여진 직물로 실과 실 사이의 간격이 약 2/100밀리미터 밖에 되지 않는다. 따라서 미세먼지가 통과하기 어렵다. 또한 극세사 여과포(16)는 자체적으로 정전기의 효과가 있기 때문에 유해물질이 달라붙는 효과를 주게 된다.
따라서 마스크(10)를 착용하여 호흡하게 되면 미세먼지는 물론 유해물질의 여과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호흡에 필요한 숨구멍은 극세사와 극세사의 틈새를 통하여 충분하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유해물질이란 예를 들면, 납, 카드뮴, 수은, 크롬 등등이 해당된다.
또한 마스크(10)에 적용된 극세가 여과포(16)는 흡수력과 탈수력이 뛰어나 세탁효과도 좋다.
또한 은사(20)가 외측 부직포(14)에 직조된 경우 항균 효과를 갖게 되어 위생적인 착용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극세사 여과포(16)의 제작시 부스러기가 없고 이물질 발생이 없어 마스크 제작 환경이 개선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마스크에 따르면, 극세사 여과포가 중간에 개재되어 있어 미세먼지의 걸러줌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이물질(화학물질)의 흡착 여과에도 뛰어나다. 또한 은사가 포함되어 있어 항균효과에 따른 위생적인 착용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4)

  1. 안면에 착용되는 마스크(10)에 있어서,
    착용자의 코와 입을 가릴 수 있는 면적을 갖고 안면과 접촉되는 내측 부직포(12)와;
    상기 내피(12)와 동일한 형상으로 내피(12)에 포개져 둘레가 박음질로 연결된 외측 부직포(14)와;
    상기 내측 부직포(12)와 외측 부직포(14)의 사이에 개재되어 둘레가 박음질로 상호 연결되고, PP 극세사로 제작된 극세사 여과포(16)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가 포함된 마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P 극세사의 굵기는 0.5데니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가 포함된 마스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부직포(12)와 외측 부직포(14) 및 극세사 여과포(16)는 중앙을 기준으로 2조각으로 분할 박음질로 연결되어 마스크를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시켜 주는 종방향의 볼록라인(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가 포함된 마스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부직포(14)에는 항균 작용을 위해 일정 간격으로 은사(20)가 더 직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가 포함된 마스크.
KR2020060006089U 2006-03-07 2006-03-07 극세사가 포함된 마스크 Expired - Fee Related KR2004171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089U KR200417114Y1 (ko) 2006-03-07 2006-03-07 극세사가 포함된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089U KR200417114Y1 (ko) 2006-03-07 2006-03-07 극세사가 포함된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114Y1 true KR200417114Y1 (ko) 2006-05-23

Family

ID=41766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089U Expired - Fee Related KR200417114Y1 (ko) 2006-03-07 2006-03-07 극세사가 포함된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114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5377A (ko) 2020-03-16 2020-04-03 강민재 입냄새 제거용 민트 마스크
KR200492269Y1 (ko) 2020-02-18 2020-09-08 이남수 초미세 여과성능과 마스크 교환 및 교체 사용성이 개선된 고성능 노즈 필터 마스크
WO2021194129A1 (ko) * 2020-03-26 2021-09-30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마스크
JP2021195651A (ja) * 2020-06-12 2021-12-27 株式会社ファーストリテイリング マスク
KR20220042718A (ko) 2020-09-28 2022-04-05 원하윤 갈대섬유를 이용한 마스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갈대섬유를 이용한 마스크
KR20220076060A (ko) 2020-11-30 2022-06-08 박민호 갈대섬유를 이용한 발광 마스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발광 마스크
KR102540576B1 (ko) 2023-01-13 2023-06-05 천다예 다공성 흡배기 튜브 끈이 구비된 위생 마스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269Y1 (ko) 2020-02-18 2020-09-08 이남수 초미세 여과성능과 마스크 교환 및 교체 사용성이 개선된 고성능 노즈 필터 마스크
KR20200035377A (ko) 2020-03-16 2020-04-03 강민재 입냄새 제거용 민트 마스크
WO2021194129A1 (ko) * 2020-03-26 2021-09-30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마스크
JP2021195651A (ja) * 2020-06-12 2021-12-27 株式会社ファーストリテイリング マスク
KR20220042718A (ko) 2020-09-28 2022-04-05 원하윤 갈대섬유를 이용한 마스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갈대섬유를 이용한 마스크
KR20220076060A (ko) 2020-11-30 2022-06-08 박민호 갈대섬유를 이용한 발광 마스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발광 마스크
KR102540576B1 (ko) 2023-01-13 2023-06-05 천다예 다공성 흡배기 튜브 끈이 구비된 위생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7114Y1 (ko) 극세사가 포함된 마스크
KR200474665Y1 (ko) 기능성 마스크
KR102027058B1 (ko) 착용이 편안한 방진 마스크
KR200480279Y1 (ko) 방진 및 항균기능을 갖는 마스크
KR20080088708A (ko) 필터 삽입식 마스크
KR100926360B1 (ko) 교체 가능한 필터를 갖는 자외선 및 황사 차단 마스크
CN104305590A (zh) 口罩
KR20120129552A (ko) 방진 마스크
TWM595519U (zh) 抽換式口罩
TWM598163U (zh) 布口罩
KR101964732B1 (ko) 방진마스크
KR20200070587A (ko)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
KR200329005Y1 (ko) 활성탄을 이용한 결합식 방진 마스크
CN212345372U (zh) 一种应用于口罩的过滤体及口罩
KR101149884B1 (ko) 방제복
KR20120047511A (ko) 방진 마스크
KR200389496Y1 (ko) 클린룸용 방진마스크
CN111466646A (zh) 一种新型防尘呼吸口罩
CN211747147U (zh) 无耳带口罩
CN204120289U (zh) 口罩
TWM621535U (zh) 具有病毒過濾塗層的口罩結構
JP3116946U (ja) マスク
JP3230604U (ja) マスク
CN211861868U (zh) 一种可水洗的空气滤芯模块
CN215303195U (zh) 改进透气柔软蓬松性能的抗菌抗病毒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30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30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04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