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40079417A - 염증을 감소시키는 국소용 소염 조성물과 방법 - Google Patents

염증을 감소시키는 국소용 소염 조성물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9417A
KR20040079417A KR10-2004-7010852A KR20047010852A KR20040079417A KR 20040079417 A KR20040079417 A KR 20040079417A KR 20047010852 A KR20047010852 A KR 20047010852A KR 20040079417 A KR20040079417 A KR 20040079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present
esters
top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0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알. 메인
해리 로-슈미트
Original Assignee
알티코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티코 인크. filed Critical 알티코 인크.
Publication of KR20040079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941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5Linaceae (Flax family), e.g. Lin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5Anti-irrita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heu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아마인 추출물과 감초 추출물의 효과량을 함유하는 국소용 소염 조성물을 제시한다. 이에 더하여, 아마인 추출물과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효과량을 염증 부위에 국소 도포하여 염증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염증을 감소시키는 국소용 소염 조성물과 방법{TOPICAL ANTI-INFLAMMATORY COMPOSITIONS AND METHODS OF REDUCING INFLAMMATION}
사람 피부는 수많은 환경 조건에 노출된다. 이들 환경 조건중 일부, 예를 들면 화상은 피부를 자극한다. 이에 더하여, 피부 각질제거제,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 산(hydroxy acid) 및 피부선과 주름살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되는 다른 미용 화합물의 사용 역시 피부를 종종 자극한다. 이런 이유로, 이들 피부 자극인자를 해결하는 국소용 소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가지 해결방법은 NSAID로 알려진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폭넓은 사용에도 불구하고, NSAID는 잠재적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궤양과 신독성을 비롯한 광범위한 부작용으로 인하여 치료요법적 효용이 상쇄된다. 국소용 코스티코스테로이드 역시 NSAID에 대한 대안으로 사용되고 있긴 하지만, 이런 스테로이드 치료제는 장기간동안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중인 태아 세포의 기형발생(teratogenesis)을 비롯한 광범위한 중증 부작용을 유발한다.
이런 이유로, 통상적인 국소용 소염 치료제의 사용과 관련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국소용 소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연발생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약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고, 요약에 기술된 내용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하는 국소용 소염 조성물은 효과량의 아마인(linseed) 추출물과 감초(licorice) 추출물을 함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약학적으로 또는 미용학적으로 수용가능한 국소 치료용 담체 및 아마인 추출물과 감초 추출물의 효과량을 함유하는 국소용 미용 또는 피부의약 조성물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하는 2번째 국소용 소염 조성물은 조성물의 대략 0.00001 내지 50 wt% 함량의 아마인 추출물 및 대략 0.00001 내지 50 wt% 함량의 감초 추출물을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마인 추출물과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효과량을 염증 부위에 국소 도포하여 염증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달리 명시하지 않는 경우에, 아래의 명세서와 특허청구범위에 이용된 모든 비율은 중량에 기초한다. 이에 더하여, 달리 명시하지 않는 경우에, 수용액에 관련하여 이용된 중량 비율은 현존하는 고체와 액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소염 조성물, 좀더 구체적으로 국소용 소염 조성물에 관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미용 및/또는 피부의약 조성물로 특히 유용하다.
도 1에서는 TESTSKIN Ⅱ 시료에 대한 다양한 물질의 독성을 나타내는 막대그래프를 보여준다.
도 2에서는 다양한 자극에 반응하여 분비된 GM-CSF의 함량 도면을 보여준다.
도 3에서는 다양한 자극에 반응하여 분비된 PGE2의 함량 도면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하는 국소용 소염 조성물은 효과량의 아마인 추출물과 감초 추출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아마인 추출물"은 아마인으로부터 수득된 임의의 화합물이나 이런 화합물의 조합(즉, "아마인(flaxseed)", "아마속(linum)", "아마(Linum usitatissimum)" 또는 "아마과(Linaceae)" 등), 아마인으로부터 수득된 오일 및/또는 이들의 화학적 유도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아마인 추출물에는 아마인; 경화된 아마인과 경화되지 않은 아마인 오일; 정제된 아마인 오일(예, 알칼리성 정제된 아마인 오일, 산성 정제된 아마인 오일, 끓임된 아마인 오일, 산화된 아마인 오일 등); 리나마린(linamarin), 리나틴(linatine), 리놀렌산과 이의 글리세리드; 리놀레산과 이의 글리세리드; 올레산과 이의 글리세리드; 스테아르산과 이의 글리세리드; 팔미트산과 이의 글리세리드; 미리스트산과 이의 글리세리드; 이들의 조합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사용되는 아마인 추출물은 포화되거나 포화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아마인 추출물은 Silab(Cedex, France)에 의해 상품명 SENSILINE으로 판매되고 있는 폴리사카라이드(예, β-글루칸, 우론산)와 펩티드글리칸이 풍부한 아마인의 순수한 분획물이다.SENSILINE 아마인 추출물은 수용액으로 제공되는데, 대략 12 내지 20 g/ℓ의 고체 분석을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SENSILINE 아마인 추출물은 대략 4 내지 7 g/ℓ 함량의 단백질, 대략 6 내지 9 g/ℓ 함량의 당, 대략 1300 ㎍/㎖ 미만 함량의 우론산을 함유한다.
적절하게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마인 추출물은 조성물의 대략 0.00001 내지 50 wt% 함량으로 존재한다. 좀더 적절하게는, 아마인 추출물은 조성물의 대략 0.00001 내지 40 wt% 함량으로 존재한다. 이보다 좀더 적절하게는, 아마인 추출물은 조성물의 대략 0.00001 내지 10 wt%, 이보다 좀더 적절하게는 대략 0.001 내지 6 wt%, 이보다 좀더 적절하게는 대략 0.1 내지 5 wt% 함량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정 구체예에서, 아마인 추출물은 조성물의 적어도 1 wt%, 좀더 적절하게는 적어도 2 wt%, 이보다 좀더 적절하게는 적어도 3 wt% 함량으로 존재한다. 특히 적절하게는, 조성물에서 아마인 추출물은 대략 4 wt% 함량으로 존재한다.
전형적으로, 가수분해된 아마인 추출물은 대략 12 내지 20 g/ℓ의 고체 함량을 보유하는 수용액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이런 수용액의 4 wt% 분량은 "활성"아마인 추출물의 대략 0.008 wt%에 상응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감초 추출물"은 감초(glycyrrhiza), 글리시레트산(glycerrhetic acid)[일명, "에녹솔론(enoxolone)", "우랄렌산(uralenic acid)", "글리시레틴산(glycyrrhetinic acid")], 글리시리즈산(glycyrrhizic acid)[일명, "글리시리진(glycyrrhizin)", "글리시리진산(glycyrrhizinic acid)", "글리시레틴산 글리코시드(glycerrhetic acidglycoside)"], 이들의 유도체, 이들의 조합을 비롯한 감초과(glycyrrhiza family)[즉, 유럽 감초(Glycyrrhiza glabra)]의 임의의 화합물 또는 이들 화합물의 조합을 의미한다. 감초 추출물의 바람직한 유도체에는 염(예, 금속염, 암모늄염 등)과 에스테르[예, 포화 지방산 에스테르, 불포화 지방산 에스테르, 양쪽산 반 에스테르(diacid half ester), 글리코시드 에스테르 등]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포화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에는 부티레이트 에스테르, 이소발레레이트 에스테르, 카프로에이트 에스테르, 카프릴레이트 에스테르, 카프레이트 에스테르, 라우레이트 에스테르, 미리스테이트 에스테르, 팔리테이트 에스테르, 스테아레이트 에스테르, 아라키데이트 에스테르, 베헤네이트 에스테르, 리그노세레이트 에스테르, 세로테이트 에스테르, 이들의 조합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불포화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에는 데실리네이트 에스테르, 스틸린게이트 에스테르, 도데실리네이트 에스테르, 팔미톨리에이트 에스테르, 올리에이트 에스테르, 리시놀리에이트 에스테르, 페트로셀리네이트 에스테르, 바세네이트 에스테르, 리놀리에이트 에스테르, 리놀리네이트 에스테르, 엘리오스테아레이트 에스테르, 푸니케이트 에스테르, 리카네이트 에스테르, 파리나레이트 에스테르, 가돌리에이트 에스테르, 아라키도네이트 에스테르, 에이코시네이트 에스테르, 도코시네이트 에스테르, 세톨리에이트 에스테르, 에루케이트 에스테르, 도코사디에네이트 에스테르, 셀라콜리에이트 에스테르, 이들의 조합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양쪽산 반 에스테르 유도체(즉, 감초 추출물 및 양쪽산, 적절하게는 α,ω-양쪽산의 2가지 카르복실산 부분중 하나 사이에 에스테르 결합을 포함하는 감초 추출물 유도체)에는 숙시네이트 반 에스테르, 글루타레이트 반 에스테르, 아디페이트 반 에스테르, 피멜레이트 반 에스테르, 수베레이트 반 에스테르, 아젤레이트 반 에스테르, 이들의 조합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감초 추출물 에스테르 유도체에는 글리세레트산과 글리시리즈산의 포화 에스테르와 불포화 에스테르가 포함되는데, 여기서 상기 분자의 에스테르 영역은 2 내지 24개 탄소 원자, 적절하게는 10 내지 24개 탄소 원자, 좀더 적절하게는 16 내지 24개 탄소 원자를 보유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감초 추출물 에스테르 유도체에는 모노암모늄 글리시리진에이트, 모노포타슘 글리시리진에이트, 디포타슘 글리시리진에이트, 1-베타-글리시레트산, 스테아릴 글리시레틴에이트, 3-스테아릴옥시-글리시레틴산, 디소디움 3-숙시닐옥시-베타-글리시레틴에이트 등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감초 추출물로 스테아릴 글리시레틴에이트가 바람직하고, Barnet Products Corporation(Englewood Cliffs, NJ)에 의해 상품명 NET-STG로 판매되고 있는 스테아릴 글리시레틴에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적절하게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감초 추출물은 조성물의 대략 0.00001% 내지 50% wt% 함량으로 존재한다. 좀더 적절하게는, 감초 추출물은 조성물의 대략 0.00001 내지 40 wt% 함량으로 존재한다. 이보다 좀더 적절하게는, 감초 추출물은 조성물의 대략 0.00001 내지 3 wt%, 이보다 좀더 적절하게는 대략 0.0001 내지 2wt%, 이보다 좀더 적절하게는 대략 0.001 내지 1.5 wt% 함량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정 구체예에서, 감초 추출물은 조성물의 적어도 0.01 wt%, 좀더 적절하게는 적어도 0.03 wt%, 이보다 좀더 적절하게는 적어도 0.05 wt%함량으로 존재한다. 특히 적절하게는, 조성물에서 감초 추출물은 대략 0.1 wt% 함량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하는 조성물은 자극인자-유도된 염증의 생물마커인 PGE2(프로스타글란딘 E2) 및 면역-유도된 염증의 생물마커인 GM-CSF(과립구-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의 배경 수준을 낮추는데 효과적이다. 이들 조성물의 효능은 오랜 기간동안 면역억제제와 소염제로 사용되고 있는 합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인 덱사메타손의 효능과 유사하다. 특정 이론에 국한되거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와 이의 등가물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하는 조성물의 작용 기전은 상승 작용으로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아마인 추출물과 감초 추출물의 조합에 의해 발휘되는 새로운 전사 조절 효과를 수반한다. 실제로, 아마인 추출물과 감초 추출물의 조합은 PGE2와 GM-CSF의 배경 수준 강하에 상승효과를 발휘하는데, 이는 예상치 못한 놀라운 발견이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한가지이상의 바이오플라보노이드(bioflavonoid)를 조성물에 첨가하여 자극인자 포르볼(phorbol)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PMA)-유도된 세포 반응을 감소시키는데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바이오플라보노이드에는 다원(multi-source) 감귤류 바이오플라보노이드, 광귤(bitterorange) 꽃 바이오플라보노이드, 지방산-변형된 헤스페레틴(hesperetin) 라우레이트 바이오플라보노이드가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아마인 추출물과 감초 추출물은 제약학적으로/미용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운반제 또는 담체와 혼합한다. 미용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운반제는 조성물에 존재하는 다른 물질에 대한 희석제, 분산제 또는 담체로 작용하여, 조성물이 피부에 도포될 때 이들의 분포를 조장한다. 물 이외의 운반제는 액체 또는 고체 연화제(emollient), 용매, 습윤제, 점증제, 분말을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운반제는 U. S. Patent No. 6,184,247에서 기술한다.
제약학적으로 또는 미용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운반제는 전체 조성물의 대략 10 내지 99.9 wt%, 적절하게는 대략 50 내지 99 wt%를 구성하는데, 다른 미용학적 보조물질이나 첨가제가 부재하는 경우에 조성물의 나머지 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용액, 겔, 로션, 크림, 연고, 수중유(oil-in-water) 에멀젼, 유중수(water-in-oil) 에멀젼, 스틱(stick), 스프레이, 페이스트, 무스, 좌약 및 다른 제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조성물은 점착성 붕대, 예를 들면 Johnson & Johnson(Skillman, NJ)에 의해 상품명 BAND-AID로 판매되고 있는 유형의 점착성 붕대의 거즈 부분으로 염증 부위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마인 추출물과 감초 추출물의 조합에 의해 제공되는 소염 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다양한 공지된 통상적인 미용학적 성분을 함유할 수도 있다. 가령,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한가지이상의 첨가제 또는 당분야에널리 공지된 다른 선택적 성분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충전제(예, 고체, 반-고체, 액체 등); 담체; 희석제; 연화제; 유화제; 계면활성제; 조직화제(structuring agent); 점증제; 겔화제(gelling agent); 비타민, 레티노이드, 안드레티놀(예, 비타민 B3, 비타민 A 등); 색소; 방향; 일광차단제와 자외선방지제; 항-산화제와 라디칼 소거제; 유기 하이드록시 산; 박리제(desquamation agent); 각질제거제; 피부 미백제; 피부 컨디셔녀; 보습제; 세라마이드, 수유도세라마이드, 인지질, 스핑고지질, 콜레스테롤, 히알루론산과 이의 유도체, 콜라겐 합성 촉진물질, 글루코사민, 제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침투제(예, n-데실메틸 설폭사이드, 레시틴 오가노겔(organogels) 등); 보존제; 항균제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다른 적합한 첨가제 및/또는 보조물질은 U. S. Patent No. 6,184,247에서 기술한다.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하는 염증 감소 방법은 본원에서 밝힌 조성물의 효과량을 염증 부위에 국소 도포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조성물은 아마인 추출물과 감초 추출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국소 도포의 빈도는 제한이 없고, 치료되는 염증의 유형과 심각도에 따라 달라진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하는 조성물을 국소 도포하여 치료할 수 있는 염증의 유형과 원인은 제한이 없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과의 접촉으로 잠재적인 이득을 얻을 수 있는 모든 유형과 원인의 염증을 포괄한다.
아마인 추출물과 스테아릴 글리시레틴에이트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아래의 실시예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이의 등가물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아마인 추출물과 감초 추출물의 조합을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소염 잠재력은 아래와 같이 평가하였다. 피부 조직으로부터 PGE2와 GM-CSF의 방출은 검사 물질과의 사전-배양이후 보호 잠재력의 척도를 제공하고, MTT(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2H-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의 감소는 독성 잠재력의 평가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 이용된 피부 조직, TESTSKIN Ⅱ(Organogenesis Inc., Canton, MA)는 실제 살아있는 피부를 모의하는 해부학적 구조와 생리학적 기능을 갖는 사람 피부로부터 확립된다. 상기 조직은 잘-분화된 각화세포와 각질층을 보유하는 상부 표피층 및 콜라겐 매트릭스를 생산할 수 있는 살아있는 섬유아세포를 보유하는 하부 진피층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의 검사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하기 표 1에 요약한다. 표 1에 기재된 검사 물질은 바탕값 크림(검사 물질 2), 스테아릴 글리시레틴에이트를 함유하는 크림(검사 물질 4), 아마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검사 물질 6), 스테아릴 글리시레틴에이트와 아마인 추출물의 조합을 함유하는 크림(검사 물질 8), 파지티브 대조(덱사메타손), 네거티브 대조(처리없음)이다.
검사 물질 2 검사 물질 4 검사 물질 6 검사 물질 8
성분 % % % %
탈이온수 56.919 56.819 52.919 52.819
글리세린 0.500 0.500 0.500 0.500
글리세릴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15.000 15.000 15.000 15.000
폴리솔베이트 20 0.500 0.500 0.500 0.500
스쿠알렌 10.000 10.000 10.000 10.000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3.000 3.000 3.000 3.000
L-아르기닌 5.000 5.000 5.000 5.000
부틸렌 글리콜 4.900 4.900 4.900 4.900
스테아릴 글리시레틴에이트(Barnet) 0.100 0.100
가수분해된 아마(Linum usitatissimum) 추출물 (Silab) 4.000 4.000
다른 첨가제 4.181 4.181 4.181 4.181
이들 검사 물질은 4, 8, 24 시간의 노출 기간동안 평가하고, 이들의 독성은 24 시간의 노출 기간동안 평가하였다. 검사 물질 2, 4, 6, 8은 순수하게 사용하였다. 파지티브 대조(즉, 덱사메타손)는 100 μM 농도로 사용하였다. 모든 희석액은 성장 배지에서 만들고, 분석은 삼중으로 실시하였다.
6-웰 Falcon 평판은 Becton Dickinson & Company(Bedford, MA)로부터 구입가능하다. Millicell 배양용기(transwell) 삽입물과 투약 패드는 Millipore Corporation(Bedford, MA)으로부터 구입가능하다. 성장 배지, DMEM/F12는 Invitrogen Corporation(Carlsbad, CA)의 자회사인 Life Technologies로부터 구입가능하다. PGE2에 대한 고감도 비색 경쟁 ELISA 면역분석 키트 및 사람 GM-CSF에 대한 Quantikine 비색 샌드위치 ELISA 면역분석 키트(각각, R&D DE2100과 R&D DGM00)는 R&D Systems, Inc.(Minneapolis, MN)로부터 구입가능하다. MTT(예,M2128)은 Sigma-Aldrich(Milwaukee,WI)로부터 구입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이용된 분석 방법은 J. Imm. Methods, 1983, Mosman; Biochem. Pharm., 1976, R. J. Flower and G. J. Blackwell; Proc. Natl. Acad. Sci. USA, 1988, J. Raud et al.; J. Immunol., 1985, J. G. Giri et al.; Science, 1974, M. B. Taubman et al.; Med. Pharm., 1990, S. Haga et al.; J. Cell Physio, 1990, A. F. Lopez et al.; Nature, 1989, F.Bussolino et al.을 비롯한 수많은 참고문헌에서 기술한다.
모든 공급과 처리 장치는 멸균하고, 무균 상태로 유지하는 기술을 이용한다. 피부 조직은 중간선으로부터 8 ㎜ 생검 펀치를 이용하여 타인(打印)하고, 배양용기 삽입물과 1 ㎖ 성장 배지를 포함하는 6-웰 평판의 웰에 이전한다. 조직은 10% CO2가 공급된 축축한 37℃ 배양기에 이전하고 하룻밤동안 배양한다.
사용된 검사 물질은 무균 투약 패드(10 ㎕/패드)에 집어넣고 조직 상부에 위치시킨다. 투약된 조직은 배양기에 되돌리고 특정 시간(예, 4시간)동안 배양하며, 이후 상층액을 새로운 배지로 교체한다. 수집된 상층액은 PGE2와 GM-CSF 분석에 사용한다.
PGE 2 탐지
특정 시점에서 상층액에서 PGE2의 정량은 공급업자에 의해 권장된 프로토콜에 따라 실시한다. 가령, 100 ㎕ 시료 또는 표준(분석 완충액 ED1에서 1000, 500, 250, 125, 62.5, 31.2, 15.6, 7.8 pg/㎖로 연속 희석되는 50 ㎍/㎖ 재조합 PGE2)은항-생쥐 항체로 피복된 적당한 웰에 첨가한다. 4가지 대조를 포함시킨다: 전체 활성, 비-특이적 결합, 최대 결합, 기질 바탕값. 전체 활성 대조는 직접 결합된 PGE2HS 공액체만을 포함한다. 비-특이적 결합 대조는 시료 또는 표준을 대신하는 완충액에 PGE2HS 공액체를 포함하지만 항-PGE2HS 항체가 부재한다. 최대 결합 대조는 PGE2HS 공액체와 항-PGE2HS 항체를 모두 포함하지만 시료 또는 표준을 대신하여 완충액을 함유한다. 기질 바탕값 대조는 완충액만을 함유한다. 50 ㎕ PGE2HS 공액체 용액과 50 ㎕ 항-PGE2HS 항체 용액을 시료, 표준, 적당한 대조 웰에 첨가한 이후, 평판은 4-8℃에서 18시간동안 배양한다. 배양후, 용액은 웰로부터 흡입하고, 상기 웰은 세척 완충액에서 3회 세척한다. 기질(완충액에서 pNPP, 200 ㎕)은 각 웰에 첨가하고, 평판은 37℃에서 1시간동안 배양한다. 배양후, 50 ㎕ 중단 용액(트리소디움 포스페이트)을 첨가하고, 마이크로평판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05 nm(570-590 nm의 참조 파장)에서 광학 밀도를 측정한다. 상층액에 존재하는 PGE2의 함량은 재조합 PGE2표준에 의해 산출된 교정 곡선과 비교하여 측정한다.
GM-CSF 탐지
특정 시점에서 상층액에서 GM-CSF의 정량은 공급업자에 의해 권장된 프로토콜에 따라 실시한다. 가령, 100 ㎕ 시료(배양 상층액) 또는 표준(시료 희석제에서 250, 125, 62.5, 31.2, 15.6, 7.8 pg/㎖로 연속 희석되는 50 pg/㎖ 재조합 GM-CSF)은 항-GM-CSF 항체로 피복된 적당한 웰에 첨가한다. 평판은 실온에서 2시간동안배양한다. 배양후, 시료는 웰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웰은 세척 완충액으로 4회 세척한다. 항-GM-CSF 공액체(200 ㎕)는 각 웰에 첨가하고, 평판은 실온에서 1시간동안 배양한다. 배양후, 시료는 다시 한번 제거하고, 상기 웰은 전술한 바와 같이 4회 세척한다. 최종 세척이후, 200 ㎕ 기질 용액은 각 웰에 첨가하고, 평판은 실온에서 20분동안 배양한다. 중단 용액(1N 황산, 50 ㎕)을 첨가하고, 450 nm(540-570 nm의 참조 파장)에서 광학 밀도를 측정한다. 상층액에 존재하는 GM-CSF의 함량은 재조합 GM-CSF 표준에 의해 산출된 교정 곡선과 비교하여 측정한다.
MTT
검사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조직은 10% CO2가 공급된 축축한 37℃ 배양기에서 2 ㎎/㎖ MTT 용액(성장 배지에서 만듦)과 함께 배양한다. 2시간 배양후, MTT 용액은 제거하고, 조직은 PBS로 세척한다. 형성된 포마즌(formazan) 염은 1시간동안 4 ㎖ 이소프로판올과 함께 배양하여 용리한다. 소모된 MTT 용액은 A540에서 96 웰 편평 바닥 평판에서 판독한다.
하기 표 2에서는 24시간 노출 기간동안 다양한 검사 물질로 처리된 세포에서 MTT 데이터를 보여준다. 분석은 삼중으로 실시하는데, 여기에 도시된 수치는 삼중 처리의 평균에 상응한다.
자극 검사 물질 생존 % ± SD
없음 2 105 ± 10
4 96 ± 6
6 100 ± 11
8 97 ± 2
덱사메타손 104 ± 11
도 1에서는 24시간 노출 기간동안 TESTSKIN Ⅱ 시료에 대한 다양한 물질의 독성의 막대그래프를 도시한다. 독성은 노출 기간이후 MTT 감소로 분석한다.
표 2와 도 1의 데이터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 물질은 처리이후 생존 %에기초하여 유해한 독성을 보이지 않는다. 접촉 자극의 파지티브 대조로 이용되는 PMA(10 ng/㎖)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진 않지만 TESTSKIN Ⅱ 조직에 약한 독성을 나타낸다(기준: p ≤ 0.01).
하기 표 3에서는 24시간 노출 기간동안 다양한 검사 물질로 처리된 세포에서 IL-1α, PGE2, GM-CSF 분비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보여준다. 분석은 삼중으로 실시하는데, 여기에 도시된 수치는 삼중 처리의 평균에 상응한다.
검사 물질 IL-1α
0 Hr 4 Hr 8 Hr 24 Hr
2 22.00 ± 9.69 27.80 ± 4.38 29.37 ± 2.83 32.66 ± 2.27
4 22.00 ± 9.69 31.83 ± 14.02 34.29 ± 14.80 42.96 ± 12.97
6 22.00 ± 9.69 32.02 ± 15.35 34.54 ± 16.14 43.95 ± 12.10
8 22.00 ± 9.69 25.56 ± 10.31 26.18 ± 10.27 40.46 ± 14.37
네거티브 대조 22.00 ± 9.69 26.16 ± 10.33 27.18 ± 10.40 32.47 ± 10.94
덱사메타손 22.00 ± 9.69 23.35 ± 10.39 24.45 ± 9.47 25.42 ± 8.94
검사 물질 PGE2
0 Hr 4 Hr 8 Hr 24 Hr
2 1420 ± 169 2453 ± 92 3398 ± 137 5836 ± 377
4 1420 ± 169 2159 ± 220 2572 ± 236 4911 ± 409
6 1420 ± 169 2264 ± 144 3190 ± 159 5758 ± 145
8 1420 ± 169 1874 ± 145 2012 ± 159 3555 ± 278
네거티브 대조 1420 ± 169 2816 ± 92 4219 ± 382 6693 ± 171
덱사메타손 1420 ± 169 1964 ± 444 2077 ± 487 2161 ± 564
검사 물질 GM-CSF
0 Hr 4 Hr 8 Hr 24 Hr
2 92.61 ± 5.64 153.40 ± 6.42 176.26 ± 6.87 390.34 ± 15.89
4 92.61 ± 5.64 155.55 ± 5.25 181.21 ± 9.99 374.39 ± 14.97
6 92.61 ± 5.64 156.18 ± 14.87 186.36 ± 9.62 437.31 ± 40.48
8 92.61 ± 5.64 101.54 ± 6.16 105.22 ± 6.48 182.86 ± 9.09
네거티브 대조 92.61 ± 5.64 147.76 ± 6.17 166.04 ± 6.87 394.30 ± 15.89
덱사메타손 92.61 ± 5.64 116.00 ± 5.64 120.40 ± 5.52 262.03 ± 35.82
도 2와 도 3에서는 다양한 검사 물질에 노출이후 분비된 GM-CSF와 PGE2의 함량 도면을 각각 보여준다. 조직은 PMA 또는 히스타민으로 자극하기에 앞서 4시간동안 검사 물질과 함께 사전-배양한다. 분비된 IL-1α, PGE2, GM-CSF는 ELISA 방법으로 측정한다. 표 3과 도 2-3에 도시된 사이토킨 PGE2와 GM-CSF가 자극 작용, 염증, 면역자극의 지표로 이용되긴 하지만, TESTSKIN Ⅱ 피부 모델은 APC(항원 제시 세포)와 같은 면역 세포가 결여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아릴 글리시레틴에이트와 아마인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크림(검사 물질 8)은 분비된 GM-CSF 함량을 덱사메타손에 의해 달성되는 수준 및 개별 성분, 스테아릴 글리시레틴에이트와 아마인 추출물을 각각 함유하는 크림(검사 물질 4와 6)에 의해 달성되는 수준 이하로 성공적으로 감소시킨다.
유사하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아릴 글리시레틴에이트와 아마인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크림(검사 물질 8)은 분비된 PGE2의 함량을 개별 성분, 스테아릴 글리시레틴에이트와 아마인 추출물을 각각 함유하는 크림(검사 물질 4와 6)에 의해 달성되는 수준 이하로 성공적으로 감소시킨다. 따라서, 이런 결과는 아마인 추출물과 감초 추출물의 조합이 PGE2와 GM-CSF의 배경 수준 강하에 놀랍고 예상치 못한 상승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증거한다.
검사 물질에 노출된 직후에 추가적인 자극이 없으면, 배경 수준(즉, 네거티브 대조) 이상으로 현저한 IL-1α, PGE2, GM-CSF의 분비는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스테아릴 글리시레틴에이트와 아마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시료(8)는 추가적인 자극없이 24시간후 PGE2와 GM-CSF의 배경 수준을 감소시킨다.
PMA에 의한 자극은 24시간 노출이후 PGE2분비를 배경 수준 이상으로 유도하지 못하지만, PMA 노출에 앞서 조직을 검사 물질 8 또는 덱사메타손으로 사전처리하면 PGE2분비의 배경 수준이 억제된다. 이에 더하여, 조직을 외인성 히스타민으로 공격하는 경우에, 검사 물질 8은 히스타민 유도된 GM-CSF 분비로부터 상당한 보호를 제공한다.
SENSILINE 아마인 추출물, NET-STG 스테아릴 글리시레틴에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함유하는 아이 크림(eye cream)은 본 연구에서 피부 모델에 비-독성(MTT 세포 생존 데이터에 기초하여)이고, 비-자극성(IL-1α, PGE2, GM-CSF 분비 데이터에 기초하여)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2가지 활성 성분의 조합을 함유하는 아이 크림은 PMA(비-감작화 자극인자) 또는 히스타민(Ⅳ형 과민성-유사 반응)으로 외인성 자극직후에 염증/자극 반응으로부터 보호 수단을 제공한다. 이들 2가지 활성 성분의 동시 존재는 PGE2와 GM-CSF의 배경 수준을 덱사메타손에서 관찰되는 수준으로 감소시키는데 상승적으로 작용한다.
앞서 기술된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다양한 개변은 당업자에게 자명하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와 이의 등가물의 범위에 포섭된다.

Claims (20)

  1. 아마인 추출물과 감초 추출물의 효과량을 함유하는 소염 조성물을 포함하는 국소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감초 추출물은 감초(glycyrrhiza), 글리시레트산(glycerrhetic acid), 글리시리즈산(glycyrrhizic acid), 이들의 유도체,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용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유도체는 염, 에스테르,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용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염은 금속염과 암모늄염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용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에스테르는 지방산 에스테르, 양쪽산 반 에스테르, 글리코시드 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용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지방산 에스테르는 포화 지방산 에스테르와 불포화 지방산 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용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감초 추출물은 스테아릴 글리시레틴에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용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아마인 추출물은 조성물의 0.00001 내지 10 wt% 함량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용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아마인 추출물은 조성물의 0.001 내지 6 wt% 함량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용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아마인 추출물은 조성물의 4 wt% 함량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용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감초 추출물은 조성물의 0.00001 내지 3 wt% 함량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용 조성물.
  12. 제 8 항에 있어서, 스테아릴 글리시레틴에이트는 조성물의 0.0001 내지 2 wt% 함량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용 조성물.
  13. 제 8 항에 있어서, 스테아릴 글리시레틴에이트는 조성물의 0.1 wt% 함량으로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용 조성물.
  14.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가지 바이오플라보노이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용 조성물.
  15. 아마인 추출물과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소염 조성물을 포함하는 국소용 조성물에 있어서, 아마인 추출물은 조성물의 0.1 내지 5 wt% 함량으로 존재하고, 감초 추출물은 0.001 내지 1.5 wt% 함량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용 조성물.
  16. 아마인 추출물과 감초 추출물의 효과량을 함유하는 소염 조성물을 포함하는 국소용 조성물을 염증 부위에 국소 도포하여 염증을 감소시키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감초 추출물은 감초(glycyrrhiza), 글리시레트산(glycerrhetic acid), 글리시리즈산(glycyrrhizic acid), 이들의 유도체,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감초 추출물은 스테아릴 글리시레틴에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아마인 추출물은 조성물의 0.00001 내지 10 wt% 함량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감초 추출물은 조성물의 0.00001 내지 3 wt% 함량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7010852A 2002-01-31 2003-01-30 염증을 감소시키는 국소용 소염 조성물과 방법 Ceased KR200400794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061,998 US6881427B2 (en) 2002-01-31 2002-01-31 Topical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ntaining linseed and licorice extracts
US10/061,998 2002-01-31
PCT/US2003/002767 WO2003063806A1 (en) 2002-01-31 2003-01-30 Topical anti-inflammatory compositions and methods of reducing inflamm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9417A true KR20040079417A (ko) 2004-09-14

Family

ID=27610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0852A Ceased KR20040079417A (ko) 2002-01-31 2003-01-30 염증을 감소시키는 국소용 소염 조성물과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81427B2 (ko)
KR (1) KR20040079417A (ko)
CN (1) CN100421647C (ko)
WO (1) WO20030638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2948B2 (en) * 2003-08-04 2007-02-27 Ko Manufacturing, Inc. Topical veterinar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infection
IS2079B (is) * 2004-04-06 2006-02-15 βrus Helgason L Hörfræseyði sem vinnur gegn áhrifum slitgigtar
US8338648B2 (en) * 2004-06-12 2012-12-25 Signum Biosciences, Inc.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pithelial-related conditions
KR100629311B1 (ko) 2004-12-22 2006-09-29 김홍렬 항염증 조성물
GB0504153D0 (en) * 2005-03-01 2005-04-06 Brooks Sarah Annabelle Lubricating composition
US8173143B2 (en) * 2005-06-02 2012-05-08 Tecco Michelle A Personal skin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anti-flammatory and anti-microbial agents
WO2007016050A1 (en) * 2005-07-28 2007-02-08 Global Cosmeceutical Innovations, Llc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cellulite
GB0615064D0 (en) * 2006-07-28 2006-09-06 Sinclair Pharmaceuticals Ltd Medicament
FR2906719A1 (fr) * 2006-10-05 2008-04-11 Limousine D Applic Biolog Dite Utilisation de substances agissant sur le derme papillaire pour leur action anti-age.
US20080274062A1 (en) * 2007-05-02 2008-11-06 Chantal Bergeron Glycyrrhizic acid compounds as a foamer in chemically-derived surfactant-free dentifrice
FR2918893B1 (fr) * 2007-07-20 2012-10-19 Vincience Utilisation d'un principe actif issu du lin pour preparer une composition destinee a activer le cytochrome c
US8257753B2 (en) 2007-07-20 2012-09-04 Isp Investments Inc. Use of an active principle originating from flax in a composition intended to reinforce the barrier function of the skin and to protect the skin and the appendages against external aggressions
US20100113352A1 (en) 2008-11-06 2010-05-06 Elliott Millstein Retinol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their use
FR2956818B1 (fr) * 2010-02-26 2012-07-20 Isp Investments Inc Utilisation d'un hydrolysat peptidique de lin dans une composition pour apaiser la peau
FR2997626B1 (fr) * 2012-11-05 2016-08-19 Laboratoires Dermatologiques Duriage Composition cosmetique destinee au traitement des peaux grasses
KR101592560B1 (ko) * 2013-06-21 2016-02-0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플라보노이드 및 그 용도
ITMI20131099A1 (it) * 2013-07-01 2015-01-02 Kemon S P A Estratto vegetale per il trattamento e la cura dei capelli, del cuoio capelluto o della cute
ITRM20130542A1 (it) * 2013-10-04 2015-04-05 Aboca Spa Societa Agricola Nuove frazioni di estratti di liquirizia e loro usi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87356A1 (fr) * 1980-07-25 1982-01-29 Oreal Emulsions stables obtenues a partir d'un agent emulsionnant naturel stabilise par du suc d'aloes
JP2529571B2 (ja) * 1987-05-12 1996-08-28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皮膚刺激感抑制剤及びこれを配合してなる化粧料
JPH05194176A (ja) * 1992-01-20 1993-08-03 Sunstar Inc 美白化粧料
WO1994024984A2 (en) * 1993-04-30 1994-11-10 Winget Rodner R Anti-inflammatory compositions containing eicosapentaenoic acid bearing monogalactosyldiacylglycerol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US5397778A (en) * 1994-02-25 1995-03-14 New England Deaconess Hospital Corporation Enteral formulations for treatment of inflammation and infection
RU2089178C1 (ru) * 1994-06-23 1997-09-10 Сергей Николаевич Белов Мазь белова для лечения химических, термических ожогов и отморожений
US5560910A (en) * 1994-08-26 1996-10-01 Crandall; Wilson T. Topical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and method
US6342208B1 (en) 1996-08-02 2002-01-29 Plum Kerni Produktion A/S Oil-in-water emulsion containing C10-C24 fatty acid derivatives for treating skin of mammals
US6174533B1 (en) * 1997-05-23 2001-01-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care compositions and method of improving skin appearance
JP3687277B2 (ja) 1997-06-10 2005-08-24 サンスター株式会社 美白化粧料
AU748441B2 (en) * 1997-09-05 2002-06-06 Procter & Gamble Company, The Cleansing and conditioning products for skin or hair with improved deposition of conditioning ingredients
BR9811789A (pt) * 1997-09-12 2000-09-05 Procter & Gamble Artigo de limpeza e condicionamento para tratamento pessoal de utilização única, descartável e processos para manufaturar esse artigo e para limpar e condicionar a pele ou cabelo com esse artigo
US6187763B1 (en) * 1998-03-04 2001-02-13 Teijin Limited Activated vitamin D3 emulsion-type lotions
WO1999052502A1 (en) 1998-04-16 1999-10-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care compound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such compounds
RU2145839C1 (ru) * 1998-12-29 2000-02-27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омпания КОРА" Косметическая маска "грязевая"
JP4100805B2 (ja) 1999-01-22 2008-06-11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化粧料
US6184247B1 (en) * 1999-05-21 2001-02-06 Amway Corporation Method of increasing cell renewal rate
JP3850202B2 (ja) 1999-06-11 2006-11-2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
WO2001002477A1 (en) 1999-07-06 2001-01-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e-formed, self-adhesive sheets suitable for topical application
JP2001261570A (ja) 2000-03-22 2001-09-26 Nisshin Oil Mills Ltd:The 皮膚外用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81427B2 (en) 2005-04-19
CN100421647C (zh) 2008-10-01
CN1622796A (zh) 2005-06-01
WO2003063806A1 (en) 2003-08-07
US20030143288A1 (en) 200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79417A (ko) 염증을 감소시키는 국소용 소염 조성물과 방법
JP5010775B2 (ja) 化粧品及び皮膚科学におけるエラグ酸及びその誘導体の使用
US7678380B2 (en) Cosmetic treatment method for fighting against skin ageing effects
DE60005678T2 (de) Hautpflegezusammensetzung
US11090205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skin conditions
CA2180454A1 (e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protection
DE69807097T2 (de) Aktiver synergistischer komplex und kosmetisches und/oder pharmazeutisches produkt das diesen komplex enthält
CN111956539A (zh) 一种抗敏舒缓和皮肤屏障修护精华霜
KR20020032577A (ko) 피부 지질 함량 조절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
CN113876626A (zh) 一种对蓝光诱导皮肤细胞损伤具有保护作用的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US6426081B1 (en) Cosmetic firming formulation
EP1032378B1 (en) Use of a mixture of a diol and an alpha-hydroxy acid for the treatment of hyperkeratotic skin diseases
DE60313141T2 (de) Kosmetische verwendung von phytosphingosin als schlankmacher und phytosphingosin enthalten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en
KR20010001290A (ko) 피부 주름의 개선 및 생성 억제 효과를 갖는 외용제 조성물
EP0914138B1 (de) Komplexe zubereitungen gekennzeichnet durch einen gehalt an betain
US6004568A (en) Cosmetic or pharmaceutical, particularly dermatological, composition containing a Bertholletia extract
KR100444599B1 (ko) 피부자극 및 염증완화 효과를 갖는 라스베리 잎 또는 열매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27573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20220142884A1 (en) Treatment of aging or uv-damaged skin
CN114306152A (zh) 一种发用控油组合物及其应用
FR2767690A1 (fr) Utilisations d'extraits de la plante rhoeo discolor dans le domaine de la cosmetique et de la pharmacie, notamment de la dermatologie
KR101427574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4349B1 (ko) 자일로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WO2003092668A1 (de) Verwendung von agmatin zur topischen applikation
KR20010025824A (ko)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1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410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7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4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1107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0805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