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0030A -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60030A KR20040060030A KR1020020086542A KR20020086542A KR20040060030A KR 20040060030 A KR20040060030 A KR 20040060030A KR 1020020086542 A KR1020020086542 A KR 1020020086542A KR 20020086542 A KR20020086542 A KR 20020086542A KR 20040060030 A KR20040060030 A KR 200400600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resin composition
- monomer
- thermoplastic resin
- flame retarda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a1) 고무상 중합체 5 내지 65 중량%에 방향족비닐계 단량체 30 내지 94 중량%, 상기 방향족 비닐계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1 내지 20 중량%, 및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가하는 단량체 0 내지 15 중량%를 첨가하여 그라프트 중합시킨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20 내지 100 중량% 및 (a2)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60 내지 90 중량%에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10 내지 40 중량% 및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가하는 단량체 0 내지 30 중량%를 첨가하여 공중합시킨 공중합체수지 0 내지 80 중량%로 이루어진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 및 (B) 고리형 알킬기를 가지는 디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1 내지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환경 친화성이 우수하고 난연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에 난연제로 고리형 알킬기를 가지는 디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및 방향족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난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열도, 기계적 강도 및 성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일반적으로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는 가공성이 양호하고 물성, 특히 충격강도가 뛰어나고 외관이 우수하여 전기전자 제품 및 사무기기 등의 다양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자체로 컴퓨터 및 팩스 등과 같이 열을 발산하는 제품에 사용될 때에는 연소성이 있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의 연소성을 방지하기 위해 난연성을 부여하는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종래의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난연화 기술은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에 난연제인 할로겐계 화합물을 혼합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할로겐계 화합물로는 폴리브로모디페닐에테르,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및 브롬 치환된 에폭시 화합물 등이 있다. 그리고 이들 할로겐계 화합물에 안티몬계 화합물을 병용하면 수지의 난연성을 상승시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할로겐계 화합물과 안티몬계 화합물을 이용하는 난연성 부여 방법은 주 난연제로 사용되는 할로겐계 화합물이 가공중에 휘발되어 할로겐화 수소가스를 발생시켜 금형을 부식시킬 수가 있으며 연소시에 발생되는 할로겐화 수소 가스는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그 중에서도 할로겐계 화합물 난연제의 주종을 이루는 폴리브롬화 디페닐에테르는 연소시에 디옥신이나 디퓨란과 같은 매우 유독한 가스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아서 80년대 중반이후 유럽을 중심으로 할로겐계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는 난연화 방법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미국특허 제3,639,506호에는 스티렌계 수지와 폴리페닐렌 에테르계 수지의 블렌드에 모노 방향족 인산 에스테르를 적용한 예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 사용된 트리페닐 포스페이트는 내열도 저하가 심하고 휘발성이 강하여 수지의 성형 과정중에 액상 이물이 발생하고 쥬싱 크랙(Juicing Crack)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일본특허 평7-043769호에는 휘발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트리페닐 포스페이트의 페닐기에 탄소수가 12∼25 사이의 치환기를 도입하여 고무강화 스티렌계 수지 (HIPS)에 적용할 경우 적하형 난연성이 달성됨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4,073,767호에서는 고리형 알킬 구조의 인 화합물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터, 폴리아미드에 효과적인 난연제임을 개시하고 있으며, 일본 평5-1079호에서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의 내열도 저하를 막고 이의 휘발성을 개선하고자 방향족 페닐기를 연결기로 가지는 디인산 에스테르 구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내열도 저하가 없고 휘발성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에 고리형 알킬기를 가지는 디인산 에스테르 난연제를 적용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이면서 적하형 난연성을 달성하고 성형성, 내열도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에 대해 안정성이 있는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지의 가공이나 연소 시에 환경오염을 야기시키는 할로겐 화합물을 난연제로 사용하지 않고 고리형 알킬기를 가지는 디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난연제로 사용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성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a1) 고무상 중합체 5 내지 65중량%에 방향족비닐계 단량체 30 내지 94중량%, 상기 방향족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할 수 있는 단량체 1 내지 20중량% 및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가하는 단량체 0 내지 15중량%를 첨가하여 그라프트 중합시킨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20 내지 100중량% 및 (a2) 방향족비닐계 단량체 60 내지 90중량%에 상기 방향족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할 수 있는 단량체 10 내지 40중량% 및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가하는 단량체 0 내지 30중량%를 첨가하여 공중합시킨 공중합체 수지 0 내지 80중량%로 이루어진 고무 변성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 및 (B) 고리형 알킬기를 가지는 디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1 내지 15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선택적으로 (C) 방향족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0 내지 10 중량부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이하, 이들 각각의 성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A)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ABS 수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무변성 수지는 비닐방향족계 중합체로부터 이루어진 매트릭스(연속상)중에 고무상 중합체가 입자형태로 분산되어 존재하는 중합체를 말하는 것으로써 고무상 중합체의 존재하에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이것과 공중합 가능한 비닐계 단량체를 첨가하여 중합하여 제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는 유화중합, 현탁중합, 괴상중합과 같은 알려진 중합방법에 의하여 제조가 가능하며, 통상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와 공중합체 수지를 혼합 압출에 의해 생산한다. 괴상중합의 경우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와 공중합체 수지를 별도로 제조하지 않고 일단계 반응공정만으로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를 제조하나 어느 경우에도 최종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성분 중에서 고무함량은 기초수지 전체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부의 것이 적합하다.
이와 같은 수지의 예로써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공중합체 수지(ABS), 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고무-스티렌공중합체 수지(AAS),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프로필렌고무-스티렌공중합체 수지 등이 있다.
위 수지의 예는 그라프트 수지 단독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와 공중합체 수지의 병용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1)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에 이용되는 고무의 예로써는 폴리부타디엔, 폴리(스티렌-부타디엔),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등의 디엔계 고무 및 상기 디엔계고무를 수소첨가한 포화고무, 이소프렌고무, 폴리부틸아크릴산 등의 아크릴계 고무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단량체 삼원공중합체(EPDM)등을 열거할 수 있다. 이중 특히 디엔계 고무가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부타디엔계 고무가 적합하다. 고무의 함량은 그라프트 공중합체수지 중량중 5 내지 65중량%가 적당하다.
상기 그라프트 중합가능한 단량체 혼합물중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등이 첨가될 수 있다. 이중 스티렌이 가장 바람직하며 여기에 상기의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에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1종이상 도입하여 적용한다. 도입 가능한 단량체로는 아크릴로니트릴과 같은 시안화 비닐계와 메타크릴로니트릴과 같은 불포화 니트릴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총 성분중 고무상 중합체는 5 내지 65중량% 이고,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30 내지 94중량%이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에 공중합 할 수 있는 단량체는 1 내지 20중량%로 부가되어 그라프트 공중합된다.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시에는 가공성 및 내열성과 같은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말레인산, 및 N-치환말레이드 등의 단량체를 더 부가하여 그라프트 중합될 수 있다. 그 부가되는 양은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전체의 0 내지 15중량% 범위이다.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시에 충격강도 및 외관을 고려하여 고무입자의 평균 크기는 0.1 내지 4 ㎛의 범위가 적합하다.
(a2) 공중합체 수지
공중합체 수지는 상기의 조성으로 제조된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성분 중 고무를 제외한 단량체 비율과 상용성에 따라 제조되며 그 성분은 다음과 같다.
공중합되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등이 첨가될 수 있으며 이중 스티렌이 가장 바람직하고 공중합체 수지전체의 성분 중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첨가량은 60 내지 90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 수지에는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에 공중합 할 수 있는 단량체가 1종류 이상 도입된다. 상기 공중합 할 수 있는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과 같은 시안화비닐계 화합물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과 같은 불포화니트릴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의 단량체는 공중합체 수지 총 성분의 10 내지 40중량%로 도입된다.
상기 공중합체 수지에는 가공성 및 내열성과 같은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 말레인산, 및 N-치환말레이드 등의 단량체를 0 내지 30중량% 부가하여 공중합할 수 있다.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A)중에서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a1)는 20 내지 100중량%이고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함유 공중합체 수지(a2)는 0 내지 80중량%이다.
(B) 고리형 알킬기를 가지는 디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본 발명의 고리형 알킬기를 가지는 디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된다.
[화학식 1]
상기식에서 R1과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의 알킬기이고; X는 C6-C20의 아릴기 또는 알킬기가 치환된 C6-C20의 아릴기로써 레소시놀, 히드로퀴놀, 비스페놀-A의 디알콜로부터 유도된 것이다.
상기 화학식 1의 대표적 화합물로는 비스페놀-A (디(트리메틸렌)) 포스페이트, 비스페놀-A (디(2,2'-디메틸트리메틸렌)) 포스페이트 등이 있으며 이들 화합물은 단독 또는 혼합물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리형 알킬기를 가지는 디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5 중량부로 사용한다.
(C) 방향족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방향족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된다.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R3, R4,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의 알킬기이고; X는 C6-C20의 아릴기 또는 알킬기가 치환된 C6-C20의 아릴기로써 레소시놀, 히드로퀴놀, 비스페놀-A의 디알콜로부터 유도된 것이며; n의 범위는 1 에서 4이다.
상기 화학식 2에 해당되는 화합물로 n이 1인 경우 레소시놀 비스(디페닐)포스페이트, 레소시놀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 레소시놀비스(2,4-디터셔리부틸페닐)포스페이트, 하이드로퀴놀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 하이드로퀴놀비스(2,4-디터셔리부틸페닐)포스페이트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들 방향족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은 단독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또는 각각의 혼합물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성성분 외에도 각각의 용도에 따라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유기 및 무기안료, 염료 및 무기 충진제가 부가될 수 있다. 부가되는 상기 무기물 첨가제로는 석면, 유리섬유, 탈크, 세라믹 및 황산염 등이 있으며, 이들은 본 발명의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0 중량부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사용된 (A)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B) 고리형 알킬기를 가지는 디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a1)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부타디엔 고무 라텍스의 고형분 50 중량부, 그라프트 중합되는 단량체인 스티렌 36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14 중량부, 및 탈이온수 150 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의 총 고형분에 대하여 올레인산칼륨 1.0 중량부,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0.4 중량부, 머캅탄계 연쇄이동제 0.2 중량부, 포도당 0.4 중량부, 황산철 수화물 0.01 중량부, 및 피로포스페이트 나트륨염 0.3 중량부를 첨가하여 5시간 동안 75℃를 유지해서 반응을 완료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체(g-ABS) 라텍스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수지 조성물 고형분에 대해 황산을 0.4 중량부를 부가하고 응고시켜서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g-ABS)를 분말상태로 제조하였다.
(a2)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함유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 75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25 중량부, 탈이온수 120 중량부의 혼합물에 필요한 첨가제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 중량부와 트리칼슘 포스페이트 0.4 중량부, 및 머캅탄계 연쇄이동제 0.2 중량부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80℃ 온도까지 90분 동안 승온시킨 후 이 온도에서 180분을 유지하여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수지(SAN)를 제조하였다. 이를 수세, 탈수 및 건조하여 분말상태의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수지(SAN)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80,000∼100,000정도이었다.
(B) 고리형 알킬기를 가지는 디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미국 Albemarle사의 비스페놀-A (디(2,2'-디메틸트리메틸렌)) 포스페이트 [제품명 XP-3010]를 사용하였다. 융점이 180-184℃인 화합물이다.
(C) 방향족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C1)일본 대팔화학의 레소시놀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 [상품명 PX200]을 사용하였다.
(C2) 방향족 모노포스페이트로서 일본 대팔화학의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TPP)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3
상기 각 구성성분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으로 투입하여 통상의 이축 압출기에서 180∼250 ℃ 온도범위에서 압출하여 펠렛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렛은 80 ℃에서 3시간 건조 후 6 Oz 사출기에서 성형온도 180∼280℃, 금형온도 40∼80 ℃의 조건으로 사출하여 물성시편을 제조하였으며,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였다.
(1) 난연도 : UL 94 VB 난연규정에 따라 1/12", 1/8" 두께에서 난연도를 측정하였다.
(2) notched Izod 충격강도 : 1/8" 두께에서 ASTM 256A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3) 내열도 : ASTM D 1525에 준하여 5 kgf 하중에서 측정하였다.
(4) 휘발량 : 수지 펠렛을 250 ℃, 등온조건에서 질소를 흘러 보내 주는 상태에서 10분간 방치하면서 Thermogravimetric Analysis Tes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비교실시예 1-2
비교실시예 1은 난연제로 본 발명의 방향족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대신에 방향족 모노포스페이트를 첨가한 것이고, 비교실시예 2는 난연제로 방향족 모노포스페이트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시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및 비교실시예 1-2에서 제조된 수지의 조성 및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항목 | 실시예 | 비교 실시예 | ||||
1 | 2 | 3 | 1 | 2 | ||
(A) 고무변성스티렌계 수지 | (a1) | 30 | 30 | 30 | 30 | 30 |
(a2) | 70 | 70 | 70 | 70 | 70 | |
(B) XP3010 | 4 | 6 | 3 | 3 | - | |
(C1) PX200 | - | - | 3 | - | - | |
(C2) TPP | - | - | - | 3 | 6 | |
UL94 난연도, (1/12") | V2 | V2 | V2 | V2 | V2 | |
UL94 난연도, (1/8") | V2 | V2 | V2 | V2 | Fail | |
Izod 충격강도 1/8" | 21 | 19 | 20 | 21 | 17 | |
내열도 (℃) | 95 | 93 | 94 | 85 | 79 | |
휘발량 (250도) | 0.4% | 0.6% | 0.5% | 2.5% | 5% |
상기 표1의 결과로부터, 난연제로 고리형 알킬기를 가지는 디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조성물은 적하형 난연성이 우수하였고, 충격강도 및 내열도의 저하가 없으며 휘발량이 적어 액상 문제를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난연제로서 방향족 모노인산 에스테르를 사용하게 되면 난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내열도 저하가 심하고 휘발량이 많아 제품의 성형성이 떨어지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로 이루어진 기초수지에 난연제로 고리형 알킬기를 가지는 디인산 에스테르 화합물과 선택적으로 방향족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적용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이고 적하형 난연성이 우수하면서 내열도, 기계적 충격강도 및 성형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0)
- (A) (a1) 고무상 중합체 5 내지 65중량%에 방향족비닐계 단량체 30 내지 94중량%, 상기 방향족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할 수 있는 단량체 1 내지 20중량% 및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가하는 단량체 0 내지 15중량%를 첨가하여 그라프트 중합시킨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20 내지 100중량% 및 (a2) 방향족비닐계 단량체 60 내지 90중량%에 상기 방향족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할 수 있는 단량체 10 내지 40중량% 및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가하는 단량체 0 내지 30중량%를 첨가하여 공중합시킨 공중합체 수지 0 내지 80중량%로 이루어진 고무 변성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 및(B) 고리형 알킬기를 가지는 디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1 내지 1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C) 방향족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A) 100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10 중량부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상 중합체는 디엔계 고무, 디엔계 고무에 수소를첨가한 포화고무, 이소프렌 고무, 아크릴계 고무,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단량체 삼원공중합체(EPDM)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비닐계 단량체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는 시안화 비닐계 화합물 및 불포화 니트릴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가하는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말레인산, 및 N-치환말레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A)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ABS), 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 고무/스티렌 공중합체 수지(AAS),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프로필렌 고무/스티렌 공중합체 수지(AE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알킬기를 가지는 디인산 에스테르 화합물(B)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화학식 1]상기식에서 R1과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의 알킬기이고; X는 C6-C20의 아릴기 또는 알킬기가 치환된 C6-C20의 아릴기로써 레소시놀, 히드로퀴놀, 비스페놀-A의 디알콜로부터 유도된 것이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C)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화학식 2]상기 식에서 R3, R4,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의 알킬기이고; X는 C6-C20의 아릴기 또는 알킬기가 치환된 C6-C20의 아릴기로써 레소시놀, 히드로퀴놀, 비스페놀-A의 디알콜로부터 유도된 것이며; n의 범위는 1 에서 4이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이 적하 방지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상용화제, 안료, 염료 및/또는 무기물 충전제를 0∼30 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86542A KR100519102B1 (ko) | 2002-12-30 | 2002-12-30 |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86542A KR100519102B1 (ko) | 2002-12-30 | 2002-12-30 |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60030A true KR20040060030A (ko) | 2004-07-06 |
KR100519102B1 KR100519102B1 (ko) | 2005-10-05 |
Family
ID=37351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86542A KR100519102B1 (ko) | 2002-12-30 | 2002-12-30 |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19102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1126B1 (ko) * | 2006-12-29 | 2007-11-30 | 제일모직주식회사 | 멜라민계 화합물을 이용한 비할로겐계 난연성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
KR100790425B1 (ko) * | 2006-12-29 | 2008-01-03 | 제일모직주식회사 |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및플라스틱 성형품 |
KR20110093373A (ko) * | 2010-02-12 | 2011-08-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메모리 제어기 및 그 메모리 제어기가 탑재된 컴퓨팅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76614A (ko) * | 2011-12-28 | 2013-07-08 | 제일모직주식회사 |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
2002
- 2002-12-30 KR KR10-2002-0086542A patent/KR10051910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1126B1 (ko) * | 2006-12-29 | 2007-11-30 | 제일모직주식회사 | 멜라민계 화합물을 이용한 비할로겐계 난연성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
KR100790425B1 (ko) * | 2006-12-29 | 2008-01-03 | 제일모직주식회사 |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및플라스틱 성형품 |
KR20110093373A (ko) * | 2010-02-12 | 2011-08-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메모리 제어기 및 그 메모리 제어기가 탑재된 컴퓨팅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19102B1 (ko) | 2005-10-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02417B1 (ko) | 난연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KR20000018423A (ko) | 난연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KR100778006B1 (ko) | 내후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KR100743482B1 (ko) |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 |
KR100552999B1 (ko) |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EP1497365A1 (en) | Thermoplastic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s | |
KR100520790B1 (ko) | 열가소성 난연성 수지조성물 | |
KR100329983B1 (ko) | 난연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KR100331377B1 (ko) | 난연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 |
KR100346395B1 (ko) | 열가소성 난연성 수지 조성물 | |
KR100519102B1 (ko) |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KR100364060B1 (ko) | 열가소성 난연성 수지 조성물 | |
KR100448163B1 (ko) |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KR100519118B1 (ko) |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EP1756217B1 (en) | Flameproof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 |
KR20050060260A (ko) | 열가소성 난연성 수지 조성물 | |
KR100505280B1 (ko) |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KR100511754B1 (ko) |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KR100764650B1 (ko) |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KR20000018424A (ko) | 난연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KR100524582B1 (ko) |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KR100596934B1 (ko) |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KR100568080B1 (ko) |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KR100355411B1 (ko) | 열가소성 난연성 수지조성물 | |
KR100505299B1 (ko) |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