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40013040A -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3040A
KR20040013040A KR1020040002132A KR20040002132A KR20040013040A KR 20040013040 A KR20040013040 A KR 20040013040A KR 1020040002132 A KR1020040002132 A KR 1020040002132A KR 20040002132 A KR20040002132 A KR 20040002132A KR 20040013040 A KR20040013040 A KR 20040013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odle
housing
screw
corn
doug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배
Original Assignee
김성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배 filed Critical 김성배
Priority to KR1020040002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3040A/ko
Publication of KR20040013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304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44Consumable closure means, i.e. closure means being used only once
    • B22D41/46Refractory plugging ma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1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alumin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12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chrom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48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zirconium or hafnium oxides, zirconates, zircon or hafn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수수, 메밀과 같이 비소맥분으로 되는 곡분으로 국수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별도의 에너지원이 없이 원료혼합 및 증숙부에서의 자체 발열로서 반죽이 이루어지면서 완전하게 익혀진 상태의 국수를 제조하므로써, 쉽고 간편하게 옥수수 및 메밀국수를 먹을 수 있는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 1하우징과, 제 1하우징에 연통된 제 1호퍼와, 제 1하우징의 내부에 축설된 반죽스크류와, 제 1하우징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된 제 1냉각수 하우징을 포함하는 원료혼합 및 증숙부; 제 2하우징과, 제 2하우징의 외주면에 연통된 제 2호퍼와, 제 2하우징의 내부에 축설된 이송스크류와, 제 2하우징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된 제 2냉각수 하우징과, 제 2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된 국수 면발 굵기조절부재를 통해 소정 굵기의 면발을 성형하는 'ㄱ'자형 배관과, 굵기조절부재를 통해 성형되는 국수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하는 반죽물 이송 및 국수냉각부; 구동모터로부터 발생된 동력이 풀리 및 벨트를 통해 전달되어 상기 반죽스크류와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동력발생 및 전달부; 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

Description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manufacturing corn and buckwheat noodles and therefor apparatus}
본 발명은 옥수수, 메밀과 같이 비소맥분으로 되는 곡분으로 국수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별도의 에너지원이 없이 원료혼합 및 증숙부에서의 자체 발열로서 반죽이 이루어지면서 완전하게 익혀진 상태의 국수를 제조하므로써, 쉽고 간편하게 옥수수 및 메밀국수를 먹을 수 있고, 옥수수 및 메밀국수 고유의 맛을 갖는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단부에 반죽물 토출구가 설치된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1하우징의 외주면에 연통된 제 1호퍼와, 상기 제 1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축설된 반죽스크류와, 외주면에 냉각수 투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하우징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된 제 1냉각수 하우징을 포함하는 원료혼합 및 증숙부; 선단부에 반죽물 토출구가 설치된 제 2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의 외주면에 연통된 제 2호퍼와, 상기 제 2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축설된 이송스크류와, 외주면에 냉각수 투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하우징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된 제 2냉각수 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에 연결되어 하부에 설치된 국수 면발 굵기조절부재를 통해 소정 굵기의 면발을 성형하는 'ㄱ'자형 배관과, 프레임상에 설치되어 상기 굵기조절부재를 통해 성형되는 국수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하는 반죽물이송 및 국수냉각부; 구동모터로부터 발생된 동력이 풀리 및 벨트를 통해 전달되어 상기 반죽스크류와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동력발생 및 전달부; 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수는 밀가루를 주원료로 하여 제조되고 있으나, 현대인의 다양한 기호에 부응하기 위해 새로운 원료를 사용하여 국수를 제조하고자 하는 노력이 경주되어 왔으며, 현재에는 옥수수, 메밀, 보리, 쌀, 현미등과 같은 다양한 원료를 이용한 국수가 선보이고 있다.
이중, 옥수수는 미국이나 유럽등지에서는 식용으로서 팝콘, 통조림, 전분과 같은 가공품 형태로 유통되거나 동물의 사료로 이용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식용으로는 풋 옥수수를 삶거나 구어서 유통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옥수수 가공에 관한 연구개발이 미흡한 편이다.
한편, 메밀은 밀가루등에서 발견되는 글루텐, 카제인등과 유사한 단백질이 10~13% 정도 함유되어 있으며, 각종 무기질 성분이나 미량의 비타민등이 밀가루 혹은 쌀등에 비하여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 건강식품이나 기호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통상적인 국수는 원료인 밀가루의 거의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옥수수, 메밀, 보리, 쌀, 현미를 이용한 국수의 제조는 실로 획기적인 것으로서, 종래의 밀가루 국수와 달리 특유의 맛과 영양가를 가지므로 고혈압, 당뇨등의 성인병 예방에도 좋은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종래 국수의 제조에 있어서는 반죽상태의 재료를 단지 먹기에 알맞은 면발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으로, 이렇게 가공된 면은 다시 별도의 삶거나 데치는 등의 조리 과정이 필요하고, 특히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에 있어서는 옥수수나 메밀외에 밀가루나, 보리가루, 또는 쌀가루와 같은 여러 첨가물이 혼합되어 옥수수 또는 메밀만의 고유한 맛을 갖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옥수수나 메밀과 같은 원료와 물, 기타 첨가물과의 혼합물을 반죽 및 증숙시키기 위해 제조장치의 내부에 히팅코일(heating coil)이나 니크롬선과 같은 별도의 에너지원과 함께 에너지원에 연결된 전원장치를 필요로 함에 따라 제조장치의 유지보수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되며, 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는 반죽이 충분히 가열되지 못하고 덜 익힌 상태로 제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료혼합 및 증숙부에서의 자체 발열로서 반죽이 이루어지면서 완전히 익혀진 상태의 국수를 제조하므로써, 쉽고 간편하게 국수를 먹을 수 있는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옥수수 및 메밀국수 고유의 맛을 갖고, 제조장치의 유지보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장치에 있어서의 원료혼합 및 증숙부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원료혼합 및 증숙부에 있어서의 반죽 스크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2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제 1하우징 22 : 제 1호퍼
23 : 반죽 스크류 24 : 제 1냉각수 하우징
26 : 솔레노이드 밸브 27 : 온도센서
31 : 제 2하우징 32 : 제 2호퍼
33 : 이송 스크류 34 : 제 2냉각수 하우징
37 : 굵기조절부재 38 : 냉풍기
41,42 : 구동모터 43,44 : 회전축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단부에 반죽물 토출구가 설치된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1하우징의 외주면에 연통된 제 1호퍼와, 상기 제 1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축설된 반죽스크류와, 외주면에 냉각수 투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하우징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된 제 1냉각수 하우징을 포함하는 원료혼합 및 증숙부; 선단부에 반죽물 토출구가 설치된 제 2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의 외주면에 연통된 제 2호퍼와, 상기 제 2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축설된 이송스크류와, 외주면에 냉각수 투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하우징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된 제 2냉각수 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에 연결되어 하부에 설치된 국수 면발 굵기조절부재를 통해 소정 굵기의 면발을 성형하는 'ㄱ'자형 배관과, 프레임상에 설치되어 상기 굵기조절부재를 통해 성형되는 국수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하는 반죽물이송 및 국수냉각부; 구동모터로부터 발생된 동력이 풀리 및 벨트를 통해 전달되어 상기 반죽스크류와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동력발생 및 전달부; 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옥수수 국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껍질과 씨눈이 제거된 옥수수를 150 mesh 이하로 마쇄하는 단계; 상기 옥수수 마쇄물 100 중량%에 대하여 물 40~50 중량%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투입물을 반죽 스크류의 압입 및 회전에 의해 혼합한 후, 상기 반죽 스크류의 서로 다른 진행방향을 갖는 날개의 마찰열에 의해 증숙 및 반죽하는 단계; 상기 증숙 및 반죽증숙물을 이송스크류를 통해 이송한 후, 국수 면발 굵기 조절부재를 통해 소정 굵기의 면발로 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메밀 국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건조된 메밀을 150 mesh 이하로 마쇄하는 단계; 상기 메밀 마쇄물 100 중량%에 대하여 물 40~50 중량%와 전분 2~5%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투입물을 반죽 스크류의 압입 및 회전에 의해 혼합한 후, 상기 반죽 스크류의 서로 다른 진행방향을 갖는 날개의 마찰열에 의해 증숙 및 반죽하는 단계; 상기 증숙 및 반죽증숙물을 이송스크류를 통해 이송한 후, 국수 면발 굵기 조절부재를 통해 소정 굵기의 면발로 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장치에 있어서의 원료혼합 및 증숙부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원료혼합 및 증숙부에 있어서의 반죽 스크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장치는 선단부에 반죽물 토출구(25)가 설치된 제 1하우징(21)과, 상기 제 1하우징(21)의 외주면에 연통된 제 1호퍼(22)와, 상기 제 1하우징(21)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축설된 반죽스크류(23)와, 외주면에 냉각수 투입구(24a)와 배출구(24b)를 구비하고 상기 제 1하우징(21)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된 제 1냉각수 하우징(24)을 포함하는 원료혼합 및 증숙부(20); 선단부에 반죽물 토출구(35)가 설치된 제 2하우징(31)과, 상기 제 2하우징(31)의 외주면에 연통된 제 2호퍼(32)와, 상기 제 2하우징(31)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축설된 이송스크류(23)와, 외주면에 냉각수 투입구(34a)와 배출구(34b)를 구비하고 상기 제 2하우징(31)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된 제 2냉각수 하우징(34)과, 상기 제 2하우징(31)에 연결되어 하부에 설치된 국수 면발 굵기조절부재(37)를 통해 소정 굵기의 면발을 성형하는 'ㄱ'자형 배관(36)과, 프레임(F)상에 설치되어 상기 굵기조절부재(37)를 통해 성형되는 국수를 냉각시키는 냉각팬(38)을 포함하는 반죽물이송 및 국수냉각부(30); 구동모터(41,42)로부터 발생된 동력이 풀리(45,46) 및 벨트(47,48)를 통해 전달되어 상기 반죽스크류(23)와 이송스크류(33)를 회전시키는 동력발생 및 전달부(40);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
상기 원료혼합 및 증숙부(2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는 제 1하우징(21)이 기대(T) 상부의 프레임(F)상에 볼트고정되고, 상기 제 1하우징(21)의 외주면 일측 상단에 원료인 옥수수 또는 메밀가루와 물, 전분이 투입되는 제 1호퍼(22)가 연통되며, 상기 제 1하우징(21)의 내부에 반죽스크류(23)가 회전가능하게 축설되어지되, 상기 반죽스크류(23)는 외주면 전체 길이의 4/5 부위에 일방향을 따라 점차 그 골이 좁아지는 날개(23a)가 형성되고, 외주면 전체 길이의 1/5 부위에 상기 날개(23a)와 대향되는 방향을 갖는 날개(23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하우징(21)의 외주면 일측 둘레를 따라 제 1냉각수 하우징(24)이 고정설치되어지되, 상기 제 1냉각수 하우징(24)의 상,하부 외주면 일측에는 냉각수 투입구(24a)와 배출구(24b)가 각각 연통되고, 상기 제 1하우징(21)의 선단부에는 반죽물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개의 배출공(25a)을 갖는 토출구(25)가 고정설치되며, 이때 상기 배출공(25a)의 직경은 약 4~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냉각수 하우징(24)의 냉각수 배출구(24b)에는 미도시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26)가 연결설치되고, 제 1하우징(21)의 상부 외주면 타측에는 온도센서(27)가 장착된다.
상기 반죽물이송 및 국수냉각부(30)는 상기 제 1하우징(21)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 2하우징(31)이 기대(T)상의 프레임(F)에 볼트고정되고, 상기 제 2하우징(31)의 외주면 일측 상단에 상기 토출구(25)로부터의 반죽물이 낙하하는 제 2호퍼(32)가 연통되며, 상기 제 2하우징(31)의 내부에 이송스크류(23)가 회전가능하게 축설되어진다.
또한, 상기 제 2하우징(31)의 외주면 일측 둘레를 따라 제 2냉각수 하우징(34)이 고정설치되어지되, 상기 제 2냉각수 하우징(34)의 상,하부 외주면 일측에는 냉각수 투입구(34a)와 배출구(34b)가 각각 연통되고, 상기 제 2하우징(31)의 전방에는 반죽물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개의 배출공(35a)을 갖는 토출구(35)가 고정설치되며, 이때 상기 배출공(35a)의 직경은 약 2~3㎜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하우징(31)의 선단부에 'ㄱ'자형 배관(36)이 연결되고, 상기 'ㄱ'자형 배관(36)의 하부에 다수개의 구멍이 통공된 국수 면발 굵기조절부재(37)즉, 압출 다이스(dies)가 장착되어 소망하는 가령, 1㎜ 굵기의 면발을 가진 국수가 성형되며, 프레임(F)상에 고정설치된 냉각팬(38)이 상기 굵기조절부재(37)를 통해 성형되는 고온의 국수를 냉각시킨다.
상기 동력발생 및 전달부(40)는 기대(T)의 상부 양단에 구동모터(41,42)가 각각 고정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41,42)의 회전축(43,44)상에 장착된 풀리(45,46)와, 상기 반죽 스크류 및 이송스크류(23,33)에 착설된 축(23c,33a)상에장착된 풀리(45,46)에 벨트(47,48)가 각각 연결되며,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8은 연결관, 39a, 39b는 배관, 50는 냉각수 펌프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 국수의 제조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국수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되며, 껍질과 씨눈이 제거된 옥수수를 150 mesh 이하로 마쇄하는 단계; 상기 옥수수 마쇄물 100 중량%에 대하여 물 40~50 중량%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투입물을 반죽 스크류의 압입 및 회전에 의해 혼합한 후, 상기 반죽 스크류의 서로 다른 진행방향을 갖는 날개의 마찰열에 의해 증숙 및 반죽하는 단계; 상기 증숙 및 반죽증숙물을 이송스크류를 통해 이송한 후, 국수 면발 굵기 조절부재를 통해 소정 굵기의 면발로 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물의 첨가량을 40~50중량%로 한정한 것은 원료의 원활한 증숙이나 반죽을 하기 위한 바람직한 첨가 범위로서, 40중량% 이하로 함유될 경우, 수분 부족에 의해 증숙이나 반죽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곤란하고, 50중량% 이상 함유될 경우 수분이 과다하여 증숙이나 반죽이 질게 되어 후공정에서 국수의 면 강도가 취약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밀 국수의 제조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국수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되며, 건조된 메밀을 150 mesh 이하로 마쇄하는 단계; 상기 메밀 마쇄물 100 중량%에 대하여 물 40~50 중량%와 전분 2~5%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투입물을 반죽 스크류의 압입 및 회전에 의해 혼합한 후, 상기 반죽 스크류의 서로 다른 진행방향을 갖는 날개의 마찰열에 의해 증숙 및 반죽하는 단계; 상기 증숙 및 반죽증숙물을 이송스크류를 통해 이송한 후, 국수 면발 굵기 조절부재를 통해 소정굵기의 면발로 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전분의 첨가량을 2~5 중량%로 한정한 것은 메밀은 점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서, 상기 물과 함께 메밀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한 첨가 범위로서, 전분이 2 중량% 이하일 경우 첨가 효과가 미미하고, 5 중량% 이상 높게 첨가될 경우, 메밀 국수 고유의 맛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껍질과 씨눈이 제거된 옥수수를 100~200 mesh,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mesh 이하로 약간 거칠게 마쇄한 옥수수 마쇄물 100 중량%에 대하여 물 40~50 중량%를 상기 제 1호퍼(22)를 통해 투입하고 상기 구동모터(42)를 작동시키면, 상기 반죽 스크류(23)의 압입 및 회전에 의해 옥수수 및 물이 혼합되고, 이러한 혼합물은 상기 반죽 스크류(23)의 골에 안착되어 제 1하우징(21)의 선단부측으로 압입이동한다.
이때, 상기 반죽 스크류(23)의 양 날개(23a,23b)는 서로 다른 진행 방향을 갖고, 상기 날개(23a)의 골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약 400rpm으로 회전하는 반죽 스크류(23)에 의해 양 날개(23a,23b)가 서로 접촉하는 부위에서 혼합물이 고압을 받으면서 고열의 마찰열이 발생되며, 이러한 마찰열이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여 자연스럽게 혼합 및 증숙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하여 풀 상태의 옥수수 반죽물은 상기 배출공(25a)을 통해 성형되어 상기 연결관(28) 및 제 2호퍼(32)를 통해 낙하된 후, 상기 구동모터(41)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 스크류(33)에 의해 압입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 2하우징(31)의 선단부를 거쳐 상기 배출공(35a)과, 'ㄱ'자형 배관(36)을 경유하여 상기 국수 면발 굵기조절부재(37)를 통해 약 1㎜ 굵기의 면발을 가진 완전히 익혀진 상태의 국수가 제조된다.
(실시예 2)
건조된 메밀을 150 mesh 이하로 마쇄한 메밀 마쇄물 100 중량%에 대하여 물 40~50 중량%, 전분 2~5 중량%를 상기 제 1호퍼(22)를 통해 투입하고 상기 구동모터(42)를 작동시키면, 상기 반죽 스크류(23)에 의해 메밀, 전분 및 물이 혼합되고, 이러한 혼합물은 상기 제 1하우징(21)의 선단부측으로 압입이동한다.
한편, 상기 압입이동된 혼합물은 반죽 스크류(23)에 의해 양 날개(23a,23b)가 서로 접촉하는 부위에서 혼합물이 고압을 받으면서 고열의 마찰열이 발생되며, 이러한 마찰열이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여 자연스럽게 혼합 및 증숙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풀 상태의 메밀 반죽물은 상기 배출공(25a)을 통해 성형되어 상기 연결관(28) 및 제 2호퍼(32)를 통해 낙하된 후, 상기 이송 스크류(33)에 의해 압입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 2하우징(31)의 선단부를 거쳐 상기 배출공(35a)과, 'ㄱ'자형 배관(36)을 경유하여 상기 국수 면발 굵기조절부재(37)를 통해 약 1㎜ 굵기의 면발을 가진 완전히 익혀진 상태의 국수가 제조된다.
한편,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온도센서(27)를 통해 제 1하우징(21) 내부의온도를 체크한 후, 설정된 온도 예를 들어 약 100℃ 이상의 온도가 검출될 경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6)를 제어하여 상기 냉각수 펌프(50)를 통한 냉각수 유입 및 배출을 조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옥수수 및 메밀국수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옥수수 또는 메밀가루가 원료혼합 및 증숙부와, 반죽물이송 및 국수냉각부를 거치면서 완숙된 상태로서 국수로 제조되므로 옥수수 또는 메밀면을 별도의 삶거나 데치는 등의 조리 과정이 필요없이 간편하게 먹을 수 있고, 옥수수나 메밀외에 밀가루나, 보리가루, 또는 쌀가루와 같은 여러 첨가물이 혼합되지 않은 옥수수 또는 메밀만의 고유한 맛을 가진 국수를 먹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온의 마찰열을 발생시키는 원료혼합 및 증숙부에 의해 옥수수나 메밀과 같은 원료와 물, 기타 첨가물과의 혼합물이 반죽 및 증숙되므로 히팅코일이나 니크롬선같은 별도의 에너지원과, 이 에너지원에 연결된 전원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제조장치의 유지보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감소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선단부에 반죽물 토출구(25)가 설치된 제 1하우징(21)과, 상기 제 1하우징(21)의 외주면에 연통된 제 1호퍼(22)와, 상기 제 1하우징(21)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축설된 반죽스크류(23)와, 외주면에 냉각수 투입구(24a)와 배출구(24b)를 구비하고 상기 제 1하우징(21)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된 제 1냉각수 하우징(24)을 포함하는 원료혼합 및 증숙부(20);
    선단부에 반죽물 토출구(35)가 설치된 제 2하우징(31)과, 상기 제 2하우징(31)의 외주면에 연통된 제 2호퍼(32)와, 상기 제 2하우징(31)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축설된 이송스크류(23)와, 외주면에 냉각수 투입구(34a)와 배출구(34b)를 구비하고 상기 제 2하우징(31)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된 제 2냉각수 하우징(34)과, 상기 제 2하우징(31)에 연결되어 하부에 설치된 국수 면발 굵기조절부재(37)를 통해 소정 굵기의 면발을 성형하는 'ㄱ'자형 배관(36)과, 프레임(F)상에 설치되어 상기 굵기조절부재(37)를 통해 성형되는 국수를 냉각시키는 냉각팬(38)을 포함하는 반죽물이송 및 국수냉각부(30);
    구동모터(41,42)로부터 발생된 동력이 풀리(45,46) 및 벨트(47,48)를 통해 전달되어 상기 반죽스크류(23)와 이송스크류(33)를 회전시키는 동력발생 및 전달부(40); 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스크류(23)는 외주면 전체 길이의 4/5 부위에 일방향을 따라 점차 그 골이 좁아지는 날개(23a)가 형성되고, 외주면 전체 길이의 1/5 부위에 상기 날개(23a)와 대향되는 방향을 갖는 날개(23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냉각수 하우징(24)의 냉각수 배출구(24b)에는 냉각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26)가 설치되고, 상기 제 1하우징(21)의 외주면 일측에는 온도센서(27)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장치.
  4. 옥수수 국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껍질과 씨눈이 제거된 옥수수를 150 mesh 이하로 마쇄하는 단계;
    상기 옥수수 마쇄물 100 중량%에 대하여 물 40~50 중량%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투입물을 반죽 스크류의 압입 및 회전에 의해 혼합한 후, 상기 반죽 스크류의 서로 다른 진행방향을 갖는 날개의 마찰열에 의해 증숙 및 반죽하는 단계;
    상기 증숙 및 반죽증숙물을 이송스크류를 통해 이송한 후, 국수 면발 굵기조절부재를 통해 소정 굵기의 면발로 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국수의 제조방법.
  5. 메밀 국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건조된 메밀을 150 mesh 이하로 마쇄하는 단계;
    상기 메밀 마쇄물 100 중량%에 대하여 물 40~50 중량%와 전분 2~5%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투입물을 반죽 스크류의 압입 및 회전에 의해 혼합한 후, 상기 반죽 스크류의 서로 다른 진행방향을 갖는 날개의 마찰열에 의해 증숙 및 반죽하는 단계;
    상기 증숙 및 반죽증숙물을 이송스크류를 통해 이송한 후, 국수 면발 굵기 조절부재를 통해 소정 굵기의 면발로 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 국수의 제조방법.
KR1020040002132A 2004-01-13 2004-01-13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13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132A KR20040013040A (ko) 2004-01-13 2004-01-13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132A KR20040013040A (ko) 2004-01-13 2004-01-13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824U Division KR200346481Y1 (ko) 2004-01-13 2004-01-13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040A true KR20040013040A (ko) 2004-02-11

Family

ID=3732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132A KR20040013040A (ko) 2004-01-13 2004-01-13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30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103B1 (ko) * 2008-08-06 2011-07-01 (주)풀무원홀딩스 메밀분을 이용하는 메밀냉면 제조 방법 및 장치
CN106376627A (zh) * 2016-08-29 2017-02-08 宝鸡文理学院 基于plc控制系统的粉料自动化加工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103B1 (ko) * 2008-08-06 2011-07-01 (주)풀무원홀딩스 메밀분을 이용하는 메밀냉면 제조 방법 및 장치
CN106376627A (zh) * 2016-08-29 2017-02-08 宝鸡文理学院 基于plc控制系统的粉料自动化加工设备
CN106376627B (zh) * 2016-08-29 2018-09-18 宝鸡文理学院 基于plc控制系统的粉料自动化加工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91848B1 (en) Improved preconditioner having independently driven high-speed mixer shafts
US5077074A (en) Preparation of cookie products involving extrusion heating and wire cutting
CS277062B6 (en) Process for producing raw dough for dough articles and a mixing kneading machine for making the same
US4960043A (en) Extruder and continuous mixer arrangement for producing an at least partially baked product having a cookie-like crumb structure
JPS61205453A (ja) 柔らかいペーストにもとづいて食品を調製する方法と装置
US4938127A (en) Extruder and continuous mixer arrangement for producing an at least partially baked product having a cookie-like crumb structure including a post-extrusion radio frequency device
KR200441547Y1 (ko) 제면기
KR100857184B1 (ko) 다양한 곡류의 면류 제조장치
US4949628A (en) Extruder and continuous mixer arrangement for producing an at least partially baked product having a cookie-like crumb structure, the extruder including a microwave applicator
US4984514A (en) Extruder apparatus for producing an at least partially baked product having a cookie-like crumb structure including a post extrusion microwave device
RU2370104C2 (ru) Получение макаронных изделий
KR102159438B1 (ko) 이중면을 이용한 시리얼 및 시리얼바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0346481Y1 (ko)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장치
KR101862703B1 (ko) 현미 스낵 생산 시스템
KR200201867Y1 (ko) 곡물국수의 제조장치
KR101719169B1 (ko) 성형롤이 개선된 2단 압출 면성형기
KR100249910B1 (ko) 뻥튀기 과자용 인조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040013040A (ko)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173086B1 (ko) 익힌 쌀국수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KR20160007775A (ko)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장치
US4957042A (en) Extruder and continuous mixer arrangement for producing an at least partially baked product having a cookie-like crumb structure including a post-extrusion microwave device
KR20060017555A (ko)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방법
EP0476073A4 (en) Cookie production with extrusion heat treatment and post extrusion mixing and baking
KR100340676B1 (ko) 곡물국수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92096A (ko) 압출 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간편식 뻥튀기용 인조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