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354133Y1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133Y1
KR200354133Y1 KR20-2004-0005984U KR20040005984U KR200354133Y1 KR 200354133 Y1 KR200354133 Y1 KR 200354133Y1 KR 20040005984 U KR20040005984 U KR 20040005984U KR 200354133 Y1 KR200354133 Y1 KR 200354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concrete
bottom plate
wall block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59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근무
Original Assignee
유근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근무 filed Critical 유근무
Priority to KR20-2004-00059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1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1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L형 또는 역T형으로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저판(10)과 전면벽(20)이 일체로 성형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에 있어서, 상기 저판 (10)의 양측 단부에 콘크리트 타설용 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저판(10)의 콘크리트 속에 정착되는 철근을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홈 (11)의 공간상으로 노출시킨 돌출철근(12)이 다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옹벽블록은 기초부 위에 거치한 후 기초부(F)와 옹벽블록(B)의 사이와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홈(11)에 고유동성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여 옹벽블록 (B)들과 기초부(F)를 일연체로 접합하여 주는 작업을 통해 옹벽을 시공함로써, 시공단계별로 철근조립·거푸집설치·콘크리트 타설·거푸집 해체를 여러번 반복하는 공정이 생략되게 되어 시공의 편리성과 공사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안전하게 옹벽구조물을 축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Precast concrete block for retaining wall}
본 고안은 L형 또는 역T형으로 설계되어 공장에서 기성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옹벽의 전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맞대어가며 조립 시공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들을 용이하게 연결 시공할 수 있으면서, 활동에 대한 저항성이 증대되고 시공이 간편하며 빠른 속도로 옹벽구조물을 축조할 수 있도록 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도로·철도의 사면, 공원지역의 비탈면이나 하천제방, 해안도로 등의 옹벽공사는 주로 현장에서 철근과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사를 통해 시공하여 왔다.
현장타설에 의한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은 일반적으로 지반굴착 - 기초콘크리트 타설 - 본 구조물 콘크리트 타설 - 뒷채움 공사 - 주변 포장복구 등의 과정을 거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옹벽 시공방법은 옹벽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모든 작업을 현장에서 직접 시행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철근의 배근 작업을 수행해야 하고 거푸집을 설치하고 해체하여야 하며 콘크리트의 양생기간이 필요하는 등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하는데 다단계의 시공과정과 긴 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장기화되며, 이에 따라 공사비용이 많이 들게 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장기간의 차량통행 차단과 우회도로 확보 등으로 인해 시민불편이 가중되는 것은 물론이고, 안전사고를 발생시키는 위험에 장기간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옹벽의 전면에 자연석 쌓기 등과 같은 자연적인 질감이나 기하학적인 문양을 인위적으로 표현하기가 곤란하므로, 주변 자연환경과 전혀 조화되지 않는 어둡고 칙칙한 외관을 제공하여 도시경관을 크게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 들어서 공기 단축·경제적 시공 및 아름다운 미관 연출을 위해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옹벽블록 제품을 현장에서 조립 시공하는 방법이 점차 확산되는 추세에 있다.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은 시공속도가 빠르며 블록 설치후 곧바로 뒷채움 공사 및 주변 포장복구 등을 실시할 수 있어 공사중 야기되는 시민 불편사항·교통흐름의 방해·불필요한 시간낭비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므로 복잡한 도심지나 긴급한 공사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옹벽블록은 공장에서 만들고, 현장에서는 옹벽 설치를 위한 간단한 시공만 하면 되므로 공기단축이 가능하고, 옹벽블록은 철저한 품질관리에 의해 공장제품으로 생산하므로 품질이 균일하며,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므로 구조체의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특히 블록 전면에 석축쌓기에 의한 옹벽과 대등한 자연적인 소재의 질감이나 기하학적인 문양을 아름답게 연출할 수 있는 등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 위와 같은 개념으로 된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으로서 국내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23135호로 등록된 바 있다.
이 등록고안에 의한 옹벽블록은 도1a의 도시와 같이 공장에서 각 단위체로 제작을 완료한 후, 현장으로 운송하여 각 단위체들을 조립 설치하는 방식으로 옹벽 구조물을 시공하게 된다.
이의 시공은 도1b의 도시와 같이, 기초지반 위에 모래나 자갈 등의 기초잡석층(1)을 깔고 다짐한 후, 그 기초잡석층(1)위에 기초콘크리트(2)를 타설하여 평활하게 마무리하고 일정기간 양생을 한 다음, 양생된 기초콘크리트(2) 위에 바닥몰탈층(3)을 깔고 바닥몰탈층(3)의 높이와 구배 등을 균일하게 조정한 후, 크레인을 이용해 옹벽블록(4)을 바닥몰탈층(3)위에 정확히 올려 설치하고, 좌우로 접하는 옹벽블록(4)들의 전면벽을 연결구와 연결봉·연결볼트와 연결플레이트 및 연결파이프 등으로 연결하여 고정시킨 다음, 누수방지대책과 뒷채움 공사 및 주변 복구 공사를 실시하는 과정을 통해 공사를 마무리하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등록고안은 기초지반 위에 기초잡석과 기초콘크리트 및 바닥몰탈을 단계적으로 시공한 후 최종적으로 옹벽블록을 설치하기 때문에 공사비용이 과다하게 소모될 뿐만 아니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옹벽시공의 주요 장점인 공기 단축 효과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옹벽블록들을 복잡한 구조의 연결철물들을 이용해 여러 군데에서 체결해야 하므로 옹벽의 선형이나 레벨을 균일하게 맞춰야 하는 고도의 정밀작업이 요구되어 시공이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옹벽블록들이 연결철물들만의 약한 체결력만을 통해 연결·고정되므로, 시공후 옹벽구조물의 활동(미끄러짐 현상)에 의한 하자가 발생할 우려가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옹벽블록들의 조립에 의해 완성되는 옹벽구조물과 기초콘크리트와의 접합은 물론, 옹벽구조물을 구성하는 옹벽블록들 자체의 일체화가 불가능하여 블록 배면의 토압이 특정 블록에 집중적으로 작용할 경우, 그 블록이 옹벽 선형을 이탈하게 되고 종국에는 옹벽구조물 전체가 교란되면서 무너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이러한 하자를 방지하기 위해서 옹벽 구조물의 하단부를 땅속 깊이 묻도록 설계하거나 전면 하단부에 과도한 성토공사를 시행하도록 설계하고 있는데, 이는 공사기간 및 공사비의 상승으로 이어져 경제적으로 결코 바람직한 방법이라 할 수 없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등록고안에 의한 옹벽의 시공은 긴급한 공사나 복잡한 도심지 공사에 적용하기에는 시공속도가 늦어 많은 무리가 따를 수밖에 없으며, 옹벽블록과 하단 기초콘크리트 및 옹벽블록 연결부의 견고한 정착력 및 지지력을 확보하여 주기 위한 수단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는 상기한 등록고안 뿐만 아니라 공장에서 선 제작하는 종래 다른 유형의 L형 또는 역T형 옹벽블록들도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다.
본 고안은 공장에서 L형 또는 역T형으로 제작되어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을 현장으로 운송한 후 조립·설치함에 있어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옹벽의 전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맞대어가며 조립 시공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을 기초콘크리트와 연계하여 용이하게 연결 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빠른 속도로 옹벽구조물을 축조할 수 있도록 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들을 기초콘크리트와 견고하게 접합시키면서 전체적으로 일체화된 구조로 연결·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활동에 대한 저항성이 증대되어 구조적으로 보다 안정된 옹벽구조물을 축조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옹벽블록의 사시도
도1b는 도1a에 의한 종래 옹벽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옹벽의 시공상태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록의 사시도
도3은 도2의 옹벽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옹벽의 시공예 단면도
도4는 도2에 의한 옹벽블록의 돌출철근 연결 예시도
도5는 도2에 의한 옹벽블록의 연속 시공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록의 사시도
도7은 도6에 의한 옹벽블록의 돌출철근 연결 예시도
도8은 도6에 의한 옹벽블록의 연속 시공예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저판 11:콘크리트 타설용 홈 12:돌출철근
13:연장부 14:돌출부 15:요입부
16:연결철근 17:너트관 18:레벨링볼트
20:전면벽 31:받침블록 32:바닥 콘크리트부
33:죠인트 콘크리트부 B:옹벽블록 F:기초부
w:결속끈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은, 옹벽이 설치될 자리에 올려지는 저판과 저판에서 상부로 세워지는 전면벽을 구비하는 L형 또는 역T형으로 설계하여 일체로 공장 제작한 후, 현장으로 운반하여 그 양측 단부들을 옹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맞대가며 조립 시공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에 있어서, 상기 저판의 양측 단부에 전면벽의 양측 단부보다 일정부분 안으로 들어가도록 단차진 콘크리트 타설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저판의 콘크리트 속에 정착되는 철근을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홈의 공간상으로 노출시킨 돌출철근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구비되는 것을 기술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특징의 본 고안의 옹벽블록은 옹벽이 설치될 자리로 예정된 선상을 따라 기초부에 대한 평탄작업을 실시하고, 상기 기초부의 상부에 전면 라인을 따라 받침블록을 설치한 다음, 상기와 같은 특징의 구성을 가지면서 저판 뒷부분의 양측 귀퉁이부에 너트관이 매설되고 그 너트관에 레벨링볼트가 나사조립되어 있는 옹벽블록들을 상기 받침블록위에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접속시키면서 거치하고, 거치된 옹벽블록들의 전면 선형과 레벨을 조정한 후, 상호 접하는 옹벽블록들의 콘크리트 타설용 홈상으로 노출된 좌우의 돌출철근들을 연결하여 결속시킨 다음, 상기 받침블록과 레벨링볼트에 의해 이격된 기초부와 옹벽블록의 저판 사이에 고유동성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여 바닥 콘크리트부를 형성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홈의 내부에 고유동성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여 죠인트 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작업을 통해 상호 접하는 옹벽블록들과 기초부를 일연체로 접합하여 주는 작업을 통해 옹벽을 시공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은 전면벽의 길이보다 짧은 저판 길이로 제작함으로써, 이웃하는 블록들의 저판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며, 이 부분으로 철근 연결 및 고유동성 몰탈 타설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옹벽블록을 먼저 설치하고 추후 기초콘크리트에 해당하는 바닥콘크리트부를 타설한 후 곧바로 공사를 마무리할 수 있게 되므로 시공성이 좋고 공기 단축이 가능하며, 바닥 콘크리트부에 대한 양생기간 중에 주변의 교통을 재개시킬 수 있게 되므로 수해복구 등의 긴급 공사나 교통이 복잡한 도심지 공사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아파트 건설 현장과 같이 토공·조경공사·배수로 공사·골조 공사 등의 복잡한 공정이 병행되는 장소에서 공기 단축 및 단순화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바닥콘크리트부와 죠인트 콘크리트부가 상호 접하는 옹벽블록들과 하부의 기초부를 접합하여 전면구조물과 기초부를 전체적으로 일체화시켜 연결·고정시켜주게 됨으로써, 활동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옹벽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 내지 도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록 및 그 시공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6 내지 도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옹벽블록 및 그 시공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들 도면에서 동일한 명칭이 부여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다.
첨부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은 L형 또는 역T형 단면을 갖는 옹벽블록(B)으로서, 옹벽이 설치될 자리에 수평하게 올려지는 저판(10)과, 그 저판(10)에서 상부로 세워지는 전면벽(20)을 구비한다.
상기 저판(10)은 전면벽(20)의 양측 단부보다 길이방향 폭이 좁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저판(10)의 양측 단부에는 전면벽(20)의 양측 단부보다 일정부분 안으로 들어가도록 단차진 콘크리트 타설용 홈(11)이 형성된다. 즉, 전면벽(20)의 폭보다 저판(10)의 폭을 짧은 길이로 제작함으로써, 이웃하는 블록들의 저판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며, 이와 같은 단차에 의해 형성된 콘크리트 타설용 홈(11) 부분으로 철근 연결 및 고유동성 몰탈 타설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저판(10)의 콘크리트 속에 정착되는 철근이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홈(11)의 공간상으로 노출되는 돌출철근(12)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구비된다.
도2에 도시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옹벽블록(B)에서 상기 돌출철근 (12)은 그 자유단부에 콘크리트 타설용 홈(11)의 내측으로 구부려 놓은 연장부(13)가 형성된다.
이 연장부(13)는 옹벽블록(B)들의 연속시공시 도4 및 도5의 도시와 같이 바깥쪽으로 수평하게 펴서 양측의 돌출철근(12)들이 겹쳐지게 한 후 결속끈(w)등을 이용해 겹이음방식으로 결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돌출철근(12)의 끝단이 옹벽블록의 최대폭(전면벽 폭)보다 내측으로 위치되게 하여 운반상의 편의를 위해 구부려놓은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철근(12)은 좌측홈으로 돌출되는 것들과 우측홈으로 돌출되는 것들이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기로는 좌우측의 것들을 수평하게 펴서 맞대었을 때 상호 교차하면서 상하 또는 좌우로 겹쳐질 수 있도록 단차를 두고 배치하는 것이 좋다.
도6에 도시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옹벽블록(B)은,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홈(11)을 형성하는 저판(10)의 양측 단부가 돌출부(14)와 요입부(15)가 반복 형성되는 파형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철근(12)이 상기 요입부(15)상에 위치되도록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도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같이 돌출철근(12)의 자유단부에 일정부분 구부려 놓은 연장부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옹벽블록(B)은 옹벽블록(B)들의 연속 시공시 도7 및 도8의 도시와 같이 별도의 연결철근(16)을 사용해 양측의 돌출철근(12)들과 연결시키도록 한 것으로, 돌출철근(12)이 요입부(15)안에 위치되면서 외부와 간섭되지 않고 최대한 보호되므로 운반상의 편의성이 더욱 좋다.
또한, 저판(10)의 양측 단부가 파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므로, 연속 시공시 타설되는 죠인트 콘크리트부(33)가 양측의 옹벽블록(B)들을 인터록킹 형식으로 견고하게 맞물어 주게 됨으로써, 구조적으로 보다 강한 결합력을 얻게 하여 주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저판(10) 뒷부분의 양측 귀퉁이부에는 너트관(17)이 매설되고, 그 너트관(17)에 레벨링볼트(18)가 나사조립된다. 이 너트관(17)과 레벨링볼트(18)들은 시공시 레벨링볼트(18)를 상하로 수직 이동시키면서 옹벽블록의 수직도 및 수평도를 조정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으로 실시되는 본 고안의 옹벽블록들을 이용한 조립식 옹벽의 바람직한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옹벽블록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은 우선, 옹벽이 설치될 자리로 예정된 선상을 따라 기초부(F)에 대한 평탄작업을 실시한다.
이때, 원지반이 비교적 단단할 경우에는 원지반의 상부를 고르고 다짐하는 작업을 통해 기초부(F)의 평탄성을 유지시키며, 원지반이 비교적 연약할 경우에는 원지반 위에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작업을 통해 기초부(F)의 평탄성을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초부(F)의 평탄화 작업을 마친 후에는 상기 기초부(F)의 상부에 전면라인을 다라 소정 높이의 받침블록(31)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로 공장 제작된 옹벽블록(B)들을 연접시키면서 상기 기초부(F) 위에 거치한다. 이때 옹벽블록의 전방부는 받침블록(31)위에 거치하여 지지시키며, 뒷부분은 레벨링볼트(18)를 기초부 위에 접지시켜 지지시킨다.
이후, 상기 기초부(F) 위에 거치된 단위 옹벽블록(B)의 전면선형과 레벨을 전체적으로 조정하여 고르게 맞춘다. 이때 레벨조정은 받침블록(31)과 레벨링볼트 (18)의 높낮이를 적절히 조절하면서 수행한다.
위와 같이 기초부(F) 위에 거치된 옹벽블록(B)들의 전면 선형과 전체 레벨을 일률적으로 맞춘 다음에는, 상호 접하는 옹벽블록(B)들의 콘크리트 타설용 홈(11)상으로 노출된 좌우의 돌출철근(12)들을 결속시키는 돌출철근 연결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옹벽블록(B)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돌출철근(12)의 자유단부에 구부려 놓은 연장부(13)를 바깥쪽으로 수평하게 펴서 양측의 돌출철근(12)들이 겹쳐지게 한 후 결속끈(w)을 묶어 연결시킨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옹벽블록(B)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양측의 돌출철근(12)들에 연결철근(16)을 대고 결속끈(w)으로 고정시켜 연결시킨다.
돌출철근 연결작업을 수행한 다음에는 상기 받침블록(31)에 의해 이격된 기초부(F)와 옹벽블록(B)의 저판(10) 사이에 고유동성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여 바닥 콘크리트부(32)를 형성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홈(11)의 내부에 고유동성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여 죠인트 콘크리트부(33)를 형성한다.
이후, 바닥 콘크리트부(32)와 죠인트 콘크리트부(33)를 양생시킨 다음 옹벽블록(B)들의 저판(10)을 주변의 토사로 메워 옹벽 저부를 정리한다.
본 고안의 시공예에 따라 위와 같이 시공되는 옹벽구조물은 바닥 콘크리트부 (32)와 죠인트 콘크리트부(33)가 상호 접하는 옹벽블록(B)들과 하부의 기초부(F)를접합하여 주게 되며, 결과적으로 옹벽 전면구조물과 기초부를 견고한 구조로 일체화시켜 주게 되므로, 옹벽블록(B)의 하단부를 얕게 매설하거나 옹벽 전면의 앞성토를 소규모로 시행하더라도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된 옹벽 구조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옹벽블록의 설치는 위와 같은 일련의 작업을 통해 마무리되며, 이후 뒷채움 공사 및 주변 복구 공사를 실시하는 과정을 통해 조립식 옹벽공사를 마치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은 옹벽블록의 설치작업은 옹벽이 설치될 전체 구간을 일괄 시공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옹벽이 설치될 전체 구간을 여러 단위 구간으로 나누어 시공하는 것(예를 들어, 전체 구간이 100m인 경우 1구간당 10m씩 나누어 위와 같은 블록의 설치작업을 10회 반복 시행)이 공사 관리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에 의하면, 옹벽의 전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맞대어가며 조립 시공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을 기초콘크리트와 연계하여 용이하게 연결 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신속하며 주변의 교통 상황을 빠른 시간내에 정상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수해복구 등의 긴급 공사시·아파트 건축현장과 같이 복잡한 공정이 병행되는 장소에서 공기단축 및 단순화 작업이 가능하므로 경제적 파급효과가 매우 크다.
그리고, 옹벽블록들이 전체적으로 연결되면서 기초부와 견고하게 접합된 일체화 구조로 구축할 수 있게 됨으로써, 활동에 대한 저항성이 증대되어 구조적으로 보다 안정된 옹벽구조물을 축조할 수 있다.
또한, 옹벽 하단부를 깊게 매설하거나 옹벽 전면의 앞성토를 대규모로 시행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공사관리와 시공능률이 크게 향상되고, 보다 경제적인 비용으로 옹벽구조물을 축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블록은 공장에서 완성되므로 고품질과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고, 자연적인 소재의 질감이나 아름다운 기하학적인 문양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어 옹벽 전면의 미관을 가일 층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조립식으로 구축되어지는 옹벽 구조물을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을 제고시켜 주고, 공사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으며, 유려한 미관의 옹벽 구조물을 연출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옹벽이 설치될 자리에 올려지는 저판(10)과 저판(10)에서 상부로 세워지는 전면벽(20)을 구비하는 L형 또는 역T형으로 설계하여 일체로 공장 제작한 후, 현장으로 운반하여 그 양측 단부들을 옹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맞대가며 조립 시공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에 있어서,
    상기 저판(10)의 양측 단부에 전면벽(20)의 양측 단부보다 일정부분 안으로 들어가도록 단차진 콘크리트 타설용 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저판(10)의 콘크리트 속에 정착되는 철근을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홈(11)의 공간상으로 노출시킨 돌출철근(12)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철근(12)은 그 자유단부에 콘크리트 타설용 홈 (11)의 내측으로 구부려 놓은 연장부(13)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홈(11)을 형성하는 저판(10)의 양측 단부가 돌출부(14)와 요입부(15)가 반복 형성되는 파형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철근(12)이 상기 요입부(15)상에 위치되도록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KR20-2004-0005984U 2004-03-05 2004-03-05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KR200354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984U KR200354133Y1 (ko) 2004-03-05 2004-03-05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984U KR200354133Y1 (ko) 2004-03-05 2004-03-05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064A Division KR100779608B1 (ko) 2004-03-05 2004-03-05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133Y1 true KR200354133Y1 (ko) 2004-06-23

Family

ID=49432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5984U KR200354133Y1 (ko) 2004-03-05 2004-03-05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13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817Y1 (ko) 2007-11-29 2010-02-23 화림에이치앤이 주식회사 계단식 옹벽의 친환경 화단
CN110093900A (zh) * 2019-05-28 2019-08-06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嵌入式混凝土防滑凸榫浆砌石挡土墙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817Y1 (ko) 2007-11-29 2010-02-23 화림에이치앤이 주식회사 계단식 옹벽의 친환경 화단
CN110093900A (zh) * 2019-05-28 2019-08-06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嵌入式混凝土防滑凸榫浆砌石挡土墙
CN110093900B (zh) * 2019-05-28 2024-03-01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嵌入式混凝土防滑凸榫浆砌石挡土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716B1 (ko)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CN109610263B (zh) 一种装配式施工便道的施工方法
KR100787178B1 (ko) 경량철골구조 기초바닥판 및 그 시공 방법
KR100938395B1 (ko) 강합성 벽체파일을 이용한 지하차도의 시공방법
KR100693993B1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라멘 교량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50042964A (ko) 고강도 커플러를 이용한 역 T 형 프리캐스트(precast) 콘크리트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CN108035379B (zh) 一种综合管廊及其施工方法
CN112832079A (zh) 泡沫轻质土拼宽高度公路路堤施工方法
JP2004232328A (ja) 半プレキャスト式アーチカルバート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CN111962557A (zh) 一种装配式绿化挡土墙及其施工方法
CN110144784A (zh) 基于预应力混凝土板桩构筑的市政道路及其施工方法
KR20050089576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및 그 블록을 이용한조립식 옹벽의 시공방법
CN209854577U (zh) 一种装配式薄壁箱型通道
KR100446046B1 (ko)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박스형암거와 그 시공법
KR200354133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KR200420394Y1 (ko)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CN110700116A (zh) 一种适用于黄土地区的天桥逆作施工方法
KR200266040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음벽 기초 구조물
CN212427192U (zh) 一种配置绿化台的装配式挡土墙
JP6931876B2 (ja) 法面補強用透水壁の構築方法
CN110306398B (zh) 一种分段设梁先张法交错对称张拉预应力筋叠合装配道路及其施工方法
JP3856791B2 (ja) 張出歩道の敷設方法
CN111319118A (zh) 一种高原河谷桥梁施工中箱梁的预制施工方法
CN111501959A (zh) 一种组合现浇排水沟及施工方法
CN115726389B (zh) 一种房屋建筑施工中的地基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9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