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341593Y1 - 골판지 팔레트 - Google Patents

골판지 팔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593Y1
KR200341593Y1 KR20-2003-0030381U KR20030030381U KR200341593Y1 KR 200341593 Y1 KR200341593 Y1 KR 200341593Y1 KR 20030030381 U KR20030030381 U KR 20030030381U KR 200341593 Y1 KR200341593 Y1 KR 2003415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portion
support
contact
side forming
plan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3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환
Original Assignee
노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영환 filed Critical 노영환
Priority to KR20-2003-00303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5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5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59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충격흡수력이 우수하고 환경친화적인 종이팔레트 고유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물품을 적재, 운반 및 보관하기에 충분한 구조적 강성을 가지며, 제작성이 우수한 조립구조를 가지는 골판지 팔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제공되는 골판지 팔레트는, 상부양측에 2개의 끼워맞춤홈(14)과 상부 중간에 2개의 지지홈(15)을 가지며 하부에 2개의 저면홈(13)을 각각 갖는 복수의 지지대(10); 하부에 상기 지지대의 끼워맞춤홈(14)과 결합하도록 상기 지지대(1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끼워맞춤홈(24)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10)를 서로 연결하는 2개의 연결대(20); 상기 지지대(10)의 지지홈(15)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끼워맞춤홈에 의해 상기 지지대의 지지홈(15)에 결합하도록 형성된 목부(34), 및 지지대의 길이방향 중앙에서 아래로 꺽여있는 수직면 형성부(31d)를 갖는 상판보강대(30); 및 상기 지지대 및 상기 연결대의 길이방향 치수에 상응하는 치수를 가지며, 상기 지지대(10), 연결대(20) 및 상판보강대(30)의 상부에 부착되는 상판(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대(10); 상기 연결대(20), 상기 상판보강대(30)는, 평판구조의 부재를 접어 형성된다. 상기 상판보강대(30)는 일체로 구성되어, 그의 수직면형성부들(31d)이 가운데서 서로 맞닿도록 접혀져서 접착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골판지 팔레트 {PALLET MANUFACTURED BY USING CORRUGATED CARDBOARD}
본 고안은 물품의 적재, 운반 및 보관시 사용되는 골판지팔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팔레트를 조립구조의 골판지로 구성함으로써, 가벼우면서도 하중지지능력이 우수하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어, 보관이나 사용성이 우수하고 경제적이며, 재활용을 통한 환경오염방지에도 기여할 수 있는 골판지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의 적재, 운반 및 보관시에는 팔레트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팔레트는 물품의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내구성을 가져야 하며, 주로 목재 또는 합성수지제 팔레트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목재 팔레트의 경우, 하중지지능력은 우수한 편이지만 단가가 비싸서 일회용 팔레트로 사용하기에는 비용부담이 크며, 충격 흡수력이 없어 물품의 고장 및 파손의 우려가 있으며, 그 표면이 거칠어 취급과정에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더욱이, 목재 팔레트는 목판재의 재단, 및 각 부재간의 고정작업 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성이나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팔레트도 충격 흡수력이 거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상부의 적재물로 전달되는 외부충격을 적절하게 차단치 못한다. 또한, 합성수지 팔레트는 그 재질의 특성상 자연상태에서 분해되지 않으므로,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다.
목재 또는 합성수지 팔레트의 전술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골판지 또는 재생종이 등으로 만든 종이 팔레트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종이팔레트는 원재료의 가격이 저렴하고, 제작이 간단하며, 목재나 플라스틱제에 비하여 충격흡수력이 우수하여 물품을 양호하게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이팔레트는 강성이 부족하여 물품을 적재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구조적으로 보완되어야 하고, 또한 그 조립 및 부착작업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어서, 아직까지 널리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이팔레트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충격흡수력이 우수하고 환경친화적인 종이팔레트 고유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물품을 적재, 운반 및 보관하기에 충분한 구조적 강성을 가지며, 제작성이 우수한 조립구조를 가지는 골판지 팔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a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골판지 팔레트를 구성하는 지지대, 연결대, 및 상판보강대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1b는 도1a에 도시된 지지대, 연결대, 및 상판보강대를 조립하고, 2개의 상판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1c는 도1b에 도시된 2개의 상판을 조립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2a는 골판지 팔레트를 구성하는 지지대의 조립전의 평면도;
도2b는 골판지 팔레트를 구성하는 지지대의 조립후의 사시도;
도2c는 골판지 팔레트를 구성하는 지지대의 조립후의 단면도;
도3a는 골판지 팔레트를 구성하는 연결대의 조립전의 평면도;
도3b는 골판지 팔레트를 구성하는 연결대의 조립후의 사시도;
도3c는 골판지 팔레트를 구성하는 연결대의 조립후의 단면도;
도4a는 골판지 팔레트를 구성하는 상판보강대의 조립전의 평면도;
도4b는 골판지 팔레트를 구성하는 상판보강대의 조립후의 사시도;
도4c는 골판지 팔레트를 구성하는 상판보강대의 조립후의 단면도;
도5a는 다른 실시형태의 상판보강대의 조립전의 평면도;
도5b는 도5a에 도시된 상판보강대의 조립후의 사시도; 및
도5c는 도5a에 도시된 상판보강대의 조립후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지대, 11a, 11b, 11c, 11d, 11e, 11f: 측면형성부,
12a: 상면형성부, 12b: 저면형성부,
13, 13a, 13b: 저면홈, 14, 14a, 14b, 14c: 끼워맞춤홈,
15, 15a, 15b, 15c: 지지홈,
20: 연결대, 21a, 21b, 21c, 21d, 21e, 21f: 측면형성부,
22a:상면형성부, 22b: 저면형성부,
24, 24a, 24b, 24c: 끼워맞춤홈,
30: 상판보강대, 31a: 제1 평면형성부,
31b: 제2 평면형성부, 31c: 제3 평면형성부,
31d:수직면형성부. 34: 목부,
34a, 34b, 34c: 끼워맞춤홈, 40: 상판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공되는 골판지 팔레트는, 상부양측에 2개의 끼워맞춤홈과 상부 중간에 2개의 지지홈을 가지며 하부에 2개의 저면홈을 각각 갖는 복수의 지지대; 하부에 상기 지지대의 끼워맞춤홈과 결합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끼워맞춤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를 서로 연결하는 2개의 연결대; 상기 지지대의 지지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끼워맞춤홈에 의해 상기 지지대의 지지홈에 결합하도록 형성된 목부, 및 지지대의 길이방향 중앙에서 아래로 꺾여있는 수직면 형성부를 갖는 상판보강대; 및 상기 지지대 및 상기 연결대의 길이방향 치수에 상응하는 치수를 가지며, 상기 지지대, 연결대 및 상판보강대의 상부에 부착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대는 측면형성부, 상면형성부 및 저면형성부를 가지며, 측면형성부들 사이에 저면홈이 형성되고, 지지대의 양측가장자리 부근에는 연결대와 끼워맞추기 위한 끼워맞춤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부 중간부근에는, 상판보강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평판구조의 부재를 접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대는 측면형성부, 상면형성부 및 저면형성부를 가지며, 양측가장자리 부근과, 중앙에는 지지대의 끼워맞춤홈과 각각 끼워맞추기 위한 끼워맞춤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평판구조의 부재를 접어 형성되며;
상기 상판보강대는, 제1 평면형성부, 제2 평면형성부, 제3 평면형성부, 및 이 제3 평면형성부로부터 연장되는 수직면형성부를 가지며, 양측가장자리 부근과, 중앙에는 지지대와 끼워맞추기 위한 끼워맞춤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평판구조의 부재를 접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상판보강대는 수직면형성부들의 접착을 피하기 위해 일체로 구성되지만, 2개의 상판보강대로 구성하여 그 수직면형성부들이 가운데서 서로 접착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지지대는 3개이며, 상기 상판은 골판지의 골방향이 직교하도록 2개가 접착되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a 내지 도1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골판지 팔레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1a는 골판지 팔레트를 구성하는 지지대, 연결대, 및 상판보강대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1b는 도1a에 도시된 지지대, 연결대, 및 상판 보강대를 조립하고, 2개의 상판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1c는 도1b에 도시된 2개의 상판을 조립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골판지 팔레트는 3개의 지지대(10), 상기 지지대를 서로 연결하는 2개의 연결대(20), 및 상판보강대(30), 및 2개의 상판(40)으로 이루어진다.
도시예에서는 3개의 지지대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들 지지대는 적재되는 물품의 중량등을 감안하여 2개이상이면, 임의 개수를 사용할 수 있다.
먼저, 도2a 내지 도2c를 참조하여 지지대(10)대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는 도1a 내지 도1c에 도시된 상기 지지대(10)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조립후의 지지대의 사시도이며, 도2c는 그 단면도이다. 조립전의 지지대(10)는 측면형성부(11a, 11b, 11c, 11d, 11e, 11f), 상면형성부(12a) 및 저면형성부(12b)를 갖는다. 여기서, 측면형성부(11a)에는 측면형성부(11b)가 접하고, 이 측면형성부(11b)에는 측면형성부(11c)가 접하며, 이 측면형성부(11c)에는 측면형성부(11d)가 접하며, 이 측면형성부(11d)에는 상면형성부(12a)가 접하고, 이 상면형성부(12a)에는 측면형성부(11e)가 접하며, 이 측면형성부(11e)에는 저면형성부(12b)가 접하고, 이 저면형성부(12b)에는 측면형성부(11f)가 접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측면형성부들(11a와 11b; 11c와 11d; 11e 와 11f) 사이에는 지게차로 물품을 적재, 운반 및 하역할 때,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저면홈(13a, 13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저면홈들중 측면형성부들(11e 와 11f) 사이의 저면홈(13b)는 상면형성부들에 걸쳐 형성되어 있어 다른 측면형성부들(11a와 11b; 11c와 11d) 사이의 저면홈(13a) 보다 저면형성부(12b)의 폭만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지지대(10)의 양측가장자리 부근에는 연결대(20)와 끼워맞추기 위한 끼워맞춤홈(14a, 14b, 14c) 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끼워맞춤홈(14a)은 측면형성부(11a, 11f)의 단부에, 끼워맞춤홈(14b)은 측면형성부들(11b 와 11c) 사이에, 끼워맞춤홈(14c)은 측면형성부들(11d 와 11e)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중, 끼워맞춤홈(14c)은 상면형성부(12a)의 폭만큼 끼워맞춤홈(14b) 보다 넓게 되어 있다.
또한, 지지대(10)의 중앙부근에는, 상판보강대(3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홈(15a, 15b, 15c)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지지홈(15a)은 측면형성부(11a, 11f)의 단부에, 지지홈(15b)은 측면형성부들(11b 와 11c) 사이에, 지지홈(15c)은측면형성부들(11d 와 11e)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중, 지지홈(15c)은 상면형성부(12a)의 폭만큼 지지홈(15b) 보다 넓게 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측면형성부들 사이, 및 측면형성부와 상면형성부 사이, 측면 형성부와 저면형성부 사이에는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꺽음선(16)이 소정깊이로 잘려 각각 형성되어 있고, 재단후의 측면형성부들간의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보강부(17)에 의해 꺽음선은 임의 위치에서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지대(10)의 조립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꺽음선(16)을 이용하여 측면형성부들(11a, 11b, 11c, 11d)을 서로 맞닿도록 교대로 접는다. 본 고안에 이용되는 골판지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므로 상기와 같이 측면형성부끼리를 접으면 이들의 두께를 합한 만큼의 두께가 형성되는데, 그 상면을 상면형성부(12a)가 감싸도록하여 측면형성부(11e)를 외측으로 접고 또한 저면형성부(12b)가 저면을 감싸도록하여 측면형성부(11f)를 접는다. 조립된 상태의 지지대(10)는, 도2c에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형성부들(11e, 11f)과 상면 및 저면 형성부들(12a, 12b)이 외측을 감싸고 있고 그 내부에 측면형성부들(11a, 11b, 11c, 11d)이 차례로 맞대어 접혀있는 구조로 된다. 또한 도2b에 사시도로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의 양측에는 연결대(20)와 끼워맞춰지는 2개의 끼워맞춤홈(14)이 형성되고, 상부 중간의 2개소에는 상판보강대(30)가 지지되는 지지홈(15)이 형성된다. 또한, 연결대의 하측에는 물품의 적재, 운반 및 하역시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2개의 저면홈(13)이 형성된다. 끼워맞춤홈(14)은 끼워맞춤홈들(14a, 14b,14c)이 겹쳐짐으로써 형성되고, 지지홈(15)은 지지홈들(15a, 15b, 15c)이 겹쳐짐으로써 형성되며, 저면홈(13)은 저면홈들(13a, 13b)이 겹쳐짐으로써 형성된다.
다음에, 상기에 설명한 지지대(1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대(20)의 구성을 도3a 내지 도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a는 조립전의 연결대의 사시도이고, 도3b는 조립후의 연결대의 사시도이며, 도3c는 그 횡단면도이다. 조립전의 연결대(20)는 측면형성부(21a, 21b, 21c, 21d, 21e, 21f), 상면형성부(22a) 및 저면형성부(22b)를 갖는다. 연결대는(20)는 측면형성부(21a)에는 측면형성부(21b)가 접하고, 이 측면형성부(21b)에는 측면형성부(21c)가 접하며, 이 측면형성부(21c)에는 측면형성부(21d)가 접하고, 이 측면형성부(21d)에는 저면형성부(22b)가 접하며, 이 저면형성부(22b)에는 측면형성부(21e)가 접하고, 이 측면형성부(21e)에는 상면형성부(22a)가 접하며, 이 상면형성부(22a)에는 측면형성부(21f)가 접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연결대(20)의 양측가장자리 부근과, 중앙에는 지지대(10)의 끼워맞춤홈(14a, 14b, 14c)과 각각 끼워맞추기 위한 끼워맞춤홈(24a, 24b, 24c)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끼워맞춤홈(24a)은 측면형성부(21a, 21f)의 단부에, 끼워맞춤홈(24b)은 측면형성부들(21b 와 21c) 사이에, 끼워맞춤홈(24c)은 측면형성부들(21d 와 21e)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중, 끼워맞춤홈(24c)은 저면형성부(22b)의 폭만큼 끼워 맞춤홈(24b) 보다 넓게 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측면형성부들 사이, 및 측면형성부와 저면형성부 사이, 측면형성부와 상면형성부 사이에는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꺽음선(26)이 소정깊이로 잘려 각각 형성되어 있고, 재단후의 측면형성부들간의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보강부(27)에 의해 꺽음선은 임의 위치에서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결대(20)의 조립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꺽음선(26)을 이용하여 측면형성부들(21a, 21b, 21c, 21d)을 서로 맞닿도록 교대로 접는다. 이렇게 측면형성부끼리를 접으면 이들의 두께를 합한 만큼의 두께가 형성되는데, 그 상면을 상면형성부(22a)가 감싸도록하여 측면형성부(21e)를 외측으로 접고 또한 저면형성부(22b)가 저면을 감싸도록하여 측면형성부(21f)를 접는다. 그러면, 도3c에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형성부들(21e, 21f)과 상면 및 저면 형성부들(22a, 22b)이 외측을 감싸고 있고 그 내부에 측면형성부들(21a, 21b, 21c, 21d)이 차례로 맞대어 접혀있는 구조로 된다. 또한 도3b에 사시도로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의 양측 및 중앙에는 지지대(10)와 결합하기 위한 3개의 끼워맞춤홈(24)이 형성되는데, 이 끼워맞춤홈(24)은, 끼워맞춤홈들(24a, 24b, 24c)이 겹쳐짐으로써 형성된다.
도시예에서는, 지지대(10)가 3개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어, 연결대(20)의 끼워맞춤홈이 양측에 각각 1개 및 중앙의 1개, 총3개소에 형성되어 있으나, 물품에 따라, 중량이 적은 경우에는 지지대를 양측의 각 1개씩 총 2개를 사용할 수 있고, 중량이 큰 경우에는 양측에 각 1개 및 중앙에 2개의 총 4개의 지지대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연결대의 끼워맞춤홈은 지지대의 개수에 대응하여 2개 또는 4개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4a 내지 도4c를 참조하여 상판보강대(30)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4a는 조립전의 상판보강대의 평면도이고, 도4b는 조립후의 상판보강대의 사시도이고, 도4c는 그 단면도이다.
상판보강대(30)는 그 위에 물품적재를 위한 상판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1 평면형성부(31a), 제2 평면형성부(31b), 제3 평면형성부(31c), 및 수직면형성부(31d)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제1 평면형성부(31a)에는 제2 평면형성부(31b)가 접하고, 이 제2 평면형성부(31b)에는 제3 평면형성부(31c)가 접하며, 이 제3 평면형성부(31c) 수직면형성부(31d)가 연장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3 평면형성부는(31c)는 수직면형성부(31d)가 지지대(10)의 길이방향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1 또는 제2 평면형성부(31a, 31b) 보다 넓게 되어 있고, 이 제3 평면형성부(31c)로부터 수직면형성부(31d)가 연장되어 있다.
상판보강대(30)의 양측가장자리 부근과, 중앙에는 지지대(10)와 끼워맞추기 위한 끼워맞춤홈(34a, 34b, 34c) 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끼워맞춤홈(34a)은 제1 평면형성부(31a)의 단부에, 끼워맞춤홈(34b)은 제1 평면형성부(31a)와 제2 평면형성부(31b) 사이 및 제2 평면형성부(31b)와 제3 평면형성부(31c) 사이에, 끼워맞춤홈(34c)은 제3 평면형성부(31c)의 단부 및 수직면형성부(31d)에 길이방향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평면형성부들 사이, 및 평면형성부와 수직면형성부 사이에는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꺽음선(36)이 소정깊이로 잘려 각각 형성되어 있고, 재단후의 측면형성부들 간의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보강부(37)에 의해 꺽음선은 임의 위치에서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판보강대(30)의 조립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꺽음선(36)을 이용하여 평면형성부들(31a, 31b, 31c)을 서로 맞닿도록 교대로 접고, 수직면형성부(31d)를 아래로 접는다. 그러면, 도4c에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형성부들(31a, 31b, 31c)이 겹쳐진 상태에서 수직면형성부(31d)가 아래로 늘어진 형상이 되며, 또한 도4b에 사시도로 도시된 바와같이, 끼워맞춤홈(34a, 34b, 34c)들에 의해 목부(34)가 형성된다. 이 목부는 지지대(10)의 지지홈(15)에 끼워맞춰져서 상판보강대(30)를 지지대(10)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또한, 조립후의 수직면형성부(31d)는 지지대(10)의 길이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는데, 상판보강대(30)의 수직면형성부들(31d)이 중앙에서 서로 맞닿도록 접혀지거나 접착된다. 수직면형성부(31d)는 지게차의 포크를 삽입시 지지대(10)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판보강대가 2개로 구성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2개의 상판보강대가 서로 연결된 1개의 상판보강대로 구성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의 1개의 일체형으로 구성된 상판보강대를 도5a 내지 도5c에 나타내었으며, 도5a는 그 조립전의 평면도이고, 도5b는 그 조립후의 사시도이며; 도5c는 그 조립후의 단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의 상판보강대는 도4a 내지 도4c에 설명한 상판보강대 2개를 서로 맞대어 일체형으로 구성한 것과 같으며, 이와같이 상판보강대를 일체형으로 구성하면, 수직면형성부들(31d)을 서로 접착할 필요없이 서로 맞닿도록 접기만하면 되므로, 접착공정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이와같이 조립된 지지대(10), 연결대(20) 및 상판보강대(30)를 도1a의 분해 사시도로 나타낸 바와같이 조립한다. 그 후,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 및 연결대의 길이방향 치수에 서로 상응하는 상판(40)이 겹쳐져서 부착된다. 바람직하게 상판(40)은 골판지의 골 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2개의 상판을 겹쳐부착하여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골의 형성에 따른 구조적 취약성을 보강하기 위함이다.
이와같이 하여 최종적으로 조립되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골판지 팔레트를 도1c에 나타내었다.
본 고안의 골판지 팔레트에 따르면, 충격흡수력이 우수하고 환경친화적인 종이팔레트 고유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물품을 적재, 운반 및 보관하기에 충분한 구조적 강성을 가지며, 지지대, 연결대 및 상판보강대가 접는 구조로 되어 있어, 이들을 접어 각각의 구성품을 형성한 후, 이들 구성품과 상판을 부착하여 조립 착하는 것이므로, 제작성이 우수하다.

Claims (3)

  1. 상부양측에 2개의 끼워맞춤홈(14)과 상부 중간에 2개의 지지홈(15)을 가지며 하부에 2개의 저면홈(13)을 각각 갖는 복수의 지지대(10);
    하부에 상기 지지대의 끼워맞춤홈(14)과 결합하도록 상기 지지대(1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끼워맞춤홈(24)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10)를 서로 연결하는 2개의 연결대(20);
    상기 지지대(10)의 지지홈(15)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끼워맞춤홈에 의해 상기 지지대의 지지홈(15)에 결합하도록 형성된 목부(34), 및 지지대의 길이방향 중앙에서 아래로 꺽여있는 수직면 형성부(31d)를 갖는 상판보강대(30); 및
    상기 지지대 및 상기 연결대의 길이방향 치수에 상응하는 치수를 가지며, 상기 지지대(10), 연결대(20) 및 상판보강대(30)의 상부에 부착되는 상판(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대(10)는 측면형성부(11a), 이 측면형성부(11a)와 접하는 측면형성부(11b), 이 측면형성부(11b)와 접하는 측면형성부(11c), 이 측면형성부(11c)와 접하는 측면형성부(11d), 이 측면형성부(11d)와 접하는 상면형성부(12a), 이 상면형성부(12a)와 접하는 측면형성부(11e), 이 측면형성부(11e)와 접하는 저면형성부(12b) 및 이 저면형성부(12b)와 접하는 측면형성부(11f)를 가지며, 측면형성부들(11a와 11b; 11c와 11d) 사이에 저면홈(13a)이 형성되고, 측면형성부들(11e 와 11f) 사이에는 저면홈(13b)이 형성되며, 지지대(10)의 양측가장자리 부근에는 연결대(20)와 끼워맞추기 위한 끼워맞춤홈(14a, 14b, 14c) 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부 중간부근에는, 상판보강대(3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홈(15a, 15b, 15c) 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평판구조의 부재를 접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대(20)는 측면형성부(21a), 이 측면형성부(21a)와 접하는 측면형성부(21b), 이 측면형성부(21b)와 접하는 측면형성부(21c), 이 측면형성부(21c)와 접하는 측면형성부(21d), 이 측면형성부(21d)와 접하는 저면형성부(22b), 이 저면형성부(22b)와 접하는 측면형성부(21e), 이 측면형성부(21e)와 접하는 상면형성부(22a), 이 상면형성부(22a)와 접하는 측면형성부(21f)를 가지며, 연결대(20)의 양측가장자리 부근과, 중앙에는 지지대(10)의 끼워맞춤홈(14a, 14b, 14c)과 각각 끼워맞추기 위한 끼워맞춤홈(24a, 24b, 24c)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평판구조의 부재를 접어 형성되며;
    상기 상판보강대(30)는, 제1 평면형성부(31a), 이 제1 평면형성부(31a)와 접하는 제2 평면형성부(31b), 이 제2 평면성형부(31b)와 접하는 제3 평면형성부(31c), 및 이 제3 평면형성부(31c)로부터 연장되는 수직면형성부(31d)를 가지며, 제1 평면형성부(31a)의 가장자리에는 끼워맞춤홈(34a)이, 제1 평면형성부(31a)와 제2 평면형성부(31b)의 연결부 및 제2 평면형성부(31b)와 제3 평면형성부(31c)의 연결부에는 끼워맞춤홈(34b, 34b)이, 제3 평면형성부(31c)의 가장자리 및 수직면형성부(31d)의 길이방향 중앙부분에는 끼워맞춤홈(34c)이, 지지대(10)와 끼워맞추기 위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평판구조의 부재를 접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 팔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보강대(30)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이 상판보강대의 2개의 수직면형성부들(31d)이 가운데서 서로 맞닿도록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골판지 팔레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가 3개이며, 상기 상판(40)은 골판지의 골방향이 직교하도록 2개가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용 팔레트.
KR20-2003-0030381U 2003-09-25 2003-09-25 골판지 팔레트 Expired - Fee Related KR2003415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381U KR200341593Y1 (ko) 2003-09-25 2003-09-25 골판지 팔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381U KR200341593Y1 (ko) 2003-09-25 2003-09-25 골판지 팔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593Y1 true KR200341593Y1 (ko) 2004-02-14

Family

ID=49343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381U Expired - Fee Related KR200341593Y1 (ko) 2003-09-25 2003-09-25 골판지 팔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59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627Y1 (ko) 2014-01-29 2015-03-16 조명환 2-방향 파레트
KR200476631Y1 (ko) 2014-01-29 2015-03-16 조명환 4-방향 파레트
KR200476629Y1 (ko) 2014-01-29 2015-03-16 조명환 2-방향 파레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627Y1 (ko) 2014-01-29 2015-03-16 조명환 2-방향 파레트
KR200476631Y1 (ko) 2014-01-29 2015-03-16 조명환 4-방향 파레트
KR200476629Y1 (ko) 2014-01-29 2015-03-16 조명환 2-방향 파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5183B2 (en) Structural cardboard runner, pallet, shipping article
US5672412A (en) Recyclable cross-laminated corrugated and fiber core pallet
KR100198069B1 (ko) 종이 팰릿
US5941177A (en) Recyclable, heavy duty, lightweight, moisture resistant corrugated fiberboard pallet
US6973882B2 (en) Single use disposable pallet
KR200341593Y1 (ko) 골판지 팔레트
KR20140091370A (ko) 조립식 컨테이너박스의 접힘장치
KR101836046B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친환경 조립식 팔레트 킷
EP3875394B1 (en) A cargo carrier element, a method of stacking a number of packages, and a stack of packages
KR200480791Y1 (ko) 고강도 종이 팔레트
JP2009292485A (ja) 荷役用パレット
KR200415948Y1 (ko) 종이파렛트용 받침구
KR102690523B1 (ko) 조립식 파레트
KR102727810B1 (ko) 친환경 트레이 및 각재를 이용한 팔레트
KR101018252B1 (ko) 종이팔레트
MXPA04006424A (es) Unidad de soporte de tarima.
KR200250709Y1 (ko) 종이 파레트
KR200400832Y1 (ko) 종이 파레트
KR200270500Y1 (ko) 합지 팔렛트
KR200285601Y1 (ko) 종이파레트
KR200267806Y1 (ko) 골판지 파렛트
KR200356119Y1 (ko) 종이 팔레트
KR200281862Y1 (ko) 종이 파레트
JP2001058639A (ja) 搬送用パレット
KR20140010220A (ko) 팔레트 제조방법 및 팔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92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2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92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03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0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01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