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276129Y1 -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129Y1
KR200276129Y1 KR2020020004359U KR20020004359U KR200276129Y1 KR 200276129 Y1 KR200276129 Y1 KR 200276129Y1 KR 2020020004359 U KR2020020004359 U KR 2020020004359U KR 20020004359 U KR20020004359 U KR 20020004359U KR 200276129 Y1 KR200276129 Y1 KR 2002761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power supply
digital door
receiving plate
p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
Original Assignee
이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 filed Critical 이철
Priority to KR2020020004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1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1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12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락 자체에 외부전원과 접속되는 전원연결체를 구성하여, 디지털 도어락이 보다 안정적인 전원 수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도어락의 설치 과정에서 도어를 포함한 구조물의 변형 및 훼손이 방지되어 작업시간의 단축 및 비용절감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도어(1)에 고정되는 도어락 본체(10)와, 도어틀(2)에 고정되는 받이판(22) 및, 상기 도어락 본체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받이판의 로킹홈(24)으로 로킹 동작하는 전기정(20)을 포함한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전기정의 일면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전극띠(26)와; 외부 전원과 접속된체 상기 받이판의 로킹홈 내면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정의 삽입시에 상기 한 쌍의 전극띠와 각각 접촉되는 한 쌍의 전원공급단자(32)와; 상기 각 전극띠의 일측 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체 상기 도어락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전기정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지(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Digital Door Lock having Power source Service Equipment}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도어락 자체에 외부전원과 접속되는 전원연결체를 구성하여, 디지털 도어락이 보다 안정적인 전원 수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도어락이 도어를 포함한 구조물의 변형 내지는 훼손 없이 외부전원과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어 작업시간의 단축 및 비용절감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락은 종전의 키를 이용한 수동식 도어락의 허술한 보안기능을 개선하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은 전자카드를 이용하는 방식 또는 키버튼을 통한 비밀번호 입력방식이 대표적이며, 최근에는 사용자의 지문이나 안구 등을 인식하여 도어의 개폐여부를 결정하는 생체인식의 첨단방식에 이르기까지 점차 확산되는 추세에 있다.
이같은 디지털 도어락의 보편적인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디지털 도어락은 크게, 도어(100)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도어락 본체(104)및, 도어틀(102)에 상기 도어락 본체(104)와 대응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받이판(106)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도어락 본체(104)의 내측에 전기정(108)이 설치되며, 이같은 전기정(108)은 상기 도어락 본체(104) 내측으로 설치되는 전기정 구동수단(110)에 그 내측 단부를 결합하게 된다. 상기 전기정 구동수단(110)의 일 예로, 모터(112) 및 상기 모터(112)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랙(114)과 피니언(116) 형태를 들 수 있겠다. 또한, 상기 전기정 구동수단(110)을 포함한 도어락 본체(104)에는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전선(118)을 통해서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받이판(106)에는 로킹홈(106a)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상기 모터(112) 구동시 그와 연동되는 상기 랙(114)과 피니언(116)의 작용을 통해서 상기 전기정(108)은 도어락 본체(104) 외측으로 돌출되며, 이렇게 돌출된 전기정(108)이 상기 받이판(106)의 로킹홈(104a)으로 끼워지면서 도어(100)의 잠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은 설치상의 어려움을 포함하여 여러가지 문제점을 노출하였다.
즉,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은, 상기 도어락 본체(104)와 연결되는 전선(118)이 외부로 노출되면 미관상 좋치 않으므로, 도어(100)에 드릴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구멍(120)을 천공하고, 이렇게 천공된 구멍(120)을 통해 전선(118)을 도어(100) 내측으로 인입하여 상기 도어락 본체(104)와 연결하는 것이었다. 이때, 상기 도어(100)의 개폐 과정에서 상기 전선(118)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름형의 힌지관(122)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디지털 도어락을 설치함에 따라, 그 설치 과정에서 도어의 일부분을 훼손시키게 되는 현상이 초래되며, 또한 도어(100)에 구멍(120)을 천공하는 작업 뿐만아니라 이렇게 천공된 구멍(120)을 통해 전선(118)을 인입하여 디지털 도어락이 외부전원과 연결되도록 하는 작업이 용이치 못해 작업상에 큰 어려움이 수반되었다. 또한,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예비전원을 가지지 않는 형태이므로, 정전시나 단선 등의 이유로 전원공급이 중단될 시에 그 기능이 완전히 정지될 수 있는 문제가 상존하였다.
그리고, 디지털 도어락의 내측에 배터리(124)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디지털 도어락이 제공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배터리(124)를 사용하는 디지털 도어락은, 외부전원과 연결할 필요가 없어 설치작업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매우 한정적인 전원이 사용되는 관계로 전원 소모의 최소화를 위해 기능이 대폭 축소될 수 밖에 없었고, 배터리(124)를 자주 교체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또한, 배터리(124)가 완전하게 방전되는 시기를 파악할 수 없는 것이므로, 외출후 귀가시나 그밖의 정전사고와 같은 불시의 전원공급 중단시를 대비하여 비상수단이 요구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디지털 도어락 자체에 외부전원과의 통전을 위한 전원연결체를 구성하여, 디지털 도어락이 도어를 포함한 구조물의 훼손없이 외부전원과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는 동시에, 그로 인한 설치시간의 단축 및 비용절감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주전원과 예비전원의 기능을 병행하게 되는 내장형 충전지가 항시 충전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정전과 같은 외부상황의 변화에 관계없이 디지털 도어락의 정상적인 작동이 항상 유지되도록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디지털 도어락에 항상 풍부한 전원수급이 가능하게 되므로써, 디지털 도어락이 도어를 로킹하는 기본기능 외에도 매우 다양한 부가기능을 지닐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 디저털 도어락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전원 공급장치의 요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전원 공급장치의 요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전원 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전원 공급장치의 요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도어 2: 도어틀 10: 도어락 본체 12: 전기정 구동수단 14: 모터 16: 랙 18: 피니언 20,60: 전기정 22,50: 받이판 24,52: 로킹홈 26,61a,62a: 전극띠 28,34,61b,62b: 절연체 30: 가이드홈부 32,51: 전원공급단자 36: 충전지 61,62: 단위전기정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어에 고정되는 도어락 본체와, 도어틀에 고정되는 받이판 및, 상기 도어락 본체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받이판의 로킹홈으로 로킹 동작하는 전기정을 포함한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전기정의 일면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전극띠와; 외부 전원과 접속된체 상기 받이판의 로킹홈 내면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정의 삽입시에 상기 한 쌍의 전극띠와 각각 접촉되는 한 쌍의 전원공급단자와; 상기 각 전극띠의 일측 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체 상기 도어락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전기정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전원공급단자는 도어 개방시에도 상기 전극띠와의 접속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정의 이동 간격이 보상되는 길이를 가진체 상기 로킹홈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전극띠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부를 형성한 레일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공급단자는 상기 가이드홈부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받이판 내면에 탄설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로킹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전원 공급장치가 적용된 본 실시예의 디지털 도어락은 하나의 실시 형태에 지나지 않으며, 그밖에도 다양하게 제공되는 디지털 도어락에 본 고안의 전원 공급장치가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도어락 본체(10), 전기정 구동수단(12), 전기정(20), 받이판(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어락 본체(10)는 도어(1)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써, 이같은 도어락 본체(10)의 내부에는 후술되는 전기정(20)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기정 구동수단(12)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전기정 구동수단(12)은 여러가지 구조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14) 및 상기 모터(14)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랙(16)과 피니언(18)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도어락 본체(10)의 내측으로 상기 전기정(20)이 설치된다.이같은 전기정(20)은 그 일단이 상기 전기정 구동수단(12)에 결합되며, 본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전기정(20)은 상기 랙(16)의 단부에 결합된다. 즉, 상기 전기정(20)은 상기 모터(14)의 구동에 따라 직선으로 연동하게 되는 랙(16)에 의해서 상기 도어락 본체(10)의 내외부로 돌출 또는 수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받이판(22)이 상기 도어락 본체(10)와 인접되도록 도어틀(2)에 고정 설치된다. 이같은 받이판(22)은, 상기 전기정 구동수단(12)의 작동에 따라 상기 도어락 본체(10)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전기정(20)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로킹홈(24)을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된 디지털 도어락으로 설치되는 본 고안의 전원 공급장치를 설명한다.
상기 전기정(20)의 일면에 한 쌍의 전극띠(26)가 설치되는 것으로써, 이같은 한 쌍의 전극띠(26)는 그 일측 단부를 후술되는 충전지(36)에 각각 접속하게 되며, 상기 충전지(36)는 상기 도어락 본체(10)의 내측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전극띠(26)는 절연체(28)에 의해 상기 전기정(20)과 절연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겠다.
그리고, 상기 받이판(22)의 로킹홈(24) 내면에 한 쌍의 전원공급단자(32)가 설치되는 것으로써, 상기 전원공급단자(32)는 외부전원과 접속되게 된다. 이같은 전원공급단자(32)는 상기 전기정(20)의 삽입시 그 전극띠(26)와 각각 접속되어지며, 이러한 전원공급단자(32) 역시 절연체(34)에 의해 상기 받이판(50)과 절연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전극띠(26)와 상기 전원공급단자(32)가 보다 안정적인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극띠(26)를 그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부(30)가 형성된 레일형 구조로 제작하고, 이같은 레일형의 전극띠(26)에 상기 전원공급단자(32)가 끼워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전원공급단자용 절연체(34)를 내측에 수용공간이 제공되도록 절곡하여 형성하고, 이같은 절연체(34)의 수용공간에 상기 전원공급단자(32)가 탄설되도록 구성하므로써, 상기 전원공급단자(32)가 상기 전극띠(26)의 가이드홈부(30)에 보다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으로 제공된 전극띠(26)가 그 일측 단부를 각각 접속하게 되는 전술한 충전지(36)는, 도어락 본체(10) 내측에 구비되는 전기정 구동수단(12)과 접속되어 상기 전기정 구동수단(12)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받이판(22)의 일측에 DC아답터(38)를 설치할 수 있다. 이같은 DC아답터(38)는 상기 받이판(22)의 전원공급단자(32)와 접속되어 외부전원이 상기 전원공급단자(32)에 인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상기 받이판(22)의 전원공급단자(32)에 외부전원을 접속하므로써, 상기 전기정(20)의 로킹 동작에 따라 상기 전기정 구동수단(12)을 포함한 도어락 본체(10)로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다시 말해, 디지털 도어락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이 매우 간편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어(1)가 잠겨있는 경우, 전기정(20)은 받이판(22)의 로킹홈(24)에 삽입되어 그 전극띠(26)를 상기 받이판(22)의 전원공급단자(32)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단자(32)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전원이 상기 전극띠(26)로 통전되면서 도어락 본체(10)에 내장된 충전지(36)의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1)를 개방하기 위해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도어락 본체(10) 내측의 전기정 구동수단(12)이 작동되면서 상기 전기정(20)을 도어락 본체(10) 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본 실시예를 기준하면, 상기 소정의 신호 입력시 상기 도어락 본체(10) 내부의 모터(14)가 상기 전기정(20)을 당기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모터(14)의 구동축에 연결된 피니언(18)이 회전하면서 그와 맞물린 랙(16)을 상기 도어락 본체(10)의 내측 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기정(20)은 상기 받이판(22)의 로킹홈(24)에서 빠지면서 상기 도어락 본체(10) 내측으로 인입된다.
이렇게 전기정(20)이 로킹홈(24)에서 빠져 나오면서 전기정(20)의 상기 전극띠(26)와 받이판(22)의 상기 전원공급단자(32) 간의 접속은 해제되고, 그로 인해 상기 전원공급단자(32)를 통한 상기 전기정 구동수단(12)으로의 전원공급이 중단된다. 이때, 상기 충전지(36)는 도어(1)의 개방 전에, 다시 말해 도어(1)의 닫힘 상태에서 완전하게 충전된 상태인 것이다.
이러한 충전지(36)를 통해 상기 전기정 구동수단(12)으로 지속적인 전원공급이 이루어짐에 따라, 개방된 도어(1)를 닫게 되면 상기 모터(14)가 도어(1) 개방시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랙(16)을 밀어내어 상기 전기정(20)은받이판(22)의 로킹홈(24)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도어(1)의 닫힘시 디지털 도어락이 자동적으로 로킹됨은 디지털 도어락에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방식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지(36)가 완전히 방전되기 전까지는 외부전원의 공급이 없더라도 디지털 도어락의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한 것이므로, 이같은 충전지(36)는 예비배터리의 기능도 가지는 것이다.
이렇게 충전지(36)가 상기 전기정 구동수단(12)에 대한 주전원의 기능 및 예비전원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므로, 상기 전기정 구동수단(12)은 정전시나 그밖의 전원공급 중단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항상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1)의 개방을 위해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 신호를 입력하는 방식으로는, 카드를 인식시키는 방법, 키버튼을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법 내지는 지문인식 방법 등 여러가지 형태가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6과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받이판(50)의 전원공급단자(51)가 도어락 본체(10) 방향으로 연장되게 제공되어, 도어(1)의 개방시에도 전기정(20)의 전극띠(26)가 상기 전원공급단자(51)와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 받이판(50)의 로킹홈(52)으로 로킹동작하는 상기 전기정(20)의 이동간격을 보상할 수 있도록, 상기 전원공급단자(51)는 상기 전기정(20)의 로킹해제 위치에서도 상기 전극띠(26)와의 접속이 확보되는 위치까지 연장되게 설치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도어(1)의 닫힘시를 포함하여 개방시에도 디지털 도어락으로는 외부전원의 지속적인 공급이 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디지털 도어락에 내장된 충전지(36)는 순수하게 예비전원의 기능 만을 수행토록 할 수 있다.
또한, 전기정(60)을 상호 독립된 한 쌍의 단위전기정(61,62)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단위전기정(61,62)은 도어락 본체(10)의 전기정 구동수단에 각각 결합되며, 이같은 단위전기정(61,62)의 일면에 전극띠(61a,62a)를 절연체(61b,62b)로 절연시켜 설치하는 형태이다.
상기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에 의하여, 디지털 도어락이 자체에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연결체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그 설치시 도어를 포함한 구조물의 변형이나 훼손없이 간편한 작업에 의해 외부전원을 용이하게 공급받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 향상 및 비용절감의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그리고, 도어락의 설치후 정전 등에 의한 작동 중지사유가 미연에 방지됨에 따라 제품에 대한 신뢰감이 향상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또한, 디지털 도어락으로 항상 충분한 전원수급이 가능함에 따라, 도어락의 기본기능 이외에 추가적으로 다양한 부가기능을 무리없이 제공할 수 있어 소비자의 만족도를 극대화시키는 동시에 보안과 방범 기능을 한층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된다.

Claims (4)

  1. 도어에 고정되는 도어락 본체와, 도어틀에 고정되는 받이판 및, 상기 도어락 본체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받이판의 로킹홈으로 로킹 동작하는 전기정을 포함한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전기정의 일면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전극띠와;
    외부 전원과 접속된체 상기 받이판의 로킹홈 내면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정의 삽입시에 상기 한 쌍의 전극띠와 각각 접촉되는 한 쌍의 전원공급단자와;
    상기 각 전극띠의 일측 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체 상기 도어락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전기정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단자는,
    도어 개방시에도 상기 전극띠와의 접속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정의 이동 간격이 보상되는 길이를 가진체 상기 로킹홈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띠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부를 형성한 레일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공급단자는 상기 가이드홈부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받이판 내면에 탄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정은, 상기 전기정 구동수단에 독립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단위전기정으로 이루어지며, 각 단위전기정의 일면에 전극레일이 각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공급 장치.
KR2020020004359U 2002-02-09 2002-02-09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2761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359U KR200276129Y1 (ko) 2002-02-09 2002-02-09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359U KR200276129Y1 (ko) 2002-02-09 2002-02-09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129Y1 true KR200276129Y1 (ko) 2002-05-21

Family

ID=73073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359U Expired - Fee Related KR200276129Y1 (ko) 2002-02-09 2002-02-09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12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260B1 (ko) * 2005-12-07 2013-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록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492963B1 (ko) 2013-06-17 2015-02-13 두알산업 주식회사 디지털 도어락의 상시 전원공급 장치
KR101966600B1 (ko) * 2018-11-02 2019-04-05 김길수 디지털 도어락
WO2020091169A1 (ko) * 2018-11-02 2020-05-07 김길수 디지털 도어락, 도어락 제어서버 및 도어락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260B1 (ko) * 2005-12-07 2013-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록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492963B1 (ko) 2013-06-17 2015-02-13 두알산업 주식회사 디지털 도어락의 상시 전원공급 장치
KR101966600B1 (ko) * 2018-11-02 2019-04-05 김길수 디지털 도어락
WO2020091169A1 (ko) * 2018-11-02 2020-05-07 김길수 디지털 도어락, 도어락 제어서버 및 도어락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78811B2 (en) A lock arrangement and a method of providing power to a lock
KR200276129Y1 (ko)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
KR100838657B1 (ko) 대기 전류 차단을 위한 디지털 도어락 및 그 방법
KR200484038Y1 (ko) 디지털도어락의 래치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
US20210217260A1 (en) Method for unlocking fingerprint recognition lock and zipper lock with fingerprint recognition
CN210976966U (zh) 锁芯和挂锁
KR100473888B1 (ko) 도어록 장치
CN211201453U (zh) 一种基于锁舌供电的智能锁具
KR200353557Y1 (ko) 자동 도어록장치의 외부전원공급장치
CN220795920U (zh) 一种远程控制实验室门锁
JP2020060088A (ja) 扉用錠装置
KR20090091955A (ko) 자물쇠 개폐관리시스템
KR200295657Y1 (ko) 도어록 장치
CN100416032C (zh) 一种电子锁
KR102552880B1 (ko) 스마트 도어락용 전원 공급 시스템
CN213807064U (zh) 一种电气锁
CN113027230A (zh) 智能执手锁
JP4588466B2 (ja) 電子キー及びこれを用いた電池駆動式電気錠
CN207553751U (zh) 电子门锁
KR102471594B1 (ko) 가구용 도어락의 비상전원 공급장치
KR100341117B1 (ko) 전자식 도어록의 전원공급 장치 및 방법
CN220889813U (zh) 应急开锁结构及智能锁
CN220247972U (zh) 一种卷闸门锁布局结构
CN215108152U (zh) 一种由单片机系统控制柜锁的配电箱
KR20020035201A (ko) 전자식 출입문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20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5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21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2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09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4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