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129Y1 -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76129Y1 KR200276129Y1 KR2020020004359U KR20020004359U KR200276129Y1 KR 200276129 Y1 KR200276129 Y1 KR 200276129Y1 KR 2020020004359 U KR2020020004359 U KR 2020020004359U KR 20020004359 U KR20020004359 U KR 20020004359U KR 200276129 Y1 KR200276129 Y1 KR 20027612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lock
- power supply
- digital door
- receiving plate
- p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252 bulbus oculi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4)
- 도어에 고정되는 도어락 본체와, 도어틀에 고정되는 받이판 및, 상기 도어락 본체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받이판의 로킹홈으로 로킹 동작하는 전기정을 포함한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상기 전기정의 일면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전극띠와;외부 전원과 접속된체 상기 받이판의 로킹홈 내면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정의 삽입시에 상기 한 쌍의 전극띠와 각각 접촉되는 한 쌍의 전원공급단자와;상기 각 전극띠의 일측 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체 상기 도어락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전기정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단자는,도어 개방시에도 상기 전극띠와의 접속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정의 이동 간격이 보상되는 길이를 가진체 상기 로킹홈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전극띠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부를 형성한 레일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공급단자는 상기 가이드홈부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받이판 내면에 탄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전기정은, 상기 전기정 구동수단에 독립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단위전기정으로 이루어지며, 각 단위전기정의 일면에 전극레일이 각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공급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4359U KR200276129Y1 (ko) | 2002-02-09 | 2002-02-09 |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4359U KR200276129Y1 (ko) | 2002-02-09 | 2002-02-09 |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76129Y1 true KR200276129Y1 (ko) | 2002-05-21 |
Family
ID=73073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04359U Expired - Fee Related KR200276129Y1 (ko) | 2002-02-09 | 2002-02-09 |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76129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0260B1 (ko) * | 2005-12-07 | 2013-03-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배터리 록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KR101492963B1 (ko) | 2013-06-17 | 2015-02-13 | 두알산업 주식회사 | 디지털 도어락의 상시 전원공급 장치 |
KR101966600B1 (ko) * | 2018-11-02 | 2019-04-05 | 김길수 | 디지털 도어락 |
WO2020091169A1 (ko) * | 2018-11-02 | 2020-05-07 | 김길수 | 디지털 도어락, 도어락 제어서버 및 도어락 시스템 |
-
2002
- 2002-02-09 KR KR2020020004359U patent/KR200276129Y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0260B1 (ko) * | 2005-12-07 | 2013-03-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배터리 록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KR101492963B1 (ko) | 2013-06-17 | 2015-02-13 | 두알산업 주식회사 | 디지털 도어락의 상시 전원공급 장치 |
KR101966600B1 (ko) * | 2018-11-02 | 2019-04-05 | 김길수 | 디지털 도어락 |
WO2020091169A1 (ko) * | 2018-11-02 | 2020-05-07 | 김길수 | 디지털 도어락, 도어락 제어서버 및 도어락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07278811B2 (en) | A lock arrangement and a method of providing power to a lock | |
KR200276129Y1 (ko) |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 | |
KR100838657B1 (ko) | 대기 전류 차단을 위한 디지털 도어락 및 그 방법 | |
KR200484038Y1 (ko) | 디지털도어락의 래치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 | |
US20210217260A1 (en) | Method for unlocking fingerprint recognition lock and zipper lock with fingerprint recognition | |
CN210976966U (zh) | 锁芯和挂锁 | |
KR100473888B1 (ko) | 도어록 장치 | |
CN211201453U (zh) | 一种基于锁舌供电的智能锁具 | |
KR200353557Y1 (ko) | 자동 도어록장치의 외부전원공급장치 | |
CN220795920U (zh) | 一种远程控制实验室门锁 | |
JP2020060088A (ja) | 扉用錠装置 | |
KR20090091955A (ko) | 자물쇠 개폐관리시스템 | |
KR200295657Y1 (ko) | 도어록 장치 | |
CN100416032C (zh) | 一种电子锁 | |
KR102552880B1 (ko) | 스마트 도어락용 전원 공급 시스템 | |
CN213807064U (zh) | 一种电气锁 | |
CN113027230A (zh) | 智能执手锁 | |
JP4588466B2 (ja) | 電子キー及びこれを用いた電池駆動式電気錠 | |
CN207553751U (zh) | 电子门锁 | |
KR102471594B1 (ko) | 가구용 도어락의 비상전원 공급장치 | |
KR100341117B1 (ko) | 전자식 도어록의 전원공급 장치 및 방법 | |
CN220889813U (zh) | 应急开锁结构及智能锁 | |
CN220247972U (zh) | 一种卷闸门锁布局结构 | |
CN215108152U (zh) | 一种由单片机系统控制柜锁的配电箱 | |
KR20020035201A (ko) | 전자식 출입문 제어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209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205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214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52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509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5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0704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