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869Y1 -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전사전압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전사전압 공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13869Y1 KR200213869Y1 KR2019980026052U KR19980026052U KR200213869Y1 KR 200213869 Y1 KR200213869 Y1 KR 200213869Y1 KR 2019980026052 U KR2019980026052 U KR 2019980026052U KR 19980026052 U KR19980026052 U KR 19980026052U KR 200213869 Y1 KR200213869 Y1 KR 20021386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ring
- transfer roller
- contact
- shaft
- pressing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전사전압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사롤러 샤프트를 지지하는 도전성 베어링과, 상기 도전성 베어링을 상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과, 상기 가압스프링에 의해 지지받는 상기 도전성 베어링이 상하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홀더로 구성된 전사롤러 고정장치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가압스프링에 접촉되며 타단은 상기 홀더의 하측면상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1판스프링과, 상기 제1판스프링에 일단이 접촉되며 타단은 상기 전사롤러 샤프트의 단부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제2판스프링과, 상기 제2판스프링의 타단에 접하며 본체 프레임상에서 가압스프링에 의해 가압받도록 설치되는 금속성 접속샤프트 및 상기 접속샤프트를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의 타단에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되어, 전사롤러 샤프트의 외주면과 단부면에 이중으로 고전압을 공급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전자사진(Electrophotography)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전사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전사롤러에 전압을 공급하여 맞물려 회전하는 감광드럼상의 정정잠상에 도포된 토너를 용지상에 전사하기 위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전사전압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레이저 빔 프린터(LBP), 팩시밀리(Facsimile), 카피어(Copier)등은 현상기를 카트리지 형식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소모품으로 구성된다. 상기 현상기는 대전롤러, 감광드럼, 현상롤러, 공급롤러, 토너적재부가 일체로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에 장착시, 상기 현상기의 하측에 돌출된 감광드럼이 본체의 전사롤러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감광드럼에는 대전롤러에 의해 고전압으로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상기 정전잠상에는 현상롤러에 의해 토너가 부착된다. 상기 감광드럼상의 정전잠상에 부착된 토너상은 이송되는 용지상에 화상이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는 상기 감광드럼과 맞물린 전사롤러에 고전압을 인가시키므로써 가능한 것이다. 즉, 상기 감광드럼상의 토너에 대전된 극성과 반대 극성을 갖는 전압을 인가시켜 주므로써 토너를 용지상에 전사시키는 것이다.
도 1은 일반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구성도이다. 일반 전자사진 프로세서는 공지된 바와 같이 대전, 노광, 전사 및 정착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참고로 일반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우선, 현상기(100)의 프레임(101)내의 적소에 감광드럼(102)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감광드럼(102)의 일측에는 상기 감광드럼 표면을 고전압으로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롤러(103)가 맞물려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감광드럼(102)의 일측에는 감광드럼상의 정전잠상에 토너를 현상시키기 위한 현상롤러(104)가 맞물려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현상롤러의 일측에는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롤러(105)와, 상기 공급롤러에 다량의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적재부(106)가 차례로 구성된다. 상기 현상기 프레임의 하측에는 감광드럼(102)이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그 하측 본체상에는 상기 감광드럼 (102)과 맞물리도록 전사롤러(110)가 설치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사전압 공급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상기 전사롤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드럼(102)과 맞물리는 전사롤러(110)의 샤프트(110a)를 양단에서 지지하는 베어링(120)과, 상기 베어링(120)이 고정되는 홀더(130)와, 상기 홀더내에서 상기 베어링(120)을 상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140) 및 상기 홀더(130)가 삽입 고정되는 본체프레임(1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어링(120)은 상기 홀더(130)내에서 일정 가이드리브를 타고 상하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베어링(120)의 하측에 설치된 가압스프링(140)은 상기 베어링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결과적으로 전사롤러(110)를 감광드럼과 일정 가압력을 가지며 접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홀더(130)의 일측 외면에는 후크(131)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본체프레임(150)의 적소에는 구멍(151)이 형성된다. 즉, 상기 홀더(130)는 본체프레임(150)에 안착될 때, 상기 후크(131)가 상기 구멍(151)에 안착되는 스냅핏(Snap Fit)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베어링(120)은 카본블랙등이 혼합된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스프링(140)의 하측에는 판스프링(161)의 일단부를 접속시키고, 상기 판스프링(161)의 타단부는 상기 홀더(130)와 본체프레임(150)을 통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그 하측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160)상에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인쇄회로기판, 판스프링, 가압스프링, 베어링, 샤프트 및 전사롤러의 순서로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사전압 공급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기 전사롤러에 전압을 공급시키기 위한 또 다른예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사롤러 샤프트(110a)의 단부면상에 일단이 접촉되며, 타단은 전압 공급원인 인쇄회로기판(160)상에 접촉될 수 있는 판스프링(162)을 직접 설치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162)은 상기 전사롤러 샤프트(110a)와 인쇄회로기판(160)상에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도 2의 경우는 인쇄회로기판에서 판스프링, 코일형 가압스프링, 도전성 베어링을 거쳐 전사롤러의 샤프트까지 여러경로를 거쳐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전원공급이 불안정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도 3의 경우는 전사롤러 샤프트의 구동시 순간적인 비접촉으로 인하여 스파트(Spark)가 발생되거나 전압이 비산되어 고품질의 화상이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안정적인 전사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전사전압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사롤러 샤프트의 구동시, 순간적인 비접촉으로 인한 스파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전사롤러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원활한 전사전압을 공급하여 고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전사전압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사롤러 샤프트를 지지하는 도전성 베어링과, 상기 도전성 베어링을 상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과, 상기 가압스프링에 의해 지지받는 상기 도전성 베어링이 상하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홀더로 구성된 전사롤러 고정장치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가압스프링에 접촉되며 타단은 상기 홀더의 하측면상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1판스프링과, 상기 제1판스프링에 일단이 접촉되며 타단은 상기 전사롤러 샤프트의 단부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제2판스프링과, 상기 제2판스프링의 타단에 접하며 본체 프레임상에서 가압스프링에 의해 가압받도록 설치되는 금속성 접속샤프트 및 상기 접속샤프트를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의 타단에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사전압 공급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사전압 공급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사전압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사전압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프레임 11: 덮개
50: 접속샤프트 51: 가압스프링
61: 제2판스프링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사전압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전사전압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전사전압 공급장치의 구성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110a)를 구비한 전사롤러(110)와, 상기 전사롤러(110)를 도시되지 않은 감광드럼과 일정 전사닙을 가지며 접촉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가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전사롤러(110)에 고전압을 인가시키기 위한 전원 공급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사롤러 샤프트(110a)를 상측으로 가압하면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는 상기 전사롤러 샤프트(110a)가 관통 지지되는 도전성 베어링(120)과, 상기 도전성 베어링(120)을 상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스프링(140)과, 상기 가압스프링 및 베어링이 설치되어 본체에 장착되기 위한 홀더(130)로 구성된다. 상기 도전성 베어링(120)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하기 위하여 카본블랙이 혼합된다.
그후, 상기 전사롤러(1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이 구성된다.
우선, 일단은 상기 가압스프링(140)에 접촉되며, 타단은 상기 홀더(130)의 하측면상으로 돌출되도록 제1판스프링(161)이 설치된다. 그후, 상기 제1판스프링(161)에 일단이 접촉되며, 타단은 상기 전사롤러 샤프트(110a)의 단부면에 접촉되도록 제2판스프링(61)이 설치된다. 상기 제2판스프링(61)은 절곡되어 상기 제1판스프링(161)과 상기 전사롤러 샤프트(110a)의 단부면에 긴밀히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그후, 상기 전사롤러(110)의 단부면에 접촉된 제2판스프링(61)과 접하도록 본체 프레임(10)상에는 일정 길이의 접속샤프트(50)가 설치된다. 상기 접속샤프트(50)는 상기 제2판스프링(61)과 전사롤러 샤프트(110a)간의 긴밀한 접속을 위하여 가압스프링(51)에 의해 지지받도록 설치된다. 상기 접속샤프트(50)의 제2판스프링(61)과 접하는 단부는 원활한 전원 공급을 위하여 곡형으로 형성된다.
그후, 상기 접속샤프트(50)를 가압하는 가압스프링(51)의 타단에는 전압을 공급하도록 인쇄회로기판(160)이 설치된다. 즉, 상기 가압스프링(51)은 상기 접속샤프트(50)를 가압함과 동시에 인쇄회로기판(160)과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매개체로서의 역할도 동시에 병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후, 상기 접속샤프트(50)와 제2판스프링(61) 및 전사롤러 샤프트(110a)의 단부면이 접하는 상부에는 비산된 토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11)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사전압 공급장치는 이중으로 전사전압을 공급하게 된다. 즉, 인쇄회로기판(160), 가압스프링(51), 접속샤프트(50) 및 제2판스프링(61)을 통해 전사롤러 샤프트(110a)에 전압을 공급함과 동시에 인쇄회로기판(160), 가압스프링(51), 접속샤프트(50), 제2판스프링(61), 가압스프링(140) 및 도전성 베어링(120)을 통해 전사롤러 샤프트(110a)에 전압이 공급되는 구성을 갖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전압 공급장치는 전사롤러 샤프트의 외주면과 단부면에 이중으로 전압을 공급하기 때문에 전사전압이 비산되거나, 비접촉으로 인한 스파크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항상 고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전사롤러 샤프트를 지지하는 도전성 베어링과, 상기 도전성 베어링을 상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과, 상기 가압스프링에 의해 지지받는 상기 도전성 베어링이 상하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홀더로 구성된 전사롤러 고정장치에 있어서,일단은 상기 가압스프링에 접촉되며, 타단은 상기 홀더의 하측면상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1판스프링과;상기 제1판스프링에 일단이 접촉되며, 타단은 상기 전사롤러 샤프트의 단부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제2판스프링과;상기 제2판스프링의 타단에 접하며, 본체 프레임상에서 가압스프링에 의해 가압받도록 설치되는 금속성 접속샤프트 및;상기 접속샤프트를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의 타단에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전사전압 공급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접속샤프트와 제2판스프링 및 전사롤러 샤프트의 단부면이 접하는 상부에는 비산된 토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전사전압 공급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접속샤프트의 제2판스프링과 접하는 단부는 원활한 전원 공급을 위하여 곡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전사전압 공급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26052U KR200213869Y1 (ko) | 1998-12-22 | 1998-12-22 |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전사전압 공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26052U KR200213869Y1 (ko) | 1998-12-22 | 1998-12-22 |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전사전압 공급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2953U KR20000012953U (ko) | 2000-07-15 |
KR200213869Y1 true KR200213869Y1 (ko) | 2001-03-02 |
Family
ID=69505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26052U KR200213869Y1 (ko) | 1998-12-22 | 1998-12-22 |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전사전압 공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13869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9448B1 (ko) * | 2006-09-20 | 2013-08-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
1998
- 1998-12-22 KR KR2019980026052U patent/KR200213869Y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2953U (ko) | 2000-07-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07001780A1 (en) | Liquid electrophotographic imaging device and methods | |
KR0154710B1 (ko) | 현상롤러의 토너층 두께 규제 장치 | |
KR200213869Y1 (ko) |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전사전압 공급장치 | |
JP3595671B2 (ja) | 帯電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 |
US6259878B1 (en) | One-component developer regulating member for electro photographic device | |
KR19980021698U (ko) |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 | |
KR200233152Y1 (ko) | 화상형성장치의전사롤러고정장치 | |
KR200345582Y1 (ko) |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전사닙 유지장치 | |
KR200233154Y1 (ko) |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롤러 고정장치 | |
KR100256612B1 (ko) | 현상롤러의토너층규제장치 | |
JP3217229B2 (ja) |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 |
JP3192575B2 (ja) | 帯電装置 | |
KR200158206Y1 (ko) | 독터 블레이드 요동장치 | |
KR100322568B1 (ko) | 인쇄기용 감광 벨트 접지장치 | |
KR100214314B1 (ko) |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 |
KR200186333Y1 (ko) |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닙 조절장치 | |
KR19990041159U (ko) |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롤러 고정장치 | |
JP2002229306A (ja) | 帯電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 |
KR100191201B1 (ko) | 소모품에 장착된 전사장치 | |
KR200158212Y1 (ko) | 독터 블레이드 청소장치 | |
KR20040048324A (ko) |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대전롤러 접지장치 | |
KR19990000831U (ko) |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롤러 클리닝장치 | |
JP2001066848A (ja) | 画像形成装置 | |
KR20080069025A (ko) | 화상형성장치 | |
KR19990041096U (ko) | 정착기의 가압롤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