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172485Y1 - 마킹용 필기구 - Google Patents

마킹용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485Y1
KR200172485Y1 KR2019990021287U KR19990021287U KR200172485Y1 KR 200172485 Y1 KR200172485 Y1 KR 200172485Y1 KR 2019990021287 U KR2019990021287 U KR 2019990021287U KR 19990021287 U KR19990021287 U KR 19990021287U KR 200172485 Y1 KR200172485 Y1 KR 2001724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ing
writing instrument
present
nip
regardle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12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생
Original Assignee
박영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생 filed Critical 박영생
Priority to KR20199900212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4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4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48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2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킹용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중요 문구등을 쉽게 알아볼 수 있게 마킹작업을 실시함에 있어서 필기구의 파지 방향에 관계없이 필심의 닙이 지면과 항상 수평을 이루며 접하여 마킹이 선명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흡수체(31)와 필심(20) 및 케이스(32)로 구성되는 마킹용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필심(10)의 닙(11)은 외측면이 직선인 원뿔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원뿔의 원뿔각은 약 50~70°로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필심의 닙이 필기구의 파지 방향에 관계 없이 항상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접할 수 있도록 원뿔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파지 방향에 관게없이 항상 굵고 선명하게 중요 문구를 마킹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마킹용 필기구{Marking pen}
본 고안은 마킹용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요 문구등을 쉽게 알아볼 수 있게 마킹작업을 실시함에 있어서 필기구의 파지 방향에 관계없이 필심의 닙이 지면과 항상 수평을 이루며 접하여 마킹이 선명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요 문구를 쉽게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는 마킹작업은 볼펜등과 같은 필기구와 자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필기구와 자를 이용한 마킹작업은 필기구의 선이 가늘어 여러번 그어야 하는 등 매우 번거럽고 불편한 점이 많아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심(20)의 닙(21) 양측에 수직선에 대하여 15°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닙(21) 선단은 전단에서 후단으로 지면에 대하여 30°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한 마킹용 필기구를 구비하여 중요 문구의 마킹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마킹용 필기구는 필심 닙(21)의 경사면이 문구의 마킹 방향으로 향하게 파지하여 마킹을 하여야만 마킹이 굵고 선명하게 그어지는 것으로, 필기구를 파지시 올바르게 파지하지 않으면 마킹이 굵고 선명하게 그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의 굵기가 너무 굵어 가는선 또는 글씨를 쓰는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필심 닙의 선단을 원뿔형으로 형성하여 필기구의 파지 방향에 관계없이 어떤 방향으로 파지 하여도 마킹 작업시 필심 닙의 경사면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접하여 마킹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마킹용 필기구 측단면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마킹용 필기구 필심의 상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필심의 상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보인 상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필심
11 : 닙
31 : 흡수체 32 : 케이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필심의 상세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보인 상세 측면도로서, 본 고안은 필기구의 파지방향에 관계없이 어떤 방향으로 파지하여도 마킹 작업이 굵고 선명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흡수체(31)와 필심(10) 및 케이스(32)로 구성되는 마킹용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필심(10)의 닙(11)은 외측면이 직선인 원뿔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원뿔의 원뿔각은 약 50~70°로 형성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을 이용하여 중요 문구를 마킹하고자 할 경우에는 본 고안의 케이스(32)를 파지하되 방향에 관계없이 파지하고, 마킹하고자 하는 문구에 원뿔형으로 이루어진 필심(10)의 닙(11)을 접촉시키며 마킹을 실시하면, 필기구의 파지 각도에 의하여 원뿔형의 닙(11)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접하여 마킹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을 이용하여 가는 선을 긋거나 글씨를 쓰고자 할 경우에는 통상의 필기구 파지 위치보다 하부를 파지하여 원뿔형으로 형성된 닙(11)의 꼭지점 부분이 지면과 접하게 하므로서 가는 선을 긋거나 글씨를 쓸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필심의 닙이 필기구의 파지 방향에 관계 없이 항상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접할 수 있도록 원뿔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파지 방향에 관게없이 항상 굵고 선명하게 중요 문구를 마킹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2)

  1. 흡수체(31)와 필심(20) 및 케이스(32)로 구성되는 종래의 마킹용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필심(10)의 닙(11)은 외측면이 직선인 원뿔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용 필기구.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원뿔형 닙(10)의 원뿔각은 약 50~70°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용 필기구.
KR2019990021287U 1999-10-05 1999-10-05 마킹용 필기구 Expired - Lifetime KR2001724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287U KR200172485Y1 (ko) 1999-10-05 1999-10-05 마킹용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287U KR200172485Y1 (ko) 1999-10-05 1999-10-05 마킹용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2485Y1 true KR200172485Y1 (ko) 2000-03-15

Family

ID=19590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1287U Expired - Lifetime KR200172485Y1 (ko) 1999-10-05 1999-10-05 마킹용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48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109588A (ja) 尖端が中心線からはずれたマーカーペン先
KR200172485Y1 (ko) 마킹용 필기구
CN2915529Y (zh) 一种可单指使用的套管笔
CN102431346A (zh) 一种方便画直线的笔套
JP3131838U (ja) 筆記具
CN213798963U (zh) 一种笔头及具有其的书写工具
CN110525092A (zh) 划线尺
CN220429714U (zh) 一种绘画马克笔头及马克笔
CN202541135U (zh) 带夹紧式护套的橡皮擦
CN220465093U (zh) 等线笔
KR19990017536U (ko) 다기능필기구
CN210091111U (zh) 一种用于保护apple pencil的触控笔保护套
JP2010247349A (ja) マーキングペン
KR200339665Y1 (ko) 선 굵기 조절이 가능한 볼펜
CN209888470U (zh) 一种石墨节约型铅笔
JP3035639U (ja) ツーウェイボールペン
JP3031372U (ja) ツーウェイボールペン
US10744813B2 (en) Writing instrument having an elongated tip with a curvature system
CN2444774Y (zh) 能书写粗细笔划的有缝笔尖
TWM654098U (zh) 具有可擦拭記事功能之筆具
CN2444776Y (zh) 能书写粗细笔划的自来水笔
KR100807012B1 (ko) 필기구의 펜촉
KR200308103Y1 (ko) 볼펜과 샤프연필 겸용 필기구
CN2444775Y (zh) 可书写粗细笔划的自来水笔
KR200221410Y1 (ko) 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1005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19991006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2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19991006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00209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22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0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0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