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10051849A -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면 방전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면 방전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1849A
KR20010051849A KR1020000069245A KR20000069245A KR20010051849A KR 20010051849 A KR20010051849 A KR 20010051849A KR 1020000069245 A KR1020000069245 A KR 1020000069245A KR 20000069245 A KR20000069245 A KR 20000069245A KR 20010051849 A KR20010051849 A KR 20010051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discharge
sustain discharge
electrode
discharg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9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6613B1 (ko
Inventor
나가노신이치로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10051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6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32Disposition of th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46Connecting or feeding means, e.g. leading-in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面) 방전(放電) AC형 PDP의 비표시(非表示) 영역에서의 우발적 유지 방전을 억제하여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유지 방전 전극 X의 한쪽 종단(30(X))을 표시 영역(21)내에 마련하고, 다른 쪽의 종단을 제 2 비표시 영역(22B)내에 마련한다. 또한, 제 1 방전 유지 전극 X와 쌍을 이루는 제 2 유지 방전 전극 Y의 한쪽 종단(30(Y))을 표시 영역(21)내에 마련하고, 다른 쪽의 종단을 제 1 비표시 영역(22A) 내에 마련한다.

Description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SURFACE ELECTRIC DISCHARGE AC TYPE PLASMA DISPLAY PANEL AND SURFACE ELECTRIC DISCHARGE AC TYPE PLASMA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간단히 PDP(Plasma Display Panel)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PDP의 표시 영역 이외에서의 오방전(誤放電)을 억제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9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 11-25866 호 공보에 기재된 대표적인 면 방전 AC형 PDP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9에 있어서, 참조 부호 (1)은 투명 전극, 참조 부호 (2)는 투명 전극(1)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버스 전극, 참조 부호 (3)은 투명 전극(1) 및 버스 전극(2)을 피복하는 균일한 유전체층, 참조 부호 (4)는 MgO를 증착함으로써 형성된 캐소드막, 참조 부호 (5)는 각 부분(1, 2, 3, 4)을 그 주면에 탑재하는 전면(前面) 유리 기판(전면 패널용 기판 내지는 기판 본체)이다.
한편, 참조 부호 (6)은 버스 전극(2)과 직각으로 입체 교차하는 어드레스 전극, 참조 부호 (10)은 어드레스 전극(6)을 피복하는 균일한 오버글레이즈층, 참조 부호 (7)은 각각의 어드레스 전극(6)에 의해 표시 패턴이 규정되는 레인을 구획하기 위한 배리어 리브, 참조 부호 (8)은 오버글레이즈층(10)의 배리어 리브(7)의 벽면에 형성된 형광체이며, 이 참조 부호에 부가한 알파벳 R, G, B는 각각 빨강, 초록, 파랑의 형광체를 발하는 종류인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참조 부호 (9)는 각 부분(6, 7, 8, 10)을 그 주면에 탑재하는 배면 유리 기판(배면 패널용 기판 내지는 기판 본체)이다. 배리어 리브(7)의 정부(頂部)가 캐소드막(4)에 인접함으로써, 형광체(8)와 캐소드막(4)으로 둘러싸인 방전 공간이 형성되고, 각 방전 공간은 Ne+Xe 등의 혼합 가스로 채워지고 있다.
상술한 구조에 있어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투명 전극(1) 및 버스 전극(2), 즉, 한 쌍의 유지 방전 전극(X, Y)에 의해 하나의 주사선이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개개의 유지 방전 전극은 투명 전극(1)상에 버스 전극(2)이 마련되어 있는 금속 전극부(1a), 및 버스 전극(2)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투명부(1b)를 갖고 있다.
한편, 도 10은 다른 면 방전 AC형 PDP의 방전 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에 표시된 참조 부호 (1∼10)은 도 9의 것과 동일한 방전 셀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0의 PDP에서는, 배면 유리 기판(9)의 주면상에, 어드레스 전극(6), 오버글레이즈층(10), 투명 전극을 갖지 않는 버스 전극(2)만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유지 방전 전극(X, Y), 유전체층(3), 캐소드막(4)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편, 전면 유리 기판(5)의 주면상에는 배리어 리브(7)와 형광체(8)가 형성되어 있고, 배리어 리브(7)와 캐소드막(4)이 접하여 레인 형상으로 구획된 각 방전 공간이 방전 가스로 채워지고 있다.
도 9 또는 도 10 중 어느 방전 셀 구조에 있어서도, 서로 이웃하는 배리어 리브(7)에 의해 구획된 임의의 어드레스 전극(6)의 구동에 귀속하는 상기 레인과, 유지 방전 전극쌍(X, Y)에 의해 규정되는 임의의 주사선과 교차하는 각 점이 한 개의 방전 셀(14)로 된다. 그리고, 이러한 방전 셀(14)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어 이루는 구성에 의해, 면 방전 AC형 PDP의 표시 영역(21)이 구성된다(도 11). 여기서, 유지 방전 전극 X 또는 Y의 연설(延設) 방향에 대한 표시 영역은, 통념상,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ON/OFF 신호가 입력되는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6)에 속하는 복수의 레인을 구획 규정하고 있는 배리어 리브(7)의 배열에 있어서의 양 단의 배리어 리브(7a)의 각각의 코일에 의해 협지된 영역으로서 규정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양 단의 배리어 리브(7a)는 표시 영역을 규정하는 데에 있어서 불가결한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양단의 배리어 리브(7a)의 각각의 전폭(全幅)도 포함시켜 유지 방전 전극 X 또는 Y의 연설 방향에 대한 표시 영역(21)을 정의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유지 방전 전극 X 또는 Y의 연설 방향에 대한 비표시 영역(22)을, 각 단의 배리어 리브(7a)를 포함하지 않는 영역으로서, 또한 표시 영역(21)과 접하는 영역으로서 규정한다. 또한, 도 12에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 패널의 전방에서 PDP를 바라볼 때에, 우측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22)의 한쪽을 제 1 비표시 영역(22A)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22)의 다른 쪽을 제 2 비표시 영역(22B)으로, 편의상 정의한다.
또, 양 단의 배리어 리브(7a)의 각각에 있어서는, 후에 문제를 제기하는 우발적인 방전이 발생하기 위해 필요한 가스 공간조차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비표시 영역(22)내의 우발적 방전을 억제하도록 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후술하는 기존 기술에 있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정의한 비표시 영역(22)을 기본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도 11에 나타내는 면 방전 AC형 PDP의 표시 영역(21)에 소망하는 화상을 투영하기 위해서는, 기록 동작을 통하여 각 방전 셀(14)의 유지 방전 전극쌍(X, Y)의 상부 캐소드막(4)의 표면(4S)으로의 투영부에 서로 반대 극성의 벽전하를 화상 데이터에 따라 선택적으로 축적하여, 후속하는 유지 동작에서 유지 방전 전극쌍(X, Y)의 사이에 소정 회수의 교류 펄스를 인가하여, 선행(先行)하는 기록 동작에 의해 벽전하를 축적하고 있었던 방전 셀(14)만으로 소정 회수의 유지 방전을 실행하게 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상기 유지 동작의 종료후에는, 유지 방전이 행해진 방전 셀(14)에 잔존하고 있는 벽전하를 리셋하기 위한 소거 동작을 거쳐, 다음 선택적 기록 동작을 실행한다. 이들 일련의 선택적 기록 동작, 유지 동작, 소거 동작의 반복에 의해, 소망하는 화상이 얻어지게 된다.
상기한 선택적 기록 동작에서는 유지 방전 전극쌍(X, Y)으로의 인가 전압을 주사하여 주사선 1개씩을 선택해서 동기시켜 해당 선택된 주사선에서의 화상 데이터의 ON/OFF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일련의 어드레스 전극(6)에 출력하고 있다. 선택된 주사선에 있어서, 귀속하는 어드레스 전극(6)에 ON 상당의 전압이 인가된 방전 셀(14)에서는, 유지 방전 전극쌍(X, Y) 간에 기록의 면 방전이 발생하여, 그 결과, 후속하는 유지 동작에서의 유지 방전의 발생에 필요한 상기 벽전하가 축적된다. 한편, 선택된 주사선이더라도, 귀속하는 어드레스 전극(6)에 OFF 상당의 전압이 인가된 방전 셀(14)에서는, 상기 기록의 면 방전이 발생하지 않아 벽전하가 축적되지 않기 때문에, 후속하는 유지 동작에서는 유지 방전을 발생시키지 않는 OFF 셀로 된다.
그런데, 도 11에 있어서, 유지 방전 전극쌍(X, Y)은 일련의 어드레스 전극(6)에 의한 구동에 속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22)까지 연장하는 부분을 갖고 있다. 해당 부분은 비표시 영역이기 때문에, 유지 방전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해당 부분에서는 어드레스 전극(6)에 의한 구동 제어를 행할 수 없기 때문, 일련의 상기 동작의 한창인 때에, 유지 방전 전극쌍(X, Y)의 비표시 영역(22)으로의 연장 부분에 있어서, 유지 방전이 우발적으로 개시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특히, 기록 동작시에, 표시 영역(21)내의 각 단의 레인이 귀속하는 어드레스 전극(6)에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ON의 전압이 인가될 때에는, 해당 레인에 대하여 배리어 리브 1개를 사이에 두고 근접하는 비표시 영역(22)내의 가스 공간에서의 전계 형성에 해당 어드레스 전극(6)의 ON의 전위가 적지 않게 영향을 미치게 하고, 비표시 영역(22)내에서 잘못된 기록 방전이 발생하여, 후속하는 유지 동작에서 잘못된 유지 방전으로 이어지기 쉽다.
여기서, 비표시 영역(22)내에서 발생하는 상기의 우발적인 유지 방전을 억제하는 종래 기술로서는 이하의 것이 있다.
우선, 첫째로,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 5-114362 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제 1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각 주사선을 구성하는 유지 방전 전극쌍(X, Y) 간의 스페이스 폭을 비표시 영역으로의 연장 부분에서 확장하여 설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유지 방전 전극쌍(X, Y) 간의 스페이스 폭이 넓을수록, 해당 스페이스의 상부 근방의 방전 공간에 형성되는 X-Y 사이의 전계 강도가 약해져, X-Y 사이의 유지 방전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는 특성을 이용하는 것이다.
또, 제 2 종래 기술로서,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 8-255574 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제 2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유지 방전 전극쌍(X, Y)의 비표시 영역으로의 연장부에 대응하는 더미 어드레스(dummy address) 전극을 마련하고, 기록 동작시에는 해당 더미 어드레스 전극에 상시 OFF 상당의 전압을 인가해 두어, 유지 동작이나 소거 동작에 있어서도 표시 영역내의 어드레스 전극과 동일한 출력을 인가한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 따르면, 어드레스 전극이 표시 영역내의 방전을 제어하는 기능과 완전히 동일한 것을, 더미 어드레스 전극이 비표시 영역내의 방전에 대해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비표시 영역의 방전은 상시 OFF 상태가 얻어진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법은 모두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문제점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 5-114362 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따르면, 비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우발적인 유지 방전을 억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는 어려운 경우가 많다. 상술한 것은, 표시 영역내에 있어서는, 유지 방전 전극쌍이 가스 공간에 형성하는 전계 강도는 어드레스 전극이 소정의 전위에 있는 것으로 항상 억제되어 있는데 반하여, 비표시 영역에서는, 어드레스 전극의 전위에 의한 상기한 억제가 없기 때문에, 표시 영역내와 비교하여 강한 유지 방전 전극쌍 사이의 전계 강도가 형성되기 쉽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지 방전 전극쌍 사이의 스페이스 폭을 확장하는 것으로 우발적인 방전을 억제하는 것도, 소정의 주사선의 배열 피치 중에서 충분히 폭이 넓은 스페이스 폭을 얻는 것은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문제점 2)
이에 반하여,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 8-25574 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더미 어드레스 전극이 소정의 전위에 있기 때문에, 비표시 영역내의 유지 방전 전극쌍 사이의 전계 강도는 표시 영역내의 것과 마찬가지로 억제된다. 따라서, 표시 영역내의 OFF 셀에 대한 것과 동일한 조건에서, 비표시 영역내의 유지 방전을 억제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이 방법에 따른 경우, 도 12에 나타낸 양 비표시 영역(22A, 22B)의 각각 대하여, 1개 이상의 더미 어드레스 전극을 마련해서 해당 더미 어드레스 전극을 구동해야 한다. 이 때, 도 12의 표시 영역(21)을 대상으로 하는 어드레스 전극과 마찬가지로, 데이터 드라이버 IC의 출력 비트에 해당 더미 어드레스 전극을 접속해 두면, 기록 동작에 있어서 더미 어드레스 전극 대응 데이터를 상시 OFF로 하는 것으로 목적을 다할 수 있다. 그러나, 표준적인 컬러 PDP에 요구되는 유효 표시 화소수로 시점을 옮기면, 필요로 되는 어드레스 전극은 VGA에서는 1920개, XGA에서는 3072개, SXGA에서는 3840개, 풀스펙 HDTV에서는 5760개이며, 범용 PDP용 데이터-IC 1개당 출력 비트수가 64, 96, 128 중 어느 것도 충분히 납득되는 값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더미 어드레스 전극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데이터-IC를 적어도 한 개 늘릴 필요가 발생하지만, 이것은 비용 상승으로 연결된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데이터-IC의 출력 비트 이외에 더미 어드레스 전극 대응 외부 전극 단자를 마련해 놓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한 경우이더라도, 일련의 소거 동작, 상시 OFF 대응 기록 동작, 유지 동작에 대응하는 출력을 데이터-IC의 출력의 외에 별도 마련할 필요가 있어, 결국, 회로 배선이나 신호 처리 면에서 비용 상승을 초래하게 되어, 이 경우도 문제점의 발본적(拔本的)인 해결책인 것밖에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상황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상술한 문제점 1(물리적 제한) 및 문제점 2(비용 상승)를 발생시키지 않고, 면 방전 AC형 PDP의 비표시 영역에서의 우발적 유지 방전의 발생을 억제하여, 표시 품질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의 경계 근방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의 경계 근방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변형예 1에 있어서의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의 경계 근방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버스 전극의 종단부 근방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변형예 1에 있어서의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버스 전극의 종단부 근방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변형예 1에 있어서의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버스 전극의 종단부보다 내측의 표시 영역내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변형예 2에 있어서의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의 경계 근방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변형예 2에 있어서의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버스 전극의 종단부보다 내측의 표시 영역내의 종단면도,
도 9는 종래의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 셀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종래의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 셀 구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종래의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의 경계 근방에 있어서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의 경계 근방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변형예 1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지 방전 전극의 종단부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변형예 1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지 방전 전극의 종단부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변형예 2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한쪽의 유지 방전 전극의 종단부 형상과 다른 쪽의 유지 방전 전극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변형예 3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의 경계 근방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의 경계 근방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변형예 1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의 경계 근방의 배리어 리브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변형예 1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의 경계 근방의 배리어 리브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변형예 2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의 경계 근방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변형예 2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의 경계 근방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
도 24의 (a), (b) 및 (c)는 임의의 서브필드에 있어서의 구동 신호 파형을 나타내는 타이밍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투명 전극 2 : 버스 전극
3 : 유전체층 4 : 캐소드 막
5 : 전면(前面) 유리 기판(기판 본체)
6 : 어드레스 전극 7 : 배리어 리브
7a : 단(端)의 배리어 리브 8 : 형광체
9 : 배면(背面) 유리 기판(기판 본체)
10 : 오버글래이즈층 13 : 단의 레인
14 : 방전 셀 21 : 표시 영역
22 : 비표시 영역 22A : 제 1 비표시 영역
22B : 제 2 비표시 영역
30 : 유지 방전 전극의 한쪽의 종단
32 : 버스 전극의 폭이 넓은 한쪽의 종단
X : 제 1 유지 방전 전극
Y : 제 2 유지 방전 전극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은, 제 1 방향으로 연설(延設)된 복수의 배리어 리브 내에서 서로 인접하는 배리어 리브들에 의해 구획되고, 또한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설된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 내에서 상기 배리어 리브들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전극의 구동에 귀속하는 각 레인와,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설된 복수의 유지 방전 전극쌍 내에서 임의의 유지 방전 전극쌍으로 규정되는 각 주사선이 교차하여 이루는 각 점이 한 개의 방전 셀을 이루고, 상기 방전 셀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됨으로써 표시 영역이 구성된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이용되는 기판으로서, 기판 본체와, 상기 기판 본체상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유지 방전 전극쌍과, 상기 기판 본체상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유지 방전 전극쌍을 피복하는 유전체층과, 상기 유전체층상에 형성된 캐소드막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유지 방전 전극쌍의 각각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유지 방전 전극의 한쪽의 종단은,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하는 상기 제 2 방향에 대한 제 1 및 제 2 비표시 영역내의 상기 제 1 비표시 영역내에는 존재하지 않고,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제 1 비표시 영역의 경계측 상기 표시 영역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은, 제 1 특징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으로서, 상기 제 1 유지 방전 전극의 다른 쪽의 종단은 상기 제 2 비표시 영역내에 존재하고 있어, 상기 제 2 유지 방전 전극의 한쪽의 종단은 상기 제 2 비표시 영역내에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제 2 비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경계측 상기 표시 영역내에 존재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유지 방전 전극의 다른 쪽의 종단은 상기 제 1 비표시 영역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은, 제 2 특징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으로서, 상기 제 1 유지 방전 전극의 상기 한쪽의 종단은, 상기 복수의 배리어 리브 내에서 상기 제 1 비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과의 상기 경계를 규정하는 한쪽의 단의 배리어 리브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 영역의 부분에 존재하고 있으며, 상기 제 2 유지 방전 전극의 상기 한쪽의 종단은, 상기 복수의 배리어 리브 내에서 상기 제 2 비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과의 상기 경계를 규정하는 다른 쪽의 단의 배리어 리브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 영역의 부분에 존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특징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은, 제 2 특징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으로서, 상기 제 1 유지 방전 전극의 상기 한쪽의 종단은, 레인군(群) 내에서 상기 제 1 비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과의 상기 경계에 인접하는 한쪽의 단의 레인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 영역의 부분에 존재하고 있고, 상기 제 2 유지 방전 전극의 상기 한쪽의 종단은, 상기 레인군 내에서 상기 제 2 비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과의 상기 경계에 인접하는 다른 쪽의 단의 레인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 영역의 부분에 존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특징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은, 제 3 특징 또는 제 4 특징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은 함께 버스 전극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유지 방전 전극의 상기 버스 전극의 한쪽의 종단은 상기 제 1 비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과의 상기 경계에 인접하는 한쪽의 단의 레인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 영역의 부분에 존재하고 있으며, 상기 제 2 유지 방전 전극의 상기 버스 전극의 한쪽의 종단은 상기 제 2 비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과의 상기 경계에 인접하는 다른 쪽의 단의 레인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 영역의 부분에 존재하고 있어, 상기 제 1 유지 방전 전극의 상기 버스 전극의 한쪽의 종단 및 상기 제 2 유지 방전 전극의 상기 버스 전극의 한쪽의 종단은 함께 해당 종단 이외의 부분의 상기 제 1 방향에 대한 패턴 폭보다 넓은 패턴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특징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은, 제 5 특징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으로서, 상기 제 1 유지 방전 전극의 상기 버스 전극 내에서, 상기 다른 쪽의 단의 레인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 영역에 존재하는 부분의 패턴 폭이 상기 다른 쪽의 단의 레인에 인접하는 레인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 영역내에 존재하는 부분의 패턴 폭보다 부분적으로 가늘고, 상기 제 2 유지 방전 전극의 상기 버스 전극 내에서, 상기 한쪽의 단의 레인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 영역에 존재하는 부분의 패턴 폭이 상기 한쪽의 단의 레인에 인접하는 레인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 영역내에 존재하는 부분의 패턴 폭보다 부분적으로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7 특징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은, 제 5 특징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으로서, 상기 기판 본체 위에 또는 상기 유전체층 내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서로 이웃하는 유지 방전 전극쌍 사이에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설된 복수의 절연성 패턴을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절연성 패턴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단의 레인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 영역에 존재하는 제 1 부분 및 상기 다른 쪽의 단의 레인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 영역에 존재하는 제 2 부분의 상기 제 1 방향에서의 패턴 폭은 함께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을 제외하고 해당 절연성 패턴의 타부(他部)의 상기 제 1 방향에서의 패턴 폭보다 부분적으로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8 특징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은, 제 1 방향으로 연설된 복수의 배리어 리브 내에서 서로 인접하는 배리어 리브들에 의해 구획되고, 또한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설된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 내에서 상기 배리어 리브들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전극의 구동에 귀속하는 각 레인과,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설된 복수의 유지 방전 전극쌍 내에서 임의의 유지 방전 전극쌍으로 규정되는 각 주사선이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 한 개의 방전 셀을 이루고, 상기 방전 셀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됨으로써 표시 영역이 구성된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이용되는 기판으로서, 기판 본체와, 상기 기판 본체상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유지 방전 전극쌍과, 상기 기판 본체상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유지 방전 전극쌍을 피복하는 유전체층과, 상기 유전체층상에 형성된 캐소드막을 구비하되, 상기 복수의 유지 방전 전극쌍의 각각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으로 이루어지고, 제 1 및 제 2 비표시 영역은 상기 제 2 방향에 대해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하여 있고, 상기 제 1 유지 방전 전극의 한쪽의 종단은, 상기 제 1 비표시 영역내에서,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제 1 비표시 영역과의 경계의 근방에 있어서의 부분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경계로부터 상기 한쪽의 종단까지 상기 제 2 방향에 연장한 상기 제 1 유지 방전 전극의 연장 부분의 면적은, 상기 표시 영역내의 상기 방전 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유지 방전 전극 부분의 면적보다 작고, 상기 제 2 유지 방전 전극은 상기 제 1 비표시 영역내를 상기 제 2 방향에 연장하고 또한 상기 제 1 유지 방전 전극의 상기 연장 부분과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9 특징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은, 제 8 특징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으로서, 상기 제 1 유지 방전 전극의 상기 연장 부분의 상기 제 2 방향에서의 길이는 20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0 특징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은, 제 8 또는 제 9 특징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으로서, 상기 제 2 유지 방전 전극 내에서, 상기 제 1 비표시 영역내에서 상기 제 1 유지 방전 전극의 상기 연장 부분과 대향하는 부분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1 특징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은, 제 1 방향으로 연설된 복수의 배리어 리브 내에서 서로 인접하는 배리어 리브들에 의해 구획되고 또한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설된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 내에서 상기 배리어 리브들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전극의 구동에 귀속하는 각 레인와,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설된 복수의 유지 방전 전극쌍 내에서 임의의 유지 방전 전극쌍으로 규정되는 각 주사선이 교차하여 이루는 각 점이 한 개의 방전 셀을 이루고, 상기 방전 셀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됨으로써 표시 영역이 구성된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이용되는 기판으로서, 기판 본체와, 상기 기판 본체상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유지 방전 전극쌍과, 상기 기판 본체상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유지 방전 전극쌍을 피복하는 유전체층과, 상기 유전체층상에 형성된 캐소드막을 구비하되, 상기 복수의 유지 방전 전극쌍의 각각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제 1 및 제 2 비표시 영역은 상기 제 2 방향에 대해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하여 있고, 상기 표시 영역내에는 상기 제 1 방향에 연장하고 또한 상기 제 2 방향에 배열한 복수의 제 1 방전 공간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비표시 영역은, 상기 제 2 방향에 대해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하고 있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방향에 대해 상기 제 1 영역에 인접하고 있는 제 2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영역내에는, 상기 제 1 방향에 연장하고 또한 상기 제 2 방향에 배열한 복수의 제 2 방전 공간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유지 방전 전극의 한쪽의 종단은 상기 제 1 영역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유지 방전 전극은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내를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하여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제 2 방전 공간의 각각 내에서, 해당 제 2 방전 공간내의 방전 셀을 구성하는 상기 제 1 유지 방전 전극의 부분에 대향하는 공간은, 상기 복수의 제 1 방전 공간의 각각 내에서, 해당 제 1 방전 공간내의 상기 방전 셀을 구성하는 상기 제 1 유지 방전 전극의 부분에 대향하는 공간보다 작고, 상기 복수의 제 2 방전 공간의 각각 내에서, 해당 제 2 방전 공간내의 방전 셀을 구성하는 상기 제 2 유지 방전 전극의 부분에 대향하는 공간은, 상기 복수의 제 1 방전 공간의 각각 내에서, 해당 제 1 방전 공간내의 상기 방전 셀을 구성하는 상기 제 2 유지 방전 전극의 부분에 대향하는 공간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2 특징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은, 제 11 특징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으로서, 상기 복수의 제 2 방전 공간의 각각의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상기 복수의 제 1 방전 공간의 각각의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3 특징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 1 특징 내지 제 12 특징 중 어느 한 특징에 따른 상기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을 전면 패널 또는 배면 패널의 한쪽으로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4 특징에 따른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3 특징에 따른 상기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익 등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는 이하의 상세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 1)
이하에 상술하는 본 실시예는 종래 기술의 일례로서 설명한 도 9의 방전 셀 구조를 개량하는 것이다. 즉, 기술(旣述)한 표시 영역내에 속하는 방전 셀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도 9에 나타낸 것으로 되지만, 비표시 영역에서의 기판 내지는 전면 패널의 구조가 도 9의 경우와는 상위(相違)하다. 그래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공통 부분에 대해 도 9의 각 참조 부호를 원용함과 동시에,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의 개념 내지는 정의(定義)도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PDP의 전면 패널(제 1 기판)은 (제 1)기판 본체인 전면 유리 기판(5)과, 제 1 방향 D1에 직교하는 제 2 방향 D2(후술하는 도 1참조)으로 연설되고, 그 각 쌍이 각 주사선을 규정하는 복수의 유지 방전 전극쌍(각 쌍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제 1 유지 방전 전극 X와 제 2 유지 방전 전극 Y로 이루어지고, 양 유지 방전 전극 X, Y의 각각은 투명 전극(1)과 버스 전극(2)으로 이루어짐)과, 상기 복수의 유지 방전 전극쌍(X, Y)을 피복하도록 전면 유리 기판(5)상에 형성된 유전체층(3)과, 유전체층(3)상에 형성된 캐소드막(4)을 갖는다. 또, 배면 패널(제 2 기판)은 (제 2)기판 본체인 배면 유리 기판(9)과, 제 1 방향 D1에 연설된 어드레스 전극(6) 및 배리어 리브(7)와 오버글래이즈층(10)을 갖는다.
또한, 도 10의 방전 셀 구조는, 복수의 유지 방전 전극쌍을 갖는 기판 내지는 패널의 기판 본체가 전면 유리 기판에서 배면 유리 기판으로 대신한 점, 및 각 유지 방전 전극에 있어서 투명 전극이 존재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 도 9의 것과 마찬가지의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하에 설명하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특징적 구성을 도 10의 방전 셀 구조에도 적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표시 영역내에 속하는 방전 셀은 기본적으로 도 10에 나타내는 구조를 갖고 있고, 배면 패널 내지는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서의 구조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것과는 현저히 상위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후술하는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면 방전 AC형 PDP의 특징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면 방전 AC형 PDP을 표시면측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표시 영역(21)과 제 2 방향 D2에 대해 표시 영역(21)과 인접하는 비표시 영역(22)(제 1 비표시 영역(22A), 제 2 비표시 영역(22B))의 각각과의 경계(제 1 경계 B1, 제 2 경계 B2)에 있어서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1의 평면도에 있어서는, 제 2 방향 D2에 따라 연설된 유지 방전 전극쌍(X, Y)과, 제 1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 X, Y의 각각을 구성하는 투명 전극(1) 및 버스 전극(2)과, 제 1 방향 D1에 따라 연설된 배리어 리브(7)의 각 패턴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마찬가지로 제 1 방향 D1에 따라 연설된 각 어드레스 전극(6)의 도시화(圖示化)에 대해서는, 해당 어드레스 전극(6)이 서로 인접하는 배리어 리브(7) 사이에 협지되어 규정 내지는 구획되는 레인군 내에서 어느 쪽의 레인을 구동하고 있는 것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도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버스 전극(2)의 패턴과 오버랩하는 투명 전극(1)의 윤곽선에 관해서는 동일 도면중에 점선에 의해 이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방향 D1에 따라 복수의 배리어 리브(7)가 연설되어 있고, 또, 서로 인접하는 배리어 리브(7)에 의해 구획된 레인으로 이루는 레인군중, 표시 영역(21)내에 속하는 각 레인은 제 1 방향 D1에 따라 연설된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6) 내에서 해당 레인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전극(6)의 구동에 귀속한다. 또한, 그 각각이 주사선을 규정하는, 제 1 유지 방전 전극 X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 Y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유지 방전 전극쌍(X, Y)이 제 2 방향 D2에 따라 연설되어 있다. 그리고, 임의의 주사선과 어드레스 전극(6)의 구동에 귀속하는 임의의 레인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방전 셀(14)이 형성된다. 이러한 방전 셀(14)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됨으로써 기술한 표시 영역(21)이 구성됨과 동시에, 제 1 비표시 영역(22A)이 제 2 방향 D2에 대해 표시 영역(21)의 우측에 제 1 경계 B1을 거쳐 인접하고 있고, 마찬가지로 제 2 비표시 영역(22B)이 표시 영역(21)의 좌측에 제 2 경계 B2를 거쳐 인접하고 있다. 이러한 제 1 비표시 영역(22A) 및 제 2 비표시 영역(22B)으로 이루어지는 비표시 영역의 전체 구성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도 1의 구조에 있어서의 특징 부분은 다음과 같은 점에 있다. 즉, 각 유지 방전 전극쌍을 구성하는 제 1 유지 방전 전극 X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 Y의 각각은, 이들의 연설 방향 D2의 서로의 반대측에서, 제 1 및 제 2 경계 B1, B2 근방의 표시 영역(21)의 내부에, 그 한쪽의 종단 내지는 제 1 종단(30(X), 30(Y))을 형성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 비표시 영역(22A) 내에서는, 제 1 유지 방전 전극 X의 한쪽 종단(30(X))이 존재하지 않고, 제 2 유지 방전 전극 Y의 다른 쪽의 종단 내지는 제 2 종단(도시하지 않음)만이 존재하는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유지 방전 전극쌍은 존재하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 2 비표시 영역(22B)에서는, 제 2 유지 방전 전극 Y의 한쪽 종단 내지는 제 1 종단(30(Y))이 전혀 존재하지 않고, 제 1 유지 방전 전극 X의 다른 쪽 종단 내지는 제 2 종단(도시하지 않음)이 존재하는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유지 방전 전극쌍은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비표시 영역(22A, 22B)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우발적인 유지 방전 전극쌍 간의 유지 방전이 발생되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이 PDP에 있어서는, 기술한 제 2 종래 기술과 같이 비표시 영역(22)을 더미 어드레스 전극으로 구동할 필요성은 전혀 없고, 화상 데이터의 출력 대상으로 되는 어드레스 전극(6)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수의 데이터-IC 그 외에, 더미 어드레스 전극을 구동하기 위한 출력 단자도 준비해야 되는 제 2 종래 기술 방법과 비교하면,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제 1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 X, Y의 각각과 구동용 외부 단자(도시하지 않음)와의 접속에 대해서는, 각각의 한쪽의 종단(30(X) 혹은 30(Y))은 반대측 연설 방향에 있어서, 즉, 각각의 다른 쪽의 종단(도시하지 않음)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 X, Y를 상기 구동용 외부 단자에 접속하는 것으로 하면 좋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 X, Y의 각각에, 각각 소망하는 전기적 배선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 PDP에서는, 제 1 유지 방전 전극 X의 한쪽의 종단(30(X))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 Y의 한쪽의 종단(30(Y))은 각각 제 1 경계 B1측의 표시 영역(21) 및 제 2 경계 B2측의 표시 영역(21) 내에 배치되어 있다. 특히 여기서는, 제 1 유지 방전 전극 X의 한쪽의 종단(30(X))은 제 1 경계 B1을 규정하는 한쪽 단의 배리어 리브(7a)에 대응 내지는 대면하는 표시 영역(21)의 부분에 존재하고 있고, 마찬가지로, 제 2 유지 방전 전극 Y의 한쪽 종단(30(Y))은 제 2 경계 B2를 규정하는 다른 쪽 단의 배리어 리브(7a)에 대응 내지는 대면하는 표시 영역(21)의 부분에 존재하고 있다. 즉,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 X, Y의 한쪽의 종단(30(X), 30(Y))(또, 이들 종단을 종단(30)으로도 총칭함)은, 각각 도 1의 위쪽에서 이 PDP를 바라보았을 때에, 표시 영역(21)내에 속하는 복수의 배리어 리브(7) 내에서 제 1 경계 B1 및 제 2 경계 B2를 각각 규정하는 한쪽 단 및 다른 쪽 단의 배리어 리브(7a)와 오버랩하는 위치(7aU)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단의 레인(13)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21)내의 모든 레인이 균일한 패턴인 복수의 유지 방전 전극쌍(X, Y)(또, 각 전극 X, Y는 투명 전극(1) 및 버스 전극(2)을 가짐)을 갖기 때문에, 표시 영역(21)내의 방전 셀(14)의 발광 특성 분포가 표시 영역(21)의 각 단의 레인(13)에 있어서 이질적인 것으로 되는 일은 없다. 또한, 표시 영역(21)내에 있어서, 각 단의 레인(13)의 폭을 유지한 채, 대응하는 각 단의 배리어 리브(7a)의 패턴 폭(7ah)을 그 이외의 배리어 리브(7)의 패턴 폭(7h)보다도 폭이 넓다고 하면, 제 1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 X, Y의 종단(30)이나 후술하는 버스 전극(2)의 종단(32)의 위치 및 형상에 대한 여유도(餘裕度)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이 PDP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 X, Y의 표시 영역(21)내에서의 한쪽 종단(30)은 해당 제 1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 X, Y를 구성하는 버스 전극(2)의 한쪽 종단(제 1 종단)(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 1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 X, Y의 투명 전극(1)의 한쪽 종단도 또한 한쪽의 단 또는 다른 쪽의 단의 배리어 리브(7a)에 대응 내지는 대면하는 표시 영역(21)내에 존재하고 있고, 한쪽의 단 또는 다른 쪽의 단의 레인(13)내에는 존재하고 있진 않지만, 버스 전극(2)의 한쪽 종단(32)은 투명 전극(1)의 상기 한쪽 종단보다도 대응하는 경계 B1, B2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다음과 같이 실현되어 있다. 즉, 버스 전극(2)의 한쪽 종단(32)이 L자형 형상이 되도록, 버스 전극(2)의 제 1 방향 D1에 있어서의 패턴 폭은, 버스 전극(2)의 한쪽의 종단(32)에 있어서, 그 외의 부분보다도 굵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해당 종단(32)의 직하(直下)에는 투명 전극(1)은 존재하지 않고, 한쪽의 종단(32)은 전면 유리 기판(5)의 표면상에 직접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다음 이유 때문이다. 즉, 버스 전극(2)의 패턴 형성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단선ㆍ단락의 검사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검사용의 프로버의 프로빙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버스 전극(2)의 프로빙 개소(箇所)에서는 패턴 폭을 넓게 취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 PDP에서도 버스 전극(2)의 패턴 형성 프로세스시에 마찬가지의 단선 등의 검사를 실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이 PDP의 버스 전극(2)의 한쪽 종단(32)도 마찬가지로 필요 프로빙 개소에 설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1의 방전 셀 구조에 적용되는 버스 전극(2)의 폭에 관해서는, 방전 셀내의 형광체(8)의 발광을 가능한 한 차광하지 않도록, 리드 저항값의 상승 및 패턴 결함 발생 확률의 상승을 허용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가늘게 마무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은 프로빙의 신뢰성 향상과 상반되고 있다. 그래서, 프로빙이 필요한 버스 전극(2)의 한쪽 종단(32)에 있어서 국부적으로 버스 전극(2)의 폭을 넓게 설정함으로써, 이들의 양립(兩立)을 도모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버스 전극(2)의 프로빙 개소에서는, 프로버로부터의 핀 포인트적인 힘이 동(同) 개소에 작용하기 때문에, 하지(下地)와의 밀착 강도가 강하게 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버스 전극(2)의 하지가, 투명 전극(1)의 경우와, 전면 유리 기판(5)의 표면의 경우에서는, 후자 쪽이 밀착 강도가 강한 것이 많다(이러한 부분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 5-114362 호 공보에 있어서도 이미 지적되어 있는 바와 같다). 그래서, 이 PDP에 있어서도, 도 1에 점선으로 나타낸 아웃라인(outline)과 마찬가지로, 프로빙 개소에 해당하는 버스 전극의 한쪽 종단(32)에 대응하는 투명 전극(1)의 패턴을 기술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삭제함으로써, 동 부분에서의 버스 전극(2)의 하지로의 밀착 강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이러한 하지와의 밀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는 후술하는 실시예 2 및 그 변형예 모두에 적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밀착 강도라는 점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에는, 버스 전극(2)의 한쪽 종단(32)의 패턴 폭을 것 타부(他部)보다도 크게 설정함과 동시에, 버스 전극(2)의 한쪽 종단(32)과 투명 전극(1)의 한쪽 종단과의 위치를 일치시켜 양 종단으로서 각 유지 방전 전극 X, Y의 한쪽 종단(30)을 구성하더라도 좋다.
(실시예 1의 변형예 1)
도 1에서는 제 1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 X, Y의 각각의 한쪽 종단(30(X), 30(Y))을 함께 각각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비표시 영역(22A, 22B)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했었지만, 한쪽 종단(30(X), 30Y)) 내의 어느 하나의 한쪽에 대해서만, 이와 같은 구성으로서도 좋다.
예컨대, 도 1의 한 변형예로서, 제 1 유지 방전 전극 X의 한쪽 종단(30(X))만을 제 1 경계 B1에 인접하는 한쪽 단의 배리어 리브(7a)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21)의 부분에 존재시키는 한편, 제 2 유지 방전 전극 Y의 한쪽 종단(30(Y))을 종래와 같이 제 2 비표시 영역(22B) 내에 존재시키는 것이 고려된다(또는, 그 반대의 구성이더라도 무방하다). 덧붙여, 상기 변형예를 채용하면서, 또한 제 2 유지 방전 전극 Y의 다른 쪽 종단(도시하지 않음)을 제 1 비표시 영역(22A) 내에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즉, 제 2 유지 방전 전극 Y의 다른 쪽 종단이 제 1 유지 방전 전극 X의 한쪽 종단(30(X))에 대향하도록, 제 1 경계 B1에 인접하는 한쪽 단의 배리어 리브(7a)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21)의 부분에 존재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본 변형예에 따르면, 도 1에 있어서의 제 1 비표시 영역(22A)에서만 유지 방전 전극쌍(X, Y)이 전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 1 비표시 영역(22A)에서의 유지 방전 전극 간의 우발적인 유지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변형예와는 반대의 구성, 즉, 제 2 유지 방전 전극 Y의 한쪽 종단(30(Y))만을, 또는 이 종단(30(Y))과 함께 제 1 유지 방전 전극 X의 다른 쪽 종단도 제 2 비표시 영역(22B)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제 1 유지 방전 전극 X의 한쪽 종단(30(X))을 제 1 비표시 영역(22A) 내에 존재시킨다고 한 경우에는, 제 2 비표시 영역(22B)에서만 유지 방전 전극 간의 우발적인 유지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1의 변형예 2)
본 변형예는, 도 1의 구성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 X, Y의 각각의 한쪽 종단(30(X), 30(Y))의 위치를 수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본 변형예에서는, 각 유지 방전 전극쌍을 구성하는 제 1 유지 방전 전극 X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 Y의 각각은 이들의 연설 방향 D2의 서로 반대측에서, 제 1 및 제 2 경계 B1, B2에 인접하는 한쪽 단의 레인(13)에 오버랩하도록, 그 한쪽 종단 내지는 제 1 종단(30(X), 30(Y))을 형성하고 있다. 환언하면, 제 1 유지 방전 전극 X의 한쪽 종단(30(X))은 레인군 내에서 제 1 경계 B1에 인접하는 한쪽 단의 레인(13)에 대응 내지는 대향하는 표시 영역(21)내의 부분에 존재하고 있다. 한편, 제 2 유지 방전 전극 Y의 한쪽 종단(30(Y))은 레인군 내에서 제 2 경계 B2에 인접하는 다른 쪽 단의 레인(13)에 대응 내지는 대향하는 표시 영역(21)내의 부분에 존재한다(도 22 참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제 1 및 제 2 비표시 영역(22A, 22B)에서 유지 방전 전극쌍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비표시 영역(22A, 22B)의 어느 한쪽에 있어서도, 우발적인 유지 방전 전극쌍 간의 유지 방전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본 변형예에서는, 한쪽 단의 레인(13) 및 다른 쪽 단의 레인(13)에서는 균일인 유지 방전 전극쌍의 패턴이 존재할 수 있지 않도록 되지만, 이들의 불량은 표시 영역(21)의 양 단 레인에서 발생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배치 구성을 갖는 한쪽 종단(30(X), 30(Y))의 존재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발광 표시 얼룩을 관능적(官能的)으로 눈에 띄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1의 변형예 3)
실시예 1에서는, 유지 방전 전극 X를 「제 1 유지 방전 전극」이라고, 유지 방전 전극 Y를 「제 2 유지 방전 전극」이라고 정의했는데, 유지 방전 전극 X를 「제 2 유지 방전 전극」으로, 유지 방전 전극 Y를 「제 1 유지 방전 전극」이라고 정의하더라도 좋다.
또한, 비표시 영역(22) 내에서, 한쪽 영역(22A)을 「제 2 비표시 영역」이라고, 다른 쪽 영역(22B)을 「제 1 비표시 영역」이라고 각각 호칭하여도 좋다.
(부기)
본 실시예 1 및 그 변형예 1~3에서 기술한 이 PDP 및 그 구동용 드라이브 등을 소정의 하우징내에 마련함으로써, 벽걸이 TV 등의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후술하는 실시예 1 내지 4와, 이들 변형예에 따른 PDP에 대해서도 타당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23은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 장치는 PDP(9D)와 구동 장치로 이루어진다. 이 구동 장치는 각 드라이버(3D, 5D, 7D)와 컨트롤러(2D)로 이루어진다. 도 23에서, 참조 부호 (4D)는 m개의 어드레스 전극을, 참조 부호 (6D)는 n개의 유지 방전 전극 X를, 참조 부호 (8D)는 n개의 유지 방전 전극 Y를, 참조 부호 (9D)는 n개의 유지 방전 전극쌍을, CVW, CVX 및 CVY는 제 1, 제 2 및 제 3 제어 신호이다. 현재, 1 프레임이 1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기간(1 필드)를 소정의 수의 서브필드에 분할하여 계조(contrast) 표현을 실현하는 것으로 하면, 이 경우의 임의의 서브필드에 있어서의 각 구동 신호(펄스)의 파형은 도 24의 (a), (b), (c)에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이러한 구동 신호는 주지의 것이다.
(실시예 2)
본 실시예 1에서는 제 1 유지 방전 전극의 버스 전극의 폭을 확장한 한쪽 종단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의 버스 전극의 폭을 확장한 한쪽 종단을, 각각 표시 영역내의 한쪽 및 다른 쪽의 단의 배리어 리브로서 오버글래이즈하는 범위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 구성에 의해 후술하는 신규한 문제점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것을 회피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의 각각의 버스 전극의 한쪽 종단을 함께 표시 영역이 대응하는 단의 레인에 오브글레이즈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고, 이에 따라, 방전의 아이솔레이션의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대해 설명한 구조의 개량으로써,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따라서, 도 1중, 본 실시예와 동일 구조를 나타내는 참조 부호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에서도 사용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면 방전 AC형 PDP에 있어서, 표시 영역(21)과 비표시 영역(22)의 경계(제 1 경계 B1, 제 2 경계 B2) 근방에서의 하나의 유지 방전 전극쌍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기 전극쌍을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X, Y)은 함께 ITO막 등의 투명 전극(1)과,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버스 전극(2)을 구비하고 있으며, 여기서는 양 전극 X, Y의 한쪽 종단(30(X), 30(Y))측에 각각 위치하는 버스 전극(2)의 한쪽 종단(32(X), 32(Y))을, 각각 표시 영역(21) 내의, 대응하는 한쪽 및 다른 쪽 단의 레인(13)에 오버랩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즉, 제 1 유지 방전 전극 X의 버스 전극(2)의 한쪽 종단(32(X))은 제 1 비표시 영역(22A)과 표시 영역(21)과의 제 1 경계 B1에 인접하는 한쪽 단의 레인(13)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21) 내의 부분에 존재하고, 한편, 제 2 유지 방전 전극 Y의 버스 전극의 한쪽 종단(32(Y))은 제 2 비표시 영역 Y와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과의 제 2 경계 B2에 인접하는 다른 쪽 단의 레인(13)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21) 내의 부분에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단, 제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양 전극 X, Y의 한쪽 종단(30(X), 30(Y))은 각각 제 1 경계 B1을 규정하는 한쪽 단의 배리어 리브(7a) 및 제 2 경계 B2를 규정하는 다른 쪽 배리어 리브(7a)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21) 내에 존재하고 있으며, 양 종단(30(X), 30(Y))은 함께 투명 전극(1)의 한쪽 종단에 상당하고 있다. 이러한 버스 전극(2)의 한쪽 종단(32(X), 32(Y))을 배치한 것은 다음의 이유 때문이다. 즉, 도 1과 마찬가지로, 버스 전극(2)의 폭을 넓게 한 한쪽 종단(32)의 각각을, 표시 영역(21) 내의 대응하는 각 단의 배리어 리브(7a)와 오버랩하는 범위에 설치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종단(32)이 존재하는 개소에서 국소적으로 유전체층(3)의 표면(3S)이 높아지게 되고, 표시 영역(21)내에서 국부적으로 캐소드막(4)과 배리어 리브(7)와의 사이에 큰 극간이 발생하여 표시 불량을 유발하는 개연성이 있기 때문에, 이 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그래서, 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 X, Y의 각각의 버스 전극(2)의 폭이 넓은 한쪽의 종단(32(X), 32(Y))을 표시 영역(21)내의 대응하는 단의 레인(13)과 오버랩하는 위치에 설치해 두면, 유전체층(3)의 표면(3S)의 높아짐이 가장 커지는 개소가 각 단의 레인(13)을 구획하는 한쪽 또는 다른 쪽의 단의 배리어 리브(7a)와 이 배리어 리브(7a)에 대해 표시 영역(21)측에서 인접하는 배리어 리브(7)와의 사이에 발생한다는 위치 관계가 얻어지기 때문에, 즉, 배리어 리브(7a)가 유전체층(3)의 표면(3S)의 최대의 높아진 개소와 접촉하는 사태가 회피되기 때문에, 상기한 극간을 적게 억제할 수 있다.
또, 각 한쪽 종단(32(X), 32(Y))의 직하에는 투명 전극(1)이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 점은 도 1의 경우와 동일하다.
그런데, 도 2와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 X, Y의 각각의 버스 전극(2)의 폭이 넓은 한쪽의 종단(32(X), 32(Y))을 표시 영역(21)내의 양 단의 레인(13) 내에서 대응하는 레인에 오버랩하는 위치에 형성하면, 각 단의 레인(13)에 속하는 방전 셀(14)에 있어서의 발광이 대응하는 버스 전극(2)의 폭이 넓은 한쪽의 종단(32(X), 32(Y))에 의해 차광되는 비율이 증가한다는 사태가 생긴다. 이 때문에, 양 단의 레인(13)에서는 발광 표시가 상대적으로 어둡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발광의 일부 차광이 발생하는 장소는 표시 영역(21)의 각 단의 레인(13)인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발광 표시 얼룩은 관능적으로는 허용 범위로 되는 것이 보통이며, 특히 문제로 되지는 않는다고 생각된다. 또한, 1 화소는 R(빨강), G(초록), B(파랑) 3색(色) 종(種)의 형광체(8)가 인접 3레인에 걸쳐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에, RGB 3색 종내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발광 휘도가 높은 G의 형광체를 각 단의 레인(13)에 마련하지 않고, R 또는 B의 형광체를 각 단의 레인(13)에 배치하도록 색 배열을 설정해 둘 때에는, 양 단의 레인(13)에서의 발광 표시 얼룩을 보다 관능적으로 눈에 띄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나타낸 본 실시예의 특징을, 양 단의 레인에 속하는 방전 셀을 제외하고 표시 영역내의 방전 셀이 도 10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단지, 이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 X, Y는 함께 버스 전극(2)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 단의 레인(13)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내에 형성된 폭이 넓은 버스 전극(2)의 한쪽의 종단(32(X), 32(Y))이, 각각 제 1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 X, Y의 한쪽 종단(30(X), 30(Y))을 형성하게 된다. 이 점은 후술하는 변형예 1 및 변형예 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2의 변형예 1)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도 2의 구조에서는, 표시 영역(21)의 각 단의 레인(13)에서 유전체층(3) 및 캐소드막(4)의 표면의 높아짐이 가장 커져, 이 최대의 높이진 부분을 피하여 배리어 리브(7)의 정부(頂部)가 캐소드막(4)의 표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캐소드막(4)과 배리어 리브(7)의 사이에 큰 극간이 발생해 버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각 단의 레인(13)으로부터 표시 영역(21)측에 위치하는 내측의 레인에 향해서 유전체층(3) 및 캐소드막(4)의 표면의 높아짐이 감소해가기 때문에, 도 2에서는 캐소드막(4)의 표면의 높아지는 도중의 경사면에 대하여 배리어 리브(7a)와 그것에 이웃하는 배리어 리브(7)와의 정부가 접촉하여 있기 때문에, 도 2의 구조에 있어서는, 또 그것보다도 내측의 표시 영역(21)에 있어서, 배리어 리브(7)의 정부와 캐소드막(4)의 표면의 사이에 극간이 생기고 있다. 그래서, 본 변형예는, 도 2에 나타내는 구조를 채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또한 발생하여 얻는 배리어 리브의 정부와 캐소드막의 표면의 국부적인 극간을 더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그 때문에, 각 단의 레인(13)에 있어서의 유전체층(3) 및 캐소드막(4)의 표면의 높아짐 량을 도 2의 경우보다도 작게 되도록 고안하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변형예를 설명하는데, 여기서도 실시예 2의 경우(도 2)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 부호로서 호칭하는 것으로 한다.
도 3은, 본 실시예 2의 변형예 1에 따른 면 방전 AC형 PDP에 있어서, 표시 영역(21)과 비표시 영역(22)의 경계(제 1 경계 B1, 제 2 경계 B2) 근방에서의 하나의 유지 방전 전극쌍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여기서는, 양 전극 X, Y의 한쪽의 종단(30(X), 30(Y))측에 각각 위치하는 버스 전극(2)의 한쪽 종단(32(X), 32(Y))을 표시 영역(21)내의 대응하는 단의 레인(13)에 오버랩하는 위치에 마련함과 동시에, 각 단의 레인(13)에 있어서 다른 쪽의 종단을 형성하지 않는 측의 유지 방전 전극 X, Y를 구성하는 버스 전극(2)의 해당 레인(13)에서의 부분의 패턴 폭을 타부(他部)와 비교해서 부분적으로 가늘게 하여, 버스 전극(2)의 해당 부분을 오목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유지 방전 전극 X의 버스 전극(2) 내에서, 제 2 경계 B2(도 1)에 인접하는 다른 쪽의 단의 레인(13)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21)에 존재하는 부분(2a)의 제 1 방향 D1(도 1)에 대한 패턴 폭이, 다른 쪽의 단의 레인(13)에 인접하는 레인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21)내에 존재하는 부분(2b)의 제 1 방향 D1에 대한 패턴 폭보다도 부분적으로 가늘게 설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유지 방전 전극 Y의 버스 전극(2) 내에서, 제 1 경계 B1(도 1)에 인접하는 한쪽의 단의 레인(13)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21)에 존재하는 부분(2a)의 제 1 방향 D1에서의 패턴 폭이, 한쪽의 단의 레인(13)에 인접하는 레인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21)내에 존재하는 부분(2b)의 제 1 방향 D1에서의 패턴 폭보다도 부분적으로 가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2개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우선 첫째로, 버스 전극(2)의 폭이 넓은 한쪽의 종단(32(X), 32(Y))에 의한 차광에 기인하여 생기는 발광 표시 강도의 감소분을 상기 부분(2a)의 오목 형상 부분(결손 부분)을 투과할 수 있는 광량으로서 보충할 수 있기 때문에, 각 단의 레인(13)에서의 발광 표시 얼룩을 보다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제 2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6의 단면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4는 버스 전극(2)의 연설 방향(제 2 방향 D2)에 수직인 평면으로서, 실시예 2(도 2)에 있어서의 버스 전극(2)의 폭이 넓은 한쪽의 종단(32)을 절단했을 때의 전면 패널 내지는 기판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 도 5는 버스 전극(2)의 연설 방향(제 2 방향 D2)에 수직인 평면으로서, 도 3에 나타낸 본 변형예에 따른 버스 전극(2)의 폭이 넓은 한쪽의 종단(32)을 절단했을 때의 전면 패널 내지는 기판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표시 영역(21)내에 있어서, 버스 전극(2)의 폭이 넓은 한쪽의 종단(32)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버스 전극(2)의 부분을 버스 전극(2)의 연설 방향(제 2 방향 D2)에 수직인 평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전면 패널 내지는 기판의 종단면도를 도 6에 나타낸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설명의 간편화를 위해, 유지 방전 전극 X, Y를 구성하는 투명 전극(1), 버스 전극(2), 유전체층(3), 캐소드막(4), 전면 유리 기판(기판 본체)(5)만을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 4∼도 6을 비교하면, 도 4에 있어서의 전면 유리 기판(5)의 표면(5S)을 기준으로 하는 유전체층(3)의 두께 t1이, 도 6에 있어서의 유전체층(3)의 두께 t3과 비교하여 커지고 있다. 이것은 다음 이유 때문이다. 즉, 유전체층(3)의 원재료로 되는 저융점 유리 페이스트를 전면 유리 기판(5)상에 균일하게 도포하여 해당 페이스트를 소성함으로써 유전체층(3)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유전체층(3)의 단면적(정확하게는 투명 전극(1), 버스 전극(2) 및 버스 전극의 한쪽 종단(32)을 제외한 부분의 단면적)이 하지의 전면 유리 기판(5)의 표면의 요철 상태로는 그다지 의존하지 않아 일정하게 되기 때문에, 하지의 버스 전극(2)의 단면적이 증가하면, 당연히 전면 유리 기판(5)의 표면(5S)을 기준으로 하는 두께 t1이 커지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환언하면, 기술한 실시예 2에 있어서는, 버스 전극(2)의 한쪽 종단(32)에 있어서의 버스 전극(2)의 단면적이 표시 영역(21)내에서 한쪽의 종단(32)보다도 내측의 부위에서의 버스 전극(2)의 단면적보다도 커지고 있다. 이 때문에, 버스 전극(2)의 한쪽 종단(32)의 근방에서는 유전체층(3)의 표면(3S)이 국부적으로 높아지고 있고, 이에 추종하여 캐소드막(4)의 표면(4S) 위도 높아지는 것으로 된다. 그렇게 하면, 배면 유리 기판(9)의 측에 형성된 일련의 배리어 리브(7)의 정부가 한쪽의 종단(32)의 근방에서 높아지고 있는 캐소드막(4)의 표면(4S)에 맞닫으면, 버스 전극(2)의 연설 방향(제 2 방향 D2)에 따라 한쪽의 종단(32)의 근방에 근접하는 표시 영역(21)내에서는 급격히 캐소드막(4)의 표면(4S)이 오목해지는데 대하여, 배리어 리브(7)의 정부가 이 오목함에 추종하여 캐소드막(4)의 표면과의 접촉을 유지할 수 없게 되어, 그 결과, 극간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 극간이 비교적 넓을 때에는, 인접하는 레인의 사이에서 방전의 아이솔레이션이 손상되어 버려, 관능적으로도 현저한 표시의 부적절함에 이르는 경우가 있다. 한편, 본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버스 전극(2)의 한쪽의 종단(32)의 근방에서, 이와 쌍으로 되는 측의 버스 전극(2)의 패턴 폭을 해당 버스 전극(2)의 타부보다도 부분적으로 가늘게 설정하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스 전극(2)의 한쪽의 종단(32)의 근방에 있어서의 단면적을 도 4의 경우와 비교하여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각 단의 레인(13)(도 3)에 있어서의 유전체층(3)의 두께 t2가 작게 되어, 버스 전극(2)의 한쪽 종단(32)의 근방에 있어서의 유전체층(3)의 표면(3S)의 높아짐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배리어 리브(7)의 정부와 캐소드막(4)의 표면(4S)의 사이에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상기한 극간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인접 레인사이에서의 방전의 아이솔레이션을 강화할 수 있다.
(실시예 2의 변형예 2)
본 변형예는 도 2의 구조를 갖는 전면 패널 내지는 기판에, 기판 본체 위 또는 유전체층 내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인접하는 각 유지 방전 전극쌍(X, Y)사이 내지는 각 주사선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절연 패턴을 더 구비시킨 경우에 있어서, 각 단의 레인에서의 유전체층 내지는 캐소드막의 표면의 높아짐을 억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예 2의 변형예 2에 따른 면 방전 AC형 PDP에 있어서, 표시 영역(21)과 비표시 영역(22)의 경계(제 1 경계 B1, 제 2 경계 B2) 근방에서의 유지 방전 전극쌍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유전체층(3)은 인접하는 주사선의 경계부 내지는 이웃하는 유지 방전 전극쌍 사이에서 절연성 패턴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여기서는, 절연성 패턴은 차광성의 절연성 패턴(12)이다. 또,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이 PDP의 표시 영역(21)내에 있어서, 폭이 넓은 버스 전극(2)의 한쪽 종단(32(X), 32(Y))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버스 전극(2)의 부분을 버스 전극(2)의 연설 방향(제 2 방향 D2)에 수직인 평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전면 패널 내지는 기판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여기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광성의 절연성 패턴(12)을 전면 유리 기판(5)의 표면(5S) 상에 직접 마련하고 있지만, 이에 대신하여, 유전체층(3)의 두께의 범위 내에서 동일 패턴(12)을 유전체층(3)내에 마련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차광성의 절연성 패턴(12)을 마련하는 이유는 다음 점에 있다. 즉, 그 첫째는, 차광성의 절연성 패턴(12)의 면내에서 적어도 전면 유리 기판(5)측의 면을 흡광성의 재료, 대표적으로는 검은 색조(色調)를 갖는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외광 반사를 억제한 표시 품위가 높은 PDP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로는, 차광성의 절연성 패턴(12)의 배면 유리 기판(9)측의 면을 광 반사성 재료로서, 대표적으로는 흰 색조를 갖는 재료로서 구성함으로써, 형광체(8)의 발광이 상기 흡광성 재료에 의해 흡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유전체층(3)이 상기한 바와 같은 차광성의 절연성 패턴(12)을 갖는 구조를 더 구비하는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이 넓은 버스 전극(2)의 한쪽 종단(32(X), 32(Y))의 근방에 있어서, 차광성의 절연성 패턴(12)의 형상을 오목 형상으로서 그 패턴 면적 밀도를 줄이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이웃하는 유지 방전 전극쌍(X, Y) 사이에 있어서, 제 2 방향 D2에 연설된 복수의 절연성 패턴(12)의 각각은, 한쪽 단의 레인(13)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21)에 존재하는 제 1 부분(12A)과, 다른 쪽 단의 레인(13)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21)에 존재하는 제 2 부분(12B)과, 그 밖의 부분(12C)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부분(12A, 12B)의 제 1 방향 D1에 있어서의 패턴 폭은 함께 절연성 패턴(12)의 타부(12C)의 제 1 방향 D1에 있어서의 패턴 폭보다 부분적으로 가는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버스 전극(2)의 한쪽 종단(32(X), 32(Y))의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발생하는 각 단의 레인(13)에서의 유전체층(3)의 두께의 증가를 제 1 및 제 2 부분(12A, 12B)에서의 결손 부분으로서 감소시킬 수 있어, 이에 의해, 각 단의 레인(13)에서의 유전체층(3)의 표면(3S)의 높아짐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변형예 1에서 기술한 배리어 리브(7)의 정부와 캐소드막(4)의 표면(4S)의 사이에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극간을 본 변형예에서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인접하는 레인 사이에서의 방전의 아이솔레이션을 강화할 수 있다.
또, 유전체층(3)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절연성 패턴으로서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차광성의 절연성 패턴(12) 외에도, 하기의 (1) 및(2)의 예를 들 수 있다.
(1) 인접하는 주사선 사이에서의 방전의 아이솔레이션을 강화할 목적으로, 인접하는 주사선의 경계부 근방의 유전체층(3)의 표면(3S)을 적극적으로 높이기 위해 해당 경계부 근방에 형성하는 절연성 패턴.
(2) RGB 3종의 형광체(8)의 발광을 투과시키면서도 외광(外光)을 대폭 흡수함으로써 표시 품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RGB 3종의 형광체(8)의 패턴의 배열에 대응하여 유전체층(3) 중에 내장되는 RGB의 컬러 필터 패턴.
상기 (1) 및 (2)에 나타낸 절연성 패턴을 적용한 면 방전 AC형 PDP에 있어서도,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스 전극(2)의 한쪽 종단(32(X), 32(Y))의 근방에서 해당 절연성 패턴의 패턴 면적 밀도를 줄임으로써(패턴 폭을 부분적으로 가늘게 함으로써), 각 단의 레인에서의 유전체층(3)의 단면적을 감소시켜 유전체층(3)의 표면(3S)의 높아짐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배리어 리브(7)의 정부와 캐소드막(4)의 표면(4S)의 사이에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상기한 극간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영역(21)과 비표시 영역(22)의 경계(제 1 경계 B1, 제 2 경계 B2) 근방에서의 인접하는 레인 사이에서의 방전의 아이솔레이션을 강화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면 방전 AC형 PDP을 표시면측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표시 영역(21)과 제 2 방향 D2에 대한 해당 표시 영역(21)과 인접하는 제 1 비표시 영역(22A)의 경계, 및 표시 영역(21)과 해당 표시 영역(21)에 인접하는 제 2 비표시 영역(22B)의 경계에서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양 비표시 영역(22A, 22B)의 각각을 단지 비표시 영역(22)으로도 칭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특징점의 첫째는, 제 1 유지 방전 전극 X의 제 1 종단(30(X))을, 제 2 방향 D2에서의 표시 영역(21)의 범위를 규정하는 한쪽의 단(제 1 단)의 배리어 리브(7a)의 근방의 비표시 영역(22A) 내에 마련하고 있는 점에 있다. 또한, 제 1 경계 B1로부터 제 1 비표시 영역(22A) 내에 제 2 방향 D2에 따라 돌출한 제 1 유지 방전 전극 X의 연장 부분 EX의 면적은 표시 영역(21)내의 방전 셀(14)에서의 제 1 유지 방전 전극 X의 부분(도 13중, 사선(斜線) 부분) HX의 면적보다 작다. 환언하면, 제 1 단의 배리어 리브(7a)의 비표시 영역측 측벽 내지는 제 1 경계 B1로부터 제 1 종단(30(X))까지의 제 2 방향 D2에 따른 거리(돌출량 또는 연장 길이라고도 칭함)를 나타내는 제 1 치수 p1은 제 1 유지 방전 전극 X의 부분 HX의 제 2 방향 D2의 길이 LX보다 작다.
또한, 본 실시예의 특징점의 둘째로는, 제 2 유지 방전 전극 Y의 제 1 종단(30(Y))을, 제 2 방향 D2에서의 표시 영역(21)의 범위를 규정하는 다른 쪽의 단(제 2 단)의 배리어 리브(7a)의 근방의 비표시 영역(22B) 내에 마련하고 있는 점에 있다. 또한, 제 2 경계 B2로부터 제 2 비표시 영역(22B) 내에 제 2 방향 D2에 따라 돌출한 제 2 유지 방전 전극 Y의 연장 부분 EY의 면적은 표시 영역(21)내의 방전 셀(14)에서의 제 2 유지 방전 전극 Y의 부분(도 13중, 사선의 부분) HY의 면적보다 작다. 환언하면, 제 2 단의 배리어 리브(7a)의 비표시 영역측 측벽 내지는 제 2 경계 B2로부터 제 1 종단(30(Y))까지의 제 2 방향 D2에 따른 거리(돌출량 또는 연장 길이라고도 칭함)를 나타내는 제 2 치수 p2는 제 2 유지 방전 전극 Y의 부분 HY의 제 2 방향 D2의 길이 LY보다 작다.
물론, 상기 제 1 및 제 2 특징점 중 어느 하나만을 채용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단지, 이 경우의 효과는 도 13과 같이 양 특징점을 동시에 채용하는 경우의 효과와 비교하면, 반감된다.
또한, 도 13중 제 1 종단(30(X)) 및 제 1 종단(30(Y))의 각각을 단지 제 1 종단(30)으로도 칭한다. 또, 이하의 기재에서는 그 편의상, 제 1 치수 p1 및 제 2 치수 p2의 각각을 단지 치수 p로 칭하는데, 양 치수 p1, p2는 서로 동일하더라도 무방하고, 또는 서로 상위하고 있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제 1 및 제 2 특징점을 채용하는 이유 내지는 이점은 이하와 같다. 즉, 도 13의 구조에서는 비표시 영역(22)내에 유지 방전 전극쌍(X, Y)이 제 2 방향 D2에 대해 길이 p로 인가되는 돌출량분만 연장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 1 종단(30)을 비표시 영역(22)내에 배치하는 구성은, 비표시 영역(22)내에 우발적 유지 방전을 발생시켜 얻는 리스크(risk)를 따른다. 그러나, (i) 연장 치수 p1, p2를 각각 길이 LX, LY보다 짧게 설정하는 경우에는, 비표시 영역(22A) 내의 제 1 유지 방전 전극 X의 연장 부분 EX의 전극면적 및 비표시 영역(22B) 내의 제 2 유지 방전 전극 Y의 연장 부분 EY의 전극 면적이, 각각 표시 영역(21)내의 부분 HX의 전극 면적 및 부분 HY의 전극 면적에 비해 작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치수 설정을 채용하는 한, 제 1 종단(30)을 비표시 영역(22)내에 배치하고 있어도, 각 배리어 리브(7a)의 근방의 비표시 영역(22)에 있어서는, 유지 방전 전극쌍(X, Y)으로의 전압 인가에 의해 캐소드막(4)의 표면 근방에 생기는 전계 강도는 세기가 약해지지 않을 수가 없다. 덧붙여, (ⅱ) 배리어 리브(7, 7a)를 구성하는 재료는 방전 가스의 유전율보다 훨씬 높은 유전율을 갖기 때문에, 단의 배리어 리브(7a)의 근방의 방전 공간에서는 전기력선이 단의 배리어 리브(7a) 내에도 미치게 되어, 해당 배리어 리브(7a)의 근방에 위치하는 캐소드막(4)의 표면에서의 등(等) 전위면의 밀도는 작게 된다. 이 때문에, 단의 배리어 리브(7a) 근방의 비표시 영역(22)에 있어서는, 유지 방전 전극쌍(X, Y)으로의 전압 인가에 의해 캐소드막(4)의 표면 근방에 생기는 전계 강도는 약해지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이들 착안점 (i), (ⅱ)에 근거하여 연장 길이 p를 적절히 설정하면, 통상의 구동 전압이 유지 방전 전극쌍(X, Y)에 인가되더라도, 단의 배리어 리브(7a) 근방의 비표시 영역(22)에서는 우발적 유지 방전이 발생하는데 필요한 전계 강도가 얻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배리어 리브(7)의 제 2 방향 D2의 배열 피치가 330㎛이고, 배리어 리브(7)의 제 2 방향 D2의 폭이 80㎛인 동일 샘플을 이용한 실험에 따르면, 연장 길이 p가 200㎛인 때에는 비표시 영역(22)에서의 우발적 유지 방전이 현저히 발생하여 어렵게 되고, 또한 연장 길이 p가 80㎛인 때에는 우발적 유지 방전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는 결과가 얻어졌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장 길이 p를 200㎛ 이하로 설정하면 양호한 것으로 된다. 바람직하게는, 연장 길이 p를 100㎛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기재한 구성을 채용할 때에는, 비표시 영역(22)내에 유지 방전 전극쌍(X, Y)이 어느 정도의 범위까지 존재하고 있더라도, 우발적 유지 방전을 전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혹은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한편으로, 실시예 1 및 그 각 변형예에서 기재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서도, 우발적 유지 방전을 전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혹은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표시 영역(21)내의 단의 배리어 리브(7a)와 제 1 종단(30)의 제 2 방향 D2에서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는, 그 허용 공차(許容公差)는 크다라고 말할 수 있다. 즉, 제 1 종단(30)의 위치의 허용 범위는, 도 13에 나타내는 같은, 제 1 종단(30)이 단의 배리어 리브(7a)를 관통하여 비표시 영역(22)내에 임의의 정도의 범위까지 돌출한 상태로부터, 실시예 1의 변형예 2에서 기재한 같은, 제 1 종단(30)이 단의 배리어 리브(7a)에 달하지 않고서 표시 영역(21)내의 단의 레인(13)내에 정지하고 있는 상태까지가 된다.
예컨대, 배리어 리브(7)의 제 2 방향 D2의 배열 피치가 330㎛이고, 배리어 리브(7)의 제 2 방향 D2의 폭이 80㎛인 것과 같은 샘플을 이용한 실험에 따르면, 다음 결과가 확인되었다. 즉, 제 1 종단(30)이 단의 배리어 리브(7a)를 관통하여 비표시 영역내에 80㎛의 길이만큼 연장하고 있는 상태이더라도, 또는, 제 1 종단(30)이 단의 배리어 리브(7a)에 달하지 않고서 배리어 리브(7a)의 표시 영역측 측벽에서 60㎛ 자신 앞에 해당하는 단의 레인(13)내의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상태이더라도, 표시 영역(21)과 비표시 영역(22)의 경계선 근방의 표시 품위에 대해서는, 어느 쪽의 상태에서도 문제가 없는 것을 인정받았다. 따라서, 단의 배리어 리브(7a)의 폭 80㎛을 포함하면, 허용 공차는 전(全)범위에서 적어도 220㎛은 있다고 하는 계산이 된다. 이것은 용이하게 실현 가능한 위치 정렬 정밀도이기 때문에, 본 발명은 비표시 영역(22)내의 우발적 유지 방전을 억제하기 위한 실용성에 대해서도, 다른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우수하다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정의에 바꾸어, 유지 방전 전극 X를 제 2 유지 방전 전극으로, 유지 방전 전극 Y를 제 1 유지 방전 전극으로 칭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정의 하에서는, 경계 B1, B2를 각각 제 2 경계, 제 1 경계로 칭하는 게 되고, 마찬가지로, 비표시 영역(22A)을 제 2 비표시 영역으로, 비표시 영역(22B)을 제 1 비표시 영역으로 칭하게 된다. 이러한 정의 관계는 이하에 말하는 본 실시예의 각 변형예에 대해서도 타당한다.
(실시예 3의 변형예 1)
도 13에서는 연장 부분 EX, EY의 횡단면(양 방향 D1, D2를 포함하는 평면에 평행한 단면)의 형상이 직사각형이기 때문에, 제 2 방향 D2의 연장 길이 p1, p2를 표시 영역 부분 HX, HY의 길이 LX, LY보다 짧게 설정함으로써, 연장 부분 EX, EY의 전극 면적을 표시 영역 부분 HX, HY의 전극 면적보다 작게 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4또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방향 D1에 대하여 연장 부분 EX의 전극을 부분적으로 절제함으로써, 연장 부분 EX의 전극 면적을 표시 영역 부분 HX의 전극 면적보다 작게 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여기서, 도 14의 연장 부분 EX의 횡단면 형상은 L자형이고, 도 15의 연장 부분 EX의 횡단면 형상은 제 2 방향 D2에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이다. 이들의 형상의 외에, 제 1 방향 D1에 대해 부분적으로 절제함으로써 얻어지는 연장 부분 EX의 형상에는 여러 가지 것이 있다.
또한, 도 14 또는 도 15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연장 부분 EY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제 1 방향 D1에 대해 해당 부분 EY를 부분적으로 절제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무방하다.
(실시예 3의 변형예 2)
또, 단의 배리어 리브(7a) 근방의 비표시 영역(22)내에서 한쪽의 유지 방전 전극의 연장 부분(연장 길이 p)과 쌍으로 되는 다른 쪽의 유지 방전 전극의 부분의 전극 면적을, 다른 쪽의 유지 방전 전극의 표시 영역(21)내의 방전 셀(14)에서의 부분(HX, HY)의 전극 면적보다 작게 설정하기로 하더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우발적 유지 방전을 더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러한 일례를 도 16에 나타낸다. 도 16에서는 비표시 영역(22A) 내의 제 2 유지 방전 전극 Y 내에서 제 1 유지 방전 전극 X의 연장 부분 EX와 제 1 방향 D1에 대향하는 부분 OY가 제 1 방향 D1에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 CY를 갖고 있다.
(실시예 3의 변형예 3)
제 1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 X, Y의 한쪽의 유지 방전 전극의 제 1 종단(30)에는 실시예 3 및 그 각 변형예의 몇 가지를 적용하고, 다른 쪽의 유지 방전 전극의 제 1 종단(30)에는 실시예 1 및 그 각 변형예의 몇 가지를 적용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일례를 도 17의 평면도에 나타낸다.
(실시예 4)
도 1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면 방전 AC형 PDP을 표시면측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표시 영역(21)과 제 2 방향 D2에 대해 해당 표시 영역(21)과 인접하는 제 1 비표시 영역(22A)의 제 1 경계 B1, 및 표시 영역(21)과 해당 표시 영역(21)에 인접하는 제 2 비표시 영역(22B)의 제 2 경계 B2에 있어서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양 비표시 영역(22A, 22B)의 각각을 단지 비표시 영역(22)이라고도 칭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비표시 영역(22A)은, (i) 제 2 방향 D2에 대해 표시 영역(21)과 인접하는 제 1 영역(22A1)와, (ⅱ) 제 2 방향 D2에 대해 제 1 영역(22A1)과 인접하는 제 2 영역(22A2)을 갖는다. 그리고, 제 1 영역(22A1)에 있어서는, 제 1 방향 D1에 연장하고, 또한 제 2 방향 D2에 배열한 복수의 제 2 배리어 리브(7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영역(21)내의 배리어 리브(7)를 제 1 배리어 리브로 칭한다. 한편, 제 2 영역(22A2)에 있어서는, 배리어 리브는 존재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 2 비표시 영역(22B)은 (i) 제 2 방향 D2에 대해 표시 영역(21)과 인접하는 제 1 영역(22B1)과, (ⅱ) 제 2 방향 D2에 대해 제 1 영역(22B1)과 인접하는 제 2 영역(22B2)을 갖는다. 그리고, 제 1 영역(22B1)에 있어서는, 제 1 방향 D1에 연장하고 또한 제 2 방향 D2에 배열한 복수의 제 3 배리어 리브(7c)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 2 영역(22B2)에 있어서는, 배리어 리브는 존재하지 않는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 1 특징점은, (1) 제 1 유지 방전 전극 X의 제 1 종단(30(X))을 제 1 비표시 영역(22A)의 제 1 영역(22A1)내에 마련하고 있는 점과, (2) 제 1 영역(22A1)내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2 배리어 리브(7b) 간의 간격 L1 및 복수의 제 2 배리어 리브(7b) 내에서 제 1 경계 B1을 규정하는 제 1 단의 배리어 리브(7a)에 인접하는 제 2 배리어 리브(7b1)와 배리어 리브(7a)와의 간격 L1을 서로 인접하는 제 1 배리어 리브(7)간의 간격 L보다 좁게 설정하고 있는 점에 있다.
상기 (2)의 구성을 환언하면, (2-1) 인접하는 양 제 2 배리어 리브(7b1)에 의해 제 2 방향 D2에 대해 규정되는 제 2 방전 공간 내에서, 제 1 경계 B1로부터 제 1 영역(22A1)내에 연장한 제 1 유지 방전 전극 X의 연장 부분 EX 내에서 인접하는 양 제 2 배리어 리브(7b1)의 각각의 대향하는 측벽으로 규정되는 부분 EXP에 전체적으로 대향하는 공간, 및 (2-2) 제 1 단의 배리어 리브(7a)와 제 2 배리어 리브(7b1)로 규정되는 제 2 방전 공간 내에서, 제 1 유지 방전 전극 X의 부분 EXP에 전체적으로 대향하는 공간은 함께 표시 영역(21)내의 인접하는 양 제 1 배리어 리브(7)에 의해 제 2 방향 D2에 대해 규정되는 제 1 방전 공간 내에서, 표시 영역(21)내의 제 1 유지 방전 전극 X의 부분 HX에 전체적으로 대향하는 공간보다 좁게 설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2-3) 인접하는 양 제 2 배리어 리브(7b1)로 규정되는 제 2 방전 공간 내에서, 제 1 영역(22A1)내에 존재하는 제 2 유지 방전 전극 Y 내에서 인접하는 양 제 2 배리어 리브(7b1)의 각각의 대향하는 측벽끼리 규정되는 부분 EYP에 전체적으로 대향하는 공간, 및 (2-4) 제 1 단의 배리어 리브(7a)와 제 2 배리어 리브(7B1)로 규정되는 제 2 방전 공간 내에서, 제 2 유지 방전 전극 Y의 부분 EYP에 전체적으로 대향하는 공간은 함께 표시 영역(21)내의 제 2 유지 방전 전극 Y의 부분 HY에 전체적으로 대향하는 공간보다 좁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 2 특징점은, (1) 제 2 유지 방전 전극 Y의 제 1 종단(30(Y))을 제 2 비표시 영역(22B)의 제 1 영역(22B1)내에 설정하고 있는 점과, (2) 제 1 영역(22B1)내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3 배리어 리브(7c)끼리의 간격 L2 및 복수의 제 3 배리어 리브(7c) 내에서 제 2 경계 B2를 규정하는 제 2 단의 배리어 리브(7a)에 인접하는 제 3 배리어 리브(7c1)와 배리어 리브(7a)의 간격 L2를 서로 인접하는 제 1 배리어 리브(7)끼리의 간격 L보다 좁게 설정하고 있는 점에 있다.
상기 제 2 특징점의 (2)의 구성을 환언하면, 다음과 같다. 즉, (2-1) 인접하는 양 제 3 배리어 리브(7c1)끼리 의해 제 2 방향 D2에 대해 규정되는 제 1 영역(22B1)내의 제 3 방전 공간 내에서, 제 2 경계 B2로부터 제 1 영역(22B1)내에 연장한 제 2 유지 방전 전극 Y의 연장 부분 EY 내에서 인접하는 양 제 3 배리어 리브(7c1)의 각각의 대향하는 측벽끼리 규정되는 부분 EYPP에 전체적으로 대향하는 공간, 및 (2-2) 제 2 단의 배리어 리브(7a)와 제 3 배리어 리브(7c1)로 규정되는 제 3 방전 공간 내에서, 제 2 유지 방전 전극 Y의 부분 EYPP에 전체적으로 대향하는 공간은 함께 표시 영역(21)내의 제 2 유지 방전 전극 Y의 부분 HY에 전체적으로 대향하는 공간보다 좁게 설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2-3) 인접하는 양 제 3 배리어 리브(7c1)끼리로 규정되는 제 3 방전 공간 내에서, 제 1 영역(22B1)내에 존재하는 제 1 유지 방전 전극 X 내에서 인접하는 양 제 3 배리어 리브(7c1)의 각각의 대향하는 측벽끼리로 규정되는 부분 EXPP에 전체적으로 대향하는 공간, 및 (2-4) 제 1 단의 배리어 리브(7a)와 제 3 배리어 리브(7c1)로 규정되는 제 2 방전 공간 내에서, 제 1 유지 방전 전극 X의 부분 EXPP에 전체적으로 대향하는 공간은 함께 표시 영역(21)내의 제 1 유지 방전 전극 X의 부분 HX에 전체적으로 대향하는 공간보다 좁게 설정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제 1 및 제 2 특징점의 어느 한쪽만을 채용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단지, 이 경우의 효과는, 도 18과 같이 양 특징점을 동시에 채용하는 경우의 효과와 비교하면, 반감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비표시 영역(22)의 제 1 영역(22A1, 22B1)내의 각 방전 공간의 제 2 방향 D2에 있어서의 폭 L1, L2는 표시 영역(21)내의 각 제 1 방전 공간(14)의 제 2 방향 D2에서의 폭 L보다 작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는 이유 내지는 착안점은 다음 점에 있다. 즉, 일반적으로 배리어 리브의 비유전율은 약 10이고, 그것은 유전체층(3)의 비유전율과 대충 동등하다. 이에 반하여, 방전 가스의 비유전율은 약 1이고, 배리어 리브의 비유전율보다 충분히 작다. 따라서, 실시예 3에 있어서 이유 (ⅱ)로서 기재한 바와 같은 이유에 기인하여, 인접하는 배리어 리브끼리의 간격이 좁게 되면 되는 정도로, 환언하면, 방전 공간이 좁게 되면 되는 정도로, 유지 방전 전극쌍(X, Y)에 구동 전압을 인가한 때에 캐소드막(4)의 표면 가까운 방전 공간에 발생하는 전계 강도는 점점 약하게 된다. 이 작용을 각 비표시 영역(22)에서 이용한 것이 상기 제 1 및 제 2 특징점이다.
이상의 기재로부터, 본 실시예 4에 따르면, 비표시 영역(22)내에 유지 방전 전극쌍(X, Y)이 존재하고 있는 것에 관계되지 않아, 우발적 유지 방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정의에 반하여, 유지 방전 전극 X를 제 2 유지 방전 전극으로, 유지 방전 전극 Y를 제 1 유지 방전 전극으로 칭하더라도 무방하다. 이 정의 하에서는, 경계 B1, B2를 각각 제 2 경계, 제 1 경계로 칭하는 게 되고, 마찬가지로, 비표시 영역(22A)을 제 2 비표시 영역으로, 비표시 영역(22B)을 제 1 비표시 영역으로 칭하게 된다. 덧붙여, 배리어 리브(7b)를 제 3 배리어 리브로 칭하고, 또한, 배리어 리브(7c)를 제 2 배리어 리브로 칭하게 된다. 이러한 정의 관계는, 이하에 말하는 본 실시예의 각 변형예에 대해서도 타당하다.
(실시예 4의 변형예 1)
실시예 4로 기재한 기술적 사상은 격자 형상의 배리어 리브를 갖는 면 방전 AC형 PDP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변형예에서는, 표시 영역(21) 및 비표시 영역(22)의 몇 가지의 영역에서도 각 방전 셀에서의 방전 공간은 제 2 방향 D2에 대해 규정될 뿐만 아니라, 제 1 방향 D1에 대해서도 규정되기 때문에, 폐(閉) 공간으로 된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서는, 비표시 영역(22)에서의 각 방전 공간은, 표시 영역(21)에 있어서의 각 방전 공간보다 좁게 되도록, 비표시 영역(22)내의 격자 형상의 배리어 리브의 치수가 설정된다.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변형예를 구체적으로 기재한다.
도 19는 제 1 비표시 영역(22A)과 표시 영역(21)의 제 1 경계 B1 근방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영역(21)에 있어서의 배리어 리브(7) 및 제 1 비표시 영역(22A)에 있어서의 배리어 리브(7b)는 함께 격자 형상의 배리어 리브이고, 양자(7, 7b)는 일체화되어 있다. 그러나, 배리어 리브(7b)로 사방(四方)을 둘러싸인 제 1 비표시 영역(22A) 내의 방전 공간 DSA의 제 1 방향 D1에 있어서의 길이 D1은 배리어 리브(7)로 사방을 둘러싸인 표시 영역(21)내의 방전 공간 DS의 제 1 방향 D1에서의 길이 d보다 작다. 이 때문에, 제 1 비표시 영역(22A) 내의 방전 공간 DSA 내에서, 제 1 유지 방전 전극 X의 연장 부분 EX 내에서 제 1 방향 D1에 연장하는 양 배리어 리브 부분에 의해 제 2 방향 D2에 대해 규정되는 부분(도 19중, 음영선(hatching)이 부가된 부분) EXP에 전체적으로 대향하는 공간 DSAX는 표시 영역(21)내의 방전 공간 DS 내에서 제 1 유지 방전 전극 X의 부분(도 19중, 음영선이 부가된 부분) HX에 전체적으로 대향하는 공간 DSX보다 좁다. 마찬가지로, 제 1 비표시 영역(22A) 내의 방전 공간 DSA 내에서, 제 2 유지 방전 전극 Y의 부분(도 19중, 음영선이 부가된 부분) EYP에 전체적으로 대향하는 공간 DSAY는 표시 영역(21)내의 방전 공간 DS 내에서 제 2 유지 방전 전극 Y의 부분(도 19중, 음영선이 부가된 부분) HY에 전체적으로 대향하는 공간 DSY보다 좁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2 비표시 영역(22B)과 표시 영역(21)의 제 2 경계 B2 근방의 구조에 대해서도, 도 19와 마찬가지의 구조를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실시예 4에서 기재한, 전계 강도를 약하게 하는 작용 및 우발적 유지 방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마찬가지로 얻어지는 것은 분명하다.
또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표시 영역(22)내에서 쌍을 이루는 제 1 유지 방전 전극 X와 제 2 유지 방전 전극 Y의 사이의 간격부의 하방 내지는 상방(上方)에 배리어 리브(7b)가 위치하도록 하더라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도 20의 구조는 도 19의 구조의 궁극의 변형예에 상당하고 있고, 도 19에서 나타낸 방전 공간 DSA가 존재하지 않고 이루고 있는 경우이다.
(실시예 4의 변형예 2)
제 1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 X, Y의 한쪽의 유지 방전 전극의 제 1 종단(30)에는 실시예 3 및 그 변형예 1의 어느 것을 적용하고, 다른 쪽의 유지 방전 전극의 제 1 종단(30)에는 실시예 1 및 그 각 변형예의 어느 것, 혹은 실시예 2 및 그 각 변형예의 몇 개를 적용하는 것으로서도 좋다. 그와 같은 일례를 도 21의 평면도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 제 13 특징 및 제 14 특징에 따르면, 해당 기판을 PDP에 적용할 때에는, 제 1 비표시 영역내에서 우발적인 유지 방전 전극 간의 유지 방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영역과 제 1 비표시 영역의 경계 근방에 있어서의 발광 표시 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 제 13 특징 및 제 14 특징에 따르면, 해당 기판을 PDP에 적용할 때에는, 제 1 및 제 2 비표시 영역내에서 발광 표시 얼룩의 요인이 되는 우발적인 유지 방전 전극 간의 유지 방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비표시 영역내를 더미 어드레스 전극으로 구동할 필요가 없고, 화상 데이터의 출력 대상으로 되는 어드레스 전극(6)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수의 데이터 IC 외에, 더미 어드레스 전극을 구동하기 위한 출력 단자를 준비할 필요도 없어지기 때문에, 더미 어드레스 전극을 이용하는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 제 13 특징 및 제 14 특징에 따르면, 해당 기판을 PDP에 적용할 때에는, 표시 영역내의 모든 레인에 있어서, 유지 방전 전극쌍이 균일인 패턴이 되어, 각 단의 레인에 있어서의 발광 특성을 각 단의 레인보다도 내측의 레인에 있어서의 발광 특성과 거의 마찬가지인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의 한쪽 종단이 함께 표시 영역내에 존재할 때에 기인하여 생기는, 표시 영역과 제 1 및 제 2 비표시 영역의 경계 근방에서의 발광 표시 얼룩을 거의 없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특징, 제 13 특징 및 제 14 특징에 따르면, 해당 기판을 PDP에 적용할 때에는, 제 1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의 한쪽 종단이 함께 표시 영역내에 존재하는 때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표시 영역과 제 1 및 제 2 비표시 영역의 경계 근방에서의 발광 표시 얼룩을 관능적으로 눈에 띄지 않도록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특징, 제 13 특징 및 제 14 특징에 따르면, 해당 기판을 PDP에 적용할 때에는, 한쪽의 단 및 다른 쪽의 단의 각 레인에 있어서 유전체층 및 캐소드막의 표면이 가장 크게 높아지고, 각 단의 레인을 구획하는, 이웃하는 배리어 리브가 이 최대의 높아진 부분을 피하여 캐소드막과 접하기 때문에, 배리어 리브와 캐소드막 간의 극간을 작게 할 수 있어, 인접 레인 사이의 방전의 아이솔레이션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도, 버스 전극의 한쪽 종단의 패턴 폭이 다른 부분보다도 굵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버스 전극의 패턴 형성 프로세스에서 단선ㆍ단락 검사를 위해 버스 전극의 종단에 프로빙을 행할 때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특징, 제 7 특징, 제 13 특징 및 제 14 특징에 따르면, 해당 기판을 PDP에 적용할 때에는, 버스 전극의 한쪽 종단 근방에 있어서의 유전체층의 표면의 높아짐을 보다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배리어 리브와 캐소드막 간의 극간을 보다 더 작게 하여, 인접 레인 사이의 방전의 아이솔레이션을 보다 더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특징 내지 제 14 특징에 따르면, 해당 기판을 PDP에 적용할 때에는, 비표시 영역내에서의 유지 방전 전극쌍이 캐소드막의 표면 근방에 형성하는 전계 강도를 약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비표시 영역내의 유지 방전 전극 사이에서 우발적인 유지 방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3)

  1. 제 1 방향으로 연설된 복수의 배리어 리브 내에서 서로 인접하는 배리어 리브들에 의해 구획되고, 또한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설된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 내에서 상기 배리어 리브들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전극의 구동에 귀속하는 각 레인과,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설된 복수의 유지 방전 전극쌍 내에서 임의의 유지 방전 전극쌍으로 규정되는 각 주사선이 직교하여 이루는 각 점이 한 개의 방전 셀을 이루고, 상기 방전 셀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됨으로써, 상기 배리어 리브를 포함하는 연결적인 표시 영역이 구성된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지 방전 전극쌍의 각각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유지 방전 전극의 한쪽의 종단은, 상기 표시 영역 내 또는 상기 표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에 대하여 200㎛ 이내의 비표시 영역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 방향으로 연설된 복수의 배리어 리브 내에서 서로 인접하는 배리어 리브들에 의해 구획되고, 또한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설된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 중에서 상기 배리어 리브들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전극의 구동에 귀속하는 각 레인과,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설된 복수의 유지 방전 전극쌍 내에서 임의의 유지 방전 전극쌍으로 규정되는 각 주사선이 교차하여 이루는 각 점이 한 개의 방전 셀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방전 셀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됨으로써, 상기 배리어 리브를 포함하는 연결적인 표시 영역이 구성된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지 방전 전극쌍의 각각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유지 방전 전극으로 이루어지고,
    제 1 및 제 2 비표시 영역은 상기 제 2 방향에 대해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하고 있고,
    상기 표시 영역내에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상기 제 2 방향에 배열한 복수의 제 1 방전 공간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비표시 영역은,
    상기 제 2 방향에 대해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하고 있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방향에 대해 상기 제 1 영역에 인접하고 있는 제 2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영역내에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상기 제 2 방향에 배열한 복수의 제 2 방전 공간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유지 방전 전극의 한쪽 종단은 상기 제 1 영역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유지 방전 전극은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내를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제 2 방전 공간의 각각의 내에서, 상기 제 2 방전 공간내의 방전 셀을 구성하는 상기 제 1 유지 방전 전극의 부분에 대향하는 공간은, 상기 복수의 제 1 방전 공간의 각각의 내에서, 상기 제 1 방전 공간내의 상기 방전 셀을 구성하는 상기 제 1 유지 방전 전극의 부분에 대향하는 공간보다 작고,
    상기 복수의 제 2 방전 공간의 각각의 내에서, 상기 제 2 방전 공간내의 방전 셀을 구성하는 상기 제 2 유지 방전 전극의 부분에 대향하는 공간은, 상기 복수의 제 1 방전 공간의 각각의 내에서, 상기 제 1 방전 공간내의 상기 방전 셀을 구성하는 상기 제 2 유지 방전 전극의 부분에 대향하는 공간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0-0069245A 1999-11-24 2000-11-21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면 방전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06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245499 1999-11-24
JP99-332454 1999-11-24
JP2000317595A JP3706012B2 (ja) 1999-11-24 2000-10-18 面放電ac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基板、面放電ac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面放電ac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0-317595 2000-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849A true KR20010051849A (ko) 2001-06-25
KR100406613B1 KR100406613B1 (ko) 2003-11-21

Family

ID=26574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9245A KR100406613B1 (ko) 1999-11-24 2000-11-21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면 방전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646375B1 (ko)
JP (1) JP3706012B2 (ko)
KR (1) KR10040661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173B1 (ko) * 2001-11-13 200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08748B1 (ko) * 2006-04-14 2007-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7285914B2 (en) 2003-11-13 2007-10-23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PDP) having phosphor layers in non-display areas
US7304432B2 (en) 2003-11-27 2007-12-04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with phosphor layer arranged in non-display area
WO2008072917A1 (en) * 2006-12-14 2008-06-19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7194B2 (ja) * 2001-10-26 2007-12-26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基板、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CN1245703C (zh) * 2001-12-11 2006-03-15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电子机器
TW591971B (en) * 2001-12-11 2004-06-11 Seiko Epson Corp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machine
US7480367B2 (en) * 2002-12-12 2009-01-20 Adc Dsl Systems, Inc. Fault characterization using information indicative of echo
EP1471491A3 (en) * 2003-04-22 2005-03-23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515341B1 (ko) * 2003-09-02 2005-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KR100578972B1 (ko) * 2004-06-30 2006-05-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09250B1 (ko) * 2004-12-10 2007-04-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EP1684324B1 (en) 2005-01-20 2011-01-19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panel
KR100701948B1 (ko) * 2005-01-20 2007-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WO2007026424A1 (ja) * 2005-08-31 2007-03-08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imite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737179B1 (ko) * 2005-09-13 2007-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4742799B2 (ja) * 2005-10-14 2011-08-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762251B1 (ko) * 2006-05-30 2007-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62249B1 (ko) 2006-05-30 2007-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08064949A (ja) * 2006-09-06 2008-03-21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電極線を有する表示パネル
KR20090124298A (ko) * 2008-05-29 2009-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10049962A (ja) * 2008-08-22 2010-03-04 Panas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WO2010049975A1 (ja) * 2008-10-30 2010-05-06 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CN103098117A (zh) * 2010-10-12 2013-05-0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等离子显示面板的驱动方法及等离子显示装置
KR101996655B1 (ko) * 2012-12-26 2019-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홀로그램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6527B2 (ja) 1990-12-25 1999-10-25 富士通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738887B2 (ja) 1991-10-18 1998-04-08 富士通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08212933A (ja) 1995-02-03 1996-08-20 Fujitsu Ltd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駆動方法
JP3096400B2 (ja) 1995-03-20 2000-10-10 富士通株式会社 面放電型pdp及びその駆動方法
KR980005226A (ko) 1996-06-12 1998-03-30 엄길용 음극선관의 필름형 토로이덜 편향부재제조용 필름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향부재 및 편향장치
JPH1117897A (ja) 1997-06-19 1999-01-22 Canon Inc 印刷システム及びモノクロプリンタ
JPH11125866A (ja) 1997-10-24 1999-05-11 Toppan Printing Co Ltd 透過型スクリーン用レンチキュラーシー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173B1 (ko) * 2001-11-13 200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7285914B2 (en) 2003-11-13 2007-10-23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PDP) having phosphor layers in non-display areas
US8471469B2 (en) 2003-11-13 2013-06-25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PDP)
US7304432B2 (en) 2003-11-27 2007-12-04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with phosphor layer arranged in non-display area
KR100708748B1 (ko) * 2006-04-14 2007-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WO2008072917A1 (en) * 2006-12-14 2008-06-19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06012B2 (ja) 2005-10-12
KR100406613B1 (ko) 2003-11-21
US6646375B1 (en) 2003-11-11
JP2001216906A (ja) 200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6613B1 (ko) 면 방전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면 방전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72997B1 (ko)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5738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US20040113555A1 (en) Plasma display panel without transparent electrode
KR10048844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H116548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2005001171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그 구동 방법
KR100679912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010051168A (ko)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H11238462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7075234B2 (en) Panel that discharges a plurality of cells on a pair of line electrodes
JP3501027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20010010400A (ko) 교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6164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44125B1 (ko) 전극 구조가 개선된 디스플레이 패널
KR100293508B1 (ko)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KR10064763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1526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39743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방법
KR10058193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765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3021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구조 및 이를 구비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1189135A (ja) Ac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20041493A (ko) 블랙스트라이프에 필터기능이 첨가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JP2001135247A (ja) 交流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