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9248A -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29248A KR20010029248A KR1019990041971A KR19990041971A KR20010029248A KR 20010029248 A KR20010029248 A KR 20010029248A KR 1019990041971 A KR1019990041971 A KR 1019990041971A KR 19990041971 A KR19990041971 A KR 19990041971A KR 20010029248 A KR20010029248 A KR 200100292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strate
- liquid crystal
- polarizer
- crystal display
- retardation pla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02F1/133555—Transflector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반사형 뿐만 아니라 투과형으로도 동작가능한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로써, 제1 기판(3) 및 제2 기판(7)과, 제1 기판(3)과 제2 기판(7) 사이에 있는 액정층(5)과, 제1 기판(3)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후면광원과, 제1 기판(3)에 있는 제1 위상차판(2)과, 제1 위상차판(2)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제1 기판(3)에 설치된 제1 편광자(1)와, 제1 기판(3)의 내측면에 있는 반투과 반사전극(4)과, 제2 기판(7)에 있는 제2 위상차판(8) 및 컬러필터층(6)과, 제2 위상차판(8)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제2 기판(7)에 설치된 제2 편광자(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백라이트가 하판에 설치되고 반사판의 일부가 투명하여 필요에 따라 반사형 뿐만아니라 투과형으로도 동작할 수 있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transflective LCD)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백라이트를 광원으로 이용하는 투과형 액정표시장치와, 외부의 광원을 이용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두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투과형 액정표시장치는 백라이트를 광원으로 이용하여, 어두운 외부환경에서도 밝은 화상을 구현하지만, 백라이트의 사용에 의해 소비전력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백라이트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감소하지만, 외부환경이 어두울 때에는 사용자체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사형 뿐만 아니라 투과형으로도 사용가능한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있는 액정층과; 상기 제1 기판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후면광원과; 상기 제1 기판에 있는 제1 위상차판과; 상기 제1 위상차판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기판에 설치된 제1 편광자와; 상기 제1 기판의 내측면에 있는 반투과 반사전극과; 상기 제2 기판에 있는 제2 위상차판과; 상기 제2 위상차판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기판에 설치된 제2 편광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투과형으로 동작할 경우 빛의 진행에 따른 편광상태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반사형으로 동작할 경우 빛의 진행에 따른 편광상태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 도 3e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가능한 여러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투과형으로 동작할 경우 빛의 진행에 따른 편광상태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반사형으로 동작할 경우 빛의 진행에 따른 편광상태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투과형으로 동작할 경우 빛의 진행에 따른 편광상태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 제1 편광자 2: 제1 위상차판 3: 제1 기판
4: 반투과 반사전극 5: 액정층 6: 컬러필터층
7: 제2 기판 8: 제2 위상차판 9: 제2 편광자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제1 기판(3) 및 제2 기판(7)과, 제1 기판(3)의 외측면에 차례로 설치된 제1 위상차판(2) 및 제1 선편광자(1)와, 제1 기판(3)의 내측면에 있는 반투과 반사전극(4)과, 제2 기판(7)의 외측면에 차례로 설치된 제2 위상차판(8) 및 제2 편광자(9)와, 제2 기판(7)의 내측면에 있는 컬러필터층(6)과, 제1 기판(3)과 제2 기판(7) 사이에 있는 액정층(5)으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 기판(3,7)은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기판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위상차판(2,8)은 1/4 파장 위상차판으로서 위상차판의 광축에 평행하며 서로 수직인 두 편광성분에 대해, 상대적으로, 1/4 파장 만큼의 위상차를 부여하여 선평광을 원편광으로 바꾸거나, 원편광을 선편광을 바꾸는 역할을 한다.
제1 선편광자(1) 및 제2 선편광자(9)는 각각의 편광축이 서로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설치된다.
반투과 반사전극(4)은 상부의 제2 기판(7)을 통해 입사한 빛을 반사하며, 제1기판(3)의 최외곽에 설치되는 후면광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발생하여 제1 기판(3)을 통해 입사한 빛을 투과하고, 동시에 제1 기판(3)의 화소영역에 하나씩 형성되는 스위칭소자로서의 박막트랜지스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는 화소전극 역할을 한다. 반투과 반사전극(4)은 구멍이 형성된 Al과 같은 금속막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구멍은 후면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투과하는 투과부로서 역할을 하며, 그 외의 부분은 상부의 제2 기판(7)을 통해 입사한 외부광을 반사하는 반사부로서 역할을 한다. 반투과 반사전극(4)은 화소전극 역할을 하는 투명전극과, 후면광원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투과시키고 제2 기판(7)을 통해 입사한 외부광을 반사하는 역할을 하는 반투과 반사판(semitransparent reflecting plate or half mirror)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액정층(5)은, 반투과 반사전극(4)에 인가된 화소전압이 최소일 경우, 상기 1/4 파장 위상차판처럼 투과하는 빛을 1/4 파장 만큼 위상지연 시키는 역할을 하며, 화소전압이 최대일 경우, 빛을 위상지연 없이, 즉, 편광상태의 변화 없이, 그대로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으로서, 빛의 진행에 따른 편광상태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가 투과형으로 동작할 경우를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화소전압이 인가되지 않았을 경우(OFF), 제1 선편광자(1) 아래에 설치되는 후면광원으로부터의 빛이 제1 선편광자(1)에 입사하면 제1 선편광자(1)의 편광축과 평행한 방향인 빛만 통과하게 된다. 제1 선편광자(1)에 의해 선편광된 빛은 제1 위상차판(2)에 의해 좌원편광이 되며, 좌원편광된 빛은 반투과 반사전극(4)을 통과하여 액정층(5)에 입사한다. 좌원편광된 빛은 액정층(5)을 통과하여 제1 선편광자(1)의 편광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선편광되며, 제2 위상차판(8)을 통과하여 우원편광이 된다. 마지막으로, 우원편광된 빛 중 절반, 즉, 제2 선편광자(9)의 편광축과 나란한 방향의 빛만 제2 선편광자(9)를 통과하여 중간 밝기의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화소전압이 최대일 경우(ON), 제1 선편광자(1) 아래에 설치되는 후면광원으로부터의 빛이 제1 선편광자(1)에 입사하면 제1 선편광자(1)의 편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빛만 통과하게 된다. 제1 선편광자(1)에 의해 선편광된 빛은 제1 위상차판(2)에 의해 좌원편광이 되며, 좌원편광된 빛은 반투과 반사전극(4)을 통과하여 액정층에 입사한다. 좌원편광된 빛은 편광상태의 변화없이 액정층(5)을 그대로 통과한 후, 제2 위상차판(8)에 의해 제1 선편광자(1)의 편광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선편광된다. 이어서, 제1 선편광자(1)의 편광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편광된 빛은 제2 선편광자(9)를 통과하지 못하여 어두운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가 반사형으로 동작할 경우, 후면광원은 구동되지 않으며, 그 동작을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소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OFF), 외부에서 입사된 빛은 제2 선편광자(9)를 통과하여 그 편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선편광되고, 제2 위상차판(8)을 통과하여 우원편광이 된다. 우원편광된 빛은 액정층(5)을 통과하여 제2 선편광자(9)의 편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선편광된 후 반투과 반사전극(4)에 입사한다. 반투과 반사전극(4)에서 반사된 선편광된 빛은 액정층(5)을 통과하여 우원편광이 되고, 제2 위상차판(8)을 통과하여 제2 선편광자(9)의 편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선편광된 후 제2 선편광자(9)를 그대로 통과하여 밝은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도면에 나타낸 편광방향은 빛이 진행하는 방향에서 빛을 바라볼 때의 편광방향을 나타낸 것이며, 빛의 진행방향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나타내었다.
최대의 화소전압이 인가된 경우(ON), 외부에서 입사된 빛은 제2 선편광자(9)를 통과하여 그 편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선편광되고, 제2 위상차판(8)을 통과하여 우원편광이 된다. 우원편광된 빛은 편광상태의 변화 없이 액정층(5)을 그대로 통과하여 반투과 반사전극(4)에 입사한다. 빛은 반투과 반사전극(4)에서 반사된 후 좌원편광이 되고, 액정층(5)을 그대로 통과한다. 액정층을 통과한 좌원편광된 빛은 제2 위상차판(8)을 통과하여 제2 선편광자(9)의 편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선편광된 후 제2 선편광자(9)에 의해 차단되어 어두운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반사형 뿐만아니라 투과형으로도 구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가능한 여러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1 기판(3) 부분만을 나타내었다.
반투과 반사전극(4)은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부가 있는 금속막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개방부는 빛을 투과하는 투명부로서 역할을 하며, 그 나머지 부분은 반사부로서 역할을 한다. 도면에는 반투과 반사전극을 이루는 금속막의 표면을 평탄하게 나타내었지만, 굴곡이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굴곡이 있을 경우, 굴곡의 볼록부 크기를 5 이상 25μm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굴곡의 형태, 예를 들면, 볼록부 사이의 간격을 규칙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형으로 동작할 경우, 투명부에 의해서 반사휘도가 감소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외부 주광원의 입사방향과 반대 방향에 있는 굴곡의 경사면에 투명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부는 한 화소 내에 최소한 하나 이상을 형성하며, 그 크기는 10 이상 100 마이크로미터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투명부의 평면모양은, 도 3b에 나타낸 것처럼, 원일 수도 있고, 임의의 다각형일 수도 있으며, 도 3c에 나타낸 것처럼, 띠모양일 수도 있으며, 이때, 도면에서 나타낸 반투과 반사전극(4)은 띠모양의 투명부에 의해 여러부분의 전극으로 나뉘는 것처럼 나타내었지만, 하나의 화소용 반사전극으로 작용하기 위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져야 한다. 투명부가 화소영역내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주위의 조도 및 컬러필터층(6)의 투과율에 따라 달리 설정할 수 있지만, 15% 이상 85% 이하로 설정한다. 컬러필터층은 색순도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투과율이 70% 이하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부와 반사부에 의한 휘도 차이가 눈에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확산필름(도시하지 않음)을 제2 기판(7) 위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확산필름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 투명부의 크기와 투명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휘도차이를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투명부의 크기를 작게 형성할 경우 액정의 구동에 큰 문제를 초래하지 않으나, 투명부의 크기를 크게 형성할 경우에는, 도 3d에 나타낸 것처럼, 투명부에 ITO 또는 폴리아닐린계의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투명전극(20)을 형성한다. 투명전극(20)을 반투과 반사전극(4) 위, 동일 층, 또는 그 하부에 형성할 수 있으며, 투명전극(20)에 의한 반사휘도의 감소를 고려하면, 반투과 반사전극(4)와 동일 층 또는 그 하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전극(20)을 형성할 경우, 반투과 반사전극(4)을 이루는 금속막과 투명전극(20) 사이의 원할한 접합(adhesion)을 위하여 그 사이에 박막형태의 보호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투명전극을 형성하지 않을 경우는, 구동전압 인가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반투과 반사전극(4)을 이루는 금속막이 하나의 화소내에서 두 개 이상의 전극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는 주위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와, 조도에 따라 후면광원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제어회로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액정층의 구조는 트위스트 네마틱(Twisted Nematic), 호메오트로픽(Homeotropic), 호모지니어스(Homogeneous) 및 HTN(Homeotropic Twisted Nematic) 중 어느 것도 가능하다.
횡전계방식(in-plane switching mode) 이나 FFS(Fringe-Field Switching) 방식과 같이, 프린지 전계(fringe field) 효과를 이용하여 액정분자에 기판에 평행한 전기장을 인가하는 액정 모드에서, 띠모양의 투명전극 대신에, 도 3e에 나타낸 것처럼, 금속막으로 이루어진 띠모양의 반사전극(4)을 사용하면, 띠모먕의 인접한 두 반사전극 사이에 구조상 자연스럽게 얻어지는 투명부를 본 발명의 반투과 반사전극의 투명부로서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1 실시예와 구조상 다른 점은 제1 기판(3)의 최외곽에 제1 선편광자(1) 대신에 빛의 좌원 또는 우원 편광성분만을 반사하는 콜레스테릭액정 원편광자(30)가 설치되는 것이며, 설명의 편의상 제1 실시예와 같은 구성요소는 같은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그 구조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5a 및 5b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으로서, 빛의 진행에 따른 편광상태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의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가 투과형으로 동작할 경우를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화소전압이 인가되지 않았을 경우(OFF), 콜레스테릭액정 원편광자(30) 아래에 설치되는 후면광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빛이 원편광자(30)를 통과하면 좌원편광이 되며, 이어서 제1 위상차판(2)에 의해 제2 선편광자(9)의 편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선편광이 되며, 반투과 반사전극(4)을 통과하여 액정층(5)에 입사한다. 이어서, 액정층(5)에 입사한 선편광된 빛은 액정층(5)을 통과하여 우원편광이 되고, 제2 위상차판(8)을 통과하여 제2 선편광자(9)의 편광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선편광되며, 제2 선편광자(9)를 그대로 통과하여 밝은 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화소전압이 최대일 경우(ON), 원편광자(30) 아래에 설치되는 후면광원으로부터의 빛이 원편광자(30)을 통과하면 좌원편광이 되며, 이어서, 제2 위상차판(30)에 의해 제2 선편광자(9)의 편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선편광이 되고, 반투과 반사전극(4)을 통과하여 액정층(5)에 입사한다. 이어서, 액정층(5)에 입사한 선편광된 빛은 액정층(5)을 편광상태의 변화없이 그대로 통과한 후, 제2 위상차판(9)을 통과하여 좌원편광이 된다. 좌원편광이 된 빛 중 절반은 제2 선편광자(9)를 통과하여 중간 밝기의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가 반사형으로 동작할 경우, 후면광원은 구동되지 않으며, 그 동작을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소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OFF), 외부에서 입사된 빛은 제2 선편광자(9)를 통과하여 그 편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선편광되고, 제2 위상차판(8)을 통과하여 우원편광이 된다. 우원편광된 빛은 액정층(5)을 통과하여 제2 선편광자(9)의 편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선편광된 후 반투과 반사전극(4)에 입사한다. 반투과 반사전극(4)에서 반사된 선편광된 빛은 액정층(5)을 통과하여 우원편광이 되고, 제2 위상차판(8)을 통과하여 제2 선편광자(9)의 편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선편광된 후 제2 선편광자(9)를 그대로 통과하여 밝은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최대의 화소전압이 인가된 경우(ON) 외부에서 입사된 빛은 제2 선편광자(9)를 통과하여 그 편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선편광되고, 제2 위상차판(9)을 통과하여 우원편광이 된다. 우원편광된 빛은 편광상태의 변화 없이 액정층(5)을 그대로 통과하여 반투과 반사전극(4)에 입사한다. 빛은 반투과 반사전극(4)에서 반사된 후 좌원편광이 되고, 액정층(5)을 그대로 통과한다. 액정층(5)을 통과한 좌원편광된 빛은 제2 위상차판(8)을 통과하여 제2 선편광자(9)의 편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선편광된 후 제2 선편광자(9)에 의해 차단되어 어두운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1 위상차판(2)이 형성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제2 실시예와 구조상 다르며, 설명의 편의상 제2 실시예와 같은 구성요소는 같은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그 구조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는 반사형으로 동작할 경우,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동작하며, 투과형으로 동작할 경우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화소전압이 인가되지 않았을 경우(OFF), 콜레스테릭액정 원편광자(30) 아래에 설치되는 후면광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빛이 원편광자(30)를 통과하면 좌원편광이 되며, 반투과 반사전극(4)을 통과하여 액정층(5)에 입사한다. 이어서, 액정층(5)에 입사한 좌원편광된 빛은 액정층(5)을 통과하여 제2 선편광자(9)에 수직한 방향으로 선편광되고, 제2 위상차판(8)을 통과하여 우원편광이 되고, 우원편광된 빛 중 절반만 제2 선편광자(9)를 통과하여 중간 밝기의 화상이 표시된다.
화소전압이 최대일 경우(ON), 콜레스테릭액정 원편광자(30) 아래에 설치되는 후면광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빛이 원편광자(30)를 통과하면 좌원편광이 되며, 반투과 반사전극(4)을 통과하여 액정층(5)에 입사한다. 이어서, 액정층(5)에 입사한 좌원편광된 빛은 액정층(5)을 그대로 통과한 후, 제2 위상차판(9)을 통과하여 제2 선편광자(9)와 수직한 방향으로 선편광이 되어, 결국 어두운 화상이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반사형 또는 투과형으로 선택적인 구동이 가능하다.
.
Claims (10)
- 제1 기판 및 제2 기판과,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있는 액정층과,상기 제1 기판에 있는 제1 위상차판과,상기 제1 위상차판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기판에 설치된 제1 편광자와,상기 제1 기판의 내측면에 있는 반투과 반사전극과,상기 제2 기판에 있는 제2 위상차판과,상기 제2 위상차판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기판에 설치된 제2 편광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편광자가 선편광자이고,상기 두 편광자의 편광축이 서로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자가 원편광자이고,상기 제2 편광자가 선편광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자가 좌원편광된 빛만을 통과시키는 콜레스테릭 액정 원편광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 반사전극이 상기 후면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투과하는 투명부와, 상기 제2 기판쪽으로 입사하는 외부 빛을 반사하는 반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투명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된 투명전극이 추가로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이 상기 반사전극보다 바깥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전극이 화소영역 내에서 길쭉한 띠 모양의 전극으로 이루어짐으로서, 상기 기판에 평행한 방향의 전기장을 상기 액정층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외부의 조도를 측정하는 광감지기와,상기 광감지기에 의해 측정된 외부의 조도에 따라 상기 후면광원의 출력을 조절하는 제어회로가 추가로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 제1 기판 및 제2 기판과,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있는 액정층과,상기 제1 기판에 설치된 원편광자와,상기 원편광자보다 안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기판에 형성된 반투과 반사전극과,상기 제2 기판에 있는 제2 위상차판과,상기 제2 위상차판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기판에 설치된 선편광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41971A KR100606956B1 (ko) | 1999-09-30 | 1999-09-30 |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41971A KR100606956B1 (ko) | 1999-09-30 | 1999-09-30 |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29248A true KR20010029248A (ko) | 2001-04-06 |
KR100606956B1 KR100606956B1 (ko) | 2006-07-31 |
Family
ID=19613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41971A KR100606956B1 (ko) | 1999-09-30 | 1999-09-30 |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06956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3306A (ko) * | 2001-08-07 | 2003-02-14 |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 편광소자 및 이를 구비한 광표시장치 |
KR20030021850A (ko) * | 2001-09-08 | 2003-03-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액정 표시 장치 |
KR20030065814A (ko) * | 2002-02-01 | 2003-08-09 |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 투과율이 개선된 에이에스엠 모드 액정표시장치 |
KR100455715B1 (ko) * | 2000-05-15 | 2004-11-09 |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 액정표시장치 |
KR100883987B1 (ko) * | 2002-07-31 | 2009-02-1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
KR20180026043A (ko) * | 2016-09-02 | 2018-03-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광학 특성 검사기 및 광학 특성 검사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18929A (ja) * | 1994-05-30 | 1995-12-08 | Casio Comput Co Ltd | 液晶表示装置 |
JPH1164838A (ja) | 1997-08-14 | 1999-03-05 | Stanley Electric Co Ltd | 透反型液晶表示装置 |
JP4112663B2 (ja) | 1998-02-19 | 2008-07-02 |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液晶表示装置 |
-
1999
- 1999-09-30 KR KR1019990041971A patent/KR10060695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5715B1 (ko) * | 2000-05-15 | 2004-11-09 |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 액정표시장치 |
KR20030013306A (ko) * | 2001-08-07 | 2003-02-14 |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 편광소자 및 이를 구비한 광표시장치 |
KR20030021850A (ko) * | 2001-09-08 | 2003-03-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액정 표시 장치 |
KR20030065814A (ko) * | 2002-02-01 | 2003-08-09 |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 투과율이 개선된 에이에스엠 모드 액정표시장치 |
KR100883987B1 (ko) * | 2002-07-31 | 2009-02-1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
KR20180026043A (ko) * | 2016-09-02 | 2018-03-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광학 특성 검사기 및 광학 특성 검사 방법 |
US10823892B2 (en) | 2016-09-02 | 2020-11-03 | Lg Chem, Ltd. | Device for testing optical properties and method for testing optical properti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06956B1 (ko) | 2006-07-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858581B2 (ja) |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 |
JP3405546B2 (ja) | 液晶表示装置 | |
JP3598987B2 (ja) |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 |
KR101222421B1 (ko) | 액정 표시 장치 | |
KR20000013240A (ko) | 반투과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 |
KR100423685B1 (ko) | 투과 반사기 및 투과 반사성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0301854B1 (ko) | 투과 및 반사형 겸용 액정표시장치 | |
KR100606956B1 (ko) |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 |
KR100663074B1 (ko) |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 |
KR100813472B1 (ko) | 반사-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 |
JP3873667B2 (ja) |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 |
KR100327444B1 (ko) | 투과 및 반사형 겸용 액정표시장치 | |
JP3778025B2 (ja) |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 |
US20030137625A1 (en) | Liquid crystal display and electronic instrument | |
JP4169066B2 (ja) |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 |
JP2004109986A (ja) |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 |
KR100907478B1 (ko) | 액정표시장치 | |
JP3405340B2 (ja) | 液晶表示素子 | |
US20050194891A1 (en) |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with a function of converting to be mirror | |
JP2004145097A (ja) | 液晶表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 |
KR20090103316A (ko) | 반투과형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 | |
JP2004029201A (ja) | 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 |
JP2004038204A (ja) |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 |
JP2004219552A (ja) |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 |
JP2003140152A (ja) | 半透過型液晶表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