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10029825A - 배터리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9825A
KR20010029825A KR1020000034115A KR20000034115A KR20010029825A KR 20010029825 A KR20010029825 A KR 20010029825A KR 1020000034115 A KR1020000034115 A KR 1020000034115A KR 20000034115 A KR20000034115 A KR 20000034115A KR 20010029825 A KR20010029825 A KR 20010029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 beam
region
battery
reactive compound
laminated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5769B1 (ko
Inventor
반나이유타카
야게타히로시
사토마사하루
하세가와에츠오
시라카타마사토
Original Assignee
니시가키 코지
닛뽄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가키 코지, 닛뽄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가키 코지
Publication of KR20010029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7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sea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Primary Cells (AREA)

Abstract

상기 적층 필름의 밀봉 영역을 열 밀봉하여, 상기 적층 필름이 상기 배터리 전력원을 둘러싸게 하는 단계; 및 상기 열 밀봉 영역의 일부를 전자빔으로 조사하여, 조사된 영역이 열 밀봉 영역의 주변부를 따른 방향에서 열 밀봉 영역과 상기 양의 전극 및 음의 전극으로부터 돌출된 인출 전극의 중첩 영역을 가로지르도록 하는 단계에 의해 배터리 전력원을 둘러싸는 외장재로서 적층 필름을 갖는 배터리가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의 특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인출 전극의 단자의 위치에서 높은 박리 강도를 가지며, 따라서 높은 신뢰성과 안전성을 갖는 배터리가 제조된다.

Description

배터리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TION OF BATTERY}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배터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외장재(casing)로서 적층 필름(laminated film)을 사용하는 고신뢰성의 배터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설명
최근, 휴대형 전자 장치는 점점 소형화 및 경량화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러한 전자 장치에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배터리도 이러한 추세를 따르고 있다. 현재 배터리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리튬 이차배터리는 전해액(electrolytic solution)을 사용하며 따라서 누액 방지 등을 위하여 강직한 외장재(예를 들면, 금속관)를 필요로 하며; 따라서, 경량화 또는 박형화에 제한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배터리의 경량화 및/또는 박형화를 실현하기 위해서, 전해액 대신 폴리머 겔 등을 사용하고 또한 금속관 이외의 다른 외장재를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외장재로서, 일반적으로 폴리머 수지 필름에 비해 수분이나 유기 전해액의 투과 저지성능이 높은 알루미늄박과 폴리머 수지 필름을 적층한 적층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적층 필름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과 같이 높은 열 밀봉성(heat-sealability)을 갖는 합성 수지 필름이 밀봉층(sealing layer)으로서 사용되고;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과 같은 필름이 보호층으로서 사용된다. 배터리의 밀봉에 있어서, 양의 전극과 음의 전극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배터리 전력원(battery power source)은 두 개의 적층된 필름 사이에 끼워지고 배터리 전력원을 둘러싸는 상기 두 개의 적층된 필름의 주변 영역은 열 수단을 사용하여 서로 열 밀봉된다.
폴리에틸렌나 폴리프로필렌 등을 열 밀봉만으로 압착하는 종래의 배터리 밀봉 방법은 형성된 밀봉 영역이 10O℃ 이상에서 내열성이 부족하여, 수지의 연화 등에 의해 벗겨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온에서도 밀봉 영역의 밀봉 강도가 약하고, 배터리 전력원의 팽창 및 배터리 내부에 있어서의 가스 발생 등에 의해 배터리의 내부 압력이 상승한 경우에 밀봉 영역이 벗겨지는 문제도 있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전해액의 누액이 생겨, 배터리의 신뢰성과 안전성이 저하한다.
특개평 제 11-86807호 공보에는, 양의 전극, 음의 전극, 전해액 등을 금속박(metal foil)과 플라스틱 층의 적층 시트로 이루어진 자루(bag)에 넣고, 상기 자루를 열 밀봉하고, 상기 밀봉된 자루를 방사선 처리하면, 액 누설 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방사선 처리의 방법으로서, 배터리를 포함하는 골판지 상자(cardboard box)를 방사선 처리하던가, 컨베이어 위에 배치된 배터리를 방사선 처리를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방사선으로서, 감마선 외에 전자빔도 사용할 수 있다고 하고 있지만, 전자빔 사용의 구체예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자의 검토에 의하면, 배터리 전력원에 대하여 전자빔을 조사하면, 전해액의 분해 등이 생겨 배터리 성능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양의 전극 및 음의 전극으로부터 연장하는 인출 전극(lead electrode)과 적층 필름의 접착 부분(이 부분은 액 누설이 가장 쉽게 발생하는 부분이다)에서는, 특개평 제 11-86807호 공보의 방법으로서는, 충분한 밀착성이 얻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개평 제 7-78604호 공보에서는, 양의 전극 및 음의 전극의 집전체(current collector)를 겸하는 2 장의 시트 형태의 단자판 사이에, 밀봉 물질(sealing material)을 통하여 배터리 전력원을 삽입하고 상기 밀봉 물질을 열 밀봉함으로써 얻어지는 배터리 구조를 개시하는데, 밀봉 물질로서 전자빔을 미리 조사한 변성 폴리에틸렌(modified polyethylene)를 사용하면, 열 밀봉층의 내열성이 향상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밀봉 물질만의 변경에 관한 것으로서, 외장재로서 적층 필름을 사용하여 배터리 전력원을 밀봉하는 구조에 있어서 밀착성 및 밀봉 강도를 개선하는 것과는 상이하다.
배터리에 있어서, 배터리 내부의 가스압이 상승했을 때 배터리가 파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스를 적당히 외부로 방출하는 안전 밸브를 형성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개평 제 11-86823호 공보에서, 적층 필름을 외장재로서 사용하는 배터리 구조로서, 밀봉부의 일부에 다른 부분보다 내압 성능을 낮게 한 부분을 형성하여, 내부압이 상승했을 때에 내압이 낮은 부분으로부터 가스를 방출하도록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밀봉 영역 내에 낮은 내압 성능을 갖는 부분을 형성하는 이 기술에 있어서, 내압 성능이 낮은 부분에 대해서는 다른 부분의 재료와는 상이한 재료가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배터리 제조를 복잡하게 하고, 또한, 전체 밀봉 영역이 열 밀봉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내열성이 불충분하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상기 언급된 문제점을 감안하여, 외장재로서 적층 필름을 사용하는 배터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인데, 상기 배터리는 배터리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높은 밀봉 강도, 특히 인출 전극의 단자에서 높은 박리 강도를 가지며 따라서 높은 신뢰성과 안전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장재로서 적층 필름을 사용하는 배터리를 높은 수율로 그리고 쉽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인데, 상기 배터리는 전체 밀봉 영역에서 높은 강도를 가지며, 이상에 의해 배터리 내부의 압력이 상승한 경우 특정 위치로부터 가스를 방출하게 하는 안전 기구를 구비하며, 높은 신뢰성과 안전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의 전극과, 음의 전극 및 전해질을 갖는 배터리 전력원, 및 상기 배터리 전력원을 둘러싸는 외장재로서 폴리머 수지층과 금속박으로 이루어진 적층 필름을 포함하는 배터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층 필름의 밀봉 영역을 열 밀봉하여 상기 적층 필름이 상기 배터리 전력원을 둘러싸게 하는 단계; 및
상기 열 밀봉 영역의 일부를 전자빔으로 조사하여, 조사된 영역이 열 밀봉 영역의 주변부를 따른 방향에서 열 밀봉 영역과 상기 양의 전극 및 음의 전극으로부터 돌출된 인출 전극의 중첩 영역을 가로지르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렇게 적층 필름의 열 밀봉 영역을 전자빔으로 조사함으로써, 열 밀봉 영역 내에 교차 결합된 구조(crosslinked structure)가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적층 필름 내의 수지는 향상된 내열성을 가지게 되며 또한 향상된 접착성, 즉 향상된 밀봉 강도를 갖게 된다. 즉, 두 개의 필름이 열 밀봉되고 서로 접착된 영역에 있어서, 두 필름의 수지는 열적으로 용융되고, 혼합되며, 또한, 교차 결합에 의해 강하게 접착된다. 특히, 열 밀봉 영역과 인출 전극의 중첩 영역을 전자빔으로 조사함으로써, 인출 전극과 접촉하는 폴리머 수지층의 부분이 향상된 내열성과 향상된 밀봉 강도를 가질 수 있게 되어; 그 결과 누액을 방지하고 높은 신뢰성을 갖는 배터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양의 전극과, 음의 전극 및 전해질을 구비하는 배터리 전력원, 및 상기 배터리 전력원을 둘러싸는 외장재로서 폴리머 수지층과 금속박으로 이루어진 적층 필름을 포함하는 배터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층 필름의 밀봉 영역을 열 밀봉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전력원이 전자빔으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적층 필름의 열 밀봉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전자빔으로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전력원이 전자빔으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예를 들면, LiPF6와 같은 전자빔 조사시 쉽게 분해하는 염을 포함하는 전해질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배터리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높은 밀봉 강도, 특히 인출 전극의 단자에서 높은 박리 강도를 갖는 배터리를 제조할 수 있다.
배터리 전력원을 둘러싸는 열 밀봉 영역의 주변부를 따른 방향에서 전체 길이에 대해 전자빔의 조사가 수행되는 경우, 배터리의 전체 주변부는 향상된 밀봉 강도를 갖게되고 높은 신뢰성의 배터리가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터리 전력원을 둘러싸는 열 밀봉 영역의 주변부를 따른 방향에서 열 밀봉 영역의 일부는 전자빔으로 조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렇게 밀봉 영역의 일부가 전자빔으로 조사되지 않게 함으로써, 이 부분(전자빔이 조사되지 않은 부분)은 전자빔이 조사된 부분보다 낮은 박리 강도를 갖게 되며, 배터리 내부에서 비정상적인 압력 상승이 발생하면, 박리가 우선적으로 발생하여, 상기 부분은 가스 방출을 위한 안전 기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박리 위치, 즉 가스 방출 위치가 예측될 수 있다는 이점이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안전 기구를 갖는 배터리를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배터리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의 (a)는 평면도, 도 1의 (b)는 도 1의 (a)의 A-A' 라인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1의 (c)는 도 1의 (a)의 B 방향을 따라 취해진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제조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제조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제조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제조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제조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차폐물(shield)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에서 제공된 밀봉 적층 필름의 내열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9는 실시예 10 및 비교예 4에서 제조된 배터리의 20℃의 싸이클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터리 전력원 2 : 적층 필름
3, 3a, 3b : 외부 인출 전극 4 : 열 밀봉 영역
5 : 전자빔 조사 영역 6 : 전자빔이 조사되지 않은 부분
8 : 차폐물 9 : 혀 모양의 부분
도 1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배터리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의 (a)는 평면도이고, 도 1의 (b)는 도 1의 (a)의 A-A' 라인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며, 도 1의 (c)는 도 1의 (a)의 B 방향(인출 전극측)을 따라 취해진 측면도이다. 이 배터리는 주변부가 서로 밀봉된 두 개의 적층 필름(2)과 이들 두 필름(2) 사이에 삽입된 배터리 전력원(1)으로 구성된 구조를 갖는다. 양의 전극과 음의 전극에 연결된 인출 전극(3a 및 3b)은 배터리 밖으로 돌출된다.
배터리 전력원(1)은 양의 전극, 음의 전극 및 전해질을 포함한다. 배터리 제조에 대한 본 발명에서 배터리 전력원은 일반적인 배터리에서 사용 가능하다면 그 제한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리튬 일차 배터리, 니켈-수소 배터리, 리튬 이온 이차 배터리 등과 같은 배터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이차 배터리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의 전극 활성 물질(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로서 리튬-망간 산화물(lithium-manganese oxide)(바람직하기는, 스피넬 구조(spinel structure)를 갖는 리튬 망간 산화물)을 사용하는 배터리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리튬 망간 산화물의 사용이 더 안전한 배터리를 제공하기 때문에, 아주 높은 안전성을 갖는 배터리가 얻어질 수 있다.
일반적인 리튬 이온 이차 배터리에서 사용되는 배터리 전력원은 양의 전극(양의 전극 집전체 상에 리튬-망간 산화물 또는 리튬 코발트 산화물 등과 같은 양의 전극 활성 물질을 도포함으로써 얻어진다), 음의 전극(음의 전극 집전체 상에 리튬을 도핑 가능한 탄소 재료 또는 리튬을 탈도핑 가능한 탄소 재료(lithium-dopable or dedopable carbon material)를 도포함으로써 얻어진다)을 격리판(separator)을 끼워 대향시키고, 그 다음 그것에 리튬염을 포함하는 전해액(수계, 유기 용매계)를 주입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배터리 전력원은 그 형태에 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그것은 원통형일 수도 있지만, 판형(plate-shaped)이 밀봉을 쉽게 하기 때문에 선호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주형(prismatic type) 선호된다. 각주형은 격리판을 사이에 끼운 양의 전극 및 음의 전극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층을 적층함으로써 얻어지는 적층형과; 격리판을 사이에 끼워 양의 전극과 음의 전극을 둘둘 말은 권회형(wound type)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적층 필름은 금속박과 폴리머 수지층의 적층이다. 측층 필름에서 층의 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적어도 필름의 밀봉측(배터리 전력원을 마주보는 측)에서의 층은 열 밀봉 가능하며 전자빔 조사에 효과적인 폴리머 수지층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상기 적층 필름의 일 예는 밀봉 측에서의 폴리머 수지층(밀봉층)과, 그 대향측에서의 보호층(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및 상기 두 층 사이에 끼워진 알루미늄박(aluminum foil)으로 구성된 3 층의 구조를 갖는다.
적층 필름의 폴리머 수지층(밀봉층)은, 적어도 밀봉 영역에서, 열가소성이고 열 밀봉 가능하며 전자빔 조사시 교차 결합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수지 복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머 수지층에 대해서, 단일의 폴리머 수지, 폴리머 수지의 혼합물, 또는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폴리머 수지(즉,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피복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전자빔 분해형 폴리머 수지도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폴리머 수지의 일 예는 폴리에틸렌(고, 중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직쇠상(linear)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호모폴리머(polyolefin homopolymers);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 및/또는 에틸렌-α-올레핀(예를 들면 부텐-1)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thylene-ethyl acrylate copolymer; EEA),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thylene-methyl acrylate copolymer; EMA),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ethylene-glycidyl methacrylate copolymer; EGMA) 등의 변성 폴리올레핀과 같은 -(CH2-CHX)-(X는, H, CH3등의 치환기)로 이루어지는 반복 단위를 갖는 폴리머 수지를 포함한다.
또한,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와 같은 전자빔 분해형 폴리머 수지도 다음에 설명하는 것과 같은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첨가하는 경우는 사용 가능하다.
혼합 또는 도포에 의해 폴리머 수지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의 종류에 관해서는, 상기 화합물이 전자빔 조사에 반응하는 화합물이면 특별한 제한이 없지만, 상기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은 교차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다기능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우레탄 폴리머 등과 같은 다기능 아크릴 화합물;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단기능 아크릴 화합물; 다기능 아크릴 화합물과 단기능 아크릴 화합물의 혼합물;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 4'-에폭시싸이클로헥산 카복실레이트, 1,4-(6-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카복실레이트)부탄 등과 같은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 및 비닐피로리돈,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피리딘, 스티렌 등과 같은 비닐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가격 및 입수의 간편성의 면에서 아크릴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은 전체 폴리머 수지층(밀봉층)에 혼합될 수도 있고 밀봉 영역의 표면에만 도포될 수도 있다.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이 밀봉 영역 내에 또는 밀봉 영역 상에 존재하는 경우, 배터리의 밀봉 영역의 강도에서의 감소가 방지될 수 있는데, 상기 강도 감소는 가스 압력 및 밀봉층의 경화, 분해 등에 의해 유발되며, 이들 모두는 많은 양의 전자빔 노출이 가해질 때 나타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제조 방법을 공정 순서대로 설명한다.
먼저, 인출 전극이 연결된 배터리 전력원이 적층 필름으로 둘러싸인다. 도 1은 각주형 배터리 전력원이 두 개의 적층 필름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필름의 네 변이 밀봉된 형태를 도시한다. 다른 형태도 가능한데, 예를 들면 하나의 적층 필름이 반으로 접히고 세 변이 밀봉되거나(도 6의 (a) 내지 (c)); 또는 적층 필름이 백(bag) 형태로 제공되고, 배터리 전력원이 그 안에 놓이며, 상기 백의 입구가 밀봉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밀봉은 곡선으로 행해질 수 있다. 밀봉의 방법은 두 개의 적층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 관해서 하기에 설명한다.
배터리 전력원을 두 개의 적층 필름으로 감싸고, 그 다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전력원(1)을 둘러싸는 필름의 주변부가 열 밀봉되어 열 밀봉 영역(4)을 형성하게 된다. 온도 등과 같은 열 밀봉의 조건은 사용되는 적층 필름의 폴리머 수지층(밀봉층)의 재료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된다.
다음으로, 열 밀봉 영역이 전자빔으로 조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인출 전극과 그 주변부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영역의 주변부를 따른 방향에서 열 밀봉 영역(4)과 인출 전극(3a 및 3b)의 중첩하는 영역을 교차하는 열 밀봉 영역(4)의 작은 부분(도 3의 전자빔 조사 부분(5))에 전자빔이 인가된다. 일반적인 열 밀봉에 있어서, 이들 부분은 아주 작은 접착 강도를 가지지만 전자빔 조사시 향상된 박리 강도를 가지게 된다.
도 3은 "(열) 밀봉 영역의 주변부를 따른 방향"과 "밀봉 폭의 방향"을 도시한다.
도 3에 있어서, 열 밀봉 영역(4)과 인출 전극(3a 및 3b)의 중첩 영역의 일부에 대해 조사가 수행되지만, 중첩 영역 전체에 대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금속으로 이루어진 인출 전극은 금속이 피복되지 않은 상태로, 또는 적층 필름의 밀봉 영역에 대응하는 인출 전극의 일부가 절연을 위해 수지로 감싸진 상태에서 돌출될 것이다. 전자의 경우(전자의 상태)에 있어서도, 적층 필름의 조사된 수지 부분은 교차 결합을 유발하여, 수지의 내열성과 인출 전극의 금속에 대한 수지의 접착성이 향상되게 된다. 후자의 경우(후자의 상태)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수지와 인출 전극을 감싸는 수지 사이의 열 밀봉과 두 수지의 교차 결합이 발생하여, 향상된 내열열성과 향상된 밀봉 강도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배터리의 인출 전극부의 밀봉 강도와 내열성은 향상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누액이 방지될 수 있고 고신뢰성의 배터리가 제조될 수 있다.
도 4는 배터리 전력원을 둘러싸는 적층 필름의 열 밀봉 영역의 전체 길이에 대해 전자빔 조사가 수행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 필름 둘레를 따른 전체 길이에서 강도 향상이 달성된다. 이것은 열에 의한 밀봉에 의해 얻어질 수 없는 고신뢰성의 배터리를 제공한다. 전자빔 조사가 수행되는 폭은 열 밀봉 영역의 폭과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도 4에 도시된 것보다 더 작을 수도 있다. 이 폭은 대량 생산의 편의성을 위해 열 밀봉의 폭과 동일하거나 또는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자빔의 노출에 관해서는 특별한 제약이 없다. 밀봉층이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밀봉 영역의 분해 가스 생성에 의한 팽창 등은 억제될 수 있고, 따라서, 밀봉층이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서 전자빔의 노출이 크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전자빔 노출의 증가와 함께 열 생성도 증가한다. 그러므로, 전자빔의 노출은 50Mrad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Mrad 이하가 더 바람직하며, 약 15 내지 30Mrad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배터리 전력원에 대해 전자빔 조사가 수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자빔의 방향을 제어하거나 또는 전자빔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빔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 수단은, 전자빔원과 배터리 전력원 사이에, 배터리 전력원에 도달하는 전자빔의 노출을 0Mrad으로 할 수 있는 면밀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차폐물을 위치시킴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터리 전력원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마스크를 배터리 전력원과 전자빔 조사 장치 사이에 위치시키는 방법이나; 배터리 전력원 상에 또는 위에(또는 배터리 전력원을 덮는) 판형 또는 오목한 차폐물을 위치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대량 생산의 관점에서, 판형 또는 오목한 차폐물을 사용하는 방법이 선호된다.
차폐물의 재질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철, 납, 티타늄, 구리 등과 같은 금속이나; 또는 유리가 사용될 수 있다. 알루미늄, 철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이 조작성 또는 성형성의 관점에서 선호된다.
배터리 전력원이 전자빔으로부터 차폐될 때, 배터리 전력원이 LiPF6, LiBF4, LiN(CF3SO2)2, LiN(C2F5SO2)2등과 같은 전자빔 조사시 쉽게 분해되는 리튬염을 포함하더라도, 싸이클 특성, 온도 특성, 내부 저항 등과 같은 배터리 성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큰 밀봉 강도와 높은 신뢰성을 갖는 배터리가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5의 (a)(배터리의 전체 도면) 및 (b)(도 5의 (a)의 배터리의 부분적으로 확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빔이 조사되지 않은 부분(6)이 밀봉 영역의 주변부를 따른 방향의 일부에서 열 밀봉 영역 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빔이 조사된 부분(5)은 높은 밀봉 강도를 가지지만 전자빔이 조사되지 않은 부분(6)의 밀봉 강도가 열 밀봉에 의해서만 얻어지기 때문에 전자빔이 조사되지 않은 부분(6)은 전자빔이 조사된 부분(5)보다 낮은 밀봉 강도를 갖는다. 배터리의 밀봉 영역이 두 개의 상이한 밀봉 강도를 갖게함으로써, 밀봉 영역 내에 비상시 박리를 유발할 수 있는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부분이 안전 밸브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제조사가 배터리 제조시 박리 위치를 예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자빔이 조사되지 않은 부분의 형태는 원하는 대로 결정될 수 있지만, 요구되는 장치의 간소성의 관점에서 직사각형, 사다리꼴, 삼각형 등과 같은 간단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의 예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각각의 예에 있어서, 적층 필름은 접혀지고 세 변이 밀봉되며, 전자빔이 조사되지 않은 부분(6)은 인출 전극(3)이 돌출되는 변에 형성된다. 전자빔이 조사되지 않은 부분의 형태는 도 6의 (a)에서는 직사각형이고, 도 6의 (b)에서는 삼각형이다.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모양은 열 밀봉 영역의 폭의 중간에서 멈출 수도 있다. 도 6의 (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열 밀봉과 전자빔 조사에 의해 얻어진 강한 밀봉의 폭은 전자빔이 조사되지 않은 부분에서 작게 만들어진다. 배터리 내부의 압력이 크게될 때, 상기 부분을 통해 가스가 누출되어, 상기 부분은 안전 밸브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빔이 조사되지 않은 부분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특별한 제약이 없다. 전자빔 차폐물이 사용되는 경우, 차폐 폭의 방향에서 적층 필름의 열 밀봉 영역의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혀 모양의 부분(9)을 갖는 도 7의 (a)의 차폐물(8)이 사용되거나; 또는 개별적인 차폐물이 열 밀봉 영역의 부분 상에 또는 위에 위치될 수도 있다. 차폐물(8)의 혀 모양의 부분(9)은, 도 7의 (b)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의 배터리 전력원을 덮는 다른 부분과 동일한 두께를 갖거나; 또는 도 7의 (c)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혀 모양의 부분(9)이 두께에서 경사를 가질 수도 있다. 두께에서 이러한 경사를 사용함으로써, 전자빔의 조사가 상이한 노출로 수행될 수 있고, 이것은 배터리의 주변부를 향해 밀봉 강도가 점점 더 커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빔이 조사되지 않은 부분은 둘 이상의 위치에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한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적층 필름의 폴리머 수지층(밀봉층)은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는(또는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로 피복된) 폴리머 수지로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 폴리머 수지층의 열 밀봉 영역의 일부가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열 밀봉 이후, 열 밀봉 영역의 전체 부분이 전자빔으로 조사되는 경우라도,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열 밀봉 영역의 부분은 교차 결합을 발생시키지 않고 열 밀봉에만 의한 밀봉 강도를 나타내지만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다른 부분은 전자빔 조사에 의해 높은 밀봉 강도를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전자빔이 조사되지 않은 부분을 형성하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이점이 얻어진다. 또한,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폴리머 수지층의 부분은 전자빔으로 조사될 수도 있고 조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부분적으로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이러한 폴리머 수지층(밀봉층)은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폴리머 수지층 상에 도포하는 것과 동시에 특정 위치에 비도포 영역을 형성하는 코팅 방법에 의해 쉽게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술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폴리에틸렌 수지 시트(봉인층, 두께=100㎛), 알루미늄 시트(두께=50㎛) 및 폴리프로필렌 시트(두께=20㎛)를 순서대로 적층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 3층 구조의 두 동일한 적층 필름이 열 설비를 사용하여 3초동안 250℃에서 서로 열 밀봉되었다. 결과적으로 생성된 적층은 250㎸의 가속 전압을 갖는 전자빔 조사기를 사용하여 전자빔으로 조사되었다. 노출은 실시예 1에서는 5Mrad이고, 실시예 2에서는 10Mrad, 실시예 3에서는 15Mrad이고 실시예 4에서는 20Mrad이며, 이에 의해 샘플이 마련되었다. 상기 샘플은 열기계 분석장치를 사용하여 (1) 50gf/min의 하중 증가속도로 5OOgf까지 25℃에서 T자 박리 강도 측정, 및 (2) 5gf/mm의 일정 하중에서 프로그램된 승온 크립 테스트(programmed up-heating creep test)의 측정이 수행되었다. 이 결과는 표 1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표 1과 도 8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각 샘플의 밀봉 강도 및 내열성은 배터리의 요구되는 레벨을 충족시키며, 전자빔 조사의 효과가 현저하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두 동일한 적층 필름이 사용되었다.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열 밀봉이 수행되지만, 전자빔 조사는 수행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생성되는 샘플에 대해서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측정이 수행되었다. 그 결과는 표 1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표 1 및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의 샘플의 밀봉 강도와 내열성 어느 것도 배터리의 요구되는 레벨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8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트(봉인층, 두께=70㎛),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시트(두께=20㎛), 알루미늄 시트(두께=50㎛)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시트(두께=20㎛)를 순서대로 적층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 4층 구조의 두 동일한 적층 필름이 사용되었다. 두 적층 필름은 가열 온도가 300℃라는 점을 제외하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서로 열 밀봉되었다. 결과적으로 생성된 적층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에서 전자빔으로 조사되었다. 노출은 실시예 5에서는 5Mrad이고, 실시예 6에서는 10Mrad, 실시예 7에서는 15Mrad이고 실시예 8에서는 20Mrad이며, 이에 의해 샘플이 마련되었다. 상기 샘플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을 수행했다. 이 결과는 표 1에 도시되어 있다. 표 1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각 샘플의 밀봉 강도 및 내열성은 배터리의 요구되는 레벨을 충족시킨다.
비교예 2
실시예 5의 두 동일한 적층 필름이 사용되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열 밀봉이 수행되었지만, 전자빔 조사는 수행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생성된 샘플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이 수행되었다.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의 샘플의 밀봉 강도 및 내열성의 어느 것도 배터리의 요구되는 레벨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T자 박리 강도 측정에 의한5% 왜곡시의 응력(단위:gf/mm) 프로그램된 승온 크립 테스트에 의한 200℃에서의 팽창(단위:%)
실시예 1 (5Mrad) 62 4.0
실시예 2 (10Mrad) 105 2.9
실시예 3 (15Mrad) 118 2.5
실시예 4 (20Mrad) 126 2.1
실시예 5 (5Mrad) 61 2.5
실시예 6 (10Mrad) 68 2.1
실시예 7 (15Mrad) 75 2.0
실시예 8 (20Mrad) 87 2.1
비교예 1(조사되지 않음) 28 120℃에서 박리
비교예 2(조사되지 않음) 35 180℃에서 박리
실시예 9
실시예 1의 두 동일한 적층 필름이 사용되었다.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가 각각의 적층 필름의 밀봉층 상에 도포되고, 두 개의 층이 열 설비를 사용하여 3초동안 200℃에서 서로 열 밀봉되었다. 결과적으로 생성된 적층은 250㎸의 가속 전압을 갖는 전자빔 조사기를 사용하여 전자빔의 50Mrad의 노출로 조사되었다. 열 밀봉층에 있어서, 전자빔 조사에 의해 유발되는 명백한 변화는 없었다. 전자빔 조사 후의 적층에 대해서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측정이 수행되었다. 그 결과, T자 박리 강도는 94 g/m 이고 프로그램된 온도 크립 측정은 3.6%였다.
밀봉층에 대해 어떠한 도포도 수행되지 않았다는 점을 제외하곤 실시예 9와 동일한 실험이 수행되었을 때, 전자빔 조사 후의 적층이 적층 내부의 가스 생성에 의한 팽창을 나타내었으며, 어떤 영역에서는, 필름의 경화 및 박리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었다.
실시예 10
양의 전극(알루미늄박 상에 활성 물질로서 LiMn2O4를 사용하는 활성 물질층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짐) 및 음의 전극(구리박 상에 활성 물질로서 그래파이트를 사용하는 활성 물질층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짐) 사이에 격리판을 끼워 넣음으로써 배터리 전력원이 마련되고, 그 다음 결과적으로 생성된 재료에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디에틸 카보네이트의 중량비가 3:7로 이루어진 혼합 용매에 용해된 전해질염으로서 LiPF6의 전해액을 주입했다. 이 배터리 전력원은 실시예 1의 두 동일한 적층 필름 사이에 끼워졌다. 적층 필름의 주변부는 열 설비를 사용하여 3초동안 250℃에서 서로 열 밀봉되었다. 적층의 배터리 전력원 부분을 전자빔 조사로부터 덮기 위해서 차폐물로서의 5㎜ 두께의 알루미늄판이 결과적으로 생성된 적층 상에 위치되었다. 그 다음, 전자빔 조사가 250㎸의 가속 전압을 갖는 전자빔 조사기를 사용하여 15Mrad의 노출에서 수행되었다.
결과적으로 생성된 배터리에 대해서 싸이클 특성, 온도 특성, 및 내부 저항 등과 같은 배터리 성능 측정이 수행되었다. 그 결과, 전자빔 조사가 배터리 성능에 어떠한 악영향도 끼치지 않았다. 20℃에서 싸이클 특성의 결과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배터리에 대해서 3시간 동안 130℃의 고온 보관 테스트 및 45℃, 3C 및 12V의 과충전 테스트와 같은 안전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배터리 자체에 팽창은 보였지만, 밀봉 영역의 박리는 없었다.
실시예 11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식으로 두 동일한 적층 필름 사이에 배터리 전력원이 끼워지고 상기 필름의 주변부가 서로 열 밀봉되었다. 배터리 전력원과 열 밀봉 부분의 일부를 덮기 위해서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혀 모양의 부분을 갖는 알루미늄판이 차폐물로서 결과적으로 생성된 적층의 한 변 상에 위치되었다. 그 다음 전자빔 조사가 상기 변에 대해서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결과적으로 생성된 배터리에 대해서 실시예 10과 동일한 테스트가 수행되었다. 고온 보관 테스트 및 과충전 테스트 둘 다에 있어서, 배터리의 팽창이 발생하였다. 박리는 밀봉 영역에서 전자빔이 조사되지 않은 위치에서만 관측되었다. 즉, 밀봉 영역의 박리 위치는 사용 전에 배터리의 제조시에 예측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0과 같이 하여, 배터리 전력원을 두 동일한 적층 필름 사이에 끼워넣고 그 주위를 열 밀봉했다. 그 후 전자빔 조사를 하지 않고, 실시예 10와 같은 테스트를 했다. 고온 보관 테스트, 과충전 테스트 둘 다에서, 배터리의 팽창에 따라 밀봉 영역에 박리가 생겨, 테스트 후의 배터리의 중량이 감소했다. 이 때 박리가 생긴 위치는 배터리 제작 때에 예측 불가능하지만, 인출 전극의 주변부에서 박리가 특히 컸다.
비교예 4
실시예 10와 같이 하여, 배터리 전력원을 두 적층 필름 사이에 끼어넣고 그 주위를 열 밀봉했다. 그 후 전자빔 차폐물을 사용하지 않고서 배터리 전면에 전자빔의 조사를 했다. 전자빔 조사 후의 배터리에는 팽창이 보여, 싸이클 특성 등의 배터리 성능도 실시예 10와 비교하여 분명한 열화가 보였다. 20℃의 싸이클 특성의 결과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층 필름을 외장재로서 사용하는 배터리 구조에 있어서, 배터리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밀봉 영역의 강도, 특히 외부 인출 전극의 단자(terminals)에서 박리 강도가 높고, 신뢰성과 안정성이 높은 배터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적층 필름을 외장재로서 사용하는 배터리 구조에 있어서, 밀봉 영역에서 높은 강도에 유지하면서, 이상이 생겨 내부압이 상승했을 때에, 특정한 부분으로부터 가스가 빠지는 안전 기구를 구비한 신뢰성과 안정성이 높은 배터리를 높은 생산성으로 간편히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30)

  1. 양의 전극과, 음의 전극 및 전해질을 갖는 배터리 전력원, 및 상기 배터리 전력원을 둘러싸는 외장재로서 적어도 폴리머 수지층과 금속박으로 이루어진 적층 필름을 포함하는 배터리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층 필름의 밀봉 영역을 열 밀봉하여, 상기 적층 필름이 상기 배터리 전력원을 둘러싸게 하는 단계; 및
    상기 열 밀봉 영역의 일부를 전자빔으로 조사하여, 조사된 영역이 열 밀봉 영역의 주변부를 따른 방향에서 열 밀봉 영역과 상기 양의 전극 및 음의 전극으로부터 돌출된 인출 전극의 중첩 영역을 가로지르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조 방법.
  2. 양의 전극과, 음의 전극 및 전해질을 구비하는 배터리 전력원, 및 상기 배터리 전력원을 둘러싸는 외장재로서 적어도 폴리머 수지층과 금속박으로 이루어진 적층 필름을 포함하는 배터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층 필름의 밀봉 영역을 열 밀봉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전력원이 전자빔으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적층 필름의 열 밀봉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전자빔으로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조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전자빔 조사시, 상기 배터리 전력원을 전자빔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차폐 수단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수단은 전자빔으로부터 상기 배터리 전력원을 차폐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전력원 상에 또는 상기 배터리 전력원 위에 위치되는 차폐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 밀봉 영역 내에서 전자빔 조사 영역은 상기 열 밀봉 영역의 주변부를 따른 방향의 전체 영역 상에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조 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 밀봉 영역 내에서 전자빔 조사 영역은 상기 열 밀봉 영역의 주변부를 따른 방향의 전체 영역 상에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조 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 밀봉 영역의 주변부를 따른 방향에서 상기 열 밀봉부의 일부가 전자빔으로 조사되지 않게 하여 전자빔이 조사되지 않은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조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 밀봉 영역의 주변부를 따른 방향에서 상기 열 밀봉 영역의 일부가 전자빔으로 조사되지 않게 하여 전자빔이 조사되지 않은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전자빔이 조사되지 않은 영역은 상기 열 밀봉 영역과 상기 인출 전극의 중첩 영역에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조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은 열 밀봉 영역이 될 영역에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조 방법.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은 열 밀봉 영역이 될 영역에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조 방법.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은 열 밀봉 영역이 될 영역에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조 방법.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은 열 밀봉 영역이 될 영역에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조 방법.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은 열 밀봉 영역이 될 영역에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조 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은 열 밀봉 영역이 될 영역에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조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에서, 열 밀봉 영역이 될 영역은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부분과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조 방법.
  1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에서, 열 밀봉 영역이 될 영역은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부분과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조 방법.
  1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에서, 열 밀봉 영역이 될 영역은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부분과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조 방법.
  1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에서, 열 밀봉 영역이 될 영역은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부분과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조 방법.
  1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에서, 열 밀봉 영역이 될 영역은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부분과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조 방법.
  2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에서, 열 밀봉 영역이 될 영역은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부분과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조 방법.
  2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아크릴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조 방법.
  2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아크릴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조 방법.
  23.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아크릴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조 방법.
  24.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빔 반응성 화합물을 아크릴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조 방법.
  25. 제 1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
  26. 제 2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
  27. 제 5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
  28. 제 6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
  29. 제 7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
  30. 제 8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
KR1020000034115A 1999-06-24 2000-06-21 배터리 제조 방법 KR100365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787 1999-06-24
JP17877199A JP3460805B2 (ja) 1999-06-24 1999-06-24 電池の製造方法
JPJP-P-1999-00178771 1999-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825A true KR20010029825A (ko) 2001-04-16
KR100365769B1 KR100365769B1 (ko) 2002-12-26

Family

ID=16054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115A KR100365769B1 (ko) 1999-06-24 2000-06-21 배터리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03656B1 (ko)
EP (1) EP1063713B1 (ko)
JP (1) JP3460805B2 (ko)
KR (1) KR100365769B1 (ko)
CA (1) CA231157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5546A1 (en) 2010-12-10 2012-06-14 University Of Wollongong Multi-layer water- splitting devices
US8771866B2 (en) 2010-03-30 2014-07-08 Samsung Sdi Co., Ltd.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11005117B2 (en) 2019-02-01 2021-05-11 Aquahydrex, Inc. Electrochemical system with confined electrolyte
US11018345B2 (en) 2013-07-31 2021-05-25 Aquahydrex, Inc. Method and electrochemical cell for managing electrochemical reac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7441B2 (en) * 1998-10-23 2007-11-20 Sony Corporation Nonaqueous-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4993052B2 (ja) * 2001-02-19 2012-08-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包装材料
US20030104282A1 (en) * 2001-11-15 2003-06-05 Weibing Xing In situ thermal polymerization method for making gel polymer lithium ion rechargeable electrochemical cells
JP3975923B2 (ja) * 2003-01-20 2007-09-12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
KR100553200B1 (ko) * 2003-06-19 2006-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CN100438127C (zh) * 2003-08-08 2008-11-26 日本电气株式会社 薄膜封装电池及其制造方法
JP4666131B2 (ja) * 2003-10-03 2011-04-06 日本電気株式会社 ラミネートフィルムの熱融着方法、フィルム外装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ラミネートフィルム用熱融着装置
JP4232038B2 (ja) 2004-08-11 2009-03-04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ィルム外装電気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087922A (ja) * 2005-03-04 2007-04-05 Toyota Motor Corp フィルムパッケージ蓄電装置
JP5065646B2 (ja) * 2006-10-06 2012-11-07 住友電工ファインポリマー株式会社 ガスケット、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20120328924A1 (en) * 2010-03-12 2012-12-27 Gs Yuasa International Ltd. Battery
AU2012382382A1 (en) 2012-06-12 2015-01-15 Aquahydrex Pty Ltd Breathable electrode and method for use in water splitting
KR20140136831A (ko) * 2013-05-21 2014-1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82436B1 (ko) * 2018-07-20 2022-04-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7861A (en) * 1981-05-13 1982-11-18 Fuji Elelctrochem Co Ltd Flat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5004655A (en) * 1989-12-14 1991-04-02 Globe-Union Inc. Thin bipolar lead-acid battery with individual cell vent
US5057385A (en) * 1990-12-14 1991-10-15 Hope Henry F Battery packaging construction
US5227264A (en) * 1991-02-14 1993-07-13 Hydro-Quebec Device for packaging a lithium battery
JP2516845B2 (ja) 1991-03-04 1996-07-24 工業技術院長 電 池
JP2714596B2 (ja) 1991-11-01 1998-02-16 工業技術院長 電 池
JPH06334207A (ja) 1993-05-27 1994-12-02 Canon Inc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H0737559A (ja) 1993-07-21 1995-0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偏平形電池の製造法
JPH0778604A (ja) 1993-09-08 1995-03-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偏平形電池
US5445856A (en) * 1993-11-10 1995-08-29 Chaloner-Gill; Benjamin Protective multilayer laminate for covering an electrochemical device
US5650243A (en) * 1996-01-16 1997-07-22 Ferment; George R. Battery packaging construction using flexible plastic barrier structures
US5972054A (en) * 1996-03-21 1999-10-26 Showa Denko K.K. Method for laminating solid polymer electrolyte film
JP3460529B2 (ja) 1997-09-16 2003-10-2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71866B2 (en) 2010-03-30 2014-07-08 Samsung Sdi Co., Ltd.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WO2012075546A1 (en) 2010-12-10 2012-06-14 University Of Wollongong Multi-layer water- splitting devices
US9708719B2 (en) 2010-12-10 2017-07-18 Aquahydrex Pty Ltd Multi-layer water-splitting devices
US10428431B2 (en) 2010-12-10 2019-10-01 Aquahydrex Pty Ltd Multi-layer water-splitting devices
US11018345B2 (en) 2013-07-31 2021-05-25 Aquahydrex, Inc. Method and electrochemical cell for managing electrochemical reactions
US11005117B2 (en) 2019-02-01 2021-05-11 Aquahydrex, Inc. Electrochemical system with confined electrolyte
US11682783B2 (en) 2019-02-01 2023-06-20 Aquahydrex, Inc. Electrochemical system with confined electrolyte
US12080928B2 (en) 2019-02-01 2024-09-03 Edac Labs, Inc. Electrochemical system with confined electroly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63713A3 (en) 2006-08-16
EP1063713A2 (en) 2000-12-27
US6503656B1 (en) 2003-01-07
KR100365769B1 (ko) 2002-12-26
JP3460805B2 (ja) 2003-10-27
CA2311573A1 (en) 2000-12-24
EP1063713B1 (en) 2011-06-08
JP2001006633A (ja) 200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5769B1 (ko) 배터리 제조 방법
EP1793436B1 (en) Film-enclosed electric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100344515B1 (ko) 비수계 박형 전지
US8178226B2 (en) Film-covered electr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7204862B1 (en) Packaged thin film batteries and methods of packaging thin film batteries
JP4775555B2 (ja) フィルム外装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83536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864694B1 (ko) 파우치 전지용 형상기억 튜브로 구성된 고온 안전변
JP3114174B1 (ja) 非水電解質電池用リード線
TWI389373B (zh) 引線構件及其製法、與非水電解質蓄電裝置
JP2008293992A (ja) フィルム外装電気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09946A (ko)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JPH10144352A (ja) 非水電解液電池
KR101754484B1 (ko)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40134916A (ko) 이차 전지용 파우치 제조 방법 및 이차전지용 파우치
KR20030037771A (ko)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CN116261802A (zh) 电池单元及包括该电池单元的电池模块
KR20210142493A (ko) 이차 전지 및 그의 보수 방법
KR100551397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KR100303842B1 (ko)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JP2003297336A (ja) 正極用リード及びこれを用いた電力貯蔵デバイス
KR102255537B1 (ko) 파우치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40082888A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KR20240077444A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KR20210097483A (ko)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7